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보기 내용에서 타이어 사용공기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적합한 것은?

  1. 저압타이어
  2. 고압타이어
  3. 초저압타이어
  4. 초고압타이어
(정답률: 88%)
  • 보기에서는 타이어 사용공기압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저압타이어"는 그림에서 보이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은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그림에서 타이어의 모양이 펑크된 것처럼 평평하게 되어 있고, 타이어의 측면에 "LOW PRESSURE"라는 문구가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압타이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모노코크 바디어 각부 구조 중 리어바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트렁크 리드 로크
  2. 레인 포스
  3. 테일 게이트
  4. 한지
(정답률: 62%)
  • "레인 포스"는 모노코크 바디어의 리어바디에 속하지 않는 부분입니다. "레인 포스"는 차량의 외부에서 비가 들어오지 않도록 차량 루프와 윈도우 사이에 위치한 방수 장치입니다. 따라서, "레인 포스"는 모노코크 바디어의 리어바디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국제단위계(SI단위)에서 힘의 단위로 맞는 것은?

  1. N
  2. m/s2
  3. Pa
  4. N·m
(정답률: 85%)
  •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SI 단위계에서 힘의 단위는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kg)과 가속도의 단위인 미터/초 제곱(m/s^2)을 곱한 단위인 뉴턴(N)입니다. 따라서 "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관의 냉각장치에서 엔진온도가 과열되면 냉각수가 보조탱크로 배출되고 온도가 내려가면 진공 밸브가 열려 보조탱크의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방열 핀
  2. 서모스탯
  3. 압력식 캡
  4. 라디에이터
(정답률: 69%)
  • 압력식 캡은 냉각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 내부의 냉각수가 끓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수의 끓음점을 높여 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엔진 온도가 과열되면 압력식 캡이 작동하여 냉각수를 보조탱크로 배출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압력식 캡이 열려 보조탱크의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동차에서 흔히 사용하는 1마력(PS)을 와트(W)로 환산하면?

  1. 약 360 W
  2. 약 632 W
  3. 약 735 W
  4. 약 860 W
(정답률: 86%)
  • 1마력은 745.7 와트(W)입니다. 따라서, 약 735 W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동차 차체 프레임(frame)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부재의 경량화
  2. 충분한 강성과 강도
  3. 분포하중의 균일화
  4. 우수한 기밀성
(정답률: 69%)
  • 자동차 차체 프레임의 요구조건 중에서 "우수한 기밀성"은 차체 내부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요구조건이므로, 차체 프레임의 요구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우수한 기밀성은 차체 프레임의 요구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동차의 각종 등화장치에 관련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전조등(Head lamp) : 야간 운행을 위한 조명
  2. 안개등(Fog lamp) : 안개 속에서 운행을 위한 조명
  3. 실내등(Room lamp) : 차 실내를 조명
  4. 계기등(instrument lamp) : 후진 방향을 조명
(정답률: 93%)
  • 계기등은 차량의 계기판을 조명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등화장치입니다. 따라서 후진 방향을 조명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흡기밸브는 상사점 전 10~30°에서 열리고 배기밸브는 상사점 후 10~30°에서 닫힐 때 흡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리게 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밸브 바운드(bound)
  2. 블로 다운(blow-down)
  3. 밸브 오버랩(over lap)
  4. 블로 바이(blow-by)
(정답률: 88%)
  • 밸브 오버랩(over lap)은 흡기밸브가 열리는 동안에도 배기밸브가 아직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두 밸브가 겹쳐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때, 흡기밸브가 열리는 시점과 배기밸브가 닫히는 시점이 겹치는 구간을 오버랩 구간이라고 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순환하며, 연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타이어 규격 표시 “205 55 R17”에서 55의 의미는?

  1. 최고속도 허용 시간당 55 마일을 의미함
  2. 타이어 폭에 대한 높이의 편평비가 55%임을 의미함
  3. 타이어 호칭 치수가 고압 타이어임을 의미함
  4. 튜브가 없는 튜브레스 타이어를 의미함
(정답률: 92%)
  • 타이어 규격 표시에서 "55"은 타이어 폭에 대한 높이의 편평비가 55%임을 의미합니다. 즉, 타이어의 높이가 폭의 55%인 것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의 끓는점을 100℃로 하고 얼음의 녹는점을 0℃로 정하여 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섭씨온도
  2. 화씨온도
  3. 절대온도
  4. 랭킨온도
(정답률: 84%)
  • 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를 섭씨온도라고 합니다. 이는 물의 끓는점과 얼음의 녹는점을 기준으로 정한 온도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섭씨온도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온도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저비점 용제의 종류인 것은?

  1. 아세톤, MEK, 메틸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2. 톨루엔, 아밀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부틸알코올
  3. 부틸셀로솔브, 백등유, 미네랄스피릿,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4. 이소부틸알코올, 초산부틸, 초산아밀, 크실렌
(정답률: 80%)
  • 정답은 "아세톤, MEK, 메틸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입니다. 이들은 모두 저비점 용제로서, 즉 낮은 끓는점을 가지고 있어 쉽게 증발하고 빠르게 건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산업에서는 페인트, 접착제, 인쇄 잉크 등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며, 일상 생활에서는 네일 케어 제품, 클리너 등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컴파운딩 공정의 주된 목적은?

  1. 도막 보호
  2. 칼라 샌딩 연마 자국 제거
  3. 도막의 은폐
  4. 스월 마크 제거
(정답률: 62%)
  • 컴파운딩 공정의 주된 목적은 칼라 샌딩 연마 자국 제거입니다. 이는 자동차 표면에 생긴 작은 스크래치나 자국을 제거하여 차량 외관을 더욱 깨끗하고 매끄럽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도막 보호, 도막의 은폐, 스월 마크 제거는 부가적인 효과일 뿐, 주된 목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메탈릭 색상의 조색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조색시 먼저 많이 소요되는 색과 밝은 색부터 혼합하도록 한다.
  2. 원색의 첨가량을 최소화하여 선명한 색상을 만든다.
  3. 서로 다른 타입의 토료를 혼합 사용하도록 된다.
  4. 도료제조시 도장 할 양의 80% 정도만 만들고 색을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미조색하면서 도료의 양을 맞춘다.
(정답률: 74%)
  • 서로 다른 타입의 토료를 혼합 사용하도록 된다는 것은 조색시에는 같은 종류의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일반적인 원칙과는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서로 다른 타입의 도료를 혼합하면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서 예상치 못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색시에는 같은 종류의 도료를 사용하고, 가능하면 동일한 브랜드와 제조일자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라이머-서페이서 도장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일정한 기준도막 형성 및 층간 부착성을 향상시킨다.
  2. 중간층에 있어서 치밀한 도막의 두께를 형성한다.
  3. 상도 도막의 두께를 최대한 두껍게 형성한다.
  4. 연마에 있어서 노출된 강판에 대한 방청 효과가 있다.
(정답률: 82%)
  • 상도 도막의 두께를 최대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은 프라이머-서페이서 도장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상도 도막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면 부식방지 효과가 오히려 감소하고, 도막의 내부에 공기가 가둬져 부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흐름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신너 증발이 빠른 타입을 사용한 경우
  2. 한 번에 두껍게 칠하였을 경우
  3. 신너를 과다 희석 하였을 경우
  4. 스프레이건 거리가 가깝고 속도가 느린 경우
(정답률: 81%)
  • 흐름 현상은 액체가 너무 빨리 증발하여 표면이 빨리 마르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신너 증발이 빠른 타입을 사용한 경우"는 흐름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닙니다. 신너 증발이 빠른 타입은 오히려 느리게 증발하여 표면이 오래 유지되므로 흐름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에어 스프레이 방법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보수용 도료에 적용할 수 있다.
  2. 도착 효율이 좋다.
  3. 비교적 가격이 싸고 취급도 간단하다.
  4. 깨끗하고 미려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1%)
  • 에어 스프레이 방법은 도착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이는 스프레이하는 도료 입자가 공기와 함께 분산되어 일부는 목표물에 도달하지 못하고 분실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어 스프레이 방법은 대형 표면에 적용하는 것보다는 작은 부품이나 디테일한 부분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독면 사용 전 주의사항으로 바른 것은?

  1. 규정된 정화통의 여부
  2. 분진 같은 이물질 제거
  3. 흡기와 배기의 조절구에 묻은 수분제거
  4. 고무제품의 세척
(정답률: 68%)
  • 방독면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해 물질을 차단하여 호흡기를 보호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방독면을 사용하기 전에는 규정된 정화통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방독면이 사용되는 환경에서 공기가 충분히 정화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방독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방독면 사용 전에는 규정된 정화통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스킹 페이퍼와 마스킹 테이프를 한곳에 모아둔 장치로 마스킹 작업 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는?

  1. 틈새용 마스킹재
  2. 마스킹용 플라스틱 스푼
  3. 마스킹 커터 나이프
  4. 마스킹 페이퍼 편리기
(정답률: 91%)
  • 마스킹 페이퍼 편리기는 마스킹 페이퍼와 마스킹 테이프를 한 곳에 모아둔 장치로, 마스킹 작업 시에 필요한 재료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마스킹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코트 펄 조색 작업시 베이스의 건조가 불충분하여 생길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이색발생
  2. 얼룩발생
  3. 주름발생
  4. 핀홀발생
(정답률: 59%)
  • 3코트 펄 조색 작업시 베이스의 건조가 불충분하면 핀홀발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핀홀은 작은 구멍 모양의 결함으로, 베이스가 충분히 건조하지 않으면 펄이 부착되지 않고 공기 포집이 생겨 핀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색발생, 얼룩발생, 주름발생은 모두 베이스의 건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료를 도장하여 건조할 때 도막에 바늘구멍과 같이 생기는 현상을 핀홀이라고 한다. 다음 중 핀홀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두껍게 도장한 경우
  2. 세팅타임을 너무 많이 주었을 때
  3. 점도가 높은 경우
  4. 속건 신너 사용 시
(정답률: 73%)
  • 세팅타임을 너무 많이 주었을 때는 도료가 건조하기 전에 표면에 공기가 포집되어 핀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팅타임은 도료가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도료가 건조하기 전에 표면에 공기가 포집되어 핀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세팅타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자동차 부품용 플라스틱 소재를 용접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열풍 용접
  2. 에어리스 용접
  3. 접착제 용접
  4. 아르곤 용접
(정답률: 69%)
  • 아르곤 용접은 플라스틱 소재를 용접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아르곤 용접은 주로 금속 소재를 용접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용접 시 발생하는 산화를 방지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용 플라스틱 소재를 용접하는 방법으로는 열풍 용접, 에어리스 용접, 접착제 용접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료 저장 중(도장 전) 침전 결함의 발생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1. ㉠, ㉡
  2. ㉠, ㉡, ㉢
  3. ㉠, ㉡, ㉢, ㉣
  4. ㉢, ㉣
(정답률: 79%)
  • 도료 저장 중 침전 결함은 도료 내의 불용성 물질이 침전되어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료 내의 불용성 물질을 적절히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첨가합니다. 하지만, 분산제의 양이 부족하거나 혼합이 부족하면 불용성 물질이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침전 결함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 ㉡은 분산제의 양과 혼합이 부족한 경우를 나타내며, ㉢는 분산제의 종류가 부적절한 경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하도용으로 가장 적합한 도료는 어떤 것이 좋은가?

  1. 수용성 전착도료
  2. 투명에 가까운 프라이머 도료
  3. 분말화된 분체도료
  4. 우레탄에 가까운 투명도료
(정답률: 54%)
  •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대량 생산이 필요하므로 빠른 건조와 높은 품질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수용성 전착도료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 도료는 물에 녹아들어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빠른 건조가 가능하며, 높은 접착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의 외부 환경에도 잘 견딜 수 있습니다. 또한, 색상의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자동차의 외관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동차 보수 도장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퍼티는?

  1. 오일 퍼티
  2. 폴리에스테르 퍼티
  3. 에나멜 퍼티
  4. 래커 퍼티
(정답률: 76%)
  • 자동차 보수 도장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퍼티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폴리에스테르 퍼티가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며, 내열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퍼티는 빠른 건조 시간과 우수한 광택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의 외관을 더욱 빛나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0℃ 이하의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희석제는?

  1. 동절형
  2. 표준형
  3. 느린 건조형
  4. 하절형
(정답률: 80%)
  • 10℃ 이하의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희석제는 "동절형"입니다. 이는 동절기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빠르게 건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절기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보통 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동절형 희석제는 습기를 빠르게 제거하여 빠른 건조를 돕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수도장 후 출고된 자동차가 크리어층에 균열이 생기고 갈라져 있었다면 어떤 결함인가?

  1. 도막박리
  2. 크랙현상
  3. 부풀음
(정답률: 81%)
  • 크리어층에 균열이 생기고 갈라져 있는 것은 크랙현상이다. 크랙현상은 재료의 내부적인 응력이나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해 생긴 균열로, 보수도장 후 출고된 자동차에서는 보수 작업 중 잘못된 처리나 부적절한 재료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보수 도장에서 도막의 두께를 두껍게 도장할 경우 다음 조건 중 틀린 것은?

  1. 도료의 토출량을 많게 함
  2. 건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함
  3. 건의 거리를 가깝게 함
  4. 패턴의 폭을 넓게 함
(정답률: 83%)
  • 패턴의 폭을 넓게 함은 도막의 두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패턴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도막의 두께가 두껍게 도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패턴의 폭을 넓게 함"이 틀린 것입니다. 패턴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도막의 두께와는 관계없이 도장된 부분의 외관이 바뀌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명도가 다른 두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인하여 어떤 현상을 나타내는가?

  1. 밝은 색은 어둡게 보인다.
  2. 밝은 색은 더 밝게 보인다.
  3. 어두운 색은 밝게 보인다.
  4. 두 색은 별다른 변화가 없다.
(정답률: 75%)
  • 답: 밝은 색은 더 밝게 보인다.

    명도가 다른 두색이 함께 있을 때, 밝은 색은 주변의 어두운 색과 대조되어 더욱 빛나고 밝게 보이게 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시각적인 인상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밝은 색은 더 밝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구도막의 제거작업 순서로 맞는 것은?

  1. 탈지작업 – 세차작업 –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 손상부위 구도막제거작업 –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 - 탈지작업 – 화성피막작업
  2. 세차작업 – 탈지작업 –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 손상부위 구도막제거작업 –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 - 탈지작업 – 화성피막작업
  3. 손상부위 구도막제거작업 – 세차작업 – 탈지작업 –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 - 탈지작업 – 화성피막작업
  4.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 – 탈지작업 – 화성피막작업 – 손상부위 구도막제거작업 – 세차작업 - 탈지작업 –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정답률: 70%)
  • 정답은 "세차작업 – 탈지작업 –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 손상부위 구도막제거작업 –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 - 탈지작업 – 화성피막작업"입니다.

    구도막제거작업은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며,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는 구도막제거작업 이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세차작업은 탈지작업 이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세차작업 – 탈지작업 – 손상부위 점검 및 표시작업 – 손상부위 구도막제거작업 – 단낮추기(표면조정작업) - 탈지작업 – 화성피막작업"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차의 색상과 테스트 시편의 색상비교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비교 각도
  2. 비교 온도
  3. 광원의 조건
  4. 비교 장소
(정답률: 70%)
  • 자동차의 색상과 테스트 시편의 색상비교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비교 온도"입니다. 이는 색상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교 시에는 동일한 온도에서 비교해야 정확한 색상 비교가 가능합니다. 비교 각도, 광원의 조건, 비교 장소는 모두 색상 비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온도는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점도계 중 유출식 점도계가 아닌 것은?

  1. 스토머 점도계
  2. 오스왈드 점도계
  3. 레드우드 점도계
  4. 포오드컵 점도계
(정답률: 52%)
  • 스토머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 점도계는 유출식 점도계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다른 점도계들은 유출식 점도계가 아니지만 스토머 점도계는 유출식 점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색이 잘 안 될 때에 조치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상을 바꾼다.
  2. 견본색상 배치를 바꾸어 본다.
  3. 대조되는 색을 놓아 본다.
  4. 시편을 같은 크기로 조색한다.
(정답률: 70%)
  • 색상은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색상을 바꾸면 전체적인 디자인이 바뀔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색상은 감정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조색이 잘 안 될 때에는 색상을 바꾸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견본색상 배치를 바꾸어 본다는 것은 색상을 바꾸는 것과 유사하지만, 보다 세부적인 조정을 위한 방법입니다. 대조되는 색을 놓아 본다는 것은 색상의 대비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며, 시편을 같은 크기로 조색한다는 것은 시각적인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시편을 같은 크기로 조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압축공기 점검사항으로 맞는 것은?

  1. 공기탱크 수분으 1개월 마다 배출시킨다.
  2. 매일 윤활유량을 점검하고 2년에 1회 교환한다.
  3. 년1회 공기여과기를 점검하고 세정한다.
  4. 월1회 구동벨트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하면 교환한다.
(정답률: 59%)
  • 압축공기 시스템에서 구동벨트는 압축기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구동벨트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월 1회 구동벨트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하면 교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수도장에서 부분도장하여 분무된 색상과 원 색상의 차이가 육안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거나 색상이색을 최소화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클리어 코트(clear coat)
  2. 웨트 코트(wet coat)
  3. 숨김 도장(blenging coat)
  4. 드라이 코트(dry coat)
(정답률: 85%)
  • 답: 숨김 도장은 분무된 색상과 원 색상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색상을 섞어서 블렌딩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따라서 "blending"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숨김 도장(blending coat)"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색 작업 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조색 전 도료를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여 사용한다.
  2. 조색실은 적절한 환기 시설이 있어야 한다.
  3. 용제 및 도료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뚜껑을 닫는다.
  4. 도료가 눈에 들어가면 빨리 희석제로 닦아낸다.
(정답률: 87%)
  • 정답은 "도료가 눈에 들어가면 빨리 희석제로 닦아낸다." 이다. 이유는 도료가 눈에 들어가면 빨리 희석제로 닦아내지 않으면 눈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에 도료가 들어가면 즉시 희석제로 닦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료건조의 종류라 할 수 없는 것은?

  1. 냉각건조
  2. 액화건조
  3. 산화건조
  4. 중합건조
(정답률: 51%)
  • 액화건조는 도료를 액체 상태로 바꾼 후 건조시키는 방법이지만, 나머지 세 가지 방법은 도료를 고체 상태로 바꾼 후 건조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액화건조는 도료건조의 종류라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플라스틱 범퍼의 보수 방법이 아닌 것은?

  1. 가열 수정 작업
  2. 용접 보수 작업
  3. 우레탄 보수 작업
  4. 접착제 보수 작업
(정답률: 44%)
  • 우레탄 보수 작업은 플라스틱 범퍼의 표면을 깨끗하게 손질한 후 우레탄 재질을 사용하여 보수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플라스틱 범퍼의 표면을 보호하고 복원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가열 수정 작업, 용접 보수 작업, 접착제 보수 작업은 모두 플라스틱 범퍼를 보수하는 다른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우레탄 보수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습식연마 작업용 공구로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받침목
  2. 구멍 뚫린 패드
  3. 스펀지 패드
  4. 디스크 샌더
(정답률: 55%)
  • 습식연마는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작업 도구와 함께 사용할 때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디스크 샌더는 전기 작업 도구 중에서 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물과 전기가 만나면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스크 샌더는 습식연마 작업용 공구로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렌치 작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렌치의 크기는 너트보다 조금 큰 치수를 사용한다.
  2. 렌치를 너트에 깊이 물린다.
  3. 높거나 좁은 장소에서는 몸을 안전하게 한 다음 작업한다.
  4. 렌치를 해머로 두드려서는 안 된다.
(정답률: 87%)
  • "렌치의 크기는 너트보다 조금 큰 치수를 사용한다."라는 주의사항은 틀린 것입니다. 오히려 렌치의 크기는 너트와 일치하거나 조금 작은 치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너트를 꼭지까지 끼우고 회전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렌치를 너트에 깊이 물린다는 것은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이는 너트와 렌치 사이에 여유가 없도록 하여 회전력을 최대한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높거나 좁은 장소에서는 몸을 안전하게 한 다음 작업하는 것도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이는 작업 중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렌치를 해머로 두드려서는 안 된다는 것도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이는 렌치를 손상시키거나 부러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실내에서 엔진을 사용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에 해당되는 것은?

  1. 소음
  2. 일산화탄소(CO)
  3. 진동
  4. 작업 시간
(정답률: 87%)
  • 실내에서 엔진을 사용할 때 일산화탄소(CO)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는 엔진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유독 가스로, 무색, 무취이며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에서 엔진을 사용할 때는 환기를 충분히 해주어 일산화탄소 농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인화성이 가장 큰 물질은?

  1. 신너
  2. 알코올
  3. 경우
  4. 솔벤트
(정답률: 70%)
  • 신너는 분자 내부에 질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성으로 인해 인화성이 가장 큰 물질 중 하나입니다. 반면, 알코올, 경우, 솔벤트는 신너보다 분자 구조가 덜 안정적이기 때문에 인화성이 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계작업에서 작업자가 취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구멍깎기 작업시 운전도중 구멍속을 청소한다.
  2. 치수측정은 운전을 멈춘 후 측정토록 한다.
  3. 운전 중에는 다듬면 검사를 절대로 금한다.
  4. 베드 및 테이블의 면을 공구대 대용으로 쓰지 않는다.
(정답률: 89%)
  • "구멍깎기 작업시 운전도중 구멍속을 청소한다."가 틀린 것은, 운전 중에는 작업장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기계에 손을 넣거나 구멍속을 청소하는 것은 금지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탁상드릴로 둥근 공작물에 구멍을 뚫을 때 공작물 고정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손으로 잡는다.
  2. 바이스 플라이어로 잡는다.
  3. V블럭과 클램프로 잡는다.
  4. 헝겊에 싸서 바이스에 고정한다.
(정답률: 71%)
  • V블럭과 클램프는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구멍을 뚫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공작물이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잡는 것은 위험하고 바이스 플라이어로 잡는 것은 고정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헝겊에 싸서 바이스에 고정하는 것은 공작물이 움직일 수 있으며, 작업 중에 헝겊이 미끄러져서 위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기용제 중독에 따른 예방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1. 마스크 착용
  2. 작업장의 용제 증기 축적
  3. 작업자 교대 및 작업시간 단축
  4. 위험성이 적은 도료 및 용제 선택
(정답률: 77%)
  • 작업장의 용제 증기 축적은 예방대책이 아니라 문제 자체입니다. 유기용제 증기는 작업장 내부에 축적되면서 작업자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작업장 내부의 환기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작업장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장부스가 갖추어야 할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안전한 온도상승 조절 및 공급기능이 확실하고 경제성을 제공해야 한다.
  2. 불순물과 먼지의 제거를 위해 통풍장치와 여과장치가 완전해야 한다.
  3. 도장작업자의 보호를 위해 여과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4. 도장 작업시 바닥에 페인트 먼지와 유해한 페인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수적이며 배기 필터는 매일 교환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67%)
  • 안전한 온도상승 조절 및 공급기능이 확실하고 경제성을 제공해야 한다.는 도장부스가 가져야 할 기능 중 하나이지만,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장 작업시 바닥에 페인트 먼지와 유해한 페인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수적이며 배기 필터는 매일 교환해 주어야 한다."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료보관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사광선이 드는 내화구조의 창고에 보관
  2. 햇빛이 적당히 비치는 밀폐된 창고에 보관
  3. 통풍, 차광이 알맞은 내화구조의 창고에 보관
  4. 인화방지를 위해 밀폐 창고를 이용
(정답률: 82%)
  • 도료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며, 직사광선이나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풍이 잘 되고 차광이 가능한 내화구조의 창고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직사광선이 드는 창고나 밀폐된 창고는 온도와 습도 조절이 어렵고, 인화성이 있는 도료의 경우 안전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스프레이건 세척작업 시 착용해야 할 보호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보안경
  2. 귀마개
  3. 방독마스크
  4. 내용제성 장갑
(정답률: 85%)
  • 스프레이건 세척작업 시에는 화학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어도 방독마스크와 내용제성 장갑은 착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귀마개는 화학물질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보호구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기압축기에서 생산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사용하는 곳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기는?

  1. 스프레이 부스
  2. 에어 트랜스포머
  3. 에어 필터
  4. 에어 컴프레서
(정답률: 69%)
  • 에어 트랜스포머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산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사용하는 곳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기를 정제하거나 압축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감법혼색의 3원색을 등량(等量)혼합 할 때 이론적인 색은?

  1. 흰색
  2. 자주
  3. 검정
  4. 청록
(정답률: 59%)
  • 감법혼색의 3원색은 청록, 자주, 노랑입니다. 이들을 등량혼합하면 검정색이 나타납니다. 이는 감법혼색에서는 모든 색이 흡수되어 검정색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인 색은 검정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상환에서 반대색끼리 나타날 수 있는 대비는?

  1. 명도대비
  2. 보색대비
  3. 색상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78%)
  • 보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색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 파랑과 주황 등이 보색입니다. 이러한 보색끼리 대비를 이루면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느껴지고, 눈에 띄게 차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보색끼리 나타나는 대비를 보색대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빨간색의 연상과 상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열
  2. 위험
  3. 광명
  4. 혁명
(정답률: 79%)
  • 빨간색은 보통 정열, 위험, 혁명과 연관되어 생각되지만, 광명은 그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광명은 밝고 빛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먼셀 기호 5YR 6/12는 무슨 색인가?

  1. 노랑
  2. 주황
  3. 빨강
  4. 자주
(정답률: 74%)
  • 먼셀 기호 5YR은 색상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여기서 5는 색상의 진하기(hue)를 나타내고 YR은 색상의 채도(chroma)와 색조(hue)를 나타냅니다. 6/12는 색상의 밝기(value)를 나타내며, 6은 중간 밝기이고 12는 상대적으로 밝은 색상입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주황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화현상(베졸트 효과)의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한 색이 다른 색 위에 넓혀가는 것처럼 보인 전파효과라고도 한다.
  2. 특정색이 인접되는 색의 영향을 받아 인접 색에 먼색이 되어 보이는 현상
  3. 색이 다른 색에 둘러싸여 있을 때 둘러싸여 있는 색이 주위의 색과 비슷해 보이는 현상
  4. 백색선의 형태를 그리면 배경색이 밝게 보인다.
(정답률: 47%)
  • 백색선의 형태를 그리면 배경색이 밝게 보인다는 설명은 동화현상과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오답입니다.

    동화현상(베졸트 효과)는 특정색이 인접되는 색의 영향을 받아 인접 색에 먼색이 되어 보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노란색이 인접해 있을 때, 빨간색은 더 빨갛게, 노란색은 더 노랗게 보이게 됩니다. 이는 색의 대비와 밝기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접한 색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활동적인 느낌을 주는 색이 아닌 것은?

  1. 적색
  2. 주황
  3. 노랑
  4. 파랑
(정답률: 73%)
  • 정답은 "파랑"입니다. 파란색은 주로 차분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색으로, 활동적인 느낌을 주는 색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열정적이고 활기찬 느낌을 주며, 주황색과 노란색은 밝고 활발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색의 3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의 3속성 중 채도가 우리 눈에 대하여 감각이 가장 예민하다.
  2. 빛의 반사율이 높은 색일수록 명도가 높다.
  3. 색상의 차이가 작은 색 관계를 보색이라 말한다.
  4. 채도란 색이 차갑거나 따뜻하게 느껴지는 정도를 말한다.
(정답률: 55%)
  • 빛의 반사율이 높은 색일수록 명도가 높다는 이유는,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는 양이 많을수록 더 밝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즉, 빛의 양이 많을수록 명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내용을 설명한 색체계는?

  1. 오스트발트 색체계
  2. NCS 색체계
  3. 먼셀 색체계
  4. PCCS 색체계
(정답률: 68%)
  • 이 색체계는 오스트발트 색체계입니다. 이는 색을 색상, 채도, 명도로 분류하는 색체계로, 색상은 24가지로 분류되며, 채도와 명도는 8단계로 분류됩니다. 이 색체계는 색의 분류와 표현이 간단하며, 색의 조합과 대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디자인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파랑 순색에 회색의 혼입량이 단계적으로 많아지면?

  1. 청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낮아진다.
  2. 청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높아진다.
  3. 탁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높아진다.
  4. 탁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낮아진다.
(정답률: 61%)
  • 회색은 색상의 채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파란색에 회색이 혼입되면 파란색의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회색이 점점 많아지면서 파란색이 희미해지고 회색이 강해져서 결국에는 탁색이 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탁색이 되며 채도가 점점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색료혼합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마젠타
  2. 노랑
  3. 시안
  4. 빨강
(정답률: 73%)
  • 빨강은 색료혼합의 3원색이 아닙니다. 색료혼합의 3원색은 마젠타, 노랑, 시안입니다. 이 세 가지 색을 섞으면 모든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빨강은 마젠타와 노랑을 섞어 만들어진 보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먼셀(Munsell) 색체계의 기본색상 수는?

  1. 10색상
  2. 24색상
  3. 28색상
  4. 48색상
(정답률: 66%)
  • 먼셀 색체계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색상(hue), 채도(chroma), 밝기(value) 세 가지 요소를 사용합니다. 이 중 색상은 10가지로 구분되며, 각각 빨강, 노랑, 녹색, 청록, 파랑, 보라, 빨강보라, 노랑보라, 녹색보라, 회색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먼셀 색체계의 기본색상 수는 10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사색상의 배색은?

  1. 활동적이며 대조적인 느낌
  2. 어둡고 무거운 느낌
  3. 강하고, 정적이며 대비적인 느낌
  4. 자연스럽고 안정된 조화로운 느낌
(정답률: 77%)
  • 유사색상의 배색은 비슷한 색상끼리 조화롭게 조합하여 자연스럽고 안정된 느낌을 줍니다. 색상의 대비가 적어 부드럽고 조화로운 느낌을 주며, 너무 화려하지 않아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