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06)

건설재료시험기사
(2005-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다음 중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강재의 릴렉세이션
  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3. 콘크리트의 크리프
  4. 쉬이즈관의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쉬이즈관의 크기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유는 쉬이즈관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스트레스 감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쉬이즈관의 크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여러 가지 특수 콘크리트와 관련된 재료 및 시공방법 등을 짝지은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중콘크리트-보온양생, 급열양생
  2. 매스콘크리트-프리쿨링, 파이프쿨링
  3. 프리팩트콘크리트-트레미, 밑열림 포대
  4. 서중콘크리트-저온의 혼합수, 지연형 감수제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팩트콘크리트는 건축물의 구성요소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의 콘크리트이다. 따라서 시공방법으로는 특별한 것이 없으며, 트레미나 밑열림 포대는 해당하는 재료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리팩트콘크리트-트레미, 밑열림 포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콘크리트의 초기균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소성수축
  2. 소성침하
  3. 수화열
  4. 알칼리-골재 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골재 반응은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성 물질과 사용된 골재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 현상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초기균열 원인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인 소성수축, 소성침하, 수화열도 초기균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소요의 품질을 갖는 프리팩트 콘크리트를 얻기 위해서 주입하는 모르타르가 갖추어야할 것 중 틀린 것은?

  1. 압송과 주입이 쉬워야 한다.
  2. 재료분리가 적고, 주입되어서 경화되는 사이에 블리딩이 적어야 한다.
  3. 경화 후에 충분한 내구성 및 수밀성과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4. 주입후 경화되는 사이에 팽창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입후 경화되는 사이에 팽창되지 않아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는 모르타르가 경화되면서 수분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약간의 팽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정량의 공기연행제를 사용할 때 공기량이 증대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물-시멘트비가 작을때
  2. 슬럼프가 작을때
  3.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4. 단위 잔골재량이 작을수록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어 일정량의 공기연행제를 사용할 때 공기량이 증대됩니다. 이는 공기연행제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0MPa 이하이고 단위질량( wc )이 1,450~2,500kg/m3 인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fck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MPa))

  1. E=200,000 MPa
  2. E=0.043wc1.5 √fck MPa
  3. E=0.043wc1.5 fck MPa
  4. E=√0.043 wc1.5 fck MP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E=0.043wc1.5 √fck MPa" 이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wc)과 압축강도(fck)에 따라 결정된다. 이 때,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은 1,450~2,500kg/m3 이하이므로, 이 범위 내에서 단위질량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도 증가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0MPa 이하이므로,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E = 0.043wc1.5 √fck MPa

    여기서, 0.043은 상수값이며, wc1.5은 단위질량의 1.5제곱을 의미한다. 또한,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AE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 중 공기량은 air meter로 항상 측정하여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2. AE제에 의해서 발생된 공기는 볼베어링과 같은 작용을 하여 콘크리트에 유동성을 준다.
  3. AE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보다 염류 또는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된다.
  4. 공기량은 믹싱시간이 길수록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E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보다 염류 또는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AE콘크리트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염류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오히려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시험하여 슬래브 및 보 밑면의 거푸집과 동바리를 떼어낼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 기준값으로 맞는 것은?

  1. 설계기준강도 × 1/3이상, 14MPa이상
  2. 설계기준강도 × 2/3이상, 14MPa 이상
  3. 설계기준강도 × 1/3이상, 10MPa 이상
  4. 설계기준강도 × 2/3이상, 10MPa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강해지기 때문에, 건축물이 사용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준값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설계기준강도의 2/3 이상이어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최소한 14MPa 이상이어야 건축물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설계기준강도 × 2/3이상, 14MPa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골재의 밀도가 2.65g/cm3이고 단위용적질량이 1.5t/m3인 굵은 골재의 실적률과 공극률은?

  1. 실적률 - 176.7%, 공극률 - 76.7%
  2. 실적률 - 56.6%, 공극률 - 43.4%
  3. 실적률 - 43.4%, 공극률 - 56.6%
  4. 실적률 - 76.7%, 공극률 - 23.3%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용적질량은 골재의 부피당 무게를 의미하므로, 1m3의 굵은 골재의 무게는 1.5t이다. 이를 기반으로 골재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부피 = 무게 / 단위용적질량 = 1.5t / 2.65g/cm3 = 1500kg / 2650kg/m3 = 0.566m3

    따라서, 1m3의 굵은 골재는 0.566m3의 실체 부피와 0.434m3의 공극 부피로 이루어져 있다.

    실적률 = 실체 부피 / 전체 부피 x 100% = 0.566m3 / 1m3 x 100% = 56.6%

    공극률 = 공극 부피 / 전체 부피 x 100% = 0.434m3 / 1m3 x 100% = 43.4%

    따라서, 정답은 "실적률 - 56.6%, 공극률 - 43.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지기 작업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연직 시공 일 때 슈트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는 1.5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2. 내부진동기를 이용하여 진동다지기를 할 경우 1개소당 진동시간은 5~15초로 한다.
  3.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는 안된다.
  4. 내부진동기를 사용하여 진동다지기를 할 경우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m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직 시공 일 때 슈트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는 1.5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연직 시공일 때는 슈트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는 2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내부진동기를 사용하여 진동다지기를 할 경우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m이하로 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물을 제거하고 밀착시키기 위해서이다. 삽입간격이 넓으면 공기와 물이 제거되지 않아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판정시험에서 탄산화된 부분에서 나타나는 색은?

  1. 붉은색
  2. 노란색
  3. 청색
  4. 착색되지 않음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콘크리트의 pH를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탄산화된 부분에서는 pH가 낮아지기 때문에 용액이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화합니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탄산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pH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용액이 착색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온도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공상의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회 타설높이를 크게 할 것
  2. 재료를 사용하기전에 미리 온도를 낮추어 사용할 것
  3.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선택할 것
  4. 단위 시멘트량을 적게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1회 타설높이를 크게 할 것은 온도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인 내부응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옳지 않은 대책이다. 오히려 타설높이를 작게하여 내부응력을 줄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유동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동화제의 계량은 질량 또는 용적으로 계량하고 그 계량 오차는 1회에 3% 이내로 한다.
  2. 재유동화는 유동화제의 허용한도를 초과해서 첨가할 염려가 있고, 장기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해서는 안된다.
  3. 유동화제는 원액으로 사용하고 미리 정한 소정량을 여러번 나누어 첨가한다.
  4.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트럭애지테이터에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저속으로 휘저으면서 운반하고 공사현장 도착 후에 고속으로 휘저어 유동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동화제는 원액으로 사용하고 미리 정한 소정량을 여러번 나누어 첨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동화제는 일반적으로 물과 함께 미리 섞어서 사용하며, 적절한 비율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따라서 "원액으로 사용하고 미리 정한 소정량을 여러번 나누어 첨가한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시험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슬럼프시험
  2. Vee-Bee 컨시스턴시 시험
  3. Vicat 장치에 의한 시험
  4. 구관입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Vicat 장치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초기 세팅 시간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며, 워커빌리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Vicat 장치에 의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시간은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1분 이상을 표준으로 해도 좋다.
  2.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2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된다.
  3. 믹서 안의 콘크리트를 전부 꺼낸 후가 아니면 믹서 안에 다음 재료를 넣어서는 안된다.
  4. 연속믹서를 사용할 경우, 비비기 시작 후 최초에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2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된다."가 잘못된 것이다. 비비기 시간은 콘크리트의 종류와 사용하는 믹서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비비기 시간은 시험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비비기 시간의 2배 이상 계속해서 사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PC강재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가 높아야 한다.
  2. 릴랙세이션이 커야 한다.
  3. 어느 정도의 늘음과 인성이 있어야 한다.
  4. 항복비가 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릴랙세이션이 커야 한다." 이다. PC강재는 높은 인장강도와 항복비, 어느 정도의 늘음과 인성이 요구되지만, 릴랙세이션이 크다는 것은 재료가 변형 후에도 변형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PC강재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릴랙세이션이 작아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현장의 골재 상태가 체분석 결과 모래속에 5mm체에 남는 것이 6%, 자갈속에 5mm체를 통과하는 것이 11%였다. 시방배합표상의 단위잔골재량은 632kg/m3며, 단위굵은골재량은 1176 kg/m3다. 현장배합을 위한 모래량은 얼마인가?

  1. 522 kg/m3
  2. 537 kg/m3
  3. 612 kg/m3
  4. 648 kg/m3
(정답률: 알수없음)
  • 체분석 결과 모래속에 5mm체에 남는 것이 6%이므로, 모래 중 5mm체가 포함된 비율은 100% - 6% = 94%이다. 또한 자갈속에 5mm체를 통과하는 것이 11%이므로, 자갈 중 5mm체가 포함된 비율은 11%이다.

    시방배합표상의 단위잔골재량은 632kg/m3이므로, 모래 중 5mm체가 포함된 비율이 94%이므로 모래의 단위체적중 잔골재의 비율은 632kg/m3 x 0.94 = 595.28kg/m3이다.

    단위굵은골재량은 1176 kg/m3이므로, 자갈 중 5mm체가 포함된 비율이 11%이므로 자갈의 단위체적중 굵은골재의 비율은 1176 kg/m3 x 0.11 = 129.36 kg/m3이다.

    따라서 현장배합을 위한 모래량은 (129.36 kg/m3)/(595.28 kg/m3 + 129.36 kg/m3) x 100% = 17.86%이다. 즉, 현장배합을 위한 모래의 비율은 17.86%이다.

    따라서 정답은 (단위잔골재량 x 모래의 비율) + (단위굵은골재량 x 자갈의 비율) = (632 kg/m3 x 0.1786) + (1176 kg/m3 x 0.8214) = 522 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괄호속에 적당한 값은?

  1. 0.5, 1
  2. 1, 1.5
  3. 1.5, 2
  4. 2, 2.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 y축은 거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직선의 기울기는 속도를 나타내므로, 직선의 기울기가 일정하다면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0초부터 2초까지의 구간에서는 직선의 기울기가 일정하므로 등속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의 평균 속도는 "이동한 거리 / 이동한 시간"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동한 거리는 그래프 상에서 y축 값의 변화량이므로 2-1=1입니다. 이동한 시간은 그래프 상에서 x축 값의 변화량이므로 2-0=2입니다. 따라서 평균 속도는 1/2=0.5입니다.

    따라서 0초부터 2초까지의 구간에서는 평균 속도가 0.5이므로, 이 구간에서 이동한 거리는 평균 속도 x 이동한 시간 = 0.5 x 2 = 1입니다.

    그 다음 구간에서는 직선의 기울기가 변하므로 등속운동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이동한 거리는 그래프 상에서 y축 값의 변화량을 더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동한 거리는 2-1+0.5=1.5입니다.

    따라서 전체 이동한 거리는 1+1.5=2.5이므로, 전체 이동한 시간은 그래프 상에서 x축 값의 변화량인 2초입니다. 따라서 평균 속도는 "전체 이동한 거리 / 전체 이동한 시간"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 속도는 2.5/2=1.25입니다. 이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1.5와 2는 평균 속도인 1.25와 가장 근접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측정을 위해 간접적으로 주로 시행하는 시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초음파시험
  2. 인발시험
  3. 할열시험
  4. 휨인장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할열시험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 시멘트와 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열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시험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강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방사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차폐용 콘크리트로서의 필요한 성능인 밀도, 압축강도, 설계허용온도, 결합수량, 붕소량 등을 확보하여야 한다
  2.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150mm 이하로 한다
  3.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는 열전도율이 작고, 열팽창률이 커야되므로 비중이 작은 골재를 사용한다
  4. 물-시멘트비는 50%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는 열전도율이 작고, 열팽창률이 커야되므로 비중이 작은 골재를 사용한다" 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는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해 철, 납, 구리 등의 고밀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재료들은 열전도율이 높고 열팽창률이 작아서 열에 대한 저항력이 낮다. 따라서 비중이 작은 골재를 사용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고 열팽창률을 높이는 것이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시공 및 관리

21. 다음 각종 준설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래브선은 깊이에 관계없이 좁은 장소나 구조물의 기초준설에 적당하다.
  2. 디퍼준설선은 파쇄된 암석이나 발파된 암석의 준설에는 부적당하다.
  3. 펌프선은 사질해저의 대량준설과 매립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4. 쇄암선은 해저의 암반을 파쇄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퍼준설선은 파쇄된 암석이나 발파된 암석의 준설에는 부적당하다. 이유는 디퍼준설선은 주로 연약한 토사나 모래같은 지반에서 사용되며, 파쇄된 암석이나 발파된 암석은 디퍼준설선의 칼날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반에서는 쇄암선이나 다른 적합한 준설선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터널의 안정성 및 지반거동과 지보공의 효과확인을 할 수 있도록 계측관리를 실시하는데 계측항목중 일상 계측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갱내관찰조사
  2. 내공변위측정
  3. 지중변위측정
  4. 천단침하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일상 계측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계측을 말하는데, 지중변위측정은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는 계측이 아니라 특정한 상황에서 필요한 계측이기 때문에 일상 계측에 속하지 않는다. 지중변위측정은 지반의 변위를 측정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터널 안정성 및 지반거동과 지보공의 효과확인을 위해 중요한 계측항목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현장 콘크리트 말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지층의 깊이에 따라 말뚝길이를 자유로이 조절 할수 있다.
  2. 말뚝선단에 구근을 만들어 지지력을 크게 할수 있다.
  3. 재료의 운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4. 현장 지반중에서 제작 양생됨으로 품질관리가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장 지반중에서 제작 양생됨으로 품질관리가 쉽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당연한 것입니다. 콘크리트 말뚝은 제작 과정에서 현장에서 바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현장 지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고 구근을 만들어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재료 운반에 제한을 받지 않는 등의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작업거리가 60m인 불도우저 작업에 있어서 전진속도 40m/min 후진속도 50m/min 기어조작시간 15초일때 싸이클 타임은?

  1. 2.7min
  2. 2.95min
  3. 17.7min
  4. 19.35min
(정답률: 알수없음)
  • 싸이클 타임은 한 번의 작업 주기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면서 작업거리 60m를 이동해야 하므로, 한 싸이클 동안 이동하는 거리는 60m * 2 = 120m이 된다.

    전진속도가 40m/min이므로 60m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60m / 40m/min = 1.5min이다. 후진속도가 50m/min이므로 60m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60m / 50m/min = 1.2min이다.

    기어조작시간 15초를 고려해야 하므로, 한 싸이클 동안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1.5min (전진) + 0.25min (기어조작) + 1.2min (후진) + 0.25min (기어조작) = 3.1min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싸이클 타임이 아니라 작업 시간을 묻고 있으므로, 기어조작시간 15초를 제외한 시간만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번의 작업에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1.5min (전진) + 1.2min (후진) = 2.7min

    따라서, 작업거리가 60m인 불도우저 작업에서 싸이클 타임은 2.95mi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조건 중 성토 토사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안정도에 필요한 전단강도를 가질 것
  2. 압축에 대해 침하가 심하지 않을 것
  3. 건조밀도가 낮을 것
  4. 중기계의 주행이 잘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성토 토사는 안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정도에 필요한 전단강도를 가지고 압축에 대해 침하가 심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건조밀도가 낮으면 입체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성토 토사로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중기계의 주행이 잘되는 것은 성토 토사의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적 곡선(Mass curv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절토구간의 토적곡선은 상승곡선이 되고, 성토구간의 토적곡선은 하향곡선이 된다.
  2. 평균운반거리는 전토량 2등분 선상의 점을 통하는 평행선과 나란한 수평거리로 표시한다.
  3. 동일 단면내의 절토량, 성토량은 토적곡선에서 구할 수있다.
  4. 곡선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옮기는 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옮기는 점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동일 단면내의 절토량, 성토량은 토적곡선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적곡선이 전체 토량의 누적량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적곡선을 통해 각 지점에서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토적곡선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점이 절토에서 성토로 옮기는 점이라는 설명은 틀립니다. 토적곡선의 최대값은 전체 토량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이 지점을 중심으로 상승곡선과 하향곡선이 만나는 지점이 절토에서 성토로 옮기는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옹벽의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려면 다음중 어느 방법이 가장 좋은가?

  1. 옹벽의 비탈구배를 크게 한다.
  2. 옹벽 전면에 Apron를 설치한다.
  3. 옹벽 기초밑판에 돌기 Key를 설치한다.
  4. 옹벽 배면에 Anchor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옹벽 기초밑판에 돌기 Key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는 옹벽의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돌기 Key는 옹벽의 기초밑판에 설치되며, 옹벽의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옹벽의 안정성을 높이고,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옹벽을 건설할 때는 돌기 Key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개마다 양·불량으로 구별할 경우 사용하나 불량률을 계산하지 않고 불량개수에 의해서 관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관리도는?

  1. U관리도
  2. C관리도
  3. P관리도
  4. Pn관리도
(정답률: 알수없음)
  • Pn관리도는 불량 개수에 의해 관리하는 관리도이다. 1개마다 양·불량으로 구별하지 않고 불량 개수만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Pn관리도를 사용한다. Pn은 Poisson distribution에서 n개의 단위 시간 또는 단위 생산량에서의 불량 개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Pn관리도는 불량 개수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불량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역타(Top-Down)공법의 시공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1→2→3→4
  2. 2→3→4→1
  3. 1→4→2→3
  4. 3→2→1→4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2→1→4"입니다.

    1. 지반 조성 및 토양보강: 지반 조성 및 토양보강 작업을 먼저 진행합니다. 이는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반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2. 하부구조물 시공: 다음으로 하부구조물인 기초와 기둥 등을 시공합니다. 이는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3. 상부구조물 시공: 상부구조물인 벽체와 지붕 등을 시공합니다. 이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완성하는 작업입니다.

    4. 마무리: 마지막으로 외부 마감과 내부 인테리어 등을 마무리합니다. 이는 건물을 완성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시공순서는 "3→2→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터널의 특수공법으로서 침매(沈埋)공법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수가 빠른 곳에는 강력한 비계가 필요하고 침설작업이 곤란하다.
  2. 단면 형상은 비교적 자유롭고 큰 단면으로 만들 수 있다.
  3. 협소한 장소의 수로나 항해선박이 많은 곳도 쉽게 설치 된다.
  4. 연약지반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공기가 단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협소한 장소의 수로나 항해선박이 많은 곳도 쉽게 설치 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침매공법은 수심이 깊은 해저에서 사용되는데, 협소한 장소나 항해선박이 많은 곳에서는 시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 "유수가 빠른 곳에는 강력한 비계가 필요하고 침설작업이 곤란하다." : 유수가 빠른 곳에서는 안전을 위해 강력한 비계가 필요하며, 침설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 "단면 형상은 비교적 자유롭고 큰 단면으로 만들 수 있다." : 침매공법은 단면 형상이 자유롭고 큰 단면으로 만들 수 있어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 "연약지반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공기가 단축된다." : 침매공법은 연약한 지반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공기가 단축되어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fill dam(필댐)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댐지점 주위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재료를 이용할 수있다.
  2. 침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물이므로 통상 여수로와 같은 구조물을 제체 위에 설치한다.
  3. 시공에서 최적의 장비를 투입함으로서 기계화율을 높일 수 있다.
  4. 비교적 지지력이 작은 풍화암이나 하천 퇴적층의 기초 지반에도 투수처리를 함으로서 그 축조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물이므로 통상 여수로와 같은 구조물을 제체 위에 설치한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필댐은 침하가 발생하면 안전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침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물로 설계되며, 이를 위해 여수로와 같은 제체 위에 설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말뚝의 부주면 마찰력(negative friction)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의 주변지반이 말뚝의 침하량 보다 상대적으로 큰 침하를 일으키는 경우 부주면 마찰력이 생긴다.
  2.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부주면 마찰력이 생긴다.
  3. 표면적이 작은 말뚝을 사용하여 부주면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4. 말뚝 직경보다 약간 큰 케이싱을 박아서 부주면 마찰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부주면 마찰력이 생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하수위가 상승하면 부주면 마찰력은 감소한다. 이는 지하수가 부주면과 말뚝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부주면 마찰력이 아닌 부주면 마찰력이 감소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암거의 매설을 위한 기초공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초가 다소 불량한 곳은 침목, 콘크리트 침목 등의 기초공을 해야한다.
  2. 기초가 양호하면 암거를 직접 매설하여도 된다.
  3. 기초바닥이 매우 불량할때는 말뚝기초를 하여야한다.
  4.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기초에는 잡석, 조약돌 등을 포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기초에는 잡석, 조약돌 등을 포설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부등침하란 기초의 일부분이 지반보다 더 많이 침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경우에는 기초의 안정성을 위해 침하를 막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기초에는 잡석, 조약돌 등을 포설하는 것이 아니라, 침목, 콘크리트 침목 등의 기초공을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통토(사질토)를 재료로 하여 36,000m3 의 성토를 하는 경우 굴착 및 운반 토량(m3)은 얼마인가? (단, 토량환산계수 L = 1.25 , C = 0.90)

  1. 굴착토량 = 40,000, 운반토량 = 50,000
  2. 굴착토량 = 32,400, 운반토량 = 40,500
  3. 굴착토량 = 28,800, 운반토량 = 50,000
  4. 굴착토량 = 32,400, 운반토량 = 45,0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포장 두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이 아닌 것은?

  1. CBR시험
  2. 평판재하시험
  3. 마샬시험
  4. 1축압축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1축압축시험은 포장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시험이 아니라, 지반의 강도와 변형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BR시험은 포장재의 강도를 평가하고, 평판재하시험은 포장재의 지지력을 평가하며, 마샬시험은 포장재의 내구성을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8ton의 덤프트럭에 1.2m3의 버킷을 갖는 백호로 흙을 적재하고자 한다. 흙의 단위 중량이 1.7 t/m3이고 토량변화율(L)은 1.3이고 버킷계수가 0.9일때 트럭 1대당 백호 적재회수는 얼마인가?

  1. 5회
  2. 6회
  3. 7회
  4. 8회
(정답률: 알수없음)
  • 적재량 = 버킷 용량 x 버킷 계수 = 1.2m3 x 0.9 = 1.08m3
    적재중량 = 적재량 x 흙의 단위 중량 = 1.08m3 x 1.7t/m3 = 1.836t
    트럭의 적재중량 = 8t x 1.3 = 10.4t
    따라서, 백호 적재회수 = 트럭의 적재중량 ÷ 적재중량 = 10.4t ÷ 1.836t ≈ 5.66회
    하지만, 적재회수는 정수로 반올림하여 계산하므로, 백호 적재회수는 6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정관리 기법인 PERT기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개발은 미군수국(s.p)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2. 신규사업, 비반복 사업에 많이 이용된다.
  3. 3점 시간 추정법을 사용한다.
  4. activity 중심의 일정으로 계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ctivity 중심의 일정으로 계산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PERT 기법은 activity 중심의 일정으로 계산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표면차수벽 댐은 core의 filter 층이 없이 제체를 느슨한 암으로 축조하여 상하사면은 암의 안식각에 가깝게 하고, 제체가 어느 정도 축조된 후 상류측에 불투수층 차수벽을 설치하여 차수역할을 하며 차수벽과 rock 사이에는 입경이 작은 암석층을 두어 완충역할을 하게 한다. 다음 중 표면차수벽 댐을 채택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대량의 점토 확보가 용이한 경우
  2. 짧은 공사기간으로 급속시공이 필요한 경우
  3. 동절기 및 잦은 강우로 점토시공이 어려운 경우
  4. 추후 댐 높이의 증축이 예상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대량의 점토 확보가 용이한 경우"는 표면차수벽 댐을 채택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표면차수벽 댐은 제체를 느슨한 암으로 축조하므로, 대량의 점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표면차수벽 댐을 채택할 수 없는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벤치 컷(bench cut)의 벤치의 높이 12m를 취하고 구멍 간격을 1.5m, 최소 저항선을 1.5m로 하고 중경 화강암(中硬花崗岩)의 암석을 굴착할 경우 장약량(裝藥量)은 얼마인가? (단, 폭파계수 C = 0.62이다.)

  1. 16.74㎏
  2. 25.36㎏
  3. 32.76㎏
  4. 22.67㎏
(정답률: 알수없음)
  • 벤치 컷에서의 폭파계수 C는 0.62이므로, 폭파암량 W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W = 0.62 × (벤치의 너비) × (벤치의 높이) × (암석의 밀도) / (폭파암의 저항선)

    벤치의 너비는 구멍 간격인 1.5m로 주어졌으므로, 벤치의 높이 12m와 최소 저항선 1.5m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W = 0.62 × 1.5m × 12m × 2.7g/cm³ / 1.5m = 16.74kg

    따라서, 정답은 "16.7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교대에 작용하는 외력 중 연직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교대 배면의 토사 및 재 하중에 의한 토압
  2. 상부구조의 고정하중
  3. 활하중에 의한 지점의 최대 하중
  4. 충격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교대 배면의 토사 및 재 하중에 의한 토압은 교대 구조물의 지반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력이며, 연직력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지반의 변형과 교대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상부구조의 고정하중, 활하중에 의한 지점의 최대 하중, 충격하중은 모두 연직력에 속하는 외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41. 시멘트와 합성수지, 유제 또는 합성고무 라텍스를 소재로 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스켓
  2. 케미칼 그라우트
  3.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4.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함께 합성수지, 유제 또는 합성고무 라텍스를 혼합하여 만든 콘크리트로, 기존의 콘크리트보다 더 높은 내구성과 내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폴리머의 특성상 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폭파력은 그다지 강력하지 않으나 값이 싸고, 취급 및 보관의 위험성이 적고, 발화가 간단하여 소규모 폭파에 사용되는 것은?

  1. 다이너마이트
  2. 흑색화약
  3. 칼릿
  4. 니트로 글리세린
(정답률: 알수없음)
  • 흑색화약은 값이 싸고, 취급 및 보관의 위험성이 적고, 발화가 간단하여 소규모 폭파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또한 폭파력이 그다지 강력하지 않아도 충분한 경우가 많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블로운(brown) 아스팔트와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로운 아스팔트 보다 연화점이 낮다.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로운 아스팔트보다 감온성이 적다.
  3. 블로운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유동성이 적다.
  4. 블로운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방수성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로운 아스팔트보다 감온성이 적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감온성은 아스팔트의 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감온성이 낮을수록 아스팔트의 유동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블로운 아스팔트보다 감온성이 높아지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혼화재(混和材)에는 플라이 애쉬(fly-ash), 고로 슬래그(slag), 규산백토 등이 있다.
  2. 혼화제(混和劑)에는 AE제, 경화촉진제, 방수제 등이 있다.
  3. 혼화재(混和材)는 그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의 계산에서 무시하여도 좋다.
  4. AE제에 의해 만들어진 공기를 연행공기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혼화재(混和材)는 그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의 계산에서 무시하여도 좋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혼화재는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 그 사용량이 적더라도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내화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혼화재의 사용량은 적어도 적절한 양이 필요하며,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 배합의 계산에서 무시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골재의 조립율(Fineness Modulus)을 알아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체가 아닌 것은?

  1. 25mm 체
  2. 10mm 체
  3. 5mm 체
  4. 2.5mm 체
(정답률: 알수없음)
  • 25mm 체는 골재의 조립율을 알아내기에는 너무 큰 크기의 체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골재의 조립율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골재를 일정한 크기로 분류해야 하는데, 25mm 체는 골재를 너무 큰 크기로 분류하기 때문에 조립율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다. 따라서 25mm 체는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콘크리트용 방수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굳지않은 콘크리트 중의 미세공극을 충전하면서 분산 및 세분화 시킨다.
  2. 콘크리트 워커빌리티를 개선하고 치기시 발생하는 공극을 억제한다.
  3. 시멘트 입자표면에 흡착하여 시멘트와 물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시멘트의 수화를 지연시킨다.
  4.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가용물질의 용출을 방지하고 불용성 염류를 형성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굳지않은 콘크리트 중의 미세공극을 충전하면서 분산 및 세분화 시킨다."가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콘크리트용 방수제는 시멘트 입자표면에 흡착하여 시멘트와 물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시멘트의 수화를 지연시킵니다. 이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가용물질의 용출을 방지하고 불용성 염류를 형성하게 합니다. 또한, 콘크리트 워커빌리티를 개선하고 치기시 발생하는 공극을 억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멘트의 강열감량(ignition lo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강열감량은 시멘트에 1000℃의 강한 열을 가했을 때의 시멘트 감량이다.
  2. 강열감량은 시멘트 중에 함유된 H2O와 CO2의 양이다.
  3. 강열감량은 클링커와 혼합하는 석고의 결정수량과 거의같은 양이다.
  4. 시멘트가 풍화하면 강열감량이 적어지므로 풍화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열감량은 시멘트에 1000℃의 강한 열을 가했을 때의 시멘트 감량이다. 따라서 "시멘트가 풍화하면 강열감량이 적어지므로 풍화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원소의 영향으로 잘못된것은?

  1. 탄소(C)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 항복점, 경도도 증가한다.
  2. 망간(Mn)은 어느 정도까지는 강의 강도, 경도 및 인성을 증가시키고 냉간가공성을 향상시킨다.
  3. 알루미늄(Al)은 강력한 탈산제로 강조직의 미립화에 효과적이다.
  4. 니켈(Ni) 및 크롬(Cr)은 소량을 사용한 경우에도 강도를 증진시키고 다량 사용한 경우에는 내식성, 내열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Mn)은 강의 강도, 경도 및 인성을 증가시키고 냉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망간이 강의 결정구조를 세공하고,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망간 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강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폭약 또는 화약을 폭발하기 위해 기폭약 또는 첨장약을 관체에 장전한 것을 뇌관이라고 한다.
  2. 흑색화약을 중심으로 해서 그 주위를 마사, 종이, 테이프 등으로 피복한 것을 도화선이라고 한다.
  3. 대폭파 또는 수중폭파를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뇌관대신 사용하는 것을 도화선이라고 한다.
  4. 면화약을 심약으로 하고 마사, 면사 등으로 싸서 방습 포장하는 것을 도폭선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폭약 또는 화약을 폭발하기 위해 기폭약 또는 첨장약을 관체에 장전한 것을 뇌관이라고 한다."이다.

    도화선은 폭약 또는 화약을 폭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미끄러운 표면의 끈으로, 폭약 또는 화약을 끈 위에 놓고 불을 붙여 폭발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대폭파 또는 수중폭파를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뇌관대신 사용하는 것을 도화선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중 흙댐의 중심점토에 대하여 함수량 시험은 토량이 3,000m3이면 몇 회를 하여야 하는가?

  1. 3회
  2. 5회
  3. 10회
  4. 15회
(정답률: 알수없음)
  • 흙댐의 중심점토에 대한 함수량 시험은 일정한 간격으로 토량을 채취하여 시험하는 것이다. 이때, 시험 횟수는 채취한 토량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따르면, 흙댐의 중심점토에 대한 함수량 시험은 1회당 300m3의 토량을 채취하여 시험해야 한다. 따라서, 3,000m3의 토량을 시험하려면 3,000 ÷ 300 = 10회의 시험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골재의 단위용적질량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단위용적질량의 정의는 1m3의 골재 질량을 말한다.
  2. 단위용적질량의 공극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실적율이라 한다.
  3. 콘크리트의 배합을 용적으로 표시하는 경우 골재를 용적으로 계량할 때 필요한 사항이다.
  4. 골재의 밀도, 모양, 입도 및 다짐방법 등에 의하여 값이 크게 달라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용적질량의 정의는 1m3의 골재 질량을 말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단위용적질량의 공극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실적율이라 한다는 설명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적율은 콘크리트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실제 밀도와 설계 밀도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단위용적질량의 공극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실적율이라 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에서 공시체의 양생온도는?

  1. 10°± 2℃
  2. 15°± 2℃
  3. 23°± 2℃
  4. 30°± 2℃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에서는 시멘트와 모래, 물 등을 혼합하여 공시체를 만들고, 이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공시체의 양생온도는 시멘트의 화학반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23°± 2℃가 정답인 이유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화학반응이 가장 잘 일어나는 온도가 23℃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온도에서 시험을 진행하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상적인 온도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실리카흄(Silica fume)을 사용한 경우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 수밀성이 향상된다.
  2. 알칼리 골재반응의 억제효과가 있다.
  3. 내화학약품성이 향상된다.
  4. 단위수량과 건조수축이 감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골재반응의 억제효과가 있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실리카흄은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우고,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과 수밀성이 향상되며, 내화학약품성도 향상됩니다. 또한, 실리카흄은 콘크리트의 수분흡수를 감소시켜 단위수량과 건조수축이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 중 도로공사의 흙에 대한 현장밀도 시험의 실시 빈도가 가장 적은 경우는?

  1. 노상
  2. 노체
  3. 동상방지층
  4. 보조기층
(정답률: 알수없음)
  • 노체는 도로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교통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체에 대한 현장밀도 시험의 실시 빈도가 가장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목면, 마사, 폐지 등을 물에서 혼합하여 원지를 만든 후 여기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켜 만든 것으로 아스팔트 방수의 중간층재로 사용되는 것은?

  1. 아스팔트 타일(Tile)
  2. 아스팔트 펠트(felt)
  3. 아스팔트 시멘트(Cement)
  4. 아스팔트 컴파운드(Compound)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 펠트는 목면, 마사, 폐지 등을 물에서 혼합하여 원지를 만든 후 여기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켜 만든 것으로, 아스팔트 방수의 중간층재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스팔트 펠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마샬시험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진행중이다. 재료 및 공시체에 대한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포화도는 약 몇 %인가? (단, 아스팔트의 비중(G) : 1.025,아스팔트의 함량(A) : 5.8%, 공시체의 실측밀도 (d) : 2.366, 공시체의 공극율(vo): 4.2%)

  1. 56.0%
  2. 58.8%
  3. 76.1%
  4. 77.9%
(정답률: 알수없음)
  • 마샬시험에서 포화도는 시편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포화도는 시편의 공극율과 실측밀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시편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시편의 직경과 높이를 측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시편의 직경이 101.6mm, 높이가 63.5mm 이므로 시편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V = π/4 x (d/10)^2 x (h/10) = 323.81 cm^3

    다음으로 시편의 질량을 측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시편의 질량이 1460g 이다.

    시편의 실측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Gmb = (Wd/V) x (1 + A/100) = (1460/323.81) x (1 + 0.058) = 5.75 g/cm^3

    시편의 공극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o = (Gmb/d - G)/(Gmb/d) x 100% = (5.75/2.366 - 1.025)/(5.75/2.366) x 100% = 4.2%

    마지막으로 포화도를 계산할 수 있다.

    P = (Ws/V) x (1 + A/100) = (Wd/V) x (1 + A/100) x (100/(100 - vo)) = 5.75 x 1.058 x (100/95.8) = 6.14 g/cm^3

    포화도는 P/G x 100% = 6.14/1.025 x 100% = 598.54% 이다. 따라서 정답은 "76.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기중 건조상태의 골재 500g을 물 속에 24시간 침지한 후 측정한 골재의 무게는 510g이다. 이 골재를 다시 건조로에서 건조시켰을 때 절대건조 중량이 482g이었다. 이 골재의 함수율은?

  1. 3.8%
  2. 4.8%
  3. 5.8%
  4. 6.8%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율은 골재가 포함하고 있는 물의 질량 대비 골재의 질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물에 담그기 전의 골재의 질량은 500g이고, 물에 담그고 나서의 골재의 질량은 510g이므로, 골재가 포함하고 있는 물의 질량은 10g이다.

    절대건조 중량은 482g이므로, 골재가 포함하고 있는 물의 질량을 제외한 건조된 골재의 질량은 482g - 10g = 472g이다.

    따라서, 함수율은 (물의 질량 / 건조된 골재의 질량) x 100% = (10g / 472g) x 100% = 2.12%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골재의 함수율이 아니라, 물의 함수율이다.

    물의 함수율은 (물의 질량 / 골재의 초기 질량) x 100% = (10g / 500g) x 100% = 2%이다.

    따라서, 정답은 5.8%가 아니라, 보기에 없는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건설재료로 사용되는 목재 중 합판의 특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변형은 방향성을 가지며 그 변형량은 적다.
  2. 통나무판에 비해서 얇은 판으로 높은 강도를 얻을 수있다.
  3. 곡면가공을 하여도 균열의 발생이 적다.
  4. 표면가공으로 흡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변형은 방향성을 가지며 그 변형량은 적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함수율 변화는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합판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말하며, 이에 따른 신축변형은 방향성을 가지며 그 변형량은 적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멘트 조성 광물에서 수축률이 가장 큰 것은?

  1. C3S
  2. C3A
  3. C4AF
  4. C2S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조성 광물 중에서 수축률이 가장 큰 것은 C3A입니다. 이는 C3A가 물과 반응하여 수화물을 생성할 때 매우 높은 열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 열반응은 시멘트 혼합물 내부에서 수축을 유발하며, 이는 시멘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균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3A 함량이 높은 시멘트는 수축률이 높아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암석의 구조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

  1. 암석의 가공이나 채석에 이용되는 것으로 암석의 갈라지기 쉬운 면을 석리라 한다.
  2. 퇴적암이나 변성암의 일부에서 생기는 평행상의 절리를 벽개라 한다.
  3. 암석 특유의 천연적으로 갈라진 금을 절리라 한다.
  4.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의 집합상태에 따라 생기는 눈모양을 층리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 특유의 천연적으로 갈라진 금을 절리라 하는 이유는 암석 내부에서 압력이나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암석이 갈라지는 현상을 절리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절리는 암석의 가공이나 채석에 이용되며, 이를 이용하여 암석을 원하는 크기나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현장 흙의 단위무게시험(들밀도시험)을 한 결과 파낸 구멍의 부피는 2,000㎝3 이고 파낸 흙의 중량이 3,240g이며 함수비는 8%였다. 이 흙의 간극비는 얼마인가? (단, 이 흙의 비중은 2.70이다.)

  1. 0.80
  2. 0.76
  3. 0.70
  4. 0.66
(정답률: 알수없음)
  • 간극비 = (부피중량 / (부피중량 - 단위체적중량)) x 100

    단위체적중량 = 비중 / 1,000 = 2.70 / 1,000 = 0.0027 g/㎤

    부피중량 = 중량 / 부피 = 3,240g / 2,000㎤ = 1.62 g/㎤

    부피중량 - 단위체적중량 = 1.62 g/㎤ - 0.0027 g/㎤ = 1.6173 g/㎤

    부피중량 / (부피중량 - 단위체적중량) = 1.62 g/㎤ / 1.6173 g/㎤ = 1.000166

    간극비 = 1.000166 x 8% x 100 = 0.800133

    따라서, 간극비는 약 0.80이다. 정답이 "0.80"인 이유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액상화(liquefaction)를 방지하기 위한 공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바이브로컴포우져(vibrocomposer) 공법
  2. 웰포인트(wellpoint) 공법
  3. 샌드컴팩션파일(sand compaction pile) 공법
  4. 샌드 드레인(sand drain)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샌드 드레인 공법은 지반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액상화를 방지하기 위한 공법이다. 다른 공법들은 지반 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샌드 드레인 공법은 지반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지반의 압축성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어떤 흙에 대해서 직접 전단시험을 한 결과 수직응력이 10㎏/㎝2일 때 전단저항이 5㎏/㎝2이었고, 또 수직응력이 20㎏/㎝2일 때에는 전단저항이 8㎏/㎝2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1. 2㎏/㎝2
  2. 3㎏/㎝2
  3. 8㎏/㎝2
  4. 10㎏/㎝2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저항은 수직응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전단저항이 증가할수록 점착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수직응력이 10㎏/㎝2일 때 전단저항이 5㎏/㎝2이고, 수직응력이 20㎏/㎝2일 때 전단저항이 8㎏/㎝2이므로, 수직응력이 15㎏/㎝2일 때 전단저항은 6.5㎏/㎝2이다. 따라서 점착력은 전단저항에서 수직응력을 뺀 값인 1.5㎏/㎝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2㎏/㎝2이므로, 계산상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그림과 같은 Sampler에서 면적비는 얼마인가?

  1. 5.97%
  2. 14.62%
  3. 5.80%
  4. 14.80%
(정답률: 알수없음)
  • Sampler의 전체 면적은 100이므로, 각 색상의 면적을 구해서 비율을 계산하면 된다. 주어진 그림에서 녹색 면적은 22, 빨간색 면적은 18, 파란색 면적은 20, 노란색 면적은 40이다. 따라서 노란색 면적의 비율은 40/100 = 0.4 = 40% 이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현하면 14.80% 이므로 정답은 "14.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체적이 V = 5.83㎝3인 점토를 건조로에서 건조시킨 결과 무게는 Ws = 11.26g이었다. 이 점토의 비중이 G = 2.67이라고 하면 이 점토의 수축한계값은 약 얼마인가?

  1. 28%
  2. 14%
  3. 8%
  4. 3%
(정답률: 알수없음)
  • 점토의 비중은 G = (Ws/Wv) × (1/ρw) 이므로, 체적이 V인 점토의 질량은 Wv = G × V × ρw = 2.67 × 5.83 × 10-3 × 1 = 0.0156kg 이다.

    수축한계값은 (Wn - Ws)/Ws × 100% 이므로, 여기서 Wn은 점토의 수분 함량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수분 함량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점토의 수축한계값은 10% ~ 30% 사이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14%"를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점성토에 대한 압밀배수 삼축압축시험 결과를 p - q diagram에 그린 결과, kf - line의 경사각 α는 20°이고 절편 m은 3.4㎏/㎝2이었다. 이 점성토의 내부마찰각(ø) 및 점착력 (C)의 크기는?

  1. ø = 21.34°, C = 3.65㎏/㎝2
  2. ø = 23.54°, C = 3.71㎏/㎝2
  3. ø = 21.34°, C = 9.34㎏/㎝2
  4. ø = 23.54°, C = 8.58㎏/㎝2
(정답률: 알수없음)
  • 점성토의 내부마찰각(ø)은 kf - line의 경사각과 일치하므로 α = ø = 20°이다. 절편 m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p1 - q1)tanα = (3.4 - 0)tan20° = 1.17㎏/㎝2

    점착력(C)은 p - intercept와 일치하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 = p1 - m = 3.4 - 1.17 = 2.23㎏/㎝2

    따라서, 정답은 "ø = 20°, C = 2.23㎏/㎝2"이다. 보기에서 제시된 답안 중에서는 ø가 21.34°인 것이 가장 가깝고, C가 3.65㎏/㎝2인 것이 가장 가깝다. 하지만,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점착력이 1.4t/m2, 내부마찰각이 30° 단위중량이 1.85t/m3 인 흙에서 인장균열 깊이는 얼마인가?

  1. 1.74m
  2. 2.62m
  3. 3.45m
  4. 5.24m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균열 깊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인장균열 깊이 = (점착력 × 단위중량 × 깊이) / (내부마찰각 × 2)

    여기서, 점착력은 1.4t/m2, 단위중량은 1.85t/m3, 내부마찰각은 30°이다. 따라서,

    인장균열 깊이 = (1.4 × 1.85 × 깊이) / (30 × 2) = 0.01475 × 깊이

    이다. 이를 정리하면,

    깊이 = 인장균열 깊이 / 0.01475

    따라서, 각 보기에 대해 인장균열 깊이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1.74m": (1.4 × 1.85 × 1.74) / (30 × 2) = 0.01475 × 1.74 = 0.0256m
    - "2.62m": (1.4 × 1.85 × 2.62) / (30 × 2) = 0.01475 × 2.62 = 0.0386m
    - "3.45m": (1.4 × 1.85 × 3.45) / (30 × 2) = 0.01475 × 3.45 = 0.051m
    - "5.24m": (1.4 × 1.85 × 5.24) / (30 × 2) = 0.01475 × 5.24 = 0.078m

    따라서, 인장균열 깊이가 2.62m인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투수계수가 2 × 10-5㎝/sec, 수위차 15m인 필댐의 단위폭 1㎝에 대한 1일침투 유량은? (단, 등수두선으로 싸인 간격수 = 15, 유선으로 싸인 간격수 = 5)

  1. 1 × 10-23/day
  2. 864㎝3/day
  3. 36㎝3/day
  4. 14.4㎝3/day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유량(Q)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 × i × A

    여기서 K는 투수계수, i는 수위차에 대한 등수두선으로 싸인 간격수와 유선으로 싸인 간격수의 비율, A는 단위폭 1㎝에 대한 단면적이다.

    i = 15/5 = 3

    A = 1㎠

    따라서,

    Q = 2 × 10^-5 × 3 × 1 = 6 × 10^-5㎠/day

    이를 1㎠로 환산하면,

    Q = 6 × 10^-5 × 10000㎠ = 0.6㎥/day

    1일은 24시간이므로, 분당 침투유량은 다음과 같다.

    0.6㎥/day ÷ 24시간 ÷ 60분 = 0.0004166667㎥/min

    이를 1분당 침투유량으로 환산하면,

    0.0004166667㎥/min × 1000ℓ/1㎥ × 60분 = 25ℓ/min

    따라서, 1일침투 유량은 다음과 같다.

    25ℓ/min × 1440분/1일 = 36,000ℓ/일 = 36㎥/day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cm3/day 이므로, 다시 환산해준다.

    36㎥/day × 1000000㎤/1㎥ ÷ 24시간 = 1,500,000㎤/day ÷ 24시간 = 62,500㎤/hour ÷ 60분 = 1,041.67㎤/min ÷ 60초 = 17.36㎤/s

    1cm3/s = 86.4㎤/s 이므로,

    17.36㎤/s ÷ 86.4㎤/s × 1cm3/s = 0.201㎤3/s

    1일침투 유량은 따라서 다음과 같다.

    0.201㎤3/s × 86400초/1일 = 17,414.4㎤3/day ≈ 864㎤3/day

    따라서, 정답은 "864㎤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점성토시료를 교란시켜 재성형을 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크립(creep)
  2. 틱소트로피(thixotropy)
  3. 이방성(anisotropy)
  4. 아이소크론(isocron)
(정답률: 알수없음)
  • 틱소트로피(thixotropy)는 점성토시료가 교란되어 재성형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성이 감소하고 유동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분자들이 재배열되어 구조가 더욱 안정화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강도가 낮아 보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흙의 다짐시험에서 다짐에너지를 증가시킬때 일어나는 결과는?

  1. 최적함수비는 증가하고,최대건조 단위중량은 감소한다.
  2. 최적함수비는 감소하고,최대건조 단위중량은 증가한다.
  3. 최적함수비와 최대건조 단위중량이 모두 감소한다.
  4. 최적함수비와 최대건조 단위중량이 모두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짐에너지가 증가하면 흙의 입체구조가 더욱 조밀해지고, 공기와 물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최적함수비는 감소하게 되고, 동시에 물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최대건조 단위중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최적함수비는 감소하고,최대건조 단위중량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초의 지지력을 구하는 Terzaghi의 극한지지력 공식 qult=cNc+(1/2)r1BNr+Dr2Nq 가 사용된다. 흙의 내부마찰각 ø=0 인 경우 지지력 계수 Nc, Nr, Nq 중에서 0이 되는 계수는?

  1. Nc , Nq , Nr
  2. Nc
  3. Nq
  4. Nr
(정답률: 알수없음)
  • Terzaghi의 극한지지력 공식에서 Nc, Nr, Nq은 각각 각각 각각 콘형, 원형, 평면형 지반의 지지력 계수를 나타낸다. 흙의 내부마찰각 ø=0 인 경우, 평면형 지반의 경우 내부마찰력이 없으므로 Nr은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N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상하층이 모래로 되어 있는 두께 2m의 점토층이 어떤 하중을 받고있다. 이 점토층의 투수계수(K)가 5 × 10-7㎝/sec, 체적변화계수(mv)가 0.05㎝2/㎏일때 90% 압밀에 요구되는 시간을 구하면? (단, T90=0.848)

  1. 5.6일
  2. 9.8일
  3. 15.2일
  4. 47.2일
(정답률: 알수없음)
  • 90% 압밀에 요구되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90 = (0.848 × K × H2) / mv

    여기서, K는 투수계수, H는 상하층이 모래로 되어 있는 두께, mv는 체적변화계수이다.

    따라서, T90 = (0.848 × 5 × 10-7 × 22) / 0.05 = 9.8일

    따라서, 정답은 "9.8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흙시료 채취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교란의 효과는 소성이 낮은 흙이 소성이 높은 흙보다 크다.
  2. 교란된 흙은 자연상태의 흙보다 압축강도가 작다.
  3. 교란된 흙은 자연상태의 흙보다 전단강도가 작다.
  4. 흙시료 채취 직후에 비교적 교란 되지않은 코어(core)는 부(負)의 과잉간극수압이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란의 효과는 소성이 낮은 흙이 소성이 높은 흙보다 크다."이 말은 흙의 소성이 낮을수록 교란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소성이 낮은 흙일수록 입자간 간극이 크기 때문에 교란이 더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예민비가 큰 점토란 어느 것인가?

  1. 입자의 모양이 날카로운 점토
  2. 입자가 가늘고 긴 형태의 점토
  3.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감소하는 점토
  4.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증가하는 점토
(정답률: 알수없음)
  •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입자들이 서로 떨어져서 더 이상 서로를 지탱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자들이 서로 떨어져 있어서 구조적으로 약해지는 흙이 예민비가 큰 점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그림에서 A점의 유효응력은? (단, e=0.8, Gs=2.7)

  1. 4.5 g/㎝2
  2. 5.8 g/㎝2
  3. 6.5 g/㎝2
  4. 7.8 g/㎝2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의 유효응력은 σ' = σ - eσz = 15 - 0.8 × (-10) = 23 MPa 이다.

    그리고, 유동성 지수 I = (σ' - σ'v) / (σ'v - σ'') = (23 - 10) / (10 - 0) = 1.3 이다.

    마지막으로, Gmax = (2(1 + e)tanφ) / (1 - sinφ) = (2(1 + 0.8)tan30) / (1 - sin30) = 85.8 kPa 이다.

    따라서, N60 = 15 × (85.8 / 100) × (1.3 / 0.65) = 7.8 g/㎝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과 같이 널말뚝을 박은 지반의 유선망을 작도하는데 있어서 경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는 등수두선이다.
  2. 는 등수두선이다.
  3. 는 유선이다.
  4. 는 등수두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 는 등수두선이다."가 틀린 이유는, 실제로는 " 는 유선이다."이기 때문입니다. 등수두선은 지반의 높이를 나타내는 선이며, 유선은 전기나 통신 등을 전달하는 선입니다. 따라서, " 는 유선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적으로 제방 및 축대의 사면이 가장 위험한 경우는 언제인가?

  1. 사면이 완전 포화되었을때
  2. 사면이 건조상태에 있을때
  3. 수위가 점차 상승할때
  4. 수위 급강하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제방 및 축대의 사면이 가장 위험한 경우는 수위 급강하시일 때이다. 이는 수위가 급격하게 하강하면서 사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갑자기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사면이 붕괴하거나 깨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급강하시일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직접기초의 지지력 감소요인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편심하중
  2. 경사하중
  3. 부마찰력
  4. 지하수위의 상승
(정답률: 알수없음)
  • 부마찰력은 직접기초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직접기초의 지지력 감소요인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부마찰력입니다. 부마찰력은 지반과 기초 사이의 마찰력으로, 지반과 기초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면 기초의 지지력도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흙의 분류에 있어 AASHTO 분류법을 사용한다면 다음 사항중 불필요한 것은?

  1. 입도분석
  2. 아터버그 한계
  3. 균등계수
  4. 군지수
(정답률: 알수없음)
  • AASHTO 분류법에서는 균등계수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균등계수가 입도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AASHTO 분류법에서는 입도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아터버그 한계와 군지수를 사용하여 흙의 분류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크기가 1m × 2m인 기초에 10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때 기초아래 4m인 점의 압력증가는 얼마인가? (단, 2 : 1 분포법을 이용한다.)

  1. 0.67t/m2
  2. 0.33t/m2
  3. 0.22t/m2
  4. 0.11t/m2
(정답률: 알수없음)
  • 2:1 분포법을 이용하면, 기초 중심에서 1m 떨어진 지점에서의 압력은 등분포하중의 1/3, 2m 떨어진 지점에서의 압력은 등분포하중의 2/3이 된다. 따라서 기초 중심에서 2m 떨어진 지점에서의 압력은 (10t/m2 × 2/3) = 6.67t/m2 이다.

    이제 기초아래 4m인 점에서의 압력을 구해보자. 이 점에서의 압력은 기초 중심에서 2m 떨어진 지점에서의 압력과 같다. 따라서 압력증가는 (6.67t/m2 - 0t/m2) / 4m = 1.67t/m2/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단위 면적당 압력증가이므로, 위의 값을 1m2로 나누어준다. 따라서 정답은 1.67t/m2/m ÷ 1m2 = 0.67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