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5-15)

컬러리스트기사
(2021-05-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마케팅

1. 소비자의 욕구와 구매 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단계가 옳은 것은?

  1. 다양화 마케팅 → 대량 마케팅 → 표적 마케팅
  2. 대량 마케팅 → 다양화 마케팅 → 표적 마케팅
  3. 표적 마케팅 → 대량 마케팅 → 다양화 마케팅
  4. 다양화 마케팅 → 표적 마케팅 → 대량 마케팅
(정답률: 91%)
  • 소비자의 욕구와 구매 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단계는 다양화 마케팅 → 대량 마케팅 → 표적 마케팅이 옳다. 이유는 먼저 다양화 마케팅으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를 통해 대량 마케팅으로 대규모의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고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한다. 그리고 이후에 표적 마케팅으로 특정 소비자 그룹을 대상으로 개인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여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을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간의 선행경험에 따라 다른 감각과 교류되는 색채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뉴턴은 분광실험을 통해 발견한 7개 영역의 색과 7음계를 연결시켰으며, 이 중 C음은 청색을 나타낸다.
  2. 색채와 모양의 추상적 관련성은 요하네스 이텐, 파버비렌, 칸딘스크, 베버와 페흐너에 의해 연구되었다.
  3. '브로드웨이 부기우기'라는 작품은 시각과 청각의 공감각을 활용하였으며, 색채 언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 20대 여성을 겨냥한 핑크색 스마트 기기의 시각적 촉감을 부드러움이 연상되며, 이와같이 색채와 관련된 공감각을 활용하면 메시지와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정답률: 45%)
  • 정답: "뉴턴은 분광실험을 통해 발견한 7개 영역의 색과 7음계를 연결시켰으며, 이 중 C음은 청색을 나타낸다."

    설명: 뉴턴은 분광실험을 통해 발견한 7개 영역의 색과 7음계를 연결시키지 않았습니다. 이는 일부 교과서에서 잘못된 정보로 전달되고 있습니다. 뉴턴은 분광실험을 통해 빛이 여러 색으로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토대로 빛의 색채를 분류하였습니다. 이후 다른 학자들이 이를 바탕으로 색채와 음계를 연결시키는 실험을 하였지만, 이는 뉴턴의 연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랑스의 색채학자 필립 랑클로(Jean Philippe Lenclos)와 관련이 가장 높은 학문은?

  1. 색채지리학
  2. 색채인문학
  3. 색채지역학
  4. 색채종교학
(정답률: 59%)
  • 필립 랑클로는 색채지리학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색채지리학은 지리적 위치와 환경에 따라 색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따라서 필립 랑클로와 관련이 가장 높은 학문은 "색채지리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반적으로 '사과는 무슨 색?'하고 묻는 질문에 '빨간색'이라고 답하는 경우처럼, 물체의 표면색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결정해서 말하게 되는 색은?

  1. 항상색
  2. 무의식색
  3. 기억색
  4. 추측색
(정답률: 75%)
  • 기억색은 과거에 물체를 보았을 때 뇌에 기억된 색으로, 물체의 실제 색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의식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기억에 의해 결정되는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채마케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중이 특정 색채를 좋아하도록 유도하여 브랜드 또는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것
  2. 색채의 이미지나 연상 작용을 브랜드와 결합하여 소비를 유도하는 것
  3. 생산단계에서 색채를 핵심 요소로 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
  4. 새로운 컬러를 제안하거나 유행색을 창조해나가는 총체적인 활동
(정답률: 38%)
  • 생산단계에서 색채를 핵심 요소로 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색채마케팅이 아니라 제품 디자인에 해당하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색채마케팅은 대중의 인식과 감정을 조종하여 브랜드 또는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색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생활유형(Life Style) 이 대두된 이유가 아닌 것은?

  1. 물적 충실, 경제적 효용의 중시
  2. 소비자 마케팅에서 생활자 마케팅으로의 전환
  3.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장애 제거의 필요성
  4. 새로운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 기준으로서의 생활유형의 필요
(정답률: 17%)
  • 생활유형은 새로운 시장 세분화 기준으로서 필요하다는 것이 맞지만, "물적 충실, 경제적 효용의 중시"는 생활유형을 수립하는 이유가 아니다. 이는 소비자의 가치관과 소비습관을 파악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마케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색채 조사를 위한 표본 추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대규모 집단에서 소규모 집단을 뽑는다.
  2. 무작위로 표본추출 한다.
  3. 편차가 가능한 많이 나는 방식으로 한다.
  4.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답률: 86%)
  • "편차가 가능한 많이 나는 방식으로 한다."는 올바른 표본 추출 방법이 아닙니다. 표본 추출은 모집단의 대표성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편차가 적은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고 왜곡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본 추출 방법은 편차가 적은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적인 포장지 색채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민트(mint)향 초콜릿 - 녹색과 은색의 포장
  2. 섬세하고 에로틱한 향수 - 난색계열, 흰색, 금색의 포장 용기
  3. 밀크 초콜릿 - 흰색과 초콜릿색의 포장
  4. 바삭바삭 씹히는 맛의 초콜릿 - 밝은 핑크와 초콜릿색의 포장
(정답률: 85%)
  • 바삭바삭 씹히는 맛의 초콜릿 - 밝은 핑크와 초콜릿색의 포장은 일반적인 초콜릿의 포장색이 아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초콜릿의 일반적인 포장색은 갈색, 검정색, 흰색 등이며, 밝은 핑크는 초콜릿과 어울리지 않는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회·문화 정보의 색으로서 색채정보의 활용사례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동양 : 신성 시 되는 종교색 - 노랑
  2. 중국 : 왕권을 대표하는 색 - 노랑
  3. 북유럽 : 영혼과 자연의 풍요로움 - 녹색
  4. 서양 : 평화, 진실, 협동 - 하양
(정답률: 34%)
  • 서양에서는 하양이 평화, 진실, 협동을 상징하는 색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동양에서는 노랑이 신성 시 되는 종교색으로 사용되거나, 중국에서는 왕권을 대표하는 색으로 사용되거나, 북유럽에서는 영혼과 자연의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녹색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채 시장조사의 자료수집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조사연구법
  2. 패널조사법
  3. 현장관찰법
  4. 체크리스트법
(정답률: 67%)
  • 체크리스트법은 주관적인 평가나 의견을 수집하기 어렵기 때문에 색채 시장조사의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체크리스트법은 주로 특정한 항목들을 체크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어렵고, 참여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색채 시장조사에서는 조사연구법, 패널조사법, 현장관찰법 등이 더 적합한 자료수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제품 포지셔닝(position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품의 품질, 스타일, 성능을 제품의 가격보다도 우선적 으로 고려해야 된다.
  2. 제품이나 브랜드를 고객의 마음속에 경쟁제품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하도록 하는 노력이다.
  3. 경쟁사의 브랜드가 현재 어떻게 포지셔닝 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는 없다.
  4. 제품의 속성 보다는 제품의 이미지를 더 강조해야 유리하다.
(정답률: 78%)
  • 제품 포지셔닝은 제품이나 브랜드를 고객의 마음속에 경쟁제품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하도록 하는 노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품 수명주기 중 성장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 마케팅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상승
  2. 시장 점유의 극대화에 노력해야 하는 시기
  3. 새롭고 차별화된 마케팅 및 광고 전략 필요
  4. 유사 제품이 등장하면서 시장이 확대되는 시기
(정답률: 45%)
  • "새롭고 차별화된 마케팅 및 광고 전략 필요"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다른 보기들과 달리 성장기에만 해당하는 설명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색채 마케팅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상승"은 제품 도입 전 단계인 개발기나 출시전략 단계에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장 점유의 극대화에 노력해야 하는 시기"는 성장기에서 더욱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시기에는 경쟁 업체들이 많아져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유사 제품이 등장하면서 시장이 확대되는 시기"는 성장기 이전인 도입기나 개발기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이 등장하면 시장이 확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의 농담과 색조에서 색의 촉감을 느낄 수 있다.
  2. 소리의 높고 낮음은 색의 명도, 채도에 의해 잘 표현된다.
  3. 좋은 냄새의 색들은 light tone의 고명도 색상에서 느껴 진다.
  4. 쓴맛은 순색과 관계가 있고, 채도가 낮은 색에서 느껴진다.
(정답률: 67%)
  • "쓴맛은 순색과 관계가 있고, 채도가 낮은 색에서 느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쓴맛은 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색의 채도와도 관련이 없다. 쓴맛은 대개 산성 또는 산성화된 물질에서 느껴지며, 이는 맛감각과 관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SWOT 분석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회
  2. 위협
  3. 약점
  4. 경쟁
(정답률: 67%)
  • SWOT 분석은 기업의 내부적인 강점과 약점, 그리고 외부적인 기회와 위협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경쟁"은 외부적인 요소 중 하나로, 경쟁사의 상황과 경쟁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SWOT 분석의 주요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색채별 치료효과에서 대머리, 히스테리, 신경질, 불면증, 홍역, 간질, 쇼크, 이질, 심장 두근거림 등을 치료할 때 효과적인 색채는?

  1. 파랑
  2. 노랑
  3. 보라
  4. 주황
(정답률: 82%)
  • 파랑색은 진정 효과가 있어 대머리, 히스테리, 신경질, 불면증 등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심장을 안정시키는 효과도 있어 심장 두근거림을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군집(cluster) 표본추출 과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모집단을 모두 포괄하는 목록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선정 해야 한다.
  2. 모집단을 하위 집단으로 구획하여 하위 집단을 뽑는다.
  3. 잠정적 소비계층을 찾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소비자 모두가 모집단이 된다.
  4. 편의가 없는 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표본을 무작위로 뽑아야 한다.
(정답률: 57%)
  • "잠정적 소비계층을 찾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소비자 모두가 모집단이 된다."는 군집 표본추출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이유는 군집 표본추출은 모집단을 하위 집단으로 구획하여 하위 집단을 뽑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국적인 소비자 모두가 모집단이 되는 것은 군집 표본추출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 "잠정적 소비계층을 찾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소비자 모두가 모집단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구매의사결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은 욕구의 인식, 정보의 탐색, 대안의 평가, 구매의 결정, 구매 그리고 구매 후 행동의 6단계로 구성된다.
  2. 구매 결정에 필요한 정보는 우선 내적으로 탐색한 후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외적으로 추가 탐색한다.
  3. 특정 상품 구매는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점포의 특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소비자는 구매 후 다른 행동을 옮길 수 있지만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가 없다.
(정답률: 95%)
  • 소비자는 구매 후 다른 행동을 옮길 수 있지만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가 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인지 부조화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 태도, 행동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황을 말하는데, 소비자가 구매 후 다른 행동을 옮기면서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비싼 가격으로 구매한 제품이 예상보다 성능이 좋지 않아서 실망하게 되면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마케팅정보시스템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내부정보시스템
  2. 고객정보시스템
  3. 마케팅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4. 마케팅 인텔리전스 시스템
(정답률: 40%)
  • 위 그림은 마케팅 인텔리전스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마케팅 인텔리전스 시스템은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외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장 세분화 기준 설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리적 세분화
  2. 인구 통계학적 세분화
  3. 심리 분석적 세분화
  4. 조직특성 세분화
(정답률: 61%)
  • 조직특성 세분화는 시장을 구성하는 고객들의 특성이 아닌, 기업 내부의 특성을 기준으로 세분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 세분화 기준 설정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직특성 세분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케팅의 변천된 개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제품 지향적 마케팅 :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과 유통을 강조하여 효율성을 개선
  2. 판매 지향적 마케팅 : 소비자의 구매유도를 통해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판매기술의 개선
  3. 소비자 지향적 마케팅 :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부응하는 기업의 활동을 통합하여 고객의 욕구 충족
  4. 사회 지향적 마케팅 : 기업이 인간 지향적인 사고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
(정답률: 50%)
  • "제품 지향적 마케팅 :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과 유통을 강조하여 효율성을 개선"이 틀린 설명입니다. 제품 지향적 마케팅은 제품의 기능과 성능을 강조하여 마케팅하는 것이며, 제품 생산과 유통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피부 색소가 아닌 것은?

  1. 붉은색 - 헤모글로빈(hemoglobin)
  2. 황색 - 카로틴(carotene)
  3. 갈색 - 멜라닌(melanin)
  4. 흰색 - 케라틴(keratin)
(정답률: 55%)
  • 피부 색소인 멜라닌은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케라틴은 피부의 외부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피부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흰색 - 케라틴(kerati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품을 도면에 옮기는 크기와 실제 크기와의 비율은?

  1. 원도
  2. 척도
  3. 사도
  4. 사진도
(정답률: 87%)
  • 제품을 도면에 옮길 때는 실제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그려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비율을 척도라고 합니다. 척도는 도면에 그릴 때 사용하는 크기와 실제 크기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세계화의 지역화가 동시적 가치인식이 되는 시대에서 디자인이 경쟁력을 갖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적 특수가치 개발
  2. 유기적이고 자생적인 토속적 양식
  3. 친자연성
  4. 전통을 배제한 정보시대에 적합한 기술 개발
(정답률: 77%)
  • 디자인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현재의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만 디자인을 생각하면 경쟁력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과 기술적인 발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는 전통을 배제한 정보시대에 적합한 기술 개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환경이나 건축분야에서 토착성을 나타내며, 환경 특성인 지리, 지세, 기후 조건 등에 의해 시간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된 자연의 색을 뜻하는 것은?

  1. 관용색
  2. 풍토색
  3. 안전색
  4. 정돈색
(정답률: 88%)
  • 풍토색은 지역적인 토착성을 나타내며, 지리, 지세, 기후 조건 등에 의해 시간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된 자연의 색을 뜻합니다. 다른 보기인 관용색, 안전색, 정돈색은 특정한 목적이나 상황에서 사용되는 색상을 의미하는 반면, 풍토색은 자연에서 비롯된 색상으로서 환경과 건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된 사조로 묶인 것은?

  1. 팝아트, 구성주의
  2. 키치, 다다이즘
  3. 키치, 아르데코
  4. 옵아트, 팝아트
(정답률: 78%)
  •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된 사조로 묶인 것은 "옵아트, 팝아트"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대중문화와 소비문화가 발전하면서, 일상적인 대상들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팝아트는 대중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대중적인 이미지를 사용하고, 옵아트는 광학적 효과와 일정한 패턴을 이용하여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된 사조로 묶이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자인의 기본원리 중 조화(harmony)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점이
  2. 균일
  3. 반복
  4. 주도
(정답률: 68%)
  • 조화는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어울려 조화롭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균일"은 디자인 요소들이 일정한 간격과 비율로 배치되어 균형잡힌 느낌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조화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요소들이 균일하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상품을 선전하고 판매하기 위해 판매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형태는?

  1. POP(point of purchase) 디자인
  2. PG(pictography) 디자인
  3. HG(holography) 디자인
  4. TG(typography) 디자인
(정답률: 75%)
  • POP(point of purchase) 디자인은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지점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형태로, 제품의 특징이나 할인 정보 등을 강조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구매를 유도하는 디자인입니다. 따라서 판매현장에서 상품을 선전하고 판매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행색의 색채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유행색 사이클을 조사한다.
  2. 현재 시장에서 주요 군을 이루고 있는 색과 각 색의 분포도를 조사한다.
  3. 전문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임의의 색을 설정 하여 색의 경향을 결정한다.
  4. 컬러 코디네이션(Color Coordination)을 통해 결정된 색과 함께 색의 이미지를 통일화 시킨다.
(정답률: 85%)
  • "전문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임의의 색을 설정 하여 색의 경향을 결정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전문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색의 경향을 결정하는 것은 임의적이고 과학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유행색의 색채계획은 과거와 현재의 유행색 사이클을 조사하고, 현재 시장에서 주요 군을 이루고 있는 색과 각 색의 분포도를 조사하여 결정된다. 또한 컬러 코디네이션을 통해 결정된 색과 함께 색의 이미지를 통일화 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좋은 비례의 구성은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
  2. 스케일과 비례 모두 상대적인 크기와 양의 개념을 표현 한다.
  3. 주관적 질서와 실험적 근거가 명확하다.
  4. 파르테논 신전 등은 비례를 이용한 형태이다.
(정답률: 82%)
  • "좋은 비례의 구성은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는 비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다. 반면, "주관적 질서와 실험적 근거가 명확하다."는 비례의 구성이 주관적인 요소 없이 실험적으로 검증 가능하며, 이를 통해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색의 심리적 효과 중 한색과 난색의 조절을 통해 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1. 개성
  2. 시각적 온도감
  3. 능률성
  4. 영역성
(정답률: 96%)
  • 한색과 난색의 조절을 통해 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시각적 온도감입니다. 이는 색의 밝기와 채도에 따라 느껴지는 따뜻함과 차가움의 정도를 나타내며, 이를 조절함으로써 공간의 분위기나 느낌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색채디자인은 제품의 수명 주기 중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

  1. 도입기
  2. 성장기
  3. 성숙기
  4. 쇠퇴기
(정답률: 65%)
  • 이 색채디자인은 밝고 활기찬 색상들이 사용되어 있어 제품의 성장과 발전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이 디자인은 제품의 성장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러시아 구성주의자인 엘 리시츠키의 작품을 일컫는 대표적인 조형언어는?

  1. 팩투라(factura)
  2. 아키텍톤(architecton)
  3. 프라운(proun)
  4. 릴리프(relief)
(정답률: 19%)
  • 엘 리시츠키의 작품에서 프라운(proun)은 구성주의적인 조형언어를 대표하는 단어로, 추상적인 기하학적 형태와 색상을 이용하여 공간을 표현하는 작품을 말한다. 이는 러시아 구성주의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공간 구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리시츠키가 개발한 새로운 시각 언어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바우하우스(Bauhaus) 교수들이 미국으로 건너와 뉴 바우하우스를 설립한 동기는?

  1. 학교와 교수들 간의 이견
  2. 미국의 경제성장을 동경
  3. 입학생의 감소로 운영의 어려움
  4. 나치의 탄압과 재정난
(정답률: 75%)
  • 바우하우스 교수들이 미국으로 건너와 뉴 바우하우스를 설립한 이유는 나치의 탄압과 재정난 때문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패션 색채계획에 활용한 '소피스티케이티드(sophisticated)'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품위가 넘치는 클래식한 이미지와 완숙한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
  2. 현대적인 샤프함과 합리적이면서도 개성이 넘치는 이미 지로 다소 차가운 느낌
  3. 어른스럽고 도시적이며 세련된 감각을 중요시 여기며 지성과 교양을 겸비한 전문직 여성의 패션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
  4. 남성정장 이미지를 여성패션에 접목시켜 격조와 품위를 유지하면서도 자립심이 강한 패션 이미지를 추구
(정답률: 43%)
  • "어른스럽고 도시적이며 세련된 감각을 중요시 여기며 지성과 교양을 겸비한 전문직 여성의 패션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소피스티케이티드 이미지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형태구성 부분 간의 상호관계에 있어 반복, 점이, 강조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생명감과 존재감을 나타내는 디자인 원리는?

  1. 조화
  2. 균형
  3. 비례
  4. 리듬
(정답률: 70%)
  • 리듬은 형태구성 부분 간의 상호관계에서 반복, 점이, 강조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생명감과 존재감을 나타내는 디자인 원리이다. 이는 일정한 패턴이나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시각적인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디자인 요소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통일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리듬"이 디자인 원리로 선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채관리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배색 → 검사
  2. 배색 →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판매
  3.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검사 → 판매
  4. 색의 설정 → 검사 → 발색 및 착색 → 판매
(정답률: 82%)
  • 색채관리의 순서는 색의 설정부터 시작하여 발색 및 착색을 진행하고, 이후에 검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판매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색의 설정과 발색 및 착색을 먼저 진행하여 일관성 있는 색상을 유지하고, 이후에 검사를 통해 품질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판매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검사 → 판매"가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자인 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몬드리안을 중심으로 한 데스틸은 빨강, 초록, 노랑으로 근대적인 추상 이미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2. 피카소를 중심으로 한 큐비스트들은 인상파와 야수파의 영향을 받아 색의 대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3. 구성주의는 기계 예찬으로 시작하여 미술의 민주화를 주장, 기능적인 것, 실생활에 유용한 것을 요구했다.
  4. 팝아트는 미국적 물질주의 문화의 반영이며, 근본적 태도에 있어서 당시의 물질문명에 대한 분위기와 연결되어 있다.
(정답률: 19%)
  • "몬드리안을 중심으로 한 데스틸은 빨강, 초록, 노랑으로 근대적인 추상 이미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가 틀린 것이다. 디자인 사조에서 데스틸은 색보다는 직선과 평면의 조합에 중점을 두었으며, 모노크롬 색상을 사용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의 복합기능(Function Complex) 중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연과 사회의 변천작용에 대한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실용화를 의미하는 것은?

  1. 텔레시스(telesis)
  2. 미학(aesthetics)
  3. 용도(use)
  4. 연상(association)
(정답률: 69%)
  • 텔레시스(telesis)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연과 사회의 변천작용을 계획적이고 의도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텔레시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와는 달리 미학(aesthetics)은 미적 감각을 중시하는 것이고, 용도(use)는 물건이나 제품의 사용 목적을 고려하는 것이며, 연상(association)은 상상력을 이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르 꼬르뷔제의 이론과 그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시한 것은?

  1. 미의 추구와 이론의 바탕을 치수에 관한 모듈(module)에 두었다.
  2. 근대 기술의 긍정적인 면을 받아들이고, 개성적인 공예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새로운 건축술의 확립과 교육에 전념하여 근대적인 건축 공간의 원리를 세웠다.
  4. 사진을 이용한 방법으로 새로운 조형의 표현 수단을 제시하였다.
(정답률: 70%)
  • 르 꼬르뷔제는 미의 추구와 이론의 바탕을 치수에 관한 모듈(module)에 두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이는 건축뿐만 아니라 예술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으로, 모듈을 기반으로 한 비례와 조화를 통해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는 근대적인 예술과 건축의 기초가 되는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신문 매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량의 도달 범위
  2. 높은 CPM
  3. 즉시성
  4. 지역성
(정답률: 48%)
  • 높은 CPM은 신문 광고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신문 매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높은 C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색채관리

41. 색채를 발색할 때는 기본이 되는 주색(primary color)에 의해서 색역(color gamut)이 정해진다. 혼색방법에 따른 색역의 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명광 등의 혼색에서 주색은 좁은 파장 영역의 빛만을 발생하는 색채가 가법혼색의 주색이 된다.
  2. 가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으면 좁을수록 색역이 오히려 확장되는 특징이 있다.
  3. 백색원단이나 바탕소재에 염료나 안료를 배합할수록 전체적인 밝기가 점점 감소하면서 혼색이 된다.
  4. 감법혼색에서 시안은 파란색 영역의 반사율을, 마젠타는 빨간색 영역의 반사율을 노랑은 녹색 영역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정답률: 40%)
  • "가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으면 좁을수록 색역이 오히려 확장되는 특징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감법혼색에서 시안은 파란색 영역의 반사율을, 마젠타는 빨간색 영역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노랑은 녹색 영역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킵니다. 이는 시안, 마젠타, 노랑이 각각 청색, 적색, 녹색의 상보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을 혼합하면 검정색에 가까운 색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색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감법혼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감법 혼색의 경우 가장 넓은 색채영역을 구축할 수 있는 기본색은?

  1. 녹색, 빨강, 파랑
  2. 마젠타, 시안, 노랑
  3. 녹색, 시안, 노랑
  4. 마젠타, 파랑, 녹색
(정답률: 70%)
  • 감법 혼색에서 가장 넓은 색채영역을 구축할 수 있는 기본색은 빨강, 파랑, 노랑입니다. 이 중에서 마젠타와 시안은 빨강과 파랑의 보색이며, 노랑은 빨강과 녹색의 보색입니다. 따라서 마젠타, 시안, 노랑을 함께 혼합하면 가장 넓은 색채영역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디지털 컬러 사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미지 센서의 원본 컬러는 RAW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2. RAW 이미지는 ISP 처리를 거쳐 저장된다.
  3. RAW 이미지의 컬러는 10~14비트 수준의 고비트로 저장 된다.
  4. RAW 이미지의 색역은 가시영역의 크기와 같다.
(정답률: 48%)
  • 정답은 "RAW 이미지는 ISP 처리를 거쳐 저장된다." 이다. RAW 이미지는 이미지 센서에서 받아들인 원본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ISP 처리를 거치지 않고 저장된다. ISP 처리는 RAW 이미지를 JPEG 등의 포맷으로 변환할 때 적용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천연 진주 또는 진주층과 닮은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 하는 진주광택 색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주광택 색료는 투명한 얇은 판의 위와 아래 표면에서의 광선의 간섭에 의하여 색을 드러낸다.
  2. 물고기의 비늘은 진주광택 색료와 유사한 유기 화합물 간섭 안료의 예이다.
  3. 진주광택 색료는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야 그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4. 진주광택 색료는 조명의 기하조건에 따라 색이 변한다.
(정답률: 73%)
  • "진주광택 색료는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야 그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진주광택 색료는 굴절률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여야 그 효과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빛이 물과 같은 물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가 높을수록 진주광택 효과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육안조색과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의 관계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은?

  1. 육안조색은 CCM을 이용한 조색보다 더 정확하다.
  2.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확한 색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3. 육안조색으로도 무조건등색을 실현할 수 있다.
  4. CCM 장비는 가법 혼합 방식에 기반한 조색에 사용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확한 색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이다.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은 육안조색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조색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포괄적인 색료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확한 색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KS A 0064(색에 관한 용어)에 따른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광원색 :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색, 광원색은 보통 색자극값으로 표시한다.
  2. 색역 : 특정 조건에 따라 발색되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도 좌표도 또는 색공간 내의 영역
  3. 연색성 : 색필터 또는 기타 흡수 매질의 중첩에 따라 다른 색이 생기는 것
  4. 색온도 : 완전복사체의 색도와 일치하는 시료복사의 색도표시로, 그 완전복사체의 절대온도로 표시한 것
(정답률: 69%)
  • 정답은 "색온도 : 완전복사체의 색도와 일치하는 시료복사의 색도표시로, 그 완전복사체의 절대온도로 표시한 것"입니다.

    연색성은 색필터나 다른 흡수 매질이 중첩되어 다른 색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노란색 필터와 파란색 필터를 겹쳐놓으면 초록색이 나타나는 것이 연색성입니다.

    광원색은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색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색자극값으로 표시됩니다.

    색역은 특정 조건에 따라 발색되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도 좌표도 또는 색공간 내의 영역을 말합니다.

    색온도는 완전복사체의 색도와 일치하는 시료복사의 색도표시로, 그 완전복사체의 절대온도로 표시한 것입니다. 이는 주로 백색광원의 색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채널당 10비트 RGB 모니터의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최대 색은?

  1. 256×256×256
  2. 128×128×128
  3. 1024×1024×1024
  4. 512×512×512
(정답률: 65%)
  • 10비트 RGB 모니터는 각 색상 채널마다 10비트를 사용하여 총 30비트의 색상 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2의 30승, 즉 1,073,741,824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는 모니터가 지원하는 색상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1024×1024×1024가 최대 구현 가능한 색상 수입니다. 이는 각 색상 채널이 10비트를 사용하므로 2의 10승, 즉 1024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24×1024×10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광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한 물체색이 광원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효과를 메타메리즘 이라고 한다.
  2. 광원의 연색성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색채연출이 가능하다.
  3. 어떤 색채가 매체, 주변 색, 광원, 조도 등이 다른 환경에서 관찰될 때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컬러 어피어런스라고 한다.
  4. 광원은 각각 고유의 분광특성을 가지고 있어 복사하는 광선이 물체에 닿게 되면 광원에 따라 파장별 분광곡선이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률: 29%)
  • 정답은 "동일한 물체색이 광원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효과를 메타메리즘 이라고 한다."이다. 이는 오히려 메타메리즘의 정의이다. 메타메리즘은 동일한 물체색이나 색채가 다른 광원에서 관찰될 때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광원의 분광특성과 물체의 흡수특성에 의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표면색의 시감 비교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색 비교를 위해 자연주광 또는 인광주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2. 관찰자는 무채색 계열의 의복을 착용해야 한다.
  3. 관찰자의 시야 내에는 시험할 시료의 색 외에 진한 표면 색이 있어서는 안된다.
  4. 인공주광 D65를 이용한 비교 시 특수 연색평가수는 9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25%)
  • "인공주광 D65를 이용한 비교 시 특수 연색평가수는 95 이상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인공주광 D65를 이용한 비교 시 특수 연색평가수는 80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디지털 색채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GB : 빛을 더할수록 밝아지는 감법혼색 체계이다.
  2. HSB : 색상은 0º에서 360° 단계의 각도값에 의해 표현된다.
  3. CMYK : 각 색상은 0에서 255까지 256단계로 표현된다.
  4. Indexed Color : 일반적인 컬러 색상을 픽셀 밝기 정보만 가지고 이미지를 구현한다.
(정답률: 57%)
  • HSB는 색상, 채도, 명도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색채 시스템이며, 색상은 0º에서 360° 단계의 각도값에 의해 표현된다. 이는 색상을 원형으로 나타내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0º, 노란색은 60º, 초록색은 120º 등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색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연색성이란 인공의 빛에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2. 연색지수 90 이하인 광원은 연색성이 좋다.
  3. A 광원의 경우 연색성 지수가 높아도 색역이 좁다.
  4. 형광등인 B 광원은 연색성은 낮아도 색역을 넓게 표현한다.
(정답률: 43%)
  • 연색성은 광원이 발하는 빛의 색상이 실제 물체의 색상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연색성 지수가 높을수록 광원이 발하는 빛의 색상이 실제 물체의 색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A 광원의 경우 연색성 지수가 높아도 색역이 좁은 이유는, 해당 광원이 발하는 빛의 스펙트럼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광원으로 조명된 물체의 색상이 다양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형광등인 B 광원은 연색성은 낮지만, 다양한 스펙트럼을 발하는 특성 때문에 색역을 넓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R(λ)=S(λ)×B(λ)×W(λ)'는 절대분광반사율의 계산식이다. 각각의 의미가 틀린 것은?

  1. R(λ)=시료의 절대분광반사율
  2. S(λ)=시료의 측정 시그널
  3. B(λ)=흑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
  4. W(λ)=백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
(정답률: 23%)
  • 정답: "B(λ)=흑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

    B(λ)는 흑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이 아니라, 파장 λ에서의 시료와 같은 조건에서 흑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이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0에 가까운 값이며, 시료의 측정 시그널(S(λ))과 백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W(λ))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R(λ)은 시료의 절대분광반사율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ICC 프로파일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 태그로 틀린 것은?

  1. copyrightTag
  2. MatrixColumnTag
  3. profileDesciptionTag
  4. mediaWhitePointTag
(정답률: 57%)
  • "MatrixColumnTag"는 ICC 프로파일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 태그가 아닙니다. ICC 프로파일에는 "copyrightTag", "profileDescriptionTag", "mediaWhitePointTag"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MatrixColumnTag"는 매트릭스 기반의 프로파일에서 사용되는 태그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태그는 RGB 색 공간의 변환 매트릭스를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ICC 기반 색상관리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틀린 것은?

  1. Profile Connection Space
  2. Color Gamut
  3. Color Management Module
  4. Rendering Intent
(정답률: 37%)
  • 정답: Color Gamut

    색상 Gamut은 색상 공간이 표현할 수 있는 색상 범위를 나타냅니다. ICC 기반 색상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Profile Connection Space, Color Management Module, Rendering Intent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Isomeris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어떤 특정 조건의 광원이나 관측자의 시감에 따라 색이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2. 특정한 광원 아래에서는 동일한 색으로 보이나 광원의 분광 분포가 달라지면 다르게 보인다.
  3. 표준광원 A, 표준광원 D 등으로 분광분포가 서로 다른 광원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4. 이론적으로 분광 반사율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완전한 물리적 등색을 말한다.
(정답률: 12%)
  • Isomerism은 화학에서 분자 구조가 동일하지만 분자의 배치가 다른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분광 반사율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완전한 물리적 등색을 말하는 것은 Isomerism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어떤 특정 조건의 광원이나 관측자의 시감에 따라 색이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적인 안료와 염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료는 물이나 유지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이 있는데 비하여 염료는 물에 용해된다.
  2.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의 분류기준은 발색성분에 따른다.
  3.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서 내광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4. 염료는 물 및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녹아 섬유에 침투하여 착색되는 유색물질을 일컫는다.
(정답률: 70%)
  • 정답은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서 내광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다. 이유는 유기안료는 분자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물리적인 강도가 높아 내광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모니터에서 삼원색의 가법혼색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공간 내의 재현 영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입체(color solid)
  2. 스펙트럼 궤적(spectrum locus)
  3. 완전 복사체 궤적(planckian locus)
  4. 색영역(color gamut)
(정답률: 86%)
  • 색영역(color gamut)은 모니터에서 삼원색의 가법혼색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공간 내의 재현 영역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모니터에서 표현 가능한 모든 색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영역(color gamu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국제조명위원회(CIE) 및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서 채택 하였으며, 밝은 시감에 대한 함수를 V(λ)로 표시하는 것은?

  1. 분광 시감 효율
  2. 표준 분광 시감 효율 함수
  3. 시감 반사율
  4. 시감 투과율
(정답률: 50%)
  • V(λ)는 시감에 따라 인식되는 밝기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함수로, 분광 시감 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함수는 시감 반사율과 시감 투과율을 고려하여 정의되며, 표준 분광 시감 효율 함수는 이러한 고려를 바탕으로 국제적으로 채택된 표준 함수이다. 따라서, 밝은 시감에서 측정된 값들을 정확하게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V(λ)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물체의 분광 반사율, 분광 투과율 등을 파장의 함수로 측정 하는 계측기는?

  1. 분광 복사계
  2. 시감 색채계
  3. 광전 색채계
  4. 분광 광도계
(정답률: 69%)
  • 분광 광도계는 파장별로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분광 반사율, 분광 투과율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계측기이다. 따라서 분광 광도계는 빛의 파장에 따른 물체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색채 영역과 혼색방법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모니터 화면의 형광체들은 가법혼색의 주색 특징에 따라 선별된 형광체를 사용한다.
  2. 감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을수록 색역이 확장 된다.
  3. 컬러프린터의 발색은 병치혼색과 감법혼색을 같이 활용한 것이다.
  4. 감법혼색에서 시안(Cyan)은 600nm 이후의 빨간색 영역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정답률: 39%)
  • "감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을수록 색역이 확장 된다."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감법혼색은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을수록 색역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주색이 흡수하는 파장대가 좁아지면 그 주변의 파장대에서도 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색의 파장대가 좁아지면 그 주변의 파장대에서도 색이 더해져 색역이 좁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론

61. 카메라에 쓰는 UV 필터와 관련이 있는 파장은?

  1. 적외선
  2. X-선
  3. 자외선
  4. 감마선
(정답률: 58%)
  • UV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으로, 카메라 렌즈에 직접 들어오면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렌즈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UV 필터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면 더 나은 이미지 품질과 렌즈 보호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색필터를 통한 혼색실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노랑과 마젠타의 이중필터를 통과한 빛은 빨간색으로 보인다.
  2. 감법혼색과 가법혼색의 연관된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3. 필터의 색이 진해지거나 필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4. 노랑 필터는 장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시안 필터는 단파 장의 빛을 흡수한다.
(정답률: 37%)
  • "노랑 필터는 장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시안 필터는 단파장의 빛을 흡수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노랑 필터는 단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시안 필터는 장파장의 빛을 흡수한다."이다. 이유는 노랑 필터는 파장이 긴 빨간색과 노란색을 통과시키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을 흡수하기 때문에 단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시안 필터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초록색을 통과시키고, 파장이 긴 노란색과 빨간색을 흡수하기 때문에 장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법혼합의 결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랑과 녹색의 혼합 결과는 시안(C)이다.
  2. 녹색과 빨강의 혼합 결과는 노랑(Y)이다.
  3. 파랑과 빨강의 혼합 결과는 마젠타(M)이다.
  4. 파랑과 녹색과 노랑의 혼합 결과는 백색(W)이다.
(정답률: 89%)
  • "파랑과 녹색과 노랑의 혼합 결과는 백색(W)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법혼합은 빛의 삼원색인 빨강, 녹색, 파랑(RGB)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파랑과 녹색의 혼합 결과는 시안(C)이며, 녹색과 빨강의 혼합 결과는 노랑(Y)이고, 파랑과 빨강의 혼합 결과는 마젠타(M)입니다. 따라서 파랑과 녹색과 노랑의 혼합 결과는 시안, 노랑, 마젠타가 혼합된 색이 나오며, 이는 백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 )에 들어갈 색의 속성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명도, 색상
  2. 색상, 채도
  3. 채도, 색상
  4. 명도, 채도
(정답률: 40%)
  • 이미지에서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도와 색의 종류인 색상이 구분되어 있으며,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데 이미지에서는 색의 선명도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채도는 중요한 속성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도,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동일지점에서 두 가지 이상의 색광 또는 반사광이 1초 동안에 40~50회 이상의 속도로 번갈아 발생되면 그 색자극들은 혼색된 상태로 보이게 되는 혼색방법은?

  1. 동시혼색
  2. 계시혼색
  3. 병치혼색
  4. 감법혼색
(정답률: 59%)
  • 계시혼색은 빠른 속도로 번갈아가며 발생하는 두 가지 이상의 색광이나 반사광이 눈에 동시에 인식되어 혼색된 색상이 보이게 되는 혼색방법입니다. 이는 빛의 주파수가 빠르게 변화함으로써 눈이 인식하는 색상도 빠르게 변화하게 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의 광원이 빠르게 번갈아가며 발생하면 눈은 보라색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구실을 하는 것은 홍채이다.
  2. 수정체는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망막에 선명한 상이 맺도록 한다.
  3. 망막의 중심부에는 간상체만 있다.
  4. 빛에 대한 감각은 광수용기 세포의 반응에서 시작된다.
(정답률: 84%)
  • "망막의 중심부에는 간상체만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망막의 중심부에는 실제로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색 반달인 황색 반달 부위가 있습니다. 이 부위는 시신경 실질이 없어서 시신경 실질이 망가져도 시력에 지장이 없는 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색채의 운동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출색은 수축색이 되고, 후퇴색은 팽창색이 된다.
  2. 차가운 색이 따뜻한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3.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4. 채도가 높은 색이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정답률: 79%)
  • 채도가 높은 색은 더 강렬하고 선명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줍니다. 이는 색채의 운동성 중 하나로, 채도가 높을수록 진출하는 느낌을 주고, 채도가 낮을수록 후퇴하는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색광의 가법혼색이 적용되는 그라스만(H. Grassmann)의 법칙이 아닌 것은?

  1. 빨강과 초록을 똑같은 색광으로 혼합하면 양쪽의 빛을 함유한 노란색광이 된다.
  2. 백색광이나 동일한 색의 빛이 증가하면 명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3. 광량에 대한 채도의 증가를 식으로 나타낸 법칙이다.
  4. 색광의 가법혼색 즉, 동시·계시·병치혼색의 어느 경우이든 같은 법칙이 적용된다.
(정답률: 32%)
  • 정답은 "광량에 대한 채도의 증가를 식으로 나타낸 법칙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그라스만의 법칙은 색광의 가법혼색에 대한 법칙으로, 빨강과 초록을 혼합하면 노란색이 된다는 것 등을 설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무거운 작업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장에서 심리적으로 가볍게 느끼도록 하는 색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고명도, 고채도인 한색계열의 색
  2. 저명도, 고채도인 난색계열의 색
  3. 저명도, 저채도인 한색계열의 색
  4. 고명도, 저채도인 난색계열의 색
(정답률: 45%)
  • 고명도, 저채도인 난색계열의 색은 시각적으로 눈에 띄기 때문에 작업장에서 무거운 작업을 하면서도 심리적으로 가볍게 느끼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한색계열의 색은 단조로움을 느끼게 하지만, 난색계열의 색은 다양한 색상이 섞여 있어서 활기찬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고명도, 저채도인 난색계열의 색이 가장 효과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색을 지각하는 요소들의 변화에 의해 지각되는 색도 변하게 된다. 다음 중 변화요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광원의 종류
  2. 물체의 분광 반사율
  3. 사람의 시감도
  4. 물체의 물성
(정답률: 80%)
  • 물체의 물성은 색을 지각하는 요소들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 색을 지각하는 요소들은 광원의 종류, 물체의 분광 반사율, 사람의 시감도 등이며, 이들 요소들이 변화하면 색도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물체의 물성은 색을 지각하는 요소들과는 관련이 없으며, 예를 들어 물체의 크기나 형태 등은 색을 지각하는 요소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백화점에서 각각 다른 브랜드의 윗옷과 바지를 골랐다. 매장의 조명 아래에서는 두 색이 일치하여 구매를 하였으나, 백화점 밖에서는 두 색이 매우 틀려 보이는 현상은?

  1. 조건등색
  2. 항색성
  3. 무조건등색
  4. 색일치
(정답률: 91%)
  • 정답은 "조건등색"입니다. 조건등색은 조명의 영향을 받아 색이 달라 보이는 현상으로, 조명의 색온도나 조명의 성질에 따라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장의 조명 아래에서는 두 색이 일치하여 보였지만, 백화점 밖에서는 다른 조명 아래에서 보이기 때문에 색이 매우 틀려 보이는 것입니다. 항색성은 물체가 어떤 색으로 보이는지에 영향을 주는 물체 자체의 색성질을 말하며, 무조건등색은 어떤 조명 아래에서도 색이 일정하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색일치는 두 색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색의 느낌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연과 연결되어 색을 느낀다.
  2. 색은 그 밝기와 선명도에 따라 느낌이 달라진다.
  3. 명도와 채도를 조화시켰을 때 아름답고 편안하다.
  4. 색은 언제나 아름답고 스트레스를 푸는데 효과적이다.
(정답률: 77%)
  • "색은 언제나 아름답고 스트레스를 푸는데 효과적이다."는 색의 느낌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색의 효과를 설명한 것이므로 틀린 것이다.

    색은 인간의 감정과 연결되어 있으며, 밝기와 선명도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명도와 채도를 조화시키면 아름답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색은 스트레스를 푸는데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연과 연결되어 색을 느끼며, 이는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색의 잔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앞서 주어진 자극의 색이나 밝기, 공간적 배치에 의해 자극을 제거한 후에도 시각적인 상이 보이는 현상이다.
  2. 양성 잔상은 원래의 자극과 색이나 밝기가 같은 잔상을 말한다.
  3. 잔상은 원래 자극의 세기, 관찰시간, 크기에 의존하는데 음성 잔상보다 양성 잔상을 흔하게 경험하게 된다.
  4. 보색 잔상은 색이 선명하지 않고 질감도 달라 하늘색과 같은 면색처럼 지각된다.
(정답률: 43%)
  • 잔상은 원래 자극의 세기, 관찰시간, 크기에 의존하는데 음성 잔상보다 양성 잔상을 흔하게 경험하게 된다. 이유는 양성 잔상은 원래 자극과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양성 잔상은 원래 자극과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뚜렷하게 인식되는 반면, 음성 잔상은 원래 자극과 같은 방향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덜 뚜렷하게 인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색의 지각과 감정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멀리 보이는 경치는 가까운 경치보다 푸르게 느껴진다.
  2. 크기와 형태가 같은 물체가 물체색에 따라 진출 또는 후퇴되어 보이는 것에는 채도의 영향이 가장 크다.
  3. 주황색 원피스가 청록색 원피스보다 더 날씬해 보인다.
  4. 색의 삼속성 중 감정효과는 주로 명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정답률: 69%)
  • "멀리 보이는 경치는 가까운 경치보다 푸르게 느껴진다." 이유는 대기 중의 물분자들이 빛을 산란시키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눈에 더 잘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색채의 지각적 특성이 다른 하나는?

  1. 빨간 망에 들어 있는 귤은 원래보다 빨갛게 보인다.
  2. 회색 블라우스에 검정 줄무늬가 있으면 블라우스 색이 어둡게 보인다.
  3. 파란 원피스에 보라색 리본이 달려 있으면 리본은 원래 보다 붉게 보인다.
  4. 붉은 벽돌을 쌓은 벽은 회색의 시멘트에 의해 탁하게 보인다.
(정답률: 85%)
  • 색채의 지각적 특성 중 하나는 대비(Contrast)이다. 대비란 서로 다른 색상이나 명도, 채도 등이 인접하여 나타날 때 서로 강조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파란 원피스에 보라색 리본이 달려 있으면, 파란색과 보라색은 대비를 이루게 되어 보라색이 더욱 강조되어 붉게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병치 혼색과 관련이 있는 색채 지각 특성은?

  1. 보색대비
  2. 연변대비
  3. 동화현상
  4. 음의잔상
(정답률: 67%)
  • 병치 혼색은 인접한 색상이 서로 영향을 주어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동화현상은 인접한 색상 중 밝은 색상이 어두운 색상에 영향을 주어 밝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병치 혼색과 관련이 있는 색채 지각 특성은 동화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색채 대비 및 감정 효과에 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인접한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미쳐서,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높아지고 채도가 낮은 색은 더욱 낮아 보이는 현상을 채도대비라 한다.
  2. 면적대비에서 면적이 작아질수록 색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한다.
  3. 색채의 온도감은 장파장의 색에서 따뜻함을, 단파장의 색에서 차가움을 느끼게 한다.
  4. 명도대비는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뚜렷이 나타나며, 무채색과 유채색에서 모두 나타난다.
(정답률: 70%)
  • "면적대비에서 면적이 작아질수록 색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히려 면적이 작아질수록 색상이 더욱 희미하게 나타난다. 이는 면적이 작아질수록 색상이 더욱 집중되어 높은 채도와 명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큰 면적에서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색상을 작은 면적에서는 더욱 희미하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애브니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파장의 같아도 색의 명도가 변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2. 빛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색상이 같아 보이는 위치가 다르다.
  3. 애브니 효과 현상이 적용되지 않는 577nm의 불변색상도 있다.
  4. 주변색의 보색이 중심에 있는 색에 겹쳐져 보이는 현상이다.
(정답률: 60%)
  • 애브니 효과는 주변색의 보색이 중심에 있는 색에 겹쳐져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파장의 같아도 색의 명도가 변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빛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색상이 같아 보이는 위치가 다르다. 그러나 577nm의 불변색상도는 애브니 효과 현상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해당 파장에서 주변색의 보색이 중심에 있는 색에 겹쳐져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동시대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차가 클수록 대비현상은 강해진다.
  2.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비현상은 약해 진다.
  3. 자극을 부여하는 크기가 작을수록 대비의 효과가 커진다.
  4. 시점을 한 곳에 집중시키려는 색채지각과정에서 일어난다.
(정답률: 68%)
  •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비현상은 약해 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비현상은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검은색과 흰색이 바로 옆에 있을 때 대비가 더욱 강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색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순색은 무채색의 포함량이 가장 적은 색이다.
  2. 유채색은 빨강, 노랑과 같은 색으로 명도가 없는 색이다.
  3. 회색, 검은색은 무채색으로 채도가 없다.
  4. 색채는 포화도에 따라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80%)
  • "유채색은 빨강, 노랑과 같은 색으로 명도가 없는 색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유채색은 명도가 높은 색으로, 빨강, 노랑, 파랑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론

81. 먼셀 색입체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색지각의 3속성으로 구별하였다.
  2. 색상은 둥근 모양의 색상환으로 배치하였다.
  3. 세로축에는 채도를 둔다.
  4. 색입체가 되도록 3차원으로 만들어져 있다.
(정답률: 62%)
  • 세로축에는 채도를 둔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먼셀 색입체는 색상, 채도, 명도를 3차원으로 나타낸 모델이며, 세로축에는 명도를 둡니다. 이는 색입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명도를 중심으로 색상과 채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NCS 색삼각형에서 S-C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이 의미하는 것은?

  1. 동일 하양색도(same whiteness)
  2. 동일 검정색도(same blackness)
  3. 동일 명도(same lightness)
  4. 동일 뉘앙스(same nuance)
(정답률: 67%)
  • S-C축은 색의 채도를 나타내는 축이므로, S-C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은 모두 동일한 채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색의 밝기나 어둡기와는 무관하게, 동일한 하얀색을 가지고 있어 "동일 하양색도(same whiteness)"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1916년에 발표된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바탕이 된 색지각설은?

  1. 하트리지(H. Hartridge)의 다색설
  2. 영·헬름흘츠(Young·Helmholtz)의 3원색설
  3. 헤링(E. Hering)의 반대색설
  4. 돈더스(F. Donders)의 단계설
(정답률: 72%)
  •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색을 빨강, 녹색, 파랑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영·헬름흘츠의 3원색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 색체계는 헤링의 반대색설에 따라 색의 밝기와 채도를 나타내는 차원을 추가로 도입하여 완성되었다. 헤링의 반대색설은 색상환에서 대조되는 색상쌍이 서로 상반되는 관계를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와 채도를 설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파버 비렌(Faber Birren)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총 9개의 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각 기준이 되는 톤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조화롭다.
  3. 색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다.
  4. 실질적인 업무보다는 이론과 설문조사를 위한 것이다.
(정답률: 78%)
  • 파버 비렌의 색채조화론은 총 9개의 기준 톤을 사용하여 색채를 조화롭게 조합하는 방법론이다. 각 기준이 되는 톤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조화롭다는 이론은 이러한 기준 톤들이 서로 비슷한 색조와 명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화롭게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은 실질적인 업무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색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색상을 기준으로 등거리 2색, 3색, 4색, 5색, 6색 등으로 분할하여 배색하는 기법을 설명한 색채학자는?

  1. 문·스펜서
  2. 오그덴 루드
  3. 요하네스 이텐
  4. 저드
(정답률: 48%)
  • 요하네스 이텐은 색상을 기준으로 등거리 2색, 3색, 4색, 5색, 6색 등으로 분할하여 배색하는 기법을 설명한 색채학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한국산업표준(KS A 0011)에서 사용하는 '색이름 수식형-기준색 이름'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빨간 - 자주, 주황, 보라
  2. 초록빛 - 연두, 갈색, 파랑
  3. 파란 - 연두, 초록, 청록
  4. 보랏빛 - 하양, 회색, 검정
(정답률: 45%)
  • 보기에서 옳은 연결은 "보랏빛 - 하양, 회색, 검정" 입니다. 이는 KS A 0011에서 사용하는 색이름 수식형-기준색 이름의 연결 중 하나로, 보랏빛을 기준색으로 하여 하양, 회색, 검정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연결은 색의 구분과 명확한 표현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혼색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표적으로 먼셀 색체계가 있다.
  2. 현색계는 색을 혼색계는 색채를 표시하는 색체계이다.
  3.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합을 실험하는 것에 기초를 둔 것으로 CIE 표준 색체계가 있다.
  4. 색표에 의해서 물체색의 표준을 정하고 표준색표에 번호나 기호를 붙여서 표시한 체계이다.
(정답률: 54%)
  • 혼색계는 색을 혼합하여 다른 색을 만들어내는 색체계이며, 이는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빛의 혼합 실험에 기초를 둔 CIE 표준 색체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합을 실험하는 것에 기초를 둔 것으로 CIE 표준 색체계가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CIE L*a*b* 색좌표계에 색을 표기할 때 가장 밝은 노란색에 해당되는 것은?

  1. L*=0, a*=0, b*=0
  2. L*=+80, a*=0, b*=-40
  3. L*=+80, a*=+40, b*=0
  4. L*=+80, a*=0, b*=+40
(정답률: 59%)
  • CIE L*a*b* 색좌표계에서 L*는 밝기를, a*는 빨강-초록 축을, b*는 노랑-파랑 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장 밝은 노란색은 b*가 가장 큰 값인 "L*=+80, a*=0, b*=+40"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CIE XYZ 삼자극치의 개념의 기반이 된 색지각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Red
  2. Green
  3. Blue
  4. Yellow
(정답률: 96%)
  • CIE XYZ 삼자극치의 개념의 기반이 된 색지각의 3원색은 "Red", "Green", "Blue" 입니다. "Yellow"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보조색입니다. 따라서 "Yellow"는 CIE XYZ 삼자극치의 개념의 기반이 된 색지각의 3원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한국산업표준(KS A 0011)에 의한 물체색의 색이름 중 기본 색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빨강, 파랑, 밤색, 남색, 갈색, 분홍
  2. 노랑, 연두, 갈색, 초록, 검정, 하양
  3. 회색, 청록, 초록, 감색, 빨강, 노랑
  4. 빨강, 파랑, 노랑, 주황, 녹색, 연지
(정답률: 75%)
  • 한국산업표준(KS A 0011)에서는 물체색의 색이름을 기본 색명과 확장 색명으로 구분합니다. 기본 색명은 빨강, 노랑, 파랑, 초록, 검정, 하양, 갈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기본 색명으로만 나열된 것은 "노랑, 연두, 갈색, 초록, 검정, 하양"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Yxy 색체계에서 사람의 시감 차이가 실제 색표계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색상은?

  1. Red
  2. Yellow
  3. Green
  4. Blue
(정답률: 28%)
  • Yxy 색체계에서 사람의 시감 차이가 가장 큰 색상은 적색과 청록색 사이의 색상인데, 이는 실제 색표계에서는 녹색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Green"입니다. 이는 인간의 시감에서 빛의 파장이 가장 많이 겹치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문·스펜서(P. Moon & D. E. Spencer)의 색채 조화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형 있게 선택된 무채색의 배색은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2. 작은 면적의 강한 색과 큰 면적의 약한 색은 조화롭다.
  3. 조화에는 동일조화, 유사조화, 면적조화가 있다.
  4. 색상, 채도를 일정하게 하고 명도만 변화시키는 경우 많은 색상 사용 시 보다 미도가 높다.
(정답률: 39%)
  • 문·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에서 틀린 설명은 없습니다. 조화에는 동일조화, 유사조화, 면적조화가 있으며, 균형 있게 선택된 무채색의 배색은 아름다움을 나타내며, 작은 면적의 강한 색과 큰 면적의 약한 색은 조화롭다는 것이 맞습니다. 또한, 색상과 채도를 일정하게 하고 명도만 변화시키는 경우 많은 색상 사용 시 보다 미도가 높다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DIN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4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채도는 0~15까지로 0은 무채색이다.
  3. 16:6:4와 같이 표기하고, 순서대로 Hue, Darkness, Saturation을 의미한다.
  4. 등색상면은 흑색점을 정점으로 하는 부채형으로서 한 변은 백색에 가까운 무채색이고, 다른 끝은 순색이다.
(정답률: 56%)
  • DIN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6:6:4와 같이 표기하고, 순서대로 Hue, Darkness, Saturation을 의미한다."가 아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먼셀 기호 5YR 8.5/13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명도는 8.5이다.
  2. 색상은 붉은 기미의 보라이다.
  3. 채도는 5/13이다.
  4. 색상은 YR 8.5이다.
(정답률: 96%)
  • 정답은 "명도는 8.5이다." 이다.

    먼셀 기호는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상, 명도, 채도의 세 가지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5YR"은 색상을 나타내며, "8.5/13"은 명도와 채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명도는 8.5이다."라는 설명이 옳다. 색상은 "5YR 8.5"이며, 채도는 "5/13"이다. 이 색상은 붉은 기미의 보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저드(D. B. Judd)가 요약한 색채조화론의 일반적 공통원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질서의 원리
  2. 독창성의 원리
  3. 유사성의 원리
  4. 명료성의 원리
(정답률: 78%)
  • 색채조화론의 일반적 공통원리에는 "질서의 원리", "유사성의 원리", "명료성의 원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독창성의 원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색채조화론에서는 일반적으로 예술 작품에서 색채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원리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독창성의 원리"는 예술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창작자의 독창성과 창의성에 관한 원리이므로, 색채조화론의 일반적 공통원리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NCS 색체계의 색표기 중 동일한 채도선의 m(Constant Saturation) 값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S6010-R90B
  2. S2040-R90B
  3. S4030-R90B
  4. S6020-R90B
(정답률: 32%)
  • NCS 색체계에서 m(Constant Saturation) 값은 채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동일한 채도선 상에서 색상의 진하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S6010-R90B" 이외의 보기들은 모두 다른 채도선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m 값이 다릅니다. "S6010-R90B"는 채도선이 동일하면서도 다른 보기들과 구분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P.C.C.S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최고 채도치가 색상마다 각각 다르다.
  2. 각 색상 최고 채도치의 명도는 다르다.
  3. 색상은 영·헬름홀츠의 지각원리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4. 유채색은 7개의 톤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18%)
  • P.C.C.S는 각 색상의 최고 채도치를 일정한 값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채도의 색상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각 색상의 최고 채도치는 동일하지만, 이에 따른 명도는 색상마다 다르게 설정됩니다. 이는 색상의 밝기와 어둡기를 조절하여 색상 간의 대비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먼셀의 색입체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칭인 마름모 모양이다.
  2. 보색관계의 색상면을 볼 수 있다.
  3. 명도가 높은 어두운 색이 상부에 위치한다.
  4. 한 개 색상의 명도와 채도 관계를 볼 수 있다.
(정답률: 38%)
  • 먼셀의 색입체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은 대칭인 마름모 모양을 가지며, 보색관계의 색상면을 볼 수 있다. 이는 먼셀의 색입체가 보색관계를 가지는 두 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명도가 높은 어두운 색이 상부에 위치하며, 한 개 색상의 명도와 채도 관계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청록색 계열의 전통색은?

  1. 훈색(熏色)
  2. 치자색(梔子色)
  3. 양람색(洋藍色)
  4. 육색(肉色)
(정답률: 87%)
  • 청록색 계열은 푸른색과 녹색이 섞인 색상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양람색은 청록색 계열 중에서도 더 많은 푸른색을 가지고 있어서 전통적으로 청록색 계열의 대표적인 색상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람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세계 각국의 색채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시된 색체계와 그 특성을 연결한 것은?

  1. 혼색계 : CIE의 XYZ 색체계 - 색자극의 표시
  2. 현색계 : 오스트발트 색체계 - 관용색명 표시
  3. 혼색계 : 먼셀 색체계 - 색채교육
  4. 현색계 : NCS 색체계 - 조화색의 선택
(정답률: 40%)
  • CIE의 XYZ 색체계는 세계 각국에서 색채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시된 색체계 중 하나입니다. 이 색체계는 색자극의 표시를 기반으로 하며, 색의 밝기와 색상을 분리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색체계는 색의 정확한 표현을 위해 많이 사용되며, 색의 분석과 연구에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