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진한 산성폐수를 중화처리 하고자 한다. 10% NaOH 용액 사용시 40mL가 투입되었는데 만일 10% Ca(OH)2로 사용한다면 몇 mL가 필요하겠는가? (단, 완전 해리 기준, 원자량 Na=23, Ca=40)
2. 시판되고 있는 액상 표백제는 8W/W(%)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함유한다. 표백제 3,000mL 중의 NaOCl의 무게(g)는? (단, 표백제의 비중은 1.1이다.)
3. 적조현상의 촉진요인이 아닌 것은?
4. Bacteria의 약 80%는 H2O이고, 약 20%가 고형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형물 중 유기물질은 약 몇 % 인가?
5. 0.04M-HCl 이 10% 해리되어 있는 수용액의 PH는?
6. 지하수 수질 및 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 수분 함량 97%의 슬러지 14.7m3를 수분함량 80%로 농축하면 농축 후 슬러지 용적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
8. 4g의 NaOH를 물에 용해시켜 전량을 250ml로 하였다면 이 용액의 N 농도는?
9. K1(탈산소계수, base=상용대수)가 0.1/day인 어느 물질의 BOD5=400mg/L이고, COD=1,000mg/L 라면 NBCOD(mg/L)는? (단, BODCOD=800u)
10. 호소의 성층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 미생물의 영양적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 자정계수(f)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3. 도면은 미생물의 성장과 유기물과의 관계 곡선이다. (F : 먹이인 유기물량, M : 미생물량) 다음 중 변곡점까지의 미생물의 성장 상태를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문제 오류로 문제 및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14. 25℃, AgCl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 10-4이라면 AgCl에 대한 (용해도적)는?
15. BOD가 10,000mg/L이고 염소이온농도가 1,000mg/L인 분뇨를 희석하여 활성 슬러지법으로 처리한 결과 방류수의 BOD는 40mg/L, 염소이온의 농도는 25mg/L으로 나타났다. 활성 슬러지법의 처리효율은? (단, 염소는 생물학적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음)
16. 모든 진핵생물이 가지고 있는 세포소기관(Organelles)은?
17. 다음 중 물이 가지는 특성 중 틀린 것은?
18. 페놀(C6H5OH) 150mg/L의 이론적인 COD(mg/L)는?
19. [기체가 관련된 화학반응에서는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하는 기체의 부피 사이에 정수관계가 성립한다.]라는 내용의 기체법칙은?
20. 어느 폐수의 BODu가 100mg/L이며 (상용대수) K1값이 0.2/day 라면 5일 후 남아 있는 BOD는?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암모늄이온(NH4+)을 27mg/L 함유하고 있는 폐수 2,000m3를 이온교환수지로 NH4+를 제거하고자 할 때 100,000g CaCO3/m3의 처리 능력을 갖는 양이온 교환수지의 소요용적은? (단, Ca 원자량∶40)
22. 우리나라 표준활성슬러지법의 일반적 설계 범위로 틀린 것은?
23. 활성슬러지 변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4. 포기조내의 MLSS가 3,000mg/l 포기조 용적이 2,000m3인 활성슬러지법에서 최종침전지에 유출되는 SS는 무시하고 매일 60m3의 폐슬러지를 뽑아서 소화조로 보내 처리한다. 폐슬러지의 농도가 1%라면 세포의 평균체류시간(SRT)은?
25. 5단계 Bardenpho 공정 중 호기조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6. 다음은 질소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고도 처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가장 적절한 내용은?
27. 처리유량이 200m3/hr이고, 염소요구량이 9.5mg/L, 잔류 염소농도가 0.5mg/L일 때 하루에 주입되는 염소의 양(kg/day)은?
28. 폭기조 혼합액을 30분간 침전 시킨 뒤의 침전물의 부피는 400ml/L이었고, MLSS 농도가 3,000mg/L 이었다면 침전지에서 침전상태는?
29. 200mg/L의 CN(시안)을 함유한 폐수 100m3을 알칼리 염소법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염소량(Cl2, kg)은? (단, 원자량은 Cl : 35.5)
30. BOD 300mg/L인 폐수를 20℃에서 살수여상법으로 처리한 결과 BOD가 60mg/L이었다. 이 폐수를 26℃에서 처리한다면 유출수의 BOD는? (단, 처리효율 Et = E20 × 1.035T-20이다.)
31.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어떤 공장에서 배출되는 시안 폐수를 알칼리 염소주입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이 때 CN- 이 300mg/L, 유량이 300m3/d 이라면 NaOCl의 1일 소요량은?
33. 고온 혐기성 소화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고도 수처리에 사용되는 분리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5. 회전원판법(RBC)의 단점이 아닌 것은?
36. BOD 1.0kg 제거에 필요한 산소량은 1.0kg이다. 공기 1m3에 포함된 산소량이 0.277kg이라 하면 활성슬러지에서 공기용해율이 6%(V/V%)일 때 BOD 1.0k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37. 가압부상조 설계에 있어서 유량이 2,000m3/day인 폐수 내에 SS의 농도가 500mg/L, 공기의 용해도는 18.7mL/L 이라고 할 때 압력이 4기압인 부상조에서의 A/S 비는? (단, 용존공기의 분율은 0.5이며 반송은 고려하지 않음)
38. 정수 처리를 위한 응집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9. 월류 위어의 반지름이 10m이다. 폐수량이 2,000m3/day일 때 월류 위어의 부하율은?
40. BOD가 200mg/l이고 유량이 2,000m3/day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포기조의 BOD 용적 부하가 0.4kg/m3ㆍday라면 포기조의 부피는?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불소 측정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기준)
42. 식물성 플랑크톤(조류)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사용되는 검출기 중 니트로화합물, 유기금속 화합물, 유기활로겐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은?
44.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계 장치의 설정조건에서 수용액 시료의 경우 고주파 출력 설정조건 기준으로 맞는 것은?
45. 채취된 시료를 규정된 보존방법에 따라 조치했다면 최대 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측정항목은?
46. 다음 중 질산성 질소 분석방법이 아닌 것은?
47. 이온전극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8. 납 정량법인 디티존 흡광광도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9. 전처리 방법 중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다음은 비소를 흡광광도법을 적용하여 측정할 때의 원리이다. ( )안에 맞는 내용은?
51. 실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단, 공정시험기준 기준)
52. 개수로에 의한 유량 측정시 케이지(Chezy)의 유속공식이 적용된다. 경심이 0.653m, 홈 바닥의 구배 i=1/1,500, 유속계수가 31일 때 평균 유속은?
53. 휘발성 탄화수소의 시료보존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54. 4각 위어에 의하여 유량을 측정하려고 한다. 위어의 수두 0.8m, 절단의 폭 2.5m 이면 유량은? (단, 유량계수는 1.6 이다.)
55. 질산성질소 표준원액 0.5mgNO3-N/ml를 조제하려면, 미리 105~110℃에서 4시간 건조한 질산칼륨(KNO3 표준시약) 몇 g을 정밀히 달아 물에 녹여 정확히 1,000ml로 하면 되는가? (단, 원자량은 K : 39.1)
56. 다음 중 디페닐카르바지드와 반응하여 생성하는 적자색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 정량하는 항목은?
57. 구리를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정량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58. BOD 축정시 시료의 전처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의 내용으로 맞는 것은?
59. 시료채취시의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60. 0.025N-KMnO4 4.0L를 만들려고 한다. KMnO4는 몇 g이 필요한가? (단, 원자량은 K=39, Mn=55, O=16이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거나 임명(바꾸어 임명한 것을 포함한다)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 기준은?
62. 환경기술인 등의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63. 해역의 항목별 생활환경 환경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등급은 Ⅲ)
64.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65.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할 수 있는 측정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6.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하천의 부유물질량(mg/L)에 대한 생활환경 기준은? (단, 등급은 “매우 좋음“)
67. 환경부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68. 조류경보단계가 '조류 대발생'인 경우 발령기준으로 맞는 것은?
69. 용어 정의 중 잘못 기술된 것은?
70.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납부통지는 부과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몇 일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71. 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도지사는 오염총량 관리시행 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음 중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사업장의 규모별 구분(종별) 기준으로 맞는 것은?
73. 수질오염 방지시설 중 화학적 처리 시설이 아닌 것은?
74. 개선명령을 받은 자가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기간 이내에 이행은 하였으나 검사결과가 배출허용기준을 계속 초과할 때에 처분인 '조업정지명령' 을 위반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75. 수질오염감시경보의 경보단계의 종류로 틀린 것은?
76. 초과배출부과금 산정을 위한 사업장 종류별 구분에 따른 위반횟수별 부과계수의 처음 위반의 경우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
77.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에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8.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9. 비점오염저감계획 이행(시설설치, 개선의 경우는 제외 한다) 명령의 경우, 환경부장관이 이행을 위해 정할 수 있는 기간 범위 기준은? (단, 연장기간은 고려하지 않음)
80.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또는 변경신고시 작성하는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하지만 표백제의 비중이 1.1이므로 1L(약 1kg)의 표백제는 1.1kg의 물과 0.9kg의 표백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3,000mL의 표백제는 3L의 물과 2.7L의 표백제로 이루어져 있다.
2.7L의 표백제는 2.7kg이므로 NaOCl의 무게는 2.7kg × 8W/W(%) = 216g이다.
따라서 정답은 216g × 1.1(표백제의 비중) = 237.6g 이지만,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64g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