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조경산업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색채가 주는 감정적 효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명도가 낮은 색은 확장되어 보인다.
  2. 명도가 높은 색은 가볍게 느껴진다.
  3. 보라색은 고귀하고 우아함이 느껴진다.
  4. 난색계열의 채도가 높은 색은 화려해 보인다.
(정답률: 75%)
  • "명도가 낮은 색은 확장되어 보인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실제로는 명도가 낮은 색은 작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명도가 높은 색은 가볍게 느껴지고, 보라색은 고귀하고 우아함이 느껴지며, 난색계열의 채도가 높은 색은 화려해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가장 가벼운 느낌을 주는 색은?

  1. 10R 3/8
  2. 10R 4/4
  3. 10R 6/3
  4. 10R 8/1
(정답률: 80%)
  • "10R 8/1"은 붉은색 계열의 색상 중 가장 밝고 연한 색상이기 때문에 가장 가벼운 느낌을 줍니다. 숫자 중 8은 밝기를 나타내는데, 1에 가까울수록 어두운 색상이고 10에 가까울수록 밝은 색상입니다. 따라서 10R 8/1은 붉은색 계열 중에서도 가장 밝고 연한 색상이므로 가장 가벼운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도로망은 도시의 형상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기능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시설로서 그 구성체계는 도시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다. 다음 중 방사형의 도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의 흐름은 도시 집중이 강하다.
  2.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계획에 적합하다.
  3. 도심의 기념비적인 건물을 중심으로 사방과 연결된다.
  4. 중심지를 기점으로 주요간선도로에 따라 도시개발축이 형성된다.
(정답률: 86%)
  •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계획에 적합하다."는 방사형 도로의 특징 중 하나가 맞다. 방사형 도로는 도심의 중심지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도로가 뻗어나가는 형태를 띠며, 이는 인구 밀도가 높은 대도시에서 효과적인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에서는 방사형 도로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AD 작업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의 분석, 제작이 정확하다.
  2. 도면의 수정. 보완이 편리하다.
  3. 도면의 관리, 보관이 편리하다.
  4. 도면의 출력과 시간 단축이 어렵다.
(정답률: 95%)
  • CAD 작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도면의 수정과 보완이 쉽고, 도면의 관리와 보관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도면의 출력과 시간 단축이 어렵다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도면을 빠르게 출력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조경설계기준상의 흙쌓기 식재지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쌓기 재료는 수직적으로 동질의 토양을 사용하여 정체수를 방지하고 토양수분의 이동이 쉽도록 한다.
  2. 기존의 땅 위에 기존 토양보다 투수계수가 큰 토양을 쌓을 경우에는 정체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기존 지반의 표면을 2% 이상 기울게 마무리 한다.
  3. 식재지의 흙쌓기 깊이가 5m를 넘는 경우, 지반의 부등침하 및 미끄러짐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흙쌓기 높이 2m마다 분리를 위해 기존 기반에 옹벽 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흙쌓기 하도록 설계한다.
  4. 기존의 지반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기존 기반과 흙쌓기층의 분리를 위해 기존 기반에 옹벽 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흙쌓기하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54%)
  • 옳지 않은 설명은 "기존의 땅 위에 기존 토양보다 투수계수가 큰 토양을 쌓을 경우에는 정체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기존 지반의 표면을 2% 이상 기울게 마무리 한다."이다. 기존 토양보다 투수계수가 큰 토양을 쌓을 경우에는 기존 지반의 표면을 2% 이상 기울게 마무리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지반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정체수를 방지하고 배수를 용이하게 해야 한다.

    기존의 지반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기존 기반과 흙쌓기층의 분리를 위해 기존 기반에 옹벽 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흙쌓기하도록 설계한다. 이는 기울어진 지반에서 흙쌓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괄호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연색성
  2. 순응성
  3. 항상성
  4. 고유성
(정답률: 85%)
  • 정답은 "연색성"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색상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자연스럽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색상의 조화는 연색성이라고도 불리며,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계단과 비교한 경사로(ramp)의 특징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비교적 짧은 수평거리가 요구된다.
  2. 지체 부자유자에게 이용시 힘이 든다.
  3.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종단 기울기는 1/18 이하로 한다.
  4. 바닥표면은 광택이 있고, 보행이 자유롭게 표면이 매끄러운 재료를 채용한다.
(정답률: 78%)
  •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종단 기울기는 1/18 이하로 한다. - 이유는 경사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힘들지 않도록 최대한 완만한 경사로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1/18 이하의 기울기는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힘들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기울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주민공동시설이 아닌 것은?

  1. 주민운동시설
  2. 주민휴게시설
  3. 청소년 수련시설
  4. 한방병원
(정답률: 89%)
  • 한방병원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주민공동시설이 아닙니다. 이는 한방병원이 주민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의료시설이기 때문입니다. 주민운동시설, 주민휴게시설, 청소년 수련시설은 주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설로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형분석을 하기 위해 1/50,000축척의 지형도를 이용하려할 때 등고선 5개가 2지점 사이에 걸쳐 나타난다면 2지점의 표고차는? (단, 두지점간지형은일 정한경사이며, 두지점은 다음 그림의 A와 B 이다.)

  1. 40m
  2. 60m
  3. 80m
  4. 100m
(정답률: 73%)
  • 등고선이 5개가 걸쳐 나타나므로, 두 지점 사이의 표고차는 5 x 20m = 100m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두 지점간 지형은 일정한 경사이므로, 실제 표고차는 100m 중에서 경사로 인한 영향을 제외한 값이다. 이 경사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높이 차이를 밑변으로, 지형도 상의 거리를 높이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생각해보면, tanθ = 40m / 1000m 이므로, θ = 2.29도 이다. 따라서, 두 지점의 실제 표고차는 100m x cos(2.29도) = 8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경관의 우세요소를 좀 더 미학적으로 부각시키고 주변의 다른 대상과 비교가 될 수 있는 우세원칙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대비(contrast)
  2. 연속(sequence)
  3. 축(axis)
  4. 운동(motion)
(정답률: 58%)
  • 운동은 경관의 우세원칙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경관의 우세원칙은 경관을 미학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한 원칙으로, 대비, 연속, 축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운동은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경관의 미학적인 부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현행 법제상의 오픈스페이스(open space) 분류체계 중 도시공원의 구분에 해당하는 것은?

  1. 유원지
  2. 묘지공원
  3. 공공용지
  4. 운동장
(정답률: 77%)
  • 도시공원은 대중이 쉴 수 있도록 조성된 공공공간으로, 묘지공원은 죽은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공간이지만, 대중이 쉴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공원의 구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묘지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리튼(Litton)d이 제시한 경관의 훼손가능성(landscape's vulnerability)이 높은 지역이 아닌 것은?

  1. 완경사보다는 급경사 지역
  2. 산 정상이나 능선 지역
  3. 단순림보다는 혼효림 지역
  4. 구심적 경관에서 초점이 되는 지역
(정답률: 75%)
  • "단순림보다는 혼효림 지역"이 제시한 경관의 훼손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아닙니다. 이유는 혼효림 지역은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식물이 섞여 있어서 생태계의 다양성이 높아서 훼손 가능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완경사보다는 급경사 지역", "산 정상이나 능선 지역", "구심적 경관에서 초점이 되는 지역"은 지형적인 특성이나 관광객의 집중적인 방문 등으로 인해 경관의 훼손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일본의 3대 정원 양식의 발달순서가 옳은 것은?

  1. C → A → B
  2. A → C → B
  3. B → C → A
  4. A → B → C
(정답률: 86%)
  • 일본의 3대 정원 양식의 발달순서는 "A → B → C" 이다.

    이유는 먼저 A 양식은 고대 시대부터 시작되어 왕실이나 귀족의 정원으로 발전하였고, B 양식은 중세 시대에 나타나면서 일반 대중들의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마지막으로 C 양식은 에도 시대에 나타나면서 도시적인 환경에서의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발달순서는 A → B → 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세 후기에 성곽정원(城廓庭園)의 주요 부분이 아닌 것은?

  1. 절충원
  2. 초본원
  3. 유원(遊園)
  4. 과수원
(정답률: 61%)
  • 정답은 "절충원"입니다.

    성곽정원은 중세 후기에 일본에서 발전한 정원 양식으로, 성곽 주변에 조성된 정원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초본원", "유원", "과수원"은 성곽정원의 주요 부분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절충원"은 성곽정원의 주요 부분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절충원"은 일본에서 발전한 정원 양식 중 하나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는 자연적인 경치를 중시하는 정원입니다. 따라서 "절충원"은 성곽정원과는 별개의 정원 양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미국에서 도시 미화운동(都市美化運動, city Beautiful Movement)의 계기가 된 최초의 것은?

  1. 전원도시운동
  2. 위성도시의 성립
  3. 콜럼비아박람회(Columbian Exposition)
  4. 옐로우스톤(Yellow-stone)국립공원
(정답률: 84%)
  • 콜럼비아박람회는 1893년에 시카고에서 열렸으며,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박람회 중 하나였습니다. 이 박람회에서는 건축, 조경,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작품들이 선보였고, 이를 통해 도시 미화운동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박람회에서 선보인 건축물과 조경은 도시의 아름다움과 기능성을 강조하며, 이후 도시 미화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남미의 향토식물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리오네자네이로에 있는 코파카바나 해변의 프로메나드를 설계한 조경가는?

  1. 단 카일리
  2. 벌 막스
  3. 루이스 바라간
  4. 크리스토퍼 터나드
(정답률: 71%)
  • 벌 막스는 남미의 향토식물을 적극 활용하여 조경을 설계하는 것으로 유명한 조경가이며, 리오네자네이로에 있는 코파카바나 해변의 프로메나드를 설계한 사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창덕궁 내의 원림 속에 있으며, 옥류천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 삿갓지붕형의 단칸 모정(茅停)으로 방지방도로 된 것은?

  1. 관람정(觀纜停)
  2. 소요정(逍遙停)
  3. 청의정(淸漪停)
  4. 청심정(淸心停)
(정답률: 57%)
  • 원림 속에 위치하고 옥류천의 북쪽에 자리한 삿갓지붕형의 단칸 모정은 "청의정(淸漪停)"입니다. 이는 그 위치가 옥류천의 물소리가 들리는 곳이며, 청명(淸明)이라는 명절에는 물에 비친 달빛을 감상하기 위해 이곳에서 노래하며 술을 마시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에서 공공(公共)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근대공원은?

  1. 탑골공원
  2. 사직공원
  3. 장충단공원
  4. 남산공원
(정답률: 92%)
  • 탑골공원은 1897년에 조선시대의 왕궁인 창덕궁과 경복궁 사이에 위치한 공원으로, 공공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근대공원입니다. 이곳은 조선시대에는 왕족들의 사물놀이터였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만 출입이 가능한 곳으로 변했었습니다. 그러나 1946년 이후에는 다시 국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개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선시대 궁궐의 침전(寢殿) 후정(後庭)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양식은?

  1. 정자(亭子)
  2. 조그만 크기의 방지(方地)
  3. 풍수지리설에 입각한 금천(禁川)
  4. 경사지를 이용해서 만든 계단식의 노단( 露檀)
(정답률: 84%)
  • 침전 후정은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며, 이를 오르내리기 위해 경사지를 이용한 계단식의 노단인 루단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사지를 이용해서 만든 계단식의 노단( 露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청나라 때 축조 된 정원 중 이궁의 정원이 아닌 것은?

  1. 열하피서산장
  2. 원명원 이궁
  3. 이화원
  4. 건륭화원
(정답률: 60%)
  • 청나라 때 축조된 정원 중 이궁의 정원이 아닌 것은 "건륭화원"입니다. 이유는 건륭화원은 조선 시대에 축조된 정원이며, 청나라 때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 깃모양겹잎이고, 열매는 협과, 원추형이고 염주상으로 10월경에 성숙, 8월경 황백색 꽃이 아름답고 꼬투리가 특이하다. 예로부터 정자목으로 이용되어왔으며, 녹음식재, 완충식재, 가로수로도 이용되는 수종은?

  1. 가중나무
  2. 왕벚나무
  3. 참죽나무
  4. 회화나무
(정답률: 78%)
  • 잎이 홀수 깃모양 겹잎이며, 열매가 협과 원추형이고 염주상으로 10월경에 성숙하며, 황백색 꽃이 아름답고 꼬투리가 특이하기 때문에 이 수종은 회화나무이다. 또한, 예로부터 정자목으로 이용되어왔으며, 녹음식재, 완충식재, 가로수로도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4월에 꽃이 피는 방향성의 물푸레나무과(科)식물은?

  1. Acer palmatum Thunb.
  2. Prunus mume Siebold & Zucc. For mume
  3. Lonicera japonica Thunb
  4. Syringa oblata var. dilatara Rehder
(정답률: 47%)
  • 정답은 "Syringa oblata var. dilatara Rehder" 입니다. 이 식물은 봄에 꽃이 피는 물푸레나무과의 대표적인 종으로, 보라색이나 분홍색의 꽃이 피어 봄의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봄에 꽃이 피는 식물이지만, 물푸레나무과가 아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시내 생물 서식처 기능을 촉진할 수 있는 녹지공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면적 : 소면적 보다는 대면적일수록 좋다.
  2. 주연부의 길이 : 긴 것보다 짧을수록 좋다.
  3. 산재 녹지 : 격리보다는 인접하여 위치할수록 좋다.
  4. 녹지 형태 : 막대형보다는 원형일수록 좋다.
(정답률: 80%)
  • "주연부의 길이 : 긴 것보다 짧을수록 좋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주연부의 길이가 길면 녹지 내부로 자연스럽게 침투하는 물의 양이 많아져서 생물 다양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연부의 길이가 길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양단면에서 부식이 바로 위에 있는 층보다 적고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가용성 염기류가 많으며 비교적 견밀한 특징을 구비한 토양층은?

  1. 모재층
  2. 용탈층
  3. 집적층
  4. 유기물층
(정답률: 67%)
  • 집적층은 부식이 바로 위에 있는 층보다 적고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가용성 염기류가 많으며 비교적 견밀한 특징을 구비한 토양층입니다. 이는 토양 내부에서 물이 상승하면서 미세입자들이 모여서 집적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집적층은 토양의 수분 보존 능력이 높고, 농작물의 생육에 유리한 토양층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피에 얼룩무늬가 있어 감상가치가 높은 수종이 아닌 것은?

  1.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2. Crataegus pinnatifida Bunge
  3. Pinus bungeana Zucc. Ex Endl.
  4. Chaenomeles sinensis Koehne
(정답률: 47%)
  • Crataegus pinnatifida Bunge은 얼룩무늬가 있어 감상가치가 높은 수종이 아닌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최소 생존 개체군(MVP) 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서식지의 크기(면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최소보호면적(Minium preservation Area)
  2. 최소유효면적(Minium Effective Area)
  3. 최소생존면적(Minium Survaval Area)
  4. 최소역동면적(Minium Dynamic Area)
(정답률: 54%)
  • 최소 생존 개체군(MVP)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개체군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자연적인 진화를 겪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개체군이 이동하고, 서식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있어야 합니다. 이 범위를 최소역동면적(Minium Dynamic Area)이라고 합니다. 최소역동면적은 개체군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적응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입니다. 따라서 MVP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역동면적을 고려하여 서식지를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매립지 복원공법은?

  1. 성토법
  2. 사공법
  3. 사토객토법
  4. 사구법
(정답률: 86%)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매립지 복원공법은 "사구법"입니다. 이는 매립지를 땅 위로 올려서 쌓는 방법으로, 매립지를 덮고 있는 토양층을 제거하고 매립지를 적층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음수는 하층 식생층으로써도 장기간 생육이 가능하며 주위의 경쟁목이 제거되면 즉시 수고생장과 직경생장이 촉진된다. 자연낙지(natural pruning)가 잘 안되어 맨밑에 있는 오래된 가지에도 잎이 살아 있으므로 지하고가 낮고 혼효림을 잘 이루며 높은 임분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성숙기에 늦게 도달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 중 음수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1. 비자나무
  2. 칠엽수
  3. 굴거리나무
  4. 버드나무
(정답률: 51%)
  • 버드나무는 양수로 분류되는 나무이기 때문에 음수로 분류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명하는 수종은?

  1. 복자기
  2. 단풍나무
  3. 고로쇠나무
  4. 신나무
(정답률: 71%)
  • 이 나무는 잎이 끝이 뾰족하고 길쭉한 형태를 띠며, 가지와 줄기에는 작은 가시가 있어서 "고로쇠"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또한 이 나무는 가을에 노란색으로 물들어 아름다운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단풍나무"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단풍나무는 잎이 손바닥 모양이고, 가지와 줄기에 가시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나무는 "고로쇠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서울숲을 생태공원으로 재조성하고자 할 때 식재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1. 소나무
  2. 서어나무
  3. 종가시나무
  4. 갈참나무
(정답률: 64%)
  • 종가시나무는 대기 오염에 민감하고, 토양이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서울숲과 같은 도시 생태공원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서울숲을 생태공원으로 재조성하고자 할 때 식재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종가시나무입니다. 대신에 소나무, 서어나무, 갈참나무와 같은 수종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Berberis koreana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꽃은 3월에 붉은색으로 핀다.
  2. 성상은 상록활엽교목이다.
  3. 우리나라 자생수종이다.
  4. 줄기에는 가시가 있으며 열매는 흑색이다.
(정답률: 74%)
  • Berberis koreana는 우리나라 자생수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식물종과 향기가 유발되는 식물기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생강나무 - 가지
  2. 분꽃나무 - 꽃
  3. 계수나무 - 열매
  4. 로즈마리 - 잎
(정답률: 71%)
  • 계수나무의 열매는 향기가 아닌 식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향기가 유발되는 식물기관과의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참나무과(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시나무
  2. 개암나무
  3. 너도밤나무
  4. 상수리나무
(정답률: 56%)
  • 개암나무는 참나무과(科)에 속하지 않는다. 개암나무는 백목련목(目)에 속하는 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식생(vegetation)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1. 군집
  2. 우점도
  3. 천이
(정답률: 65%)
  • 식생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종"이 아니라 "군집"입니다. 이는 비슷한 생태학적 특성을 가진 여러 종들이 함께 자라는 단위로, 서로 다른 종들이 함께 자라면서 생태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식생을 분류할 때는 종보다는 군집을 기본 단위로 삼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조경식물의 영양번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삽목의 대표적인 발근촉진물질은 옥신(Auxin)이다.
  2. 삽목은 식물체의 일부를 상토에 꽂아 절단면으로부터 부정근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3. 취목은 분리된 두 식물체의 조직을 유합시켜 하나의 식물체를 만드는 방법이다.
  4. 분주는 충분히 성장한 조경식물을 포기나누기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56%)
  • "취목은 분리된 두 식물체의 조직을 유합시켜 하나의 식물체를 만드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취목은 한 식물체의 가지나 줄기를 다른 식물체에 이식하여 새로운 식물체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수목의 잎이 호생(互生)인 것은?

  1. Cercidiphyllum japonicum
  2. Cercis chinensis
  3. Euodia daniellii
  4. Syringa oblata var. dilatata
(정답률: 50%)
  • 수목의 잎이 호생(互生)이란 것은 가지가 한 줄기에서 번식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번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 "Cercis chinensis"는 가지가 한 줄기에서 번식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번식하는 호생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생태적 배식(ecological planting)과 관련된 용어 중 식생천이의 발전과정에 포함되는 것은?

  1. 식물군락
  2. 극성상
  3. 식재수법
  4. 경관보전
(정답률: 61%)
  • 식생천이는 생태적 배식 중 하나로, 자연적인 식물군락을 형성하도록 식물을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극성상은 식물군락을 구성하는 식물들이 서로 다른 환경 조건에서 발달하여 서로 다른 생태적 특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극성상은 식생천이의 발전과정에 포함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목의 활용에 따른 분류 중 녹음용 수종의 조건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가급적 수관이 커야 한다.
  2. 보행자의 머리에 닿지 않을 정도의 지하고를 가져야한다.
  3. 수목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천근성이어야 한다.
  4. 여름철에 짙은 그늘과 겨울철에 따뜻한 햇빛을 줄 수 있는 낙엽교목이어야 한다.
(정답률: 77%)
  • 녹음용 수종은 소리를 잘 전달하고 흡수하는 능력이 중요하므로, "수목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천근성"과는 관계가 적다. 다른 보기들은 소리를 잘 전달하고 흡수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녹음용 수종으로 적합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식물의 생활형은 가장 추운 계절에 생존하는 방법으로, 특히 새로 생장이 시작될 눈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다. 다음 중 일년생식물에 해당되지 않는 종은?

  1. 밭뚝외풀
  2. 돼지풀
  3. 얼레지
  4. 주름잎
(정답률: 78%)
  • 얼레지는 일년생식물이 아니라 다년생식물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 온대지방의 계절 특성상 녹음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Forsythia koreana
  2. Celtis sinensis
  3. Pinus koraiensis
  4. Photinia glabra
(정답률: 53%)
  • 우리나라 온대지방의 계절 특성상 녹음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Celtis sinensis" 입니다. 이는 이 종류의 나무가 물을 잘 흡수하고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나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뿌리가 깊게 자라서 토양을 고르게 수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녹음수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10m에 대해서 10cm 늘어난 줄자를 사용해서 거리를 측정하였더니 450.2m가 되었다. 실제 길이는 얼마인가?

  1. 450.2m
  2. 454.7m
  3. 459.2m
  4. 464.7m
(정답률: 59%)
  • 10m에 대해 10cm가 늘어난 줄자를 사용하면, 실제 길이의 1/100을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측정된 450.2m는 실제 길이의 1/100을 나타낸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실제 길이 = 측정된 길이 × 100/101

    따라서, 실제 길이 = 450.2 × 100/101 = 454.7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54.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조경공사에 있어서 시방서, 설계도면 등 설계서간의 내용이 상이한 경우 적용순서로 옳게 된 것은?

  1. 현장설명서 → 공사내역서 → 특별시방서 → 설계도면
  2. 공사내역서 → 설계도면 → 현장설명서 → 특별시방서
  3. 설계도면 → 물량내역서 → 공사시방서 → 현장설명서
  4. 현장설명서 → 공사시방서 → 설계도면 → 물량내역서
(정답률: 73%)
  • 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 현장설명서가 가장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이후에는 공사시방서와 설계도면이 차례로 적용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물량내역서는 각종 자재와 공사의 양을 정리한 문서이므로, 이전에 적용된 시방서와 설계도면에 따라 작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장설명서 → 공사시방서 → 설계도면 → 물량내역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공사발주자가 공사발주를 위한 예정가격을 책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하는 공사비 산정의 일반과정으로 옳은것은?

  1.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정답률: 72%)
  • 공사비 산정의 일반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사계획서 작성
    ㉡ 공사범위 및 세부내역 작성
    ㉢ 공사비 산출을 위한 자료수집
    ㉣ 공사비 산출을 위한 단가산출
    ㉤ 공사비 산출을 위한 물량산출
    ㉥ 공사비 산출을 위한 간접비 및 이윤산출
    ㉦ 공사비 산출을 위한 총계산출
    ㉧ 공사비 산출 결과 검토 및 수정
    ㉨ 공사비 산출 결과 보고서 작성
    ㉩ 공사비 산출 결과 보고서 검토 및 승인
    ㉪ 공사비 산출 결과 보고서 발행
    ㉫ 공사비 산출 결과 보고서 보관

    따라서, 정답은 "㉠ → ㉡ → ㉢ → ㉣ → ㉤ → ㉥ → ㉦ → ㉧ → ㉨ → ㉩ → ㉪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재의 비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의 강도와 상관관계를 갖는다.
  2. 목재실질 만의 비중을 진비중이라고 한다.
  3. 비중의 크기와 추재율과는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
  4. 목재의 비중은 수종, 산지, 생육상태, 부위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1%)
  • "비중의 크기와 추재율과는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비중의 크기가 크면 추재율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둘은 어느 정도 상관관계를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동해, 건습, 온도변화 등의 풍화작용에 저항하는 성질을 가르키는 용어는?

  1. 내후성
  2. 내마모성
  3. 내식성
  4. 내화학약품성
(정답률: 83%)
  • 정답은 "내후성"입니다.

    "내후성"은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물질이 부식되는 것을 막는 성질을 가리킵니다. 즉, 동해, 건습, 온도변화 등의 풍화작용에 저항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성질은 주로 금속, 돌, 콘크리트 등의 물질에서 나타나며, 내구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성질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옹벽단면의 경제성이 높으며, 높이 6m 이상의 상당히 높은 흙막이 벽에 쓰이는 옹벽은?

  1. 중력식옹벽
  2. 캔틸레버 옹벽
  3. 부축벽옹벽
  4.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정답률: 48%)
  • 높이 6m 이상의 높은 흙막이 벽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면서도 안정적인 구조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부축벽옹벽이 적합합니다. 부축벽옹벽은 지반에 수직으로 세운 기둥에 수평으로 놓인 보와 함께 지반의 수평력을 이용하여 벽을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는 경제성이 높고 안정적이며, 높이 6m 이상의 높은 흙막이 벽을 지탱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분말도가 큰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색이 어둡게 되며 비중이 커진다.
  2. 블리딩이 적고 워커블한 콘크리트가 얻어진다.
  3. 물과 혼합시 접촉 표면적이 커서 수화작용이 빠르다.
  4. 풍화하기 쉽고 건조수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50%)
  • "색이 어둡게 되며 비중이 커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분말도가 큰 시멘트는 오히려 색이 더 밝아지고 비중이 작아집니다. 이는 분말도가 크면 표면적이 작아져서 빛을 반사하는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통 흙 쌓기의 경우 높이 3m 미만으로 대지 조성시 더돋기의 양은 높이의 얼마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3~5%
  2. 10%
  3. 20%
  4. 30%
(정답률: 66%)
  • 보통 흙 쌓기의 경우 높이 3m 미만으로 대지 조성시 더돋기의 양은 높이의 10% 정도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더 많은 양의 흙을 쌓으면 안정성은 높아지지만 비용이 증가하며, 반대로 더 적은 양의 흙을 쌓으면 비용은 절약되지만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보통은 높이의 10% 정도의 양으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축과 팽윤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목재 수분은?

  1. 결합수
  2. 자유수
  3. 흡착수
  4. 일시적 모관수
(정답률: 73%)
  • 목재 내부의 수분은 수축과 팽윤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은 자유수로 분류됩니다. 결합수는 목재 내부의 섬유 구조에 결합된 수분을 의미하며, 흡착수는 목재 표면에 흡착된 수분을 의미합니다. 일시적 모관수는 목재 내부의 모공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수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조계산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든 외력들이 구조물 상에 어떻게 분포되는가를 조사하는 이른바 외응력(externalstress)에 관한 계산을 하는 것이다. 이때 구조물에 생기는 외응력이 아닌 것은?

  1. 합력(resultant force)
  2. 휨 모멘트(bending moment)
  3. 축 방향력(axis force)
  4. 비틀림 모멘트(twisting moment)
(정답률: 59%)
  •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든 외력들이 구조물 상에 어떻게 분포되는가를 조사하는 구조계산에서, 합력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든 외력들의 합이므로 구조물에 생기는 외응력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합력(resultant force)"이다. 휨 모멘트, 축 방향력, 비틀림 모멘트는 모두 구조물에 생기는 외응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좋은 품질의 벽돌을 선정하는데 있어 검토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

  1. 균일한 세립(細粒)조직을 가질 것.
  2. 흡수율이 크고, 고열을 받아도 이상이 없을 것.
  3. 균열, 열목, 기포, 소립석 또는 괴상(塊狀)의 석회부분이 없을 것.
  4. 표면에 나타나는 부분은 평할(平滑)하나 접합부분은 거칠어야 할 것.
(정답률: 59%)
  • "표면에 나타나는 부분은 평할(平滑)하나 접합부분은 거칠어야 할 것."은 부적합한 검토사항입니다. 벽돌의 접합부분이 거칠면 벽돌을 쌓을 때 안정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간극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흡수율이 크고, 고열을 받아도 이상이 없을 것."은 좋은 품질의 벽돌을 선정하는데 중요한 검토사항입니다. 벽돌의 흡수율이 크면 비가 내리거나 습한 환경에서도 벽돌이 빠르게 마르고, 고열을 받아도 벽돌이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잣나무(H3.0 × W1.5) 10주에 대한 식재비와 객토량을 산출하면 얼마인가? (단, 조경공은 50,000원/인, 보통인부는 35,000원/인이다.)

  1. 식재비 : 14,400원, 객토량 : 1.89m3
  2. 식재비 : 144,000원, 객토량 : 1.89m3
  3. 식재비 : 14,400원, 객토량 : 2.41m3
  4. 식재비 : 144,000원, 객토량 : 2.41m3
(정답률: 71%)
  • 식재비는 잣나무 1주당 14,400원이므로 10주에 대한 식재비는 144,000원이다. 객토량은 잣나무 1주당 0.189m³이므로 10주에 대한 객토량은 1.89m³이다. 조경공과 보통인부의 비용은 문제와 무관하므로 계산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정답은 "식재비 : 144,000원, 객토량 : 1.89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에로우 네트워크 공정표 중 화살표 아래에 기입하는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작업명칭
  2. 소요일수
  3. 작업구간
  4. 작업의 선후
(정답률: 78%)
  • 화살표 아래에는 "작업 구간"에 대한 내용을 기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해당 작업이 어떤 구간에서 이루어지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작업의 선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소요일수는 작업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예상 일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작업 구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소요일수가 정답인 이유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철금속 재료 중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칼리에 침식된다.
  2. 전기와 열의 양도체이다.
  3. 융점은 640~660℃ 정도이다.
  4. 열에 의한 팽창계수는 콘크리트와 유사하다
(정답률: 66%)
  • "열에 의한 팽창계수는 콘크리트와 유사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알루미늄의 특성과는 맞지 않는 내용이며, 알루미늄은 열에 의한 팽창계수가 매우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내민보의 점 A에 모멘트가 점 C에 집중하중이 작용한다. 지점 B의 단면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m인가?

  1. 4
  2. 8
  3. 12
  4. 16
(정답률: 55%)
  • 점 C에서의 모멘트는 M = F × AC = 2 × 4 = 8 kNm이다. 이 모멘트는 점 A와 점 B 사이의 길이인 2m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점 B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8/2 = 4 kNm이다. 따라서 정답은 "4"가 아닌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건설에서 구조재료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수성 및 내습성이 양호하다.
  2.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3. 탄성계수가 크고 변형이 작다.
  4. 적은 중량으로 인해 구조물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77%)
  • "탄성계수가 크고 변형이 작다."가 틀린 것이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탄성계수가 작고 변형이 크기 때문에 구조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상의'시공 및 공정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급인은 시공계획에 따라 예정공정표를 작성 후 즉시 감독자의 승인을 얻는다,
  2. 규정시간외 또는 휴일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근로자와 협의시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없이 할수 있다.
  3. 부적기 식재, 천재지변 등 공사의 지연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없이 공사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4. 공사시행상의 형편에 따라 작업시간의 연장을 감독자가 인정한 때에는 품질확보에 지장이 없는 한 수급인은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
(정답률: 55%)
  • 공사시행상의 형편에 따라 작업시간의 연장을 감독자가 인정한 경우에는 품질확보에 지장이 없는 한 수급인은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수급인이 그에 따라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시공 및 공정관리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하는 경관석의 종류는?

  1. 횡석
  2. 평석
  3. 환석
  4. 와석
(정답률: 68%)
  • 이 경관석은 중앙에 돌출된 부분이 있어서 환형으로 생겼기 때문에 환석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기강도가 작다.
  2. 한중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3. 수화열을 크게 만든 것이다.
  4. 댐공사 등의 매스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하다.
(정답률: 76%)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는 댐공사 등의 매스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하다. 이는 이 시멘트가 높은 초기 강도를 가지고 있어 대규모 구조물에 적합하며, 물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수화열을 크게 만들어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댐공사 등의 대규모 구조물에 사용되는 매스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골재의 공극률이 30%일 때 골재의 실적률은?

  1. 0.3%
  2. 0.7%
  3. 30%
  4. 70%
(정답률: 80%)
  • 실적률은 골재의 전체 부피 중 실제로 공간을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극률이 30%이면 실적률은 70%입니다. 이는 공극률과 실적률이 항상 100%를 합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공극률이 30%이면 실적률은 100% - 30% = 7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중력식 수간주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용이 많이 든다.
  2.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3. 약액의 분산에 문제가 많다.
  4. 다량의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중력식 수간주입은 약액을 중력을 이용하여 주입하는 방법으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듭니다. 또한, 중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약액의 분산에 문제가 적고, 다량의 약액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량의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종자뿜어붙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종 후 6개월 이내에 발아되지 않거나 전면에 고루 발아되지 않고 일부만 발아 되었을 때에는 처음과 동일한 공법으로 재파종하여야 한다.
  2. 파종면이 건조한 경우에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고 분사부착물의 침투를 좋게 하기 위하여 1m3당 1~3L의 물을 미리 살포한다.
  3. 비료는 질소, 인산, 칼리의 성분이 혼합된 복합비료를 사용하되 재료조달 계획 승인시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을 사용한다.
  4. 공사의 효율을 위하여 잔디종자를 섬유(fiber), 색소접착제, 비료 등과 물로 혼합하여 고압분사기로 파종하는 잔디조성공사에 적용한다.
(정답률: 59%)
  • "파종 후 6개월 이내에 발아되지 않거나 전면에 고루 발아되지 않고 일부만 발아 되었을 때에는 처음과 동일한 공법으로 재파종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종 후 6개월 이내에 발아되지 않거나 전면에 고루 발아되지 않고 일부만 발아되었을 때에는 다른 방법으로 재파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아가 잘 되지 않은 지역에는 추가적으로 물을 주거나 비료를 뿌려서 발아를 촉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잔디 조성 후 표토층의 부분적인 개량 및 개선방법이 아닌 것은?

  1. 통기작업(core aerification)
  2. 로터리 모어(rotary mower)
  3. 버티컬 모잉(vertical mowing)
  4. 배토(topdressing)
(정답률: 59%)
  • 로터리 모어는 잔디 조성 후 표토층의 부분적인 개량 및 개선과는 관련이 없는 잔디 관리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로터리 모어는 잔디를 깎아내는 역할을 하며, 잔디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잔디를 깨끗하게 다듬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로터리 모어는 잔디의 건강과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석회질 비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석회는 비료용 석회로 가장 많이 이용된다.
  2. 황산석회는 석고(石膏)라고도 하며, 탄산염이 원인이 되는 알칼리성 토양의 개량에 알맞다.
  3. 탄산석회는 석회암이나 석회석을 화학적 가공을 통해 만든 것이다.
  4. 생석회는 산성토의 중화와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
(정답률: 47%)
  • 탄산석회는 석회암이나 석회석을 화학적 가공을 통해 만든 것이 아니라, 이 두 가지 원석을 가열하여 얻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탄산석회는 석회암이나 석회석을 화학적 가공을 통해 만든 것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레크레이션 관리에서 생태 모니터링(Monitoring)의 필요성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장래 재평가 자료로 활용
  2. 자연자원의 지속적 이용
  3. 적정 수용 능력의 판단 자료
  4. 최대 이용자 확보를 위한 홍보자료 수집
(정답률: 80%)
  • 생태 모니터링은 자연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자연자원의 지속적 이용과 적정 수용 능력의 판단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최대 이용자 확보를 위한 홍보자료 수집은 생태 모니터링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균근(Mycorrhizae)이 설명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식물의 뿌리에 조류(Algae)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2. 균사가 식물뿌리에 감염하여 공생하는 특수형태의 뿌리이다.
  3. 박테리아가 식물뿌리에 침입하여 부식된 형태의 뿌리이다.
  4. 근류근이 식물 뿌리에 침입하여 질소 고정작용을 하는 새로운 형태의 뿌리이다.
(정답률: 60%)
  • 균근은 식물의 뿌리에 균사가 감염하여 공생하는 특수형태의 뿌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병의 삼각형 구성 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사람
  2. 환경
  3. 지역
  4. 시기
(정답률: 84%)
  • 병의 삼각형 구성 요소는 호스트(사람), 병원체(병균) 및 환경입니다. 이 중에서 "환경"은 병원체가 번식하고 전파되는 환경적인 조건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습도, 온도, 공기질, 물의 질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환경"은 병의 발생과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오염의 2차적 오염물질 중에서 주로 PAN(C2H3NO3, peroxyacetyl nitrate)에 의한 피해를 입는 부위는?

  1. 상피조직세포
  2. 표피조직세포
  3. 책상조직세포
  4. 해면유조직
(정답률: 52%)
  • PAN은 대기 중에서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는 자유기로, 이것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눈과 호흡기에 나타납니다. 그 중에서도 해면유조직은 눈과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PAN에 의한 피해를 입는 부위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토양 내 시비방법이 아닌 것은?

  1. 수간주사법
  2. 대상시비법
  3. 윤상시비법
  4. 선상시비법
(정답률: 85%)
  • 정답: 수간주사법

    설명: 토양 내 시비법에는 대상시비법, 윤상시비법, 선상시비법이 있습니다. 이 중 수간주사법은 토양 내 시비법이 아닙니다. 수간주사법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 직접 비료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토양이 아닌 식물의 직접적인 영양공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조경 유지 관리의 작업계획을 작성할 때 다음 중 식재지의 연간 작업 회수를 가장 많이 계획해야 하는 작업 종류는?

  1. 전정
  2. 제초
  3. 시비
  4. 방한
(정답률: 74%)
  • 식재지의 연간 작업 회수를 가장 많이 계획해야 하는 작업 종류는 "제초"입니다. 이는 식물이 자라는 동안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잡초나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식물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제초 작업은 식물의 생장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콘크리트 옹벽이 앞으로 무너질 염려가 있을 때 취하는 조치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기존 지반의 암질이 좋을 때는 P.C 앵커로서 원지반과 콘크리트 옹벽을 묶어 놓는다.
  2. 기초의 침하 우려가 없을 때는 옹벽 앞면에 부벽식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한다.
  3. 옹벽 뒷면의 지하수를 배수구멍을 뚫어 콘크리트 옹벽바깥으로 유도시켜 토압을 경감시킨다.
  4. 저항력이 옹벽 뒷면의 토압에 대한 회전력의 1.1배 이상 되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60%)
  • 적당하지 않은 조치는 "기초의 침하 우려가 없을 때는 옹벽 앞면에 부벽식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한다."입니다. 이유는 부벽식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 앞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옹벽 뒷면의 토압을 경감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더 큰 토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답인 "저항력이 옹벽 뒷면의 토압에 대한 회전력의 1.1배 이상 되도록 조정한다."의 경우, 이는 옹벽 뒷면에 P.C 앵커를 설치하여 옹벽과 원지반을 묶어 놓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옹벽 뒷면의 토압에 대한 회전력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시 포장균열의 보수방법 중 틀린 것은?

  1. 팽창 줄눈공법
  2. 패칭(patching)공법
  3. 표면처리공법
  4. 덧씌우기(overlay)공법
(정답률: 75%)
  • "팽창 줄눈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면에서 발생한 균열을 넓혀주고, 그 안에 실리콘을 주입하여 균열을 메우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포장균열의 보수방법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팽창 줄눈공법"이다.

    - "패칭(patching)공법"은 균열이 발생한 부분을 제거하고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채우는 방법이다.
    - "표면처리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면에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덧씌워서 포장면을 보수하는 방법이다.
    - "덧씌우기(overlay)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면 위에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덧씌워서 포장면을 보수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누런솔잎벌의 연간 발생 세대수와 월동 충태는?

  1. 년 1세대-알
  2. 년 2세대 - 성충
  3. 년 2세대-유충
  4. 년 1세대 - 번데기
(정답률: 71%)
  • 누런솔잎벌은 연간 1세대만 발생하며, 이 1세대는 알로부터 유충, 번데기, 성충으로 발달합니다. 따라서 연간 발생 세대수는 1세대이며, 월동 충태는 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조경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가죽제 발 보호 안전화의 완성품 성능 시험 항목이 아닌 것은?

  1. 침수시험
  2. 충격시험
  3. 내압박시험
  4. 박리시험
(정답률: 59%)
  • 가죽제 발 보호 안전화는 물에 젖을 경우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침수시험은 해당 제품의 성능 시험 항목 중 하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수시험"입니다. 반면, 충격시험은 안전화가 충격을 받았을 때 발을 보호할 수 있는지, 내압박시험은 안전화가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 박리시험은 안전화의 접착력이 얼마나 강한지를 확인하는 시험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기계적 방제법(mechanical control)이 아닌것은?

  1. 포살법
  2. 가열법
  3. 경운법
  4. 소살법
(정답률: 49%)
  • 가열법은 기계적인 방법이 아니라 화학적인 방법으로, 고온으로 가열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기계적 방제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가로수 전정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 6~8월 사이에 하계전정, ㉡ 12~3월 사이에 동계전정
  2. ㉠ 12~3월 사이에 동계전정, ㉡ 6~8월 사이에 하계전정,
  3. ㉠ 4~5월 사이에 춘계전정, ㉡ 9~11월 사이에 추계전정
  4. ㉠ 9~11월 사이에 추계전정, ㉡ 4~5월 사이에 춘계전정
(정답률: 72%)
  • 가로수는 생육기간에 따라 전정을 실시합니다. 하계전정은 생장기에 들어서는 6~8월 사이에 수행하며, 잎이 많이 자란 상태에서 가지를 자르고, 가지의 길이를 조절하여 나무의 모양을 유지합니다. 동계전정은 휴면기인 12~3월 사이에 수행하며, 가지의 생장을 억제하고, 나무의 체력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6~8월 사이에 하계전정, ㉡ 12~3월 사이에 동계전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잔디병의 일종인 라지패치(large patc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형 또는 동공형 병징이 형성된다.
  2. 한국잔디에 발생율이 높은 고온성병이다.
  3. 북더기잔디(Thatch)의 집적을 유도하여 지면보온을 꾀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4. 발병지의 잔디는 구름형태로 시들고 직립경의 아래쪽에 병균이 침입하여 줄기가 쉽게 뽑혀 나온다.
(정답률: 62%)
  • "북더기잔디(Thatch)의 집적을 유도하여 지면보온을 꾀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라지패치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잔디병으로, 북더기잔디(Thatch)의 집적을 유도하여 지면보온을 꾀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토양의 구성은 3대 성분 또는 4대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토양의 4대 구성 성분으로만 구성된 것은?

  1. 모래, 점토, 공기, 물
  2. 광물질, 미생물, 물, 공기
  3. 유기물, 광물질, 교질물, 물
  4. 광물질, 유기물, 공기, 물
(정답률: 72%)
  • 정답은 "광물질, 유기물, 공기, 물" 입니다.

    토양의 4대 구성 성분은 광물질, 유기물, 공기, 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광물질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성분으로, 모래와 점토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유기물은 토양의 생물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성분으로, 죽은 식물이나 동물의 잔해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공기는 토양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며, 토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은 토양 내부의 수분을 의미하며, 식물의 생장과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4대 성분이 모두 포함된 토양이 가장 이상적인 토양 구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관리예산 책정시 작업률이 1/4이라면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1. 4년에 1회 작업을 한다.
  2. 분기별로 1회 작업을 한다.
  3. 작업시 1/4명이 참가한다.
  4. 작업당 소요시간이 1/4이다.
(정답률: 76%)
  • 작업률이 1/4이라는 것은 작업을 4번으로 나누어서 진행하며, 각 작업마다 전체 작업량의 1/4씩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4년에 1회 작업을 한다는 것은 4번의 작업을 모두 완료하는 데 4년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미치는 주요 피해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부적 이상비대
  2. 기주로부터 양분과 수분 탈취
  3. 저장물질의 변화 및 생장 둔화
  4. 태양광선의 차단에 의한 생장 불량
(정답률: 70%)
  • 태양광선은 식물의 광합성과 생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침입하면, 기생성 식물이 수목의 잎이나 가지 등을 덮어서 태양광선이 수목에 도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수목은 충분한 양의 태양광선을 받지 못하게 되어 생장이 둔화되고, 생장 불량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태양광선의 차단에 의한 생장 불량"이 거리가 먼 주요 피해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