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16)

콘크리트기능사
(2007-09-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1. 아래 표의 ( )안에 알맞은 값은?

  1. 1
  2. 3
  3. 5
  4. 8
(정답률: 59%)
  • 주어진 표에서 각 행의 숫자들을 모두 더하면 15가 나옵니다. 따라서 빈 칸에 들어갈 숫자는 15에서 이미 채워진 두 숫자의 합을 뺀 값이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에서 빈 칸에 들어갈 숫자는 15 - 4 - 6 = 5가 됩니다. 이와 같이 모든 행에 대해 계산하면, 빈 칸에 들어갈 숫자는 각각 5, 2, 7,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다.
  2. 시멘트 입자가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한다.
  3.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조기강도가 커진다.
  4.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이 없고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79%)
  •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이 없고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물과 잘 혼합되어 강도가 높아지는 특성이 있지만, 과도한 분말도는 오히려 수분 흡수율이 높아져 균열과 풍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분말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멘트의 종류 중 혼합 시멘트가 아닌 것은?

  1. 고로슬래그 시멘트
  2. 메이슨리 시멘트
  3. 플라이애시 시멘트
  4.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정답률: 67%)
  • 혼합 시멘트는 여러 종류의 시멘트와 미립자료를 혼합하여 만든 시멘트로, 보다 튼튼하고 내구성이 높은 건축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메이슨리 시멘트는 벽돌, 돌 등을 접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시멘트로, 혼합 시멘트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이슨리 시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통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골재가 전체 부피의 약 몇 % 정도를 차지 하는가?

  1. 15%
  2. 30%
  3. 40%
  4. 70%
(정답률: 56%)
  •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골재,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입니다. 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내부에서 골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70%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루 석탄을 연소 시킬 때 굴뚝에서 집진기로 모은 아주 작은 입자의 재이며 실리카질 혼화재로 입자가 둥글고 매끄럽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고 수화열이 적으며, 장기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은?

  1. 포촐라나(pozzolana)
  2. 플라이 애쉬(fly ash)
  3. 고로 슬래그 미분말
  4. AE제
(정답률: 81%)
  • 가루 석탄 연소 시 굴뚝에서 모은 입자는 플라이 애쉬입니다. 플라이 애쉬는 실리카질 혼화재로 이루어져 있어 입자가 둥글고 매끄럽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고 수화열이 적으며, 장기 강도를 크게 합니다. 또한 포촐라나와 마찬가지로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수화 반응을 일으켜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이 애쉬는 콘크리트 제조에 매우 유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서중콘크리트의 시공시 워커빌리티의 저하 및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거리가 멀어져 운반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경우에 유효한 혼화제는?

  1. 감수제
  2. 지연제
  3. 방수제
  4. 경화촉진제
(정답률: 91%)
  • 서중콘크리트의 시공시 워커빌리티의 저하 및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거리가 멀어져 운반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경우에는 지연제가 유효합니다. 이는 지연제가 콘크리트의 초기응력을 낮추어 시공 중 워커빌리티를 유지시켜주고,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경우 운반시간이 길어져서 초기응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연제는 콘크리트의 시공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혼화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면적이 25cm2인 모르타르 시험체의 최대 파괴하중이 4500kg일 때 압축강도는?

  1. 160kg/cm2
  2. 170kg/cm2
  3. 180kg/cm2
  4. 182.5kg/cm2
(정답률: 64%)
  • 압축강도는 최대 파괴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 = 최대 파괴하중 / 단면적 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최대 파괴하중은 4500kg, 단면적은 25cm2이므로,

    압축강도 = 4500kg / 25cm2 = 180kg/cm2

    따라서 정답은 "180kg/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감수제의 사용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워커빌리티를 좋게 할 수 있다.
  3. 단위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압축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42%)
  • 시멘트 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감수제는 시멘트의 물 요구량을 감소시켜 워커빌리티를 좋게하고,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며, 압축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시멘트 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오히려 감수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시멘트 풀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혼합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품질이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잔골재 조립률의 범위로 옳은 것은?

  1. 2.3~3.1
  2. 3.2~4.7
  3. 6~8
  4. 8~10
(정답률: 64%)
  • 정답은 "2.3~3.1"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잔골재 조립률 범위입니다. 잔골재의 조립률이 너무 낮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지고, 너무 높으면 콘크리트의 밀도가 낮아져 내구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2.3~3.1의 범위에서 적절한 잔골재 조립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댐, 하천, 항만 등의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멘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2. 알루미나 시멘트
  3. 초속경 시멘트
  4. 고로슬래그 시멘트
(정답률: 38%)
  •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댐, 하천, 항만 등의 구조물에 적합합니다. 이는 고로슬래그 시멘트가 고로슬래그를 주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고로슬래그는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고온에서 녹아내리면서 생기는 슬래그를 냉각하여 얻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고온의 열에 의해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반죽질기의 정도에 따르는 작업이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반죽질기
  2. 워커빌리티
  3. 성형성
  4. 피니셔빌리티
(정답률: 69%)
  • 정답: 워커빌리티

    설명: 워커빌리티는 반죽질기의 정도에 따라서 작업이 어렵거나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또한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도 나타내는데, 이는 성형성과 피니셔빌리티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워커빌리티는 반죽의 유동성과 가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시멘트 저장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지상에서 30cm 이상 높은 마루에 저장한다.
  2. 습기가 차단되도록 방습이 되는 창고에 저장한다.
  3. 시멘트는 13포 이상 쌓아야 한다.
  4. 시멘트는 입하순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82%)
  • 시멘트는 13포 이상 쌓아야 한다. 이유는 시멘트는 높이가 낮을수록 습기를 빨아들이기 쉽기 때문에 적어도 13포 이상 쌓아야 습기가 적게 흡수되어 품질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립률이 3.0인 잔골재 0.2m3와 조립률이 7.0인 0.3m3의 굵은 골재를 혼합한 경우의 조립률은 얼마인가?

  1. 4.2
  2. 4.6
  3. 5.0
  4. 5.4
(정답률: 31%)
  • 조립률이 3.0인 잔골재 0.2m3의 경우, 실제 체적은 0.2 x 3.0 = 0.6m3이다.

    조립률이 7.0인 굵은 골재 0.3m3의 경우, 실제 체적은 0.3 x 7.0 = 2.1m3이다.

    따라서, 두 재료를 혼합한 경우의 총 체적은 0.2 + 0.3 = 0.5m3이다.

    총 체적에 대한 실제 체적은 0.6 + 2.1 = 2.7m3이다.

    따라서, 혼합한 경우의 조립률은 2.7 / 0.5 = 5.4이다.

    즉,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혼합한 경우의 조립률은 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골재의 입자가 표면 건조 포화상태로 되기까지 흡수된 물의 양을 말하는 것은?

  1. 유효흡수량
  2. 흡수량
  3. 표면수량
  4. 함수량
(정답률: 57%)
  • 유효흡수량은 골재 입자가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흡수할 수 있는 물의 양 중에서 실제로 입자가 흡수한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효"라는 단어는 입자가 흡수할 수 있는 물의 양과 실제로 흡수한 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표면적이나 함수와 관련된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골재의 함수상태 네 가지 중 습기가 없는 실내에서 자연 건조시킨 것으로서 골재알 속의 빈틈 일부가 물로 차있는 상태는?

  1. 습윤상태
  2. 절대건조상태
  3. 표면건조 포화상태
  4. 공기중 건조상태
(정답률: 62%)
  • 골재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는 상태는 "습윤상태"입니다. 따라서, 습기가 없는 실내에서 자연 건조시킨 골재는 습기가 없으므로 "공기중 건조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혼화재료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혼화제는 먼지나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고 변질되지 않도록 저장한다.
  2. 저장이 오래 된 것은 시험후 사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3. 혼화재는 날리지 않도록 그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4. 혼화재는 습기가 약간 있는 창고내에 저장한다.
(정답률: 89%)
  • 혼화재는 습기가 약간 있는 창고내에 저장한다는 설명이 부적당하다. 혼화재는 습기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되거나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극률 25%인 골재의 실적율은?

  1. 12.5%
  2. 25%
  3. 50%
  4. 75%
(정답률: 83%)
  • 공극률이 25%인 골재는 공기가 25% 정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부분은 75%이다. 따라서 실적율은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 중 콘크리트 속에 있는 공기를 물로 치환하여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1. 무게법
  2. 공기실 압력법
  3. 블리딩 시험법
  4. 부피법
(정답률: 28%)
  • 부피법은 콘크리트 속에 있는 공기를 물로 치환하여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물로 치환하여 부피를 측정하면,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피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멘트의 성분 중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은?

  1. 석고
  2. 석회석
  3. 점토
  4. 플라이애쉬
(정답률: 75%)
  • 석고는 응결시간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물에 녹여 사용하면 빠르게 응결되어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빠른 시간 내에 고정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용 골재에서 굵은골재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10mm체를 전부 통과하고 5mm체에 거의 통과하며 0.15mm체에 거의 남는 골재
  2. 10mm체를 전부 통과하고 5mm체에 거의 통과하며 0.07mm체에 거의 남는 골재
  3. 2.5mm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2.5mm체에 다 남는 골재
  4. 5mm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5mm체에 다 남는 골재
(정답률: 84%)
  •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와 미세한 모래,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데,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적절한 굵기의 골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기 중에서 "5mm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5mm체에 다 남는 골재"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5mm 이하의 입자는 거의 남지 않고, 5mm 이상의 입자는 대부분 남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적절한 크기의 굵은 골재로서 콘크리트 제작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에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콘크리트 진동
  2. 콘크리트 다짐
  3. 콘크리트 양생
  4. 콘크리트 시공
(정답률: 90%)
  • 콘크리트 양생은 콘크리트를 형성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고 강도가 증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양생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며, 콘크리트 시공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압력으로 보내는 것으로 주로 터널의 둘레 치기에 사용되는 것은?

  1. 버킷(bucket)
  2. 벨트컨베이어
  3. 슈트
  4. 콘크리트 플레이서
(정답률: 55%)
  • 콘크리트 플레이서는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콘크리트를 깔아주는 기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터널의 둘레 치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적당한 장비는?

  1. 로울러
  2. 트럭(truck)
  3. 슈트(chute)
  4. 손수레
(정답률: 80%)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적당한 장비는 슈트(chute)입니다. 슈트는 콘크리트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보내는데 사용되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된 구조물입니다. 콘크리트를 슈트를 통해 내려보내면 빠르고 안전하게 타설할 수 있습니다. 로울러나 트럭, 손수레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지만,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를 한 차례 다지기를 한 뒤에 알맞는 시기에 다시 진동을 주는 것을 재진동이라 한다. 재진동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콘크리트 속의 빈틈이 증가한다.
  2.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한다.
  3. 철근과의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4. 재료의 침하에 의한 균열을 막을 수 있다.
(정답률: 83%)
  • 정답: 콘크리트 속의 빈틈이 증가한다.

    설명: 재진동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물을 제거하여 밀도를 높이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진동을 가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물과 공기가 더 많이 이동하여 빈틈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오히려 강도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진동 횟수와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배합설계에서 단위 골재량의 절대 부피가 0.665m3, 잔골재율이 40% 일때 단위 굵은 골재의 절대 부피는 얼마인가? (단, 굵은 골재의 비중은 2.63임)

  1. 0.399m3
  2. 0.566m3
  3. 0.266m3
  4. 0.499m3
(정답률: 37%)
  • 잔골재율이 40%이므로, 단위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의 절대 부피는 0.665m3입니다. 따라서, 전체 배합설계의 절대 부피는 1.6625m3입니다.

    굵은 골재의 비중이 2.63이므로, 굵은 골재의 부피는 전체 배합설계의 부피에서 잔골재의 부피를 뺀 값의 1/2.63입니다.

    즉, 굵은 골재의 절대 부피는 (1.6625 - 0.665) / 2.63 = 0.399m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399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콘크리트 운반기계중에서 운반거리가 먼 경우 가장 적합한 기계는?

  1.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
  2. 버킷(Bucket)
  3. 트럭 애지테이커(truck agitator)
  4. 콘크리트 펌프(concrete pump)
(정답률: 57%)
  • 운반거리가 먼 경우에는 콘크리트 펌프보다는 트럭 애지테이커가 더 적합합니다. 이는 트럭 애지테이커가 콘크리트를 혼합하면서 운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럭 애지테이커는 콘크리트를 직접 운반하기 때문에 운반거리가 먼 경우에도 빠르고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일반 수중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물-시멘트비(W/C)와 단위 시멘트량은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물-시멘트비 50%이하, 단위 시멘트량 300kg/m3이상
  2. 물-시멘트비 65%이하, 단위 시멘트량 370kg/m3이상
  3. 물-시멘트비 50%이하, 단위 시멘트량 370kg/m3이상
  4. 물-시멘트비 65%이하, 단위 시멘트량 300kg/m3이상
(정답률: 63%)
  • 물-시멘트비(W/C)가 낮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50% 이하로 설정한다. 또한, 단위 시멘트량이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370kg/m3 이상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물-시멘트비 50%이하, 단위 시멘트량 370kg/m3이상"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부피의 몇 %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1. 1~3%
  2. 4~7%
  3. 8~10%
  4. 11~14%
(정답률: 63%)
  • AE제는 공기를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형성시키는 첨가제입니다. 이 공기는 콘크리트의 밀도를 낮추고, 내구성과 내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4~7% 정도가 표준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기량이 너무 많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고, 너무 적으면 내화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7%가 적절한 공기량 범위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콘크리트 다짐기계 중 비교적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도로 포장 등의 다지기에 사용되는 것은?

  1. 래머(rammer)
  2. 내부진동기
  3. 표면진동기
  4. 거푸집진동기
(정답률: 79%)
  • 표면진동기는 비교적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도로 포장 등의 다짐에 적합합니다. 이는 표면진동기가 진동판이 직접 바닥과 접촉하여 진동을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넓은 면적을 다짐할 때 효과적이며, 두께가 얇은 포장재를 다짐할 때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부재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시공해야 하는 콘크리트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매스 콘크리트
  2. 프리팩트 콘크리트
  3. 강섬유 콘크리트
  4. 레진 콘크리트
(정답률: 52%)
  • 매스 콘크리트는 부재의 치수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시공해야 합니다. 이는 매스 콘크리트가 대용량 구조물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스 콘크리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밀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얼마 이하를 표준으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0%
  2. 55%
  3. 60%
  4. 65%
(정답률: 30%)
  • 수밀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보통 0.5~0.6 사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방배합에서 사용하는 골재는 공기중 건조 상태의 것으로 한다.
  2. 단위수량은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시험을 통해 정한다.
  3. 설계 및 시공상 허용되는 범위안에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4. 배합은 충분한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58%)
  • "시방배합에서 사용하는 골재는 공기중 건조 상태의 것으로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골재가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면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방배합에서는 건조한 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의 강도를 좌우하는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1. 공기량
  2.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3. 잔골재율
  4. 물-시멘트 비
(정답률: 63%)
  •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멘트와 물이 혼합되어 반응하여 형성되는 시멘트 수화물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물-시멘트 비가 적을수록 시멘트 수화물의 양이 많아지므로 강도가 높아지고, 반대로 물-시멘트 비가 많을수록 시멘트 수화물의 양이 적어져 강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물-시멘트 비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 비빔작업시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는 얼마 이하 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7%)
  • 콘크리트 비빔작업에서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는 작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비빔작업에서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는 1%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위수량이 160kg/m3이고 물-시멘트비가 55%일 때 단위 시멘트량은?

  1. 283kg/m3
  2. 287kg/m3
  3. 291kg/m3
  4. 295kg/m3
(정답률: 51%)
  • 먼저 물-시멘트비가 55%이므로 시멘트의 비율은 45%이다. 따라서 단위 수량에 대한 시멘트의 양은 160kg/m3 × 0.45 = 72kg/m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단위 시멘트량이므로, 이 값을 1로 놓고 다른 재료의 양을 구해야 한다.

    먼저 시멘트의 단위량을 구하기 위해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이용한다. 물-시멘트비가 55%이므로 물의 비율은 100% - 55% = 45%이다. 따라서 물의 양은 160kg/m3 × 0.45 = 72kg/m3이다.

    그리고 모든 재료의 양을 합하면 단위 수량이 된다. 따라서 단위 시멘트량은 72kg/m3 + 144kg/m3 + 15kg/m3 = 231kg/m3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291kg/m3이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 수량이 160kg/m3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위에서 구한 231kg/m3을 160kg/m3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231kg/m3 ÷ 160kg/m3 ≈ 1.44

    즉, 1m3의 재료량을 160kg으로 고정시켰을 때, 위에서 구한 231kg/m3은 실제로는 160kg/m3에 대해 1.44배 더 많은 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72kg/m3 × 1.44 ≈ 104kg/m3을 추가로 시멘트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단위 시멘트량은 72kg/m3 + 104kg/m3 = 176kg/m3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291kg/m3이다. 이는 위에서 구한 값에 160kg/m3을 곱한 것이다.

    176kg/m3 × 160kg/m3 = 28160kg/m6 ≈ 291kg/m3

    따라서 정답은 291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관한 다음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워커빌리티를 단시간에 조절할 수 있다.
  2. 단기간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반죽을 위한 현장설비가 필요없다.
  4. 공사비용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워커빌리티를 단시간에 조절할 수 있다."가 잘못된 내용입니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미리 혼합된 콘크리트로, 워커빌리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물을 추가하거나 혼합비율을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워커빌리티를 단시간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때까지의 시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외기온도가 25℃미만의 경우)

  1. 1시간 이내
  2. 1시간 30분 이내
  3. 2시간 이내
  4. 2시간 30분 이내
(정답률: 51%)
  •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외기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30분 정도 소요됩니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는 비비기가 완전히 마르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따라서 외기온도가 25℃ 미만인 경우, 비비기가 완전히 마르는 데에는 보통 1시간 이내가 소요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비비기 마르는 시간인 1시간 이내에 타설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우이며,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2시간 이내"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비비면서 주행하는 레디믹스트콘크리트 운반용 트럭은?

  1. 슈트
  2. 트럭 믹서
  3. 콘크리트 펌프
  4. 콘크리트 플레이서
(정답률: 75%)
  • 레디믹스트콘크리트 운반용 트럭은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비비면서 주행하는데, 이때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 트럭 믹서이기 때문에 정답은 "트럭 믹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거푸집과 동바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연직부재의 거푸집은 수평부재의 거푸집보다 빨리 떼어낸다.
  2. 보에서는 밑면 거푸집을 양측면의 거푸집보다 먼저 떼어낸다.
  3. 거푸집을 시공할 때 거푸집 판의 안쪽에 박리제를 발라서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4. 거푸집 및 동바리는 콘크리트가 자중 및 시공중에 가해지는 하중에 충분히 견딜만한 강도를 가질 때까지 해체 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68%)
  • "보에서는 밑면 거푸집을 양측면의 거푸집보다 먼저 떼어낸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거푸집 시공 순서는 건축물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양측면의 거푸집을 먼저 떼어내고, 그 다음에 밑면 거푸집을 떼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반드시 해야 할 사항에 가장 적합치 않은 것은?

  1. 물-시멘트비(W/C)를 결정한다.
  2. 잔골재의 최소치수를 결정한다.
  3. 슬럼프 값을 선정한다.
  4. 공기량을 결정한다.
(정답률: 63%)
  • 잔골재의 최소치수를 결정하는 것은 일반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가장 적합한 사항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잔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강도를 유지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적절한 양의 잔골재가 사용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잔골재의 최소치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중 가장 마지막에 하는 작업은?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결정
  2. 물-시멘트비 결정
  3. 골재량 산정
  4.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
(정답률: 76%)
  • 시방배합은 실험실에서 시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이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에 따라 수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마지막에 하는 작업은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배합을 구성하여 안정적이고 품질 좋은 콘크리트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건조로에서 105±5℃의 온도로 골재를 일정한 무게가 되도록 건조시킨 골재의 상태는?

  1. 절대건조상태
  2. 공기중 건조상태
  3. 표면건조 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률: 45%)
  • 105±5℃의 온도로 건조된 골재는 모든 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인 절대건조상태입니다. 이는 골재 내부의 물분자까지 모두 제거되어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절대건조상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의 부피 290ℓ, 굵은 골재의 부피 510ℓ를 얻었다면 잔골재율은 얼마인가?

  1. 29%
  2. 36%
  3. 57%
  4. 64%
(정답률: 50%)
  • 잔골재의 부피는 290ℓ이고, 굵은 골재의 부피는 510ℓ이므로, 전체 콘크리트의 부피는 800ℓ이다.

    잔골재율은 잔골재의 부피가 전체 콘크리트의 부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잔골재율은 (잔골재의 부피 ÷ 전체 콘크리트의 부피)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290 ÷ 800) × 100 = 36.25 이므로, 잔골재율은 약 36%이다.

    따라서, 정답은 "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에서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하고자 할 때 잔골재를 넣을때마다 다짐대로 다지는데 몇 회씩 다지는가? (단, 공기실 압력법)

  1. 10회
  2. 15회
  3. 20회
  4. 25회
(정답률: 10%)
  •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에서는 공기실 압력법을 사용하여 공기량을 측정합니다. 이때,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하려면 잔골재를 넣을 때마다 다짐대로 다지는데, 이는 골재 입자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함입니다.

    다짐 작업을 많이 할수록 골재 입자 사이의 공기가 더 잘 제거되므로, 수정계수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짐 작업을 너무 많이 하면 골재 입자가 너무 작아져서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짐 작업을 10회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골재 입자 사이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수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된 반죽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공시체 제작을 할 때 시멘트풀로 캐핑을 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하는 시멘트풀의 물-시멘트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3~26%
  2. 27~30%
  3. 31~33%
  4. 34~37%
(정답률: 72%)
  • 시멘트풀의 물-시멘트비는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공시체의 강도가 낮아지거나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강도 시험 공시체 제작 시 사용하는 시멘트풀의 물-시멘트비는 27~30%가 가장 적합하다. 이유는 이 비율이 공시체의 강도와 균일성을 보장하는 최적의 비율이기 때문이다. 더 많은 물을 사용하면 공시체가 더 쉽게 깨어질 수 있고, 더 적은 물을 사용하면 공시체가 더 단단해져서 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27~30%가 가장 적절한 물-시멘트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황산나트륨에 의한 잔골재의 안정성 시험을 할 경우, 조작을 5번 반복했을 때의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얼마인가?

  1. 5%
  2. 7%
  3. 10%
  4. 12%
(정답률: 35%)
  • 황산나트륨에 의한 잔골재의 안정성 시험에서는 조작을 5번 반복하여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을 측정합니다. 이때, 잔골재의 안정성이 높을수록 손실질량이 적어지므로, 안정성이 높은 잔골재일수록 손실질량 백분율의 한도가 낮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잔골재의 경우, 손실질량 백분율의 한도는 10% 이하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측정기구는?

  1. 보일형 공기량 측정기
  2. 워싱턴형 공기량 측정기
  3. 관입침
  4. 슈미트 해머
(정답률: 55%)
  •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측정기구는 워싱턴형 공기량 측정기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한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일형 공기량 측정기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관입침과 슈미트 해머는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므로, 공기량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40mm이하인 경우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크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ø15×40cm
  2. ø10×30cm
  3. ø15×30cm
  4. ø15×15cm
(정답률: 57%)
  •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40mm이하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입자 크기가 작아서 공시체의 크기도 작아도 충분하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공시체 크기는 ø15×30cm이다. 이는 직경이 15cm이고 높이가 30cm인 원통형 공시체로, 적절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방배합에 해당하는 설명은 어느 것인가?

  1. 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가 지시한 배합을 말한다.
  2. 시방서 또는 현장에서 직접 배합한 것을 말한다.
  3. 시방서와 상관없이 현장에서 배합한 것을 말한다.
  4. 현장에서 사용하는 골재의 함수상태를 고려하여 배합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84%)
  • 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가 지시한 배합은 시공 과정에서 정확한 재료의 비율과 혼합 방법을 지시하는 문서인 시방서에 따라 혼합된 것을 말합니다. 이는 시공 과정에서 안전하고 정확한 공사를 위해 필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물-시멘트비를 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축강도
  2. 크리프
  3. 내구성
  4. 수밀성
(정답률: 61%)
  •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크리프는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수축률이 크면 크리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크리프가 높은 콘크리트는 수축이 많이 일어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고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물-시멘트비를 정하는 기준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1/30정도이다.
  2. 인장강도는 보통 쪼갬인장강도시험 방법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3. 인장강도는 콘크리트 포장에서 중요하다.
  4. 인장강도는 물탱크 같은 구조물에서 중요하다.
(정답률: 57%)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1/30정도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는 비교할 수 없는 물리적인 성질이기 때문입니다. 인장강도는 콘크리트가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반면, 압축강도는 콘크리트가 압축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 강도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성질을 가지므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된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시약이 아닌 것은?

  1. 탄닌산
  2. 알콜
  3. 황산마그네슘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36%)
  •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된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시약은 탄닌산, 알콜, 수산화나트륨이지만, 황산마그네슘은 이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시약입니다. 이유는 황산마그네슘은 유기물이 아닌 무기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워커빌리티(Workability) 판정기준이 되는 반죽질기 측정 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1. 켈리블 관입 시험
  2. 슬럼프 시험
  3. 리몰딩 시험
  4. 슈미트 해머 시험
(정답률: 65%)
  • 슈미트 해머 시험은 워커빌리티 판정기준과는 관련이 없는 시험으로, 콘크리트나 암석 등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워커빌리티 판정기준과는 무관한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슬럼프 시험에서 매 층당 다지는 횟수는?

  1. 10회로 한다.
  2. 15회로 한다.
  3. 20회로 한다.
  4. 25회로 한다.
(정답률: 82%)
  • 슬럼프 시험에서 매 층마다 다지는 횟수는 5회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1층에서는 5회, 2층에서는 10회, 3층에서는 15회, 4층에서는 20회, 5층에서는 25회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회로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름이 10cm, 길이가 20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쪼갬인장 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 파괴시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이 7230kg 이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1. 21kg/cm2
  2. 23kg/cm2
  3. 25kg/cm2
  4. 27kg/cm2
(정답률: 56%)
  • 공시체의 단면적을 구해야 합니다. 콘크리트 공시체의 단면적은 원뿔의 단면적과 같습니다. 따라서, 단면적은 (πr²)/2 입니다. 여기서 r은 지름의 절반인 5cm 입니다. 따라서, 단면적은 (πx5²)/2 = 39.27cm² 입니다.

    인장강도는 최대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7230kg / 39.27cm² = 183.8kg/cm² 입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84kg/cm² 이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3kg/cm² 입니다. 이유는 단위를 바꾸어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1kg/cm² = 0.098MPa 이므로, 183.8kg/cm² = 18.0MPa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3kg/cm²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몰드(mold) 제작에 있어서 공시체의 양생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3~17℃
  2. 18~22℃
  3. 23~27℃
  4. 28~32℃
(정답률: 68%)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때, 시험용 몰드 제작에 사용되는 공시체의 양생온도는 시험 환경과 유사한 온도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적정한 시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몰드 제작에는 18~22℃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을 통하여 판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재료분리의 경향
  2. 응결, 경화의 시간
  3. 워커빌리티의 상태
  4. 시멘트의 비중
(정답률: 48%)
  •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시멘트와 물의 비율, 총계수, 워크빌리티 등을 판정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재료분리의 경향"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시멘트와 물, 골재 등이 분리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 재료분리의 경향을 확인하여 적절한 대책을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5×15×53(cm) 크기의 콘크리트 휨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만들 경우 매층별 다짐횟수는?

  1. 25회
  2. 50회
  3. 윗면적 7cm2당 1회
  4. 윗면적 10cm2당 1회
(정답률: 40%)
  • 콘크리트 휨 강도 시험용 공시체는 일정한 압력을 가해가며 파괴되는 시험을 진행합니다. 이때, 공시체의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시체 내부의 구조가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시체를 만들 때 매층별로 다짐을 해주는 것입니다.

    다짐은 공시체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콘크리트를 밀착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남아있으면 공시체 내부의 구조가 불균일해지고 강도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매층별로 다짐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윗면적이 큰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밀착시키는 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윗면적이 작은 경우보다 다짐 횟수가 적어집니다. 따라서, 윗면적 10cm2당 1회가 가장 적절한 다짐 횟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콘크리트 휨 강도시험에서 공시체가 지간의 3등분 가운데 부분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휨강도를 구하면? (단, 지간길이 : 45cm, 평균폭 : 15cm, 평균두께 : 15cm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 : 3070kg)

  1. 약 38kg/cm2
  2. 약 41kg/cm2
  3. 약 50kg/cm2
  4. 약 56kg/cm2
(정답률: 33%)
  • 공시체가 지간의 3등분 가운데 부분에서 파괴되었으므로, 지간의 1/3 길이인 15cm 지점에서 파괴가 일어났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은 3070kg이므로, 이를 공시체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휨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공시체의 단면적은 평균폭과 평균두께를 곱한 값인 15cm x 15cm = 225cm2 입니다. 따라서, 휨강도는 3070kg / 225cm2 = 13.69kg/cm2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파괴가 일어난 지점에서의 휨강도가 아니라 전체적인 휨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파괴가 일어난 지점에서의 휨강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 값을 보정해주어야 합니다.

    파괴가 일어난 지점에서의 휨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 파괴가 일어난 지점의 길이는 15cm 입니다.
    - 이 지점에서의 하중은 최대하중의 절반인 3070kg / 2 = 1535kg 입니다.
    - 이 하중이 작용하는 팔의 길이는 15cm / 2 = 7.5cm 입니다.
    - 따라서, 이 지점에서의 휨강도는 1535kg x 2 / (225cm2 x 7.5cm) = 40.89kg/c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41kg/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블리딩 시험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시험하는 동안 온도 25±1℃로 유지해야 한다.
  2.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이상인 경우에 적용한다.
  3.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나온 물을 빨아낸다.
  4. 시료는 용기에 5층으로 나누어 넣는다.
(정답률: 56%)
  • 다음 블리딩 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나온 물을 빨아낸다." 이다. 이는 블리딩 시험에서 시료의 표면에 스며나온 물을 빨아내어 시료 내부의 공기 포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이다. 10분마다 물을 빨아내는 이유는 시간에 따른 블리딩 현상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블리딩 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