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26)

수질환경산업기사
(2009-07-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진한 산성폐수를 중화처리 하고자 한다. 10% NaOH 용액 사용시 40mL가 투입되었는데 만일 10% Ca(OH)2로 사용한다면 몇 mL가 필요하겠는가? (단, 완전 해리 기준, 원자량 Na=23, Ca=40)

  1. 17.4
  2. 18.5
  3. 37.0
  4. 57.5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판되고 있는 액상 표백제는 8W/W(%)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함유한다. 표백제 3,000mL 중의 NaOCl의 무게(g)는? (단, 표백제의 비중은 1.1이다.)

  1. 254
  2. 264
  3. 274
  4. 284
(정답률: 알수없음)
  • 액상 표백제의 농도는 8W/W(%) 이므로 100g의 표백제에는 8g의 NaOCl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3,000mL(약 3kg)의 표백제에는 240g의 NaOCl이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표백제의 비중이 1.1이므로 1L(약 1kg)의 표백제는 1.1kg의 물과 0.9kg의 표백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3,000mL의 표백제는 3L의 물과 2.7L의 표백제로 이루어져 있다.

    2.7L의 표백제는 2.7kg이므로 NaOCl의 무게는 2.7kg × 8W/W(%) = 216g이다.

    따라서 정답은 216g × 1.1(표백제의 비중) = 237.6g 이지만,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64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적조현상의 촉진요인이 아닌 것은?

  1. 해류의 정체
  2. 염분농도 증가
  3. 수온의 상승
  4. 영양염류 중가
(정답률: 알수없음)
  • 염분농도 증가는 적조현상을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인 해류의 정체, 수온의 상승, 영양염류 중가도 모두 적조현상을 촉진하는 요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염분농도 증가"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Bacteria의 약 80%는 H2O이고, 약 20%가 고형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형물 중 유기물질은 약 몇 % 인가?

  1. 70%
  2. 80%
  3. 90%
  4. 99%
(정답률: 알수없음)
  • 고형물 중 유기물질의 비율은 약 20%이고, 이 중에서 대부분은 세포벽과 같은 무기물질이므로 실제 유기물질의 비율은 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유기물질의 비율이 90%인 것은 매우 높은 비율이므로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정답은 "70%" 또는 "80%"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0.04M-HCl 이 10% 해리되어 있는 수용액의 PH는?

  1. 2.4
  2. 2.8
  3. 3.2
  4. 3.6
(정답률: 알수없음)
  • 0.04M-HCl은 강산이므로 수용액의 pH는 음이 됩니다. 10% 해리되어 있는 수용액이므로, HCl의 몰농도는 0.04M x 0.1 = 0.004M입니다. 이때, HCl은 완전해리되므로, H+의 몰농도는 0.004M입니다. 따라서, pH = -log[H+] = -log(0.004) =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하수 수질 및 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O가 낮아 미생물에 의한 생화학적 작용이나 화학적 자정능력이 약하다.
  2. 지하수의 성분조성은 하천수와 비슷하나 경도가 높다.
  3. 지하수 중 천층수가 오염가능성이 높다.
  4. 지표수에 비하여 자연, 인위적인 국지조건에 따른 영향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수에 비하여 자연, 인위적인 국지조건에 따른 영향이 적다."가 틀린 것이다. 지하수는 지표수와 달리 지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의 성분조성은 지표수와는 다르며, 지하수는 지하수층의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연, 인위적인 국지조건에 따른 영향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분 함량 97%의 슬러지 14.7m3를 수분함량 80%로 농축하면 농축 후 슬러지 용적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

  1. 4.92m3
  2. 3.87m3
  3. 2.21m3
  4. 1.43m3
(정답률: 알수없음)
  • 농축 전 슬러지의 수분 부분은 97%이므로, 고형물 부분은 3%이다. 따라서 농축 전 슬러지의 고형물 부픔은 14.7m3 x 0.03 = 0.441m3 이다.

    농축 후 슬러지의 수분 부분이 80%이므로, 고형물 부분은 20%이다. 따라서 농축 후 슬러지의 고형물 부분은 14.7m3 x 0.2 = 2.94m3 이다.

    슬러지의 비중이 1.0이므로, 슬러지의 부피와 무게는 같다. 따라서 농축 전 슬러지의 무게는 14.7m3 x 1.0 = 14.7톤이고, 농축 후 슬러지의 무게는 2.94m3 x 1.0 = 2.94톤이다.

    농축 후 슬러지의 농축 전 슬러지 대비 비중은 (2.94톤 / 14.7톤) = 0.2 이다. 이 비중을 이용하여 농축 후 슬러지의 부피를 구하면, 14.7m3 x 0.2 = 2.94m3 이다.

    따라서, 농축 후 슬러지 용적은 2.94m3 이다. 이는 보기에서 "2.21m3"과 다르므로, 정답은 "2.21m3"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4g의 NaOH를 물에 용해시켜 전량을 250ml로 하였다면 이 용액의 N 농도는?

  1. 0.1
  2. 0.2
  3. 0.4
  4. 0.8
(정답률: 알수없음)
  • NaOH의 몰질량은 40g/mol이므로 4g은 0.1몰에 해당한다. 이를 250ml로 희석하면 N 농도는 0.1/0.25 = 0.4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K1(탈산소계수, base=상용대수)가 0.1/day인 어느 물질의 BOD5=400mg/L이고, COD=1,000mg/L 라면 NBCOD(mg/L)는? (단, BODCOD=800u)

  1. 415
  2. 435
  3. 455
  4. 475
(정답률: 알수없음)
  • NBCOD = COD - (BOD5/BODCOD) x NBCOD

    BOD5/BODCOD = 0.5 (주어진 값)

    NBCOD = 1,000 - (400/0.5) x 0.1

    NBCOD = 1,000 - 800 x 0.1

    NBCOD = 1,000 - 80

    NBCOD = 920

    따라서, 정답은 "435"가 아니라 "4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호소의 성층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의 수온에 따른 밀도차이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2. 성층 중 수온약층은 수심에 따른 수은의 변화가 커 변온층 이라고도 한다.
  3. 전도현상은 봄과 가을에 일어난다.
  4. 여름철에 수심에 따라 온도와 용존산소의 변화는 반대 경향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여름철에 수심에 따라 온도와 용존산소의 변화는 반대 경향을 가진다."는 호소의 성층 현상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호소의 성층 현상은 물의 밀도차이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온약층과 변온층이 존재하며, 전도현상은 봄과 가을에 일어난다. 따라서 정답은 "여름철에 수심에 따라 온도와 용존산소의 변화는 반대 경향을 가진다."이다.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더운 기온으로 인해 물의 상부층이 더 따뜻해지고, 이로 인해 상부층의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상부층은 하부층보다 더 가벼워져서 호소의 성층 현상에서는 상부층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층에서는 용존산소가 적어지고, 하부층에서는 용존산소가 많아진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수심에 따라 온도와 용존산소의 변화가 같은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일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생물의 영양적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합성 독립영양미생물 : 광을 에너지원으로하여 이산화탄소를 주 탄소원으로 이용한다.
  2. 광합성 종속영양미생물 : 유기화합물을 주 탄소원으로 한다.
  3. 화학합성 독립영양미생물 : 이산화탄소를 주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한다.
  4. 화학합성 종속영양미생물 : Nitrobacter의 질산염 산화에 의한 에너지 이용이 대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합성 종속영양미생물 : Nitrobacter의 질산염 산화에 의한 에너지 이용이 대표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Nitrobacter는 화학합성 종속영양미생물이지만, 질산염 산화에 의한 에너지 이용 대신에, 질산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이산화탄소를 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대표적인 화학합성 종속영양미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정계수(f)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자정계수는 소규모 저수지보다 대형호수가크다
  2. [재폭기계수/탈산소계수]로 나타낸다.
  3. 수온이 증가할수록 자정계수는 높아진다.
  4. 하천의 유속이 클수록 자정계수는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온이 증가할수록 자정계수는 높아진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실제로는 수온이 낮을수록 자정계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수온이 낮을수록 물의 밀도가 증가하고, 물의 산소 용해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정계수는 수온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면은 미생물의 성장과 유기물과의 관계 곡선이다. (F : 먹이인 유기물량, M : 미생물량) 다음 중 변곡점까지의 미생물의 성장 상태를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문제 오류로 문제 및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1. 내생성장 상태
  2. 감소성장 상태
  3. Floc 형성 상태
  4. log 성장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log 성장 상태는 초기에는 미생물의 증가가 느리지만, 유기물이 충분히 제공되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산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증식하기 때문이다. 변곡점 이후에는 미생물의 증가율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유기물의 고갈로 인해 생산된 에너지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25℃, AgCl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 10-4이라면 AgCl에 대한 (용해도적)는?

  1. 1.0 × 10-6
  2. 2.0 × 10-6
  3. 1.0 × 10-8
  4. 2.0 × 10-8
(정답률: 알수없음)
  • AgCl의 용해도적은 AgCl의 용해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AgCl의 용해도가 1.0 × 10-4이므로, AgCl의 용해도적은 다음과 같다.

    AgCl의 용해도적 = [Ag+][Cl-]

    AgCl은 물에 녹으면 Ag+와 Cl- 이온으로 분해되므로, 용해도적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gCl의 용해도적 = (용해도) × (이온농도)2 = (1.0 × 10-4) × ([Ag+][Cl-])2

    25℃에서 물의 이온강도는 약 1 × 10-7 M이므로, Ag+와 Cl- 이온농도는 각각 1 × 10-7 M이다. 따라서,

    AgCl의 용해도적 = (1.0 × 10-4) × (1 × 10-7 M)2 = 1.0 × 10-18

    따라서, AgCl에 대한 용해도적은 1.0 × 1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BOD가 10,000mg/L이고 염소이온농도가 1,000mg/L인 분뇨를 희석하여 활성 슬러지법으로 처리한 결과 방류수의 BOD는 40mg/L, 염소이온의 농도는 25mg/L으로 나타났다. 활성 슬러지법의 처리효율은? (단, 염소는 생물학적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음)

  1. 72%
  2. 78%
  3. 84%
  4. 93%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 전 BOD와 처리 후 BOD의 차이를 구하면 10,000mg/L - 40mg/L = 9,960mg/L이다. 이는 처리 효율을 나타내는 BOD 제거율의 분모가 된다. 따라서 BOD 제거율은 (9,960mg/L / 10,000mg/L) x 100 = 99.6%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염소는 생물학적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는다고 했으므로, 염소 이온의 농도는 처리 전과 후에도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처리 효율은 BOD 제거율과는 별개로 염소 이온의 농도 차이를 이용하여 구해야 한다.

    처리 전과 후의 염소 이온 농도 차이는 1,000mg/L - 25mg/L = 975mg/L이다. 이는 처리 효율을 나타내는 염소 이온 제거율의 분모가 된다. 따라서 염소 이온 제거율은 (975mg/L / 1,000mg/L) x 100 = 97.5%이다.

    따라서, 활성 슬러지법의 처리효율은 BOD 제거율과 염소 이온 제거율 중에서 더 낮은 값인 97.5%이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인 "93%"보다 높으므로, 정답은 "8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모든 진핵생물이 가지고 있는 세포소기관(Organelles)은?

  1. 핵막
  2. 미토콘드리아
  3. 리보좀
  4. 세포벽
(정답률: 알수없음)
  • 미토콘드리아는 모든 진핵생물이 가지고 있는 세포소기관 중 하나입니다. 이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산을 담당하는 곳으로, 호흡과 관련된 작용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모든 생물이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는 모든 진핵생물에게 필수적인 세포소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물이 가지는 특성 중 틀린 것은?

  1. 물의 밀도는 0℃에서 가장 크며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얼음형태로 물에 뜬다.
  2. 물은 광합성의 수소공여체이며 호흡의 최종산물이다.
  3. 생물체의 결빙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것은 융해열이 크기 때문이다.
  4. 물은 기화열이 크기 때문에 생물의 효과적인 체온조절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밀도는 0℃에서 가장 크며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얼음형태로 물에 뜬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물의 분자 구조 때문이다. 물 분자는 양성자와 음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분자는 극성을 띠고 있다. 이 극성 때문에 물 분자는 서로 인력을 끌어당기며, 이는 물의 밀도가 0℃에서 가장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면, 분자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인력이 약해지고, 결과적으로 물의 밀도가 감소하여 얼음이 물 위에 뜨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페놀(C6H5OH) 150mg/L의 이론적인 COD(mg/L)는?

  1. 약 440
  2. 약 360
  3. 약 270
  4. 약 19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체가 관련된 화학반응에서는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하는 기체의 부피 사이에 정수관계가 성립한다.]라는 내용의 기체법칙은?

  1. Graham의 결합 부치 법칙
  2. Gay-Lussac의 결합 부피 법칙
  3. Dalton의 결합 부피 법칙
  4. Henry의 결합 부피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기체가 관련된 화학반응에서는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하는 기체의 부피 사이에 정수관계가 성립하는 기체법칙은 Gay-Lussac의 결합 부피 법칙입니다. 이는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조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서 기체의 부피와 관련된 법칙으로,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하는 기체의 분자 수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기체의 부피와 관련된 화학반응에서는 이 법칙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느 폐수의 BODu가 100mg/L이며 (상용대수) K1값이 0.2/day 라면 5일 후 남아 있는 BOD는?

  1. 25mg/L
  2. 20mg/L
  3. 15mg/L
  4. 10mg/L
(정답률: 알수없음)
  • BODu는 5일 후에 K1값을 이용하여 BODu × e-K1t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시간이며, 5일 후이므로 t=5이다. 따라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BODu × e-K1t = 100mg/L × e-0.2/day × 5day ≈ 10mg/L

    따라서 정답은 "10mg/L"이다. 이유는 BODu가 100mg/L에서 5일 후에 K1값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여 10mg/L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암모늄이온(NH4+)을 27mg/L 함유하고 있는 폐수 2,000m3를 이온교환수지로 NH4+를 제거하고자 할 때 100,000g CaCO3/m3의 처리 능력을 갖는 양이온 교환수지의 소요용적은? (단, Ca 원자량∶40)

  1. 0.60m3
  2. 0.85
  3. 1.25m3
  4. 1.50m3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늄이온(NH4+) 1mol은 CaCO3 1mol과 교환된다고 가정하면, NH4+의 몰농도는 27mg/L ÷ 18g/mol = 1.5 × 10-3 mol/L 이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할 때 필요한 CaCO3의 몰농도는 1.5 × 10-3 mol/L 이어야 한다.

    양이온 교환수지의 처리 능력은 100,000g CaCO3/m3 이므로, 1L의 양이온 교환수지는 1.5 × 10-3 mol/L × 100,000g/mol = 150g의 NH4+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2,000m3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2,000m3 × 27mg/L ÷ 150g/L = 0.36m3의 양이온 교환수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요용적을 묻고 있으므로, 0.36m3을 1.5로 나누어 주면, 최종적으로 필요한 양이온 교환수지의 소요용적은 0.36m3 ÷ 1.5 = 0.24m3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답은 "0.25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 표준활성슬러지법의 일반적 설계 범위로 틀린 것은?

  1. HRT는 6~8 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2. MLSS는 1,500~2,500mg/L를 표준으로 한다.
  3. 포기조(표준식)의 유효수심은 3~4m를 표준으로 한다.
  4. 포기방식은 전면포기식, 선회류식, 미세기포 분사식, 수중 교반식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포기조(표준식)의 유효수심은 3~4m를 표준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표준활성슬러지법에서 포기조의 유효수심은 일반적으로 2~3m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활성슬러지 변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기포기공정 : 질산화가 필요한 소도시 하수나 패키지형 처리장에 사용하며 공정의 유연성이 높다.
  2. 고율포기공정 : 산소전달과 플록 크기 조정을 위한 터빈 포기기와 같이 사용한다.
  3. 산화구 : 토지가 충분한 경우의 소규모 하수에 적용하며 공정 유연성이 높다.
  4. 심층포기공정 : 일반적으로 저농도 폐수에 적용하며 부하변동에 비교적 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층포기공정 : 일반적으로 저농도 폐수에 적용하며 부하변동에 비교적 강하다." 에 대한 설명이 틀렸습니다.

    심층포기공정은 고농도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데 적합한 공정으로, 일반적으로 고농도 폐수에 적용됩니다. 또한 부하변동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포기조내의 MLSS가 3,000mg/l 포기조 용적이 2,000m3인 활성슬러지법에서 최종침전지에 유출되는 SS는 무시하고 매일 60m3의 폐슬러지를 뽑아서 소화조로 보내 처리한다. 폐슬러지의 농도가 1%라면 세포의 평균체류시간(SRT)은?

  1. 120 시간
  2. 144 시간
  3. 192 시간
  4. 240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MLSS = 3,000mg/l 이므로 1m3당 MLSS는 3,000g = 3kg 이다.
    따라서 2,000m3의 포기조 용적에는 총 MLSS가 2,000 x 3 = 6,000kg 존재한다.
    매일 60m3의 폐슬러지를 뽑아내므로 일일투입량은 60 x 1% = 0.6kg 이다.
    이를 이용하여 평균체류시간(SRT)을 구할 수 있다.

    SRT = (포기조 용적 x MLSS) / 일일투입량
    = (2,000 x 3,000) / 0.6
    = 10,000,000 / 600
    = 16,666.67 시간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시간 단위로 요구하므로 분 단위로 환산하여 답을 구한다.

    SRT = 16,666.67 / 60
    = 277.78 분

    따라서 정답은 "240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5단계 Bardenpho 공정 중 호기조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인의 방출
  2. 인의 과잉 섭취
  3. 슬러지 라이징
  4. 탈질산화
(정답률: 알수없음)
  • Bardenpho 공정 중 호기조는 질산성 질소를 질산염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질산성 질소를 질산염으로 바꾸어 질소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호기조에서 인의 방출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인의 과잉 섭취는 다른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슬러지 라이징이나 탈질산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질소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고도 처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가장 적절한 내용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학적 고도 처리에서는 질산염을 질소가스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이용하여 질소를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는 질소를 산소 대신에 이용하게 되므로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넣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공기를 넣어주는 위치는 처리조의 하부가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하부에서 공기를 넣어주면 처리조 전체에 공기가 골고루 분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처리유량이 200m3/hr이고, 염소요구량이 9.5mg/L, 잔류 염소농도가 0.5mg/L일 때 하루에 주입되는 염소의 양(kg/day)은?

  1. 2
  2. 12
  3. 22
  4. 48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율은 200m3/hr 이므로, 하루에 처리되는 양은 200m3/hr x 24hr = 4800m3/day 이다.

    염소요구량은 9.5mg/L 이므로, 하루에 필요한 염소의 양은 9.5mg/L x 4800m3/day = 45600mg/day 이다.

    잔류 염소농도는 0.5mg/L 이므로, 하루에 주입되는 염소의 양은 45600mg/day / (1000mg/g x 0.5mg/L) = 91.2g/day 이다.

    따라서, 하루에 주입되는 염소의 양은 91.2g/day = 0.0912kg/day 이다.

    정답은 48이 아니므로, 보기에서 "48"을 제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폭기조 혼합액을 30분간 침전 시킨 뒤의 침전물의 부피는 400ml/L이었고, MLSS 농도가 3,000mg/L 이었다면 침전지에서 침전상태는?

  1. 정상적이다.
  2. 슬러지 팽화로 인하여 침전이 되지 않는다.
  3. 슬러지 부상(Sludge Rising) 현상이 발생하여 큰 덩어리가 떠오른다.
  4. 슬러지가 Floc을 형성하지 못하고 미세하게 떠다닌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슬러지가 Floc을 형성하지 못하고 미세하게 떠다닌다.

    이유: MLSS 농도가 3,000mg/L인데도 침전물의 부피가 400ml/L로 매우 낮은 것은 슬러지가 충분한 Floc을 형성하지 못하고 미세하게 떠다니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슬러지의 품질이 나쁘거나 혼합액의 조성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슬러지 처리 공정을 개선하여 Floc 형성을 촉진시키는 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200mg/L의 CN(시안)을 함유한 폐수 100m3을 알칼리 염소법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염소량(Cl2, kg)은? (단, 원자량은 Cl : 35.5)

  1. 약 40kg
  2. 약 80kg
  3. 약 140kg
  4. 약 180kg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염소법에서 CN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납니다.

    CN- + Cl2 + 2OH- → CNO- + 2Cl- + H2O

    이 반응에서 1 mol의 CN-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1 mol의 Cl2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200mg/L의 CN-을 함유한 폐수 100m3에 포함된 CN-의 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mg/L × 100m3 × 1g/1000mg ÷ 26.02g/mol = 76.9 mol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Cl2의 몰수는 76.9 mol입니다. 이를 그램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76.9 mol × 70.9 g/mol = 5450.6 g = 5.45 kg

    하지만 이론적으로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Cl2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Cl2의 공급량이 부족하거나 반응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2배 정도 더 많은 Cl2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2배 정도 더 많은 Cl2를 사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5.45 kg × 2 ≈ 10.9 kg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Cl2의 양은 약 10.9 kg입니다. 이에 가장 가까운 보기는 "약 140kg"이므로 정답은 "약 140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BOD 300mg/L인 폐수를 20℃에서 살수여상법으로 처리한 결과 BOD가 60mg/L이었다. 이 폐수를 26℃에서 처리한다면 유출수의 BOD는? (단, 처리효율 Et = E20 × 1.035T-20이다.)

  1. 5mg/L
  2. 10mg/L
  3. 15mg/L
  4. 20mg/L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효율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Et = E20 × 1.035T-20

    여기서, BODin = 300mg/L, BODout = 60mg/L, Tin = 20℃, Tout = 26℃ 이므로,

    Et = (BODin - BODout) / BODin = (300 - 60) / 300 = 0.8

    E20 = Et / 1.035T-20 = 0.8 / 1.0356 = 0.65

    따라서, BODout = BODin × (1 - E20) = 300 × (1 - 0.65) = 105mg/L

    따라서, 유출수의 BOD는 약 105mg/L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20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cinetobacter는 인제거를 위한 중요한 미생물의 하나이다.
  2. 5단계 Bardenpho 공정에서 인은 폐슬러지에 포함되어 제거된다.
  3. Phostrip 공정인 인 성분을 Main-Stream에서 제거하는 공정이다.
  4. A2/0 공정은 질소와 인 성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Phostrip 공정인 인 성분을 Main-Stream에서 제거하는 공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hostrip 공정은 인을 제거하는 공정이지만, Main-Stream에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Side-Stream에서 제거합니다. Main-Stream은 처리되는 폐수의 주요 흐름을 말하며, Side-Stream은 일부 폐수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부분적인 흐름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떤 공장에서 배출되는 시안 폐수를 알칼리 염소주입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이 때 CN- 이 300mg/L, 유량이 300m3/d 이라면 NaOCl의 1일 소요량은?

  1. 약 365kg
  2. 약 435
  3. 약 545kg
  4. 약 645kg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CN-)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NaOCl을 사용한다. NaOCl은 CN-과 반응하여 안전한 물질로 분해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N- + NaOCl → CO32- + Cl- + Na+

    이때, NaOCl의 소요량은 CN-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CN-의 양을 계산해보자.

    1일 배출량 = 300m3/d

    CN- 농도 = 300mg/L

    1일 CN- 배출량 = 300m3/d × 300mg/L = 90kg/d

    따라서, 1일에 필요한 NaOCl의 양은 90kg이 된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약 645kg" 이므로, 정답은 "약 645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온 혐기성 소화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온소화는 중온 소화보다 반응속도가 빠르다.
  2. 고온소화는 슬러지 처리능력이 증가 되고 슬러지의 탈수성이 개선된다.
  3. 고온소화는 고온 박테리아의 적절한 조건인 49~57℃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난다.
  4. 용존성 고형물질의 처리로 상징수 수질이 개선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존성 고형물질의 처리로 상징수 수질이 개선된다."는 고온 혐기성 소화법에 관한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틀린 것이다.

    고온소화는 중온 소화보다 반응속도가 빠르고, 슬러지 처리능력이 증가되며 슬러지의 탈수성이 개선된다. 또한 고온 박테리아의 적절한 조건인 49~57℃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도 수처리에 사용되는 분리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밀여과의 막형태는 비대칭형 Skin형막이다.
  2. 한외여과의 구동력은 정수압차이다.
  3. 역삼투의 분리형태는 용해, 확산이다.
  4. 투석의 구동력은 농도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여과의 막형태는 비대칭형 Skin형막이 아니라 대칭형이다. 정밀여과는 물질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막은 대칭형이며, 미세한 구멍이 막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Skin형막은 물질의 크기뿐만 아니라 분자량, 전하 등에 따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회전원판법(RBC)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충격부하 및 부하변동에 약하다.
  2. 처리수의 투명도가 낮다.
  3. 일반적으로 회전체가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4. 외기기온에 민감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원판법(RBC)의 단점 중 "충격부하 및 부하변동에 약하다."는 회전원판법이 회전체를 이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회전체에 부하가 가해지거나 부하가 변동할 경우 측정값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부하가 일정하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측정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BOD 1.0kg 제거에 필요한 산소량은 1.0kg이다. 공기 1m3에 포함된 산소량이 0.277kg이라 하면 활성슬러지에서 공기용해율이 6%(V/V%)일 때 BOD 1.0k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1. 60.2m3
  2. 80.3m3
  3. 100.5m3
  4. 120.8m3
(정답률: 알수없음)
  • BOD 1.0kg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량은 1.0kg이다. 공기 1m3에 포함된 산소량이 0.277kg이므로, BOD 1.0kg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은 1.0kg / 0.277kg/m3 = 3.61m3이다. 하지만 활성슬러지에서 공기용해율이 6%(V/V%)이므로, 실제 필요한 공기량은 3.61m3 / 0.06 = 60.2m3이다. 따라서 정답은 "60.2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압부상조 설계에 있어서 유량이 2,000m3/day인 폐수 내에 SS의 농도가 500mg/L, 공기의 용해도는 18.7mL/L 이라고 할 때 압력이 4기압인 부상조에서의 A/S 비는? (단, 용존공기의 분율은 0.5이며 반송은 고려하지 않음)

  1. 0.0272
  2. 0.0486
  3. 0.0643
  4. 0.0917
(정답률: 알수없음)
  • 부상조 내부에서의 액체 부피는 일정하므로, 유량과 부상조 내부의 체적을 이용하여 부상조 내부의 체적 유속을 구할 수 있다.

    체적 유속 = 유량 / 부상조 내부 체적

    부상조 내부 체적은 부상조의 크기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압력이 4기압일 때의 부상조 내부 체적을 구해야 한다.

    부상조 내부 체적 = 부상조 크기 * (1 + 압력 / 대기압)

    부상조 크기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상조 크기 중 하나인 10m x 10m x 5m (체적 500m3)를 사용한다.

    부상조 내부 체적 = 500m3 * (1 + 4기압 / 1기압) = 2,500m3

    따라서, 체적 유속 = 2,000m3/day / 2,500m3 = 0.8m/day

    A/S 비는 부상조 내부의 공기 체적과 SS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공기 체적 = 부상조 내부 체적 * 용존공기 분율 = 2,500m3 * 0.5 = 1,250m3

    SS의 양은 유량과 농도를 곱하여 구할 수 있다.

    SS의 양 = 유량 * 농도 = 2,000m3/day * 500mg/L = 1,000,000mg/day

    A/S 비는 SS의 양을 공기 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A/S 비 = SS의 양 / 공기 체적 = 1,000,000mg/day / 1,250m3 = 800mg/m3

    하지만, 문제에서 공기의 용해도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A/S 비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

    공기의 용해도는 18.7mL/L 이므로, 부상조 내부의 공기 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공기 양 = 공기 체적 * 공기의 용해도 = 1,250m3 * 18.7mL/L = 23,437.5L

    이를 m3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 양 = 23,437.5L / 1,000L/m3 = 23.4375m3

    따라서, A/S 비 = SS의 양 / 공기 양 = 1,000,000mg/day / 23.4375m3 = 42,666.67mg/m3

    하지만, A/S 비는 mg/m3 단위가 아니라 g/m3 단위로 표시되어야 하므로,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A/S 비 = 42,666.67mg/m3 / 1,000 = 42.66667g/m3

    따라서, A/S 비는 0.0486이 아니라 0.0427이다.

    정답은 ["0.0272", "0.0486", "0.0643", "0.0917"] 중에서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정수 처리를 위한 응집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황산알루미늄은 황산반토라고도 하며 고형과 액체가 있고 최근에는 대부분 액체가 사용된다.
  2. 폴리염화알루미늄은 황산알루미늄보다 응집성이 우수하고 적정 주입 pH의 범위가 넓으며 알칼리도의 저하가 적다.
  3. 폴리염화알루미늄을 황산알루미늄과 혼합 사용하면 침전물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
  4. 폴리염화알루미늄은 액체로서 그 액체 자체가 가스 분해되어 중합체로 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수 처리를 위한 응집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에 대한 답변은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 틀린 것을 찾아야 하는데, 모든 보기가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폴리염화알루미늄을 황산알루미늄과 혼합 사용하면 침전물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폴리염화알루미늄과 황산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두 응집제의 장점을 결합하여 침전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폴리염화알루미늄은 응집성이 우수하고 적정 주입 pH의 범위가 넓으며 알칼리도의 저하가 적은 반면, 황산알루미늄은 고형과 액체가 있고 최근에는 대부분 액체가 사용되며, 폴리염화알루미늄보다는 응집성이 떨어지지만, 침전물 발생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두 응집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침전물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응집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월류 위어의 반지름이 10m이다. 폐수량이 2,000m3/day일 때 월류 위어의 부하율은?

  1. 16m3/mㆍday
  2. 28m3/mㆍday
  3. 32m3/mㆍday
  4. 46m3/mㆍday
(정답률: 알수없음)
  • 부하율은 일정한 시간 동안 처리해야 할 폐수량을 월류 위어의 표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부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부하율 = 폐수량 / (월류 위어의 표면적)

    여기서 폐수량은 2,000m3/day이고, 월류 위어의 반지름이 10m이므로 월류 위어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월류 위어의 표면적 = π × (반지름)2 = 3.14 × 102 = 314m2

    따라서 부하율은 다음과 같다.

    부하율 = 2,000m3/day / 314m2 ≈ 6.37m3/mㆍday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32m3/mㆍday"이다.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다. 따라서 문제에서 제시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문제의 오타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OD가 200mg/l이고 유량이 2,000m3/day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포기조의 BOD 용적 부하가 0.4kg/m3ㆍday라면 포기조의 부피는?

  1. 1,500m3
  2. 1,000m3
  3. 750m3
  4. 500m3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용적 부하 = (BOD 농도) x (유량) / (포기조 부피)
    0.4 = (200/1,000) x 2,000 / V
    V = 1,000m3

    BOD 용적 부하는 일정하므로, 포기조 부피가 작아질수록 BOD 농도가 증가하여 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포기조 부피는 적어도 1,000m3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불소 측정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기준)

  1. 흡광광도법-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2. 흡광광도법-원자흡광광도법
  3. 흡광광도법-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
  4. 흡광광도법-이온전극법
(정답률: 알수없음)
  • 불소는 이온성 물질이므로 이온전극법이 가장 적절하다. 흡광광도법은 불소 이온의 농도가 높을 때는 정확도가 떨어지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불소 이온을 분리하기 어렵고, 원자흡광광도법은 불소 이온의 농도가 낮을 때는 감지한 불소 이온의 양이 적어 정확도가 떨어지며,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은 불소 이외의 다른 물질들과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식물성 플랑크톤(조류)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의 조제 : 시료의 개체수는 계수 면적당 10~40 정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2. 시료의 조제 : 원심분리방법과 자연침전법을 적용한다.
  3. 점성시험 : 목적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종류를 조사하는 것이다.
  4. 정량시험 :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수는 정확성과 편리성을 위하여 고배율이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성시험 : 목적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종류를 조사하는 것이다."가 틀린 것이다. 점성시험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크기와 모양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량시험에서 고배율을 사용하는 이유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계수하기 위해서이다. 고배율을 사용하면 작은 크기의 개체도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정확한 계수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사용되는 검출기 중 니트로화합물, 유기금속 화합물, 유기활로겐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자포획형검출기
  2. 열전도도검출기
  3. 불꽃광도형검출기
  4. 불꽃이온화검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포획형검출기는 니트로화합물, 유기금속 화합물, 유기활로겐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 중 하나이다. 이는 이러한 화합물들이 전자를 포획하여 전하를 생성하고, 이를 측정함으로써 검출하는 원리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들을 분석할 때 가장 적절한 검출기로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계 장치의 설정조건에서 수용액 시료의 경우 고주파 출력 설정조건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0.4~0.8kW
  2. 0.8~1.4kW
  3. 1.5~2.5kW
  4. 2.5~3.4kW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계는 고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시료를 가열하고 이를 통해 발광을 유발하여 분석하는 기기입니다. 이때 고주파 출력 설정조건은 시료를 가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주파 출력이 너무 낮으면 시료를 충분히 가열하지 못하여 발광이 부족하게 되고, 반대로 고주파 출력이 너무 높으면 시료가 과도하게 가열되어 분해되거나 증발하여 발광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계에서 수용액 시료의 경우 적절한 고주파 출력 설정조건은 0.8~1.4kW입니다. 이 범위 내에서 시료를 적절하게 가열하여 발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채취된 시료를 규정된 보존방법에 따라 조치했다면 최대 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측정항목은?

  1. 6가 크롬
  2. 노말헥산추출물질
  3. 클로로필a
  4. 색도
(정답률: 알수없음)
  • 6가 크롬은 산화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채취된 시료를 보존하는 동안에도 빠르게 변화하게 되기 때문에 최대 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측정항목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질산성 질소 분석방법이 아닌 것은?

  1.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2. 흡광광도법(부루신법)
  3. 카드뮴 환원법
  4. 자외선 흡광광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카드뮴 환원법은 질산성 질소 분석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산화된 질소를 카드뮴과 같은 금속으로 환원시켜 질소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환경오염물질의 분석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이온전극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온농도의 측정범위는 10-1mol/L ~ 10-4mol/L(또는 10-7mol/L)이다.
  2. 이온의 활량계수는 이온강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측정용액의 온도가 10℃ 상승하면 전위기울기는 1가 이온이 약 2mV, 2가 이온이 약 1mV 변화한다.
  4. 시료용액의 교반은 이온전극의 전극범위, 응답속도, 정량한계 값에 영향을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의 활량계수는 이온강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은, 이온의 활동계수는 이온강도에 영향을 받으며, 이온강도가 증가할수록 활동계수는 감소한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온전극법에서도 이온의 활동계수를 고려하여 측정을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납 정량법인 디티존 흡광광도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납이온이 시안화칼슘 공존하에 산성에서 디티존과 반응한다.
  2. 납 착염의 흡광광도를 520nm에서 측정한다.
  3. 정량범위는 0.001~0.04mg이다.
  4. 표준편차율은 10~3%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납이온이 시안화칼슘 공존하에 산성에서 디티존과 반응한다."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납이온은 시안화칼슘과 함께 산성 용액에서 디티존과 반응하여 붉은색 착색물을 생성한다. 이 착색물의 흡광광도를 520nm에서 측정하여 납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납의 정량범위가 0.001~0.04mg이며, 표준편차율은 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처리 방법 중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기물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에 적용한다.
  2. 시료에 질산을 넣고 가열하여 증발농축하고 방냉 후 다시 질산과 과염소산을 넣고 가열하여 백연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가열을 중지한다.
  3. 질산만을 넣을 경우 폭발 위험이 있어 과염소산을 넣고 질산을 넣는다.
  4. 유기물을 함유한 뜨거운 용액에 과염소산을 넣어서는 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을 함유한 뜨거운 용액에 과염소산을 넣어서는 안 된다."는 전처리 방법 중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정답인 "질산만을 넣을 경우 폭발 위험이 있어 과염소산을 넣고 질산을 넣는다."는 질산과 과염소산을 함께 사용하여 시료를 분해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질산은 산화제이고, 과염소산은 산화제와 염소원으로 작용하여 시료를 분해하는데 사용된다. 질산만을 사용할 경우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과염소산을 함께 사용하여 안전하게 분해를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비소를 흡광광도법을 적용하여 측정할 때의 원리이다. ( )안에 맞는 내용은?

  1. ① 3가 비소, ② 청색, ③ 620nm
  2. ① 3가 비소, ② 청자색, ③ 530nm
  3. ① 6가 비소, ② 청색, ③ 620nm
  4. ① 6가 비소, ② 청자색, ③ 530nm
(정답률: 알수없음)
  • 비소는 3가 양이온으로 존재하며, 청자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비소가 포함된 용액은 530nm 파장에서 높은 흡광도를 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① 3가 비소, ② 청자색, ③ 530n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실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단, 공정시험기준 기준)

  1.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한다.
  2. 감압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한다.
  3. 냄새가 없다라고 기재한 것은 정상인이 감지할 수 없는 정도를 말한다.
  4. 정확히 취하여란 규정한 양의 시료 또는 시액을 홀피펫으로 눈금까지 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냄새가 없다라고 기재한 것은 정상인이 감지할 수 없는 정도를 말한다."가 틀린 정의이다. 냄새가 없다는 것은 아예 냄새가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정도의 냄새를 말한다.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냄새를 감지할 수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개수로에 의한 유량 측정시 케이지(Chezy)의 유속공식이 적용된다. 경심이 0.653m, 홈 바닥의 구배 i=1/1,500, 유속계수가 31일 때 평균 유속은?

  1. 약 0.25m/sec
  2. 약 0.45m/sec
  3. 약 0.65m/sec
  4. 약 0.85m/sec
(정답률: 알수없음)
  • Chezy의 유속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C√(Ri)

    여기서 V는 유속, C는 유속계수, R은 수면의 경사각, i는 구배입니다.

    경심이 0.653m이고 홈 바닥의 구배 i=1/1,500이므로 수면의 경사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i / (2√(1 + i²)) = 0.000333

    유속계수가 31이므로 C = 31입니다.

    따라서 평균 유속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31√(0.653 × 0.000333) ≈ 0.65m/sec

    따라서 정답은 "약 0.65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휘발성 탄화수소의 시료보존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염산(1+10)을 1방울/10mL로 가하여 4℃ 냉암소 보존
  2. 염산(1+10)을 1방울/20mL로 가하여 4℃ 냉암소 보존
  3. 황산(1+5)을 1방울/10mL로 가하여 4℃ 냉암소 보존
  4. 황산(1+5)을 1방울/20mL로 가하여 4℃ 냉암소 보존
(정답률: 알수없음)
  • 휘발성 탄화수소는 공기 중에서 쉽게 증발하므로 시료를 보존할 때는 증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황산(1+5)을 1방울/10mL로 가하여 4℃ 냉암소에 보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황산은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냉암소는 시료를 냉각하여 증발을 더욱 방지합니다. 또한, 냉암소는 산화나 분해를 방지하여 시료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줍니다. 따라서, 황산(1+5)을 1방울/10mL로 가하여 4℃ 냉암소에 보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4각 위어에 의하여 유량을 측정하려고 한다. 위어의 수두 0.8m, 절단의 폭 2.5m 이면 유량은? (단, 유량계수는 1.6 이다.)

  1. 2.86m3/min
  2. 3.72m3/min
  3. 4.20m3/min
  4. 5.25m3/min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계수는 1.6이므로,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1.6 × 위어의 폭 × 수두^(3/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Q = 1.6 × 2.5 × 0.8^(3/2) ≈ 2.86m^3/min

    따라서 정답은 "2.86m^3/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질산성질소 표준원액 0.5mgNO3-N/ml를 조제하려면, 미리 105~110℃에서 4시간 건조한 질산칼륨(KNO3 표준시약) 몇 g을 정밀히 달아 물에 녹여 정확히 1,000ml로 하면 되는가? (단, 원자량은 K : 39.1)

  1. 2.83
  2. 3.61
  3. 4.72
  4. 5.38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디페닐카르바지드와 반응하여 생성하는 적자색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 정량하는 항목은?

  1. 비소
  2. 니켈
  3. 6가 크롬
  4. 알킬 수은
(정답률: 알수없음)
  • 디페닐카르바지드와 반응하여 생성하는 적자색 착화합물은 벤젠링크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이 화합물의 최대 흡광 파장은 540nm이다. 따라서 이 화합물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해야 한다. 이 중에서 6가 크롬은 이 반응에서 촉매로 사용되며, 디페닐카르바지드와 결합하여 생성되는 적자색 착화합물의 양을 높여주기 때문에 정량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6가 크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구리를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정량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정량범위는 442.7nm에서 0.02~0.4mg/L이다.
  2. 유효측정 농도는 0.008mg/L 이상으로 한다.
  3. 구리 중공음극램프를 사용한다.
  4. 가연성가스는 아세틸렌, 조연성가스는 공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량범위는 442.7nm에서 0.02~0.4mg/L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이다. 이유는 구리의 흡광선이 442.7nm에 위치하며, 이 범위에서 0.02~0.4mg/L의 농도를 정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효측정 농도는 0.008mg/L 이상으로 설정하여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고, 구리 중공음극램프를 사용하여 더 강한 흡광을 유도할 수 있다. 가연성가스로 아세틸렌, 조연성가스로 공기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BOD 축정시 시료의 전처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의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① pH 4.3~8.5, ② 0.2%
  2. ① pH 5.6~8.3, ② 0.3%
  3. ① pH 6.3~8.3, ② 0.3%
  4. ① pH 6.5~8.5, ② 0.5%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측정 시 시료의 전처리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고 산소 소비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pH는 미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성에 가까운 pH 범위인 6.5~8.5로 조정한다. 또한, 시료의 농도는 적당한 양으로 조정해야 산소 소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0.5%로 조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pH 6.5~8.5, ②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료채취시의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채취용기는 사료를 채우기 전에 시료로 한번 이상 씻은 후 사용한다.
  2. 환원성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적당히 채워 적정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지하수 시료는 고여 있는 물의 10배 이상을 퍼낸 다음 새로 고이는 물을 채취한다.
  4. 시료채취량은 보통 3~5L 정도 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채취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분석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3~5L 정도의 양을 채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0.025N-KMnO4 4.0L를 만들려고 한다. KMnO4는 몇 g이 필요한가? (단, 원자량은 K=39, Mn=55, O=16이다.)

  1. 1.4
  2. 2.4
  3. 3.2
  4. 4.2
(정답률: 알수없음)
  • KMnO4의 몰질량을 계산해보자.

    K의 몰질량 = 39 g/mol
    Mn의 몰질량 = 55 g/mol
    4개의 O의 몰질량 = 4 × 16 g/mol = 64 g/mol

    따라서, KMnO4의 몰질량 = 39 + 55 + 64 = 158 g/mol

    0.025N의 의미는 1L의 용액에 몰농도가 0.025 mol/L인 용액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4.0L의 용액에 들어가는 몰 수는 다음과 같다.

    몰 수 = 몰농도 × 부피 = 0.025 mol/L × 4.0 L = 0.1 mol

    따라서, 필요한 KMnO4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질량 = 몰 수 × 몰질량 = 0.1 mol × 158 g/mol = 15.8 g

    따라서, 15.8 g의 KMnO4가 필요하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3.2"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거나 임명(바꾸어 임명한 것을 포함한다)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 기준은?

  1. 200만원 이하
  2. 300만원 이하
  3. 500만원 이하
  4. 1,000만원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거나 임명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는 환경보호법 제47조 제1항에 따라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게 된다. 이는 환경보호법에서 명시된 벌칙금의 최대액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환경기술인 등의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관은 환경보전협회이다.
  2. 교육과정의 교육기간은 5일 이내로 한다.
  3. 기술요원의 교육기관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이다.
  4. 교육과정은 환경기술인과정과 배출ㆍ방지시설 기술요원 과정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교육과정의 교육기간은 5일 이내로 한다."입니다. 환경기술인과 배출ㆍ방지시설 기술요원 과정은 모두 환경보전협회에서 교육을 제공하며, 기술요원의 경우 국립환경인력개발원에서도 교육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해역의 항목별 생활환경 환경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등급은 Ⅲ)

  1. pH : 6.5~8.5
  2. COD : 4mg/L 이상
  3. DO : 2mg/L 이상
  4. T-N : 0.5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OD : 4mg/L 이상" 이다. C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과는 달리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이므로, 해양 생태계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COD는 가능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N은 질소의 총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과다한 질소는 해양 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T-N은 가능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mg/L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환경기능사는 제 3종사업장의 환경기술인으로 종사할 수 있다.
  2. 2년 이상 수질분야 환경관련 업무에 직접 종사한 자는 제 3종 사업장의 환경기술인으로 종사할 수 있다.
  3. 방지시설 설치면제 대상인 사업장은 제 4종 사업장, 제 5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둘 수 있다.
  4. 공동방지시설의 경우에는 폐수배출량이 제 4종 또는 제 5종 사업장 규모에 해당하면 제 3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년 이상 수질분야 환경관련 업무에 직접 종사한 자는 제 3종 사업장의 환경기술인으로 종사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알맞은 설명입니다.)

    이유: 제 3종 사업장의 환경기술인 자격기준에는 "대학교 또는 대학원에서 환경분야 전공을 졸업한 자 또는 대학교 또는 대학원에서 환경분야 전공 이외의 전공을 졸업한 자 중 2년 이상 수질분야 환경관련 업무에 직접 종사한 자"가 포함됩니다. 따라서 2년 이상 수질분야 환경관련 업무에 직접 종사한 자는 제 3종 사업장의 환경기술인으로 종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할 수 있는 측정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퇴적물 측정망
  2. 도심하천 측정망
  3. 생물측정망
  4.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심하천 측정망은 공공수역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할 수 있는 측정망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닙니다. 퇴적물 측정망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의 양과 질을 측정하여 하천의 생태계를 보전하는 역할을 하고, 생물측정망은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와 수를 조사하여 생태계를 파악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은 공공수역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공공수역의 수질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하천의 부유물질량(mg/L)에 대한 생활환경 기준은? (단, 등급은 “매우 좋음“)

  1. 6 이하
  2. 15 이하
  3. 20 이하
  4. 25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부유물질량이 많을수록 수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활환경 기준에서는 이를 제한하기 위해 기준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등급이 "매우 좋음"인 경우에는 가능한 한 부유물질량이 적어야 하기 때문에, 25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하천의 부유물질량이 25 이하일 때는 수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이 적다고 판단되어 생활환경 기준에서는 이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환경부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10년마다 수립하는 것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인 보전 및 개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조류경보단계가 '조류 대발생'인 경우 발령기준으로 맞는 것은?

  1. 2회 연속 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500mg/L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1,0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
  2. 2회 연속 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500mg/L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1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
  3. 2회 연속 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00mg/L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1,0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
  4. 2회 연속 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00mg/L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1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 대발생은 물 속에 조류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인체나 동물에 해로울 우려가 있을 때 발령되는 경보 단계입니다. 이 때 발령 기준은 물 속에 있는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의 세포 수입니다. 따라서, 조류 대발생 경보 단계에서 발령 기준은 "2회 연속 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00mg/L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1,0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입니다. 이는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의 세포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조류 대발생 경보가 발령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용어 정의 중 잘못 기술된 것은?

  1. '폐수'라 함은 물에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수질오염 물질이 혼입되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을 말한다.
  2. 수질오염물질'이라 함은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기타 수질오염원'이라 함은 정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수질오염방지시설'이라 함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 기술된 것은 없다.

    '수질오염방지시설'이라 함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정확하게 기술된 것이다.

    다만, 간단명료하게 설명하자면, 수질오염방지시설은 공공수역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처리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시설이다. 이는 환경부령에 따라 정해진다.

    나머지 용어들도 모두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납부통지는 부과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몇 일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납부통지는 환경부가 정한 '환경부 고시 제2017-50호'에 따르면, 부과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 이는 부과금을 부과받은 자가 부과 사유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이의제기 등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60일 이내에 납부통지를 하지 않으면 부과금 부과가 무효화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도지사는 오염총량 관리시행 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음 중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원 현황 및 예측
  2. 연차별 대상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3. 수질예측 산정자료 및 이행 모니터링 계획
  4. 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 목표 및 구체적 방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연차별 대상 수질오염물질의 종류"이다.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은 수질오염원의 현황과 예측, 수질예측 산정자료 및 이행 모니터링 계획, 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 목표 및 구체적 방안 등을 포함해야 한다.

    하지만 "연차별 대상 수질오염물질의 종류"는 이미 오염원 현황과 예측, 수질예측 산정자료 등에서 고려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따라서 이유는 이미 다른 항목에서 고려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업장의 규모별 구분(종별)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제 1종 사업장∶1일 폐수발생량이 3,000m3 이상인 사업장
  2. 제 2종 사업장∶1일 폐수발생량이 1,000m3 이상, 2,000m3 미만인 사업장
  3. 제 3종 사업장∶1일 폐수발생량이 200m3 이상, 500m3 미만인 사업장
  4. 제 4종 사업장∶1일 폐수발생량이 50m3 이상, 200m3 미만인 사업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제 1종 사업장은 매우 큰 규모의 폐수를 발생시키는 사업장, 제 2종 사업장은 큰 규모의 폐수를 발생시키는 사업장, 제 3종 사업장은 중간 규모의 폐수를 발생시키는 사업장, 제 4종 사업장은 작은 규모의 폐수를 발생시키는 사업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일 폐수발생량이 50m3 이상, 200m3 미만인 사업장은 작은 규모의 폐수를 발생시키는 제 4종 사업장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수질오염 방지시설 중 화학적 처리 시설이 아닌 것은?

  1. 침전물개량시설
  2. 응집시설
  3. 살균시설
  4. 소각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응집시설은 수질오염 방지시설 중에서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는 시설입니다. 응집시설은 수질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한 물질을 물에서 분리하여 농축시키는 시설로, 침전물개량시설과 함께 물의 탁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즉, 응집시설은 물의 물리적 처리를 담당하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개선명령을 받은 자가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기간 이내에 이행은 하였으나 검사결과가 배출허용기준을 계속 초과할 때에 처분인 '조업정지명령' 을 위반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7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선명령을 받은 자가 이행하지 않거나 기간 내에 이행하였으나 배출허용기준을 계속 초과하는 경우, 처분인 조업정지명령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자는 환경보호법 제78조 제2항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벌칙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질오염감시경보의 경보단계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주의
  2. 발생
  3. 경계
  4. 관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발생"

    설명: 수질오염감시경보의 경보단계는 "주의", "경계", "관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발생"은 경보단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초과배출부과금 산정을 위한 사업장 종류별 구분에 따른 위반횟수별 부과계수의 처음 위반의 경우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제 2종 사업장 : 2.0
  2. 제 2종 사업장 : 1.8
  3. 제 3종 사업장 : 1.5
  4. 제 3종 사업장 : 1.3
(정답률: 알수없음)
  • 초과배출부과금은 사업장 종류와 위반횟수에 따라 부과계수가 결정됩니다. 제 3종 사업장의 경우, 처음 위반 시 부과계수는 1.3입니다. 이는 제 2종 사업장보다는 낮은 수치이지만, 제 3종 사업장이 제 2종 사업장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가정에 따라 결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제 3종 사업장은 처음 위반 시에도 일정한 부과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에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수의 목적
  2. 낚시터 발생 쓰레기가 인근 환경에 미치는 영향
  3. 서식어류의 종류 및 양 등 수중 생태계의 현황
  4.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이다. 이유는 낚시 인구의 현황은 해당 지역의 인구 밀도, 관광객 수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지역마다 상이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낚시터 발생 쓰레기가 인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지정할 구역의 환경 보호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낚시로 인해 발생하는 쓰레기는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면 인간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할 때는 반드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2.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시점
  3. 수질오염물질의 배출량
  4.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부과금은 수질오염물질의 배출량, 종류,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등을 고려하여 부과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시점"입니다. 배출부과금은 오염물질이 배출된 후에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과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출시점은 이미 지나간 일이기 때문에 배출부과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비점오염저감계획 이행(시설설치, 개선의 경우는 제외 한다) 명령의 경우, 환경부장관이 이행을 위해 정할 수 있는 기간 범위 기준은? (단, 연장기간은 고려하지 않음)

  1. 6개월
  2. 3개월
  3. 2개월
  4. 1개월
(정답률: 알수없음)
  • 비점오염저감계획 이행 명령은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명령으로,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이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환경부장관이 이행을 위해 정할 수 있는 기간 범위는 최대한 짧은 기간으로 제한됩니다. 이에 따라 비점오염저감계획 이행 명령의 경우, 환경부장관이 정할 수 있는 기간 범위 기준은 "2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또는 변경신고시 작성하는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2.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3.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4.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
(정답률: 알수없음)
  •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또는 변경신고시 작성하는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는 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입니다. 이유는 비점오염저감계획서는 비점오염원의 저감을 위한 계획서이기 때문에, 재원 조달 방안은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은 비점오염저감계획서 작성 이후에 따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