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실내건축기사(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기존 실내공간에 대한 개보수(renovation)의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기존도면이 있을 경우 별도의 실측을 하지 않는다.
  2. 기존 건축구조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3. 기존 설비관련 사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없다.
  4. 실측과 검사를 통해 공간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정답률: 86%)
  • 기존 실내공간을 개보수할 때는 기존도면만으로는 부족하며, 실제 공간을 실측하고 검사하여 공간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는 개보수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실측과 검사를 통해 공간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구배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구의 크기 및 형상은 전체공간의 스케일과 시각적, 심리적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2. 실의 천장고가 높으면 수평적 형상의 가구를, 낮으면 수직적 형상의 가구를 배치한다.
  3. 문이나 창문이 있는 부분에 위치하는 가구는 이들의 개폐를 위한 여유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4. 실의 크기에 비해 가구 종류나 그 수가 너무 많으면 활동면적이 적을 뿐 아니라 답답한 실이 되므로 되도록 사용목적 이외의 가구는 배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84%)
  • "실의 천장고가 높으면 수평적 형상의 가구를, 낮으면 수직적 형상의 가구를 배치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천장고와 가구 형상은 서로 관련이 없으며, 가구 배치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부엌의 유형은?

  1. 독립형 부엌
  2. 반독립형 부엌
  3. 다이닝 키친
  4. 오픈 키친
(정답률: 82%)
  • 이 부엌은 주방과 식당이 분리되어 있으며,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형 부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실내 디자인 프로세스 중 조건설정단계(프로그래밍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방향이 정해지는 단계이다.
  2. 실내디자이너가 설계의뢰인과 협의를 통하여 이해를 확립하는 단계이다.
  3. 이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프로젝트 진행이 원만하지 못하다.
  4. 실내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본설계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이다.
(정답률: 75%)
  • "실내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본설계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조건설정단계는 기본설계단계 이전에 진행되며, 프로젝트의 목적과 범위, 예산, 일정 등을 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방향이 결정되며, 이후에는 기본설계단계에서 구체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침대의 종류 중 퀸(queen)의 크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200mm×2000mm
  2. 1350mm×2000mm
  3. 1500mm×2000mm
  4. 2000mm×2000mm
(정답률: 80%)
  • 퀸 사이즈 침대는 일반적으로 1500mm×2000mm의 크기를 가지며, 다른 보기들은 이보다 작거나 크기 때문에 알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형태지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유사성이란 제반 시각요소들 중 형태의 경우만 서로 유사한 것들이 연관되어 보이는 경향을 말한다.
  2. 접근성이란 가까이 있는 시각요소들을 패턴이나 그룹으로 인지하게 되는 특성을 말한다.
  3. 폐쇄성이란 완전한 시각요소들을 불완전한 것으로 보게되는 성향을 말한다.
  4. 도형과 배경의 법칙이란 양자가 동시에 도형이 되거나 동시에 배경이 될 수 있는 성향이다.
(정답률: 62%)
  • 접근성이란 가까이 있는 시각요소들을 패턴이나 그룹으로 인지하게 되는 특성을 말한다. 이는 시각적으로 가까이 있는 것들이 함께 묶여서 인식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우리는 이를 패턴으로 인식하고, 이를 그룹으로 묶어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접근성은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질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각을 통해 촉각을 불러일으키는 질감을 시각적 질감이라 한다.
  2. 질감의 선택에서 중요한 것은 스케일, 빛의 반사와흡수 등이다.
  3. 효과적인 질감 표현을 위해서는 색채와 조명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좋다.
  4. 좁은 실내 공간을 넓게 느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재료를 사용하여 음영을 주도록 한다.
(정답률: 85%)
  • "질감의 선택에서 중요한 것은 스케일, 빛의 반사와 흡수 등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질감의 선택에서는 물론 스케일, 빛의 반사와 흡수 등이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해당 디자인의 컨셉과 어울리며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스템 가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능보다 디자인 측면에서 단순미가 강조되어야 한다.
  2. 특정한 사용목적이나 많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건축화된 가구이다.
  3.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형으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공간의 융통성을 꾀할 수 있다.
  4. 모듈화된 단위 구성재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렵다.
(정답률: 78%)
  • 시스템 가구는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형으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공간의 융통성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구를 조합하거나 분해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대칭 균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적, 수동적 균형이다.
  2. 배열의 가능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3. 대칭균형보다 자연스러운 균형의 형태이다.
  4. 물리적으로는 불균형이지만 시각상 힘의 정도에 의해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9%)
  • "표준적, 수동적 균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대칭 균형은 대칭균형과 달리 한 쪽 플레이어가 더 강한 위치에 있으며, 이는 표준적이거나 수동적인 균형이 아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동선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간
  2. 하중
  3. 속도
  4. 빈도
(정답률: 67%)
  • 동선의 3요소는 "하중", "속도", "빈도" 이며, "시간"은 동선의 요소가 아닙니다. 동선의 3요소는 각각 물건이나 사람의 무게, 이동 속도, 이동 빈도를 나타내는데, 시간은 이동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동선의 3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호텔의 조명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객실의 욕실조명은 거울 위나 옆쪽에 설치한다.
  2. 복도는 50~100Lux정도로 균일한 조명을 한다.
  3. 프론트데스크의 조명은 프론트 직원과 고객의 표정이 서로 확실히 보이도록 밝게 하는 것이 좋다.
  4. 객실에서 천장의 전체조명은 집적조명방식으로 하고, 탁상스탠드, 플로어스탠드, 벽부등과 같은 국부조명을 사용한다.
(정답률: 81%)
  • 옳지 않은 설명은 "객실에서 천장의 전체조명은 집적조명방식으로 하고, 탁상스탠드, 플로어스탠드, 벽부등과 같은 국부조명을 사용한다." 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빛의 각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벽면 마감재료의 재질감을 강조하는 조명의 연출 기법은?

  1. 글레이징(Glazing)기법
  2. 빔 플레이(Beam Play)기법
  3. 스파클(Sparkle)기법
  4. 실루엣(Silhouette)기법
(정답률: 78%)
  • 글레이징 기법은 빛의 각도를 이용하여 벽면에 재질감을 강조하는 조명 기법으로, 벽면에 특정한 색상의 빛을 비추어 그 위에 다른 색상의 빛을 더해 투명한 느낌을 연출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벽면의 재질감을 부각시키고, 공간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실내디자이너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내공간에 필요한 그래픽을 제작한다.
  2. 선물의 내부와 가구의 배치를 계획한다.
  3. 사용될 공간의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4. 인간의 예술적, 서정적 요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정답률: 49%)
  • "실내공간에 필요한 그래픽을 제작한다."는 디자이너의 역할 중에서는 비교적 적은 중요도를 가지는 역할이다. 이는 그래픽 디자인은 실내공간의 기능성과 미적 요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필요한 그래픽을 제작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내기본요소 중 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 1,200mm정도의 벽은 에워싼 느낌을 주나 시각적으로 개방된다.
  2. 높이 1,500mm정도의 벽은 시각적으로 완전히 차단되고 프라이버시를 높게 한다.
  3. 높이 600mm이하의 벽은 공간을 상징적으로 분리, 구분한다.
  4. 벽은 수평요소와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답률: 66%)
  • "높이 1,500mm정도의 벽은 시각적으로 완전히 차단되고 프라이버시를 높게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높이 1,500mm 정도의 벽은 시각적으로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일부 시야가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벽은 프라이버시를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완전한 차단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내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공간의 품격을 높이는 것이다.
  2. 공간의 기능적인 면의 해결에 있다.
  3.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4. 공간예술로서 모든 분야의 통합에 의한 감성적 요소의 부여에 있다.
(정답률: 85%)
  • 실내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는 공간의 품격을 높이는 것이나 기능적인 면의 해결, 감성적 요소의 부여와 같은 다른 목적들보다 더 중요하다. 디자인된 공간이 인간의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며,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스케일(scal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스케일은 상대적인 크기 즉 척도를 의미한다.
  2. 휴면 스케일이 잘 적용된 건축물은 안정하고 안락한 감을 주는 환경이 된다.
  3. 실내디자인에서 의도된 디자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휴먼 스케일만이 의미가 있다.
  4. 공간에 있어 스케일의 유형은 다양한 공간지각을 가져온다.
(정답률: 88%)
  • "스케일은 상대적인 크기 즉 척도를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휴먼 스케일이 잘 적용된 건축물은 안정하고 안락한 감을 주는 환경이 된다."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실내디자인에서 의도된 디자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휴먼 스케일만이 의미가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공간에 있어 스케일의 유형은 다양한 공간지각을 가져온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은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한다.
  2. 점은 선의 교차, 선의 굴절, 면과 선의 교차등에서 나타난다.
  3. 면은 면 자체의 절단에 의해서 새로운 면을 얻을 수 있다.
  4. 가구, 기둥이나 계단 등의 건축적 요소, 건축물들은 2차원적 형상이다.
(정답률: 66%)
  • "가구, 기둥이나 계단 등의 건축적 요소, 건축물들은 2차원적 형상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건축물들은 3차원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2차원적인 형상으로는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쇼륨의 공간구성은 상품전시공간, 상담공간, 어트랙션(attraction)공간, 서비스공간, 통로공간, 출입구를 포함한 파사드로 구성되어 진다. 다음 중 어트랙션(attraction)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진열되는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공간으로 진열대와 진열대구, 연출기구 등이 필요하다.
  2. 입구에서 관람객의 시선을 집중시켜 쇼륨의 내부로 관람객을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3. 전시상품에 대한 정보를 알리거나 관람자를 안내하기 위한 공간이다.
  4. 구매상담을 도와주고 관람자를 통제하는 공간이다.
(정답률: 68%)
  • 입구에서 관람객의 시선을 집중시켜 쇼륨의 내부로 관람객을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 어트랙션공간은 관람객의 관심을 끌고 쇼륨 내부로 유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출기구나 미디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이질의 각 구성요소들이 전체로서 동일한 이미지를 갖게 하는 것으로, 변화와 함께 모든 조형에 대한미의 근원이 되는 실내디자인의 구성 원리는?

  1. 대비
  2. 조화
  3. 리듬
  4. 통일
(정답률: 78%)
  • 통일은 이질적인 구성요소들을 하나로 묶어 전체적으로 일관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원리이기 때문에, 변화와 함께 모든 조형에 대한 미의 근원이 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대비, 조화, 리듬과 같이 특정한 원리를 나타내지만, 이들은 모두 통일을 통해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설명에 알맞은 전시공간의 특수전시 기법은?

  1. 디오라마 전시
  2. 아일랜드 전시
  3. 파노라마 전시
  4. 하모니카 전시
(정답률: 77%)
  • 위 그림은 디오라마 전시의 예시입니다. 디오라마 전시는 현실적인 모형과 배경을 이용하여 특정 장면을 재현하는 전시 기법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은 모형들과 배경을 조합하여 실제 장면을 재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색채계획과정을 단계별로 나열한 것 중 가장 합리적인 것은?

  1. 색채전달계획→색채환경분석→색채심리분석→디자인의 적용
  2. 색채환경분석→색채심리분석→색채전달계획→디자인에 적용
  3. 색채전달계획→색채심리분석→색채환경분석→디자인에 적용
  4. 색채환경분석→색채전달계획→색채심리분석→디자인에 적용
(정답률: 66%)
  • 가장 합리적인 것은 "색채환경분석→색채심리분석→색채전달계획→디자인에 적용"이다. 이유는 먼저 색채환경분석을 통해 디자인을 적용할 환경을 파악하고, 그 다음 색채심리분석을 통해 해당 환경에서 사용할 적절한 색채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색채를 전달할 계획을 세우고, 마지막으로 디자인에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된 제품이 적절한 색채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적인 접근 방식은 색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디자인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색의 동화현상이 가장 잘 발생하는 경우는?

  1. 좁은 시야에 복잡하고 섬세하게 배치되었을 때
  2. 채도 차이가 클 때
  3. 명도는 비슷하며 색상이 서로 보색 관계에 있을 때
  4. 조명이 밝고 무늬가 클 때
(정답률: 57%)
  • 색의 동화현상은 색상들이 서로 섞이면서 새로운 색이 만들어지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이 가장 잘 발생하는 경우는 좁은 시야에 복잡하고 섬세하게 배치되었을 때입니다. 이는 색상들이 서로 가까이 있어서 더욱 세밀하게 섞이고, 눈에 띄게 다양한 색상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항목의 배색에서 가장 시인성(視認性)이 높은 것은?

  1. 흰색바탕 위의 파랑글씨
  2. 검정바탕 위의 흰색글씨
  3. 검정바탕 위의 노랑글씨
  4. 노랑바탕 위의 빨강글씨
(정답률: 63%)
  • 검정색과 노란색은 대비가 높아 시인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검정바탕 위의 노랑글씨가 가장 시인성이 높은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웨덴의 색채 표준으로 채용된 표색계로 헤링의 심리 4원색과 백, 흑 등 6색을 원색으로 하는 표색계는?

  1. 먼셀 표색계
  2. 오스트발트 표색계
  3. NCS 표색계
  4. PCCS 표색계
(정답률: 57%)
  • NCS 표색계는 헤링의 심리 4원색과 백, 흑 등 6색을 원색으로 채용하여 색채를 표현하는 표색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색채 표준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컬러 TV의 브라운관 형광면에는 적(Red), 녹(Green0, 청(Blue)색들이 발광하는 미소한 형광 물체의 의하여 혼색된다. 이러한 혼색방법은?

  1. 동시감법 혼색
  2. 계시가법 혼색
  3. 병치가법 혼색
  4. 색료감법 혼색
(정답률: 73%)
  • 컬러 TV의 브라운관 형광면은 적, 녹, 청색 형광 물체들이 발광하여 혼합되어 색을 표현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병치가법 혼색이다. 병치가법 혼색은 빛의 삼원색인 적, 녹, 청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컬러 TV에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색상에 의하여 망막이 자극을 받게 되면 시세포의 흥분이 중추에 전해져 자극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생기는 시감각 현상은?

  1. 대비
  2. 융합
  3. 조화
  4. 잔상
(정답률: 78%)
  • 색상 자극이 끝난 후에도 시감각이 지속되는 현상을 "잔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망막에서 받은 자극이 중추신경계로 전달되어 시감각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감각과는 관련이 있지만, 잔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먼셀 색상환에 의한 표색 방법에서 각색상의 중심이 되는 색상 수는?

  1. 1
  2. 5
  3. 10
  4. 20
(정답률: 75%)
  • 먼셀 색상환은 색상을 5가지 색상으로 분류합니다. 이 5가지 색상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입니다. 따라서 각 색상의 중심이 되는 색상 수는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관용색 중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KS표준기준)

  1. 산호색
  2. 벽돌색
  3. 옥색
  4. 올리브색
(정답률: 55%)
  • 정답은 "산호색"입니다. 채도란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로, 색의 순도가 높을수록 채도가 높아집니다. 산호색은 붉은색과 주황색이 혼합된 색으로, 순도가 높아 채도가 가장 높은 색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산호색이 가장 채도가 높은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혼합되는 각각의 색 에너지(energy)가 합쳐져서 더 밝은 색을 나타내는 혼합은?

  1. 감산혼합
  2. 중간혼합
  3. 가산혼합
  4. 색료혼합
(정답률: 85%)
  • 가산혼합은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색 에너지가 합쳐져서 더 밝은 색을 만드는 혼합 방식입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이 합쳐져서 백색광을 만드는 원리와 비슷합니다. 따라서 가산혼합은 더 밝은 색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청색에 흰색을 혼색시켰을 때의 변화는?

  1. 청색보다 명도, 채도 모두 높아졌다.
  2. 청색보다 명도는 높아졌고 채도는 낮아졌다.
  3. 청색보다 명도는 낮아졌고 채도는 높아졌다.
  4. 청색보다 명도, 채도 모두 낮아졌다.
(정답률: 75%)
  • 청색은 색상환에서 파란색과 녹색 사이에 위치하며, 채도와 명도가 높은 색상입니다. 하지만 흰색은 모든 색상의 혼합물이므로 채도는 0이 되고, 명도는 높아집니다. 따라서 청색에 흰색을 혼합시키면 명도는 높아지지만 채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두색이 부조화한 색이라면 서로의 색을 적당하게 섞어 어느 정도 공통의 양상과 성질을 가진 것으로 배색하면 조화한다는 져드의 색채 조화원리는?

  1. 질서의 원리
  2. 숙지의 원리
  3. 유사의 원리
  4. 비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73%)
  • 저드의 색채 조화원리에서 유사의 원리는 비슷한 색상끼리 조화를 이룬다는 원리이다. 따라서 두색이 부조화한 경우에는 서로의 색을 적당하게 섞어 비슷한 색상으로 만들어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석유나 가스의 저장탱크를 흰색이나 은색으로 칠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반사율이 높은 색이므로
  2. 흡수율이 높은 색이므로
  3. 명시성이 높은 색이므로
  4. 팽창성이 높은 색이므로
(정답률: 77%)
  • 석유나 가스의 저장탱크를 흰색이나 은색으로 칠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반사율이 높은 색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떤 두 색이 맞붙어 있을 때 두 색의 인접부분에 강한 대비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1. 채도대비
  2. 반전대비
  3. 보색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62%)
  • 연변대비는 인접한 두 색상이 서로 다른 색조를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하는 대비현상입니다. 이는 색상환에서 인접한 두 색상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 때보다 더욱 강한 대비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연변대비는 두 색상이 맞붙어 있을 때 인접부분에서 강한 대비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입체를 수평으로 절단하면 중심축의 회색 주위에 나타나는 모양은?(단, 먼셀 표색계 기준)

  1. 같은 채도의 여러 색상
  2. 같은 색상의 채도 변화
  3. 같은 명도의 여러 색상
  4. 같은 명도의 같은 색상
(정답률: 62%)
  • 색입체를 수평으로 절단하면 중심축을 따라 같은 명도의 여러 색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먼셀 표색계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인 HSV(Hue, Saturation, Value)에서 Value(명도) 값이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채도와 색상은 변화하지 않고, 명도만 변화하여 같은 명도의 여러 색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헤링(Hering)의 반대색설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영ㆍ헬름흘쯔의 3원색설에 대하여 5원색과 보색 광을 가정하고 있다.
  2. 보색이나 대비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는 부합되지 않는다.
  3. 물리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가정한 학설이다.
  4. 동화(합성)작용의 방향으로 나가면 따뜻한 느낌인 백, 황, 적의 느낌이 생긴다.
(정답률: 30%)
  • 헤링의 반대색설은 영ㆍ헬름흘쯔의 3원색설에 대하여 5원색과 보색 광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보색이나 대비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는 부합되지 않는다. 이는 헤링의 반대색설이 물리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가정한 학설이기 때문이다. 또한, 동화(합성)작용의 방향으로 나가면 따뜻한 느낌인 백, 황, 적의 느낌이 생긴다는 것도 헤링의 반대색설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동일색상의 배색은?

  1. 노랑 - 갈색
  2. 노랑 - 빨강
  3. 노랑 - 연두
  4. 노랑 - 검정
(정답률: 56%)
  • 노랑과 갈색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에 동일한 색조를 가지고 있어서 배색으로 사용할 때 조화롭게 어울립니다. 반면, 노랑과 빨강, 연두, 검정은 보색이 아니기 때문에 색상의 대비가 강해서 함께 사용하면 조화롭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떤 색채가 매체, 주변색, 광원, 조도(照度)등이 서로 다른 환경 하에서 관찰될 때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1. 색영역 맵핑(color gamut mapping)
  2. 컬러 어피어런스(color appearance)
  3. 메타머리즘(matamerism)
  4. 디바이스 조정(device calibration)
(정답률: 49%)
  • 컬러 어피어런스는 매체, 주변색, 광원, 조도 등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관찰될 때 색채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색채는 빛의 파장과 인간의 시각 시스템의 반응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색상이라도 다른 환경에서 관찰될 때는 다른 컬러 어피어런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HV/C로 색채를 표시할 때 “C"가 뜻하는 것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대비
(정답률: 74%)
  • HV/C에서 "C"는 채도를 뜻합니다. 채도란 색상의 선명도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상의 순도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인 "색상"은 색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고,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대비"는 색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문과 스펜서의 색채조화에 적용되는 미도의 일반적 논리가 아닌 것은?

  1. 균형있게 잘 선택된 무채색의 배색 미도가 높다.
  2. 등색상의 조화는 매우 쾌적한 경향이 있다.
  3. 등색상 및 등채도의 단순한 배색이 미도가 높다.
  4. 명도차이가 작을수록 미도가 높다.
(정답률: 59%)
  • "명도차이가 작을수록 미도가 높다."는 일반적인 미도의 논리와는 반대로 작용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명도가 높을수록 미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문과 스펜서의 색채조화에 적용되는 미도의 일반적 논리가 아닙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미도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데, 명도차이가 작을수록 두 색상이 비슷한 밝기를 가지므로 미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명도차이가 큰 색상 조합이 미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추상체와 간상체 양쪽이 작용하지만 상이 흐릿하여 보기 어렵게 되는 시각상태는?

  1. 색순응
  2. 박명시
  3. 암순응
  4. 중심시
(정답률: 77%)
  • 정답인 "박명시"는 시각적으로 추상적인 형태와 간상적인 형태가 모두 작용하여 시각적 혼란을 일으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는 시각적으로 복잡한 자극이나 패턴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일부분이 과부하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다음 중 실효온도(ET, Effective Temperature)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공기의 유동
  2. 상대습도
  3. 피부의 발한율
  4. 주위의 온도
(정답률: 68%)
  • 실효온도는 인체가 느끼는 체감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위의 온도, 상대습도, 공기의 유동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만, 피부의 발한율은 인체가 발산하는 열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효온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피부의 발한율이 높을수록 인체는 더 많은 열을 발산하게 되어 체감 온도가 낮아지고, 그 반대로 발한율이 낮을수록 체감 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실효온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발한율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영상표시단말기(VDT)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화면상의 문자와 배경과의 휘도비(contrast)를 높인다.
  2. 눈으로부터 화면까지의 사거리는 40cm이상을 유지한다.
  3. 작업자의 시선은 수편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0~15°이내가 되도록 한다.
  4. 아래팔은 손등과 일직선을 유지하여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0%)
  • "화면상의 문자와 배경과의 휘도비(contrast)를 높인다."는 영상표시단말기(VDT)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이다. 이는 화면의 명암 대비를 높여서 글씨가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광원으로 부터의 직사 휘광(glare)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광원의 휘도를 줄이고, 수를 늘린다.
  2. 광원을 시선에서 되도록 가깝게 한다.
  3. 가리개(shield), 갓(hood)등을 사용한다.
  4. 휘광원 주위를 밝게 하여 광도비를 줄인다.
(정답률: 78%)
  • "광원을 시선에서 되도록 가깝게 한다."는 광원과 시선 사이의 거리를 줄이기 때문에 직사 휘광을 더욱 심하게 만들어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가리개나 갓 등을 사용하여 직사 휘광을 막거나, 광원의 휘도를 줄이고 수를 늘리는 등의 방법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간의 눈의 구조 중 망막의 충을 구성하는 감광 요소로 색을 구별하는 것은?

  1. 신경섬유
  2. 간상세포
  3. 양극세포
  4. 원추세포
(정답률: 73%)
  • 원추세포는 세포체 내에 존재하는 로도프신(Rhodopsin)이라는 단백질에 의해 자극을 받아 색을 구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망막의 충을 구성하는 감광 요소 중에서 색을 구별하는 것은 원추세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도형이 지니는 시지각 현상은?

  1. 접근성
  2. 유사성
  3. 가속성
  4. 폐쇄성
(정답률: 50%)
  • 이 도형은 접근성 시지각 현상을 지닙니다. 이는 도형의 중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도형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인식하는 현상입니다. 즉, 도형의 크기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접근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진동이 인간의 성능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시력을 손상시킨다.
  2.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추적능력을 손상시키며, 5Hz이하의 낮은 주파수에서 가장 심하다.
  3. 진동은 안정되고 정확한 근육 조절을 요하는 작업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4. 감시(monitoring), 형태식별(pattern recognition)등 중앙신경처리에 달린 임무는 진동의 영향을 가장 심하게 받는다.
(정답률: 66%)
  •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시력을 손상시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진동이 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진동이 강할 경우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진동으로 인한 눈의 흔들림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음의 한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 시키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esonance
  2. masking
  3. interference
  4. damping
(정답률: 80%)
  • 정답은 "masking"이다.

    음의 한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masking"이라고 한다. 이는 주로 높은 주파수 성분이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가리는 현상으로, 예를 들어 음악에서 드럼 소리가 기타 소리를 가리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이러한 masking 현상은 음악 및 음성 인식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생체리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육체적 리듬(Phsical rhythm)은 23일의 반복주기로 활동력, 지구력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감성적 리듬(Sensitivity rhythm)은 28일의 반복주기, 신체 조직의 모든 기능을 통하여 발현되는 감정, 즉 정서적 희노애락, 주의력, 예감 및 통찰력 등을 좌우한다.
  3. 지성적 리듬(Intellectual rhythm)은 33일의 반복주기로 사고력, 기억력, 의지 판단 및 비판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위험일(Critical day)은 각각의 리듬이 (-)의 최저점에 이르는 때를 말하며, 한 달에 6일정도 발생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위험일(Critical day)은 각각의 리듬이 (-)의 최저점에 이르는 때를 말하며, 한 달에 6일정도 발생한다." 이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위험일은 생체리듬의 최저점에 해당하는 날로, 각각의 리듬마다 다른 주기와 최저점이 있으며, 한 달에 약 6일 정도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정보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청각적 표시장치보다 시각적 표시장치의 사용이 더 유리한 경유는?

  1. 정보가 간단한 경우
  2. 정보가 후에 재참조되는 경우
  3. 정보가 시간적인 사상을 다루는 경우
  4. 정보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
(정답률: 58%)
  • 정보가 후에 재참조되는 경우에는 시각적 표시장치의 사용이 더 유리하다. 이는 시각적 표시장치를 통해 정보를 시각적으로 저장하고 나중에 필요할 때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청각적 표시장치는 정보를 듣고 기억해야 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나 정보가 많은 경우에는 불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인체 측정자료의 응용원리에서 최소 집단치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경우는?

  1. 문틀 높이
  2. 등산용 로프의 강도
  3. 제어 버튼과 조작자 사이의 거리
  4. 비행기에서의 비상 탈출구 크기
(정답률: 64%)
  • 제어 버튼과 조작자 사이의 거리는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어 버튼과 조작자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조작자가 불편하게 느끼고, 너무 멀면 조작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최소 집단치를 적용하여 제어 버튼과 조작자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간공학의 연구 및 체계 개발에 있어서의 기준중 인간기준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인간성능 척도
  2. 주관적 반응
  3. 생리학적 지표
  4. 체계의 성능
(정답률: 59%)
  • 체계의 성능은 인간기준의 유형이 아니라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기준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간기준의 유형은 인간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인지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인간의 편의성, 안전성, 효율성 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신체 부위의 운동 형태와 그 예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조작동작 : 망치질
  2. 연속동장 : 부품, 공구 다루기
  3. 반복동작 : 자동차 핸들의 조종
  4. 계열동작 : 피아노 연주, 타이핑
(정답률: 75%)
  • 계열동작은 일련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형태를 말합니다. 피아노 연주나 타이핑은 손가락을 일정한 순서와 리듬으로 움직이는 일련의 동작이므로 계열동작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문자-숫자의 획폭은 보통 문자나 숫자의 높이에 대한 획 굵기의 비로써 나타내는데 조도가 충분한 장소에서 흰 바탕에 검은 숫자의 인쇄물의 경우 가장 적정한 획폭비는?

  1. 1:5
  2. 1:8
  3. 1:13
  4. 1:20
(정답률: 56%)
  • 조도가 충분한 장소에서 흰 바탕에 검은 숫자의 인쇄물의 경우, 가장 적정한 획폭비는 1:8이다. 이는 숫자의 높이에 비해 획의 굵기가 1/8 정도 되어야 가장 잘 보이기 때문이다. 만약 획폭비가 1:5라면 획이 너무 굵게 나와서 숫자가 뭉개져 보이고, 1:13이나 1:20이라면 획이 너무 얇아져서 숫자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따라서 1:8이 가장 적절한 비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계기판의 지침(指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률: 84%)
  • ""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시자가 아니라 연료량을 나타내는 지시자이기 때문에 계기판의 속도를 나타내는 지침으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인체 골격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몸을 지탱하여 그 외형을 지지한다.
  2. 체형을 유지하며 신경신호를 전달한다.
  3. 골격근의 기동적 수축에 따라 운동을 한다.
  4. 골격 내부의 골수는 조혈작용을 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체형을 유지하며 신경신호를 전달한다." 이다. 인체 골격은 몸을 지탱하고 외형을 지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골격근의 기동적 수축에 따라 운동을 하고, 골격 내부의 골수는 조혈작용을 한다. 하지만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은 골격이 아닌 신경계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간공학에 있어 자극들 사이, 반응들 사이, 혹은 자극+반응 조합의 공간, 운동, 혹은 개념적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양립성(compatibility)
  2. 접근 용이성(accessibility)
  3. 조절 가능성(adjustability)
  4. 순응(adaptation)
(정답률: 76%)
  • 양립성은 인간공학에서 자극과 반응, 운동, 개념적 관계 등의 조합이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제품이나 시스템을 사용할 때 불편하거나 모호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이나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설계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시스템을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만족도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양립성(compatibili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이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기본 기능의 과정 중 ( )안에 해당하는 기능은?

  1. 감지(sensing)
  2. 피드백(feedback)
  3. 대응 선택(respunse selection)
  4. 시스템 환경(system environment)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에서는 외부 환경에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시스템 내부로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감지(sensing)"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두 소리의 강도(强度)를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 뒤의 소리가 처음보다 압력이 100배 증가하였다면 이 때 dB수준은 얼마인가?

  1. 10
  2. 40
  3. 80
  4. 100
(정답률: 49%)
  • dB 수준은 소리의 강도를 로그 스케일로 표현한 것이므로, 소리의 강도가 100배 증가하면 20log(100) = 40dB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a와 b의 길이는 동일하나 b가 a보다 더 길게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헤링(Hering)의 착시(분할착오)
  2. 포겐도르프(Poggendorf)의 착시(위치착오)
  3. 뮬러-라이어(Muler-Lyer)의 착시(동화착오)
  4. 죌러(Zoller)의 착시(방향착오)
(정답률: 67%)
  • 뮬러-라이어(Muler-Lyer)의 착시는 직선 위에 놓인 화살표가 짧은 선분에 놓인 화살표보다 길어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직선과 각도, 모서리 등이 길이와 연관되어 인식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문화적 배경이나 경험 등에 따라 착시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조명 수준과 과업 퍼포먼스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조명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과업 퍼포먼스는 감소한다.
  2. 과업 퍼포먼스는 조명 수준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3. 조명 수준이 적정 수준 이상이 되면 과업 퍼포먼스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4. 조명 수준과 과업 퍼포먼스는 선형적 비례 관계를 가진다.
(정답률: 66%)
  • 조명 수준이 적정 수준 이상이 되면 과업 퍼포먼스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는 과도한 조명이 눈의 피로를 유발하고 집중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너무 어두운 조명은 작업물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하고 작업의 정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조명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ALC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공구조이기 때문에 흡수율이 높은 편이다.
  2. 열전도율은 보통콘크리트의 약 1/10 정도이다.
  3. 경량으로 인력에 의한 취급은 가능하지만, 현장에 서 절단 및 가공은 불가능하다.
  4. 건조수축률이 작고 균열발생이 어렵다.
(정답률: 50%)
  • "경량으로 인력에 의한 취급은 가능하지만, 현장에 서 절단 및 가공은 불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ALC는 경량이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취급이 가능하며, 절단 및 가공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규칙적으로 골이 되게 주름잡은 강판으로서 강판의 두께는 0.6~1.2mm정도이며 지붕, 외벽 등에 주로 쓰이고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거푸집패널로도 사용되는 것은?

  1. 메탈라스
  2. 와이어메시
  3. 키스톤 플레이트
  4. 와이어라스
(정답률: 49%)
  • 키스톤 플레이트는 골이 주름잡혀 규칙적인 패턴으로 제작되어 강판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고, 지붕이나 외벽 등에 사용될 때 더욱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어줍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거푸집패널로 사용될 때는 강판의 형태가 거푸집을 만들어주어 콘크리트가 더욱 튼튼하게 결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시멘트를 950 ± 50℃로 열을 가했을 때의 질량감소량을 말하는 것은?

  1. 수경률
  2. 규산율
  3. 강열감량
  4. 활동계수
(정답률: 70%)
  • 강열감량은 시멘트를 950 ± 50℃로 열을 가했을 때의 질량감소량을 말한다. 이는 시멘트의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석고 플라스터의 일종으로 정벌용과 초벌용이 있으며 정벌용은 물만으로 비비나, 초벌용은 사용시 골재를 가하고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단순히 플라스터라고 말할 경우에 지칭되는 것은?

  1. 순석고 플라스터
  2. 경석고 플라스터
  3. 혼합석고 플라스터
  4. 보드용 플라스터
(정답률: 32%)
  • 일반적으로 "플라스터"라고 말할 경우에는 혼합석고 플라스터를 지칭합니다. 이는 석고와 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서 건축물 내부 벽면, 천장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혼합석고 플라스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석유게 아스팔트로 점착성, 방수성은 우수하지만 연화점이 비교적 낮고 내후성 및 온도에 의한 변화정도가 커 지하실 방수공사이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로크 아스팔트(Lock asphalt)
  2.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3. 아스팔트 컴파운드(Asphalt compound)
  4.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
(정답률: 53%)
  • 석유게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낮고 내후성 및 온도에 의한 변화정도가 크기 때문에 지하실 방수공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중에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다른 아스팔트와 달리 추가적인 처리 과정이 없는 순수한 아스팔트로, 연화점이 낮고 내후성이 낮아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하실 방수공사에는 적합하지만, 도로 포장재 등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보기의 합성수지 중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하는 것은?

  1. ①-②-⑤-⑦
  2. ①-③-⑥
  3. ②-③-④
  4. ②-④-⑥
(정답률: 56%)
  •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수지를 말한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②-③-④"가 해당된다. "①-②-⑤-⑦"은 열에 의해 변형이 많이 일어나는 수지, "①-③-⑥"은 열에 의해 분해되는 수지, "②-④-⑥"은 열에 의해 분해되는 수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소편에 합성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은?

  1. 합판
  2. 시멘트목질판
  3. 집성목재
  4. 파티클보드
(정답률: 58%)
  •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소편에 합성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은 파티클보드입니다. 이는 합판과는 달리 작은 파티클들을 이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파티클보드라고 불립니다. 또한 시멘트목질판은 시멘트와 목재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반면, 집성목재는 목재를 접착제로 붙여 만들어지는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콘크리트용 혼화제 중 AE감수제의 사용으로 나타나는 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고 재료 분리가 방지된다.
  2.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된다.
  3. 건조수축이 감소된다.
  4. 수밀성이 향상되고 투수성이 증가한다.
(정답률: 56%)
  • "수밀성이 향상되고 투수성이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AE감수제는 공기 포집제로 작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밀성은 감소하고, 투수성은 감소합니다. 따라서 "수밀성이 향상되고 투수성이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무기안료의 종류와 색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흑색 : 아연황, 카본블랙
  2. 적색 : 연단, 산화철
  3. 황색 : 황토, 산화철황
  4. 청색 : 코발트청, 군청
(정답률: 52%)
  • 정답은 "청색 : 코발트청, 군청"이다. 코발트청은 청색, 군청은 파란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각 목재 방부제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크레오소트유 : 도장이 불가능하며, 독성이 적고 자극적인 냄새가 난다.
  2. CCA : 도장이 가능하고 독성이 없으며 처리재는 무색이다.
  3. PCP : 도장이 가능하며 처리재는 무색으로 성능이 우수한 유용성 방부제이다.
  4. PF : 도장 가능하고 독성이 있으며 처리재는 황록색이다.
(정답률: 34%)
  • 정답은 "CCA : 도장이 가능하고 독성이 없으며 처리재는 무색이다." 이다. CCA는 독성이 있으며, 처리재는 녹색이다. CCA는 도장이 가능하지만, 도장 후에도 독성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안전한 사용을 위해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도장공사 후 건조된 도막형성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보일유
  2. 테레빈유
  3. 수지
  4. 안료
(정답률: 48%)
  • 도장공사 후 건조된 도막형성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테레빈유"입니다. 테레빈유는 도장공사에 사용되는 유류 중 하나이지만, 도막형성재가 아닌 소재입니다. 보일유는 도막형성재로 사용되는 유류이며, 수지와 안료도 도장공사 후 도막형성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나 함유광물의 열팽창계수가 달라 내화성이 약한 석재로 외장, 내장, 구조재, 도로포장재, 콘크리트 골재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응회암
  2. 화강암
  3. 화산암
  4. 대리석
(정답률: 43%)
  • 화강암은 실리카 함량이 높아 내구성과 강도가 뛰어나며, 외관이 수려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함유광물의 열팽창계수가 다른 석재에 비해 크기 때문에 내화성이 약한 편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화강암은 건축물의 외장, 내장, 구조재, 도로포장재, 콘크리트 골재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도료상태의 방수재를 바탕면에 여러번 칠하여 상당한 살두께의 방수막을 만드는 방수법은?

  1. 도막방수
  2. 아스팔트방수
  3. 시멘트방수
  4. 시트방수
(정답률: 64%)
  • 도막방수는 도료상태의 방수재를 바탕면에 여러번 칠하여 상당한 살두께의 방수막을 만드는 방수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수법들과 달리 여러번 칠함으로써 방수막의 두께를 높일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방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막방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미장재료 중 여물(hair)이 필요없는 것은?

  1.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2. 회반죽
  3. 회사벽
  4. 경석고 플라스터
(정답률: 50%)
  • 경석고 플라스터는 석고와 석회석을 혼합하여 만든 미장재료로, 여물(hair)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와 회반죽은 여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회사벽은 여물 대신 쌀눈이나 쌀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목재의 심재와 변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재는 심재 외측과 수피 내측 사이에 있는 생활세포의 집합이다.
  2. 심재는 수액의 통로이며 양분의 저장소이다.
  3. 심재는 변재보다 단단하여 강도가 크고 신축 등 변형이 적다.
  4. 심재의 색깔은 짙으며 변재의 색깔은 비교적 엷다.
(정답률: 67%)
  • "심재는 수액의 통로이며 양분의 저장소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심재는 양분의 저장소이지만, 수액의 통로는 식물의 세포막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수피 내부에 위치한 식물의 세포들이 수액을 만들어 식물체 전체로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재는 수액의 저장소이지만, 수액의 통로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 있어서 아스팔트의 온도는 몇 ℃를 기준으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5℃
  2. 25℃
  3. 35℃
  4. 45℃
(정답률: 13%)
  •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는 아스팔트의 점도를 측정하는데, 이는 아스팔트의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는 일정한 온도에서 측정을 하기 위해 기준 온도를 정해놓고 측정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기준 온도가 35℃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경질이며 흡습성이 적은 특성이 있으며 도로나 마룻바닥에 까는 두꺼운 벽돌로서 원료로 연와토 등을 쓰고 식염유로 사유소성한 벽돌은?

  1. 검정벽돌
  2. 광재벽돌
  3. 날벽돌
  4. 포도벽돌
(정답률: 59%)
  • 포도벽돌은 경질이며 흡습성이 적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도로나 마룻바닥에 까는 두꺼운 벽돌로 사용되며, 연와토 등을 원료로 사용하고 식염유로 사유소성합니다. 따라서 포도벽돌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종의 못박기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강재 등에 쳐박는 특수못을 의미하는 것은?

  1. 드라이브핀
  2. 인서트
  3. 익스팬션볼트
  4. 듀벨
(정답률: 69%)
  • 드라이브핀은 일종의 못박기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강재 등에 쳐박는 특수못을 의미합니다. "드라이브"는 못을 박는 동작을 의미하고, "핀"은 못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드라이브핀"은 못박기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강재 등에 쳐박는 핀 모양의 특수못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점토기와 중 훈소와에 해당하는 설명은?

  1. 소소와에 유약을 발라 재소성한 기와
  2. 기와 소성이 끝날 무렵에 식염증기를 충만시켜 유약 피막을 형성시킨 기와
  3. 저급점토를 원료로 900~1000℃로 소소하여 만든것으로 흡수율이 큰 기와
  4. 건조제품을 가마에 넣고 연료로 장작이나 솔잎 등을 써서 검은 연기로 그을려 만든 기와
(정답률: 80%)
  • 점토기와 중 훈소와는 모두 기와를 의미합니다. 저급점토를 소성하여 만든 점토기와 유약을 발라 재소성한 중 훈소와가 있습니다. 그리고 건조제품을 가마에 넣고 연료로 장작이나 솔잎 등을 써서 검은 연기로 그을려 만든 기와도 있습니다. 이 중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은 "건조제품을 가마에 넣고 연료로 장작이나 솔잎 등을 써서 검은 연기로 그을려 만든 기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단위수량은 초기동해를 적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적게 정하여야 한다.
  3.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50%이하로 하여야 한다.
  4. 배합강도 및 물-결합재비는 적산온도 방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정답률: 52%)
  •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중콘크리트는 공기연행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50%이하로 하여야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인 물-결합재비가 너무 높으면 강도가 낮아지고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물-결합재비가 높을수록 수분이 증발하는 양이 많아져 초기동해가 빨리 일어나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물-결합재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목구조에서 가새보다 수평력에 더 강하게 저항할수는 없지만 건축물의 형상이나 기능상으로 가새를 댈수 없는 곳에 사용하는 것은?

  1. 토대
  2. 버팀대
  3. 귀잡이
  4. 꿸대
(정답률: 47%)
  • 버팀대는 목구조에서 가새를 대신하여 건축물의 형상이나 기능상으로 가새를 댈 수 없는 곳에 사용됩니다. 이는 가새보다 수평력에 더 강하게 저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버팀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방화관리 대상물 중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곳은?

  1. 가연성가스를 300t이상 저장, 취급하는 곳
  2. 연면적이 5,000m2 이상인 곳(공동주택 제외)
  3.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
  4. 1개층의 바닥면적이 3,000m2 이상인 곳(공동주택 제외)
(정답률: 12%)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은 대규모 건물이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고,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하이테크(High-Tech)건축의 디자인관이 아닌 것은?

  1. 기계 문명의 효율적 가치
  2. 특수 구조의 활용
  3. 기계 이미지의 추구
  4. 부품화 및 대량 생산
(정답률: 28%)
  • 기계 문명의 효율적 가치는 하이테크 건축의 디자인 관점이 아니라, 기술과 기계화에 대한 철학적인 가치관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하이테크 건축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바닥면적이 300m2 이상인 공연장의 개별관람석의 출구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구는 관람석별 2개소 이상 설치해야 한다.
  2. 관람석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야 한다.
  3.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5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개별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개별관람석의 바닥면적 100m2마다 0.6m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74%)
  • "관람석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관람석 내부에서 출구로 나가는 것이 어려울 경우, 관람석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출구로 쓰이는 문은 밖에서 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람석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전상의 이유로 밖에서 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지하3층 지상12층 규모의 전신전화국으로 각층 공히 바닥면적 2,000m2이고 각층 거실 면적은 각층 바닥면적의 80%일 경우 최소로 필요한 승용승강기의 대수를 구하시오. (단, 승용승강기는 15인승 기준임, 각층의 층고는 4m임)

  1. 3대
  2. 4대
  3. 5대
  4. 6대
(정답률: 54%)
  • 전체 면적은 3층 * 2,000m2 = 6,000m2 이다.
    각 층의 거실 면적은 2,000m2 * 0.8 = 1,600m2 이다.
    각 층의 높이는 4m 이므로, 총 층수는 (3층 + 12층) = 15층 이다.
    한 대의 승용승강기는 최대 15명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총 운반 인원은 15명/대 * 4대 = 60명 이다.
    따라서, 최소한 60명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승용승강기 4대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근대 건축가인 루이스 칸(Louis I. Kahn)의 작품은?

  1. 롱샹(Ronchams)교회당
  2. 시그램(Seagram)빌딩
  3. 리차드 의학연구소(Richards Medical Research Laboratories)
  4. 웨인 라이트 빌딩(The Wain Wright Building)
(정답률: 58%)
  • 정답은 "리차드 의학연구소(Richards Medical Research Laboratories)"입니다. 이 작품은 루이스 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현대 건축의 대표적인 예술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건물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위치하며, 칸이 건축가로서 처음으로 완전한 형태로 완성한 작품입니다. 이 건물은 칸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로, 그의 건축 철학과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건물은 현대 건축의 대표적인 예술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건축 철학과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건축물부의의 열관류율 기준이 가장 낮은 것은? (단, 중부지역이며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1. 거실의 외벽
  2.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3.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4. 공동주택의 측벽
(정답률: 47%)
  •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이 가장 낮은 열관류율 기준을 가지는 이유는, 지붕이나 반자는 외부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하고, 더 효율적으로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관류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반면, 거실의 외벽이나 공동주택의 측벽은 외부와 직접 맞닿아 있기 때문에 외부 온도 변화에 민감하고, 내부 온도 유지에 불리해지기 때문에 열관류율이 높아집니다.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은 지하실이나 지하층에 위치하므로 외부와의 접촉이 적어 열관류율이 낮아질 수 있지만, 지하실이나 지하층은 일반적으로 난방이나 냉방이 필요하기 때문에 열관류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한옥에서의 창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화창 : 부엌의 부뚜막 측면의 윗벽을 뚫어 만든 일종의 배기구멍 역할을 하는 창
  2. 광창 : 실내에 빛이 들어오게 하기 위해 방의 벽위쪽이나 출입문 위쪽에 설치하는 창
  3. 교창 : 부엌의 벽이나 곳간 벽에 높이 설치하여 통풍이나 환기 역할을 하는 창
  4. 눈꼽재기창 : 방한을 위해 실내에 이중으로 만든창으로 덧문이나 벽장문에 쓰이는 창
(정답률: 59%)
  • 옳지 않은 것은 "눈꼽재기창 : 방한을 위해 실내에 이중으로 만든창으로 덧문이나 벽장문에 쓰이는 창"이다. 이유는 눈꼽재기창은 실내에 이중으로 만든 창이 아니라, 실외에 설치되는 창으로서 겨울철에 눈이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에너지 절약 계획서 제출 건축물에 해당 하는 것은?

  1. 바닥면적 합계가 2,000m2인 기숙사
  2.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인 목욕장
  3. 바닥면적의 합계가 8,000m2인 종교시설
  4.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장례식장
(정답률: 36%)
  • 정답은 "바닥면적 합계가 2,000m2인 기숙사"입니다. 에너지 절약 계획서는 건물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다르게 작성되며, 기숙사는 주거용 건물로서 에너지 절약이 중요한 대상입니다. 또한 바닥면적이 2,000m2로 크지 않아 에너지 절약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담, 박공벽, 난간 등의 상부에 덮어 씌우는 돌로서 그 윗면에는 물흘림, 밑면에는 물끊기를 두는 것은?

  1. 돌림띠
  2. 쌤돌
  3. 창대돌
  4. 두겁돌
(정답률: 52%)
  • 상부에 덮어 씌우는 돌이므로 "돌림띠"와 "쌤돌"은 제외됩니다. "창대돌"은 상부에 물흘림을 두지 않으므로 제외됩니다. 따라서, "두겁돌"이 정답입니다. "두겁돌"은 상부에 물흘림, 밑면에 물끊기를 두어 물이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고대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라미드 건축은 고왕국 시기 때 가장 번성하였다.
  2. 사카라에 위치한 피라미드는 계단식 형태로 축조되었다.
  3. 피라미드는 파일런(Pylon)에서 발전하였다.
  4. 피라미드는 장례용 복합단지로서 피라미드 본체가 완성되면 피라미드 주변에 성곽을 두르고 부속건물을 건설하였다.
(정답률: 50%)
  • "피라미드는 파일런(Pylon)에서 발전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파일런은 이집트 신전 건축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피라미드와는 관련이 없다. 피라미드는 이집트 고대 왕들의 무덤으로 사용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의 건축 기술과 예술의 최고봉을 나타내는 건축물이다. 피라미드는 계단식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완성되면 피라미드 주변에 성곽을 두르고 부속건물을 건설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종합병원
  2. 숙박시설
  3. 옥내수영장
  4. 방송국
(정답률: 87%)
  • 옥내수영장은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니기 때문에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종합병원, 숙박시설, 방송국은 특정소방대상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방화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설치시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하는 부위는?

  1. 벽, 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
  2. 벽, 천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
  3. 벽, 바닥과 을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
  4. 벽, 천장과 을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
(정답률: 58%)
  • 개별난방방식으로 설치된 오피스텔의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구획해야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 난방설비가 위치한 구획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다른 구획으로 불이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벽, 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은 내화구조로 구획하여 화재 발생 시 다른 구획으로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1.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2.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800m2이하인 건축물
  3. 높이 31m 이하인 층수가 4개층 이하인 건축물
  4.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
(정답률: 51%)
  • 비상용승강기는 건물의 높이와 층수, 그리고 각층의 용도와 바닥면적 등에 따라 설치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은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기준에 해당한다. 이유는 높은 층수와 다양한 용도로 인해 비상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승강기를 설치하여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6층 이상의 종교시설에 적용되는 배연설비 설치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① 1, ② 0.5
  2. ① 1, ② 0.9
  3. ① 2, ② 0.5
  4. ① 2, ② 0.9
(정답률: 4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기준은 "종교시설의 배연설비 설치 기준"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6층 이상의 종교시설에서는 "배연설비 설치 시 1층당 1.0m² 이상의 배연면적을 확보하며, 이 중 0.9m² 이상은 외기로 배출"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1, ② 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철골조 용접의 결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언더컷(under cut) : 용접봉의 통과로 발생한 용작 금속층
  2. 오버랩(over lap) : 용착금속이 모재와 융합되지 않고 덮여진 부분
  3. 블로우 홀(blow hole) : 용접부분 표면에 생기는 작은 구명
  4. 위핑 홀(weeping hole) : 금속이 녹아들 때 생기는 기포나 작은 틈
(정답률: 20%)
  • 철골조 용접에서 오버랩은 용착금속이 모재와 융합되지 않고 덮여진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 시 용접봉의 이동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용접봉과 모재 간의 간격이 너무 멀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은 강도나 내구성을 감소시키므로 용접 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보강 블록조에서 내력벽 길이의 총합계가 45m이고, 그 층의 건물면적이 300m2일 경우 내력벽의 벽량은?

  1. 10㎝/m2
  2. 15㎝/m2
  3. 30㎝/m2
  4. 45㎝/m2
(정답률: 50%)
  • 내력벽의 벽량은 건물면적에 비례하므로, 1m2당 벽량을 구한 후 건물면적인 300으로 곱해주면 된다. 내력벽의 길이는 45m이므로, 1m당 벽량은 45m/300m2 = 0.15m = 15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PC(Precast Concrete)공법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시설투자비가 적게 든다.
  2. 기후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3. 설계상의 제약이 따른다.
  4. 기계화, 자동화에 의해 품질이 향상된다.
(정답률: 72%)
  • "초기시설투자비가 적게 든다."는 PC공법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이 절약되어 초기시설투자비가 적게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콘크리트 블록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블록은 살(shell)두께가 큰 면을 아래로 하여 쌓는다.
  2. 줄눈은 일반적으로 막힌줄눈으로 하여 철근으로 보강할 때 등 특별한 경우 통줄눈으로 한다.
  3. 모르타르 접촉면은 적당히 물축이기를 한다.
  4. 규준틀에는 수평선을 치고 모서리, 중간요소에 먼저 기준이 되는 블록을 수평실에 맞추어 다림추 등을 써서 정확하게 설치한 다음 중간블록을 쌓는다.
(정답률: 62%)
  • "블록은 살(shell)두께가 큰 면을 아래로 하여 쌓는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콘크리트 블록은 일반적으로 살(shell)두께가 작은 면을 아래로 하여 쌓는다. 이는 블록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살(shell)두께가 큰 면을 아래로 하면 블록이 불안정해지고 쉽게 무너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한국의 전통건축에서 주두의 일반적인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구조의 불안정을 교정
  2. 조형미의 교정
  3. 시각적인 불안을 요정
  4. 권위성의 교정
(정답률: 65%)
  • 주두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 구조의 불안정을 교정하거나 조형미를 교정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권위성의 교정은 주두의 일반적인 기능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권위성의 교정은 건축물의 외관이나 내부 공간에서 권위감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주로 궁궐이나 사찰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두의 일반적인 기능과는 다른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자연환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자연환기는 외부풍압의 작용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2. 환기량은 개구부의 면적에 반비례한다.
  3. 환기량은 실내외의 온도차가 클수록 많아진다.
  4. 연돌효과는 자연환기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72%)
  • 환기량은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가 클수록 많아진다. 이는 온도차가 클수록 외부의 공기가 더 뜨거워져 상승하면서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환기는 외부풍압뿐만 아니라 온도차에 따라서도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주광률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실내의 조도가 옥외의 조도 몇 %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값
  2. 시야 내에 휘도의 고르지 못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
  3. 빛을 발산하는 면을 어느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밝기를 나타내는 전도
  4. 복사로서 전파하는 에너지의 시간적 비율
(정답률: 70%)
  • 주광률은 실내의 조도가 옥외의 조도 몇 %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실내에서 받는 빛의 밝기가 실외에서 받는 빛의 밝기에 비해 얼마나 밝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실내에서의 조명 설계나 실외에서의 건물 위치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에 대한 비교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간접조면보다 직접조명의 조명효율이 더 높다.
  2. 동일 조도를 얻기 위한 시설비는 직접조명이 더 많이 든다.
  3. 간접조명은 그림자가 거의 형성되지 않고, 부드러운 빛으로 안정된 조명을 할 수 있다.
  4. 직접조명은 국부적으로 고조도를 얻기 편리하다.
(정답률: 54%)
  • "동일 조도를 얻기 위한 시설비는 직접조명이 더 많이 든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간접조명이 더 많은 시설비가 들어간다. 간접조명은 조명기구가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며, 또한 간접조명은 직접조명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운영비용도 더 많이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구조체를 통한 열손실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표면적을 줄인다.
  2. 단열재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3. 구조체의 열관류율을 적게 한다.
  4. 중공층 약측 표면에 복사율이 큰 재료를 사용한다.
(정답률: 38%)
  • "중공층 약측 표면에 복사율이 큰 재료를 사용한다."는 옳은 방안이다. 이는 중공층 내부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을 표면으로 반사시켜 열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 방안은 옳은 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화장실, 주방, 욕실 등에 가장 적합한 환기 방식은?

  1. 자연환기
  2. 급기팬과 배기패의 조합
  3. 자연급기와 배기팬의 조합
  4. 급기팬과 자연배기의 조합
(정답률: 66%)
  • 화장실, 주방, 욕실 등에는 습기와 냄새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환기가 필요합니다. 자연환기는 창문이나 문을 열어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환기를 합니다. 하지만 자연환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는 급기팬과 배기팬의 조합을 사용하거나, 급기팬과 자연배기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적합한 방식은 자연급기와 배기팬의 조합입니다. 자연환기로 유입된 실외 공기를 급기팬으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움직이고, 배기팬으로 실내 공기를 배출시켜 실내 환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음압이 2x10-3N/m2인 음의 음압 레벨은?

  1. 30db
  2. 40db
  3. 50db
  4. 60db
(정답률: 39%)
  • 음압 레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음압 레벨 = 20log10(음압/기준 음압)

    여기서 기준 음압은 2x10-5N/m2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음압이 2x10-3N/m2일 때,

    음압 레벨 = 20log10(2x10-3/2x10-5) = 20log10(100) = 40db

    따라서, 정답은 "4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급탕배관의 설계 및 시공상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식 급탕설비는 원칙적으로 중력식 순환방식으로 한다.
  2. 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건물의 벽관통부분의 배관에 는 슬리브를 끼운다.
  3. 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배관의 굽힘 부분에는 스위블 이음으로 접합한다.
  4. 급탕밸브나 플랜지 등의 패킹은 내열성 재료를 선택하여 시공한다.
(정답률: 27%)
  • "중앙식 급탕설비는 원칙적으로 중력식 순환방식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앙식 급탕설비는 중력식 순환방식이 아닌, 강제순환방식으로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한다. 이유는 중앙식 급탕설비는 건물 전체에 물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중력으로는 충분한 수압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펌프 등의 강제순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균일한 1[cd]의 점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전 광속은?

  1. 1π[1m]
  2. 2π[1m]
  3. 3π[1m]
  4. 4π[1m]
(정답률: 48%)
  • 점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전 광속은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속의 총합이므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광속이 방사됩니다. 따라서, 전 광속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4π[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실내에 이어서 인체 표면과 벽 ∙천장 ∙바닥면등 주벽면과의 열복사가 재실자의 쾌적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Vernon에 의해 고안된 온도계는?

  1. 아스만 온도계
  2. 글로브 온도계
  3. 자기 온도계
  4. 카타 온도계
(정답률: 56%)
  • Vernon이 고안한 온도계는 인체의 쾌적감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체의 실제 체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여야 한다. 이 중에서도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쥐어지는 글로브 온도계가 가장 적합하다. 글로브 온도계는 인체의 실제 체감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쥐어지는 디자인으로 인체와 가까운 거리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Vernon이 고안한 온도계는 글로브 온도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흡읍재료 중 연속기포 다공질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후공기층은 중저음역의 흡음성능에 유효하다.
  2. 재료로는 유리면, 암면, 펠트, 연질 섬유판 등이 있다.
  3. 일반적으로 두께를 늘리면 흡음률을 작아진다.
  4. 표면마감처리방법에 의해 흡음 특성이 변한다.
(정답률: 75%)
  • 일반적으로 두께를 늘리면 흡음률을 작아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두께가 더 두꺼울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속기포 다공질재의 경우에도 두께가 더 두꺼울수록 더 높은 흡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0.5L의 물을 5℃에서 60℃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물의 비열은 4.2kJ/kg∙, 물의 밀도는 1kg/L)

  1. 63.0kJ
  2. 115.5kJ
  3. 127.5kJ
  4. 180.0kJ
(정답률: 61%)
  • 물의 질량은 0.5kg이므로, 물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Q = m × c × ΔT

    = 0.5kg × 4.2kJ/kg∙℃ × (60℃ - 5℃)

    = 115.5kJ

    따라서 정답은 "115.5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벽체의 내부결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열적 벽체일수록 발생하기 쉽다.
  2. 벽체 내부로 수증기의 침입을 억제하면 내부결로 방지에 효과가 있다.
  3.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공법은 내측단열공법으로 시공한다.
  4.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방습층은 온도가 높은 단열재의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정답률: 52%)
  •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공법은 내측단열공법으로 시공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내부결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수증기가 벽체 내부에서 응축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내부로 수증기의 침입을 억제하고 벽체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내부단열재를 사용하여 벽체 내부의 온도를 높이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수증기의 침입을 막기 위해 내측단열공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열의 이동(전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2. 유체와 고체 사이의 열의 이동을 열전도라고 한다.
  3. 일반적으로 액체는 고체보다 열전도율이 작다.
  4. 열전도율은 물체의 고유성질로서 전도에 의한 열이 이동정도를 표시한다.
(정답률: 57%)
  • "유체와 고체 사이의 열의 이동을 열전도라고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열전도는 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열의 이동을 의미하며, 유체 내부에서는 대부분의 열 전달이 대류 전달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체 내부에서는 열전도보다는 대류 전달이 더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음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공기 중 전파속도는 기온이 높을수록 빨라진다.
  2. 음의 고저는 음파의 기본음이 가지는 기본 주파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3. 음파는 횡파이며, 음의 크기는 음파를 구성하는 고조파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4. 회절은 낮은 주파수의 음일수록 현저하게 나타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회절을 일으키기 어렵게 된다.
(정답률: 38%)
  • 음의 크기는 음파를 구성하는 고조파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공기 중의 음속이 344ms, 주파수가 450Hz일 대음의 파장(m)은?

  1. 0.33
  2. 0.76
  3. 1.31
  4. 6.25
(정답률: 47%)
  • 음속 = 파장 × 주파수 이므로, 파장 = 음속 ÷ 주파수 = 344 ÷ 450 = 0.76 (m). 따라서 정답은 "0.7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의 펌프 중 터보형 펌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볼류트 펌프
  2. 터빈 펌프
  3. 사류 펌프
  4. 피스톤 펌프
(정답률: 54%)
  • 피스톤 펌프는 터보형 펌프가 아닙니다. 터보형 펌프는 로터와 스테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체의 운동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반면에 피스톤 펌프는 피스톤의 움직임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피스톤 펌프는 터보형 펌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실내조명설계 과정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사항은?

  1. 조명방식의 선정
  2. 소요조도의 결정
  3. 전등종류의 선정
  4. 조명기구의 배치계획
(정답률: 75%)
  • 실내조명설계 과정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소요조도의 결정입니다. 이는 조명의 밝기와 분포를 결정하며, 공간의 용도와 크기, 색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요조도를 먼저 결정한 후에 조명방식, 전등종류, 조명기구의 배치계획 등을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호텔의 주방이나 레스토랑의 주방에서 배출되는 배수중의 유지분을 포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포집기는?

  1. 플라스터 포집기
  2. 헤어 포집기
  3. 오일 포집기
  4. 그리스 포집기
(정답률: 54%)
  • 그리스 포집기는 주로 주방에서 배출되는 유지분과 기름을 포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주방 배수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배수관의 막힘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그리스 포집기는 유지분과 기름을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호텔이나 레스토랑과 같은 식음료 업계에서는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콘서트홀의 음향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홀 전체의 음 확산이 잘되고 잔향이 없어야 한다.
  2. 모든 관객석에서 충분한 직접음∙초기반사음을 확보한다.
  3. 기본설계 단계에서 실의 크기나 치수비 등의 결정시에 음향적으로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4. 에코나 플러터 에코와 같은 음향 장애가 발생하지않도록 한다.
(정답률: 66%)
  • "홀 전체의 음 확산이 잘되고 잔향이 없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적절한 잔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무시한 것이다. 적절한 잔향은 음악의 품질을 높이고, 청중의 청취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콘서트홀의 음향설계에서는 적절한 잔향을 유지하면서도, 모든 관객석에서 충분한 직접음∙초기반사음을 확보하고, 기본설계 단계에서 실의 크기나 치수비 등의 결정시에 음향적으로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며, 에코나 플러터 에코와 같은 음향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수증기의 제거를 목적으로 환기를 하려고 한다. 수증기 발생량이 12kg/h이고 환기의 절대습도가 0.008[kg/kg] 일때 실내 절대습도를 0.01[kg/kg]으로 유지하기 위한 환기량은? (단,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1. 4,800[m3/h]
  2. 5,000[m3/h]
  3. 5,200[m3/h]
  4. 5,400[m3/h]
(정답률: 31%)
  • 환기량은 수증기 발생량을 환기 공기의 수분포화 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수분포화 용량은 해당 온도에서 공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수증기 양을 의미한다. 이 값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정보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0℃에서의 수분포화 용량을 사용한다.

    20℃에서의 수분포화 용량은 0.017[kg/kg]이다. 따라서 환기량은 12[kg/h] / (0.017[kg/kg] - 0.008[kg/kg]) = 5,000[m^3/h] 이다.

    즉, 실내 공기가 가지는 수증기 양과 환기 공기가 가지는 수증기 양의 차이를 고려하여 환기량을 계산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