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실내건축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균형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시각적 중량감이 크다.
  2. 크기가 큰 것이 작은 것보다 시각적 중량감이 크다.
  3. 불규칙적인 형태가 기하학적 형태보다 시각적 중량감이 크다.
  4. 복잡하고 거친 질감이 단순하고 부드러운 것보다 시각적 중량감이 크다.
(정답률: 54%)
  •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시각적 중량감이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 인식에서 수직선이 더 안정적이고 강력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 뇌가 수직선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자인 원리 중 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순조화는 대체적으로 온화하며 부드럽고 안정감이있다.
  2. 복합조화는 다양한 주제와 이미지들이 요구될 때 주로 사용된다.
  3. 대비조화에서 대비를 많이 사용할수록 뚜렷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준다.
  4. 유사조화는 형식적, 외형적으로 시각적인 동일 요소의 조합을 통하여 성립한다.
(정답률: 60%)
  • 대비조화에서 대비를 많이 사용할수록 뚜렷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준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대비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시각적인 혼란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대비는 적절하게 사용해야만 조화로운 디자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설명에 알맞은 건축화 조명의 종류는?

  1. 광창 조명
  2. 코브 조명
  3. 광천장 조명
  4. 캐노피 조명
(정답률: 58%)
  •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조명은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된 것으로, 캐노피 조명으로 추정된다. 캐노피 조명은 건축물의 외부 공간을 밝히기 위해 지붕이나 현관 등에 설치되는 조명으로, 주로 야외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질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감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스케일, 빛의 반사와 흡수 등의 요소이다.
  2. 질감은 실내디자인을 통일시키거나 파괴할 수도 있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3. 좁은 실내 공간을 넓게 느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면이 곱고 매끄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시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어떤 물체 표면상의 특징을 양감이라고 하며, 촉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것을 질감이라고 한다.
(정답률: 57%)
  • "좁은 실내 공간을 넓게 느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면이 곱고 매끄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표면이 조금 거칠고 질감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공간을 더 넓게 느끼게 만들어줍니다. 이는 질감이 공간의 깊이와 차원을 강조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하학적으로 취급한 점, 선, 면, 입체 등이 속하는 형태의 종류는?

  1. 현실적 형태
  2. 이념적 형태
  3. 추상적 형태
  4. 3차원적 형태
(정답률: 40%)
  • 기하학적으로 취급한 것들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머리 속에서 생각해낸 개념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이념적 형태"에 속합니다. 이러한 개념적인 형태를 통해 우리는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이미지 스케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체적인 이미지를 알 수 있도록 스케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준비된 여러 가지 자료를 참고하여 디자인할 부위를 표현한다.
  3. 투시도 작도 이전에 그리는 3차원적 표현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4. 공간별 이미지를 스케치하되 다른 디자인을 재해석한 모방은 곤란하다.
(정답률: 63%)
  • "공간별 이미지를 스케치하되 다른 디자인을 재해석한 모방은 곤란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미지 스케치는 디자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때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디자인을 구성하고, 공간별 이미지를 스케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다른 디자인을 모방하는 것은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쇼룸(show roo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PR보다는 판매를 위주로 한다.
  2. 일반 매장과는 다르게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다.
  3. 쇼룸의 연출은 되도록 개념, 대상물, 효과라는 3단계가 종합적으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4. 상업적 쇼룸에는 필요한 경우 사용이나 작동을 위한 테스팅 룸(testing room)을 배치한다.
(정답률: 69%)
  • "일반적으로 PR보다는 판매를 위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쇼룸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고 홍보하기 위한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PR(홍보)와 판매를 모두 위주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PR보다는 판매를 위주로 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상점의 판매형식 중 측면판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면판매에 비해 넓은 진열면적의 확보가 가능하다.
  2. 판매원이 고정된 자리 및 위치를 설정하기가 어렵다.
  3. 소형으로 고가품인 귀금속, 시계, 화장품 판매점 등에 적합하다.
  4. 고객이 직접 진열된 상품을 접촉할 수 있는 관계로 상품의 선택이 용이하다.
(정답률: 63%)
  • "판매원이 고정된 자리 및 위치를 설정하기가 어렵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측면판매는 판매원이 고정된 자리나 위치를 설정하지 않고, 상품을 진열한 채로 고객이 직접 접근하여 상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판매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아파트 평면형식 중 프라이버시가 가장 양호한 것은?

  1. 홀형
  2. 집중형
  3. 편복도형
  4. 중복도형
(정답률: 58%)
  • 홀형은 거실과 침실이 분리되어 있어 개인 공간이 보호되며, 부엌과 화장실이 분리되어 있어 생활공간과 위생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프라이버시가 가장 양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거리, 길이, 방향, 크기의 착시와 같은 기하학적 착시의 사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분트 도형
  2. 뮐러-리어 도형
  3. 포겐도르프 도형
  4. 펜로즈의 삼각형 2
(정답률: 45%)
  • 펜로즈의 삼각형 2는 기하학적 착시가 아니라 그림의 일부분이 누락되어 있어서 실제로는 삼각형이 아닌 사각형임에도 불구하고 삼각형으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거리, 길이, 방향, 크기의 착시와 같은 기하학적 착시의 사례"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주택 부엌의 작업순서에 따른 가구 배치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준비대 - 개수대 - 조리대 - 가열대 - 배선대
  2. 준비대 - 조리대 - 개수대 - 가열대 - 배선대
  3. 준비대 - 개수대 - 가열대 - 조리대 - 배선대
  4. 준비대 - 가열대 - 개수대 - 조리대 - 배선대
(정답률: 72%)
  • 주택 부엌에서는 일반적으로 식재료를 손질하고 세척하는 준비대가 먼저 위치하며, 이어서 개수대로 이어진다. 그리고 조리대와 가열대가 위치하며, 마지막으로 배선대가 위치한다. 따라서 "준비대 - 개수대 - 조리대 - 가열대 - 배선대"가 가장 알맞은 가구 배치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설명에 알맞은 전시공간의 평면형태는?

  1. 원형
  2. 선형
  3. 부채꼴형
  4. 직사각형
(정답률: 51%)
  • 전시공간이 부채꼴형이다. 이는 전시공간이 중앙에서부터 넓어지면서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는 관객들이 전시물을 더욱 집중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며, 전시물의 중심을 강조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전시공간으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간의 레이아웃(lay-out)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1. 재료계획
  2. 동선계획
  3. 설비계획
  4. 색채계획
(정답률: 73%)
  • 공간의 레이아웃은 공간 내부의 동선을 결정하게 되는데, 동선계획은 공간 내부의 인테리어 요소들의 배치와 이동 경로를 계획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의 레이아웃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동선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일광, 조망, 시각의 차단정도를 조정하는 것은?

  1. 드레리퍼리
  2. 롤 블라인드
  3. 로만 블라인드
  4. 베네시안 블라인드
(정답률: 60%)
  • 베네시안 블라인드는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일광, 조망, 시각의 차단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정한 차단정도만 가능하거나 조절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선의 종류별 조형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선 - 생동감
  2. 곡선 - 우아, 풍요
  3. 수직선 - 평화, 침착
  4. 수평선 - 안정, 편안함
(정답률: 68%)
  • 수직선은 일반적으로 수직적인 느낌을 주어 평화와 침착함을 나타내지만, 이는 조형효과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직선은 일반적으로 강력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며, 때로는 엄격하고 냉정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직선은 평화와 침착함을 나타내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각종 의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풀업체어는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의자이다.
  2. 오토만은 스툴의 일종으로 편안한 휴식을 위해 발을 올려놓는데도 사용된다.
  3. 세티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 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이다.
  4. 라운지 체어는 비교적 큰 크기의 의자로 편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안락의자이다.
(정답률: 65%)
  • 세티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 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이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음)

    세티는 로마시대에 사용되었던 의자로, 식사나 휴식을 취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의자는 길고 좁은 형태로, 현대의 의자와는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티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 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명의 연출기법 중 강조하고자 하는 물체에 의도적인 광선을 조사시킴으로써 광선 그 자체가 시각적인 특성을 지니게 하는 기법은?

  1. 강조 기법
  2. 월워싱 기법
  3. 빔플레이 기법
  4. 그림자 연출기법
(정답률: 63%)
  • 빔플레이 기법은 강조하고자 하는 물체에 직접 광선을 조사시켜 그 광선 자체가 시각적인 특성을 지니게 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물체를 더욱 강조하고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에 알맞은 사무소 건축의 코어형식은?

  1. 외코어형
  2. 중앙코어형
  3. 편심코어형
  4. 양단코어형
(정답률: 69%)
  • 이 사무소 건축은 건물 중앙에 코어를 두고 그 주변에 건물이 형성되는 중앙코어형이 아니며, 건물 외부에 코어가 위치하는 외코어형도 아닙니다. 또한 건물이 한쪽으로 치우쳐진 편심코어형도 아닙니다. 따라서 이 건물은 양쪽에 코어가 위치하는 양단코어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내디자인의 계획조건 중 외부적 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계획대상에 대한 교통수단
  2. 소화설비의 위치와 방화구획
  3. 기둥, 보, 벽 등의 위치와 간격치수
  4. 실의 규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정답률: 61%)
  • 실내디자인의 계획조건 중 외부적 조건은 "계획대상에 대한 교통수단"과 "소화설비의 위치와 방화구획"이다. 이는 건물의 위치, 주변환경, 안전규정 등 외부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반면에 "기둥, 보, 벽 등의 위치와 간격치수"와 "실의 규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건물 내부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의 규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외부적인 요소와는 무관하게 실내디자인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내부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장식물의 선정과 배치상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좋고 귀한 것은 돋보일 수 있도록 많이 진열한다.
  2. 여러 장식품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3. 계절에 따른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4. 형태, 스타일, 색상 등이 실내공간과 어울리도록 한다.
(정답률: 74%)
  • "좋고 귀한 것은 돋보일 수 있도록 많이 진열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너무 많은 장식물을 진열하면 공간이 혼잡해 보이고, 장식물들이 서로 겹쳐 보이거나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의 장식물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너무 많은 장식물을 진열하면 공간이 혼잡해 보이고, 장식물들이 서로 겹쳐 보이거나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수의 장식물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다음 중 인체측정자료의 응용에 있어 최대치를 이용하여 디자인하는 경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문의 높이
  2. 의자의 높이
  3. 선반의 높이
  4. 조작 버튼까지의 거리
(정답률: 64%)
  • 문의 높이는 사람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팔의 최대 도달 거리인 어깨 높이와 비슷하므로, 최대치를 이용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한다.
  2. 상황적 요구에 따라 순간적인 결정을 한다.
  3. 관찰을 통하여 일반화하여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4. 주위의 이상이나 예기치 못한 사건들을 감지한다.
(정답률: 75%)
  • 기계는 프로그래밍된 명령에 따라 반복적인 작업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한다."가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기능에 해당한다. 인간은 반복적인 작업에서 실수를 할 수 있지만, 기계는 프로그래밍된 대로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간보다 더욱 신뢰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조명의 4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간
  2. 광도
  3. 대비
  4. 대상물
(정답률: 51%)
  • 조명의 4가지 요소는 시간, 광도, 대비, 색온도이다. 대상물은 조명의 대상이 되는 물체를 의미하는데, 이는 조명의 요소가 아니라 조명의 대상이기 때문에 정답은 "대상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인간공학적 연구대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각 표시장치
  2. 청각 표시장치
  3. 제어 장치
  4. 엔진 장치
(정답률: 73%)
  • 인간공학적 연구는 인간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시스템, 환경 등을 설계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인간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시각, 청각, 제어 장치는 인간공학적 연구 대상에 포함된다. 그러나 엔진 장치는 인간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인간공학적 연구 대상에서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일반적으로 피로할 때의 자세 변화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한 숨을 쉰다.
  2. 발을 끌면서 걷는다.
  3. 일어서기가 어려워한다.
  4. 상체가 곧게 세워진다.
(정답률: 77%)
  • 정답: "일어서기가 어려워한다."

    이유: 피로할 때는 일어서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지만, 상체가 곧게 세워지는 것은 오히려 피로할 때 자세 변화 중에서도 자세 교정을 위한 노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보다는 덜 흔한 경우입니다. 상체가 곧게 세워지는 것은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한 자세 교정이며, 이는 피로로 인해 근육이 피로해져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간 오류(human error)의 근원적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전에 마련된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제거시킨다.
  2. 인간이 오류를 범하여도 안전하게 작업하는 fool-proof 개념을 도입하여 작업장을 설계한다.
  3. 오류를 범하는 작업자는 다시 유사한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작업에서 제외한다.
  4. 고장이 발생하여도 시스템이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설계하는 fail-safe 개념을 도입하여 작업장을 설계한다.
(정답률: 71%)
  • "오류를 범하는 작업자는 다시 유사한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작업에서 제외한다."는 인간 오류의 근원적 대책이 아니라 개인의 역량 개발과 교육 등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이유는 작업자를 제외하면 작업량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간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마련된 점검표를 사용하거나 fool-proof 개념, fail-safe 개념 등을 도입하여 작업장을 설계하고, 작업자의 역량 개발과 교육 등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역치(threshold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표시장치의 설계와 역치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2. 에너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차이역치는 감소한다.
  3. 역치는 감각에 필요한 최소량의 에너지를 말한다.
  4.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는 신호의 강도를 역치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역치는 감각에 필요한 최소량의 에너지를 말한다. 이는 감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일정한 양의 자극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각 감각에서는 빛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시각적 자극이 일어나고 청각 감각에서는 소리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청각적 자극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적록색맹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녹색맹은 녹색과 적색을 구별하지 못한다.
  2. 녹색맹은 정상인보다 보이는 파장의 범위가 좁다.
  3. 적색맹은 스펙트럼상의 적색쪽 끝이 황색으로 보인다.
  4. 적색맹은 적색이나 청록색을 회색과 구별하지 못한다.
(정답률: 55%)
  • "녹색맹은 정상인보다 보이는 파장의 범위가 좁다."가 틀린 설명이다. 녹색맹은 녹색과 적색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녹색과 적색을 혼동하여 보는 경향이 있지만,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보이는 파장의 범위는 넓다. 다만, 녹색맹은 녹색과 적색을 혼동하기 때문에 녹색과 적색이 혼합된 색상을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문자 - 숫자 표시 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옳은 것은?

  1. 계기판의 숫자나 문자에는 장식(裝飾)을 해야 한다.
  2. 계기판의 문자에는 반드시 대문자를 사용해야 한다.
  3. 문자판은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읽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부착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숫자나 문자는 클수록 눈금의 바탕이나 조명을 염려해야 한다.
(정답률: 62%)
  • 문자판은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읽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부착해야 한다. - 이유: 대부분의 언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때문에, 문자판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배치해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에 있어 표준인체 측정법에 따라 허리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바닥부터 허리옆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2. 누운 자세에서 취하고, 발바닥부터 허리앞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3. 인체공학적 선 자세를 취하고, 피측정자의 허리앞점과 바닥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4. 선 자세에서 상체를 최대한 아래로 굽힌 후 최대수직높이를 측정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인체공학적 선 자세를 취하고, 피측정자의 허리앞점과 바닥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이다. 이유는 인체공학적 선 자세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자세로, 허리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허리앞점과 바닥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허리 높이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빛이 프리즘을 통과할 때 나타나는 분광현상 중 굴절현상이 제일 큰 색은?

  1. 보라
  2. 초록
  3. 빨강
  4. 노랑
(정답률: 63%)
  • 굴절률이 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빛이 프리즘을 통과할 때 각 색깔마다 다른 정도로 굴절됩니다. 이 중에서 보라색은 다른 색에 비해 굴절률이 가장 크기 때문에 가장 큰 각도로 굴절되어 나타납니다. 따라서 보라색이 분광현상에서 가장 큰 굴절각을 가지는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장한 여성의 얼굴이 형광등 아래에서 보면 칙칙하고 안색이 나쁘게 보이는 이유는?

  1. 형광등은 단파장계열의 빛을 방출하기 때문
  2. 형광등에서는 장파장이 강하게 나오기 때문
  3. 형광등에서는 붉은빛이 강하게 나오기 때문
  4. 형광등 아래서는 얼굴에 붉은 색조가 강조되어 보이기 때문
(정답률: 58%)
  • 형광등은 단파장계열의 빛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빛은 얼굴의 색조를 변화시켜 칙칙하고 안색이 나쁘게 보이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먼셀의 20색상환에서 노랑과 거리가 가장 먼 위치의 색상명은?

  1. 보라
  2. 남색
  3. 파랑
  4. 청록
(정답률: 59%)
  • 먼셀의 20색상환에서 노랑과 거리가 가장 먼 위치의 색상명은 "보라"입니다. 이유는 먼셀의 20색상환에서 노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색상은 보라색이기 때문입니다. 보라색은 빨강과 파랑의 혼합색으로, 노랑과는 대비가 크기 때문에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라"가 아닌 "남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채계에서 “규칙적으로 선택된 색은 조화된다.”라는 원리는?

  1. 동류성의 원리
  2. 질서의 원리
  3. 친근성의 원리
  4. 명료성의 원리
(정답률: 74%)
  • "규칙적으로 선택된 색은 조화된다."라는 원리는 "질서의 원리"이다. 이는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과 질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색채를 선택할 때 일관성 있게 선택하면 조화로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색채의 시인성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1. 배경색과 대상색의 색상차가 중요하다.
  2. 배경색과 대상색의 명도차가 중요하다.
  3. 노란색에 흰색을 배합하면 명도차가 커서 시인성이 높아진다.
  4. 배경색과 대상색의 색상차이는 크게 하고, 명도차는 두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56%)
  • 배경색과 대상색의 명도차가 중요하다는 이유는,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대상색과 배경색의 명도차가 크면 대상색이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 되어 시인성이 높아집니다. 즉, 대상색과 배경색의 명도차가 적으면 시인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채심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채의 중량감은 주로 채도에 의해 좌우된다.
  2. 난색은 흥분색, 한색은 진정색이다.
  3. 대체로 난색계는 친근감을, 한색계는 소원(疎遠)감을 준다.
  4. 두 가지 색이 인접하여 있을 때, 서로 영향을 주어 그 차이가 강조되어 보이는 것이 색채대비 효과이다.
(정답률: 63%)
  • "색채의 중량감은 주로 채도에 의해 좌우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색채의 중량감은 색상의 밝기와 명도에 영향을 받는다. 채도는 중량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접한 색이나 혹은 배경색의 영향으로 먼저 본 색이 원래의 색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1. 연상작용
  2. 동화현상
  3. 대비현상
  4. 색순응
(정답률: 43%)
  • 대비현상은 인접한 색이나 배경색의 영향으로 먼저 본 색이 원래의 색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는 색의 밝기나 채도, 명도 등이 인접한 색과 비교되어 인식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이 인접해 있을 때, 빨간색은 더 밝고 채도가 높아 보이고, 초록색은 더 어둡고 채도가 낮아 보입니다. 이러한 대비현상은 디자인에서 색상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리배색효과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색상과 톤이 유사한 배색일 경우 세퍼레이션 컬러를 선택하여 명쾌한 느낌을 줄 수 있다.
  2. 스테인드글라스는 세퍼레이션 색채로 무채색을 이용한 금속색을 적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3. 색상과 톤의 차이가 큰 콘트라스트 배색인 빨강과 청록사이에 검은색을 넣어 온화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4. 슈브럴의 조화이론을 기본으로 한 배색방법이다.
(정답률: 50%)
  • "색상과 톤의 차이가 큰 콘트라스트 배색인 빨강과 청록사이에 검은색을 넣어 온화한 이미지를 연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분리배색효과는 색상과 톤이 유사한 배색일 경우 세퍼레이션 컬러를 선택하여 명쾌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색상과 톤의 차이가 큰 콘트라스트 배색일 경우 세퍼레이션 컬러를 선택하여 온화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에 제시된 A, B 두 배색의 공통점은?

  1. 다색배색으로 색상차이가 동일한 유사색 배색이다.
  2. 동일한 색상에 톤의 변화를 준 톤온톤 배색이다.
  3. 빨간색의 동일 채도 배색이다.
  4. 파란색과 무채색을 이용한 강조 배색이다.
(정답률: 68%)
  • A, B 두 배색 모두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색상에 톤의 변화를 준 톤온톤 배색이다. 즉, 밝은 톤과 어두운 톤을 조합하여 색상의 깊이와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법혼색의 3원색은?

  1. RED, YELLOW, CYAN
  2. MAGENTA, YELLOW, BLUE
  3. RED, GREEN, BLUE
  4. RED, YELLOW, GREEN
(정답률: 66%)
  • 가법혼색에서는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을 섞어서 다양한 색을 만들어냅니다. 이를 RGB 색 모델이라고 부르며, 이 세 가지 색을 모두 섞으면 흰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ED, GREEN, BLU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드라이비트 용 도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천연 골재가 주원료이다.
  2. 단열성이 우수하고, 부착성이 좋다.
  3. 일반적으로 도료 경화 후 무광택 래커나 폴리우레탄래커 등으로 마감코팅한다.
  4. 내수성, 내약품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29%)
  • 일반적으로 도료 경화 후 무광택 래커나 폴리우레탄래커 등으로 마감코팅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개인적인 취향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마감코팅 방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건축재료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
  2. 알루미늄
  3. ALC
  4. 유리섬유
(정답률: 48%)
  •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건축재료는 유리섬유입니다. 이는 유리섬유가 열을 전달하는 능력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리섬유는 건축물의 단열재로 많이 사용되며,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멘트콘크리트 제품 중 대리석의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대리석과 같이 미려한 광택을 갖도록 마감한 것은?

  1. 석면
  2. 테라조
  3. 질석
  4. 고압벽돌
(정답률: 56%)
  • 테라조는 대리석의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대리석과 같이 미려한 광택을 갖도록 마감한 시멘트콘크리트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방사선 차단성이 가장 큰 금속은?

  1. 알루미늄
  2. 주철
(정답률: 55%)
  • 납은 전자 구조상 외부 전자껍질에 6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 다른 금속보다 전자의 수가 많아 방사선을 차단하는 능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방사선 차단성이 가장 큰 금속은 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고성능 AE 감수제 사용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응결 촉진제 용도로 사용
  2. 유동화 콘트리트 제조에 사용
  3. 고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 로스 방지
  4. 단위수량 대폭 감소 및 고내구성 콘크리트 제조
(정답률: 29%)
  • 고성능 AE 감수제는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며, 응결 촉진제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빠르게 응결되어 강도를 높이고, 더욱 튼튼하고 내구성이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경질섬유판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ㆍ세로의 신축이 거의 같으므로 비틀림이 적다.
  2. 표면이 평활하고 비중이 0.7 이하이며 경도가 작다.
  3. 구멍뚫기, 본뜨기, 구부림 등의 2차 가공도 용이하다.
  4. 펄프를 접착제로 제판하여 양면을 열압건조시킨 것이다.
(정답률: 42%)
  • "표면이 평활하고 비중이 0.7 이하이며 경도가 작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경질섬유판은 비중이 1.4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며, 경도도 높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경질섬유판의 성질과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콘크리트의 응결경화 촉진제로 쓰이는 것은?

  1. 염화칼슘
  2. 리그닌설폰산염
  3. 인산염
  4. 산화아연
(정답률: 49%)
  • 염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면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응결경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응결경화 촉진제로 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존 건축마감재의 재료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바이오기술, 환경기술 및 나노기술을 융합한 친환경건축마감자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기능성 마감소재인 광촉매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적외선 방출 기능
  2. 향균ㆍ살균 기능
  3. 자정(self-cleaning) 기능
  4. 유기오염물질 분해 기능
(정답률: 49%)
  • 광촉매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적외선은 자외선과는 다른 파장의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광촉매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가장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목재의 함수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함수율이 30% 이상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따라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
  2. 기건목재의 함수율은 15% 정도이다.
  3. 목재의 진비중은 일반적으로 2.54 정도이다.
  4. 목재의 함수율 30% 정도를 섬유포화점이라 한다.
(정답률: 48%)
  • "목재의 진비중은 일반적으로 2.54 정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진비중은 목재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단위 부피당 목재의 질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목재의 진비중은 0.3~1.2 정도이며, 단위는 g/cm³이다. 따라서 2.54는 진비중으로 사용되지 않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멘트와 그 용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강포틀랜드시멘트 - 한중공사
  2.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 댐공사
  3. 백색포틀랜드시멘트 - 타일 줄눈공사
  4. 고로시멘트 - 마감용 착색공사
(정답률: 51%)
  • 고로시멘트는 마감용 착색공사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고로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도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 건설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건축공사의 일반창유리로 사용되는 것은?

  1. 석영유리
  2. 붕규산유리
  3. 칼라석회유리
  4. 소다석회유리
(정답률: 53%)
  •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창유리는 소다석회유리입니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소다, 석회, 실리카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내구성과 투명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의 창문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스팔트 에멀션(asphalt emulsion)이란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진 아스팔트 제품인가?

  1. 아스팔트를 휘발성 용제에 녹인 것
  2. 아스팔트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것
  3. 아스팔트를 유화제에 의해 물에 미립자로 분산시킨 것
  4. 아스팔트에 소량의 모래를 섞고 가열한 것
(정답률: 33%)
  • 아스팔트 에멀션은 아스팔트를 유화제에 의해 물에 미립자로 분산시킨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아스팔트 입자는 물에 분산되어 안정적인 에멀젼 형태를 이루게 됩니다. 이 방법은 아스팔트를 가열하는 방법과는 달리 에너지 소비가 적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시멘트비가 60%, 단위시멘트량이 300kg/m3일 경우 필요한 단위수량은?

  1. 150kg/m3
  2. 180kg/m3
  3. 210kg/m3
  4. 340kg/m3
(정답률: 53%)
  • 물시멘트비는 물의 양 대비 시멘트의 양을 나타내는 비율이다. 따라서 물시멘트비가 60%이면 시멘트의 양은 40%이다. 단위시멘트량이 300kg/m3이므로, 필요한 시멘트의 양은 300kg/m3 × 40% = 120kg/m3이다. 따라서 필요한 단위수량은 시멘트의 양인 120kg/m3을 제외한 나머지인 300kg/m3 - 120kg/m3 = 180kg/m3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목재 중 실내 치장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느티나무
  2. 단풍나무
  3. 오동나무
  4. 소나무
(정답률: 50%)
  • 소나무는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소나무는 휘어지기 쉽고 깨지기도 쉬우며, 특유의 향이 강해서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 치장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목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건조수축량이 감소한다.
  2. 부재치수가 클수록 건조수축량이 적다.
  3. 골재 중에 포함한 미립분이나 점토는 건조수축량을 감소시킨다.
  4. 습윤양생기간은 길수록 건조수축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21%)
  • 부재치수가 클수록 건조수축량이 적다는 이유는 큰 부재일수록 내부의 수분이 더 잘 분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작은 부재일수록 내부의 수분이 더 집중되어 있으므로 건조시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여 건조수축량이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중밀도 섬유판(MDF)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흡음, 단열성능이 우수하다.
  2. 천연원목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다.
  3. 갈라짐 등의 외관상 결점이 없다.
  4. 내수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41%)
  • MDF는 밀도가 높은 섬유판으로 만들어지며, 흡음 및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천연원목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갈라짐 등의 외관상 결점이 없습니다. 그러나 내수성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MDF는 수분에 노출되면 팽창하고 부식될 수 있으므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흑색 또는 회색 등이 있으며 얇은 판으로 뜰 수도 있어 천연슬레이트라 하며 치밀한 방수성이 있어 지붕, 벽, 재료로 쓰이는 것은?

  1. 감람석
  2. 응회석
  3. 점판암
  4. 안산암
(정답률: 49%)
  • 점판암은 흑색 또는 회색 등이 있으며 얇은 판으로 뜰 수 있어 천연슬레이트라고 불리며 치밀한 방수성이 있어 지붕, 벽, 재료로 쓰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점판암입니다. 감람석은 녹색의 암석으로, 응회석은 청록색의 암석으로, 안산암은 붉은색의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재가 건축재료로서 갖는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비강도가 커 기둥ㆍ보 등에 적합하다.
  2. 건습에 의한 신축변형이 작아 시간경과에 따른 부작용이 없다.
  3. 종류가 많고 각각 다른 미려한 외관을 갖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4. 열전도율이 적으므로 보온ㆍ방한ㆍ방서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53%)
  • 정답은 "종류가 많고 각각 다른 미려한 외관을 갖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입니다. 목재는 건축재료로서 비강도가 높고 건습에 의한 신축변형이 작아 시간 경과에 따른 부작용이 없으며, 열전도율이 적어 보온ㆍ방한ㆍ방서성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목재의 종류가 많고 각각 다른 미려한 외관을 갖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선택의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목재의 부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패균(腐敗菌)은 섬유질을 분해ㆍ감소시킨다.
  2. 부패균이 번식하기 위한 적당한 온도는 20 ~ 35℃ 정도이다.
  3. 부패균은 산소가 없어도 번식할 수 있다.
  4. 부패균은 습기가 없으면 번식할 수 없다.
(정답률: 57%)
  • "부패균은 산소가 없어도 번식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부패균이 혼합된 공기가 없는 환경에서는 번식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패균은 섬유질을 분해ㆍ감소시키며, 적당한 온도와 습기가 있으면 번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미장작업 시 코너비드(corner bead)는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1. 천장
  2. 거푸집
  3. 계단 디딤판
  4. 기둥의 모서리
(정답률: 61%)
  • 코너비드는 미장작업 시 기둥의 모서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기둥의 모서리가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경우에 벽지나 도장 작업 시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기둥의 모서리를 깔끔하게 마무리하기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다음 중 서양의 건축양식이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초기기독교 - 비잔틴 - 로마네스크 - 고딕
  2. 초기기독교 - 로마네스크 - 비잔틴 - 고딕
  3. 초기기독교 - 고딕 - 비잔틴 - 로마네스크
  4. 초기기독교 - 비잔틴 - 고딕 - 로마네스크
(정답률: 55%)
  • 정답은 "초기기독교 - 비잔틴 - 로마네스크 - 고딕"입니다.

    초기기독교 건축양식은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로마의 바질리카와 비슷한 형태의 기독교 교회 건축물이 있습니다.

    비잔틴 건축양식은 로마 제국의 분열 이후 동로마 제국에서 발전한 양식으로, 돔 형태의 큰 천장과 화려한 장식이 특징입니다.

    로마네스크 건축양식은 11~12세기 서유럽에서 발전한 양식으로, 석재를 이용한 아치 형태와 둥근 아치 형태의 문양이 특징입니다.

    고딕 건축양식은 12~16세기 서유럽에서 발전한 양식으로, 뾰족 아치와 높은 천장, 그리고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등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방법령에 의한 피난층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피난기구가 설치된 층을 말한다.
  2.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을 말한다.
  3. 비상구가 연결된 층을 말한다.
  4. 무창층 외의 층을 말한다.
(정답률: 64%)
  • 소방법령에서 피난층은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을 말하는 것은, 비상시에 인명구조를 위해 가능한 빠르게 건물을 빠져나갈 수 있는 층을 지칭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층은 인명구조를 위한 피난기구나 비상계단 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건축물에 대한 구조안전을 확인하는 경우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건축물은?

  1. 층수가 2층인 건축물
  2. 기둥과 기둥 사이가 9m인 건축물
  3. 한쪽 끝은 고정되고 다른 끝은 지지되지 아니한 구조로 된 차양 등이 외벽의 중심선으로부터 2m 돌출된 건축물
  4. 다중이용 건축물
(정답률: 44%)
  • 다중이용 건축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로, 대규모인 만큼 구조안전에 대한 위험이 높기 때문에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층수나 기둥 간격 등은 건축물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며, 차양 등의 구조물도 구조안전을 확인하는 데 중요하지만, 다중이용 건축물은 그 크기와 용도 때문에 더욱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조적식구조 칸막이 벽의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 가?

  1. 9cm
  2. 12cm
  3. 15cm
  4. 20cm
(정답률: 55%)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는 조적식구조 칸막이 벽의 두께를 최소 9c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벽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벽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충격이나 외부의 영향에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을 건축할 때에는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여 안전하고 내구성이 높은 건축물을 건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영화상영관의 경우 면적에 관계없이 전 층
  2. 판매시설의 경우 연면적 1,000m2 이상인 것은 전 층
  3.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m2 이상인 경우 전 층
  4. 종교시설의 경우 수용인원이 50명 이상인 경우 전 층
(정답률: 40%)
  •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은 대개 대규모인 만큼 화재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에는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m2 이상인 경우 전 층에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소방시설 중 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옥외소화전설비
  4. 소화기구
(정답률: 69%)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화설비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동화재탐지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배연설비에서의 배연창의 최소 유효면적과 그 유효면적의 합계 기준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1m2 이상,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50 이상
  2. 1m2 이상,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100 이상
  3. 2m2 이상,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50 이상
  4. 2m2 이상,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100 이상
(정답률: 47%)
  • 정답: "1m2 이상,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100 이상"

    배연창은 화재 발생 시 인원과 연기가 배출되는 출입구로 사용되므로 출입이 가능한 크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한 1m2 이상의 유효면적이 필요합니다. 또한,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해당 건축물의 바닥면적에 비례하여 결정되므로,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100 이상의 유효면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m2 이상, 당해 건축물 바닥면적의 1/100 이상"이 옳은 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로마시대의 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사(pansa)의 주택 같은 부유층의 도시형 주거는 주로 보도에 면하여 있었다.
  2. 인술라(insula)에는 일반적으로 난방시설과 개인목욕탕이 설치되었다.
  3. 빌라(villa)는 상류신분의 고급 교외별장이다.
  4. 타블리눔(tablinum)은 가족의 중요문서 등이 보관되어 있는 곳이었다.
(정답률: 57%)
  • 인술라(insula)에는 일반적으로 난방시설과 개인목욕탕이 설치되었다. - 옳은 설명입니다.

    정답: 인술라(insula)에는 일반적으로 난방시설과 개인목욕탕이 설치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벽돌벽체 쌓기에서 입면으로 볼 경우 같은 켜에 벽돌의 길이와 마구리가 번갈아 보이도록 하는 쌓기법은?

  1. 불식쌓기
  2. 영식쌓기
  3. 화란식쌓기
  4. 미식쌓기
(정답률: 54%)
  • 불식쌓기는 벽돌을 쌓을 때 벽돌의 길이와 마구리가 번갈아 보이도록 쌓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쌓으면 벽돌이 더 견고하게 연결되어 더 튼튼한 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벽돌의 길이와 마구리가 번갈아 보이기 때문에 미관적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한국전통건축과 관련된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방 - 기둥 상부의 창방 위에 놓아 다포계 건물의 주간포작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직사각형 단면의 부재이다.
  2. 연등천장 - 따로 반자를 설치하지 않고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시킨 천장이며, 구조미를 나타낸다.
  3. 귀솟음 - 기둥머리를 건물 안쪽으로 약간씩 기울여주는 것을 말하며, 오금법이라고도 한다.
  4. 활주 - 추녀 밑을 받치고 있는 기둥을 말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귀솟음 - 기둥머리를 건물 안쪽으로 약간씩 기울여주는 것을 말하며, 오금법이라고도 한다." 이다. 귀솟음은 기둥머리를 건물 바깥쪽으로 약간씩 기울여주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되지 않는 곳은?

  1. 12층의 사무소
  2.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3. 숙박시설
  4. 15층의 아파트
(정답률: 57%)
  • 방염성능기준은 화재 발생 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15층의 아파트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표준형 벽돌로 구성한 벽체에서 내력벽 2.5B의 두께는?

  1. 29cm
  2. 39cm
  3. 49cm
  4. 58cm
(정답률: 57%)
  • 내력벽은 지진 등의 외부적인 힘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벽돌층입니다. 내력벽의 두께는 건물의 구조물 크기, 지반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0cm 이상으로 설치됩니다.

    따라서, 내력벽 2.5B의 두께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5B = 2.5 x 20cm = 50cm

    하지만, 벽체 내부에는 보통 철근이나 다른 구조물이 설치되기 때문에 내력벽의 두께는 실제로는 조금 더 얇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내력벽 2.5B의 두께가 가장 근접한 값은 "49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건축물과 건축양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아크로폴리스(Acropolis) - 그리스건축
  2. 오벨리스크(Obelisk) - 메소포타미아건축
  3. 판테온(Pantheon)신전 - 로마건축
  4. 아미앵(Amiens)성당 - 고딕건축
(정답률: 48%)
  • 오벨리스크는 메소포타미아 건축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오벨리스크는 이집트에서 유래한 돌기둥으로, 이집트 건축과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마루널 등 목재널판 설치 시 널판 간의 쪽매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혀쪽매
  2. 반턱쪽매
  3. 딴혀쪽매
  4. 평쪽매
(정답률: 45%)
  • 널판 간의 쪽매 방법은 널판을 서로 겹쳐서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혀쪽매, 반턱쪽매, 딴혀쪽매, 평쪽매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평쪽매이다. 평쪽매는 널판을 서로 겹쳐서 설치할 때, 널판의 끝부분을 평평하게 다듬어서 겹쳐지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쪽매 방법들보다 널판 간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1. 두께가 10cm인 벽
  2. 두께가 8cm인 바닥
  3. 지붕
(정답률: 56%)
  • 두께가 8cm인 바닥은 내화구조가 아닌 이유는 바닥은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닥은 내화구조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벽과 지붕은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내화구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붉은벽돌의 칠오토막의 크기는?

  1. 온장의 1/4
  2. 온장의 1/2
  3. 온장의 2/3
  4. 온장의 3/4
(정답률: 61%)
  • 붉은벽돌의 칠오토막은 온장의 3/4 크기이다. 이는 문제에서 "붉은벽돌의 칠오토막은 온장의 3/4 크기로 만들어졌다" 라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장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붉은벽돌의 칠오토막의 크기는 온장의 3/4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건축물의 바닥면적 합계가 450m2인 경우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의료시설
  2. 노인복지시설
  3. 오피스텔
  4. 창고시설
(정답률: 64%)
  •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건축법 시행규칙 제5조에 따라 "면적이 300m2 이상이거나 높이가 18m 이상인 건축물"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창고시설"은 바닥면적이 450m2이지만,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지 않아도 되는 건축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에서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몇 초 이내인가?

  1. 5초 이내
  2. 10초 이내
  3. 20초 이내
  4. 30초 이내
(정답률: 55%)
  •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에서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후 불꽃이 올라가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은 20초 이내이다. 이는 국내 방화시험기준(KS F ISO 12136)에서 정한 기준으로, 방화시험에서는 이 시간 내에 불꽃이 꺼져야 방화성능을 통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할 경우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일러실과 거실사이의 출입구는 그 출입구가 닫힌 경우에는 보일러가스가 거실에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한다.
  2.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0.5m2 이상의 환기창을 설치한다. (단, 전기보일러실의 경우는 예외)
  3. 보일러는 거실이외의 곳에 설치하며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사이의 경계벽 및 출입구는 내화구조로 구획한다.
  4.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를 보일러실외의 다른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50%)
  •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사이의 경계벽 및 출입구는 내화구조로 구획한다.이것은 옳은 설치기준이다. 이유는 보일러가 가동 중에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거실과 보일러실 사이에 내화구조로 구획하여 화재가 거실로 번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건축물의 피난층 외의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할 때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직통계단에 이르는 최대보행거리 기준은? (단,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구성, 16층 이상의 공동주택은 제외)

  1. 30m 이하
  2. 40m 이하
  3. 50m 이하
  4. 60m 이하
(정답률: 39%)
  •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 시 피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피난 계단이 설치됩니다. 이때, 거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직통으로 이어지는 계단의 최대 보행거리는 50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30m 이하나 40m 이하로 설정하면 건축물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서는 피난 계단이 부족해질 수 있고, 60m 이상으로 설정하면 화재 발생 시 피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50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