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8-21)

실내건축산업기사
(2011-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소파(sof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파가 침대를 겸용할 수 있는 것을 소파베드라 한다.
  2. 세티는 동일한 두개의 의자를 나란히 합해 2인이 앉을수있도록 한 것이다.
  3. 라운지 소파는 편히 누울 수 있도록 쿠션이 좋으며 머리와 어깨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한쪽 부분이 경사져 있다.
  4. 체스터필드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로 좌판의 한쪽 끝이 올라간 형태이다.
(정답률: 78%)
  • 체스터필드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로 좌판의 한쪽 끝이 올라간 형태가 아니라, 영국에서 18세기에 만들어진 가죽 소파 스타일 중 하나로, 등받이와 팔걸이가 높고 깊은 버튼 디자인으로 유명한 소파 스타일이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동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 사용의 빈도가 큰 공간은 주동선을 중심으로 배치한다.
  2. 동선은 사람이나 물건이 이동하면서 만든 궤적으로서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다.
  3. 동선은 밀도, 크기, 길이의 3요소를 가지며 이들 요소의 정도에 따라 거리의 장단, 폭의 대소가 결정되어진다.
  4. 동선계획의 기본은 동선의 시작에서 목적하는 지점에 이르는 끝까지 원활하고 자연스러운 흐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답률: 87%)
  • 옳지 않은 것은 "동선 사용의 빈도가 큰 공간은 주동선을 중심으로 배치한다."이다. 이유는 동선 사용 빈도가 큰 공간은 여러 개의 주요 동선이 교차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주요 동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배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설명에 알맞은 특수전시기법은?

  1. 디오라마전시
  2. 파노라마전시
  3. 아일랜드전시
  4. 하모니카전시
(정답률: 74%)
  • 위 그림은 디오라마전시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디오라마전시란, 작은 공간 안에 현실적인 모형을 배치하여 그 안에서 일어나는 장면을 전시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도 작은 공간 안에 현실적인 모형을 배치하여 그 안에서 일어나는 장면을 전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전시목적 공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쑈룸
  2. 박물관
  3. 박람회
  4. 컨벤션 홀
(정답률: 78%)
  • 컨벤션 홀은 회의, 세미나,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는 공간으로, 전시목적 공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형태의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자인에 있어서 형태는 대부분이 자연형태이다.
  2. 추상적 형태는 구체적 형태를 생략 또는 과장의 과정을 거쳐 재구성된 형태이다.
  3. 자연형태는 단순한 부정형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체계적인 기하학적인 특징을 갖는다.
  4. 순수형태는 인간의 지각, 즉 시각과 촉각 등으로는 직접 느낄 수 없고 개념적으로만 제시될 수 있는 형태이다.
(정답률: 60%)
  • "순수형태는 인간의 지각, 즉 시각과 촉각 등으로는 직접 느낄 수 없고 개념적으로만 제시될 수 있는 형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순수형태는 인간의 지각으로도 인식 가능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의 실내디자인의 제반 기본조건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1. 정서적 조건
  2. 기능적 조건
  3. 심미적 조건
  4. 환경적 조건
(정답률: 83%)
  • 실내디자인의 제반 기본조건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기능적 조건입니다. 이는 공간의 사용 목적과 기능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계획하고 구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능적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을 계획하면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능적 조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디자인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황금분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황금분할은 1 : 1.518이다.
  2. 황금분할은 비대칭 분할이라고도 한다.
  3. 중세 로마에서 시작된 기하학적 분할법이다.
  4. 황금분할은 건축물과 조각 등에 이용되어온 기하학적 분할 방식이다.
(정답률: 77%)
  • 황금분할은 길이의 비율이 1:1.618로 나누어지는 기하학적 분할 방식으로, 건축물과 조각 등에 이용되어온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에 알맞은 사무소 건축의 코어형식은?

  1. 외코어형
  2. 중앙코어형
  3. 편심코어형
  4. 양단코어형
(정답률: 88%)
  • 이 사무소 건축은 건물의 양쪽에 코어(핵심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양단코어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치수계획에 있어 적정지수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최소치+α, 최대치-α, 목표치±α가 있는데, 이때 α는 적정치수를 끌어내기 위한 어떤 치수인가?

  1. 기본치수
  2. 조정치수
  3. 유동치수
  4. 가능치수
(정답률: 70%)
  • α는 조정치수이다. 적정치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본치수를 기준으로 조정치수를 더하거나 빼서 적정치수를 도출해야 한다. 따라서 α는 적정치수를 끌어내기 위한 조정치수이다. 유동치수는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치수이고, 가능치수는 제품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생산될 수 있는 치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커튼(curtai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레퍼리 커튼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막과 같은 직물을 사용한다.
  2. 새시 커튼은 창문 전체를 커튼으로 처리하지 않고 반 정도만 친 형태이다.
  3. 글라스 커튼은 실내로 들어오는 빛을 부드럽게 하며 약간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4. 드로우 커튼은 창문 위의 수평 가로대에 설치하는 커튼으로 글라스 커튼보다 무거운 재질의 직물로 처리한다.
(정답률: 66%)
  • "드레퍼리 커튼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막과 같은 직물을 사용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드레퍼리 커튼은 일반적으로 무거운 재질의 직물을 사용하여 창문을 완전히 가리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에 알맞은 창의 종류는?

  1. 측창
  2. 고창
  3. 윈도우창
  4. 베이 윈도우
(정답률: 64%)
  • 이 창은 벽면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망이 좋고 통풍이 잘 되는 창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창은 "고창"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광원을 넓은 면적의 벽면에 매입하여 비스타(vista)적인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시선에 안락한 배경으로 작용하는 건축화 조명방식은?

  1. 광창 조명
  2. 광천장 조명
  3. 코니스 조명
  4. 캐노피 조명
(정답률: 79%)
  • 광원을 벽면에 매입하여 벽면 전체를 밝게 비추는 건축화 조명방식이 광창 조명입니다. 이 방식은 넓은 공간에서 사용하면 시선에 안락한 배경으로 작용하며, 비스타적인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한거나 기능 향상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은?

  1. 리빌딩(rebuilding)
  2. 리모델링(remodeling)
  3. LCC(life cycle cost)
  4. 재개발(redevelopment)
(정답률: 85%)
  • 리모델링은 기존 건축물의 구조나 외관을 일부 수정하거나 증축하여 기능을 개선하거나 노후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답은 리모델링입니다. 리빌딩은 건물을 완전히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세우는 것을 의미하며, LCC는 건축물의 수명주기 전체를 고려한 비용을 의미하고, 재개발은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도시 계획을 수립하여 재건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에 한계, 면들의 교차에서 나타난다.
  2. 수직선은 심리적으로 상승감, 존엄성, 엄숙함 등의 느낌을 준다.
  3. 여러 개의 선을 이용하여 움직임, 속도감,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4. 곡선은 약동감,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와 운동감, 속도감등의 남성적인 느낌을 준다.
(정답률: 84%)
  • 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곡선은 약동감,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와 운동감, 속도감등의 남성적인 느낌을 준다."이다. 이는 선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성격적인 특징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설명에 알맞은 디자인 원리는?

  1. 리듬
  2. 통일
  3. 균형
  4. 대비
(정답률: 48%)
  • 이 디자인에서는 모든 요소들이 일관된 색상과 디자인으로 통일되어 있어서, 통일이라는 디자인 원리가 적용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택의 평면계획시 공간의 조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의 크기에 의한 조닝
  2. 가족 전체와 개인에 의한 조닝
  3. 정적 공간과 동적 공간에 의한 조닝
  4. 주간과 야간의 사용시간에 의한 조닝
(정답률: 55%)
  • 정답: "실의 크기에 의한 조닝"

    실의 크기에 의한 조닝은 옳은 방법이 아니다. 이유는 실의 크기에 따라 공간의 기능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공간의 기능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닝이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족 전체와 개인에 의한 조닝, 정적 공간과 동적 공간에 의한 조닝, 주간과 야간의 사용시간에 의한 조닝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부엌에서 작업순서를 고려한 효율적인 작업대의 배치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준비대→조리대→가열대→개수대→배선대
  2. 개수대→분비대→가열대→조리대→배선대
  3.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4. 개수대→조리대→준비대→가열대→배선대
(정답률: 94%)
  • 정답은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입니다.

    작업순서를 고려한 효율적인 작업대의 배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준비대: 식재료를 손질하고 조리하기 전에 필요한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식재료를 씻고 깍고 자르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2. 개수대: 조리된 음식을 잘라내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식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자르거나 음식을 잘라내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3. 조리대: 조리된 음식을 조리하는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음식을 조리하거나 볶거나 끓이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4. 가열대: 조리된 음식을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가열하는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음식을 보관하거나 데우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5. 배선대: 조리된 음식을 서빙하는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음식을 접시에 담거나 그릇에 담아서 서빙하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준비대에서 시작해서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배선대 순서로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모듈(module)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2. 설계작업이 단순하고 용이하다.
  3. 계획의 유연성, 심미성, 다양성이 높다.
  4. 건축구성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공사기간이 단축된다."이다. 모듈(module)은 건축물의 구성요소를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건축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계획의 유연성, 심미성,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모듈을 사용하면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가진 모듈을 조합하여 건축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 제거,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듈은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내디자인 과정을 조사분석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나눈때, 다음 중 조사분석 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문제점 인식
  2. 정보의 수집
  3. 아이디어의 시각화
  4.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 파악
(정답률: 85%)
  • 정답: "아이디어의 시각화"

    이유: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문제점 인식, 정보의 수집,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 파악 등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구체화합니다. 따라서 "아이디어의 시각화"는 디자인 단계에 속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디자인의 요소 중 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 1800mm 정도의 벽은 두 공간을 상징적으로 분리, 구분한다.
  2. 바닥에 대한 직각적인 벽은 공간요소 중 가장 눈에 띄기 쉬운 요소이다.
  3. 실내 분위기를 형성하며 특히 색, 패턴, 질감, 조명 등에 의해 그 분위기가 조절된다.
  4.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답률: 76%)
  • "높이 1800mm 정도의 벽은 두 공간을 상징적으로 분리, 구분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높이 1800mm 정도의 벽은 실제로 공간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징적인 역할을 하며 공간을 분리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다음 중 최적의 조건하에서 시각적 암호의 식별가능 수준수가 가장 큰 것은?

  1. 숫자
  2. 영문자
  3. 면색(面色)
  4. 색광(色光)
(정답률: 70%)
  • 영문자가 시각적 암호의 식별가능 수준수가 가장 큰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문자는 알파벳이 26개이므로 다른 문자에 비해 매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4자리의 영문자 비밀번호는 456,976가지의 조합이 가능하다.

    둘째,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대문자와 소문자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셋째, 영문자는 다른 문자에 비해 인식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기 쉽고, 해커가 추측하기 어렵다.

    넷째, 영문자는 다른 문자에 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익숙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조건하에서 시각적 암호의 식별가능 수준수가 가장 큰 것은 영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시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상 시각에서는 원점은 시각이 600분일 때 최대이다.
  2.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력의 척도는 최소분간시력이다.
  3. 눈이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가장 먼 거리를 원점이라 한다.
  4. 눈이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가장 가까운 거리를 근점이라 한다.
(정답률: 60%)
  • "정상 시각에서는 원점은 시각이 600분일 때 최대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원점은 눈의 조절력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400~700분 사이에서 최대값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일반적으로 실현가능성이 같은 N 개의 대안이 있을때 총정보량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총정보량 = log2N
  2. 총정보량 = log102N
  3. 총정보량 = N/log10N
  4. 총정보량 =
(정답률: 59%)
  • 정답은 "총정보량 = log2N"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정보량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의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N 개의 대안이 있을 때, 정보량은 log2N이 된다. 이는 2를 밑으로 하는 로그를 취하는 것으로, 이는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의 수를 2의 거듭제곱으로 표현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8개의 대안이 있다면 정보량은 log28 = 3이 된다. 이는 2의 3승이 8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총정보량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의 수에 로그를 취한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인체치수 측정에 있어 손의 치수 및 모양에 대한 측정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구조적 측정
  2. 운동구조학적 측정
  3. 생리학적 측정
  4. 능력학적 측정
(정답률: 66%)
  • 손의 치수 및 모양에 대한 측정은 구조적 측정과 관련이 깊습니다. 구조적 측정은 인체의 구조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손의 크기, 길이, 너비, 둘레 등을 측정하여 인체치수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빛과 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조명의 분포는 국소화된 조명보다 전체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눈부심은 광원이 관찰자의 시선에서 45 각도 이내에 있을 때 발생한다.
  3. 시야에 들어오는 물체 간에 휘도 차이가 작을수록 눈부심이 많이 발생한다.
  4. “작업 : 주의” 최대 권장 휘도 차이는 “10 : 1”정도이다.
(정답률: 67%)
  • "시야에 들어오는 물체 간에 휘도 차이가 작을수록 눈부심이 많이 발생한다." 설명은 적절한 설명이다. 이유는 눈은 밝은 물체와 어두운 물체 간의 대조를 인식하기 때문에, 시야에 들어오는 물체 간의 휘도 차이가 작을수록 눈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눈부심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서서 가벼운 부품에 대한 조립작업을 할 때 상완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업대의 최적 높이는 팔꿈치 높이를 기준으로 얼마 정도가 가장 적절한가?

  1. 5 ~ 10cm 높게
  2. 15 ~ 20cm 높게
  3. 5 ~ 10cm 낮게
  4. 15 ~ 20cm 낮게
(정답률: 55%)
  • 작업대의 높이가 팔꿈치 높이와 일치하면 상완과 어깨의 근육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대의 높이는 팔꿈치 높이보다 5 ~ 10cm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높이가 높으면 팔을 높이거나 내리는 동작이 필요하므로 상완과 어깨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피로도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높이가 낮으면 상체를 과도하게 숙이게 되어 허리와 목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피로도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손(sone)은 몇dB의 1000Hz 순음의 크기를 말하는 가?

  1. 10
  2. 20
  3. 40
  4. 100
(정답률: 70%)
  • 1손은 1000Hz 순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40dB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소리 크기인 0dB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40dB는 0dB보다 10배 큰 소리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손은 1000Hz 순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인간 공학적 의자설계를 위한 일반적인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좌면의 무게 부하 분포
  2. 좌면의 높이와 폭 및 깊이
  3. 앉는 키의 키기 및 의자의강도
  4. 동체(胴體)의 안정성과 위치 변동의 편리성
(정답률: 61%)
  • 인간 공학적 의자설계를 위한 일반적인 고려사항 중에서 "앉는 키의 키기 및 의자의 강도"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이는 개인적인 요소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마다 키가 다르고, 의자의 강도 역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려사항으로는 다루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는 개별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반면에 "좌면의 무게 부하 분포", "좌면의 높이와 폭 및 깊이", "동체(胴體)의 안정성과 위치 변동의 편리성"은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특성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려사항으로 다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음을 완전하게 흡수하는 1평방피트(ft2)의 표면에 상당하는 음향흡수 단위는?

  1. phon
  2. cycle
  3. sabine
  4. dyne
(정답률: 38%)
  • 정답: sabine

    음향흡수란 소리가 특정 표면에 부딪혀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때, 1평방피트(ft2)의 표면이 완전하게 음을 흡수한다면 그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단위가 sabin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abine입니다.

    phon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cycle은 소리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dyne은 힘의 단위로, 음향흡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그림에서 에너지소비가 큰 것에서부터 작은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C) > (A) > (B) > (D)
  2. (C) > (B) > (A) > (D)
  3. (B) > (A) > (C) > (D)
  4. (B) > (C) > (A) > (D)
(정답률: 85%)
  • 정답은 "(C) > (A) > (B) > (D)"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C) : 에어컨은 가정에서 가장 많은 전기를 소비하는 가전제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에어컨의 에너지소비가 가장 큽니다.

    (A) : 냉장고는 가정에서 에어컨 다음으로 많은 전기를 소비하는 가전제품입니다. 따라서 냉장고의 에너지소비가 두 번째로 큽니다.

    (B) : 세탁기는 가정에서 냉장고와 에어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전기를 소비합니다. 따라서 세탁기의 에너지소비가 세 번째로 큽니다.

    (D) : 전기밥솥은 가정에서 가장 적은 전기를 소비하는 가전제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전기밥솥의 에너지소비가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관용색과 계통색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고동색은 관용색 이름이다.
  2. 풀색은 계통색 이름이다.
  3. 관용색 이름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색이다
  4. “어두운 녹갈색” 은 계통색 이름의 표시 예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고동색은 관용색 이름이다." 이다.

    풀색은 계통색 이름이 맞다. 계통색은 색의 성질이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색으로, 예를 들어 빨강, 파랑, 노랑 등이 있다.

    관용색 이름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색이 맞다. 이는 특정 지역이나 문화권에서 특정한 색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는 것이다.

    “어두운 녹갈색”은 계통색 이름의 표시 예이다. 이는 색의 성질이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색 중 하나인 녹색 계통색의 어두운 색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색입체를 만드는 원리에서 수직축(A)에 해당되는 요소는?

  1. 색상
  2. 명도
  3. 순도
  4. 채도
(정답률: 70%)
  • 수직축(A)은 "명도"를 나타냅니다.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색의 밝기와 어둠의 정도를 조절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그림과 같은 색입체를 만드는 원리에서 수직축(A)는 명도를 조절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색채가 지닌 연상 감정에서 광명, 희망, 활동, 쾌활등의 색은?

  1. 빨강(Red)
  2. 주황(Yellow Red)
  3. 노랑(Yellow)
  4. 자주(Red Purple)
(정답률: 83%)
  • 노랑은 밝고 활기찬 색으로, 광명하고 쾌활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태양과 같은 따뜻한 느낌을 주어 희망적인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노랑은 광명, 희망, 활동, 쾌활 등의 감정을 지닌 색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채 동시대비 현상의 명도대비, 채도대비, 보색대비, 색상대비 중 유채색과 무채색을 나란히 배열하였을 때 관련 있는 것은?

  1. 명도대비 뿐이다.
  2. 명도대비, 채도대비가 있다.
  3. 명도대비, 채도대비, 색상대비가 있다.
  4. 명도대비, 채도대비, 보색대비, 색상대비가 있다.
(정답률: 60%)
  • 유채색과 무채색을 나란히 배열하면 명도대비와 채도대비가 관련이 있습니다. 명도대비는 밝기의 대비를 의미하며, 유채색과 무채색을 나란히 배열하면 밝기의 대비가 크게 나타납니다. 채도대비는 색의 선명도 대비를 의미하며, 유채색과 무채색을 나란히 배열하면 색의 선명도 대비가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도대비, 채도대비가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는?

  1. 3500nm - 750nm
  2. 350nm - 700nm
  3. 380nm - 780nm
  4. 200nm - 480nm
(정답률: 80%)
  • 가시광선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광선으로, 파장이 380nm에서 780nm 사이에 있습니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파장이 짧은 자외선이나 파장이 긴 적외선이 됩니다. 따라서, "380nm - 780nm"이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유사색상 배색의 느낌이 아닌 것은?

  1. 화합적
  2. 평화적
  3. 안정적
  4. 자극적
(정답률: 90%)
  • 정답은 "자극적"입니다.

    "화합적"은 조화롭고 어우러지는 느낌을, "평화적"은 평온하고 조용한 느낌을, "안정적"은 안정적이고 꾸준한 느낌을 나타내는 반면, "자극적"은 강렬하고 활기찬 느낌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로 밝고 선명한 색상들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람의 눈의 기관 중 망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을 지각하게 하는 간상체, 명암을 지각하는 추상체가 있다.
  2. 시신경으로 RED, YELLOW, BLUE를 지각하는 세가지 세포가 있다.
  3. 시신경으로 통하는 수정체 부분에는 시세포가 없어 그곳에 상이 맺히면 색을 감지할 수 없다.
  4. 망막의 중심와 부분에는 주상체가 밀집하여 분포되어 있다.
(정답률: 54%)
  • 망막은 시신경으로 연결되어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망막에는 각색을 지각하는 원뿔세포와 명암을 지각하는 막대세포가 있습니다. 이 중심부에는 원뿔세포가 밀집하여 분포되어 있어 선명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망막의 중심와 부분에는 주상체가 밀집하여 분포되어 있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슈퍼그래픽의 기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벽화적 기능
  2. 가구장식 기능
  3. 정보전달 기능
  4. 연출기능
(정답률: 68%)
  • 슈퍼그래픽은 주로 정보전달과 연출을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구장식 기능은 다른 기능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가구장식 기능은 슈퍼그래픽을 이용해 가구나 인테리어 소품 등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주로 인테리어 디자이너나 가구 제조업체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주목성이 가장 높은 배색은?

  1. 자극적이고 대조적인 느낌의 배색
  2. 온화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배색
  3. 초록이나 자주색 계통의 배색
  4. 중성색이나 고명도의 배색
(정답률: 91%)
  • "자극적이고 대조적인 느낌의 배색"이 주목성이 가장 높은 배색이다. 이유는 대조적인 색상이 함께 사용되어 시선을 끌고, 자극적인 느낌이 강하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색은 광고나 포스터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시각적으로 인상적인 효과를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컴퓨터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스캐너
  2. 모니터
  3. 디지털카메라
  4. 디지타이저
(정답률: 63%)
  • 모니터는 컴퓨터 출력장치이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입력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목재 자연 건조법의 주의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시간의 절약을 위해 가능한한 마구리를 노출한다.
  2. 목재 상호간의 간격을 충분히 하고 지면에서는 20cm 이상 높이의 굄목을 놓고 쌓는다.
  3. 건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때때로 상하 좌우로 환적한다.
  4. 뒤틀림을 막기 위해 오림목을 고루 괴어둔다.
(정답률: 77%)
  • "건조시간의 절약을 위해 가능한한 마구리를 노출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 사항이다. 이유는 마구리를 노출하면 목재가 과도하게 건조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구리는 적절한 높이와 간격으로 쌓아서 건조해야 한다.

    건조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가능한한 마구리를 노출하는 것은 마구리 사이의 공기순환을 촉진하여 건조를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마구리를 노출할 때는 적절한 높이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건조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실(seal)재가 아닌 것은?

  1. 코킹재
  2. 퍼티
  3. 실링재
  4. 트래버틴
(정답률: 70%)
  • 정답은 "트래버틴"입니다.

    코킹재, 퍼티, 실링재는 모두 실재의 일종으로, 구멍이나 틈새를 메우거나 물이나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트래버틴은 실재가 아닙니다. 트래버틴은 건축재료로 사용되며, 시멘트와 광물질을 혼합하여 만든 인조석입니다. 주로 벽돌이나 돌을 대신하여 사용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성이 좋아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종이 표면에 모양을 프린트하고 그 위에 투명 염화비닐 필름을 압착한 것으로 주로 수입벽지에서 많이 보이는 것은?

  1. 비닐 라미네이트 벽지
  2. 발포 염화비닐 벽지
  3. 코르크 벽지
  4. 염화비닐 칩 벽지
(정답률: 49%)
  • 주어진 설명에서 "투명 염화비닐 필름을 압착한 것"이라는 특징으로 보아, 이는 비닐 라미네이트 벽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재질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산석으로 된 진주석을 900 ~ 1200 ℃의 고열로 팽창시켜 만들며, 주로 단열, 보온, 흡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1. 트랜버틴(Tranvertine)
  2. 펄라이트(Pearlite)
  3. 테라조(Terrazzo)
  4. 석면(Asbestos)
(정답률: 70%)
  • 화산석으로 된 진주석을 고열로 팽창시켜 만든 펄라이트는 경량이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나며, 단열, 보온, 흡음 등의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주로 건축, 산업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펄라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면활성제의 일종으로 기포작용은 하지 않고 분산 및 습윤작용에 의해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혼화제는?

  1. 경화 촉진제
  2. 방수제
  3. 감수제
  4. 방청제
(정답률: 68%)
  •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혼화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경화 촉진제, 방수제, 방청제로 각각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각종 미장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고플라스터는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화성이 있다.
  2. 바라이트 모르타르는 방사선 방호용으로 사용된다.
  3. 돌로마이트플라스터는 수축률이 크고 균열이 쉽게 발생 한다.
  4. 혼합석고플라스터는 약산성이며 석고라스 보드에 적합한다.
(정답률: 25%)
  • "혼합석고플라스터는 약산성이며 석고라스 보드에 적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혼합석고플라스터는 알칼리성이며, 석고보드에 적합하다. 이유는 혼합석고플라스터는 석고보드와 같은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석고보드와의 화학적 반응을 고려하여 알칼리성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선은 일반적으로 어떤 성형법에 의하여 제작되는가?

  1. 단조
  2. 가공
  3. 압연
  4. 인발
(정답률: 37%)
  • 철선은 인발 공정을 통해 제작됩니다. 인발은 금속을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 위해 금속을 끌어내는 공정으로, 철선의 경우 철을 끌어내어 필요한 직경과 길이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는 섬유의 방향에 따라 차이가 크다.
  2. 결질 파티클보드는 변형이 적다.
  3. 폐재, 부산물 등 저가치재를 이용하여 넓은 면적의 판상제품을 만들 수 있다.
  4. 경량 파티클보드는 흡음성, 열차단성이 경질 파티클보드보다 크다.
(정답률: 59%)
  • "강도는 섬유의 방향에 따라 차이가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티클 보드는 섬유나 나무 조각 등을 분쇄하여 만든 나무판재로, 섬유의 방향에 따라 강도가 크게 차이나는 대신 일반적으로 경질 파티클보드는 결질 파티클보드보다 변형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경량 파티클보드는 경질 파티클보드보다 흡음성과 열차단성이 낮다. 하지만 "폐재, 부산물 등 저가치재를 이용하여 넓은 면적의 판상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파티클 보드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타일형 바닥재 중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각종 형상을 자유자재로 재현할 수 있는 것은?

  1. 경질비닐타일
  2. 순염화비닐타일
  3. 아스팔트타일
  4. 적층비닐타일
(정답률: 36%)
  • 순염화비닐타일은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각종 형상을 자유자재로 재현할 수 있는 타일형 바닥재입니다. 이는 순염화 처리로 인해 내구성이 높아지고,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질비닐타일은 내마모성은 높지만 형상 재현이 제한적이며, 아스팔트타일과 적층비닐타일은 내마모성이 낮아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금속 중 이온화 경향이 가장 큰 것은?

  1. Zn
  2. Cu
  3. Ni
  4. Fe
(정답률: 48%)
  • 이온화 에너지는 원자가 이온화되어 양전하를 가지는 이온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최소 에너지이다. 이온화 에너지는 주기율표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전이 금속의 경우에는 이온화 에너지가 낮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이온화 경향이 가장 큰 금속은 Z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강철선을 가로. 세로로 대어 전기용접하여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만들어 콘크리트 도로 바탕용 등에 처짐 및 균열에 대응하도록 만든 철물은?

  1. 와이어라스
  2. 메탈라스
  3. 와이어메시
  4. 코너비드
(정답률: 57%)
  • 와이어메시는 연강철선을 가로, 세로로 대어 전기용접하여 만든 철물로, 콘크리트 도로 바탕용 등에 처짐 및 균열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와이어메시"가 정답입니다. "와이어라스"와 "메탈라스"는 해당 용어가 없으며, "코너비드"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근콘크리트 구조용 골재로 해사를 사용할 경우, 우선조치 하여야 할 사항은?

  1. 해사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 사용한다.
  2. 물-시멘트비를 증가시킨다.
  3. 조골재를 많이 넣어 잔골재율을 낮춘다.
  4. 해사를 충분히 물에 씻어 사용한다.
(정답률: 65%)
  • 해사는 자연에서 채취되어 오는 물질이기 때문에 흙, 모래, 진흙 등이 묻어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순물이 포함된 해사를 그대로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충분히 물에 씻어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배지를 붙이는 바탕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바탕조정제 중, 석고나 탄산칼슘을 주원료로 하고, 바탕의 요철이나 줄눈, 균열이나 구멍 보수에 사용하는 것은?

  1. 수용성 실러(sealer)
  2. 용제형 실러(sealer)
  3. 퍼티(putty)
  4. 코킹(cocking)
(정답률: 76%)
  • 퍼티는 석고나 탄산칼슘을 주원료로 하여 바탕의 요철이나 줄눈, 균열이나 구멍 보수에 사용되는 바탕조정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바탕을 조정하는 용도가 아니거나, 다른 방식으로 바탕을 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암석이 가장 쪼개지기 쉬운 면을 말하며 절리보다 불분명 하지만 방향이 대체로 일치되어 있는 것은?

  1. 석리
  2. 입상조직
  3. 석목
  4. 선상조직
(정답률: 43%)
  • 석목은 암석의 결정 방향이 대체로 일치되어 있어 가장 쪼개지기 쉬운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절리는 결정 방향이 불분명하며, 입상조직과 선상조직은 결정 방향이 일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암석을 쪼개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는 석목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목재의 유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것은?

  1. 크레오소트유
  2. 콜타르
  3. 불화소다 2%용액
  4. P.C.P
(정답률: 62%)
  • P.C.P는 목재 방부제로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목재를 부식, 해충, 곰팡이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크레오소트유, 콜타르, 불화소다 2%용액도 목재 방부제로 사용되지만, P.C.P는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목재의 일반적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강도는 전단강도를 제외하고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과 직각인 경우 최소가 된다.
  2. 목재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상태가 건조한 상태보다 약하다.
  3. 널결재는 곹은결재보다 뒤틀림이 적다.
  4.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크다.
(정답률: 58%)
  • "일반적으로 강도는 전단강도를 제외하고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과 직각인 경우 최소가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널결재는 곹은결재보다 뒤틀림이 적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널결재가 섬유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뒤틀림이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점토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가소성이 좋다.
  2. 양질의 점토는 건조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내며 가소성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모래 등을 첨가하여 조절 한다.
  3. 점토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6의 범위이나 Al2O3가 많은 점토는 3.0에 이른다.
  4. 강도는 점토의 종류에 따라 광범위하며,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 정도이다.
(정답률: 47%)
  •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가소성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양질의 점토는 건조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내며 가소성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모래 등을 첨가하여 조절 한다."이다. 이 설명은 옳은데, 이유는 점토는 건조하면 수분을 잃어 가소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소성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모래 등을 첨가하여 가소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장재료인 안료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안료는 유색의 불투명한 도막을 만듦과 동시에 도막의 기계적 성질을 보완한다.
  2. 무기안료는 내광성. 내열성이 크다.
  3. 유기안료는 레이크(lake)라고도 한다.
  4. 무기안료는 유기용제에 잘 녹고 색의 선명도에서 유기안료보다 양호하다.
(정답률: 60%)
  • "무기안료는 유기용제에 잘 녹고 색의 선명도에서 유기안료보다 양호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무기안료는 유기안료와 달리 불투명한 도막을 만들어내는 물질로, 내광성과 내열성이 높아서 자외선이나 열에 강하다. 또한 유기용제에 잘 녹기 때문에 색의 선명도가 높다. 유기안료는 대부분 레이크(lake)라고도 불리며, 유기용제에 녹아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멘트의 수화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멘트의 화학성분
  2. 골재의 강도
  3. 분말도
  4. 혼화제
(정답률: 61%)
  • 골재의 강도는 시멘트와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들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재의 강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시멘트의 수화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요인들도 중요하지만,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기계적인 성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목재의 무늬를 가장 잘 나타내는 투명도료는?

  1. 유성페인트
  2. 클리어래커
  3. 수성페인트
  4. 에나멜페인트
(정답률: 62%)
  • 목재의 무늬를 가장 잘 나타내는 투명도료는 클리어래커입니다. 이는 클리어래커가 투명하면서도 목재의 무늬를 부각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성페인트, 수성페인트, 에나멜페인트는 모두 불투명한 페인트이므로 목재의 무늬를 나타내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목재의 이음 방법 중 따낸이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먹장이음
  2. 메뚜기장이음
  3. 엇걸이이음
  4. 맞댄이음
(정답률: 54%)
  • 맞댄이음은 목재의 끝을 직각으로 자른 후, 이를 상대적으로 맞댄 후 접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른 이음 방법과 달리 목재의 두께가 다를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맞댄이음이 속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피난층 또는 피난층의 승강장으로부터 건축물의 바깥쪽에 이르는 통로에 경사로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교육연구시설 중학교
  2. 연면적이 1,000m2인 판매시설
  3.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양수장
  4.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대피소
(정답률: 51%)
  • 연면적이 1,000m2인 판매시설은 건축법상 피난구조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피난층 또는 피난층의 승강장으로부터 건축물의 바깥쪽에 이르는 통로에 경사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방시설 중 소화활동 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비상 콘센트 설비
  2. 피난사다리
  3. 비상조명등
  4. 공기안전매트
(정답률: 50%)
  • 비상 콘센트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소방차 등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소화활동에 필수적인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화활동 설비에 해당됩니다. 피난사다리, 비상조명등, 공기안전매트는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안전을 위한 시설로, 소화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거실 용도에 따린 조도기준은 바닥에서 몇 cm의 수평면 조도를 말하는가?

  1. 50cm
  2. 65cm
  3. 75cm
  4. 85cm
(정답률: 52%)
  • 거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적절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거실의 바닥에서 85cm의 수평면 조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집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거실에서 필요한 작업(예: 읽기, TV 시청 등)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밝기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는 눈의 피로를 줄이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벽돌구조에서 줄눈형태별 용도 및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준눈은 벽돌의 형대가 고르지 않을 때 사용한다.
  2. 내민줄눈은 벽면에 고를 때 사용하며 거친 표면질감을 만들어낸다.
  3. 오목줄눈은 약한 음영을 만들면서 여성적 느낌을 준다.
  4. 민줄눈은 형태가 고르고 깨끗한 벽돌에 사용된다.
(정답률: 54%)
  • "오목줄눈은 약한 음영을 만들면서 여성적 느낌을 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오목줄눈은 벽면에 고를 때 음영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벽돌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벽돌벽의 두께결정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건축물의 높이
  2. 벽돌의 쌓기법
  3. 벽체의 길이
  4. 건축물이 층수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연면적 1,000m2 이상인 목조 건축물에서 외벽의 구조 및 지붕의 재료로 옳은 것은?

  1. 내화구조의 외벽, 불연재료의 지붕
  2. 방화구조의 외벽, 불연재료의 지붕
  3. 방화구조의 외벽, 난연재료의 지붕
  4. 내화구조의 외벽, 난연재료의 지붕
(정답률: 53%)
  • 연면적 1,000m2 이상인 목조 건축물은 대부분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크기 때문에 방화구조의 외벽과 불연재료의 지붕이 적합합니다. 방화구조의 외벽은 화재 발생 시 화염이 외부로 번지는 것을 막아주며, 불연재료의 지붕은 화재 발생 시 지붕에서 불이 번지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화구조의 외벽, 불연재료의 지붕"이 옳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한식기의 이음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아귀토
  2. 보습장
  3. 알매흙
  4. 겉침기와
(정답률: 54%)
  • 한식기의 이음에서 사용되는 것은 "아귀토", "보습장", "알매흙"이지만, "겉침기와"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겉침기와"가 한식기의 이음과는 관련이 없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기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2.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3.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하인 건축물
  4.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m2 이내마다 방화구휙으로 구획한 건축물 (단,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루)
(정답률: 48%)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m2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단,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루)는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유는 해당 건축물은 방화구획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한 비상용승강기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리스 파르테논(Parthenon) 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리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2. 기원전 5세기경 건축가 익티누스와 조각가 피디아스의 작품이다.
  3. 아테네의 수호신 아테나를 숭배하기 위해 축조하였다.
  4. 대부분 화강석 재료를 사용하여 건축하였다.
(정답률: 76%)
  • 대부분 화강석 재료를 사용하여 건축하였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파르테논 신전은 대리석으로 건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절충식 목조지붕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붕보의 배치 간격은 1.8m 정도로 한다.
  2. 대공이 매우 높을 때 는 종보를 사용하기도 한다.
  3. 모임지붕일 경우 지붕귀의 부분에는 대공을 받치도록 우리량을 사용한다.
  4. 중도리는 대공 위에, 마루대는 동자기둥의에 수평으로 걸쳐 대고 서까래를 받게 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중도리는 대공 위에, 마루대는 동자기둥의에 수평으로 걸쳐 대고 서까래를 받게 한다."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철근 콘크리트조의 벽판을 현장 수평지면에서 제작하여 굳은 다음 제자리에 옮겨 놓고, 일으켜 세워서 조립하는 공법은?

  1. 리프트 슬래브 공법
  2. 커튼월 공법
  3. 포스트텐션 공법
  4. 틸트업 공법
(정답률: 70%)
  • 틸트업 공법은 벽판을 수평지면에서 제작한 후 일으켜 세워서 조립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벽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현장에서의 작업이 줄어들어 시공 기간이 단축되고, 벽판의 정확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판을 일으켜 세우는 과정에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어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30m 이상인 건축물
  2. 6층 이상인 건축물
  3. 다중이용건축물
  4. 한쪽 끝은 고정되고 다른 끝은 지지되지 아니한 구조로된 차양 등이 외벽의 중심선으로부터 2m 이상 돌출된 건축물
(정답률: 48%)
  • 한쪽 끝은 고정되고 다른 끝은 지지되지 아니한 구조로된 차양 등이 외벽의 중심선으로부터 2m 이상 돌출된 건축물은 구조적 안전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 구조의 안전을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대상 건축물은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반면에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30m 이상인 건축물, 6층 이상인 건축물, 다중이용건축물은 구조적 안전성이 높은 건축물로,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벽돌벽 쌓기에서 비교적 시공이 용이하고, 벽면에 변화감을 내기 위해 45도 각도로 모서리 면이 나오도록 쌓는방법은?

  1. 공간쌓기
  2. 영롱쌓기
  3. 무늬쌓기
  4. 엇모쌓기
(정답률: 72%)
  • 엇모쌓기는 벽돌을 45도 각도로 쌓아 모서리 면이 나오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벽면에 변화감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이 비교적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벽돌벽 쌓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익공계 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선시대초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발전된 공포양식이다.
  2. 향교, 서원, 사당 등 유교건축물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3. 주심포 양식이 단순화되고 간략화딘 형태이다.
  4. 봉정사 극락전이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정답률: 59%)
  • "봉정사 극락전이 대표적인 건축물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봉정사 극락전은 익공계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로, 조선시대에 건립된 유일한 익공계 건축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 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중에 따라 내화구조로 된 바닥, 벽 및 갑종방화문으로 방화구획을 하기 위한 최소 연면적 기중은?

  1. 500m2 이상
  2. 1000m2 이상
  3. 1500m2 이상
  4. 2000m2 이상
(정답률: 69%)
  • 건축물의 내화구조와 불연 재료로 된 주요구조부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국토해양부는 이러한 구조물을 갖춘 건축물에서 방화구획을 설정하기 위한 최소 연면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내화구조로 된 바닥, 벽 및 갑종방화문으로 방화구획을 설정하는 경우, 최소 연면적은 1000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방화구획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어야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m2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12층의 바닥면적이 1500m2인 건축물로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방화구획으로 나뉘어지는 바닥은 몇 개소인가? (단, 디자인과 평면계획은 고려치 않음)

  1. 1개소 이상
  2. 2개소 이상
  3. 3개소 이상
  4. 4개소 이상
(정답률: 61%)
  •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건축물은 방화구획으로 나뉘어져야 한다. 방화구획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재가 발생한 구획을 다른 구획과 분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건축법에서는 방화벽, 방화문, 방화셔터 등의 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12층 건축물의 경우,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하면서 방화구획을 나누어야 한다. 방화구획의 크기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과 평면계획에 따라 다양하게 나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12층 건축물의 경우 3개소 이상으로 나뉘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3개소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작품과 건축가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파리 오페라 하우스(Opera House, Paris) - 찰스 가르니에 (Charles Garnier)
  2. 수정궁(Crystal Palace) - 구스타프 에펠(Gustave Eiffel)
  3. 영국 국회 의사당(Houses of Parliament) - 존 러스킨(John Ruskin)
  4. 베를린 알테스 박물관(Altes Museum) - 폰 클렌체(Von Klenze)
(정답률: 42%)
  • 파리 오페라 하우스(Opera House, Paris) - 찰스 가르니에 (Charles Garnier)는 올바른 짝이다. 파리 오페라 하우스는 1861년에 건축되었으며, 찰스 가르니에가 설계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조선시대에 실내공간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상징성과 암시적인 의미의 조각으로서 건축의 장식성을 두드러지게 한 건출물은 어느 것인가?

  1. 서원
  2. 주택
  3. 사찰
  4. 향교
(정답률: 66%)
  • 사찰은 조선시대에 실내공간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상징성과 암시적인 의미의 조각으로서 건축의 장식성을 두드러지게 한 건출물입니다. 사찰는 불교 문화를 중심으로 건축되었으며, 그 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각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조각물들은 건축물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불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서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용접 결함이 아닌 것은?

  1. 언더 컷(under cut)
  2. 엔드 탭(end tab)
  3. 오버랩(over lap)
  4. 블로우 홀(blow hole)
(정답률: 48%)
  • 엔드 탭(end tab)은 용접 부위의 끝 부분에 생기는 작은 돌출물로, 용접 결함이 아닌 부분입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봉이 끝까지 용융되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 용접 기술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방지할 수 있습니다. 언더 컷(under cut), 오버랩(over lap), 블로우 홀(blow hole)은 모두 용접 결함으로, 용접 기술자가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