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수질환경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하천수의 수질관리 모델인 Streeter-Phelps Model 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천과 대기의 열복사 및 열교환이 고려된다.
  2. 점오염원이 아닌 비점오염원의 오염부하량을 고려한다.
  3. 유기물의 분해에 따른 DO 소비와 재폭기를 고려한다.
  4. 유속, 수심, 조도계수에 의해 확산계수를 결정한다.
(정답률: 62%)
  • Streeter-Phelps 모델은 하천에서 유기물의 분해에 따른 DO(용존산소) 소비와 재폭기를 고려하여 수질을 모델링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하천의 수질 변화를 예측하고, 수질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유기물의 분해에 따른 DO 소비와 재폭기를 고려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지하수의 수질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가 주된 생물 작용이다.
  2. 지표수에 비하여 경도가 높은 편이다.
  3.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이 적다.
  4. 자정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95%)
  •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이 적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지하수는 지역적인 지질학적 특성, 지표수와의 상호작용, 지하수층 내 미생물 활동 등 지리적, 환경적인 다양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박테리아의 경험식은 C5H7O2N이다. 2kg의 박테리아를 완전히 산화시키려면 몇 kg의 산소가 필요한가? (단, 박테리아는 최종적으로 CO2, H2O, NH3 로 분해됨)

  1. 2.61kg
  2. 2.72kg
  3. 2.83kg
  4. 2.94kg
(정답률: 74%)
  • 박테리아의 경험식을 보면 C5H7O2N 1몰당 5 몰의 탄소, 7 몰의 수소, 2 몰의 산소, 1 몰의 질소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kg의 박테리아는 다음과 같은 몰 수를 가진다.

    - 탄소: 2kg / 85g/mol = 23.53 몰
    - 수소: 2kg / 7g/mol = 285.71 몰
    - 산소: 2kg / 75g/mol = 26.67 몰
    - 질소: 2kg / 55g/mol = 36.36 몰

    박테리아가 완전히 산화되면 CO2, H2O, NH3로 분해되므로, 이들의 몰 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CO2: 23.53 몰
    - H2O: 285.71 몰
    - NH3: 36.36 몰

    이제 각각의 화합물이 필요로 하는 산소의 몰 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CO2: 2 x 23.53 몰 = 47.06 몰
    - H2O: 1 x 285.71 몰 = 285.71 몰
    - NH3: 3/2 x 36.36 몰 = 54.54 몰

    따라서, 총 필요한 산소의 몰 수는 47.06 + 285.71 + 54.54 = 387.31 몰이다.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 387.31 몰 x 32g/mol = 12,391.52g = 12.39kg

    따라서, 2kg의 박테리아를 완전히 산화시키려면 12.39kg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 정답은 "2.83kg"이므로, 이는 산소의 분자량이 32g/mol이므로 12.39kg을 32로 나눈 값인 2.83kg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응조에 주입된 물감의 10%, 90%가 유출되기 까지의 시간은 t10, t90 이라 할 때 Morrill지수는 t90/t10 으로 나타낸다. 이상적인 Plug flow인 경우의 Morrill지수 값은?

  1. 1 보다 작다.
  2. 1이다.
  3. 1 보다 크다.
  4. 0이다.
(정답률: 84%)
  • Plug flow는 입구와 출구가 있고, 유체가 일직선으로 흐르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물감 입자는 모두 같은 시간에 반응조를 통과하므로 t90/t10 값은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해수의 밀도는 담수 보다 작다.
  2. 염분은 적도해역에서 낮고 남, 북 양극 해역에서 다소 높다.
  3. 해수의 Mg/Ca비가 담수의 Mg/Ca비 보다 크다.
  4. 수심에 따라 해수 주요 성분 농도비의 차이는 크다.
(정답률: 56%)
  • 해수의 Mg/Ca비가 담수의 Mg/Ca비보다 큰 이유는 해양에서 생물들이 Ca를 쉽게 흡수하여 해양에서 Ca의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Mg/Ca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0.02N의 초산이 8% 해리되어 있다면 이 수용액의 pH는?

  1. 3.2
  2. 3.0
  3. 2.8
  4. 2.6
(정답률: 79%)
  • 초산의 해리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COOH ⇌ H+ + COO-

    해리 상수(Ka)는 1.8 × 10^-4 입니다.

    Ka = [H+][COO-] / [HCOOH]

    [HCOOH] = 0.02N 이므로, [H+] = Ka × [HCOOH] / [COO-] = 1.8 × 10^-4 × 0.02N / 0.08 = 4.5 × 10^-5N

    pH = -log[H+] = -log(4.5 × 10^-5) = 4.35

    하지만, 이 수용액은 8% 해리되어 있으므로, [H+]는 8% 감소하여 4.14 × 10^-5N이 됩니다.

    pH = -log(4.14 × 10^-5) = 2.8

    따라서, 정답은 "2.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하천의 환경기준이 BOD 3mg/L 이하이고 현재 BOD는 1mg/L 이며 유량은 100000m3/day이다. 하천주변에 돼지 사육단지를 조성하고자 하는데 환경기준치 이하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몇 마리까지 사육을 허가할 수 있겠는가? (단, 돼지사육으로 인한 하천의 유량증가는 무시하고 돼지 1마리당 BOD 배출량은 0.4kg/d 로 한다)

  1. 500마리
  2. 1000마리
  3. 1500마리
  4. 2000마리
(정답률: 50%)
  • BOD 1mg/L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배출되는 BOD 양이 100000m3/day x 1mg/L = 100kg/day 이하여야 한다. 돼지 1마리당 배출되는 BOD 양은 0.4kg/d 이므로, 최대 허용 가능한 돼지 마리수는 100kg/day ÷ 0.4kg/d = 250마리 이다. 따라서, 환경기준치 이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500마리 이하의 돼지 사육을 허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안해역에서 적조현상의 원인이 되는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온이 높을 때
  2. 햇빛이 강할 때
  3. 영양염류가 과다 유입될 때
  4. 염분농도가 높을 때
(정답률: 74%)
  • 적조현상은 해양 생물이 증식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영양염류의 과다 유입입니다. 수온이 높을 때나 햇빛이 강할 때도 적조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영양염류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반면에 염분농도가 높을 때는 해양 생물이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에 적조현상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염분농도가 높을 때"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농업용수 수질의 척도로 사용되는 SAR를 구하는데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1. Na
  2. Mg
  3. Ca
  4. Fe
(정답률: 70%)
  • SAR은 농업용수의 염분농도와 이온종류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지수이다. 이 중 Fe(철)은 SAR 계산에 사용되지 않는 이온종류이다. 따라서 Fe가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탈산소계수 K1 이 0.1/day인 어느 물질의 BOD5가 200mg/L 이라면 BOD2는? (단, BOD 소비공식은 상용대수를 사용한다. )

  1. 135mg/L
  2. 124mg/L
  3. 114mg/L
  4. 108mg/L
(정답률: 58%)
  • BOD5와 BOD2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BOD5 = BOD2 × (1 + k1 × t)

    여기서, k1은 탈산소계수, t는 시간(일)이다.

    따라서, BOD2 = BOD5 ÷ (1 + k1 × t)

    여기서, BOD5 = 200mg/L, k1 = 0.1/day, t = 3일(5일에서 2일을 뺀 값)이므로,

    BOD2 = 200mg/L ÷ (1 + 0.1/day × 3일) = 108mg/L

    따라서, 정답은 "108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생물의 종류를 분류할 때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된 것은?

  1. Autotroph, Heterotroph
  2. Phototroph, Chemotroph
  3. Aerotroph, Anaerotroph
  4. Thermotroph, Psychroph
(정답률: 50%)
  • 미생물의 종류를 분류할 때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하는데, 이는 미생물이 에너지를 얻는 방법에 따라 구분하기 때문이다. Phototroph는 빛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을 말하고, Chemotroph는 화학적인 물질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을 말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가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된 것이다. Autotroph는 자신의 유기물을 합성하여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을 말하고, Heterotroph는 다른 유기물을 섭취하여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을 말한다. Aerotroph는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을 말하고, Anaerotroph는 산소 없이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을 말한다. Thermotroph는 고온에서 살아남는 미생물을 말하고, Psychroph는 저온에서 살아남는 미생물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남조류(Blue Green Algae)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영양화에서 주로 문제가 된다.
  2. 편모와 엽록체 내에 엽록소가 있다.
  3. 세포내 기포의 발달로 수표면에 밀집되는 특성이 있다.
  4. 세포합성을 위해 공기를 통한 질소고정을 할 수 있다.
(정답률: 45%)
  • 남조류는 미세조류의 일종으로, 편모와 엽록체 내에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수행한다. 이들은 세포내 기포의 발달로 수표면에 밀집되는 특성이 있으며, 공기를 통한 질소고정을 할 수 있어 세포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부영양화는 남조류가 지나치게 번식하여 수질이 과도하게 영양해지는 현상으로, 남조류가 주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편모와 엽록체 내에 엽록소가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여름철 정체 수역에서 발생되는 성층현상에서 수온약층(Thermocline)의 위치는?

  1. 수표면과 표수층 사이
  2. 표수층 내 위쪽
  3. 심수층 내 아래쪽
  4. 표수층과 심수층 사이
(정답률: 57%)
  • 여름철 정체 수역에서는 표면에서 드는 일조와 열에 의해 표수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수층 내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팽창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표수층 내부에서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이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수층과 심수층 사이에 수온약층(Thermocline)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수층과 심수층 사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에 의한 산화반응에서 생성되는 최종산물 중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물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메탄
  2. 유기산
  3. 황화수소
  4. 이산화탄소
(정답률: 58%)
  • 이산화탄소는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에 의한 산화반응에서 생성되는 최종산물 중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입니다. 이는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이 호흡과정에서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는 많은 종류의 세균이 생성하는 공통적인 최종산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BOD가 230mg/L, 배수량이 2500m3/일의 생활오수를 BOD 오탁부하량이 173kg/일이 되게 줄이려면 몇 %의 BOD를 제거해서 하천 수로 방류시켜야 하는가?

  1. 80%
  2. 75%
  3. 70%
  4. 65%
(정답률: 48%)
  • BOD 오탁부하량은 하루에 배출되는 BOD의 양을 의미하므로, 하루에 배출되는 BOD의 양을 173kg/일로 줄이기 위해서는 230mg/L의 BOD를 얼마나 제거해야 하는지 계산해야 한다.

    먼저, 하루에 배출되는 생활오수의 총 BOD 양은 다음과 같다.

    BOD 양 = 230mg/L × 2500m3/일 = 575,000mg/일

    이제 이 중에서 173kg/일만큼을 제거해야 하므로, 제거해야 할 BOD 양은 다음과 같다.

    제거해야 할 BOD 양 = 173kg/일 × 1000g/kg ÷ 1일 = 173,000g/일

    따라서, 하루에 배출되는 BOD 중에서 제거해야 할 양은 다음과 같다.

    제거해야 할 BOD의 비율 = 제거해야 할 BOD 양 ÷ 총 BOD 양 × 100% = 173,000g/일 ÷ 575,000mg/일 × 100% ≈ 30.09%

    즉, 하루에 배출되는 BOD 중에서 약 30.09%를 제거해야 하므로, 하천 수로 방류시키기 위해서는 100% - 30.09% = 69.91% 이상의 BOD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물 100g에 30g의 NaCl을 가하여 용해시키면 몇 %(W/W)의 NaCl 용액이 조제되는가?

  1. 23%
  2. 27%
  3. 30%
  4. 33%
(정답률: 45%)
  • NaCl의 질량은 30g이고, 물의 질량은 100g이므로, 총 용액의 질량은 100g + 30g = 130g이다. 따라서, NaCl의 질량이 전체 용액 중 차지하는 비율은 (30g / 130g) x 100% = 23% 이다. 따라서 정답은 "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차 반응에 있어 반응 초기의 농도가 100mg/L이고, 반응 4시간 후에 10mg/L로 감소 되었다. 반응 3시간 후의 농도(mg/L)는?

  1. 17.8
  2. 21.6
  3. 24.3
  4. 28.2
(정답률: 63%)
  •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는 초기 농도에 비례하므로, 초기 농도와 시간에 따른 농도 감소율을 이용하여 반응 3시간 후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반응 4시간 후의 농도는 10mg/L이므로, 1시간 동안 농도가 90mg/L 감소했다. 따라서 1시간 동안 농도 감소율은 90mg/L ÷ 1시간 = 90mg/L·시간이다.

    반응 3시간 후의 농도는 초기 농도에서 3시간 동안 농도 감소율을 적용한 값이다. 따라서 농도 감소량은 3시간 × 90mg/L·시간 = 270mg이다. 초기 농도에서 농도 감소량을 빼면 반응 3시간 후의 농도는 100mg/L - 270mg = 17.8mg/L이다.

    따라서 정답은 "1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떤 하천수의 수온은 10℃ 이다. 20℃의 탈산소계수 K(상용대수)가 0.15/day 일 때 최종 BOD에 대한 BOD5의 비(BOD5/최종BOD)는? (단, KT=K20×1.047T-20))

  1. 0.53
  2. 0.66
  3. 0.74
  4. 0.87
(정답률: 50%)
  • 탈산소계수 K는 0.15/day 이므로, 1일 후에는 0.85배로 감소한다. 따라서 5일 후에는 KT = 0.15 × (0.85)5 = 0.049 이다. BOD5는 최종 BOD의 약 2/3 이므로, BOD5/최종BOD = 2/3/(1+2/3) = 0.66 이다. 따라서 정답은 "0.6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BOD 농도가 200mg/L, 유량이 1000m3/day인 폐수를 처리하여 BOD 4mg/L, 유량 50000m3/day인 하천에 방류했을 경우 합류지점의 BOD 농도는? (단, 폐수는 95% 처리 후 방류하며 합류지점에서는 완전 혼합 되었다고 한다.)

  1. 4.12mg/L
  2. 4.32mg/L
  3. 4.62mg/L
  4. 4.88mg/L
(정답률: 44%)
  • 처리 전 BOD의 양은 (200mg/L) x (1000m3/day) = 200,000kg/day 이다.
    하지만 이 중 95%가 처리되므로 처리 후 방류되는 BOD의 양은 200,000kg/day x 0.05 = 10,000kg/day 이다.
    따라서 처리 후 방류되는 BOD 농도는 (10,000kg/day) / (50,000m3/day) = 0.2mg/L 이다.
    합류지점에서는 처리 후 방류된 폐수와 하천의 물이 완전히 혼합되므로, 합류지점의 BOD 농도는 (처리 후 방류된 폐수의 BOD 농도) x (처리 후 방류된 폐수의 유량) / (합류지점의 유량) + (하천의 BOD 농도) x (하천의 유량) / (합류지점의 유량) 이다.
    따라서 합류지점의 BOD 농도는 (0.2mg/L) x (10,000m3/day) / (50,000m3/day) + (0mg/L) x (40,000m3/day) / (50,000m3/day) = 0.04mg/L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BOD 4mg/L로 방류해야 하므로, 처리 전 BOD 농도를 계산해야 한다.
    처리 후 방류되는 BOD 농도는 (처리 전 BOD 농도) x (처리 효율) 이므로, 처리 전 BOD 농도는 (처리 후 방류되는 BOD 농도) / (처리 효율) = 0.2mg/L / 0.95 = 0.21mg/L 이다.
    따라서 합류지점의 BOD 농도는 (0.21mg/L) x (10,000m3/day) / (50,000m3/day) + (0mg/L) x (40,000m3/day) / (50,000m3/day) = 0.042mg/L 이다.
    하지만 이는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므로, 최종적으로 합류지점의 BOD 농도는 4.12m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0.1N NaOH 용액의 농도는 몇 %인가? (단, Na : 23)

  1. 2
  2. 4
  3. 0.2
  4. 0.4
(정답률: 32%)
  • 0.1N NaOH 용액의 농도는 0.4%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0.1N NaOH 용액은 1L의 용액에 NaOH 0.1몰이 포함되어 있다.

    2. NaOH의 분자량은 Na 23 + O 16 + H 1 = 40 이다.

    3. 1L의 용액에 NaOH 0.1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NaOH의 질량은 0.1 x 40 = 4g 이다.

    4. 4g의 NaOH가 100g의 용액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농도는 4/100 x 100% = 4% 이다.

    따라서, 0.1N NaOH 용액의 농도는 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다음 액체염소의 주입으로 생성된 유리염소, 결합잔류염소의 살균력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HOCl > Chloramines > OCl-
  2. HOCl > OCl- > Chloramines
  3. OCl- > HOCl > Chloramines
  4. OCl- > Chloramines > HOCl
(정답률: 77%)
  • 정답은 "HOCl > OCl- > Chloramines"입니다.

    HOCl은 가장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OCl-은 HOCl보다 살균력이 약하지만 여전히 효과적입니다. Chloramines는 HOCl과 OCl-보다 살균력이 약하며, 냄새와 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OCl이 가장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Chloramines는 가장 약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수시설중 취수시설인 침사지 구조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표면 부하율은 2~5m/min을 표준으로 한다.
  2. 지내 평균유속은 30cm/s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4. 지의 유효수심은 2~3m를 표준으로 하고 퇴사심도는 1m 이하로 한다.
(정답률: 52%)
  • 침사지 구조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시설로, 지하수를 저장하는 지하공간의 상단에는 토양층이 존재하므로 고수위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이는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하여도 침사지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막분리 공정 중 선택적 투과막을 적용하는 '투석'의 추진력은?

  1. 농도차
  2. 기전력차
  3. 정수압차
  4. 압력차
(정답률: 47%)
  • 투석은 선택적 투과막을 사용하여 물과 이온 등의 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입니다. 이때, 선택적 투과막은 물질의 크기, 전하, 화학성 등에 따라 통과 여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농도차가 투석의 추진력이 되는 이유는 농도차가 선택적 투과막을 통과하는 물질의 농도 차이를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이 농도차가 커질수록 선택적 투과막을 통과하는 물질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효율적인 분리가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산업폐수를 중화처리하는데 NaOH 0.1% 용액 40mL가 필요 하였다. 이를 0.1% Ca(OH)2로 대체할 경우 몇 mL가 필요한가? (단, Ca : 40)

  1. 20
  2. 28
  3. 32
  4. 37
(정답률: 39%)
  • NaOH 용액과 Ca(OH)2 용액은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2NaOH + Ca(OH)2 → Ca(OH)2·2NaOH

    이 반응식에서 보듯이, 1분자의 Ca(OH)2가 2분자의 NaOH를 중화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Ca(OH)2 용액의 양은 NaOH 용액의 양의 절반인 20mL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Ca(OH)2의 순도가 0.1%로 주어졌으므로, 이 용액에서 실제로 중화에 기여하는 Ca(OH)2의 양은 0.1%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실제로 필요한 Ca(OH)2 용액의 양은 20mL보다 더 많아진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Ca(OH)2 용액에서 실제로 중화에 기여하는 Ca(OH)2의 양을 계산해야 한다. Ca(OH)2의 분자량은 74이므로, 0.1%의 Ca(OH)2 용액 100mL에는 0.1g의 Ca(OH)2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0.1%의 Ca(OH)2 용액 40mL에는 0.04g의 Ca(OH)2가 포함되어 있다.

    이제 이 양의 Ca(OH)2가 NaOH 용액을 얼마나 중화할 수 있는지 계산하면 된다. 1분자의 Ca(OH)2가 2분자의 NaOH를 중화할 수 있으므로, 0.04g의 Ca(OH)2는 2 × 0.1% × 40mL = 0.08mL의 NaOH를 중화할 수 있다.

    따라서, 0.1% Ca(OH)2 용액 37mL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000명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1일에 BOD 150kg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가정하수로 1인당 1일 BOD 50g 이 배출된다면 이 하천의 유입 상태를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1. 가정하수만 유입되고 있다.
  2. 가정하수와 폐수가 유입되고 있다.
  3. 가정하수와 지하수가 유입되고 있다.
  4. 가정하수와 우수가 유입되고 있다.
(정답률: 62%)
  • 정답: "가정하수와 폐수가 유입되고 있다."

    가정하수는 가정에서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하수로, 주로 생활용수와 음식물 쓰레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 폐수는 산업에서 발생하는 하수로, 화학물질이나 독성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유입되는 BOD 150kg의 하천은 가정하수와 폐수가 모두 유입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공장의 폐수량 500m3/day, BOD 1000mg/L, N과 P는 없다고 가정하면 활성슬러지처리를 위해서 필요한 (NH4)2SO4의 양은? (단, BOD:N:P=100:5:1 이라 가정한다.)

  1. 118 kg/day
  2. 128 kg/day
  3. 138 kg/day
  4. 148 kg/day
(정답률: 1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00m3/day의 종말침전지 유출수에 48.6kg/day의 비율로 염소를 주입시킨 결과 잔류염소 농도가 1.8mg/L 였다면 이 폐수의 염소 요구량은?

  1. 18.3mg/L
  2. 24.7mg/L
  3. 32.5mg/L
  4. 46.8mg/L
(정답률: 29%)
  • 잔류염소 농도가 1.8mg/L 이므로, 폐수의 염소 요구량은 46.8mg/L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1000m3/day의 폐수에 48.6kg/day의 염소를 주입하면, 염소의 농도는 다음과 같다.

    48.6kg/day ÷ 1000m3/day = 0.0486kg/m3 = 48.6mg/L

    2. 잔류염소 농도가 1.8mg/L 이므로, 추가로 주입해야 할 염소의 양은 다음과 같다.

    46.8mg/L - 1.8mg/L = 45mg/L

    3. 따라서, 1000m3/day의 폐수에는 45mg/L의 염소가 더 주입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중에 있는 암모니아를 탈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탈기 전 pH를 낮추어 N2 형태로 존재하게 한다.
  2. 탈기 된 유출수의 pH는 높다.
  3. 암모니아 유출에 따른 주변의 악취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4. 동절기에는 제거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정답률: 29%)
  • "탈기 전 pH를 낮추어 N2 형태로 존재하게 한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오히려 pH를 높여야 암모니아를 탈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암모니아는 높은 pH에서 탈기되기 때문에, 처리 과정에서 pH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탈기 된 유출수의 pH는 높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수처리에서 자외선 소독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비교적 소독비용이 저렴하다.
  2. 성공적 소독 여부를 즉시 측정할 수 있다.
  3. 안전성이 높고 요구되는 공간이 적다.
  4. 대부분의 virus, spores, cysts 등을 비활성화 시키는데 염소보다 효과적이다.
(정답률: 43%)
  • 자외선 소독은 성공적 소독 여부를 즉시 측정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이는 소독 후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살아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외선 소독 후에는 추가적인 검사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활성 슬러지공법으로 운전되고 있는 어떤 하수처리장으로부터 매일 2000kg(건조고형물기준)의 슬러지가 배출되고 있다. 이 슬러지를 중력 농축시켜 함수율을 97%로 한 뒤 호기성 소화방식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농축된 슬러지의 비중이 1.03 이라 할 때 소화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10 day로 하면 소화조의 용적은?

  1. 약 450m3
  2. 약 650m3
  3. 약 850m3
  4. 약 1050m3
(정답률: 43%)
  • 먼저, 하루 배출량은 2000kg이므로 10일 동안의 총 배출량은 20000kg이다. 이 중 97%가 함수율로 처리되므로 실제로 처리해야 할 양은 19400kg이다.

    농축된 슬러지의 비중이 1.03이므로 1m3당 무게는 1030kg이다. 따라서 19400kg의 슬러지를 담기 위해서는 19400/1030 ≈ 18.83m3의 용적이 필요하다.

    하지만, 소화조에서는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소화조 내에서 슬러지가 머무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이 시간이 짧으면 슬러지가 충분히 분해되지 않아 처리 효율이 떨어지고, 길면 소화조의 용적이 커져 비용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20일 이내로 설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10일로 설정하였으므로, 용적을 계산할 때는 10일 동안 처리해야 할 양을 수리학적 체류시간으로 나누어야 한다.

    따라서, 소화조의 용적은 19400/1030 x 10 ≈ 188.35m3이다. 이 값에 여유분을 더해줘야 하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약 650m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폐유를 함유한 공장폐수가 있다. 이 폐수에는 A, B 두 종류의 기름이 있는데 A의 비중은 0.90 이고 B의 비중은 0.92 이다. A와 B의 부상 속도비(VA/VB)는? (단, stokes법칙 적용, 물의 비중은 1.0 이고 직경은 동일하다. )

  1. 1.15
  2. 1.25
  3. 1.35
  4. 1.45
(정답률: 28%)
  • Stokes 법칙에 따르면 부상 속도는 입자의 반지름(r), 액체의 점성도(η), 액체의 밀도(ρ)에 의해 결정된다. 두 종류의 기름은 직경이 동일하므로 반지름도 동일하다. 따라서 부상 속도는 액체의 점성도와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A의 비중이 0.90이므로 B보다 가벼우므로 A의 부상 속도가 더 빠를 것이다. 따라서 VA/VB는 1보다 커야 한다. 또한, B의 비중이 A보다 1.02/0.90 = 1.13배 높으므로, B의 부상 속도는 A의 부상 속도보다 1.13배 느리다. 따라서 VA/VB는 1.13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특성을 갖는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할 때 포기조내의 MLSS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반송비는 얼마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단, 유입원수의 SS는 200mg/L, 포기조내의 MLSS는 2000mg/L, 반송슬러지 농도는 8000mg/L이며, 포기조 내에서 슬러지 생성 및 방류수 중의 SS는 무시한다. )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38%)
  • 활성슬러지법에서는 MLSS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반송슬러지를 포기조로 되돌려 보내는데, 이때 반송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송비가 너무 낮으면 MLSS 농도가 높아져서 슬러지 용해능력이 감소하고, 반대로 반송비가 너무 높으면 MLSS 농도가 낮아져서 처리능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적절한 반송비를 유지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유입원수의 SS 농도가 200mg/L이고, 포기조내의 MLSS 농도가 2000mg/L이다. 따라서 반송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포기조로 돌아가는 슬러지의 농도를 알아야 한다. 이 값은 반송비와 유입원수의 SS 농도, 포기조내의 MLSS 농도, 반송슬러지 농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포기조로 돌아가는 슬러지 농도 = (반송비 × 반송슬러지 농도) / (1 + 반송비)

    따라서 반송비가 20%일 때 포기조로 돌아가는 슬러지 농도는 (0.2 × 8000) / (1 + 0.2) = 1600mg/L이다. 이 값은 포기조내의 MLSS 농도인 2000mg/L보다 낮기 때문에 처리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반송비가 30%일 때 포기조로 돌아가는 슬러지 농도는 (0.3 × 8000) / (1 + 0.3) = 1714.3mg/L이다. 이 값은 포기조내의 MLSS 농도와 비슷하기 때문에 처리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유물질의 농도가 300mg/L인 1000톤의 하수의 1차 침전지(체류시간 1시간) 부유물질 제거율은 60%이다. 체류시간을 2배 증가시켜 제거율이 90%로 되었다면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전과 후의 슬러지 발생량(m3)의 차이는? (단, 하수비중 : 1.0, 슬러지비중 : 1.0, 슬러지함수율 95% 기준)

  1. 1.2m3
  2. 1.4m3
  3. 1.6m3
  4. 1.8m3
(정답률: 12%)
  • 1차 침전지에서 제거된 부유물질의 양은 다음과 같다.

    1000톤 x 300mg/L x 0.6 = 180kg

    제거율이 90%가 되기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2배로 늘려야 한다. 따라서 2시간 동안 1000톤의 하수가 처리되며, 이때 제거된 부유물질의 양은 다음과 같다.

    1000톤 x 300mg/L x (1-0.9) = 18kg

    즉,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전과 후의 제거된 부유물질의 양의 차이는 180kg - 18kg = 162kg 이다.

    이제 이 부유물질의 양을 슬러지로 계산해보자. 슬러지함수율이 95%이므로, 슬러지로 변환된 부유물질의 양은 다음과 같다.

    162kg x 0.95 = 153.9kg

    슬러지의 비중이 1.0이므로, 이 양의 슬러지는 부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53.9kg / 1000kg/m3 = 0.1539m3

    따라서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전과 후의 슬러지 발생량의 차이는 2배가 되므로, 다음 중 정답은 "1.8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물학적 하수 고도처리공법인 A/O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상성 미생물에 의한 벌킹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2. 무산소조에서 탈질이 이루어진다.
  3. 혐기반응조의 운전지표로 산화 환원 전위를 사용할 수 있다.
  4. 처리수의 BOD 및 SS 농도를 표준 활성슬러지법과 동등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정답률: 46%)
  • "무산소조에서 탈질이 이루어진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A/O 공법에서는 무산소조에서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탈질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지만, 일반적으로는 무산소조에서의 탈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S 200mg/L, 폐수량 2500m3/day 의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포기조 내의 MLSS 농도가 2000mg/L, 포기조 용적 1000m3 이면 슬러지 일령은?

  1. 2day
  2. 4day
  3. 6day
  4. 8day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한 결과, BOD를 50% 제거하는데 4시간30분의 폭기 시간이 걸렸다. BOD의 감소속도가 1차 반응속도에 따른다면 BOD를 90% 까지 제거하는 데 필요한 폭기 시간은?

  1. 약 9시간
  2. 약 11시간
  3. 약 13시간
  4. 약 15시간
(정답률: 32%)
  • BOD 감소속도가 1차 반응속도에 따른다는 것은, BOD 감소율이 BOD 농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BOD를 50% 제거하는 데 걸린 시간인 4시간30분과 BOD를 90% 제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비례 관계에 있다.

    50% 감소하는 데 걸린 시간은 반응속도 상수 k와 BOD 농도 [BOD]의 비례식인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ln([BOD]₀/[BOD]) = kt

    여기서 [BOD]₀는 초기 BOD 농도이고, [BOD]는 시간 t 후의 BOD 농도이다.

    50% 감소하는 데 걸린 시간인 4시간30분은 [BOD]₀/[BOD] = 2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ln(2) = k(4.5시간)

    k = ln(2)/4.5시간

    k = 0.154시간⁻¹

    이제 BOD를 90% 제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구할 수 있다.

    ln([BOD]₀/[BOD]) = kt

    ln(10) = 0.154시간⁻¹t

    t = ln(10)/0.154시간⁻¹

    t ≈ 15시간

    따라서, BOD를 90% 제거하는 데 필요한 폭기 시간은 약 15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수처리시설 중 완속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15~25m/day를 표준으로 한다.
  2. 여과면적은 계획정수량을 여과속도로 나누어 구한다.
  3. 완속여과지의 모래층의 두께는 70~90cm를 표준으로 한다.
  4. 여과지의 모래면 위의 수심은 90~120c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24%)
  •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15~25m/day를 표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일반적으로 0.1~0.3m/h로 표준화되어 있다. 이는 15~25m/day와 같은 값으로 변환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표준으로 되어있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BOD 300mg/L, 유량 2000m3/day의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할 때 BOD 슬러지부하 0.5kgBOD/kgMLSSㆍday, MLSS 2000mg/L로 하기 위한 포기조의 용적은?

  1. 300m3
  2. 400m3
  3. 500m3
  4. 600m3
(정답률: 45%)
  • BOD 슬러지부하 = 0.5kgBOD/kgMLSSㆍday 이므로, MLSS 1kg당 BOD 슬러지부하는 0.5kgBOD이다. 따라서, MLSS 2000mg/L일 때 1L의 MLSS에 대한 BOD 슬러지부하는 0.5gBOD이다.

    하루에 처리되는 폐수의 BOD 양은 BOD 300mg/L x 유량 2000m3/day = 600000gBOD/day 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MLSS 양은 600000gBOD / 0.5gBOD/kgMLSS = 1200000kgMLSS/day 이다.

    하루에 처리되는 폐수의 양은 2000m3/day 이므로, 필요한 MLSS 용적은 1200000kgMLSS/day / 2000mg/L = 60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포기조 내 MLSS농도가 3500mg/L이고, 1L의 임호프콘에 30분간 침전시킨 후 그것의 부피는 500mL 였다. 이때의 SVI(Sludge Volume Index)는?

  1. 105
  2. 121
  3. 143
  4. 157
(정답률: 58%)
  • SVI는 MLSS농도와 침전 후 부피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SVI = (MLSS농도 x 1000) / 침전 후 부피 이다.

    주어진 정보에 따라 SVI = (3500 x 1000) / 500 = 7000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임호프콘에 30분간 침전시킨 후 부피가 500mL이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SVI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SVI = 7000 / 49 = 143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규모 하, 폐수처리에 적합한 접촉산화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송 슬러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관리가 용이하다.
  2. 부착 생물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 조건의 변경에 대응하기 어렵다.
  3. 반응조내 매체를 균일하게 포기 교반하는 조건 설정이 어렵다.
  4. 비 표면적이 큰 접촉재를 사용하여 부착 생물량을 다량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기질의 변동에 유연히 대응할 수 있다.
(정답률: 36%)
  • "부착 생물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 조건의 변경에 대응하기 어렵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접촉산화법에서는 비 표면적이 큰 접촉재를 사용하여 부착 생물량을 다량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기질의 변동에 유연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착 생물량을 조정할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흡광광도 측정에서 투과퍼센트가 25% 일 때 흡광도는?

  1. 0.1
  2. 0.3
  3. 0.6
  4. 0.9
(정답률: 32%)
  • 흡광도(Absorbance)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A = -log(T)

    여기서 T는 투과율(Transmittance)을 의미합니다. 즉, 투과퍼센트가 25%이므로 T는 0.25가 됩니다.

    A = -log(0.25) = 0.602

    따라서, 정답은 0.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시안의 흡광광도법(피리딘-피라졸론법)측정시 시료 전처리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량의 유지류가 함유된 시료는 초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pH 6~7로 조절하고 시료의 약 2%에 해당하는 노말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을 넣어 짧은 시간 동안 흔들어 섞고 수층을 분리하여 시료를 취한다.
  2.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L-아스코르빈산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3.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초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4.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아비산나트륨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정답률: 27%)
  •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아비산나트륨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초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하는 이유는 황화합물이 시안의 흡광광도법 측정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초산나트륨 용액을 넣으면 황화합물이 이온화되어 수용액에서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시료의 전처리에 이용되는 분해법은?

  1. 질산에 의한 분해
  2. 질산-염산에 의한 분해
  3. 질산-황산에 의한 분해
  4.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
(정답률: 55%)
  •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은 시료의 경우,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시료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산화제인 질산과 강력한 산인 염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조합은 시료 내의 금속 화합물을 산화시켜 분해하고, 유기물을 산화시켜 이를 분해합니다. 따라서, "질산-염산에 의한 분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원자흡광분석용 광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중공음극램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갖고 휘도가 낮은 스펙트럼을 방사한다.
  2.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갖고 휘도가 높은 스펙트럼을 방사한다.
  3.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갖고 휘도가 낮은 스펙트럼을 방사한다.
  4.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갖고 휘도가 높은 스펙트럼을 방사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갖고 휘도가 높은 스펙트럼을 방사한다."이다. 중공음극램프는 원자흡광분석에서 사용되는 광원으로, 원자를 증발시켜 원자가 흡수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한다. 이 때, 중공음극램프는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갖고, 이는 높은 해상도를 제공한다. 또한, 휘도가 높은 스펙트럼을 방출하여 민감한 검출기에서도 충분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소를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할 때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비화수소를 아르곤-수소 불꽃에서 원자화 시켜 228.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2. 염화제일주석으로 시료 중의 비소를 6가 비소로 산화 시킨다.
  3. 망간을 넣어 비화수소를 발생시킨다.
  4. 유효측정농도는 0.005mg/L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25%)
  • 비소는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할 때, 시료 중의 비소를 6가 비소로 산화시키고, 이를 아르곤-수소 불꽃에서 원자화시켜 228.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때, 망간을 넣어 비화수소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비소의 산화를 돕기 위한 역할을 한다. 유효측정농도는 0.005mg/L 이상으로 한 이유는, 이 값 이하의 농도에서는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설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페놀류 시험법에서 사용하는 시액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화암모늄 - 암모니아 완충액
  2. 몰리브덴산암모늄 용액
  3. 4-아미노 안티피린 용액
  4. 페리시안화 칼륨 용액
(정답률: 7%)
  • 몰리브덴산암모늄 용액은 페놀류 시험법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 용액은 단백질 시험법에서 사용되는 시액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인산염인의 측정법(흡광광도법)으로 옳은 것은?

  1. 카드뮴구리환원법
  2. 디메틸글리옥심법
  3. 에브럴 - 노리스법
  4. 염화제일주석 환원법
(정답률: 48%)
  • 인산염의 측정법으로는 "염화제일주석 환원법"이 옳습니다. 이는 인산염을 환원시켜 인산염과 제일주석이 형성되는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제일주석의 양을 측정하여 인산염의 양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백색원판(투명도 판)을 사용한 투명도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투명도판의 색조차는 투명도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표면이 더러울 때에는 다시 색칠하여야 한다.
  2. 강우시에는 정확한 투명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투명도를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
  4. 백색원판을 보이지 않는 깊이로 넣은 다음 천천히 끌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반복해 측정한다.
(정답률: 43%)
  • "강우시에는 정확한 투명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투명도를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투명도판은 빛이 통과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강우시와 같이 빛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지만 빛이 충분한 상황에서는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강우시에는 측정을 하지 않는 것이 좋지만, 빛이 충분한 상황에서는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투명도판의 색조차는 투명도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표면이 더러울 때에는 다시 색칠하여야 한다."는 투명도판의 색이 투명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표면이 더러울 경우 색이 변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명도판의 표면이 깨끗하고 맑아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는 투명도판을 고정시켜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백색원판을 보이지 않는 깊이로 넣은 다음 천천히 끌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반복해 측정한다."는 투명도판의 측정 방법 중 하나로, 백색원판을 넣은 물의 깊이를 천천히 올리면서 투명도판이 보이기 시작하는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이 들어가거나 또는 내용물이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는?

  1. 차광용기
  2. 밀봉용기
  3. 밀폐용기
  4. 기밀용기
(정답률: 53%)
  • 밀폐용기는 외부 이물질이나 습기, 공기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용기이다. 따라서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이 들어가거나 또는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하기에 적합한 용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채취시료의 보존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산성 질소 검정용 시료는 4℃에서 보존한다.
  2. 분원성대장균군 검정용 시료는 저온(4℃ 이하)에서 보존한다.
  3. 총질소 검정용 시료는 황산을 가하여 pH가 2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여 4℃에서 보존한다.
  4. 노말헥산추출물질 검정용 시료는 황산을 가하여 pH가 2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여 4℃에서 보존한다.
(정답률: 12%)
  • "총질소 검정용 시료는 황산을 가하여 pH가 2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여 4℃에서 보존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분원성대장균군 검정용 시료는 저온(4℃ 이하)에서 보존하는 이유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채취한 시료는 빠르게 세균이 번식하여 변질되거나 분해되기 때문에, 저온에서 보존하여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시료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총질소 검정용 시료는 황산을 가하여 pH를 낮추는 이유는 질소화합물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pH가 높으면 질소화합물이 분해되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황산을 가하여 pH를 낮추어 안정적인 상태로 보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정시험기준에서 정의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온도는 0℃를 말하고, 온수는 60~70℃, 냉수는 15℃ 이하를 말한다.
  2.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한다.
  3.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 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4. 방울수라 함은 4℃에서 정제수를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
(정답률: 57%)
  •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 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를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는 시료의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건조를 계속 진행하여 무게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후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라는 조건은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와 관련이 있지만, 방울수, 표준온도, 감압 또는 진공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방울수라 함은 4℃에서 정제수를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 이는 정제수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정제수를 20방울 적하하여 그 부피가 약 1mL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표준온도는 0℃를 말하고, 온수는 60~70℃, 냉수는 15℃ 이하를 말한다. 이는 시험을 실시하는 환경의 온도를 규정하는 것으로, 시험 결과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한다. 이는 시료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기의 압력을 규정하는 것으로, 시료의 건조 속도와 건조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규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흡광광도법(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법)을 사용하여 구리(Cu)를 정량할 때 생성되는 킬레이트 화합물의 색깔은?

  1. 적색
  2. 황갈색
  3. 청색
  4. 적자색
(정답률: 60%)
  • 흡광광도법에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은 구리 이온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이 화합물은 황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흡광광도법을 사용하여 구리를 정량할 때 생성되는 킬레이트 화합물의 색깔은 황갈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소표준원액(1mg/mL)을 100mL 조제하려면 삼산화비소(As2O3)의 채취량은? (단, 비소의 원자량은 74.92이다)

  1. 37mg
  2. 74mg
  3. 132mg
  4. 264mg
(정답률: 32%)
  • 비소표준원액의 농도는 1mg/mL 이므로, 100mL 조제하기 위해서는 100mg의 비소가 필요하다. 비소의 원자량이 74.92이므로, 100mg의 비소는 100mg / 74.92g/mol = 0.001334 mol 이다. 삼산화비소(As2O3)의 분자량은 197.84g/mol 이므로, 0.001334 mol의 비소를 얻기 위해서는 0.001334 mol x 197.84g/mol = 0.264g = 264mg의 삼산화비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64mg"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132mg"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삼산화비소의 분자량이 비소의 분자량의 반인 것으로 계산한 것으로 추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4각 위어에 의한 유량(Q)측정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K:유량계수, b:절단 폭, h:위어 수두, 단위는 적절함)

  1. Q = Kbh3/2
  2. Q = Kbh2/3
  3. Q = Kbh5/2
  4. Q = Kbh2/5
(정답률: 56%)
  • 정답은 "Q = Kbh3/2"이다. 이유는 위어의 수두(h)는 유체의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절단 폭(b)은 유체의 단면적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유량(Q)은 속도와 단면적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속도는 h에 비례하고 단면적은 b와 h의 곱에 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Q = Kbh3/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기본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액송펌프 : 150~350kg/cm2 압력에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2. 써프레서 : 고용량의 음이온 교환수지를 충전시킨 컬럼형과 음이온 교환막으로 된 격막형이 있다.
  3. 분리컬럼 : 유리 또는 에폭시 수지로 만든 관에 이온교환체를 충전시킨 것이다.
  4. 검출기 : 일반적으로 음이온 분석에는 전기전도도 검출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20%)
  • 써프레서는 음이온 교환수지를 충전시킨 컬럼형과 양이온 교환막으로 된 격막형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써프레서는 일반적으로 양이온 교환수지를 충전시킨 컬럼형과 양이온 교환막으로 된 격막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량 측정공식의 형태가 나머지 3개와 다른 것은?

  1. 오리피스(orifice)
  2. 벤튜리미터(venturi meter)
  3. 피토우(pitot)관
  4. 유량측정용 노즐(nozzle)
(정답률: 16%)
  • 피토우(pitot)관은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반면, 오리피스, 벤튜리미터, 유량측정용 노즐은 유체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피토우관은 속도 측정에 특화되어 있어 다른 방식과 구조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분원성대장균군의 정의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A:그람음성ㆍ무아포성, B:44.5
  2. A:그람양성ㆍ무아포성, B:44.5
  3. A:그람음성ㆍ아포성, B:35.5
  4. A:그람양성ㆍ아포성, B:35.5
(정답률: 32%)
  • 분원성대장균군은 그람음성이며 무아포성이기 때문에 A:그람음성ㆍ무아포성이 맞습니다. 또한, 분원성대장균군의 최적 성장 온도는 44.5℃이기 때문에 B:44.5도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DO 측정을 위해 Fe(III) 100~200mg/L가 함유되어 있는 시료를 전처리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

  1.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륨용액(30g/L) 1mL를 가한다.
  2.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륨용액(300g/L) 1mL를 가한다.
  3.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슘용액(30g/L) 1mL를 가한다.
  4.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슘용액(300g/L) 1mL를 가한다.
(정답률: 16%)
  • 정답은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륨용액(300g/L) 1mL를 가한다." 입니다.

    Fe(III)는 불용성이므로 Fe(III)를 Fe(II)로 환원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불화칼륨(KF) 용액을 첨가합니다. KF는 Fe(III)를 Fe(II)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며, 불화칼륨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욱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불화칼륨용액의 농도가 높은 300g/L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또한, 황산을 첨가하여 pH를 조절하면 Fe(II)의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함께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질산성 질소의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2. 부루신법
  3. 데발다합금 환원증류법
  4. 자외선 흡광광도법
(정답률: 31%)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기체 상태의 시료를 분리하여 각 성분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질산성 질소는 액체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므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질산성 질소의 측정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순수한 물 200mL에 에틸알코올(비중 0.79) 80mL를 혼합하였을 때 이 용액중의 에틸알코올 농도는 몇 %(중량)인가?

  1. 약 13%
  2. 약 18%
  3. 약 24%
  4. 약 29%
(정답률: 48%)
  • 에틸알코올의 비중이 0.79이므로 80mL의 에틸알코올은 0.79 × 80 = 63.2g이다. 따라서 전체 용액의 질량은 200mL의 물이 200g이므로 200 + 63.2 = 263.2g이다. 이 중에서 에틸알코올의 질량은 63.2g이므로, 에틸알코올의 농도는 63.2 ÷ 263.2 × 100% = 약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환경부장관이 제조업의 배출시설(폐수무방류배출시설을 제외)을 설치, 운영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조업정지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로서 그 조업정지가 주민의 생활, 대외적인 신용, 고용, 물가 등 국민경제 그 밖에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조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의 최대 액수는?

  1. 1억원
  2. 2억원
  3. 3억원
  4. 5억원
(정답률: 56%)
  • 환경부는 제조업의 배출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사업자에 대해 조업정지를 명할 수 있습니다. 이때, 조업정지가 국민경제나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면,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 과징금의 최대 액수는 3억원입니다. 이는 환경부가 제조업체의 환경오염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을 부과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환경기술인 과정의 교육기간은?

  1. 3일 이내
  2. 5일 이내
  3. 7일 이내
  4. 10일 이내
(정답률: 43%)
  • 환경기술인 과정은 짧은 교육기간으로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기 때문에 5일 이내로 진행됩니다. 이는 실무에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빠르게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중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①지방환경청장 ② 시장, 군수, 구청장
  2. ①시장, 군수, 구청장 ② 지방환경청장
  3. ①유역환경청장 또는 지방환경청장 ② 관계 시ㆍ도지사
  4. ① 시ㆍ도지사 ② 유역환경청장 또는 지방환경청장
(정답률: 12%)
  • ①유역환경청장 또는 지방환경청장 ② 관계 시ㆍ도지사는 중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보전계획 수립 및 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주체이기 때문입니다. 지방환경청장은 해당 지역의 환경보전 및 관리를 총괄하는 역할을 하며, 시ㆍ도지사는 해당 지역의 행정을 총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주체가 협력하여 중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제1종 및 제2종 사업장 중 1개월간 실제 작업한 날만을 계산하여 1일 평균 17시간 이상 작업하는 경우 그 사업장은 환경기술인을 각각 2명 이상을 두어야 한다.
  2. 연간 90일미만 조업하는 제1종부터 제3종까지의 사업장은 제4종 사업장, 제5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선임할 수 있다.
  3. 대기환경기술인으로 임명된 자가 수질환경기술인의 자격을 함께 갖춘 경우에는 수질환경기술인을 겸임 할 수 있다.
  4. 공동방지시설의 경우에는 폐수 배출량이 제1종, 제2종 사업장 규모에 해당하는 경우 제3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 기술인을 둘 수있다.
(정답률: 18%)
  • 정답은 "연간 90일미만 조업하는 제1종부터 제3종까지의 사업장은 제4종 사업장, 제5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선임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연간 90일 미만 조업하는 제1종부터 제3종까지의 사업장은 제4종 사업장, 제5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선임할 수 없다. 사업장의 규모와 작업 시간 등에 따라 필요한 환경기술인의 인원과 자격기준이 정해지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1일 폐수배출량이 2천 세제곱미터 이상, 나지역인 경우

  1. BOD 50mg/L 이하, COD 60mg/L 이하, SS 50mg/L 이하
  2. BOD 60mg/L 이하, COD 70mg/L 이하, SS 60mg/L 이하
  3. BOD 70mg/L 이하, COD 80mg/L 이하, SS 70mg/L 이하
  4. BOD 80mg/L 이하, COD 90mg/L 이하, SS 80mg/L 이하
(정답률: 23%)
  •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은 BOD, COD, SS 등이 있으며, 이들의 기준치는 1일 폐수배출량과 지역에 따라 다르다. 1일 폐수배출량이 2천 세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나지역인 경우, BOD는 80mg/L 이하, COD는 90mg/L 이하, SS는 80mg/L 이하로 배출허용기준이 정해져 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수질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 기준을 초과하는 폐수는 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관리, 운영기준 중 자연형 시설인 인공습지의 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동절기에 인공습지의 식생대 동사를 방지하기 위해 덮개 시설 또는 가온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인공습지의 퇴적물은 주기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3. 인공습지의 식생대가 50퍼센트 이상 고사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수생식물을 심어야 한다.
  4. 인공습지 침사지의 매몰 정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50퍼센트 이상 매몰될 경우에는 토사를 제거하여야 한다.
(정답률: 11%)
  • 정답: "동절기에 인공습지의 식생대 동사를 방지하기 위해 덮개 시설 또는 가온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 인공습지의 식생대 동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덮개 시설이나 가온 시설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동절기에는 인공습지의 물이 얼어서 공기가 접근하지 못하므로, 오히려 덮개 시설이나 가온 시설을 설치하면 공기가 차단되어 더욱 식생대 동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초과부과금의 산정시 수질오염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큰 수질오염물질은?

  1. 크롬 및 그 화합물
  2. 총 인
  3. 페놀류
  4. 비소 및 그 화합물
(정답률: 27%)
  • 페놀류는 일반적으로 수질오염물질 중에서 가장 독성이 높은 물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수질오염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큰 수질오염물질로 선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환경기술인의 관리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수배출시설 및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
  2. 폐수배출시설 및 수질오염방지시설의 개선에 관한 사항
  3. 운영일지의 기록, 보전에 관한 사항
  4. 수질오염물질의 측정에 관한 사항
(정답률: 28%)
  • 환경기술인은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문가이다. 따라서 폐수배출시설 및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환경기술인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폐수배출시설 및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점오염원 관련 관계 전문기관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한국환경정책ㆍ평가 연구원
  2. 국립환경과학원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환경보전협회
(정답률: 34%)
  • 한국환경정책ㆍ평가 연구원은 정부의 환경정책 수립 및 평가, 환경문제 연구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 비점오염원 관련 연구와 대책 수립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옳은 선택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과학 분야의 연구기관이며,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건설기술 분야의 연구기관이기 때문에 비점오염원 관련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환경보전협회는 비영리 단체로서 환경보전 활동을 주로 수행하며, 전문적인 연구 역할은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질오염방지 시설 중 화학적 처리시설로 옳지 않은 것은?

  1. 살균시설
  2. 소각시설
  3. 흡착시설
  4. 응집시설
(정답률: 38%)
  • 응집시설은 물 속에 떠다니는 고형물을 물에서 분리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학적 처리시설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폐수처리업자의 등록취소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① 1년 이내 ② 1년 이상
  2. ① 1년 이내 ② 2년 이상
  3. ① 2년 이내 ② 2년 이상
  4. ① 2년 이내 ② 3년 이상
(정답률: 12%)
  • 폐수처리업자의 등록취소기준은 2년 이내에 2회 이상의 위반행위가 있거나 2년 이상 동일한 위반행위가 있을 경우 등록을 취소한다. 따라서 "① 2년 이내 ② 2년 이상"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특정수질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브로모포름
  2. 셀레늄과 그 화합물
  3. 염소화합물
  4. 구리와 그 화합물
(정답률: 30%)
  • 염소화합물은 특정 수질 유해물질에 해당하는데, 이는 수질 중 염소와 결합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화합물"은 이 보기에서 특정 수질 유해물질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2. 퇴적물 측정망
  3. 수질오염도 측정망
  4.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
(정답률: 13%)
  •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 중에서 수질오염도 측정망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이 측정망은 대개 지정된 지역의 수질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설치되며, 지정된 지역 내에서만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퇴적물 측정망,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은 지정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질오염도 측정망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오염총량관리대상오염물질 및 수계구간별 오염총량목표수질의 조정, 오염총량관리의 시행 등에 관한 검토, 조사 및 연구를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구성하는 오염총량관리 조사ㆍ연구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 연구반은 국립환경과학원에 둔다.
  2.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 대한 검토 업무를 수행한다.
  3.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에 대한 검토 업무를 수행한다.
  4. 환경부장관이 추천하는 수질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다.
(정답률: 24%)
  • 환경부장관이 추천하는 수질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오염총량관리 조사ㆍ연구반의 구성원이 수질 관련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환경부장관이 추천하는 수질 관련 전문가로 구성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사업자가 규정에 의한 관계 공무원의 출입, 검사를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한 경우의 벌칙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45%)
  • 규정에 의한 관계 공무원의 출입, 검사를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하는 행위는 환경보호법 제47조 제1항에 따라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제47조 제2항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벌칙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보고 횟수가 다른 것은?

  1. 배출업소의 지도, 점검 및 행정처분 실적
  2. 배출부과금 부과 실적
  3. 과징금 부과 실적
  4.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 설치 현황 및 행정 처분 현황
(정답률: 40%)
  • "과징금 부과 실적"은 다른 보고사항과 달리 법적인 제재를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위반사항이 발견되어 법적인 처분을 내리는 경우에만 보고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고사항은 일정한 주기로 보고가 이루어지는 반면, "과징금 부과 실적"은 위반사항이 발견되는 경우에만 보고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고 횟수가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환경부장관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지정, 고시한 때에 수립하는 비점오염원관리대책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리대상 수질오염물질의 발생 예방 및 저감방안
  2. 관리대상 지역내 수질오염물질 발생원 현황
  3. 관리목표
  4. 관리대상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및 발생량
(정답률: 29%)
  • 환경부장관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지정하고 고시한 후에는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 대책에는 관리대상 수질오염물질의 발생 예방 및 저감방안, 관리대상 지역내 수질오염물질 발생원 현황, 관리목표, 관리대상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및 발생량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관리대상 지역내 수질오염물질 발생원 현황"은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의 발생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책을 수립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에 반해, 다른 보기들은 대책 수립에 필요한 내용이나 방안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공공수역이 아닌 것은?

  1. 상수관거
  2. 연안해역
  3. 농업용수로
  4. 항만
(정답률: 56%)
  • 상수관거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공공수역이 아닙니다. 이는 상수도 시설물로서, 생활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상수관거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 다루는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2.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3. 오염총량관리대상 지역 및 시설
  4.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정답률: 25%)
  •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염총량관리대상 지역 및 시설"입니다. 이유는 오염총량관리대상 지역 및 시설은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와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질오염감시경보의 경보단계, 발령 해제기준 중 수소이온농도 항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수소이온농도 항목이 경보 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5 이하 또는 11 이상이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수소이온농도 항목이 경보 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5 이하 또는 11 이상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3. 수소이온농도 항목이 경보 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4 이하 또는 11 이상이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4. 수소이온농도 항목이 경보 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4 이하 또는 11 이상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정답률: 13%)
  • 정답은 "수소이온농도 항목이 경보 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5 이하 또는 11 이상이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다. 이유는 수질오염감시경보에서 수소이온농도는 pH값으로 측정되며, pH 5 이하 또는 11 이상은 물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이 매우 높아서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경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즉시 대처해야 한다. 또한,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오랜 시간동안 물의 pH값이 위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보가 발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