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실내건축기사(구)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다음 중 공간의 레이아웃(lay-out)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선
  2. 공간별 그룹핑
  3. 가구의 크기와 점유면적
  4. 재료의 마감과 색채계획
(정답률: 79%)
  • 재료의 마감과 색채계획은 공간의 레이아웃과는 거리가 먼 요소이다. 이는 공간의 레이아웃과는 별개로 고려되며, 인테리어 디자인의 마무리 단계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인테리어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는 동선, 공간별 그룹핑, 가구의 크기와 점유면적 등을 고려하여 공간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Design image를 구축한다”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소유물을 list-up하는 것
  2. 사용되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
  3. 디자인의 우위성을 부각시키는 것
  4. 기능적, 정서적, 특징적 공간이미지를 만드는 것
(정답률: 88%)
  • "Design image를 구축한다"는 공간 디자인을 계획하고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장 알맞은 답은 "기능적, 정서적, 특징적 공간이미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공간의 기능성, 감성적인 요소, 그리고 특징적인 이미지를 고려하여 디자인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디자인 과정에서 중요하지만, "Design image를 구축한다"의 의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리드플래닝(grid plann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리드플래닝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2. 그리드가 단순화되고 보편적인 법칙에 종속되면 틀에 박힌 계획이 되기 쉽다.
  3. 직사각형 그리드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그리드로 좌우대칭이기에 중립적이며 방향성도 없다.
  4. 삼각형 그리드는 일반적으로 황금비율에 의한 그리드이거나 경제적 스팬에 준한 그리드를 사용한다.
(정답률: 41%)
  • "삼각형 그리드는 일반적으로 황금비율에 의한 그리드이거나 경제적 스팬에 준한 그리드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리듬의 원리 중 공간, 형태, 색상 등의 점차적인 변화로 생기며 하나의 성질이 증가 또는 감소됨으로써 나타나는 것은?

  1. 점이
  2. 대비
  3. 균형
  4. 강조
(정답률: 75%)
  • 리듬의 원리 중에서 공간, 형태, 색상 등의 점차적인 변화로 생기며 하나의 성질이 증가 또는 감소됨으로써 나타나는 것은 "대비"입니다. 이것은 점이 아니라 성질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므로 "점이"가 아닌 것입니다. "대비"는 어떤 두 가지 요소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므로, 이것이 리듬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설명에 알맞은 의자의 종류는?

  1. 카우치(couch)
  2. 체스터필드(chesterfield)
  3. 라운지체어(lounge chair)
  4. 풀업 체어(pull-up chair)
(정답률: 76%)
  • 이 의자는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으며, 등받이 대신에 높은 등받이가 있는 바를 이용하여 올라가서 앉는 의자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체육관이나 운동장에서 사용되는 운동용 의자로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풀업 체어(pull-up chai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의 구성방법에는 지배적 구성, 분리구성, 일렬구성, 자유구성 등이 있다.
  2. 곡면과 평면을 결합으로 대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실내 공간에서의 모든 형태는 면의 요소로 간주되며, 크게 이념적 면과 현실적 면으로 대별된다.
  4. 면의 심리적 인상은 그 면이 놓인 위치, 질감, 색, 패턴 또는 다른 면과의 관계 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정답률: 48%)
  • 모든 면은 이념적 면과 현실적 면으로 대별되는 것은 옳지 않다. 이념적 면과 현실적 면은 면의 구성방법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면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에 따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실내디자인은 대상 공간의 기능을 만족시켜야 한다.
  2. 실내디자인은 건축적구조 및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3. 실내디자인은 인간 생활에 대한 쾌적함, 인간적 감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4. 실내디자인은 사용자의 편의성보다 디자이너의 주관적 창의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정답률: 89%)
  • "실내디자인은 사용자의 편의성보다 디자이너의 주관적 창의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이는 올바른 실내디자인의 개념과는 맞지 않으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쾌적함을 만족시키는 것이 실내디자인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직접조명방식에 속하는 것은?

  1. 코브 조명
  2. 광천장 조명
  3. 코니스 조명
  4. 발란스 조명(상향조명)
(정답률: 69%)
  • 광천장 조명은 조명기구가 천장에 직접 부착되어 조명하는 방식으로, 직접조명방식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형태의 지각 심리 중 형과 배경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도가 낮은 것보다는 높은 것이 배경으로 인식되기 쉽다.
  2. 대체적으로 면적이 작은 부분은 형이 되고, 큰 부분은 배경이 된다.
  3. 형과 배경이 교체하는 것을 모호한 형(ambiguous figure) 혹은 반전 도형이라고도 한다.
  4. 형과 배경이 순간적으로 번갈아 보이면서 다른 형태로 지각되는 심리의 대표적인 예로 ‘루빈의 항아리’를 들 수 있다.
(정답률: 71%)
  • "명도가 낮은 것보다는 높은 것이 배경으로 인식되기 쉽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명도가 높은 것은 시선이 집중되는 형태로 인식되기 쉬우므로 형태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고, 명도가 낮은 것은 시선이 흐려져 배경으로 인식되기 쉬우므로 배경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자인의 원리 중 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전체적인 조립방법이 모순 없이 질서를 잡는 것
  2.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디자인에 시각적인 질서를 부여하는 통제된 운동감각
  3. 중심축을 경계로 형태의 요소들이 시각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상태
  4. 저울의 원리와 같이 중심축을 경계로 양측이 물리적으로 힘의 안정을 구하는 현상
(정답률: 50%)
  • "전체적인 조립방법이 모순 없이 질서를 잡는 것"은 디자인에서 조화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자인에서는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디자인 요소들을 조화롭게 조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시공간의 바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요철이나 잦은 단차는 피한다.
  2. 색은 벽보다 밝고 반사율이 높은 것이 좋다.
  3. 바닥재의 문양은 전시실을 압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4. 미끄럽지 않고 발소리가 나지 않는 마감재료가 요구된다.
(정답률: 83%)
  • 정답: "색은 벽보다 밝고 반사율이 높은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바닥의 색은 전시물의 색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전시물의 주인공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또한, 바닥재의 문양은 전시실을 압도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요철이나 잦은 단차는 방문객의 안전을 위해 피하고, 미끄럽지 않고 발소리가 나지 않는 마감재료가 요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직벽면을 빛으로 쓸어내리는 듯한 효과를 주기 위해 비대칭 배광방식의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수직벽면에 균일한 조도의 빛을 비추는 조명의 연출기법은?

  1. 그레이징(glazing)기법
  2. 실루엣(silhouette)기법
  3. 월 워싱(wall washing)기법
  4. 그림자 연출기법(shadow play)
(정답률: 90%)
  • 월 워싱 기법은 비대칭 배광방식의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수직벽면에 균일한 조도의 빛을 비추는 연출기법이다. 이를 통해 수직벽면을 빛으로 쓸어내리는 듯한 효과를 주어 공간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내디자인 프로세스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기획 - 계획ㆍ설계 - 시공 - 감리 - 평가
  2. 기획 - 감리 - 계획ㆍ설계 - 시공 - 평가
  3. 계획ㆍ설계 - 기획 - 시공 - 감리 - 평가
  4. 계획ㆍ설계 - 평가 - 기획 - 감리 - 시공
(정답률: 79%)
  • 실내디자인 프로세스는 기획부터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가장 알맞은 순서는 "기획 - 계획ㆍ설계 - 시공 - 감리 - 평가" 입니다.

    먼저, 기획 단계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디자인 컨셉을 수립합니다. 그 다음, 계획ㆍ설계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디자인을 기획하고, 시공 단계에서는 디자인을 실제로 구현합니다.

    감리 단계에서는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최종적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디자인의 완성도를 확인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조사합니다.

    따라서, "기획 - 계획ㆍ설계 - 시공 - 감리 - 평가"가 가장 알맞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간의 차단적 구획에 사용되는 것으로 시각적 연결감을 주면서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1. 열주
  2. 조각
  3. 조명
  4. 낮은 칸막이
(정답률: 41%)
  • 열주는 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은 하지만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로 줄여주면서 통행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 문의 형태는?

  1. 미닫이문
  2. 회전문
  3. 여닫이문
  4. 접이문
(정답률: 84%)
  • 회전문은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로 줄여주면서 통행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 문의 형태입니다. 이는 회전문이 한쪽으로 열리지 않고 회전하면서 통행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람이나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며, 사람들의 통행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계획 중 개실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깊이에 변화를 주기 쉽다.
  2. 독립성과 쾌적감의 이점이 있다.
  3.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4. 칸막이벽이 없어 공사비가 저렴하다.
(정답률: 69%)
  • 개실시스템은 벽으로 구분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으로, 독립성과 쾌적감의 이점이 있다. 벽이 없어 공간이 확장되어 보이며, 자연적인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다. 또한, 방깊이에 변화를 주기 쉽고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질감(textur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매끄러운 질감은 빛을 흡수한다.
  2. 물체가 갖고 있는 표면상의 특징이다.
  3. 촉감적 질감과 시각적 질감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효과적인 질감 표현을 위해서는 색채와 조명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매끄러운 질감은 빛을 흡수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매끄러운 질감은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광택이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내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개보수인 경우는 현장의 정확한 실측과 조사가 필요하다.
  2. 건축 설계와 병행되는 경우는 건축설계자와 협조가 필요하다.
  3. 기존 공간의 개보수는 물론 신축공간의 디자인도 실내 디자인에 포함된다.
  4. 대수선 허가가 필요한 주요 구조부의 변경은 어떠한 경우에도 할 수 없다.
(정답률: 83%)
  • "대수선 허가가 필요한 주요 구조부의 변경은 어떠한 경우에도 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대수선 허가가 필요한 주요 구조부의 변경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건축법상 필요한 경우나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건축설계자가 변경을 제안하고 대수선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변경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테리어 이미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댄디(Dandy)는 강하고 분명한 디자인으로 활동감과 약동감을 갖게 한다.
  2. 자연스러움(Natural)은 단순하면서 소박함과 따스함이 있는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3. 고저스(Gorgeous)는 호화롭고 사치스런 이미지로 전통적인 표현은 물론 현대적 표현도 가능하다.
  4. 캐쥬얼(Causal)은 자유롭고 편한 이미지를 나타내며, 신선함, 활동감, 즐거움 등이 연출 포인트가 된다.
(정답률: 78%)
  • "댄디(Dandy)는 강하고 분명한 디자인으로 활동감과 약동감을 갖게 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댄디는 고급스러우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며, 활동감과 약동감은 강조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상점의 매장 내 진열장을 배치계획할 때 가장 중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고객동선
  2. 영업시간
  3. 조명의 조도
  4. 진열 케이스의 수
(정답률: 86%)
  • 고객동선은 상점 내에서 고객들이 이동하는 경로와 방향을 의미합니다. 매장 내 진열장을 배치할 때는 고객들이 쉽게 접근하고 둘러볼 수 있는 위치에 상품을 진열해야 합니다. 또한 고객들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경로에 상품을 배치하면 매출 증대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고객동선은 상점 내 진열장을 배치할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실내의 색채조절에 있어서 틀린 설명은?

  1. 천장색의 경우 반사율이 높으면서 눈이 부시지 않는 무광택 재료로 시공하는 것이 좋다.
  2. 벽의 아랫부분 굽도리는 벽의 윗부분보다 더 밝게 해 주는 것이 좋다.
  3. 바닥의 경우 반사율이 낮은 색이 좋으며,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은 것은 좋지 않다.
  4. 문의 양쪽기둥이나 창문틀은 벽의 색과 맞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벽의 아랫부분 굽도리는 벽의 윗부분보다 더 밝게 해 주는 것이 좋은 이유는 시선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밝은 색으로 칠해진 벽이 더 넓어 보이고, 공간이 더 넓어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밝은 색으로 칠해진 벽은 빛을 잘 반사하여 밝고 화사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9세기 화학자로 「Contrast on Color」를 저술하여 근대 색채조화론의 기초를 만든 사람은?

  1. 슈브럴(M.E.Chevreul)
  2. 베졸드(W.V.Bezold)
  3. 오스트발트(W.Ostwald)
  4. 브루케(E.Brucke)
(정답률: 44%)
  • 슈브럴은 19세기 화학자로서 색채 조화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Contrast on Color"라는 책을 저술하여 근대 색채조화론의 기초를 만들었다. 이 책에서는 색채의 조화와 대비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그 후의 색채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슈브럴은 근대 색채 조화론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문 스펜서가 색채조화론을 1944년 미국 광학회의 잡지 JOSA에 발표했는데 이 논문의 주된 내용과 관련 없는 것은?

  1. 고전적인 색채조화론의 기하학적 공식화
  2. 톤을 이용한 효과
  3. 색채 조화에 있어서의 미도측정
  4. 색채 조화에 있어서의 면적
(정답률: 49%)
  • 정답은 "톤을 이용한 효과"입니다.

    문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은 색채의 밝기, 채도, 색조를 조절하여 색채를 조화롭게 만드는 방법을 제시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고전적인 색채조화론의 기하학적 공식화와 색채 조화에 있어서의 미도측정, 면적 등을 다루었습니다.

    하지만 "톤을 이용한 효과"는 이와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톤은 색채의 밝기를 의미하며, 문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는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색채의 밝기와 채도, 색조를 조절하여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톤을 이용한 효과"는 문 스펜서의 색채조화론과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색채조화의 원리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며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원리의 조합은?

  1. 질서성 - 친근성 - 동류성 - 명료성
  2. 동류성 - 비모호성 - 친근성 - 합리성
  3. 질서성 - 친근성 - 상대성 - 전통성
  4. 상대성 - 합리성 - 예술성 - 객관성
(정답률: 68%)
  • "질서성 - 친근성 - 동류성 - 명료성"은 색채를 조화롭게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들을 조합한 것입니다. 질서성은 색채의 조화를 위해 일정한 규칙과 질서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친근성은 색채가 보는 이에게 친숙하고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류성은 색채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을 의미하며, 명료성은 색채의 구분이 명확하고 뚜렷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원리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 가능하며, 색채를 조화롭게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원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스펙트럼 분광색의 파장이 긴 색부터 파장이 짧은 색으로 나열된 것은?

  1. 노랑 - 파랑 - 주황
  2. 빨강 - 보라 - 초록
  3. 보라 - 빨강 - 노랑
  4. 노랑 - 초록 - 파랑
(정답률: 73%)
  • 스펙트럼 분광색은 파장이 긴 색부터 짧은 색으로 나열됩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긴 색은 빛이 흡수되는 물질에 의해 더 많이 흡수되기 때문에 먼저 흡수되고, 파장이 짧은 색은 덜 흡수되기 때문에 나중에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랑 - 초록 - 파랑" 순서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무대 디자인과 디스플레이를 할 때 색광을 다르게 하여 한정된 공간이 여러 가지 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처럼 조명에 의하여 물체의 색이 결정되는 광원의 성질은?

  1. 조건등색
  2. 연색성
  3. 색각이상
  4. 발괄성
(정답률: 75%)
  • 조명에 의해 물체의 색이 결정되는 광원의 성질을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연색성은 광원이 물체에 비추는 빛의 스펙트럼이 넓고 균일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광원에서는 물체의 색이 원래의 색과 유사하게 나타나며, 조명 디자인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극이나 콘서트에서는 연출에 따라 무대의 분위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연색성이 높은 조명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색채와 모양에 대한 공감각이 삼각형의 형태를 상징하는 색으로 명시도가 높아 날카로운 이미지를 갖고 있어서 항상 유동적이고 운동량이 많은 느낌의 색은?

  1. 빨강
  2. 보라
  3. 노랑
  4. 녹색
(정답률: 69%)
  • 노랑은 삼각형의 형태를 상징하는 색으로, 각 모서리가 날카로운 이미지를 갖고 있어서 항상 유동적이고 운동량이 많은 느낌의 색입니다. 이는 색채와 모양에 대한 공감각이 높기 때문입니다. 노랑은 빛나는 효과가 있어서 활기차고 밝은 느낌을 주며, 녹색과 함께 자연을 상징하는 색으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감법혼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색광혼합 또는 감산혼합이라고 한다.
  2. 감법혼색의 삼원색은 빨강(R), 녹색(G), 파랑(B)이다.
  3. 혼합하면 할수록 명도가 높아진다.
  4. 혼합하면 할수록 채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52%)
  • 감법혼색은 색을 혼합할 때, 색의 양을 줄여가며 혼합하는 방법이다. 이 때, 색의 양이 줄어들면서 채도가 낮아지게 되어 혼합하면 할수록 채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혼합하면 할수록 채도가 낮아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동시대비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1. 명도대비
  2. 마하밴드효과
  3. 진출과 후퇴
  4. 잔상효과
(정답률: 48%)
  • 잔상효과는 이전에 보여진 이미지가 사라지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눈에 남아서 다음 이미지와 섞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동시대비현상과는 관계가 없으며, 이미지 처리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잔상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혼색계(混色系, color mising system)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물체색을 표시하는 표색계로서 표준색표의 기호나 번호를 붙인다.
  2. 심리적인 색의 3속성에 따라 행해지는 혼색체계이다.
  3.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색실험 결과에 기초를 둔 것이다.
  4. Munsell 표색계가 대표적인 것으로 촉색학의 기본이 된다.
(정답률: 44%)
  • 혼색계는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색실험 결과에 기초를 둔 것입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 실험을 통해 발견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혼색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색을 표시하는 표색계인 Munsell 표색계가 대표적인 것으로 촉색학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오스트 발트 색채계의 기본이 되는 색채가 아닌 것은?

  1.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흡수하는 이상적인 검정
  2.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반사하는 이상적인 흰색
  3.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흡수 및 반사하는 이상적인 회색
  4. 이상적인 순색
(정답률: 69%)
  • 정답은 "이상적인 순색"입니다.

    오스트 발트 색채계는 색채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채를 빨강, 노랑, 녹색, 청록, 파랑, 보라 6가지로 나누어 표현합니다. 이 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색채는 빨강, 녹색, 파랑으로, 이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반면에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흡수 및 반사하는 이상적인 회색"은 어떤 색채도 아니며, 모든 색상을 동등하게 혼합한 결과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회색은 색채의 밝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색료의 두 색을 혼합하여 만들 수 없는 색은?

  1. 주황
  2. 노랑
  3. 연두
  4. 남색
(정답률: 64%)
  • 노랑은 다른 모든 색과 혼합하여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두 색을 혼합하여 만들 수 없는 색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채색의 수식형용사 중 ‘선명한’을 뜻하는 것은?

  1. pale
  2. light
  3. vivid
  4. dull
(정답률: 83%)
  • "Vivid"는 색상이나 이미지가 선명하고 생생한 것을 의미하는 수식형용사입니다. 따라서 "pale"은 창백한, "light"는 밝은, "dull"은 어둡고 흐린 것을 의미하므로, "vivid"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의 3속성 중 명도의 의미는?

  1. 색의 이름
  2. 색의 맑고 탁함의 정도
  3. 색의 밝고 어두움의 정도
  4. 색의 순도
(정답률: 72%)
  •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입니다. 색이 밝을수록 명도가 높고, 어두울수록 명도가 낮습니다. 예를 들어, 연두색과 진한 초록색은 색의 이름이 다르지만 명도는 비슷합니다. 하지만 연두색은 밝고, 진한 초록색은 어두우므로 명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색채가 주는 감정적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난색, 고채도일수록 무거운 느낌이다.
  2. 저재도, 저명도일수록 어두운 느낌이다.
  3. 고채도, 고명도일수록 화려한 느낌이다.
  4. 한색, 저채도일수록 차분한 느낌이다.
(정답률: 80%)
  • "난색, 고채도일수록 무거운 느낌이다."라는 내용은 틀린 내용이다. 실제로는 고채도일수록 화려하고 밝은 느낌을 주며, 난색은 색채의 조화를 깨뜨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불안정하고 불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의 연상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빨강, 주황 등은 식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색이다.
  2. 파랑, 하늘색 등은 일반적으로 청결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3. 금속색(주로 은회색 등)은 첨단적, 현대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4. 검정색은 죽음, 공포, 암흑은 연상시켜 공겁제품의 색으로는 부적합하므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정답률: 77%)
  • "검정색은 죽음, 공포, 암흑은 연상시켜 공겁제품의 색으로는 부적합하므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검정색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공격적인 제품이나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색채조적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눈의 피로를 감소시켜야 한다.
  2. 작업의 활동적인 의욕을 높인다.
  3.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을 고려한다.
  4. 심미적인 조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정답률: 76%)
  • "작업의 활동적인 의욕을 높인다."는 색채조적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색채조적은 주로 시각적인 측면에서의 효과를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의 활동적인 의욕을 높이는 것은 다른 요소들과 연관이 있을 수 있지만, 색채조적의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색 중 어두운 곳에서 가장 밝게 느껴지는 것은?

  1. 노랑
  2. 빨강
  3. 주황
  4. 청록
(정답률: 46%)
  • 청록은 파랑과 초록의 혼합색으로, 빛의 파장이 짧아서 어두운 곳에서도 밝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가장 밝게 느껴지는 색은 청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JPEG이미지 파일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진 등 정교한 색상표현에 많이 쓰인다.
  2. JPEG 포맷은 256색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3. 압축률을 높일수록 이미지의 손상이 커지므로 사용시 압축 정도를 조절해야 한다.
  4. 호환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2%)
  • "JPEG 포맷은 256색이라는 한계를 갖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JPEG 포맷은 256색이 아닌 수백만 가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적색을 본 후 황색을 보게 되면 색상이 황록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1. 명도대비
  2. 연변대비
  3. 동시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52%)
  • 이러한 현상은 "동시대비"가 아닌 "계시대비"이다. 계시대비는 한 색상을 오랫동안 보고 다른 색상을 보게 되면, 두 색상의 대비가 더욱 강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적색을 오랫동안 보고 황색을 보면, 두 색상의 대비가 더욱 강해져서 황록색으로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종이와 글자 간에는 상당한 대비(contrast)를 가지고 있다. 만일 종이의 반사도가 50%, 글자의 반사도가 10%라면 이때의 대비(%)는 얼마인가?

  1. 120%
  2. 80%
  3. 40%
  4. 20%
(정답률: 47%)
  • 대비(%)는 (종이의 반사도 - 글자의 반사도) / 글자의 반사도 x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50% - 10%) / 10% x 100 = 400% 이다. 하지만 대비는 종이와 글자 간의 명암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종이의 반사도가 높아질수록 대비는 낮아진다. 따라서 400%를 100%로 나누어 준 후, 100%에서 빼주면 된다. 100% - 400% / 100% = -3 이므로, 대비는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최대작업영역으로 옳은 것은?

  1. 위팔과 아래팔을 곧게 펴서 닿을 수 있는 영역
  2. 정상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머리는 고정하고, 눈으로 확인 가능한 최대영역
  3. 두 발은 고정 상태에서 상체를 이용하여 손 끝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영역
  4. 위팔은 자연스럽게 수직으로 늘어뜨린 채 아래팔만으로 편안하게 뻗어 닿을 수 있는 영역
(정답률: 46%)
  • "위팔과 아래팔을 곧게 펴서 닿을 수 있는 영역"이 최대작업영역으로 옳은 것은, 이유는 손의 움직임이 가장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머리나 눈, 상체, 발을 이용하여 최대작업영역을 정의하고 있지만, 손은 일반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손의 움직임이 가장 자유로운 "위팔과 아래팔을 곧게 펴서 닿을 수 있는 영역"이 최대작업영역으로 정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망막의 간상세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채도를 식별하는 작용을 한다.
  2. 명암을 식별하는 작용을 한다.
  3. 색을 식별하는 작용을 한다.
  4. 신체의 평형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명암을 식별하는 작용을 한다." 이다. 망막의 간상세포는 빛의 강도와 방향에 따라 신경 신호를 생성하여 명암을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신호검출이론(SD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쉽게 식별할 수 없는 두 독립상태 상황에 적용된다.
  2. 신호가 약하거나 노이즈가 많을수록 감도는 커진다.
  3. 신호와 노이즈는 모두 F-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4. 신호검출을 간섭하는 노이즈(noise)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42%)
  • "쉽게 식별할 수 없는 두 독립상태 상황에 적용된다."는 SDT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이다. SDT는 두 개의 상태(예: 신호가 존재하는 상태와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구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이론이다. 이 때, 두 상태가 서로 쉽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 SDT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의료진이 환자의 X-ray 사진을 판독할 때, 종양이 있는 상태와 없는 상태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 SDT를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영상표시단말기(Visual Disolay Terminal)를 취급하는 작업장에서 단말기의 바탕 색상이 검정색 계통인 경우 주변 환경의 조도(Lux)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0 ~ 300
  2. 300 ~ 500
  3. 500 ~ 700
  4. 700 ~ 1000
(정답률: 68%)
  • 영상표시단말기의 바탕 색상이 검정색 계통인 경우, 주변 환경의 조도가 너무 낮으면 단말기의 화면이 어두워져서 보기 어렵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반사광이 발생하여 화면이 반짝거리고 눈이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주변 환경의 조도는 300 ~ 500 Lux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에서는 단말기의 화면이 명확하게 보이면서도 반사광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생체리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육체적 리듬(Physical rhythm)은 33일의 반복주기를 갖는다.
  2. 지성적 리듬(Inellectual rhythm)은 주의력, 창조력, 예감 및 통찰력 등을 좌우한다.
  3. 감성적 리듬(Sensitivity rhythm)은 23일의 반복주기를 갖는다.
  4. 위험일은 각각의 리듬이 (-)에서 (+)로, 또는 (+)에서 (-)로 변화하는 점을 말한다.
(정답률: 65%)
  • 생체리듬은 우리 몸이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생리적인 현상을 말하며, 이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변화한다. 이 중에서 위험일은 각각의 리듬이 (+)에서 (-)로, 또는 (-)에서 (+)로 변화하는 점을 말한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몸의 상태가 불안정해지고,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을 통하여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시지각의 경험이론은?

  1. 폐쇄성
  2. 유사성
  3. 연속성
  4. 접근성
(정답률: 34%)
  • 이 그림은 연속성의 경험 이론을 잘 보여줍니다. 연속성은 물체나 현상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경험을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물결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연속성의 경험 이론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음의 가청주파수 범위에서 최저 주파수(Hz)로 옳은 것은?

  1. 0
  2. 5
  3. 20
  4. 40
(정답률: 68%)
  • 음의 가청주파수 범위는 20Hz에서 시작하며, 이유는 인간의 청각은 보통 20Hz에서부터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0Hz가 음의 가청주파수 범위에서 최저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지구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생성면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2. 외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힘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3. 근육을 사용하여 특정한 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나타낸다.
  4. 신체의 부위를 실제로 움직이는 상태에서 나타낼 수 있는 힘이다.
(정답률: 65%)
  • 지구력은 근육을 사용하여 특정한 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나타낸다. 이는 근육의 지속적인 활동에 대한 능력을 나타내며, 운동 성능과 체력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호흡기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흡기계는 비강, 인두, 후두, 식도, 입 등 공기가 접촉되는 기관들을 모두 포함한다.
  2. 호흡기계는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일을 수행한다.
  3. 폐포는 허파 안에서 기체가 교환될 수 있도록 넓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4. 허파에서 공기와 혈액 사이에서 일어나는 기체교환을 외호흡이라 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호흡기계는 비강, 인두, 후두, 식도, 입 등 공기가 접촉되는 기관들을 모두 포함한다."가 아닌 "식도"이다. 호흡기계는 공기가 접촉되는 기관들을 포함하지만, 식도는 음식물이 지나가는 기관으로 호흡기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인간-기계 통합 체계에서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감지기능
  2. 상호보완기능
  3. 정보보관기능
  4.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기능
(정답률: 47%)
  • 상호보완기능은 인간과 기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인간과 기계가 서로 보완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기능들과는 달리 인간과 기계가 함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감지기능은 센서를 통해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보관기능은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기능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소음원에 대한 소음의 제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해당 설비의 진동량이나 진동 부분을 조정하여 감소시킨다.
  2. 고주파 소음을 내는 장치를 사용한다.
  3. 저주파 소음은 고주파의 소음보다 방향성이 크므로 차폐물 또는 방해물을 설치한다.
  4. 대형 저속송풍기보다 소형고속 송풍기를 설치한다.
(정답률: 64%)
  • 해당 설비의 진동량이나 진동 부분을 조정하여 감소시킨다. - 소음의 원인 중 하나는 설비의 진동이므로, 진동량이나 진동 부분을 조정하여 감소시키면 소음도 함께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양립성(compatibility)의 종류는?

  1. 개념 양립성
  2. 운동 양립성
  3. 공간 양립성
  4. 지각 양립성
(정답률: 43%)
  • 이 그림은 개념 양립성에 해당한다. 개념 양립성은 서로 다른 개념들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 그림에서는 물과 기름이 함께 존재하고 있지만, 물과 기름은 서로 다른 물질이기 때문에 개념 양립성이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인간공학”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어코노믹스(Ergonomics)의 어원에에 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체의 법칙을 의미한다.
  2. 작업의 경제적 설계를 의미한다.
  3. 인간을 중심으로 작업을 관리함을 의미한다.
  4. 인간과 작업호나경사이의 생리 및 심리현상에 관하여 연구한다.
(정답률: 46%)
  • "인체의 법칙을 의미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Ergonomics는 인간과 작업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체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환경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인체의 법칙"이라는 용어는 Ergonomics의 어원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조도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nit
  2. lambert(L)
  3. lumen/m2
  4. cd/m2
(정답률: 54%)
  • 조도는 단위 면적당 빛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lumen/m2가 옳은 단위이다. Nit은 단위 면적당 발광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lambert는 단위 면적당 광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cd/m2는 단위 면적당 광도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조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단회정(單回專)용으로 형상 암호화된 조종장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45%)
  • 정답은 ""입니다. 이는 형상 암호화된 조종장치 중에서 단회정(한 번만 사용 가능한) 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입니다. 이유는 형상 암호화된 조종장치는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단회정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후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후각의 민감도는 특정 물질과 그 냄새를 맡는 사람들에게 일정한 경향을 나타낸다.
  2. 후각은 많은 자극 중 하나를 식별하는데 보다 냄새의 존재를 탐지하는데 효과적이다.
  3. 강도차만 있는 냄새의 경우 15~20 수준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4. 특정한 냄새를 절대적으로 식별하는 데에는 뛰어나다.
(정답률: 64%)
  • 정답은 "후각은 많은 자극 중 하나를 식별하는데 보다 냄새의 존재를 탐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다. 후각은 냄새를 감지하는 감각으로, 다른 자극들과 함께 냄새를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후각은 냄새의 존재를 탐지하는데 매우 민감하며, 특정한 냄새를 식별하는 데에도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계기판의 지침(指針)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침의 선단(先端)은 가장 가는 눈금선과 폭이 달라야 한다.
  2. 지침의 끝과 눈금 사이는 가급적 간격이 떨어져야 한다.
  3. 지침의 끝은 되도록 둥글게 한다.
  4. 지침은 눈금면과 가능한 한 밀착시킨다.
(정답률: 67%)
  • 지침은 눈금면과 가능한 한 밀착시키는 것이 옳은 설계 방법이다. 이는 계기판을 사용하는 사람이 눈금과 지침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침의 선단이 가장 가는 눈금선과 폭이 달라야 하는 이유나 끝과 눈금 사이 간격이 떨어져야 하는 이유는 설명되지 않았으며, 지침의 끝을 둥글게 하는 것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계기반에 각종 표시장치를 배치하는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용 빈도의 원칙
  2. 중요성의 원칙
  3. 사용 순서의 원칙
  4. 동일형상 배치의 원칙
(정답률: 67%)
  • 동일형상 배치의 원칙은 각종 표시장치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하여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쉽게 하는 원칙이다. 하지만 다른 원칙들은 사용 빈도, 중요성, 사용 순서 등을 고려하여 표시장치를 배치하는 것이므로, 동일형상 배치의 원칙과는 다른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인체의 생리적 부담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심박수
  2. 뇌전도
  3. 근전도
  4. 산소소비량
(정답률: 57%)
  • 뇌전도는 인체의 생리적 부담 척도가 아닙니다. 뇌전도는 뇌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인체의 뇌 활동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뇌전도는 인체의 생리적 부담 척도가 아니며, 나머지 보기인 심박수, 근전도, 산소소비량은 인체의 생리적 부담 척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강재의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항복비란 항복점과 무엇에 대한 비율을 의미하는가?

  1. 비례한계점
  2. 탄성한계점
  3. 피로강도점
  4. 인장강도점
(정답률: 49%)
  • 항복비는 항복점에서의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례한계점"이 아니라 "인장강도점"입니다. 항복점은 재료가 탄성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지점으로, 이후에는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장강도점은 재료가 최대 응력을 견디는 지점으로, 이후에는 재료가 파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복비는 인장강도점에서의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을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중량이 다음과 같을 경우 표면 수율은?

  1. 2%
  2. 3%
  3. 10%
  4. 15%
(정답률: 50%)
  • 골재의 함수상태가 1.0 이하인 경우 중량이 감소하므로 표면 수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함수상태가 0.8인 경우보다 함수상태가 0.6인 경우에 더 많은 양의 골재가 생산될 것입니다. 따라서 표면 수율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피치와 비교한 아스팔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열하면 피치보다 빨리 부드러워진다.
  2. 냄새는 있느나 피치만큼 강하지 않다.
  3. 피치에 비해 내구성이 있다.
  4. 상온에서 약간 유동성이 있다.
(정답률: 24%)
  • "가열하면 피치보다 빨리 부드러워진다."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아스팔트는 피치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가열하면 피치보다 더 느리게 부드러워집니다. 이는 아스팔트가 피치보다 더 많은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는 고온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냄새는 있지만 피치보다 약한 것은 맞습니다. 아스팔트는 피치와 마찬가지로 유기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냄새가 나지만, 피치보다는 적은 양의 유기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구성은 피치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아스팔트는 고온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 포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상온에서 약간 유동성이 있는 것은 맞습니다. 아스팔트는 상온에서도 약간의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도로 포장재로 사용될 때 차량의 진동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화산석으로 된 진주암을 1000℃ 정도로 가열ㆍ팽창시킨 분쇄된 경량골재는?

  1. 테라죠
  2. 펄라이트
  3. 석면
  4. 암면
(정답률: 60%)
  • 화산석으로 된 진주암을 가열하면 내부의 물분자가 기화되어 팽창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만든 경량골재가 펄라이트이다. 펄라이트는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며, 단열성과 방음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재료나 산업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알칼리 황화물과 폴리할로겐의 탄화수소 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 물질로 내유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줄눈재 또는 구멍 메꿈재로 사용되는 것은?

  1. 치오콜
  2. 네오프렌
  3. 실리콘수지
  4. 카세인
(정답률: 44%)
  • 치오콜은 알칼리 황화물과 폴리할로겐의 탄화수소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고분자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내유성과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줄눈재 또는 구멍 메꿈재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치오콜"이 정답입니다. 네오프렌, 실리콘수지, 카세인은 모두 다른 고분자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목재바탕의 무늬를 살리기 위해 사용되는 도료는?

  1. 클리어래커
  2. 에마멜페인트
  3. 수성페인트
  4. 유성페인트
(정답률: 77%)
  • 목재바탕의 무늬를 살리기 위해서는 투명한 도료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클리어래커이다. 에마멜페인트, 수성페인트, 유성페인트는 모두 불투명한 도료이기 때문에 목재바탕의 무늬를 감추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수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이 가장 낮은 시멘트는?

  1.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 조강포틀랜드시멘트
  3.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4. 백색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62%)
  •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와 달리 알루미나 함량이 높아서 수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이 낮습니다. 따라서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다른 시멘트에 비해 수화열이 낮아서 환경 친화적인 시멘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인서트(insert)의 재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철
  2. 알루미늄
  3. 목재
  4. 구리
(정답률: 64%)
  • 주철은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서 인서트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대량 생산에도 용이합니다. 알루미늄은 경량성이 좋지만 강도가 낮아서 인서트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목재는 내구성이 낮아서 인서트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구리는 내식성이 좋지만 가격이 비싸서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최근 개발되고 있는 새로운 건축용 금속재료 중, 초고층 인텔리젼트 빌딩이나, 핵융합로 등과 같이 강력한 자기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철골 구조물의 강재나,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초고장력강
  2. 비정질(Amorphous)금속
  3. 구조용 비자성강
  4. 고크롬강
(정답률: 48%)
  • 구조용 비자성강은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강력한 자기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건축물이나 핵융합로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초고장력강은 강도가 높지만 자기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비정질 금속은 구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고크롬강은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자기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목재의 주요 방부처리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훈연법
  2. 첨지법
  3. 도포법
  4. 생리적 주입법
(정답률: 42%)
  • 훈연법은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처리법이 아니라, 목재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공 방법 중 하나입니다. 훈연법은 목재를 연기 속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목재 내부에 연기 성분을 침투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요 방부처리방법의 종류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세라믹재료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열성, 화학저항성이 우수하다.
  2. 내후성이 나쁘며, 취성이다.
  3. 단단하고, 압축강도가 높다.
  4. 전기절연성이 있다.
(정답률: 63%)
  • "내후성이 나쁘며, 취성이다."는 세라믹재료의 특성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세라믹재료가 일반적으로 내후성이 우수하고 취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점토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이다.
  2. 양질의 점토는 습윤 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낸다.
  3. 함수율은 모래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30~100%, 모래가 포함된 것은 10~40%의 범위이다.
  4.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6의 범위이나 Al2O3가 많은 점토는 2.0이하이다.
(정답률: 27%)
  •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6의 범위이나 Al2O3가 많은 점토는 2.0이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6의 범위이며, Al2O3가 많은 점토는 비중이 더 높아질 수 있다. Al2O3가 많은 점토는 비중이 높아지므로, 오히려 2.6 이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에폭시수지 도료에 있어서 저항성과 적응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알칼리에 침식되지 않으나 산에는 비교적 약하다.
  2. 도막이 충격에 비교적 강하고 내마모성도 좋다.
  3. 습기에 대한 변질의 염려가 적다.
  4. 용제와 혼합성이 좋다.
(정답률: 59%)
  • "알칼리에 침식되지 않으나 산에는 비교적 약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실 에폭시수지 도료는 산에 대해서도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에폭시수지 도료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산성 환경에서도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칼리에 침식되지 않으며 산에도 강한 저항성을 가진다."라는 설명이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철금속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동은 내알칼리성이 약하므로 콘크리트와 접하는 곳에서는 부식속도가 빠르다.
  2. 주석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있어 장식철물, 땜납으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3. 알루미늄은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내해수성이 우수하다.
  4. 납은 천연수, 경수에 용해되기 때문에 수도관으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정답률: 35%)
  • 동은 알칼리성이 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접하는 곳에서 부식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페이스트가 묽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2. 작용응력이 클수록 크리프는 크다.
  3. 재하재령이 느릴수록 크리프는 크다.
  4.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크리프는 크다.
(정답률: 57%)
  • "재하재령이 느릴수록 크리프는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재하재령이 느릴수록 크리프는 작아지기 때문이다. 크리프는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변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리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재하재령이 느리면 크리프가 작아지고, 빠르면 크리프가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일정량의 AE제를 사용한 경우에 연행되는 공기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2. 슬럼프값이 작을수록
  3. 시멘트의 분말도가 적을수록
  4. 단위골재량이 많을수록
(정답률: 34%)
  • 정답은 "슬럼프값이 작을수록"입니다.

    슬럼프값은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물성과 혼합재료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슬럼프값이 작을수록 콘크리트의 물성이 강해지므로, AE제를 사용해도 공기량이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슬럼프값이 작을수록 AE제를 사용해도 안정적인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낮아지고, 시멘트의 분말도가 적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높아집니다. 단위골재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공기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보강용 섬유소재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나일론 섬유
  2. 유리섬유
  3. 탄소섬유
  4. 아라미드 섬유
(정답률: 41%)
  • 나일론 섬유는 고온에 노출될 경우 녹아내리는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보강용 섬유소재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나일론 섬유"입니다. 반면,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는 고온에도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적합한 보강용 섬유소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연질이고 가단성이 크며 탄소량이 0.04%이하를 의미하는 철강의 종류는?

  1. 탄소강
  2. 주철
  3. 순철
  4. 경강
(정답률: 23%)
  • 순철은 연질이고 가단성이 크며 탄소량이 0.04% 이하인 철강의 종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탄소량이 높거나, 연질이 아니거나, 가단성이 낮은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합성수지, 아스팔트, 안료 등에 건성유나 용제를 첨가한 것으로, 건조가 빠르고 광택, 작업성, 점착성 등이 좋아 주로 옥내 목부바탕의 투명마감도료로 사용되는 것은?

  1. 바니쉬
  2. 래커 에나멜
  3. 에폭시수지 도료
  4. 광명단
(정답률: 59%)
  • 바니쉬는 건성유나 용제를 첨가하여 광택, 작업성, 점착성 등이 우수한 투명마감도료로, 옥내 목부바탕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재료 중 혼화제에 속하는 것은?

  1. 실리카흄
  2. 고로슬래그
  3. 플라이애쉬
  4. 방청제
(정답률: 43%)
  • 방청제는 콘크리트 혼화재료 중 하나로, 콘크리트의 경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강도를 높이고,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청제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그리스 건축에 영향을 끼친 기후 및 문화를 비롯한 주변환경요소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품질의 풍부한 대리석 생산
  2. 적은 강수량
  3. 맑고 쾌적한 기후
  4. 생활에서의 신의 숭배
(정답률: 46%)
  • 적은 강수량은 옳지 않은 내용이다. 그리스는 지중해성 기후로, 여름은 건조하고 더운 반면, 겨울은 비가 많이 내리는 습도가 높은 기후이다. 따라서 그리스 건축은 이러한 기후적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물 내부에는 시원하고 건조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바닥으로부터 높이 1m까지는 내수재료로 안벽마감을 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치과의원의 치료실
  2.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휴게음식점의 조리장
  3.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의 욕실
  4.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일반음식점의 조리장
(정답률: 78%)
  •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치과의원의 치료실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1m까지 안벽마감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치료실 내부에서 치과의사가 치료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환자가 출입하지 않기 때문에 안벽마감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기둥에 안정감을 주기 위해 착시효과를 이용한 것은?

  1. 볼트(Vault)
  2. 엔타시스(Entasis)
  3. 버트레스(Buttress)
  4. 니치(Niche)
(정답률: 69%)
  • 엔타시스는 기둥이나 기둥 모양의 구조물에서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안정감을 주기 위한 기법이다. 기둥의 중간 부분이 더 뚜렷하게 부풀어 나와 보다 안정적인 느낌을 주게 된다. 이는 기둥이 무거운 상부 구조물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건축물 지하층에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거실바닥면적합계의 최소기준은?

  1. 200m2 이상
  2. 500m2 이상
  3. 1000m2 이상
  4. 2000m2 이상
(정답률: 38%)
  • 건축물 지하층은 일반적으로 실내공기가 자연환기되기 어렵기 때문에 환기설비가 필요하다. 거실바닥면적합계가 클수록 사람들이 많이 모여 숨쉬는 공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거실바닥면적합계가 1000m2 이상일 때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구조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층수가 5층인 건축물
  2. 높이가 12m인 건축물
  3.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15m인 건축물
  4. 처마높이가 10m인 건축물
(정답률: 47%)
  • 높이가 12m인 건축물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구조안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건축물이다. 이는 국토해양부령 제9조에 따라 "높이가 12m 이하이고 건축면적이 50㎡ 이하인 건축물"은 구조안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최소 피복두께는 얼마인가?

  1. 20mm
  2. 30mm
  3. 40mm
  4. 50mm
(정답률: 35%)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강화된 콘크리트로, 일반 콘크리트보다 더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흙이나 공기와 같은 외부 요인에 노출될 경우 부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보호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최소 피복두께는 30mm입니다. 이것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수명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건축 디자인적 배경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방 여행
  2. 입체파(cubism)
  3. 건축적 다색채(polychrome)
  4. 반(反)기계주의
(정답률: 58%)
  • 정답은 "동방 여행"입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기계적인 혁신과 기술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반면, 동방 여행은 전통과 철학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것으로 르 코르뷰지에의 철학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반(反)기계주의"는 르 코르뷰지에가 추구하는 기계적인 혁신과 기술적인 발전에 반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를 제외한 11층 이상 건축물
  2.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3. 옥내에 있는 수영장
  4. 노유자시설
(정답률: 76%)
  • 옥내에 있는 수영장은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한다. 이유는 수영장 내부에서는 물과 전기가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전기적인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불완전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언더컷(under cut)은 용접금속이 홈에 차지 않고 가장 자리가 남아 있는 것이다.
  2. 피트(pit)는 수소의 영향으로 용접부분 표면에 생기는 지름 2~3cm 정도의 은색 반점을 말한다.
  3. 블로우 홀(blow hole)은 용접부분안에 기포가 생기는 것이다.
  4. 스래그섞임(slag inclusion)은 용접한 부분의 용접금속 속에 슬래그가 섞여있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7%)
  • 피트(pit)는 수소의 영향으로 용접부분 표면에 생기는 지름 2~3cm 정도의 은색 반점을 말한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스페이스프레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페이스프레임은 크게 뼈대구조와 내력외피구조로 나눌 수 있다.
  2. 뼈대 망눈의 크기는 마무리재의 치수, 망눈의 미관, 단재의 좌굴길이 등에 의하여 선정된다.
  3. 재료는 품질ㆍ가공성 등의 이유로 강재가 많이 쓰이며 경량재인 알루미늄도 쓰인다.
  4. 일반적으로 망눈이 큰 것이 부재수 절점수가 많아져 비경제적이다.
(정답률: 57%)
  • 일반적으로 망눈이 큰 것이 부재수 절점수가 많아져 비경제적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망눈이 작을수록 부재수 절점수가 많아져 비경제적이다. 이는 망눈이 작을수록 부재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절점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목구조의 수평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가 아닌 것은?

  1. 깔도리
  2. 가새
  3. 버팀대
  4. 귀잡이
(정답률: 42%)
  • 목구조의 수평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는 "가새", "버팀대", "귀잡이"이다. "깔도리"는 바닥재 위에 깔아서 바닥을 보호하거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부재이기 때문에 목구조의 수평력을 보강하는 부재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비잔틴 건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펜덴티브 돔(pendentive dome)
  2. 부주도(dosseret)
  3.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
  4. 모자이크(mosaic)
(정답률: 66%)
  • 비잔틴 건축은 주로 돔 형태의 건축물이 많이 사용되며, 특히 펜덴티브 돔 기술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지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에 플라잉 버트레스는 고대 로마 건축에서 발전한 기술로, 외벽에 부착된 아치 형태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지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비잔틴 건축과는 거리가 먼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주도는 아치 형태의 지지대로, 비잔틴 건축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모자이크는 비잔틴 건축에서 많이 사용되는 장식 기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배연설비와 관련된 기준으로 정하고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환기창 설치에 따른 바닥면적 산정기준
  2. 배연창의 유효면적 산정기준
  3. 배연창의 수직 위치
  4. 배연창의 재료
(정답률: 56%)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배연창의 재료와 관련된 기준으로 정하고 있는 내용은 없습니다. 배연창의 재료는 건축물의 디자인, 기능,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건축법 및 건축규칙에서는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거실의 채광 및 환기에 관한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을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1/20이상이어야 한다.
  2. 환기를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1/20이상이어야 한다.
  3. 채광 및 환기를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을 정하는 경우 수시로 개방할 수 있는 미닫이로 구획된 2개의 거실은 이를 1개의 거실로 본다.
  4. 오피스텔에 거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2m이하 부분에 여닫을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0%)
  • "채광을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1/20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건축법 시행규칙 제27조에 따라 "채광을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1/15 이상이어야 한다."로 변경되었다. 이는 거실 내부에 충분한 채광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전층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수용인원이 100인 이상인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2.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중 숙박시설
  3. 연면적 1000m2 이상인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4. 연면적 600m2이상인 노유자시설
(정답률: 40%)
  • 연면적 1000m2 이상인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은 대규모인 만큼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크기 때문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 화재를 조기에 탐지하고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브뤼셀(Vrussels)의 반 에트벨데 하우스(Van Eetvelde House)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철물 유기 곡선
  2. 구조 합리주의
  3. 예술적 통일성(artistic unity)
  4. 아르누보 건축가 반 데 벨레(van de Velde)의 작품
(정답률: 43%)
  • 옳지 않은 것은 "아르누보 건축가 반 데 벨레(van de Velde)의 작품"이다. 반 에트벨데 하우스는 아르누보 건축가 빅토르 호르타(Victor Horta)의 작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건축관계법규에 따라 계단의 벽에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 벽으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 떨어져 설치해야 하는가?

  1. 3cm
  2. 5cm
  3. 8cm
  4. 10cm
(정답률: 60%)
  • 건축관계법규에서는 계단의 손잡이를 설치할 때 벽으로부터 최소 5cm 이상 떨어져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손잡이를 잡을 때 손이 벽에 닿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 정답은 "5c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조립식구조의 접합부(Joint)에 대한 요구성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화성
  2. 기밀성
  3. 방수성
  4. 구조 일체성
(정답률: 39%)
  • 조립식 구조의 접합부는 강도, 내화성, 기밀성, 방수성, 구조 일체성 등 다양한 요구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내화성"은 가장 거리가 먼 요구 성능입니다.

    내화성은 화재 발생 시 구조물이 불꽃과 열기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말합니다. 하지만 조립식 구조의 접합부는 일반적으로 강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내화성이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화성이 높은 다른 부재들과 함께 사용하여 화재 발생 시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동바리 마루에서 마루널 바로 밑에 오는 부재는 무엇인가?

  1. 동바리
  2. 멍에
  3. 장성
  4. 동아리돌
(정답률: 37%)
  • 동바리 마루에서 마루널 바로 밑에 오는 부재는 "장성"이다. 이는 "동바리"와 "동아리돌"은 마루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멍에"는 마루 아래에 위치하지만 "장성"은 마루널 바로 밑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 10회를 넘지 않도록 한다.
  2. 계단으로부터 2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3.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4. 회전문과 문틈사이는 5cm 이상 되어야 한다.
(정답률: 60%)
  •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 10회를 넘지 않도록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회전문이 너무 빠르게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회전문이 너무 빠르게 회전하면 출입하는 사람들이 다치거나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다음 중 자외선의 주된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살균작용
  2. 화학적 작용
  3. 생물의 생육작용
  4. 열과 빛의 제공
(정답률: 58%)
  • 자외선은 살균작용, 화학적 작용, 생물의 생육작용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열과 빛의 제공은 자외선의 주된 작용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자외선은 열과 빛을 발생시키지만, 이는 부수적인 작용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상대 습도를 높였을 때 나타나는 습공기의 상태변화로 옳은 것은? (단, 건구온도는 일정하다.)

  1. 노점온도가 낮아진다.
  2. 습구온도가 낮아진다.
  3. 절대습도가 작아진다.
  4. 엔탈피가 커진다.
(정답률: 59%)
  • 상대 습도를 높이면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이 증가하게 되어 절대습도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공기의 엔탈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수증기 분자들이 공기 분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탈피가 커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음의 대소에 대한 물리적 양을 표시하는 음의 세기의 단위는?

  1. dB
  2. phon
  3. W/m2
  4. N/m2
(정답률: 28%)
  • 음의 세기는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양이며, 이는 에너지의 양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음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에너지의 단위인 와트(W)를 사용한다. 또한, 음의 세기는 면적에 대한 에너지의 분포를 고려해야 하므로, 면적 당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W/m2가 음의 세기의 단위로 사용된다. dB는 음압의 대소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phon은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한 음압의 대소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N/m2는 음압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잔향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잔향시간은 일반적으로 실의 용적에 비례한다.
  2. 잔향시간이 짧을수록 음의 명료도가 저하된다.
  3. 음악을 위한 공간일수록 잔향시간이 짧아야 한다.
  4. 평균음에너지밀도가 6dB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정답률: 49%)
  • 잔향시간은 소리가 발생한 후에 사라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실의 용적에 비례한다. 이는 실 내부의 공기의 양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잔향시간이 짧을수록 음의 명료도가 저하되며, 음악을 위한 공간일수록 잔향시간이 짧아야 한다. 평균음에너지밀도가 6dB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재실인원 40명인 강의실에 요구되는 필요환기량은?

  1. 900m3/h
  2. 1000m3/h
  3. 1100m3/h
  4. 1200m3/h
(정답률: 54%)
  • 강의실의 재실인원이 40명이므로, 인원당 필요환기량은 30m3/h 이다. 따라서, 전체 강의실의 필요환기량은 40명 x 30m3/h = 1200m3/h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0m3/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다음 중 통기관의 설치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수계통내의 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한다.
  2. 증발현상에 의해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3. 사이폰 작용에 의해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4.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정답률: 42%)
  • 정답은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입니다. 이유는 통기관은 배수계통 내의 공기를 원활히 흐르게 하여 배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데, 반면에 배수관 계통의 환기는 배수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냄새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증발현상에 의해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트랩 설치의 목적이며, 사이폰 작용에 의해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사이폰 트랩의 설치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전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벽체의 열전달저항은 벽체에 닿는 풍속이 클수록 크다.
  2. 벽이 결로 등에 의해 습기를 포함하면 열관류저항이 커진다.
  3. 유리의 열관류저항은 그 양측 표면 열전달저항의 합의 2배값과 거의 같다.
  4.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유체(공기)에서 유체(공기)로 열이 전해지는 현상을 열관류라고 한다.
(정답률: 59%)
  •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유체(공기)에서 유체(공기)로 열이 전해지는 현상을 열관류라고 하는 이유는, 고체는 열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열이 쉽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해 공기에서 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열관류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균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균시차는 항상 일정하다.
  2. 진태양시와 평균태양시의 차를 말한다.
  3. 중앙표준시와 평균태양시의 차를 말한다.
  4. 진태양시의 1년간 평균값에서 중앙표준시를 뺀 값이다.
(정답률: 62%)
  • 균시차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일일 태양 시간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 때, 진태양시는 태양이 정오에 위치한 시간을 말하고, 평균태양시는 태양의 평균적인 일일 시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진태양시와 평균태양시의 차이가 균시차입니다. 따라서, "진태양시와 평균태양시의 차를 말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파장음 음속과 주파수를 곱한 값이다.
  2. 인간의 가청주파수의 범위는 20~20000Hz이다.
  3.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는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4. 음파가 한 매질에서 타 매질로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을 음의 굴절이라 한다.
(정답률: 45%)
  • "음의 파장음 음속과 주파수를 곱한 값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소리의 파장과 속도, 주파수와 관련된 개념으로, 음파의 속도는 매질에 따라 다르며, 주파수는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인간의 가청주파수의 범위는 20~20000Hz이다. 이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범위를 벗어나면 인간은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는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이는 한 소리가 다른 소리를 가리는 현상으로, 소리의 크기나 주파수 등이 서로 다른 경우에 발생한다.

    음파가 한 매질에서 타 매질로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을 음의 굴절이라 한다. 이는 소리가 매질을 통과할 때 속도가 달라지는 현상으로, 이에 따라 소리의 진폭이나 주파수 등이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단열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단열재의 열전도율은 밀도가 낮을수록 작다.
  2. 충전형 단열재 중 무기질 재료는 열에 강한 반면 흡수성이 크다.
  3. 반사형 단열재는 보갓의 형태로 열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층에 유효하다.
  4. 반사형 단열재는 반사하는 표면이 다른 재료와 접촉될 때 전도열이 발생하여 단열효과가 커진다.
(정답률: 43%)
  • "반사형 단열재는 반사하는 표면이 다른 재료와 접촉될 때 전도열이 발생하여 단열효과가 커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반사형 단열재는 표면이 반사하여 열을 반사하므로, 다른 재료와 접촉될 때 전도열이 발생하여 단열효과가 커진다. 이는 보갓의 형태로 열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층에 유효하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가로 9[m], 세로 9[m], 높이가 3.3[m]인 교실이 있다. 여기에 광속이 3200[lm]인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 조도 500[Lux]를 얻고자 할 때 필요한 램프의 개수는? (단, 보수율은 0.8, 조명률은 0.6이다.)

  1. 20개
  2. 27개
  3. 35개
  4. 42개
(정답률: 73%)
  • 먼저, 교실의 면적은 가로 9[m] × 세로 9[m] = 81[m²]이다.
    그리고, 광속 3200[lm]의 형광등 1개의 조명효율은 3200[lm] × 0.6 = 1920[lm]이다.
    따라서, 교실 전체를 밝히기 위한 조명량은 81[m²] × 500[Lux] = 40500[lm]이다.
    하지만, 보수율 0.8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필요한 조명량은 40500[lm] ÷ 0.8 = 50625[lm]이다.
    따라서, 필요한 램프의 개수는 50625[lm] ÷ 1920[lm] ≈ 26.3개인데,
    램프는 개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반올림하여 27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타임랙(time-la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 외피의 열용량이 클수록 타임랙은 길어진다.
  2. 실내기온의 변화가 외기온의 변화보다 늦어지는 현상이다.
  3. 건물 외피를 구성하는 재료의 밀도가 클수록 타임랙은 길어진다.
  4. 실내외 온도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온도차가 클수록 타임랙은 길어진다.
(정답률: 57%)
  • 옳지 않은 설명은 "실내외 온도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온도차가 클수록 타임랙은 길어진다." 이다. 타임랙은 건물 외피의 열전달 지연 시간을 의미하며, 실내기온의 변화가 외기온의 변화보다 늦어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온도차가 클수록 타임랙이 길어지는 것은 맞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흡음재료 및 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다공성 흡음재는 특히 중ㆍ고음역에서 흡음성이 좋다.
  2. 판상 흡음재는 막 진동하기 쉬운 얇은 것일수록 흡음률이 크다.
  3. 판상 흡음재는 재료의 부착방법과 배후조건에 의해 특성이 달라진다.
  4. 판상 흡음재는 판이 두껍거나 배후공기층이 클수록 공명주파수의 범위가 고음역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41%)
  • 정답은 "판상 흡음재는 막 진동하기 쉬운 얇은 것일수록 흡음률이 크다."이다. 이유는 판상 흡음재는 진동을 흡수하여 소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얇은 것일수록 진동이 쉽게 일어나므로 흡음률이 작아진다.

    판상 흡음재는 판이 두껍거나 배후공기층이 클수록 공명주파수의 범위가 고음역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판이 두꺼울수록 진동이 일어나는 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음역에서의 흡음성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소음의 종류는?

  1. 간헐소음
  2. 변동소음
  3. 정상소음
  4. 충격소음
(정답률: 76%)
  • 정상소음은 기계나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으로,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며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소리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는 소리가 정상소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국소식 급탕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급탕개소마다 가열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2. 급탕개소가 적은 비교적 소규모의 건물에 채용된다.
  3. 급탕배관의 길이가 길어 배관으로부터의 열손실이 크다.
  4. 용도에 따라 필요한 개소에서 필요한 온도의 탕을 비교적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8%)
  • "용도에 따라 필요한 개소에서 필요한 온도의 탕을 비교적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지만, "급탕배관의 길이가 길어 배관으로부터의 열손실이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급탕방식에서는 물을 빠르게 가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급탕배관의 길이가 짧을수록 열손실이 적어지고 더 효율적인 방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공기조화방식 중 팬코일 유닛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팬코일 유닛 내에 있는 팬으로부터의 소음이 있다.
  2. 전공기 방식이므로 수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없다.
  3. 유닛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를 줄일 수 있다.
  4. 각 실의 유닛은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고, 개별 제어가 쉽다.
(정답률: 59%)
  • 전공기 방식이므로 수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팬코일 유닛은 냉난방기와 연결되는 냉매관과 물관이 필요하며, 이들 관로 인해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유지보수와 점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복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체에서 복사되는 열량은 그 표면의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2. 복사열은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그 주위에 있는 공기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의 연마면은 복사율이 매우 크므로 단열판으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4. 물질의 표면에 복사열 에너지가 닿으면 그 일부는 물질 내부에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는 투과된다.
(정답률: 49%)
  •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의 연마면은 복사율이 매우 크므로 단열판으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설명은 옳지 않다.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은 복사율이 높기 때문에 단열판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중력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기량은 개구부 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공가의 밀도차가 원동력이 된다.
  3. 개구부의 전후에 압력차가 있으면 고압축에서 저압축으로 공기가 흐른다.
  4. 어떤 경우에서도 중성대의 하부가 공기의 유입축, 상부가 공기의 유출측이 된다.
(정답률: 57%)
  • "어떤 경우에서도 중성대의 하부가 공기의 유입축, 상부가 공기의 유출측이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중성대가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중성대의 하부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부는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실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어 환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다음의 조명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① 직접조명, ② 국부조명
  2. ① 직접조명, ② 간접조명
  3. ① 전반조명, ② 국부조명
  4. ① 상시조명, ② 간접조명
(정답률: 67%)
  • 이 조명은 천장에서 전체적으로 비추는 조명과 책상 위나 작업 공간 등 일부분만 비추는 조명으로 나뉘는데, 전체적으로 비추는 조명을 전반조명, 일부분만 비추는 조명을 국부조명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이 조명은 ① 전반조명, ② 국부조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다음 중 자연환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물구조가 아닌 것은?

  1. 윈드스쿠프(Windscoop)
  2. 판테온(Pantheon)
  3. 한옥의 대칭
  4. 이글루(Igloo)
(정답률: 68%)
  • 이글루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구조물로, 자연환기를 용이하게 하는 건물구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