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콘크리트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1. 시방배합에서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구별하는 표준체는?

  1. 5mm체
  2. 10mm체
  3. 2.5mm체
  4. 1.2mm체
(정답률: 94%)
  • 시방배합에서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구별하는 표준체는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형태는 일정한 크기의 구체로 표현됩니다. 이 구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5mm, 10mm, 2.5mm, 1.2mm 등이 사용되며, 이 중에서 잔골재는 5mm체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구체이고, 굵은 골재는 10mm체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구체입니다. 따라서, 시방배합에서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구별하는 표준체는 5mm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중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몇 mm이하이어야 하는가?

  1. 25mm
  2. 40mm
  3. 100mm
  4. 150mm
(정답률: 74%)
  • 포장용 콘크리트는 표면의 평탄성과 내구성을 위해 굵은 골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골재의 크기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40mm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멘트의 제조시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은?

  1. 석고
  2. 점토
  3. 철분
  4. 광재
(정답률: 90%)
  • 석고는 응결시간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첨가됩니다. 이는 석고가 물과 반응하여 빠르게 결정체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시멘트의 응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멘트의 분말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
  2. 여러 가지 크기의 입자들이 어떤 비율로 섞여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
  3. 시멘트가 굳어 가는 도중에 부피가 팽창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
  4. 시멘트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
(정답률: 82%)
  •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시멘트 입자들이 얼마나 더 작아지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시멘트는 물과 혼합되어 굳어가는 과정에서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부피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 입자들이 얼마나 가늘어지느냐에 따라 시멘트의 강도와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시멘트의 분말도는 시멘트 입자의 가늘어짐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굵은 골재의 밀도가 2.65g/cm3이고, 단위용적질량이 1800kg/m3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약 얼마인가?

  1. 72%
  2. 68%
  3. 32%
  4. 28%
(정답률: 49%)
  • 공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극률 = (1 - 밀도/단위용적질량) x 100%

    여기서 밀도는 g/cm3 단위이므로, 단위를 맞추기 위해 단위용적질량을 1000으로 나누어줍니다.

    공극률 = (1 - 2.65/1800) x 100% = 0.853 x 100% = 85.3%

    따라서, 골재의 공극률은 85.3%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2%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공극률이 아니라, 골재의 체적 중 공극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골재의 체적 중 공기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체적 중 공극의 비율 = (단위체적당 공기의 체적/단위체적) x 100%

    여기서 단위체적당 공기의 체적은 단위체적질량/밀도 입니다. 따라서,

    단위체적당 공기의 체적 = 1000/2.65 = 377.4 cm3/kg

    체적 중 공극의 비율 = (377.4/1800) x 100% = 20.97%

    따라서, 골재의 체적 중 공극의 비율은 20.97%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32%로 주어졌는데,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어서 나온 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는 혼화재료는?

  1. 고로 슬래그 분말
  2. 급결제
  3. 팽창재
  4. 플라이 애시
(정답률: 68%)
  • 플라이 애시는 석탄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잔재물로,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건설자재 제조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몇 %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것인가?

  1. 60% 이상
  2. 70% 이상
  3. 80% 이상
  4. 90% 이상
(정답률: 69%)
  • 굵은 골재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입자만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작은 입자들은 걸러지고 큰 입자들만 남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내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굵은 골재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90% 이상의 입자들이 해당 최대치수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학적 저항성이 크다.
  2.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하다.
  3. 수화열이 낮아 단면이 큰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4. 조기 강도는 작고 장기 강도가 크다.
(정답률: 59%)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한 이유는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가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필요한 요건 중 하나이며,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면 더욱 견고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에 AE제를 혼합하는 주된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인다.
  2. 콘크리트의 단위 중량을 높인다.
  3. 철근과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킨다.
  4.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정답률: 60%)
  • AE제는 공기 포집제로 작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포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동결되거나 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공기 포집된 공간에 차지하게 되어 콘크리트의 내부 구조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AE제를 혼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골재의 조립률을 구할 때 사용하는 표준체 중 그 호칭 치수가 가장 큰 것은?

  1. 65㎜
  2. 80㎜
  3. 90㎜
  4. 100㎜
(정답률: 75%)
  • 골재의 조립률을 구할 때 사용하는 표준체 중 가장 큰 호칭 치수는 "80㎜"입니다. 이는 골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인 호칭 치수 중 가장 큰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크기가 80㎜인 경우에는 다른 크기의 골재보다 더 큰 조립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멘트와 물을 반죽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르타르
  2. 시멘트 풀
  3. 콘크리트
  4. 반죽질기
(정답률: 88%)
  • 시멘트와 물을 반죽한 것을 시멘트 풀이라고 합니다. 이는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시멘트 풀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의 건축자재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골재의 수분함량상태를 나타내는 용어 중 가장 많은 양의 수분을 나타내는 것은?

  1. 유효흡수량
  2. 표면수량
  3. 흡수량
  4. 함수량
(정답률: 64%)
  • 골재의 수분함량을 나타내는 용어 중 가장 많은 양의 수분을 나타내는 것은 "함수량"입니다. 이는 골재 내부의 수분양을 나타내며, 즉 골재의 총 수분양을 의미합니다. 다른 용어들은 골재의 특정 부분이나 표면의 수분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수분양을 나타내는 함수량이 가장 많은 양의 수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중에 부피를 늘어나게 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혼화재료는?

  1. 포졸란
  2. AE제
  3. 팽창재
  4. 경화촉진제
(정답률: 79%)
  • 콘크리트가 건조되면서 수축하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피를 늘어나게 하는 혼화재료인 팽창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가 건조되는 동안 팽창하여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팽창재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로 슬래그 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응결이 빠르다.
  2.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발열량이 많아 균열발생이 크다.
  3.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해수 및 화학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4.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조기강도가 크다.
(정답률: 62%)
  • 슬래그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해수 및 화학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슬래그 시멘트가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더 많은 슬래그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슬래그는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더 많은 슬래그를 사용하면 해수 및 화학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골재의 절대건조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골재를 90±5℃의 온도에서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것
  2. 골재를 105±5℃의 온도에서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것
  3. 골재를 115±5℃의 온도에서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것
  4. 골재를 125±5℃의 온도에서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것
(정답률: 73%)
  • 골재는 수분 함량이 많으면 건조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크기가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골재의 절대건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분 함량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무게가 일정하게 되는 온도에서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 온도는 105±5℃입니다. 따라서 "골재를 105±5℃의 온도에서 무게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풍화하기 쉽다.
  2. 건조수축이 커진다.
  3. 수화작용이 늦어 강도가 늦게 나타난다.
  4. 수화열이 많아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긴다.
(정답률: 68%)
  • 정답: "수화열이 많아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긴다."

    설명: 시멘트는 물과 반응하여 수화작용을 일으키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물과의 반응이 느려져 수화작용이 늦어지고, 이에 따라 수화열이 많아져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풍화하기 쉽다는 것은 시멘트의 품질이 좋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건조수축이 커진다는 것은 콘크리트가 건조되면서 체적이 줄어들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혼화재료 중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포함되는 것은?

  1. 실리카 퓸
  2. AE제
  3. 촉진제
  4. 감수제
(정답률: 60%)
  • 실리카 퓸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골재 외에도 혼화재료를 첨가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데, 이때 실리카 퓸은 시멘트와 반응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실리카 퓸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일반적인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절대건조 밀도는 몇 g/cm3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하는 가?

  1. 2.50g/cm3
  2. 2.65g/cm3
  3. 2.70g/cm3
  4. 2.85g/cm3
(정답률: 34%)
  • 일반적인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절대건조 밀도는 2.50g/cm3 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제조 시 굵은 골재와 미세한 시멘트,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때 굵은 골재의 비중이 높아서 콘크리트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2.50g/cm3 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 제조 시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감수제를 사용하면 여러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 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단위 시멘트의 사용량이 늘어난다.
  3. 내구성이 좋아진다.
  4. 강도가 커진다.
(정답률: 70%)
  • 단위 시멘트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감수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향상시켜 작업성을 높이고,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단위 시멘트의 사용량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알루미나 시멘트의 최대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원료가 풍부하다.
  2. 값이 싸다.
  3. 조기강도가 크다.
  4. 타 시멘트와 혼합이 용이하다.
(정답률: 80%)
  • 알루미나 시멘트는 알루미나와 석회석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원료가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알루미나 시멘트는 값이 비교적 싸며, 조기강도가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결정화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 시멘트와 혼합이 용이하다는 특징도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려고
  2.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이려고
  3. 하중, 진동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4. 수화작용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내기 위하여
(정답률: 60%)
  • 콘크리트는 수분이 충분히 반응하여 강도를 내기 위해 만들어지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것은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목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수분이 부족해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 플랜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플랜트는 구조에 따라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다.
  2. 콘크리트 플랜트에는 재료의 저장 및 계량 장치가 있다.
  3. 콘크리트 플랜드에는 비비기 장치가 있다.
  4. 콘크리트 플랜트는 비연속적으로 작업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설비이다.
(정답률: 67%)
  • 콘크리트 플랜트는 연속적으로 작업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설비이므로 "콘크리트 플랜트는 비연속적으로 작업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설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하지는 않았으나, 비빈 후 상당히 시간이 지났거나 또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 다시 비비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되 비비기
  2. 거듭 비비기
  3. 믹서 비비
  4. 혼합 비비기
(정답률: 63%)
  • 비빈 후 시간이 지나거나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 다시 비비는 작업을 "거듭 비비기"라고 합니다. 이는 이미 비빈 상태에서 다시 혼합하여 새로운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만들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듭 비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명 고온고압양생이라고 하며, 중기압 7~15기압, 온도 180℃ 정도의 고온, 고압으로 양생하는 방법은?

  1. 오토클레이브 양생
  2. 상압증기양생
  3. 전기양생
  4. 가압양생
(정답률: 73%)
  • 고온고압양생은 고온과 고압을 동시에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오토클레이브는 고온과 고압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는 장비로, 높은 안전성과 신뢰성으로 인해 고온고압양생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토클레이브 양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이 거푸집에 골재를 먼저 채워 넣고 모르타르(mortar)를 나중에 주입하는 콘크리트 시공법은?

  1. 숏크리트(shotcrete)
  2. 시멘트 풀(cement paste)
  3. 매스 콘크리트(mass concrete)
  4.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preplaced concrete)
(정답률: 73%)
  • 거푸집에 골재를 먼저 채워 넣고 모르타르를 나중에 주입하는 콘크리트 시공법은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preplaced concrete)입니다. 이는 골재와 모르타르를 분리하여 시공하므로 골재의 위치와 분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공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압축력으로 인한 골재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공 후 모르타르를 주입함으로써 골재와 모르타르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내구성이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 플레이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송관의 배치는 굴곡을 적게 하고, 하향경사로 설치 운용하여야 한다.
  2. 관에서 배출 시에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가 생기는 경우에는 관 끝에 달아맨 삼베 등에 닿도록 배출시키거나 해서 배출충격을 완화시켜야 한다.
  3. 수송관내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서 압송하는 것으로 터널 등의 좁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편리하다.
  4. 콘크리트 플레이서의 수송거리는 공기압, 공기소비량 등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50%)
  • "수송관의 배치는 굴곡을 적게 하고, 하향경사로 설치 운용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해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는 될 수 있는 대로 시공 이음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2. 콘크리트는 바닷물에 대한 내구성, 수밀성, 강도가 작아야 한다.
  3. 재령 5일이 될 때까지 콘크리트가 바닷물에 씻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항만, 해안 또는 해양에 위치하여 해수 또는 바닷바람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를 해양 콘크리트라 한다.
(정답률: 73%)
  • "콘크리트는 바닷물에 대한 내구성, 수밀성, 강도가 작아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콘크리트는 바닷물에 대한 내구성, 수밀성,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이는 해양 구조물이 바닷물에 노출되어 오랜 기간 동안 내구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에 대한 내구성, 수밀성,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는 해양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 수중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는 수중에 낙하시키지 않아야 한다.
  2. 타설할 때 완전히 물막이를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유속은 500㎜/s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면을 가능한 한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소정의 높이 또는 수면 상에 이를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4.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해서 타설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6%)
  • "타설할 때 완전히 물막이를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유속은 500㎜/s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물에 노출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분쇄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물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물막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완전한 물막이를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적어도 콘크리트가 물에 닿는 부분의 유속을 500㎜/s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에서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시공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표면공사
  2. 콘크리트 보수공사
  3. 터널(tunnel) 공사
  4. 수중 콘크리트 공사
(정답률: 73%)
  • 수중 콘크리트 공사는 물 속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것으로, 물의 압력과 수온 등의 영향으로 인해 시공이 어렵고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내부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다지기를 실시할 때, 내부 진동기를 찔러 넣는 간격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1. 30cm 이하
  2. 50cm 이하
  3. 80cm 이하
  4. 100cm 이하
(정답률: 77%)
  • 내부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다지기를 할 때, 내부 진동기를 찔러 넣는 간격은 50cm 이하가 적합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밀착되고 공기 포함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 포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강도를 저하시키고 내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진동기를 사용할 때는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이음은 전단력이 적은 위치에 설치한다.
  2. 신축이음은 양쪽 부재가 구속되지 않게 한다.
  3.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 축에 평행이 되게 한다.
  4. 시공이음은 부재의 압축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게 한다.
(정답률: 43%)
  •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 축에 평행이 되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시공이음은 부재의 압축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게 한다는 것이 아니라, 부재의 압축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부재의 하중을 최대한 전달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물-시멘트비가 48%, 잔골재율이 35%, 단위수량이 170㎏/m3을 얻었다면 단위시멘트량은 약 얼마인가?

  1. 485㎏/m3
  2. 413㎏/m3
  3. 354㎏/m3
  4. 327㎏/m3
(정답률: 41%)
  • 단위수량이 170㎏/m3이므로, 시멘트의 비율은 170 / (0.48 + 0.35) = 354㎏/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4㎏/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의 습윤양생 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수중양생
  2. 습포양생
  3. 습사양생
  4. 촉진양생
(정답률: 64%)
  • 촉진양생은 콘크리트 표면에 미생물을 분무하여 빠른 생물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콘크리트 표면에 물을 공급하여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번식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지만, 촉진양생은 미생물을 직접 분무하여 생물학적 결합을 빠르게 유도하는 방법이므로 다른 방법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료의 계량은 시방 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각 재료는 1 배치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3. 골재의 1회 계량분에 대한 계량오차는 ±3%이다.
  4. 혼화재의 1회 계량분에 대한 계량오차는 ±2%이다.
(정답률: 44%)
  • 정답은 "각 재료는 1 배치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 배합 시에는 각 재료의 비율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정한 배치 단위로 계량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 재료는 1 배치씩 계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벽이나 기둥과 같이 높이가 높은 콘크리트를 연속해서 칠 경우 치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재료분리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일반적으로 30분에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1. 4~5m
  2. 3~4m
  3. 2~3m
  4. 1~1.5m
(정답률: 79%)
  • 콘크리트를 연속해서 칠 경우, 치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콘크리트가 재료분리되어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30분에 1~1.5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적당한 속도로 칠 경우 콘크리트가 충분히 건조되어 분리되지 않고,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루 평균기온이 20℃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35℃이하이어야 한다.
  3. 콘크리트는 비빈 후 1.5시간 이내에 타설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의 배합은 단위 수량을 적게 하고 단위 시멘트량이 많아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68%)
  • "하루 평균기온이 20℃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건조할 때 물이 증발하면서 수분이 증발하고,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기온에서는 콘크리트가 빠르게 건조되므로, 서중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물의 증발을 막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콘크리트의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는 경우)

  1. 30초 이상
  2. 1분 이상
  3. 1분 30초 이상
  4. 2분 이상
(정답률: 85%)
  •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비비기 시간은 일반적으로 1분 30초 이상이 소요됩니다. 이는 가경식 믹서의 회전 속도와 콘크리트의 재료 비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분 30초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최소 시간의 표준으로 1분 30초 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 시방배합에 사용되는 골재의 함수비는 다음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1. 절대 건조상태
  2. 공기중 건조상태
  3. 표면건조 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률: 76%)
  • 콘크리트 시방배합에 사용되는 골재의 함수비는 "표면건조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골재의 표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한계치를 의미합니다. 이 기준을 사용하는 이유는 콘크리트 제조 시 골재가 가지는 물의 양이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함수비를 표면건조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적절한 물의 양을 조절하고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 콘크리트 시방배합표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1. 굵은골재 최소치수
  2. 슬럼프
  3. 잔골재율
  4. 단위 시멘트량
(정답률: 49%)
  • 일반 콘크리트 시방배합표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굵은골재 최소치수"입니다. 이는 각각의 콘크리트 구성 요소들의 최소한의 비율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최소치수는 시방배합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굵은골재의 비율은 40%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콘크리트 타설 시 버킷, 호퍼 등의 배출구로부터 콘크리트의 타설면 까지의 높이는 얼마 이내를 원칙으로 하는가?

  1. 1.0m 이내
  2. 1.5m 이내
  3. 2.0m 이내
  4. 2.5m 이내
(정답률: 78%)
  • 콘크리트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타설 중에 분리되는 성분이 많아지고, 또한 타설면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5m 이내로 제한합니다. 이를 넘어가면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 강도 시험에 사용되는 공시체의 양생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2℃에서 습윤 양생
  2. 15±2℃에서 공기 중 양생
  3. 20±2℃에서 습윤 양생
  4. 20±2℃에서 공기 중 양생
(정답률: 64%)
  • 콘크리트 강도 시험에서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시멘트, 모래, 그래벨 등의 물질들이 반응하여 강도를 형성하는데, 이 반응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서 양생된 공시체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20±2℃에서 습윤 양생은 콘크리트 강도 시험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유는 20℃는 콘크리트 강도 형성에 가장 적합한 온도이며, 습윤한 상태에서 양생하면 콘크리트가 형성될 때 필요한 물의 양도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강도 측정을 위해서는 20±2℃에서 습윤 양생된 공시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골재의 안정성 시험(KS F 2507)에서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은 몇 %이하를 표준으로 하는가? (단, 일반적인 경우)

  1. 5%
  2. 10%
  3. 20%
  4. 25%
(정답률: 48%)
  • 골재의 안정성 시험(KS F 2507)에서는 잔골재의 손실질량 백분율이 10% 이하를 표준으로 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경우에서 가장 보편적인 기준이며, 이보다 높은 손실율은 골재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는 이 기준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골재의 단위용적 질량시험 방법 중 충격에 의한 경우는 용기에 시료를 3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 마다 용기의 한 쪽을 몇 cm 정도 들어 올려서 낙하시켜야 하는가?

  1. 5c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60%)
  • 골재의 단위용적 질량시험에서 충격에 의한 경우는 시료를 3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마다 용기의 한 쪽을 5cm 정도 들어 올려서 낙하시켜야 합니다. 이는 충격 시 시료가 충분히 섞이고, 공기 포함 등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10m, 15m, 20m은 너무 높은 높이이기 때문에 시료가 제대로 섞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5cm가 적절한 높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캐핑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멘트 풀의 물-시멘트 비범위는 어느 정도 인가?

  1. 22~25%
  2. 27~30%
  3. 32~35%
  4. 37~40%
(정답률: 63%)
  •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캐핑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멘트 풀은 적절한 물-시멘트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물이 사용되면 시멘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너무 적은 물이 사용되면 시멘트가 충분히 경화되지 않아 강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물-시멘트 비율은 중요합니다.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캐핑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멘트 풀의 적절한 물-시멘트 비율은 보통 27~30%입니다. 이 범위는 시멘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경화를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7~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블리딩(bleeding) 시험에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낼 때 처음 60분 동안은 몇 분 간격으로 표면의 물을 빨아내는가?

  1. 10분
  2. 20분
  3. 30분
  4. 60분
(정답률: 70%)
  • 블리딩 시험에서 처음 60분 동안은 10분 간격으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낸다. 이는 블리딩 시험에서 처음 60분 동안은 혈액이 빨아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30분 간격으로 물을 빨아내며, 시험 종료 10분 전에는 5분 간격으로 물을 빨아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적합한 수치는?

  1. 3±0.3cm
  2. 5±0.5cm
  3. 7±0.7cm
  4. 10±1cm
(정답률: 53%)
  •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표준원통형 모양의 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고, 틀을 떼어냈을 때 콘크리트의 바닥면에서의 지름과 윗면에서의 지름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구합니다. 이 차이가 작을수록 콘크리트의 블리딩 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표에서는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의 지름 차이가 3±0.3cm 이하일 때 적합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블리딩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외의 다른 값들은 지름 차이가 너무 크거나 작아서 콘크리트의 블리딩 성능이 좋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3등분점 재하 장치로 콘크리트 휨 강도를 시험한 결과 3등분점 사이에서 파괴되었으며, 최대 하중이 30kN이고, 파괴 단면의 나비와 높이는 각각 150㎜일 때 휨 강도는 몇 MPa인가? (단, 지간의 길이가 450㎜이다.)

  1. 1MPa
  2. 2MPa
  3. 4MPa
  4. 6MPa
(정답률: 56%)
  • 휨 강도는 파괴하게 되는 단면의 최대 모멘트를 파괴 단면의 단면계수와 지간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최대 모멘트 = 최대 하중 × 지간의 길이 / 4 = 30kN × 450mm / 4 = 33750 Nmm

    단면계수는 나비와 높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면계수 = 나비 × 높이^2 / 6 = 150mm × 150mm^2 / 6 = 562500 mm^3

    따라서, 휨 강도 = 최대 모멘트 / 단면계수 = 33750 Nmm / 562500 mm^3 = 0.06 MPa = 6 MPa × 0.01

    정답은 "4MPa"가 아니라 "6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골재 마모시험 방법 중 로스엔젤레스 마모시험기에 의해 마모시험을 할 경우 잔량 및 통과량을 결정하는 체는?

  1. 5㎜체
  2. 2.5㎜체
  3. 1.7㎜체
  4. 1.2㎜체
(정답률: 61%)
  • 로스엔젤레스 마모시험기는 골재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시험기에서는 골재를 회전하는 드럼 안에 골재 샘플을 넣고 일정한 시간 동안 회전시켜 마모를 발생시킵니다. 이때, 마모된 골재가 드럼에서 통과되는 양을 측정하여 통과량을 결정하고, 드럼 안에 남아있는 골재의 양을 측정하여 잔량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로스엔젤레스 마모시험기에서 잔량 및 통과량을 결정하는 체는 드럼 안에 넣는 골재 샘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기에서 제시된 5㎜체, 2.5㎜체, 1.7㎜체, 1.2㎜체는 골재 샘플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 중에서 1.7㎜체가 정답인 이유는 이 크기의 골재 샘플이 로스엔젤레스 마모시험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크기의 골재 샘플은 일반적으로 교통공학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며, 다양한 연구에서 검증된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용 잔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되는 시약으로 옳은 것은?

  1. 무수황산나트륨 용액
  2. 염화칼슘 용액
  3. 실리카 겔
  4. 수산화나트륨 용액
(정답률: 60%)
  • 콘크리트용 잔골재에는 유기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기불순물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산화작용을 일으켜서 불순물을 분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사용됩니다. 수산화나트륨은 강력한 염기성을 가지고 있어서, 산화작용을 일으켜서 유기불순물을 분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잔골재에 포함된 유기불순물 시험에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방배합으로 잔골재 600㎏/m3, 굵은 골재 1250㎏/m3일 때 현장배합으로 고친 잔골재량은? (단, 5㎜체에 남는 잔골재량 3%, 5㎜체를 통과하는 굵은 골재량 2%이며 표면수량에 대한 조정은 무시한다.)

  1. 593㎏/m3
  2. 600㎏/m3
  3. 607㎏/m3
  4. 627㎏/m3
(정답률: 32%)
  • 시방배합으로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이 정해져 있지만, 현장에서는 이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배합에서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이 다를 수 있다.

    문제에서는 잔골재의 밀도가 600㎏/m3이고, 굵은 골재의 밀도가 1250㎏/m3이다. 또한, 5㎜체에 남는 잔골재량은 3%이고, 5㎜체를 통과하는 굵은 골재량은 2%이다.

    따라서 현장배합에서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이 조정되어야 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고친 잔골재량 = 시방배합에서의 잔골재량 × (1 - 5㎜체에 남는 잔골재량) ÷ (1 - 5㎜체를 통과하는 굵은 골재량)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고친 잔골재량 = 600 × (1 - 0.03) ÷ (1 - 0.02) = 593.75

    따라서 고친 잔골재량은 약 593㎏/m3이다. 따라서 정답은 "593㎏/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의 목적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블리딩양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2. 반죽질기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3. 공기량을 알기 위한 시험이다.
  4. 피니셔빌리티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정답률: 79%)
  •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 반죽의 유동성과 가동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며, 따라서 반죽질기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표면 건조 포화 상태 시료의 질량이 4000g이고, 물속에서 철망태와 시료의 질량이 3070g이며 물속에서 철망태의 질량이 580g, 절대 건조 상태 시료의 질량이 3930g일 때 이 굵은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밀도는? (단,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는 1g/cm3이다.)

  1. 2.30g/cm3
  2. 2.40g/cm3
  3. 2.50g/cm3
  4. 2.60g/cm3
(정답률: 34%)
  • 먼저, 철망태와 시료의 물속에서의 질량 차이는 철망태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철망태의 부피는 물속에서의 철망태의 질량에서 절대 건조 상태의 철망태의 질량을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철망태의 부피는 580g - (4000g - 3930g) = 510cm3입니다.

    이제, 시료의 물속에서의 체적은 철망태와 시료의 물속에서의 질량 차이에서 철망태의 부피를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시료의 물속에서의 체적은 (3070g - 580g) / 1g/cm3 - 510cm3 = 1980cm3입니다.

    마지막으로, 굵은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밀도는 절대 건조 상태의 질량을 절대 건조 상태의 체적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밀도는 3930g / (1980cm3 / 1000) = 1.9848g/cm3입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2.60g/cm3"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시험에 사용할 공시체는 시험직전에 공시체의 지름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지름으로 하는데 이때 몇 ㎜까지의 정밀도로 측정하여야 하는가?

  1. 0.1㎜
  2. 0.5㎜
  3. 1㎜
  4. 2㎜
(정답률: 53%)
  •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시험에서 사용하는 공시체는 지름이 작을수록 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공시체의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측정기기의 정밀도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측정값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오차는 공시체의 지름이 작을수록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작은 단위로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시험에서는 공시체의 지름을 0.1㎜ 단위로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체 지름의 표준이 아닌 것은?

  1. 100mm
  2. 125mm
  3. 150mm
  4. 200mm
(정답률: 44%)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험체 지름의 표준은 150mm와 100mm이며, 125mm는 국내에서는 사용되지만 국제적으로는 인정되지 않는 비표준적인 크기입니다. 따라서, 200mm는 국내외 모두에서 사용되지 않는 비표준적인 크기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자가 3.5MPa이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인 경우 배합강도는?

  1. 31.4MPa
  2. 32.5MPa
  3. 33.6MPa
  4. 34.7MPa
(정답률: 28%)
  •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3.5MPa이므로, 신뢰구간 95%에서의 평균 압축강도는 30MPa에서 1.96 x 3.5MPa를 더하고 뺀 값인 23.1MPa에서 36.9MPa 사이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 30MPa를 만족하는 배합강도를 찾아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34.7MPa가 이 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정답은 34.7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멘트 밀도 시험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시멘트의 종류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2. 시멘트의 품질을 판정할 수 있다.
  3. 시멘트 입자 사이의 공기량을 알 수 있다.
  4. 콘크리트 배합 설계를 할 때 시멘트의 절대 용적을 구할 수 있다.
(정답률: 36%)
  • 시멘트 밀도 시험은 시멘트의 밀도를 측정하여 시멘트의 품질을 판정하고 콘크리트 배합 설계를 할 때 시멘트의 절대 용적을 구하기 위한 시험이다. 시멘트 입자 사이의 공기량을 알 수 있는 것은 시험의 목적이 아니며, 이는 다른 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름 151㎜, 길이 300㎜인 원주형 콘크리트 공시체를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한 결과 최대 하중이 200kN이었다. 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1. 2.54MPa
  2. 2.81MPa
  3. 25.4MPa
  4. 28.1MPa
(정답률: 44%)
  • 인장강도 = 최대 하중 / 단면적

    단면적 = (π/4) x (지름)^2 = (π/4) x (151)^2 = 17967.5mm^2

    인장강도 = 200kN / 17967.5mm^2 = 0.0111N/mm^2 = 2.81MPa

    따라서, 정답은 "2.81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단위 굵은골재의 절대 용적이 0.45m3, 굵은 골재 밀도가 2.64g/cm3일 때 단위 굵은 골재량은 몇 ㎏인가?

  1. 315.0㎏
  2. 831.6㎏
  3. 1188.0㎏
  4. 1848.0㎏
(정답률: 57%)
  • 단위 굵은 골재의 부피는 0.45m3이므로, 이를 리터 단위로 변환하면 450L이 된다.

    굵은 골재의 밀도가 2.64g/cm3이므로, 1L의 굵은 골재의 질량은 2.64g이 된다.

    따라서, 단위 굵은 골재의 질량은 450L × 2.64g/L = 1188.0g = 1188.0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8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에서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원추형 몰드
  2. 플라스크
  3. 르샤틀리에 비중병
  4. 피펫
(정답률: 49%)
  • 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에서 사용되는 기구는 "원추형 몰드", "플라스크", "르샤틀리에 비중병", "피펫"이 모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용 용액은?

  1. 염화칼슘
  2. 황산나트륨
  3. 가성소다
  4. 탄닌산
(정답률: 79%)
  • 골재 안정성 시험에서는 황산나트륨 용액이 사용됩니다. 이는 골재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되며, 황산나트륨은 골재의 알칼리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골재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