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조경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S.Gold의 레크리에이션의 접근방법 5가지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원접근방법
  2. 활동접근방법
  3. 경제접근방법
  4. 토지이용접근방법
(정답률: 84%)
  • S.Gold의 레크리에이션의 접근방법 5가지 분류는 모두 레크리에이션을 즐기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토지이용접근방법"은 레크리에이션을 즐기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토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토지이용접근방법"은 S.Gold의 레크리에이션의 접근방법 5가지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깊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지반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그 조작방법에 따라서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으로 구분되는 지질조사 방법은?

  1. 토층보링(boring)
  2. 암반보링(boring)
  3. 토양단면조사
  4. 사운딩(sounding)
(정답률: 72%)
  • 사운딩은 깊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지반의 저항을 측정하는 지질조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망치를 사용하여 지면에 충격을 가하고, 그 충격에 따른 지면의 반응을 측정하여 지반의 저항을 파악합니다. 이 방법은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으로 구분되며, 정적인 사운딩은 망치를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지반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동적인 사운딩은 망치를 일정한 에너지로 충격하여 지반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지반의 저항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기능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민들에게 여가활동, 스포츠, 휴식 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2. 화재, 지진 등의 재해 시 도시민들이 신속 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처로 사용 된다.
  3. 공원과 녹지로 구성되어 있기 보다는 주로 운동장이나 도로 등에 인공적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 있다.
  4. 자투리땅을 활용, 텃밭 등이 제공되어 도시농업을 가능 하게 한다.
(정답률: 68%)
  • "공원과 녹지로 구성되어 있기 보다는 주로 운동장이나 도로 등에 인공적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오픈스페이스는 공원, 녹지, 운동장, 도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며, 인공적 요소와 자연적 요소가 함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시공원은 그 기능 및 주제에 의하여 생활권 공원과 주제공원으로 세분화된다.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근린공원
  2. 수변공원
  3. 묘지공원
  4. 체육공원
(정답률: 75%)
  • 정답: "묘지공원"

    설명:
    - 근린공원: 도시 내 주거지역에 위치하여 주민들의 휴식과 문화생활을 위한 공원
    - 수변공원: 강, 호수, 해안 등 수변 지역에 위치하여 자연경관과 생태계 보전을 위한 공원
    - 묘지공원: 묘지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추모와 위로의 장소로 활용하는 공원
    - 체육공원: 체육시설과 운동장 등을 갖추어 체육활동을 위한 공원

    따라서, "묘지공원"은 다른 공원들과는 목적과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운전시 눈높이는 보행시 눈높이와 다르다. 운전시 각종표지판을 잘 볼 수 있는 적당한 높이는?

  1. 1.07~1.2m
  2. 1.5~1.7m
  3. 2.07~2.3m
  4. 2.5~3.05m
(정답률: 72%)
  • 운전자의 시야는 보행자와는 다르게 차량의 앞쪽으로 향하게 되므로, 표지판 등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눈높이가 높아야 합니다. 그리고 운전자의 눈높이는 차종, 차량 내부 구조, 운전자의 키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눈높이는 1.07m에서 1.2m 사이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표지판 등의 정보를 잘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른 법률에 의하여 공원, 관광단지, 자연휴양림 등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 중에서 생태적 경관적 가치 등이 높고 자연탐방 생태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무엇을 지정할 수 있는가?

  1. 경관지구
  2. 보전관리지역
  3. 자연휴식지
  4. 도시녹화지역
(정답률: 48%)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대통령령에 따라 생태적 경관적 가치 등이 높고 자연탐방 생태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연휴식지"는 생태적 가치와 함께 휴식과 힐링을 위한 장소로서 적합하기 때문에 지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형상수(形象樹: topiary)의 기원에 해당되는 것은?

  1. 정원관리인의 노예 우두머리
  2. 정원수를 전정하는 노예 우두머리
  3. 정원의 석조를 시공하는 우두머리
  4. 정원식물 중 화훼류를 심는 우두머리
(정답률: 77%)
  • 형상수의 기원은 로마 시대로 remus와 romulus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신들이 정원을 가꾸는 모습이 묘사되었고, 이후 유럽에서는 정원수를 전정하는 노예 우두머리들이 형상수를 만들기 시작했다. 따라서 정답은 "정원수를 전정하는 노예 우두머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식물 중 자미(紫微)라 불렸던 것은?

  1. 배롱나무
  2. 목련
  3. 철쭉
  4. 치자나무
(정답률: 77%)
  • 자미(紫微)는 중국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별자리 이름 중 하나이며, 이 별자리는 배롱나무를 상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롱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선시대 궁궐 조경 수법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후원(後園)의 발달
  2. 다정(茶庭)의 발달
  3. 경사지의 화계(花階)처리
  4. 굴뚝, 담장 등의 수식·미화처리
(정답률: 90%)
  • 조선시대 궁궐 조경 수법의 특징 중에서 다정(茶庭)의 발달은 속하지 않는다. 이는 궁궐 내부에서 차를 마시는 공간으로서, 조경 수법보다는 문화적인 요소에 가깝기 때문이다. 반면에 후원의 발달, 경사지의 화계 처리, 굴뚝, 담장 등의 수식·미화 처리는 궁궐 조경 수법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선시대에 외국사신을 맞이하던 객관(客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모화관(慕華館)
  2. 순천관(順天館)
  3. 태평관(太平館)
  4. 남별궁(南別宮)
(정답률: 65%)
  • 조선시대에 외국사신을 맞이하던 객관 중에서 순천관은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곳이 아니라, 왕실의 교육기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순천관은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객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서원 전면의 하천에 위치하는 유상대(流觴臺)는 고운이 태안현감으로 재임시 계류상에 대를 조성하여 유상곡수로 음풍영월하던 장소로써 후세에 감운정이 건립된 서원은?

  1. 도산서원
  2. 무성서원
  3. 소수서원
  4. 옥산서원
(정답률: 50%)
  • 유상대에 위치한 서원은 후세에 감운정이 건립된 곳으로, 이곳은 무성서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선시대에 애용된 전통적 조경수목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감나무, 복숭아나무 등의 과목(果木)이 선호되었다.
  2. 수종과 식재장소의 선택에 풍수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모란, 산수유, 작약 등 화목(花木)이 애용되었다.
  4. 외래종은 배제하고 한국 고유의 자생종만을 식재하였다.
(정답률: 86%)
  • 외래종은 배제하고 한국 고유의 자생종만을 식재하였다는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특징이 아니라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이것은 조선시대에 애용된 전통적 조경수목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로마시대에 있었던 집합광장(集合廣場)은?

  1. 포름(Form)
  2. 아고라(Agora)
  3. 아크로폴리스(Acropolis)
  4. 스토아(Stoa)
(정답률: 78%)
  • 로마시대에 있었던 집합광장은 "포름(Form)" 이었습니다. 이는 로마의 중심지에 위치하며, 상업과 정치적인 활동이 이루어졌습니다. 포름은 대형 건물들과 함께 건축되어 있었으며, 로마 제국의 권력과 영광을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서양 중세의 수도원 정원에서 장식목적으로 만들어진 정원은?

  1. 초본원(herb garden)
  2. 과수원(orchard)
  3. 유원(pleasunce)
  4. 주랑식중정(cloister garden)
(정답률: 75%)
  • 주랑식중정은 수도원 내부에 위치한 정원으로, 수도사들이 휴식과 명상을 즐기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정원은 수도원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중앙에는 정원이 위치하고 그 주위에는 아치형의 갤러리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 갤러리는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리는 날씨에도 수도사들이 산책을 즐길 수 있도록 보호해줍니다. 주랑식중정은 장식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수도사들의 휴식과 명상을 위한 공간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제 3각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면도는 평면도 위에 그린다.
  2. 배면도는 지면도 아래에 그린다.
  3. 좌측면도는 정면도의 우측에 위치한다.
  4. 눈 → 투상면 → 물체의 순서가 된다.
(정답률: 76%)
  • 제 3각법은 3차원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때 눈, 투상면, 물체의 순서가 중요하다. 눈은 관찰자의 위치를 나타내며, 투상면은 물체를 투사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이때 눈에서 투상면으로의 직선을 시선선이라 하며, 이 시선선이 투상면과 만나는 점을 중심으로 물체를 투사한다. 따라서 눈 → 투상면 → 물체의 순서가 되어야 올바른 제 3각법을 그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색상대비 효과가 가장 약한 것은?

  1. 벚꽃을 배경으로 한 살구꽃
  2. 향나무 가운데의 붉은 단풍나무
  3. 잔디밭 가운데의 붉은 장미꽃
  4. 활짝 핀 백목련 가운데의 자목련 꽃
(정답률: 92%)
  • "벚꽃을 배경으로 한 살구꽃"이 색상대비 효과가 가장 약한 것이다. 이는 벚꽃과 살구꽃의 색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대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제란에 기입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면 명칭
  2. 도면번호
  3. 기업체명
  4. 도면치수
(정답률: 65%)
  • 표제란은 도면의 제목과 관련된 정보를 기입하는 곳이며, 도면의 크기나 비율 등의 도면치수는 표제란에 기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레크레이션 계획의 접근방법 중에서 공간 혹은 시설들의 사화적・생태적인 최소・충분・적정 수준의 공간적 기준을 고려하는 방법은?

  1. 인구비례법
  2. 이용자 - 자원 계획방법
  3. 한계수용능력 방법
  4. 면적비율법
(정답률: 75%)
  • 한계수용능력 방법은 공간 혹은 시설들의 사화적・생태적인 최소・충분・적정 수준의 공간적 기준을 고려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해당 공간이나 시설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이용자 수를 계산하여 그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획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인구비례법이나 면적비율법과는 달리, 실제 이용자 수를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자원의 보존과 이용자의 만족도를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레크레이션 계획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설계속도는 자전거 통행 도로의 종류에 따라 30~50km/hr의 범위 내로 한다.
  2. 자전거도로의 차선은 중앙 분리선은 노란색, 양 측면은 흰색으로 표시한다.
  3. 투수가 되지 않는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1.5% 이상 2.0% 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자전거도로의 시설한계는 자전거의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폭은 1.5m 이상으로 하고, 높이는 2.5m 이상을 기본으로 한다.
(정답률: 68%)
  • "설계속도는 자전거 통행 도로의 종류에 따라 30~50km/hr의 범위 내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 "자전거도로의 차선은 중앙 분리선은 노란색, 양 측면은 흰색으로 표시한다." : 맞는 기준이다.
    - "투수가 되지 않는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1.5% 이상 2.0% 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 맞는 기준이다.
    - "자전거도로의 시설한계는 자전거의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폭은 1.5m 이상으로 하고, 높이는 2.5m 이상을 기본으로 한다." : 맞는 기준이다.

    따라서, 주어진 기준들 중에서 틀린 것은 없다.

    설계속도는 자전거 통행 도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자전거 전용 도로에서는 30km/hr 이하, 자동차와 공유하는 도로에서는 50km/hr 이하로 한다. 이는 자전거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도로의 상황에 따라 더 낮은 속도로 설계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린이공원의 유희시설에 가장 적당한 색채는?

  1. 적색이나 황색 등의 난색 계통
  2. 순백색 계통
  3. 청색 계통
  4. 흑(검정)색 계통
(정답률: 90%)
  • 어린이들은 밝고 화려한 색상을 좋아하며, 적색이나 황색 등의 난색 계통은 활기차고 즐거운 느낌을 줍니다. 또한, 이러한 색상은 어린이들의 높은 에너지와 활동성을 자극하여 유희시설에서 적합한 색상입니다. 순백색 계통은 너무 지루하고 단조로운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청색 계통은 차가운 느낌을 줄 수 있어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흑(검정)색 계통은 무서운 느낌을 줄 수 있어 어린이들의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다음 중 과(科)명과 식물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현삼과 - 개오동
  2. 벽오동과 - 벽오동
  3. 능소화과 - 참오동
  4. 현삼과 - 꽃개오동
(정답률: 84%)
  • 정답은 "벽오동과 - 벽오동"입니다.

    - 현삼과: 현삼, 꽃개오동
    - 벽오동과: 벽오동
    - 능소화과: 참오동

    과는 식물 분류학에서 상위 분류 단위이며,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들은 서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명과 식물명이 바르게 연결되려면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들끼리 연결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현삼과 - 개오동"은 틀린 연결입니다. 현삼과에는 현삼과 꽃개오동이 속해 있지만, 개오동은 다른 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하지만 "벽오동과 - 벽오동"은 올바른 연결입니다. 벽오동과에는 벽오동이 유일하게 속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주로 중부 이남의 해안가 산지에 자생하는 수목은?

  1. 박달나무
  2. 소사나무
  3. 물오리나무
  4. 참개암나무
(정답률: 65%)
  • 주어진 이미지는 소사나무의 잎과 열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중부 이남의 해안가 산지에 자생하는 수목 중에서 소사나무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인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참개암나무는 소사나무와는 다른 종류의 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원에 인접해 있는 주택지를 차폐하려고 한다. 벤치에 앉아서 관망을 할 때, 벤치에서 주택까지의 거리는 50m, 주택의 높이는 3m일 때, 식재하려고 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20m 지점을 정하였다. 이 때 수목의 높이는 얼마가 좋은가? (단, 벤치에 앉아 있는 경우 눈의 높이는 110cm이다.)

  1. 1.85m
  2. 1.86m
  3. 1.90m
  4. 1.95m
(정답률: 59%)
  • 주택까지의 거리가 50m이고 주택의 높이가 3m이므로, 주택까지의 거리 50m에서 눈의 높이 110cm까지의 높이는 다음과 같다.

    h = 3 + (50 × tan(1°)) - 1.1
    = 3 + 0.87 - 1.1
    = 2.77m

    식재하려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20m이므로, 식재한 나무의 높이 h'는 다음과 같다.

    h' = 2.77 - (20 × tan(1°))
    = 2.77 - 0.35
    = 2.42m

    따라서, 수목의 높이는 2.42m보다 높아야 주택을 차폐할 수 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1.86m이 가장 근접하므로 정답은 1.8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꽃이 무성화로만 이루어진 수종은?

  1. 나무수국
  2. 돈나무
  3. 수국
  4. 백당나무
(정답률: 63%)
  • 수국은 꽃이 무성화로만 이루어진 수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꽃 이외에 잎이나 열매 등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수피에 코르크가 잘 발달하는 수목은?

  1. 향나무
  2. 졸참나무
  3. 황벽나무
  4. 푸조나무
(정답률: 61%)
  • 황벽나무는 수피에 코르크가 잘 발달하는 수목 중 하나입니다. 이는 황벽나무의 수피가 두껍고 경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황벽나무는 느린 성장 속도와 높은 내구성으로 인해 코르크 생산에 적합한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원수의 수형에 가장 예민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1. 수분
  2. 영양분
  3. 광선
  4. 품종
(정답률: 82%)
  • 광선은 광합성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광선의 양과 질에 따라 정원수의 수확량과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벼과(科)의 정수식물로 수질정화 기능이 가장 강한 종은?

  1. 갈대
  2. 큰고랭이
  3. 생이가래
  4. 개연꽃
(정답률: 78%)
  • 갈대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질 중의 질소와 인을 흡수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질정화 기능이 가장 강한 종 중 하나입니다. 또한, 갈대는 물 속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에게 서식지와 먹이를 제공하며, 물 속에서 흐름을 조절하여 홍수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조경식재의 기능을 건축적, 공학적, 기상학적, 미적으로 구분할 때 기상학적 이용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1. 대기 정화작용
  2. 섬광조절
  3. 태양복사열 조절작용
  4. 조류 및 동물유인
(정답률: 82%)
  • 조경식재의 기상학적 이용효과 중 "태양복사열 조절작용"은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건물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건물의 외부 온도와 태양 복사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건물 내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건물 내부의 에어컨 및 난방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상의 줄기가 일 년 넘게 생존을 지속하며 목질화 되어 비대성장을 하는 만경목(蔓莖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삭줄, 담장이덩굴
  2. 인동덩굴, 능소화
  3. 송악, 으름덩굴
  4. 작약, 멀꿀
(정답률: 83%)
  • 작약과 멀꿀은 줄기가 목질화되지 않고 연한 상태로 생존하기 때문에 만경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목련과(科)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산목은 상록활엽교목이다.
  2. 목련은 중국원산이고 백목련은 한국원산이다.
  3. 함박꽃나무, 백합나무는 모두 꽃보다 잎이 먼저 난다.
  4. 일본목련은 5월에 잎이 핀 다음 꽃이 가지 끝에 한개씩 달리며, 강렬한 꽃향기가 있는 방향성 수종이다.
(정답률: 71%)
  • "목련은 중국원산이고 백목련은 한국원산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목련과 백목련 모두 한국 원산 종으로, 목련은 대한민국 전역에 분포하며 백목련은 주로 남부 지방에서 자라는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식생조사와 관련된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체수:조사구 내의 개체수로서 어떤 식물종의 수를 하나하나 세어서 계산한다. 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2. 빈도 : 어떤 군집에 있어서 구성종의 분포상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3. 피도:군집에 있어서 모든 종의 투영면적 가운데 한 종의 투영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상대피도라고 한다.
  4. 군도:단위면적당 개체수로서, 총 조사면적 또는 조사된 방형구 가운데 어떤 종의 개체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어떤 식물종이 나타나 조사구를 총 조사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입니다. 이유는 "성"이 아니라 "군도"가 개체수를 단위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은?

  1.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2. Cercis chinensis Bunge
  3. Forsythia Koreana Nakai
  4. Magnolia sieboldii K.Koch
(정답률: 49%)
  • Magnolia sieboldii K.Koch는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는 수종이다. 이는 Magnolia sieboldii K.Koch의 특징 중 하나로, 봄철에 잎이 먼저 나오고 그 후에 꽃이 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차폐식재용 수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편백, 향나무
  2. 눈향나무, 둥근향나무
  3. 회양목, 꽝꽝나무
  4. 사철나무, 아까시나무
(정답률: 50%)
  • 차폐식재용 수목은 대기오염, 소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편백과 향나무는 잎이 빽빽하게 자라서 좋은 차폐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뿌리가 깊게 자라서 토양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등 식재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편백, 향나무"가 가장 알맞은 차폐식재용 수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화백과 편백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편백은 수관이 둔원추형(鈍圓錐形)이고, 수피는 붉은 기가 진하며 박리하는 껍질의 폭이 넓다.
  2. 편백의 구과(毬果)는 화백보다 크며, 종자는 과린(果鱗)에 1~5개가 붙고 갈색으로서 윤택이 적으며 날개의 폭이 좁다.
  3. 화백의 잎과 잎 사이의 각이 작으며, 좌우상하의 잎 크기가 거의 같다.
  4. 화백의 종자는 과린에 1~5개가 붙으며 검정색으로서 어느 정도 윤택이 있고 날개의 폭이 넓으며, 편백에 비하여 수습지(水濕地)를 싫어한다.
(정답률: 52%)
  • "화백의 종자는 과린에 1~5개가 붙으며 검정색으로서 어느 정도 윤택이 있고 날개의 폭이 넓으며, 편백에 비하여 수습지(水濕地)를 싫어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관의 질감(質感)이 제일 거친 수종은?

  1. 느티나무
  2. 수양버들
  3. 단풍나무
  4. 양버즘나무
(정답률: 74%)
  • 양버즘나무는 그 수관의 표면이 거칠고 울퉁불퉁하여 질감이 매우 거칩니다. 따라서 다른 수종에 비해 제일 거친 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경 수목의 내음성과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극음수는 전광의 30~60%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2. 낙엽송, 금송, 회양목, 개비자나무는 모두 양수다.
  3. 솔송나무, 너도밤나무, 가문비나무는 전광량의 3~10%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4. 양수는 낮은 광도에서 음수는 높은 광도에서 광합성 효율이 높다.
(정답률: 55%)
  • 솔송나무, 너도밤나무, 가문비나무는 전광량의 3~10%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이유는 이들 나무들이 그늘에서 자라는 나무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낮은 광도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적응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설명하는 특징을 갖는 식물은?

  1. 기린초
  2. 구절초
  3. 상상화
  4. 송악
(정답률: 70%)
  • 이 식물은 잎이 송곳처럼 가늘고 길며, 줄기가 높이 자란다. 이러한 특징은 "송악"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방풍림 조성에 가장 부적합한 수목은?

  1.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Rehder
  2. Abies holophylla Maxim.
  3. Quercus myrsinaefolia Blume
  4. Castanopsis sieboldii Hatus.
(정답률: 54%)
  •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Rehder"는 버들나무로, 방풍림 조성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장속도가 빠르고 크기가 커서, 다른 식물들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2. 뿌리가 깊지 않고 얕아서, 토양을 고르게 덮지 못하고 토양 침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잎사귀가 떨어지는 시기가 늦어서, 가을철에 다른 식물들의 광합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4. 뿌리가 강하게 성장하여 지하수를 많이 차지하므로, 지하수 고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부식질을 많이 포함한다.
  2. 황갈색이나 갈색을 띤다.
  3. 표층토 또는 A층이라고도 한다.
  4. 양분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수분함유량이 크다.
(정답률: 60%)
  • 표토는 부식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황갈색이나 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의 조경용 수종 중 꽃의 관상기간이 가장 긴 것은?

  1.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2.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3. Paeonia suffruticosa Andr.
  4. Lagerstroemia indica L.
(정답률: 52%)
  • 정답은 "Lagerstroemia indica L." 입니다. 이유는 Lagerstroemia indica L.은 여름에 꽃을 피우며, 꽃의 관상기간이 가장 길기 때문입니다.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와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는 봄에 꽃을 피우며, Paeonia suffruticosa Andr.는 봄과 초여름에 꽃을 피우지만, Lagerstroemia indica L.은 여름에 꽃을 피우며, 가을까지도 꽃이 지속되기 때문에 가장 관상기간이 긴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되지 않고 모양이 변화되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1. 탄성(彈性, Elasticity)
  2. 점성(黏性, Viscosity)
  3. 소성(塑性, Plasticity)
  4. 연성(延性, Ductility)
(정답률: 80%)
  • 소성은 물체에 힘이 가해졌을 때 모양이 변화되지만 파괴되지 않고,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물체 내부의 분자나 이온들이 힘에 의해 이동하면서 물체의 형태가 변화되는 것으로, 이때 물체는 영구적으로 변형됩니다. 따라서 소성은 탄성과 달리 물체가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점성은 물체 내부의 분자나 이온들이 서로 붙어있어서 물체가 흐르기 어려운 성질을 말하며, 연성은 물체가 늘어나거나 길어질 수 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심토층 배수에서 비교적 소면적의 전 지역을 균일하게 배수시키기 위하여 지역경계부분에 주관을 설치하고 주관의 한쪽 측면에 지관을 설치, 연결하는 방법은?

  1. 어골형(herringbone type)
  2. 평행형(gridiron type)
  3. 선형(fan shaped type)
  4. 차단형(intercepting system)
(정답률: 50%)
  • 주관과 지관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평행형 방법은 지역경계부분에서 물의 흐름이 균일하게 유지되며, 지관의 간격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비교적 소면적의 전 지역을 균일하게 배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평행형(gridiron typ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목재의 방사방향의 전기저항을 섬유방향과 비교하면?

  1. 크다.
  2. 작다.
  3. 같다.
  4. 크거나 작다.
(정답률: 67%)
  • 목재의 방사방향의 전기저항은 섬유방향보다 크다. 이는 목재의 구조상 섬유방향에 비해 방사방향으로는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가 흐르는데 있어서 방사방향은 섬유방향보다 더 많은 저항을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멘트의 단위용적중량은 시멘트의 비중, 분말도, 풍화정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인 표준치(kg/m3)로 가장 적당한 값은? (단,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1. 1,300
  2. 1,500
  3. 1,700
  4. 2,000
(정답률: 77%)
  • 시멘트의 단위용적중량은 시멘트의 비중, 분말도, 풍화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한 표준치는 1,500kg/m3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시멘트의 비중이 대략 3.15g/cm3이고, 분말도가 적당하며, 풍화정도가 적당한 경우를 고려한 값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금액의 단위표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설계서의 소계는 10원까지로 한다.
  2. 설계서의 금액란은 1000원까지로 한다.
  3. 설계서의 총액은 1000원까지로 한다.
  4. 일위대가표의 계금은 0.1원까지로 한다.
(정답률: 61%)
  • 설계서의 총액은 1000원까지로 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건축물 설계서에서는 1000원 이하의 금액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하면 보다 간편하게 금액을 표기할 수 있고, 혼란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플라이애시(Fly ash)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수밀성이 향상된다.
  2. 건조수축이 적어진다.
  3.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4. 조기강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69%)
  • 조기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올바른 특징입니다. 이는 플라이애시가 미세한 입자 크기와 높은 실리카 함량으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을 촉진시켜 조기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량하기 위하여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40.25m인 A점에 세운 표척을 시 준하여 2.65m를 관측했다. 42m인 등고선 위의 점 B에서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1. 0.90m
  2. 1.40m
  3. 3.90m
  4. 4.40m
(정답률: 52%)
  • A점에서의 표고는 40.25m이고, 시준 후 측정한 값은 2.65m이므로 A점에서의 시준 높이는 40.25 + 2.65 = 42.90m이다. 따라서 B점에서 시준할 때의 높이는 42.90 - 42 = 0.90m이다. 따라서 정답은 "0.9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석재의 일반적 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재의 강도는 중량에 비례한다.
  2. 석재의 함수율이 클수록 강도는 저하된다.
  3. 석재의 구성입자가 작을수록 압축강도가 크다.
  4. 석재강도의 크기는 휨강도 > 압축강도 > 인장강도이다.
(정답률: 81%)
  • 석재의 강도는 중량에 비례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석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석재의 강도는 중량에 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석재의 함수율이 클수록 강도는 저하됩니다. 함수율이란 석재가 변형될 때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함수율이 크다는 것은 석재가 변형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강도를 저하시킵니다.

    석재의 구성입자가 작을수록 압축강도가 큽니다. 이는 석재의 내부 구조가 조밀하고 단단할수록 압축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석재강도의 크기는 휨강도 > 압축강도 > 인장강도이다."입니다. 석재의 강도는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압축강도가 가장 높고 인장강도가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의 현장시공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의 골재 계량방법을 결정한다.
  2. 콘크리트의 공사현장까지 운반방법을 결정한다.
  3. 레미콘의 운반시간에 관한 도로 교통량을 고려한다.
  4. 레미콘 공장의 선정 및 공사 현장까지의 거리계획을 세운다.
(정답률: 60%)
  • 콘크리트의 골재 계량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현장에서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골재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골재 계량방법은 현장시공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이다. 거리가 먼 것은 레미콘 공장의 선정 및 공사 현장까지의 거리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이는 공사 일정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지만,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배수관계에서 살수기의 종류 중 대규모적 자동 살수 관개 조직으로 오늘날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살수기는?

  1. 분무살수기
  2. 분무입상살수기
  3. 회전살수기
  4. 회전입상살수기
(정답률: 73%)
  • 정답은 "회전입상살수기"입니다. 이는 대규모적 자동 살수 관개 조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살수기로, 회전하는 입상을 통해 물을 분사하면서 작물을 살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작물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운영이 가능하여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레미콘 25-210-12에서 25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압축강도(MPa)
  2. 굵은 골재 크기(mm)
  3. 슬럼프(cm)
  4. 인장강도(MPa)
(정답률: 74%)
  • 레미콘 25-210-12에서 25는 굵은 골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레미콘의 굵은 골재가 25mm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레미콘의 다른 특성들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숫자 25는 굵은 골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력 터파기 표준품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파기 깊이가 깊어질수록 품은 감소한다.
  2. m3당 보통 인부의 터파기 품이 설정되어 있다.
  3. 협소한 독립기초의 터를 팔 때에는 품을 50%까지 가산할 수 있다.
  4. 현장 내에서 소운반하여 깔고 고르는 잔토처리는 m3당 0.2인을 별도 계상한다.
(정답률: 74%)
  • "터파기 깊이가 깊어질수록 품은 감소한다."이 맞는 설명이다. 이유는 터파기 깊이가 깊어질수록 토양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같은 부피의 토양이라도 무게가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력이 터파기하는 양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품도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중은 이동여부에 다라 고정하중과 활하중으로 나뉜다.
  2. 하중은 작용면적의 대소에 따라 집중하중과 순간하중으로 나뉜다.
  3. 하중은 작용시간에 따라 장기하중과 단기하중으로 나뉜다.
  4. 고정하중은 정하중 또는 사하중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66%)
  • "하중은 작용면적의 대소에 따라 집중하중과 순간하중으로 나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하중은 이동여부에 따라 고정하중과 활하중으로 나뉘며, 작용시간에 따라 장기하중과 단기하중으로도 나뉜다. 고정하중은 정하중 또는 사하중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작용면적의 대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D점에서의 반력은?

  1. 7kN
  2. 14kN
  3. 21kN
  4. 28kN
(정답률: 58%)
  • 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D점에서의 상력과 반력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A와 B점에서의 상력인 7kN과 21kN을 더한 값인 28kN에서 D점에서의 상력인 14kN을 뺀 값인 14kN이 D점에서의 반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목재의 비저항(比抵抗)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의 비저항은 온도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2. 목재의 비저항은 수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다.
  3. 횡단면의 비저항은 섬유방향의 비저항보다 크다.
  4. 목재의 비저항은 함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진다.
(정답률: 49%)
  • "목재의 비저항은 함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진다."가 틀린 것이다. 목재의 비저항은 수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한다. 횡단면의 비저항은 섬유방향의 비저항보다 작다.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목재의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지만, 비저항은 적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스팔트, 포장차도의 횡단경사는 배수를 위하여 노면을 몇 %로 하여야 하는가?

  1. 0.8~1.5%
  2. 1.5~2.0
  3. 2.0~4.0
  4. 3.0~6.0
(정답률: 74%)
  • 아스팔트나 포장차도의 횡단경사는 비가 내리면 물이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때, 경사가 너무 낮으면 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않고 물웅덩이가 생길 수 있고, 경사가 너무 높으면 보행이나 운전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나 포장차도의 횡단경사는 1.5~2.0% 정도로 설계됩니다. 이 범위는 물이 잘 빠져나가면서도 보행이나 운전에 불편함이 없는 적절한 경사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실제 두 점간의 거리를 50m를 도상에서 2mm로 표시하는 경우 축척은?

  1. 1 : 1000
  2. 1 : 2500
  3. 1 : 25000
  4. 1 : 50000
(정답률: 73%)
  • 실제 거리 50m를 도상에서 2mm로 표시하면, 1mm가 25m를 나타내게 됩니다. 따라서 축척은 1 : 25000이 됩니다. 이는 1cm가 250m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축척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과 같은 도로 횡단면의 면적은 얼마인가?

  1. 27.5m2
  2. 37.5m2
  3. 55m2
  4. 75m2
(정답률: 85%)
  • 이 도로 횡단면은 직사각형과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직사각형의 면적은 가로 길이 5m와 세로 길이 2m를 곱한 10m2이고,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이 5m이고 높이가 5m인 삼각형의 절반인 12.5m2입니다. 따라서 전체 면적은 10m2 + 12.5m2 = 22.5m2입니다. 하지만 도로 횡단면은 양쪽에 대칭이므로, 전체 면적에 2를 곱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도로 횡단면의 면적은 22.5m2 × 2 = 45m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7.5m2"가 아니라 "45m2"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토공사에서 자연상태에서의 터파기의 량이 10m3, 되메우기의 량이 7m3일 때 잔토 처리량은 얼마인가? (단, L = 1.1, C = 0.8, 다짐은 고려하지 않음)

  1. 2.3m3
  2. 3.0m3
  3. 4.0m3
  4. 17.0m3
(정답률: 52%)
  • 잔토 처리량은 터파기량 - 되메우기량 - 다짐량이다. 다짐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잔토 처리량은 10m3 - 7m3 = 3m3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잔토가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보정 계수 L과 C를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잔토 처리량은 3m3 x 1.1 x 0.8 = 2.64m3이다. 이 값은 반올림하여 4.0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GI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주제도 제작이 용이하다.
  2. 수치데이터로 구축되어 지도축척의 변경이 쉽다.
  3. GIS데이터는 CAD데이터에 비해 형식이 간단하다.
  4. GIS데이터는 자료의 통계분석이 가능하며 분석결과에 따른 다양한 지도 제작이 가능하다.
(정답률: 75%)
  • "GIS데이터는 CAD데이터에 비해 형식이 간단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GIS데이터와 CAD데이터는 각각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형식의 간단함이나 복잡함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어느 토양의 진비중(입자밀도)이 2.6이고, 가비중(용적밀도)이 1.3이었다. 이 토양의 공극율은?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78%)
  • 공극율은 (1-진비중/가비중) x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공극율은 (1-2.6/1.3) x 100 = 50% 이다. 이유는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술적인 관리유형으로서 본래의 기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크게 수목과 시설물의 관리로 구분되는 것은?

  1. 이용관리
  2. 운영관리
  3. 유지관리
  4. 경영관리
(정답률: 76%)
  • 유지관리는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고 유지보수를 통해 시설물이나 수목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적인 관리유형이다. 따라서 본래의 기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에 반해 이용관리는 시설물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관리이고, 운영관리는 시설물이나 서비스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관리이며, 경영관리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관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영양 원소는?

  1. Cl
  2. B
  3. Mo
  4. Zn
(정답률: 58%)
  • 정답은 "B"인 붕소입니다. 이는 주로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미량 원소로, 식물의 근력을 강화하고 열 저항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붕소는 인간의 뼈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액 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레크레이션 공간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관리 전략은?

  1. 폐쇄 후 육성관리
  2. 폐쇄 후 자연회복형
  3. 계속적인 개방·이용상태 하에서 육성관리
  4.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
(정답률: 78%)
  • 계속적인 개방·이용상태 하에서 육성관리가 가장 이상적인 관리 전략인 이유는 레크레이션 공간이 계속해서 이용되는 상태에서 유지보수와 관리를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며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폐쇄 후 육성관리나 폐쇄 후 자연회복형과 같은 방식보다 더욱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녹병균 중에서 기주교대(寄主交代)는 다음 어느 경우에 이루어지는가?

  1. 동종 기생성
  2. 이종 기생성
  3. 수종(數種) 기생성
  4. 이주(異株) 기생성
(정답률: 58%)
  • 이종 기생성은 녹병균이 다른 종의 생물에 기생하여 번식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기주교대는 이종 기생성이 일어날 때 발생한다. 이는 녹병균이 자신과 같은 종의 기생체를 찾지 못할 때, 다른 종의 기생체에 기생하여 생존과 번식을 이어나가는 전략이다. 이종 기생성은 녹병균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농작물 등에 대한 병원체로서의 위협도 증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음수대의 보수방법 중 인조석바르기의 마무리 작업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번 바를 때의 두께는 6mm 이하로 하여 충분히 누르면서 바른다.
  2. 바름면은 바람 또는 직사광선 등에 의한 급속한 건조를 피하고 동절기에는 보온양생한다.
  3. 인조석이 잘 부착되도록 본체의 바탕면을 거칠게 한 후 물축임을 한다.
  4. 초벌 바름 후 바름이 마르기 전에 바로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한다.
(정답률: 69%)
  • "초벌 바름 후 바름이 마르기 전에 바로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초벌 바름 후에는 바름이 마르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초벌 바름은 인조석을 부착하기 전에 본체의 바탕면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한 작업이며, 이후에는 바름이 마르기를 기다려야 인조석이 잘 부착된다. 따라서 바름이 마르기 전에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하면 인조석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수목 전정시 소나무 순자르기(摘芯)가 적합한 시기는?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70%)
  • 소나무 순자르기는 적어도 3년에 한 번씩 해야하며, 이때 가장 적합한 시기는 봄입니다. 이유는 봄에는 새로운 잎이 돋아나고 성장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순자르기를 통해 나무의 생장을 조절하고 건강한 성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에는 너무 더워서 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고, 가을에는 잎이 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순자르기를 하면 나무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나무가 휴면 상태이기 때문에 순자르기를 하면 나무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소나무 순자르기는 봄에 해주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비탈면 우수침식방지를 위한 식생공법이 아닌 것은?

  1. 종자 뿜어붙이기공법
  2. 유묘 식재공법
  3. 식생 매트공법
  4. 떼 붙임 공법
(정답률: 75%)
  • 유묘 식재공법은 비탈면에 적합한 식생을 육성하기 위해 묘목을 심는 방법으로, 비탈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 유실을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묘 식재공법"입니다. 종자 뿜어붙이기공법은 씨앗을 뿌려서 자연적으로 발아하게 하는 방법이며, 식생 매트공법은 인공적으로 만든 식물 매트를 비탈면에 깔아서 식생을 육성하는 방법입니다. 떼 붙임 공법은 묘목을 일정한 간격으로 심어서 자연스러운 식생을 육성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곤충의 외부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2. 일반적으로 각 가슴에 1쌍씩의 다리가 있다.
  3.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는 보통 1쌍씩의 다리가 있다.
  4. 날개는 대개 얇은 막질(膜質)로 되어 있고, 그 속에는 기관(氣管)에서 변화한 맥(Vein)이 있다.
(정답률: 58%)
  •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는 보통 1쌍씩의 다리가 있다."가 틀린 설명이 아닌 것은, 일반적으로 각 가슴에 1쌍씩의 다리가 있다는 설명과 중복되기 때문이다. 곤충의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으로 구분되며, 각 가슴에는 1쌍씩의 다리가 있다. 이는 곤충의 특징 중 하나로, 다리의 수는 종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6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화성암의 분류에서 염기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안산암
  2. 현무암
  3. 화강암
  4. 석영반암
(정답률: 56%)
  • 화성암의 분류에서 염기성암은 현무암에 속합니다. 이는 현무암이 알칼리 금속 원소인 나트륨(Na)와 칼륨(K)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약제 중 비선택성제초제에 해당하는 것은?

  1. 포클로르페뉴론액제
  2. 에테폰액제
  3. 글리포세이트 액제
  4. 디티아주론수화제
(정답률: 62%)
  • 비선택성 제초제는 대부분 식물의 잎과 줄기에 작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에 흡수되어 식물의 뿌리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글리포세이트 액제"가 비선택성 제초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시멘트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경우에 발생하는 하자의 원인 중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결함이 그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원인 항목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슬립바, 타이바를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균열
  2. 줄눈의 설계나 시공의 부적합에 의한 융기현상
  3. 물시멘트비, 다짐, 양생 등의 결함
  4. 동결융해로 인한 지지력의 부족
(정답률: 60%)
  • 동결융해로 인한 지지력의 부족은 콘크리트 자체의 결함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기후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로, 겨울철에는 동결로 인해 콘크리트가 팽창하고 녹아내리면서 지지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보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밤바구미의 생활환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듬해 7월 중순부터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지 약 2주 후에 우화한다.
  2. 산란기간은 8월 하순~10월 중순까지이나 최성기는 9월 중하순이다.
  3. 연 2회 발생하고, 수피하(樹皮下)에 산란한다.
  4. 날개에는 크고 작은 담갈색 무늬가 있으며 중앙에 회황색의 횡대가 있다.
(정답률: 71%)
  • "연 2회 발생하고, 수피하(樹皮下)에 산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밤바구미는 연 1회 발생하며, 수피하가 아닌 나무의 균열이나 흙속 등에 산란합니다. 이는 밤바구미의 번식 습성으로, 한 번의 번식으로 많은 알을 낳지 않고 적은 수의 알을 낳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광엽잡초와 화본과잡초의 분류로 옳은 것은?

  1. 광엽잡초-돌피
  2. 광엽잡초-명아주
  3. 화본과잡초- 여뀌
  4. 광엽잡초-바랭이
(정답률: 67%)
  • 광엽잡초와 화본과잡초는 모두 잡초의 종류 중 하나이지만, 광엽잡초는 잎이 넓고 밝은 녹색을 띠며, 꽃이 작고 노란색이나 흰색이다. 반면에 화본과잡초는 잎이 좁고 어두운 녹색을 띠며, 꽃이 크고 붉은색이나 보라색이다. 따라서, "광엽잡초-명아주"가 옳은 분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조경수목에 대한 시비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시비 횟수는 1년에 2~3회가 충분하며 추비는 완효성 비료가 좋다.
  2. 과린산석회와 계분을 섞어서 시비해서는 안 된다.
  3. 석회질소는 뿌리에 직접 닿지 않게 하며 황산암모늄과 과린산석회의 혼용을 금한다.
  4. 윤상시비는 수관 외관의 투영 선상에 깊이 20cm 정도로 구덩이를 4~6개 파서 비료를 묻어준다.
(정답률: 64%)
  • 정답은 "석회질소는 뿌리에 직접 닿지 않게 하며 황산암모늄과 과린산석회의 혼용을 금한다."이다.

    이유는 석회질소는 뿌리에 직접 닿으면 뿌리를 손상시키고, 황산암모늄과 과린산석회를 혼용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서 비료의 효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회질소와 황산암모늄, 과린산석회는 따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각종 가로등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수명이긴 것은?

  1. 수은등
  2. 백열등
  3. 할로겐등
  4. 나트륨등
(정답률: 68%)
  • 수은등은 일반적으로 가장 수명이 긴 가로등입니다. 이는 수은등이 다른 가로등에 비해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수은등은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제공하며,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때까지 광원을 유지합니다. 또한 수은등은 높은 색온도를 가지고 있어 밝고 선명한 빛을 발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농약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을 일컫는 용어는?

  1. 기피제
  2. 훈증제
  3. 유인제
  4. 보조제
(정답률: 83%)
  • 농약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농약이 작용할 대상에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농약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을 첨가하는데, 이를 보조제라고 합니다. 보조제는 농약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농약의 분산성을 높여서 농약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수목의 식재지에 멀칭을 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토양구조가 개선된다.
  2. 잡초의 발생이 억제된다.
  3. 태양열의 복사 및 반사를 증가시킨다.
  4. 토양의 침식과 수분의 증발을 억제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태양열의 복사 및 반사를 증가시킨다." 이다. 멀칭은 토양구조 개선, 잡초 억제, 토양 침식과 수분 증발 억제 등의 효과를 가지지만, 태양열의 복사 및 반사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다. 오히려 멀칭이 덮인 지역은 태양열이 흡수되어 지면 온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농약을 1000배로 희석해서 200L 살포할 경우 필요한 소요 농약의 액량은?

  1. 150ml
  2. 200ml
  3. 250ml
  4. 300ml
(정답률: 82%)
  • 농약을 1000배로 희석하면 농약의 농도는 1/1000이 됩니다. 따라서 1L에 필요한 농약의 양은 원래의 1/1000배인 1ml이 됩니다. 200L에 필요한 농약의 양은 따라서 200ml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정지·전정의 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조형(造形)을 위한 정지전정
  2. 개화결실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지전정
  3. 수목의 유통가격을 높이기 위한 정지전정
  4.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정지전정
(정답률: 85%)
  • "조형(造形)을 위한 정지전정"은 수목의 모양을 만들기 위해 가지를 자르거나 모양을 잡는 것으로, 정지·전정의 목적에 따른 분류 중 "수목의 유통가격을 높이기 위한 정지전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수목의 유통가격을 높이기 위한 정지전정"은 수목의 생산량을 줄여 수요를 높이고, 따라서 가격을 높이기 위해 가지를 자르거나 생장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