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07)

컬러리스트기사
(2021-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마케팅

1. 마케팅 전략 수집 절차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영역은?

  1. 상황분석
  2. 목표설정
  3. 전략수립
  4. 실행계획
(정답률: 30%)
  • 이 영역은 "목표설정"이다. 이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전에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업의 비전과 미션을 고려하여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에서 사용되는 형용사의 배열의 올바른 예시는?

  1. 크다 - 작다
  2. 아름다운 - 시원한
  3. 커다란 - 슬픈
  4. 맑은 – 늙은
(정답률: 92%)
  • SD법에서는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 쌍을 사용하여 대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합니다. "크다 - 작다"는 크기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며, 크기가 중요한 대상에 대한 평가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크기, 차의 크기 등을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 시원한"은 미적인 측면에서 대상을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다란 - 슬픈"은 크기와 감정적인 측면에서 대상을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맑은 - 늙은"은 상태나 상황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며, 대상이 상쾌하거나 새롭다는 것을 나타내는 "맑은"과 반대로 낡거나 지친 것을 나타내는 "늙은"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색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마케팅 믹스의 기본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품(product)
  2. 위치(position)
  3. 촉진(promotion)
  4. 가격(price)
(정답률: 86%)
  • 색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마케팅 믹스의 기본요소는 "제품(product)", "촉진(promotion)", "가격(price)"이다. "위치(position)"는 마케팅 믹스의 요소 중 하나이지만, 색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 위치는 제품을 어디에서 판매할 것인지, 어떤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하지만 색채 마케팅 전략은 제품의 색채, 디자인, 이미지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전략이므로 위치는 해당 전략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심리학자들에 의한 색채와 음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낮은 소리는 어두운 색을 연상시킨다.
  2. 예리한 소리는 순색에 가까운 밝고 선명한 색을 연상시킨다.
  3. 플루트(flute)의 음색에 대한 연상 색상은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라이트 톤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4. 느린 음은 대체로 노랑을, 높은 음은 낮은 채도의 색을 연상시킨다.
(정답률: 85%)
  • "느린 음은 대체로 노랑을, 높은 음은 낮은 채도의 색을 연상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사실, 높은 음은 대체로 밝고 채도가 높은 색을 연상시키고, 낮은 음은 어두운 색을 연상시킨다는 것이 일반적인 연구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표적마케팅의 3단계 순서가 옳은 것은?

  1. 시장 표적화 → 시장 세분화 → 시장의 위치 선정
  2. 시장 세분화 → 시장 표적화 → 시장의 위치 선정
  3. 시장의 위치 선정 → 시장 표적화 → 시장 세분화
  4. 틈새 시장분석 → 시장 세분화 → 시장의 위치 선정
(정답률: 58%)
  • 정답은 "시장 세분화 → 시장 표적화 → 시장의 위치 선정"입니다.

    시장 세분화는 전체 시장을 작은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Bedrock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장 표적화는 세분화된 그룹 중에서 가장 유망한 그룹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마케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위치 선정은 선택된 그룹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세분화 → 시장 표적화 → 시장의 위치 선정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색채시장조사의 과정에서 컬러 코드(color code)가 설정되는 단계는?

  1. 콘셉트 확인 단계
  2. 조사방침 결정단계
  3. 정보 수집단계
  4. 정보 분류·분석단계
(정답률: 33%)
  • 색채시장조사에서 컬러 코드는 조사방침 결정단계에서 설정됩니다. 이는 조사의 목적과 범위, 대상 등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 방법과 분석 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사방침 결정단계에서 컬러 코드를 설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색채 마케팅 전략 중 표적시장 선택의 시장공략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차별적 마케팅 – 세분시장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고 한 개의 제품으로 전체시장을 공략
  2. 차별적 마케팅 – 표적 시장을 선정하고 적합한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
  3. 집중 마케팅 – 소수의 세분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
  4. 브랜드 마케팅 – 브랜드 이미지 통합 전략
(정답률: 41%)
  • 정답은 "브랜드 마케팅 – 브랜드 이미지 통합 전략"입니다. 이유는 표적시장 선택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브랜드 마케팅은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보다는 브랜드 자체에 대한 인식을 중시합니다. 따라서 이는 표적시장 선택과는 별개의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단계 중 다음에 해당되는 것은?

  1. 생리적 욕구
  2. 안전욕구
  3. 사회적 욕구
  4. 자아실현의 욕구
(정답률: 79%)
  • 이 그림은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중 "안전욕구"에 해당한다. 이는 생존에 필요한 안전과 보호를 추구하는 욕구로, 위험과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살고 싶어하는 욕구이다. 이 단계를 만족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인 "사회적 욕구"나 "자아실현의 욕구"를 추구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색채 시장조사의 자료수집 방법 중 관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2.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분석하거나 시청률이나 시간, 집중도 등을 조사하는데 적절하다.
  3. 특정효과를 얻거나 비교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4. 특정 색채의 기호도를 조사하는데 적절하다.
(정답률: 40%)
  • "특정효과를 얻거나 비교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관찰법은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며,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분석하거나 시청률이나 시간, 집중도 등을 조사하는데 적절합니다. 또한, 특정 색채의 기호도를 조사하는데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업의 경영마케팅전략 중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기억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수단은?

  1. 기업의 CI(Corporate Identity)
  2. 기업의 외관 색채
  3. 기업의 인테리어 컬러
  4. 기업의 광고 색채
(정답률: 87%)
  • 기업의 CI(Corporate Identity)는 기업의 로고, 슬로건, 색상, 글꼴 등을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업을 쉽게 인식하고 기억할 수 있으며,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CI는 기업의 경영마케팅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중국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황제가 입었던 옷의 색이며, 갈리아에서는 노예들이 입었던 옷의 색은?

  1. 하양
  2. 노랑
  3. 파랑
  4. 검정
(정답률: 34%)
  • 중국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황제가 입었던 옷의 색은 파랑색이었고, 갈리아에서는 노예들이 입었던 옷의 색은 파랑색이었습니다. 이는 파랑색이 귀족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입는 색으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문화에 따른 색의 상징성이 틀린 것은?

  1. 불교에서 노랑은 신성시되는 종교색이다.
  2. 동양 문화권에서는 노랑을 겁쟁이 또는 배신자를 상징하는 색으로 연상한다.
  3. 가톨릭 성화 속 성모마리아의 청색망토로 파랑을 고귀한 색으로 연상한다.
  4. 북유럽에서는 초록인간(Green Man)신화로 초록을 영혼과 자연의 풍요로움으로 상징한다.
(정답률: 73%)
  • 불교에서 노랑은 신성시되는 종교색이지만, 동양 문화권에서는 노랑을 겁쟁이 또는 배신자를 상징하는 색으로 연상하는 이유는, 고대 중국에서 노란색은 중심을 잃고 방황하는 것을 의미하는 '황색(黃色)'으로 불리며, 이는 나쁜 예감이나 불길한 상황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중국 문화권에서는 노란색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이미지가 동양 문화권 전체로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장세분화를 위한 생활유형연구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컬러 소비 형태를 연구하고자 할 때 적합한 연구방법은?

  1. AIO
  2. SWOT
  3. VALS
  4. AIDMA
(정답률: 41%)
  • VALS는 소비자의 가치관과 생활유형을 기반으로 시장을 세분화하는 방법론으로, 컬러 소비 형태를 연구하는 데 적합합니다. AIO는 소비자의 활동, 관심사, 의견 등을 파악하는 방법론이며, SWOT는 기업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분석하는 방법론입니다. AIDMA는 광고의 단계별 전략을 나타내는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컬러 소비 형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VALS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랑크 H. 만케의 색경험 피라미드 반응 단계 중 유행색을 설명하기 위한 배경으로 적절한 단계와 인간의 반응은?

  1. 2단계 : 집단무의식
  2. 3단계 : 의식적 상징화, 연상
  3. 4단계 : 문화적 영향과 매너리즘
  4. 5단계 : 시대사조, 패션, 스타일의 경향
(정답률: 58%)
  • 5단계는 시대사조, 패션, 스타일의 경향을 설명하는 단계이다. 이는 현재의 문화적 흐름과 유행에 따라 색상이 선택되고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이러한 유행에 따라 색상을 선택하고 사용하며, 이는 문화적 영향과 매너리즘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인간의 색 경험은 현재의 문화적 흐름과 유행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색채와 문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북구계 민족들은 연보라, 스카이블루, 에메랄드 그린 등 한색계열의 색을 선호한다.
  2. 흐린 날씨의 지역 사람들은 약한 난색계를 좋아한다.
  3. 에스키모인은 녹색계열과 한색계열 색을 선호한다.
  4. 라틴계 민족은 난색계의 색을 선호한다.
(정답률: 72%)
  • "흐린 날씨의 지역 사람들은 약한 난색계를 좋아한다." 인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의 기준이 될 수 없는 요인은?

  1. 인구 통계적 특성
  2. 지리적 특성
  3. 역사적 특성
  4. 심리적 특성
(정답률: 60%)
  • 역사적 특성은 개인의 선호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시장 세분화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이 오래된 회사에서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다는 것은 보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색채의 공감각적 특징을 옳게 연결한 것은?

  1. 비렌 – 빨강 - 육각형
  2. 카스텔 – 노랑 – E 음계
  3. 뉴턴 – 주황 – 라 음계
  4. 모리스 데리베레 – 보라 – 머스크향
(정답률: 54%)
  • 카스텔은 색채의 공감각적 특징을 연구한 인물로, 노랑은 고주파수의 색채이며, E 음계는 고주파수의 음계이다. 따라서, 카스텔과 노랑은 고주파수에 대한 연구와 관련이 있으며, E 음계는 이와 일치하는 고주파수의 음계이므로 이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색채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특정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색에 대한 고정관념은 다를 수 있다.
  2. 사회가 고정되고 개인의 독립성이 뒤쳐진 사회에서는 색채가 다양하고 화려해지는 경향이 있다.
  3. 사회의 관습이나 권력에서 탈피하면 부수적으로 관련된 색채연상이나 색채금기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4. 사회 안에서 선택되는 색채의 선호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뿐만 아니라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률: 83%)
  • "사회가 고정되고 개인의 독립성이 뒤쳐진 사회에서는 색채가 다양하고 화려해지는 경향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회가 고정되고 개인의 독립성이 뒤쳐진 사회에서는 오히려 특정한 색채에 대한 고정관념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에서는 황색이 권력과 귀족의 상징이었고,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녹색이 중요한 색상으로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색에 대한 고정관념은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색채치료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색채를 이용하여 물리적, 정신적인 영향으로 환자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치료방법이다.
  2. 남색은 심신의 완화, 안정에 효과적이다.
  3. 보라색은 정신적 자극, 높은 창조성을 제공한다.
  4. 색의 고유한 파장과 진동은 인간의 신체조직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53%)
  • 남색은 심신의 완화, 안정에 효과적이다는 것이 틀린 사실입니다. 실제로는 파란색이 심신의 완화, 안정에 효과적이며, 남색은 집중력과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품 라이프 스타일 종류의 사이클 설명 중 옳은 것은?

  1. 패션(fashion)은 주기적으로 몇 차례 등장하여 인기를 얻다가 관심이 낮아지는 파형의 사이클을 나타낸다.
  2. 스타일(style)은 천천히 시작되어 점점 인기를 얻어 유지하다가 다시 천천히 쇠퇴하는 형상의 사이클을 나타낸다.
  3. 패드(fad)는 급격히 열광적으로 시장에서 받아들여지다가 곧바로 쇠퇴하는 사이클을 나타낸다.
  4. 클래식(classic)은 일부 계층에서만 받아들여져 유행하다 사라지는 형상의 사이클을 나타낸다.
(정답률: 65%)
  • 패드(fad)는 급격히 열광적으로 시장에서 받아들여지다가 곧바로 쇠퇴하는 사이클을 나타낸다. 이는 일시적인 유행으로, 급격한 인기 상승과 함께 짧은 시간 내에 사라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색채디자인의 매체전략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통일성(Identity)
  2. 근접성(Proximity)
  3. 주목성(Attention)
  4. 연상(Association)
(정답률: 44%)
  • 색채디자인은 시각적인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체전략 방법 중에서는 "근접성(Proximity)"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근접성은 요소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할수록 관련성이 높아지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근접성은 요소들 간의 관계를 강조하고, 정보를 구조화하여 전달하는 데에 유용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색채디자인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 등의 다양한 색채 속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감성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색채디자인에서는 근접성보다는 주목성, 연상, 통일성 등의 매체전략 방법이 더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대별 디자인의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1830년대 : 부가장식으로서의 디자인
  2. 1930년대 : 사회적 기술로서의 디자인
  3. 1980년대 : 경영전략과 비즈니스로서의 디자인
  4. 1910년대 : 기능적 표준 형태로서의 디자인
(정답률: 48%)
  • 다른 시대들은 디자인의 역할이 주로 장식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1930년대는 디자인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더욱 집중하였기 때문에 다른 시대들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 시기에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이 기술적인 해결책으로서의 역할을 맡았다. 디자인은 제품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건축양식, 기둥형태 등의 뜻 혹은 제품디자인의 외관형성에 채용하는 것으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유행하는 특정한 양식으로 말하기도 하는 용어는?

  1. Trend
  2. Style
  3. Fashion
  4. Design
(정답률: 49%)
  • "Style"은 건축양식이나 제품디자인의 외관형성에 채용되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유행하는 특정한 양식을 말하는 용어이다. "Trend"는 유행이나 추세를 의미하며, "Fashion"은 의류나 패션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Design"은 제품이나 시스템 등을 계획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자인 요소인 색의 세 가지 속성을 설명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색조 ⓑ 명도 ⓒ 채도
  2. ⓐ 색상 ⓑ 채도 ⓒ 명도
  3. ⓐ 배색 ⓑ 채도 ⓒ 명도
  4. ⓐ 단색 ⓑ 명도 ⓒ 채도
(정답률: 79%)
  • 정답은 "ⓐ 색상 ⓑ 채도 ⓒ 명도" 입니다.

    색의 세 가지 속성은 색상, 채도, 명도입니다. 색상은 빛의 파장에 따라 구분되는 색의 종류를 말하며,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한 정도를 나타내며,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색상, 채도, 명도 순서로 나열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입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체의 유형 중 적극적 입체는 확실하게 지각되는 형, 현실적인 형을 말한다.
  2. 순수입체는 모든 입체들의 기본요소가 되는 구, 원통 육면체 등 단순한 형이다.
  3. 두 면과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면의 회전에 의해서 생긴다.
  4. 넓이는 있지만 두께는 없고, 원근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입체의 유형 중 적극적 입체는 확실하게 지각되는 형, 현실적인 형을 말한다. (이 설명은 맞음)

    순수입체는 모든 입체들의 기본요소가 되는 구, 원통 육면체 등 단순한 형이다. (이 설명은 맞음)

    두 면과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면의 회전에 의해서 생긴다. (이 설명은 맞음)

    넓이는 있지만 두께는 없고, 원근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이 설명은 틀림. 입체는 넓이와 두께를 모두 가지며, 원근감과 질감은 입체의 형태와 표면의 속성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각디자인의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종류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지시적 기능 – 화살표, 교통표지
  2. 설득적 기능 – 잡지광고, 포스터
  3. 상징적 기능 – 일러스트레이션, 패턴
  4. 기록적 기능 – 영화, 심벌마크
(정답률: 65%)
  • 기록적 기능은 시각적인 정보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기능이며, 영화와 심벌마크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화는 시간적인 흐름을 담고 있으며, 심벌마크는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들은 기록적 기능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자인의 특성에 따른 색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패션 디자인에서 유행색은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을 고려한 유행 예측색과 일정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색으로 나눌 수 있다.
  2. 포장 디자인에서의 색채는 제품의 이미지 및 전체 분위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제품 디자인은 다양한 소재의 집합체이며 그 다양한 소재는 같은 색채로 적용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4. 광고 디자인은 상품의 특성을 분명히 해주고 구매충동을 유발하는 색채의 적용이 필요하다.
(정답률: 71%)
  • "제품 디자인은 다양한 소재의 집합체이며 그 다양한 소재는 같은 색채로 적용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품 디자인에서는 소재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색채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나무와 금속을 함께 사용하는 제품에서는 나무의 자연스러운 색상과 금속의 광택감을 강조하기 위해 각각 다른 색상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조색과 강조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조색이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전체 색채효과를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
  2. 주조색은 분야별로 선정방법이 동일하지 않고 다를 수 있다.
  3. 강조색이란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디자인 대상에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한다.
  4. 강조색은 시각적인 강조나 면의 미적인 효과를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강조색이란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디자인 대상에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한다." 이다. 이유는 강조색은 전체 색상 중에서 눈에 띄게 사용되는 색상으로, 디자인 대상에 주목을 끌고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강조색이 차지하는 비율은 디자인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색채계획 시 고려할 조건 중 거리가 먼 것은?

  1. 기능성
  2. 심미성
  3. 공공성
  4. 형평성
(정답률: 68%)
  • 거리가 먼 것은 "공공성"이다. 색채계획은 공공공간에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이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거리가 먼 사용자들도 동등하게 색채계획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성을 고려해야 한다. "형평성"은 모든 사용자들이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으로, 공공성과 유사하지만 조금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처음 점이 움직임을 시작한 위치에서 끝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가진 점의 궤적은?

  1. 점증
  2. 입체
(정답률: 73%)
  • 점이 움직이는 동안 그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궤적이다. 따라서 처음 점이 움직임을 시작한 위치에서 끝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가진 점의 궤적은 선이다. 이는 점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며, 점이 이동하는 동안 그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선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정답은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린디자인의 디자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순수성 및 호환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한다.
  2. 각각의 조립과 분해가 쉽도록 디자인한다.
  3. 재활용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많은 노동력과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
  4. 폐기 시 재활용률이 높도록 표면처리 방법을 고안한다.
(정답률: 52%)
  • "재활용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많은 노동력과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는 그린디자인의 디자인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재활용을 고려한 디자인은 제품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재료의 순수성과 호환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고, 각각의 조립과 분해가 쉽도록 디자인하며, 폐기 시 재활용률이 높도록 표면처리 방법을 고안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재활용을 고려한 디자인이 노동력과 복잡한 공정을 요구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업이나 공예, 예술, 상업이 잘 협동하여 디자인의 규격화와 표준화를 실천한 디자인 사조는?

  1. 구성주의
  2. 독일공작연맹
  3. 미술공예운동
  4. 사실주의
(정답률: 59%)
  • 독일공작연맹은 산업, 공예, 예술, 상업 분야에서 협동하여 디자인의 규격화와 표준화를 실천한 디자인 사조입니다. 이는 구성주의, 미술공예운동, 사실주의 등의 이념과 함께 발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메이크업(make-up)을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3대 관찰 요소는?

  1. 이목구비의 비율, 얼굴형, 얼굴의 입체 정도
  2. 시대유행, 의상과의 연관성, 헤어스타일과의 조화
  3. 비용, 고객의 미적 욕구, 보건 및 위생 상태
  4. 색의 균형, 피부의 질감, 얼굴의 형태
(정답률: 34%)
  • 이목구비의 비율은 얼굴의 대칭성과 균형을 결정하며, 얼굴형은 메이크업의 스타일과 방향성을 결정하고, 얼굴의 입체 정도는 그림자와 하이라이트를 통해 얼굴을 입체적으로 만들어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를 잘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메이크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근대 디자인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독일공작연맹은 규격화를 통해 생산의 양증대를 긍정하면서 동시에 질 향상을 지향하였다.
  2. 미술공예운동은 수공예 부흥운동, 대량생산 시스템의 거부라는 시대 역행적 성격이 강하다.
  3. 곡선적 아르누보는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4. 아르데코는 복고적 장식과 단순한 현대적 양식을 결합하여 대중화를 시도하였다.
(정답률: 39%)
  • "곡선적 아르누보는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곡선적 아르누보는 프랑스에서 발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 )에 가장 적합한 말은?

  1. 자연
  2. 실용
  3. 환상
  4. 상징
(정답률: 70%)
  • 이 그림은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들을 그린 것으로, 실용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디자인 사조(思潮)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미술공예운동은 윌리엄 모리스의 노력에 힘입어 19세기 후반 예술성을 지향하는 몇몇 길드(guild)와 새로운 세대의 건축가, 공예 디자이너에 의해 성장하였다.
  2. 플럭서스(Fluxus)란 원래 낡은 가구를 주워 모아 새로운 가구를 만든다는 뜻으로 저속한 모방예술을 의미한다.
  3. 바우하우스(Bauhaus)는 신조형주의 운동으로서 개성을 배제하는 주지 주의적 추상미술운동이다.
  4. 다다이즘(Dadaism)의 화가들은 자연적 형태는 기하학적인 동일체의 방향으로 단순화시키거나 세련되게 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정답률: 57%)
  • 디자인 사조(思潮)는 일본에서 1950년대에 시작된 디자인 운동으로, 기존의 서양식 디자인에 대한 비판과 일본 전통문화의 재해석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미술공예운동은 윌리엄 모리스의 노력에 힘입어 19세기 후반 예술성을 지향하는 몇몇 길드(guild)와 새로운 세대의 건축가, 공예 디자이너에 의해 성장하였다."가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예술 운동들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극의 크기나 강도를 일정방향으로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면서 그 각각 자극에 대하여 ‘크다/작다, 보인다/보이지 않는다.’ 등의 판단을 하는 색채디자인 평가방법은?

  1. 조정법
  2. 극한법
  3. 항상법
  4. 선택법
(정답률: 37%)
  • 극한법은 자극의 크기나 강도를 일정 방향으로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면서 그 각각 자극에 대하여 ‘크다/작다, 보인다/보이지 않는다.’ 등의 판단을 하는 색채디자인 평가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극한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에스니컬 디자인(ethnical design), 베네큘러 디자인(vernacular design)의 개념은 어떤 디자인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설명되는가?

  1. 합목적성
  2. 독창성
  3. 질서성
  4. 문화성
(정답률: 54%)
  • 에스니컬 디자인과 베네큘러 디자인은 모두 디자인이 해당 지역의 문화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개념이다. 따라서 "문화성"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흐름, 끊임없는 변화, 움직임을 뜻하는 라틴어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걸쳐 주로 독일의 여러 도시를 중심으로 일어난 국제적 전위예술운동은?

  1. 플럭서스
  2. 해체주의
  3. 페미니즘
  4. 포토리얼리즘
(정답률: 68%)
  • "플럭서스"는 라틴어로 "흐름, 끊임없는 변화, 움직임"을 뜻하며, 이 용어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난 국제적 전위예술운동의 이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기존의 예술적 규범과 전통을 깨고, 새로운 예술적 표현 방식을 모색하며,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변화에 대한 반영을 시도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해체주의", "페미니즘", "포토리얼리즘" 등 다양한 예술적 운동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개인의 개성과 호감이 가장 중요시 되는 분야는?

  1. 화장품의 색체디자인
  2. 주거공간의 색채디자인
  3. CIP의 색채디자인
  4. 교통표지판의 색채디자인
(정답률: 51%)
  • 화장품의 색체디자인은 개인의 개성과 호감이 가장 중요시 되는 분야이다. 이는 화장품은 개인의 외모와 이미지를 강조하는 제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장품의 색체디자인은 개인의 취향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색채관리

41. 자연주광 조명에서의 색비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북반구에서의 주광은 북창을 통해서 확산된 광을 사용한다.
  2. 진한 색의 물체로부터 반사하지 않는 확산 주광을 이용해야 한다.
  3. 시료면의 범위보다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조명해야 한다.
  4. 적어도 1,000 lx의 조도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38%)
  • "북반구에서의 주광은 북창을 통해서 확산된 광을 사용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북반구에서의 자연주광은 남쪽에서 들어오는 태양광이 지평선을 통과하여 지면에 비추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북창을 통해 확산된 광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광을 직접 이용해야 합니다.

    "적어도 1,000 lx의 조도가 되어야 한다."는 색비교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도입니다. 적어도 1,000 lx의 조도가 되어야 색상의 차이를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색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계란 색을 표시하는 수치를 측정하는 계측기를 뜻한다.
  2. 광전 수광기를 사용하여 종합 분광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한 색채계는 광전 색채계이다.
  3. 복사의 분광 분포를 파장의 함수로 측정하는 계측기는 분광 광도계이다.
  4. 시감에 의해 색 자극값을 측정하는 색채계를 시감 색채계라 한다.
(정답률: 38%)
  • "복사의 분광 분포를 파장의 함수로 측정하는 계측기는 분광 광도계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분광 광도계는 복사된 빛의 강도를 파장별로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이며, 복사의 분광 분포를 파장의 함수로 측정하는 것은 분광복사도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시 조건이나 재질 등의 차이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주관적인 색의 현상은?

  1. 컬러 프로파일
  2. 컬러 캐스트
  3. 컬러 세퍼레이션
  4. 컬러 어피어런스
(정답률: 64%)
  • 주관적인 색의 현상은 재질이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가 "컬러 어피어런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컬러 관련 용어이지만, 주관적인 색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은 컬러 어피어런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광원에 대한 측정은 인간의 눈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광측정이라 한다. 4가지 측정량에 해당되는 것은?

  1. 전광속, 선명도, 휘도, 광도
  2. 전광속, 색도, 휘도, 광도
  3. 전광속, 광택도, 휘도, 광도
  4. 전광속, 조도, 휘도, 광도
(정답률: 63%)
  • 전광속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총 광량을 나타내는 측정량이고, 조도는 특정 면적에 닿는 광량을 나타내는 측정량입니다. 휘도는 특정 방향으로 나아가는 광선의 밝기를 나타내는 측정량이며, 광도는 광원이 특정 방향으로 발산하는 광량을 나타내는 측정량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정답은 "전광속, 조도, 휘도, 광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면색의 시감 비교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KS A 0065로 정의되어 있다.
  2. 정상 색각인 관찰자를 필요로 한다.
  3. 자연주광 혹은 인공광원에서 비교를 실시한다.
  4. 인공의 평균 주광으로 D50은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46%)
  • 인공의 평균 주광으로 D50은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D50은 자연주광의 스펙트럼을 모방한 광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주광이 아닌 인공광원에서는 D50을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가소성 물질이며, 광택이 좋고 다양한 색채를 낼 수 있도록 착색이 가능하며 투명도가 높고 굴절율은 유리보다 낮은 소재는?

  1. 플라스틱
  2. 금속
  3. 천연섬유
  4. 알루미늄
(정답률: 70%)
  • 플라스틱은 가소성 물질로 유연하고 가벼워서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착색이 가능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투명도가 높고 굴절율이 낮아서 유리보다도 더욱 투명하고 광택이 좋습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플라스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입력 색역에서 표현된 색이 출력 색역에서 재현 불가할 때 ICC에서 규정한 렌더링 의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지각적(perceptual) 렌더링은 전체 색간의 관계는 유지하면서 출력 색역으로 색을 압축한다.
  2. 채도(saturation) 렌더링은 입력측의 채도가 높은 색을 출력에서도 채도가 높은 색으로 변환한다.
  3. 상대색도(relative colorimetric) 렌더링은 입력의 흰색을 출력의 흰색으로 매핑하며, 전체 색간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출력색역으로 색을 압축한다.
  4. 절대색도(absolute colorimetric) 렌더링은 입력의 흰색을 출력의 흰색으로 매핑하지 않는다.
(정답률: 34%)
  • "채도(saturation) 렌더링은 입력측의 채도가 높은 색을 출력에서도 채도가 높은 색으로 변환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상대색도(relative colorimetric) 렌더링은 입력의 흰색을 출력의 흰색으로 매핑하며, 전체 색간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출력색역으로 색을 압축합니다. 이는 입력 색역에서 가장 밝은 색을 출력 색역에서도 가장 밝은 색으로 유지하면서, 다른 색들도 가능한 한 원래의 색상과 가깝게 유지하도록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인쇄물에서 사용되며, 입력 색역과 출력 색역이 다른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반면, 채도 렌더링은 입력의 채도를 유지하면서 밝기와 색조를 조정하여 출력 색상을 생성합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화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며, 입력 색상의 채도를 강조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대상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경면 광택도 측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85° 경면 광택도 : 종이, 섬유 등 광택이 거의 없는 대상에 적용
  2. 75° 경면 광택도 : 도장면, 타일, 법랑 등 일반적 대상물의 측정
  3. 60° 경면 광택도 : 광택범위가 넓은 범위를 측정하는 경우에 적용
  4. 20° 경면 광택도 : 비교적 광택도가 높은 도장면이나 금속면끼리의 비교
(정답률: 43%)
  • 설명이 틀린 것은 "75° 경면 광택도 : 도장면, 타일, 법랑 등 일반적 대상물의 측정"이 아닌 다른 항목들입니다. 75° 경면 광택도는 일반적인 대상물의 측정에 적용되며, 85° 경면 광택도는 광택이 거의 없는 대상에 적용되고, 60° 경면 광택도는 광택범위가 넓은 범위를 측정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20° 경면 광택도는 비교적 광택도가 높은 도장면이나 금속면끼리의 비교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건등색지수(MI)를 구하려 한다. 2개의 시료가 기준광으로 조명 되었을 때 완전히 같은 색이 아닐 경우의 보정 방법은?

  1. 기준광으로 조명되었을 EO의 삼자극치(Xr1, Yr1, Zr1) 를 보정한다.
  2. 시험광(t)으로 조명되었을 때의 삼자극치(Xt2, Yt2, Zt2)를 보정한다.
  3. 기준광(r)과 시험광(t)으로 조명되었을 때의 각각의 삼자극치를 모두 보정한다.
  4. 보정은 필요 없고, MI만 기록한다.
(정답률: 40%)
  • 조건등색지수(MI)는 두 개의 시료가 같은 색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수이다. 하지만 기준광으로 조명되었을 때 완전히 같은 색이 아닐 경우, 시료 간의 색 차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시험광(t)으로 조명되었을 때의 삼자극치(Xt2, Yt2, Zt2)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유는 시험광(t)으로 조명되었을 때의 삼자극치는 기준광(r)으로 조명되었을 때의 삼자극치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광(t)으로 조명되었을 때의 삼자극치를 보정해주어야 정확한 MI 값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분광 반사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 조건으로 조명하여 한정된 동일 입체각내의 물체에서 반사하는 복사속과 완전 확산 반사면에서 반사하는 복사속의 비율
  2. 동일조건으로 조명 및 관측한 물체의 파장에 있어서 분광 복사 휘도와 완전 확산 반사면의 비율
  3. 물체에서 반사하는 파장의 분광 복사속과 물체에 입사하는 파장의 분광 복사속의 비율
  4. 입사한 복사를 모든 방향에 동일한 복사 휘도로 반사한 비율
(정답률: 28%)
  • 분광 반사율은 물체에서 반사하는 파장의 분광 복사속과 물체에 입사하는 파장의 분광 복사속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물체에 빛이 입사하면 그 빛 중 일부는 반사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때 반사되는 빛의 파장과 입사하는 빛의 파장의 비율을 분석하여 그 물체의 분광 반사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염료와 안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염료는 수용성, 안료는 비수용성이다.
  2. 일반적으로 염료는 유기성, 안료는 무기성이다.
  3. 불투명한 채색을 얻고자 하는 경우 안료를 사용하고, 투명도를 원할 때는 염료를 사용한다.
  4. 불투명하게 플라스틱을 채색하고자 할 때는 안료와 플라스틱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작게 해야 한다.
(정답률: 31%)
  • 정답은 "불투명하게 플라스틱을 채색하고자 할 때는 안료와 플라스틱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작게 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안료와 플라스틱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크면 빛이 안료와 플라스틱 사이에서 반사되어 불투명한 색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절률 차이를 작게 하면 빛이 플라스틱 안으로 들어가서 색을 만들어내므로 불투명한 색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ISO 3664 컬러 관측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광분포는 CIE 표준광 D50을 기준으로 한다.
  2. 반사물에 대한 균일도는 60% 이상, 1200lux 이상이어야 한다.
  3. 투사체에 대한 균일도는 75% 이상, 1270cd/m2 이상이어야 한다.
  4. 10%에서 60%사이의 반사율을 가진 무채색 유광 배경이 요구된다.
(정답률: 36%)
  • "10%에서 60%사이의 반사율을 가진 무채색 유광 배경이 요구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의 반사율을 가진 배경을 사용하면 색상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무 낮은 반사율을 가진 배경은 색상을 어둡게 만들고, 너무 높은 반사율을 가진 배경은 색상을 밝게 만들어서 정확한 색상 관측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천연 수지 도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케슈계 도료는 비교적 저렴하다.
  2. 주정 에나멜은 수지를 알코올에 용해하여 안료를 가한다.
  3. 셀락 니스와 속건 니스는 도막이 매우 강하다.
  4. 유성 에나멜은 보일유를 전색제로 하는 도료이다.
(정답률: 33%)
  • "셀락 니스와 속건 니스는 도막이 매우 강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셀락 니스와 속건 니스는 도막이 강하다는 것보다는 빠르게 건조되어 도막이 얇고 단단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료의 두께와 건조 시간을 조절하여 적절한 도막을 형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각에 관한 용어와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가독성 – 대상물의 존재 또는 모양의 보기 쉬움 정도
  2. 박명시 – 명소시와 암소시의 중간 밝기에서 추상체와 간상체 양쪽이 움직이고 있는 시각의 상태
  3. 자극역 – 2가지 자극이 구별되어 지가되기 위하여 필요한 자극 척도상의 최소의 차이
  4. 동시대비 – 시간적으로 근접하여 나타나는 2가지 색을 차례로 볼 때에 일어나는 색 대비
(정답률: 45%)
  • 정답은 "박명시 – 명소시와 암소시의 중간 밝기에서 추상체와 간상체 양쪽이 움직이고 있는 시각의 상태"입니다. 이 용어는 시각적 감각에 관한 용어로, 밝기와 움직임에 대한 설명입니다. 추상체와 간상체가 움직이는 것을 중간 밝기에서 관찰하면 박명시가 일어납니다. 이 용어는 시각적 감각 실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디지털 프린터의 디더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M 스크리닝은 닷의 위치는 그대로 두고 크기를 변화시킨다.
  2. FM 스크리닝은 닷 배치는 불규칙적으로 보이도록 이루어진다.
  3. 스토캐스틱 스크리닝은 AM 스크리닝 기법이다.
  4. 에러 디퓨전은 FM 스크리닝 기법이다.
(정답률: 31%)
  • "스토캐스틱 스크리닝은 AM 스크리닝 기법이다."가 틀린 것이다. 스토캐스틱 스크리닝은 FM 스크리닝 기법 중 하나이다. AM 스크리닝은 닷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기법이며, FM 스크리닝은 닷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하여 불규칙적인 패턴을 만드는 기법이다. 에러 디퓨전은 FM 스크리닝 기법 중 하나로, 인접한 닷들의 색상을 섞어서 부드러운 그라데이션 효과를 만드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메타메리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메타메리즘이 나타나는 경우 광원이 바뀌면서 색채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려주는 지수를 메타메리즘 지수라고 한다.
  2. CCM을 하는 경우에는 아이소메릭 매칭을 한다.
  3. 육안으로 조색하는 경우 메타메릭 매칭을 한다.
  4. 분광반사율 자체를 일치하게 하여도 관측자에 따라 메타메리즘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26%)
  • "분광반사율 자체를 일치하게 하여도 관측자에 따라 메타메리즘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가 틀린 것이다. 분광반사율 자체를 일치하게 하면 메타메리즘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메타메리즘은 색채를 인식하는 방식이 다른 사람들 간에 차이가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분광반사율 자체를 일치하게 하면서도 메타메리즘이 일어나는 경우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CC 기반 색채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IEXYZ 또는 CIELAB을 PCS로 사용한다.
  2. 색채변환을 위해서 항상 입력과 출력 프로파일이 필요하지는 않다.
  3. 운영체제에서 특정 CMM을 선택하는 것은 가능하다.
  4. CIELAB의 지각적 불균형 문제를 CMM에서 보완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색채변환을 위해서 항상 입력과 출력 프로파일이 필요하지는 않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색채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입력 프로파일과 출력 프로파일이 모두 필요하다. 입력 프로파일은 변환할 이미지의 색 공간을 정의하고, 출력 프로파일은 변환된 이미지의 색 공간을 정의한다. 이 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색채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먼셀의 색채개념인 색상, 명도, 채도와 유사한 구조의 디지털 색채 시스템은?

  1. CMYK
  2. HSL
  3. RGB
  4. LAB
(정답률: 37%)
  • HSL은 색상, 명도, 채도를 각각 Hue(색상), Saturation(채도), Lightness(명도)로 표현하는 디지털 색채 시스템입니다. 이는 먼셀의 색채개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정답입니다. CMYK는 인쇄용 색상 모델, RGB는 빛의 삼원색 모델, LAB는 색의 인식과 관련된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색채를 효과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다른 과정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1. 재현하려는 표준 표본의 색채 소재(도료, 염료 등) 특성 파악
  2. 재현하려는 표준 표본의 측색을 바탕으로한 색채 정량화
  3. 색채 재현을 위한 원색의 조합비율 구성
  4. 색채 재현을 위해 사용하는 컬러런트의 성분 파악
(정답률: 29%)
  • 색채를 효과적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재현하려는 표준 표본의 측색을 바탕으로한 색채 정량화가 가장 우선되어야 합니다. 이는 재현하려는 색채의 정량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정확한 색채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다른 과정들은 이러한 색채 정량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과정이 가장 우선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안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채색 후에 물이나 습기에 노출되면 색이 보존되지 않는다.
  2. 물이나 착색과정의 용제(溶薺)에 의해 단일분자로 녹는다.
  3. 착색하고자 하는 매질에 용해되지 않는다.
  4. 피염제의 종류, 색료의 종류, 흡착력 등에 따라 착색 방법이 달라진다.
(정답률: 47%)
  • 안료는 착색하고자 하는 매질에 용해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안료 입자가 착색하고자 하는 매질과 상호작용하여 표면에 흡착되거나 분산되어 색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료는 매질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채색 후에 물이나 습기에 노출되면 색이 보존되지 않는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론

61. 정육점에서 사용된 붉은 색 조명이 고기를 신선하게 보이도록 하는 현상은?

  1. 분광반사
  2. 연색성
  3. 조건등색
  4. 스펙트럼
(정답률: 55%)
  • 고기는 붉은색을 가진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반사합니다. 따라서 붉은색 조명 아래에서는 고기가 더욱 빛나고 신선해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쇄에서의 혼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망점인쇄에서는 잉크가 중복인쇄로서 필요에 따라 겹쳐지기 때문에 감법혼색의 상태를 나타낸다.
  2. 잉크량을 절약하기 위해 백색 잉크를 사용해 4원색을 원색으로서 중복 인쇄한다.
  3. 각 잉크의 망점 크기나 위치가 엇갈리므로 병치 가법의 혼색 상태도 나타난다.
  4. 망점 인쇄에서는 감법혼색과 병치 가법혼색이 혼재된 혼색이다.
(정답률: 56%)
  • 잉크량을 절약하기 위해 백색 잉크를 사용해 4원색을 원색으로서 중복 인쇄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망점인쇄에서는 감법혼색과 병치 가법혼색이 혼재된 혼색이다. 각 잉크의 망점 크기나 위치가 엇갈리므로 병치 가법의 혼색 상태도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베졸드(Bezold)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경에 비해 줄무늬가 가늘고, 그 간격이 좁을수록 효과적이다.
  2. 어느 영역의 색이 그 주위색의 영향을 받아 주위색에 근접하게 변화하는 효과이다.
  3. 배경색과 도형색의 명도와 색상차이가 적을수록 효과가 뚜렷하다.
  4. 음성적 잔상의 원리를 적용한 효과이다.
(정답률: 31%)
  • 음성적 잔상의 원리를 적용한 효과가 아니라, 어느 영역의 색이 그 주위색의 영향을 받아 주위색에 근접하게 변화하는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400, 450
  2. 500, 560
  3. 400, 550
  4. 500, 660
(정답률: 49%)
  • 이 그래프는 x축이 "시간", y축이 "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빨간색 선은 "입금액", 파란색 선은 "출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금액과 출금액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입금액"과 "출금액"이 가장 높은 지점은 x축이 약 3.5일인 지점입니다. 이 때의 "입금액"은 500이고 "출금액"은 56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 5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저녁노을이 붉게 보이는 것은 빛의 어떤 현상 때문인가?

  1. 반사
  2. 굴절
  3. 간섭
  4. 산란
(정답률: 65%)
  • 저녁노을이 붉게 보이는 것은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산란은 빛이 공기나 먼지와 같은 입자들과 부딪혀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붉은색 빛의 파장이 더 길기 때문에 다른 색상의 빛보다 더 멀리 산란되어 더 많은 양이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되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조명광의 혼색이나, 테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의 혼색에 해당되는 것은?

  1. 가법혼색
  2. 감법혼색
  3. 중간혼색
  4. 회전혼색
(정답률: 60%)
  • 조명광이나 테레비전, 컴퓨터 모니터의 혼색은 "가법혼색"에 해당된다. 가법혼색은 빨강, 초록, 파랑(RGB)과 같은 색상을 혼합하여 밝은 색을 만드는 방식으로, 색상의 밝기가 증가하면서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명광이나 테레비전, 컴퓨터 모니터에서는 RGB 색상을 혼합하여 밝은 색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색의 3속성 중 대상물과 바탕색과의 관계에서 시인성에 영향을 주는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채도차 → 색상차 → 명도차
  2. 색상차 → 채도차 → 명도차
  3. 채도차 → 명도차 → 색상차
  4. 명도차 → 채도차 → 색상차
(정답률: 40%)
  • 정답은 "명도차 → 채도차 → 색상차"입니다.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며, 대상물과 바탕색의 명도 차이가 클수록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즉, 대비가 크면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며, 대상물과 바탕색의 채도 차이가 클수록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즉, 대비가 강하면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색상은 색의 종류를 나타내며, 대상물과 바탕색의 색상 차이가 클수록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즉, 대비가 강하면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명도차 → 채도차 → 색상차 순으로 나열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색채의 경연감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밝고 채도가 낮은 난색은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2. 색채의 경연감은 주로 명도와 관련이 있다.
  3. 채도가 높은 한색은 딱딱한 느낌을 준다.
  4. 어두운 한색은 딱딱한 느낌을 준다.
(정답률: 40%)
  • "어두운 한색은 딱딱한 느낌을 준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색채의 경연감은 주로 명도와 채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명도가 높은 색은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며, 채도가 높은 색은 선명하고 화려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어두운 한색이 딱딱한 느낌을 준다는 것은 일반적인 경험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곡선 중에서 양배추의 분광반사율을 나타내는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32%)
  • 정답은 "D"입니다. 이유는 양배추의 분광반사율은 녹색과 노란색 근처에서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D"는 녹색과 노란색 근처에서 높은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A", "B", "C"는 분광반사율이 낮아지는 구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병치 혼색이 아닌 것은?

  1. 인상파 화가의 점묘화
  2. 컬러 인쇄의 망점
  3. 직물에서의 베졸드 효과
  4. 빠르게 도는 색팽이의 색
(정답률: 55%)
  • "빠르게 도는 색팽이의 색"은 병치 혼색이 아닙니다. 이유는 색팽이가 빠르게 돌아가면서 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므로, 이는 빛의 혼합이기 때문입니다. 병치 혼색은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섞어서 새로운 색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푸르킨예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조명이 점차 어두워지면 빨간색이 다른 색보다 먼저 영향을 받는다.
  2. 암소시에서 명소시로 이동할 때 생기는 지각현상을 말한다.
  3. 낮에는 빨간 사과가 밤이 되면 밝은 회색으로 보인다.
  4. 어두운 곳에서의 명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록색보다는 주황색이 유리하다.
(정답률: 34%)
  • 조명이 점차 어두워지면 빨간색이 다른 색보다 먼저 영향을 받는 것은, 빛의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이 먼저 흡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빨간색은 더 오래 유지되며, 이로 인해 물체의 색이 변하는 현상을 푸르킨예 현상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색채에 대한 느낌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빨강, 주황, 노랑 등의 색상은 경쾌하고 시원함을 느끼게 한다.
  2. 장파장 계통의 색은 시간의 경과가 느리게 느껴지고, 단파장 계통의 색은 시간의 경과가 빠르게 느껴진다.
  3. 한색계열의 저채도 색은 심리적으로 마음이 가라앉는 느낌을 준다.
  4. 색의 중량감은 주로 채도에 의하여 좌우된다.
(정답률: 42%)
  • 한색계열의 저채도 색은 심리적으로 마음이 가라앉는 느낌을 준다. 이는 색의 밝기와 채도가 낮아져서 더욱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한 회색이나 베이지색은 차분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물체에 적용 시 가장 작아 보이는 색은?

  1. 채도가 높은 주황색
  2. 밝은 노란색
  3. 명도가 낮은 파란색
  4. 채도가 높은 연두색
(정답률: 60%)
  • 물체에 적용되는 색은 빛의 반사로 인해 보이는 것이므로, 물체의 표면이 어두운 색일수록 빛을 흡수하고, 밝은 색일수록 빛을 반사합니다. 따라서 명도가 낮은 파란색은 빛을 적게 반사하여 가장 작아 보이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노트르담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제작기법에서, 원색으로 이루어진 바탕 그림 사이에 검은색 띠를 두른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는 어떤 대비를 약화시키려는 시각적 보정작업인가?

  1. 색상대비
  2. 연변대비
  3. 명도대비
  4. 한난대비
(정답률: 52%)
  • 정답은 "연변대비"이다. 연변대비는 서로 다른 색상이나 밝기의 경계에서 생기는 대비를 말한다. 스테인드글라스 제작에서는 원색으로 이루어진 바탕 그림과 검은색 띠 사이에 연변대비를 조절하여 색상 대비를 부드럽게 하고 시각적 보정작업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색채의 감정효과 중 리프만 효과(Liebmann’s effect)와 관련이 높은 것은?

  1. 경연감
  2. 온도감
  3. 명시성
  4. 주목성
(정답률: 40%)
  • 리프만 효과는 색채의 명암 대비가 높아질수록 색채의 감정적 효과가 강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색채의 명암 대비가 높아지면서 색채의 경계가 뚜렷해지고 명확해지는데, 이러한 명시성이 감정적 효과와 관련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시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두 개 이상의 색필터 또는 색광을 혼합하여 다른 색채감각을 일으키는 것은?

  1. 색의 지각
  2. 색의 혼합
  3. 색의 순응
  4. 색의 파장
(정답률: 54%)
  • 두 개 이상의 색필터 또는 색광을 혼합하면 색의 파장이 합쳐져서 새로운 파장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새로운 파장은 우리 뇌에서 다른 색채감각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색의 혼합"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을 혼합하면 보라색이 되는데, 이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파장이 합쳐져서 새로운 파장인 보라색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작은 면적의 회색이 채도가 높은 유채색으로 둘러싸일 때 회색이 유채색의 보색 색상을 띠어 보이는 것은?

  1. 색음현상
  2. 애브니 효과
  3. 피프만 효과
  4. 기능적 색채
(정답률: 46%)
  • 정답: "색음현상"

    색음현상은 인접한 색상이 서로 영향을 주어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작은 면적의 회색이 채도가 높은 유채색으로 둘러싸일 때, 회색은 유채색의 보색 색상을 띠어 보이게 됩니다. 이는 인접한 색상이 서로 영향을 주어 색상이 변하는 색음현상의 일종입니다. 다른 보기인 "애브니 효과", "피프만 효과", "기능적 색채"는 색채 이론에서 다른 개념들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채색 지각과 관련된 광수용기는?

  1. 간상체
  2. 추상체
  3. 중심와
  4. 맹점
(정답률: 54%)
  • 유채색 지각과 관련된 광수용기는 추상체이다. 이는 유채색은 파장이 다양하고 복잡한 파장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광수용기가 특정 파장에만 반응하는 중심와나 맹점과는 달리, 파장 구성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추상체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감법혼색을 응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컬러 TV
  2. 컬러 슬라이드
  3. 컬러 영화필름
  4. 컬러 인화사진
(정답률: 61%)
  • 감법혼색은 흑백 이미지나 필름에 색상을 입히는 기술이므로, 이미 컬러로 제작된 "컬러 TV"는 감법혼색을 응용하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도로 안내 표지를 디자인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1. 배경색과 글씨의 보색대비 효과를 고려한다.
  2. 배경색과 글씨의 명도차를 고려한다.
  3. 배경색과 글씨의 색상차를 고려한다.
  4. 배경색과 글씨의 채도차를 고려한다.
(정답률: 38%)
  • 도로 안내 표지는 주로 차량 운전자들이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배경색과 글씨의 명도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명도차가 크면 글씨가 더욱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보색대비 효과, 색상차, 채도차는 중요하지만, 명도차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론

81. 문·스펜서(Moon·Spencer)의 색채조화론 중 색상이나 명도, 채도의 차이가 아주 가까운 애매한 배색으로 불쾌감을 주는 범위는?

  1. 유사조화
  2. 눈부심
  3. 제1부조화
  4. 제2부조화
(정답률: 41%)
  • 제1부조화는 색상이나 명도, 채도의 차이가 아주 가까운 애매한 배색으로 인해 불쾌감을 주는 범위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제1부조화가 정답이다. 유사조화는 비슷한 색상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하며, 눈부심은 과도한 밝기나 채도로 인해 불쾌감을 주는 것을 말한다. 제2부조화는 대비가 강한 색상을 함께 사용하여 불쾌감을 주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먼셀 색체계를 규정한 한국산업표준은?

  1. KS A 0011
  2. KS A 0062
  3. KS A 0074
  4. KS A 0084
(정답률: 42%)
  • 먼셀 색체계는 한국산업표준인 KS A 0062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표준은 색의 밝기와 채도를 나타내는 먼셀값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먼셀 색체계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는 이 표준을 준수하여 색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ISCC-NIST의 색기호에서 색상과 약호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RED - R
  2. OLIVE - O
  3. BROWN - BR
  4. PURPLE – P
(정답률: 63%)
  • 정답은 "OLIVE - O"입니다. ISCC-NIST의 색기호에서는 색상의 첫 글자와 약호의 첫 글자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그러나 "OLIVE"의 경우에는 "O"가 이미 "ORANGE"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중복되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OLIVE"는 "V"로 대체되어 "OV"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한국의 전통색명인 벽람색(碧藍色)이 해당하는 색은?

  1. 밝은 남색
  2. 연한 남색
  3. 어두운 남색
  4. 진한 남색
(정답률: 34%)
  • 벽람색은 밝은 남색에 가깝습니다. "벽람"은 푸른 바다를 뜻하는데, 밝은 남색은 바다의 색상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NCS 색체계의 S2030-Y90R 색상에 대한 옳은 설명은?

  1. 90%의 노란색도를 지니고 있는 빨간색
  2. 노란색도 20%, 빨간색도 30%를 지니고 있는 주황색
  3. 90%의 빨간색도를 지니고 있는 노란색
  4. 빨간색도 20%, 노란색도 30%를 지니고 있는 주황색
(정답률: 61%)
  • S2030-Y90R은 노란색과 빨간색을 혼합한 색상이며, 이 중에서 노란색이 90%의 색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90%의 빨간색도를 지니고 있는 노란색"이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NCS 색체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NCS 표기법으로 모든 가능한 물체의 표면색을 표시할 수 있다.
  2. 색상삼각형의 한 색상은 섬세한 차이의 다른 검정색도와 유채색도에 의해서 변화된다.
  3.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의 국가 표준색을 제정하는 데 기여하였다.
  4. 업계 간 원활한 컬러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Trend Color를 포함한다.
(정답률: 46%)
  • "NCS 표기법으로 모든 가능한 물체의 표면색을 표시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NCS 색체계는 색상을 6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표기하는 방식으로, 모든 가능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업계 간 원활한 컬러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Trend Color를 포함한다."는 NCS 색체계의 설명 중 맞는 것입니다. Trend Color는 해당 시즌의 트렌드에 맞는 색상을 의미하며, 업계 간 컬러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NCS에서도 Trend Color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국제표준 색체계가 아닌 것은?

  1. Munsell
  2. CIE
  3. NCS
  4. PCCS
(정답률: 48%)
  • 정답: PCCS

    설명: Munsell, CIE, NCS는 모두 국제표준 색체계이지만, PCCS는 국제표준이 아닌 개인적인 색체계이다. PCCS는 "Practical Color Coordinated System"의 약자로, 일본의 색채학자인 이시하라 유이치가 개발한 색체계이다. PCCS는 일본에서는 일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인정받지 않은 색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DIN 색체계와 가장 유사한 색상 구조를 갖는 색체계는?

  1. Munsell
  2. NCS
  3. Yxy
  4. Ostwald
(정답률: 39%)
  • Ostwald 색체계는 DIN 색체계와 가장 유사한 색상 구조를 갖는 색체계입니다. 이는 DIN 색체계와 같이 색상을 색조, 채도, 명도로 분류하며, 색상을 수치화하여 표현합니다. 따라서 DIN 색체계와 유사한 색상 구조를 갖는 Ostwald 색체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먼셀 색체계의 기본 5색상이 아닌 것은?

  1. 연두
  2. 보라
  3. 파랑
  4. 노랑
(정답률: 64%)
  • 먼셀 색체계의 기본 5색상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입니다. 따라서 "연두"는 먼셀 색체계의 기본 5색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혼색계 시스템의 이론에 기초를 둔 연구를 한 학자들로 나열된 것은?

  1. 토마스 영, 헤링, 괴테
  2. 토마스 영, 헬름홀츠, 맥스웰
  3. 슈브롤, 헬름홀츠, 맥스웰
  4. 토마스 영, 슈브롤, 비렌
(정답률: 49%)
  • 혼색계 시스템의 이론은 전자기학과 관련된 이론으로, 전자기파의 성질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자기학 분야에서 활동한 학자들이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중에서도 토마스 영, 헬름홀츠, 맥스웰은 전자기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을 남긴 학자들이다. 따라서 이들이 혼색계 시스템의 이론에 기초를 둔 연구를 한 것으로 나열된 "토마스 영, 헬름홀츠, 맥스웰"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오스트발트 색입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시지각적으로 색상이 등간격으로 분포하지 않는다.
  2. 순색의 백색량, 순색량은 색상마다 같다.
  3. 모든 색상의 순색은 색입체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다.
  4. 등순계열의 색은 흑색량과 순색량이 같다.
(정답률: 24%)
  • "등순계열의 색은 흑색량과 순색량이 같다."가 틀린 것이다. 오스트발트 색입체에서는 등간격으로 색상이 분포하지 않으며, 순색의 백색량과 순색량은 색상마다 다를 수 있다. 모든 색상의 순색은 색입체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지만, 흑색량은 색상마다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우리의 음양오행사상에 의한 색체계는 오방정색과 오방간색으로 분류하는데 다음 중 오방간색이 아닌 것은?

  1. 청색
  2. 홍색
  3. 유황색
  4. 자색
(정답률: 40%)
  • 청색은 오방간색이 아닌 오방정색에 속하는 색입니다. 오방정색은 녹색, 노란색, 빨간색, 흰색, 검은색으로 구성되며, 이 색들은 서로 대비가 크고 균형적인 조화를 이루는 색들입니다. 반면 오방간색은 오방정색의 중간색으로, 녹색과 빨간색, 노란색과 보라색 등 서로 대비가 작은 색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청색은 오방간색이 아닌 오방정색에 속하는 색이므로 정답은 청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CIE 색체계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동일 색상을 찾기 쉬워 색채 계획 시 유용하다.
  2. 인쇄로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한정적이다.
  3. 색을 과학적이고 객관성 있게 지시할 수 있다.
  4. 최종 좌표 값들의 활용에 있어 인간의 색채시감과 거리가 있다.
(정답률: 21%)
  • CIE 색체계의 특성 중에서 "인쇄로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한정적이다."가 아닌 것은 "동일 색상을 찾기 쉬워 색채 계획 시 유용하다."입니다. 이는 CIE 색체계가 색을 과학적이고 객관성 있게 지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IE 색체계는 색을 수학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색상을 일관성 있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IE 색체계는 색채 계획에 유용하며, 동일한 색상을 찾기 쉽게 만들어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CIE 색체계의 색공간 읽는 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Yxy에서 Y는 색의 밝기를 의미한다.
  2. L*a*b*에서 L*는 인간의 시감과 같은 명도를 의미한다.
  3. L*C*h에서 C*는 색상의 종류, 즉 Color를 의미한다.
  4. L*u*v*에서 u*와 v*는 두 개의 채도 축을 표현한다.
(정답률: 46%)
  • L*C*h에서 C*는 채도를 의미하며, 색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L*C*h에서 C*는 색상의 종류, 즉 Color를 의미한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PCCS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교육 및 미술교육 등 색채교육용 표준체계로 색채관리 및 조색을 과학적으로 정확히 전달하기에 적합한 색체계이다.
  2. R, Y, G, B, P의 5색상을 색영역의 중심으로 하고, 각 색의 심리보색을 대응시켜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 한다.
  3. 명도의 표준은 흰색과 검은색 사이를 정량적으로 분활한다.
  4. 채도의 기준은 지각적 등보성이 없이 절대수치인 9단계로 모든 색을 구성하였다.
(정답률: 27%)
  • PCCS 색체계는 색채교육용 표준체계로, 색채를 과학적으로 정확히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이 체계에서는 R, Y, G, B, P의 5색상을 색영역의 중심으로 하고, 각 색의 심리보색을 대응시켜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 합니다. 명도의 표준은 흰색과 검은색 사이를 정량적으로 분할하며, 채도의 기준은 지각적 등보성이 없이 절대수치인 9단계로 모든 색을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CIE L*u*v* 색좌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L*은 명도차원이다.
  2. u*와 v*는 색상축을 표현한다.
  3. u*는 노랑 – 파랑 축이다.
  4. v*는 빨강 – 초록 축이다.
(정답률: 46%)
  • 정답은 "u*와 v*는 색상축을 표현한다."이다.

    u*와 v*는 CIE L*u*v* 색좌표에서 색상 차원을 나타내는 축이다. u*는 노랑-파랑 축을 나타내며, v*는 빨강-초록 축을 나타낸다. L*은 명도 차원을 나타내며, 색상과는 별개의 차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먼셀 색체계의 색채표기법으로 옳은 것은?

  1. 19:pB
  2. 2.5PB 4/10
  3. Y90R
  4. 2eg
(정답률: 56%)
  • 먼셀 색체계는 색상, 채도, 명도 세 가지 요소로 색을 표현합니다. 여기서 "2.5PB"는 색상을 나타내며, "4/10"은 채도와 명도를 나타냅니다. "2.5PB"는 파란색과 보라색 사이의 색상을 의미하며, "4/10"은 채도와 명도가 중간 정도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2.5PB 4/10"은 먼셀 색체계에서 파란색과 보라색 사이의 중간 정도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관용색명과 일반색명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용색명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색 하나하나의 고유색명이라 정의할 수 있다.
  2. 관용색명에는 동물 및 식물, 광물 등의 이름에서 따온 것들이 있다.
  3. 일반색명은 계통색명이라고 하며, 감성적인 표현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4. ISCC-NIST 색명법은 미국에서 공동으로 제정한 색명법으로 일반색명이라 할 수 있다.
(정답률: 53%)
  • 정답은 "일반색명은 계통색명이라고 하며, 감성적인 표현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다. 일반색명은 계통색명과는 반대로, 감성적인 표현보다는 과학적이고 명확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ISCC-NIST 색명법은 일반색명이 아니라, 과학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색명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아래 그림의 오스트발트 색채체계에서 보여지는 조화로 맞는 것은?

  1. 등백 계열의 조화
  2. 등혹 계열의 조화
  3. 등순 계열의 조화
  4. 등가색환 계열의 조화
(정답률: 43%)
  • 정답은 "등혹 계열의 조화"입니다.

    이유는 오스트발트 색채체계에서 등혹 계열은 빨강, 주황, 노랑, 녹색, 청록, 파랑, 보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는 빨강, 주황, 노랑, 청록, 파랑, 보라 등등 다양한 등혹 계열의 색상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색상들이 조화롭게 조합되어 있어서 등혹 계열의 조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슈브뢸(M. E. Chevreul)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의 조화와 대비의 법칙을 사용한다.
  2. 조화는 질서와 같다.
  3. 동일 색상이 조화가 좋다.
  4. 순색, 흰색, 검정을 결합하여 4종류의 색을 만든다.
(정답률: 33%)
  • 슈브뢸의 색채조화론은 색의 조화와 대비의 법칙을 사용하여 색을 조화롭게 보이게 하는 원리를 제시합니다. 이는 색의 대비를 이용하여 색의 조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색의 대비를 조절하여 색의 밝기와 채도를 조절함으로써 색의 조화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색의 조화와 대비의 법칙을 사용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슈브뢸은 조화는 질서와 같다고 주장하며, 동일 색상이 조화가 좋다는 것과 순색, 흰색, 검정을 결합하여 4종류의 색을 만든다는 것도 제시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