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실내건축기사(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스케일(sca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케일은 라틴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도구를 나타내는것,즉 계단, 사다리를 뜻하는 고어이다.
  2. 휴먼스케일은 인간의 신체를 기준으로 파악, 측정되는 절대적인 크기이다.
  3. 실내디자인의 공간을 이해하고 디자인 하는 도구의 하나이다.
  4. 휴먼스케일이 잘 적용된 실내는 안정되고 안락한 느낌을 준다.
(정답률: 30%)
  • "휴먼스케일은 인간의 신체를 기준으로 파악, 측정되는 절대적인 크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휴먼스케일은 인간의 신체를 기준으로 파악하고 측정하는 것이 맞지만, 절대적인 크기가 아니라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 즉, 인간의 신체 크기를 기준으로 다른 물체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선이 갖는 조형심리적 효과에 대해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수직선은 구조적인 높이와 존엄성을 느끼게 한다.
  2. 수평선은 확대, 무한 등의 느낌을 줌과 동시에 감정을 동요시키는 특성이 있다.
  3. 사선은 생동감이 넘치는 에너지를 느끼게 하며, 동시에 안정되고 편안함을 준다.
  4. 곡선은 경쾌하며 남성적인 느낌을 들게 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수직선은 구조적인 높이와 존엄성을 느끼게 한다." 이유는 수직선은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높이와 근엄함을 느끼게 합니다. 이는 건축물이나 탑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심리에 영향을 미쳐 높이와 권위감을 느끼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의 전시공간의 동선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동선의 정체 현상은 입구와 출구가 분리된 경우 일반적으로 마지막 전시장과 출구 부분에서 가장 심하다.
  2. 동선은 대부분 복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복도는 3m 이상의 폭과 높이가 요구된다.
  3. 전시공간내의 전체동선체계는 주체별로 분류하면 관람객 동선, 관리자 동선 및 자료의 동선으로 구분된다.
  4. 관람객 동선은 일반적으로 접근, 입구, 전시실, 출구, 야외전시 순으로 연결된다.
(정답률: 42%)
  • "동선은 대부분 복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복도는 3m 이상의 폭과 높이가 요구된다." - 이 설명은 동선의 폭과 높이에 관한 것이며, 동선의 정체 현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재료의 질감(texture)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조
  2. 빛의 반사 또는 흡수
  3. 촉감
  4. 스케일
(정답률: 50%)
  • 재료의 질감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촉감과 스케일입니다. 촉감은 손으로 만졌을 때 느껴지는 느낌이며, 스케일은 재료의 크기와 모양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색조는 빛의 반사 또는 흡수와 관련이 있으며, 질감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백화점 실내공간의 색채계획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색상은 조명효과와 고객의 시각 심리를 함께 고려하여 정한다.
  2. 다양한 상품색이 혼합되어 있는 곳에서는 중채도의 색을 위주로 한 배색을 한다.
  3. 구매욕구를 북돋우기 위해 악센트색을 넓은 면적에 적용한다.
  4. 밝은 색조를 사용하면 어두운 색보다 공간의 크기가 확장되어 보인다.
(정답률: 68%)
  • "구매욕구를 북돋우기 위해 악센트색을 넓은 면적에 적용한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이는 고객의 시각 심리나 조명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구매욕구를 자극하기 위한 색채 계획으로 불충분하고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모듈(module)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계획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실내구성재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시공단계에서 조립 등의 현장작업이 단순해진다.
  2. 미적질서는 추구되나 설계단계에서 조정작업이 복잡해진다.
  3. 기본 모듈이란 기본척도를 10㎝로 하고 이것을 1M 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4. 공간구획시 평면상의 길이는 3M(30㎝)의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률: 53%)
  • "미적질서는 추구되나 설계단계에서 조정작업이 복잡해진다."가 부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모듈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계획은 모듈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서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미적인 디자인 요소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모듈 단위로 조정 작업이 필요할 수 있어서 복잡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 선분을 길이가 다른 두 선분으로 분할했을 때 긴 선분에 대한 짧은 선분의 길이의 비가 전체선분에 대한 긴 선분의 길이의 비와 같을 때 이루어지는 비례는?

  1. 피보나치 비율
  2. 정수비례
  3. 황금비
  4. 비대칭 분할
(정답률: 62%)
  • 이 비례는 "황금비"이다. 이유는 황금비는 긴 선분을 짧은 선분으로 분할할 때, 짧은 선분의 길이와 긴 선분에 대한 짧은 선분의 길이의 비가 같아지는 비례이기 때문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b)/a = a/b 이며, 이는 피보나치 수열과도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창과 문이 가지는 실용적인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와 빛의 통과(통풍과 채광)
  2. 전망과 프라이버시의 확보
  3. 사람을 통과시키는 개구부
  4. 공간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
(정답률: 47%)
  • "사람을 통과시키는 개구부"는 창과 문의 실용적인 기능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기능 중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기능들과 비교했을 때 거리가 먼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공간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은 창과 문이 가지는 기능 중에서도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기능들과는 조금 더 차별화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존 실내공간에 대한 개보수(renovation)의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기존도면이 있을 경우 별도의 실측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기존 건축구조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3. 기존 설비관련 사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 없다.
  4. 실측과 검사를 통해 공간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정답률: 71%)
  • 기존 실내공간을 개보수할 때는 실측과 검사를 통해 공간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는 기존 도면이나 사진 등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실측과 검사는 개보수 작업의 기본이며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기존 도면이 있을 경우에도 실측을 하지 않으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기존 건축구조나 설비관련 사항에 대한 재검토도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자인의 조화(통일성과 다양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통일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체가 개개의 부분들을 지배해야 한다.
  2. 여러가지 형태나 색의 다양성을 통일하면 조화가 이루어진다.
  3. 분명한 디자인의 개념은 통일성 있는 디자인의 기초가 된다.
  4. 통일성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주로 강조, 대칭 등이 있다.
(정답률: 55%)
  • 잘못된 설명은 "통일성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주로 강조, 대칭 등이 있다."입니다. 통일성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강조, 대칭 외에도 반복, 일관된 색상, 일관된 폰트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중 눈부심이 일어나기 쉬우며 빛에 의한 그림자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조명 방법은?

  1. 직접조명
  2. 반간접조명
  3. 간접조명
  4. 전반확산조명
(정답률: 44%)
  • 직접조명은 조명기구가 직접 물체를 비추는 방식으로, 눈부심이 일어나기 쉽고 빛에 의한 그림자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조명 방법입니다. 다른 조명 방법들은 빛을 분산시켜서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내디자인의 대상공간을 분류 기준으로 한 영역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거공간 디자인은 개인과 가족생활을 위한 다양한 주택내부를 디자인 하는 영역이다.
  2. 업무공간 디자인은 기업체 사무공간, 백화점, 공장등의 실내를 디자인 하는 영역이다.
  3. 상업공간 디자인은 소매점, 레스토랑 등의 실내를 디자인 하는 영역이다.
  4. 기념전시공간 디자인은 박물관, 전시관, 미술관 등의 실내를 디자인 하는 영역이다.
(정답률: 67%)
  • "업무공간 디자인은 기업체 사무공간, 백화점, 공장등의 실내를 디자인 하는 영역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업무공간 디자인은 기업체 사무공간, 공장, 병원, 학교 등 다양한 업무 공간을 디자인하는 영역입니다. 백화점은 상업공간 디자인의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승된 바닥은 다른 부분보다 중요한 공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2. 벽의 높이가 가슴 정도이면 주변공간에 시각적 연속성을 주면서도 특정 공간을 감싸주는 느낌을 준다.
  3. 천정의 높이는 실내공간의 사용목적과 관계없이 2.3 미터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4. 벽, 문틀, 문과의 관계에서 색상은 실내분위기 연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정답률: 83%)
  • "천정의 높이는 실내공간의 사용목적과 관계없이 2.3 미터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천정의 높이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체육관이나 공연장 등의 공간에서는 높은 천정이 필요하다. 또한, 인간의 심리적 안정감과 관련된 요소이기도 하므로, 실내공간의 크기와 사용목적,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천정의 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내장식물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실내 장식물은 기능은 없고 미적 효용성을 더해주는 물품을 말한다.
  2. 실내장식물은 공간을 강조하고 흥미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3. 실내장식물은 개성을 표현하는 자기 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다.
  4. 실내장식물은 배치장소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주변 물건들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정답률: 79%)
  • 실내장식물은 배치장소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주변 물건들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다른 설명들은 실내장식물의 미적 효용성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설명은 선택과 배치에 관한 내용이므로 관계가 없다.)

    실내장식물은 주로 실내 공간을 더욱 아름답고 흥미롭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분위기를 강조하고 개성을 표현하는 자기 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장식물을 선택할 때는 주변 물건들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상점의 동선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의 흐름은 공간적, 물리적인 흐름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인 흐름도 원활하도록 한다.
  2. 고객 동선은 흐름의 연속성이 상징적, 지각적으로 분할되지 않는 수평적 바닥이 되도록 한다.
  3. 고객의 동선은 고객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한 짧게 한다.
  4. 고객을 위한 통로폭은 최소 900m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74%)
  • "고객의 동선은 고객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한 짧게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고객의 편의를 위해 중요하지만, 다른 요소들과 상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품을 더 많이 진열하기 위해 공간을 확보해야 할 경우, 고객의 동선이 더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점의 동선 계획은 고객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도 다른 요소들과 균형을 맞춰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바닥, 벽, 천장)과 설치되는 가구, 기구들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는 디자인 단계 중 어느 단계인가?

  1. 공간설정의 단계
  2. 디자인 이미지의 구축단계
  3. 레이아웃(lay-out)단계
  4. 생활패턴의 파악단계
(정답률: 45%)
  • 레이아웃(lay-out)단계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바닥, 벽, 천장)과 설치되는 가구, 기구들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공간의 구성과 배치를 결정하게 되며, 이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하게 됩니다. 따라서 "레이아웃(lay-out)단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거공간의 영역구분(zoning)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행동의 목적에 따른 구분
  2. 공간의 사용시간에 따른 구분
  3. 공간의 분위기에 따른 구분
  4. 사용자의 범위에 따른 구분
(정답률: 63%)
  • 주거공간의 영역구분(zoning)에서 가장 부적당한 것은 "공간의 분위기에 따른 구분"이다. 이는 주거공간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으며, 주거공간에서는 보다 기능적인 영역구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행동의 목적에 따른 구분", "공간의 사용시간에 따른 구분", "사용자의 범위에 따른 구분"이 더 적절한 영역구분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내디자인의 영역이 건축영역에서 구분되고, 독립되기 시작한 배경으로 옳은 것은?

  1. 전문화, 정치화
  2. 통합화, 세분화
  3. 세분화, 전문화
  4. 정치화, 통합화
(정답률: 79%)
  • 실내디자인은 건축영역에서 구분되고 독립되기 시작한 배경으로, 이는 세분화와 전문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한 것이다. 이전에는 건축과 실내디자인이 하나의 분야로 통합되어 있었지만, 이제는 실내디자인 전문가들이 디자인을 담당하고 건축가들이 구조와 외관을 담당하는 등 역할이 분리되어 전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실내디자인의 전문성이 높아지고, 더욱 효과적인 디자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디자인의 기본요소인 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양한 모양을 갖는다.
  2. 크기가 없고 위치만 있다.
  3.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절대적으로 지각된다.
  4. 면과 선의 교차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58%)
  • 점은 크기가 없고 위치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모양을 갖을 수 있으며,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절대적으로 지각됩니다. 또한 면과 선의 교차점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디자인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은 목표설정 - 조건 - 분석 - 종합 - 결정의 순서로 진행된다. 다음 중 분석단계에서 행해져야 할 사항은?

  1. 총 공사비 산출
  2. 계획도면의 확정
  3. 자료분류 및 정보의 해석
  4. 실내 마감재 및 색채결정
(정답률: 83%)
  • 분석단계에서는 주어진 자료를 분류하고 정보를 해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해야 한다. 따라서 "자료분류 및 정보의 해석"이 분석단계에서 행해져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색료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blue
  2. cyan
  3. yellow
  4. magenta
(정답률: 57%)
  • "blue"는 3원색 중 하나가 아니라, 4원색 중 하나입니다. 3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며, 이 세 가지 색을 혼합하여 모든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4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에 더해진 시안(cyan)이나 마젠타(magenta)와 같은 색으로, 이들을 혼합하여 더욱 다양한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blue"는 3원색이 아니라 4원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가장 명도차가 큰 배색의 사례는?

  1. 파랑-빨강
  2. 연두-청록
  3. 파랑-주황
  4. 노랑-녹색
(정답률: 56%)
  • 노랑과 녹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명도차가 큰 배색이다. 이를 보색이라고도 부른다. 파랑과 빨강, 파랑과 주황, 연두와 청록도 비교적 명도차가 크지만, 노랑과 녹색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정답은 "노랑-녹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디자인 사조에서의 양식과 색채의 관계를 묶은 것이다. 잘못된 조합은?

  1. 미니멀리즘 -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지만 색채는 다양하게 사용
  2. 팝아트 -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조 사용하고 그 위에 혼란한 강조색 사용
  3. 데스틸 - 검정, 흰색과 빨강, 노랑, 파랑의 순수한 원색
  4. 아르누보 - 연한 파스텔계통의 부드러운 색조
(정답률: 40%)
  • 미니멀리즘은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면서도 색채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함과 색채의 다양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미니멀리즘의 강점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니멀리즘 -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지만 색채는 다양하게 사용"은 잘못된 조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색채조절시 고려해야 할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눈의 피로를 감소시켜야 한다.
  2. 작업의 활동적인 의욕을 높인다.
  3.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을 고려한다.
  4. 심미적인 조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정답률: 56%)
  • "작업의 활동적인 의욕을 높인다."는 색채조절과는 거리가 먼 요소이다. 색채조절은 주로 시각적인 측면에서 고려되는데, 작업의 활동적인 의욕은 심리적인 측면에서 고려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색채조절시에는 주로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거나 안전을 고려하며, 그 중에서도 심미적인 조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추상체와 간상체 양쪽이 작용하지만 상이 흐릿하여 보기 어렵게 되는 시각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색순응
  2. 박명시
  3. 암순응
  4. 중심시
(정답률: 71%)
  • 정답은 "박명시"이다. 박명시는 시각적으로 물체의 윤곽이나 경계가 흐릿하게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추상체와 간상체가 모두 작용하여 시각적 정보가 혼란스러워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시각적 정보의 처리가 어려워져서 물체의 경계나 윤곽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며 신경 및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색은?

  1. 회색
  2. 보라색
  3. 초록색
  4. 노란색
(정답률: 75%)
  • 초록색은 자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색으로, 심리학적으로 안정감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또한 눈이 편안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며, 근육 및 신경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초록색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빛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분광 된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또 분광이 된다.
  2. 가시광선에서 파장이 긴 부분은 푸른색을 뛴다.
  3. 가시광선의 범위는 380nm에서 780nm라고 한다.
  4. 자외선은 열 작용을 하므로 열선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52%)
  • 가시광선은 파장이 380nm에서 780nm인 범위 내에서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의 범위를 말한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자외선, 적외선 등의 빛이 존재하며, 이러한 빛들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다. 따라서 "가시광선의 범위는 380nm에서 780nm라고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채도의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순색으로 반사율이 높은 색이 채도가 높다.
  2. 반사량이 적은 색이 채도가 높다.
  3. 채도에서는 포화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4. 무채색도 채도 값이 있다.
(정답률: 56%)
  • "순색으로 반사율이 높은 색이 채도가 높다."는 채도란 색의 강도나 진하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순도가 높을수록 채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색이란 하나의 색상만으로 이루어진 색을 말하며, 이 순색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색의 순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채도도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장 짧은 파장의 빛은?

  1. 녹색
  2. 파랑
  3. 빨강
  4. 노랑
(정답률: 62%)
  • 가장 짧은 파장의 빛은 파랑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빛의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파란색은 다른 색상보다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감법혼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혼합색의 밝기는 사용색의 면적비에 의해 평균되어 나타난다.
  2. 감법혼색의 삼원색은 자주(M),황색(Y),녹색(G)이다.
  3. 혼합하면 할 수록 명도가 높아진다.
  4. 색을 혼합할 수록 색은 점점 탁하고 어두워진다.
(정답률: 67%)
  • 색을 혼합할 수록 색은 점점 탁하고 어두워진다는 이유는, 혼합된 색상에서는 빛이 각각의 색소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색소가 많이 혼합될수록 빛이 흡수되는 양이 더 많아져서 색이 어두워지고 탁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KS의 일반 색명은 어느 색명법에 근거를 두고 있는가?

  1. ASA
  2. CIE
  3. ISCC-NBS
  4. NCS
(정답률: 31%)
  • KS의 일반 색명은 ISCC-NBS 색명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는 KS가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BS)와 국제색채위원회(ISCC)에서 개발한 색명법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ISCC-NBS 색명법은 색의 특성을 고려하여 색을 분류하고 명명하는 방법으로, 색의 채도, 명도, 색조 등을 고려하여 색명을 결정한다. 이를 통해 색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색의 비교와 분류가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명등과 연색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청색은 백열등에서 약간 녹색을 띤다.
  2. 청색은 형광등에서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3. 나트륨등에서는 빨강이 강조된다.
  4. 적색은 백열등에서 더욱 선명하다.
(정답률: 48%)
  • "적색은 백열등에서 더욱 선명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백열등에서는 노란색과 주황색이 강조되며, 적색은 상대적으로 약해집니다.

    나트륨등에서 빨강이 강조되는 이유는 나트륨등이 방출하는 빛의 파장이 주로 노란색에서 빨강색에 이르기까지의 파장대에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빨강색이 더욱 강조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배색 중 인접색의 조화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연두 - 보라 - 빨강
  2. 주황 - 청록 - 자주
  3. 빨강 - 파랑 - 노랑
  4. 자주 - 보라 - 남색
(정답률: 62%)
  • 인접색이란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색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주황, 파랑과 초록 등이 인접색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인접색의 조화가 가장 가까운 것은 "자주 - 보라 - 남색"입니다. 이는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한 색상들이며, 비슷한 색조와 채도를 가지고 있어서 조화롭게 어우러집니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인접색의 조화가 조금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두 - 보라 - 빨강"은 연두와 빨강이 대비가 심해서 인접색의 조화가 조금 어색해 보입니다. "주황 - 청록 - 자주"는 청록과 주황이 대비가 심해서 인접색의 조화가 조금 어색해 보입니다. "빨강 - 파랑 - 노랑"은 빨강과 노랑이 대비가 심해서 인접색의 조화가 조금 어색해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먼셀표색계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잘못된 것은?

  1. 채도는 2, 4, 6 등과 같이 2단위로 구분하였으나, 저채도 부분에 1, 3을 더 추가하였다.
  2. 색상은 적, 황, 녹, 청, 자색을 기본색으로 하였다.
  3. 색표시법은 H C/V이다.
  4. 명도는 1단위로 구분하였으나 정밀한 비교를 감안하여 0.5단위로 나눈 것도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색표시법은 H C/V이다."이다. 실제로는 먼셀표색계에서는 색표시법으로 H V/C를 사용한다. H는 Hue(색상), V는 Value(명도), C는 Chroma(채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먼셀의 색상기호 "2.OYR 3.5/4.0"과 같은 관용색명은?

  1. 황토색(Yellow Ocher)
  2. 밤색(Maroon)
  3. 진분홍(Rose Carmine)
  4. 레몬색(Lemon Yellow)
(정답률: 16%)
  • "2.OYR 3.5/4.0"은 먼셀 색상시스템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관용색명으로 변환하면 "밤색(Maroon)"이 됩니다. 이는 어두운 빨강색으로, 와인색이나 체리색과도 비슷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문.스펜서의 면적효과에서 가장 잘 어울리는 강한 색과 약한 색의 면적의 비는?

  1. 3 : 5
  2. 4 : 26
  3. 7 : 20
  4. 12 : 32
(정답률: 40%)
  • 스펜서의 면적효과는 큰 면적의 색과 작은 면적의 색이 같은 경우에도 큰 면적의 색이 작은 면적의 색보다 더 강하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인 인지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강한 색과 약한 색의 면적 비율이 클수록 면적효과가 더욱 강해집니다. 따라서, "4 : 26"이 가장 잘 어울리는 답입니다. 즉, 큰 면적의 색이 작은 면적의 색보다 6.5배 더 큰 경우에 면적효과가 가장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색의 상징성과 관련된 내용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빨강 - 대륙으로는 아프리카 대륙을 상징
  2. 노랑 - 안전색채로는 주의 또는 경계를 상징
  3. 파랑 - 신분이나 연령으로는 원숙함을 상징
  4. 흰색 - 전통 오방에서 남쪽을 상징
(정답률: 73%)
  • 노랑은 시각적으로 눈에 띄기 때문에 주의를 끌고, 또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교통 신호등에서 노란색은 주의를 주고, 신호가 바뀌기 전에 멈추라는 경고를 합니다. 노란색은 또한 위험한 상황에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노란색은 안전색채로서 주의 또는 경계를 상징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세계의 어린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색으로 학문적으로는 사회과학을 나타내고, 기본적으로 자손의 번창을 의미하는 색은?

  1. 보라색
  2. 초록색
  3. 하늘색
  4. 노란색
(정답률: 45%)
  • 노란색은 태양의 빛과 따뜻함을 상징하는 색으로, 자연적으로 인간의 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색이다. 또한, 노란색은 부자와 번창을 상징하는 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의 어린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색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빨간 성냥불을 어두운 곳에서 돌리면 길고 선명한 빨간원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은?

  1. 색의 동화
  2. 색의 대비
  3. 색의 잔상
  4. 색의 시인성
(정답률: 67%)
  • 이러한 현상은 "색의 잔상"이다. 이는 빛이 눈에 들어와 시신경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데, 빨간 성냥불의 빛이 눈에 들어와 시신경에서 처리되는 동안 일부 빛이 눈에 남아서 빨간색의 원형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색의 시인성과도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색상대비의 효과가 가장 명료한 것은?

  1. 빨강/자주
  2. 빨강/파랑
  3. 파랑/보라
  4. 보라/검정
(정답률: 71%)
  • 빨강과 파랑은 색상환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이는 색상대비가 가장 높은 조합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빨강과 파랑을 함께 사용하면 눈에 더욱 뚜렷하게 들어오며, 시각적으로 더욱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그룹(Grouping)의 이론으로서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요인은?

  1. 크기의 요인
  2. 형태의 요인
  3. 위치, 접근의 요인
  4. 명도, 색상의 요인
(정답률: 41%)
  • 이 그림에서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진 원들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그룹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형태의 요인에 해당합니다. 형태의 요인은 동일한 모양, 패턴, 질감 등을 가진 요소들이 그룹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잔상(after-image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음잔상에서는 흑백이 뒤바뀐다.
  2. 잔상과 시각의 뒤바뀜은 관계가 없다.
  3. 잔상이란 망막이 자극을 받은 후 시신경의 흥분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4. 음잔상에서는 색의 보색이 보인다.
(정답률: 50%)
  • "잔상과 시각의 뒤바뀜은 관계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실 잔상은 시각의 뒤바뀜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잔상은 망막이 자극을 받은 후 시신경의 흥분이 일정 시간 동안 남아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 이 때 망막에서 받은 자극이 시각의 뒤바뀜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음잔상에서는 흑백이 뒤바뀌는 것은 망막에서 받은 자극이 반대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잔상과 시각의 뒤바뀜은 관계가 없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로 표지판이 가져야 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적당한 거리에서 볼 수 있어야 한다.
  2. 상징하고자 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암시해야 한다.
  3. 지리적 경계내에서 표준화되어야 한다.
  4. 다른 표지판과 디자인, 색상이 통일되어야 한다.
(정답률: 64%)
  • 다른 표지판과 디자인, 색상이 통일되어야 한다는 요건은 도로 표지판의 기능과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도로 표지판은 적절한 거리에서 볼 수 있어야 하고, 상징하고자 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암시해야 하며, 지리적 경계내에서 표준화되어야 한다는 요건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적색글씨를 청색바탕에 표시하면 입체로 보이며 눈이 피로해지는 이유는?

  1. 푸르킨예(Prukinje) 현상 때문
  2. 색맹 때문에
  3. 극성(Polarity) 현상 때문에
  4. 색입체시 현상 때문
(정답률: 23%)
  • 적색과 청색은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빛이 눈에 들어오는 각도가 다릅니다. 이 때문에 적색글씨를 청색바탕에 표시하면 입체감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색입체시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소리의 특성을 결정하는 물리량이 아닌 것은?

  1. 진동수
  2. 음의 강도
  3. 음원
  4. 음량
(정답률: 53%)
  • 음원은 소리의 특성을 결정하는 물리량이 아닙니다. 음원은 소리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는 소리의 원천을 의미합니다. 진동수는 소리의 높낮이를 결정하고, 음의 강도는 소리의 크기를 결정하며, 음량은 소리의 세기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리적 자극을 상대적으로 판단하는데 있어, 변화감지역은 사용되는 표준자극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은?

  1. Weber법칙
  2. Newton법칙
  3. 7+/-법칙
  4. Taylor법칙
(정답률: 60%)
  • Weber법칙은 물리적 자극을 상대적으로 판단하는데 있어, 변화감지역이 사용되는 표준자극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즉, 자극의 크기가 클수록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자극의 크기가 작을수록 변화를 더 잘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법칙은 간단하면서도 매우 중요한 법칙으로, 심리물리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인체측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키는 발바닥에서부터 머리 윗부분 끝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2. 곧게 앉은키는 허리를 곧게 뻗어 세운 상태에서 의자 자리판으로부터 머리끝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3. 엉덩이의 폭은 엉덩이의 가장 넓은 폭을 잰 측정값을 말한다.
  4. 넓적다리의 허용 높이는 의자 자리판으로부터 넓적다리와 골반이 만나는 윗부분까지의 수직길이이다.
(정답률: 50%)
  • 잘못된 설명은 "넓적다리의 허용 높이는 의자 자리판으로부터 넓적다리와 골반이 만나는 윗부분까지의 수직길이이다." 이다. 실제로는 넓적다리의 허용 높이는 의자 자리판으로부터 넓적다리와 무릎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무릎과 넓적다리 사이의 각도가 크면 허용 높이가 높아지고, 작으면 허용 높이가 낮아진다. 이는 자세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가 아닌 것은?

  1. 데이터모델
  2. 네비게이션모델
  3. 대화모델
  4. 윈도즈
(정답률: 35%)
  • 윈도우즈는 운영체제(OS)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가 아닙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모델, 네비게이션 모델, 대화 모델 등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표시등 계기 표시방식 중 판독 오류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수직식
  2. 수평식
  3. 반원식
  4. 창을 연 방식
(정답률: 38%)
  • 창을 연 방식이 가장 판독 오류율이 작은 이유는, 다른 방식들과 달리 숫자나 문자가 직접 보이기 때문에 인식이 쉽고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수직식이나 수평식은 글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한 글자를 잘못 읽으면 그 이후의 모든 글자들도 잘못 읽을 가능성이 높고, 반원식은 글자가 곡선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인식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인간공학적인 사고방식이 아닌 것은?

  1. 작업에 적합한 사람들을 선별하여 배치하는 방식 (fitting the human to the task)이 우선되어야 한다.
  2. 인간의 오류는 조작자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 관리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므로 시스템적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3. fail-safe, fool-proof등의 기능이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한다.
  4. 설비나 시스템을 사용자의 측면에서 설계한다.
(정답률: 42%)
  • "작업에 적합한 사람들을 선별하여 배치하는 방식 (fitting the human to the task)이 우선되어야 한다."가 인간공학적인 사고방식이 맞는 이유는, 인간공학은 인간의 능력과 한계를 고려하여 작업 환경을 설계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에 적합한 사람들을 선별하여 배치하는 것은 인간의 능력과 한계를 고려한 설계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간공학적인 사고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간공학의 연구분야를 묶은 것 중 비교적 적합치 못한 것은?

  1. 심리학 - 생리학 - 사회학
  2. 전자공학 - 심리학 - 기계공학
  3. 의학 - 사회학 - 경영학
  4. 환경심리학 - 환경의학 - 환경공학
(정답률: 48%)
  • 인간공학은 인간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시스템, 환경 등을 설계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의학 - 사회학 - 경영학"은 인간의 생리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분야인 경영학과 연관성이 적어 적합치 못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람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미각은?

  1. 짠맛
  2. 신맛
  3. 단맛
  4. 쓴맛
(정답률: 27%)
  • 사람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미각은 "쓴맛"입니다. 이는 과거에 쓴 것이 독성이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쓴맛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경계 신호로 작용하며, 다른 맛보다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적당한 거리를 둔 장소에서 적당한 강도의 빛을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차례차례 보내면 빛이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1. 입체감각
  2. 외관의 운동
  3. 이중상
  4. 착각
(정답률: 38%)
  • 이 현상은 "외관의 운동"이다. 외관의 운동은 물체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지해 있는 것이다. 이는 뇌가 연속적인 이미지를 받아서 물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와 강도, 시간 간격으로 빛을 보내면 빛이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사람의 직립자세에서 상향시선의 한계는?

  1. 30도
  2. 40도
  3. 50도
  4. 60도
(정답률: 21%)
  • 사람의 눈은 머리 위쪽으로 너무 많이 올리면 눈꺼풀이 눈을 가리게 되어 시야가 제한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의 직립자세에서 상향시선의 한계는 약 50도 정도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신적 활동이 둔화되고 반응이 늦으며 착오가 시작되는 실내온도는?

  1. 10℃
  2. 18℃
  3. 24℃
  4. 29℃
(정답률: 25%)
  • 정신적 활동과 반응 속도는 온도가 낮을수록 빨라지고, 온도가 높을수록 둔화됩니다. 따라서 29℃는 정신적 활동이 둔화되고 반응이 늦어지며 착오가 시작되는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건강한 성인의 귀에 가장 민감한 소리의 진동수는?

  1. 100 Hz
  2. 500 Hz
  3. 3000 Hz
  4. 10,000 Hz
(정답률: 17%)
  • 건강한 성인의 귀는 주로 20 Hz에서 20,000 Hz까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3000 Hz는 인간의 대화 소리나 음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는 진동수 중 하나입니다. 또한, 이 진동수는 귀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진동수 범위에 속하므로 더욱 민감하게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조도(illumination)의 단위는?

  1. 칸델라(candela)
  2. 룩스(lux)
  3. 왓트(watt)
  4. 루멘(lumen)
(정답률: 43%)
  • 조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룩스(lux)로 표시됩니다. 룩스는 1평방미터의 면적에 1루멘의 광도가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의 조도입니다. 즉, 루멘은 빛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룩스는 그 빛이 퍼져있는 면적에 대한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손의 기본 지각기능에서 정보수집의 종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입체식별 기능
  2. 중량식별 기능
  3. 색 식별 기능
  4. 경도식별 기능
(정답률: 72%)
  • 손의 기본 지각기능에서 정보수집의 종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색 식별 기능"입니다. 이는 손으로 색깔을 구별하는 것이 다른 정보수집 기능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손의 입체식별 기능은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하고, 중량식별 기능은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며, 경도식별 기능은 물체의 표면의 거칠기와 매끄러움을 인지합니다. 이러한 정보수집 기능들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며, 손의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동차 제동폐달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퇴부와 경부의 각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90도
  2. 180도
  3. 120도
  4. 150도
(정답률: 47%)
  • 자동차 제동폐달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퇴부와 경부의 각도를 120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대퇴부와 경부의 각도가 90도일 경우에는 발목과 무릎에 부담이 가해지고, 180도일 경우에는 발목과 엉덩이에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120도로 유지하면 발목과 무릎, 엉덩이에 부담이 골고루 분산되어 안정적인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마음껏 양팔을 편 경우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영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상작업 영역(normal working area)
  2. 평면작업 영역(working area in horizontal plan)
  3. 최대작업 영역(maximum working area)
  4. 수직면작업 영역(working area in vertical plan)
(정답률: 53%)
  • 양팔을 최대한 펴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은 최대작업 영역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다른 작업 영역들보다 더 큰 범위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상작업 영역은 일반적인 작업 영역을 의미하며, 평면작업 영역은 바닥이나 테이블과 같은 수평면에서의 작업 영역을 의미합니다. 수직면작업 영역은 벽면이나 천장과 같은 수직면에서의 작업 영역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합성수지, 아스팔트, 안료 등에 건성유나 용제를 첨가한 것으로, 건조가 빠르고 광택, 작업성, 점착성 등이 좋아 주로 옥내 목부바탕의 투명마감도료로 사용되는 것은?

  1. 바니쉬
  2. 래커 에나멜
  3. 에폭시 수지 도료
  4. 광명단
(정답률: 47%)
  • 바니쉬는 건성유나 용제를 첨가한 투명마감도료로, 건조가 빠르고 광택, 작업성, 점착성 등이 좋아 옥내 목부바탕의 투명마감도료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파티클보드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이용된다.
  2. 온도에 의한 변형이 크다.
  3. 흡음, 단열, 차단성이 양호하다.
  4. 합판에 비해 휨강도는 떨어지나 면내 강성은 우수하다.
(정답률: 27%)
  • 정답은 "온도에 의한 변형이 크다."이다. 파티클보드는 합판의 일종으로 나무 파티클을 접착제로 묶어 만든 제품이다. 합판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여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이용된다. 또한 흡음, 단열, 차단성이 양호하다. 하지만 온도에 의한 변형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합판에 비해 휨강도는 떨어지나 면내 강성은 우수하다는 이유는 파티클보드가 나무 파티클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티클의 방향에 따라 강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내에서는 강하고 휨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목재의 건조방법중 인공건조법이 아닌 것은?

  1. 열기건조법
  2. 전기건조법
  3. 침수건조법
  4. 증기건조법
(정답률: 46%)
  • 침수건조법은 목재를 물에 담그거나 물에 잠긴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인공건조법이 아닌 자연건조법에 해당한다. 이 방법은 주로 수상 건축물이나 수중 구조물 등에서 사용되며, 목재 내부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집성재(集成材)에 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소재의 강도 및 탄성을 충분히 활용한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2. 대단면, 만곡재 등 임의의 단면형상을 갖는 인공목재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3. 여러 개의 작은 단면을 합칠 때는 합판과 같이 섬유방향을 직교(直交)시킨다.
  4. 제재품이 가진 옹이 등의 결점을 분산시키므로 강도에 변화가 적다.
(정답률: 13%)
  • "소재의 강도 및 탄성을 충분히 활용한 인공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가 부적당하다. 이는 오히려 올바른 설명이다. 집성재는 여러 개의 작은 나무 조각을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인공목재로, 이 과정에서 소재의 강도와 탄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강력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인공목재를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석고 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드용 석고플라스터는 바탕과의 부착력이 강하고, 석고라스 보드 바탕에 적합하다.
  2. 수축률이 크고 균열이 쉽게 생긴다.
  3.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는 부위에는 부적합하다.
  4.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화성이 있다.
(정답률: 37%)
  •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것은 석고 플라스터의 특징이 아니라 내화성이 있는 다른 재료의 특징이다. 따라서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것은 석고 플라스터의 특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수축률이 크고 균열이 쉽게 생기는 이유는 석고 플라스터가 물에 용해되어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건조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건조 과정에서 부피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수축률이 크고 균열이 쉽게 생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기경성이 아닌 미장 재료는?

  1. 소석회
  2. 시멘트 모르터
  3. 회반죽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29%)
  • 시멘트 모르터는 기경성이 아닌 미장 재료이다. 기경성은 석고, 석회, 흑연 등으로 만들어진 미장재료로, 시멘트 모르터는 시멘트와 모래, 물을 섞어 만든 미장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세라믹재료에 대한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내열성, 화학저항성이 우수하다
  2. 내후성이 나쁘며, 취성이다.
  3. 단단하고, 압축강도가 높다.
  4. 전기절연성이 있다.
(정답률: 63%)
  • "내후성이 나쁘며, 취성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세라믹재료의 특성 중 하나인 내식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취성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료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세라믹재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재료의 단열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재료의 단열성은 재료 두께에 비례한다.
  2. 열전도율은 재료가 절건상태일 때 가장 크고 함수율이 증대할 수록 작아진다.
  3. 동일재료라도 표면이 거칠수록 열전달이 적고 단열성이 높아진다.
  4. 일반적으로 재료밀도와 열전도는 무관하다.
(정답률: 16%)
  • 재료의 단열성은 열전달이 얼마나 어렵게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작을수록 단열성이 높아진다. 표면이 거칠수록 열전달이 적어지는 이유는, 표면이 거칠어질수록 열이 전달되는 경로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전달이 어려워져서 단열성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콘크리트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물시멘트비는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인자이다.
  2. 공기연행제를 넣으면 강도가 증가한다.
  3. 추우면 경화가 지연되므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어느 정도에 도달할 때까지 보온 양생을 한다.
  4. 결합재로 시멘트 대신 레진을 이용한 콘크리트를 레진 콘크리트라 한다.
(정답률: 36%)
  • "공기연행제를 넣으면 강도가 증가한다."는 틀린 내용이다.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내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콘크리트의 크리프변형에 관한 기술로서 틀린 것은?

  1.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다.
  2. 부재의 건조 정도가 높을수록 크다.
  3. 재하개시의 재령이 짧을수록 커진다.
  4. 부재의 단면치수가 클수록 커진다.
(정답률: 48%)
  • "부재의 단면치수가 클수록 커진다."는 틀린 것이다. 크리프변형은 부재의 크기와는 무관하며,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부재의 건조 정도가 높을수록, 재하개시의 재령이 짧을수록 크리프변형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금속재의 방식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상이한 금속은 이를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한다.
  2. 균질의 것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큰 변형을 주지 않는다.
  3. 표면을 평활, 청결하게 하고 가능한 한 건조상태로 유지한다.
  4.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풀림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0%)
  • 정답: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풀림하여 사용한다."

    이유: 큰 변형을 준 금속은 이미 구조적으로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다시 사용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풀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금속재를 사용할 때 중요한 점들이며, 가능한 상이한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키는 것은 서로 다른 금속들이 상호작용하여 더 강한 성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실리콘(Silicon) 수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탄성을 가지며 내후성 및 내화학성 등이 아주 우수하기 때문에 접착제, 도료로서 주로 사용된다.
  2. 70℃~80℃의 고온에서는 연화되는 단점이 있다.
  3. 가소물이나 금속을 성형할 때 이형제로 쓸 수 있을정도로 피복력이 있다.
  4. 발수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 전기 절연물 등의 방수에 쓰인다.
(정답률: 47%)
  • 실리콘(Silicon) 수지에 대한 설명 중 "70℃~80℃의 고온에서는 연화되는 단점이 있다."가 틀린 것이다. 실리콘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화학성과 내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접착제, 도료, 방수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합성섬유 중 유연하고 울에 가까운 감촉을 가지며, 염색성, 내광성이 있어 의료, 침구, 실내 카펫 등의 인테리어 재료에도 이용되고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아크릴섬유
  2. 탄소섬유
  3. 폴리에스테르섬유
  4. 폴리비닐알코올섬유
(정답률: 37%)
  • 아크릴섬유는 유연하고 울에 가까운 감촉을 가지며, 염색성과 내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의료, 침구, 실내 카펫 등의 인테리어 재료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콘크리트 혼화제인 고성능 감수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의 감수제에 비하여 시멘트 입자의 분산 성능이 현저히 높다.
  2. 사용량에 대한 제한이 적다.
  3. 단위수량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4.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에는 부적당하다.
(정답률: 44%)
  • 고성능 감수제는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에 부적당하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감수제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에는 감수제 대신 고성능 플라스틱라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페인트에 관한 기술로서 틀린 것은?

  1. 보일유는 건조를 빠르게 하고 피막의 강도를 증대시킨다.
  2. 에나멜 페인트는 보통 유성 페인트보다 광택이 없으며 피막이 견고하지 않다.
  3. 유성 페인트는 모르터 면의 알카리성에 의해 손상을 입는다.
  4. 수성 페인트는 광택이 없고 내부마감면에 주로 쓴다.
(정답률: 50%)
  • 에나멜 페인트는 보통 유성 페인트보다 광택이 없으며 피막이 견고하지 않다는 것은 틀린 것이다. 오히려 에나멜 페인트는 유성 페인트보다 더 광택이 있고, 피막이 더 견고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리석의 쇄석, 백색시멘트, 안료, 물을 혼합하여 매끈한면에 타설후 가공 연마하여 대리석과 같은 광택을 내도록한 제품은?

  1. 테라조
  2. 의석(모조석)
  3. 수지계 인조석
  4. 감람석
(정답률: 38%)
  • 테라조는 대리석과 같은 광택을 내는 인조석으로, 대리석의 성질을 모방하기 위해 대리석의 주요 성분인 석회암과 백색시멘트, 안료, 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이후 가공 연마하여 매끈한면에 타설하면 대리석과 같은 광택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테라조는 대리석의 모조석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금속제품 중 천장재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코르크 판
  2. 알루미늄 타일
  3. 와이어 메쉬
  4. 스팬드럴 패널
(정답률: 14%)
  • 와이어 메쉬는 천장재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구멍이 많아서 불편하고 보기에도 좋지 않습니다. 또한 천장에 부착하기에는 너무 얇고 부드러워서 강도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천장재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의 금속재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스테인레스강은 내화, 내열성이 크며, 녹이 잘 슬지 않는다.
  2. 동은 화장실 주위와 같이 암모니아가 있는 장소에서는 빨리 부식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3. 알루미늄은 콘크리트에 접할 경우 부식되기 쉬우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청동은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장식 철물 또는 미술공예 재료에 사용된다.
(정답률: 40%)
  • "알루미늄은 콘크리트에 접할 경우 부식되기 쉬우므로 주의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정답은 "청동은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장식 철물 또는 미술공예 재료에 사용된다." 이다. 청동은 구리와 주로 주조용으로 사용되며, 건축장식이나 미술공예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건물의 바닥 끝맺임 재료로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모자이크 타일
  2. 아스팔트 타일
  3. 사이딩 보드
  4. 고무 타일
(정답률: 39%)
  • 사이딩 보드는 건물의 바닥 끝맺임 재료로는 부적당합니다. 왜냐하면 사이딩 보드는 일반적으로 벽체를 덮는 재료로 사용되며, 바닥에 사용하기에는 내구성과 방수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닥 끝맺임 재료로는 다른 보기들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타일에 관한 설명중 부적합한 것은?

  1. 내수성이 크고, 흡수율이 작으며, 경량, 내화, 형상과 색조의 자유로움 등의 우수한 성질이 있다.
  2. 조적조와 철근 콘크리트조의 내, 외벽 및 바닥뿐만 아니라 목조의 외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바닥용 타일은 시유타일이며 건식법으로 제조된다.
  4. 일반적으로 외장타일은 내장타일보다 흡수율이 낮다.
(정답률: 28%)
  • "바닥용 타일은 시유타일이며 건식법으로 제조된다."가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올바른 설명이 아니며, 바닥용 타일은 건식법 뿐만 아니라 습식법으로도 제조된다. 건식법은 건조한 분말 상태의 재료를 압축하여 제조하는 방법이고, 습식법은 물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계단실의 창문은 망이 들어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m2 이하로 할 것.
  2.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8 m 이상으로 하고 그 출입구에는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4.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정답률: 58%)
  •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계단실의 창문은 망이 들어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m2 이하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계단실 내부의 환기와 채광을 위한 조건으로, 창문의 면적은 1m2 이하로 제한되어야 하지만 망이 들어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모더니즘(Modernism)을 추구하는 데 스틸 그룹의 주장과 관련한 내용 중 부적합한 것은?

  1. 전통성의 영향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디자인을 추구
  2. 회화에서 비롯된 네오 플래스티시즘을 추구
  3. 절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3원색만을 사용
  4. 가시적 실재를 지배하고 있으나 사물의 외양에 의해 감추어져 있는 보편적인 법칙을 추구
(정답률: 14%)
  • "전통성의 영향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디자인을 추구"는 스틸 그룹의 주장과 관련한 내용 중 올바른 내용입니다. 이유는 모더니즘은 전통적인 디자인 원칙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술과 재료를 활용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조적조에서 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벽길이
  2. 벽높이
  3. 벽쌓기법
  4. 건축물의 층수
(정답률: 41%)
  • 조적조에서 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요소는 "벽쌓기법"입니다. 벽쌓기법은 벽돌이나 돌을 쌓는 방법으로, 벽돌의 크기와 쌓는 방법에 따라 벽체의 두께가 결정됩니다. 벽길이와 벽높이는 벽체의 크기를 결정하지만, 벽체의 두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건축물의 층수는 건축물의 높이를 결정하지만, 벽체의 두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근린생활시설의 주계단의 난간 손잡이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이고 최대지름은 3.2cm 이상 3.8cm 이하로 한다.
  2. 벽 등으로부터 3cm 이상 떨어져 설치한다.
  3. 계단으로부터 높이 85cm 위치에 설치한다.
  4. 계단끝 수평부분에서의 손잡이는 30cm 이상 밖으로 나오도록 설치한다.
(정답률: 67%)
  • "벽 등으로부터 3cm 이상 떨어져 설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손잡이가 벽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규정이다. 벽과 너무 가까이 설치하면 손잡이를 잡을 때 벽과 부딪히거나 벽에 손잡이가 끼일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그리스 신전에 사용된 착시 교정 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은 위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 들면서 배흘림을 갖도록 하였다.
  2. 모서리쪽의 기둥 간격을 보다 좁게 하였다.
  3. 기둥과 같은 수직 부재를 위쪽으로 갈수록 약간 바깥쪽으로 기울게 하였다.
  4. 기단, 아키트레이브, 코니스에 의해 형성되는 긴 수평선을 위쪽으로 약간 불룩하게 하였다.
(정답률: 39%)
  • "기둥은 위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면서 배흘림을 갖도록 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그리스 신전에서는 기둥의 직경이 위로 갈수록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는 착시 교정을 위한 수법 중 하나이다. 기둥과 같은 수직 부재를 위쪽으로 갈수록 약간 바깥쪽으로 기울이는 이유는 시각적으로 기둥이 뒤로 물러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신전이 더 크고 웅장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41m를 넘는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 4,000m2)이고 최대층의 바닥면적이 2,000m2(거실 바닥면적은 1,500m2)일 때 비상용 승강기의 최소 설치대수는?

  1. 1대
  2. 2대
  3. 3대
  4. 4대
(정답률: 28%)
  • 최대층의 바닥면적이 2,000m2이므로, 이보다 높은 층에 있는 건물 사용자들은 이 최대층에 있는 건물 사용자들과 같은 비상용 승강기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최대층보다 높은 층에 있는 건물 사용자들을 위해 적어도 2대의 비상용 승강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건축물의 계단 및 복도의 설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는 경사도가 1 : 8을 넘지 아니할 것
  2. 높이가 3m 를 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0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
  3. 초등학교의 계단인 경우에는 단높이는 16㎝ 이하 단, 너비는 26㎝ 이상으로 할 것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으로 쓰이는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는 120㎝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50%)
  • "높이가 3m 를 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0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계단참의 너비가 아니라 계단의 너비를 말하는 것이다. 계단참은 계단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추가적인 구조물로, 계단의 너비와는 별개로 설치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축법상 피난시설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피난층은 하나의 건축물에 2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
  2. 직통계단은 각 거실부분으로부터 규정된 보행거리 이내에 있어야 한다.
  3. 직통계단은 피난층이나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어야 한다.
  4. 5층 이상의 층을 소매시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난의 용도로 쓸 수 있는 옥상광장을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29%)
  • "피난층은 하나의 건축물에 2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는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부적절한 설계로, 하나의 건축물에는 하나의 피난층만 설치해야 한다. 이유는 다른 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피난층이 사용 불가능해질 경우, 다른 피난층으로 대체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보철근 배근에서 주근의 이음위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보의 지점으로부터 스팬(span)의 1/2되는 곳
  2. 압축력이 가장 적은 곳
  3. 인장력이 가장 적은 곳
  4. 보의 지점으로부터 스팬(span)의 1/4되는 곳
(정답률: 48%)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보철근은 인장력을 견디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보철근의 이음 위치는 인장력이 가장 적은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유는 이음 부분에서 인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인장력이 적은 곳에 위치하면 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근의 이음위치로는 "인장력이 가장 적은 곳"인 보의 지점으로부터 스팬(span)의 1/2되는 곳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가구식 구조에 속하는 것은?

  1. 블록 구조
  2. 벽돌 구조
  3. 돌 구조
  4. 철골 구조
(정답률: 13%)
  • 가구식 구조는 건물의 구조물이 지면 위에 있는 것으로, 지하실이 없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철골 구조는 철과 강철로 만든 구조물로, 경량화되어 강도가 높고 건축물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철골 구조는 건축물의 크기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구식 구조 중에서도 철골 구조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고대 메소포타미아 건축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치 및 볼트의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2. 건축의 주재료는 석재를 사용하여 건축하였다.
  3. 모든 도시는 성곽으로 방어되어있다.
  4. 지구라트는 이집트의 피라미드와는 달리 종교적인 행사를 위한 신전이다.
(정답률: 20%)
  • 고대 메소포타미아 건축의 특징은 아치 및 볼트의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는 것과 건축의 주재료는 석재를 사용하여 건축하였다는 것입니다. 이는 석재가 지역적으로 풍부하였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대형 건축물을 건설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건축의 주재료는 석재를 사용하여 건축하였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목조건물의 내진(耐震)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기초의 구조치수와 형태
  2. 축조부재의 치수
  3. 가새의 배치법과 치수
  4. 지붕의 구조와 형태
(정답률: 36%)
  • 목조건물의 내진(耐震)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새의 배치법과 치수이다. 이는 건물의 전체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가새는 건물의 지붕과 바닥을 연결하는 중요한 부재로,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새의 배치법과 치수를 적절하게 설계하여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단순조적블록쌓기에서 블록하루쌓기의 표준 높이로 맞는 것은?

  1. 1.5m 이내
  2. 1.2m 이내
  3. 2.1m 이내
  4. 1.8m 이내
(정답률: 25%)
  • 단순조적블록쌓기에서는 블록을 쌓을 때마다 높이가 일정하게 증가하지만, 블록하루쌓기에서는 블록을 쌓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높이가 더 높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표준 높이를 너무 높게 잡으면 작업자들이 불편하게 느낄 수 있고, 안전에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1.5m 이내로 설정하여 작업자들의 편의와 안전을 고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스승으로서 구조의 대가이며 평지붕, 옥상정원을 그의 프랭클린가의 저택에서 설계했던 건축가는?

  1. 토니 가르니에(Tony Garnier)
  2. 어거스트 페레(August Perret)
  3. 피레 쟌네레(Pirre Janneret)
  4. 오쟝팡(A.Ozeafaut)
(정답률: 53%)
  • 어거스트 페레는 르 꼬르뷔지에의 스승으로서 구조의 대가였으며, 프랭클린가의 저택에서 평지붕과 옥상정원을 설계한 건축가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작품으로는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판스워스 하우스 등이 있으며, " 자유로운 평면과 명쾌한 구조는 서로 뗄 수없는 것이다. 구조는 전체의 골격이며, 자유로운 평면을 가능하게 해 준다."라고 말한 사람은?

  1. 미스 반 델 로에
  2.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3. 월터 그로피우스
  4. 르 코르뷔지에
(정답률: 54%)
  • 미스 반 델 로에는 자유로운 평면과 명쾌한 구조를 중요시하며, 구조가 전체의 골격이 되어 자유로운 평면을 가능하게 한다는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바르셀로나 파빌리온과 판스워스 하우스 등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철학이 반영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로마네스크 건축(Romanesque Architecture)의 실내 공간 특징에 관한 다음의 기술 중 틀린 것은?

  1. 네이브 부분의 천장에 목조 트러스가 주로 사용되었다.
  2. 높은 천정고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적 기초가 닦였다.
  3. 3차원적인 기둥간격의 단위로 구성되어졌다.
  4. 교차 그로인 볼트를 볼 수 있다.
(정답률: 23%)
  • "네이브 부분의 천장에 목조 트러스가 주로 사용되었다."가 틀린 기술입니다. 로마네스크 건축에서는 네이브 부분의 천장에 돌로 만든 천장 아치가 사용되었습니다. 목조 트러스는 고대 중세 건축에서 사용되었으며, 로마네스크 건축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목재 접합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이음: 좁은 폭의 널을 옆으로 붙여 그 폭을 넓게 하는 것
  2. 쪽매: 두 재를 직각 또는 경사지게 접합하는 것
  3. 맞춤: 두 재를 맞대고 같은 재로 나비형의 은장을 만들어 끼운 접합
  4. 연귀: 직교되거나 경사로 교차되는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빗잘라대는 것
(정답률: 44%)
  • 연귀는 부재가 직교되거나 경사로 교차될 때, 그 부재의 마구리를 보이지 않게 빗잘라 대는 접합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재의 연결 부분이 깔끔하고 강력하게 연결되어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방시설 중에서 소화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
  2. 연결송수관설비
  3. 연결살수설비
  4. 소화기구
(정답률: 53%)
  • 소방시설 중에서 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불을 끄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소화기구는 소방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소방관이나 일반인이 화재 발생 시 불을 끄는 데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소화기구"가 소화설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경량 철골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택, 간이 창고 등 소규모의 구조물에 쓰인다.
  2.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강관구조에 비해 강하다.
  3. 가공, 조립이 용이하다.
  4. 경량철골재의 접합은 리벳, 볼트, 용접법이 쓰이며 또한 드라이비트, 그립볼트 등이 사용된다.
(정답률: 48%)
  •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강관구조에 비해 강하다."가 틀린 것이다. 경량 철골조는 강관구조에 비해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약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경량 철골조의 단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비상경보설비설치를 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1. 무창층 - 바닥면적 200m2 이상
  2. 지하층 - 바닥면적 150m2 이상
  3. 공연장 - 바닥면적 100m2 이상
  4. 지하가 중 터널 - 길이 500m 이상
(정답률: 21%)
  • 무창층은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우므로 비상경보설비 설치가 필요하며,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무창층 - 바닥면적 200m2 이상"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기온 20℃, 습구온도 20℃일 때 불쾌지수 DI(DiscomfortIndex)를 구하고 불쾌여부를 판정하면?

  1. 59.4-불쾌하지 않다.
  2. 69.4-불쾌하지 않다.
  3. 79.4-불쾌하다.
  4. 89.4-불쾌하다.
(정답률: 41%)
  • 불쾌지수(DI)는 기온과 습도에 따라 인체의 불쾌감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DI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DI = 0.81 × 기온 + 0.01 × 습도(%) × (0.99 × 기온 - 14.3) + 46.3

    따라서, 기온이 20℃이고 습구온도가 20℃일 때 DI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DI = 0.81 × 20 + 0.01 × 100 × (0.99 × 20 - 14.3) + 46.3
    = 16.2 + 1.37 + 46.3
    = 63.87

    계산 결과 DI는 63.87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9.4-불쾌하지 않다." 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불쾌하지 않은 날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배관재료 중 내압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가스공급관, 지하매설관, 오수배수관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동관
  2. 배관용 탄소강관
  3. 연관
  4. 주철관
(정답률: 16%)
  • 주철관은 내압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가스공급관, 지하매설관, 오수배수관 등에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동관은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내압성이 부족하고, 배관용 탄소강관은 내식성과 내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연관은 주로 가정용 수도관에 사용되며, 주철관과는 용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여름철 일사를 받는 대공간 아트리움의 환기시 자연환기가 발생되는 주동력원은 무엇인가?

  1. 밀도차에 의한 환기
  2. 풍압차에 의한 환기
  3. 습도차에 의한 환기
  4. 개구부에 의한 환기
(정답률: 54%)
  • 밀도차에 의한 환기는 공기의 밀도가 다른 두 지점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고온과 저온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움직여서 환기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여름철 일사를 받는 대공간 아트리움에서는 고온과 저온의 공기 밀도차가 발생하여 자연환기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조명기구의 배치에 있어 벽과 조명기구 중심까지의 거리 S로서 적절한 것은? (단, H는 작업면에서 조명기구 까지의 높이)

  1. S≦H
  2. S≦1.5H
  3. S≦2H
(정답률: 40%)
  • 조명기구와 벽 사이의 거리 S는 작업면에서 조명기구까지의 높이 H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S가 너무 가깝다면 벽면에 그림자가 생겨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고, 너무 멀다면 조명이 흩어져 작업면에 충분한 조명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보기 중에서 S≦1.5H이 적절한 이유는, 이 거리를 유지하면 조명이 작업면에 충분히 도달하면서도 벽면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S≦H보다는 S가 조금 더 멀리 떨어져 있어야 작업면에 더 넓은 범위의 조명이 도달할 수 있다. S≦2H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작업면에 충분한 조명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음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 높이, 음색을 음의 3요소라 한다.
  2. 가청 주파수의 범위는 20-20000 Hz이다.
  3. 음의 에너지 밀도란 단위시간에 단위체적당 존재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4. 어떤음이 다른음을 들리기 곤란하게 하는 것은 호이겐스현상 때문이다.
(정답률: 50%)
  • 어떤음이 다른음을 들리기 곤란하게 하는 것은 호이겐스현상 때문이 아니라, 음의 주파수가 서로 비슷하여 인지하기 어렵거나 혼동되는 것을 말한다. 호이겐스현상은 두 개의 음파가 만나면 서로 간섭하여 파동의 진폭이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다음 중 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1. 기온
  2. 주파수
  3. 풍속
  4. 음의 세기
(정답률: 20%)
  • 기온은 음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을수록 음파의 속도는 빨라지고, 기온이 낮을수록 음파의 속도는 느려집니다. 이는 기온이 높을수록 공기 분자들이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음파가 전달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의 속도에도 기온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건물구조체의 결로현상과 관련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구조체의 노점온도 구배선보다 구조체의 온도 구배선이 낮은 부위에서 결로가 발생한다.
  2. 구조체의 임의 부분에서 수증기압이 포화수증기압보다 크면 결로가 발생한다.
  3. 건물의 기밀성을 강화하고 성능을 높게 할수록 결로가 발생할 확률이 감소한다.
  4. 구조체의 각 재료층 투습저항값을 외부에 면한 방향으로 작게 구성할수록 결로발생이 줄어든다.
(정답률: 16%)
  • "건물의 기밀성을 강화하고 성능을 높게 할수록 결로가 발생할 확률이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건물의 기밀성이 강화되면 실내 공기가 실외 공기와 교환되는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증기가 축적되어 결로 발생 확률이 오히려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열관류량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열류에 접촉되어 있는 표면적
  2. 실내외의 온도 차이
  3. 벽체의 길이
  4. 열관류율
(정답률: 53%)
  • 열류에 접촉되어 있는 표면적, 실내외의 온도 차이, 열관류율은 모두 열관류량을 결정하는 요인이지만, 벽체의 길이는 열관류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벽체의 길이는 열전도성과 관련이 있으며, 열전도성이 높을수록 열이 빠르게 전달되므로 열관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열류량 자체를 결정하는 요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빛에너지가 단위 입체각을 통과하는 비율이다.
  2. 조도의 단위는 루멘(lm)이다.
  3. 표면의 밝기 정도이며 광원이 빛나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
  4. 수조면의 단위면적에 입사하는 광속의 양을 말한다.
(정답률: 36%)
  • 조도는 일정한 면적에 입사하는 광속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수조면의 단위면적에 입사하는 광속의 양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빛의 양이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중 음크기 레벨의 단위는?

  1. N/m2
  2. W/m2
  3. Hz
  4. Phon
(정답률: 53%)
  • Phon은 소리의 청취감을 나타내는 단위로, 소리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음크기 레벨의 단위로 사용됩니다. N/m2는 압력의 단위, W/m2는 에너지 밀도의 단위, Hz는 주파수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실내의 쾌적한 공기환경을 위한 설계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은 재료를 사용한다.
  2. 최적의 환기가 되도록 설계한다.
  3. 자연환기는 고려하지 않고 기계환기로만 설계한다.
  4. 휘발성 유기용제는 실내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이다.
(정답률: 75%)
  • 자연환기는 고려하지 않고 기계환기로만 설계한다는 것은 인공적인 방법으로만 공기를 순환시키겠다는 것이므로, 자연적인 공기순환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에너지 소비 증가와 함께 실내 공기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계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음향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잔향시간은 실의 체적, 벽체면적 및 벽체의 흡음률에 의해 결정된다.
  2. 콘서트홀 설계시 되도록 발코니를 설치하여 시각적, 음향적 효과를 이용하도록 한다.
  3. 실의 용도와 무관하게 울림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반향 발생의 방지를 위해서 직접음과 반사음의 전파거리는 17m이상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66%)
  • 잔향시간은 실 내부의 음파가 벽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실 내부를 돌아오는 시간을 말한다. 이 시간은 실의 체적, 벽체면적 및 벽체의 흡음률에 의해 결정된다. 즉, 실이 크고 벽면이 많이 있고 벽체의 흡음률이 낮을수록 잔향시간이 길어진다. 이는 음향설계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단열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공질, 기포성 단열재는 열전도 손실이 많은 외피 구조에 효과적이다.
  2. 반사율이 높고 방사율과 흡수율이 낮은 단열재는 복사열 손실이 많은 공기층에 유효하다.
  3. 구조체 전체의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 열교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벽체의 외측단열은 벽의 열용량이 제외되어 낮은 열용량을 가지므로 비연속 난방공간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35%)
  • "벽체의 외측단열은 벽의 열용량이 제외되어 낮은 열용량을 가지므로 비연속 난방공간에 많이 사용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외측단열은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전체적인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 모두의 온도가 비슷한 연속적인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광원들 중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1. 백열전구
  2. 형광램프
  3. 할로겐램프
  4. 나트륨램프
(정답률: 14%)
  • 나트륨램프는 다른 광원들에 비해 효율이 가장 높습니다. 이는 나트륨램프가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열 손실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트륨램프는 노란색 빛을 내뿜어 시야가 더욱 선명해지고, 장거리에서도 더욱 잘 보이기 때문에 도로나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간선 설계에서 제일 먼저 작업할 것은?

  1. 배선도 작성
  2. 간선의 부하용량 산정
  3. 기구 재료 선정
  4. 전기방식 선정
(정답률: 31%)
  • 간선의 부하용량 산정은 전체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제일 먼저 작업해야 합니다. 간선의 부하용량을 산정하지 않으면 설계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과부하가 걸려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선의 부하용량을 먼저 산정하고, 그에 맞는 배선도 작성, 기구 재료 선정, 전기방식 선정 등의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 알맞는 자연형 설계방법 중에서 틀린 것은?

  1. 여름철의 일사열 획득을 조절하기 위하여 적절한 차양설계가 필요하다.
  2. 건물의 형태는 동서축으로 약간 긴 장방형이 유리하다.
  3. 겨울철 일사획득을 높이고 복사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평지붕이 유리하다.
  4. 여름철에 증발냉각효과를 얻기 위해 건물주변에 연못을 설치하면 유리하다.
(정답률: 60%)
  • 겨울철 일사획득을 높이고 복사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평지붕이 유리하다는 것은 틀린 설계방법입니다. 평지붕은 겨울철에는 일사획득이 용이하지만, 여름철에는 열이 많이 흡수되어 건물 내부 온도 상승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열효율을 고려하여 기울어진 지붕이나 그린루프 등이 적합한 설계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의 설명중 틀린 것은?

  1. 오염도의 단위 ppm은 백만분의 1을 의미한다.
  2. 실내오염의 척도로는 탄산가스 농도를 많이 사용하며 1,000ppm이하로 유지토록 하고 있다.
  3. 일반 건물에서 난방 부하계산시 외기도입량은 환기회수 2-3회/h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4. 환기회수란 1시간내에 실용적과 같은 양의 공기가 몇회 교환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이다.
(정답률: 18%)
  • 틀린 설명은 없습니다.

    - ppm은 백만분의 1을 의미합니다.
    - 탄산가스 농도를 많이 사용하여 실내오염을 측정하며, 1,000pp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일반 건물에서는 환기회수 2-3회/h를 많이 사용하여 난방 부하를 계산합니다.
    - 환기회수는 1시간 내에 공기가 몇 번 교환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음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속은 어떤 공기중에서나 일정하다.
  2. 음속은 기온의 영향을 받고 기압과 습도에는 무관하다.
  3. 음속은 기온과 기압의 영향을 받고 습도에는 무관하다.
  4. 음속은 기온, 기압 그리고 습도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40%)
  • 음속은 기온, 기압 그리고 습도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공기의 밀도와 속도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기온이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고, 기압이 높을수록 밀도가 높아지며,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음속은 기온, 기압, 습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습기는 건축재료를 통한 열전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다공질재료의 내부에 물과 수증기가 확산되었을 때 그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열전도율이 크게 증가한다.
  2. 단열재는 높은 전도율을 유지하기 위해 건조해야한다.
  3. 물의 열전도율이 공기보다 낮아질 것이다.
  4. 단열성능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정답은 "열전도율이 크게 증가한다."입니다. 습기가 다공질재료 내부에 확산되면, 물 분자는 열을 전달하는 데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증가합니다. 이는 단열재료에서는 원하지 않는 결과이므로, 단열재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합니다. 또한, 물의 열전도율은 공기보다 낮아지지만, 다공질재료 내부에서는 공기와 물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열전도율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습기가 다공질재료 내부에 확산되면 열전도율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단열성능은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습기가 다공질재료 내부에 확산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실내 음향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용적의 크기
  2. 실내기온
  3. 단면의 형태와 벽체의 구조
  4. 실내의 마감재료
(정답률: 33%)
  • 실내 기온은 음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보다는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됩니다. 음향계획에서는 거리, 방의 크기, 벽체의 구조, 마감재료 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며, 이들은 음향의 반사, 흡수, 감쇠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실내 기온은 음향계획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