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5-26)

실내건축산업기사
(2002-05-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디자인용어 중 AIDMA 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A (Attention/주의) : 눈을 끌 수 있는 충분한 매력이 있는가?
  2. I (Interest/흥미) : 공감을 주는 호소력이 있는가?
  3. D (Develop/개발) : 개발 가능성이 있는가?
  4. M (Memory/기억) : 개성적인 인상을 주는가?
(정답률: 75%)
  • AIDMA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AIDMA는 마케팅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판매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데, A는 주의를 끌고, I는 흥미를 유발하고, D는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 M은 기억에 남게 만들고, A는 행동 유도를 위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D (Develop/개발)도 AIDMA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선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한 것은?

  1. 어떤 현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한다.
  2. 길이와 위치는 알 수 없다.
  3. 면의 한계에서 나타나며, 교차는 나타나지 않는다.
  4. 면적을 분할하며 폭과 부피를 나타낸다.
(정답률: 57%)
  • 선은 어떤 현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는 개념이다. 이는 선이 길이와 위치를 알 수 없다는 것과 면의 한계에서 나타나며 교차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과 관련이 있다. 선은 또한 면적을 분할하며 폭과 부피를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질감의 설명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둡다.
  2. 거칠다.
  3. 단단하다.
  4. 광택이 없다.
(정답률: 71%)
  • "어둡다."는 질감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색상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구에서 일반적인 목재의 접합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접착제
  2. 리벳
  3. 볼트
(정답률: 69%)
  • 리벳은 목재를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접합할 때 사용하는 고정장치이기 때문에 가구에서 일반적인 목재의 접합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실의 기능과 사용 조명과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

  1. 현관은 그림자가 없어야 하므로 확산 조명이 좋다.
  2. 거실은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방향성이 강한 직접조명을 위주로 계획되어야 한다.
  3. 침실은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간접조명이나 반간접 조명이 좋다.
  4. 서재는 전반 조명과 국부 조명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기능상 유리하다.
(정답률: 53%)
  • 거실은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방향성이 강한 직접조명을 위주로 계획되어야 한다. 이유는 직접조명은 빛이 직접적으로 물체에 닿아 선명한 그림자를 만들어내어 공간에 활기를 더해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특수 전시방법중 전시내용이 통일된 형식속에서 규칙 반복되어 나타나는 방법으로, 동일종류의 전시물을 반복하여 전시할 경우 유리한 전시방법은?

  1. 디오라마 전시
  2. 파노라마 전시
  3. 아일랜드 전시
  4. 하모니카 전시
(정답률: 59%)
  • 하모니카 전시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전시물을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전시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전시물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며, 전시 공간 전체를 통일된 분위기로 가득 채울 수 있어 유리한 전시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하모니카 전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디자인의 요소인 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은 무수한 점의 흔적으로 평면적이며 실내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이다.
  2. 수직선은 공간을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게 한다.
  3. 수평선은 바닥이나 천장 등의 건물구조에 많이 이용된다.
  4. 곡선은 단조로움을 없애주고 활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다.
(정답률: 60%)
  • 선은 무수한 점의 흔적으로 평면적이며 실내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실내디자인 용어들의 연결이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디스플레이 - POP
  2. 의상실 - 피팅룸(fitting room)
  3. 부엌 - 배선대
  4. 미술관 - 데드스페이스(dead space)
(정답률: 72%)
  • 미술관과 데드스페이스는 연결이 적당하지 못한 것입니다. 미술관은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이며, 데드스페이스는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공간 디자인 용어로,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미술관과 데드스페이스는 서로 관련이 없는 용어이기 때문에 연결이 적당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판매 주력 상품을 진열하는데 효율적인 높이는?

  1. 850 ∼ 1250mm
  2. 450 ∼ 850mm
  3. 1300 ∼ 1500mm
  4. 1500 ∼ 1700mm
(정답률: 80%)
  • 판매 주력 상품을 진열하는 높이는 고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평균 키는 160cm 정도이므로, 850mm ~ 1250mm 사이의 높이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대부분의 고객이 상품을 쉽게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어린이나 키가 작은 고객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OA 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기의 사용으로 업무절차가 간소화된다.
  2. 생산성은 증대하나 개인과 조직의 융통성은 결여된다.
  3.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할 수 있다.
  4. 업무의 정확성이 개선된다.
(정답률: 41%)
  • "생산성은 증대하나 개인과 조직의 융통성은 결여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OA는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업무절차를 간소화하고 업무의 정확성을 개선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OA를 도입하면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할 수 있으며, 조직의 융통성이 결여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의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 균형
  2. - 통일
  3. - 변화
  4. - 점이, 리듬
(정답률: 55%)
  • 그림의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 변화" 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는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고 있으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간의 배치
  2. 공간의 형태와 크기
  3. 동선
  4. 문의 디자인
(정답률: 87%)
  • 평면도에서는 문의 디자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습니다. 평면도는 공간의 배치, 형태와 크기, 동선 등을 보여주지만, 문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디자인 시안이나 실제 건축물을 보지 않으면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문의 디자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디자인의 원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스케일은 물체의 크기와 인체의 관계 그리고 물체상호간의 관계를 말한다.
  2. 균형은 실내분위기에 평형감각과 침착함, 안정감 그리고 중량감을 준다.
  3. 리듬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나타나는 통제된 운동감이다.
  4. 조화란 1개 이상의 조형요소 또는 부분과 전체 사이에 공통성이 있다.
(정답률: 55%)
  • 옳지 못한 설명은 없습니다.

    조화란은 디자인에서 중요한 원리 중 하나로, 디자인 요소들 간에 일정한 관계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이 조화롭고 일관성 있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조화란 1개 이상의 조형요소 또는 부분과 전체 사이에 공통성이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평면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동선처리
  2. 조명분포
  3. 가구배치
  4. 출입구의 위치
(정답률: 81%)
  • 평면계획시에는 동선처리, 가구배치, 출입구의 위치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조명분포는 건물 내부의 조명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아니며, 오히려 다른 요소들보다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간의 레이아웃 작업이 아닌 것은?

  1. 공간의 배분계획
  2. 공간별 재료마감계획
  3. 동선계획
  4. 가구배치계획
(정답률: 71%)
  • 공간의 레이아웃 작업은 공간의 배분계획, 동선계획, 가구배치계획 등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공간별 재료마감계획은 공간의 레이아웃 작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각 공간에서 사용될 재료의 종류, 색상, 마감 방식 등을 결정하는 계획으로, 디자인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공정입니다. 따라서 공간의 레이아웃 작업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실내를 구성하고 있는 다음 요소 중에서 수직적 요소로 볼 수 있는 것은?

  1. 기둥
  2. 바닥
  3. 천정
(정답률: 87%)
  • 기둥은 바닥에서부터 천정까지 수직적으로 세워진 요소이기 때문에 수직적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실내디자이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어진 조건에 근거하여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디자인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2. Human scale에 따른 쾌적한 실내공간 조성을 목표로 한다.
  3. 지나친 독창성이나 유행적인 대안을 지향한다.
  4. 단지 보기좋은 형태에만 중점을 두면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정답률: 80%)
  • "지나친 독창성이나 유행적인 대안을 지향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디자이너가 자신의 개성이나 유행에 따라 디자인을 결정하려는 경향이 있어 기능성이나 실용성을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내디자이너는 기능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평선에서 얻어지는 느낌으로 적당한 것은?

  1. 점층적인 운동감
  2. 중력에 대한 저항감
  3. 편안한 운동감
  4. 편안한 안락감
(정답률: 71%)
  • 수평선은 안정적이고 균형잡힌 느낌을 주기 때문에 "편안한 안락감"이 적당하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안정적인 상황을 선호하고,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불안감을 느끼는 인간의 본성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당의 조명계획 방법 중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천장면에 부착하는 직부등을 단다.
  2. 천장에 매달아 늘어뜨린 펜던트형을 사용한다.
  3. 형광등을 사용하여 분위기를 밝게한다.
  4. 백열등을 사용한다.
(정답률: 41%)
  • 식당에서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어떤 조명을 사용할지가 중요하다. 천장면에 부착하는 직부등이나 천장에 매달아 늘어뜨린 펜던트형은 조명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성이 높다. 하지만 형광등은 밝기는 높지만 분위기를 조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형광등을 사용하여 분위기를 밝게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각 실내공간의 계획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것은?

  1. 주거공간 - 주부의 동선
  2. 상업공간 - 상품반입동선
  3. 업무공간 - 모듈러시스템
  4. 전시공간 - 조명시스템
(정답률: 48%)
  • 각 실내공간의 계획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그 공간의 용도와 관련된 사항입니다. 상업공간에서는 상품의 유통과 판매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품반입동선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상업공간에서는 상품반입동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주거공간에서는 주부의 동선, 업무공간에서는 모듈러시스템, 전시공간에서는 조명시스템 등이 중요한 사항으로 고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인간의 오류(human error)와 관련된 다음 내용 중 틀린것은?

  1. 인간이 오류를 범하여도 시스템이 안전하도록 설계하는 fail-safe 개념을 도입하여 작업장을 설계한다.
  2. 인간이 오류를 범하여도 마치 그렇지 않게 설계하는 fool-proof 개념을 도입하여 작업장을 설계한다.
  3. 오류를 범하는 작업자는 다시 유사한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작업에서 제거한다.
  4. 사전에 마련된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제거시킨다.
(정답률: 74%)
  • "오류를 범하는 작업자는 다시 유사한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작업에서 제거한다."가 틀린 내용이다. 이유는 오류를 범하는 작업자가 반드시 작업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오류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시인성이 가장 좋은 배색 사례는?

  1. 노랑-파랑
  2. 빨강-파랑
  3. 파랑-검정
  4. 녹색-회색
(정답률: 68%)
  • 노랑과 파랑은 색상적으로 대비가 크면서도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색상이기 때문에 시인성이 가장 좋은 배색 사례입니다. 노랑은 밝고 활기찬 느낌을 주며, 파랑은 차분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두 색상을 함께 사용하면 시각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조도(lx)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방사에너지의 양
  2. 일정 방향으로 농출하고 있는 빛의 양
  3. 일정면에 반사되는 빛의 정도
  4. 단위면적 또는 단위시간에 받는 빛의 양
(정답률: 62%)
  • 조도는 단위면적 또는 단위시간에 받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도와 관련이 있지만, 조도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위면적 또는 단위시간에 받는 빛의 양"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체 치수의 비율에서 신장을 H 라고 한다면 어깨 폭(너비)의 비율로 가장 가까운 수치는?

(정답률: 61%)
  • 인체 치수의 비율에서 신장이 H일 때, 어깨 폭(너비)의 비율은 대략 H의 1/4 정도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수치는 ""이다. 이유는 인체의 비율에서 어깨 폭은 대략 1/4 정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현대 상품의 색채 마케팅 특징은 일반적으로 어디에 많은 비중을 두는가?

  1. 물리적 기능보다 심리적 기능
  2. 물리적 기능보다 생리적 기능
  3. 심리적 기능보다 물리적 기능
  4. 심리적 기능보다 생리적 기능
(정답률: 89%)
  • 정답: "물리적 기능보다 심리적 기능"

    현대 상품의 색채 마케팅 특징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물리적 기능보다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구에 맞추어 제품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에 더 많은 비중을 둡니다. 즉, 제품의 색상, 디자인, 브랜드 이미지 등을 통해 소비자의 감정적인 반응을 자극하고,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려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생리적 기능보다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마케팅 전략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서로 다른 두 색상의 색료를 혼합했을 때, 그 혼합색이 중립의 Grey나 Black에 가까운 색이 되었을 경우 두 색의 관계는?

  1. 보색
  2. 단색
  3. 순색
  4. 인근색
(정답률: 69%)
  • 보색은 서로 대조되는 색상으로, 빨강과 초록, 파랑과 주황 등이 있다. 두 보색을 혼합하면 중립색인 회색이나 검정색이 되는데, 이는 두 색상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색상의 색료를 혼합하여 중립색이 되었다면, 그 두 색은 보색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색의 온도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장파장의 색이 따뜻하고 단파장의 색이 차갑다.
  2. 명도가 낮은 검정계통은 좀 차갑게 느껴진다.
  3. 같은 색이라도 광택이 있으면 더 따뜻하게 느껴진다.
  4. 저명도의 색은 한난의 감정이 없다.
(정답률: 51%)
  • 장파장의 색이 따뜻하고 단파장의 색이 차갑다는 것은 빛의 파장이 길면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따뜻하게 느껴지고, 파장이 짧으면 덜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차가워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혀의 안쪽에서 잘 느끼는 미각(味覺)은?

  1. 단맛
  2. 신맛
  3. 짠맛
  4. 쓴맛
(정답률: 41%)
  • 혀의 뒷부분에 위치한 맛망종세포는 쓴맛을 감지하는데 특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혀의 안쪽에서 잘 느끼는 미각은 쓴맛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눈의 피로를 줄이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색은?

  1. 황색
  2. 녹색
  3. 적색
  4. 흑색
(정답률: 85%)
  • 녹색은 자연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색 중 하나이며, 눈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녹색은 빛의 파장이 길어서 눈에 부담을 주지 않고, 진한 녹색은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어 눈의 피로를 줄이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먼셀 표색계에서 정의한 5개의 기본 색상 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빨강
  2. 보라
  3. 파랑
  4. 주황
(정답률: 71%)
  • 먼셀 표색계에서 정의한 5개의 기본 색상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입니다. 따라서 "주황"은 해당되지 않는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입력자극으로서 청각장치의 사용이 특히 유리한 것은?

  1. 전언(message)이 복잡하다.
  2. 전언이 길다.
  3. 전언이 공간적 위치를 다룬다.
  4. 전언이 후에 다시 참조되지 않는다.
(정답률: 43%)
  • 정답: "전언이 후에 다시 참조되지 않는다."

    이유: 청각장치는 말이나 소리를 듣고 이를 바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자극으로서 전언이 후에 다시 참조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저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전언이 복잡하거나 길거나 공간적 위치를 다루는 경우에는 시각적 정보가 필요하므로 시각장치가 더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론에 의한 조화법칙 중 틀린 것은?

  1. 색상이 동일하고 색의 기호가 다르면 두 색은 조화하지 않는다. (예 : 5ge-5ne)
  2. 색상이 달라도 색의 기호가 동일한 두 색은 조화 한다. (예 : 5ne-8ne)
  3. 색의 기호 중 앞의 문자와 동일한 두 색은 조화한다. (예 : ga-ge)
  4. 색의 기호 중 앞의 문자와 뒤의 문자가 같은 색은 조화하지 않는다. (예 : la-pl)
(정답률: 51%)
  • "색상이 동일하고 색의 기호가 다르면 두 색은 조화하지 않는다. (예 : 5ge-5ne)"가 틀린 것은, 색상이 동일하면 두 색은 항상 조화한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색상이 같더라도 색의 밝기나 채도 등이 다르면 조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색상이 같더라도 다른 색의 속성들을 고려하여 조화를 판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에서 가동역을 표현한 내용이 맞는 것은?

  1. 굴곡
  2. 회선
  3. 신전
  4. 내전과 외전
(정답률: 74%)
  • 가동역은 "내전과 외전"입니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두 개의 회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으로, 내전과 외전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회선의 굴곡이나 신전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가동역을 표현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그림 중 같은 무게의 짐을 운반할 때 가장 에너지가 적게 소모되는 방법은?

  1. Double pack
  2. Rice bag
  3. Yoke
  4. Hands
(정답률: 56%)
  • "Double pack"은 양쪽 어깨에 균등하게 무게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운반할 수 있습니다. "Rice bag"는 한쪽 어깨에만 무게가 집중되어 부담이 크고, "Yoke"는 머리 위에 무게가 집중되어 불편하며, "Hands"는 손에 짐을 들고 있어서 손과 팔에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경보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여성의 목소리는 흔하지 않는 환경에서 주의를 환기시키는데 효과적이다.
  2. 음과 빛을 혼합하여 알린다.
  3. 급박한 상황이므로 취해야할 조처보다는 비상사태임을 알리기에 충분하다.
  4. 사태의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를 제시한다.
(정답률: 54%)
  • "급박한 상황이므로 취해야할 조처보다는 비상사태임을 알리기에 충분하다."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유는 이 방법은 실제로 어떤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취해야 할 조치나 대처 방법을 알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만으로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문.스펜서의 조화론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100색상을 기준으로 보색 색상간의 차는 50 이다.
  2. 일반적으로 먼셀 표색계에 의해 설명 된다.
  3. 감성적인 조화론을 과학적, 정량적으로 취급한 특성이 있다.
  4. 제1부조화란 동일한 색끼리의 부조화이다.
(정답률: 35%)
  • "제1부조화란 동일한 색끼리의 부조화이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제1부조화는 색상의 밝기나 채도가 다른 색상들이 함께 사용될 때 발생하는 부조화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색채조절의 효과로서 기대되는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의 증진
  2. 결근의 감소
  3. 피로의 경감
  4. 재해율의 증가
(정답률: 68%)
  • 색채조절은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시력 피로를 경감시키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의 증진", "결근의 감소", "피로의 경감"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됩니다. 그러나 "재해율의 증가"는 작업 환경 개선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색채조절을 잘못 사용하거나, 작업 환경 개선이 충분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색채조절을 통해 작업자가 물체를 잘못 인식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환경 개선과 안전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접된 주위의 색과 가깝게 보이는 현상은?

  1. 대비
  2. 동화
  3. 잔상
  4. 항상성
(정답률: 74%)
  • 인접된 주위의 색과 가깝게 보이는 현상을 동화라고 합니다. 이는 인접한 두 색이 섞이면서 색상이 중간색으로 동화되어 보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이 인접해 있으면 빨간색과 파란색의 중간색인 보라색으로 동화되어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작업장의 설계에 관한 일반적인 고려사항이 잘못된 것은?

  1.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2. 지구력이 조화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3. 가능한 신체지탱 보조물을 제거한다.
  4. 피로를 극소화 하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78%)
  • 가능한 신체지탱 보조물을 제거하는 것은 작업자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고, 작업 환경에서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는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빛을 지각하지 못하는 경우는?

  1. 입자에 의해 산란될 때
  2. 물체의 직접반사에 의해
  3. 물체를 투과할 때
  4. 물체에 흡수될때
(정답률: 59%)
  • 빛은 물체에 닿으면 흡수, 반사, 산란, 투과 등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 중에서 빛이 물체에 흡수될 때는 빛이 물체 내부로 들어가서 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에 빛을 지각할 수 없습니다. 즉, 빛이 물체에 흡수될 때는 빛이 사라지기 때문에 우리는 그 물체를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목재가 부패하여 파괴기에 들어가면 색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활엽수재의 부패시 주로 나타나는 색은?

  1. 적색
  2. 백색
  3. 청색
  4. 황갈색
(정답률: 32%)
  • 활엽수재의 부패시 주로 나타나는 색은 백색이다. 이는 백색곰팡이가 활엽수재의 부패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백색곰팡이는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목재 내부로 침투하여 목재를 부패시킨다. 이로 인해 목재의 색이 백색으로 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멘트기와의 원료 배합비(시멘트:모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중량 배합비 1 : 2
  2. 용적 배합비 1 : 2
  3. 용적 배합비 1 : 3
  4. 중량 배합비 1 : 3
(정답률: 42%)
  • 시멘트와 모래의 원료 배합비는 건축물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중량 배합비는 시멘트와 모래의 중량 비율을 나타내고, 용적 배합비는 시멘트와 모래의 부피 비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중량 배합비가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중량 배합비를 사용한다.

    따라서, 시멘트와 모래의 중량 배합비가 1:3인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시멘트 1kg에 모래 3kg을 섞는 것을 의미한다. 이 비율은 건축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한 적절한 비율로, 일반적으로 벽돌, 콘크리트, 천장 등의 구조물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석재의 시험 중에서 거의 실시되지 않는 시험은?

  1. 비중 시험
  2. 흡수율 시험
  3. 압축강도 시험
  4. 인장강도 시험
(정답률: 32%)
  • 석재의 인장강도 시험은 거의 실시되지 않는 시험이다. 이는 석재가 주로 압축력에 대한 내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장강도 시험은 석재가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건축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에 실시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돌로마이트플라스터가 경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이산화탄소(CO2)
  2. 물(H2O)
  3. 산소(O2)
  4. 수소(H)
(정답률: 44%)
  • 돌로마이트플라스터가 경화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CO2)가 필요합니다. 이는 돌로마이트플라스터가 수화되어 탄산화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CO2가 필요하며, 이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기체입니다. 따라서, CO2를 추가적으로 공급해주는 것이 돌로마이트플라스터가 경화하는 데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건축용 유리 중 지하실 또는 지붕의 채광용으로 이용되며 데크유리로도 불리는 것은?

  1. 유리타일
  2. 열반사유리
  3. 기포유리
  4. 프리즘유리
(정답률: 63%)
  • 프리즘유리는 특수한 형태의 유리로, 빛을 분산시켜 채광 효과를 높여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실이나 지붕 등 어두운 공간에서도 자연광을 활용할 수 있으며, 데크유리로도 이용됩니다. 유리타일은 작은 유리 조각으로 이루어진 타일이며, 열반사유리는 열을 반사시켜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인 유리입니다. 기포유리는 유리 내부에 기포를 넣어 단열성을 높인 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시멘트비를 65%로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의 양으로 적당한 것은? (단, 콘크리트 1m3 당 시멘트 8포대(1포대 = 40㎏)임)

  1. 0.1m3
  2. 0.2m3
  3. 0.3m3
  4. 0.4m3
(정답률: 25%)
  • 콘크리트 1m3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시멘트의 양은 8포대이므로 320kg이다. 이 중 물시멘트비가 65%이므로 물의 양은 320kg의 65%인 208kg이다. 따라서 적당한 물의 양은 0.2m3이다. 이는 1m3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콘크리트 벽면에 주로 사용하는 도장재료는?

  1. 오일페인트
  2. 합성수지 에말죤페인트
  3. 락카에나멜
  4. 에나멜페인트
(정답률: 41%)
  • 콘크리트 벽면은 표면이 균일하지 않고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합성수지 에말죤페인트와 같은 도장재료를 사용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장재료는 물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콘크리트 벽면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수지 에말죤페인트가 콘크리트 벽면에 주로 사용되는 도장재료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페인트에서 연단(鉛丹), 연백(鉛白) 등을 포함시킨 도료의 용도는?

  1. 방수
  2. 방청
  3. 내열
  4. 방화
(정답률: 45%)
  • 연단과 연백은 페인트에서 백색 피그먼트로 사용되며, 특히 방청 효과가 있어서 페인트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물기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해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도료를 포함한 페인트는 방청 효과가 있어서 방수나 내열, 방화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조석바름의 반죽에 필요한 재료를 옳게 열거한 것은?

  1. 백시멘트, 종석, 강모래, 해초풀, 물
  2. 백시멘트, 종석, 안료, 돌가루, 물
  3. 백시멘트, 강자갈, 강모래, 안료, 물
  4. 백시멘트, 강자갈, 해초풀, 안료, 물
(정답률: 46%)
  • 정답은 "백시멘트, 종석, 안료, 돌가루, 물" 입니다. 인조석바름은 인공석재를 만들기 위한 재료로, 백시멘트, 종석, 안료, 돌가루, 물이 필요합니다. 강모래나 해초풀, 강자갈은 인조석바름에 필요한 재료가 아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벽돌에 관한 기술 중 올바른 것은?

  1. 과소벽돌은 질이 견고하고 흡수율이 낮아 구조용으로 적당하다.
  2. 건축용 내화벽돌의 내화도는 800℃ 이상이어야 한다.
  3. 표준형벽돌의 치수는 190 × 90 × 57mm이다.
  4. 포도벽돌은 주로 건물 외벽의 치장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71%)
  • 표준형벽돌의 치수가 190 × 90 × 57mm인 이유는, 이 치수가 국내 건축 기준인 KS F 4001에서 정한 표준치이기 때문이다. 이 치수는 건축 시에 벽돌을 쌓는 데 필요한 최적의 크기로, 이를 기준으로 건축자재 업계에서 생산 및 공급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E. 콘크리트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중에 연행되는 공기량은 3 ~ 5%가 표준이다
  2. 공기량 1%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 저하율은 5% 정도이다.
  3.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공기량이 증가한다.
  4. 시공시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량이 많아진다.
(정답률: 48%)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공기량이 증가한다."라는 문장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간극이 커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혼합물 내부에 공기가 더 많이 포함되게 되어 공기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이유 중 옳은 것은?

  1.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
  2. 강도를 높이기 위함
  3. 경화속도를 높이기 위함
  4. 경도를 높이기 위함
(정답률: 63%)
  • 회반죽은 물과 밀가루로 만들어지는데, 이때 여물을 넣는 이유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여물은 밀가루와 물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서 반죽이 끈적이는 성질을 가지게 하고, 이로 인해 반죽이 더욱 탄력적이고 단단해져서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아노선은 어디에 사용하는 재료인가?

  1. 레디믹스트콘크리트
  2.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3. 경량콘크리트
  4. A.E콘크리트
(정답률: 41%)
  • 피아노선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서 사용하는 재료입니다.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는 강화된 철근을 콘크리트에 미리 넣어 미리 인장력을 가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강도를 높인 구조물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는 피아노선과 같은 고강도 철근이 필요한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마인유의 산화물에 수지, 고무질물질, 안료 등을 섞어 마포 같은데 발라 두꺼운 종이 모양으로 압연 성형한 것은?

  1. 리놀륨 타일
  2. 고무 타일
  3. 아스팔트 타일
  4. 비닐 타일
(정답률: 36%)
  • 리놀륨 타일은 아마인유의 산화물에 수지, 고무질물질, 안료 등을 섞어 만들어진 바닥재로, 압연 성형하여 두꺼운 종이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고무 타일, 아스팔트 타일, 비닐 타일과는 구성과 제조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목재의 강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크면 압축강도도 크다.
  2. 목재의 휨강도는 전단강도보다 크다.
  3. 목재의 함수율이 크면 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4. 목재의 강도는 섬유방향에 평행하게 가한것이 가장 강하다.
(정답률: 49%)
  • "목재의 함수율이 크면 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함수율은 재료가 압축력에 얼마나 잘 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함수율이 높을수록 압축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목재의 강도는 섬유방향에 평행하게 가한것이 가장 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목재의 강도는 섬유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전단강도와 섬유방향에 평행한 방향인 인장강도, 압축강도 등 다양한 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염화비닐수지의 용도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파이프
  2. 타일
  3. 도료
  4. 유리 대용품
(정답률: 35%)
  • 염화비닐수지는 유연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방수성이 높은 재질로, 파이프, 타일, 도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유리 대용품으로는 적절치 않습니다. 유리 대용품은 염화비닐수지로 만들어진 제품보다 내구성이 낮고, 열에 약하며, 투명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리 대용품을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강(steel)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1. 강은 탄소 함유량이 일정한도 넘으면 인장강도가 저하된다.
  2. 강은 탄소량이 0.04 ~ 1.7% 정도 함유된 철을 말한다
  3. 강의 인장강도는 200℃정도 일때가 상온일 때 보다 약간 작다.
  4. 주철의 인장강도는 강의 인장강도보다 작다.
(정답률: 40%)
  • "강의 인장강도는 200℃정도 일때가 상온일 때 보다 약간 작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강이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열처리되면 결정 구조가 변화하여 인장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강의 인장강도는 고온에서 더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멘트블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구멍을 제외한 실제 단면적에 가해진 하중으로 압축강도를 구한다.
  2. 길이,두께 치수의 허용오차는 ± 2mm 정도이다.
  3. 1급의 압축강도는 80kg/cm2 이상이다
  4. 품질판정은 압축강도,흡수율이 중요하다.
(정답률: 25%)
  • "구멍을 제외한 실제 단면적에 가해진 하중으로 압축강도를 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시멘트블록의 압축강도는 구멍을 포함한 전체 단면적에 가해진 하중으로 구한다. 구멍을 제외한 실제 단면적으로 압축강도를 구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재료가 외력을 받을 때 변형을 적게 하려는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소성
  2. 강성
  3. 인성
  4. 좌굴
(정답률: 46%)
  • 강성은 외력을 받을 때 변형을 적게 하려는 성질을 말한다. 이는 재료의 분자 구조가 단단하고 강하게 이루어져 있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성이 높은 재료는 변형이 적게 일어나므로 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입 수종 중 재질이 단단하고 고급가구재로 많이 쓰이는 것은?

  1. 삼나무(杉 : sugi)
  2. 미송(美松)
  3. 라왕(羅王 : lauan)
  4. 흑단(黑檀)
(정답률: 29%)
  • 흑단은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그림자나 빛에도 변색이 적어 고급 가구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관람집회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관람석으로 부터 밖으로의 출구는 유효너비를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2m
  2. 1.5m
  3. 1.8m
  4. 2.1m
(정답률: 61%)
  • 관람집회시설에서는 대량의 인원이 모이기 때문에 비상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관람석에서 밖으로의 출구는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법규에서는 관람석에서 밖으로의 출구는 유효너비가 1.5m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의자, 소파, 테이블 등의 가구에서 사용되는 짐승다리 모양의 지지대가 역사상 최초로 사용된 시기는?

  1. B.C. 2000년 이전
  2. 로마
  3. 중세기
  4. 16세기 이후
(정답률: 27%)
  • B.C. 2000년 이전에는 짐승다리 모양의 지지대가 사용되는 가구가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로마, 중세기, 16세기 이후에도 이러한 지지대가 사용되었지만, 그 이전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하이테크(High-Tech)를 중심으로 하는 건축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2. 로이드 보험회사 사옥
  3. 홍콩 상하이 은행
  4. 퐁피두 센터
(정답률: 45%)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하이테크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이지만, 건축물의 디자인과 구조는 주로 예술적인 요소와 기능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이테크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따라서 하이테크를 중심으로 하는 건축과 관계가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의 최소 단면적은 600cm2 이상으로 한다.
  2. 사각형 기둥은 주근을 4개이상 배근한다.
  3. 띠철근은 수평력에 대한 전단보강의 작용을 한다.
  4. 띠철근의 간격은 최대 20cm 이하로 해야 한다.
(정답률: 32%)
  • 띠철근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전단력에 대한 보강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최대 20cm 이하로 해야 한다. 이는 띠철근이 수평력에 대한 전단보강의 작용을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특수장소에 사용하여야 하는 방염성능 재료의 기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불꽃에의해 완전히 녹아질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회수는 5회 이상
  2. 탄화한 면적은 50cm2 이내
  3. 탄화한 길이는 20cm 이내
  4. 버어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
(정답률: 56%)
  • "불꽃에의해 완전히 녹아질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회수는 5회 이상"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불꽃의 접촉 회수는 재료의 방화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방화성능은 재료가 불꽃에 노출될 때 얼마나 빠르게 연소가 멈추는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불꽃에의해 완전히 녹아질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회수는 5회 이상"은 잘못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고딕건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flying buttress(비량)
  2. pointed arch(뾰족아치)
  3. minaret(미나렛)
  4. Rose Window(장미창)
(정답률: 51%)
  • 미나렛은 이슬람교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탑으로, 고딕 건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비량, 뾰족아치, 장미창은 모두 고딕 건축에서 사용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학교의 교실에서 피난층에 통하는 직통계단까지의 보행거리는?

  1. 30m 이하
  2. 40m 이하
  3. 50m 이하
  4. 60m 이하
(정답률: 29%)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학교의 교실에서 피난층에 통하는 직통계단까지의 보행거리는 50m 이하이다. 이는 대한민국 건축법 제28조 제2항에 따라 "내화구조의 건축물에서는 피난구조물까지의 거리가 50m 이하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학교의 경우에도 이 규정에 따라 피난층에 통하는 직통계단까지의 보행거리는 50m 이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벽돌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력벽의 길이는 10m를 넘을 수 없다.
  2.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m2를 넘을 수 없다.
  3. 대린벽으로 구획된 각 벽에 있어서 개구부 폭의 합계는 그 벽길이의 1/2 이하로 한다.
  4. 개구부와 개구부의 상하 수직거리는 90c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41%)
  • "개구부와 개구부의 상하 수직거리는 90cm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벽돌조에서 개구부(문, 창문 등이 위치하는 부분)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이며, 개구부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개구부와 개구부의 상하 수직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벽돌쌓기법 중 가장 튼튼한 쌓기법은?

  1. 미식쌓기
  2. 영식쌓기
  3. 화란식쌓기
  4. 불식쌓기
(정답률: 54%)
  • 영식쌓기는 벽돌을 서로 겹치게 쌓는 방식으로, 벽돌이 서로 묶이는 구조를 만들어 튼튼하게 만듭니다. 이에 비해 미식쌓기나 화란식쌓기는 벽돌을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뜨려 쌓는 방식으로, 벽돌이 서로 묶이지 않아 튼튼하지 않습니다. 불식쌓기는 벽돌을 불로 구워서 쌓는 방식으로, 튼튼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영식쌓기가 가장 튼튼하면서도 비용과 시간 면에서 효율적인 쌓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철골조 기둥을 내화구조로 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로 옳은 것은?

  1. 2cm 이상
  2. 3cm 이상
  3. 4cm 이상
  4. 5cm 이상
(정답률: 23%)
  • 철골조 기둥은 불순물이 섞인 강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노출되면 부식되어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화구조를 위해서는 철골조 기둥에 콘크리트를 피복하여 보호해야 합니다. 이때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철골조 기둥의 직경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5cm 이상으로 권장됩니다. 이는 철골조 기둥의 직경이 클수록 내부에 더 많은 콘크리트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c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목구조 접합철물중 듀벨(Dubel)은 어떠한 응력에 작용시키는가?

  1. 휨모멘트
  2. 전단력
  3. 인장력
  4. 부착력
(정답률: 54%)
  • 듀벨은 목재나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철물로, 구조물에 들어가는 구멍에 넣고 나사로 고정시킨다. 이때 듀벨은 구조물에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는 인장력이나 부착력과는 관련이 없다.

    그러나 듀벨이 구조물에 고정되는 과정에서는 듀벨 자체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된다. 듀벨이 구멍에 넣어지면서 구멍 벽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나사로 고정될 때는 듀벨이 구멍 벽면을 더욱 밀착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듀벨은 구멍 벽면과의 마찰력과 밀착력을 이겨내기 위해 전단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듀벨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응력 중에서 전단력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철근콘크리트 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요한 보는 복근으로 배근한다.
  2. 주근은 직경 D13 이상으로 한다.
  3. 스터럽(늑근)은 중앙부 보다 양단부에 많이 배근된다.
  4. 보의 양단부는 하부에 주근을 많이 배근한다.
(정답률: 36%)
  • 보의 양단부는 하부에 주근을 많이 배근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보의 양단부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주근을 배근하여 균등한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보의 양단부가 하중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서양 건축양식의 발달순서를 나열한 것 중 옳은 것은?

  1. 그리스 - 로마 - 초기기독교 - 로마네스크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2. 그리스 - 로마 - 초기기독교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마네스크
  3. 그리스 - 로마 - 로마네스크 - 초기기독교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4. 로마 - 그리스 - 초기기독교 - 로마네스크 - 고딕 - 바로크 - 르네상스
(정답률: 54%)
  • 서양 건축양식의 발달순서는 그리스 - 로마 - 초기기독교 - 로마네스크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순이다. 이는 그리스와 로마에서 시작하여 초기기독교 시기에 영향을 받은 로마네스크, 그리고 중세 시대의 고딕 양식을 거쳐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기에 이르게 되었다. 이 순서는 서양 건축의 발전과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건축물의 피난에 관한 규정 중 틀린 사항은?

  1. 피난층이란 직접 지상에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2. 피난계단은 직통계단이라야 한다.
  3. 보행거리란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피난층에 통하는 직통계단까지 거리를 말한다.
  4. 피난층은 한 건물에 1개 뿐이다.
(정답률: 67%)
  • 정답: "피난층은 한 건물에 1개 뿐이다."

    설명: 건축법 시행규칙 제30조에 따르면, "피난층은 건축물의 층 중에서 직접 지상에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으로서, 피난계단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건물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피난층이 설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가 12cm 일때 보와 보로 구획된 1개 판의 면적은 얼마 이내로 하는 것이 이상적인가?

  1. 20m2
  2. 30m2
  3. 45m2
  4. 60m2
(정답률: 46%)
  •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가 12cm 이므로, 이 판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고려하여 면적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하중은 250kg/m2 이하로 유지되어야 안전하다. 따라서, 1개 판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m2당 하중 = 250kg
    1m2당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무게 = 120kg (두께 12cm 기준)
    1m2당 사용 가능한 하중 = 250kg - 120kg = 130kg

    따라서, 1개 판의 면적은 130kg을 지탱할 수 있는 면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면적은 넓을수록 하중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큰 면적을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에 따라, 1개 판의 면적은 30m2이 가장 이상적인 선택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조적조에서 벽량(壁量)이란?

  1. 내력벽의 길이와 바닥면적과의 비
  2. 각층의 개구부면적을 뺀 벽의 면적
  3. 건물면적과 벽면적과의 비
  4. 각층의 개구부면적과 벽면적과의 비
(정답률: 35%)
  • 조적조에서 벽량(壁量)은 각층의 개구부면적을 뺀 벽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벽면적과 바닥면적의 비가 아니라, 내력벽의 길이와 바닥면적과의 비가 정답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내력벽이 얼마나 길게 설치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건축법의 용어 정의상 건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축
  2. 이전
  3. 대수선
  4. 증축
(정답률: 38%)
  • 대수선은 건축물의 구조물이 아니라, 건축물의 설계를 위해 사용되는 도면상의 선으로 건축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건축법의 용어 정의상 건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탈 근대건축의 공통적 특징은?

  1. 건축의 언어성을 강조한다.
  2. 절충주의 건축을 반대한다.
  3. 기능을 무시한다.
  4. 순수한 형태를 추구한다.
(정답률: 25%)
  • 탈 근대건축은 기능보다는 건축의 언어성을 강조하며, 건축물의 형태와 구조를 중요시한다. 따라서 절충주의 건축을 반대하고, 기능을 무시하며 순수한 형태를 추구한다. 이는 건축물이 단순히 기능적인 목적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예술적인 표현이자 문화적인 상징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비상콘센트 설비를 설치 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은?

  1. 6층 이상의 층
  2. 9층 이상의 층
  3. 11층 이상의 층
  4. 15층 이상의 층
(정답률: 50%)
  • 비상콘센트 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구조활동에 필요한 통신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높은 층수에 위치한 건물일수록 대피 및 구조활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비상콘센트 설비를 설치하여 대피 및 구조활동에 필요한 통신 수단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11층 이상의 층을 대상으로 비상콘센트 설비를 설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건축허가의 동의 요구를 받을때 동의기간은 얼마 이내인가?

  1. 3일
  2. 5일
  3. 6일
  4. 8일
(정답률: 35%)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건축허가의 동의를 받을 때, 동의기간은 3일 이내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