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14)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2013-04-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수동변속기 차량에서 플라이 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폭발행정 시 발생한 회전력을 저축하였다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2. 관성의 법칙을 이용한 장치이다.
  3. 링기어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교환을 할 수가 없다.
  4. 무게는 기관의 회전수와 실린더 수에 관계가 없다.
(정답률: 67%)
  • "링기어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교환을 할 수가 없다."가 틀린 것이다. 링기어는 분리가 가능하며 교환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속도와 가속도 관계에서 가속도 운동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0층 건물 옥상에서 떨어뜨린 물체
  2. 브레이크를 밟아 정지하는 자동차
  3. 연직 위로 던진 야구공
  4. 직선도로에서 10m/s의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
(정답률: 77%)
  • 가속도 운동은 속도가 변하는 운동을 말하며, 가속도는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직선도로에서 10m/s의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는 가속도 운동이 아닙니다. 이유는 속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속도의 변화가 없으므로 가속도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물질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3상이 공존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임계점
  2. 3중점
  3. 포화한계선
  4. 액화점
(정답률: 89%)
  • 정답은 "3중점"입니다.

    물질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3상이 공존하는 상태를 "3상 평형"이라고 합니다. 이때, 3상 평형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3중점"이라고 합니다. 3중점은 압력과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기체, 액체, 고체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지점입니다. 따라서, 3중점은 물질의 상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질의 상태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3상 평형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편평 타이어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눈길에서 체인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숄더부까지 트레드 패턴이 배열되어 있다.
  3. 타이어 폭이 넓어 접지성이 좋다.
  4. 코너링 성능이 향상되어 일반타이어보다 안전하다.
(정답률: 84%)
  • "눈길에서 체인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이유는, 편평 타이어는 접지면이 넓어서 눈길에서도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체인을 사용하지 않아도 눈길에서 운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등식 중에서 틀린 것은?

  1. 1ℓ = 1000cc
  2. 1ℓ = 1000㎣
  3. 1cm3 = 1cc
  4. 1cm3 = 0.001ℓ
(정답률: 66%)
  • 정답: "1cm3 = 0.001ℓ"

    설명:
    - 1ℓ은 1000cc이다. (cc는 cubic centimeter, 즉 센티미터의 세제곱)
    - 1cc는 1㎣이다. (㎣은 millimeter, 즉 밀리미터)
    - 따라서 1ℓ은 1000cc이고, 1cc는 1㎣이므로 1ℓ은 1000㎣이다.
    - 하지만 1cm3은 1㎣ x 1㎣ x 1㎣이므로 1㎣와 같다. 따라서 1cm3는 1cc와 같다.
    - 1ℓ은 1000㎣이므로 1㎣은 0.001ℓ이 아니라 0.001ℓ/㎣이다. 따라서 "1cm3 = 0.001ℓ"은 틀린 등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기회로에서 옴의 법칙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저항이 일정할 때 전압이 증가되면 전류도 증가된다.
  2.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이 증가되면 전압도 증가된다.
  3. 전압과 저항이 증가되면 전류도 증가된다.
  4. 전류와 저항이 증가되면 전압도 증가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전압과 저항이 증가되면 전류도 증가된다."입니다. 이유는 옴의 법칙에서 전류는 전압과 저항의 비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전압이 증가하면 저항이 일정하다면 전류도 증가하게 되고, 저항이 증가하면 전압이 일정하다면 전류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과 저항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차체 모양에 따른 웨건(Wagon)의 종류로 다양성을 활용한 승용차이며 리프트백, 스윙백, 오픈백이라고도 말하는 일명 2박스 카 라고 불리는 세단(Sedan)의 한 종류는?

  1. 해치백(Hatch Back)세단
  2. 패스트백(Fast Back)세단
  3. 플레인백(Plain Back)세단
  4. 노치백(Notch Back)세단
(정답률: 71%)
  • 해치백 세단은 차체 뒷부분이 일체형으로 열리는 형태의 웨건으로, 리어 윈도우와 트렁크가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승객과 짐을 함께 운반할 수 있어 유용하며,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가격대의 차종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바퀴 정렬에서 토인 조정은 무엇으로 하는가?

  1. 타이로드
  2. 스트러트 바
  3. 컨트롤 암
  4. 스태빌라이저 바
(정답률: 72%)
  • 토인 조정은 바퀴의 내/외측으로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바퀴의 직진성을 개선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위해 바퀴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는 부품인 타이로드를 조정합니다. 타이로드는 바퀴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조정을 통해 바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이로드가 바퀴 정렬에서 토인 조정에 사용되는 이유는 바퀴의 내/외측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주행 조건에 따라 안정된 조향 기능
  2. 노면 조건에 따라 안티 록 제어 기능
  3. 주행 조건에 따라 감쇠력 제어 기능
  4. 노면 조건에 따라 차고 조정 기능
(정답률: 65%)
  • 노면 조건에 따라 안티 록 제어 기능이 틀린 것입니다. ECS는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조향, 감쇠력, 차고 조정 등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안티 록 제어 기능은 ABS(안티 브레이크 시스템)와 관련된 기능으로, ECS와는 별개의 시스템입니다. ABS는 브레이크를 갑작스럽게 밟았을 때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방향 안정성 확보
  2. 조향성 확보
  3. 차륜의 신속한 고착 유지
  4. 슬립율에 의한 최적의 제동거리 실현
(정답률: 72%)
  •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기능 중 "차륜의 신속한 고착 유지"는 틀린 것입니다. ABS는 차량이 급정거나 급정지할 때 차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동 거리를 최적화하고, 방향 안정성과 조향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차륜의 신속한 고착 유지"는 ABS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막의 벗겨짐(peeling)현상의 발생 요인은?

  1. 용제의 용해력이 충분할 때
  2. 마스킹테이프를 즉시 떼어냈을 때
  3. 도료와 강판의 친화력이 좋을 때
  4. 구 도막 표면의 연마가 미흡할 때
(정답률: 82%)
  • 구 도막 표면의 연마가 미흡하면 새로운 도료가 부착되는 표면이 부드러워져서 제대로 밀착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도막이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 도막 표면의 연마는 새로운 도료가 잘 밀착되도록 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도장할 장소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부용 도료
  2. 하도용 도료
  3. 바닥용 도료
  4. 지붕용 도료
(정답률: 67%)
  • "하도용 도료"는 도장할 장소에 대한 분류가 아니라, 도료의 특성에 따른 분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하도용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료를 혼합했을 대 일어나는 현상은?

  1.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2.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높아진다.
  3. 명도, 채도가 모두 높아진다.
  4. 명도, 채도가 모두 낮아진다.
(정답률: 58%)
  • 도료를 혼합하면 색상이 더 진해지고, 이로 인해 빛이 흡수되는 양이 늘어나므로 명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색상이 진해지면서 색의 순도가 떨어지므로 채도도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명도와 채도가 모두 낮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금속보다 무게가 가볍다.
  2. 내식성이 우수하다.
  3. 저온에서도 열변형이 발생한다.
  4. 유기용제에 나쁜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70%)
  • 플라스틱 소재는 저온에서도 열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추운 지역에서는 더욱 취약하며, 고온에서도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퍼티도포용 주걱(스푼)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나무주걱
  2. 고무주걱
  3. 플라스틱주걱
  4. 함석주걱
(정답률: 79%)
  • 함석주걱은 식품접촉에 적합하지 않은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부적합한 것입니다. 나무주걱, 고무주걱, 플라스틱주걱은 식품접촉에 적합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료 저장 중(도장 전) 발생하는 겔(gel)화 결함으로 방지대책 및 조치사항을 설명하였다. 바르지 못한 것은?

  1. 도료 저장시 도료 뚜껑을 완전히 닫은 후 20℃ 이하 실내에 보관한다.
  2. 장기간 저장한 것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3. 피도면의 충분한 세정 및 탈지 작업을 한다.
  4. 결함 상태가 약한 것은 굳은 부분을 제거 후 희석제로 잘 희석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58%)
  • "피도면의 충분한 세정 및 탈지 작업을 한다."가 바르지 못한 것입니다. 이유는 도료 저장 중 발생하는 겔화 결함은 도료의 저장 환경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피도면의 세정 및 탈지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삭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용성 도료 작업 시 사용하는 도장 보조 재료와 관련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마스킹 종이는 물을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
  2. 도료 여과지는 물에 녹지 않는 재질이어야 한다.
  3. 마스킹용으로 비닐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4. 도료 보관 용기는 금속 재질을 사용한다.
(정답률: 75%)
  • 도료 보관 용기는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도료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금속 재질은 내열성과 내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료의 품질을 유지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도료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품질이 저하되거나 변질될 수 있으므로 보관 용기의 재질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상도 도장 전 준비 작업으로 틀린 것은?

  1. 폴리셔 준비
  2. 작업자 준비
  3. 도료 준비
  4. 피도물 준비
(정답률: 70%)
  • 정답은 "폴리셔 준비"입니다. 상도 도장 전 준비 작업에서 폴리셔 준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폴리셔는 보통 마감 작업에서 사용되는 도구이며, 상도 도장 전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폴리셔 준비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라이머-서페이서를 분무하기 전에 퍼티의 단차, 에지(edge)면의 불량부분이 발견되었을 경우 적용할 가장 적절한 연마지는?

  1. P16~P40
  2. P60~P80
  3. P80~P320
  4. P400~P600
(정답률: 65%)
  • 프라이머-서페이서를 분무하기 전에 퍼티의 단차, 에지면의 불량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거칠게 연마한 후 점점 섬세하게 연마해야 합니다. 따라서 P16~P40과 P60~P80은 너무 거칠고, P400~P600은 너무 섬세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연마지는 P80~P320입니다. P80은 거칠게 연마하기에 적절하고, P320은 섬세하게 마무리하기에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장 작업 중에 발생되는 도료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거나 또는 작업장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있는 도장시설물은?

  1. 스프레이 부스(Spray Booth)
  2. 에어 크리너(Air Cleaner)
  3. 에어 트랜스포머(Air Transformer)
  4. 에어 건조기(Air Dryer)
(정답률: 63%)
  • 스프레이 부스는 도장 작업 중 발생되는 도료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거나, 작업장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도장시설물입니다. 따라서 스프레이 부스가 정답입니다. 에어 크리너는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며, 에어 트랜스포머는 고압 공기를 생산하는 장치, 에어 건조기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이들은 스프레이 부스와는 목적과 기능이 다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도막의 경도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닌 것은?

  1. 클레멘 스크레치 경도계(Clemen scratch tester)
  2. 연필 스크레치 경도계(Pencil scratch tester)
  3. 크로스 컷 경도계(Cross cut tester)
  4. 스워드 로커 경도계(Sward rocker hardness)
(정답률: 64%)
  • 크로스 컷 경도계는 도막의 경도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니라 도막의 접착력을 측정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기기는 모두 도막의 경도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장 중 주름(lifting, wrinkling)현상이 발생되었다. 그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연마주변의 도막이 약한 곳에 용제가 침해하였다.
  2. 작업할 바탕도막에 미세한 균열이 있다.
  3. 건조가 불충분하고 도장계통이 다른 도막에 작업을 하였다.
  4. 2액형의 프라이머 서페이셔를 사용하였다.
(정답률: 81%)
  • 주름 현상은 도장계통이 다른 도막에 작업을 하거나, 작업할 바탕도막에 미세한 균열이 있거나, 건조가 불충분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액형의 프라이머 서페이셔를 사용한 것은 주름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액형의 프라이머 서페이셔를 사용하였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PP(폴리프로필렌) 재질이 소재인 범퍼의 경우 플라스틱 프라이머로 도장 해야만 하는데 그 이유로 맞는 것은?

  1. 녹슬지 않게 하기 위해서
  2. 부착력을 좋게 하기 위해서
  3. 범퍼에 유연성을 주기 위해서
  4. 플라스틱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
(정답률: 60%)
  • PP(폴리프로필렌) 재질은 표면이 매우 부드러우며 점착성이 낮아서 부착력이 약합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부착력을 좋게 해야 합니다. 이는 범퍼가 차체에 잘 붙어서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메탈릭 도료 조색시 유색안료를 혼합하면 할수록 어떤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가?

  1. 명도와 채도가 높아진다.
  2.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높아진다.
  3. 명도와 채도가 낮아진다.
  4.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정답률: 45%)
  • 유색안료를 혼합하면 메탈릭 도료의 반사율이 감소하게 되어 명도와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유색안료가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는데, 이로 인해 메탈릭 도료의 반사율이 감소하고 색상이 어두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솔리드 색상의 도장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도막의 색상은 시간이 갈수록 조금씩 변한다.
  2. 2액형 우레탄 주제로 조색하고, 경화제를 혼합하면 색상은 조금 엷어진다.
  3. 베이스 타입으로 도장하고 투명을 도장하면 색상이 선명하고 진해진다.
  4. 솔리드색상 도장은 건조 전과 전조 후의 색상에 변화는 없다.
(정답률: 78%)
  • "솔리드색상 도장은 건조 전과 전조 후의 색상에 변화는 없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사실이 아닌데, 도막이 건조되면서 색상이 조금씩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불휘발분을 뜻하며 규정된 시험조건에 따라 증발시켜 얻어진 물질의 무게를 나타내는 것은?

  1. 점도
  2. 희석비
  3. 고형분(NV)
  4.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정답률: 65%)
  • 불휘발분은 증발하지 않는 고체 물질을 의미하며, 따라서 증발시켜 얻어진 물질의 무게를 측정하여 불휘발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고형분(NV)은 물질 내에 포함된 고체 물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불휘발성 고체 물질의 양을 측정하여 나타냅니다. 따라서 불휘발분과 고형분(NV)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물질 내에 존재하는 고체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공통점이 있어 혼동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크릴 우레탄 도료를 강제 건조 시 도막 건조 온도로 적당한 것은?

  1. 20℃~30℃/20분~30분
  2. 30℃~40℃/20분~30분
  3. 40℃~50℃/20분~30분
  4. 60℃~70℃/20분~30분
(정답률: 65%)
  • 아크릴 우레탄 도료는 강제 건조 시 일정한 온도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60℃~70℃의 온도는 도막 건조에 적당한 온도로, 이 온도에서 20분~30분 동안 건조하면 적절한 경화가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 옵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동차도장 색상차이의 원인 중 현장 조색시스템 관리 도료대리점의 원인으로 맞는 것은?

  1. 색상 혼합을 잘못했을 때
  2. 표준색과 상이한 도료의 출고
  3. 도막이 너무 두껍거나 얇은 경우
  4. 신차도료의 납품업체가 변경된 경우
(정답률: 42%)
  • 자동차도장 색상은 표준색과 일치해야 하지만, 현장에서는 조명, 환경 등의 영향으로 정확한 색상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조색시스템을 이용하여 정확한 색상을 파악하고, 도료대리점에서 색상을 혼합하여 공급합니다. 그러나 도료대리점에서 색상 혼합을 잘못하면, 표준색과 상이한 도료가 출고되어 자동차도장 색상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색상 혼합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도료대리점은 조색시스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오염 물질의 영향으로 발생된 분화구형 결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크레터링
  2. 주름
  3. 쵸킹
  4. 크레이징
(정답률: 82%)
  • 크레터링은 오염 물질이나 화학적 반응 등으로 인해 발생한 분화구형 결함을 말합니다. 이는 화학적인 변화로 인해 표면이 부식되어 구멍이 생기고, 그 구멍 주변에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여 분화구 모양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레터링은 오염 물질의 영향으로 발생한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플라스틱 부품의 보수 도장에 대한 문제점 중 틀린 것은?

  1. 열경화성플라스틱(PUR)은 부착성이 우수하나 이형제 제거를 위해 표면조정 작업이 필요하다.
  2. 폴리카보네이트(PC)부품은 내용제성이 취약하여 도료 선정 시 주의가 필요하다.
  3. 폴리프로필렌(PP)부품은 부착성이 양호하다.
  4. 폴리프로필렌(PP)부품은 전용 프라이머를 사용한다.
(정답률: 58%)
  • "폴리프로필렌(PP)부품은 전용 프라이머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폴리프로필렌(PP)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다. 이는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며, 표면조정 작업 없이도 도장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코트 펄 조색시 컬러베이스의 건조가 불충분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색상얼룩과 같은 이색현상이 심해진다.
  2. 광택성이 저하되며 도료가 흘러내린다.
  3. 연마자국이 나타난다.
  4. 펄 입자의 배열이 균일하다.
(정답률: 46%)
  • 컬러베이스의 건조가 불충분하면 펄 입자들이 제대로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뭉쳐서 배열되기 때문에 색상얼룩과 같은 이색현상이 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워시프라이머 도장 후 점검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도막에 도장되어 있지 않은가?
  2. 균일하게 분무하였는가?
  3. 두껍게 도장하지 않았는가?
  4. 거친 연마자국이 있는가?
(정답률: 61%)
  • 워시프라이머 도장 후 거친 연마자국이 있는 것은 옳지 않은 점검사항입니다. 이는 도장 작업 시 연마나 마무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부드러운 연마지를 사용하지 않거나 너무 세게 연마하면 표면에 거친 자국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도장의 외관을 손상시키고, 부식이나 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광택장비 및 기구가 아닌 것은?

  1. 실링건
  2. 샌더기
  3. 폴리셔
  4. 버프 및 패드
(정답률: 64%)
  • 실링건은 광택을 내는 장비나 기구가 아니라,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밀봉재를 분사하여 누출을 막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링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동차 보수도장 용제 중 저비점인 것은?

  1. 메틸이소부틸케톤
  2. 아세톤
  3. 크실렌
  4. 초산아밀
(정답률: 71%)
  • 저비점이란,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아세톤은 다른 용제들에 비해 저비점으로, 보통 자동차 보수도장에서는 아세톤을 사용하여 페인트나 오일 등을 제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색된 색상을 비교할 때 틀린 설명은?

  1. 조색의 시편은 10 × 20cm가 적당하다.
  2. 광원을 안고, 등지고, 정면에서 비교한다.
  3. 색을 관찰하는 각도는 정면, 15°, 45° 이다.
  4. 색상은 햇빛이 강한 곳에서 비교한다.
(정답률: 75%)
  • 색상을 비교할 때 틀린 설명은 "색상은 햇빛이 강한 곳에서 비교한다." 입니다. 조색된 색상을 비교할 때는 일반적으로 광원을 안고, 등지고, 정면에서 비교하며, 색을 관찰하는 각도는 정면, 15°, 45°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햇빛이 강한 곳에서 비교하는 것은 오히려 색상을 왜곡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P400 연마지로 금속 면과의 경계부를 경사지게 샌딩한다.
  2. 연마지 방수는 고운 것에서 거친 것 순서로 한다.
  3. 단 낮추기의 폭은 1(cm) 정도가 적당하다.
  4. 샌딩 작업에 의해 노출된 철판면은 인산아연피막처리제로 방청처리 한다.
(정답률: 71%)
  • 샌딩 작업에 의해 노출된 철판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인산아연피막처리제로 방청처리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승용, 승합차의 보수도장에 적합한 스프레이건끼리 짝지어 진 것은?

  1. 중력식, 정전식
  2. 흡상식, 압송식
  3. 중력식, 흡상식
  4. 중력식, 압송식
(정답률: 59%)
  • 승용, 승합차의 보수도장에 적합한 스프레이건은 중력식과 흡상식입니다.

    중력식 스프레이건은 중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분사 각도와 압력이 일정하여 균일한 코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수도장에서는 균일한 코팅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력식 스프레이건이 적합합니다.

    흡상식 스프레이건은 압력차를 이용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분사 각도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수도장에서는 다양한 각도와 압력으로 분사할 수 있는 흡상식 스프레이건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습식연마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건식연마에 비하면 페이퍼의 사용량이 절약된다.
  2. 연마 중 분진발생이 없다.
  3. 수 연마용 샌더를 사용하면 손 연마에 비하여 작업이 빠르다.
  4. 거칠기가 같은 페이퍼를 사용 할 때 건식연마보다 연마면이 탁월하다.
(정답률: 49%)
  • 거칠기가 같은 페이퍼를 사용 할 때 건식연마보다 연마면이 탁월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이유는 건식연마는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마면이 빠르게 마모되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지만, 습식연마는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마면이 빠르게 마모됩니다. 따라서 건식연마보다 연마면이 탁월하다는 것은 오히려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마이크로미터의 취급시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 중 떨어뜨리거나 큰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다.
  2. 온도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에 보관한다.
  3. 앤빌과 스핀들을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한다.
  4. 눈금은 시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 수직위치에서 읽는다.
(정답률: 80%)
  • 앤빌과 스핀들을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하면 마이크로미터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마이크로미터는 정밀한 측정을 위해 앤빌과 스핀들 사이에 공기를 두고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관 시에는 앤빌과 스핀들이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것은?

  1. 인화성물질경고
  2. 폭발성물질경고
  3. 금연
  4. 화기금지
(정답률: 87%)
  • 이 그림은 "금연"을 나타내는 안전·보건표지입니다. 이유는 그림 속에 담배 모양이 금지선으로 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표지는 해당 구역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함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실린더 헤드 볼트를 조일 때 회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는?

  1. 토크 렌치
  2. 오픈 엔드 렌치
  3. 복스 렌치
  4. 소켓 렌치
(정답률: 82%)
  • 토크 렌치는 회전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공구로, 실린더 헤드 볼트를 조일 때 정확한 회전력을 측정하여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 적절한 힘으로 조이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 볼트를 조일 때 토크 렌치가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드릴머신으로 탭 작업을 할 때 탭이 부러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탭의 경도가 소재보다 높을 때
  2. 구멍이 똑 바르지 아니할 때
  3. 구멍 밑바닥에 탭 끝이 닿을 때
  4. 레버에 과도한 힘을 주어 이동할 때
(정답률: 66%)
  • 탭의 경도가 소재보다 높을 때는 탭이 소재를 강하게 긁어서 부러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탭이 부러지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연 근로시간 1000시간 중에 발생한 재해로 인하여 손실된 일수로 나타낸 것은?

  1. 연 천인율
  2. 강도율
  3. 도수율
  4. 손실률
(정답률: 59%)
  • 강도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손실일수를 근로시간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연 근로시간 1000시간 중에 발생한 재해로 인하여 손실된 일수를 근로시간으로 나눈 비율을 강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구의 안전한 취급 방법 중 틀린 것은?

  1. 스프레이건의 도료 분무시 방향이 다른 작업자의 인체를 향하지 않도록 한다.
  2. 사용한 공구는 청결하게 세정하여 현장의 작업장 바닥에 둔다.
  3. 작업 종료시에는 반드시 공구의 개수나 파손의 유무를 점검하여 다음날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4. 전기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항상 손에 물기를 제거하고 사용한다.
(정답률: 91%)
  • "사용한 공구는 청결하게 세정하여 현장의 작업장 바닥에 둔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공구를 바닥에 두면 다른 사람이 발로 밟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용한 공구는 청결하게 세정한 후에 보관함이나 공구함 등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용제의 영향으로 인체에 나타나는 현상 중 기관지 장애를 일으키는 용제는?

  1. 톨루엔
  2. 메틸알코올
  3. 부틸아세테이트
  4. 메틸이소부틸케톤
(정답률: 57%)
  • 메틸이소부틸케톤은 유기용제 중에서 기관지를 자극하여 기관지 장애를 일으키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기용제 중에서 다른 종류의 영향을 미치지만, 메틸이소부틸케톤은 기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관지 장애를 일으키는 용제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장설비에서 화재의 발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도료 가스등의 산화열에 의한 자연발화
  2. 용제등 취급중의 정전기 발화
  3. 도료 가스등과 회전부분과의 마찰열에 의한 발생
  4. 도료 사용방법 미숙
(정답률: 78%)
  • 도료 사용방법 미숙은 화재의 발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도장 작업자가 도료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안전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도료의 사용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료를 사용할 때 적절한 환기를 하지 않거나, 도료를 보관하는 장소가 화재 위험이 있는 곳에 위치해 있을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도장 작업자는 도료 사용 전에 안전 규정을 숙지하고,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며, 도료 사용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여 안전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장 위험물 보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화재나 폭발의 방지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가연물은 안전한 장소를 선택하여 보관한다.
  3. 용제나 도료 등의 재료를 취급하는 곳에는 소화기가 필요하지 않다.
  4. 사용 후의 천(헝겊)이나 잔류도료, 도료용기 등의 처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정답률: 85%)
  • "용제나 도료 등의 재료를 취급하는 곳에는 소화기가 필요하지 않다."는 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용제나 도료 등의 재료는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소화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스프레이부스 설치 목적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의 보호
  2. 도료의 절감
  3. 작업자의 건강 유지
  4. 도료 및 용제의 인화에 의한 재해방지
(정답률: 81%)
  • 스프레이부스 설치 목적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료의 절감"입니다. 스프레이부스는 환경의 보호, 작업자의 건강 유지, 도료 및 용제의 인화에 의한 재해방지를 위해 설치됩니다. 스프레이부스는 도료를 효율적으로 분사하여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이는 주요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에 대한 지각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동공→전안방→각막→수정체→초자체→망막
  2. 각막→전안방→동공→수정체→초자체→망막
  3. 각막→전안방→동공→초자체→수정체→망막
  4. 동공→전안방→각막→초자체→수정체→망막
(정답률: 62%)
  • 정답은 "각막→전안방→동공→수정체→초자체→망막" 입니다.

    빛은 눈안에 들어와 각막을 통과하여 전안방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전안방에서는 빛이 눈안으로 들어오는 방향을 조절하고, 동공을 통해 수정체로 들어가게 됩니다. 수정체에서는 빛이 굴절되어 초자체로 들어가고, 초자체에서는 빛이 망막에 도달하여 시각 정보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각막→전안방→동공→수정체→초자체→망막의 순서로 색에 대한 지각이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먼셀의 색상환 중 다섯 가지 주요 색상으로 옳은 것은?

  1. 빨강, 노랑, 청록, 파랑, 주황
  2. 빨강, 노랑, 연두, 파랑, 남색
  3. 빨강, 노랑, 청록, 파랑, 자주
  4.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정답률: 79%)
  • 먼셀의 색상환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색상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청록, 주황, 연두, 남색, 자주 등의 색상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은 먼셀의 색상환에서는 주요 색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색상 거리가 가까우며, 오래 보고 있어도 피로하지 않은 색채 배색은?

(정답률: 88%)
  • 정답인 ""는 파스텔톤의 색상으로, 색상 거리가 가깝고 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부담스럽지 않은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로 사용되는 파스텔톤의 색상들은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지기 때문에 배색이 조화롭고 균형잡힌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한 색상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탁색
  2. 순색
  3. 명청색
  4. 암탁색
(정답률: 68%)
  • 순색은 한 가지 색상의 순수한 색으로, 다른 색상과 혼합되지 않은 가장 진한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상은 순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주목성이 가장 강한 색은?

  1. 주황색
  2. 보라색
  3. 파란색
  4. 검정색
(정답률: 72%)
  • 주목성이 가장 강한 색은 주황색입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 지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색 중 하나이며, 주로 경고나 주의를 표시하는 신호등 등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주황색은 따뜻하고 활기찬 느낌을 주어서 광고나 마케팅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색채가 주는 감정효과를 맞게 표현한 것은?

  1. 색의 한남감은 색상에 의한 효과가 가장 강하다.
  2. 색의 중량감은 채도에 의한 효과가 가장 강하다.
  3. 색의 화려함은 명도의 효과가 가장 크다.
  4. 색의 강한 느낌과 부드러운 느낌은 색상의 효과가 가장 크다.
(정답률: 46%)
  • 정답: "색의 한남감은 색상에 의한 효과가 가장 강하다."

    설명: 색의 한남감은 색상 자체가 주는 감정적인 효과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열정적이고 활기찬 느낌을 주고, 파란색은 차분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색상의 효과는 채도나 명도와 같은 다른 색채 요소보다 더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색의 한남감은 색상에 의한 효과가 가장 강하다"는 말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색의 대비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다. 가장 옳은 것은?

  1. 보색대비 – 유채색이 무채색과 인접될 때 무채색은 유채색의 보색 기미가 있는 듯이 보인다.
  2. 색상대비 – 배열된 원색들은 인근 유사색의 영향으로 자기 고유색상이 감추어지는 경향이 있다.
  3. 면적대비 – 옷감을 고를 때 작은 견본에 비하여 옷이 완성되면 색상이 흐릿해졌다.
  4. 채도대비 – 의상디자인에서 무채색을 적절히 활용하면 동적인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정답률: 48%)
  • 보색대비는 색상 대비 중 하나로, 유채색과 무채색이 인접할 때 무채색은 유채색의 보색인 색상으로 인식되어 보인다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색상의 대비를 강조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저채도의 탁한 주황색을 만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 주황에 흰색을 섞는다.
  2. 빨강과 노랑에 녹색을 섞는다.
  3. 빨강과 노랑에 회색을 섞는다.
  4. 빨강과 노랑에 흰색을 섞는다.
(정답률: 78%)
  • 주황색은 빨강과 노랑을 섞어 만들어지는데, 저채도의 탁한 주황색을 만들기 위해서는 빨강과 노랑에 회색을 섞어야 합니다. 회색은 흰색과 검은색을 섞어 만들어지는데, 흰색을 섞으면 색이 너무 밝아지고, 녹색을 섞으면 주황색이 아닌 갈색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색을 섞어서 적절한 채도와 명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감법혼색의 3원색이 아닌 색은?

  1. Magenta
  2. Green
  3. Yellow
  4. Cyan
(정답률: 78%)
  • 감법혼색의 3원색은 Magenta, Yellow, Cyan입니다. 이 중 Green은 감법혼색의 3원색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Green은 혼합색으로서, Yellow와 Cyan을 혼합하여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박명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도는 407~455nm인 상태가 된다.
  2. 간상체(night vision)라고도 한다.
  3. 색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4. 추상체와 간상체가 동시에 활동한다.
(정답률: 58%)
  • 박명시는 감도가 407~455nm인 상태에서 활동하며, 이는 간상체(night vision)라고도 불리는 상태입니다. 이 때는 색을 정확히 판단할 수는 없지만, 추상적인 형태나 움직임은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박명시는 추상체와 간상체가 동시에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여러 가지 많은 색 점들이 동시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에 일어나는 혼색은?

  1. 가산혼합
  2. 계시가법혼색
  3. 병치혼합
  4. 감산혼합
(정답률: 72%)
  • 여러 가지 많은 색 점들이 동시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에 일어나는 혼색은 "병치혼합"입니다. 이는 각각의 색이 독립적으로 유지되면서도 함께 보이는 혼색으로, 색 점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옆에 나란히 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 점이 옆에 나란히 놓여 있으면 빨간색과 파란색이 함께 보이는 보라색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색과 가장 거리가 먼 느낌은?

  1. 진출하는 느낌
  2. 시원한 느낌
  3. 안정된 느낌
  4. 조용한 느낌
(정답률: 66%)
  • 정답은 "조용한 느낌"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선명하고 강렬한 색상들로 이루어져 있어 눈에 띄게 느껴지는 반면, 조용한 느낌은 연한 회색과 연한 노란색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보기들과는 대조적으로 눈에 띄지 않고 조용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