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8-16)

실내건축산업기사
(2015-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일반적인 부엌의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대 배치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률: 91%)
  • 일반적인 부엌의 작업순서는 식재료를 세척하고 다듬은 후 조리를 하고, 그 다음에는 조리된 음식을 재료와 함께 섞어서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에서는 식재료를 세척하고 다듬는 작업을 하고, ㉠에서는 조리를 하고, ㉡에서는 조리된 음식과 재료를 섞어서 마무리하는 작업을 합니다. 그리고 ㉤에서는 마무리된 음식을 담아두는 용기를 준비하고, ㉣에서는 마무리된 음식을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는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 → ㉠ → ㉡ → ㉤ → ㉣"이 가장 알맞은 작업대 배치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차에 의한 공간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수가 적은 오르는 계단은 기대감을 줄 수 있다.
  2. 약간 내려가는 계단은 아늑한 곳으로 인도하는 느낌을 준다.
  3. 계단 위를 볼 수 없을 정도가 되면 불안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4. 작은 방에서 큰 방으로의 연결은 내려오는 계단으로 되어야만 안정된 느낌을 준다.
(정답률: 73%)
  • "작은 방에서 큰 방으로의 연결은 내려오는 계단으로 되어야만 안정된 느낌을 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방의 크기와 상관없이 오르는 계단도 안정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단차에 의한 공간의 효과는 계단의 단수, 기울기, 높이 등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방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상점 진열창(show window)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리면을 경사지게 한다.
  2. 외부에 차양을 설치한다.
  3. 특수한 곡면유리를 사용한다.
  4. 진열창의 내부조도를 외부보다 낮게 한다.
(정답률: 76%)
  • 진열창의 내부조도를 외부보다 낮게 한다는 것은 상점 내부의 조명을 어둡게 조절하여 진열창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눈부심을 방지하고 진열물의 색상과 디자인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열창의 내부조도를 외부보다 낮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은 단면을 갖는 천장의 유형은?

  1. 나비형
  2. 단저형
  3. 경사형
  4. 꺽임형
(정답률: 82%)
  • 이 천장은 중앙에서 꺽이는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꺽임형"으로 분류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모듈(module)과 가장 관계가 깊은 디자인 원리는?

  1. 비례
  2. 균형
  3. 리듬
  4. 통일
(정답률: 72%)
  • 정답: 비례

    모듈은 디자인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작은 단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모듈들은 큰 디자인에서 비례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크기와 간격 등도 비례적으로 조절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듈과 가장 관계가 깊은 디자인 원리는 비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다의도형 착시의 사례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루빈의 항아리
  2. 펜로즈의 삼각형
  3. 쾨니히의 목걸이
  4. 포겐도르프의 도형
(정답률: 77%)
  • 루빈의 항아리는 두 개의 얼굴과 하나의 항아리로 이루어진 그림으로, 얼굴과 항아리를 번갈아 보면서 보면 항아리가 두 개의 얼굴을 가리는 것처럼 보이고, 얼굴을 보면서 보면 항아리가 뒤집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다의도형 착시의 사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품의 유효진열범위에서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편한 높이인 골든 스페이스(Golden Space)의 범위는?

  1. 500~850mm
  2. 850~1250mm
  3. 1250~1400mm
  4. 1450~1600mm
(정답률: 90%)
  •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편한 높이는 보통 850mm에서 1250mm 사이입니다. 따라서 골든 스페이스의 유효진열범위는 850mm에서 1250mm 사이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유니버셜 공간의 개념적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상업공간을 말한다.
  2. 모듈이 적용된 공간을 말한다.
  3. 독립성이 극대화된 공간을 말한다.
  4. 공간의 융통성이 극대화된 공간을 말한다.
(정답률: 76%)
  • 유니버셜 공간은 다양한 용도와 활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공간의 융통성이 극대화된 공간을 말한다. 이는 공간의 구성 요소들이 유연하게 조합되어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간의 융통성이 극대화된 공간을 말한다."가 가장 알맞은 개념적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과 가장 관련이 깊은 그림은?

(정답률: 74%)
  • 해당 그림은 "물고기의 무리"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개인적인 행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고기의 무리"와 가장 관련이 깊은 그림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순수예술
  2. 공간예술
  3. 디자인 행위
  4. 계획, 실행과정, 결과
(정답률: 89%)
  • "순수예술"은 예술 작품 자체가 목적이며, 실내디자인은 공간을 기능적이고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목적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택 계획에서 LDK(Living Dining Kitchen)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부의 동선이 단축된다.
  2. 이상적인 식사공간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3. 소요면적이 많아 소규모 주택에서는 도입이 어렵다.
  4. 거실, 식당, 부엌을 개방된 하나의 공간에 배치한 것이다.
(정답률: 77%)
  • "소요면적이 많아 소규모 주택에서는 도입이 어렵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LDK형은 거실, 식당, 부엌을 개방된 하나의 공간에 배치한 것으로, 주부의 동선이 단축되고 이상적인 식사공간 분위기 조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소규모 주택에서는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LDK형을 도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균형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2. 차가운 색이 따뜻한 색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3. 기하학적인 형태가 불규칙적인 형태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4. 복잡하고 거친 질감이 단순하고 부드러운 것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정답률: 74%)
  • 기하학적인 형태가 불규칙적인 형태보다 무겁게 느껴진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균형의 원리는 물체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분포되어야 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형태가 무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물체의 무게는 그 자체의 무게와 중심의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스 반 데어 로에에 의하여 디자인된 의자로, X자로 된 강철 파이프 다리 및 가죽으로 된 등받이와 좌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바실리 의자
  2. 체스카 의자
  3. 파이미오 의자
  4. 바르셀로나 의자
(정답률: 72%)
  • X자로 된 강철 파이프 다리와 가죽으로 된 등받이와 좌석으로 구성된 디자인은 바르셀로나 의자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내디자인의 원리 중 휴먼 스케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의 신체를 기준으로 파악되고 측정되는 척도 기준이다.
  2. 공간의 규모가 웅대한 기념비적인 공간은 휴먼스케일을 적용하는데 용이하다.
  3. 휴먼 스케일이 잘 적용된 실내공간은 심리적, 시각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
  4. 휴먼 스케일의 적용은 추상적, 상징적이 아닌 기능적인 척도를 추구하는 것이다.
(정답률: 87%)
  • "휴먼 스케일의 적용은 추상적, 상징적이 아닌 기능적인 척도를 추구하는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휴먼 스케일은 인간의 체형과 움직임을 고려하여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기능적인 측면 뿐 아니라 심리적, 시각적인 측면도 고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규모가 큰 주택에서 부엌과 식당 사이에 식품, 식기 등을 저장하기 위해 설치한 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배선실(pantry)
  2. 가사실(utility room)
  3. 서비스 야드(service yard)
  4. 다용도실(multipurpose room)
(정답률: 54%)
  • 배선실(pantry)은 주로 부엌과 식당 사이에 위치하여 식품, 식기 등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큰 주택에서는 규모가 큰 식품 보관실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가사실(utility room), 서비스 야드(service yard), 다용도실(multipurpose room)은 이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오픈 오피스 플랜의 가장 큰 단점은?

  1. 고가의 공사비
  2. 청각적 프라이버시
  3. 시각적 프라이버시
  4. 부서간의 친밀감 감소
(정답률: 66%)
  • 오픈 오피스 플랜은 개방된 공간으로 인해 주변의 대화나 소음 등이 들리기 쉬워 청각적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판매공간의 상품강조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의 종류, 크기, 형태, 디스플레이 방법을 고려하여 설치한다.
  2. 판매대 안에 소형의 전구를 매입시키거나 스포트라이트를 설치한다.
  3. 상품강조조명과 환경조명의 조도대비는 1.5배 정도로 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4. 상품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라이팅 트랙(lighting track)을 설치한다.
(정답률: 69%)
  • "상품강조조명과 환경조명의 조도대비는 1.5배 정도로 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조도대비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적절한 조도대비는 상품의 종류, 크기, 색상, 디스플레이 방법, 판매공간의 크기와 형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택의 거실에서 스크린(화면)을 중심으로 텔레비전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최대 범위는?

  1. 45° 이내
  2. 50° 이내
  3. 60° 이내
  4. 70° 이내
(정답률: 71%)
  • 주택의 거실에서 스크린(화면)을 중심으로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 시청자의 시야각은 일반적으로 60도 이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는 시야각이 너무 좁으면 화면 전체를 보기 어렵고, 너무 넓으면 화면의 중심에서 벗어나 시청자의 시선이 흐트러져 시청이 불편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적의 시청각을 위해서는 60도 이내의 범위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차원 형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면과 선의 교차에서 나타난다.
  2. 2차원적 형상에 깊이나 볼륨을 더하여 창조된다.
  3.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한다.
  4.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 기타 기하학적 형태로 존재한다.
(정답률: 79%)
  • 3차원 형상은 2차원적 형상에 깊이나 볼륨을 더하여 창조된다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2차원적인 면과 선의 교차에서 시작하여 깊이와 볼륨을 더해 실제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면을 깊이와 높이를 더해 직육면체를 만들거나, 원의 면을 깊이와 높이를 더해 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3차원 형상은 우리 주변에 많이 존재하며, 건축물, 가구,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상징적 경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슈퍼그래픽을 말한다.
  2. 경계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3. 담을 쌓은 후 상징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4. 물리적 성격이 약화된 시각적 영역표시를 말한다.
(정답률: 74%)
  • 상징적 경계란 물리적 경계가 아니라 시각적으로 표시된 경계를 말하는데, 이 때 물리적 성격이 약화된 시각적 영역표시를 사용한다. 즉, 구체적인 장애물이나 경계선이 없지만 시각적으로 경계를 표시하여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슈퍼그래픽이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다음 중 시야(視野)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인간이 얼마만큼 멀리 볼 수 있는가를 말한다.
  2. 인간이 얼마만큼 가까이 볼 수 있는가를 말한다.
  3. 어느 한 점에 눈을 돌렸을 때 보이는 범위를 시각으로 나타낸 것이다.
  4. 어느 한 점에 눈을 돌렸을 때 보이는 범위를 거리로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75%)
  • "어느 한 점에 눈을 돌렸을 때 보이는 범위를 시각으로 나타낸 것이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시야는 어느 한 점에서 눈을 돌렸을 때 보이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리와는 관련이 없다. 인간이 얼마만큼 멀리 볼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시야가 아니라 시력이며, 인간이 얼마만큼 가까이 볼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초점 거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작업효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어떤 조건 하에서 일정한 일을 함에 있어 신속, 확실, 효과적으로 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 신체적으로 보다 큰 에너지 소모가 있을 때 “작업효율이 있다.”라고 한다.
  3. 신경적으로는 보다 큰 긴장, 심리적으로는 보다 큰 노력감이 있을 때 “작업효율이 좋다.”라고 한다.
  4. 에너지소비량을 S, 실현하여 얻은 작업을 P라고 하면 작업효율(E)은 S/P로 정의할 수 있다.
(정답률: 81%)
  • 정답은 "에너지소비량을 S, 실현하여 얻은 작업을 P라고 하면 작업효율(E)은 S/P로 정의할 수 있다."이다. 이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에너지와 그 결과물인 작업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효율과 관련된 요소들이지만, 작업효율을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공학은 인간-기계 체계에 있어서 인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
  2.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인간공학은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3. 인간공학이 설계 기술자와 연관을 갖게 된 것을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이다.
  4. 인간공학은 인간이 기계나 작업환경에 어떠한 방법으로 적응할 것인가에 대해 연구한다.
(정답률: 48%)
  • "인간공학은 인간이 기계나 작업환경에 어떠한 방법으로 적응할 것인가에 대해 연구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간공학은 인간-기계 체계에 있어서 인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며,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도 효율성 뿐만 아니라 안전성, 편의성, 사용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합니다. 인간공학은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연구되어 왔지만, 그 이전부터도 인간의 작업환경과 관련된 문제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정보이론에 있어 정보량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code
  2. bit
  3. byte
  4. character
(정답률: 64%)
  • 정보이론에서 정보량의 단위는 "bit"이다. 이는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로, 0 또는 1의 두 가지 값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 이진수(binary digit)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정보이론에서는 정보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bit"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일반적으로 경계 및 경보 신호를 설계할 경우의 참고 되는 지침으로 틀린 것은?

  1. 귀는 중음역에 가장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2. 고음은 장거리에 유용하므로 장거리용으로는 1000Hz 이상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3. 신호가 장애물을 돌아가거나 칸막이를 사용할 때에는 500Hz 이하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4. 배경 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신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64%)
  • "귀는 중음역에 가장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고음은 장거리에 유용하므로 장거리용으로는 1000Hz 이상의 진동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음이 저음보다 더 멀리까지 전달되기 때문이다. 저음은 장애물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호가 장애물을 돌아가거나 칸막이를 사용할 때에는 500Hz 이하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배경 소음과 구별하기 쉬운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배경 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신호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문자-숫자 표시에 있어서 암순응이 필요한 경우 가장 적절한 배색은?

  1. 흰 바탕에 검은 글씨
  2. 흰 바탕에 파랑 글씨
  3. 검은 바탕에 흰 글씨
  4. 검은 바탕에 빨강 글씨
(정답률: 62%)
  • 문자-숫자 표시에서 암순응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비가 뚜렷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검은 바탕과 흰 글씨가 대비가 높아서 시인성이 좋고, 글씨가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빨강이나 파랑과 같은 다른 색상은 시선을 산만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단순하고 명료한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폰(Phon)과 손(son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0dB의 1000Hz 순음의 크기를 1sone이라 한다.
  2. 음량 수준이 10phon 증가하면 음량(sone)은 4배가 된다.
  3. 한 음의 phon 값으로 표시한 음량 수준은 이 음과 같은 크기로 들리는 1000Hz 순음의 음압 수준(dB)이다.
  4. 음량균형기법을 사용하여 정량적 평가를 하기 위한 음량 수준 척도를 작성하였고, 그 단위를 phon이라 한다.
(정답률: 56%)
  • "음량 수준이 10phon 증가하면 음량(sone)은 4배가 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는 음량 수준과 음량(sone)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음량 수준이 10phon 증가할 때마다 인간의 청각에서 느껴지는 음량이 4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공식은 음량 수준과 음량(sone)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인체 측정치의 1, 5, 10% tile과 같은 하위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1. 문의 넓이
  2. 사다리의 강도
  3. 선반의 높이
  4. 탈출구의 높이
(정답률: 72%)
  • 선반의 높이를 기준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인체 측정치의 하위 백분위수를 고려하여 제품을 만들기 위함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제품이라면, 모든 사람들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체 측정치의 다양한 하위 백분위수를 고려하여 제품을 디자인해야 한다. 선반의 높이를 기준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선반에서 물건을 꺼내거나 넣을 때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신체부위의 운동 중 '몸의 중심선으로의 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내전(adduction)
  2. 외전(abduction)
  3. 굴곡(flexion)
  4. 신전(extension)
(정답률: 71%)
  • "내전(adduction)"은 신체부위가 몸의 중심선으로 이동하는 운동을 뜻한다. 예를 들어, 팔이 몸 쪽으로 당겨지는 운동이나 다리가 서로 붙어지는 운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내전(adduction)"이 정답이다. "외전(abduction)"은 신체부위가 몸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운동을 뜻하며, "굴곡(flexion)"은 신체부위가 굽어지는 운동을, "신전(extension)"은 신체부위가 펴지는 운동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생체리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육체적 리듬(P)은 33일을 주기로 반복한다.
  2. 지성적 리듬(I)은 28일을 주기로 반복한다.
  3. 감성적 리듬(S)은 23일을 주기로 반복한다.
  4. 생체리듬은 (+)와 (-)를 반복하며, (+)와 (-)의 변화하는 점을 위험일이라 한다.
(정답률: 67%)
  • 생체리듬은 우리 몸의 생리적인 기능들이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생체리듬은 양극성을 가지며, 양극성이 바뀌는 지점을 위험일이라고 한다. 이는 우리 몸이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면서도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생체리듬은 (+)와 (-)를 반복하며, (+)와 (-)의 변화하는 점을 위험일이라고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문ㆍ스펜서의 조화론 중 유사조화에 해당되는 색상은? (단, 기본색이 R인 경우)

  1. YR
  2. P
  3. B
  4. G
(정답률: 85%)
  • 유사조화란 기본색과 그 주변 색상들이 함께 사용되어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R 주변의 색상 중에서 유사조화에 해당하는 것은 YR이다. YR은 노란색과 빨간색이 혼합된 색상으로, R과 비슷한 색조를 가지면서도 더 밝고 화사한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노랑색 무늬를 어떤 바탕색 위에 놓으면 가장 채도가 높아 보이는가?

  1. 황토색
  2. 흰색
  3. 회색
  4. 검정색
(정답률: 82%)
  • 노랑색은 검정색 바탕 위에 놓였을 때 가장 채도가 높아 보입니다. 검정색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노랑색과 대비가 크게 나타나고, 이는 노랑색의 채도를 더욱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정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먼셀의 색채조화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균명도가 N5가 되는 색들은 조화된다.
  2. 중간 정도 채도의 보색은 동일 면적으로 배색할 때 조화를 이룬다.
  3. 명도는 같으나 채도가 다른 색들은 조화를 이룬다.
  4. 색상이 다른 여러 색을 배색할 경우 동일한 명도와 채도를 적용하면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정답률: 66%)
  • "색상이 다른 여러 색을 배색할 경우 동일한 명도와 채도를 적용하면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먼셀의 색채조화 원리는 색상, 명도, 채도를 조화롭게 배합하여 색감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색상이 다른 여러 색을 배색할 경우에도 명도와 채도를 조절하여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보색관계가 아닌 것은?

  1. 빨강 –청록
  2. 노랑 - 남색
  3. 파랑 –주황
  4. 보라 - 초록
(정답률: 65%)
  • 보라와 초록은 서로 보색관계가 아니다. 보라는 빨강과 파랑의 혼합색으로, 초록은 노랑과 파랑의 혼합색이기 때문이다. 보색관계는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색상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 노랑과 보라, 파랑과 주황 등이 보색관계에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디지털 색채시스템에서 RGB형식으로 검정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수치는?

  1. R=255, G=255, B=255
  2. R=0, G=0, B=255
  3. R=0, G=0, B=0
  4. R=255, G=255, B=0
(정답률: 60%)
  • RGB 색상 체계에서 검정은 모든 색상의 값이 0인 "R=0, G=0, B=0"으로 표현됩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파란색을 전혀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파란색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검정으로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컬러 TV의 화면이나 인상파 화가의 점묘법, 직물 등에서 발견되는 색의 혼색방법은?

  1. 동시감법혼색
  2. 계시가법혼색
  3. 병치가법혼색
  4. 감법혼색
(정답률: 65%)
  • 병치가법혼색은 두 가지 색을 섞어서 새로운 색을 만드는 방법으로, 각각의 색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며 혼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컬러 TV나 인상파 화가의 작품 등에서도 사용되며, 직물 등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한색과 난색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노랑 계통은 난색이고 진출색, 팽창색이다.
  2. 파랑 계통은 한색이고 후퇴색, 수축색이다.
  3. 보라 계통은 한색이고 후퇴색, 수축색이다.
  4. 빨강 계통은 난색이고 진출색, 팽창색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보라 계통은 한색이고 후퇴색, 수축색이다." 이다. 보라 계통은 빨강과 파랑이 섞여 만들어지는 색으로, 한색이 아닌 이중색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보라 계통에 대한 설명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색의 3속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명도는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은 색감을 말한다.
  2. 채도는 색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순색의 정도를 의미한다.
  3. 채도는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은 색상의 밝기를 말한다.
  4. 명도는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은 색상의 선명함을 말한다.
(정답률: 71%)
  • 채도는 색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순색의 정도를 의미한다. 이는 색의 순도를 나타내며, 색이 얼마나 진하고 선명한지를 나타낸다. 즉, 색의 선명함과는 다른 개념이다.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며, 색이 얼마나 밝거나 어두운지를 나타낸다. 색감은 색의 종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혼색계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색 실험에 기초를 둠
  2. 오스트발트 표색계
  3. 먼셀표색계
  4. 물체색을 표시하는 표색계
(정답률: 46%)
  • 혼색계는 색을 표현하는 체계로, 심리적인 색과 물리적인 빛의 혼색 실험에 기초를 둡니다. 이를 통해 색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오스트발트 표색계와 먼셀표색계는 대표적인 혼색계 중 하나이며, 물체색을 표시하는 표색계도 혼색계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색채 측정 및 색채 관리에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Lab 형식
  2. RGB 형식
  3. HSB 형식
  4. CMY 형식
(정답률: 62%)
  • Lab 형식은 인간의 눈이 인식하는 색상을 기반으로 하며, 밝기(Lightness), 색도(a), 색상(b)의 세 가지 요소로 색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색채 측정 및 관리에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RGB 형식은 빛의 삼원색인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을 조합하여 색을 표현하며, HSB 형식은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의 세 가지 요소로 색을 표현합니다. CMY 형식은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의 세 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색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비철금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온화 경향이 높을수록 부식되기 어렵다.
  2. 동의 전기전도율, 열전도율은 은 다음으로 높다.
  3. 알루미늄은 산에는 침식되지만 내해수성은 우수하다.
  4. 아연은 내산, 내알칼리성이 우수하여 도금제로 사용된다.
(정답률: 50%)
  • 비철금속 중에서 이온화 경향이 높을수록 부식되기 어렵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온화 경향이 높을수록 금속 원자가 이온으로 쉽게 변화하기 때문에 오히려 부식이 더욱 쉬워집니다.

    동의 전기전도율과 열전도율이 은 다음으로 높은 이유는 은이 전자를 잘 이동시키고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은의 전자 구조와 결합 형태에 기인합니다.

    알루미늄은 산에는 부식되지만 내해수성은 우수합니다. 이는 알루미늄 산화물이 표면에 생성되어 부식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아연은 내산, 내알칼리성이 우수하여 도금제로 사용됩니다. 이는 아연이 산과 알칼리성 용액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황동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1. 구리와 아연
  2. 구리와 니켈
  3. 구리와 알루미늄
  4. 구리와 철
(정답률: 71%)
  • 황동의 주성분은 "구리와 아연"입니다. 이는 황동이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구리는 전기 및 열 전도성이 뛰어나며, 아연은 내식성이 높아서 황동의 내식성과 내구성을 높여줍니다. 또한, 구리와 아연의 비율에 따라 황동의 물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비율로 합금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건축용 유리 중 데크유리라고도 하며, 지하실 또는 지붕의 채광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1. 강화유리
  2. 열반사유리
  3. 기포유리
  4. 프리즘유리
(정답률: 68%)
  • 프리즘유리는 빛을 분산시켜서 채광 효과를 높여주는 유리로, 지하실이나 지붕 등에서 자연광을 활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강화유리는 내구성이 높아서 안전유리로 사용되고, 열반사유리는 태양열을 차단하여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입니다. 기포유리는 단열성이 뛰어나서 건물 내부의 온도 조절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재의 건조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목재의 강도 증진
  2. 도료, 주입제 및 접착제의 효과 증대
  3. 균류 발생의 방지
  4. 수지낭(resin pocket)과 연륜의 제거
(정답률: 74%)
  • 수지낭과 연륜은 목재 내부에 있는 불순물로, 목재의 강도나 품질을 저하시키고 균류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목재를 건조시켜 수지낭과 연륜을 제거하는 것은 목재의 강도 증진과 균류 발생 방지를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반면, 도료, 주입제 및 접착제의 효과 증대는 건조 이후에 적용되는 과정이므로 건조 목적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멘트의 조성 화합물 중에서 수화작용을 빠르게 하여 1주 이내의 강도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1. 규산 3석회
  2. 규산 2석회
  3. 알루민산 3석회
  4. 알루민산철 4석회
(정답률: 57%)
  • 알루민산 3석회는 물과 빠르게 반응하여 수화작용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시멘트의 초기 강도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1주 이내의 강도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규산 3석회와 규산 2석회는 시멘트의 강도 발생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수화작용을 빠르게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알루민산철 4석회는 시멘트의 강도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골재의 함수상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절대건조상태란 대기 중에서 완전히 건조한 상태이다.
  2. 기건상태란 골재 내부에 약간의 수분이 있으나 포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3. 표면건조상태란 골재 내부와 표면의 패인 곳이 물로 채워져 표면에 여분의 물을 갖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말한다.
  4. 습윤상태란 골재의 내부가 포수상태이고 외부는 표면수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이다.
(정답률: 47%)
  • 옳지 않은 설명은 "절대건조상태란 대기 중에서 완전히 건조한 상태이다." 이다. 절대건조상태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이론적인 상태로, 대기 중에서 모든 수분이 제거되어 완전히 건조한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기 중에서 완전히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도율이 우수한 단열성을 갖고 있지만 단열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에 유의해야 한다.
  2. 무기질의 불연성 재료로서 내화구조로 사용할 정도의 내화성을 갖고 있다.
  3. 흡음률 및 차음성이 우수하여 높은 흡음성이 요구되는 곳에 특별한 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
  4. 비중에 비하여 높은 압축강도를 갖고 있지만 구조재로서는 부적합하여 주로 비내력벽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51%)
  • "비중에 비하여 높은 압축강도를 갖고 있지만 구조재로서는 부적합하여 주로 비내력벽으로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ALC는 경량 콘크리트로서, 비교적 가벼운 무게에도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어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LC는 주로 벽체, 바닥, 지붕 등의 구조재로 사용되며, 비내력벽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중에 비하여 높은 압축강도를 갖고 있지만 구조재로서는 부적합하여 주로 비내력벽으로 사용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열재의 선정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작을 것
  2. 투기성이 클 것
  3. 흡수율이 낮을 것
  4. 열전도율이 낮을 것
(정답률: 67%)
  • 투기성이 클수록 단열재의 가격이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워서 선정조건에서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투기성이 크면 가격 변동이 심하고 예측하기 어려워서 투자자들이 많이 참여하게 되는데, 이는 단열재의 실제 가치와는 무관한 요인에 의해 가격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열재의 선정조건에서는 투기성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조용 목재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낙엽송 - 활엽수로서 강도가 크고 곧은 목재를 얻기 쉽다.
  2. 느티나무 - 활엽수로서 강도가 크고 내부식성이 크므로 기둥, 벽판, 계단판 등의 구조체에 국부적으로 쓰인다.
  3. 흑송 - 재질이 무르고 가공이 용이하며 수축이 적어 주택의 내장재로 주로 사용된다.
  4. 떡갈나무 - 곧은 대재(大材)이며, 미려하여 수장겸용구조재로 쓰인다.
(정답률: 60%)
  • 느티나무는 내부식성이 크고 강도가 높아 기둥, 벽판, 계단판 등의 구조체에 국부적으로 쓰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방청도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광명단
  2. 에칭 프라이머
  3. 래커
  4. 크롬산 아연도료
(정답률: 52%)
  • 방청도료는 금속 표면에 도포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래커는 이러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래커는 보편적으로 나무, 플라스틱, 유리 등의 표면에 사용되며,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래커는 방청도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목재의 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 변화에 따른 강도가 일정하나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는 증대한다.
  2. 비중이 증가할수록 외력에 대한 저항이 증가한다.
  3. 목재의 강도나 탄성은 가력방향과 섬유방향과의 관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다.
  4. 압축강도는 옹이가 있으면 감소하나 인장강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70%)
  •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 변화에 따른 강도가 일정하나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는 증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압축강도는 옹이가 있으면 감소하는 이유는, 옹이가 있으면 그 부분에서 목재의 구조가 압축되어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인장강도는 옹이가 없는 부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 변화에 따른 강도가 일정하다는 것은, 일정한 조건에서는 목재의 강도가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섬유의 포화도가 낮아져서 강도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 변화에 따른 강도가 일정하나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는 증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점토제품의 흡수성과 관계된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녹물 오염
  2. 백화(白華)
  3. 균열
  4. 동해(凍害)
(정답률: 68%)
  • 점토제품의 흡수성과 관련된 현상은 백화, 균열, 동해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녹물 오염"은 점토제품과는 관련이 없는 현상입니다. 녹물 오염은 물이나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 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이 녹여서 발생하는 오염 현상으로, 환경 오염 문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녹물 오염"은 점토제품의 흡수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개구부재료에 요구되는 성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밀성
  2. 내풍압성
  3. 개폐성
  4. 내동결융해성
(정답률: 61%)
  • 개구부재료는 주로 실외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동결융해성이 가장 거리가 먼 성능이다. 내동결융해성은 저온에서 얼어붙은 물이 녹아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팽창과 수축에 대한 내구성을 의미하는데, 이는 실외에서 사용되는 개구부재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각종 석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화강암은 내구성 및 강도는 크지만, 내화성이 약하다.
  2. 대리석은 석회석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내화성이 크고 연질이다.
  3. 석회석은 석질은 치밀하고 강도가 크나 화학적으로 산에 약하다.
  4. 안산암은 강도, 경도, 비중이 크고 내화성도 우수하다.
(정답률: 47%)
  • "화강암은 내구성 및 강도는 크지만, 내화성이 약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화강암은 내화성이 우수하며, 대부분의 산에도 저항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시멘트비가 50%일 때 시멘트 10포를 쓴 콘크리트에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면? (단, 시멘트 1포 중량은 40kg으로 한다.)

  1. 150L
  2. 200L
  3. 250L
  4. 300L
(정답률: 76%)
  • 시멘트 10포의 총 중량은 10 x 40kg = 400kg이다. 물시멘트비가 50%이므로 시멘트 중량의 50%인 200kg만큼의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00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리섬유로 보강하여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수지는?

  1. 폴리염화비닐수지
  2. 폴리카보네이트
  3. 폴리에틸렌수지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정답률: 62%)
  • 유리섬유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수지가 유리섬유와 잘 결합하고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지 중 하나입니다. 또한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FRP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염화비닐수지
  2. 아크릴수지
  3. 실리콘수지
  4. 폴리에틸렌수지
(정답률: 44%)
  •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수지를 말하는데, 실리콘수지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실리콘수지"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콘크리트의 강도를 결정하는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시멘트비가 일정한 콘크리트에서 공기량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는 감소한다.
  2. 물시멘트비가 일정할 때 빈배합콘크리트가 부배합의 경우보다 높은 강도를 낼 수 있다.
  3. 콘크리트 비빔방법 중 손비빔으로 하는 것 보다 기계비빔으로 하는 것이 강도가 커진다.
  4. 물시멘트비가 일정할 때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커진다.
(정답률: 62%)
  • "물시멘트비가 일정할 때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커진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이유: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어서 콘크리트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강도가 커진다. 또한, 굵은 골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콘크리트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콘크리트의 시공연도 시험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슬럼프시험
  2. 플로우시험
  3. 체가름시험
  4. 리몰딩시험
(정답률: 57%)
  • 콘크리트의 시공연도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반면에 체가름시험은 콘크리트의 성형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가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체가름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와는 거리가 먼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벽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닐벽지 - 플라스틱으로 코팅한 벽지와 순수한 비닐로만 이루어진 벽지로 구분되며 불에 강하지만 오염이 되었을 시 제거가 어렵다.
  2. 종이벽지 -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색상, 무늬 등이 다양하고 질감도 부드럽다.
  3. 직물벽지 - 질감이 부드럽고 자연미가 있어 온화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므로 벽지 중 가장 고급품에 속한다.
  4. 무기질벽지 - 질석벽지, 금속박 벽지 등이 있다.
(정답률: 80%)
  • 비닐벽지는 오염이 되었을 시 제거가 어렵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비닐벽지는 일반적으로 제거가 쉽고 간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에서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은 몇 초 이내 인가?

  1. 5초 이내
  2. 10초 이내
  3. 20초 이내
  4. 30초 이내
(정답률: 56%)
  •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에서는 불꽃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불꽃이 다시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이 시간은 30초 이내로 정해져 있다. 즉,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후 30초 이내에 불꽃이 다시 발생하지 않으면 방염성능기준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축관계법령상 복도의 최소 유효너비 기준이 가장 작은 것은? (단,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

  1. 오피스텔
  2. 초등학교
  3. 유치원
  4. 고등학교
(정답률: 74%)
  • 건축관계법령상 복도의 최소 유효너비 기준이 가장 작은 것은 오피스텔입니다. 이는 오피스텔이 주거용이 아닌 사무실이나 상업공간으로 사용되는 건물이기 때문에, 주거용 건물에 비해 복도의 너비 기준이 더 낮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상하플랜지에 ㄱ형강을 쓰고 웨브재로 대철을 45°, 60° 또는 90°등의 일정한 각도로 접합한 강구조의 조립보는?

  1. 격자보
  2. 래티스보
  3. 형강보
  4. 판보
(정답률: 50%)
  • 래티스보는 상하플랜지에 ㄱ형강을 쓰고 웨브재로 대철을 일정한 각도로 접합한 강구조의 조립보입니다. 격자보와 형강보는 각각 격자 모양과 형강 모양의 강구조를 말하며, 판보는 단순한 판재를 이용한 강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상하플랜지와 웨브재로 이루어진 일정한 각도의 대철 접합 구조를 가진 래티스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골 접합 방법 중 용접 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재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2. 단면처리 및 이음이 쉽다.
  3. 품질검사가 쉽다.
  4. 응력전달이 확실하다.
(정답률: 64%)
  • 용접 접합은 품질검사가 쉽지 않다. 용접 부위의 내부 결함이나 용접 깊이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X선, 자기파, 초음파 등의 비파괴 검사가 필요하며, 이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품질검사가 쉽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옥내소화전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1. 1000m2 이상
  2. 2000m2 이상
  3. 3000m2 이상
  4. 5000m2 이상
(정답률: 31%)
  • 옥내소화전 설비는 대형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에 이용되는 소방시설로, 대형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연면적이 클수록 대형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옥내소화전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3000m2 이상입니다. 이는 대형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연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대형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건축허가 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연면적 400m2 이상인 건축물
  2. 항공기 격납고
  3.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4. 차고 ㆍ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이 150m2인 층이 있는 시설
(정답률: 66%)
  • 차고 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이 150m2인 층이 있는 시설은 대상 건축물이 아닙니다. 이유는 해당 시설은 소방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소방시설설치대장"에 등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이는 건축허가 등을 받을 때 미리 받아야 하는 동의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은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2.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3. 계단실의 바깥쪽과 접하는 창문 등은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 등으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4.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난연재료로 할 것
(정답률: 78%)
  •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난연재료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기준이며, 피난계단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부분은 난연재료로 마감되어야 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인명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본벽돌(190×90×57)을 사용하여 1.5B로 벽을 쌓을 때 벽두께는? (단, 공간쌓기 아님)

  1. 260mm
  2. 290mm
  3. 310mm
  4. 320mm
(정답률: 80%)
  • 기본벽돌의 실제 크기는 200×100×60 이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기는 190×90×57 이다. 따라서 벽을 쌓을 때 벽돌 하나당 실제로 차지하는 공간은 190×90×57 이 된다.

    1.5B는 1500mm 이므로, 벽을 쌓을 때 필요한 벽돌의 수는 1500 ÷ 57 = 26.32... 개가 된다. 하지만 벽돌은 항상 정수 개수로 사용해야 하므로, 27개의 벽돌이 필요하다.

    벽돌 하나당 차지하는 공간이 57mm 이므로, 27개의 벽돌이 차지하는 공간은 27 × 57 = 1539mm 가 된다. 하지만 벽돌을 쌓을 때에는 벽돌 사이에 조금의 간격을 두어야 하므로, 벽돌 27개가 차지하는 공간에 약간의 여유를 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쌓을 때 벽돌 사이에 10mm 정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벽돌 27개가 차지하는 공간에 10mm 정도의 여유를 두면, 벽의 두께는 1539mm + 10mm = 1549mm 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벽의 두께를 mm 단위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cm 단위로 구하는 것이므로, 1549mm 를 10 으로 나누어 주면 154.9cm 가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290m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일체식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목구조
  2. 블록구조
  3. 철골구조
  4. 철근콘크리트구조
(정답률: 74%)
  • 일체식 구조란 건물의 구조체가 하나의 단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하여 하나의 단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체식 구조에 해당한다. 목구조는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체식 구조가 아니며, 블록구조와 철골구조는 각각 벽돌과 철골로 이루어져 있지만, 구조체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식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한국의 전통사찰 본당에서 내부공간 구성의 1차 인지요소로서 공간의 심리적이고 극적인 효과를 유도시키는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마루
  2. 개구부
  3. 공포대
  4. 기단
(정답률: 54%)
  • 공포대는 사찰 내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높은 위치에서 내려다보는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경외심과 숭배심을 유도하며, 또한 높은 위치에서의 공기의 흐름과 함께 자연스러운 환기를 제공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공포대는 사찰 내부에서의 중심축이 되는 역할을 하며, 중앙에 위치한 불상이나 성묘 등의 중요한 물건들을 강조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포대는 전통사찰 본당에서 내부공간 구성의 1차 인지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단독주택에서 거실의 바닥면적이 200m2인 거실에 창문을 설치하여 채광을 하고자 할 때 그 채광 창문의 최소 면적은?

  1. 40m2
  2. 30m2
  3. 20m2
  4. 10m2
(정답률: 76%)
  • 채광 창문의 최소 면적은 거실 면적의 10%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200m2의 10%는 20m2이므로 정답은 "2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목재 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의 뒤틀림은 목재의 형태는 변형될지라도 강도는 바뀌지 않는다.
  2. 섬유에 평행한 방향측에서 일반적으로 강도는 인장>압축>전단 순이다.
  3. 섬유포화점의 함수율은 30% 정도이며, 이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저하됨에 따라 강도는 커진다.
  4. 심재는 변재보다 단단하여 강도가 크고 신축 등의 변형이 적다.
(정답률: 68%)
  • "목재의 뒤틀림은 목재의 형태는 변형될지라도 강도는 바뀌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목재의 뒤틀림은 목재 내부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목재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목재의 뒤틀림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경보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자동화재속보설비
  2. 비상조명등
  3. 비상방송설비
  4. 누전경보기
(정답률: 69%)
  • 비상조명등은 경보설비가 아닌 비상시 대피를 위한 조명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모두 화재 발생 시 경보 및 대피를 위한 설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소방시설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소화설비
  2. 급수설비
  3. 소화활동설비
  4. 소화용수설비
(정답률: 73%)
  • 소방시설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로, 소화설비, 소화활동설비, 소화용수설비 등이 속합니다. 하지만 급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직접적인 소방활동에는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소방시설의 구분에 속하지 않습니다. 급수설비는 주로 물 공급을 위한 시설로, 화재 발생 시 소방차량이나 소방선 등에서 물을 공급받아 소화설비나 소화활동설비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한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5cm인 것
  2.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3cm인 것
  3.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
  4.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정답률: 60%)
  •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은 방화구조에 필요한 두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방화벽은 일정한 두께와 내열성을 갖추어 화재로부터 건물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은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한국의 목조건축 입면에서 벽면구성을 위한 의장의 성격을 결정지어 주는 기본적인 요소는?

  1. 기둥-주두-창방
  2. 기둥-창방-평방
  3. 기단-기둥-주두
  4. 기단-기둥-창방
(정답률: 62%)
  • 한국의 목조건축에서 벽면은 기둥, 창방, 평방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기둥은 건축물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주축을 이루며, 창방은 창문을 뜻하며, 평방은 벽체를 뜻한다. 따라서 벽면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기둥, 창방, 평방이며, 이 중에서 기둥-창방-평방이 벽면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예술 및 수공예운동(Arts & Crafts Movement)의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은?

  1. 에밀 자크 룰만(Emile Jacques Ruhlmann)
  2. 어니스트 김슨(Ernest Gimson)
  3. 필립 웨브(Philip Webb)
  4. 찰스 로버트 애쉬비(Charles Robert Ashbee)
(정답률: 50%)
  • 에밀 자크 룰만은 예술 및 수공예운동(Arts & Crafts Movement)의 디자이너가 아니라, 20세기 초 프랑스의 아르 데코(Art Deco) 운동에서 활동한 가구 디자이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조적조에서 내력벽을 막힌줄눈으로 하는 주된 이유는?

  1. 상부하중을 벽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
  2.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3. 인장력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4. 벽돌 벽면의 의장 효과를 내기 위해서
(정답률: 68%)
  • 조적조에서 내력벽을 막힌줄눈으로 하는 주된 이유는 "상부하중을 벽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벽돌 벽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부착강도를 높이거나 인장력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또한, 벽돌 벽면의 의장 효과를 내기 위한 것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연면적 1,000m2 이상인 목조 건축물에서 외벽의 구조 및 지붕의 재료로 옳은 것은?

  1. 방화구조의 외벽, 불연재료의 지붕
  2. 내화구조의 외벽, 불연재료의 지붕
  3. 방화구조의 외벽, 난연재료의 지붕
  4. 내화구조의 외벽, 난연재료의 지붕
(정답률: 51%)
  • 연면적 1,000m2 이상인 목조 건축물은 대부분 대규모 건축물이며,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크기 때문에 방화구조의 외벽과 불연재료의 지붕이 적합합니다. 방화구조의 외벽은 화재가 발생해도 건물의 구조를 유지하며, 불연재료의 지붕은 화재가 발생해도 불이 번지지 않아 화재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화구조의 외벽, 불연재료의 지붕"이 옳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벽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화구조로써 홀로 설 수 있는 구조라야 한다.
  2.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로 한다.
  3.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튀어 나오게 한다.
  4.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출입문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 불도저문, 슬라이딩도어 등이 사용된다. 을종방화문은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닫히는 문으로, 출입문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