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실내건축기사(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실내디자인의 요소에 관한 용어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소파베드(sofa bed) - 침대겸용 가능한 가구
  2. 다운라이트(down light) - 천장 매입형 조명
  3. 키친네트(kitchenet) - 부엌의 소형 주방세트
  4. 슈퍼그래픽(super graphic) - 카페트면에 사용하는 그래픽
(정답률: 73%)
  • 슈퍼그래픽(super graphic)은 카페트면에 사용하는 그래픽이 아니라, 벽면이나 천장 등 대형 공간에 사용되는 그래픽 디자인을 말한다. 따라서, 이 중 부적합한 것은 "슈퍼그래픽(super graphic) - 카페트면에 사용하는 그래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광원의 60-90% 광량이 직접 아래 표면을 향하여 비추고 적은 양의 빛은 천정을 향하여 천정 마감재의 반사율에 의한 밝기의 연출을 의도하는 조명방식은?

  1. 직접조명
  2. 반직접조명
  3. 간접조명
  4. 반간접조명
(정답률: 36%)
  • 반직접조명은 광원의 60-90% 광량이 직접 아래 표면을 향하여 비추고 적은 양의 빛은 천정을 향하여 천정 마감재의 반사율에 의한 밝기의 연출을 의도하는 조명방식이다. 이는 직접조명과는 달리 천정을 향한 빛의 양이 적어져서 간접조명처럼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면서도, 직접조명처럼 물체의 형태와 색감을 잘 드러내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내공간에 있어 동선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동선은 사람이나 물건이 움직이는 선을 연결한 것을 말한다.
  2. 동선은 짧으면 효율적이지만 공간의 성격에 따라 길게 처리하기도 한다.
  3. 동선은 빈도, 속도, 하중의 3요소를 가지며, 이들 요소의 정도에 따라 거리의 장단, 폭의 대소가 결정되어 진다.
  4. 동선은 성격이 다른 동선일지라도 교차시켜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96%)
  • "동선은 성격이 다른 동선일지라도 교차시켜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부적절한 설명이다. 이는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동선을 교차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을 무시한 것이다. 따라서, 동선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에 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사무공간의 능률향상을 위한 배려와 개방공간에서의 근무자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한 사무공간 계획 방식이다.
  2. 산만하고 인위적 분위기를 정리하기 위해 고정된 간막이벽으로 구획한다.
  3. 시각적인 프라이버시 확보가 어렵고, 소음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 오피스 작업을 사람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을 매체로 효율적인 네트워크가 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5%)
  • "산만하고 인위적 분위기를 정리하기 위해 고정된 간막이벽으로 구획한다."는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개방적인 공간을 추구하며, 고정된 간막이벽으로 구획하는 것은 오히려 개방성을 해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사무공간의 능률향상을 위한 배려와 개방공간에서의 근무자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한 사무공간 계획 방식이다. 시각적인 프라이버시 확보가 어렵고, 소음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오피스 작업을 사람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을 매체로 효율적인 네트워크가 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상점계획에서 파사드 구성에 요구되는 소비자 구매심리 5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의(attention)
  2. 욕망(desire)
  3. 기억(memory)
  4. 유인(attraction)
(정답률: 53%)
  • 정답은 "기억(memory)"입니다.

    파사드 구성에 요구되는 소비자 구매심리 5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의(attention):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주는 요소를 제공하여 상점에 대한 주의를 끌어냅니다.
    2. 욕망(desire): 소비자가 상품을 원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상품에 대한 욕구를 자극합니다.
    3. 기억(memory): 소비자가 상점과 상품을 기억하도록 돕습니다.
    4. 유인(attraction): 소비자가 상점에 머무르고 상품을 살펴보도록 유인합니다.
    5. 행동(action):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합니다.

    따라서, "유인(attraction)"은 소비자가 상점에 머무르고 상품을 살펴보도록 유인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상점의 외관, 진열 방식, 광고 등을 통해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붙박이가구의 디자인을 할 경우에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크기와 비례의 조화
  2. 기능의 편리성
  3. 분산적 배치
  4. 실내마감재로서의 조화
(정답률: 71%)
  • 붙박이가구의 디자인을 할 경우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크기와 비례의 조화, 기능의 편리성, 실내마감재로서의 조화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분산적 배치입니다. 붙박이가구는 벽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산적으로 배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붙박이가구를 디자인할 때는 벽면에 맞게 조화롭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자인 이미지(image) 구축과 관련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디자이너의 개성표출이 우선하여 강력해야 한다.
  2. 오랜 설계 경험과 연구는 이미지 발상과 직접 연관지을 수 없다.
  3. 공간의 표상성이 곧 디자인 이미지이다.
  4. 의장계획 자체가 서구적이어야만 한다.
(정답률: 88%)
  • 공간의 표상성이 곧 디자인 이미지이다는 것은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간의 형태와 구성이며, 이를 통해 디자인의 목적과 의도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공간의 특성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자인 원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황금비(golden section)는 가장 균형잡힌 비례로 직사각형이 지니는 1 : 2.68의 비례를 말한다.
  2. 재료표면의 질감을 텍스쳐(texture)라 한다.
  3. 수직선은 상승, 권위와 같은 이미지를 부여한다.
  4. 휴먼스케일(human scale)이란 인간의 신체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되는 척도를 말한다.
(정답률: 92%)
  • 잘못된 것은 "황금비(golden section)는 가장 균형잡힌 비례로 직사각형이 지니는 1 : 2.68의 비례를 말한다." 이다. 황금비는 1:1.618의 비례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로 줄여주면서 통행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 문의 형태는?

  1. 미닫이문
  2. 회전문
  3. 여닫이문
  4. 접이문
(정답률: 85%)
  • 회전문은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로 줄여주면서 통행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 문의 형태입니다. 이는 회전문이 한쪽으로 열리지 않고 회전하면서 통행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람이나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며, 사람들의 통행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획일적인 디자인 이미지를 적용하기가 가장 어려운 실내공간은?

  1. 미술관
  2. 편의점
  3. 슈퍼마켓
  4. 은행
(정답률: 70%)
  • 미술관은 전시물의 특성상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각 작품마다 다른 조명과 배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디자인 이미지를 적용하기가 가장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공간은 적극적 공간(positive space)과 소극적 공간(negative space)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좁은 공간은 시간의 개념을 수반하지 않는다.
  3. 공간은 사용자가 보는 위치에 따라 시각적으로 수없이 변화한다.
  4. 실내공간은 부피로서의 체적 개념을 갖는 넓이로 이해되고 취급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좁은 공간은 시간의 개념을 수반하지 않는다."입니다. 공간의 크기와 형태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람이 좁은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불편함이 증가하거나 공기가 더욱 불쾌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의 시간적인 요소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내디자인 프로세스 중 조건설정단계(프로그래밍단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방향이 정해지는 단계이다.
  2. 실내디자이너가 설계의뢰인과 협의를 통하여 이해를 확립하는 단계이다.
  3. 이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프로젝트 진행이 원만하지 못하다.
  4. 실내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본설계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이다.
(정답률: 70%)
  • "실내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본설계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조건설정단계는 기본설계단계 이전에 진행되며, 프로젝트의 목적과 범위, 예산, 일정, 기술적 요구사항 등을 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설계의뢰인과 디자이너는 서로 협의하여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이후의 설계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따라서 이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프로젝트 진행이 원만하지 못하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빛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조도는 밝기를 수량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2. 물체의 색이 다르게 보이는 것에 대한 광원의 성질을 휘도라 한다.
  3. 밝은 빛일수록 작업활동에 유리하다.
  4. 사색과 휴식에는 밝은 조명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24%)
  • 조도는 빛의 밝기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빛의 세기와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Modulor"는 무슨 개념에 의한 것인가?

  1. 균형
  2. 비례
  3. 통일
  4. 조화
(정답률: 69%)
  • "Modulor"는 비례 개념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체형과 관련된 비례 체계를 기반으로하여 건축물과 디자인의 비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개념은 인간의 체형과 관련된 기하학적 비례를 사용하여 건축물과 디자인의 크기와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조화롭고 균형잡힌 디자인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간구성의 유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구심형 공간구성은 중앙의 우세한 중심공간과 그 주위의 수많은 제2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2. 집합형 공간구성은 구심형 공간구성과 선형 구성의 두 가지 요소를 조합한 것이다.
  3. 선형 공간구성이란 일련의 공간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선형적인 연속이다.
  4. 격자형 공간구성은 공간 속에서의 위치와 공간 상호간의 관계가 3차원적 격자 패턴 속에서 질서정연하게 배열되는 형태 및 공간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46%)
  • "집합형 공간구성은 구심형 공간구성과 선형 구성의 두 가지 요소를 조합한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집합형 공간구성은 구심형 공간구성과 선형 구성, 그리고 격자형 공간구성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같은 크기의 공간내에서 같은 색상으로 천장, 벽, 바닥을 마감해도 마감재의 질감, 패턴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데, 다음 중 패턴의 형태와 그 느낌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세로줄무늬 - 방의 천정고를 높아보이게 한다.
  2. 가로줄무늬 - 벽면을 길게 보이게 한다.
  3. 테두리무늬 - 벽의 모양이 변해 보이게 한다.
  4. 작은무늬 - 방을 작게 보이게 한다.
(정답률: 48%)
  • "작은무늬 - 방을 작게 보이게 한다."는 옳은 연결이다. 작은 무늬는 시각적으로 공간을 혼잡하게 만들어 작아보이게 하기 때문이다. 세로줄무늬는 천정을 높아보이게 하고, 가로줄무늬는 벽면을 길게 보이게 한다. 테두리무늬는 벽의 모양이 변해 보이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 중 집합, 분리의 효과를 잘 나타낸 그림은?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 그림은 집합과 분리의 효과를 모두 나타내고 있다. 빨간색 원 안에 있는 두 개의 원은 하나의 집합으로 묶여 있지만, 파란색 원 안에 있는 두 개의 원은 분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그림은 집합과 분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보안 등의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방 작업대의 배치유형 중 ㄷ자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장 간결하고 기본적인 설계 형태로 길이가 4.5m 이상 되면 동선이 비효율적이다.
  2. 두 벽면을 따라 작업이 전개되는 전통적인 형태이다.
  3. 인접한 세 벽면에 작업대를 붙여 배치한 형태이다.
  4. 작업동선이 길고 조리면적은 좁지만 다수의 인원이 함께 작업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인접한 세 벽면에 작업대를 붙여 배치한 형태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주방 작업대를 인접한 세 벽면에 배치하면 작업공간이 최대화되며, 다수의 인원이 함께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작업동선이 길고 조리면적은 좁을 수 있으므로, 길이가 4.5m 이상 되면 동선이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디자인 요소로서 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길이의 개념은 있으나 폭과 부피의 개념은 없다.
  2.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한다.
  3. 점이 이동한 궤적이며 면의 한계, 교차에서 나타난다
  4. 선은 수직선, 수평선, 사선, 곡선이 있으며 이중에서 사선이 가장 안정적이다.
(정답률: 69%)
  • 선은 수직선, 수평선, 사선, 곡선이 있으며 이중에서 사선이 가장 안정적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사선은 두 점을 연결하는 직선 중에서 가장 긴 길이를 가지며, 안정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디자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디자인의 한 분야로서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2. 실내공간만을 대상으로 하여, 경제적, 상업적 공간으로 완성하는 전문 과정이다.
  3. 예술과 기술을 접목시켜 미적, 기능적 공간을 창출하는 디자인 행위이다.
  4. 디자인 요소를 반영하여 인간환경을 구축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67%)
  • "실내공간만을 대상으로 하여, 경제적, 상업적 공간으로 완성하는 전문 과정이다."가 맞지 않는다. 실내디자인은 경제적, 상업적인 측면도 고려하지만, 주된 목적은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공간만을 대상으로 하여,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 전문 과정이다."로 수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제품 색채디자인을 하기 위한 조사, 연구에 있어서 생각할 수 있는 내용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경쟁사의 제품색채 사용 사항조사
  2. 인생경험이 풍부한 어른들의 의견 청취조사
  3. 제품을 놓는 배경이 되는 환경의 색채조사
  4. 기능, 용도에 적합한 색채를 실험적으로 조사
(정답률: 47%)
  • 인생경험이 풍부한 어른들의 의견 청취조사가 제품 색채디자인을 하기 위한 조사, 연구에 있어서 생각할 수 있는 내용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제품 색채디자인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경쟁사의 제품색채 사용 사항조사, 제품을 놓는 배경이 되는 환경의 색채조사, 기능, 용도에 적합한 색채를 실험적으로 조사는 모두 제품 색채디자인과 관련된 주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색 중 녹색 잔디 구장 위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유니폼 색은?

  1. 자주
  2. 보라
  3. 파랑
  4. 연두
(정답률: 72%)
  • 녹색 잔디 구장 위에서는 자주색이 가장 눈에 잘 띄기 때문입니다. 자주색은 녹색과 대비되는 색상이며, 시각적으로 눈에 띄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먼셀 표색계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색상: Hue, 명도: Value, 채도: Chroma로 표기한다.
  2. 표기순서는 CV/H 이다.
  3. 먼셀 표색계의 채도는 10단계 이다.
  4. 먼셀 색상환의 최초 색상기준은 3원색이다.
(정답률: 46%)
  • 먼셀 표색계는 색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상, 명도, 채도 세 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색을 표기합니다. 이 중 색상은 색의 종류를 나타내며,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며,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CV/H 순서로 표기하며, 먼셀 표색계의 채도는 10단계로 구분됩니다. 먼셀 색상환의 최초 색상 기준은 3원색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눈의 구조 중에서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을 하는 것은?

  1. 추상체
  2. 홍채
  3. 글라스체
  4. 각막
(정답률: 80%)
  • 홍채는 눈의 중심에 위치하며, 조명의 양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카메라의 조리개와 유사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홍채가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명시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흑색배경에 파랑
  2. 흑색배경에 노랑
  3. 백색배경에 주황
  4. 백색배경에 빨강
(정답률: 80%)
  • 명시성이 가장 높은 것은 "흑색배경에 노랑"입니다. 이유는 색상과 배경색이 모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상만 명시되어 있거나 배경색만 명시되어 있어서 명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7월 탄생석(보석)의 색으로 힘, 권력 등을 상징하고, 심장질환 치료 등의 효과와 의미를 갖는 색은?

  1. 녹색
  2. 빨강
  3. 파랑
  4. 보라
(정답률: 59%)
  • 7월 탄생석은 루비(Ruby)로, 빨강색을 나타냅니다. 빨강색은 힘과 권력을 상징하며, 또한 심장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7월 탄생석인 루비의 색인 빨강은 이러한 의미와 효과를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색채의 시간성과 속도감에 대한 이론 중 옳은 것은?

  1. 삼속성 중 채도가 주로 큰 영향을 미친다.
  2. 장파장의 색은 시간이 길게 느껴진다.
  3. 단파장의 색은 속도감이 빠르다.
  4. 저명도의 색은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다.
(정답률: 45%)
  • 장파장의 색은 시간이 길게 느껴진다는 이유는, 장파장의 파장이 길어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 뇌는 장파장의 색을 더 오래 인식하게 되어 시간이 길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청색에 흰색을 혼색시켜 연한 하늘색을 만들었다. 이 때 연한 하늘색은 어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1. 청색보다 명도는 높아졌고 채도는 낮아졌다.
  2. 청색보다 명도, 채도 모두 높아졌다.
  3. 청색보다 명도는 낮아졌고 채도는 높아졌다.
  4. 청색보다 명도, 채도 모두 낮아졌다.
(정답률: 62%)
  • 청색과 흰색을 혼합하면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지는 연한 색상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청색보다 명도는 높아졌고 채도는 낮아졌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품의 배색원리로 적절한 것은?

  1. 제품의 품질은 배색과 관련이 없다.
  2. 기호색이 반영된 배색은 상품의 소유감을 높인다.
  3. 배색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관계없다.
  4. 유행하는 배색 트랜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9%)
  • 기호색은 개인의 취향과 성향을 반영하므로, 제품의 배색에 기호색을 반영하면 소비자는 제품을 소유하는 것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을 느끼게 되어 상품의 소유감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신인상파 화가들의 점묘화, 교직물, 사진인쇄 등에 이용되는 색의 혼합현상은?

  1. 회전혼합
  2. 병치혼합
  3. 감산혼합
  4. 색료혼합
(정답률: 70%)
  • 병치혼합은 색을 겹쳐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색이 독립적으로 유지되면서 새로운 색이 만들어지는 혼합 방법입니다. 따라서 신인상파 화가들이 점묘화나 교직물, 사진인쇄 등에 이용하는 색의 혼합도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송 기관의 대표적인 시내버스, 지하철, 기차 등의 색채처리 방법 중 비교적 잘못된 것은?

  1. 도장 공정이 간단할수록 좋다.
  2. 조색이 용이할수록 좋다.
  3. 변색, 퇴색하지 않는 도료가 좋다.
  4. 특수한 도료일수록 좋다.
(정답률: 67%)
  • 정답: "특수한 도료일수록 좋다."

    이유: 특수한 도료는 일반적인 도료보다 더욱 강한 색감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송 기관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에서는 더욱 적합하다. 또한, 특수한 도료는 조명에 따라 색상이 변하지 않는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일관된 색감을 유지할 수 있어서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색채가 지닌 심리적, 생리적, 물리학적 성질을 잘 활용하는 일을 색채조절(Color Conditioning)이라고 한다. 다음 중 색채조절이 특히 중요시되는 곳은?

  1. 상점
  2. 공공단체
  3. 음식점
  4. 생산공장
(정답률: 44%)
  • 생산공장에서는 제품의 색상이 중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색채조절이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식품 제조 공장에서는 제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색상을 조절하여 유통기한을 연장하거나,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는 차량의 색상이 고객의 취향에 맞게 조절되어야 하며, 전자 제품 제조 공장에서는 제품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생산공장에서는 색채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먼셀색입체를 무채색축을 통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은?

  1. 동일 색상면
  2. 동일 명도면
  3. 동일 채도면
  4. 동일명도와 동일 채도면
(정답률: 23%)
  • 먼셀색 입체를 무채색 축을 통해 수직으로 절단하면, 단면은 동일 색상면이 됩니다. 이는 먼셀색이 한 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무채색 축을 통해 절단하면 모든 부분이 동일한 색상을 가지게 되므로, 단면도 동일한 색상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상에 의하여 망막이 자극을 받게 되면 시세포의 흥분이 중추에 전해져 자극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생기는 시감각 현상은?

  1. 대비
  2. 융합
  3. 조화
  4. 잔상
(정답률: 71%)
  • 색상 자극이 끝난 후에도 시감각이 지속되는 현상을 "잔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망막에서 받은 자극이 중추신경계로 전달되어 시감각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감각과는 관련이 있지만, 잔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I.E 색도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빛의 혼색실험에 기초한 것이다.
  2. 백색광은 색도도에 중앙에 위치한다.
  3. 순수파장의 색은 바깥 둘레에 위치한다.
  4. 색도도의 모양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38%)
  • 정답은 "색도도의 모양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다. 색도도의 모양은 삼각형 형태이며, 이는 빛의 혼합에 따라 색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채에 대한 연상(連想)과 상징(象徵)을 짝지워 놓은 것중 잘못된 것은?

  1. 자색(purple) : 창조, 우미, 신비, 신앙
  2. 황색(Yellow) : 팽창, 희망, 광명, 유쾌
  3. 회색(Gray) : 정지, 허무, 불안, 부활
  4. 청색(blue) : 심원, 냉정, 영원, 성실
(정답률: 48%)
  • 회색은 일반적으로 중립적인 색상으로서, 정지와 불확실성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허무"와 "부활"은 회색과 관련하여 연상되는 것이 아니며, 이 부분이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채도의 속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색의 강하고 약한 것을 나타낸다.
  2. 색의 맑고 흐린 것을 나타낸다.
  3. 색의 밝고 어두운 것을 나타낸다.
  4. 색의 순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62%)
  • 잘못된 설명은 "색의 밝고 어두운 것을 나타낸다." 입니다. 채도는 색의 강하고 약한 정도, 맑고 흐린 정도, 순도를 나타내지만 밝고 어두운 정도는 채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밝고 어두운 정도는 색의 밝기(brightness)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헤링의 반대색설에 해당되지 않는 색은?

  1. 빨강
  2. 노랑
  3. 보라
  4. 파랑
(정답률: 83%)
  • 헤링의 반대색설에서 빨강의 반대색은 초록, 노랑의 반대색은 보라, 파랑의 반대색은 주황이므로 보라는 반대색이 없는 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색채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어떤 연구 단계를 거치는 것이 좋은가?

  1. 색채환경분석 → 색채전달계획 → 색채심리분석 → 디자인에 적용
  2. 색채전달계획 → 색채환경분석 → 색채심리분석 → 디자인에 적용
  3. 색채환경분석 → 색채심리분석 → 색채전달계획 → 디자인에 적용
  4. 색채심리분석 → 색채환경분석 → 색채전달계획 → 디자인에 적용
(정답률: 64%)
  • 색채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디자인이 사용될 색채환경을 분석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색채전달계획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색채심리분석을 진행합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에 적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채환경분석 → 색채전달계획 → 색채심리분석 → 디자인에 적용"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배색 중 가장 통일감을 주는 배색은?

  1. 자주, 연두, 청록
  2. 빨강, 노랑, 녹색
  3. 보라, 녹색, 주황
  4. 빨강, 주황, 자주
(정답률: 67%)
  • "빨강, 주황, 자주"는 모두 따뜻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어우러지면서 통일감을 더해줍니다. 또한, 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비슷하여 조화롭게 보입니다. 반면에 "자주, 연두, 청록"은 색상이 너무 다양하여 조화롭지 않고, "빨강, 노랑, 녹색"은 색상의 대조가 너무 크기 때문에 통일감이 떨어집니다. "보라, 녹색, 주황"은 색상의 대조가 크지 않지만, 보라색이 다른 두 색상과 어울리지 않아서 통일감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감각 중 감수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통각
  2. 압각
  3. 냉각
  4. 온각
(정답률: 69%)
  • 통각은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인해 느껴지는 통증이나 불쾌감을 말합니다. 이는 생존에 필요한 경계감각으로서 가장 감수성이 높은 감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각"입니다. 압각, 냉각, 온각은 각각 압력, 차가운 느낌, 뜨거운 느낌을 뜻하며, 통각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감각이지만 감수성은 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상자가 너무 무거워 보이는 것을 해결하려 한다. 이 문제 해결에 참고사항으로 적절치 못한 내용은?

  1. 밝은 색은 가볍고, 어두운 색채는 무겁다.
  2. 황색은 가볍고 자색은 무겁다.
  3. 무채색에서는 흰색이 가장 가볍고, 검정색이 가장 무겁다.
  4. 동일한 명도의 경우에 채도가 높은 색은 무겁고, 채도가 낮은 색채는 가볍다.
(정답률: 48%)
  • "황색은 가볍고 자색은 무겁다."는 적절치 못한 내용이다. 색의 무게는 명도와 채도에 영향을 받으며, 색상에 따라서는 무게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명도의 경우에 채도가 높은 색은 무겁고, 채도가 낮은 색채는 가볍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채도가 높을수록 색상이 진하고 무거워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간요소를 고려한 학문으로서 일본에서 태동하였다.
  2. 물건, 기구, 환경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인간을 고려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3. 실용적 효능과 인생의 가치 기준을 높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4. 인간의 특성이나 행동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74%)
  • "인간요소를 고려한 학문으로서 일본에서 태동하였다."가 틀린 것은 인간공학이 일본에서 태동한 것이 아니라 미국에서 태동하였기 때문이다. 인간공학은 미국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사적인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과 함께 발전해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처럼 비스듬히 보았을 때 지침이 눈금에서 떨어져 보여 착각을 일으키는 모양에 대한 직접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1. 시력(視力)
  2. 시차(視差)
  3. 패럴랙스(Parallax)
  4. 변위(變位)
(정답률: 36%)
  • 정답은 "패럴랙스(Parallax)"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지침이 눈금에서 떨어져 보이는 것은 시차(視差)나 변위(變位)와 같은 광학적인 요인 때문이 아니라, 그림이 비스듬히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력(視力)이 정답입니다. 시력이 좋을수록 더 정확하게 그림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터널에서 입구 부근은 밝게 하고, 서서히 조도를 저하시키는 조명 방법은?

  1. 전반조명
  2. 국부조명
  3. 투과조명
  4. 완화조명
(정답률: 80%)
  • 터널에서 완화조명 방법은 안전한 운전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입구 부근은 밝게 하여 운전자가 터널 내부로 진입할 때 시야를 확보하고, 서서히 조도를 저하시켜 눈의 적응력을 돕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터널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완화조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암순응한 눈으로 색을 보면, 다른 때 보다 적색이 어둡게 보이고 청색이 밝게 보이는 현상은?

  1. 명소시 효과
  2. 메타메리즘 효과
  3. 푸르킨예 효과
  4. 암소시 효과
(정답률: 62%)
  • 암순응한 눈으로 색을 보면, 망막 내의 적색, 녹색, 청색 감지 세포들이 서로 다른 정도로 자극을 받아 색상 인지가 왜곡되는데, 이 때 적색 감지 세포들이 덜 자극을 받아 적색이 어둡게 보이고, 청색 감지 세포들이 더 자극을 받아 청색이 밝게 보이는 현상을 푸르킨예 효과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체의 부위 중에서 체온이 가장 높은 부위는?

  1. 피부
  2. 손발
  3. 직장
  4. 겨드랑이
(정답률: 14%)
  • 인체의 체온은 대개 36.5도에서 37.5도 사이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직장은 소화기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체온이 높아지는 부위입니다. 따라서 직장은 인체의 부위 중에서 체온이 가장 높은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머리둘레의 인체측정 방법이 옳은 것은? (단, 눈썹보다 높은 위치에서 세번 재었을 경우)

  1. 가장 작은 것
  2. 가장 큰 것
  3. 평균인 것
  4. 작은것의 평균인 것
(정답률: 45%)
  • 머리둘레를 측정할 때는 머리의 가장 높은 부분에서 측정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유는 머리의 가장 높은 부분이 머리둘레의 가장 큰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큰 것"이 정답입니다. "가장 작은 것"이나 "작은것의 평균인 것"은 머리둘레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평균인 것"은 개인의 머리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가압동작 중 가장 간단하고 대표적인 동작의 예는?

  1. 누름 버튼
  2. 레버 조작
  3. 노브
  4. 크랭크
(정답률: 65%)
  • 가압동작 중 가장 간단하고 대표적인 동작의 예는 "누름 버튼"입니다. 이는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작동되며, 다른 동작들에 비해 조작이 간단하고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동화된 공장이나 현장에서 인간이 분담하는 작업으로 가장 주축이 되는 것은?

  1. 감시작업
  2. 시간작업
  3. 근력작업
  4. 운동작업
(정답률: 86%)
  • 감시작업은 자동화된 공장이나 현장에서 인간이 분담하는 작업 중에서 가장 주축이 되는 이유는, 자동화된 시스템이나 기계가 정확하게 작동하는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지 등을 인간이 감시하고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시작업은 생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명한 상을 얻도록 빛의 산란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각막
  2. 맥락막
  3. 공막
  4. 망막
(정답률: 50%)
  • 맥락막은 눈의 외부에 위치한 눈알의 투명한 막으로, 빛이 눈에 들어오면 맥락막이 빛의 산란을 막아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맥락막은 눈의 굴절력을 유지하고 빛의 산란을 막아 시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리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음압
  2. 진폭
  3. 진동수
  4. 파형
(정답률: 18%)
  • 음압은 소리의 3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소리의 3요소는 진폭, 진동수, 파형입니다. 진폭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며, 진동수는 소리의 높낮이를 결정하고, 파형은 소리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음압은 소리의 진동이 공기 분자를 압축하거나 희석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으로, 소리의 특성을 설명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서관의 경우 허용 소음레벨은 어느 정도인가?

  1. 10phon
  2. 25phon
  3. 40phon
  4. 60phon
(정답률: 13%)
  • 도서관은 조용한 공간으로서, 대체로 허용되는 소음레벨은 40phon 이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대화 소리보다는 조용한 책장 소리나 종이를 넘기는 소리 정도를 의미한다. 더 높은 소음레벨은 다른 독서자들에게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표면의 단위면적당 반사 또는 방출되는 빛의 양을 가리키는 척도는?

  1. 광도(luminance)
  2. 반사율(reflectance)
  3. 조도(illuminance)
  4. 대비(contrast)
(정답률: 45%)
  • 광도는 표면의 단위면적당 반사 또는 방출되는 빛의 양을 가리키는 척도입니다. 즉,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빛의 세기와 색상을 모두 고려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광도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각표시장치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숫자와 문자의 배열 방법
  2. 눈금의 폭과 길이
  3. 지침의 형태와 크기
  4. 지침의 무게와 회전방향
(정답률: 59%)
  • 시각표시장치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지침의 무게와 회전방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시각표시장치의 가독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숫자와 문자의 배열 방법, 눈금의 폭과 길이, 지침의 형태와 크기는 모두 시각표시장치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미각(맛)에 사용되는 단위는?

  1. 거스트(gust)
  2. 그래버티(gravity)
  3. 휘발도(volatility)
  4. 시럽(syrup)
(정답률: 12%)
  • 미각(맛)에 사용되는 단위는 "거스트(gust)"입니다. 이는 맛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특정 물질이 미각 세포에 얼마나 강하게 작용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맛의 강도를 측정할 때 거스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청각의 개인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자는 저음이 잘 들린다.
  2. 남자는 고음이 잘 들린다.
  3. 낮은 진동수에서는 남자의 청력이 우수하고 높은 진동수에서는 여자가 우수하다.
  4. 나이가 들수록 높은 소리보다 낮은 소리에 대한 감도가 떨어진다.
(정답률: 44%)
  • 낮은 진동수는 저음에 해당하고, 높은 진동수는 고음에 해당한다. 따라서, "낮은 진동수에서는 남자의 청력이 우수하고 높은 진동수에서는 여자가 우수하다."는 이유는 성별에 따라 청각의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발의 길이를 측정할 때(가장 긴발가락끝에서 뒷꿈치 까지의 길이)맞는 것은?

  1. 체중을 두발에 균등하게 주고 섰을 때의 왼발
  2. 체중을 두발에 균등하게 주고 섰을 때의 오른발
  3. 체중을 왼발에 주고 섰을 때의 오른발
  4. 체중을 오른발에 주고 섰을 때의 왼발
(정답률: 0%)
  • 발의 길이를 측정할 때는 체중을 두발에 균등하게 주고 섰을 때의 발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는 발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체중을 한쪽 발에만 주고 측정하면 발의 길이가 실제보다 더 길거나 짧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중을 두발에 균등하게 주고 섰을 때의 발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동작 경제의 법칙에 맞지 않는 것은?

  1. 동작의 범위는 최소로 할 것
  2. 사용하는 신체의 범위를 가급적 많게 할 것
  3. 동작을 가급적 조합하여 하나의 동작으로 할 것
  4. 동작의 순서를 합리화 할 것
(정답률: 62%)
  • "사용하는 신체의 범위를 가급적 많게 할 것"은 동작 경제의 법칙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신체의 많은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가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동작 경제의 법칙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신체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료의 통계분석에서 상관관계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는 상관계수(coefficient of correlation)는 얼마인가?

  1. +1.0
  2. 0
  3. -1.0
  4. ± 1.0
(정답률: 59%)
  • 상관계수가 0이라는 것은 두 변수 간에 아무런 선형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한 변수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다른 변수의 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관관계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는 상관계수는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다음 중 인서트(insert)의 재질로 가장 좋은 것은?

  1. 주철
  2. 알루미늄
  3. 목재
  4. 구리
(정답률: 56%)
  • 주철은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서 인서트의 부하에도 잘 견딜 수 있습니다. 또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여 제작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인서트의 재질로 가장 좋은 것은 주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목재와 함수율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부적당한 것은?

  1. 목재의 수축ㆍ팽창은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상의 범위에서는 증감이 거의 없다.
  2. 완전흡수로 공기를 전부 배제한 목재는 부패하지 않는다.
  3. 구조용재는 함수율 15% 이하로, 마감 및 가구재는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은 증가한다.
(정답률: 20%)
  •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은 증가한다." 이것이 부적당한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따라 목재의 수축ㆍ팽창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이다.

    함수율은 목재가 습기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때 변화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함수율이 높을수록 목재는 습기를 많이 흡수하고 방출하며, 낮을수록 그 반대이다. 함수율이 높은 목재는 습기에 민감하며, 수축ㆍ팽창이 크다. 따라서 구조용재는 함수율 15% 이하로, 마감 및 가구재는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포화점은 목재가 습기를 흡수하다가 포화되어 더 이상 습기를 흡수하지 못하는 지점을 말한다. 이 지점 이상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따라 목재의 수축ㆍ팽창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율이 높아져도 강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고, 인성은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성암에 속하며 견고하고 대형재의 생산이 가능하며 바탕색과 반점이 미려하기 때문에 구조재 및 내ㆍ외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부석
  2. 화강암
  3. 대리석
  4. 응회암
(정답률: 67%)
  • 화성암은 견고하고 대형재의 생산이 가능하며 바탕색과 반점이 미려하기 때문에 구조재 및 내ㆍ외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화강암은 가장 견고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바탕색과 반점이 미려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구조재 및 내ㆍ외장재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재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심재는 변재보다 강도가 높다.
  2. 심재는 변재보다 함수율이 높아 부패하기 쉽다.
  3. 목재의 건조방법에는 침수건조, 대기건조 및 인조건 조법이 있다.
  4. 건조는 목재의 강도 증진 및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5%)
  • 심재는 변재보다 함수율이 높아 부패하기 쉽다. - 이는 옳지 않은 기술입니다. 심재는 변재보다 함수율이 낮아서 부패하기 어렵습니다. 함수율이란 목재 내부의 물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분율이 높을수록 부패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심재는 변재보다 함수율이 낮아서 부패에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목재의 절대건조비중이 0.8일 때 이 목재의 공극율은?

  1. 약 42%
  2. 약 48%
  3. 약 52%
  4. 약 58%
(정답률: 39%)
  • 목재의 절대건조비중이 0.8이면, 목재의 질량 중 80%는 물이 아닌 건조한 물질이다. 따라서 목재의 질량 중 20%는 물이다. 이것은 목재의 부피 중 20%가 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목재의 공극율은 100%에서 20%를 뺀 80%이다. 이는 약 48%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약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자갈 시료의 표면수를 포함한 중량이 2,100g이고 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의 중량이 2,090g이며 절대건조상태의 중량이 2,070g이라면 흡수율과 표면수율은 약 몇 % 인가?

  1. 흡수율 0.48%, 표면수율 0.97%
  2. 흡수율 0.48%, 표면수율 1.45%
  3. 흡수율 0.97%, 표면수율 0.48%
  4. 흡수율 0.97%, 표면수율 1.45%
(정답률: 30%)
  • 흡수율은 (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의 중량 - 절대건조상태의 중량) / 절대건조상태의 중량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90-2070)/2070 x 100 = 0.97% 입니다.

    표면수율은 (표면수를 포함한 중량 - 절대건조상태의 중량) / 절대건조상태의 중량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100-2070)/2070 x 100 = 0.48%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수율 0.97%, 표면수율 0.4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특별한 화학처리를 한 것으로 킨스시멘트라고도 불리우는 것은?

  1. 경석고 플라스터
  2. 혼합석고 플라스터
  3. 보드용 플라스터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65%)
  •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특별한 화학처리를 한 것으로 킨스시멘트는 건축재료로 사용되며, 경석고 플라스터는 이 중에서도 특히 천연석고에 화학처리를 한 것으로, 건축물 내부 장식이나 벽면 마감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점토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가소성이 나쁘다.
  2. 점토의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 정도이다.
  3. 점토입자가 미세할수록 가소성은 좋아진다.
  4. 가소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모래 또는 샤모트 등을 첨가하여 조절한다.
(정답률: 40%)
  •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가소성이 나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가소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알루미나 입자가 작아지면서 입자 간 거리가 가까워져서 입자 간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어 가소성이 좋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투광성이 높고 경량으로 내후성과 내약품성, 역학적 성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대용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염화비닐수지
  2. 메타크릴수지
  3. 폴리에틸렌수지
  4. 폴리프로필렌수지
(정답률: 15%)
  • 메타크릴수지는 투광성이 높고 경량으로 내후성과 내약품성, 역학적 성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대용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점토제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일의 제조는 건식법과 습식법이 있으며 복잡한 형상의 것은 습식법이 적당하다.
  2. 테라코타는 대형 점토제품이며 석기질 점토나 철분이 많은 점토를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과 내장타일은 습식법으로, 외장타일과 바닥타일은 건식법으로 제조된다.
  4. 벽돌의 제조는 저급점토를 사용하며 소성은 등요, 호프만요 등이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3%)
  •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과 내장타일은 습식법으로, 외장타일과 바닥타일은 건식법으로 제조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모자이크타일과 내장타일은 작은 크기의 타일이기 때문에 습식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며, 외장타일과 바닥타일은 큰 크기의 타일이기 때문에 건식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회반죽 바름벽에 칠하기에 가장 좋지 않은 재료는?

  1. 염화비닐 수지에나멜
  2. 수성페인트
  3. 아크릴 수지에나멜
  4. 유성페인트
(정답률: 28%)
  • 회반죽 바름벽은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유성페인트는 수분에 노출되면 녹을 수 있으므로 가장 좋지 않은 재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성페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인조석에 쓰이는 종석의 재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강암
  2. 사문암
  3. 대리석
  4. 화산암
(정답률: 25%)
  • 화강암, 사문암, 대리석은 모두 인조석 제작에 사용되는 종석의 재료이지만, 화산암은 종석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화산암은 용암이 굳어서 만들어진 암석으로, 종석의 특성과는 맞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요소수지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열경화성수지이다.
  2. 내수합판의 접착제로 널리 사용된다.
  3. 무색이어서 착색이 자유롭다.
  4. 멜라민수지보다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34%)
  • "멜라민수지보다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하다."는 옳은 설명이며, 이유는 열경화성수지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뛰어나며, 내수합판의 접착제로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내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색이어서 착색이 자유롭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석고보드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휨강도는 보드의 축방향이 길이방향에 비해서 2-3배 강하다.
  2. 열전도율은 콘크리트의 1/6-1/7이다.
  3. 흡습되면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4. 연하고 부서지기 쉬우므로 고정할 때는 못 등이 주로 사용되지만, 그 부근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정답률: 47%)
  • "휨강도는 보드의 축방향이 길이방향에 비해서 2-3배 강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석고보드의 휨강도는 축방향이 길이방향에 비해 약 2/3 정도 강하다. 이는 석고보드가 축방향으로는 압축에 강하고, 길이방향으로는 굴곡에 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고로시멘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하수나 해수 등에 대한 내식성은 슬래그 배합이 비교적 많은 것이 우수하다.
  2. 수용성을 높이고 수산화석회의 용출에 의한 공극을 감소시켜, 수중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하다
  3. 조강성을 요하는 공사용으로 거푸집 존치기간을 줄일수 있어 공사속도를 빨리 할 수 있다.
  4. 경화건조수축은 거의 없으며, 화학저항성이 일반적으로 크며 내황산염성이 있다.
(정답률: 10%)
  • "하수나 해수 등에 대한 내식성은 슬래그 배합이 비교적 많은 것이 우수하다." 이유는 슬래그에는 산화철, 산화망간, 산화칼슘 등이 포함되어 있어 내식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강의 열처리방법 중 결정을 미립화하고 균일하게 하기 위해 800 ~ 10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냉각하는 열처리는?

  1. 풀림
  2. 불림
  3. 담금질
  4. 뜨임질
(정답률: 39%)
  • 800 ~ 10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냉각하는 열처리는 불림이다. 이는 결정을 미립화하고 균일하게 만들기 위한 열처리 방법 중 하나로, 금속의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불림은 금속을 가열하여 그 내부 구조를 변화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금속의 물성을 개선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석고플라스터와 석회바름의 비교설명 중 틀린 것은?

  1. 석고플라스터는 원칙적으로 해초 또는 풀즙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석회바름은 미장마감한 표면만이 특히 견고하게 되나 석고플라스터는 내부까지 거의 동일한 경도가 된다.
  3. 석고플라스터가 경화기간이 더 짧다.
  4. 석고플라스터는 건조하면 수축하나 석회바름은 팽창한다.
(정답률: 28%)
  • "석고플라스터는 건조하면 수축하나 석회바름은 팽창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석고플라스터와 석회바름은 모두 건조하면 경도가 높아지는 건조성 재료입니다. 하지만 석고플라스터는 건조하면 일정량 수분을 방출하면서 수축하는 반면, 석회바름은 건조하면 일정량 수분을 흡수하면서 팽창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석고플라스터는 석회바름보다 더 많은 수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석고플라스터로 만든 벽면은 시간이 지나면 약간의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의 비철금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붕재료 등에 있어서 동판과 철판을 서로 접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2. 동은 암모니아에 접하면 손상되기 쉽다.
  3. 황동은 동과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정첩, 창문의 레일 및 장식 철물 등에 널리 이용된다.
  4. 알루미늄은 알칼리에 강하며 모르타르에 직접 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3%)
  • "동은 암모니아에 접하면 손상되기 쉽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동은 암모니아에 접해도 손상되지 않는다. 오히려 암모니아는 동의 표면을 청색으로 변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알루미늄은 알칼리에 강하며 모르타르에 직접 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알루미늄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산화물 층으로부터 보호받기 때문이다. 이 산화물 층은 알루미늄의 표면을 보호하며, 알칼리나 모르타르와 같은 화학물질로부터 부식을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접착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동물질 아교는 비교적 접착력이 크고 취급하기 용이 하나 내수성이 부족하다.
  2. 페놀수지 접착제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이들 이종재(異種材)간의 접착에 사용된다.
  3.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목재, 석재의 접합에는 적당하나 금속 접합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비닐수지 접착제는 내열성, 내수성이 떨어져 옥외 사용에는 적당하지 않다.
(정답률: 85%)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목재, 석재의 접합에는 적당하나 금속 접합에는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금속 접합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재하시의 재령이 길수록 크다.
  2. 시멘트량 또는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크다.
  3. 하중이 클수록 작다.
  4. 부재의 단면치수가 클수록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시간에 따라 콘크리트의 크기가 변하게 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과 시멘트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이 많아지므로 크리프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시멘트량 또는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크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늑근을 쓰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2. 휨 모멘트를 보강하기 위해서
  3. 주근의 위치를 보존하기 위해서
  4. 전단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35%)
  •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늑근을 쓰는 가장 주된 이유는 "전단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높지만 전단강도는 낮기 때문에, 전단력이 발생하면 콘크리트가 균열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근을 사용하여 전단력을 분산시키고 균열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철근콘크리트보를 배근할 때 주근의 이음위치로 가장 알맞는 곳은?

  1. 보의 중간 위치
  2. 인장력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곳
  3. 압축력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곳
  4. 지점으로부터 span의 1/4되는 위치
(정답률: 55%)
  • 철근콘크리트보를 배근할 때 주근의 이음위치로 가장 알맞는 곳은 "인장력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곳"이다. 이유는 인장력은 보의 아랫면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보의 상부에서는 인장력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의 중간 위치나 지점으로부터 span의 1/4되는 위치는 인장력이 크게 발생하는 곳이므로 이음위치로 적합하지 않다. 반면, 압축력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곳은 이음위치로 적합하지만, 인장력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곳이 아니므로 최적의 위치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난간동자를 세워댄 난간을 말하며, 장식겸 난간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멍에
  2. 부란
  3. 두겁대
  4. 챌판
(정답률: 29%)
  • 난간동자를 세워댄 난간은 보통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고, 장식겸 난간으로 사용되는 것은 부란이다. 부란은 난간 위에 장식용으로 놓이는 나무나 철제의 장식물이며, 보통은 곡선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건물내의 계단에 계단참을 설치해야 할 경우 높이 몇m 이내 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1. 2m
  2. 3m
  3. 3.5m
  4. 4m
(정답률: 48%)
  • 건물 내의 계단에는 계단참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계단참은 계단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며, 계단의 높이가 3m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물 내의 계단에 계단참을 설치해야 할 경우 높이 3m 이내 마다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벽돌벽에 관한 기술 중에서 틀린 것은?

  1. 벽의 길이는 10m 이하로 한다.
  2.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m2를 넘을수 없다.
  3. 벽돌 아치의 각 부분에는 압축력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4. 밑층의 벽돌내력벽은 그 위층의 내력벽 두께보다 얇게 하지 않는다.
(정답률: 27%)
  • "벽돌 아치의 각 부분에는 압축력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벽돌 아치는 압축력을 받아야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부분에 압축력이 생기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건축법상 방화구조가 아닌 것은?

  1.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 이상인 것
  2.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 이상인 것
  3. 두께 1.2㎝ 이상의 석고판 위에 석면시멘트판을 붙인것
  4.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정답률: 39%)
  • 정답은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입니다.

    건축법에서 방화구조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건물 내부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방화벽, 방화문, 방화도어, 방화셔터 등이 있습니다.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 이상인 것은 방화구조 중 하나인 방화벽에 해당합니다. 방화벽은 화재 발생 시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여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 이상인 것도 방화벽에 해당합니다. 철망모르타르는 철망과 시멘트모르타르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강도가 높아 화재 발생 시에도 변형이 적어 화재 확산을 방지합니다.

    두께 1.2㎝ 이상의 석고판 위에 석면시멘트판을 붙인 것도 방화구조 중 하나인 방화벽에 해당합니다. 석고판과 석면시멘트판을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화재 발생 시에도 강도가 높아 화재 확산을 방지합니다.

    하지만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은 방화구조가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심벽을 보강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에는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건축법상 방화구조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둥의 중간부분이 가늘어 보이는 착시현상을 교정하기위해 기둥을 약간 배부르게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부여하는 수법은?

  1. 콜로네이드(Colonade)
  2. 아케이드(Arcade)
  3. 니치(Niche)
  4. 엔타시스(Entasis)
(정답률: 59%)
  • 엔타시스(Entasis)는 기둥의 중간부분이 가늘어 보이는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기둥을 약간 배부르게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부여하는 수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엔타시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축법상 건축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전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아니하고 다른 대지로 이동시키는 것
  2. 증축 - 기존건축물이 있는 대지 안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층수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
  3. 신축 - 건축물이 없는 대지에 새로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
  4. 개축 - 기존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그대지 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안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정답률: 55%)
  • 이전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않고 다른 대지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 전체를 다른 대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전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아니하고 다른 대지로 이동시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각 공간별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안채는 주로 남자가 생활하는 공간이다.
  2. 반빗간은 주로 음식을 만드는 공간이다.
  3. 사랑채는 주로 여자가 생활하는 공간이다.
  4. 행랑채는 주로 결혼전의 딸들이 기거하는 공간이다.
(정답률: 31%)
  • 정답은 "반빗간은 주로 음식을 만드는 공간이다." 이다. 반빗간은 주방과 같은 역할을 하며, 음식을 만들고 조리하는 공간이다. 안채는 가족이 생활하는 공간으로, 남자가 주로 사용하지만 여성도 사용할 수 있다. 사랑채는 여성들이 생활하는 공간으로, 자녀들과 함께 생활하기도 했다. 행랑채는 결혼 전의 젊은 여성들이 기거하는 공간으로, 교육과 예절 등을 배우는 공간이기도 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철골구조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수평력에 대해 강하다.
  2. 부재가 세장하므로 좌굴하기가 쉽다.
  3. 고열에 강하고 불연성이다.
  4. 장스팬 구조물이나 고층건축에 사용된다.
(정답률: 32%)
  • 정답은 "부재가 세장하므로 좌굴하기가 쉽다." 이다. 철골구조는 수평력에 대해 강하고 고열에 강하며 불연성이다. 하지만 부재가 세장하므로 좌굴하기가 쉽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2,000m2인 교육연구 및복지시설에 설치하여야 할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은 최소 몇 대인가? (단, 8인승 기준)

  1. 2대
  2. 3대
  3. 4대
  4. 5대
(정답률: 34%)
  • 승강기 설치기준은 건물의 총 층수와 거실면적의 합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거실면적의 합계가 12,000m2이므로, 층수에 따른 설치기준을 확인해야 한다.

    8인승 기준으로 층수에 따른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 2층 이하: 승강기 불필요
    - 3층~7층: 1대
    - 8층~15층: 2대
    - 16층~23층: 3대
    - 24층~31층: 4대
    - 32층 이상: 5대 이상

    따라서,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2,000m2인 경우에는 최소 4대의 승강기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건축법상 내화구조로 인정될 수 없는 것은?

  1. 철재로 보강된 유리블록 또는 망입유리로 된 지붕
  2. 단면이 25㎝× 30㎝인 철근콘크리트조 기둥
  3. 벽돌조로서 두께가 15㎝이상인 벽
  4. 철골조로 된 계단
(정답률: 17%)
  • 벽돌조로서 두께가 15㎝이상인 벽은 내화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보장되기 때문에 건축법상 내화구조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철재로 보강된 유리블록 또는 망입유리로 된 지붕, 철근콘크리트조 기둥, 철골조로 된 계단은 내화성능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내화구조로 인정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르네상스(Renaissance) 건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르네상스란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로 건축분야에서는 로마 건축을 기본으로 한 건축이다.
  2. 고딕건축의 수직적인 요소를 탈피하고 수평적인 요소를 강조하였다.
  3.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는 로마에 위치한 성 베드로 대성당이다.
  4.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돔(dome)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정답률: 58%)
  •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돔(dome)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은 르네상스 건축에서 돔 구조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로마 건축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돔 구조가 대규모 건축물에서 안정성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르네상스 건축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가구식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철골구조
  2. 철근콘크리트구조
  3. 벽돌구조
  4. 돌구조
(정답률: 43%)
  • 철골구조는 철골과 강철을 이용하여 건물을 지탱하는 구조로, 가구식 구조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구조입니다. 철골은 강도가 높고 가벼워서 건축물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골구조는 대형 건축물이나 고층 건물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목조 벽체에 사용되는 가새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가새의 단부에는 긴결철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2. 가새의 경사는 45° 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3. 뼈대가 수평으로 교체되는 하중을 받으면 가새에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번갈아 일어난다.
  4. 가새는 따내거나 결손시키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33%)
  • "가새의 단부에는 긴결철물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가새의 단부에 긴결철물을 사용하면 나무가 수축하거나 팽창할 때 긴결철물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가새를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새의 단부에는 대신에 끈으로 묶어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고딕건축을 구성하는 구조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립 볼트(Rib Vault)
  2. 프라잉 버트리스(Flying Buttress)
  3. 장미창(Rose Window)
  4. 포인티드아치(Pointed Arch)
(정답률: 18%)
  • 장미창은 구조적 요소가 아니라 장식적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고딕건축을 구성하는 구조적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로마에 위치한 성베드로 대성당의 건축에 관계되지 않은 사람은?

  1. 도나토 브라만테
  2. 쟈코모 델라 포르타
  3.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4.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정답률: 34%)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성베드로 대성당의 건축과는 관련이 없는 이탈리아의 과학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방시설 중 피난설비인 인명구조기구의 설치기준은?

  1. 층수가 5층 이상인 관광호텔 및 7층 이상인 병원
  2. 층수가 7층 이상인 관광호텔 및 5층 이상인 병원
  3. 층수가 5층 이상인 극장 및 7층 이상인 예식장
  4. 층수가 7층 이상인 극장 및 5층 이상인 예식장
(정답률: 36%)
  • 층수가 높을수록 대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명구조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관광호텔과 병원은 많은 인원이 머물거나 치료를 받기 때문에 대피가 어렵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층수가 5층 이상인 관광호텔과 7층 이상인 병원에는 인명구조기구 설치가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방법 상 피난기구를 설치해야하는 층은?

  1. 피난층
  2. 2층
  3. 5층
  4. 11층
(정답률: 29%)
  • 소방법에서는 5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반드시 피난기구를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높은 층수에서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반드시 피난기구를 설치하여 대피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목재의 접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 부재가 직각 또는 경사지어 맞추어지는 자리 또는 그 맞추는 방법을 이음이라 한다.
  2. 목재의 널 등을 모아대어 넓게 부합하는 일을 쪽매라한다.
  3. 접합은 응력이 작은 위치에서 한다.
  4. 접합에는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39%)
  • "접합은 응력이 작은 위치에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접합은 응력이 큰 위치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부재가 서로 수직으로 만나는 T자 형태의 접합에서는 응력이 큰 위치에서 접합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수정되어야 합니다.

    "한 부재가 직각 또는 경사지어 맞추어지는 자리 또는 그 맞추는 방법을 이음이라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음은 목재를 부합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부재의 모서리를 다듬어서 서로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목재의 널 등을 모아대어 넓게 부합하는 일을 쪽매라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쪽매는 목재를 부합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부재의 모서리를 다듬지 않고 널 등을 이용하여 부재를 넓게 부합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접합에는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접합에 사용되는 공작은 간단한 것이 좋습니다. 복잡한 공작은 부재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부합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양에 치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부재의 기능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도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실내환기계획에 대한 다음의 기술중 가장 옳은 것은?

  1. 공기유출구의 크기는 고정시키고 유입구의 폭을 증가시키면 실내기류의 속도는 크게 변한다.
  2. 개구부에 부착된 루버나 블라인드 등은 실내 기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실내의 환기계획에서는 공기에 포함된 열과 습기의 이동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
  4.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환기를 중력(重力)환기라고도 한다.
(정답률: 70%)
  •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환기는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환기이기 때문에 중력환기라고도 불린다. 이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발생하면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여 상층부에서 실외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여 하층부로 유입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강당의 환기용 천정 디퓨저에서의 음압레벨이 500Hz에서 35dB이다. 이 디퓨저가 모두10개가 있을 때 환기구 전체에서 발생하는 음압레벨은 얼마인가?

  1. 40dB
  2. 45dB
  3. 50dB
  4. 55dB
(정답률: 62%)
  • 10개의 디퓨저가 있으므로, 음압레벨은 10log(10) = 10dB 증가한다. 따라서, 각 디퓨저에서의 음압레벨 35dB에 10dB를 더한 값인 45dB가 전체 환기구에서 발생하는 음압레벨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 중 간접배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세면대
  2. 급수탱크
  3. 냉장고
  4. 수음기
(정답률: 58%)
  • 세면대는 간접배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는 세면대가 직접 수도관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급수탱크, 냉장고, 수음기는 간접배수를 해야 하며,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간접배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밝은 창문을 배경으로 한 경우 물체등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실루엣 현상
  2. 마스킹 현상
  3. 스컬러 현상
  4. 글레어 인덱스 현상
(정답률: 50%)
  • 밝은 창문을 배경으로 한 경우, 물체가 창문과 빛을 가리는 위치에 있으면 빛이 물체 뒤로 가려져서 물체의 윤곽이나 세부적인 부분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실루엣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단열을 강화한다.
  2. 환기량을 늘린다.
  3. 효율적인 에너지 기기를 사용한다.
  4. 자연에너지를 이용한다.
(정답률: 57%)
  • 환기량을 늘리는 것은 에어컨이나 히터 등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환기량을 줄이고 단열을 강화하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실내의 습도를 낮춘다.
  2. 벽체의 일부분이 얇거나 재료가 달라서 열관류저항이 작은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3. 표면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의 노점이 실내벽 표면온도보다 높아야한다.
  4.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벽체내의 수증기이동을 방지한다.
(정답률: 40%)
  • "실내의 습도를 낮춘다."가 옳지 못한 것이다.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것은 결로 발생을 방지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벽체의 일부분이 얇거나 재료가 달라서 열관류저항이 작은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벽체 내의 수증기 이동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표면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의 노점이 실내벽 표면온도보다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벽면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아야 결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기온의 연교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1년 중 가장 더운 시각과 가장 추운 시각의 차이
  2. 1년 중 가장 더운 날과 가장 추운 날의 평균기온차이
  3. 1년 중 가장 더운 날 10일과 가장 추운날 10일의 평균기온차이
  4. 1년 중 가장 더운 달과 가장 추운 달의 월평균 기온차이
(정답률: 34%)
  • "1년 중 가장 더운 달과 가장 추운 달의 월평균 기온차이"가 맞습니다. 이는 한 해 동안의 기온 변화를 가장 간단하게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달과 가장 추운 달의 월평균 기온차이가 클수록 연간 기온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음향장해 현상의 하나인 공명을 피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부적절한 것은?

  1. 실의 표면을 불규칙한 형태로 한다.
  2. 실내 높이,폭,길이의 비율을 조절한다.
  3. 확산체를 적절히 사용한다.
  4. 많은 반사재를 분산배치 시킨다.
(정답률: 55%)
  • 많은 반사재를 분산배치 시키는 것은 공명을 유발하는 파장을 서로 상쇄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부적절한 대책이다. 이는 오히려 공명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자연환기를 위한 개구부 위치 설명중 옳은 것은?

  1. 환기가 잘 이루어지려면 위치에 관계없이 개구부가 2개소 있으면 된다.
  2. 자연환기는 온도차에 의한 환기와 바람에 의한 환기두가지 방법 중에서 한방법으로만 이루어진다.
  3. 바람에 의한 환기는 바람의 후면(Leeward)에서는 개구부 위치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4. 개구부의 병렬합성과 직렬합성은 개구부 실효 면적의 합으로 통풍량을 구한다.
(정답률: 28%)
  • 바람에 의한 환기는 바람이 부는 방향인 바람의 앞면(Windward)에서는 개구부 위치에 영향을 많이 받지만, 바람이 부는 방향의 반대인 바람의 후면(Leeward)에서는 개구부 위치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소음평가 방법 중 Beranek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옥타브 분석법에 의한 소음허용치로 실내 소음 허용치로 사용되는 것은?

  1. NRN
  2. dB(A)
  3. TNI
  4. NC
(정답률: 16%)
  • Beranek이 제안한 방법은 NC (Noise Criteria) 방법이다. NC 방법은 옥타브 분석법을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소음 허용치를 설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전체 소음 허용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NC 방법은 실내 소음 평가에 적합하며, NRN, dB(A), TNI와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잔향시간은 실의 용적이 커지면 길어진다.
  2. 잔향시간은 음의 발생이 중지된후 에너지 밀도가 30dB감쇠하는데 요하는 시간이다.
  3. 잔향시간은 실내의 흡음력이 커지면 길어진다.
  4. 잔향시간은 명료도에는 영향을 주나 요해도에는 영향이 없다.
(정답률: 31%)
  • 정답은 "잔향시간은 실의 용적이 커지면 길어진다." 이다. 이유는 실내의 잔향시간은 실내의 음향 에너지가 실내 공간에서 반사되어 반복되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 공간이 커지면 반사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므로 잔향시간이 더 길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환기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환기의 역할은 신선한 공기의 공급과 공기의 교체로 인한 열과 습기의 이동이다.
  2. 굴뚝효과는 실내공기의 유동이 있을 때 환기를 유발시킨다.
  3. 자연환기는 온도차에 의한 압력과 건물주위의 바람에 의한 압력으로 발생된다.
  4. 실의 대상부위에 따라 전반환기와 국소환기로 대별된다.
(정답률: 45%)
  • "굴뚝효과는 실내공기의 유동이 있을 때 환기를 유발시킨다."는 적합하지 않은 기술입니다. 굴뚝효과는 실내공기의 유동이 아닌,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상승과 하강으로 인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굴뚝효과는 환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기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물의 경도 표시에 있어 환산값으로 이용되는 성분은?

  1. 탄산나트륨
  2. 페놀
  3. 탄산칼슘
  4. 탄산마그네슘
(정답률: 65%)
  • 물의 경도는 물에 용해된 무기물 성분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탄산칼슘이다. 따라서 물의 경도를 표시할 때는 탄산칼슘의 환산값을 이용한다. 탄산칼슘은 물에 용해되어 칼슘 이온과 탄산 이온으로 분해되며, 이 중에서도 칼슘이온은 물의 경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자외선 중 도루노선은 어느 범위를 말하는가?

  1. 120-200nm
  2. 200-290nm
  3. 290-320nm
  4. 320-400nm
(정답률: 16%)
  • 도루노선은 290-32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으로, 이 파장은 DNA와 RNA를 파괴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루노선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범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같은 주파수 음의 간섭에 의해서 입사음파가 반사음파와 중첩되어서 음압의 변동이 고정되는 현상은?

  1. 마스킹(masking)현상
  2. 정재파현상
  3. 플러터 에코(flutter echo)현상
  4. 피이드백(feedback)현상
(정답률: 40%)
  • 정재파현상은 같은 주파수 음의 간섭에 의해 입사음파와 반사음파가 중첩되어 음압의 변동이 고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방 안에서 발생하며, 음향 장비나 스피커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음질을 저하시키고, 소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음의 성질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주간에는 지표면 온도가 높으므로 음파도 상승한다.
  2. 공기에서 음속은 액체속보다 느리다.
  3. 음파는 종파와 횡파로 구성되어 있다.
  4. 주파수와 파장은 반비례한다.
(정답률: 4%)
  • "주간에는 지표면 온도가 높으므로 음파도 상승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지표면 온도가 높아도 음파의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

    음파는 공기나 다른 매질에서 진동을 일으키는 파동이다. 음파는 종파와 횡파로 구성되어 있다. 종파는 매질의 진동 방향과 파동의 진행 방향이 일치하는 파동이고, 횡파는 매질의 진동 방향과 파동의 진행 방향이 수직인 파동이다.

    공기에서 음속은 액체속보다 느리다. 이는 공기 분자 간의 거리가 넓어서 음파의 전달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주파수와 파장은 반비례한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은 짧아지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은 길어진다. 이는 파동의 진행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유효온도(effective temperature)에 대한 기술로 옳은 것은?

  1. 환경측 요소 중에서 기온, 습도, 기류 등의 감각과 동일한 감각을 주는 포화공기의 온도이다.
  2. 환경의 불쾌감을 표시하는 척도로서 등온감각이라고한다.
  3. 겨울철 한국인의 보통 착의 시에 있어서 쾌적범위는 20∼24℃이다.
  4. Gagge와 Winslow에 의해 고안되었다.
(정답률: 48%)
  • 유효온도는 환경의 불쾌감을 표시하는 척도로서 등온감각이라고 하며, 환경측 요소 중에서 기온, 습도, 기류 등의 감각과 동일한 감각을 주는 포화공기의 온도이다. 따라서 "환경측 요소 중에서 기온, 습도, 기류 등의 감각과 동일한 감각을 주는 포화공기의 온도이다."가 정답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유효온도와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개당 1,000 lm의 광속을 발하는 전등 20개를 10m x 10m의 실에 점등했을 때 이 실의 평균조도는? (단, 조명율은 0.5, 감광보상율은 1로 한다.)

  1. 20lux
  2. 50lux
  3. 100lux
  4. 200lux
(정답률: 53%)
  • 조명율은 전등이 발하는 광속 중에서 실 내부로 유효하게 도달하는 광속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등 20개가 발하는 총 광속인 20,000 lm 중에서 0.5만이 실 내부로 유효하게 도달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한 광속은 20,000 lm x 0.5 = 10,000 lm 이다.

    감광보상율은 인간의 눈이 어떤 조도에서도 동일한 밝기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보상하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감광보상율이 1로 주어졌으므로 인간의 눈은 모든 조도에서 동일한 밝기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등 20개가 발하는 유효한 광속 10,000 lm이 10m x 10m의 면적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평균조도는 10,000 lm / (10m x 10m) = 100 lux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lu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현대도시에서 건축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의 변화 현상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도시내부의 기온 상승에 의한 열섬현상(heat island)
  2. 오염물질의 증가
  3. 고층건축물의 증가에 의한 풍속의 증가
  4. 국지기후(micro climate)의 발생
(정답률: 25%)
  • 고층건축물의 증가에 의한 풍속의 증가는 건물들 사이의 풍향과 풍속을 바꾸어 실내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건축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건축물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건물내 발전기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부하중심에 가까울 것
  2. 습기, 먼지가 적은 장소일 것
  3. 천장높이는 보 아래 3.0m 이상일 것
  4. 안전을 고려하여 축전실과 떨어져 있을 것
(정답률: 50%)
  • 건물내 발전기실은 안전을 위해 축전실과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는 발전기실과 축전실이 같은 장소에 위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