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조경산업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조경설계기준 상의 기본설계시 「녹지」와 관련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녹지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자생식물 및 향토수종을 적극 도입하며,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한다.
  2. 녹도의 폭원은 5~10m를 표준으로 하며, 주변의 가로경관 요소로부터 독립된 안전성, 쾌적성을 갖도록 설계한다.
  3. 완충녹지는 공해발생지역이나 오염원, 시각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시설을 차폐 또는 은폐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4. 녹지 내부가 생물서식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생태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64%)
  • "녹지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자생식물 및 향토수종을 적극 도입하며,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한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올바른 설계 기준 중 하나이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녹도의 폭원은 5~10m를 표준으로 하며, 주변의 가로경관 요소로부터 독립된 안전성, 쾌적성을 갖도록 설계한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설명은 녹지의 폭원과 안전성, 쾌적성에 대한 설명이며, 올바른 설계 기준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원이 내접하는 정육각형 그리기에서 작도법이 잘못 설명 된 것은 무엇인가?

  1. 직선 AOB(원의 중심선)를 그린다.
  2. 원주와의 교점 C, D 및 E, F를 구한다.
  3. A와 B를 중심으로 임의로 원호를 그린다.
  4. 원주와의 교점을 순차직선으로 연결하면 원에 내접하는 정육각형이 된다.
(정답률: 78%)
  • 정답은 "A와 B를 중심으로 임의로 원호를 그린다." 이다.

    원에 내접하는 정육각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원의 중심과 정육각형의 꼭짓점이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A와 B를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면 원의 중심과 정육각형의 꼭짓점이 일치하게 된다.

    반면에, "직선 AOB(원의 중심선)를 그린다."는 원의 중심을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육각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원주와의 교점 C, D 및 E, F를 구한다." 역시 정육각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비대칭 효과를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비어있는 것 같은 공간이 자주 생길 수 있다.
  2. 형태상으로는 불균형이지만 시각상의 힘의 정돈에 의하여 균형이 잡히는 것이다.
  3. 보는 사람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변화 있는 형태로서 개성적인 감정을 느끼게 한다.
  4. 균형의 정형적인 형식이며, 질서를 주는 방법이 용이하여 통일감을 표현하기 쉽다.
(정답률: 76%)
  • "보는 사람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변화 있는 형태로서 개성적인 감정을 느끼게 한다."는 비대칭 효과와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균형의 정형적인 형식이며, 질서를 주는 방법이 용이하여 통일감을 표현하기 쉽다."는 비대칭 효과를 설명하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비대칭 효과는 대칭적인 형태보다 비대칭적인 형태가 더 인상적으로 느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균형적인 형태보다 비대칭적인 형태가 더 효과적으로 통일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관의 요소를 변화시키는데 가변인자가 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1. 빛(Light), 계절(Season)
  2. 운동(Motion), 거리(Distance)
  3. 축(Axis), 연속(Sequence)
  4. 규모(Scale), 관찰위치(Observation Po sition)
(정답률: 74%)
  • 축과 연속은 모두 경관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축은 경관의 방향성과 구조를 결정하며, 연속은 경관의 일관성과 조화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 두 요소는 고정적이며, 다른 요소들이 이에 따라 변화하게 됩니다. 반면, 빛, 계절, 운동, 거리, 규모, 관찰위치는 모두 가변적인 요소로서 경관의 모습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옥외공간에서 앉을 수 있는 요소로서 구성 가능한 부지 구조물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볼라드(bollard)
  2. 벽(wall)
  3. 플랜터(planter)
  4. 험프(hump)
(정답률: 70%)
  • 험프는 앉을 수 있는 요소가 아니라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도로 부지 구조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판형재의 치수표시에서 강관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øA×t
  2. øD×t
  3. d×t
  4. A×t
(정답률: 74%)
  • 강관의 표시방법은 øA×t로 표시됩니다. 여기서 ø는 외경(diameter)을 나타내고, A는 단면적(area)을 나타내며, t는 두께(thickness)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øA×t는 강관의 외경과 단면적, 그리고 두께를 모두 나타내는 표시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로설계시 운전자가 속도에 따른 물체를 지각하는 과정으로 맞는 것은?

  1. 반응(reaction)→지각(perception)→판단(judgement)
  2. 지각(perception)→판단(judgement)→반응(reaction)
  3. 판단(judgement)→지각(perception)→반응(reaction)
  4. 지각(perception)→반응(reaction)→판단(judgement)
(정답률: 77%)
  • 운전자가 도로상에서 물체를 인지하는 과정은 먼저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물체를 지각하게 됩니다. 이후에는 이러한 지각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운전자가 물체의 크기, 거리, 속도 등을 파악하여 상황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판단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는 적절한 반응을 하게 되는데, 이는 브레이크를 밟거나 핸들을 조작하는 등의 행동을 말합니다. 따라서, 운전자가 속도에 따른 물체를 지각하는 과정은 "지각(perception)→판단(judgement)→반응(reaction)" 순서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연성이 강한 레크리에이션 공간의 시설물 배치계획 기준으로 올바른 것은?

  1. 시설물의 형태, 재료, 색채 등은 가능하면 주변경관과 대비를 이루도록 하여 이용자의 시선을 끌도록 한다.
  2. 구조물의 평면이 장방형인 경우에는 장변이 등고선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다.
  3. 유사한 기능의 시설물들은 한 곳에 모아서 배치하기 보다는 분산 배치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4. 시설물의 평면은 행위의 종류, 기능, 이용패턴에 따라서 결정되며, 시설물의 안전을 위한 구조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률: 70%)
  • 시설물의 평면은 이용하는 행위의 종류, 기능, 이용패턴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따라 시설물의 안전을 고려하여 구조도가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자연성이 강한 레크리에이션 공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설물의 형태, 재료, 색채 등을 고려하는 것이나, 구조물의 평면을 등고선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 등은 중요하지만, 시설물의 안전과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평면 결정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상피복조건에 따른 알베도의 값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무엇인가?

  1. 바다 : 0.6~0.8
  2. 검은 흙 : 0.05 ~ 0.15
  3. 산림 : 0.10 ~ 0.20
  4. 초지 : 0.15 ~ 0.25
(정답률: 72%)
  • 바다의 알베도 값이 0.6~0.8인 이유는 바다 표면이 물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햇빛을 많이 반사하지 않고 대부분 흡수하기 때문에 알베도 값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바다의 알베도 값은 다른 지상피복에 비해 더 낮은 범위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연공원법의 「공원자연환경지구」에 대한 행위기준을 설명한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공원시설의 설치 및 공원사업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허용기준 범위에서의 농지 또는 초지(草地) 조성행위 및 그 부대시설의 설치
  3.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가내공업(家內工業) 시설의 설치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섬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사망한 경우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인묘지의 설치
(정답률: 69%)
  •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가내공업(家內工業) 시설의 설치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는 공원자연환경지구 내에서도 허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린치(K. Lynch)의 도시 경관 5가지 요소 중 ‘path'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연속성과 방향성이 있다.
  2. 연속성의 강조는 가로수의 식재, 건물 전면(前面 facade), 건물의 통일 등에서 얻을 수 있다.
  3. 거리감이 있어야 하는데 랜드마아크(landmark)나 노드(node) 등이 일련의 시각적인 연속성에서 얻을 수 있다.
  4. 특별한 용도 혹은 활동을 집결시키지 못한다.
(정답률: 76%)
  • "특별한 용도 혹은 활동을 집결시키지 못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경로는 보행자나 자전거 등을 통해 이동하는 경로이며, 이동하는 동안 특별한 활동이나 용도를 집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이나 공원 등 경로 주변에 상업시설이나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위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국토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은 관련법에 따라 도시ㆍ군 관리계획결정으로 경관지구ㆍ미관지구ㆍ고도지구ㆍ보존지구ㆍ시설보호지구ㆍ취락지구 및 개발진흥지구를 세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다음 중 경관지구의 세분화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자연경관지구
  2. 수변경관지구
  3. 생태경관지구
  4. 시가지경관지구
(정답률: 50%)
  • 정답: "시가지경관지구"

    설명: 경관지구는 주로 자연환경이나 문화유산 등을 보존하고 개발을 제한하는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도 생태경관지구는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지역으로,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보호하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생태경관지구"가 경관지구의 세분화에 해당하며, 나머지 보기인 "자연경관지구"와 "수변경관지구"도 경관지구의 세분화에 해당합니다. 반면 "시가지경관지구"는 도시의 경관을 보호하고 개발을 제한하는 지역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국 진(晉)나라 왕희지의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의 풍류 문화가 나타난 것은 무엇인가?

  1. 소상팔경
  2. 낙양명원기
  3. 난정서
  4. 원야
(정답률: 55%)
  • 유상곡수연은 중국 진나라 왕희지가 열었던 물잔을 주고 술을 마시며 시를 읊는 연회를 묘사한 시이다. 이 시에서는 난정서라는 시가 인용되는데, 이 시는 중국 고전 문학에서 유명한 풍류 시인 소유의 작품으로, 술과 미인, 자연 등을 묘사하며 풍류 문화를 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상곡수연에서 인용된 난정서는 풍류 문화가 나타난 것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묘지정원(Cemetery garden)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고대 이집트 정원 중의 하나
  2. 시누헤 이야기(Tales of sinuhe)
  3. 사자(死者)의 정원
  4. 장미 이야기
(정답률: 72%)
  • 장미 이야기는 묘지정원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중세 초기의 수도원(修道院)안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중정은 무엇인가?

  1.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
  2. 아트리움(Atrium)
  3. 클로이스터(Cloister)
  4. 지스터스(Xystus)
(정답률: 65%)
  • 중세 초기의 수도원 안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중정은 클로이스터(Cloister)이다. 클로이스터는 네 개의 측면이 갤러리로 둘러싸인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중정으로, 갤러리는 대개 아치형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정원이나 분수가 있을 수 있다. 클로이스터는 수도원의 중심부로서, 수도사들이 기도와 명상을 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조선시대 궁궐정원에서 볼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1. 색모래와 정자수(整姿樹)
  2. 방지원도(方池圓島)와 방지방도
  3. 십장생(十長生)과 화초담
  4. 사괴석(四塊石)과 수복무늬
(정답률: 75%)
  • 색모래와 정자수는 조선시대 궁궐정원에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궁궐정원에서는 주로 자연을 모방한 조경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색모래와 정자수는 중국의 전통 정원에서 볼 수 있는 요소로, 조선시대 궁궐정원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선시대 사대부 주택정원 형태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1. 소쇄원
  2. 선교장
  3. 다산초당
  4. 세연정
(정답률: 57%)
  • 선교장은 조선시대 사대부 주택정원 형태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이는 선교장이 조선시대에 외국인들이 거주하던 곳으로, 외국 문화와 건축양식이 도입되어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정원 양식과는 다른 형태의 정원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작정기에 쓰여진 “못(池)도 없고 유수(遺水)도 없는 곳에 돌(石)을 세우는 것”을 뜻하는 일본의 정원수법은 무엇인가?

  1. 정토식
  2. 수미산식
  3. 곡수식
  4. 고산수식
(정답률: 91%)
  • 고산수식은 일본의 정원수법 중 하나로, 산과 바다의 경치를 모방하여 작은 돌과 모래, 나무 등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정원을 만드는 기법이다. 이 기법에서는 작은 돌을 이용하여 물이 흐르는 모습을 나타내거나, 바위를 배치하여 산의 모습을 표현한다. 따라서 "못도 없고 유수도 없는 곳에 돌을 세우는 것"이 이 기법의 핵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미국의 대표적 모더니즘 작가로 ‘초아트 장원(Mabel Choate's Estate)'과 관계된 사람은 누구인가?

  1. 사이먼즈(Simonds)
  2. 스틸(Steel)
  3. 에크보(Eckbo)
  4. 카일리(Kiley)
(정답률: 65%)
  • 스틸(Steel)은 미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랜드스케이프 디자이너 중 한 명으로, 초아트 장원(Mabel Choate's Estate)의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을 담당했기 때문에 관련된 사람으로 언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선 왕실의 수목과 능원의 잔디를 인위적으로 지배하여 식재했던 곳은 어디인가?

  1. 모화관
  2. 순천관
  3. 선공감
  4. 준천사
(정답률: 64%)
  • 모화관은 조선 왕실의 수목과 능원의 잔디를 인위적으로 지배하여 식재한 곳으로, 이는 조선시대 정원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화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다음 중 산울타리 조성에 가장 많이 쓰이는 수종은 무엇인가?

  1. Acer pictum subsp. mono Ohashi
  2. Platanus orientalis L.
  3. Poncirus trifoliata Raf.
  4. Aesculus turbinata Blume
(정답률: 44%)
  • 산울타리 조성에 가장 많이 쓰이는 수종은 Poncirus trifoliata Raf.이다. 이는 산울타리와 유사한 외모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지에서 자라는 관목으로서 경작이 어렵지 않고, 뿌리가 깊지 않아도 잘 자라기 때문이다. 또한, 산울타리와 마찬가지로 잎이 떨어지지 않아 유지보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수목의 분류상 만경목(蔓莖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campsis grandifolia K.Schum.
  2. Celastrus orbiculatus Thunb.
  3. Stauntonia hexaphylla Decne.
  4. Rhodotypos scandens Makino
(정답률: 42%)
  • Rhodotypos scandens Makino은 수목이 아니라 관목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운반 중 뿌리와 수형이 손상되지 않도록 실시하는 보호조치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뿌리분의 보토를 철저히 한다.
  2. 수목과 접촉하는 고형부에는 완충재를 삽입한다.
  3. 운반 중 바람에 의한 증상을 억제하며 강우로 인한 뿌리분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씌우는 등 조치를 취한다.
  4. 차량의 적재용량과 수목의 무게 및 부피에 따라 이중적재 등의 효율적 방법과 적정 수량만을 적재한다.
(정답률: 86%)
  • 차량의 적재용량과 수목의 무게 및 부피에 따라 이중적재 등의 효율적 방법과 적정 수량만을 적재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는 수목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을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뿌리분의 보토를 철저히 하고, 수목과 접촉하는 고형부에는 완충재를 삽입하며, 운반 중 바람에 의한 증상을 억제하며 강우로 인한 뿌리분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씌우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화살나무(Euonymus alatus)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다.
  2. 열매는 삭과로 적색으로 익는다.
  3. 꽃은 적색으로 뿌리는 심근성이다.
  4. 건조에 매우 강하다.
(정답률: 63%)
  • 화살나무의 꽃은 녹색이며, 열매는 삭과로 적색으로 익는다. 따라서 "꽃은 적색으로 뿌리는 심근성이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오래된 아래가지는 밑으로 쳐져서 원추형 수관을 이루며 수피는 회갈색인 수종은 무엇인가?

  1. Zelkova serrata Makino
  2. Ginkgo biloba L.
  3. Picea abies H.Karst.
  4. Pinus densiflora f. erecta Uyeki
(정답률: 41%)
  • 해답: 문제에서 설명한 수종은 오래된 아래가지가 밑으로 쳐져서 원추형 수관을 이루며 수피는 회갈색인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수종은 "Picea abies H.Karst."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건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결핍증상이 오래된 잎에서부터 시작되고 줄기가 가늘고 잎이 작아지며 잎 전체가 황록색이 되게 하는 원소는 무엇인가?

  1. Fe
  2. N
  3. K
  4. Ca
(정답률: 66%)
  • 정답은 "N"이다. 이유는 결핍증상이 오래된 잎에서부터 시작되고, 즉 이전에 잎에서 충분한 양의 질소가 공급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잎은 정상적인 크기와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질소는 식물의 생장과 엽록소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핍증상이 나타날 때는 잎이 황록색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양의 비옥도에 따른 분류 중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는 수종만으로 구성된 것은 무엇인가?

  1. 향나무, 소나무
  2. 느티나무, 오동나무
  3. 자작나무, 중국단풍
  4. 등나무, 능수버들
(정답률: 56%)
  •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는 수종은 영양분이 풍부한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느티나무와 오동나무는 둘 다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따라서 이들로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온대중부지역의 천이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 )안의 단계에 들어갈 적합한 수종은 무엇인가?

  1. 찔레나무
  2. 신갈나무
  3. 소나무
  4. 서어나무
(정답률: 71%)
  • ( )안의 단계는 "영구습지" 단계이다. 이 단계는 물이 많이 있는 지역으로, 뿌리가 물에 잠기는 것을 견딜 수 있는 수종이 적합하다. 이에 따라 찔레나무가 적합한 수종이다. 찔레나무는 뿌리가 물에 잠기는 것을 견딜 수 있고, 물이 많은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좁은 공간의 면적을 넓게 보이려면 시각자로부터 멀어져 가면서 어떤 방법으로 식재하여야 하는가?

  1. 거친 질감으로부터 점점 고운 질감으로 식재
  2. 거친 질감과 고운 질감을 교대로 식재
  3. 고운 질감으로부터 점점 거친 질감으로 식재
  4. 중간질감→고운질감→거친질감으로 식재
(정답률: 68%)
  • 거친 질감은 시각적으로 더욱 두껍고 무거워 보이기 때문에 면적을 좁게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운 질감은 시각적으로 더욱 가벼워 보이기 때문에 면적을 넓게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친 질감으로부터 점점 고운 질감으로 식재하면 시각적으로 면적이 넓어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근원 직경이 10cm인 수목을 4배 보통분으로 뜰 때 뿌리분의 깊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10~30cm
  2. 30~50cm
  3. 50~70cm
  4. 70~90cm
(정답률: 74%)
  • 수목의 뿌리는 수목의 높이와 비례하여 깊이가 결정되는데, 보통분으로 뜰 때는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여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깊이를 조절해야 합니다. 근원 직경이 10cm인 수목을 4배 보통분으로 뜰 때, 수목의 높이는 약 4m 정도가 됩니다. 이에 따라 뿌리분의 깊이는 30~50cm 정도가 적합합니다. 10~30cm는 너무 얕아서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50~70cm와 70~90cm는 너무 깊어서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30~50cm가 가장 적합한 뿌리분의 깊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광선과 식물의 관계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식물이 광합성에 이용할 수 있는 가시광선영역을 광합성보상광이라 한다.
  2. 자외선의 경우, 잎 각피층에 의해 거의 흡수된다.
  3. 활엽수는 침엽수에 비해 700~1000mm 파장의 근적외선을 더 많이 반사시킨다.
  4. 광량은 일반적으로 광도(light intensity)로 표시하며 사용하는 단위는 촉광(foot candle) 또는 럭스(lx)등이 있다.
(정답률: 54%)
  • "활엽수는 침엽수에 비해 700~1000mm 파장의 근적외선을 더 많이 반사시킨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근적외선은 식물에게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으므로 광합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식물이 광합성에 이용할 수 있는 가시광선영역을 광합성보상광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영역에서 광합성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자외선은 식물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므로 잎 각피층에 의해 거의 흡수됩니다. 광량은 일반적으로 광도(light intensity)로 표시하며 사용하는 단위는 촉광(foot candle) 또는 럭스(lx)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석유화학단지 내에서 식재설계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공해 인자는 무엇인가?

  1. 조해(潮害)
  2. 아황산가스
  3. 불화수소
  4. 분진
(정답률: 84%)
  • 석유화학단지에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는 대기오염물질로서 인체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식물 및 동물 등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식재설계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공해 인자는 아황산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목의 측아(側芽) 발달을 억제하여 정아우세를 유지시켜 주는 호르몬은 무엇인가?

  1. 옥신(auxin)
  2. 지베렐린(gibberellin)
  3. 사이토키닌(cytokinin)
  4.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정답률: 72%)
  • 옥신은 수목의 세포분열과 측아 발달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이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측아 발달을 억제하여 수목의 성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옥신은 수목에서 정아우세를 유지시켜 주는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구근류는 무엇인가?

  1. 수선화
  2. 백합
  3. 크로커스
  4. 글라디올러스
(정답률: 55%)
  • (이미지) 속 꽃은 길고 가느다란 줄기에 꽃이 여러 개가 달려있는 모습으로, 이는 글라디올러스의 특징이다. 따라서 정답은 "글라디올러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풍색이 붉은 것으로만 구성된 것은 무엇인가?

  1. 때죽나무, 이팝나무
  2. 튤립나무, 계수나무
  3. 화살나무, 복자기
  4. 주목, 회양목
(정답률: 79%)
  • 화살나무와 복자기는 두 종류 모두 단풍색이 붉은 나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단풍색이 붉은 나무 외에도 다른 색상의 나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연풍경식 식재의 기본이 되는 식재 유형은 무엇인가?

(정답률: 83%)
  • 자연풍경식 식재의 기본이 되는 식재 유형은 원시림식재이다. 이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숲이나 산지를 그대로 이용하여 식재를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수형을 가졌고 하천, 호수 등 토양수분이 많은 곳을 좋아하는 종은 무엇인가?

  1. Betula ermanii
  2. Pinus thumbergii
  3. Juglans mandshurica
  4. Salix pseudolasiogyne
(정답률: 73%)
  • Salix pseudolasiogyne은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수형을 가지고, 토양수분이 많은 곳을 좋아하는 수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난지형 잔디류에 속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버팔로그라스
  2. 이탈리안라이그라스
  3. 톨 훼스큐
  4. 크리핑벤트그라스
(정답률: 71%)
  • 버팔로그라스는 난지형 잔디류에 속하는데, 이는 뿌리가 깊게 내려가서 건조에 강하고, 빠른 생장력과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어서 겨울철에도 녹색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장미과(科)의 벚나무속(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매실나무
  2. 모과나무
  3. 살구나무
  4. 자두나무
(정답률: 76%)
  • 장미과의 벚나무속에는 매실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가 속해 있지만, 모과나무는 속해 있지 않습니다. 모과나무는 사과과(科)의 모과속(屬)에 속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꽃창포(Iris ensata var . spontanea (Makino) Nakai)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여러해살이 풀이다.
  2. 붓꽃과(科)에 해당한다.
  3. 산야의 습지, 부엽 등이 많이 쌓이고 비옥하며 습기가 많은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4. 높이 1m 가량으로 털이 있으며, 4~5월에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서 보라색의 꽃이 핀다.
(정답률: 53%)
  • "높이 1m 가량으로 털이 있으며, 4~5월에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서 보라색의 꽃이 핀다." 이 부분이 바르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내용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다음 지형의 체적계산법 중 단면법에 의한 계산법으로서 비교적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점고법
  2. 중앙단면법
  3. 양단면평균법
  4. 각주공식에 의한 방법
(정답률: 70%)
  • 각주공식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이 방법은 지형의 모든 부분에서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하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일부 지점에서의 면적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지형의 형태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주공식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강은 사용목적에 따라 조직을 변경시키는 열처리 및 가공에 의해서 성질을 개선 향상시키는 효과가 크다. 다음 중 회전하는 롤러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켜 판재, 형재, 관재 등으로 성형하는 가공법은 무엇인가?

  1. 판금
  2. 불림
  3. 단조
  4. 압연
(정답률: 68%)
  • 정답은 "압연"이다. 압연은 회전하는 롤러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켜 판재, 형재, 관재 등으로 성형하는 가공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압연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경수목의 흉고직경 측정방식의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숫자는 무엇인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67%)
  • 조경수목의 흉고직경 측정방식은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의 직경이 약 70cm이므로 정답은 "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폴리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
  2.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3. 욕조, 파이프 등에 사용된다.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열가소성수지이다.
(정답률: 68%)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열가소성수지이다."가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열가소성이 아니라 열경화성이기 때문이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경화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에 의해 경화되는 과정을 거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물체에 단지 외곽부의 형태를 강조하기 위하여 물체 뒤에 있는 배경면을 조명하여 물체의 형태를 극적인 형태로 연출하기 위한 조명은 무엇인가?

  1. 산포조명
  2. 강조조명
  3. 실루엣조명
  4. 투시조명
(정답률: 77%)
  • 실루엣조명은 물체의 외곽부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물체 뒤에 있는 배경면을 조명하는 것으로, 물체를 어둡게 비추고 배경을 밝게 비추어 물체의 윤곽을 강조하는 조명 기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실루엣조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투수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및 투수콘크리트 포장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공원이나 유원지의 도로, 주차장, 자전거도로, 산책로, 광장 등의 포장에 적용한다.
  2. 원지반토가 설계상의 것과 상이할 때 또는 상태가 나쁠 때에는 환토하여야 하며, 노상면은 깨끗하게 정리한다.
  3. 투수아스팔트 혼합물과 달리 온도저하가 빠른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설은 전압시의 온도관리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4. 마무리면은 20m마다 임의의 1점에 있어서 두께 차이가 9mm 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률: 53%)
  • "마무리면은 20m마다 임의의 1점에 있어서 두께 차이가 9mm 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투수아스팔트 혼합물과 달리 온도저하가 빠른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설은 전압시의 온도관리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는 이유는, 아스팔트콘크리트는 빠른 시간 내에 경화되기 때문에, 온도저하가 빠르게 일어나면 경화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거나 균일하지 않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압시의 온도관리가 중요하다.

    그 외의 설명들은 투수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과 투수콘크리트 포장에 대한 설명으로, 공원이나 유원지의 도로, 주차장, 자전거도로, 산책로, 광장 등의 포장에 적용하며, 원지반토가 설계상의 것과 상이할 때 또는 상태가 나쁠 때에는 환토하여야 하며, 노상면은 깨끗하게 정리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금속 재료 중 전성(展性, malleabi lity)이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1. 알루미늄
  2. 니켈
(정답률: 68%)
  • 은은 전성이 가장 큰 금속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은이 다른 금속들보다 더 쉽게 구부러지고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은이 주로 귀금속이나 식기류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짐용 건설기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tire rolle
  2. vibro compactor
  3. rammer
  4. trencher
(정답률: 71%)
  • 다짐용 건설기계는 토양을 압축시켜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trencher"는 토양을 파내는 기계로, 다짐용 건설기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네트워크 공정표의 계산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작업의 LST는 그 작업의 LFT에서 작업 소요일수를 뺀 값으로 한다.
  2. 완료 결합점의 EST는 0(zero)이며, 이 때의 LST값을 지정공기로 한다.
  3. 종료 결합점에서 들어가는 각 작업의 EFT 값 중 최대값을 계산공기로 한다.
  4. 개시결합점의 EST는 0(zero)이며, 각 작업의 EST, EFT는 작업흐름에 따라 계산한다.
(정답률: 60%)
  • "완료 결합점의 EST는 0(zero)이며, 이 때의 LST값을 지정공기로 한다."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완료 결합점의 EST는 모든 작업의 EFT 값 중 최대값을 계산공기로 한다. 이유는 모든 작업이 완료되어야 프로젝트가 종료되기 때문에, 모든 작업의 EFT 값 중 가장 큰 값이 프로젝트의 종료 시점이 된다. 따라서 이 값을 계산공기로 설정하여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사 중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관리 대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산재보험의 가입
  2. 안전관리 기구 구성
  3. 매일 현장점검
  4. 안전교육의 실시
(정답률: 89%)
  • 정답은 "산재보험의 가입"입니다. 산재보험은 이미 발생한 사고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따라서 안전관리 대책으로는 안전관리 기구 구성, 매일 현장점검, 안전교육의 실시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안내시설의 시공과 관련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아크릴판은 KS규정에 적합한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올 80% 이상을 포함하여야 한다.
  2. 게시판의 경우 우천 시 게시물의 보호를 위하여 불투명한 합성수지의 보호덮개를 설치해야 녹슬음을 방지하고, 글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3. 글씨 및 문양표기 작업이 끝난 후에는 마감표면 상태를 정리하고 각 재료에 따른 적정한 보호양생조치를 해야 한다.
  4. 석재바탕 글자새김의 경우 형태와 크기는 설계도면에 의하며, 글지의 깊이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글자 폭에 대하여 1/2 내지 같은 치수로 하고, 글자를 새기는 순서는 글자를 스는 순서와 동일하게 한다.
(정답률: 74%)
  • "아크릴판은 KS규정에 적합한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올 80% 이상을 포함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바르지 않은 것이다. 메타크릴산 메틸올 함량은 KS규정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게시판의 경우 우천 시 게시물의 보호를 위하여 불투명한 합성수지의 보호덮개를 설치해야 녹슬음을 방지하고, 글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라는 문장은 게시판의 보호를 위한 올바른 설명이다. 게시판에 불투명한 합성수지의 보호덮개를 설치하면 우천으로 인한 녹슬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글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릴판은 KS규정에 적합한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올 80% 이상을 포함하여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하천 제방의 기부에 대한 보호를 위해 가장 적합한 공법이며, 비교적 유속이 빠르고 세굴이 우려되는 지역에 활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1. 격자블럭공
  2. 습식종자뿜어붙이기
  3. 돌망태공
  4. 지오웨브공법
(정답률: 66%)
  • 정답은 "돌망태공"이다. 이는 하천 제방의 기부를 보호하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망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유속이 빠르고 세굴이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망태가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돌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격자블럭공은 비교적 유속이 느리고 안정적인 지역에서 사용되며, 습식종자뿜어붙이기는 식물을 이용하여 제방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유속이 빠른 지역에서는 효과적이지 않다. 지오웨브공법은 지형을 조정하여 제방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유속이 느린 지역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 콘크리트용 내부 진동기의 사용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재진동을 할 경우에는 초결이 일어난 것을 확인한 후 실시한다.
  2.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3.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면 상부로부터 약간 부족한 높이까지로 한다.
  4. 내부진동기는 비스듬하게 찔러 넣으며,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0.8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8%)
  •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가 끼어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제거하고 콘크리트를 밀착시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면이 네모진 돌을 수평줄눈이 부분적으로 연속되고, 세로줄눈이 일부 통하도록 쌓는 돌쌓기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허튼쌓기
  2. 바른층쌓기
  3. 허튼층쌓기
  4. 층지어쌓기
(정답률: 57%)
  • 허튼층쌓기는 면이 네모진 돌을 수평줄눈이 부분적으로 연속되고, 세로줄눈이 일부 통하도록 쌓는 돌쌓기 방식으로, 돌을 쌓을 때마다 일정한 높이의 허튼층을 만들어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바른층쌓기보다 안정성이 높고, 층지어쌓기보다는 구조가 단순하며 건축물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가장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연못공사에서 오버플로우(over flow)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연못의 일정한 수면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2. 연못의 수질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3. 가급적 이용자의 눈에 뜨이지 않도록 설치한다.
  4. 오버플로우의 높이는 목표기준수면의 높이와 같게 해야 한다.
(정답률: 67%)
  • "연못의 수질을 조절하는 장치이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오버플로우는 연못의 일정한 수면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비가 내리거나 수위가 높아져도 연못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수질을 조절하는 것은 오버플로우의 역할이 아니라 다른 장치나 방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성고 공정곡선에서 A점의 공정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A : 공사기간 25% 시점이다.
  2. B :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훨씬 진척되어 있다.
  3. C : 경제적 시공이 되고 있다.
  4. D : 공정진척률(기성고)는 43% 정도이다.
(정답률: 75%)
  • 보기에서 바르지 않은 것은 "C : 경제적 시공이 되고 있다." 이다. 이유는 공정곡선에서는 경제적 시공이나 비경제적 시공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정곡선은 공사의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더 진척되어 있다는 것은 공사가 예정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B :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훨씬 진척되어 있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수중 콘크리트의 설명 중 ( )에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1. ㉠ 0.8, ㉡ 0.7
  2. ㉠ 0.7, ㉡ 0.8
  3. ㉠ 0.7, ㉡ 0.7
  4. ㉠ 0.6, ㉡ 0.9
(정답률: 59%)
  • 수중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로, 물 속에서 경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때, 콘크리트의 밀도가 높을수록 물에 빠지지 않고 바닥에 고정되어 있을 확률이 높아지므로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밀도가 높을수록 좋은 수중 콘크리트가 됩니다.

    ㉠ 0.8, ㉡ 0.7인 경우, ㉠은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멘트가 많이 들어가므로 밀도가 높아집니다. ㉡은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물이 적게 들어가므로 강도가 높아지고 밀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 0.8, ㉡ 0.7인 경우 밀도가 높아 안정성이 높은 수중 콘크리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척 1:5000의 지형도를 만들기 위해 축척 1:500의 지형도를 이용한다면 1:5000 지형도의 1도면에 필요한 1:500 지형도는 무엇인가?

  1. 10매
  2. 50매
  3. 100매
  4. 1000매
(정답률: 68%)
  • 축척 1:5000에서 1도면에 필요한 지형도 면적은 축척 1:500에서 25배 더 작아진다. 따라서, 1:500 지형도 25장이 필요하며, 이를 100매로 구매할 경우 4도면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0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설명하는 입찰방식은 무엇인가?

  1. 제한경쟁입찰
  2. 지명경쟁입찰
  3. 제한적평균가낙찰제
  4. 일반경쟁입찰
(정답률: 80%)
  • 위 그림은 "제한적평균가낙찰제" 입찰 방식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 방식은 입찰자들이 제한된 수의 품목에 대해 가격을 제시하고, 그 가격들의 평균을 구한 후, 그 평균가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들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에게 계약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경쟁을 유도하면서도 가격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사다리꼴 형태의 분포하중에 작용한다. 지점 A에서의 반력의 크기는 몇 kN인가?

  1. 50
  2. 55
  3. 60
  4. 65
(정답률: 28%)
  • 사다리꼴 형태의 분포하중은 중심선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서 최대값을 가지므로, A 지점에서의 반력은 최대값이 됩니다. 따라서, A 지점에서의 반력은 65k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다음 중 초화류의 월동관리 방법으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보호막의 설치
  2. 가온
  3. 저온에서의 순화
  4. 성토
(정답률: 59%)
  • 성토는 초화류의 월동관리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초화류는 물 속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성토를 사용하면 물의 흐름이 막혀서 산소 공급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화류의 월동관리 방법으로는 보호막의 설치, 가온, 저온에서의 순화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잣나무 털녹병균의 담자포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간기주에서 월동한다.
  2. 녹포자(銹胞子)가 발아하여 생성한다.
  3. 여름포자(夏胞子)가 발아하여 생성한다.
  4. 잣나무에 침입 후 균사상태로 월동한다.
(정답률: 44%)
  • 잣나무 털녹병균은 잣나무에 침입하여 균사상태로 월동하며, 녹포자가 발아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잣나무에 침입 후 균사상태로 월동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황산가스(SO2)의 식물체 내 유입은 주로 어느 곳을 통하는가?

  1. 기공
  2. 책상조직
  3. 통도조직
  4. 해면조직
(정답률: 78%)
  • 아황산가스는 기공을 통해 식물체 내부로 유입됩니다. 기공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이를 통해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며, 이 과정에서 아황산가스도 함께 유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식물체 안에서 질산의 환원에 필요한 미량 요소는 무엇인가?

  1. B
  2. Mn
  3. Mo
  4. Cl
(정답률: 35%)
  • Mo는 질산의 환원에 필요한 효소인 질산환원효소(nitrate reductase)의 활성화에 필요한 미량 요소이다. 따라서 Mo가 부족하면 질산의 환원이 어려워져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관리유형에 따른 적절한 레크레이션 이용의 강도와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관리기법 중 직접적 이용제한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캠프장 등 집중이용 장소의 증설과 같은 물리적 시설의 개조
  2. 저밀도 이용구역 등과 같은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제공
  3. 일정한 입장료의 부과와 같은 자격요건의 부과
  4. 접근로에 있어서의 이용제한, 이용자수의 제한과 같은 이용강도의 제한
(정답률: 82%)
  • 접근로에 있어서의 이용제한, 이용자수의 제한과 같은 이용강도의 제한은 직접적으로 이용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이용자들의 수나 이용 강도를 제한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안전한 이용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는 캠프장 등 집중이용 장소의 증설과 같은 물리적 시설의 개조나 저밀도 이용구역 등과 같은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보다 더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일정한 입장료의 부과와 같은 자격요건의 부과는 간접적으로 이용을 제한하는 방법이므로, 이용강도를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에 비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식물병 중 표징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는 무엇인가?

  1. 사과나무 탄저병
  2. 사철나무 그을음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포도나무 잿빛곰팡이병
(정답률: 64%)
  • 식물병 중 표징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는 대개 식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병이며, 이는 대부분 외부적인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식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병으로, 외부적인 변화가 없어서 표징을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양에서의 부식(腐植)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입단화를 촉진한다.
  2. 보수력을 증대시킨다.
  3. 점토함량을 증가시킨다.
  4. 토양의 완충능을 증대시킨다.
(정답률: 61%)
  • 점토는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토양에서의 부식이 점토함량을 증가시키면, 토양의 구조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주어 토양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보수력을 증대시키고, 토양의 완충능을 증대시키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능소화 수종관리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1. 수술에는 갈고리가 있어 어린이가 놀다가 실명(失明)할 위험이 있어 어린이공원 주위에는 식재하지 않는다.
  2. 8~9월에 피는 나팔모양의 황색꽃은 개화기간이 길고 아름다워 관상가치가 높으므로 적소에 식재한다.
  3. 줄기에 홉반이 발달하였으므로 죽은 나무나 벽 등의 미관상 보완이 필요한 곳에 붙여 꽃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4. 산야(山野)에 자라는 반상록 덩굴성이고, 나무에 기어올라 아름다운 수형을 만든다.
(정답률: 53%)
  • "수술에는 갈고리가 있어 어린이가 놀다가 실명(失明)할 위험이 있어 어린이공원 주위에는 식재하지 않는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갈고리가 있는 수종은 어린이공원 주위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든 식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산야(山野)에 자라는 반상록 덩굴성이고, 나무에 기어올라 아름다운 수형을 만든다."는 바르게 설명된 것입니다. 이 수종은 반상록류로서 덩굴성이며, 나무에 기어올라 아름다운 수형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양 중에 존재하는 수용성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토양산성은 무엇인가?

  1. 잠산성
  2. 활산성
  3. 치환산성
  4. 가수산성
(정답률: 49%)
  • 수용성 수소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토양은 산성이다. 따라서, 수용성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토양 산성은 활산성이다. 활산성은 수용성 수소이온 농도가 높아서 산성인 토양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식물병의 예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무엇인가?

  1. 전염원의 제거
  2. 중간기주의 제거
  3. 외과수술
  4. 토양소독
(정답률: 75%)
  • 외과수술은 식물병의 예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입니다. 외과수술은 이미 발생한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예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염원의 제거, 중간기주의 제거, 토양소독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점검시기에 따른 안전점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수시점검
  2. 임시점검
  3. 정기점검
  4. 특수점검
(정답률: 58%)
  • 특수점검은 시기에 따라서 점검을 하지 않는 것이며, 특정한 상황이나 이벤트 등이 발생했을 때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점검을 말한다. 따라서 점검시기에 따른 안전점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특수점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배수시설의 점검 및 보수에 관한 지침 사항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측구, 집수구, 맨홀 등의 토사 퇴적상태 점검
  2. 지하 배수시설의 물 빠지는 상태 점검
  3. 각 배수시설의 파손 및 결함 상태 점검
  4. 배수구멍이 파손된 곳은 동절기에 점검 수리
(정답률: 83%)
  • "배수구멍이 파손된 곳은 동절기에 점검 수리"는 가장 적합하지 않은 지침 사항입니다. 이유는 동절기에는 강한 추위와 눈으로 인해 작업이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수구멍 파손은 가능한 빨리 수리해야 하며,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유기인계
  2. 살응애제
  3. 호흡저해제
  4. 과립수화제
(정답률: 73%)
  • 농약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합니다. 그 중에서도 "살응애제"는 해충, 쥐, 새 등을 죽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입니다. 이러한 농약은 주로 작물 보호를 위해 사용되며, 해충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제거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말라치온(Malathion)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접촉독제이다.
  2. 적용대상의 범위가 넓다.
  3. 대표적인 고독성 약제이다.
  4. 선택성의 침투이행성약제이다.
(정답률: 53%)
  • 정답은 "대표적인 고독성 약제이다."이다. 말라치온은 고독성이 낮은 약제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중 하나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고독성 약제이다."라는 설명은 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조경관련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기반ㆍ편익ㆍ유희시설물관리, 설비관리, 건축물 관리공사를 포함한다.
  2. 기반ㆍ편익ㆍ유희시설 중 기반시설은 부분적으로 보수를 반복하거나, 내용(耐用)한도에 달했을 경우에는 전면적으로 교체 또는 개조를 행한다.
  3. 예방보전의 청소는 응급청소(연못, 분수의 물빼기 청소, 안내판, 포장면의 오물청소 등)와 상시청소(풀의 개장기간 전후의 청소 등)로 구분하여 시행한다.
  4. 배수처리시설은 기구의 보전과 방류수 또는 재 이용수로서 수질유지를 위해 측정, 검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유량이나 농도를 조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기반ㆍ편익ㆍ유희시설 중 기반시설은 부분적으로 보수를 반복하거나, 내용(耐用)한도에 달했을 경우에는 전면적으로 교체 또는 개조를 행한다."가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기반ㆍ편익ㆍ유희시설물관리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기반시설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예방보전의 청소는 응급청소(연못, 분수의 물빼기 청소, 안내판, 포장면의 오물청소 등)와 상시청소(풀의 개장기간 전후의 청소 등)로 구분하여 시행한다."는 조경관련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다. 이는 예방적인 청소와 상시적인 청소를 구분하여 시행한다는 것으로,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연간평균근로자수가 400명인 사업장에서 연간 2건의 재해로 인하여 4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근로자가 1일 9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였을 때 이 사업자의 연천인율은 약 얼마인가?

  1. 1.85
  2. 4.44
  3. 5.00
  4. 10.00
(정답률: 40%)
  • 연간평균근로자수가 400명이므로, 이 사업장에서 일하는 총 근로자는 400명이다. 재해로 인해 발생한 재해자 수는 4명이므로, 연간 재해율은 4/400 = 0.01이다.

    근로자가 1일 9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였으므로, 총 근로시간은 400 x 9 x 300 = 1,080,000 시간이다.

    따라서, 연간 천인율은 (4/1,080,000) x 1,000 = 0.0037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00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참나무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무엇인가?

  1. 광릉긴나무좀
  2. 솔수염하늘소
  3. 북방수염하늘소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률: 74%)
  •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광릉긴나무좀이다. 이 곤충은 참나무의 잎을 먹고 그 과정에서 시들음병의 원인균을 전파한다. 따라서 이 곤충의 발생을 예방하고 퇴치하는 것이 시들음병 예방에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원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처리 절차 중 올바른 것은?

  1. 사고발생 통보→사고자 응급처리→병원호송→관계자 통보→사고 상황 파악
  2. 사고발생 통보→사고 상황 파악→사고자 응급처치→병원호송→관계자 통보
  3. 사고발생 통보→관계자 통보→사고자 응급처치→병원호송→사고 상황 파악
  4. 사고발생 통보→사고 상황 파악→관계자 통보→사고자 응급처치→병원호송
(정답률: 80%)
  • 올바른 사고처리 절차는 "사고발생 통보→사고자 응급처리→병원호송→관계자 통보→사고 상황 파악" 입니다. 이유는 먼저 사고발생을 통보하여 구조대원이나 응급구조대원이 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자의 응급처리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 후에는 병원으로 호송하여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관계자에게 사고 상황을 통보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사고 상황을 파악하여 이후의 대처 방안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파손 원인 중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결함에 따른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지지력 부족에 의한 균열 및 침하 발생
  2. 배수시설 불충분으로 노상을 연약화할 경우 발생
  3. 겨울철에 동결융해로 인하여 지지력이 부족할 경우 발생
  4. 슬립바(slipbar), 타이바(tiebar)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균열 발생
(정답률: 72%)
  • 슬립바나 타이바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재이다. 이러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슬래브의 지지력이 부족해져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바나 타이바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조경수목과 시설물의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 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식물의 생장, 기상 상태조사
  2. 이용자 행태별 조사
  3. 시설물 훼손방지를 위한 이용제한
  4. 관리대상의 종류 조사
(정답률: 45%)
  • 시설물 훼손방지를 위한 이용제한은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항목 중 하나가 아니라, 이미 유지관리 계획이 수립된 후에 시행되는 조치이다. 이용자들의 행태별 조사와 식물의 생장, 기상 상태조사, 관리대상의 종류 조사는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항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