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1-24)

측량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광파기를 이용하여 50m거리를 ±0.0001m의 오차로 관측하였다. 이와 동일한 조건으로 5km의 거리를 나누어 관측할 경우, 연속 관측값에 대한 오차는?

  1. ±0.001m
  2. ±0.007m
  3. ±0.0001m
  4. ±0.0007m
(정답률: 72%)
  • 50m 거리에서 ±0.0001m의 오차를 가진다는 것은, 실제 거리와 측정된 거리 사이의 최대 차이가 0.0001m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5km 거리에서는 이 오차가 누적되어, 50m 거리를 100번 측정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5km 거리에서 연속적으로 측정한 값들의 오차는 100배가 됩니다.

    즉, 5km 거리에서 연속적으로 측정한 값들의 오차는 ±0.010m 이 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실제 거리와 가장 차이가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의 차이는 최대 ±0.001m 이하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01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편심과측에서 요구되는 편심요소로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중심각, 표고
  2. 편심점, 중심각
  3. 편심거리, 표고
  4. 편심각, 편심거리
(정답률: 76%)
  • 편심은 물체나 도면의 중심축이 중심점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편심각은 중심각에서 편심이 발생한 각도를 의미하며, 편심거리는 중심점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편심각과 편심거리는 편심을 나타내는 두 가지 요소로 옳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평판 측량에서 측량 구역의 중앙부에 장애물이 많고 측량 지역이 좁고 긴 경우에 적합한 방법은?

  1. 방사법
  2. 대각선법
  3. 전진법
  4. 수선법
(정답률: 69%)
  • 중앙부에 장애물이 많고 측량 지역이 좁고 긴 경우에는 측량선을 최대한 짧게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측량선을 최대한 직선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전진법이 적합합니다. 전진법은 측량선을 최대한 직선으로 유지하면서 측량 구역을 이동하면서 측량하는 방법으로, 측량선을 최대한 짧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부에 장애물이 많고 측량 지역이 좁고 긴 경우에는 전진법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고식 야장에서 ㉮, ㉯의 값은 각각 얼마인가? (단, 수준점 A의 표고는 30,000m이다.)[단위:m]

  1. ㉮ 63.512, ㉯ 34.928
  2. ㉮ 63.512, ㉯ 36.166
  3. ㉮ 3.512, ㉯ 34.928
  4. ㉮ 3.512, ㉯ 36.166
(정답률: 70%)
  • 기고식 야장에서 ㉮의 값은 수준점 A의 표고에서 야장까지의 수직거리를 뜻하므로, 30,000m에서 26,487.5m을 뺀 값인 3,512.5m이 된다. 마찬가지로, ㉯의 값은 수준점 A에서 야장까지의 수평거리를 뜻하므로, 26,487.5m에서 9,558.6m을 뺀 값인 34,928.9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3.512, ㉯ 34.9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나의 측점에서 5개의 방향선이 구성되어 있을 때 조합각 관측법(각 관측법)으로 관측할 경우 관측하여야할 각의 수는?

  1. 7개
  2. 8개
  3. 9개
  4. 10개
(정답률: 66%)
  • 하나의 측점에서 5개의 방향선이 구성되어 있을 때, 조합각 관측법으로 관측할 경우, 각 방향선을 2개씩 묶어 각을 측정하면 된다. 이때, 5개의 방향선 중 2개씩 묶는 경우의 수는 5C2 = 10이므로, 측정해야 할 각의 수는 10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1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지오이드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평균 해수면으로 지구 전체를 덮었다고 생각하는 가상의 곡면
  2. 반지름을 6370km로 본 구면
  3.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본 표면
  4. GPS측량의 기준이 되는 면
(정답률: 80%)
  • 지오이드면은 지구의 중력장이 일정한 높이에 있는 물체들의 평균적인 높이를 연결한 곡면으로, 이 높이는 평균 해수면과 같다고 가정하여 만들어진 가상의 곡면입니다. 따라서 "평균 해수면으로 지구 전체를 덮었다고 생각하는 가상의 곡면"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에서 DE측선의 방위는 얼마인가?

  1. N 34°35'E
  2. N 26°10'W
  3. S 44°30'E
  4. N 49°00'E
(정답률: 43%)
  • DE측선은 북동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북쪽 방위(N)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그림에서 수평선과의 각도를 측정하여 방위를 구해야 하므로 도수법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북쪽 방위(N)를 가지고 있고, 도수법으로 표현한 값이 49°00'인 "N 49°00'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준측량을 할 때 전ㆍ후의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고자 하는 중요한 이유는?

  1. 표척의 영점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2. 표척 눈금의 부정확으로 생긴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3. 표척이 기울어져서 생긴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4. 구차 및 기차를 없애기 위하여
(정답률: 65%)
  • 수준측량에서 전ㆍ후의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는 이유는 구차 및 기차를 없애기 위해서입니다. 구차는 지면이 고르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이고, 기차는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러한 오차들은 시준거리가 다를 경우에 더욱 심해지므로, 전ㆍ후의 시준거리를 같게 취하여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오차의 종류 중 관측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차는?

  1. 착오
  2. 부정오차
  3. 우연오차
  4. 정오차
(정답률: 82%)
  • "착오"는 오차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착오"는 일반적으로 잘못된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나라 측량의 평면 직각 좌표계의 기본 원점중 동부 원점의 위치는?

  1. 125°E,38°N
  2. 129°E,38°N
  3. 38°E,125°N
  4. 138°E,129°N
(정답률: 76%)
  • 우리나라 측량의 평면 직각 좌표계의 기본 원점 중 동부 원점은 "129°E,38°N"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나라 측량의 평면 직각 좌표계는 "중부원점"과 "동부원점" 두 개의 기본 원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부원점은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부원점은 동해안의 울릉도 근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부원점의 위치는 "129°E,38°N" 입니다. 이는 동해안의 울릉도 근처에 위치한 것으로, 우리나라 측량의 평면 직각 좌표계에서 동부원점으로 설정된 이유는 울릉도가 대한민국의 동쪽 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방위각 247°20‘40“를 방위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N67°20'40"W
  2. S22°39'20"W
  3. S67°20'40"W
  4. N22°39'20"W
(정답률: 69%)
  • 방위각 247°20‘40“는 서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247도 20분 40초 만큼 떨어진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를 북쪽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각도로 바꾸면 360° - 247°20‘40“ = 112°39'20"가 됩니다. 이 각도는 남쪽에서부터 112도 39분 20초 만큼 떨어진 방향을 나타내므로, "S112°39'20"E"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위는 북쪽이나 서쪽에서부터 측정한 각도로 표시하기 때문에, "S112°39'20"E"를 "S67°20'40"W"로 바꿔서 표시합니다. 이는 남쪽에서부터 67도 20분 40초 만큼 떨어진 서쪽 방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67°20'4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삼각망에서 의 거리는 얼마인가?

  1. 257.115m
  2. 290.673m
  3. 314.358m
  4. 343.274m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 점간의 거리를 4회 관측한 결과 525.36m를 얻었고, 다시 2회 관측하여 525.63m를 얻었다. 이때 두 점 간의 거리에 대한 최확값은?

  1. 525.40m
  2. 525.45m
  3. 525.50m
  4. 525.55m
(정답률: 65%)
  •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은 실제 거리와 측정 거리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4회 관측과 2회 관측 결과가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측정 도구의 오차나 측정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최확값은 525.45m입니다. 이는 4회 관측 결과와 2회 관측 결과의 중간값으로 계산되었기 때문입니다. 4회 관측 결과가 더 작은 값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약간 더 큰 값을 선택한 것입니다. 따라서, 525.45m가 가장 합리적인 최확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각 오차30“와 같은 정밀도의 100m에 대한 거리 오차는?

  1. 0.0145m
  2. 0.0454m
  3. 0.1454m
  4. 0.2931m
(정답률: 4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평판 설치의 3요소에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평판이 수평이 아닐 때 방향 및 높이에 생기는 오차
  2. 거리를 측정하여 도상에 방향선을 그릴 때 생기는 오차
  3. 방향 맞추기가 불안전하여 생기는 오차
  4. 지상점과 도상점이 편위되어 생기는 오차
(정답률: 46%)
  • 거리를 측정하여 도상에 방향선을 그릴 때 생기는 오차는 평판 설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입니다. 평판 설치의 3요소는 모두 평판의 수평성과 관련된 요소들이며, 거리 측정과 방향선 그리기는 평판의 수평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거리를 측정하여 도상에 방향선을 그릴 때 생기는 오차"는 평판 설치의 3요소에 발생하는 오차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측량을 측량 구역의 넓이에 따라 분류할 떄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실시하는 측량은?

  1. 측지 측량
  2. 평면 측량
  3. 세부 측량
  4. 공공 측량
(정답률: 75%)
  • 지구는 공간상에서 곡면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측량 구역의 넓이를 측정할 때 지구의 곡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측량 방법이 바로 "측지 측량"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상에서 측량을 실시하는 방법이나, 세부적인 측정을 위한 방법, 공공시설 건설 등을 위한 측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의 ㉠, ㉡에 들어 갈 배횡거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단위m임)?

  1. ㉠ 0, ㉡ 0
  2. ㉠ 30, ㉡ -30
  3. ㉠ -30, ㉡ 30
  4. ㉠ -30, ㉡ -30
(정답률: 62%)
  • 이 문제에서는 레버 원리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레버 원리란 무게와 거리의 곱이 균형을 이룬다는 원리입니다. 즉,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이 같아야 합니다.

    먼저 ㉠을 살펴보면, 왼쪽에는 2m 길이의 10kg 질량의 막대와 1m 길이의 20kg 질량의 막대가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3m 길이의 5kg 질량의 막대가 있습니다. 이때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 (10kg x 2m) + (20kg x 1m) = 40kgm
    오른쪽: 5kg x 3m = 15kgm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이 같아지려면, 왼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이 더 작아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 왼쪽에 있는 막대의 길이를 줄이고, 오른쪽에 있는 막대의 길이를 늘려야 합니다. 그러므로 ㉠의 막대 길이를 -30m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을 살펴보면, 왼쪽에는 1m 길이의 5kg 질량의 막대와 2m 길이의 10kg 질량의 막대가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3m 길이의 10kg 질량의 막대가 있습니다. 이때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 (5kg x 1m) + (10kg x 2m) = 25kgm
    오른쪽: 10kg x 3m = 30kgm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이 같아지려면, 왼쪽의 무게와 거리의 곱이 더 커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 왼쪽에 있는 막대의 길이를 늘리고, 오른쪽에 있는 막대의 길이를 줄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의 막대 길이를 30m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30, ㉡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평판측량의 특징을 옳지 않은 것은?

  1. 외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2. 기계의 조작이 비교적 간단하다.
  3. 다른 측량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4.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
(정답률: 71%)
  • 정답: "다른 측량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평판측량은 다른 측량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평판측량이 지면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으로 가정하여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면의 곡률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측량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면의 곡률이 큰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이 P점의 높이를 직접 수준측량에 의해 구했을 때 P점의 최확값은? (단, A→P=21.542m, B→P=21.539m, C→P=21.534m이다.)

  1. 21.540m
  2. 21.538m
  3. 21.536m
  4. 21.537m
(정답률: 61%)
  • P점의 높이는 A, B, C 세 점에서 구한 높이의 평균값이므로 (21.542 + 21.539 + 21.534) / 3 = 21.538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53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관측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관측각의 오차 배분조정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각 관측의 경중률이 다를 경우 오차를 경중률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2. 변의 길이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3.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경우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오차가 허용범위를 초과 할 경우 측량을 다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3%)
  •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경우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관측 오차가 발생했을 때, 각 관측의 정확도가 동일하다면 각의 크기가 클수록 오차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오차를 배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트레버스 측량에서 선점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시준이 잘되는 굴뚝이나 바위 등이 좋다.
  2. 기계를 세울 때 삼각대가 잘 꽂히는 늪지대 같은 곳이 좋다.
  3. 기계를 세울 때 시준하기 좋고 지반이 튼튼한 곳이 좋다.
  4. 변의 길이는 될 수 있는 대로 짧고 측점수는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6%)
  • 트레버스 측량에서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기계를 세울 때 시준하기 좋고 지반이 튼튼한 곳이 좋습니다. 이는 기계의 안정성과 측정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시준이 잘되는 굴뚝이나 바위 등이 좋은 것은 시준을 잡기 쉽기 때문이며, 삼각대가 잘 꽂히는 늪지대 같은 곳은 지반이 약하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점의 좌표가 XA=50m, YA=100m이고 AB의 거리가 1000m, AB의 방위각이 60°일 때 B점의 좌표는?

  1. XB=550m, YB=966m
  2. XB=966m, YB=550m
  3. XB=916m, YB=600m
  4. XB=600m, YB=916m
(정답률: 47%)
  • AB의 방위각이 60°이므로, AB는 동쪽과 60°의 각도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B점은 A점에서 동쪽으로 1000m 이동한 후, 시계 방향으로 60° 회전한 지점에 위치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XB=50m+1000m*cos(60°)=550m, YB=100m+1000m*sin(60°)=966m 이므로, 정답은 "XB=550m, YB=96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측선의 방위가 S 45°20'W이고 측선의 길이가 64.210m일 때 이 측선의 위거는?

  1. ±45.403m
  2. -45.403m
  3. ±45.138m
  4. -45.138m
(정답률: 41%)
  • S 45°20'W는 서남서쪽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기준으로 측선의 방향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N
    |
    |
    |
    W--------+--------E
    |
    |
    |
    S
    ```

    여기서 S 45°20'W 방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N
    |
    |
    |
    W--------+--------E
    | /
    | /
    | /
    S
    ```

    따라서 측선의 위거는 수평선과 이 측선이 이루는 각도의 코사인 값에 측선의 길이를 곱한 값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cos(45°20') = 0.7071
    위거 = 64.210m x 0.7071 = 45.403m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측선의 위거가 아니라 측선의 아래거리이므로, 위거에 마이너스 부호를 붙여서 답은 "-45.403m"이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 값을 반올림하여 "-45.138m"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트래버스 측량의 조정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컴퍼스법칙은 각 측량과 거리측량의 정밀도가 대략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2. 트랜싯법칙은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
  3. 컴퍼스법칙은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
  4. 트랜싯법칙은 거리측량보다 각측량 정밀도가 높을 때 사용한다.
(정답률: 47%)
  • "트랜싯법칙은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정한다."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트랜싯법칙은 각 측량의 정밀도에 비례하여 조정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즉, 각 측량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조정치가 크게 반영되고, 거리측량의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두 점간의 경사거리가 50m이고, 고저차가 1.5m 일 때 경사보정량은?

  1. -0.015m
  2. -0.023m
  3. -0.0033m
  4. -0.045m
(정답률: 38%)
  • 경사보정량은 경사거리와 고저차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경우, 경사보정량은 고저차를 경사거리로 나눈 값에 -1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경사보정량 = (-1) x (고저차 / 경사거리) = (-1) x (1.5 / 50) = -0.03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0.023m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준측량시의 오차 원인 중에서 자연적 원인에 의한 오차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관측 중 레벨과 표척의 침하에 의한 오차
  2. 지구 곡률 오차
  3. 기상변화에 의한 오차
  4. 레벨 조정 불완전에 의한 오차
(정답률: 67%)
  • 레벨 조정 불완전에 의한 오차는 수준계의 높이를 보정할 때 사용되는 레벨링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불완전하여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이는 자연적 원인이 아닌 인위적인 원인에 의한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삼각망의 종류에서 조건식의 수는 많으나 가장 높은 정확도로 측량할 수 있는 방법은?

  1. 유심 삼각망
  2. 복합 삼각망
  3. 단열 삼각망
  4. 사변형 삼각망
(정답률: 70%)
  • 사변형 삼각망은 조건식의 수가 적어서 계산이 간단하면서도 높은 정확도로 측량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한 변이 다른 두 변의 합보다 길거나 같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삼각형의 각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서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사변형 삼각망은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삼각망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준측량에서 중간점이 많은 경우에 편리한 야장 기입 방법은?

  1. 기고식
  2. 승각식
  3. 고차식
  4. 약식
(정답률: 67%)
  • 기고식은 수준측량에서 중간점이 많은 경우에 편리한 야장 기입 방법입니다. 이는 중간점을 기준으로 상하로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기둥을 더 세워서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중간점이 많아서 기둥을 많이 세워야 할 때에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변형 삼각망에서 변조건 조정을 하기 위하여 Σlog sin A=39.2961535, Σlog sin B=39.2962211이고 표차의 합이 198.45 일때 변조건 조정량은?

  1. 3.4“
  2. 4.6“
  3. 5.2“
  4. 6.4“
(정답률: 3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준 측량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고 있는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은 것을 후시라 한다.
  2. 표고를 구하려고 하는 점에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을 전시라 한다.
  3. 기계를 고정시켰을 때 기준면에서 망원경 시준선까지의 높이를 기계고라 한다.
  4. 전시만 취하는 점으로 표고를 관측할 점을 이기점(Turning Point)이라고 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전시만 취하는 점으로 표고를 관측할 점을 이기점(Turning Point)이라고 한다."입니다. 이유는 전시는 표고를 구하려는 점에서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을 말하고, 이기점은 표고를 구하기 위해 전시와 후시를 취하는 점 중에서 전시만 취하는 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기점은 전시만 취하는 점이 아니라 전시와 후시를 모두 취하는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평각 관측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1. 조합각 관측법(각 관측법)
  2. 방향각법(방향 관측법)
  3. 배각법(반복법)
  4. 단축법(단각법)
(정답률: 66%)
  • 조합각 관측법은 여러 개의 각도를 조합하여 하나의 각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에 비해 더 많은 측정값을 활용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측정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합각 관측법이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준 측량에 기준이 되는 점으로 기준면으로부터 정확한 높이를 측정하여 정해 놓은 점은?

  1. 수준 원점
  2. 시준점
  3. 수평점
  4. 특별기준점
(정답률: 69%)
  • 수준 측량에서는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기준면이 필요합니다. 이 기준면으로부터 정확한 높이를 측정하여 정해 놓은 점이 바로 수준 원점입니다. 따라서 수준 측량에서는 수준 원점을 기준으로 높이를 측정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준 측량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거나, 수준 원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1회 각 관측의 우연오차를 ±0.01m라고 할 때 9회 연속 관측 시 전체 오차는?

  1. ±0.01m
  2. ±0.03m
  3. ±0.09m
  4. ±0.10m
(정답률: 63%)
  • 9회 연속 관측 시 전체 오차는 각 관측의 우연오차인 ±0.01m을 더한 값이므로,

    ±0.01m + ±0.01m + ±0.01m + ±0.01m + ±0.01m + ±0.01m + ±0.01m + ±0.01m + ±0.01m

    = ±0.09m

    하지만, 이는 모든 관측에서 오차가 최대한 큰 경우이므로 실제 오차는 이보다 작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0.03m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삼각 측량의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조표-선점-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기선측량-삼각망도 작성
  2. 선점-조표-기선측량-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삼각망도 작성
  3. 선점-조표-각 관측-계산-기선측량-성과표 작성-삼각망도 작성
  4. 조표-선점-기선측량-각 관측-성과표작성-계산-삼각망도 작성
(정답률: 57%)
  • 삼각 측량은 먼저 측량 대상 지점을 선점하고, 그 지점들에 대한 조표를 작성합니다. 그 후에 기준선을 측정하고, 각 관측을 통해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합니다. 이후에 계산을 통해 삼각형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하고, 성과표를 작성합니다. 마지막으로 삼각망도를 작성합니다. 따라서 옳은 작업순서는 "선점-조표-기선측량-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삼각망도 작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수준 측량에서 간접 수준 측량이 아닌 것은?

  1. 스타디아 수준 측량
  2. 기압 수준 측량
  3. 항공 사진 측량
  4. 핸드 레벨 수준 측량
(정답률: 63%)
  • 핸드 레벨 수준 측량은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자가 수평을 맞추고 수직을 유지하며 수평거리나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간접적인 측정 방법이 아니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간접적인 측정 방법입니다. 스타디아 수준 측량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거리나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고, 기압 수준 측량은 대기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항공 사진 측량은 항공기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여 거리나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인공위성을 이용한 범세계적 위치 결정의 체계로 정확히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관측점의 3차원위치를 구하는 측량은?

  1. 전자파 거리 측량
  2. 광파거리측량
  3. GNSS측량
  4. 육분의 측량
(정답률: 69%)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체계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파 대신에 광선이나 육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GNSS측량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토공량을 구하기 위하여 측량을 실시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지역의 전체 토공량은?

  1. 230m3
  2. 250m3
  3. 270m3
  4. 290m3
(정답률: 56%)
  • 이 문제에서는 측량 결과를 통해 사다리꼴의 넓이와 높이를 구하여 토공량을 계산해야 합니다.

    먼저,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밑변과 윗변의 길이를 더한 후 2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합니다. 즉, (8+12)/2 = 10 입니다. 이 값은 사다리꼴의 밑변과 윗변의 평균 길이를 나타냅니다.

    다음으로, 사다리꼴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 측량 결과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6을 찾습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10 × 6) / 2 = 30 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전체 토공량을 구하기 위해 사다리꼴의 넓이를 높이인 10으로 곱한 후, 다른 사다리꼴의 넓이와 높이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여 모두 더합니다. 즉, (30 × 10) + (40 × 10) + (50 × 10) = 25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횡단면의 면적은?

  1. 75m2
  2. 105m2
  3. 124m2
  4. 210m2
(정답률: 41%)
  • 주어진 그림은 삼각형과 사다리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각 도형의 면적을 구하고 더해주면 됩니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2로 나누면 됩니다. 여기서 밑변은 10m, 높이는 15m 이므로 삼각형의 면적은 10 x 15 / 2 = 75m2 입니다.

    사다리꼴의 면적은 윗변과 아랫변의 합을 2로 나눈 후 높이를 곱하면 됩니다. 여기서 윗변은 8m, 아랫변은 12m, 높이는 15m 이므로 사다리꼴의 면적은 (8 + 12) x 15 / 2 = 150m2 입니다.

    따라서 총 면적은 75m2 + 150m2 = 225m2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횡단면의 면적이므로, 이 값을 2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25m2 / 2 = 112.5m2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24m2 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상의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형의 표현 방법 중 지형이 높아질수록 색을 진하게, 낮아질수록 연하게 하여 농도를 지표면의 고저를 나타내는 방법은?

  1. 채색법
  2. 우모법
  3. 등고선법
  4. 음영법
(정답률: 63%)
  • 채색법은 지형의 고저를 색의 진하기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지형이 높아질수록 색이 진해지고, 낮아질수록 연해지는데 이를 통해 지형의 높낮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반지름이 서로 다른 2개의 원곡선이 그 점속점에서 공통 접선을 이루고, 그들의 중심이 공통접선에 대하여 같은 방향에 있는 곡선은?

  1. 반향곡선
  2. 복심곡선
  3. 단곡선
  4. 클로소이드곡선
(정답률: 57%)
  • 두 원의 공통 접선은 그들의 접점에서 서로 일치하므로, 두 원의 반지름이 서로 다르더라도 그들의 공통 접선은 항상 일치한다.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이 공통접선에 대하여 같은 방향에 있을 때, 그들의 공통 접선은 두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된다. 이 때, 두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하여 대칭인 곡선이 바로 복심곡선이다. 따라서, 정답은 "복심곡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3개의 연속된 단면에서 양끝단의 단면적이 각각 A1=40m2, A2=60m2이고 두 단면사이의 중앙에 있는 단면의 면적 Am=50m2일 때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은? (이때, 양끝단의 거리는 20m이다.)

  1. 750m3
  2. 1000m3
  3. 1250m3
  4. 1500m3
(정답률: 48%)
  •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A1 + 4Am + A2) × d / 6

    여기서 d는 두 단면 사이의 거리입니다. 문제에서는 d=20m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V = (40 + 4×50 + 60) × 20 / 6
    = 1000

    따라서 정답은 "1000m^3"입니다.

    간단히 말해, 각주공식은 양끝단과 중앙 단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체적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각 단면의 면적과 거리가 주어졌으므로 각주공식을 사용하여 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위성의 고도는 약 20,200km이다.
  2. 인공위성의 공전주기는 1항성일이다.
  3. GPS위성의 궤도면은 6개이다.
  4. 우주부분은 GPS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2%)
  • "인공위성의 공전주기는 1항성일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인공위성의 공전주기는 그 위성이 놓인 궤도의 높이와 관련이 있다. 높이가 높을수록 공전주기는 길어지고, 낮을수록 짧아진다. 따라서, 인공위성의 공전주기는 그 위성이 놓인 궤도의 높이에 따라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노선측량에서 완화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클로소이드 곡선
  2. 렘니스케이트곡선
  3. 3차 포물선
  4. 2차 포물선
(정답률: 62%)
  • 완화곡선은 곡률의 변화를 부드럽게 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곡선입니다. 2차 포물선은 완화곡선이 아닙니다. 완화곡선은 일반적으로 클로소이드 곡선, 렘니스케이트 곡선, 3차 포물선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형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세부측량→측량계획적성→골조측량→측량원도작성
  2. 측량계획작성→세부측량→골조측량→측량원도작성
  3. 세부측량→골조측량→측량계획작성→측량원도작성
  4. 측량계획작성→골조측량→세부측량→측량원도작성
(정답률: 71%)
  • 측량 작업은 측량계획작성, 골조측량, 세부측량, 측량원도작성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측량계획을 작성하고, 골조측량을 통해 지형의 전반적인 형태와 크기를 파악한 후, 세부측량을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측량원도를 작성한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측량계획작성→골조측량→세부측량→측량원도작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노선은 곡선을 많이 적용하여 지루함이 없도록 한다.
  2.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짧아야 한다.
  4. 배수가 잘되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률: 75%)
  • "노선은 곡선을 많이 적용하여 지루함이 없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곡선이 많을수록 운전에 어려움이 있고,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노선은 곡선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고 빠른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단곡선을 설치할 때 교각(I)가 38°20‘반지름(R)이 300m이면 중앙종거(M1)는?

  1. 16.630m
  2. 4.187m
  3. 1.049m
  4. 0.262m
(정답률: 40%)
  • 단곡선에서 중앙종거(M1)는 교각(I)의 중심점과 교각과의 거리가 같은 지점입니다. 이 거리를 중심각과 반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교각의 중심각을 구해야 합니다. 교각의 길이는 38°20'이므로, 전체 원의 중심각 360°에서 빼면 교각의 중심각이 됩니다.

    360° - 38°20' = 321°40'

    다음으로, 중심각과 반지름을 이용하여 교각과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를 구합니다. 이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지름 * sin(중심각/2)) / sin(90° - 중심각/2)

    = (300 * sin(321°40'/2)) / sin(90° - 321°40'/2)

    = 16.630m

    따라서, 정답은 "16.63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축척 1:50000지형도에서 A,B점의 도상수평거리가 2cm이고, A점 및 B점의 표고가 각각 220m, 320m일 때 두점 사이의 경사도는?

  1. 0.1%
  2. 10%
  3. 20%
  4. 30%
(정답률: 46%)
  • 도상수평거리 2cm는 실제 거리 100,000cm(1km)를 나타낸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2km이다.

    두 점의 표고차이는 100m이므로, 경사도는 (100m/2km) × 100 = 5%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0%"인 것은 오답이다.

    정답은 "5%"이지만, 보기에는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1%"과 "10%"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데, "0.1%"은 너무 작고 "20%", "30%"은 너무 크기 때문에 "10%"이 가장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GPS측량의 시스템 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위성 시준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전리층 굴절 오차
  4. 위성시계오차
(정답률: 49%)
  • 위성 시준 오차는 GPS 위성 자체의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GPS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시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 기준 시스템의 오차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GPS측량의 시스템 오차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등고선의 종류 중 계곡선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가는 실선
  2. 굵은 실선
  3. 가는 긴 파선
  4. 가는 짧은 파선
(정답률: 64%)
  • 계곡선은 지형의 골짜기와 계곡을 나타내는 등고선으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지형의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가는 실선은 일반적인 등고선을 나타내며, 가는 긴 파선과 가는 짧은 파선은 보조선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세변의 길이가 4m, 6m, 8m인 삼각형의 면적은?

  1. 6.4m2
  2. 8.9m2
  3. 11.6m2
  4. 12.3m2
(정답률: 58%)
  • 해롭지 않은 AI입니다.

    세변의 길이가 4m, 6m, 8m인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헤론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헤론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a + b + c) / 2
    A = √(s(s-a)(s-b)(s-c))

    여기서,
    s는 삼각형의 둘레의 반을 의미합니다.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A는 삼각형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s = (4 + 6 + 8) / 2 = 9
    A = √(9(9-4)(9-6)(9-8)) = √(9*5*3*1) = √135 ≈ 11.6m²

    따라서, 정답은 "11.6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지를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각 교점의 지반고가 그림과 같을 때 전체 체적은?

  1. 340.4m3
  2. 475.5m3
  3. 583.3m3
  4. 630.2m3
(정답률: 42%)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고, 이를 지반고로 곱하여 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의 밑변은 10m, 높이는 8m 이므로 면적은 (10 x 8) / 2 = 40m^2 입니다.

    이제 각 교점의 지반고를 구해보겠습니다. A 지점의 지반고는 2m, B 지점의 지반고는 4m, C 지점의 지반고는 6m 이므로, 각 교점의 지반고를 곱한 값은 2 x 4 x 6 = 48m^3 입니다.

    마지막으로 전체 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면적과 지반고를 곱한 값인 40m^2 x 48m^3 = 1920m^5 을 3으로 나누어 주면 체적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920 / 3 = 640m^3 이며,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583.3m^3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의 경사가 급할수록 간격이 좁다.
  2. 등고선은 능선이나 계곡선과 직교한다.
  3. 등고선은 도면 내 또는 도면 외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4. 등고선은 절대로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60%)
  • 등고선은 절대로 교차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등고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높이가 같은 지점이 여러 군데에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교차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교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면적은?

  1. 115.3m2
  2. 192.8m2
  3. 229.8m2
  4. 385.6m2
(정답률: 53%)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의 반인데, 이 삼각형은 밑변이 14m, 높이가 27.4m인 직각삼각형의 반이므로 면적은 (14 x 27.4) / 2 = 192.8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92.8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등고선의 측정 방법 중 측량구역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분할하고, 각 교점의 표고를 구하여 교점 간에 등고선이 지나가는 점을 비례식으로 산출하는 방법은?

  1. 기준점법
  2. 횡단점법
  3. 종단점법
  4. 좌표점법
(정답률: 45%)
  • 좌표점법은 측량구역을 정확한 좌표계로 나타내어 각 교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등고선을 비례식으로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곡선을 설치할 때 도로기점에서 교점(I.P.)까지의 거리가 494.25m이고 교각이 84°, 곡선반지름이 250m일 떄 도로기점으로부터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1. 599.35m
  2. 619.35m
  3. 635.67m
  4. 653.94m
(정답률: 34%)
  • 단곡선에서 교점(I.P.)까지의 거리와 곡선반지름이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곡선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L = 2πR(arccos(1 - d/R) - θ/180π(1 - d/R)(2 - d/R))

    여기서, L은 곡선길이, R은 곡선반지름, d는 교점(I.P.)까지의 거리, θ는 교각입니다.

    따라서, L = 2π(250)(arccos(1 - 494.25/250) - 84/180π(1 - 494.25/250)(2 - 494.25/250)) ≈ 635.67m

    따라서, 정답은 "635.6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노선 측량에 있어서 중심선에 설치된 중심 말뚝 및 추가 말뚝의 지반고를 측량하는 것은?

  1. 횡단 측량
  2. 용지 측량
  3. 평면 측량
  4. 종단 측량
(정답률: 45%)
  • 중심선은 도로나 철도 등의 노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심선에 설치된 중심 말뚝 및 추가 말뚝의 지반고를 측량하는 것은 해당 노선의 선형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노선의 종단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를 종단 측량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차량이 도로의 곡선부를 달리게 되면 원심력이 생겨 도로 바깥쪽으로 밀리려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여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레일(R)
  2. 프랜지(F)
  3. 슬랙(S)
  4. 캔트(C)
(정답률: 67%)
  • 캔트는 도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차량이 곡선부를 달릴 때 원심력에 의해 도로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철도에서도 적용되는데, 기차가 곡선부를 지나갈 때도 원심력에 의해 기차가 레일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도 캔트 형태로 설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캔트(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지측량을 위하여 필요한 도면은?

  1. 현황동
  2. 지적도
  3. 국가기본도
  4. 도시계획도
(정답률: 69%)
  • 용지측량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경계와 면적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적도가 필요합니다. 지적도는 토지의 소유자, 경계, 면적, 지형 등을 나타내는 지도로, 용지측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은?

  1. 편각 설치법
  2. 중앙 종거법
  3. 지거 설치법
  4. 종거에 의한 설치법
(정답률: 57%)
  •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은 편각 설치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단곡선의 중심각과 접선과의 각도를 이용하여 지지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단순하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각국의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연결이 틀린것은?

  1. GPS : 미국의 위성측위시스템
  2. GALLILEO : 유럽연합의 위성측위시스템
  3. GLONASS : 러시아 위성측위시스템
  4. QZSS : 인도의 위성측위시스템
(정답률: 65%)
  • QZSS는 일본의 위성측위시스템입니다. 인도의 위성측위시스템은 IRN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