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1.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 공기 중 건조상태의 수분을 뺀 물의 양은?
2. 다음 중 경량 골재에 속하는 것은?
3. 프리팩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진골재의 조립율은 어느 범위가 적당한가?
4. 굵은 골재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시료를 정해진 과정에 다라 측정한 결과 공기 중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질량은 450g, 물속에서의 질량은 280g, 절대건조상태의 질량은 390g이었다. 이 골재의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밀도는? (단,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는 1g/cm3이다.)
5.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 중 점토덩어리는 질량 백분율로 얼마 이하인가?
6. 다음 중 시멘트의 조기 강도가 큰 순서로 되어 있는 것은?
7. 1g의 시멘트가 가지고 있는 전체 입자의 표면적의 합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8. 시멘트의 응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 댐과 같은 콘크리트 단면이 큰 공사에 가장 적합한 시멘트는?
10. 다음 시멘트 중 바닷물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큰 것은?
11. 입자가 둥글고 표면이 매끄러워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증대시키며, 가루석탄을 연소시킬 때 굴뚝에서 전기 집진기로 채취하는 실리카질의 혼화재는?
12. 서중 콘크리트의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거리가 먼 경우, 또는 연속 콘크리트를 칠 때 작업 이음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는 혼화제는 어느 것인가?
13. 철근 콘크리트에서 철근이 녹슬지 않도록 사용하는 혼화제는?
14. 뿜어불이기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 부순 골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6. 빈틈률이 작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7. 다음 중 혼합 시멘트가 아닌 것은?
18. 시멘트 64g, 처음 광유의 눈금의 읽기 0.5mL, 사료와 광유의 눈금 읽기가 20.5mL 일 때 시멘트의 비중은 얼마인가?
19. 일반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시험에 널리 사용되는 시험법은?
20. 다음의 혼화재료 중에서 사용량이 소량으로서 배합계산에서 그 양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은?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가 된 반죽이면 진동기를 써서 다져야 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동기는?
22. 콘크리트를 비비는 시간은 시험에 의해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가경식 믹서에서 비비기 시간은 최소 얼마 이상을 표준으로 하는가?
23. 높은 곳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부리는 경우 가장 적당한 운반기구는?
24.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AE 공기량이 어느 정도일 때 워커빌리티(workability)와 내구성이 가장 좋은 콘크리트가 되는가?
25.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W/C)를 정하는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26.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재료 계량의 허용 오차가 맞는 것은?
27. 수밀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얼마 이하를 표준으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8. 콘크리트 운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29.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치 않은 것은?
30.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물-시멘트비가 48%, 절대잔골재율이 35%, 단위수량이 170kg/m3을 얻었다면 단위시멘트량은 얼마인가?
31. 일반수중 콘크리트의 시공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2. 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3. 콘크리트의 운반에 있어 보통 콘크리트를 펌프로 압송할 경우 굵은 골재 최대 치수의 표준은 얼마인가?
34. 콘크리트의 표면에 아스팔트유제나 비닐유제 등으로 불투수층을 만들어 수분의 증발을 막는 양생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35. 콘크리트 치기의 진동 다지기에 있어서 내부 진동기로 똑바로 찔러 넣어 진동기의 끝이 아래층 콘크리트 속으로 어느 정도 들어가야 하는가?
36.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37. 단위 잔골재량의 절대 부피가 0.253m3이고, 잔골재의 비중이 2.60일 때 단위 잔골재량은 몇 kg/m3인가?
38.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직사 광선이나 바람에 의해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습윤 상태로 보호해야 한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 습윤 양생기간의 표준은? (단, 일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39.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확대기초, 기둥, 벽 등의 측벽 거푸집을 떼어 내어도 좋은 시기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얼마인가?
40. 싣기 용량(W) 7m3, 사이클 시간(Cm) 1시간 20분, 작업효율(E) 0.9인 트럭믹서의 1시간당 운반량은 몇 m3인가?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사용하는 콘의 밑면 안지름은?
42. 다음 중 레이턴스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43.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표준색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44. 골재의 안정성 시험을 하기 위한 시험용액에 사용되는 시약은 어느 것인가?
45.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표면의 캐핑은 무엇으로 하는가?
4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시 공시체의 함수상태는 어떤 상태로 해야 하는가?
47. 지름 10cm, 높이 20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 파괴시 최대하중이 19100kg 이었다. 이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48. 규격 15cm×15cm×53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지간길이 45cm인 단순보의 3등분 하중장치로 휨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이 3150kg일 때 공시체가 지간의 중앙에서 파괴되었다면 휨강도는?
49.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길이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0. 갇힌 공기랴야 2%, 단위 수량 180kg/m3, 단위 시멘트량 315kg/m3인 콘크리트의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는 얼마인가? (단, 시멘트의 비중은 3.15임)
51. 굵은 골재 10000g을 칭량하여 4개의 체를 개별적으로 통과량을 조사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이 골재의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52. 콘크리트 원주 시험체를 할렬시켜 인장강도를 구하고자 할 때 인장강도(σt)를 구하는 식이 바른 것은? (단, ℓ : 공시체평균 길이, d : 공시체평균 지름, P :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 A : 파괴단면적)
53. 시방배합에서 단위수량 165kg/m3, 잔골재량 620kg/m3, 굵은골재량 1,300kg/m3이다. 현장배합으로 고칠 때 표면수량에 대한 보정을 하여 조정된 수량은 몇 kg/m3인가? (단, 잔골재 표면수량 1%, 굵은골재 표면수량 2%이며, 입도 조정은 무시한다.)
54. 원기둥형 시험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 적당한 표준시험체의 규격은 다음 중 어느것인가?
55.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56. 단위 골재량의 절대 부피가 0.69m3이고, 잔골재율이 40%인 경우 단위 굵은골재량의 절대 부피는 얼마인가?
5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블리딩(bleeding) 시험을 할 때의 시험중 온도는 어느 정도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58.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이 7%이고 골재의 수정계수가 1.2%일 때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얼마인가?
59.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에서 공시체 한변의 길이는 골재의 최대치수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60.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질 중 거푸집에 쉽게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을 떼어내면 천천히 모양이 변하기는 하지만 허물어지거나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는 일이 없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