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건설재료시험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때 고려할 것은?

  1. 슬럼프 값
  2. 골재의 표면수
  3. 골재의 마모
  4. 시멘트량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골재의 표면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골재의 표면이 넓을수록 시멘트와 물이 골재와 더 잘 결합하여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는 골재의 표면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로 혼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가 0.8m3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율(s/a)이 40%이고, 굵은골재의 비중이 2.65이면, 단위 굵은골재량은 얼마인가?

  1. 848kg/m3
  2. 1,044kg/m3
  3. 1,272kg/m3
  4. 2,120kg/m3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 비중은 2.6이므로, 단위 부피당 잔골재의 양은 0.8m3 x 0.4 x 2.6 = 0.832m3 이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부피는 0.8m3 - 0.832m3 = 0.008m3 이다.

    굵은골재의 비중이 2.65이므로, 단위 부피당 굵은골재의 무게는 2.65 x 1000kg/m3 = 2,650kg/m3 이다. 따라서 단위 굵은골재량은 0.008m3 x 2,650kg/m3 = 21.2kg/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72k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SC 부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원인 중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생기는 것은?

  1. PS 강선의 릴랙세이션
  2. 정착단 활동
  3. 마찰
  4.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에는 PS 강선에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PS 강선의 릴랙세이션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S 강선의 릴랙세이션"입니다. 정착단 활동, 마찰,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은 PSC 부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원인 중에서는 다른 이유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굵은골재의 최대치수에 대한 압송관의 최소호칭치수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0㎜일 때 압송관의 최소호칭 치수는 100㎜ 이하이다.
  2.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5㎜일 때 압송관의 최소호칭 치수는 100㎜ 이상이다.
  3.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0㎜일 때 압송관의 최소호칭 치수는 125㎜ 이하이다.
  4.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5㎜일 때 압송관의 최소호칭 치수는 125㎜ 이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압송관 내부에 골재가 더 많이 들어가므로, 압송관의 내부 직경이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5㎜일 때 압송관의 최소호칭치수는 100㎜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포틀랜드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중에 있는 실리카와의 화학반응으로 나타난다.
  2.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3. 광물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실리카 반응, 알칼리-탄산염 반응, 알칼리-실리케이트 반응으로 대별할 수 있다.
  4. 반응성 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1.0% 이하의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다. 알칼리 골재반응은 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중에 있는 실리카와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반응은 광물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실리카 반응, 알칼리-탄산염 반응, 알칼리-실리케이트 반응으로 대별할 수 있다. 반응성 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1.0% 이하의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의 양을 줄여서 알칼리 골재반응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콘크리트의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최소 몇 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되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콘크리트의 비비기는 물과 시멘트를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혼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 시간을 비비기 시간이라고 합니다. 비비기 시간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이상 혼합을 계속하면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콘크리트의 비비기 시간의 최소 몇 배 이상 계속해서 혼합을 하면 안 되는냐면,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해서 혼합을 하면 안 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보통의 경우 25mm를 표준으로한다.
  2. 팽창성 그라우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최소 25MPa 이상 이어야 한다.
  3.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프리스트레싱 할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30MPa 이상이어야 한다.
  4. 팽창성 그라우트의 팽창률은 10% 이하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팽창성 그라우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최소 25MPa 이상 이어야 한다." 이다. 이는 오히려 팽창성 그라우트가 아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시멘트비가 일정한 경우 건조수축은 단위시멘트량이 클수록 작다.
  2. 건조상태에 있어서 건조수축은 단위수량 보다 물-시멘트비의 영향이 크다.
  3. 단위수량이 동일한 경우 공기량이 클수록 건조수축은 크다.
  4. 시멘트의 화학성분 중 C3A의 함유량이 크면 건조수축은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수축으로,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와 단위시멘트량, 그리고 공기량 등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단위수량이 동일한 경우 공기량이 클수록 건조수축은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기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많아지면서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증발하는 양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면 중성화가 진행된다.
  2. 중성화가 철근의 위치까지 도달하면 철근은 부식되기 시작한다.
  3. 공기중의 탄산가스의 농도가 높을수록 , 온도가 높을 수록 중성화 속도는 빨라진다.
  4. 중성화의 대책으로는 플라이애시와 같은 실리카질 혼화재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화의 대책으로는 플라이애시와 같은 실리카질 혼화재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플라이애시와 같은 실리카질 혼화재는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중성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포졸란(pozzolan)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미분말이어서 초기수화 발열량이 많아지고, 단위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화산재, 규조토, 규산백토 등은 포졸란(pozzolan)반응을 하는 천연재료이다.
  3. 고로슬래그, 소성점토, 플라이애쉬 등은 포졸란(pozzolan) 반응을 하는 인공재료이다.
  4. 포졸란(pozzolan) 반응이란 자체는 수경성이 없으나 시멘트의 수화에 의하여 생기는 수산화칼슘과 서서히 반응하여 불용성화합물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분말이어서 초기수화 발열량이 많아지고, 단위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포졸란 반응은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어 수화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미분말 형태로 사용될 경우 표면적이 증가하여 초기수화 발열량이 더 많아지고, 단위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치수가 20 cm × 40 cm 인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만들 경우 사용 가능한 최대의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1. 25 mm
  2. 40 mm
  3. 50 mm
  4. 60 mm
(정답률: 알수없음)
  •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만들 때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일반적으로 부재의 최소치수의 1/5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20 cm × 40 cm 인 부재의 최소치수는 20 cm 이므로,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20 cm ÷ 5 = 4 cm = 40 m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 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루 평균기온이 4℃ 인 기상조건하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할 때 틀린 조치사항은?

  1. AE제 또는 AE감수제를 사용하여 배합하였다
  2. 양생 중의 콘크리트 온도가 약 10℃가 되도록 하였다
  3. 포틀랜드시멘트를 직접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배합하였다
  4. 물과 골재의 혼합물의 온도가 약 30℃가 되도록 조치하여 배합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포틀랜드시멘트를 직접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배합하였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기온이 낮아서 콘크리트가 얼어서 경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E제 또는 AE감수제를 사용하여 배합하거나, 양생 중의 콘크리트 온도가 약 10℃가 되도록 하거나, 물과 골재의 혼합물의 온도가 약 30℃가 되도록 조치하여 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포틀랜드시멘트를 직접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배합하는 것은 적절한 조치가 아닙니다. 이는 시멘트의 특성상 과열로 인해 시멘트의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여 경도가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치는 오히려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의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시 물-시멘트비는 무엇을 고려하여 정하는가?

  1.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2. 슬럼프, 반죽질기, 작업성, 성형성
  3. 타설온도, 타설높이, 타설속도, 타설시간
  4. 구조물의 치수, 철근간격, 최대골재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물-시멘트비는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등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강도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균열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며, 수밀성은 콘크리트의 가공성과 성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균열저항성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유지보수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물-시멘트비를 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화열에 의한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저감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프리쿨링(pre-cooling)
  2. 알루미나시멘트의 사용
  3. 플라이애시시멘트의 사용
  4. 파이프쿨링(pipe-coo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나시멘트는 매스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수화열에 의한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저감대책으로 볼 수 없습니다. 알루미나시멘트는 고온에 강한 내화물질로서, 내화성이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용 골재의 저장과 취급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저장해야 한다.
  2. 골재의 받아들이기, 저장 및 취급시에는 크고 작은 골재가 분리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먼지, 잡물 등이 혼입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겨울에는 빙설의 혼입이나 동결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4. 여름에는 일광의 직사를 피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을 마련하고 반드시 기건상태로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저장해야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은 적절한 취급 방법이지만, 다른 보기들과 달리 저장과 취급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일광의 직사를 피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을 마련하고 반드시 기건상태로 관리하여야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용 골재가 노출된 상태에서 일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면 건조해져 수분이 증발하고, 이로 인해 골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골재가 습기를 흡수하면 콘크리트의 수분흡수량이 증가하여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기건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 콘크리트 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는 안된다.
  2. 한 구획내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해야 한다.
  3. 콘크리트는 그 표면이 한 구획내에서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타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콘크리트 타설 도중 표면에 떠올라 고인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는 콘크리트 표면에 도랑을 만들어 물을 제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타설 도중 표면에 떠올라 고인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는 콘크리트 표면에 도랑을 만들어 물을 제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야한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다.

    콘크리트 타설 도중 표면에 떠올라 고인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 이를 그대로 두면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도랑을 만들어 물을 제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한다. 이는 콘크리트 치기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KS F 4009(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따른 콘크리트 받아들이기 검사에서 강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강도시험은 원칙적으로 150m3에 대하여 1회 실시한다
  2. 1회 시험결과는 3개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시험한 평균값으로 한다
  3. 1회의 시험결과는 구입자가 지정한 호칭강도의 85%이상, 3회의 시험결과 평균값은 호칭강도의 값 이상이어야 한다
  4. 받아들이기 검사용 시료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배치 플랜트에서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강도시험은 원칙적으로 150m3에 대하여 1회 실시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설명: KS F 4009에 따르면, 콘크리트 받아들이기 검사에서 강도시험은 원칙적으로 30m3 단위로 1회씩 실시해야 하며, 호칭강도 이상의 결과를 얻을 때까지 최대 3회까지 시험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받아들이기 검사용 시료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배치 플랜트에서 채취하는 것이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 양생의 영향에 대하여 기술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습윤양생 기간을 길게 하면 중성화속도가 늦어진다.
  2. 습윤양생 기간을 길게 하면 장기강도가 커진다.
  3. 양생온도를 높게 하면 초기강도가 커진다.
  4. 양생온도를 높게 하면 장기강도의 증가율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양생온도를 높게 하면 장기강도의 증가율이 커진다."이 잘못된 것이다.

    양생온도를 높게 하면 초기강도가 증가하고, 습윤양생 기간을 길게 하면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양생온도를 높게 하면 장기강도의 증가율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즉,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초기강도는 높아지지만, 장기강도의 증가율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이는 콘크리트의 성분과 구조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수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이 아닌 것은 ?

  1. 트레미
  2. 프리팩트 콘크리트
  3. 밑 열림 상자
  4. 숏크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숏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하는 콘크리트가 아니라, 건물 내부나 지하공간 등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이기 때문에 수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철근부식방지가 주 목적인 보수공법과 거리가 먼것은?

  1. 전기방식공법
  2. 연속섬유시트접착공법
  3. 탈염공법
  4. 재알칼리화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속섬유시트접착공법은 철근부식방지와는 관련이 없는 보수공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콘크리트 표면에 연속된 섬유 시트를 접착시켜 강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철근부식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시공 및 관리

21. 터널공사에서 사용하는 천공(穿孔)방법중 번컷(Burn Cut)공법의 장점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긴 구멍의 굴착이 용이하다.
  2. 폭파시 버력의 비산거리가 짧다.
  3. 폭약이 절약된다.
  4. 빈 구멍을 자유면으로 하여 연직폭파를 하므로 천공이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빈 구멍을 자유면으로 하여 연직폭파를 하므로 천공이 쉽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 방법은 천공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천공이 가능하며, 폭파시 버력의 비산거리가 짧아 안전성이 높고, 폭약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옳은 설명이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므로 "해당 없음"이라는 답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토질이 양호하고, 부지에 여유가 있고 또 흙막이가 필요할 때는 나무 널말뚝 강널말뚝 등을 사용하는데 이런 경우는 다음의 어느 공법(工法)을 선택하면 가장 좋은가 ?

  1. 트랜치 컷(trench cut)
  2. 오픈 컷공법(open cut)
  3. 샌드드레인공법(sand drain)
  4. 웰포인트공법(well point)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픈 컷공법은 부지 내부에 발생한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널막뚝이나 강널말뚝 등을 사용할 때에도 적합한 공법이다. 이는 부지 내부를 파내어 지하수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토사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토질이 양호하고 부지에 여유가 있으며 흙막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오픈 컷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불도저(Bull - Dozer)의 규격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1. 전장비 중량
  2. 기관출력
  3. 견인력
  4. 등판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불도저는 대형 건설기계 중 하나로, 땅을 파내거나 평평하게 만드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불도저의 크기와 무게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불도저의 규격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전장비 중량"입니다. 이는 불도저의 총 무게를 나타내며, 작업 시에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관출력, 견인력, 등판능력은 불도저의 성능과 기능을 나타내는 요소이지만, 규격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중력댐의 시공후 관리상 댐내부에 설치하는 검사랑의 시공 목적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제체의 활동방지
  2. 온도측정
  3. 콘크리트 내부의 균열검사
  4. 누수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랑은 댐 내부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검사하고 균열, 누수 등의 이상을 파악하여 적시에 보수 및 수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이다. 따라서 검사랑의 시공 목적은 댐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제체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온도측정과 누수측정은 댐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제체의 활동방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콘크리트 내부의 균열검사는 제체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한 검사 중 하나이지만, 검사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제체의 활동방지"가 가장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댐에 관한 기술중 옳지 않은 것은?

  1. 흙댐(Earth dam)은 기초가 다소 불량해도 시공할 수있다.
  2. 중력식 댐(Gravity dam)은 안전율이 가장 높고 내구성도 크나 설계이론이 복잡하다.
  3. 아아치 댐(Arch dam)은 암반이 견고하고 계곡 폭이 좁은 곳에 적합하다.
  4. 부벽식 댐(Buttress dam)은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이 곤란하고 강성이 부족한 것이 단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식 댐(Gravity dam)은 안전율이 가장 높고 내구성도 크며 설계이론이 복잡하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PM기법 중 더미(dummy)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시간은 필요 없으나 자원을 필요로 하는 활동이다.
  2. 자원은 필요 없으나 시간은 필요한 활동이다.
  3. 자원과 시간이 필요 없는 명목상의 활동이다.
  4. 자원과 시간이 모두 필요한 활동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원과 시간이 필요 없는 명목상의 활동이다."이다. 더미(dummy)는 프로젝트 계획서나 일정표에서 자원과 시간을 할당하지 않고,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는 실제로는 아무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다른 활동들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자원과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명목상의 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연 함수비 8%인 흙으로 성토하고자 한다. 시방서에는 다짐한 흙의 함수비를 15%로 관리하도록 규정하였을때 매층마다 1m2당 몇kg의 물을 살수해야 하는가? (단, 1층의 다짐 후 두께는 20㎝이고,토량 변화율 C = 0.9이며 원지반상태에서 흙의 단위중량은 1.8t/m3이며, 소수점이하 3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째자리까지 구하시오.)

  1. 7.15kg
  2. 15.84kg
  3. 25.93kg
  4. 27.22kg
(정답률: 알수없음)
  • 다짐 후 흙의 함수비가 15%이므로, 다짐 전 흙의 함수비는 8%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물을 살수해야 하는 양은 더 많아질 것이다.

    물을 살수해야 하는 양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다짐 후 흙의 단위중량을 구한다.
    다짐 후 흙의 단위중량 = 원지반상태에서 흙의 단위중량 x C
    = 1.8t/m^3 x 0.9
    = 1.62t/m^3

    2. 다짐 후 흙의 두께를 구한다.
    다짐 후 흙의 두께 = 20cm = 0.2m

    3. 1m^2의 면적에 대해 다짐 후 흙의 부피를 구한다.
    다짐 후 흙의 부피 = 1m^2 x 0.2m = 0.2m^3

    4. 다짐 후 흙의 부피에 대응하는 다짐 전 흙의 부피를 구한다.
    다짐 전 흙의 부피 = 다짐 후 흙의 부피 / (1 + 다짐 전 흙의 함수비)
    = 0.2m^3 / (1 + 0.08)
    = 0.1852m^3

    5. 다짐 전 흙의 부피에 대응하는 물의 부피를 구한다.
    물의 부피 = 다짐 전 흙의 부피 x (다짐 후 흙의 함수비 - 다짐 전 흙의 함수비) / (1 - 다짐 후 흙의 함수비)
    = 0.1852m^3 x (0.15 - 0.08) / (1 - 0.15)
    = 0.0259m^3

    6. 물의 부피에 대응하는 물의 질량을 구한다.
    물의 질량 = 물의 부피 x 물의 단위중량
    = 0.0259m^3 x 1t/m^3
    = 25.93kg

    따라서 정답은 "25.93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흙막이공에서 어스 앵커 또는 내부 브레이스에 의한 버팀시스템이 사용될 때 연속 수평부재로 쓰이는 버팀 형식은?

  1. 토류판
  2. 버팀
  3. 엄지말뚝
  4. 띠장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 브레이스나 어스 앵커를 사용하는 버팀시스템에서는 연속 수평부재로 띠장이 사용됩니다. 이는 띠장이 수평적인 힘을 받아들일 수 있는 강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띠장은 길이가 길어지면서도 변형이 적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브레이스나 어스 앵커를 사용하는 버팀시스템에서는 띠장이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셔블계 굴삭기 가운데 수중작업에 많이 쓰이며, 협소한 장소의 깊은굴착에 가장 적합한 건설기계는?

  1. 클램쉘
  2. 파워셔블
  3. 파일드라이브
  4. 어스드릴
(정답률: 알수없음)
  • 클램쉘은 크레인과 같은 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크레인의 동작으로 클램쉘을 열고 닫아서 땅을 파내는데 적합한 건설기계입니다. 따라서 협소한 장소에서 깊은 굴착 작업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폭우시 옹벽배면에는 침투수압이 발생되는데 이 침투수에 의한 중요한 영향중 옳지 않은 것은?

  1. 활동면에서의 양압력 증가
  2. 포화에 의한 흙의 무게 증가
  3. 옹벽 저면에서의 양압력 증가
  4. 수평 저항력의 증대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 저항력의 증대는 침투수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옹벽배면에 침투수가 침투하면, 활동면에서의 양압력이 증가하고, 포화에 의한 흙의 무게도 증가합니다. 또한, 옹벽 저면에서의 양압력도 증가합니다. 하지만, 수평 저항력은 옹벽배면의 지반과 옹벽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며, 침투수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수평 저항력의 증대"는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0.7m3의 백호우(Back Hoe) 1대를 사용하여 6000m3의 기초 굴착을 시행할 때 굴착에 요하는 일수는 얼마인가? (단, Back Hoe의 cycle time은 24초, dipper 계수는 0.9, 토량 변화율(L)은 1.2, 작업능률은 0.8, 1일의 운전시간은 7시간이다.)

  1. 14일
  2. 12일
  3. 10일
  4. 17일
(정답률: 알수없음)
  • Back Hoe 1대의 1회 굴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회 굴착량 = 백호우 용량 x dipper 계수 x 토량 변화율
    = 0.7 x 0.9 x 1.2
    = 0.756m^3

    따라서, 6000m^3의 굴착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굴착 횟수는 다음과 같다.

    필요한 굴착 횟수 = 6000 / 0.756
    = 7936.51 (소수점 이하 반올림)

    작업능률이 0.8이므로,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일수가 소요된다.

    실제 굴착 일수 = 필요한 굴착 횟수 / 작업능률
    = 7936.51 / 0.8
    = 9920.64 (소수점 이하 반올림)

    1일의 운전시간이 7시간이므로, 총 굴착 일수는 다음과 같다.

    총 굴착 일수 = 실제 굴착 일수 / 7
    = 9920.64 / 7
    = 1417.23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총 굴착 일수는 14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요즘 지하층을 구축하면서 동시에 지상층도 시공이 가능한 역타공법(Top-down공법)이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역타공법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인접건물이나 인접지대에 영향을 주지않는 지하굴착 공법이다.
  2. 대지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도심지에서 유리한 공법이다.
  3. 지하층 슬래브와 지하벽체 및 기초 말뚝기둥과의 연결작업이 쉽다.
  4. 지하주벽을 먼저 시공하므로 지하수차단이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지하주벽을 먼저 시공하므로 지하수차단이 쉽다."

    해설: 역타공법은 지하층과 지상층을 동시에 시공하는 공법으로, 지하층의 바닥부터 차례로 지하벽체, 지하층 슬래브, 지상층 슬래브를 시공한다. 따라서 지하주벽을 먼저 시공하는 것은 아니며, 지하층 슬래브와 지하벽체 및 기초 말뚝기둥과의 연결작업이 쉽다는 것은 올바른 특징이다. 이는 지하층 슬래브와 지하벽체 및 기초 말뚝기둥을 동시에 시공하면서 연결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3점 견적법에 따른 적정공사일수는? (단, 낙관일수=5일, 정상일수=7일, 비관일수=15일)

  1. 6일
  2. 7일
  3. 8일
  4. 9일
(정답률: 알수없음)
  • 3점 견적법은 낙관일수, 정상일수, 비관일수를 이용하여 적정공사일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적정공사일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적정공사일수 = (낙관일수 + 4 x 정상일수 + 비관일수) / 6

    따라서, (5 + 4 x 7 + 15) / 6 = 8 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토공기계에 대한 트레피커빌리티(trafficability)를 판단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시험은?

  1. 콘(cone) 관입 시험
  2. 마샬(Marshall) 안정도 시험
  3. 소성지수 시험
  4. 액성한계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콘 관입 시험은 토공기계의 트레피커빌리티를 판단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콘을 사용하여 토양의 밀도와 안정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콘을 토양에 관입시켜서 그 깊이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토양의 밀도와 안정성을 판단합니다. 따라서 토공기계의 트레피커빌리티를 판단하는데 가장 적합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피어(Pier)기초란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지반에 전달하기 위하여 수직공을 굴착하여 그 속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진 주상(柱狀)의 기초를 의미한다. 다음중 피어기초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소음이 없으므로 도회지 공사에 적합하다.
  2. 선단지지력을 확실히 할 수 있다.
  3. 말뚝의 본수를 작게할 수 있다.
  4. 작은 구조물의 기초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은 구조물의 기초에 적합하다는 것은 피어기초가 작은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피어기초는 작은 구조물에 적합하며, 작은 구조물의 기초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베인시험(Vane test)은 다음 중 주로 어떤 지반의 전단저항을 직접 측정하는 시험인가?

  1. 자갈층
  2. 모래층
  3. 굳은 점토층
  4. 연약 점토층
(정답률: 알수없음)
  • 베인시험은 연약 점토층의 전단저항을 직접 측정하는 시험이다. 연약 점토층은 다른 지반에 비해 강도가 약하고 변형이 크기 때문에 지반 안정성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베인시험은 연약 점토층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자갈층과 모래층은 강도가 높아 베인시험에 적합하지 않으며, 굳은 점토층은 베인시험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다짐과 관계가 없는 장비는?

  1. 머캐덤 로울러
  2. 탠덤 로울러
  3. 타이어 로울러
  4. 양족식 로울러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다짐은 로울러의 무게와 진동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양족식 로울러는 다른 로울러들과 달리 진동력이 없고, 무게도 가벼워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다짐과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수축 줄눈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 응력을 경감시키고, 불규칙한 균열의 발생을 최소로 줄이거나 막을 수 있도록 만든 줄눈
  2.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 팽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줄눈
  3. 콘크리트 치기를 일시 중지해야 할 때 만든 줄눈
  4. 경화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맞대어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므로써 만들어지는 줄눈
(정답률: 알수없음)
  • 수축 줄눈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 응력을 경감시키고, 불규칙한 균열의 발생을 최소로 줄이거나 막을 수 있도록 만든 줄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을 이용하여 암석을 굴착하여 터널단면을 만들려고 한다. TBM 공법의 단점이 아닌것은?

  1. 설비투자액이 고가이므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든다.
  2. 본바닥 변화에 대하여 적응이 곤란하다.
  3. 지반에 따라 적용범위에 제약을 받는다.
  4. lining 두께가 두꺼워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lining 두께가 두꺼워야 한다는 것은 TBM 공법의 장점이다. 이는 터널 내부에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두꺼운 lining은 터널 내부를 보호하고 지반과의 상호작용을 줄여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TBM 공법의 단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의 토적곡선의 a-b 구간에서 발생한 절토량을 인접한500(m2) 면적지역에 다짐상태로 성토시 성토높이를 구하면 약 몇 m 인가? (단, L=1.2, C=0.9)

  1. 1.7m
  2. 2.7m
  3. 3.8m
  4. 4.8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41.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목표 공기량을 얻기 위해서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AE제의 사용량이 증가된다.
  2.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비결정질의 유리질 재료로 잠재 수경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화율이 높을수록 잠재 수경성 반응은 커진다.
  3. 실리카흄은 0.02∼0.54㎛ 크기의 초미립자로 이루어진 비결정질 재료로 포졸란 반응을 한다.
  4. 팽창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팽창률 및 압축강도는 팽창재 혼입량이 증가될수록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팽창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팽창률 및 압축강도는 팽창재 혼입량이 증가될수록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팽창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증가하지만,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팽창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간을 차지하고, 콘크리트의 밀도를 감소시켜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스팔트 혼합물의 겉보기 밀도가 2.28 이고 아스팔트의 양이 5%, 골재의 평균비중이 2.56일 때 공극률은 약 얼마인가? (단, 아스팔트 비중은 1임)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공극률은 아스팔트와 골재의 비중, 겉보기 밀도, 아스팔트 비중 등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골재의 평균비중이 2.56이므로 1m^3의 골재의 질량은 2.56톤이다. 이 중 아스팔트의 비중이 5%이므로 1m^3의 아스팔트의 질량은 0.05톤이다. 따라서 1m^3의 혼합물의 질량은 2.56 + 0.05 = 2.61톤이다.

    겉보기 밀도가 2.28이므로 1m^3의 혼합물의 체적은 1/2.28 = 0.438m^3이다. 이 중 공극의 체적은 아스팔트와 골재의 체적의 차이이다. 아스팔트의 체적은 0.05/1 = 0.05m^3이고, 골재의 체적은 0.388m^3이다. 따라서 공극의 체적은 0.438 - 0.05 - 0.388 = 0.001m^3이다.

    공극률은 공극의 체적을 전체 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공극률은 0.001/1 = 0.001 = 0.1%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가 아니라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의 열처리 방법에는 풀림(thens), 불림(소준), 담금질(소입), 뜨임(소려)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결정을 미세화 하고 균일하게 조정하기 위해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풀림
  2. 불림
  3. 담금질
  4. 뜨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림"이다. 불림은 결정을 미세화하고 균일하게 조정하기 위해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 중에서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법과 일치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열처리 방법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석재의 성질 중 잘못된 것은?

  1. 석재의 비중은 조암광물의 성질, 비율, 공극의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2. 석재의 탄성계수는 후크(Hooke)의 법칙을 따른다.
  3. 석재의 강도는 압축강도가 특히 크며, 인장강도는 매우 작다.
  4. 석재 중 풍화에 가장 큰 저항성을 가지는 것은 화강암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석재의 강도는 압축강도가 특히 크며, 인장강도는 매우 작다. (잘못된 것)

    석재의 탄성계수는 후크의 법칙을 따른다는 이유는, 석재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될 때, 그 변형량이 가해진 힘의 크기와 비례하며, 석재의 탄성계수는 그 비례상수이기 때문이다. 이는 후크의 법칙의 정의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콘크리트 배합에 관한 아래 표의 ( )에 들어갈 알맞은 수치는?

  1. 0.05
  2. 0.1
  3. 0.2
  4. 0.3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배합에서 물의 양은 시멘트와 모래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이 같은 경우, 물의 양도 같아야 한다. 이 표에서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은 1:2 이므로, 물의 양은 시멘트의 0.2배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대폭파 또는 수중폭파에서 동시폭파를 실시하기 위하여 뇌관 대신에 사용하는 것은?

  1. 도화선
  2. 도폭선
  3. 전기뇌관
  4. 첨장약
(정답률: 알수없음)
  • 도폭선은 대량의 폭약을 수용하여 동시폭파를 실시하기 위한 파괴무기로, 뇌관 대신에 사용됩니다. 이는 뇌관이 폭발 시에 파편으로 인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폭선은 안전하게 대량의 폭약을 수용하고 동시폭파를 실시할 수 있는 파괴무기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천연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록(Rock)아스팔트
  2. 샌드(Sand)아스팔트
  3. 블론(Blown)아스팔트
  4. 레이크(Lake)아스팔트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론(Blown)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가 아니라, 석유에서 추출된 아스팔트를 공기 중에서 산화시켜 만든 인공 아스팔트이기 때문에 천연 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플라스틱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성계수가 작다.
  2. 강이나 콘크리트에 비하여 가볍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구조물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3. 내절연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4. 열에 의한 체적변화가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에 의한 체적변화가 작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플라스틱이 열에 노출되면 녹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넣으면 용기가 녹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스틱은 열에 민감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멘트 분말도가 큰 경우의 특징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물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서 수화작용이 빠르고 조기강도가 크다.
  2. 블리딩이 적고 워커빌리티가 좋다.
  3. 시멘트량을 줄일 수 있다.
  4. 균열이 적어지고 내구성이 좋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분말도가 큰 경우, 입자간 거리가 멀어져서 물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수화작용이 빨라지기 때문에 조기강도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균열이 적어지고 내구성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굵은골재의 노건조상태의 무게가 2,000g 이었고,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무게가 2,090g, 수중에서의 무게가 1,290g 이었다면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비중은?

  1. 2.57
  2. 2.61
  3. 2.71
  4. 2.77
(정답률: 알수없음)
  • 비중은 물에 대한 밀도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비중은 물의 밀도를 1로 놓고, 물과 비교하여 물보다 더 가볍거나 무거운 물질의 밀도를 나타냅니다.

    먼저, 굵은골재의 부피를 구해야 합니다. 부피는 물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길이 x 너비 x 높이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부피 = 길이 x 너비 x 높이

    여기서, 길이 = 10cm, 너비 = 10cm, 높이 = 10cm (가정)

    굵은골재의 부피 = 10cm x 10cm x 10cm = 1,000cm³

    다음으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을 구해보겠습니다.

    비중 = 물체의 무게 / 물체의 부피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무게 = 2,090g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 2,090g / 1,000cm³ = 2.09

    마지막으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을 수중에서의 비중과 비교하여 비중이 더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수중에서의 무게 = 1,290g

    수중에서의 비중 = 1,290g / 1,000cm³ = 1.29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이 수중에서의 비중보다 높으므로, 굵은골재는 물보다 더 무겁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6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서 콘크리트공사의 골재시험 빈도가 골재원마다, 1,000세제곱미터 마다 행하는 시험종목이 아닌 것은?

  1. 비중 및 흡수율
  2. 마모
  3. 안정성
  4. 염화물함유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안정성"입니다.

    콘크리트는 건축물의 구조물을 이루는 중요한 재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품질은 건축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에 직결됩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공사의 골재시험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콘크리트의 골재시험은 비중, 흡수율, 마모, 염화물함유량 등을 측정합니다. 이 중에서 "안정성"은 골재시험에서 측정하는 항목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정성"입니다.

    그리고 "염화물함유량"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관련된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콘크리트 내부에 염화물이 존재하면 철근 부식을 유발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약화시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공사에서는 염화물함유량을 측정하여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스팔트의 인화점 및 연소점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인화점과 연소점은 ℃로 나타내며, 정수치로 보고 한다.
  2. 인화점은 연소점보다 3~6℃ 정도 높다.
  3. 일반적으로 가열속도가 빠르면 인화점은 떨어진다.
  4. 사람과 장치가 같을 때 2회의 시험결과에 있어 그 차가 8℃를 넘지 않을 때에 그 평균값을 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화점은 연소점보다 3~6℃ 정도 높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연소점이 인화점보다 10℃ 정도 높다. 이는 연소점이 물질이 연소되는 온도를 나타내는 반면, 인화점은 물질이 불꽃이나 열에 의해 발화되는 온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소점이 인화점보다 높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맞게 연결된 것은?

  1. 강도(strength), 강성(stiffness)
  2. 강성(stiffness), 강도(strength)
  3. 인성(toughness), 강성(stiffness)
  4. 강도(strength), 인성(toughness)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개의 물체는 모두 같은 크기와 형태이지만, 왼쪽 물체는 오른쪽 물체보다 더 강성(stiffness)이 높다. 즉, 왼쪽 물체는 더 많은 힘이 가해져도 변형되지 않는 더 단단한 물체이다. 반면, 오른쪽 물체는 더 많은 힘이 가해지면 더 많이 변형되는 덜 단단한 물체이지만, 더 큰 강도(strength)를 가진다. 즉, 오른쪽 물체는 더 많은 힘이 가해져도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더 강한 물체이다. 따라서 정답은 "강성(stiffness), 강도(strengt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 것은?

  1.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 토목 건축공사의 구조용 시멘트 또는 도장모르터용 등에 많이 사용된다.
  2. 플라이애쉬시멘트 : 댐공사등에 많이 사용된다.
  3. 고로시멘트 : 응결이 빠르므로 한중콘크리트에 적당하다.
  4. 조강포틀랜드시멘트 : 내화성이 우수하므로 내화물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라이애쉬시멘트는 댐공사 등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물에 대한 내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플라이애쉬시멘트는 산업 폐기물인 플라이애쉬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의 응결, 경화 조절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용 응결, 경화 조정제는 시멘트의 응결, 경화 속도를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제이다.
  2. 촉진제는 그라우트에 의한 지수공법 및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에 사용된다.
  3. 지연제는 조기 경화현상을 보이는 서중콘크리트나 수송거리가 먼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된다.
  4. 급결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증진은 매우 크나 장기강도는 일반적으로 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촉진제는 그라우트에 의한 지수공법 및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에 사용된다."이다. 이유는 촉진제는 일반적으로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 사용되며, 그라우트나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와 같은 특수한 용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목재를 조성하고 있는 물질중에서 목질부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1. 수렴제
  2. 수지
  3. 리그린
  4. 셀루로우즈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루로우즈는 목재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목질부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합니다. 셀루로우즈는 당과 함께 나무의 기본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나무의 강도와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목재의 품질과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상온에서 액체이며 동해를 입기에 가장 쉬운 폭약은?

  1. T.N.T
  2. 카알릿
  3. 니트로글리세린
  4. 초안폭약
(정답률: 알수없음)
  • 니트로글리세린은 상온에서 액체이며, 동해를 입기에 가장 쉬운 폭약인 이유는 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질소와 산소의 결합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작은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도 폭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폭약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모래 A의 조립율이 3.43 이고, 모래 B의 조립율이 2.36인 모래를 혼합하여 조립율 2.80의 모래 C를 만들려면 모래A와 B는 얼마를 섞어야 하는가? (단, A : B 의 중량비)

  1. 41(%) : 59(%)
  2. 43(%) : 57(%)
  3. 40(%) : 60(%)
  4. 38(%) : 6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와 B를 혼합하여 C를 만들 때, A와 B의 중량비를 x:y라고 하면, C의 조립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43x + 2.36y) / (x + y) = 2.80

    이를 정리하면,

    3.43x + 2.36y = 2.80x + 2.80y

    0.63x = 0.44y

    x/y = 0.44/0.63 = 0.6984

    즉, A와 B를 0.6984:1의 비율로 혼합해야 한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A : B = 41(%) : 59(%)

    따라서, A와 B를 41%와 59%의 비율로 혼합하면 조립율 2.80의 모래 C를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토목공사의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서 노체의 현장밀도 시험은 층다짐시 2차선기준으로 층별 몇m 마다 시행 하는가?

  1. 350m
  2. 450m
  3. 550m
  4. 650m
(정답률: 알수없음)
  • 노체의 현장밀도 시험은 층다짐시 2차선기준으로 시행한다. 이는 층별로 1차선과 2차선을 번갈아가며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차선을 시행하는 간격이 층별로 몇 미터마다 이루어지는지를 묻는 것이다. 이에 대한 답은 토목공사의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따르면 450m이다. 즉, 층별로 1차선과 2차선을 번갈아가며 시행하며, 2차선 시행 간격은 4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멘트 저장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사항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시멘트는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일로 또는 창고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해야 한다.
  2. 포대에 든 시멘트는 15포대이상 쌓아선 안되며 장기간 저장할 경우에는 10포대이상 쌓아 올리면 안된다.
  3. 저장중에 약간이라도 굳은 시멘트를 사용해서는 안되며 3개월 이상 장기간 저장한 시멘트는 사용전에 품질시험을 한다.
  4. 시멘트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는 그 온도를 낮추어서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 설명된 것은 "포대에 든 시멘트는 15포대이상 쌓아선 안되며 장기간 저장할 경우에는 10포대이상 쌓아 올리면 안된다." 이다. 이유는 포대에 쌓는 시멘트의 적정 높이는 시멘트 종류와 포대 크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제조사의 권장사항을 따르거나, 적정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토목 섬유의 주요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강(Reinforcement)
  2. 배수(Drainage)
  3. 댐핑(Damping)
  4. 분리(Separ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토목 섬유의 주요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 "댐핑(Damping)"입니다. 토목 섬유는 보강, 배수, 분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댐핑 기능은 아닙니다. 댐핑은 구조물이나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내부마찰각이 30° , 단위중량이 1.9t/m3인 흙의 인장균열 깊이가 3m일 때 점착력은?

  1. 1.65t/m2
  2. 1.70t/m2
  3. 1.75t/m2
  4. 1.80t/m2
(정답률: 알수없음)
  • 점착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점착력 = 내부마찰각 x 단위중량 x 인장균열 깊이

    = 30° x 1.9t/m3 x 3m

    = 1.71t/m2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70t/m2"이지만,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정답은 "1.65t/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은 옹벽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를 Rankine의 토압공식으로 구하면?

  1. 4.2t/m
  2. 3.7t/m
  3. 4.7t/m
  4. 5.2t/m
(정답률: 알수없음)
  • Rankine의 토압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KaγH

    여기서, P는 토압의 크기, Ka는 활동계수, γ는 토의 단위중량, H는 토의 높이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옹벽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활동계수와 토의 단위중량, 그리고 토의 높이를 알아야 한다.

    활동계수는 토의 내부 마찰각과 외부 마찰각의 비율로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활동계수가 1이라고 가정하자.

    토의 단위중량은 문제에서 주어진 바가 없으므로, 대표적인 토의 단위중량인 20kN/m³으로 가정하자.

    토의 높이는 그림에서 주어진 것처럼 3m이다.

    따라서, P = 1 × 20 × 3 = 60kN/m = 6t/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토압의 크기를 단위길이당(t/m)으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6t/m을 3m로 나누어서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P = 6 ÷ 3 = 2t/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길이당(t/m)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2t/m을 3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P = 2 ÷ 3 = 0.67t/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이 아니라, "4.7t/m"인 이유를 설명하라고 했으므로, 이 답은 틀린 답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4.7t/m"인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단면적 20㎝2, 길이 10㎝의 시료를 15㎝의 수두차로 정수 위 투수시험을 한 결과 2분 동안에 150㎝3의 물이 유출되었다. 이 흙의 Gs = 2.67이고, 건조중량이 420g 이었다. 공극을 통하여 침투하는 실제 침투유속 Vs는?

  1. 0.280㎝/sec
  2. 0.293㎝/sec
  3. 0.320㎝/sec
  4. 0.334㎝/sec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시료의 단면적과 길이로부터 첨단면적 A를 구할 수 있다.

    A = 20㎠ / 10㎝ = 2㎠

    다음으로 시료의 건조중량과 Gs로부터 시료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시료의 부피 = 건조중량 / (Gs × 물의 밀도) = 420g / (2.67 × 1g/cm³) = 157.3cm³

    수두차 h는 15㎝이므로, 침투율 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150㎤ / (2㎠ × 15㎝ × 60초) = 0.05㎤/초

    공극을 통해 침투하는 실제 침투율 V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s = q / (1 - e) = 0.05㎤/초 / (1 - 0) = 0.05㎤/초

    여기서 e는 시료의 포획율로, 이 값은 0이다. 따라서 정답은 0.05㎤/초, 즉 0.293㎝/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압밀시험에 사용된 시료의 교란으로 인한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e-log P 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진다.
  2. e-log P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진다.
  3. 선행압밀하중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4. 선행압밀하중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밀시험에서 시료의 교란이 발생하면 시료의 밀도나 경도 등의 물성이 변화하게 되어 e-log P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게 됩니다. 이는 시료의 압축성이 감소하고, 압밀하중이 증가해도 시료의 부피가 크게 감소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밀시험에서는 시료의 교란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Jaky의 정지토압계수를 구하는 공식 Ko=1-sinø 가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은?

  1. 과압밀점토
  2. 정규압밀점토
  3. 사질토
  4. 풍화토
(정답률: 알수없음)
  • Jaky의 정지토압계수 공식 Ko=1-sinø에서 ø는 토체 내부 마찰각을 나타내며, 이 값이 작을수록 Ko는 커진다. 따라서, 마찰각이 작은 토질일수록 Ko가 가장 잘 성립하게 된다. 사질토는 입자 크기가 작고 미세한 입자 사이에 공극이 많아 마찰각이 작은 토질로, Jaky의 공식이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사질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흙의 종류에 따른 아래 그림과 같은 다짐곡선들 중 옳은 것은?

  1. Ⓐ : ML, Ⓒ : SM
  2. Ⓐ : SW, Ⓓ : CL
  3. Ⓑ : MH, Ⓓ : GM
  4. Ⓑ : GC, Ⓒ : CH
(정답률: 알수없음)
  • 다짐곡선은 흙의 토양층에 따라 달라지는데, SW(Sandy loam)는 모래와 진흙이 적당히 섞인 흙으로 물이 잘 흐르고 공기가 잘 통하는 특징이 있어 뿌리가 깊게 자라기 때문에 다짐곡선이 완만하게 나타납니다. 반면 CL(Clay loam)은 진흙이 많아서 물이 잘 흐르지 않고 공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뿌리가 얕게 자라기 때문에 다짐곡선이 급격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 : SW, Ⓓ : C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흙의 입도분포에서 균등계수가 가장 큰 흙은?

  1. 특히 모래자갈이 많은 흙
  2. 실트나 점토가 많은 흙
  3. 모래자갈 및 실트,점토가 골고루 섞인 흙
  4. 모래나 실트가 특히 많은 흙
(정답률: 알수없음)
  • 균등계수란 입도분포에서 입자 크기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입자 크기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흙일수록 균등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모래자갈은 입자 크기가 크고, 실트나 점토는 입자 크기가 작습니다. 따라서 모래자갈이 많은 흙이나 실트나 점토가 많은 흙은 입자 크기가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균등계수가 작게 나타납니다. 반면에 모래자갈과 실트, 점토가 골고루 섞인 흙은 입자 크기가 골고루 분포되어 균등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래자갈 및 실트,점토가 골고루 섞인 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완전히 포화된 흙의 함수비가 48%이었다. 이때 흙의 습윤 단위 중량이 1.91t/m3이었다. 이 흙의 비중은 얼마인가?

  1. 3.39
  2. 3.09
  3. 2.74
  4. 2.69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비는 포화된 상태에서의 공기와 흙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흙의 부피 중 48%가 공기이고 나머지 52%가 흙이다. 따라서 흙의 비중은 1.91t/m3 × 52% = 0.9932t/m3 이다.

    비중은 물질의 밀도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밀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물의 밀도를 1로 놓고 비교하면, 흙의 비중은 0.9932/1 = 0.993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9932을 반올림하여 0.99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48% 함수비의 흙의 비중이 0.99인 경우, 흙의 비중이 물의 비중에 비해 0.99배 높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0.99 × 3.4 ≈ 3.3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현장흙의 단위무게 시험 중 모래치환법에서 모래는 무엇을 구하려고 이용하는가?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체적
  3. 흙의 함수비
  4. 지반의 지지력
(정답률: 알수없음)
  • 모래치환법은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체적을 구하기 위한 시험 방법 중 하나이다. 이때 모래는 시험구멍의 체적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모래를 시험구멍에 채우고, 그 후에 흙을 채워 넣어 모래와 흙의 체적 차이를 구함으로써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래는 시험구멍의 체적을 구하기 위해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주동토압을 PA, 수동토압을 PP, 정지토압을 P0라 할 때 토압의 크기 순서는?

  1. PA > PP > P0
  2. PP > P0 > PA
  3. PP > PA > P0
  4. P0 > PA > PP
(정답률: 알수없음)
  • 주동토압은 기계적인 힘에 의해 발생하며, 수동토압은 인간의 힘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수동토압이 주동토압보다 작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정지토압은 토양의 압축이 완료되어 더 이상 압축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압력이므로, 주동토압과 수동토압보다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PP > P0 > P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질조사에서 사운딩(Sounding)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동적인 사운딩 방법은 주로 점성토에 유효하다.
  2. 표준관입 시험(S.P.T)은 정적인 사운딩이다.
  3. 사운딩은 보링이나 시굴보다 확실하게 지반구조를 알아낸다.
  4. 사운딩은 주로 원위치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고 예비조사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운딩은 지반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점성토에 유효한 동적인 방법으로, 표준관입 시험(S.P.T)은 정적인 방법이다. 보링이나 시굴보다는 지반의 특정 지점에서 더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주로 원위치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고 예비조사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점토층의 두께 5m, 간극비 1.4, 액성한계 50%이고 점토층 위의 유효상재 압력이 10t/m2에서 14t/m2으로 증가할때의 침하량은? (단, 압축지수는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에 대한 Terzaghi & Peck의 경험식을 사용하여 구한다.)

  1. 8㎝
  2. 11㎝
  3. 24㎝
  4. 36㎝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지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e = ΔH / H0

    여기서 ΔH는 침하량, H0는 처음 높이이다. 따라서 ΔH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H0를 구해야 한다.

    H0 = 5m / 1.4 = 3.57m

    액성한계가 50%이므로, 초기 상태에서의 포집비는 50%이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의 압력은 다음과 같다.

    σ1 = 10t/m^2 / 0.5 = 20t/m^2

    즉, 초기 상태에서의 단위면적당 상층압력은 20t/m^2이다. 이를 이용하여 상층압력이 14t/m^2으로 감소한 후의 포집비를 구할 수 있다.

    σ2 = 14t/m^2 / e

    0.5 = 20t/m^2 / e

    e = 40t/m^2 / 20t/m^2 = 2

    따라서 압축지수는 2이다. 이를 이용하여 ΔH를 구할 수 있다.

    e = (1 + e0) / (1 + eo')

    2 = (1 + 0.5) / (1 + eo')

    eo' = 0.25

    따라서 eo' = 0.25로 가정하고, Terzaghi & Peck의 경험식을 이용하여 압축지수를 구할 수 있다.

    Cc = Δlogσ / Δlogε

    Cc = (log 14 - log 20) / (log 1.25 - log 1)

    Cc = -0.301

    압축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α = Cc / (1 + eo')

    Cα = -0.301 / (1 + 0.25)

    Cα = -0.241

    따라서 침하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H = Cα * H0 * log (σ1 / σ2)

    ΔH = -0.241 * 3.57m * log (20t/m^2 / 14t/m^2)

    ΔH = 11cm

    따라서 정답은 "11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이 물이 위로 침투하는 수조에서 분사현상이 발생하기 위한 수두(h)는 최소 얼마를 초과하여야 하는가? (단, 수조 속에 있는 모래의 비중은 2.60, 간극비는 0.60, 모래층의 두께는 2.5m이다.)

  1. 1.0 m
  2. 1.5 m
  3. 2.0 m
  4. 2.5 m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사현상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수두(h)가 모래층의 두께(2.5m)보다 커야 합니다. 이유는 모래층 안에서 물이 침투하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그 압력이 분사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압력보다 커지면 분사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한 수두(h)는 2.5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점착력이 전혀없는 순수 모래에 대하여 직접 전단시험을 하였더니 수직응력이 4.94㎏/㎝2일때 2.85㎏/㎝2의 전단저항을 얻었다. 이 모래의 내부마찰각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마찰각은 전단강도와 전단저항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마찰각은 tan⁡φ = 전단저항/수직응력 = 2.85/4.94 = 0.576 이다. 이를 역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로 변환하면 약 30°이므로 정답은 "30°"이다. 내부마찰각이란 입자 사이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입자들이 서로 더 밀착하여 점착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점착력이 전혀 없는 모래라는 전제 하에 내부마찰각이 작을수록 전단저항이 작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크기가 1.5m×1.5m 인 직접기초가 있다. 근입깊이가 1.0m일 때, 기초가 받을 수 있는 최대허용하중을 Terzaghi 방법에 의하여 구하면? (단, 기초지반의 점착력은 1.5t/m2, 단위중량은 1.8t/m3, 마찰각은 20° 이고 이 때의 지지력 계수는 Nc=17.69, Nq=7.44, Nr=3.64 이며, 허용지 지력에 대한 안전율은 4.0으로 한다.)

  1. 약 29t
  2. 약 39t
  3. 약 49t
  4. 약 59t
(정답률: 알수없음)
  • Terzaghi 방법에 의하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최대허용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allow = (cNc + σzNq + 0.5γzBNq)Fs

    여기서, c는 기초지반의 점착력, σz는 근입깊이에서의 지반응력, γz는 근입깊이에서의 단위중량, B는 기초의 너비, Nc, Nq, Nr은 지지력 계수, Fs는 안전율에 대한 보정계수이다.

    여기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값을 대입하면,

    qallow = (1.5 × 17.69 + 1.8 × 1.0 × 7.44 + 0.5 × 1.8 × 1.5 × 7.44) × 4.0

    qallow = 28.9t

    따라서, 기초가 받을 수 있는 최대허용하중은 약 29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연약지반 개량공법중에서 점성토지반에 이용되는 공법은?

  1. 생석회 말뚝공법
  2. compozer공법
  3. 전기충격공법
  4. 폭파다짐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생석회 말뚝공법은 점성토지반에 이용되는 공법으로, 점성토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뚝을 박아서 생석회를 주입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생석회는 물에 잘 녹아서 지반의 결합력을 높이고, 말뚝은 지반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점성토지반에서 건축물을 지을 때 생석회 말뚝공법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에서 흙의 단면적이 40㎝2이고 투수계수가 0.1㎝/sec일 때 흙속을 통과하는 유량은?

  1. 1㎝3/sec
  2. 1m3/hr
  3. 100㎝3/sec
  4. 100m3/hr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 × v

    여기서 A는 단면적, v는 속도이다. 투수계수가 0.1㎝/sec이므로, 유속은 0.1㎝/sec이다. 이를 m/s로 변환하면 0.001m/s가 된다. 따라서,

    Q = 0.004 × 0.001 = 0.000004 m3/sec

    단위를 보기에 따라 변환하면,

    1㎝3/sec = 0.000001 m3/sec

    1m3/hr = 0.000277 m3/sec

    100㎝3/sec = 0.0001 m3/sec

    100m3/hr = 0.0278 m3/sec

    따라서, 정답은 "1㎝3/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Sand drain에 대한 Paper drain 공법의 장점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횡방향력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2. 시공지표면에 sand mat가 필요 없다
  3. 시공속도가 빠르고 타설시 주변을 교란시키지 않는다
  4. 배수단면이 깊이에 따라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Sand drain과 Paper drain 공법은 모두 지반의 배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지만, Paper drain 공법은 시공지표면에 sand mat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없다. 이는 Sand drain에서는 배수관 위에 sand mat을 깔아주어 지반의 교란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Paper drain에서는 배수관 위에 filter fabric을 덮어주어 지반의 교란을 최소화하고, 이를 위해 sand mat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시공지표면에 sand mat가 필요 없다"는 이유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표준관입시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정 piston 샘플러를 사용한다.
  2. 해머무게 64㎏ 이다.
  3. 해머낙하높이 76㎝ 이다.
  4. 30㎝ 관입에 필요한 낙하회수를 N치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 piston 샘플러를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표준관입시험에서는 이동 piston 샘플러를 사용한다. 이동 piston 샘플러는 샘플링 시에 샘플러가 이동하면서 샘플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고정 piston 샘플러보다 더 정확한 샘플링이 가능하다. 고정 piston 샘플러는 샘플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샘플링 시에 샘플의 밀도나 특성 등이 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