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1. 아래 표의 ( )안에 알맞은 값은?
2.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 시멘트의 종류 중 혼합 시멘트가 아닌 것은?
4. 보통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골재가 전체 부피의 약 몇 % 정도를 차지 하는가?
5. 가루 석탄을 연소 시킬 때 굴뚝에서 집진기로 모은 아주 작은 입자의 재이며 실리카질 혼화재로 입자가 둥글고 매끄럽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고 수화열이 적으며, 장기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은?
6. 서중콘크리트의 시공시 워커빌리티의 저하 및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거리가 멀어져 운반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경우에 유효한 혼화제는?
7. 단면적이 25cm2인 모르타르 시험체의 최대 파괴하중이 4500kg일 때 압축강도는?
8. 감수제의 사용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9. 품질이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잔골재 조립률의 범위로 옳은 것은?
10. 다음 중 댐, 하천, 항만 등의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멘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1. 반죽질기의 정도에 따르는 작업이 어렵고 쉬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2. 다음 중 시멘트 저장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3. 조립률이 3.0인 잔골재 0.2m3와 조립률이 7.0인 0.3m3의 굵은 골재를 혼합한 경우의 조립률은 얼마인가?
14.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골재의 입자가 표면 건조 포화상태로 되기까지 흡수된 물의 양을 말하는 것은?
15. 골재의 함수상태 네 가지 중 습기가 없는 실내에서 자연 건조시킨 것으로서 골재알 속의 빈틈 일부가 물로 차있는 상태는?
16. 혼화재료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7. 공극률 25%인 골재의 실적율은?
18.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 중 콘크리트 속에 있는 공기를 물로 치환하여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19. 시멘트의 성분 중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은?
20. 콘크리트용 골재에서 굵은골재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에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22.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압력으로 보내는 것으로 주로 터널의 둘레 치기에 사용되는 것은?
23.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적당한 장비는?
24. 콘크리트를 한 차례 다지기를 한 뒤에 알맞는 시기에 다시 진동을 주는 것을 재진동이라 한다. 재진동의 효과가 아닌 것은?
25. 배합설계에서 단위 골재량의 절대 부피가 0.665m3, 잔골재율이 40% 일때 단위 굵은 골재의 절대 부피는 얼마인가? (단, 굵은 골재의 비중은 2.63임)
26. 다음의 콘크리트 운반기계중에서 운반거리가 먼 경우 가장 적합한 기계는?
27. 일반 수중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물-시멘트비(W/C)와 단위 시멘트량은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28.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부피의 몇 %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29. 콘크리트 다짐기계 중 비교적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도로 포장 등의 다지기에 사용되는 것은?
30. 부재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시공해야 하는 콘크리트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31. 수밀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얼마 이하를 표준으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2.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3. 콘크리트의 강도를 좌우하는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34. 콘크리트 비빔작업시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는 얼마 이하 인가?
35. 단위수량이 160kg/m3이고 물-시멘트비가 55%일 때 단위 시멘트량은?
36.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관한 다음 내용 중 잘못된 것은?
37.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때까지의 시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외기온도가 25℃미만의 경우)
38.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비비면서 주행하는 레디믹스트콘크리트 운반용 트럭은?
39. 거푸집과 동바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0. 일반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반드시 해야 할 사항에 가장 적합치 않은 것은?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중 가장 마지막에 하는 작업은?
42. 다음 중 건조로에서 105±5℃의 온도로 골재를 일정한 무게가 되도록 건조시킨 골재의 상태는?
43.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의 부피 290ℓ, 굵은 골재의 부피 510ℓ를 얻었다면 잔골재율은 얼마인가?
44.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에서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하고자 할 때 잔골재를 넣을때마다 다짐대로 다지는데 몇 회씩 다지는가? (단, 공기실 압력법)
45. 된 반죽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공시체 제작을 할 때 시멘트풀로 캐핑을 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하는 시멘트풀의 물-시멘트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46. 황산나트륨에 의한 잔골재의 안정성 시험을 할 경우, 조작을 5번 반복했을 때의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얼마인가?
47.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측정기구는?
48.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40mm이하인 경우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크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49. 시방배합에 해당하는 설명은 어느 것인가?
50.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물-시멘트비를 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2. 다음 중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된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시약이 아닌 것은?
53. 워커빌리티(Workability) 판정기준이 되는 반죽질기 측정 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54. 슬럼프 시험에서 매 층당 다지는 횟수는?
55. 지름이 10cm, 길이가 20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쪼갬인장 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 파괴시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이 7230kg 이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5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몰드(mold) 제작에 있어서 공시체의 양생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57.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을 통하여 판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58. 15×15×53(cm) 크기의 콘크리트 휨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만들 경우 매층별 다짐횟수는?
59. 콘크리트 휨 강도시험에서 공시체가 지간의 3등분 가운데 부분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휨강도를 구하면? (단, 지간길이 : 45cm, 평균폭 : 15cm, 평균두께 : 15cm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 : 3070kg)
60. 다음 블리딩 시험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