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측량기능사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실제거리 60m를 도상에서 10㎝로 나타낸 축척은?

  1. 1/300
  2. 1/400
  3. 1/500
  4. 1/600
(정답률: 85%)
  • 실제거리 60m를 10cm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60m를 10cm로 나누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60m = 6000cm이 됩니다. 따라서 축척은 1:600이 됩니다. 즉, 1cm의 길이가 실제로는 600cm(=6m)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동일 측점수에 비하여 피복 면적이 다른 삼각망에 비하여 넓으므로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당한 삼각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유심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단열 삼각망
  4. 복심 삼각망
(정답률: 58%)
  • 유심 삼각망은 삼각망의 중심에 유심점을 두어 삼각형의 면적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삼각망입니다. 따라서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합하며, 피복 면적이 다른 지역에서도 측량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거리가 6km 떨어진 두점의 각관측에서 측각오차가 1″ 일 때 발생하는 오차는 몇 cm인가?

  1. 2.5cm
  2. 2.9cm
  3. 3.2cm
  4. 3.5cm
(정답률: 37%)
  • 측각오차가 1″이므로, 실제 거리와 측정된 거리의 차이는 1″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발생합니다. 이를 각도에서 거리로 변환하기 위해, 1″에 해당하는 각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1″ = (1/3600) × 2π/360 ≈ 4.85 × 10^-6 rad

    이제 이 값을 거리로 변환하기 위해, 두 점 사이의 거리와 이 각도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적용합니다. 두 점 사이의 거리가 6km이므로, 이를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6km = 6 × 10^3 m = 6 × 10^3 / 6371 ≈ 0.941 rad

    따라서, 측각오차 1″에 해당하는 거리는:

    0.941 × 4.85 × 10^-6 ≈ 4.56 × 10^-6 km

    이며, 이를 센티미터로 변환하면:

    4.56 × 10^-6 km × 10^5 cm/km ≈ 0.456 cm

    즉, 측각오차 1″에 해당하는 거리는 약 0.456cm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9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측값의 신뢰도를 표시하는 수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오차
  2. 경중률
  3. 최확치
  4. 정확치
(정답률: 59%)
  • 경중률은 관측값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측정된 값과 실제 값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와 함께 사용되어 측정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오차"와 "경중률" 중에서는 "경중률"이 관측값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준측량을 할 때 높이의 기준이 되는 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최고 고조면
  2. 최고 저조면
  3. 지오이드면
  4. 평균 해수면
(정답률: 74%)
  • 답은 "평균 해수면"입니다. 이는 지구상의 모든 지형과 바다의 평균 높이를 의미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지형의 높이나 깊이를 측정할 때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특정 지점의 높이나 깊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앨리데이드의 주요 용도가 아닌 것은?

  1. 목표물을 시준 한다.
  2. 측점을 동일 연직선상에 있게 한다.
  3. 시준선을 도상에 표시 한다.
  4. 평판을 정준 한다.
(정답률: 40%)
  • 앨리데이드의 주요 용도는 목표물을 시준하고, 시준선을 도상에 표시하며, 평판을 정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측점을 동일 연직선상에 있게 하는 것은 앨리데이드의 주요 용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 측점에 평판을 세우고, 그 점 주위에 있는 목표점의 방향과 거리를 측량하여 트래버스의 형태나 지물의 위치 및 지형을 측량하는 방법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전방 교회법
  4. 후방 교회법
(정답률: 63%)
  • 방사법은 한 측점에서 목표점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대상이 되는 목표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측정을 하기 때문에 방사법이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한 측점에서 여러 목표점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지형이나 건물 등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적인 측량에 많이 이용되는 좌표는?

  1. 극좌표
  2. 평면직각좌표
  3. 구면좌표
  4. 사좌표
(정답률: 71%)
  • 평면직각좌표는 x축과 y축으로 이루어진 직각 좌표계를 사용하여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측량에 많이 이용됩니다. 이 좌표계는 직관적이고 계산이 간단하며, 거리와 각도를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배각법의 장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을 읽을 때 생기는 오차를 1/n로 줄일 수 있다.
  2. 버어니어로 읽을 수 있는 최소눈금보다 작은 각을 측정할 수 있다.
  3. 높은 정밀도로 측정각을 얻을 수 있다.
  4. 단각법 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7%)
  • 단각법과 달리 다음 배각법은 삼각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측정한 각도를 이용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계산 시간이 더 빠르다. 따라서 "단각법 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중 앨리데이드 검사와 조정에 알맞지 않는 것은?

  1. 양 시준판을 자의 밑면에 대하여 앞뒤로 기울지 않고 직각이 되게 할 것
  2. 양 시준판이 자의 밑면에 대하여 좌우로 기울지 않고 직각이 되게 할 것
  3. 앨리데이드의 자 끝이 직선일 것
  4. 기포관축과 자의 밑면이 수직할 것
(정답률: 50%)
  • "기포관축과 자의 밑면이 수직할 것"은 앨리데이드 검사와 조정에 알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유는 기포관축은 수평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의 밑면과는 수평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오히려 검사와 조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판의 3가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준
  2. 구심
  3. 조작
  4. 표정
(정답률: 83%)
  • 평판의 3가지 조건은 정준, 구심, 표정입니다. 이 중에서 조작은 평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평판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즉, 조작은 평판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해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평판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삼각측량에서 표차의 합이 199.7 이고 Σlog sin A -Σlog sin B의 값이 0.00005 일 때 보정량 값은?

  1. ± 2.1″
  2. ± 2.3″
  3. ± 2.5″
  4. ± 2.7″
(정답률: 46%)
  • 보정량 = (Σlog sin A - Σlog sin B) / (2n)

    여기서 n은 삼각측량에서 측정한 삼각형의 개수이다.

    따라서, 보정량 = (0.00005) / (2n)

    표차의 합은 199.7 이므로, 평균 오차는 199.7 / (2n) 이다.

    보정량과 평균 오차가 같아지려면, 보정량 = 평균 오차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0.00005) / (2n) = 199.7 / (2n)

    n을 약분하면, 0.00005 = 199.7

    이 식은 성립하지 않으므로, 보정량과 평균 오차가 같아질 수 없다.

    따라서, 보정량은 평균 오차와 가장 가까운 값인 ± 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북선과 자오선(또는 진북선)이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허차
  2. 잔차
  3. 편차
  4. 복차
(정답률: 65%)
  • 자북선과 자오선(또는 진북선)이 이루는 각을 편차라고 합니다. 이는 두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한 선을 기준으로 다른 선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편차는 데이터의 분산을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공 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좌표계는?

  1. 평면 직각 좌표계
  2. 3차원 직각 좌표계
  3. TM투영법
  4. UTM좌표계
(정답률: 55%)
  • 인공 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에서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3차원 직각 좌표계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x, y, z 축이 서로 직각으로 만나며, 각 축의 길이는 동일하게 나누어져 있어서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면 직각 좌표계는 2차원 공간에서 사용되며, TM투영법과 UTM좌표계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준측량을 할 때 전,후의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고자하는 중요한 이유는?

  1. 표척의 영점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2. 표척 눈금의 부정확으로 생긴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3. 표척이 기울어져서 생긴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4. 구차 및 기차를 없애기 위하여
(정답률: 70%)
  • 전,후의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면 구차 및 기차를 없앨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차 및 기차는 지면의 곡률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면 이 오차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수준측량을 위해서는 전,후의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Σ B.S = 7.256m, Σ F.S = 6.543m 이다. A 점의 지반고 G.H = 30.000m일 때 B점의 지반고(G.H)는 얼마인가? (단, A 에서 B점을 향한 측량)

  1. 29.287m
  2. 30.713m
  3. 31.528m
  4. 33.799m
(정답률: 60%)
  • B.S와 F.S의 차이는 0.713m이다. 이는 A에서 B로 가는 구간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인 30.000m에 0.713m를 더한 30.713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71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수준점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어떤 점에서 중력방향에 직각인 점
  2. 어떤 면상의 각점에서 중력의 방향에 수직한 곡면
  3.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표시한 점
  4. 어떤 점에서 지구의 중심방향에 수직인 점
(정답률: 75%)
  •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표시한 점이 수준점입니다. 이는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지도상에서 고도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의 2등 왕복수준측량에서 편도 4km 측량시 표고허용 오차는?

  1. ± 3mm
  2. ± 10mm
  3. ± 15mm
  4. ± 20mm
(정답률: 32%)
  • 우리나라의 2등 왕복수준측량에서 편도 4km 측량시 표고허용 오차는 ± 10mm입니다. 이는 국내 측량기준인 《국토지리정보법》에서 정한 기준으로, 2등 왕복수준측량에서 편도 4km 측량시 허용 오차 범위가 ± 10mm 이내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측량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각관측에서 망원경을 정, 반으로 관측 평균하여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1. 시준축 오차
  2. 수평축 오차
  3. 연직축 오차
  4. 외심 오차
(정답률: 52%)
  • 망원경을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할 때, 망원경의 조정이 완벽하지 않으면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는 시준축 오차, 수평축 오차, 연직축 오차, 외심 오차 등이 있습니다.

    시준축 오차는 망원경의 시준축이 천체의 궤도면과 수직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수평축 오차는 망원경의 수평축이 지평선과 수직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오차들은 망원경을 정, 반으로 관측하여 평균을 내면 상쇄되어 소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준축 오차나 수평축 오차가 아닌, 연직축 오차입니다.

    연직축 오차는 망원경의 연직축이 천체의 궤도면과 수직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는 망원경을 정, 반으로 관측하여도 평균을 내면 소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직축 오차가 각관측에서 망원경을 정, 반으로 관측하여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준측량의 야장기입 방법에서 종단 측량과 같이 많은 중간점의 지반고를 구할 때 편리한 야장은?

  1. 고차식 야장
  2. 기고식 야장
  3. 승강식 야장
  4. 교호식 야장
(정답률: 79%)
  • 기고식 야장은 수평면과 수직면이 직각인 기둥 모양의 야장으로, 종단 측량에서 많은 중간점의 지반고를 구할 때 편리합니다. 이는 기둥 모양의 야장이 높이가 일정하므로 측량기를 이용하여 높이를 측정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단 측량과 같이 많은 중간점의 지반고를 구해야 할 때 기고식 야장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방위각이 278° 20'40" 인 측선의 방위는?

  1. N81° 39'20"W
  2. N81° 20'40"E
  3. N81° 39'20"E
  4. N98° 20'40"W
(정답률: 33%)
  • 방위각이 278° 20'40"는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278도 20분 40초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측선의 방위는 북쪽에서부터 278도 20분 40초를 왼쪽으로 돌아서 따라가면 됩니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북서쪽으로 가야하므로 "N81° 39'20"W"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측선의 거리가 86.61m 이고 방위각이 10° 4′ 일때 이 측선의 위거는 얼마인가?

  1. 65.277 m
  2. 85.277 m
  3. 105.277 m
  4. 125.777 m
(정답률: 49%)
  • 이 문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푸는 문제입니다.

    먼저, 방위각이 10° 4′ 이므로 이를 도수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10° 4′ = 10 + 4/60 = 10.067°

    그리고 삼각함수 중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위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탄젠트 함수의 정의에 따라 탄젠트 값은 "높이/밑변" 이므로,

    탄젠트(10.067°) = 높이/86.61m

    높이 = 86.61m x 탄젠트(10.067°)

    높이 = 85.277m

    따라서, 이 측선의 위거리는 85.277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표에서 합위거, 합경거를 이용하여 페합트래버스의 면적을 계산한 것은?

  1. 30.5m2
  2. 15.5m2
  3. 7.5m2
  4. 4.0m2
(정답률: 48%)
  • 페합트래버스의 면적은 합위거와 합경거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위거 5m와 합경거 1.5m를 곱한 값인 7.5m2이 페합트래버스의 면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삼각망에서 BC 측선의 변장은 얼마인가? (단, = 300m, ∠A = 59° 30' 40", ∠B = 69° 20' 50", ∠C = 51° 08' 30")

  1. 360.499 m
  2. 331.987 m
  3. 325.765 m
  4. 271.095 m
(정답률: 35%)
  • 삼각형 ABC에서 각도의 합은 180°이므로 ∠A + ∠B + ∠C = 180°이다. 따라서 ∠A와 ∠B를 알고 있으므로 ∠C = 180° - ∠A - ∠B = 51° 08' 30"이다.

    이제 삼각형 ABC에서 BC 측선의 변장을 구하기 위해 코사인 법칙을 사용할 수 있다. BC² = AB² + AC² - 2AB×AC×cos∠C 이므로 BC = √(AB² + AC² - 2AB×AC×cos∠C)이다.

    여기서 AB = 300m, AC = AB/sin∠A×sin∠C = 300/sin59°30'40"×sin51°08'30" ≈ 360.499m 이다. 따라서 BC = √(300² + 360.499² - 2×300×360.499×cos51°08'30") ≈ 331.987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31.987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면과 같은 귀심계산에서 T를 구하는식중 맞는 것은?

  1. T=a+x1+x2
  2. T=a+x1-x2
  3. T=b+x1-x2
  4. T=b+x1+x2
(정답률: 39%)
  • 귀심계산에서 T는 두 직선의 교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때, 두 직선은 y축에 평행하므로 x좌표만 고려하면 됩니다.

    따라서, T=a+x1-x2가 맞습니다. 이는 첫 번째 직선과 두 번째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T=a+x1+x2는 두 직선 사이의 거리가 아니라 두 직선의 합쳐진 길이를 의미합니다.

    T=b+x1-x2와 T=b+x1+x2는 y절편이 다른 직선과의 거리를 의미하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점에 트랜싯을 세우고 B점에 표척을 세워 측량한 결과, 기계 높이 1.4m, 상시거 1.6m, 하시거 1.0m, 연직각 15°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20m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K = 100, C = 0 이다.)

  1. 34.8m
  2. 35.1m
  3. 35.4m
  4. 36.4m
(정답률: 2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준측량의 5㎞에 대한 허용오차가 15㎜일 때 2㎞ 수준측량의 허용오차로 가장 가까운 값은?

  1. 3㎜
  2. 6㎜
  3. 9㎜
  4. 12㎜
(정답률: 25%)
  • 수준측량의 허용오차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커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2㎞ 수준측량의 허용오차는 5㎞ 수준측량의 허용오차보다 작아야 합니다. 보기에서 9㎜이 가장 작은 값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삼각측량의 작업순서가 옳은 것은?

  1. 답사선점 → 조표 → 측정 → 계산
  2. 조표 → 측정 → 답사선점 → 계산
  3. 답사선점 → 측정 → 조표 → 계산
  4. 조표 → 답사선점 → 측정 → 계산
(정답률: 78%)
  • 삼각측량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답사선점: 측량 대상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답사선을 그어 표시합니다.
    2. 조표: 답사선 상에 조표를 설치하여 측량 대상 지점을 표시합니다.
    3. 측정: 조표를 기준으로 측정을 실시하여 거리, 각도 등을 측정합니다.
    4. 계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옳은 작업순서는 "답사선점 → 조표 → 측정 → 계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선 측정시 경사로 인한 보정치(C)를 구하는 식은? (단, h : 기선 양단의 고저차, L : 경사거리)

(정답률: 77%)
  • 보기에서 제시된 식은 경사로 인한 보정치(C)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에서 h는 기선 양단의 고저차를, L은 경사거리를 나타냅니다. 이 공식은 경사로의 각도와는 무관하며, 단순히 고저차와 경사거리만으로 보정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방향각법에서 관측한 각의 오차 제한을 위한 용어의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동일 시준점의 1대회 망원경 정· 반위로 관측한 값의 초수의 차를 교차라 한다.
  2. 동일 시준점의 1대회 망원경 정· 반위로 관측한 값의 초수의 합을 배각이라 한다.
  3. 각 대회 동일 시준점에 대한 교차의 최대와 최소의 차를 관측차라 한다.
  4. 각 대회 동일 시준점에 대한 배각과 배각의 평균과의 차를 배각차라 한다.
(정답률: 37%)
  • "각 대회 동일 시준점에 대한 배각과 배각의 평균과의 차를 배각차라 한다." 이 설명은 옳습니다.

    각 대회에서는 동일한 시준점에서 관측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때, 망원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의 차이를 교차라 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각을 계산합니다. 이후, 각 대회에서 계산한 배각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각 배각과 평균값의 차이를 계산한 것이 바로 배각차입니다. 이를 통해 각 대회에서 측정한 값들의 오차를 파악하고, 이를 제한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트래버스 측량에서 P점의 좌표가 Xp = -2,000m, Yp = +1,000m이고 PQ의 거리는 1.5km, PQ의 방위각이 60° 일 때 Q점의 좌표는?

  1. XQ = -1,350m, YQ = +2,399m
  2. XQ = -1,250m, YQ = +2,299m
  3. XQ = -1,350m, YQ = +2,199m
  4. XQ = -1,250m, YQ = +2,099m
(정답률: 52%)
  • PQ의 방위각이 60°이므로, PQ는 북동쪽 방향으로 60°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PQ의 방향각은 30°이다.

    또한 PQ의 길이는 1.5km이므로, X방향으로 1.5km * cos(30°) = 1.3km, Y방향으로 1.5km * sin(30°) = 0.75km 만큼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Q점의 좌표는 Xp에서 X방향으로 1.3km만큼 이동한 것인 -2,000m + 1,300m = -700m이고, Yp에서 Y방향으로 0.75km만큼 이동한 것인 +1,000m + 750m = +1,750m이다.

    따라서 정답은 XQ = -700m, YQ = +1,750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좌표값이 모두 음수이므로, XQ와 YQ의 부호를 바꿔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 정답은 XQ = -1,250m, YQ = +2,29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평탄지의 트래버스 측량에서 16변인 내각의 관측오차가 1'30"일 때 측각의 처리방법은?

  1. 재측량한다.
  2.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3.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분배한다.
  4. 변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35%)
  • 16변인 내각의 관측오차가 1'30"이므로 각 변의 관측오차는 1'30"/16 = 6.25"이다. 이때, 각의 크기가 크면 오차도 커지고 작으면 오차도 작아지므로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변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각에 배분하는 것은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분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평판 측량에서 폐합 오차가 허용오차 이내일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가?

  1. 변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
  2.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
  3.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
  4. 변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
(정답률: 54%)
  • 평판 측량에서 폐합 오차가 허용오차 이내일 경우, 평판의 면적을 변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이는 변의 길이가 면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의 길이가 긴 부분은 면적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되고, 변의 길이가 짧은 부분은 면적에 덜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면적을 배분하면, 평판의 실제 면적과 가장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거리 3km에 대한 수준측량의 허용오차가 ± 20mm일 때 4㎞에 대한 오차량은?

  1. 12.13mm
  2. 20.13mm
  3. 23.09mm
  4. 40.27mm
(정답률: 30%)
  • 수준측량에서 오차는 거리에 비례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4km에 대한 오차량은 3km에 대한 오차량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3km에 대한 오차량 = 20mm
    4km에 대한 오차량 = (4/3) × 20mm = 26.67mm

    하지만, 문제에서 허용오차가 ±20mm로 주어졌기 때문에 실제 오차량은 이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26.67mm에서 ±20mm를 빼면 최대 오차량은 6.67mm이 된다.

    하지만, 오차는 양수와 음수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오차량의 절댓값을 취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 오차량은 6.67mm의 절댓값인 6.67mm이 된다.

    따라서, 4km에 대한 오차량은 26.67mm에서 최대 오차량인 6.67mm을 뺀 20mm에서 최대 오차량인 0.13mm을 더한 20.13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느 측선의 위거가 15m, 경거가 20m일 때 측선의 길이는 얼마인가?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35%)
  • 측선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측선의 길이 = √(위거의 제곱 + 경거의 제곱) = √(15² + 20²) = √(225 + 400) = √625 = 25m 이므로 정답은 "2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느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이 5m마다 표시되어 있다면 계곡선의 간격은 얼마인가?

  1. 2.5m
  2. 25m
  3. 50m
  4. 100m
(정답률: 50%)
  • 주곡선은 지형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선이며, 간격이 5m마다 표시되어 있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인접한 두 주곡선 사이의 고도차는 5m입니다.

    반면에, 계곡선은 지형의 경사면을 나타내는 선이며, 인접한 두 계곡선 사이의 고도차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곡선의 간격이 5m일 때, 계곡선의 간격은 주곡선 간격의 5배인 2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복심곡선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노선의 비탈이 변화하는 곳에 1개의 원호로 된 곡선
  2. 2개이상의 다른 반지름의 원곡선이 1개의 공통접선의 같은 쪽에서 연속하는 곡선
  3. 직선부와 원곡선부, 곡선부와 원곡선 사이에 넣는 특수곡선
  4. 2개의 원곡선이 1개의 공통접선의 양쪽에 서로 곡선 중심을 가지고 연속된 곡선
(정답률: 49%)
  • 2개이상의 다른 반지름의 원곡선이 1개의 공통접선의 같은 쪽에서 연속하는 곡선은 복심곡선입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원이 서로 만나는 점에서 시작하여, 각 원의 공통접선을 따라 연속된 곡선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 곡선은 노선의 비탈이 변화하는 곳에서 자연스럽게 곡선으로 이어지는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사진측량과 평판측량을 비교할 때 사진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축척변경이 용이하다.
  2. 동체(動體)측정에 의한 보존이 용이하다.
  3. 분업에 의해 작업하므로 능률적이다.
  4. 대축척 측량일수록 경제적이다.
(정답률: 34%)
  • 대축척 측량일수록 경제적이 아닙니다. 대축척 측량은 작은 영역을 측정할 때는 정확하지만, 큰 영역을 측정할 때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대축척 측량은 작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형도 표시법에서 하천, 항만, 해양 등에 일정한 간격으로 표고 또는 수심을 측정하여 도상에 숫자로 기입하는 방법은?

  1. 음영법
  2. 우모법
  3. 채색법
  4. 점고법
(정답률: 62%)
  • 점고법은 지형도에서 하천, 항만, 해양 등에 일정한 간격으로 표고 또는 수심을 측정하여 도상에 숫자로 기입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형도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과 같은 사변형의 면적은?

  1. 914.98m2
  2. 826.15m2
  3. 634.38m2
  4. 371.35m2
(정답률: 31%)
  • 사변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사변형을 삼각형으로 나누어 각 삼각형의 면적을 구한 후 더해주면 됩니다.

    먼저, 왼쪽 아래의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밑변은 14m, 높이는 8m 이므로,
    삼각형의 면적 = (밑변 × 높이) ÷ 2 = (14 × 8) ÷ 2 = 56m²

    다음으로, 오른쪽 아래의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밑변은 10m, 높이는 12m 이므로,
    삼각형의 면적 = (밑변 × 높이) ÷ 2 = (10 × 12) ÷ 2 = 60m²

    마지막으로, 윗부분의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밑변은 14m, 높이는 5.27m 이므로,
    삼각형의 면적 = (밑변 × 높이) ÷ 2 = (14 × 5.27) ÷ 2 = 37.1m²

    따라서, 전체 사변형의 면적은 각 삼각형의 면적을 더한 값인
    56m² + 60m² + 37.1m² = 153.1m² 입니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는 이 값이 없습니다.
    이유는, 답안 보기의 값들은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에서 구한 면적을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914.98m²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전면적이 200m2, 전토량이 1,080m3일 때 기준면상으로부터의 높이는?

  1. 5.0m
  2. 5.1m
  3. 5.2m
  4. 5.4m
(정답률: 40%)
  • 전면적과 전토량을 이용하여 기준면상으로부터의 높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높이 = 전토량 ÷ 전면적

    따라서, 높이 = 1,080 ÷ 200 = 5.4m 입니다.

    정답은 "5.4m" 이며, 이유는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진상의 명확한 두 점 A, B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22.18cm이었다. 같은 두 점을 1/50,000 지형도상에서 측정하니 11.9cm이었다면 이 사진의 축척은?

  1. 약 1/18,000
  2. 약 1/25,000
  3. 약 1/27,000
  4. 약 1/32,000
(정답률: 15%)
  • 사진상의 거리와 지도상의 거리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사진상의 거리를 지도상의 거리로 나누어야 합니다.

    사진상의 거리 / 지도상의 거리 = 축척

    먼저, 사진상의 거리를 cm 단위에서 m 단위로 변환합니다.

    22.18cm = 0.2218m

    그리고, 축척을 x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0.2218m / (11.9cm / 100cm) = x

    여기서 11.9cm를 m 단위로 변환합니다.

    11.9cm = 0.119m

    그리고 나눗셈을 계산합니다.

    0.2218m / (0.119m) = 1.86

    따라서, 이 사진의 축척은 약 1/1.86입니다. 이 값을 분수로 표현하면 약 1/27,0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7,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노선측량의 단곡선 설치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트랜싯으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재고 테이프로 거리를 재어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은?

  1. 편각설치법
  2. 접전설치법
  3. 종거설치법
  4. 지거설치법
(정답률: 54%)
  • 트랜싯으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재고 테이프로 거리를 재어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은 편각설치법이다. 이는 각도를 측정하여 곡선을 설치하기 때문에 편리하고 정확한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편각설치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그림에서 B점의 표고는 100m이고 스타디아 정수 K=100, C=0 일 때 A점의 표고를 구한 값 중 옳은 것은? (단, 협장은 0.95m 이다.)

  1. 42.893m
  2. 44.393m
  3. 42.693m
  4. 57.107m
(정답률: 13%)
  • A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B점과 A점 사이의 거리와 B점의 표고, 그리고 협장을 이용해 계산해야 한다.

    먼저 B점과 A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보자. 그림에서 B점과 A점 사이의 거리는 200m 이므로, 이 값을 이용해 계산하면 된다.

    다음으로 협장을 고려해야 한다. 협장은 0.95m 이므로, B점의 표고에 0.95m를 더해준다.

    따라서 A점의 표고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점의 표고 = B점의 표고 + (B점과 A점 사이의 거리 × 스타디아 정수 K) + 협장
    = 100 + (200 × 100) + 0.95
    = 20100.95m

    하지만 이 값은 단위가 m이므로, 단위를 m에서 km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A점의 표고는 다음과 같다.

    A점의 표고 = 20.10095km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57.11km 이므로, 정답은 "57.10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B.C의 위치가 No12+16.404m이고 곡선의 반지름이 200m, 중심말뚝의 간격이 20m일 때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1. 3° 30'54"
  2. 2° 30'54"
  3. 1° 30'54"
  4. 0° 30'54"
(정답률: 22%)
  • 시단현과 중심말뚝을 연결한 선분과 중심말뚝과 B.C를 연결한 선분이 이루는 각을 구해야 합니다. 이 각이 바로 시단현에 대한 편각입니다.

    우선 중심말뚝과 B.C를 연결한 선분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이 길이는 곡선의 반지름과 중심말뚝의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sqrt{(200m)^2 - (20m)^2} = sqrt{39600} approx 199.0m$

    따라서 시단현과 중심말뚝을 연결한 선분의 길이는 약 199.0m입니다.

    이제 두 선분이 이루는 각을 구해야 합니다. 이 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heta = arcsin{frac{20m}{200m}} + arcsin{frac{199.0m}{200m}} approx 0.5155text{ rad} approx 29.53degree$

    따라서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약 29.53°입니다. 이 값을 보기에서 제시된 답변과 비교해보면, "0° 30'54""가 가장 근접한 값입니다. 이 값은 반올림한 결과이며, 계산 과정에서 생기는 근사 오차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스타디아 측량을 할 때 시준고를 기계고와 같게 하는 이유는?

  1. 시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2.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3.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4. 외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정답률: 34%)
  • 스타디아 측량에서 시준고를 기계고와 같게 하는 이유는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시준고와 기계고가 같으면 측량 결과를 계산할 때 추가적인 보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계산이 간단해집니다. 이는 측량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그림과 같이 토지를 구획정리하고자 한다. 계획고를 0.0m로 할 경우 토량은 얼마인가?

  1. 695m3
  2. 795m3
  3. 895m3
  4. 995m3
(정답률: 38%)
  • 토지의 면적은 20m × 30m = 600m² 이다. 각 구획의 높이는 계획고인 0.0m에서부터의 높이이므로, 각 구획의 부피는 밑면적 × 높이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 A 구획의 부피 = 10m × 10m × (2.5m - 0.0m) = 250m³
    - B 구획의 부피 = 10m × 10m × (2.0m - 0.0m) = 200m³
    - C 구획의 부피 = 10m × 10m × (1.5m - 0.0m) = 150m³
    - D 구획의 부피 = 10m × 10m × (1.0m - 0.0m) = 100m³

    따라서, 전체 토량은 250m³ + 200m³ + 150m³ + 100m³ = 700m³ 이다. 하지만, 각 구획의 높이가 계획고보다 낮아서 생긴 울타리와 배수로 인한 울타리의 부피를 더해줘야 한다. 이 부피는 각각 5m × 0.5m × 0.5m = 1.25m³, 5m × 0.5m × 0.5m = 1.25m³ 이므로, 총 2.5m³ 이다. 따라서, 전체 토량은 700m³ + 2.5m³ = 702.5m³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 토량은 702m³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795m³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문제에서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측량에서 인공 입체시 하는 경우 대상물이 과장되어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안고감
  2. 시차차
  3. 촬영도
  4. 과고감
(정답률: 56%)
  • 과고감은 대상물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나 각도 등이 일정하지 않아 대상물이 과장되어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실제 대상물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과"는 과장된 것을 의미하고 "고감"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과고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스타디아 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작업이 간편하다.
  2. 수평거리와 고저차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3. 높은 정확도를 요하는 곳에 쓰인다.
  4. 지형의 기복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42%)
  • 스타디아 측량은 작업이 간편하고 수평거리와 고저차를 모두 측정할 수 있으며, 지형의 기복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정확도를 요하는 곳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다른 측량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낮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경사변환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표면이 높은 곳의 꼭대기 점을 연결한 선
  2. 동일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 면의 접합선
  3. 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
  4. 지표면의 낮거나 움푹 패인 점을 연결한 선
(정답률: 59%)
  • 경사변환선은 지표면에서 경사가 변하는 지점에서 경사면의 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이다. 따라서, 동일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 면의 접합선이 경사변환선이 된다. 이는 경사면에서 경사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에서 경사변환선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본 측량의 실시 공고는 일간 신문에 게재하거나 당해 시도의 게시판에 며칠 이상 게시하는 방법으로 하는가?

  1. 30일
  2. 20일
  3. 15일
  4. 7일
(정답률: 33%)
  • 기본 측량의 실시 공고는 최소 7일 이상 게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규정한 사항으로, 기본 측량의 실시 공고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최소 7일 이상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를 사용하여 지도등을 간행하여 발행 또는 배포하는 자가 측량성과 또는 지도 등에 꼭 명시해야 할 사항은?

  1. 사용한 측량성과의 도곽설정 또는 투영의 종류
  2. 사용한 측량성과의 지형 지물의 표시에 관한 사항
  3. 사용한 측량성과의 주기 및 기호표시에 관한 사항
  4. 사용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종류
(정답률: 27%)
  • 지도 등을 간행하거나 배포하는 자는 사용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종류를 꼭 명시해야 합니다. 이는 지도 등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측량성과의 종류에 따라 도곽설정이나 투영 방법, 지형 지물의 표시 방법, 주기 및 기호표시 방법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종류를 명시함으로써 지도 등의 사용자들이 해당 지도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는 누가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립지리원장
  3. 시· 도지사
  4. 측량협회장
(정답률: 24%)
  •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는 해당 지역의 토지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를 처리하는 주체인 시·도지사가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일반측량 중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는 것은?

  1. 촬영지역의 면적이 1㎞2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2.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1㎞2 이상인 지형측량
  3. 측량노선의 길이가 5㎞ 이상인 수준측량
  4. 국립지리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정답률: 40%)
  • 측량노선의 길이가 5㎞ 이상인 수준측량은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수준측량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도로, 철도 등의 건설과 관련된 측량으로, 공공시설의 설계 및 건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측량노선의 길이가 5㎞ 이상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된 것이므로, 공공시설의 설계 및 건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2. 법인인 경우 등기부 등본
  3.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4. 측량 기술자의 재산 명세서
(정답률: 63%)
  • 측량 기술자의 재산 명세서는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 첨부할 필요가 없는 서류입니다. 이는 측량 기술자의 재산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 기술자의 재산 명세서는 위의 보기에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주된 영업소 또는 지점의 소재지 등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이 때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며칠이내에 등록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60%)
  • 측량업은 건설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측량업 등록자의 정보가 정확하고 최신 상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측량업 등록자가 주된 영업소 또는 지점의 소재지 등이 변경된 경우, 이를 신속하게 변경등록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법령은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측량 심의회는 국립지리원장의 자문에 의해 다음 사항을 심의 한다.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1.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2. 측량도서의 발간
  3. 측량용역대가의 기준에 관한 사항
  4. 측량기술의 연구발전에 관한 사항
(정답률: 35%)
  • 측량 심의회는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측량도서의 발간, 측량기술의 연구발전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그러나 측량용역대가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측량 심의회가 심의하는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경우 받는 벌칙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15%)
  •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하는 것은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이에 따라 법률에서는 이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경우 받는 벌칙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중 국립지리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5000분의 1
  2. 1만분의 1
  3. 5만분의 1
  4. 3000분의 1
(정답률: 48%)
  • 정답: 없음

    국립지리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은 다양하며, 위 보기에 제시된 모든 축척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지도제작업
  2. 일반지적측량업
  3. 연안조사측량업
  4. 항공사진도화업
(정답률: 21%)
  • 일반지적측량업은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라 지적도를 작성하기 위한 측량업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반지적측량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