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보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5-15)

설비보전기사(구)
(2021-05-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설비 진단 및 계측

1. 다음과 같이 진동 진폭의 파라미터가 주어졌을 때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V=2πfD
  2. V=2πfD×10-3
(정답률: 66%)
  • 진동 주기 T는 주파수 f의 역수이므로 T=1/f이다. 진폭 A는 최대 변위이므로, 진동 중 최대 속도를 가질 때의 속도 V는 V=2πfA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진동 진폭이 D로 주어졌으므로, V=2πfD가 된다. 그러나 단위가 mm이므로, m로 변환하기 위해 10-3을 곱해준다. 따라서 V=2πfD×10-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파수의 단위로 사용되는 것은?

  1. cycle/s
  2. m/s
  3. rad/s
  4. m/s2
(정답률: 75%)
  • 주파수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현상의 단위이기 때문에, 주기당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인 "cycle/s"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1Hz의 주파수는 1초당 1번의 주기적인 반복을 의미하며, 이는 1초당 1회의 주기적인 "cycle"이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cycle/s"는 주파수의 단위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푸리에(Fourier) 변환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FFT분석에서는 항상 양부호(positive)의 주파수 성분이 나타난다.
  2. 충격신호와 같은 임펄스신호(impulse signal)는 푸리에 변환이 불가능하다.
  3. 시간대역이나 주파수대역에서 유한한 신호는 다른 대역(주파수나 시간)에서 무한한 폭을 갖는다.
  4. 어떤 대역에서 주기성을 갖는 규칙적인 신호라 할지라도 다른 대역에서는 불규칙한 신호로 나타날 수 있다.
(정답률: 65%)
  • "충격신호와 같은 임펄스신호(impulse signal)는 푸리에 변환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 임펄스신호도 푸리에 변환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펄스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알아낼 수 있다. 다만, 임펄스신호의 푸리에 변환 결과는 상수 함수로 나타나게 되어 의미가 제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회전 기계에서 발생하는 이상 현상 중 발생주파수가 중간주파인 것은?

  1. 공동
  2. 언밸런스
  3. 압력 맥동
  4. 미스얼라인먼트
(정답률: 63%)
  • 회전 기계에서 발생하는 이상 현상 중 발생주파수가 중간주파인 것은 "압력 맥동"입니다. 이는 회전 기계 내부에서 유체가 흐를 때,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회전 기계의 회전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현상은 회전 기계의 부품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용적식 유량계가 아닌 것은?

  1. 터빈 유량계(turbine flow meter)
  2. 회전 디스크 유량계(nutation disk flow meter)
  3. 회전 날개 유량계(rotating vane flow meter)
  4. 로브 임펠러 유량계(lobed impeller flow meter)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베어링 소음 발생원에 따른 특성 주파수의 관계식이 옳지 않은 것은? (단, r1=내륜의 반경, r2=외륜의 반경, rB=볼 또는 롤러의 반경, rn=볼 또는 롤러의 수, nr=내륜의 회전속도[rps]이다.)

  1. 베어링의 편심 혹은 불균형에 의한 회전 소음 주파수 fr=nr
  2. 볼, 롤러 또는 케이스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소음 주파수
  3. 볼 또는 롤러의 자체회전에 의한 소음 주파수
  4. 내륜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소음 주파수
(정답률: 59%)
  • "내륜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소음 주파수 "가 옳지 않은 것이다. 내륜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소음 주파수는 fr의 배수인 주파수가 발생하며, 이는 내륜의 회전속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올바른 관계식은 "내륜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소음 주파수 = k x fr (k는 정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설비진단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순한 점검의 계기화
  2. 수리 및 개량법의 결정
  3. 신뢰성 및 수명의 예측
  4. 이상이나 결함의 원인파악
(정답률: 66%)
  • 설비진단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 중에서 "단순한 점검의 계기화"는 설비진단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단순히 설비를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인 방법과 기술을 사용하여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순한 점검의 계기화"는 설비진단의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파장,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장은 음파의 1주기 거리로 정의된다.
  2. 주파수는 음파가 매질을 1초 동안 통과하는 진동횟수를 말한다.
  3. 주파수는 소리의 속도에 반비례하고, 파장에 비례한다.
  4. 파장은 소리의 속도에 비례하고,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5%)
  • "파장은 소리의 속도에 비례하고, 주파수에 반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주파수는 음파가 매질을 1초 동안 통과하는 진동횟수를 말하며, 파장은 음파의 1주기 거리로 정의됩니다. 주파수와 파장은 역의 관계를 가지며,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은 짧아지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은 길어집니다.

    그러나 주파수와 파장 모두 소리의 속도와는 관련이 있습니다. 소리의 속도는 매질에 따라 다르며, 매질이 더 밀도가 높고 탄성계수가 높을수록 소리의 속도가 더 높아집니다. 따라서 같은 주파수의 소리라도 매질에 따라 파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열전대 종류 중 내열성이 좋고 산화성 분위기 중에서도 강하며, 대개 1000℃이상에서 사용되는 것은?

  1. J type
  2. R type
  3. K type
  4. T type
(정답률: 69%)
  • 정답은 "R type"입니다. R type 열전대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산화성 분위기에서도 강하며, 대개 1000℃ 이상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R type 열전대가 플래티넘과 로듐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J type, K type, T type 열전대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내열성이나 산화성 분위기에서의 성능이 R type에 비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동에서 진폭표시의 파라미터가 아닌 것은?

  1. 댐퍼
  2. 변위
  3. 속도
  4. 가속도
(정답률: 79%)
  • 진동에서 진폭은 변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속도와 가속도는 진동의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지만 댐퍼는 진동의 감쇠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진폭표시의 파라미터가 아닙니다. 댐퍼는 진동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나타내며, 진동의 진폭이나 주기 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고유 진동수와 강제 진동수가 일치할 경우 진폭이 크게 발생하는 현상은?

  1. 공진
  2. 울림
  3. 강제진동
  4. 반발진동
(정답률: 84%)
  • 고유 진동수와 강제 진동수가 일치할 경우, 강제 진동이 시스템 내부에서 공진을 일으키게 되어 진폭이 크게 발생하는 현상을 공진이라고 합니다. 이는 시스템 내부의 에너지가 계속해서 축적되어 진동이 계속해서 증폭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극히 작은 전류에 의해서 최대 눈금 편위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압계로 사용하는 계기는?

  1. 유도형
  2. 전류력계형
  3. 가동 코일형
  4. 가동 철편형
(정답률: 64%)
  • 전압계는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전압은 전류와 저항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계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영향을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합니다. 이때 가동 코일형 전압계는 작은 전류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최대 눈금 편위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전압계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회전체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반사 테이프와 광원을 이용하여 반사광을 검출하여 회전수를 구하는 방식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이 답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1번,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광전식 검출법
  2. 주파수 계산법
  3. 전자식 검출법
  4. 회전주기 측정법
(정답률: 61%)
  • 반사 테이프와 광원을 이용하여 반사광을 검출하여 회전수를 구하는 방식은 "광전식 검출법"이다. 따라서, "회전주기 측정법"이 정답인 이유는 해당 방법이 회전체의 회전 주기를 측정하여 회전수를 구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회전 주기를 측정하면 회전수를 구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회전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회전수 계측 센서 중 광학식 엔코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처리회로가 간단하다.
  2. 진동 및 충격에 약하다.
  3. 고분해능화가 용이하다.
  4. 디지털 신호이므로 노이즈 마진이 작다.
(정답률: 59%)
  • 디지털 신호이므로 노이즈 마진이 작다는 것은,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하면 신호의 값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이즈에 민감한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노이즈 마진이 작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퀀스 제어의 동작을 기술하는 방식 중 조건과 그에 대응하는 조작을 매트릭스형으로 표시하는 방식은?

  1. 논리회로(logic circuit)
  2. 플로우 차트(flow chart)
  3. 동작선도(motion diagram)
  4. 디시전 테이블(decision table)
(정답률: 60%)
  • 디시전 테이블은 조건과 그에 대응하는 조작을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하여 시퀀스 제어의 동작을 기술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조건과 조작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복잡도가 높은 경우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시전 테이블은 시스템 설계 및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음 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차음
  2. 공명
  3. 흡음
  4. 소음기
(정답률: 81%)
  • 공명은 소리가 반사되어 강화되는 현상으로,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음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공명은 소음 방지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강제진동주파수 f와 고유진동주파수 fn의 주파수비 라 할 때 다음 중 고유진동주파수에 대한 진동차단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1. R=1
  2. R=√2
  3. R=3
  4. R=10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간의 청감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여 소리의 크기 레벨에 근사한 값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측정기는?

  1. 기록계
  2. 녹음기
  3. 소음계
  4. 주파수 분석기
(정답률: 79%)
  • 인간의 청감은 소리의 주파수, 시간, 강도 등에 따라 다르게 인식됩니다. 이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청감에 대한 보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보정을 실시하여 소리의 크기 레벨에 근사한 값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가 소음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음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계측계의 동작특성 중 정특성이 아닌 것은?

  1. 감도
  2. 직선성
  3. 시간지연
  4. 히스테리스 오차
(정답률: 51%)
  • 시간지연은 계측계의 동작특성 중 하나이지만, 정확도와 관련된 특성은 아닙니다. 시간지연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계측계의 반응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느린 반응속도를 가진 계측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지연은 계측계의 정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어 장치에 해당하며 목표값에 의한 신호와 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의해 제어 장치가 소정의 작동을 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서 조작부에 보내주는 부분을 뜻하는 제어 용어는?

  1. 외란
  2. 조절부
  3. 작동부
  4. 제어량
(정답률: 69%)
  • 조절부는 목표값과 검출부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장치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 조작부에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시 말해, 제어 장치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시스템을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조절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관리

21. 설비 대장을 작성할 때 구비해야 할 조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설비 품목별 사양작성자
  2. 설비의 입수시기 및 가격
  3. 설비에 대한 개략적인 기능
  4. 설비에 대한 개략적인 크기
(정답률: 69%)
  • 정답은 "설비 품목별 사양작성자"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설비의 입수시기, 가격, 기능, 크기 등 설비의 기술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지만, "설비 품목별 사양작성자"는 설비를 구매할 때 필요한 사양서를 작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인력이므로, 설비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설비 대장을 작성할 때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조건은 "설비 품목별 사양작성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계 게이지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의 실제 치수를 읽을 수 없다.
  2. 측정에 숙련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소량 제품 측정에 적합하고 불량을 판정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4. 측정 치수가 정해지고 한 개의 치수마다 한 개의 게이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55%)
  • 한계 게이지는 제품의 실제 치수를 읽을 수 없으며, 측정에 숙련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소량 제품 측정에 적합하고 불량을 판정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한계 게이지는 빠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불량을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대량생산을 위한 공장자동화와 같이 기계화도가 높은 생산 공정에서 제조간접비를 배부하는 방식은?

  1. 직접재료비법
  2. 직접제조비법
  3. 직접노무시간법
  4. 기계가동시간법
(정답률: 60%)
  • 기계가동시간법은 생산 공정에서 기계의 가동시간을 기준으로 각 제품에 할당되는 간접비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대량생산을 위한 공장자동화에서는 기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 방식이 적용됩니다. 즉, 기계가 가동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해당 제품에 할당되는 간접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공사의 완급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판정기준이 아닌 것은?

  1. 공사가 지연됨으로써 발생하는 만성로스의 비용
  2. 공사가 지연됨으로써 발생하는 생산변경의 비용
  3. 공사를 급히 진행함으로써 발생하는 공수나 재료의 손실
  4. 공사를 급히 진행함으로써 발생하는 타 공사의 지연에 따른 손실
(정답률: 52%)
  • "공사가 지연됨으로써 발생하는 만성로스의 비용"은 완급도를 결정하는 판정기준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 비용은 공사가 지연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이미 공사가 지연되었을 때 발생하는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완급도를 결정하는 판정기준은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기준들로, 공사가 지연되기 전에 미리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설비의 분류에서 판매설비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전기 장치, 운반 장치
  2. 발전 설비, 수처리 시설
  3. 항만 설비, 공장연구 설비
  4. 서비스 숍, 서비스 스테이션
(정답률: 77%)
  • 서비스 숍과 서비스 스테이션은 판매설비에 해당하는데, 이는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반면에 전기 장치나 운반 장치는 생산설비에 해당하며, 발전 설비나 수처리 시설은 인프라 설비에 해당한다. 항만 설비나 공장연구 설비는 기타 설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설비 프로젝트의 종류 중 설비의 갱신이나 개조에 의한 경비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는?

  1. 확장 투자
  2. 제품 투자
  3. 전략적 투자
  4. 합리적 투자
(정답률: 67%)
  • 정답: 합리적 투자

    설비의 갱신이나 개조에 의한 경비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는 기존의 설비를 유지보수하거나 새로운 설비를 도입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합리적인 투자입니다. 따라서 "합리적 투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설비망은?

  1. 제품 중심 설비망
  2. 공정 중심 설비망
  3. 시장 중심 설비망
  4. 프로젝트 중심 설비망
(정답률: 63%)
  • 이 설비망은 시장 중심 설비망이다. 이유는 설비들이 시장의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되며,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설비들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높고,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강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설비의 효율화 저해 로스(loss) 중 설비의 설계 속도와 실제로 움직이는 속도와의 차이에서 생기는 로스는?

  1. 초기 로스
  2. 속도 로스
  3. 고장 로스
  4. 불량 로스
(정답률: 76%)
  • 설비의 설계 속도와 실제로 움직이는 속도와의 차이에서 생기는 로스는 "속도 로스"입니다. 이는 설비가 설계된 속도보다 느리게 움직이거나 멈추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생산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명 공정별 배치라고도 부르며 제품의 종류가 많고 수량이 적으며, 주문생산과 표준화가 곤란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설비배치 형태는?

  1. 제품별 배치
  2. 기능별 배치
  3. 혼합형 배치
  4. 제품고정형 배치
(정답률: 64%)
  • 기능별 배치는 제품의 공정별로 설비를 배치하는 형태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설비배치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전업무에 대한 기술 기능에서 조건변화에 따른 설비 개량, 설비성능 및 수명향상, 설비의 재설계를 통한 보전도 제고 등에 관련이 있는 것은?

  1. 고장 분석 개발
  2. 보전 업무 분석
  3. 부품 대체 분석
  4. 보전도 향상 연구
(정답률: 61%)
  • 보전도 향상 연구는 조건변화에 따른 설비 개량, 설비성능 및 수명향상, 설비의 재설계를 통한 보전도 제고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보전 업무에서 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개선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전도 향상 연구는 보전 업무의 핵심 기술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일반적인 예방 보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경제적 손실이 크다.
  2. 돌발 고장 발생이 생길 수 있다.
  3. 보전 요원의 기술 및 기능이 강화된다.
  4. 대수리 기간 중에 발생되는 생산 손실이 크다.
(정답률: 45%)
  • 일반적인 예방 보전의 특징 중에서 "보전 요원의 기술 및 기능이 강화된다."는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예방 보전을 통해 시설물이나 장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지보수를 진행함으로써 보전 요원들의 기술과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떤 설비가 일정 조건 하에서 일정 기간 동안 기능을 고장 없이 수행할 확률은?

  1. MTBF
  2. MTTF
  3. 보전성
  4. 신뢰성
(정답률: 69%)
  • "신뢰성"은 어떤 설비가 일정 조건 하에서 일정 기간 동안 기능을 고장 없이 수행할 확률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따라서 "MTBF"와 "MTTF"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보전성"보다는 "신뢰성"에 더 가깝다. "보전성"은 설비를 유지보수하여 기능을 유지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PM분석에서 P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현상을 물리적으로 해석한다.
  2. 현상의 명확화와 메커니즘을 해석한다.
  3. 설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해한다.
  4. 작업방법과 관련성을 추구하는 요인해석의 사고방식이다.
(정답률: 56%)
  • PM분석에서 P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해석한다." 이다. 이는 PM분석에서 문제가 되는 현상을 물리적인 원인과 결과로 분석하여 해결책을 도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문제가 되는 현상을 물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해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PM분석에서 P의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TPM 관리와 전통적 관리를 비교했을 때, TPM 관리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Output 지향
  2. 결과 중심 시스템
  3. 개선을 위한 자기 동기 부여
  4. 제한적이고 터널식인 의사소통
(정답률: 64%)
  • TPM 관리는 개선을 위한 자기 동기 부여가 중요한 특징이다. 이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능력과 역량을 향상시키고 성취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따라서 TPM 관리는 단순히 결과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관리와는 달리, 직원들의 참여와 자발성을 촉진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장의 분석 후 대책을 세우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안전율을 높인다.
  2. 응력을 분산시킨다.
  3. 강도, 내력을 낮춘다.
  4. 온도, 습도 등의 작업 환경을 개선한다.
(정답률: 69%)
  • "강도, 내력을 낮춘다."는 올바른 대책이 아니다. 강도와 내력을 낮추면 제품의 내구성이 감소하고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대책은 안전율을 높이고 응력을 분산시키며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설비관리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보전도 향상
  2. 제품품질개선
  3. 생산보전활동
  4. 설비자산관리
(정답률: 62%)
  • 설비관리는 설비의 유지보수, 수리, 교체 등을 통해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반면에 제품품질개선은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으로, 설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제품품질개선은 설비관리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설비의 경제성 평가 방법이 아닌 것은?

  1. 자본회수법
  2. 연환지수법
  3. MAPI 방식
  4. 비용비교법
(정답률: 51%)
  • 연환지수법은 설비의 경제성 평가 방법이 아닙니다. 연환지수법은 투자한 자금의 가치 변화를 고려하여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자금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는 재무 분석 방법입니다. 하지만 설비의 경제성 평가는 투자한 자금 대비 수익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자금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환지수법은 설비의 경제성 평가 방법이 아닙니다.
  • 자본회수법: 기계 따위에 대한 투자액이 회수되는 기간을 계측하여 투자 효율을 판정
    연환지수법: 연환 지수를 사용하여 경제 변동의 모양을 밝히고 설명하는 방법
    MAPI: 설비기계(設備機械)의 경제적 수명을 산정(算定)하는 방식
    비용비교법: 각 대안별로 관리비용 산출하고 총비용이 최소가 되는 대안을 선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인 자주보전 전개 스텝 7단계 중 5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초기청소
  2. 자주점검
  3. 자주보전의 시스템화
  4. 발생원 곤란개소 대책
(정답률: 59%)
  • 일반적인 자주보전 전개 스텝 7단계 중 5단계는 "자주점검"입니다. 이는 설비나 장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조치를 취함으로써 예방보전을 실시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장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고장이나 장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자주점검은 자주보전의 핵심적인 단계 중 하나입니다.
  • 0정리정돈-1초기청소-2발생원 곤란개소 대책-3청소,점검,급유 기준서 작성
    -4총점검-5자주점검-6표준화유지개선(시스템화)-7자주관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치공구 관리 기능 중 계획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구의 검사
  2. 공구의 연구 시험
  3. 공구의 설계 및 표준화
  4. 공구 소요량의 계획, 보충
(정답률: 48%)
  • "공구의 검사"는 이미 제작된 공구를 검사하는 것으로, 계획 단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계획 단계에서는 공구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설계 및 표준화를 수행하며, 소요량을 계획하고 보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검사는 이후에 제작된 공구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품질관리 도구 중 중심선과 관리한계선을 설정한 그래프로써 품질의 산포를 판별하여 공정이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독하기 위한 방법은?

  1. 관리도
  2. 체크시트
  3. 파레토도
  4. 히스토그램
(정답률: 54%)
  • 관리도는 중심선과 관리한계선을 설정하여 품질의 산포를 판별하는 도구로, 공정의 정상상태와 이상상태를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체크시트는 작업의 진행 상황을 기록하는 도구, 파레토도는 문제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을 찾기 위한 도구,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일반 및 기계보전

41. 아베의 원리를 만족하는 측정기는?

  1. 블록 게이지
  2. 하이트 게이지
  3. 외측 마이크로미터
  4.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64%)
  • 아베의 원리는 측정 도구의 측정 원리 중 하나로, 측정 도구의 측정 원리와 측정 대상의 형태가 일치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외부 직경을 측정하는 외측 마이크로미터가 아베의 원리를 만족하는 측정기입니다.
  • 아베의 원리: 길이 측정시 오차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 물체의 길이를 기준이 되는 척도와 일직선상에 나란히 세워 놓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기름 누설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어빼기 불충분
  2. 파이프 너트 풀림
  3. 파이프선단 형상 불량
  4. 실(seal)의 열화 및 파손
(정답률: 68%)
  •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기름 누설의 원인으로 "에어빼기 불충분"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에어빼기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공기를 제거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느낌과 브레이크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입니다. 기름 누설의 원인은 파이프 너트 풀림, 파이프선단 형상 불량, 실의 열화 및 파손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동기 베어링부의 발열 원인이 아닌 것은?

  1. 절연물의 열화에 의한 것
  2. 윤활제 부족에 의한 것
  3. 베어링 조립 불량에 의한 것
  4. 커플링의 중심내기 불량에 의한 것
(정답률: 55%)
  • 전동기 베어링부에서 발생하는 발열 원인 중에서 "절연물의 열화에 의한 것"은 베어링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베어링부는 회전하는 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절연물은 전기적인 부분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절연물의 열화는 전기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베어링부의 발열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벨트 전동장치 중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안쪽표면에 이가 있으며, 정확한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하는 것은?

  1. 보통 벨트
  2. 링크 벨트
  3. 타이밍 벨트
  4. 레이스 벨트
(정답률: 78%)
  • 타이밍 벨트는 안쪽표면에 이가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며, 정확한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볼 베어링에서 베어링 하중을 1/2로 하면 수명은 몇 배로 되는가?

  1. 4배
  2. 6배
  3. 8배
  4. 10배
(정답률: 66%)
  • 볼 베어링의 수명은 하중의 3차 함수로 결정되기 때문에, 하중을 1/2로 줄이면 수명은 2^3 = 8배 증가합니다. 즉, 베어링 하중을 줄이면 베어링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회전체의 센터링이 불량할 경우 발생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진동이 크다.
  2. 축의 강도가 향상된다.
  3. 베어링부의 마모가 심하다.
  4. 구동력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하다.
(정답률: 75%)
  • 축의 강도가 향상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회전체의 센터링이 불량할 경우, 축과 베어링부에 부하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베어링부의 마모가 심해지고, 구동력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해 진동이 크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축의 강도가 향상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배관이음 중 관경이 비교적 크고 내압이 높은 경우 사용하며, 분해조립이 가장 용이한 이음법은?

  1. 용접이음
  2. 신축이음
  3. 납땜이음
  4. 플랜지이음
(정답률: 78%)
  • 플랜지이음은 관경이 크고 내압이 높은 경우에 사용되며, 분해조립이 가장 용이한 이음법입니다. 이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플랜지를 분리하여 파이프를 쉽게 분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랜지는 고정력이 강하므로 내압이 높은 파이프라인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산성 등의 화학 약품을 차단하는 경우에 내약품, 내열 고무제의 격막 판을 밸브시트에 밀어 붙이는 밸브이며, 유체 흐름 저항이 적고 기밀 유지에 패킹이 필요 없으며 부식의 염려가 없는 밸브는?

  1. 플립 밸브
  2. 게이트 밸브
  3. 리프트 밸브
  4. 다이어프램 밸브
(정답률: 68%)
  • 다이어프램 밸브는 내약품, 내열 고무제의 격막 판을 밸브시트에 밀어 붙이는 구조로, 이를 통해 산성 등의 화학 약품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체 흐름 저항이 적고 기밀 유지에 패킹이 필요 없으며 부식의 염려가 없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용접법의 분류 중 용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TIG 용접
  2. 저항 용접
  3. 피복 아크 용접
  4.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정답률: 66%)
  • 저항 용접은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용접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보통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금속 부품을 열에 의해 용융시키고 압력을 가해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저항 용접은 용접법의 분류 중 용접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비접촉성 실은?

  1. 오일 패킹
  2. 메커니컬 실
  3. 셀프 실 패킹
  4. 래빌린스 패킹
(정답률: 53%)
  • 래빌린스 패킹은 비접촉성 실로, 실과 축 사이에 윤활유가 필요하지 않으며, 마찰이 적어 내구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오일 패킹, 메커니컬 실, 셀프 실 패킹과는 달리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유하고 있는 설비가 신품일 때와 비교하여 점차 열화되어 가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는?

  1. 기술적 열화
  2. 경제적 열화
  3. 절대적 열화
  4. 상대적 열화
(정답률: 49%)
  • 보유하고 있는 설비가 신품일 때와 비교하여 기술적, 경제적, 상대적으로 열화되어 가는 것은 모두 가능하지만, "절대적 열화"는 설비의 물리적인 성능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설비의 수명이 다해가거나 기술적으로 발전된 새로운 설비들과 비교하여 더 이상 경쟁력이 없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매커니컬 실(mechanical seal)을 선정할 때 주의사항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밀봉면에 작용하는 밀봉력을 유지할 것
  2. 누유 방지를 위해 탈착이 불가능할 것
  3. 밀봉 단면의 평행한 평면 상태를 유지할 것
  4. 밀봉면 사이에서 윤활 유체의 기화를 방지할 것
(정답률: 75%)
  • "누유 방지를 위해 탈착이 불가능할 것"은 주의사항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이는 매커니컬 실이 설치된 후에는 탈착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매커니컬 실이 작동 중에도 안정적으로 밀봉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매커니컬 실이 탈착 가능하다면, 실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누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커니컬 실을 선택할 때는 탈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나사풀림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록 너트(lock nut)에 의한 방법
  2. 실(seal) 용접에 의한 방법
  3. 스프링 와셔 또는 고무 와셔에 의한 방법
  4. 홈붙이 너트와 분할핀 고정에 의한 방법
(정답률: 70%)
  • 실 용접은 나사와 부품을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나중에 부품을 분리하거나 교체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 용접은 나사풀림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담금질한 강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텐자이트화 시키는 작업으로 0℃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조작은?

  1. 침탄법
  2. 심랭처리
  3. 항온열처리
  4. 고주파경화
(정답률: 75%)
  • 심랭처리는 담금질한 강을 0℃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켜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텐자이트화 시키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 조작이 정답인 것입니다. 침탄법은 강을 탄화시켜 경도를 높이는 작업이며, 항온열처리는 강을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작업입니다. 고주파경화는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강을 경화시키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심식과 비교한 왕복식 압축기의 장점은?

  1. 대용량이다.
  2. 윤활이 쉽다.
  3. 압력맥동이 없다.
  4. 고압 발생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원심식 압축기는 압력을 높이기 위해 회전수를 높여야 하지만, 왕복식 압축기는 피스톤의 이동으로 압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고압 발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성기어 감속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동 시 구름마찰을 한다.
  2. 윤활 시 1kW 이하의 소형에는 그리스 윤활을 할 수 있고, 그 이상의 것은 유욕윤활방법이 쓰인다.
  3. 고정된 내접기어에 유성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감속한다.
  4. 무단변속기와 조합하여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4%)
  • "작동 시 구름마찰을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유성기어 감속기는 고정된 내접기어에 유성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감속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윤활 시 1kW 이하의 소형에는 그리스 윤활을 할 수 있고, 그 이상의 것은 유욕윤활방법이 쓰인다. 무단변속기와 조합하여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 구름마찰: 한 물체가 다른 물체의 표면 위에서 구를 때 생기는 마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드릴의 각부 명칭과 그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크(shank)- 드릴을 드릴머신에 고정하는 부분
  2. 사심(dead center)- 드릴 끝 부분으로 가공물을 절삭하는 부분
  3. 홈 나선각(helix angle)- 드릴의 중심축과 홈의 비틀림이 이루는 각
  4. 마진(margin)- 드릴의 홈을 따라서 나타나는 좁은 날이며, 드릴을 안내하는 역할
(정답률: 63%)
  • 정답은 "사심(dead center)- 드릴 끝 부분으로 가공물을 절삭하는 부분" 이다. 사심은 드릴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가공물을 절삭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올바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생크(shank)- 드릴을 드릴머신에 고정하는 부분
    - 사출점(point)- 드릴의 끝 부분으로 가공물을 절삭하는 부분
    - 홈 나선각(helix angle)- 드릴의 중심축과 홈의 비틀림이 이루는 각
    - 마진(margin)- 드릴의 홈을 따라서 나타나는 좁은 날이며, 드릴을 안내하는 역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코일 스프링의 작도법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무하중 상태에서 그린다.
  2. 스프링이 왼쪽 감김일 경우 감김 방향을 명기한다.
  3. 스프링의 중간부분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는 생략하는 부분의 선지름의 중심선을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4. 스프링의 종류, 모양만을 도시할 경우 굵은 1점 쇄선을 사용한다.
(정답률: 4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금긋기 작업에서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금긋기 선은 굵고 선명하도록 반복하여 긋는다.
  2. 기준면과 기준선을 설정하고 금긋기 순서를 결정한다.
  3. 같은 치수의 금긋기 선은 전후, 좌우 구분없이 한번만 긋는다.
  4. 금긋기 선의 굵기는 일반적으로 0.07~0.12mm이다.
(정답률: 7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펌프 운전 중 물이 처음에는 나오다가 곧 나오지 않을 때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웨어링이 마모되었기 때문에
  2. 마중물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3. 흡입양정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4. 배관 불량으로 흡입관 내에 에어 포켓이 생겼기 때문에
(정답률: 60%)
  • "웨어링이 마모되었기 때문에"는 펌프 내부의 부품 중 하나인 웨어링이 마모되어 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펌프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게 되어 물이 나오지 않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윤활관리

61. 윤활유의 열화 판정 중 직접 판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유의 성상을 사전에 명확히 파악한다.
  2. 사용유의 대표적 시료를 채취하여 성상을 조사한다.
  3. 투명한 2장의 유리판에 기름을 넣고 투시해서 이물질의 유무를 조사한다.
  4. 신유와 사용유의 성상을 비교 검토 후 관리기준을 정하고 교환하도록 한다.
(정답률: 59%)
  • "신유의 성상을 사전에 명확히 파악한다."가 틀린 것이다. 윤활유의 열화 판정에서는 사용된 윤활유의 성상을 조사하여 열화 정도를 판정하는데, 이때 신유의 성상을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투명한 2장의 유리판에 기름을 넣고 투시해서 이물질의 유무를 조사한다."는 윤활유의 열화 판정 중 직접 판정법으로, 윤활유를 투명한 유리판에 놓고 빛을 비추어 이물질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윤활유를 샘플링하여 검사할 때 검사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상
  2. 수분
  3. 부식도
  4. 전산가
(정답률: 44%)
  • 윤활유의 샘플링 검사에서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은 "전산가"입니다. 이는 윤활유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항목들과는 관련이 없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반면, "색상"은 윤활유의 노화 정도를 파악하고, "수분"은 윤활유 내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부식을 예방하며, "부식도"는 윤활유가 부식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윤활유 교체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윤활 관리 조직의 체계를 윤활관리부서와 윤활실시부서로 구분할 때 윤활관리부서에서 실시하는 업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오일의 교환 주기 결정
  2. 급유 장치의 예비품 관리
  3. 윤활 대장 및 각종 기록 작성
  4. 윤활제 선정 및 열화 기준의 판정
(정답률: 54%)
  • 윤활제 선정 및 열화 기준의 판정은 윤활유의 품질을 관리하고 윤활유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중요한 업무이다. 이를 통해 적절한 윤활제를 선택하고 윤활유의 교환 주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윤활유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여 적시에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관리부서에서 이 업무를 담당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두 개 이상의 물체가 서로 상대운동을 할 때 물체 표면에서 발생하는 과학적 현상으로, 마찰과 마모 및 윤활을 다루는 학문을 지칭하는 것은?

  1. Friction
  2. Tribology
  3. Lubrication
  4. Maintenance
(정답률: 59%)
  • "Tribology"은 두 개 이상의 물체가 서로 상대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마찰, 마모, 윤활 등의 현상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윤활에서 그리스 윤활이 윤활유 윤활보다 장점인 특성은?

  1. 밀봉성
  2. 냉각효과
  3. 회전저항
  4. 순환급유
(정답률: 70%)
  • 그리스 윤활은 베어링 내부에 적용되어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 오염물질이나 물이 베어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윤활제가 유실되는 것을 막아 베어링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윤활설비의 고장과 원인에서 작업에 의한 고장원인이 아닌 것은?

  1. 플러싱의 불충분
  2. 과잉급유 및 부주의
  3. 급유가 빠르거나 너무 느림
  4. 높은 전도열 및 마찰면의 불충분한 방열
(정답률: 50%)
  • 높은 전도열 및 마찰면의 불충분한 방열은 작업에 의한 고장원인이 아니라 윤활설비 자체의 문제입니다. 윤활유가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거나 방열이 불충분하여 윤활유의 효능이 감소하고, 결국 윤활유의 노후화와 윤활유의 교환 주기를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내수성이 나빠 수분과의 접촉이 없고, 일반 및 고온 개소에 적절한 그리스는?

  1. 칼슘계 그리스(Ca Base Grease)
  2. 리튬 복합 그리스(Li-Cx Grease)
  3. 나트륨계 그리스(Na Base Grease)
  4. 알루미늄계 그리스(Al Base Grease)
(정답률: 60%)
  • 나트륨계 그리스는 내수성이 좋아 수분과의 접촉이 없어도 윤활성능이 유지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일반 및 고온 개소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나트륨계 그리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기어의 손상 중 윤활유의 성능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피팅(pitting)
  2. 파단(breakage)
  3. 스폴링(spalling)
  4. 스코어링(scoring)
(정답률: 54%)
  • 스코어링은 기어의 표면에 생긴 깊은 홈이나 점점 깊어지는 흔적으로, 윤활유의 성능과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스코어링은 기어 표면과 윤활유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윤활유가 부족하거나 품질이 낮을 경우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의 성능이 좋을수록 스코어링을 예방하고 기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베어링 윤활에서 윤활유와 비교한 그리스 윤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급유 간격이 짧다.
  2. 회전 저항이 크다.
  3. 순환 급유가 곤란하다.
  4. 혼입물 제거가 곤란하다.
(정답률: 56%)
  • 정답: "급유 간격이 짧다."

    그리스 윤활은 윤활유와 달리 점착성이 높아 회전 부품에 부착되어 급유 간격이 길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급격한 부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고, 윤활유에 비해 회전 저항이 크며 순환 급유가 곤란하며 혼입물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압 작동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체적 탄성계수가 클 것
  2. 캐비테이션이 잘 일어날 것
  3. 산화 안정성 및 유화 안정성이 클 것
  4.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을 것
(정답률: 70%)
  • 캐비테이션은 유체 내부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기체 포화 상태가 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유체 내부의 공극이 생성되어 소리와 진동을 유발하며, 유체의 손상과 소음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 작동유는 캐비테이션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캐비테이션이 잘 일어날 것"은 유압 작동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윤활유의 물리화학적 성질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액체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저항을 의미하는 것은?

  1. 점도
  2. 인화점
  3. 발화점
  4. 유동점
(정답률: 62%)
  • 점도는 액체의 내부저항을 나타내는 물리화학적 성질입니다. 액체가 유동할 때 분자 간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내부저항이 발생하는데, 이를 점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액체의 유동성과 관련된 중요한 성질이며, 윤활유의 효과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마찰열로 인한 베어링의 고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유막을 형성하여 주는 윤활유의 작용은?

  1. 감마작용
  2. 청정작용
  3. 방청작용
  4. 응력분산작용
(정답률: 60%)
  • 윤활유가 베어링과 같은 부품의 표면에 붙어 유막을 형성하면, 이 유막은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감마작용으로 설명됩니다. 감마작용은 분자 간의 인력으로, 분자들이 서로 끌리는 힘입니다. 윤활유의 분자들이 베어링 표면과 결합하여 유막을 형성하면, 이 유막은 베어링과 윤활유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는데, 이는 감마작용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경하중 또는 보통하중을 받고 있는 평기어, 헬리컬기어, 베벨기어의 윤활제로 가장 적합하고, 녹 방지와 산화방지제가 첨가된 윤활유는?

  1. 극압 윤활유
  2. 전기 절연유
  3. R&O 윤활유
  4. 개방형 기어유
(정답률: 64%)
  • 평기어, 헬리컬기어, 베벨기어는 경하중 또는 보통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극압 윤활유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전기 절연유는 기어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하중 또는 보통하중을 받고 있는 기어에 가장 적합한 윤활제는 R&O 윤활유입니다. 이유는 R&O 윤활유는 경화제가 첨가되어 있어 녹 방지와 산화방지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개방형 기어유는 고속 회전 기어에 사용되는 윤활유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리스의 내열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그리스 사용온도가 결정되는 윤활제의 성질은?

  1. 주도
  2. 적점
  3. 이유도
  4. 혼화안정도
(정답률: 63%)
  • 그리스의 내열성은 그리스 사용온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윤활제의 적점이라는 성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적점은 윤활제가 가지는 특정 온도에서 최적의 윤활성능을 발휘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그리스의 내열성을 평가하고 그리스 사용온도를 결정하는 기준은 윤활제의 적점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소량의 오일을 미스트화시켜 베어링, 기어, 체인 드라이브 등에 윤활을 하고, 압축공기는 냉각제 역할을 하도록 고안된 윤활방식은?

  1. 적하 급유법
  2. 패드 급유법
  3. 심지 급유법
  4. 분무식 급유법
(정답률: 69%)
  •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오일을 분무시켜 미스트 상태로 만들어 베어링, 기어, 체인 드라이브 등에 윤활을 하는 방식이 분무식 급유법입니다. 이 방식은 압축공기가 미스트 상태의 오일을 빠르게 분산시켜주며, 동시에 냉각제 역할도 수행하여 윤활 효과를 극대화시킵니다. 따라서 소량의 오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윤활 효과도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윤활제의 기능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냉각작용
  2. 산화작용
  3. 마찰감소 작용
  4. 마모감소 작용
(정답률: 68%)
  • 윤활제는 마찰과 마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산화작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산화작용은 화학 반응으로 인해 물질이 산화되는 것을 말하며, 윤활제는 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화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압축기의 내부 윤활유의 요구 성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식 방지성이 좋을 것
  2. 적정한 점도를 가질 것
  3. 산화안정성이 양호할 것
  4. 생성 탄소가 경질일 것
(정답률: 72%)
  • 생성 탄소가 경질일 것은 압축기 내부에서 윤활유가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분해되어 생성되는 탄소가 경질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압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새김 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내부 윤활유는 생성 탄소가 경질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윤활제의 공급법 중 순환급유법이 아닌 것은?

  1. 바늘 급유법
  2. 비말 급유법
  3. 유욕 급유법
  4. 원심 급유법
(정답률: 55%)
  • 바늘 급유법은 윤활유를 바늘로 직접 주입하는 방법으로, 순환급유법과는 달리 윤활유를 시스템 내부에서 순환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바늘 급유법은 윤활유를 일부분만 사용하는 작은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극압 윤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격하중이 있는 곳에 필요하다.
  2. 완전 윤활 또는 후막 윤활이라고도 한다.
  3. 첨가제로 유황, 염소, 인 등이 사용된다.
  4. 고하중으로 금속의 접촉이 일어나는 곳에 필요하다.
(정답률: 50%)
  • "완전 윤활 또는 후막 윤활이라고도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윤활유가 유화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수분과의 접촉이 없을 때
  2. 기름의 산화가 많이 일어났을 때
  3. 윤활유가 열화하여 이물질분이 증가되어 고점도유에 이르렀을 때
  4. 운전조건이 가혹해서 탄화수소분의 변질을 가져왔을 때
(정답률: 68%)
  • "수분과의 접촉이 없을 때"는 윤활유가 외부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수분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되고 사용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 윤활유는 외부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유화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

81.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동일한 유압원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계 조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회로는?

  1. 증압 회로
  2. 시퀀스 회로
  3. 언로드 회로
  4. 카운터 밸런스 회로
(정답률: 74%)
  • 시퀀스 회로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동일한 유압원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계 조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여러 가지 기계 조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회로이므로 정답은 시퀀스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실린더를 선정할 때 주요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스트로크
  2. 유압 펌프의 종류
  3. 실린더의 작동속도
  4. 부하의 크기와 그것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
(정답률: 63%)
  • 유압 펌프의 종류는 실린더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실린더의 작동속도, 스트로크, 부하의 크기와 그것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은 모두 실린더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부하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체를 통해 전원에서 부하까지 전류가 흘러야한다. 이때 이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도체 저항
  2. 부하 저항
  3. 전원 저항
  4. 절연 저항
(정답률: 56%)
  •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도체 저항, 부하 저항, 전원 저항이다. 그러나 절연 저항은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절연 저항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개의 도체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절연 저항은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비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중은 무차원 수이다.
  2. 단위는 N/m3을 사용한다.
  3. 물의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4. 표준대기압 0℃ 물의 비중량에 대한 비로 표시한다.
(정답률: 51%)
  • 비중은 물질의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단위는 없으며 무차원 수이다. 따라서 "비중은 무차원 수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비중과 관련된 용어나 개념이지만, 비중의 단위나 정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압력 및 체적이 변화할 때, 압력과 체적은 서로 반비례한다는 법칙은?

  1. 보일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베르누이 법칙
  4. 보일-샤를의 법칙
(정답률: 60%)
  • 기체의 온도가 일정하다면, 기체 분자의 운동에너지는 일정하므로 압력과 체적은 서로 반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V = 상수 (P는 압력, V는 체적)이 된다. 이 법칙은 보일의 법칙이다. 따라서 정답은 "보일의 법칙"이다. "샤를의 법칙"은 기체의 부피가 일정한 상태에서 온도와 압력이 비례한다는 법칙이고, "베르누이 법칙"은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한다는 법칙이다. "보일-샤를의 법칙"은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을 합친 것으로, 기체의 온도, 압력, 체적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법칙이다.
  • 보일: 온도 일정
    샤를: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
    베르누이: 유체의 흐름이 빠른곳이 느린곳보다 압력이 낮다
    보일-샤를: 기체의 온도, 부피, 압력 관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단상 유도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될 때의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퓨즈 단락
  2. 베어링 불량
  3. 서머 릴레이 작동
  4. 코일의 소손
(정답률: 49%)
  • 단상 유도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될 때, 베어링 불량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베어링이 손상되면 회전 중에 마찰이 발생하여 회전 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동기의 회전 속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베어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전동기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공기압축기의 운전방법 중 압력 릴리프 밸브를 사용하는 방법은?

  1. 배기 조절
  2. 흡입 조절
  3. 그립-암 조절
  4. ON/OFF 조절
(정답률: 61%)
  • 압력 릴리프 밸브는 공기압축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밸브입니다. 이 밸브를 사용하여 압력을 배출하면 공기압축기 내부의 압력을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 릴리프 밸브를 사용하는 방법은 "배기 조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간헐 반송기기에 해당하는 것은?

  1. 무인 반송차
  2. 체인 컨베이어
  3. 벨트 컨베이어
  4. 드라브인 래크
(정답률: 68%)
  • 무인 반송차는 자동차 형태의 기계로, 제품을 반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품을 싣고 목적지까지 이동하며, 인력이 필요하지 않은 자동화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간헐 반송기기에 해당합니다. 체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는 제품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이지만, 반송 기능은 없습니다. 드라브인 래크는 제품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기계이며, 반송 기능도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공기압 유량제어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압 회로의 유량을 조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은 교축 밸브이다.
  2. 공기압 실린더의 속도제어를 위해 방향제어밸브와 실린더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은 속도제어밸브이다.
  3. 공기압의 속도제어는 배기 교축에 의한 속도제어 회로를 주로 채택한다.
  4. 공기압 실린더의 배기 유량을 감소시켜 실린더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급속 배기 밸브이다.
(정답률: 51%)
  • 공기압 실린더의 배기 유량을 감소시켜 실린더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급속 배기 밸브가 아니라 속도제어밸브이다. 급속 배기 밸브는 실린더 내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급격한 정지나 반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공기압 및 유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압은 인화나 폭발의 위험이 없다.
  2. 공기압은 공기탱크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3. 유압은 위치 제어성이 우수하고, 이송 속도도 매우 빠르다.
  4. 유압은 가스나 스프링 등을 이용한 축압기에 소량의 에너지 저장이 가능하다.
(정답률: 57%)
  • "유압은 위치 제어성이 우수하고, 이송 속도도 매우 빠르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유압은 액체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위치 제어성이 우수하고, 이송 속도도 빠르다. 이는 액체의 불안정성이 적기 때문이다. 또한, 유압은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유압은 위치 제어성이 우수하고, 이송 속도도 매우 빠르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압 회로 중 최고 압력을 제한하여 회로내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유압기기는?

  1. 셔틀밸브
  2. 체크밸브
  3. 릴리프밸브
  4. 디셀러레이션 밸브
(정답률: 63%)
  • 릴리프밸브는 유압 회로에서 최고 압력을 제한하여 회로 내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유압기기입니다. 회로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릴리프밸브가 작동하여 과부하를 방지하고 회로를 안전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릴리프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비용적형 유압펌프가 아닌 것은?

  1. 원심펌프
  2. 축류펌프
  3. 피스톤펌프
  4. 사류펌프
(정답률: 50%)
  • 비용적형 유압펌프는 유체를 압축하여 움직이는 펌프이지만, 피스톤펌프는 유체를 피스톤으로 압축하여 움직이는 펌프이기 때문에 비용적형 유압펌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순차적인 작업에서 전 단계의 작업완료 여부를 리밋 스위치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는?

  1. 논리 종속 시퀀스 제어
  2. 동기 종속 시퀀스 제어
  3. 시간 종속 시퀀스 제어
  4. 위치 종속 시퀀스 제어
(정답률: 47%)
  • 위치 종속 시퀀스 제어는 작업의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리밋 스위치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 단계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후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므로 순차적인 작업에 적합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위치 종속 시퀀스 제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무인 반송차(AGV)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보관 능력이 향상된다.
  2.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크다.
  3. 정지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4. 자기 진단과 컴퓨터 교신 기능이 있다.
(정답률: 52%)
  • "보관 능력이 향상된다."가 틀린 것이다. AGV는 보통 물류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관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라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AGV는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크고 정지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자기 진단과 컴퓨터 교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기압 작업요소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격판 실린더는 격판에 부착된 피스톤 로드가 미끄럼 실링 되어있다.
  2. 회전 실린더는 피니언과 랙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3. 탠덤 실린더는 2개의 복동 실린더가 1개의 실린더 형태로 된 것이다.
  4. 다위치제어 실린더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복동 실린더로 구성된다.
(정답률: 43%)
  • "격판 실린더는 격판에 부착된 피스톤 로드가 미끄럼 실링 되어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격판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가 직접 격판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와 격판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공간에 압축된 공기가 피스톤 로드를 움직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유도형 센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력 소모가 적다.
  2. 자석 효과가 없다.
  3. 감지 물체안에 온도 상승이 없다.
  4. 비금속재료 감지용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56%)
  • 유도형 센서는 비금속재료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비금속재료 감지용으로 사용한다."는 특징이 아니다. 유도형 센서의 특징은 전력 소모가 적고 자석 효과가 없으며 감지 물체 안에 온도 상승이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방향 제어 밸브 조작 방식 명칭과 기호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전자 방식 -
  2. 페달 방식 -
  3. 플런저 방식 –
  4. 누름버튼 방식 –
(정답률: 57%)
  • 정답은 "전자 방식 -"이다.

    전자 방식은 기호로 를 사용해야 하지만, 실수로 를 사용한 것이다.

    즉, 전자 방식은 페달 방식과는 다르게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방향 제어를 조작하는 방식이며,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유압 변환기의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적절한 것은?

  1. 수평방향으로 설치한다.
  2. 발열장치 가까이 설치한다.
  3. 반드시 액추에이터보다 낮게 설치한다.
  4. 액추에이터 및 배관 내의 공기를 충분히 뺀다.
(정답률: 58%)
  • 공유압 변환기는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작동하는데, 이때 액추에이터와 변환기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환기를 설치하기 전에 액추에이터와 배관 내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오일 탱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일 탱크의 크기는 펌프 토출량과 동일하게 제작한다.
  2. 에어 블리저 용량은 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으로 제작한다.
  3. 스트레이너 유량은 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4. 오일 탱크의 유면계를 운전할 때 잘 보이는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률: 67%)
  • "오일 탱크의 크기는 펌프 토출량과 동일하게 제작한다."가 틀린 것이다. 오일 탱크의 크기는 펌프 토출량보다 크게 제작하여 오일의 저장량을 늘리고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제작한다. 이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의 오일 공급 부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제어량이 온도, 압력, 유량, 액면 등과 같은 일반 공업량일 때 발생하는 신호의 형태에 의한 제어는?

  1. 2진 제어
  2. 논리 제어
  3. 디지털 제어
  4. 아날로그 제어
(정답률: 62%)
  • 온도, 압력, 유량, 액면 등과 같은 일반 공업량은 연속적인 값을 가지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아날로그 제어"가 정답이다. 2진 제어, 논리 제어, 디지털 제어는 이산적인 값을 가지므로, 이러한 제어량을 제어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