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측량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어떤 기선을 측정하여 다음 표의 결과를 얻었다. 최확값을 구하면 다음 어느 것인가? (단, 오차는 측정회수에 비례)

  1. 149.782m
  2. 149.218m
  3. 150.782m
  4. 150.218m
(정답률: 78%)
  • 주어진 측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49.8 + 149.2 + 150.8 + 150.2) / 4 = 150.0

    따라서, 측정값들의 평균은 150.0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오차는 측정회수에 비례" 라고 했으므로, 측정회수가 증가할수록 오차도 커질 것이다. 따라서, 최확값은 평균값인 150.0m 보다 조금 더 큰 값인 150.218m 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21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경 11km 이내의 지역에 대하여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으로 간주하는 측량은?

  1. 평면 측량
  2. 대지 측량
  3. 측지 측량
  4. 평판 측량
(정답률: 65%)
  • 반경 11km 이내의 지역은 지구의 곡률이 미미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평면으로 간주하여 측량을 수행합니다. 이를 평면 측량이라고 합니다. 대지 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이며, 측지 측량은 위성을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평판 측량은 측량을 수행하는 장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측량의 대상물은 지표면, 지하, 수중 및 해양, 우주공간등 인간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인 정량적 해석과 정성적 해석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다음 중 정성적 해석에 속하는 것은?

  1. 특성 해석
  2. 형상 결정
  3. 위치 결정
  4. 크기 해석
(정답률: 52%)
  • 특성 해석은 대상물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성적 해석에 속하며, 대상물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두 점간에 거리를 측정하여 중등오차 ± 3mm를 얻었다. 이 두 점간의 확률오차를 계산한 값은?

  1. ± 1.4225mm
  2. ± 2.0235mm
  3. ± 1.0235mm
  4. ± 2.8449mm
(정답률: 33%)
  • 중등오차는 표준편차의 약 0.6745배이므로, 표준편차는 3 / 0.6745 = 4.4484mm 이다. 이때, 두 점간의 거리를 X라 하면 X의 표준편차는 2 * 4.4484 = 8.8968mm 이다. 따라서, X의 확률오차는 2.0235 = 1.96 * 8.8968 / √n (n은 측정횟수) 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n이 충분히 크다면 (일반적으로 n ≥ 30), 1.96 대신에 2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정답은 "± 2.0235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에서 AC, AD, CE의 거리를 측정하여 다음 값을 얻었을 때 이것으로 AB의 거리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AC = 30m, AD = 40m, CE = 62.5m)

  1. 51.3m
  2. 52.3m
  3. 53.3m
  4. 54.3m
(정답률: 44%)
  • 삼각형 ABC에서 선분 AC와 AD를 알고 있으므로 삼각형 ABC의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각 BAC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BAC) = (AC^2 + AD^2 - CD^2) / (2 * AC * AD) = (30^2 + 40^2 - 62.5^2) / (2 * 30 * 40) ≈ 0.422

    따라서 각 BAC의 삼각함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sin(BAC) ≈ 0.906
    cos(BAC) ≈ 0.422
    tan(BAC) ≈ 2.144

    이제 삼각형 ABC에서 선분 AB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AB = AC * sin(BAC) ≈ 30 * 0.906 ≈ 27.18

    하지만 이 값은 정확한 값이 아니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53.3m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장애물이 있어 직접 거리를 측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하며 두 측점에서 시준하여 얻어지는 방향선의 교점으로부터 도상의 위치를 정하는 평판측량 방법은?

  1. 후방교회법
  2. 전진법
  3. 전방교회법
  4. 방사교회법
(정답률: 32%)
  • 전방교회법은 두 측점에서 시준하여 얻어지는 방향선의 교점으로부터 도상의 위치를 정하는 평판측량 방법입니다. 즉, 거리를 직접 측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방에서 교회를 바라보며 측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전방교회법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 방향으로 잰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향각
  2. 방위각
  3. 연직각
  4. 수평각
(정답률: 62%)
  •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 방향으로 잰 각을 방향각이라고 합니다. 이는 해당 측선이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즉, 방향각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각도와는 달리 수치뿐만 아니라 방향성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향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삼각 측량방법은(도상 계획) ⇒ ( ) ⇒ (조표) ⇒ (기선 측량) ⇒ … ⇒ (삼각망의 조정)순으로 실시한다. 괄호 안에 적당한 것은?

  1. 각 관측
  2. 수평각 관측
  3. 삼각망 조정
  4. 답사 및 선점
(정답률: 83%)
  • 답사 및 선점은 삼각 측량방법에서 마지막 단계로, 삼각망의 조정 후에 필요한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삼각망의 기준점을 실제 지형에 맞추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삼각망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지점을 설정하고, 해당 지점에서 지면 위의 물체나 지형을 측정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지형의 형태와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평판측량에서 축척 1/6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의 위치허용 오차를 0.2㎜로 하면 구심오차는 어느 정도까지 허용되는가?

  1. 4㎝
  2. 5㎝
  3. 6㎝
  4. 7㎝
(정답률: 42%)
  • 평판측량에서 축척 1/6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의 위치허용 오차가 0.2㎜이므로, 구심오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구심오차 = 위치허용오차 / 축척

    따라서, 구심오차 = 0.2 / 600 = 0.0003333... (약 0.0003)

    이 값은 mm 단위이므로, cm 단위로 변환하면 0.0003 × 10 = 0.003 cm 이다.

    즉, 구심오차는 0.003 cm 이하로 허용되어야 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6㎝"이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진법에서 변수가 16일 때 허용되는 폐합오차는? (단, 제도오차를 0.2mm까지 허용하는 것으로 함)

  1. 0.8mm
  2. 1.0mm
  3. 1.2mm
  4. 1.4mm
(정답률: 33%)
  • 전진법에서 변수가 16일 때, 폐합오차는 변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변수가 작을수록 폐합오차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변수가 16일 때, 허용되는 폐합오차는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됩니다.

    또한, 제도오차가 0.2mm까지 허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이를 고려하여 폐합오차를 결정해야 합니다. 제도오차와 폐합오차는 더해져서 최종 오차가 됩니다. 따라서 제도오차가 크면 폐합오차를 작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변수가 16일 때 허용되는 폐합오차는 1.2mm로 설정됩니다. 이는 제도오차 0.2mm와 더해져서 최종 오차 1.4mm를 만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평각 측정에 있어 3대회 관측에서 초독의 위치로 옳은 것은?

  1. 0° , 30° , 60°
  2. 0° , 60° , 120°
  3. 0° , 45° , 90°
  4. 0° , 90° , 180°
(정답률: 53%)
  • 수평각은 지평선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평선은 0도이며, 수직선은 90도입니다. 이 중에서 3대회 관측에서 초독의 위치로 옳은 것은 "0° , 60° , 12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0° , 30° , 60°" : 이 경우에는 수평선과 30도, 60도의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초독의 위치가 수직선 상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옳지 않습니다.
    - "0° , 60° , 120°" : 이 경우에는 수평선과 60도, 120도의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초독의 위치가 수평선 상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옳습니다.
    - "0° , 45° , 90°" : 이 경우에는 수평선과 45도, 90도의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초독의 위치가 수직선 상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옳지 않습니다.
    - "0° , 90° , 180°" : 이 경우에는 수평선과 90도, 180도의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초독의 위치가 수직선 상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평판 측량을 실시한 결과, 폐합 트래버스에서 생기는 폐합 오차가 허용한도내 일 경우에 오차 배분은 어떻게 하는가?

  1. 변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변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30%)
  • 폐합 트래버스에서 생기는 폐합 오차는 각 변의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에, 오차 배분도 각 변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변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배각법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2.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3. 양쪽 버어니어에서 읽은 값의 평균을 취한다.
  4.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정답률: 55%)
  •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시준축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해야 합니다. 이때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는 시준축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위치 중 하나이므로,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으로부터 측선 BC의 방위각을 계산하여라.

  1. 82° 19′
  2. 150° 34′
  3. 248° 26′
  4. 351° 56′
(정답률: 66%)
  • 우선, 측선 BC가 동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얼마나 회전했는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측선 BC의 시작점인 B에서 출발하여 시계 방향으로 360도를 돌아 A에 도달하는 각도를 계산합니다. 이 각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360° - 82° 19′ - 17° 21′ - 91° 50′ - 7° 10′ = 161°

    따라서, 측선 BC는 동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161도 회전한 상태입니다. 이제, 이 각도를 분해하여 방위각을 계산합니다.

    161° = 150° + 11°

    따라서, 측선 BC의 방위각은 150°입니다. 또한, 분해된 11도는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이므로 북쪽에서부터 11도만큼 동쪽으로 회전한 것입니다. 따라서, 측선 BC의 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150° 3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삼각측량에서 조건식 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가장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삼각망은?

  1. 단열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유심 삼각망
  4. 기선 삼각망
(정답률: 79%)
  • 사변형 삼각망은 조건식 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가장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삼각측량에서 측정한 각도와 거리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구성하고, 이를 여러 개 연결하여 사변형을 만들어 조건식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많은 조건식을 만들어내면 삼각측량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A, B 두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①, ②, ③노선을 지나는 직접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최확치는?

  1. 32.241m
  2. 32.239m
  3. 32.243m
  4. 32.247m
(정답률: 34%)
  •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A, B 두 점 사이의 수직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①, ②, ③ 노선에서 측정한 고도값을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을 적용합니다.

    먼저 ①노선에서 A, B 두 점의 고도값을 구해보겠습니다. A점의 고도는 100.000m, B점의 고도는 67.759m 이므로, A와 B 사이의 고저차는 100.000m - 67.759m = 32.241m 입니다.

    다음으로 ②노선에서 A, B 두 점의 고도값을 구해보겠습니다. A점의 고도는 100.000m, B점의 고도는 67.758m 이므로, A와 B 사이의 고저차는 100.000m - 67.758m = 32.242m 입니다.

    마지막으로 ③노선에서 A, B 두 점의 고도값을 구해보겠습니다. A점의 고도는 100.000m, B점의 고도는 67.756m 이므로, A와 B 사이의 고저차는 100.000m - 67.756m = 32.244m 입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고저차는 32.241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같은 사람이 20″ 읽기(P1)와 40″ 읽기(P2) 트랜싯을 사용하여 측각했다. 이 관측치에 대한 중량비는?

  1. P1 : P2 = 2 : 1
  2. P1 : P2 = 4 : 1
  3. P1 : P2 = 6 : 1
  4. P1 : P2 = 9 : 1
(정답률: 42%)
  • 20″ 읽기와 40″ 읽기 트랜싯을 사용하여 측각하였으므로, 두 측각의 중량비는 다음과 같다.

    P1 : P2 = sin(20″) : sin(40″)

    sin(20″) ≈ 0.00058, sin(40″) ≈ 0.00116 이므로,

    P1 : P2 ≈ 0.00058 : 0.00116

    P1 : P2 ≈ 1 : 2

    따라서, 보기 중에서 P1 : P2 = 4 : 1 인 것이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측량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준측량 작업은 평면상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다.
  2. 우리나라 수준점의 표고는 26.6871m 이다.
  3. 측량의 기준면이란 평균 해수면이다.
  4. 측량순서는 준비, 외업, 내업등으로 한다.
(정답률: 50%)
  • "수준측량 작업은 평면상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수준측량은 지형의 고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며, 평면상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교호수준측량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a1, a2 : 측점 A에서 읽은 값 b1, b2 : 측점 B에서 읽은 값)

(정답률: 34%)
  • 정답은 ""입니다.

    교호수준측량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d = √((a₁ - b₁)² + (a₂ - b₂)²)

    이 공식은 두 측정 지점 A와 B 사이의 거리 d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측정 지점 A에서 읽은 값 a₁과 a₂를 각각 측정 지점 B에서 읽은 값 b₁과 b₂와 비교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 옳은 공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래 그림에서 B점에 장애물이 있어 함척을 거꾸로 세워 측정했다. C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단, A점의 표고 = 10m임)

  1. 9.851m
  2. 10.851m
  3. 11.851m
  4. 12.851m
(정답률: 36%)
  • B점에서 측정한 함척값은 A점에서 측정한 함척값보다 작으므로, B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보다 낮다. 따라서 C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서 B점의 함척값을 빼면 된다.

    B점의 함척값은 0.999m이므로, C점의 표고는 10m - 0.999m = 9.851m 이다. 따라서 정답은 "9.85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거리 1km당 수준측량 오차를 ± 3mm라 하면 거리 8km 왕복 수준측량의 오차는?

  1. ± 8mm
  2. ± 9mm
  3. ± 10mm
  4. ± 12mm
(정답률: 23%)
  • 거리 1km당 수준측량 오차가 ± 3mm이므로, 거리 8km에서의 수준측량 오차는 8배가 됩니다. 따라서, 8km 왕복 수준측량의 오차는 ± 24mm가 됩니다. 하지만, 왕복 측량을 하면 오차가 상쇄되므로, 최종 오차는 ± 12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1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확히 검사를 할 수 있어 정밀을 요하는 측량에 많이 이용되나 중간점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해는 단점을 갖고 있는 야장기입 방법은 어느 것인가?

  1. 고차식
  2. 승강식
  3. 기고식
  4. 종단식
(정답률: 35%)
  • 승강식은 중간점이 많을 때도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밀을 요하는 측량에 많이 이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승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AL 의 방위각이 19° 48' 26", BM 의 방위각이 310° 36' 43", 내각의 총합이 1190° 47'22"일 때 측각오차는?

  1. 15"
  2. 25"
  3. 47"
  4. 55"
(정답률: 36%)
  • 측각의 총합은 360°의 배수이므로, 내각의 총합이 1190° 47'22"인 경우, 외각의 총합은 360°×3 - 1190° 47'22" = 89° 12'38"이다.

    또한, AL과 BM은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므로, AL과 BM 사이의 각도는 180°이다.

    따라서, 측각오차는 외각의 총합 - AL과 BM 사이의 각도 = 89° 12'38" - 180° = -90° 47'22"이다.

    하지만, 측각오차는 항상 양수이므로, 부호를 무시하고 크기만 취한다.

    따라서, 측각오차는 90° 47'22" = 55"이다.

    따라서, 정답은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방위각이 140° 35′ 20″ 일 때 역방위는?

  1. S 39° 24′ 40″ E
  2. E 39° 24′ 40″ S
  3. W 39° 24′ 40″ N
  4. N 39° 24′ 40″ W
(정답률: 44%)
  • 방위각과 역방위는 항상 180° 차이가 나므로, 140° 35′ 20″ 에서 180°를 빼면 39° 24′ 40″ 가 된다. 이때, 북쪽과 서쪽으로 가야하므로 정답은 "N 39° 24′ 40″ 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트래버스측량 결과에서 위거 및 경거의 값은 어느것 인가? (단, AB측선방위 N30° W AB측선의 길이 100m)

  1. 위거:+86.60, 경거:-50.00
  2. 위거:-86.60, 경거:+50.00
  3. 위거:+50.00, 경거:-86.00
  4. 위거:-50.00, 경거:+86.00
(정답률: 39%)
  • 정답은 "위거:+86.60, 경거:-50.00" 입니다.

    AB측선방위가 N30° W 이므로, AB측선의 북쪽 방향으로 30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위거는 AB측선의 북쪽 방향으로 86.60m 떨어져 있으며, 경거는 AB측선의 서쪽 방향으로 50m 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각측량에서 거리의 총합이 1,250m 이고 위거의 오차가 -0.12m, 경거의 오차가 +0.25m 일 때 폐합비는?

  1. 1/4,510
  2. 1/4,520
  3. 1/4,530
  4. 1/2. 4,540
(정답률: 15%)
  • 폐합비는 거리의 총합에 대한 오차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폐합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거리의 총합과 오차의 합을 구해야 합니다.

    거리의 총합: 1,250m
    위거의 오차: -0.12m
    경거의 오차: +0.25m

    따라서 오차의 합은 -0.12m + 0.25m = 0.13m 입니다.

    이제 폐합비를 계산해보겠습니다.

    폐합비 = 오차의 합 / 거리의 총합
    = 0.13m / 1,250m
    = 0.000104

    이 값을 기약분수로 표현하면 1/9,615.38 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주어진 값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정답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값인 "1/4,510"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값은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으로, 정확한 값은 아니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과 가장 근접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삼각측량에서 노선측량이나 하천측량에 주로 사용되는 삼각망은?

  1. 단열삼각망
  2. 유심삼각망
  3. 사변형삼각망
  4. 결합삼각망
(정답률: 63%)
  •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만으로 삼각형의 내각을 계산할 수 있는 삼각망으로, 노선측량이나 하천측량과 같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 측량 작업에 적합합니다. 이는 삼각형의 내각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선측량이나 하천측량과 같은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구배가 15% 인 도로면상의 경사거리 135m 에 대한 수평거리는?

  1. 133.5m
  2. 130.0m
  3. 132.0m
  4. 136.5m
(정답률: 23%)
  • 구배가 15% 라는 것은 100m 가로로 이동할 때 수직으로 15m 상승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135m 가로로 이동할 때 수직으로 상승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5/100 x 135 = 20.25m

    즉, 135m 거리에서 수평거리는 135m에서 수직으로 상승하는 20.25m을 제외한 나머지 거리입니다.

    135 - 20.25 = 114.75m

    하지만 이것은 아직 정답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구배는 15% 이지만, 이 도로가 어떤 모양인지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 도로가 완전한 직선이라면, 수평거리는 114.75m가 됩니다. 하지만 만약 이 도로가 곡선이라면, 수평거리는 더 짧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보기에서는 133.5m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 도로가 완전한 직선이라고 가정하면 수평거리는 114.75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4.75m가 아닌, 133.5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삼각측량을 할 때 삼각망은 어떤 형태가 가장 좋은가?

  1. 정삼각형
  2. 직각삼각형
  3. 이등변삼각형
  4. 어떤 삼각형이든 관계없다.
(정답률: 86%)
  •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도도 모두 60도로 일정하여 삼각측량에서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정삼각형은 대칭성이 뛰어나서 측량 작업이 더욱 용이하며, 삼각망의 구성도 간단하고 균형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거리는?

  1. 383.022m
  2. 433.013m
  3. 500.013m
  4. 577.350m
(정답률: 36%)
  • 이 문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 삼각형 ABD에서 AB와 AD의 길이는 모두 500m입니다. 따라서, 삼각형 ABD는 정삼각형입니다.

    이제, 삼각형 BCD에서 BC와 BD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BC의 길이는 삼각형 ABD에서 AB의 길이와 같으므로 500m입니다.

    BD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BD^2 = AB^2 + AD^2 = 500^2 + 500^2 = 500,000

    따라서, BD = √500,000 = 707.107m입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BCD에서 CD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CD의 길이도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CD^2 = BC^2 + BD^2 = 500^2 + 707.107^2 = 250,000 + 500,000 = 750,000

    따라서, CD = √750,000 = 577.350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77.35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한점 A에 평판을 세우고 또 한점 B에 세운 표척 (아래, 위 표지 간격 : 3m)을 보통 앨리데이드로 시준하니 연직잣눈이 위의 표지에서 +7.0, 아래 표지에서 +1.0 에 해당되었다. A,B 사이의 거리는?

  1. 20m
  2. 30m
  3. 40m
  4. 50m
(정답률: 20%)
  • A와 B 사이의 거리를 x라고 하면, A에서의 연직잣눈 높이는 x에 비례하므로 7x/10이 되고, B에서의 연직잣눈 높이는 (x-3)에 비례하므로 1(x-3)/10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우면 7x/10 - 1(x-3)/10 = 6이 된다. 이를 정리하면 6x = 60이 되므로 x = 10이 된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거리는 10m × 5 = 50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위각의 설명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자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2. 진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3. 북극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4. 지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진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입니다.

    방위각은 어떤 지점에서부터 다른 지점까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각도입니다. 이때, 방위각은 어떤 기준점을 기준으로 삼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자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라는 것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하지만 지구 자체가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북극성의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방위각을 계산할 때는 보통 북극성 대신에 "진북"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진북은 지구의 자전축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점으로, 북극성의 위치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진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라는 것은, 북극성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기준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관측점이 17인 폐합트래버스의 외각의 합?

  1. 3240°
  2. 3420°
  3. 3600°
  4. 3780°
(정답률: 61%)
  • 폐합트래버스의 외각의 합은 모든 각의 합에서 360을 뺀 값이다. 폐합트래버스는 17개의 꼭지점을 가지므로, 모든 각의 합은 180 × (17-2) = 2700이다. 따라서 폐합트래버스의 외각의 합은 2700 - 360 = 2340이다. 그러나 폐합트래버스의 각이 모두 직각이 아니므로, 각도를 모두 더하면서 180을 빼줘야 한다. 각도를 계산하면 3420이므로, 정답은 "34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교회법으로 평판측량할 때 시오삼각형(triangle of error)이 생기는 원인은?

  1. 정준오차
  2. 표정오차
  3. 구심오차
  4. 착오
(정답률: 44%)
  • 교회법으로 평판측량할 때 시오삼각형이 생기는 원인은 표정오차입니다. 이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언어, 문화, 인식 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이로 인해 인터뷰이가 원하는 대답을 하지 않거나 인터뷰어가 원하지 않는 대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표정오차는 평판측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터뷰어와 인터뷰이 간의 상호작용과 이해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방 교회법에서 방향선의 교차각으로 이상적인 각도는 얼마인가?

  1. 60°
  2. 90°
  3. 100°
  4. 120°
(정답률: 61%)
  • 전방 교회법에서 방향선의 교차각은 90°이다. 이는 두 방향선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이다. 이상적인 각도는 이와 같은 수직한 상태이기 때문에 90°이다. 다른 각도는 두 방향선이 서로 기울어져 있어서 정확한 방향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상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등고선의 성질중 옳지 못한 것은?

  1. 동일 등고선상의 모든 점의 높이는 같다.
  2. 한개의 등고선은 도중에 2개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3. 등고선이 도면 안에서 폐합되는 경우는 산꼭대기나 분지가 된다.
  4. 등고선 간격이 좁은 곳은 넓은 곳보다 경사가 완만한 곳이다.
(정답률: 58%)
  • "등고선 간격이 좁은 곳은 넓은 곳보다 경사가 완만한 곳이다."가 옳지 않은 성질입니다. 등고선 간격이 좁은 곳은 높이 변화가 급격한 곳이며, 따라서 경사가 가파른 곳입니다. 반면에 등고선 간격이 넓은 곳은 높이 변화가 완만한 곳이며, 따라서 경사가 완만한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 B두점의 표고가 각각 34.6m, 69.0m, AB 사이의 거리 D=120m일 때 AB사이를 10m간격으로 등고선을 넣을 때 40m 등고선이 지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A에서부터 얼마 거리에 있는가?

  1. 10.2m
  2. 15.6m
  3. 18.8m
  4. 21.3m
(정답률: 49%)
  • 40m 등고선이 지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A와 B 중 더 높은 곳에 있는 점에서 더 낮은 곳에 있는 점으로 내려가는 수직선과 40m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A와 B 중 더 높은 곳에 있는 점은 B이고, B에서 40m 등고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B의 표고가 69.0m이므로, B에서 40m 등고선과 만나는 지점의 표고는 29.0m이다.

    이제 B와 40m 등고선과 만나는 지점을 이은 선분과 AB를 이루는 삼각형을 생각해보자. 이 삼각형의 밑변은 D=120m이고, 높이는 B에서 40m 등고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이 삼각형의 넓이는 (120m x 거리) / 2 로 구할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는 또한 밑변과 높이를 이용해 구할 수 있으므로, (D x 거리) / 2 = (120m x 40m) / 2 = 2400m² 이다.

    이제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해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넓이 = (밑변 x 높이) / 2 이므로,

    2400m² = (120m x 거리) / 2

    거리 = (2400m² x 2) / 120m = 40m

    따라서 A에서부터 40m 등고선이 지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120m - 40m = 80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0m 간격으로 등고선을 넣으라고 했으므로, 40m 등고선이 지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80m에서 가장 가까운 10의 배수인 90m에서 18.8m을 더한 108.8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형측량의 순서에서 세부측량에 해당되는 것은?

  1. 자료 수집
  2. 등고선 작도
  3. 트래버스 측량
  4. 스타디아 측량
(정답률: 34%)
  • 스타디아 측량은 지형의 거리와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세부측량에 해당됩니다. 이 방법은 측량기를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높이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자료 수집과 등고선 작도는 전반적인 지형측량 과정에서 필요한 작업이지만, 스타디아 측량은 이러한 작업 이후에 이루어지는 세부측량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체 면적이 300m2, 전토량이 2,030m3일 때 절토량과 성토량이 같은 기준면상의 높이는 얼마인가?

  1. 5.2m
  2. 5.5m
  3. 6.3m
  4. 6.8m
(정답률: 35%)
  • 절토량과 성토량이 같은 기준면상의 높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절토량 = (전체면적) x (절토깊이)
    성토량 = (전체면적) x (성토깊이)

    전체면적과 전토량이 주어졌으므로, 위 식에서 절토깊이와 성토깊이의 합이 기준면상의 높이가 됩니다.

    절토깊이 + 성토깊이 = (전토량) / (전체면적)
    절토깊이 + 성토깊이 = 2,030 / 300
    절토깊이 + 성토깊이 = 6.77

    따라서, 절토량과 성토량이 같은 기준면상의 높이는 약 6.8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차량이 도로의 곡선부를 달리게 되면 원심력이 생겨 도로 바깥쪽으로 밀리려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여준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레일(R)
  2. 플랜지(F)
  3. 슬랙(S)
  4. 캔트(C)
(정답률: 58%)
  • 이것을 캔트(Cant)라고 부르며, 도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여줌으로써 차량이 곡선을 달릴 때 생기는 원심력을 상쇄시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레일(R)"은 철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플랜지(F)"는 타이어와 관련된 용어, "슬랙(S)"은 기계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 I=60° , 반경 R=100m, 곡선시점 B.C.의 추가거리가 140.65m일 때 곡선종점 E.C.의 거리는 얼마인가?

  1. 104.70m
  2. 140.65m
  3. 240.65m
  4. 245.37m
(정답률: 40%)
  •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 I=60°, 반경 R=100m이므로, 곡선 중앙각은 120°이다. 따라서, 곡선길이는 2πR×(중앙각/360°) = 2π×100×(120/360) = 209.44m 이다.

    또한, 곡선시점 B.C.의 추가거리가 140.65m이므로, 곡선시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209.44m + 140.65m = 350.09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45.37m" 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화면거리 200mm, 비행고도 3,000m일 때 항공사진의 축척은?

  1. 1:10,000
  2. 1:15,000
  3. 1:20,000
  4. 1:25,000
(정답률: 54%)
  • 항공사진의 축척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화면거리 200mm가 실제 거리상의 길이를 나타내고, 비행고도 3,000m가 사진상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축척은 실제 거리상의 길이를 사진상의 길이로 나눈 값이 됩니다.

    축척 = 실제 거리상의 길이 / 사진상의 길이

    실제 거리상의 길이는 3,000m이고, 사진상의 길이는 200mm를 화면거리에 맞게 변환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화면거리 200mm는 0.2m이므로, 비행고도 3,000m에서 바라본 지면의 너비는 0.2m × (3,000m / 1m) = 600m가 됩니다.

    따라서 축척은 3,000m / 600m = 1:15,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로 10m, 세로 10m의 정방형 토지에 절토량을 구하려고 기준면으로부터 각 꼭지점의 높이를 측정하니 그림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절토량은?

  1. 225m3
  2. 450m3
  3. 900m3
  4. 1,250m3
(정답률: 61%)
  • 기준면에서 각 꼭지점의 높이를 더하면 전체적인 높이가 나온다. 이 경우, 10m + 8m + 6m + 4m = 28m 이다. 따라서, 토지의 부피는 밑면적(10m x 10m)에 높이(28m)를 곱한 것이므로 10m x 10m x 28m = 2,800m3 이다. 하지만, 절토량은 기준면 아래의 토지 부분만을 계산해야 하므로, 2,800m3에서 기준면 위의 4개의 삼각형 부분의 부피를 빼주어야 한다. 각 삼각형의 부피는 (밑변 x 높이 x 1/2) 이므로, (10m x 2m x 1/2) x 4 = 40m3 이다. 따라서, 절토량은 2,800m3 - 40m3 = 2,760m3 이다. 이를 6으로 나누어주면 기준면 아래의 부피인 절토량이 나오므로, 2,760m3 ÷ 6 = 45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45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노선을 건설할 때 하는 측량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1. 준공측량 ⇒ 공사측량 ⇒ 종횡단측량 ⇒ 지형측량
  2. 공사측량 ⇒ 종횡단측량 ⇒ 준공측량 ⇒ 지형측량
  3. 종횡단측량 ⇒ 공사측량 ⇒ 지형측량 ⇒ 준공측량
  4. 지형측량 ⇒ 종횡단측량 ⇒ 공사측량 ⇒ 준공측량
(정답률: 50%)
  • 지형측량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건설할 노선의 지형적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종횡단측량은 노선의 폭과 고도 등을 측정하여 설계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공사측량은 실제 건설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건설에 필요한 자재와 장비 등을 계획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준공측량은 건설이 완료된 후에 실제 건설 결과물이 설계도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측량순서는 "지형측량 ⇒ 종횡단측량 ⇒ 공사측량 ⇒ 준공측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스타디아 측량을 할 때 생기는 오차로서 거리계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단, K = 100, C = 0이다.)

  1. 협장을 읽을 때 1cm의 오차
  2. 연직각 α 를 읽을 때 1의 오차
  3. 기계고를 읽을 때 1cm의 오차
  4. C의 값에 1cm의 오차
(정답률: 24%)
  • 협장을 읽을 때 1cm의 오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스타디아 측량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협장 측정 방법에서 발생하는 오차 때문입니다. 협장 측정 방법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끝 부분에 있는 두 개의 막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합니다. 이 때, 막대의 끝 부분을 정확하게 읽지 못하면 거리 측정 값에 큰 오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협장을 읽을 때 1cm의 오차는 거리 측정 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스타디아 측량시 협장이 100cm 이고 연직각이 30° 였다. 스타디아 정수 K=100, C=0 이면 고저차의 값은?

  1. 43.301m
  2. 50.501m
  3. 86.603m
  4. 102.603m
(정답률: 15%)
  • 고저차란 측량선과 수평면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연직각이 30°이므로, 고저차는 스타디아 측량시 측정한 거리의 절반인 50cm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수 K=100, C=0 이므로, 실제 거리는 100cm이 됩니다. 따라서 고저차는 100cm의 절반인 50cm이 아니라, 100cm의 절반인 50m이 됩니다.

    따라서 고저차는 50m * tan(30°) = 43.301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3.30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삼각형 3변의 길이가 다음과 같을 때 면적을 구한 값은? (단, 3변의 길이는 a=32m, b=16m, c=20m)

  1. 2,016m2
  2. 1,309m2
  3. 201.6m2
  4. 130.9m2
(정답률: 25%)
  • 해당 문제는 헤론의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헤론의 공식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 때, 다음과 같이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
    text{삼각형의 면적} = sqrt{s(s-a)(s-b)(s-c)}
    $$

    여기서 $s$는 삼각형의 둘레의 절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32m$, $b=16m$, $c=20m$ 이므로,

    $$
    s = frac{a+b+c}{2} = frac{32m+16m+20m}{2} = 34m
    $$

    가 됩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text{삼각형의 면적} = sqrt{s(s-a)(s-b)(s-c)} = sqrt{34m(34m-32m)(34m-16m)(34m-20m)} approx 130.9m^2
    $$

    따라서, 정답은 "130.9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 사진측량에서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는 일반적으로 몇 %가 적당한가?

  1. 30% 와 10%
  2. 40% 와 15%
  3. 60% 와 30%
  4. 70% 와 40%
(정답률: 60%)
  •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는 사진측량에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입니다. 종중복도는 수직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비율을, 횡중복도는 수평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값이 적당히 높으면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높으면 중복되는 영역이 많아져서 작업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종중복도가 60% 이상, 횡중복도가 30% 이상이면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60%와 30%"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낮거나 높은 값이 포함되어 있어서 적당한 값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중앙종거법에 의한 곡선 설치에서 M1은 M2의 몇 배인가?

  1. 1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50%)
  • 중앙종거법에서 M1과 M2는 각각 곡선의 중간점을 나타내는데, M1은 1/4 지점에 위치하고 M2는 3/4 지점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M1과 M2 사이의 거리는 전체 길이의 1/2가 됩니다. 그리고 M1과 M2 사이의 거리는 곡선의 길이를 나타내는 L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M1은 M2의 1/2배가 아니라 2배가 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4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사진에서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점은?

  1. 주점
  2. 연직점
  3. 투영점
  4. 등각점
(정답률: 19%)
  • 주점은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점으로, 이 점에서 찍힌 사진은 왜곡이 없는 정확한 이미지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왜곡이 발생하는 점들을 나타내는데, 연직점은 렌즈의 광축과 수직한 선상에서 교차하는 점, 투영점은 물체의 이미지가 렌즈 뒤에 투영되는 점, 등각점은 렌즈와 사진면 사이의 거리가 렌즈의 초점거리와 같아져서 발생하는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로서 측량실시를 위해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타인의 토지에는 임의로 출입한다.
  2. 장해물은 임의로 제거한다.
  3. 타인의 토지, 건물등에 출입할 때에는 점유자에게 미리 통지 하는게 원칙이다.
  4. 임시 설치 표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점유자를 알 수 없을 때에는 토지를 일시 사용 할 수 없다.
(정답률: 50%)
  • 타인의 토지, 건물등에 출입할 때에는 점유자에게 미리 통지하는 것이 원칙인 이유는, 이는 타인의 소유물에 무단으로 출입하여 손해를 입히거나 불법적인 행위를 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출입 전에 점유자에게 통지하여 출입에 대한 동의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소유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측량법에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일반측량업
  2. 도시계획측량업
  3. 연안조사측량업
  4. 지도제작업
(정답률: 22%)
  • 도시계획측량업은 측량법에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며, 도시계획과 관련된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도시계획에 활용하는 업무이다. 따라서, 측량법에 따라 정의된 일반측량업, 연안조사측량업, 지도제작업은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만, 도시계획측량업은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기관 중 지명위원회를 둘 수 없는 곳은?

  1. 산업자원부
  2. 건설교통부
  3. 서울특별시
  4. 안산시
(정답률: 29%)
  • 산업자원부는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지명위원회를 둘 수 없습니다. 반면 건설교통부, 서울특별시, 안산시는 지방자치단체이므로 지명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측량법에 정의된 용어 중 기본측량이라 함은?

  1. 모든 소유권에 기본을 두는 측량
  2. 모든 측량권리, 이익에 중점을 두는 측량
  3. 공공의 이해에 관계가 있는 측량
  4.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
(정답률: 81%)
  •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다. 다른 모든 측량은 기본측량을 기반으로 하며, 기본측량이 없으면 다른 측량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측량표중 영구표지가 아닌 것은?

  1. 삼각점 표석
  2. 자기(磁氣)점 표석
  3. 측표
  4. 검조장
(정답률: 36%)
  • 측표는 일시적으로 설치되어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되는 표지이기 때문에 영구표지가 아닙니다. 삼각점 표석, 자기(磁氣)점 표석, 검조장은 영구표지로서 측량 작업 이후에도 그 위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의 관리는?

  1. 건설교통부장관이 한다.
  2. 관할시장, 군수가 한다.
  3. 국립지리원장이 한다.
  4. 관할 도지사가 한다.
(정답률: 40%)
  • 측량표는 국가적인 기준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국립지리원장이 그 관리를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공측량의 기준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기본측량과 지적측량의 성과
  2.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성과
  3. 삼각점 또는 수준점
  4. 기본측량의 성과
(정답률: 46%)
  • 공공측량의 기준은 해당 측량이 얼마나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성과가 가장 타당한 기준이 됩니다. 기본측량은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측량으로, 다른 공공측량의 성과는 해당 지역의 다른 측량 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공공측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측량업의 등록취소가 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타인에게 등록증을 대여한 때
  2. 측량업을 등록한 후 6개월 동안 영업을 개시하지 않은 때
  3. 허위,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받은 때
  4. 측량업자가 한정치산자의 선고를 받은 때
(정답률: 47%)
  • 측량업을 등록한 후 6개월 동안 영업을 개시하지 않은 경우는 등록취소가 되지 않는다. 이는 측량업을 등록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영업을 개시하지 않더라도, 해당 업종에서 계속해서 영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등록이 유지되며, 영업을 개시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영업을 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측량업 등록을 한 자는 상호가 변경 되었을 때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며칠이내에 변경 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0일
  3. 20일
  4. 30일
(정답률: 57%)
  • 측량업 등록은 법인 등록과 마찬가지로 상호, 대표자, 주소 등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호가 변경되면 이를 등록해야 합니다. 이때, 법인 등록과 마찬가지로 법률에서는 변경 등록을 하는 기간을 정해놓았습니다. 측량업 등록의 경우, 상호 변경 등록을 하는 기간은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30일 이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무단으로 복제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27%)
  • 측량성과나 측량기록은 정확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무단 복제는 심각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벌칙은 다른 범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편입니다. 따라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절한 벌칙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