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1.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 혼화재의 계량오차는 몇 % 이내인가?
3. 골재의 표면 건조 포화상태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 다음 중 잔골재의 밀도는 얼마인가?
5. 콘크리트를 배합할 때 잔골재 275l, 굵은골재를 480l를 투입하여 혼합한다면 이때 잔골재율(S/a)은 얼마인가?
6. 시방 배합에서 사용되는 골재는 어떤 상태인가?
7.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내구성을 알기 위한 시험은 다음 중 어느 곳인가?
8. 혼화재와 혼화제의 분류에서 혼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9.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모르타르 또는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를 생기게 하는 혼화제로 알루미늄가루 등을 사용하며 플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용 그라우트나 PC용 그라우트에 사용하면 부착을 좋게 하는 것은?
10. 다음 중 콘크리트 운반기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1. 한중 콘크리트는 양생중에 온도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가?
12.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되는 기계 및 기구와 관계가 먼 것은?
13.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하는 시료의 양생 온도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4.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체의 지름은 골재 최대치수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5. 일반 수중 콘크리트에서 물-결합재비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6. 잔골재의 유해물 중 시방서에 규정된 점토 덩어리의 함유량의 한도(중량 백분율)은 얼마인가?
17. 시멘트가 매우 빨리 응결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로서, 콘크리트 뿜어 올리기 공법, 그라우트에 의한 지수 공법 등에 사용하는 혼화재료는?
18.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에 사용할 공시체는 시험 직전에 공시체의 지름을 몇 mm까지 2개소 이상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는가?
19. 시멘트 분류할 때 혼합 시멘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0. 굵은 골재의 밀도가 2.65g/cm3이고 단위 질량이 1.80t/m3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한 결과 파괴하중이 350kN 이었다. 이때 압축강도는 얼마인가? (단, 공시체의 지름: 150mm, 높이:300mm)
22. 조립률 3.0의 모래와 7.0의 자갈을 중량비 1:3비율로 혼합할 때의 조립률을 구한 것 중 옳은 것은?
23.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에 관한 다음 내용 중 잘못 된 것은?
24. 중량 골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25. 콘크리트 인장강도 시험을 할 때 인장강도가 어느 정도의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하중을 가하여야 하는가?
26.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7. 콘크리트에서 부순 돌을 굵은골재로 사용했을 때의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28. 공기연행(AE)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한 후에 다시 비비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0. 높은 곳에서 콘크리트를 내리는 경우, 버킷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며 콘크리트 치기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깔때기 등을 이어서 만든 운반기구는?
31.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에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32. 골재의 마모시험에서 시료를 시험기에서 꺼내 몇 mm체로 체가름을 하는가?
33. 시멘트의 분말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운반거리가 먼 레미콘이나 무더운 여름철 콘크리트의 시공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35. 물-시멘트비가 50%이고 단위 수량이 180kg/m3일 때 단위 시멘트량은 얼마인가?
36. 콘크리트의 표면에 아스팔트 유제나 비닐유제 등으로 불투수층을 만들어 수분의 증발을 막는 양생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37.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 떼어내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8. 골재의 함수상태 네 가지 중 습기가 없는 실내에서 자연건조시킨 것으로서 골재알 속의 빈틈 일부가 물로 차 있는 상태는?
39.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0.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에 있어서 연직 주입관의 수평간격은 얼마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비빔통 속에 달린 날개를 회전시켜 콘크리트를 비비는 것이며 주로 콘크리트 플랜트에 사용되는 믹서는?
42. 내부 진동기의 사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수화열이 적어 댐과 같은 단면이 큰 콘크리트 공사에 적합한 시멘트는?
44. 서중 콘크리트 비빈 후 얼마 이내에 타설해야 하는가?
45.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6. 잔골재의 표면수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7. 시멘트 비중시험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48.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각 재료의 계량에 대한 허용오차 중 골재의 허용오차로 옳은 것은?
49.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 재료분리를 막기 위해 거푸집에 투입구를 설치하거나 연직슈트 또는 펌프배관의 배출구를 타설면 가까운 곳까지 내려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이 경우 슈트, 펌프배관, 버킷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50.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1.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2. 겉보기 공기량이 6.80%이고 골재의 수정계수가 1.20%일 때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얼마인가?
53. 시멘트의 강도시험(KS L ISO 679)에서 모르타르를 제조할 때 시멘트와 표준모래의 질량에 의한 비율로 옳은 것은?
54.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55. 콘크리트 플레이서를 사용할 경우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56. 골재의 단위용적 질량시험 방법 중 충격에 의한 경우는 용기에 시료를 3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마다 용기의 한 쪽을 몇 cm 정도 들어 올려서 낙하시켜야하는가?
57. 다음의 혼화재료 중에 사용량이 비교적 많은 혼화재로 짝지어진 것은?
58. 다음의 혼화재 중 용광로에서 나온 슬래그를 냉각시켜 생성된 것은?
59. 다음 중 콘크리트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경우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60. 다음 중 골재의 입도, 조립률,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등을 알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은?
시멘트의 분말도가 작을수록, 잔골재 중의 미립분이 작을수록 블리딩 현상이 적어지는 이유는 시멘트의 분말도가 작을수록 물과 시멘트 입자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물의 흡수율이 감소하고, 잔골재 중의 미립분이 작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작아져 블리딩 현상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