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실내건축기사(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실내디자인 과정을 기획, 구상, 설계, 구현, 완공의 다섯단계로 구분할 경우, 문제에 대한 인식과 규명 및 정보의 조사, 분석, 종합을 하는 단계는?

  1. 기획
  2. 구상
  3. 설계
  4. 구현
(정답률: 99%)
  • 기획 단계는 프로젝트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에 대한 인식과 규명 및 정보의 조사, 분석, 종합을 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쇼룸의 실내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시상품에 대한 정보를 알리거나 관람자를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 공간이 필요하다.
  2. 입구에는 관람자의 시선을 끌기 위해 많은 양의 전시물과 세심한 디스플레이를 한다.
  3. 파사드는 실내에 대한 기대감과 기업 및 상품에 대한 첫인상을 좌우하는 곳이므로 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한다.
  4. 동선계획시 관람자가 한번 지났던 곳은 다시 지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5%)
  • 입구에 많은 양의 전시물과 세심한 디스플레이를 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눈부심이 일어나기 쉬우며 빛에 의한 그림자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조명의 배광방식은?

  1. 직접조명
  2. 반간접조명
  3. 간접조명
  4. 전반확산조명
(정답률: 96%)
  • 직접조명은 조명기구가 직접 물체를 비추는 방식으로, 빛의 집중도가 높아 눈부심이 일어나기 쉽고 그림자가 가장 강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눈부심이 필요한 작업장이나 무대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디자인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판단만이 중요하다.
  2. 다수의 사람들에 의한 보편적 객관성을 따른다.
  3. 조형요소를 결합하여 착시현상을 유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4. 점, 선, 척도, 비례, 조형, 조화, 통일 등을 포함한다.
(정답률: 53%)
  • 디자인은 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 객관성을 따라야 한다. 이는 디자인이 단순히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취향이나 적인 취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들의 취향과 요구에 부합하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대중들의 취향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디자인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실시 단계 이전의 과정에 속하는 작업의 범위가 다음과 같을 때, 그 순서가 옳게 된 것은?

  1. ① - ② - ③ - ④ - ⑤
  2. ① - ③ - ⑤ - ② - ④
  3. ① - ⑤ - ② - ④ - ③
  4. ① - ④ - ③ - ⑤ - ②
(정답률: 88%)
  • 작업의 범위를 살펴보면, ①은 "시스템 분석 및 설계"이고, ②는 "프로그램 코딩"이며, ③은 "프로그램 테스트"이고, ④는 "운영 및 유지보수"이며, ⑤는 "시스템 개발 계획 수립"입니다. 이 작업들을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①에서는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하며, ②에서는 설계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코딩합니다. 그리고 ③에서는 코딩한 프로그램을 테스트하고, ④에서는 운영하며 유지보수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⑤에서는 시스템 개발 계획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① - ⑤ - ② - ④ - ③"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자인 요소 중 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이 이동한 궤적에 의한 선을 포지티브선(positive line), 면의 한계 또는 면들의 교차에 의한 선을 네거티브선(negative line)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2. 수평선은 안전감과 안락함 등의 느낌을 준다.
  3. 사선은 엄숙, 의지, 상승 등의 느낌을 준다.
  4. 여러 개의 선을 이용하여 움직임, 속도감,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93%)
  • "사선은 엄숙, 의지, 상승 등의 느낌을 준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사선은 일반적으로 위로 올라가는 방향을 나타내며, 이는 상승, 의지, 엄숙함 등의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택 침실내의 침대 배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침대의 머리부분(head)에 조명기구를 둘 경우 빛이 눈에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2. 침대의 측면은 외벽에 붙이는 것이 이상적이다.
  3. 침대 하부(머리부분의 반대편)는 통행에 불편하지 않도록 90cm정도의 여유공간을 두는 것이 좋다.
  4. 침대 배치는 실의 크기와 침대와의 균형, 통로부분의 확보, 침재의 배치유형이 적절해야 한다.
(정답률: 91%)
  • "침대의 측면은 외벽에 붙이는 것이 이상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침대의 측면은 외벽에 붙이는 것이 아니라, 벽과 수직으로 놓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는 침대를 사용할 때 편리하고,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바닥, 벽, 천장)과 설치되는 가구, 기구들의 위치를 정하는 디자인 단계는?

  1. 공간설정의 단계
  2. 디자인 이미지의 구축단계
  3. 레이아웃(lay-out)단계
  4. 생활패턴의 파악단계
(정답률: 82%)
  • 레이아웃(lay-out)단계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바닥, 벽, 천장)과 설치되는 가구, 기구들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공간의 구성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가구와 기구들의 배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는 디자인 이미지의 구축단계나 생활패턴의 파악단계와는 다르게 구체적인 공간의 형태와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레이아웃(lay-out)단계"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실내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실내디자인은 건축과 인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대화의 영역을 창출하는 작업이다.
  2. 실내디자인은 과학적 기술과 예술이 종합된 분야로서 주어진 공간을 목적에 맞게 창조하는 작업이다.
  3. 실내디자인은 심미적인 면만을 고려하여 실내에 질서와 새로운 에너지를 부여하는 창조행위이다.
  4. 실내디자인은 목적을 위한 행위이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특정한 효과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정답률: 75%)
  • "실내디자인은 심미적인 면만을 고려하여 실내에 질서와 새로운 에너지를 부여하는 창조행위이다."가 가장 부적당하다. 이는 실내디자인이 단순히 시각적인 면만을 고려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으며, 실제로는 공간의 기능성과 사용자의 편의성, 안전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상품의 유효진열 범위 내에서 고객의 시선이 가장편하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가장 편안한 높이의 범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850~1250mm
  2. 450~850mm
  3. 1300~1500mm
  4. 1500~1700mm
(정답률: 89%)
  • 고객이 상품을 쉽게 볼 수 있는 범위는 눈의 높이와 비슷한 범위이므로, 대부분의 성인 고객의 눈높이인 1400mm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약 150mm 정도의 범위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850~1250mm가 가장 적당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에 알맞은 가구의 종류는?

  1. 시스템 가구
  2. 붙박이 가구
  3. 그리드 가구
  4. 수납용 가구
(정답률: 89%)
  • 정답은 "시스템 가구"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가구가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모듈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큰 가구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시스템 가구의 특징 중 하나로,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매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붙박이 가구는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구이며, 그리드 가구는 격자 모양의 구조를 가진 가구입니다. 수납용 가구는 수납 기능이 강조된 가구를 일컫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시공간의 실내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시장 내의 자료 보존을 위하여 자료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2. 전시장 바닥의 재료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발소리가 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다.
  3. 천장면을 메취(mesh)나 루버식으로 처리하면 설비기기가 눈에 잘 띄이지 않아 시각적으로 편안하다.
  4. 전시장의 벽면은 예술적인 분위를 주기 위해 여러가지 색으로 화려하게 한다.
(정답률: 86%)
  • 전시장의 벽면은 예술적인 분위를 주기 위해 여러가지 색으로 화려하게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전시장의 벽면은 전시물의 색감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너무 화려하게 꾸미면 전시물과 경쟁하게 됩니다. 따라서 벽면은 주로 중립적인 색상을 사용하며, 전시물과 어울리도록 조명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순수예술
  2. 디자인 활동
  3. 실행과정
  4. 전문과정
(정답률: 89%)
  • 정답은 "순수예술"입니다.

    실내디자인은 공간을 기능적이고 미적으로 디자인하는 활동으로, 디자인 활동과 실행과정, 전문과정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순수예술은 예술가의 개인적인 감성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실내디자인과는 개념적으로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과 가장 관계가 깊은 사람은?

  1. 루이스 설리번
  2. 미스 반 데어 로에
  3. 르 꼬르뷔지에
  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정답률: 77%)
  • 이 그림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설계한 "미들 세종"이라는 건물이다. 이 건물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하며, 루이스 설리번이 건축주였다. 그러나 이 건물은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한 "로비오타워"와 함께 미국 현대 건축의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로 꼽힌다. 따라서 이 그림과 가장 관계가 깊은 사람은 미스 반 데어 로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천장의 단면 유형 중 단저(丹底)형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54%)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천장의 단면이 단저(丹底)형일 때는 천장의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양쪽 끝 부분이 내려가는 형태를 띄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천장의 중앙부분이 높아지므로 공간감을 더해주고, 끝 부분이 내려가므로 천장이 무거워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디자인 프로세스 중 조건설정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1. 기능성
  2. 조형성
  3. 경제성
  4. 심미성
(정답률: 72%)
  • 조건설정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제품이 가져야 할 "목적"이며, 이는 기능성에 해당합니다. 디자인은 제품의 기능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기능성은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건설정단계에서는 제품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요소들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스케일의 상이성(相異性)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인간이 작은 공간에서는 커보이고, 큰 공간에서는 작아보이는 현상이다.
  2. 유사한 배열을 구분해서 보려는 현상이다.
  3. 사물을 집합적으로 인식하는 현상이다.
  4. 대상을 가능한 한 간단한 구조로 보려고 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88%)
  • "인간이 작은 공간에서는 커보이고, 큰 공간에서는 작아보이는 현상"은 스케일의 상이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습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인 인식에서 크기와 거리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작은 공간에서는 인간의 시야가 한정되어 있어서 사물이 크게 보이고, 큰 공간에서는 시야가 넓어져서 사물이 작아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디자인 요소 중 “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턴은 인위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으나 어떤 단위화된 재료가 조합될 때 저절로 생기는 것이다.
  2. 인위적인 패턴의 구성은 반복을 명확히 함으로써만 이루어진다.
  3. 패턴을 취급할 때 중요한 것은 그 공간속에 있는 모든 패턴성을 갖는 것과의 조화방법이다.
  4. 연속성 있는 패턴은 리듬감이 생기는데 그 리듬이 공간의 성격이나 스케일과 맞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88%)
  • "인위적인 패턴의 구성은 반복을 명확히 함으로써만 이루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위적인 패턴은 반복을 통해 구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패턴의 구성은 반복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마르셀 브로이어가 바우하우스의 칸딘스키 연구실을 위해 디자인한 것으로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를 갖는 의자는?

  1. 바르셀로나 체어
  2. 바실리 체어
  3. 페이란 체어
  4. 바페트 체어
(정답률: 68%)
  • 위 그림은 바실리 체어이다. 이는 마르셀 브로이어가 디자인한 바우하우스의 칸딘스키 연구실을 위한 의자로, 간단하면서도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바실리 체어는 두 개의 크로스된 다리와 그 위에 놓인 두 개의 곡선형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구조와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간의 분할 중 심리ㆍ도덕적 구획의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커튼
  2. 바닥면의 변화
  3. 천장면의 변화
  4. 낮은 칸막이
(정답률: 69%)
  • 커튼은 공간을 분할하는 것이지만, 심리ㆍ도덕적 구획의 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심리ㆍ도덕적 구획의 방법은 인간의 심리나 도덕적 가치에 따라 공간을 분할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커튼은 단순히 시각적인 분할을 위한 것으로, 심리ㆍ도덕적인 측면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커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다음 중 색상을 구별하는 망막의 시세포는?

  1. 추상체
  2. 간상체
  3. 홍채
  4. 수정체
(정답률: 81%)
  • 정답은 "추상체"입니다. 추상체는 망막의 원추세포와 막대세포로 구성된 시각 세포입니다. 이들 세포는 빛을 감지하고 색상을 구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추상체는 색상을 구별하는 망막의 시세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명소시에서 암소시로 이행할 때 붉은 색은 어둡게 되고 녹색과 청색은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는 현상은?

  1. 색순응 현상
  2. 오스트발트 현상
  3. 푸르킨예 현상
  4. 명암순응 현상
(정답률: 84%)
  • 암소시로 이행할 때 붉은 색은 빛의 파장이 길어져서 어둡게 보이고, 녹색과 청색은 빛의 파장이 짧아져서 상대적으로 밝게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푸르킨예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이 변하는 현상으로, 빛의 파장이 길어지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이 밝아지고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 등은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반대로 빛의 파장이 짧아지면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 등이 밝아지고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은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적색에 백색의 색료를 혼합했을 때 채도의 변화는?

  1. 낮아진다.
  2. 혼합하기전과 같다.
  3. 높아진다.
  4. 조금 높아진다.
(정답률: 77%)
  • 적색과 백색은 각각 채도가 높은 색이므로 혼합하면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빛의 스펙트럼에서 적색과 백색이 각각 다른 파장대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색을 혼합하면 파장대가 중간으로 이동하면서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우리가 영화 화면을 볼 때 규칙적으로 화면이 연결되어 언제나 지속되어 보이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정의 잔상
  2. 부의 잔상
  3. 대비 효과
  4. 동화 효과
(정답률: 61%)
  • 정의 잔상은 이전 화면에서의 이미지가 아직 뇌에 남아있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때도 그 영향이 남아있어서 연속성을 느끼게 만드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영화 화면에서 규칙적으로 화면이 연결되어 언제나 지속되어 보이는 것은 정의 잔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색 지각을 일으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1. 물체
  2. 프리즘
  3. 망막
(정답률: 89%)
  • 색 지각을 일으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빛"입니다. 색은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빛이 없으면 색도 없습니다. 빛이 물체에 닿으면 그 물체는 일부 빛을 흡수하고 일부 빛을 반사합니다. 이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가면, 망막에서 처리되어 우리가 색을 인식하게 됩니다. 프리즘은 빛을 분해시켜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지만, 이 역시 빛이 없으면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 ) 안에 알맞은 것은?

  1. 감산혼합
  2. 색료혼합
  3. 중간혼합
  4. 보색혼합
(정답률: 59%)
  • 이미지에서 보이는 색상은 빨강, 노랑, 파랑이 섞여서 나온 것으로, 이는 "중간혼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상품의 색체에 대하여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책상과 캐비넷의 회색 명도는 N5이하로 유지해야만 효율적이다.
  2. 색료를 선택할 때 내광, 내후성을 고려해야 한다.
  3. 재현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색체관리를 해야 한다.
  4. 제품의 표면이 클수록 더욱 정밀한 색채의 통제가 요구 된다.
(정답률: 63%)
  • "책상과 캐비넷의 회색 명도는 N5이하로 유지해야만 효율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회색 명도는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으며, 효율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리병 속의 액체나 얼음덩어리처럼 공간의 투명한 부피를 느끼는 색은?

  1. 투명면색
  2. 투과색
  3. 공간색
  4. 물체색
(정답률: 65%)
  • 유리병 속의 액체나 얼음덩어리는 투명한 물체이기 때문에 그들 주변의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색을 공간색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톤(Tone)분류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색채를 기억하기가 쉽다.
  2. 색채조화를 생각하기가 쉽다.
  3. 색상 차에 따른 분류를 세분한 것이다.
  4. 이미지 반영이 쉽다.
(정답률: 48%)
  • "색상 차에 따른 분류를 세분한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톤(Tone) 분류법은 색상이 아닌 색의 밝기와 진하기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색상 차에 따른 분류를 세분한 것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스트발트(Ostwald)표색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혼합하는 색량의 비율에 의하여 만들어진 체계이다.
  2. 빨강(R), 노랑(Y), 녹색(G), 파랑(B), 보라(P)의 5색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하였다.
  3. 기본이 되는 색채는 완전색 C, 이상적 백색W, 이상적 흑색 B이다.
  4. 헤링(E. Hering)의 4원색 설을 기본으로 하였다.
(정답률: 43%)
  • "빨강(R), 노랑(Y), 녹색(G), 파랑(B), 보라(P)의 5색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노랑, 녹색, 파랑을 기본 색채로 하며, 이들을 각각 100%, 100%, 100%로 설정한 후, 이들을 서로 혼합하여 만들어진 색상을 2차원 평면상에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5색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한 것이 아니라, 각 색상의 비율에 따라 위치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제품의 색채 계획에 있어서 가장 먼저 선택해야할 속성은?

  1. 색상
  2. 채도
  3. 명도
  4. 보색
(정답률: 90%)
  • 제품의 색상은 제품의 시각적인 인상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속성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색상이 결정되면 이후에는 채도, 명도, 보색 등의 다른 속성들을 조절하여 제품의 디자인을 완성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색입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색상, 명도, 채도를 3차원 공간에 배열한 것이다.
  2. Munsell의 색입체는 나무모양이다.
  3. Ostwald의 색입체는 삼각추체 모양이다.
  4. 명도순으로 된 무채색 축을 색입체의 중심에 두었다.
(정답률: 63%)
  • 정답: "Ostwald의 색입체는 삼각추체 모양이다."

    설명: Ostwald의 색입체는 삼각형 모양이며, 이는 색상, 명도, 채도를 각각의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에서 색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Munsell의 색입체는 나무모양이며, 명도순으로 된 무채색 축을 색입체의 중심에 두는 것도 Munsell의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면의 색에 순도를 올리면 그대로 색상이 유지되지 않고 채도의 단계에 따라 색상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은?

  1. 베졸트 브뤼케 현상
  2. 색음 현상
  3. 색각 항상 현상
  4. 에브니 효과 현상
(정답률: 34%)
  • 주면의 색에 순도를 올리면 색상의 파장이 짧아지고 채도가 높아지는데, 이에 따라 인간의 눈은 빛의 파장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색상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을 에브니 효과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색상의 변화가 아니라 채도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시각적인 인식의 차이로 인한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대비현상과는 달리 인접된 색과 닮아 보이는 현상은?

  1. 잔상현상
  2. 퇴색현상
  3. 동화현상
  4. 연상감정
(정답률: 85%)
  • 동화현상은 인접한 색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닮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대비현상과는 달리 색의 밝기나 채도가 아닌 색의 조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노란색이 인접해 있을 때, 빨간색이 노란색의 영향을 받아 주황색으로 보이는 것이 동화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9개의 검정 정사각형 사이의 교차되는 흰 부분에 약간 희미한 접이 나타나 보이는 착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1. 한난대비
  2. 채도대비
  3. 계시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66%)
  • 이러한 현상은 연변대비라고 부른다. 검정색과 흰색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인접한 색상의 대비가 높아져서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이다. 이는 눈의 망막에서 색을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오스트발트의 조화론 중 등백계열 조화에 해당되는 것은?

  1. pa-la-ca
  2. pa-pg-pn
  3. ca-ga-ge
  4. gc-lg-pl
(정답률: 75%)
  • 등백계열 조화는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가 서로 비슷한 색들을 조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pa-pg-pn"은 모두 밝고 어두운 정도가 비슷한 보라색 계열의 색상이므로 등백계열 조화에 해당됩니다. "pa-la-ca"는 밝은 보라색, 연한 라일락색, 연한 분홍색으로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가 서로 다르므로 등반계열 조화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ca-ga-ge"와 "gc-lg-pl"도 마찬가지로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가 서로 다르므로 등반계열 조화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떤 색이 같은 색상의 선명한 색 위에 위치하면 원래의 색보다 훨씬 탁한 색으로 보이고 무채색 위에 위치하면 원래의 색보다 맑은 색으로 보이는 대비현상은?

  1. 명도대비
  2. 채도대비
  3. 색상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74%)
  • 이것은 "채도대비"입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며, 무채색은 채도가 0이므로 색상 위에 위치하면 채도 대비가 높아져 더욱 선명하게 보이고, 색상과 같은 채도의 색은 대비가 낮아져 탁한 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채도 대비는 색의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눈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망막상에서 상의 초점이 맺히는 부분을 중심와라 한다.
  2. 망막의 맹점에는 광수용기가 없다.
  3. 눈에서 시신경 섬유가 나가는 부분을 유리체라 한다.
  4. 홍채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정답률: 41%)
  • "눈에서 시신경 섬유가 나가는 부분을 유리체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눈에서 시신경 섬유가 나가는 부분은 망막의 실제 중심부인 시신경광취체입니다. 유리체는 눈의 후부에 위치하며, 눈안에 있는 액체로서 눈의 구조를 유지하고 광선을 굴절시켜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빨강의 먼셀 기호는?(KS표준 기준)

  1. 5RP 3.5/4.5
  2. 5R 8/4
  3. 5R 9/5
  4. 7.5R 4/14
(정답률: 70%)
  • 정답은 "7.5R 4/14" 입니다.

    먼셀 기호는 색상을 숫자와 알파벳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숫자는 색상의 채도를, 알파벳은 색조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7.5R"은 색조를 나타내며, "4/14"는 채도를 나타냅니다. "7.5R"은 빨강색 계열 중에서는 중간 정도의 색조를 가지고 있으며, "4/14"는 채도가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이 먼셀 기호는 살짝 탁한 빨강색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문스펜서 색채조화론에서 미도(美度)는 일반적으로 얼마 이상이면 그 배색이 좋다고 하는가?

  1. 0.9
  2. 0.7
  3. 0.5
  4. 0.3
(정답률: 55%)
  • 미도는 0~1 사이의 값으로, 두 색상의 대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미도가 0.5 이상이면 두 색상의 대비가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미도가 가장 작은 값인 0.5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다음은 시각적 표시장치와 조종장치(control)를 포함하는 패널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내용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C – A - B - D
  2. C – D – B - A
  3. A – C – D - B
  4. B – A – D – C
(정답률: 76%)
  • 시각적 표시장치와 조종장치(control)를 포함하는 패널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내용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안전성
    2. 직관성
    3. 신뢰성
    4. 유지보수성

    따라서, C(안전성)가 가장 우선순위가 높고, D(직관성)가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 B(신뢰성)는 유지보수성(A)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C-D-B-A가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귀를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중이에 속하는 것은?

  1. 고막
  2. 와우
  3. 정원창
  4. 귀지선
(정답률: 60%)
  • 정답: 고막

    설명: 고막은 중이에 속하는 구조물로, 소리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는 귀의 바깥쪽 부분, 내이는 귀의 안쪽 부분을 의미합니다. "와우"와 "정원창"은 귀와는 관련이 없는 단어이며, "귀지선"은 중이가 아닌 내이에 속하는 구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신체부위의 유형에서 신체 부위 간의 각도가 감소하는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굴곡(flexion)
  2. 신전(extention)
  3. 하향(pronation)
  4. 외전(adduction)
(정답률: 74%)
  • 굴곡은 두 개 이상의 뼈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관절 각도가 감소하는 동작을 말합니다. 즉, 신체 부위 간의 각도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를 구부리는 동작이나 무릎을 굽히는 동작 등이 굴곡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굴곡(flexi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음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phon
  2. sone
  3. dB
  4. hue
(정답률: 83%)
  • 정답은 "hue"입니다.

    "phon"과 "sone"은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dB"는 소리의 강도나 전력을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는 단위입니다.

    하지만 "hue"는 색상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음의 단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영상표시단말기(VDT)를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제공할 키보드의 경사로 가장 적합한 각도는?

  1. 5~15°
  2. 5~25°
  3. 10~35°
  4. 10~45°
(정답률: 74%)
  • VDT를 사용하는 근로자는 긴 시간 동안 키보드를 사용하므로, 키보드의 경사가 너무 높으면 손목과 팔에 부담이 가해지고, 너무 낮으면 손목이 뒤틀리게 되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경사각은 5~15°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각도는 손목과 팔에 부담을 덜 주면서도 타이핑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작업으로 인한 근육에 필요한 산소는 순환기계통을 통해 혈액으로 배달된다. 다음 중 순환기 반응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심박출량 증가, 산소부재, 혈압상승
  2. 혈압상승, 혈류의 재분배, 흡기량 증가
  3. 혈압상성, 심박출량 증가, 흡기량 증가
  4. 심박출량 증가, 혈압상승, 혈류의 재분배
(정답률: 55%)
  • 정답은 "심박출량 증가, 혈압상승, 혈류의 재분배"입니다.

    심박출량은 심장이 1분 동안 박동으로 밀어내는 혈액의 양을 말하며, 작업 시 근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혈압도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작업 시 근육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위해 혈류가 재분배됩니다. 즉, 근육 주변의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증가하고, 다른 부위의 혈류는 감소합니다. 이러한 혈류의 재분배는 근육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소요조명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소요광속발산도(f/L)/반사율(%)
  2. 조도(lux)/반사율(%)
  3. 조도×면적/반사율(%)
  4. 면적×감광보상률/반사율(%)
(정답률: 57%)
  • 소요조명은 조명이 필요한 공간의 크기와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소요광속발산도(f/L)/반사율(%)를 구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조명장치가 발산하는 광속(f)과 조명대상의 면적(L)을 나눈 값인 소요광속발산도와, 조명대상에서 반사되는 광선의 비율인 반사율을 곱한 값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조명장치의 광속과 반사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명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조도
  2. 반사율
  3. 휘도
  4. 대비
(정답률: 71%)
  • 조도는 빛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조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인간을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볼 때 정보 처리 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1. 감각기관
  2. 신경전달기관
  3. 뇌의 판단기관
  4. 뇌의 저장기관
(정답률: 74%)
  • 정답은 "뇌의 저장기관"입니다.

    뇌의 저장기관은 기억을 저장하고 검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간의 뇌는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가 빠르지 않기 때문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기억을 떠올리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뇌의 저장기관입니다.

    반면에 감각기관은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신경전달기관은 감각기관에서 받은 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뇌의 판단기관은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뇌는 매우 빠른 속도로 정보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부품배치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요성의 원칙
  2. 사용 빈도의 원칙
  3. 기능별 배치의 원칙
  4. 작업 선정의 원칙
(정답률: 76%)
  • 작업 선정의 원칙은 부품배치의 원칙이 아니라 작업공정의 선택과 관련된 원칙이다. 부품배치의 원칙은 부품의 중요성, 사용 빈도, 기능별 배치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부품배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 선정의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소음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소음원을 격리시킨다.
  2. 귀마개를 착용한다.
  3. 소음원의 설비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4. 훈련을 통하여 적응력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72%)
  • 소음을 통제하는 방법 중에서 "훈련을 통하여 적응력을 향상시킨다."는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소음은 인간의 청각기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의 청력을 보호하거나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훈련을 통해 개인의 청력을 보호하거나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소음원을 격리시킨다.", "귀마개를 착용한다.", "소음원의 설비를 적절하게 배치한다."와 같은 방법들이 적절한 소음 통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시각적 표시장치의 지침 설계를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뾰족한 지침을 사용할 것
  2. 지침을 눈금면과 밀착시킬 것
  3. 지침의 색은 선단에서 눈금의 중심까지 칠할 것
  4. 지침의 끝은 작은 눈금과 겹치도록 할 것
(정답률: 66%)
  • "지침의 끝은 작은 눈금과 겹치도록 할 것"은 적절한 원칙이다. 이는 사용자가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지침의 끝이 눈금과 겹쳐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지침의 끝이 눈금과 겹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측정값을 잘못 읽을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침의 끝은 작은 눈금과 겹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피부감각 기능이 아닌 것은?

  1. 온도를 지각한다.
  2. 모양을 지각한다.
  3. 위치를 지각한다.
  4. 평형을 유지한다.
(정답률: 49%)
  • 정답: 평형을 유지한다.

    설명: 피부감각은 온도, 모양, 위치 등을 지각하는 기능이 있지만,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은 전신 감각 기능 중 하나이며, 특히 균형감각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평형을 유지하는 것은 피부감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공 : 눈에 들어오는 광선의 양을 조절한다.
  2. 안근 : 보려고 하는 대상 쪽으로 눈을 돌려주는 작용을 한다.
  3. 수정체 : 상의 초점을 맞추며, 먼 곳을 볼 때는 두꺼워 지고 가까운 곳을 볼 때는 얇아진다.
  4. 망막 : 대상물에서 오는 빛을 받으며, 이 빛은 수정체에서 굴절되어 상하가 거꾸로 된 상을 비춘다.
(정답률: 66%)
  • "수정체 : 상의 초점을 맞추며, 먼 곳을 볼 때는 두꺼워 지고 가까운 곳을 볼 때는 얇아진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없습니다.

    수정체는 눈안에 있는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빛을 굴절시켜 상의 초점을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하며,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더 두꺼워져서 굴절하는 정도가 강해지고, 가까운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얇아져서 굴절하는 정도가 약해집니다. 이를 통해 눈은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를 모두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실현가능성이 동일한 4개의 대안이 있을 경우 총정보량 몇 bit인가?

  1. 0.5
  2. 1
  3. 2
  4. 4
(정답률: 62%)
  • 4개의 대안이 있을 때, 각 대안은 동일한 확률로 선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 대안은 2개의 선택지(선택 또는 비선택) 중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4개의 대안이 있을 때 총정보량은 2의 2승, 즉 4 bit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EMG(electromy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은?

  1. 심장 박동수
  2. 뇌의 활동량
  3. 안구의 초점이동
  4. 근육의 활동
(정답률: 63%)
  • EMG는 근육의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EMG 센서를 근육에 부착하여 근육 수축 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근육의 활동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근육의 활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명방법 중 간접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업상 필요한 장소만 조명하는 방법이다.
  2. 효율이 좋으나 음영이 생기기 쉽다.
  3. 광원을 천장에 매달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적으나, 전력소비량이 많다.
  4. 광이 천장면이나 벽면에 부딪친 다음 반사된 광선이 조명면에 비치는 방법이다.
(정답률: 86%)
  • 광이 천장면이나 벽면에 부딪친 다음 반사된 광선이 조명면에 비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행동과정을 통한 인간실수의 분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input Error
  2. Omission Error
  3. Feed Back Error
  4. inform ation processing Error
(정답률: 62%)
  • "Feed Back Error"는 행동과정을 통한 인간실수의 분류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피드백 오류는 행동과정이나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가 아니라, 이미 실행된 행동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따라서 행동과정을 통한 인간실수의 분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료의 통계분석에서 상관관계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는 상관계수(coefficient of correlation)는 얼마인가?

  1. -0.1
  2. 0
  3. 0.5
  4. +1.0
(정답률: 77%)
  • 상관계수가 0이라는 것은 두 변수 간에 아무런 선형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한 변수의 값이 증가하더라도 다른 변수의 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관계수가 0인 경우 두 변수 간에 어떠한 상호작용도 없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신경세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수의근
  2. 수상돌기
  3. 신경섬유
(정답률: 78%)
  • 신경세포는 핵, 수상돌기,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수의근은 신경세포와는 관련이 없는 근육 세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의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다음 중 강(鋼)의 열처리와 관계없는 용어는?

  1. 단조
  2. 불림
  3. 담금질
  4. 뜨임질
(정답률: 61%)
  • 정답: 단조

    설명: 단조는 금속을 뜨거운 상태에서 압력을 가해 형상을 바꾸는 공정으로, 열처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불림, 담금질, 뜨임질은 모두 강의 열처리 공정 중 하나입니다. 불림은 강을 뜨거운 상태에서 냉각하여 경도를 높이는 공정이고, 담금질은 강을 뜨거운 상태에서 냉각하여 연성을 높이는 공정입니다. 뜨임질은 강을 뜨거운 상태에서 유지하여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내열성은 높지 않으나 우수한 단열성 때문에 냉동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는?

  1. 우레아폼
  2. 폴리우레탄폼
  3. 스티로폴
  4. 퍼라이트
(정답률: 62%)
  • 폴리우레탄폼은 공기 중의 수증기를 잘 막아주는 단열재로, 냉동기기 내부에서 냉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경제적이고 가볍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동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래커(lacqui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막형성은 주로 용제의 증발에 따른 건조에 의한다.
  2. 도막이 단단하지 않으며 에나멜 도막은 내후성이 나쁘다.
  3. 건조시간을 지연시킬 목적으로 신너(thinner)를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4. 안료는 배합하지 않은 것은 클리어래커라 한다.
(정답률: 60%)
  • "도막이 단단하지 않으며 에나멜 도막은 내후성이 나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래커는 용제의 증발로 도막을 형성하며, 신너를 첨가하여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안료를 배합하지 않은 래커를 클리어 래커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장용 혼화재료 중 착색을 목적으로 하는 착색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합성산화철
  2. 카본블랙
  3. 염화칼슘
  4. 이산화망간
(정답률: 71%)
  • 염화칼슘은 착색을 목적으로 하는 착색재료에 속하지 않습니다. 염화칼슘은 미장용 혼화재료 중 하나이지만, 주로 건축물 내부에서 습기 제거나 방향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착색을 목적으로 하는 합성산화철, 카본블랙, 이산화망간과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플라이애시(fly ash)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재료 분리가 감소된다.
  2. 콘크리트의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3. 콘크리트의 수화열이 증가한다.
  4.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정답률: 59%)
  • "콘크리트의 수화열이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플라이애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키고 재료 분리를 감소시키며, 장기강도를 증가시키고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수화열은 콘크리트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열로, 플라이애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강(鋼)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탄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율은 떨어진다.
  2. 탄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열은 커진다.
  3. 융점은 대략 1,425~1,528℃ 이다.
  4. 항복비란 상위 항복점과 하위항복점의 비를 말한다.
(정답률: 43%)
  • "항복비란 상위 항복점과 하위항복점의 비를 말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항복비란, 재료가 일정한 압력 하에서 변형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응력과 그 응력에 해당하는 변형률의 비율을 말합니다.

    - "탄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율은 떨어진다." : 탄소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탄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열은 커진다." : 탄소는 비열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융점은 대략 1,425~1,528℃ 이다." : 강의 융점은 이 범위 내에서 변동합니다.

    따라서, "항복비란 상위 항복점과 하위항복점의 비를 말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미장재료 중 건조시 무수축성의 성질을 가진 재료는?

  1. 시멘트 모르타르
  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3. 회반죽
  4. 석고플라스터
(정답률: 52%)
  • 석고플라스터는 건조시 물분을 빼면서 결합력이 강해지는 무수축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조 후에도 변형이 적고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료의 저장 중 온도의 상승 및 저하의 반복작용에 의해 도료 내에 작은 결정이 무수히 발생하며 도장시 도막에 좁쌀 모양이 생기는 현상은?

  1. skinning
  2. seeding
  3. bodying
  4. sagging
(정답률: 81%)
  • 저장 중 온도의 상승 및 저하의 반복작용에 의해 도료 내에 작은 결정이 무수히 발생하면서 도장시 도막에 좁쌀 모양이 생기는 현상을 seed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영어로 "씨 뿌리기"라는 뜻으로, 작은 결정이 씨처럼 도료 내부에 퍼져나가는 모습이 씨를 뿌리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이렇게 부르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스팔트방수에서 아스팔트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탕과의 접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바르는 재료는?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2. 블로운 아스팔트
  3. 아스팔트 프라이머
  4. 아스팔트 컴파운드
(정답률: 74%)
  •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아스팔트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탕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이는 아스팔트 방수층이 콘크리트 바탕에 잘 달라붙지 않을 경우 물이 스며들어 방수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바르면 콘크리트 바탕과 아스팔트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콘크리트에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단섬유(短纖維)가 혼입 보강되면 주로 어느 성질이 향상되는가?

  1. 인성 및 내충격성
  2. 흡음성 및 차음성
  3. 압축강도
  4. 방수성 및 내열성
(정답률: 68%)
  • 단섬유가 혼입되면 콘크리트의 인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됩니다. 이는 단섬유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파열이 발생할 때 파열을 방지하고 전파를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충격에 대한 저항력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시멘트 중 가장 응결이 빠른 시멘트는?

  1. 고로시멘트
  2. 알루미나 시멘트
  3. 실리카 시멘트
  4.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24%)
  •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온에서 빠르게 응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른 시멘트에 비해 응결이 빠릅니다. 이는 알루미나 시멘트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온에서 사용되는 화로, 용광로, 보일러 등의 내부 공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트래버튼(travert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질이 불균일하고 다공질이다.
  2. 특수 외장용 장식재로서 주로 사용된다.
  3. 변성암으로 황갈색의 반문이 있다.
  4. 탄산석회를 포함한 물에서 침전, 생성된 것이다.
(정답률: 32%)
  • 트래버튼은 특수 외장용 장식재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축재료로서도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합성수지와 체질안료를 혼합한 입체무늬 모양을 내는 뿜칠용 도료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바탕에 도장하는 도료는?

  1. 본타일
  2. 다채무늬 도료
  3. 규산염 도료
  4. 알루미늄 도료
(정답률: 46%)
  • 본타일은 합성수지와 체질안료를 혼합하여 입체무늬 모양을 내는 뿜칠용 도료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바탕에 도장하는 도료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본타일입니다. 다채무늬 도료는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혼합하여 만든 도료이며, 규산염 도료는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입니다. 알루미늄 도료는 알루미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로, 반사율이 높아 빛을 반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아스팔트 루핑의 생산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1. 록 아스팔트
  2. 유제 아스팔트
  3. 컷백 아스팔트
  4. 블로운 아스팔트
(정답률: 74%)
  • 아스팔트 루핑은 지붕재료로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내열성이 높아야 하고, 녹이 잘 안붙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아스팔트는 블로운 아스팔트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루핑의 생산에는 블로운 아스팔트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톱밥을 압축 가공하여 만드는 인조 목재판인MDF(Medium Density Board)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천연목재보다 강도가 크고 변형이 적다.
  2. 재질이 천연목재보다 균일하다.
  3. 천연목재에 비해 습기에 강하다.
  4. 다양한 형태의 시공이 용이하다.
(정답률: 68%)
  • MDF는 천연목재보다 습기에 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회반죽 바름용 재료와 관련 없는 것은?

  1. 종석
  2. 해초풀
  3. 여물
  4. 소석회
(정답률: 54%)
  • 종석은 회반죽 바름용 재료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종석은 석재의 일종으로, 건축물의 건설에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실리콘(silicon)수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탄력성, 내수성 등이 아주 우수하기 때문에 접착제, 도료로서 주로 사용된다.
  2. 70℃~80℃의 고온에서는 연화되는 단점이 있다.
  3. 가소물이나 금속을 성형할 때 이형제로 쓸 수 있을정도로 피복력이 있다.
  4. 발수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 전기 절연물 등의 방수에 쓰인다.
(정답률: 61%)
  • 실리콘 수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70℃~80℃의 고온에서는 연화되는 단점이 있는 이유는, 실리콘 수지가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온에 강한 실리콘 수지도 개발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목재의 방부제 중 독성이 적고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처리재는 갈색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
  2. 페놀류⋅무기플루오르화물계(PF)
  3. 크롬⋅구리⋅비소화합물계(CCA)
  4. 펜타클로르페놀(PCP)
(정답률: 73%)
  • 크레오소트유는 독성이 적고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처리재는 갈색으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로서 사암이나 점판암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축량이 크고, 석영⋅석회암⋅화강암을 이용한 것은 적다.
  2. 콘크리트 습윤양생기간의 장단은 건조수축에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골재 중에 포함된 미립분이나 점토, 실트는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을 증대시킨다.
  4. 단위수량이 증가되면 수축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40%)
  • 단위수량이 증가되면 수축량은 감소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이 더 많아지므로 건조수축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수축량도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금속제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스테인리스 강판은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으로도 광택이 미려하다.
  2. 메탈폼은 금속재의 콘크리트용 거푸집으로서 치장 콘크리트 등에 사용된다.
  3. 조이너는 벽, 기둥 등의 모서리 부분에 미장바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묻어 붙인 것으로 모서시쇠라고도 한다.
  4. 꺽쇠는 강봉 토막의 양끝을 뾰족하게 하고, ㄷ자형으로 구부려 2개의 부재를 잇거나 엇갈리게 고정시킬때 사용된다.
(정답률: 65%)
  • 조이너는 벽, 기둥 등의 모서리 부분에 미장바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묻어 붙인 것으로 모서시쇠라고도 한다.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다음 중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 대상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창층 –바닥면적 150m2이상
  2. 지하층 –바닥면적 150m2이상
  3. 옥내작업방 –작업하는 근로자수가 50인 이상
  4. 지하가 중 터널 –길이 300m이상
(정답률: 62%)
  • 지하가 중 터널 –길이 300m이상은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 대상물이 아닙니다. 이유는 터널은 이미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해도 대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터널은 화재 예방 및 대처를 위한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고대 그리스 건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컴퍼지트 오더(Composite Order)가 주로 사용되었다.
  2. 그리스 신전 건축은 본질적으로 기둥과 보로 구성되는 가구식구조이다.
  3. 신전건축기 절정을 이루었으며 조화와 균형에 중점을 두었다.
  4. 파르테논신전에서는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기둥에 배흘림(entasis)이 사용되었다.
(정답률: 52%)
  • "컴퍼지트 오더(Composite Order)가 주로 사용되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실제로는 코리늄 오더(Corinthian Order), 이오니안 오더(Ionic Order), 도리스 오더(Doric Order)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컴퍼지트 오더는 로마 건축에서 발전된 것으로, 고대 그리스 건축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컴퍼지트 오더는 이오니안 오더와 코리늄 오더의 특징을 결합한 것으로, 기둥의 장식이 매우 복잡하고 화려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철골구조의 고력볼트접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접합부의 강성이 높아서 접합부의 변형이 거의 없다.
  2. 볼트에서는 마찰접합의 경우 전단력이 생기지 않는다.
  3. 계기공구를 사용하여 죄므로 정확한 강도를 얻을수 있다.
  4. 피로강도가 높아 볼트가 풀리기 쉽다.
(정답률: 62%)
  • "피로강도가 높아 볼트가 풀리기 쉽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피로강도가 높을수록 볼트의 내구성이 높아져 풀리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스페이스 프레임(space frame)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부재를 반복, 조립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2. 넓은 공간을 구성하는데 적절하다.
  3. 철판 및 곡면구조로 응용할 수 없어 공간의 표현이 자율적이지 못하다.
  4. 재료는 주로 강관(steel pipe)을 사용한다.
(정답률: 41%)
  •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는 철판 및 곡면구조로 응용할 수 없어 공간의 표현이 자율적이지 못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곡면 구조와도 결합하여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공간의 표현이 자율적이며, 건축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고대 로마의 바실리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회 및 상업거래 등을 위하여 계획된 건물이다.
  2. 로마시대 이후에는 교회건축의 모체가 된다.
  3. 바실리카 울피아의 출입구는 커다란 중정에 면한 장변쪽에 나있다.
  4. 바실리카 울피아는 동적이고 인간적 척도로 된 내부공간을 갖는다.
(정답률: 31%)
  • "바실리카 울피아는 동적이고 인간적 척도로 된 내부공간을 갖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바실리카는 로마시대 이후에 교회건축의 모체가 되었으며, 집회 및 상업거래 등을 위하여 계획된 건물이다. 바실리카 울피아의 출입구는 커다란 중정에 면한 장변쪽에 나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벽돌쌓기에서 각 켜를 쌓는데 벽 입면(立面)으로 보아 길이와 마구리가 한켜에서 번갈아 나타나는 것은?

  1. 영식쌓기
  2. 네덜란드식쌓기
  3. 불식쌓기
  4. 미식쌓기
(정답률: 33%)
  • 벽돌쌓기에서 벽 입면으로 보아 길이와 마구리가 한켜에서 번갈아 나타나는 것은 "불식쌓기"입니다. 이는 벽돌을 쌓을 때 벽돌의 길이와 마구리를 번갈아가며 쌓아서 벽돌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영식쌓기"는 벽돌을 쌓을 때 벽돌을 끼워 맞추어 쌓는 기술, "네덜란드식쌓기"는 벽돌을 쌓을 때 벽돌을 놓고 높이를 맞추어 쌓는 기술, "미식쌓기"는 벽돌을 쌓을 때 벽돌을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미적인 감각을 고려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와 가장 관계가 깊은 양식은?

  1. 로마네스크(Romanesque)양식
  2. 로마(Rome)양식
  3. 르네상스(Renaissance)양식
  4. 고딕(Gothic)양식
(정답률: 77%)
  • 플라잉 버트레스는 고딕 양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로, 고딕 양식과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고딕 양식은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발전한 양식으로, 대표적으로 플라잉 버트레스, 아치형 창문, 뾰족 아치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잉 버트레스와 가장 관련이 있는 양식은 고딕 양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석재의 가공 중 표면의 질감(texture)이 가장 거친 마감 상태는?

  1. 잔다듬 후
  2. 혹따기 후
  3. 도드락다듬 후
  4. 물갈기 후
(정답률: 66%)
  • 석재의 가공 중 가장 거친 마감 상태는 혹따기 후이다. 이는 석재의 표면을 불로 달구어서 거칠게 다듬는 과정으로, 다른 마감 방법들에 비해 더욱 거칠고 균일하지 않은 질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혹따기 후는 보통 건축물의 외벽 등에서 사용되며, 다른 마감 방법들은 보다 부드러운 질감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에 사용되는 띠철근에 대한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35 이상의 종방향 철근과 다발철근 D13이상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2. D32 이하의 종방향 철근은 D10이상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3.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종방향 철근지름의 16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D35 이상의 종방향 철근을 둘러싸는 띠철근 대신 등가단 면적의 이형철선 또는 용접철망을 사용할 수있다.
(정답률: 50%)
  •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종방향 철근지름의 16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종방향 철근지름의 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이유는 띠철근이 압축력을 받을 때 종방향 철근과 함께 작용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전달되는 힘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에너지 절약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당해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 기준)

  1.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 2,000m2이상
  2.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 2,000m2이상
  3.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 : 500m2이상
  4. 숙박시설 : 2,000m2이상
(정답률: 42%)
  •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 2,000m2이상"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의 경우에는 바닥면적이 2,000m2 이상이어야 에너지 절약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로 분류된다. 이는 연구소가 다른 교육연구시설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따라서 에너지 절약이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열손실 방지 등의 에너지 이용합리화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부위를 열거한 것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거실의 외벽
  2.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3.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4. 공동주택의 세대간의 경계벽
(정답률: 55%)
  • 공동주택의 세대간의 경계벽은 다른 부위들과 달리 외부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열손실이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목재 접합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이음 : 좁은 폭의 널을 옆으로 붙여 그 폭을 넓게 하는 것
  2. 쪽매 : 두 재를 직각 또는 경사지게 접합하는 것
  3. 맞춤 : 두 재를 맞대고 같은 재로 나비형의 은장을 만들어 끼운 접합
  4. 연귀 : 직교되거나 경사로 교차되는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빗잘라대는 것
(정답률: 40%)
  • 연귀는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빗잘라 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장식적이고 곡선을 주로 사용하며 나무, 꽃, 덩굴, 조개껍질, 뱀과 같은 자연적인 소재를 중심으로 표현한 디자인 사조는?

  1. 세제션
  2. 아르누보
  3. 데 스틸
  4. 절충주의
(정답률: 87%)
  • 아르누보는 자연적인 소재와 곡선을 중심으로 한 장식적인 디자인을 표현하는 사조입니다. 이는 세제션과 유사하지만, 세제션은 더욱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중심으로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데 스틸은 산업적인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며, 절충주의는 기능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디자인 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특정소방대상물 중 교육연구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무도학원
  2. 자동차정비학원
  3. 자동차운전학원
  4. 연수원
(정답률: 74%)
  • 교육연구시설은 교육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시설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도학원", "자동차정비학원", "자동차운전학원"은 교육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시설이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연수원"은 교육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시설로서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개선, 직무능력 향상 등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므로 교육연구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벽에 대한 내화구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벽의 두께가 10cm이상인 것
  2.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벽의 두께가 10cm이상인것
  3. 벽돌조로서 벽의 두께가 15cm이상인 것
  4. 고온⋅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로서 두께가 10cm이상인 것
(정답률: 71%)
  • "벽돌조로서 벽의 두께가 15cm이상인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내화구조 기준에서 벽돌조의 경우 벽의 두께가 20cm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벽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내화성능이 높아지기 때문에, 벽돌조의 경우 두께가 15cm보다 얇은 경우 내화성능이 부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아라베스크(Arabesque)장식문양과 거리가 먼 내용은?

  1. 식물의 잎, 꽃, 열매 등이 우아한 곡선으로 연결된 장식문양
  2. 이슬람건축이나 공예품의 특징인 환상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장식요소
  3. 괴기스러울 정도로 복잡하게 조립한 부자연스러운장식요소
  4. 아라비아 풍의 장식요소
(정답률: 45%)
  • 정답은 "괴기스러울 정도로 복잡하게 조립한 부자연스러운 장식요소"입니다. 이는 아라베스크가 복잡하고 부자연스러운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방화구획이 설치된 건축물에서 배연설비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화구획마다 1개소 이상 배연창을 설치한다.
  2. 배연구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수 있는 구조로 하되, 손으로 개폐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배연구는 예비전원으로 열 수 있도록 한다.
  4.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한다.
(정답률: 72%)
  • "배연구는 예비전원으로 열 수 있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건축법 시행규칙 제33조(방화구획의 배연설비 등)에 따라 배연구 설치 시 필요한 조건들 중 하나인데, 예비전원은 배연구가 자동으로 열리는 경우에 대비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배연구 자체를 설치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배연구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수 있는 구조로 하되, 손으로 개폐가 되지 않도록 한다."는 설명은 옳다. 이는 배연구가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여 연기와 열을 배출하고, 손으로 개폐할 수 없도록 설계하여 방화성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목재의 방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옳지 않을 것은?

  1. 목부의 노출을 적게 한다.
  2. 인산암모늄(방연제)을 도포한다.
  3. 목조건물의 효율적인 배연을 위하여 환기구를 크게 한다.
  4.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바른다.
(정답률: 63%)
  • "목조건물의 효율적인 배연을 위하여 환기구를 크게 한다."는 방화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방안이기 때문에 옳지 않다. 환기구의 크기는 건물의 사용 용도와 인원 수 등에 따라 결정되며, 방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목재의 노출을 적게 하거나 인산암모늄(방연제)을 도포하거나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바르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철근콘크리트 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측에만 철근을 넣은 보를 단근보라 한다.
  2. 압축측에서도 철근을 배근한 보를 복근보라 한다.
  3. 단순보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주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크다.
  4. 내민보는 단면 하부에 인장근을 배근한다.
(정답률: 26%)
  • "내민보는 단면 하부에 인장근을 배근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내민보는 단면 상부에 인장근을 배근한다. 이는 내력이 발생하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인장근과 압축근의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내력이 발생하는 위치가 보의 상부에 있을 경우 상부에 인장근을 배근하고, 하부에 압축근을 배근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물에 설치하는 회전물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문의 위치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이상 거리를 둘 것
  2.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라 8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회전문고 문틀사이는 5cm이상 간격을 확보하고 틈사이를 고무와 고무펠트의 조합체 등을 사용하여 신체나 물건 등에 손상이 없도록 할 것
  4. 회전문은 상요에 편리하게 양 방향으로서 회전할수 있는 구조로 할 것
(정답률: 72%)
  • "회전문의 위치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이상 거리를 둘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회전문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통로에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위의 기준이 존재한다. 따라서, 회전문의 위치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회전문은 상요에 편리하게 양 방향으로서 회전할수 있는 구조로 할 것"은 회전문 설치의 기준 중 하나이다. 회전문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다음 중 단열이 메카니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용량형 단열
  2. 반사형 단열
  3. 저항형 단열
  4. 투과형 단열
(정답률: 43%)
  • 투과형 단열은 열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일부 투과시키는 단열 방식이기 때문에 메카니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단열 방식들은 열을 차단하거나 반사시켜서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의 눈부심(glar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눈에 입사하는 광속이 과다할수록 눈부시다.
  2. 광원의 휘도가 높을수록 눈부시다.
  3. 광원이 시선에 가까울수록 눈부시다.
  4. 빛나는 면의 크기가 작을수록 눈부시다.
(정답률: 76%)
  • "빛나는 면의 크기가 작을수록 눈부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빛나는 면의 크기가 클수록 눈부십니다. 이는 빛이 더 많은 면적에서 발산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태양은 매우 큰 광원이지만, 작은 전구도 눈부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빛나는 면의 크기가 작을수록 눈부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열에 의하여 쾌적감이나 불쾌감을 느끼는 물리적 온열 4요소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기온, 기류, 습도, 복사열
  2. 기옥, 기류, 복사열, 착의량
  3. 기온, 복사열, 습도, 활동량
  4. 기온, 기류, 습도, 활동량
(정답률: 54%)
  • 정답은 "기온, 기류, 습도, 복사열" 입니다.

    - 기온: 공기의 온도가 높으면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 기류: 공기의 움직임이 적으면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 습도: 공기 중의 수증기 함량이 높으면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 복사열: 태양 복사 등 외부로부터의 열을 받으면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급수설비의 고가수조식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수질오염의 염려가 적다.
  2. 일정한 수압을 유지할 수 없다.
  3. 대규모 급수시설에 적합하다.
  4. 설비비가 저렴하다.
(정답률: 52%)
  • 대규모 급수시설에 적합하다는 이유는 수조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대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이는 대규모 급수시설에서 필요한 수량을 충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질오염의 염려가 적다는 것은 수조 내부의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일정한 수압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은 수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설비비가 저렴하다는 것은 다른 급수설비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차음재료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구 중을 전파하는 음파의 차단에 관하여 특질을 갖추고 있다.
  2.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재료이고, 차음의 목적에 따라 천장, 벽, 바닥 등이 구성재료가 될 수 있다.
  3. 연속기포 다공질 재료로서 공기 중을 전파하여 입사한 음파가 투과가 용이하다.
  4. 공기의 유통이 없이 비교적 밀실한 재질을 지니고 있다.
(정답률: 66%)
  • "공기의 유통이 없이 비교적 밀실한 재질을 지니고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연속기포 다공질 재료는 공기 중을 전파하여 입사한 음파가 투과가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차음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구 중을 전파하는 음파의 차단에 관하여 특질을 갖추고 있다."와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재료이고, 차음의 목적에 따라 천장, 벽, 바닥 등이 구성재료가 될 수 있다."도 차음재료에 요구되는 성질이다. 하지만 "공기의 유통이 없이 비교적 밀실한 재질을 지니고 있다."는 차음재료에 요구되는 성질과는 거리가 있으며, 오히려 차음재료로서는 부적합한 성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음파는 파동의 하나이기 때문에 물체가 진행방향을 가로막고 있다고 해도 그 물체의 후면에도 전달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잔향
  2. 굴절
  3. 회절
  4. 간섭
(정답률: 76%)
  • 이러한 현상을 "회절"이라고 한다. 회절은 파동이 물체를 만나면 그 물체 주위를 향해 퍼져나가면서 파동의 진행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물체가 진행방향을 가로막고 있다고 해도 파동은 그 물체의 후면으로 회절되어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급수방식 중 수도직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생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식이다.
  2. 급수압력이 항상 일정하다.
  3. 정전으로 인한 단수의 염려가 없다.
  4. 고층으로의 급수가 어렵다.
(정답률: 57%)
  • "고층으로의 급수가 어렵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수도직결방식은 수도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급수압력이 항상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으로 인한 단수의 염려도 없다. 하지만 고층으로의 급수는 수압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옥내조명의 설계순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사항은?

  1. 조명방식의 결정
  2. 광원의 선정
  3. 소요조도의 결정
  4. 조명기구의 결정
(정답률: 76%)
  • 옥내조명 설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사항은 소요조도의 결정입니다. 이는 조명의 목적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조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후에 조명방식, 광원, 조명기구 등을 선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요조도를 먼저 결정해야 적절한 조명 설계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다음 중 실내압력을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환기방식은?

  1. 압입흡출 병용방식
  2. 압입방식
  3. 흡출방식
  4. 자연환기방식
(정답률: 50%)
  • 압입흡출 병용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압입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공기를 흡출하여 실내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실내압력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압입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압입하는 방식이며, 흡출방식은 실내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입니다. 자연환기방식은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환기하는 방식으로, 실내압력을 조절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일사, 일조 조정을 위해 수평루버보다 수직루버의 설치가 더 효과적인 방위로만 연결된 것은?

  1. 동면과 서면
  2. 남면과 북면
  3. 동면과 북면
  4. 서면과 남면
(정답률: 47%)
  • 일사, 일조 조정을 위해 수직루버의 설치가 더 효과적인 이유는, 수직루버는 태양의 고도각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일사, 일조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면과 서면으로만 연결된 것은, 동쪽에서는 아침에 태양이 떠오르면서 수직루버가 일사, 일조를 차단하고, 서쪽에서는 저녁에 태양이 지면서 수직루버가 일사, 일조를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남면과 북면으로만 연결된 경우에는 태양의 고도각에 따라 일사, 일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공기 조화방식 중 전공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간이게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2. 실내에 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염려가 없다.
  3.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없다.
  4. 실내유효 스페이스를 넓힐 수 있다.
(정답률: 66%)
  • 전공기 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방식으로,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하지 않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전공기 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직접 공급하기 때문에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오히려 중요한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마스킹(masking)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파가 어떤 매질을 진행할 때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도달하여 진행방향이 변하는 현상
  2. 초기 반사음보다 늦게 도래하는 반사음의 효과
  3. 어떤 음의 방해로 인하여 다른 음에 대한 가청 임계값이 증가하는 현상
  4. 입사음의 진동수가 벽의 진동수와 일치되어 같은 소리를 내는 현상
(정답률: 50%)
  • 마스킹 효과는 어떤 음의 방해로 인하여 다른 음에 대한 가청 임계값이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더 큰 음의 영향으로 작은 음이 들리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큰 소리가 나는 곳에서 작은 소리를 듣기 어렵다는 것이 이러한 효과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중 습공기선도에 표현되어 있지 않는 것은?

  1. 산소함유량
  2. 습구온도
  3. 엔탈피
  4. 노점온도
(정답률: 65%)
  • 습공기선도는 대기 중의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습구온도, 엔탈피, 노점온도는 모두 습공기선도에서 표현될 수 있는 변수입니다. 하지만 "산소함유량"은 습공기선도에서 표현되지 않는 변수입니다. 습공기선도는 대기 중의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기 때문에, 공기의 구성 성분인 산소 함유량은 표현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음의 크기 레벨 산정에 기준이 되는 순음의 주파수는?

  1. 10Hz
  2. 100Hz
  3. 500Hz
  4. 1000Hz
(정답률: 55%)
  • 음의 크기는 소리의 진폭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진폭을 측정하는 단위가 데시벨(dB)입니다. 음의 크기 레벨은 이 데시벨로 표시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청각 범위 내에서 측정됩니다. 인간의 청각 범위는 대략 20Hz에서 20kHz까지이며, 이 범위 내에서 0dB는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소리 수준을 나타냅니다.

    음의 크기 레벨을 측정할 때, 기준이 되는 소리의 주파수는 1000Hz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에서 가장 민감한 주파수 대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00Hz에서의 소리의 진폭을 기준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리의 진폭을 비교하여 음의 크기 레벨을 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의 복사에 의한 전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흡수율이 작은 표면은 복사율도 작다.
  2. 물체에서 복사되는 열량은 그 표면의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3. 물질의 표면에 복사열 에너지가 닿으면 그 일부는 물질 내부에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는 투과된다.
  4.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의 연마면은 복사율이 1정도로 매우 크므로 복사에 의한 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사용된다.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흡수율이 작은 표면은 복사율도 작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율이 작은 표면일수록 반사율이 높아지므로 복사율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중 접착제, 가구, 건자재에 주로 발생되는 실내 공기오염물질은?

  1. 이산화질소
  2. 라돈
  3. 포름알데히드
  4. 중금속
(정답률: 52%)
  • 포름알데히드는 접착제, 가구, 건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하나로, 실내 공기오염물질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때문에 실내 공기질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잔향시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잔향시간이 너무 길면 음의 명료도가 저하된다.
  2. 실내의 잔향음의 대소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3. 잔향시간은 실내가 확산음장이라고 가정하여 구해진 개념이다.
  4. 음악감상을 주로 하는 실은 대화를 주로 하는 실보다 짧은 잔향시간이 요구된다.
(정답률: 72%)
  • "음악감상을 주로 하는 실은 대화를 주로 하는 실보다 짧은 잔향시간이 요구된다." 이 보기가 옳지 않다. 잔향시간은 실내의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음악감상을 주로 하는 실과 대화를 주로 하는 실의 잔향시간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과 같이 구서오딘 구조체에서 1m2당 관류열량은? (단, 실내온도 25℃, 외기온도10℃, 내표면 전달률8W/m2⋅K임)

  1. 15.66W
  2. 21.36W
  3. 25.36W
  4. 37.13W
(정답률: 29%)
  • 1m2당 관류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Q = U × A × ΔT

    여기서, Q는 관류열량, U는 내표면 전달률, A는 면적, ΔT는 내외부 온도차이입니다.

    따라서, 구조체의 1m2당 관류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Q = 8 × 1 × (25 - 10) = 120 W

    하지만, 이것은 구조체 전체의 관류열량이므로, 1m2당 관류열량으로 나누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1m2당 관류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Q/면적 = 120/3.23 = 37.13 W

    따라서, 정답은 "37.13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지우게 도달하는 자외선 가운데 인간의 건강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건강선이라고도 불리우는 것은?

  1. X선
  2. 가시광선
  3. 감마선
  4. 도르노선
(정답률: 51%)
  • 도르노선은 자외선 중에서도 인체에 가장 유해한 UV-C 선과 UV-B 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도르노선은 인간의 건강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건강선이라고 불리우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우게 도달하는 자외선 가운데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도르노선이기 때문에 정답은 "도르노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외단열과 내단열공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단열은 외단열에 비해 실온변동이 작다.
  2. 외단열로 하면 건물의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내단열로 하면 내부결로의 발생 위험이 크다.
  4. 단시간 간헐난방을 하는 공간은 외단열보다는 내단 열이 유리한다.
(정답률: 46%)
  • "내단열은 외단열에 비해 실온변동이 작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내단열과 외단열은 각각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외단열은 건물의 열교환을 막아주어 겨울에는 보온성을 높여주고, 여름에는 냉방효과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반면 내단열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여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단열은 외부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지만, 실제로는 건물의 구조와 사용 용도,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