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보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07)

설비보전기사(구)
(2021-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설비 진단 및 계측

1. 유량측정에서 사용되는 이론으로 “압력에너지 + 운동에너지 + 위치에너지 = 일정” 하다는 이론은?

  1. 레이놀즈 정리
  2. 베르누이 정리
  3. 플레밍의 법칙
  4. 나이키스트 안정 판별법
(정답률: 74%)
  • 베르누이 정리는 유체의 압력, 속도, 고도가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유체의 압력에너지, 운동에너지, 위치에너지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서 압력이 낮아지면 속도가 증가하고, 위치에너지가 감소하게 되는 것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유량측정에서는 이 이론을 이용하여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측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압전형 가속도 센서에서 전하량을 증폭하는 장치는?

  1. 전류증폭기
  2. 전력증폭기
  3. 전압증폭기
  4. 전하증폭기
(정답률: 79%)
  • 압전형 가속도 센서에서 생성되는 전하량은 매우 작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하량을 증폭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전하증폭기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전류증폭기, 전력증폭기, 전압증폭기는 모두 전하량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음방지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음재를 사용하며, 재료의 흡음률은 흡수된 에너지와 입사에너지와의 비로 나타낸다.
  2. 기계주위에 차음벽을 설치하며, 투과율은 흡수에너지와 투과된 에너지의 비로 나타낸다.
  3. 차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차음벽의 무게와 주파수를 2배 증가시키면 투과손실은 오히려 감소한다.
  4. 차음벽의 무게나 내부 감쇠에 의한 차음효과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정답률: 57%)
  • 흡음재를 사용하며, 재료의 흡음률은 흡수된 에너지와 입사에너지와의 비로 나타낸다. 이는 흡음재가 소리를 흡수하여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에너지와 입사된 에너지의 비율로 흡음률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진동의 에너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1. 실효값
  2. 양진폭
  3. 평균값
  4. 편진폭
(정답률: 81%)
  • 진동의 에너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는 실효값이 가장 적합합니다. 실효값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평균적인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진동의 전체적인 에너지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양진폭은 진동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진동의 전체적인 에너지를 나타내기에는 부적합합니다. 평균값은 진동의 전체적인 에너지를 나타내기에는 부적합하며, 편진폭은 진동의 진폭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진동의 전체적인 에너지를 나타내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음원으로부터 단위시간 당 방출되는 총 음에너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음원
  2. 음향 출력
  3. 음압 실효값
  4. 음의 전파속도
(정답률: 74%)
  • 음원은 음악, 대화, 소리 효과 등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원천이며, 이 소리는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통해 외부로 방출됩니다. 이때, 단위시간 당 방출되는 총 음에너지를 음향 출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향 출력"입니다. 음압 실효값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음의 전파속도는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교류신호에서 반복파형의 한 주기 사이에서 어느 순간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은?

  1. 위상
  2. 주기
  3. 진폭
  4. 주파수
(정답률: 76%)
  • 위상은 교류신호에서 반복파형의 한 주기 사이에서 어느 순간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주기, 진폭, 주파수와는 다른 개념으로, 파동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교류신호가 같은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의 위상이 다르면 서로 다른 파동으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회전수가 100rpm 이상의 기어에 진동을 이용하여 진단을 할 경우 진단 대상이 아닌 것은?

  1. 윔기어
  2. 스퍼기어
  3. 헬리컬기어
  4. 직선베벨기어
(정답률: 60%)
  • 윔기어는 회전축이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진동을 이용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진단 대상이 아닙니다.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직선베벨기어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진동을 이용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전용량식 센서에서 마주보는 두 전극사이의 정전용량(C)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A는 전극면적, d는 전극사이의 거리, ε은 유전율이다.)

  1. C = εd/A
  2. C = εA/d
  3. C = d/εA
  4. C = A/εd
(정답률: 62%)
  • 정전용량식 센서에서 마주보는 두 전극사이의 정전용량(C)은 전극 사이의 전기적인 에너지 저장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전극면적(A)과 전극사이의 거리(d)에 비례하며, 유전율(ε)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옳은 식은 "C = εA/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온도 변환기의 요구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입출력 간은 직류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할 것
  2. 외부의 노이즈(noise) 영향을 받지 않는 회로일 것
  3.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장거리 전송이 가능할 것
  4. 주위 온도 변화, 전원 변동 등이 출력에 영향을 주지 말 것
(정답률: 56%)
  •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장거리 전송이 가능할 것"은 온도 변환기의 요구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전송 거리가 멀거나 신호가 약할 경우에만 필요한 요구사항이기 때문입니다. 온도 변환기는 일반적으로 짧은 거리에서 작동하며, 입력 신호가 충분히 강력하기 때문에 입력 임피던스가 낮을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온도 변환기는 주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므로 디지털 신호처럼 장거리 전송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장거리 전송이 가능할 것"은 온도 변환기의 요구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회전기계에서 주파수 영역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현상이 틀린 것은?

  1. 저주파 – 기초 볼트 풀림이나 베어링 마모로 인해서 발생되는 풀림
  2. 저주파 – 회전자(rotor)의 축심 회전의 질량분포가 부적정하여 발생하는 진동
  3. 고주파 – 강제 급유되는 미끄럼 베어링을 갖는 회전자(rotor)에서 발생되는 오일 휩
  4. 고주파 – 유체기계에서 국부적 압력 저하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공동현상으로 인한 진동
(정답률: 65%)
  • 정답은 "저주파 – 기초 볼트 풀림이나 베어링 마모로 인해서 발생되는 풀림"입니다.

    고주파 – 강제 급유되는 미끄럼 베어링을 갖는 회전자(rotor)에서 발생되는 오일 휩은 회전자 내부에서 오일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 현상입니다. 이는 회전자의 불균형이나 베어링의 마모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동은 회전자와 베어링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운드레벨미터의 전기음향 성능을 규정하는 기준 상대 습도는?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59%)
  • 사운드레벨미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이때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부품들은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사운드레벨미터의 전기음향 성능을 규정하는 기준에서는 상대 습도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운드레벨미터는 50%의 습도에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면적이 3cm2이고 길이가 10m인 동선의 전기저항은? (단, 구리의 고유저항은 1.72×10-8[Ωm]이다.)

  1. 2.86×10-3[Ω]
  2. 2.86×10-4[Ω]
  3. 5.73×10-3[Ω]
  4. 5.73×10-4[Ω]
(정답률: 47%)
  • 전기저항은 전기저항의 공식인 R = ρL/A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ρ는 구리의 고유저항, L은 길이, A는 단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R = (1.72×10-8[Ωm] × 10m) / 3cm2 = 5.73×10-4[Ω]

    따라서 정답은 "5.73×10-4[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설비 진단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비의 열호를 검출하는 기술이다.
  2. 설비의 생산량 증가 방법을 찾는 기술이다.
  3. 설비의 성능을 평가하고, 수명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4. 현재 설비 상태를 파악하고, 고장 원인을 찾는 기술이다.
(정답률: 73%)
  • 정답은 "설비의 생산량 증가 방법을 찾는 기술이다."이다. 설비 진단 기술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성능을 평가하며, 수명을 예측하고, 고장 원인을 찾는 기술이다. 따라서 설비의 생산량 증가 방법을 찾는 것은 설비 개선 기술이며, 설비 진단 기술과는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설명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측정 하고자 하는 진동 데이터에 1000Hz의 높은 주파수 성분이 있을 때 에일리어싱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샘플링 시간은?

  1. 0.1ms
  2. 0.5ms
  3. 1.0ms
  4. 2.0ms
(정답률: 56%)
  • 에일리어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가 신호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1000Hz의 주파수 성분을 측정하려면 최소 2000Hz의 샘플링 주파수가 필요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샘플링 시간을 계산하면 1/2000초, 즉 0.5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위 온도나 압력 등의 영향, 계기의 고정자세 등에 의한 오차에 해당하는 것은?

  1. 개인오차
  2. 과실오차
  3. 이론오차
  4. 환경오차
(정답률: 79%)
  • 환경오차는 측정하는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위 온도나 압력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크고 작은 두 소리를 동시에 들을 때 큰 소리만 듣고 작은 소리는 듣지 못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플러 효과
  2. 마스킹 효과
  3. 음의 반사효과
  4. 거리감쇠 효과
(정답률: 79%)
  • 마스킹 효과는 큰 소리와 작은 소리가 동시에 들릴 때, 큰 소리가 작은 소리를 가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에서 작은 소리가 큰 소리에 의해 마스킹되어 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화 중에 갑자기 큰 소리가 나면 작은 소리는 들리지 않는 것이 마스킹 효과의 예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은 파장이 작고, 장애물이 작을수록 회절이 잘된다.
  2. 방음벽 뒤에서도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은 음의 회절현상 때문이다.
  3. 음파가 한 매질에서 타 매질로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을 음의 굴절이라고 한다.
  4. 음파가 장애물에 입사되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흡수되고, 나머지는 장애물을 투과하게 된다.
(정답률: 60%)
  • "음은 파장이 작고, 장애물이 작을수록 회절이 잘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올바른 설명은 "음은 파장이 작을수록, 장애물이 클수록 회절이 잘된다." 입니다. 이유는 파장이 작을수록 음파의 진폭이 커지기 때문에 장애물을 더 쉽게 통과할 수 있고, 장애물이 클수록 음파가 더 많이 굴절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진동주파수 분석 시 앤티-에일리어성(anti-aliasing)에 사용되는 적합한 필터는?

  1. 시간 윈도
  2. 사이드 로브
  3. 하이패스 필터
  4. 저역 통과 필터
(정답률: 63%)
  • 앤티-에일리어싱 필터는 신호를 샘플링하기 전에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샘플링 과정에서 생기는 왜곡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저역 통과 필터는 주파수가 일정 값 이하인 신호를 통과시키고, 그 이상인 신호는 차단합니다. 따라서, 앤티-에일리어싱 필터에서는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 이하인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동 시퀀스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억 제어(memory control)
  2. 이벤트 제어(event control)
  3. 프로그램 제어(program control)
  4. 타임 스케줄 제어(time schedule control)
(정답률: 64%)
  • 이벤트 제어는 시간이나 프로그램의 흐름에 따라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작동하는 제어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분류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벤트 제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진동차단에 이용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고무
  2. 패드
  3. 스프링
  4. 콘크리트
(정답률: 78%)
  • 콘크리트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진동차단에 이용되는 재료가 아니다. 반면에 고무, 패드, 스프링은 진동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능력이 있어서 진동차단에 이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관리

21. 치공구 관리 기능 중 보전 단계에서 실시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공구의 검사
  2. 공구의 보관과 공급
  3. 공구의 제작 및 수리
  4. 공구의 설계 및 표준화
(정답률: 65%)
  • "공구의 설계 및 표준화"는 치공구 관리의 보전 단계에서 실시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이유는 보전 단계에서는 이미 공구가 설계되어 있고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보전 단계에서는 공구의 검사, 보관과 공급, 제작 및 수리 등을 통해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를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설비 관리 기능 중 기술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설비 성능 분석
  2. 보전 업무를 위한 외주 관리
  3. 설비 진단 기술 이전 및 개발
  4. 보전기술 개발 및 매뉴얼 갱신
(정답률: 75%)
  • 보전 업무를 위한 외주 관리는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 관리와 비용 관리 등 경영적인 측면에 더 가깝기 때문에 기술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주보전의 전계단계 중 전달교육에 의해 설비의 이상적 모습과 설비의 기능구조를 알고 보전 기능을 몸에 익히는 단계는?

  1. 제4단계 총점검
  2. 제5단계 자주점검
  3. 제6단계 정리정돈
  4. 제7단계 철저한 자주관리
(정답률: 57%)
  • 제4단계 총점검은 전달교육을 통해 설비의 이상적 모습과 기능구조를 이해하고 보전 기능을 익힌 후, 설비의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자주점검, 정리정돈, 철저한 자주관리 등의 이전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간접비의 변화를 정확히 추적하기 위해 제품생산에 수행되는 활동들 또는 공정에 초점을 두고 원가를 추정하는 방법은?

  1. 총원가
  2. 기회원가
  3. 제조원가
  4. 활동기준원가
(정답률: 64%)
  • 활동기준원가는 제품생산에 수행되는 활동들 또는 공정에 초점을 두고 원가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접비의 변화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어 제품의 원가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동기준원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공사의 완급도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사의 명칭은?

  1. 계획 공사
  2. 긴급 공사
  3. 준급 공사
  4. 예비 공사
(정답률: 53%)
  • 이 그림은 공사의 완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완급도가 높을수록 긴급한 공사이며, 완급도가 낮을수록 예비 공사에 해당한다. 이 그림에서 완급도가 중간 정도인 공사를 준급 공사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현상파악을 위해 공정에서 취한 계량치 데이터가 여러 개 있을 때 데이터가 어떤 값을 중심으로 어떤 모습으로 산포하고 있는가를 조사하는데 사용하는 그림은?

  1. 관리도
  2. 산점도
  3. 파레토도
  4. 히스토그램
(정답률: 61%)
  •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게 나타내는 그래프로, 데이터의 빈도수를 막대 그래프로 표현하여 어떤 값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 데이터가 어떤 범위에 집중되어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상파악을 위해 공정에서 취한 계량치 데이터를 분석할 때 히스토그램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레스의 고장은 지수분포를 따른다. 평균가동시간은 MTBF, 평균수리시간은 MTTR인 경우에 유용도(Availability)를 계산하는 공식은?

(정답률: 59%)
  • 유용도(Availability)는 시스템이 가동 가능한 시간(즉, MTBF)을 전체 시간(가동 가능한 시간 + 수리 시간, 즉, MTBF + MTTR)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유용도(Availability)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한계 게이지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의 실제 치수를 읽을 수 없다.
  2. 다량 제품 측정에 적합하고 불량의 판정을 쉽게 할 수 있다.
  3. 측정 치수가 정해지고 한 개의 치수마다 한 개의 게이지가 필요하다.
  4. 면의 각종 모양 측정이나 공작 기계의 정도검사 등 사용 범위가 넓다.
(정답률: 48%)
  • 한계 게이지는 제품의 실제 치수를 읽을 수 없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치수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면의 각종 모양 측정이나 공작 기계의 정도검사 등과 같이 치수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며, 다량 제품 측정에 적합하고 불량의 판정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정 치수가 정해지고 한 개의 치수마다 한 개의 게이지가 필요하다는 특징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불량 로스의 대책이 아닌 것은?

  1. 요인계통을 재검토할 것
  2. 강제열화를 지속시킬 것
  3. 현상의 관찰을 충분히 할 것
  4. 원인을 한 가지로 정하지 말고, 생각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모든 대책을 세울 것
(정답률: 76%)
  • 강제열화를 지속시키는 것은 불량 로스의 원인을 해결하는 대책이 아니라, 오히려 불량 발생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른 대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도표는 설비보전 조직의 한 형태이다. 어떠한 보전 조직인가?

  1. 집중보전
  2. 부분보전
  3. 지역보전
  4. 절충보전
(정답률: 68%)
  • 위 도표는 지역보전 조직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지역보전은 특정 지역의 설비를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는 방식으로, 해당 지역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보전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위 도표에서는 지역별로 보전 담당자가 지정되어 있고, 해당 지역의 설비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재고관리에서 재고가 일정 수준(발주점)에 이르면 일정 발주량을 발주하는 방식은?

  1. 정량 발주방식
  2. 정기 발주방식
  3. 정수 발주방식
  4. 사용고 발주방식
(정답률: 56%)
  • 정량 발주방식은 재고가 일정 수준(발주점)에 이르면 미리 정해둔 일정 발주량을 발주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재고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재고 부족이나 과잉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주 주기나 발주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재고 관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설비를 목적에 따라 분류할 때 관리 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서비스스테이션, 서비스 숍
  2. 도로, 항만설비, 육상하역설비
  3. 본사의 건물, 지점, 영업소의 건물
  4. 발전설비, 수처리시설, 냉각탑 설비
(정답률: 54%)
  • 관리 설비는 회사의 경영 및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회사의 본사, 지점, 영업소의 건물은 회사의 중심지이며, 경영 및 운영에 필수적인 설비이기 때문에 관리 설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휴직오사 계획 시 필요 없는 대기를 없애고 공사의 진행 관리를 쉽도록 하기 위해 가장 경제적인 일정계획을 세울 때 사용하는 순수작업기법은?

  1. TPM
  2. PERT
  3. MTBT
  4. MTTR
(정답률: 62%)
  • PERT는 프로젝트의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법으로, 각 작업의 선후관계와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총 소요시간과 각 작업의 최소 소요시간, 최대 소요시간 등을 계산하여 일정을 관리합니다. 따라서 휴직오사 계획과 같이 복잡한 프로젝트의 일정을 관리하기에 적합한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설비 열화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열화 방지
  2. 열화 지연
  3. 열화 회복
  4. 열화 측정
(정답률: 66%)
  • 열화 측정은 설비 열화의 대책이 아니라 열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열화 방지는 설비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예방적으로 대처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열화 지연은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열화를 지연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윤활유 교체, 청소, 정기적인 점검 등이 필요합니다.

    열화 회복은 이미 열화가 발생한 설비를 복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수리, 교체, 보강 등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열화 지연이 설비 열화의 대책으로 가장 적절합니다. 열화를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지만, 지연시키는 것으로 설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의 5가지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자주적 대집단 활동으로 실시할 것
  2. 작업자의 기능수준 향상을 도모할 것
  3. 설비의 효율화를 저해하는 6대 로스를 추방할 것
  4. 설비에 강한 작업자를 육성하여 보전체계를 확립할 것
(정답률: 63%)
  • 정답: "자주적 대집단 활동으로 실시할 것"

    이유: TPM의 5가지 활동은 작업자의 기능수준 향상, 설비의 효율화를 저해하는 6대 로스를 추방, 설비에 강한 작업자를 육성하여 보전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자주적 대집단 활동으로 실시할 것"은 TPM의 개념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TPM의 5가지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컴퓨터나 로봇에 여러 전문직 기술을 부여하여 이들이 자동화 공장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스스로 찾안는 것으로 설비의 특정 고장을 스스로 인지하고 더 나아가 고칠 수 있는 시스템은?

  1. 지능 기술 시스템
  2. 유연 기술 시스템
  3. 컴퓨터 제어 시스템
  4. 유연 기술 셀 시스템
(정답률: 69%)
  • 지능 기술 시스템은 여러 전문직 기술을 부여하여 자동화 공장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설비의 특정 고장을 스스로 인지하고 고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유연 기술 시스템과 유연 기술 셀 시스템은 생산 라인의 유연성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둔 시스템이며, 컴퓨터 제어 시스템은 생산 라인의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고장해석을 위해 제시되는 방법의 결과가 목적달성에 최적인 대안 선정이 가능한 방법은?

  1. 상환분석법
  2. 의사결정법
  3. 요인분석법
  4. 행동개발법
(정답률: 51%)
  • 고장해석을 위해 제시되는 방법 중에서 가장 목적달성에 최적인 대안 선정이 가능한 방법은 "의사결정법"입니다. 이는 다양한 대안 중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해 각 대안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사용하면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고장해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만성고장을 규명하고 개선하기 위한 PM분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원인 추구방법은 과거의 경험으로 분석
  2. 현상 파악은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해석
  3. 요인발견 방법은 각개의 원인을 나열식으로 나열하여 발견
  4. 원인에 대한 대책은 원리 및 원칙을 수립하여 대책 강구
(정답률: 57%)
  • PM분석은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분석 방법이다. 이 때, PM분석의 특징으로는 "원인 추구방법은 과거의 경험으로 분석", "현상 파악은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해석", "요인발견 방법은 각개의 원인을 나열식으로 나열하여 발견", "원인에 대한 대책은 원리 및 원칙을 수립하여 대책 강구"가 있다. 이 중에서 "원인에 대한 대책은 원리 및 원칙을 수립하여 대책 강구"가 옳은 이유는, 단순히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뿐만 아니라,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할 때 원리와 원칙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대책을 강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도 일관성 있는 대처가 가능하며, 재발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품별 배치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의 흐름 판별이 용이하다.
  2. 공정이 단순화되고 직접 확인 관리를 할 수 있다.
  3. 건물에 설비배치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의 융통성이 많다.
  4. 공정이 확정되므로 검사 횟수가 적어도 되며 품질관리가 쉽다.
(정답률: 44%)
  • "건물에 설비배치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의 융통성이 많다."가 틀린 것이다. 제품별 배치는 공정의 특성에 따라 제품을 일정량씩 생산하고, 생산량이 끝나면 다음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건물에 설비배치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의 융통성이 많다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직렬배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설비보전의 직접기능 중 고장발생 후에 실시되는 제작, 분해, 조립 등을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사후수리
  2. 예방수리
  3. 일상보전
  4. 예방보전검사
(정답률: 75%)
  • 사후수리는 설비보전의 직접기능 중 고장발생 후에 실시되는 제작, 분해, 조립 등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이미 고장이 발생한 설비를 수리하여 정상 작동 상태로 복구하는 것으로, 예방보전과는 달리 고장 발생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사후"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고장 발생 후에 수행되는 작업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사후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일반 및 기계보전

41. 압축기의 설치 및 배관에서 배관의 일반적인 설치, 점검, 정비 및 사용상의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관내의 용접가스 및 녹 등의 이물을 완전히 소제하고 부착을 한다.
  2. 배관길이는 가능한 길게 되도록 부속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3. 압축기와 탱크간의 배관경은 제작회사 지정의 구경을 사용한다.
  4. 압축기의 분해, 조립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서 배관을 한다.
(정답률: 73%)
  • "배관길이는 가능한 길게 되도록 부속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는 일반적인 설치, 점검, 정비 및 사용상의 유의사항과는 거리가 먼 이유는, 이는 설치 시에 고려해야 할 설계적인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이기 때문이다. 즉, 설치 시에는 가능한 길게 배관을 설치하되, 실제 현장 상황과 부속기기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설치 후에도 유지보수 및 정비 시에도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금속침투법 중 철-알루미늄 합금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철강 표면에 알루미늄을 확산 침투시키는 것은?

  1. 칼로라이징
  2. 세라다이징
  3. 크로마이징
  4. 실리코나이징
(정답률: 59%)
  • 정답은 "칼로라이징"입니다. 칼로라이징은 철강 표면에 알루미늄을 침투시키는 과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철강을 고온에서 알루미늄 가스 분위기 속에 노출시켜 알루미늄을 철강 표면에 침투시키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과 철이 상호작용하여 철-알루미늄 합금층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밸브의 제작 및 사용상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산성 등 화학 약품을 취급하는 곳에서는 다이어프램 밸브를 사용한다.
  2. 글루브 밸브를 관에 부착할 때에 밸브 박스 외측에 정확한 흐름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다.
  3. 체크 밸브는 밸브체의 움직임에 따라 역류방지까지 약간의 시간적 늦음이 발생할 수 있다.
  4. 리프트 밸브의 시트와 밸브 박스 재질은 팽창 계수 차에 의해 밸브 시트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재질을 사용한다.
(정답률: 57%)
  • "리프트 밸브의 시트와 밸브 박스 재질은 팽창 계수 차에 의해 밸브 시트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재질을 사용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리프트 밸브의 시트와 밸브 박스 재질은 열팽창 계수 차에 의해 밸브 시트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재질을 사용한다." 이다. 즉,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재질을 사용하여 열팽창이 발생할 때도 밸브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리프트 밸브의 시트와 밸브 박스 재질은 주로 서로 유사한 재질로 제작됩니다. 이렇게 하면 밸브가 작동할 때 시트와 밸브 박스가 서로에게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밸브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시트와 밸브 박스 재질 간의 팽창 계수 차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장이 없고 보전이 필요하지 않은 설비를 제작하는 보전방식은?

  1. 예방보전
  2. 보전예방
  3. 생산보전
  4. 사후보전
(정답률: 54%)
  • 보전예방은 고장이 없고 보전이 필요하지 않은 설비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예방적인 접근으로 설비를 제작하므로 "보전예방"이라는 답이 된다. 다른 선택지인 "예방보전"은 단어의 순서가 바뀌었을 뿐이지만, 기본적으로는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정답은 "보전예방"이므로 이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생산보전"은 생산과 관련된 보전 방식을 의미하며, "사후보전"은 이미 고장이 발생한 후에 보전을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어 감속기를 분류할 때 교쇄 축형 감속기에 속하는 것은?

  1. 스퍼기어
  2. 헬리컬기어
  3. 하이포이드기어
  4. 스트레이트 베벨기어
(정답률: 51%)
  • 교쇄 축형 감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의 감속기를 말한다. 이 중에서 스트레이트 베벨기어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태의 감속기로, 기어의 형태가 직선적이고 단순하여 제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교쇄 축형 감속기 중에서 스트레이트 베벨기어는 그룹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관내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로 되어 소음과 진동이 생기고 양수불능의 원인이 되는 현상은?

  1. 서징
  2. 크래킹
  3. 수격작용
  4. 캐비테이션
(정답률: 68%)
  •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로 떨어지면 액체 내부에서 기체 포화상태가 깨어지면서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가 다시 압력이 높은 지점에서 붕괴되면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캐비테이션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수격현상의 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1. 관로의 지름을 작게 하여 관내유속을 증가시킨다.
  2. 플라이 휠 장치를 설치하여 회전 속도가 갑자기 감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3. 관로에서 펌프 급정지 후에 압력이 강하되는 장소에 서지탱크를 설치한다.
  4. 관로 중에서 수평에 가까워지는 배관은 수주 분리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펌프 부근에 관로 모양을 변경시킨다.
(정답률: 61%)
  • "관로의 지름을 작게 하여 관내유속을 증가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관로의 지름을 작게 하면 유속은 증가하지만, 그만큼 압력이 증가하므로 수격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수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로의 지름을 크게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인 기어의 도시에서 선의 사용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잇봉우리원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2. 이골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3.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4. 잇줄 방향은 통상 3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47%)
  • 이골원은 일반적으로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이유는 이골원은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기어와 연결되는 기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회전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회전 방향 화살표를 사용하거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문자를 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골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KS규격에서 게이지 블록의 교정 등급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K급
  2. 3급
  3. 2급
  4. 1급
(정답률: 51%)
  • KS규격에서 게이지 블록의 교정 등급은 블록의 정확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1급이 가장 정확하고, 3급이 가장 불확실한 교정 등급입니다. 거리는 교정 블록과 측정 도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거리가 멀수록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3급입니다.
  • K급, 0급, 1급, 2급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운동체와 정지체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운동체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는?

  1. 클러치
  2. 감속기
  3. 래칫 휠
  4. 브레이크
(정답률: 72%)
  • 운동체와 정지체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운동체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는 브레이크입니다. 이는 브레이크가 운동체와 정지체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운동체의 운동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때문입니다.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감속기는 회전 운동을 감속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래칫 휠은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장치로, 운동체의 후진 방지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와셔를 굽히거나 구멍을 만들어 그곳에 끼운 후 볼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는?

  1. 폴(pawl)와셔
  2. 고무(rubber)와셔
  3. 스프링(spring)와셔
  4. 중지팜(lock plate)와셔
(정답률: 65%)
  • 폴(pawl)와셔는 와셔의 한 종류로, 와셔를 굽히거나 구멍을 만들어 그곳에 끼운 후 볼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와셔는 이름 그대로 폴(pawl) 모양으로 생겼으며, 이 모양이 볼트나 너트가 풀리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폴와셔는 특히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적인 아크 용접 시 변형과 잔류 응력을 경감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접 시공에 의한 경감법으로는 대칭법, 후진법을 쓴다.
  2. 용접 전 변형 방지책으로 억제법, 역변형법을 쓴다.
  3. 용접 금속부의 변형과 잔류 응력을 경감하는 방법으로는 소성법을 쓴다.
  4. 모재의 열전돋를 억제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도열법을 쓴다.
(정답률: 45%)
  • 용접 금속부의 변형과 잔류 응력을 경감하는 방법으로는 소성법을 쓴다는 이유는, 소성법은 용접 후 금속을 냉각시켜 변형을 최소화하고, 용접 부위의 잔류 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대칭법과 후진법은 용접 시공에 의한 경감법으로, 억제법과 역변형법은 용접 전 변형 방지책으로, 도열법은 모재의 열전돋를 억제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 소성법: 산소의 공급을 억제하여 소지(素地)나 유약중의 광물에서 산소를 빼앗으므로 색을 변화를 붙이는 소성방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송풍기의 운전 중 점검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베어링의 온도
  2. 베어링의 진동
  3. 임펠러의 부식여부
  4. 윤활유의 적정여부
(정답률: 65%)
  • 송풍기의 운전 중 가장 거리가 먼 점검사항은 임펠러의 부식여부입니다. 이는 송풍기의 성능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임펠러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하면 성능이 저하되고 결국 송풍기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베어링의 온도와 진동, 윤활유의 적정여부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임펠러의 부식여부와 같이 송풍기의 성능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인 세정제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잔유물이 생기지 않을 것
  2. 독성이 많고 방청성이 없을 것
  3. 휘발성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있을 것
  4. 환경 공해 및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것
(정답률: 68%)
  • 일반적인 세정제는 잔유물이 생기지 않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이는 세정 후 잔여물이 남아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잔여물이 남으면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잔여물이 생기면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세정제는 잔유물이 생기지 않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축의 센터링 불량 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진동이 크다.
  2. 기계성능이 저하된다.
  3. 구동의 전달이 원활하다.
  4. 베어링부의 마모가 심하다.
(정답률: 72%)
  • 정답은 "구동의 전달이 원활하다." 이다. 축의 센터링 불량은 축과 베어링 사이의 정확한 정렬이 되지 않아 베어링에 부하가 고르게 전달되지 않고 진동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계성능이 저하되고 베어링부의 마모가 심해진다. 따라서 구동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어 손상에서 이 부분이 파손되는 주원인이 아닌 것은?

  1. 균열
  2. 마모
  3. 피로 파손
  4. 과부하 절손
(정답률: 62%)
  • 기어가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표면이 마모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이는 파손의 주요 원인은 아닙니다. 균열, 피로 파손, 과부하 절손 등은 기어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파손의 주요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금긋기 작업 시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금긋기 선은 깊게 여러 번 그어야 한다.
  2. 기준면과 기준선을 설정하고 금긋기 순서를 결정하여야 한다.
  3. 같은 치수의 금긋기 선은 전·후, 좌·우를 구분하지 말고 한 번에 긋는다.
  4. 금긋기가 끝나면 도면의 지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 후 다음 작업 공정에 들어간다.
(정답률: 70%)
  • "금긋기 선은 깊게 여러 번 그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금긋기 선은 얇게 여러 번 그어야 한다. 이는 금긋기 선이 깊으면 나중에 제작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밀링머신으로 절삭(가공)하기 곤란한 것은?

  1. 총형 절삭
  2. 곡면 절삭
  3. 널링 절삭
  4. 기 홈 절삭
(정답률: 54%)
  • 널링 절삭은 회전하는 작업물의 내부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밀링머신의 회전하는 칼날이 작업물 내부로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절삭하기 곤란합니다. 따라서 널링 절삭은 다른 가공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관 이음 중 분리가 가능한 이음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나사 이음
  2. 패킹 이음
  3. 용접 이음
  4. 고무 이음
(정답률: 69%)
  • 용접 이음은 분리가 불가능한 이음으로, 다른 이음들과 달리 부품을 분해할 때 용접을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다른 이음들과 달리 용접 이음은 부품 간의 연결이 매우 강력하며, 이음 부위가 가장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플랜지 커플링의 조립과 분해 시의 유의사항 중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조임 여유를 많이 둔다.
  2. 축과 축의 흔들림은 0.03mm 이내로 한다.
  3. 분해할 때 플랜지에 과도한 힘을 준다.
  4. 축과 플랜지 원주면에 대한 흔들림은 0.03mm 이내로 한다.
(정답률: 52%)
  • 플랜지 커플링은 축과 축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축과 플랜지 원주면에 대한 흔들림이 크면 정확한 회전이 어렵고, 이는 기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0.03mm 이내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축과 플랜지 원주면에 대한 흔들림은 0.03mm 이내로 한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윤활관리

61. 고압 고속의 베어링에 윤활유를 기름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공급하는 방법으로 고압으로 몇 개의 베어링을 하나의 계통으로 하여 기름을 순환시키는 급유방법은?

  1. 체인 급유법
  2. 버킷 급유법
  3. 중력 순환 급유법
  4. 강제 순환 급유법
(정답률: 72%)
  • 고압 고속의 베어링에는 충분한 윤활유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윤활유를 기름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공급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압으로 몇 개의 베어링을 하나의 계통으로 하여 기름을 순환시키는 것이 강제 순환 급유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강제 순환 급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리스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저장할 경우 또는 사용 중에 그리스를 구성하고 있는 기름이 분리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주도
  2. 이유도
  3. 적하점
  4. 황산회분
(정답률: 68%)
  • 정답은 "이유도"이다. 이유도는 그리스를 구성하는 기름이 분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그리스 내부의 물질들이 서로 분리되어 밀도가 다른 층으로 나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유도가 발생하면 그리스의 질감이 바뀌고 품질이 저하되므로 사용하기 전에 잘 섞어주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윤활유의 열화 판정법 중 간이측정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유의 성상을 조사한다.
  2. 리트머스 시험지로 산성 여부를 판단한다.
  3. 냄새를 맡아보아 불순물의 함유 여부를 판단한다.
  4. 시험관에 같은 양의 기름과 물을 넣고, 교반 후 분리시간으로 향유화성을 조사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사용유의 성상을 조사한다." 이다.

    윤활유의 열화 판정법 중 간이측정법은 일반적으로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방법으로, 리트머스 시험지로 산성 여부를 판단하거나 냄새를 맡아보아 불순물의 함유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하지만 "사용유의 성상을 조사한다."는 간이측정법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윤활유의 색상, 투명도, 무게 등을 측정하여 불순물의 함량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보다 복잡한 장비와 시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윤활유 공급방법 중 순환급유 방법은?

  1. 손 급유법
  2. 비말 급유법
  3. 적하 급유법
  4. 사이펀 급유법
(정답률: 52%)
  • 순환급유 방법은 윤활유를 용기에 담아두고, 펌프를 이용하여 기계 내부로 윤활유를 순환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중 비말 급유법은 윤활유를 가열하여 증기 상태로 만들어 기계 내부로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윤활유의 미립자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윤활유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윤활유의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기계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반적인 윤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밀봉작용
  2. 방청작용
  3. 절삭작용
  4. 마모방지작용
(정답률: 69%)
  • 일반적인 윤활의 기능은 마모방지, 밀봉, 방청 등이 있지만, 절삭작용은 윤활유가 절삭면과 마찰하여 열과 압력을 발생시켜 재료를 절단하는 작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절삭작용은 일반적인 윤활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일반적인 그리스 윤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밀봉 효과가 크다.
  2. 냉각 효과가 낮다.
  3. 이물질 혼합 시 제거가 곤란하다.
  4. 내수성이 약하고 적하 유출이 많다.
(정답률: 59%)
  • 일반적인 그리스 윤활의 특징은 밀봉 효과가 크고 냉각 효과가 낮으며, 이물질 혼합 시 제거가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수성이 약하고 적하 유출이 많다."는 일반적인 그리스 윤활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그리스의 종류나 제조 과정에 따라 다르며, 내수성이 약하고 적하 유출이 많은 그리스는 특정 용도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석유 제품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은?

  1. 비중
  2. 중화가
  3. 유동점
  4. 산화안정성
(정답률: 58%)
  • 석유 제품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은 "중화가"입니다. 이는 석유 제품이 중성인지,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중화가가 중요한 이유는 석유 제품의 사용 용도와 안전성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체윤활에서 기본적으로 중요하게 쓰이는 것이 레이놀즈(Reynolds)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에 대한 가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체 관성은 무시한다.
  2. 윤활유는 뉴턴 유체이다.
  3. 유막내의 유동은 층류이다.
  4. 점성은 유막 내에서 일정하지 않다.
(정답률: 50%)
  • "점성은 유막 내에서 일정하지 않다." 가 가장 거리가 먼 가정이다. 이는 실제로는 점성이 유막 내에서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체 내부에서 유동이 일어날 때, 점성력이 작용하여 유체의 내부 각 부분이 서로 마찰하게 된다. 이 때, 점성력은 유체의 속도와 온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레이놀즈 방정식에서는 이러한 점성력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유체 내부에서 점성력은 속도와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 가정은 근사적인 가정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윤활관리 효과 중 생산성 제고의 효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노동의 절감
  2. 윤활유 사용 소비량의 절약
  3. 기계의 효율향상 및 정밀도의 유지
  4. 수명 연장으로 기계설비 손실액의 절감
(정답률: 42%)
  • 윤활유 사용 소비량의 절약은 생산성을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효과 중 생산성 제고의 효과라고 볼 수 없습니다. 윤활유 사용 소비량의 절약은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지만,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동의 절감, 기계의 효율향상 및 정밀도의 유지, 수명 연장으로 기계설비 손실액의 절감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윤활유의 산화를 촉진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소
  2. 온도
  3. 금속 촉매
  4. 표면장력의 저하
(정답률: 56%)
  • 표면장력은 윤활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분자들 간의 인력으로, 이것이 높을수록 윤활유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장력이 저하되면 윤활유의 산화가 촉진됩니다. 다른 인자들인 산소, 온도, 금속 촉매는 모두 윤활유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표면장력의 저하는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적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는?

  1. 청정 분산제
  2. 산화 방지제
  3. 유동점 강화제
  4. 점도지수 향상제
(정답률: 67%)
  • 온도가 변화하면 일반적으로 액체의 점도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점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점도지수 향상제가 사용됩니다. 이 첨가제는 액체 내 분자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점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분자 간의 결합을 강화시켜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도 액체의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리스의 내열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 그리스를 가열했을 때 반고체 상태의 그리스가 액체 상태로 되어 떨어지는 최초의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적점
  2. 유동점
  3. 잔류탄소
  4. 동판부식
(정답률: 64%)
  • 적점은 그리스의 내열성을 평가하는 기준 중 하나로, 그리스를 가열했을 때 반고체 상태의 그리스가 액체 상태로 되어 떨어지는 최초의 온도를 말한다. 이는 그리스의 내열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따라서, 적점이 높을수록 그리스의 내열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점은 그리스의 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잔류탄소는 그리스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동판부식은 그리스가 사용되는 기계나 장비에서 발생하는 부식 현상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윤활유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내부변화에 의한 인자는?

  1. 유화
  2. 회석
  3. 산화
  4. 이물질 혼입
(정답률: 56%)
  • 윤활유 내부에서 발생하는 산화는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입니다. 산화란, 윤활유 내부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생기는 화학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산화 과정은 윤활유의 노후화를 가속화시키고, 윤활유의 능력을 감소시키며, 결국은 열화를 유발합니다. 따라서, 산화는 윤활유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유압 작동유가 오염되는 침임 경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체입자
  2. 유압필터
  3. 공기의 침입
  4. 작동유와 다른 종류의 액체
(정답률: 60%)
  • 유압 작동유가 오염되는 침임 경로는 "고체입자", "공기의 침입", "작동유와 다른 종류의 액체" 이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유압필터"이다. 유압필터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입되는 고체입자를 걸러내어 작동유를 깨끗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압필터가 적절히 유지보수되어 있다면, 작동유가 오염되는 침임 경로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윤활유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주기로 옳은 것은?

  1. 스팀터빈 : 매월
  2. 가스터빈 : 6개월
  3. 유압시스템 : 격월
  4. 공기압축기 구름베어링 : 15일
(정답률: 57%)
  • 윤활유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주기는 해당 장비의 운전 환경, 사용 빈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다.

    유압시스템은 작동 시 윤활유가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격월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스팀터빈은 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매월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가스터빈은 윤활유가 적게 사용되기 때문에 6개월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공기압축기 구름베어링은 윤활유가 적게 사용되지만 구름베어링이므로 마모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15일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미끄럼 베어링에 그리스 윤활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진동 하중을 받을 때에는 굳은 그리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2. 중하중의 경우에는 극압제를 첨가한 그리스를 사용한다.
  3. 급유방법에는 급유하기 편리한 주도의 그리스를 선택한다.
  4. 운전 온도에 적정한 점도의 윤활유를 기유로 하여 안정되는 중주제를 사용한 그리스를 선택한다.
(정답률: 52%)
  • "진동 하중을 받을 때에는 굳은 그리스를 사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진동 하중을 받을 때에도 굳은 그리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리스의 종류와 사용량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진동 하중이 큰 경우에는 극압제가 많이 첨가된 그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베어링 윤활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베어링의 수명 연장
  2.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입 방지
  3. 동력 손실을 줄이고 발열을 억제
  4. 유화에 따른 윤활면의 내압성 저하
(정답률: 66%)
  • 베어링 윤활의 목적은 유화에 따른 윤활면의 내압성 저하가 아니라 유체의 윤활성을 유지하여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하고,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며, 동력 손실을 줄이고 발열을 억제하는 것이다. 유화에 따른 윤활면의 내압성 저하는 오히려 윤활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윤활관리의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정량을 결정한다.
  2. 적합한 급유방법을 결정한다.
  3. 적정한 장소에 공급하여 준다.
  4. 기계가 필요로 하는 적정 윤활제를 선정한다.
(정답률: 58%)
  • 윤활관리의 원칙은 적정량, 적합한 급유방법, 적정한 장소에 공급하여 주는 것, 그리고 기계가 필요로 하는 적정 윤활제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적정한 장소에 공급하여 준다."는 윤활유를 기계에 공급할 때, 적절한 위치와 방법으로 공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윤활유가 기계 내부에서 올바르게 동작하고, 기계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중요한 원칙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윤활관리의 다른 중요한 원칙들을 나타내지만, "적정한 장소에 공급하여 준다."는 가장 거리가 먼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윤활제의 오염도를 분석하기 위한 오염 정도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중량법
  2. 연소법
  3. 계수법
  4. 오염 지수법
(정답률: 49%)
  • 연소법은 윤활제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윤활유를 연소시켜서 생성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여 윤활제의 성분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윤활제의 오염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윤활제의 화학적 성분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기어의 치면에 높은 응력이 반복 작용하여 국부적으로 피로현상을 일으켜 박리되어 작은 구멍을 발생하는 현상은?

  1. 피팅
  2. 리플링
  3. 정상마모
  4. 스코어링
(정답률: 62%)
  • 기어의 치면에 높은 응력이 반복 작용하여 국부적으로 피로현상을 일으켜 박리되어 작은 구멍을 발생하는 현상을 피팅이라고 합니다. 이는 기어의 치면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로, 기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

81. 일반적으로 압력계에서 표시하는 압력은?

  1. 압력 강하
  2. 절대 압력
  3. 차등 압력
  4. 게이지 압력
(정답률: 61%)
  • 압력계에서 표시하는 압력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압력인데, 이를 게이지 압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압력계에서 표시되는 값은 대기압과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시스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동력전달 비용이 1kW 당 가장 높은 것은?

  1. 유압식
  2. 전기식
  3. 공기압식
  4. 기계·유압식
(정답률: 46%)
  • 정답은 "유압식"입니다. 이유는 유압식은 유체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유체의 저항과 유체의 손실로 인해 동력전달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공기압식은 공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유체의 저항과 손실이 적어 동력전달 비용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보전이 필요 없는 시스템 설계가 기본개념인 보전방식은?

  1. 개량보전
  2. 보전예방
  3. 사후보전
  4. 예방보전
(정답률: 58%)
  • 보전예방은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이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식으로, 보전이 필요 없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기본 개념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전 방식들과 달리 사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전기회로의 구성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단속, 연속운전이 가능하게 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2. 자동, 수동운전이 가능하게 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3. 작업자보호, 장치보호 등의 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4. 제어부, 구동부는 혼재되어 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정답률: 70%)
  • 제어부와 구동부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제어부는 기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부는 기계장치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두 부분이 혼재되어 회로가 구성되어야만 제어와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보기들도 중요하지만, 제어와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른 기능들도 제대로 수행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폐회로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드백 신호가 없다.
  2. 2진 신호를 사용한다.
  3. 외란변수의 변화가 작을 때 사용한다.
  4. 실제 값과 기준 값의 비교기능이 있다.
(정답률: 50%)
  • 폐회로 제어는 실제 값과 기준 값의 비교를 통해 작동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실제 값과 기준 값의 비교기능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폐회로 제어와 관련이 없거나 부분적인 설명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공기압 실린더의 설치형식이 아닌 것은?

  1. 풋 형
  2. 플랜지 형
  3. 타이로드 형
  4. 트러니언 형
(정답률: 42%)
  • 타이로드 형은 공기압 실린더를 설치할 때 실린더의 중심선을 타이로드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다른 형식들은 모두 플랜지나 풋 등의 부속품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지만, 타이로드 형은 타이로드를 이용하여 직접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물체가 접근하면 진폭이 감소하는 고주파 LC발진기에 의해 센서 표면에 전자계를 형성하고 금속만을 감지하는 센서는?

  1. 광전센서
  2. 리드 스위치
  3. 용량형 센서
  4. 유도형 센서
(정답률: 60%)
  • 고주파 LC발진기에 의해 센서 표면에 전자계를 형성하면, 금속 물체가 센서 근처에 접근하면 전자계에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이 변화를 감지하여 금속 물체의 존재를 파악하는 센서를 유도형 센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도형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펌프가 소음을 내는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중에 기포가 있는 경우
  2. 흡입관이 막혀 있는 경우
  3. 펌프의 회전이 너무 빠른 경우
  4.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
(정답률: 61%)
  •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는 적절하지 않은 이유이다. 작동유는 펌프 내부에서 움직이는 부품들의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마찰이 증가하여 부품들이 강하게 부딪히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작동유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공기압 파이프 연결기가 아닌 것은?

  1. 나사 연결기
  2. 링형 연결기
  3. 플랜지 연결기
  4. 클램핑 링 연결기
(정답률: 45%)
  • 공기압 파이프 연결기는 일반적으로 링형 연결기, 플랜지 연결기, 클램핑 링 연결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나사 연결기는 이와 달리 나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기압 파이프 연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신호의 유무, on/off, yes/no, 1/0 등과 같은 신호를 이용하는 제어계는?

  1. 2진 제어계
  2. 10진 제어계
  3. 동기 제어계
  4. 아날로그 제어계
(정답률: 63%)
  • 2진 제어계는 0과 1, 즉 두 가지 상태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계이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며, 간단하고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신호의 유무, on/off, yes/no 등과 같은 이진 상태를 이용하는 제어에 적합하다. 10진 제어계는 0부터 9까지의 10가지 상태를 이용하는 제어계이며, 동기 제어계는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신호를 이용하는 제어계이다. 아날로그 제어계는 연속적인 값으로 표현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제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압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기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진공압이라 한다.
  2. 게이지 압력에서는 국소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정압(+)이라 한다.
  3. 압력을 비중량으로 나누면 길이 단위가 되며 이를 양정 또는 수두(m)라 한다.
  4. 사용 압력을 완전히 진공으로 하고 그 상태를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을 게이지 압력이라 한다.
(정답률: 57%)
  • 사용 압력을 완전히 진공으로 하고 그 상태를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을 게이지 압력이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게이지 압력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을 말하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양수로, 낮은 압력을 음수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게이지 압력은 완전히 진공으로 하여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두 개의 입구 X와 Y를 갖고 있으며 출구는 A 하나이다. 입구 X, Y에 각기 다른 압력을 인가했을 때 고압이 A로 출력되는 특징을 갖는 공기압 논리 밸브는?

  1. 급속 배기 밸브
  2. 교축 릴리프 밸브
  3. 고압 우선형 셔틀밸브
  4. 저압 우선형 셔틀밸브
(정답률: 67%)
  • 입구 X와 Y에 각기 다른 압력을 인가하면, 고압 우선형 셔틀밸브는 높은 압력을 우선하여 A로 출력합니다. 이는 셔틀밸브 내부의 피스톤이 높은 압력 쪽으로 이동하여 다른 쪽 입구를 차단하고, 높은 압력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특징을 가진 밸브는 고압 우선형 셔틀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공기압축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터보형 압축기
  2. 스크루형 압축기
  3. 왕복피스톤형 압축기
  4. 트로코이드형 압축기
(정답률: 50%)
  • 트로코이드형 압축기는 실린더와 피스톤 대신에 회전하는 로터와 스테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이 다른 세 가지 압축기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공기압축기의 종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공기압 모터의 기호는?

(정답률: 64%)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공기압 모터의 기호로, 모터의 회전축과 공기압의 유입구를 나타내는 화살표가 함께 그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요동형 실린더가 아닌 것은?

  1. 베인형 실린더
  2. 피스톤형 실린더
  3. 스크루형 실린더
  4. 로킹암형 실린더
(정답률: 45%)
  • 로킹암형 실린더는 요동형 실린더와는 달리 로킹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실린더이다. 따라서 요동형 실린더가 아닌 것은 로킹암형 실린더이다. 베인형 실린더, 피스톤형 실린더, 스크루형 실린더는 모두 요동형 실린더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PLC와 같은 장치가 속하는 부분은?

  1. 센서
  2. 네트워크
  3. 프로세서
  4. 동력 제어부
(정답률: 66%)
  • PLC는 입력 신호를 받아 처리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 기반의 제어 장치이며, 이러한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이 프로세서이기 때문에 정답은 "프로세서"입니다. 센서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 네트워크는 여러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망, 동력 제어부는 모터 등의 동력을 제어하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유압 회로도를 구성하는 기기의 명칭이 틀린 것은?

  1. (가) 정용량형 펌프
  2. (나) 스톱밸브
  3. (다) 체크밸브
  4. (라) 어큐뮬레이터
(정답률: 63%)
  • 정답은 "(가) 정용량형 펌프"이다. 유압 회로도에서는 정량형 펌프가 사용되는데, 정용량형 펌프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큐뮬레이터는 유압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기로, 유압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직류 전동기에서 전기자의 권선에 생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부분의 명칭은?

  1. 계자
  2. 전기자
  3. 정류자
  4. 타여자
(정답률: 67%)
  • 정류자는 직류 전동기에서 전기자의 권선에 생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전기자에서 생성된 교류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류하여 직류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류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설비보전의 효과측정을 위한 척도로 사용되는 지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비 가동률은 경제성을 의미한다.
  2. 고장 강도율은 유용성을 의미한다.
  3. 고장 도수율은 신뢰성을 의미한다.
  4. 제품 단위당 보전비는 보전성을 의미한다.
(정답률: 46%)
  • 고장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설비가 고장난 횟수를 전체 가동 횟수로 나눈 비율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설비를 파악하고 보전 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고장 도수율은 설비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밸브 내부에서 연속적인 진동으로 밸브 시트 등을 타격하여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은?

  1. 공동현상
  2. 맥동현상
  3. 채터링현상
  4. 크래킹현상
(정답률: 50%)
  • 밸브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으로 인해 밸브 시트 등이 진동하면서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을 채터링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밸브 시트 등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면서 밸브 내부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이로 인해 유체가 밸브 시트 등을 타격하면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