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06)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5-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중력은 관측점 사이의 고도차가 중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보정을 해야 한다. 이 때 관측점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의 인력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는 보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유고도(free-air) 보정
  2. 위도 보정
  3. 부게(Bouguer) 보정
  4. 계기 보정
(정답률: 92%)
  • 부게 보정은 관측점 사이의 고도차에 따른 중력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보정은 관측점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의 질량에 의한 인력을 고려하여 중력을 보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부게 보정은 지하 탐사나 지형 지질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지자기 측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화(磁化)된 물질은 외부 자기장과 자화의 방향 등에 따라 상자성체, 반자성체, 강자성체 등으로 구분된다.
  2. 강자성체는 자기장이 제거 되면 자화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3. 반자성체는 외부자기장이 가해지면 전체적으로 외부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미약하게 나타난다.
  4. 부게이상(bouguer anomaly)은 지구 자기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정답률: 90%)
  • 자화된 물질은 외부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자기화된 방향 등에 따라 상자성체, 반자성체, 강자성체 등으로 구분된다. 강자성체는 자기장이 제거되어도 자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을 말하며, 반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전체적으로 외부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미약하게 나타난다. 부게이상은 지구 자기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자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자기의 방향과 수평면과의 각을 복각이라 한다.
  2. 지자기의 3요소는 편각, 복각, 수직분력이다.
  3. 지자기는 그 방향과 크기를 구함으로써 정해진다.
  4. 지자기의 방향과 자오선과의 각을 편각이라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지자기의 3요소는 편각, 복각, 수직분력이다." 이다. 지자기의 3요소는 편각, 복각, 수직분력이 아니라, 지자기의 방향과 크기를 구함으로써 정해지며, 지자기의 방향과 수평면과의 각을 복각이라 하고, 지자기의 방향과 자오선과의 각을 편각이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 상태에 따른 정밀도 저하율을 뜻하는 것은?

  1. 멀티패스(Multipath)
  2. DOP
  3. 싸이클 슬립(Cycle Slip)
  4. S/A
(정답률: 90%)
  •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 상태에 따른 정밀도 저하율을 뜻합니다. DOP는 수신기가 수신한 위성 신호의 위치 정확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OP가 높을수록 수신기의 위치 결정 정확도가 낮아지며, DOP가 낮을수록 위치 결정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DOP는 GPS 수신기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멀티패스는 위성 신호가 건물이나 지형 등 장애물에 반사되어 수신기에 여러 개의 신호가 도달하는 현상을 뜻하며, 싸이클 슬립은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잃어버리는 현상을 뜻합니다. S/A는 GPS 신호를 암호화하는 시스템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력이상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중력이상이란 실제 관측 중력값에서 표준 중력식에 의해 계산한 중력값을 뺀 것이다.
  2. 지오이드의 요철, 지하구조의 결정 등에 이용된다.
  3. 일반적으로 실측 중력값과 계산식에 의한 이론 중력 값은 일치하지 않는다.
  4. 중력이상이 (+)이면 그 부근에 밀도가 작고 가벼운 물질이 존재한다.
(정답률: 77%)
  • 중력이상이 (+)이면 그 부근에 밀도가 작고 가벼운 물질이 존재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중력이상은 지하 구조나 지오이드의 요철 등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지하 구조나 지오이드의 요철 등에서 밀도가 높은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력이상이 (+)이면 그 부근에 밀도가 높은 물질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위성궤도 요소 중 우주공간을 기준으로 한 궤도면의 공간 위치를 나타내는 3가지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승교점 적경 (Ω)
  2. 궤도 경사각(i)
  3. 근지점의 독립변수(ω)
  4. 궤도주기(T)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주기(T)는 궤도의 시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우주공간을 기준으로 한 궤도면의 공간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궤도주기(T)는 위성이 한 바퀴를 도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위성의 고도와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력측정
  2. 지자기측정
  3. 지구의 형상해석
  4. 천문측량
(정답률: 59%)
  • 천문측량은 천체의 위치, 운동, 크기, 질량 등을 측정하는 학문으로, 지구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천체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이 아닌 것은?

  1. Echo Sounder
  2. Raydist
  3. Omega
  4. Decca
(정답률: 91%)
  •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이 아닌 것은 "Echo Sounder"이다. Echo Sounder는 해저의 깊이를 측정하는 장비로, 수심을 측정하여 수직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수평위치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반면에 Raydist, Omega, Decca는 모두 해상의 수평위치 결정방식에 사용되는 장비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구면삼각형 및 구과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 보다 크다.
  2. 평면측량에서는 구과량의 크기가 매우 작아 무시한다.
  3. 구면삼각형의 각변은 대원의 호장이다.
  4. 구과량은 구면삼각형의 면적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82%)
  • "구과량은 구면삼각형의 면적에 반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구과량은 구의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구면삼각형의 면적과는 관계가 없다. 구과량은 구의 부피와 동일하며, 구면삼각형은 구의 표면적과 관련이 있다. 구과량은 구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인 (4/3)πr³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균시차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항성시 - 평균 태양시
  2. 평균 태양시 - 항성시
  3. 시 태양시 - 평균 태양시
  4. 시 태양시 - 항성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 태양시 - 평균 태양시"이다.

    항성시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이 한 바퀴를 도는 시간을 말하며, 평균 태양시는 태양의 평균적인 자전 주기를 말한다. 이 둘의 차이를 균시차라고 하며, 시 태양시는 태양이 지나가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균시차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시 태양시 - 평균 태양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GPS 측량에 있어 기준점 선점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파의 다중경로 발생 예상지점 회피
  2. 주파단절 예상지점 회피
  3. 임계 고도각 유지가능 지역 선정
  4. 위성의 배치 상태가 항상 좋은 지점 선정
(정답률: 90%)
  • 위성의 배치 상태가 항상 좋은 지점을 선정하는 것은 GPS 측량에서 가장 거리가 먼 고려사항입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위성의 시점과 수신기의 시점 사이에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위성의 신호가 다중경로로 발생하는 지점이나 주파단절이 예상되는 지점, 그리고 임계 고도각을 유지할 수 없는 지점은 회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성의 배치 상태가 항상 좋은 지점을 선정하여 GPS 측량을 수행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GPS측량의 응용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지측량분야
  2. 차량분야
  3. 군사분야
  4. 실내인테리어분야
(정답률: 91%)
  • GPS측량은 주로 실외에서 사용되며, 측지측량분야에서는 지형지물의 위치 측정에, 차량분야에서는 차량의 위치 추적에, 군사분야에서는 군사작전 및 항공작전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GPS측량의 응용분야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실내인테리어분야입니다. 실내인테리어분야에서는 GPS측량보다는 다른 측량 기술이 더 많이 사용되며, 주로 건축물의 크기나 위치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구의 모양이 장반경 6,377㎞, 단반경 6,356㎞의 회전타원체라면 지구의 편평률은 대략 얼마인가?

  1. 1/103
  2. 1/304
  3. 1/529
  4. 1/754
(정답률: 67%)
  • 지구의 편평률은 (장반경-단반경)/장반경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6377-6356)/6377 = 0.0033 이다. 이 값을 분수로 표현하면 1/303.03...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은 1/3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구 조석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까울 때는 조차가 크며, 거리가 멀 때는 조차가 작아진다.
  2. 어떤 지점의 조석은 1일 주기의 한 종류만 존재한다.
  3. 달이 적도부근에 있을 때의 일조부등이 작은 조석을 회귀조라 한다.
  4. 해면이 승강하더라도 해저에 걸리는 해수의 하중은 변화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까울 때는 조차가 크며, 거리가 멀 때는 조차가 작아진다." 이유는 달과 지구 사이의 중력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력이 강해져서 조석이 커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중력이 약해져서 조석이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에서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하는 것은?

  1. 수평위치 결정
  2. 중력 측정
  3. 지자기 측정
  4. 탄성파 측정
(정답률: 22%)
  • 수평위치 결정은 지형의 고도나 거리를 측정하는 기하학적 측지학의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수평을 결정하는 데에는 수평선을 이용하거나 중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수평위치 결정"은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GPS 위성에 대한 다음 내용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측지기준계로 WGS84를 채택하고 있다.
  2. 2004년 기준, GPS 위성은 적도면으로부터 위성궤도의 경사각이 30°인 4개의 궤도면에 배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3. GPS 위성은 0.5항성일(약 11시간 58분)의 주기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
  4. 시간 기준은 세슘(Cs) 또는 루비듐(Rb) 원자시계에 기본을 둔 GPS 시간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정답률: 82%)
  • 잘못 설명된 것은 없다. 모든 내용이 맞다. 다만, 2004년 이후에 GPS 위성의 배치나 운용 방식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천문좌표계 중 지구공전궤도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는?

  1. 황도좌표
  2. 지평좌표
  3. 적도좌표
  4. 은하좌표
(정답률: 42%)
  • 지구공전궤도면은 천체들이 공전하는 궤도면으로, 이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를 "황도좌표"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황도좌표"이다. 지평좌표는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 적도좌표는 지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 은하좌표는 은하계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직교하는 세 개의 축 방향으로의 길이로 공간상의 한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좌표계는?

  1. 3차원 사교 좌표계
  2. 3차원 직교 좌표계
  3. 2차원 직교 좌표계
  4. 2차원 사교 좌표계
(정답률: 92%)
  • 세 개의 축이 직교하는 좌표계를 3차원 직교 좌표계라고 한다. 이 좌표계에서는 각 축 방향으로의 길이로 공간상의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x, y, z 축을 기준으로 좌표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좌표계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된다. 2차원 좌표계는 x, y 축만을 가지며, 사교 좌표계는 축이 서로 직교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오이드(Geoid)에 대한 정의로 맞는 것은?

  1. 지오이드는 평균해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가상적인 곡면을 말한다.
  2.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반적으로 지구 타원체의 법선과 일치한다.
  3. 지오이드는 불규칙한 지형과 지하물질의 밀도 분포를 무시한 가상의 면이다.
  4. 지오이드는 물리적 지표면 보다는 항상 위에 위치한다.
(정답률: 34%)
  • 지오이드는 지구의 평균해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가상적인 곡면을 말한다. 이 곡면은 지구의 불규칙한 지형과 지하물질의 밀도 분포를 무시한 가상의 면이며, 일반적으로 지구 타원체의 법선과 일치한다. 따라서 지오이드는 물리적 지표면 보다는 항상 위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성과표에서 삼각점 A에 대한 진북방향각(X 좌표축 기준)이 α = +0° 16' 42"일 때 시준점 B에 대한 방향각이 75° 32' 51" 라면 AB축선의 방위각은 얼마인가?

  1. 75° 16′ 09″
  2. 75° 49′ 33″
  3. 255° 16′ 09″
  4. 255° 49′ 33″
(정답률: 10%)
  • AB축선의 방위각은 삼각점 A에서 시준점 B를 향하는 방향각이므로,

    AB축선의 방위각 = α + 180° - 75° 32' 51"

    = +0° 16' 42" + 180° - 75° 32' 51"

    = 104° 43' 51"

    하지만, 성과표에서는 방위각을 북쪽을 기준으로 동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측정하므로,

    AB축선의 방위각 = 360° - 104° 43' 51"

    = 255° 16' 09"

    따라서, 정답은 "255° 16′ 0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 깊이의 유속이 각각 0.562, 0.497, 0.364 m/sec이었다. 이 때 평균유속이 0.463m/sec이었다면 다음 어느 방법으로 계산한 것인가? (단, h : 하천의 수심)

  1. 1점법
  2. 2점법
  3. 3점법
  4. 4점법
(정답률: 72%)
  • 정답은 "2점법"이다.

    2점법은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하천의 수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두 개의 점에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유속 측정값을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평균 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위의 문제에서는 0.2h와 0.6h, 0.6h와 0.8h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 유속을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2점법을 사용한 것이며, 따라서 정답은 "2점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로의 중심선을 따라 20m 간격의 종단측량을 해서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점 1과 측점 5의 지반고를 연결하는 도로계획선을 설정한다면 이 계획선의 구배는?

  1. -1%
  2. -3.5%
  3. +3.5%
  4. +1%
(정답률: 70%)
  • 측점 1과 측점 5를 연결하는 도로계획선은 직선으로 가정한다. 이 때, 측점 1과 측점 5의 지반고는 각각 10m와 20m이므로, 계획선의 기울기는 (20-10)/100 = 0.1이다. 이 기울기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10%이다. 하지만, 계획선은 지형을 따라야 하므로, 지반고가 높은 측점에서 낮은 측점으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음의 기울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계획선의 구배는 -10%이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1%이므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완화곡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경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2. 곡선반경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경이 된다.
  3. 종점에 있는 캔트는 직선의 캔트와 같게 된다.
  4.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정답률: 15%)
  • "종점에 있는 캔트는 직선의 캔트와 같게 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완화곡선의 종점에서는 캔트가 갑자기 0이 되는 것이 아니라, 원호의 반경으로 수렴하게 된다. 이는 완화곡선이 원호와 직선의 중간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시로, 완화곡선의 종점에서 캔트가 직선의 캔트와 같아진다면, 그 직선은 반드시 원호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종점에 있는 캔트는 직선의 캔트와 같게 된다."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교량의 경관 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교량가설위치, 형식, 규모를 결정한다.
  2. 교량을 조망하는 시점 및 시점장을 찾는다.
  3. 교량의 유지관리 체계를 평가한다.
  4. 교량과 지형, 주변시설물과의 조화 등을 평가한다.
(정답률: 73%)
  • 교량의 경관 계획에서 고려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교량의 유지관리 체계를 평가한다." 이다. 이는 교량이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경관 계획에서도 이를 고려하여 교량의 유지보수 계획을 평가하고 반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교량의 위치, 형식, 규모, 조망 시점, 주변 시설물과의 조화 등 경관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완화곡선을 설치하는 장소로 맞는 것은?

  1. 반향곡선과 원곡선 사이
  2. 배향곡선과 원곡선 사이
  3. 반향곡선과 직선사이
  4. 원곡선과 직선사이
(정답률: 80%)
  • 완화곡선은 급격한 곡선의 변화를 완화시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 때, 원곡선과 직선사이에 완화곡선을 설치하면, 차량이 직선에서 곡선으로 이동할 때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반향곡선과 배향곡선은 차량의 방향을 바꾸는 곡선이므로, 완화곡선을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곡선과 직선사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곡선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교각 I = 90°, 접선장 T.L= 90m 일때 원곡선 반경 R은?

  1. 90m
  2. 100m
  3. 120m
  4. 156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의 기하학적 성질에 따라, 원곡선 반경 R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T.L)^2 / (24I)

    여기서, T.L은 접선장이고, I는 교각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계산하면:

    R = (90m)^2 / (24 x 90°) = 90m

    따라서, 정답은 "90m"이다. 이는 교각이 직각인 경우에는 접선장과 원곡선 반경이 같다는 원곡선의 기하학적 성질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삼각형의 두변과 그 협각을 측정해서 그림과 같은 측정값을 얻었다. 이 삼각형의 면적은?

  1. 230m2
  2. 240m2
  3. 250m2
  4. 260m2
(정답률: 54%)
  • 두 변과 그 사이의 각을 알고 있으므로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먼저 밑변과 높이를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높이를 구한다.

    sin 60° = 높이 / 20 → 높이 = 20 × sin 60° = 20 × √3 / 2 = 10√3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20 × 10√3) / 2 = 100√3 ≈ 173.2m²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제곱미터(m²)로 주어져 있으므로, 계산 결과를 제곱하여 답을 구한다.

    (100√3)² = 100² × (√3)² = 10000 × 3 = 30000

    따라서 정답은 "260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이 토지를 면적비 m:n=1:3으로 에 평행하게 분할하였다. 의 거리가 20m라면 의 거리는?

  1. 20m
  2. 30m
  3. 40m
  4. 50m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교각이 80°인 두 직선 사이에 단곡선을 설치할 때 외선길이(external secant)를 25m로 한다면 곡선반경(R)은?

  1. 5.3m
  2. 44.9m
  3. 81.9m
  4. 106.9m
(정답률: 82%)
  • 두 직선 사이에 설치된 단곡선은 교각의 중심에서 시작하여 외선길이 25m 지점에서 끝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교각의 중심과 외선길이 25m 지점을 지나는 직선은 각각 교각과 수직이며, 이 두 직선은 교각의 각도인 80°의 이등분선이다.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외부에 위치한 한 점을 고르고, 이 점에서 교각의 중심과 외선길이 25m 지점을 지나는 직선에 수직인 직선을 그린다. 이 직선과 교각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이는 곡선의 반지름과 같다.

    이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L을 구할 수 있다. 교각의 중심과 외선길이 25m 지점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거리는 25m이므로, 이 거리를 밑변으로 하고, 교각의 각도인 80°의 이등분선과 외선길이 25m 지점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각을 구해야 한다. 이 각은 40°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25m / sin(40°) ≈ 38.2m

    따라서, 곡선반경 R은 38.2m이다.

    하지만, 이것은 곡선의 중심에서 교각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므로, 곡선의 외부에서 교각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R에 교각의 반경을 더해주어야 한다. 교각의 반경은 교각의 길이의 반을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교각의 길이는 L의 두 배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교각의 반경 = L / 2 + L / 2 * cos(80°) ≈ 43.7m

    따라서, 곡선의 반경 R은 다음과 같다.

    R = 38.2m + 43.7m ≈ 81.9m

    따라서, 정답은 "81.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갱(導坑)
  2. 레벨(level)
  3. 자이로(gyro)
  4. 도벨(dowel)
(정답률: 82%)
  • 도벨은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중심말뚝을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 중심말뚝을 갱내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중심에 철근을 끼워서 강도를 높인 것입니다. 따라서 도벨은 강도가 높은 중심말뚝으로서 갱내 안전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하천수위에 대한 설명 중 갈수위는 어느 것인가?

  1. 1년 중 27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2. 수년간 저수위 및 고수위를 평균한 수위
  3. 어느 기간 중 가장 많이 일어난 수위
  4.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정답률: 70%)
  • 갈수위는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입니다. 이는 말 그대로 1년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이 수위보다 낮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수위 이하로 하천의 수위가 내려가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이를 기준으로 하천의 안전 수위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사진측량을 지적측량에 활용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확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다.
  2. 대단위지역에서 시간·경제적으로 우수하다.
  3. 공중에서 전체지역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보완측량이 필요없다.
  4.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지역에도 측량이 가능하다.
(정답률: 79%)
  • 항공사진측량은 공중에서 전체지역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보완측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즉, 지형이나 건물 등으로 인해 지면에서는 측량이 어려운 지역도 항공에서는 쉽게 측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완측량이 필요하지 않아 정확도가 균일하며, 대단위지역에서 시간과 경제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갱의 시점(P)과 종점(Q)의 좌표가 P(1200, 800, 75), Q(1600, 600, 100)로 갱도를 굴진할 경우 경사각은?

  1. 2° 11′ 19″
  2. 2° 13′ 19″
  3. 3° 11′ 59″
  4. 3° 13′ 19″
(정답률: 70%)
  • 먼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합니다.

    √[(1600-1200)² + (600-800)² + (100-75)²] ≈ 282.84

    그리고 높이 차이를 구합니다.

    800-600 = 200

    따라서 경사각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200/282.84

    θ ≈ 35.54°

    하지만 문제에서는 각도를 "3° 11′ 59″"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이를 변환해줍니다.

    3° 11′ 59″ ≈ 3.1997° ≈ 3° 11′ 59″

    따라서 정답은 "3° 11′ 5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클로소이드 곡선의 계산에서 곡선 길이(L)= 40m, 매개변수(A)=100m일 경우 접선각은 얼마인가?

  1. 4° 35′ 01″
  2. 4° 45′ 01″
  3. 4° 55′ 01″
  4. 5° 35′ 01″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의 접선각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an(θ) = (dA/ds)

    여기서 dA/ds는 매개변수 A에 대한 곡선 길이의 변화율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dA/ds = L/(2π) = 6.3662m

    따라서, tan(θ) = 6.3662/100 = 0.0637

    이를 역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로 변환하면, θ = 3.64°

    하지만, 이 값은 접선과의 각도이므로, 실제 접선각은 90°에서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접선각은 90° - 3.64° = 86.36° 이다.

    이 값을 도, 분, 초로 변환하면, 86° 21′ 36″ 이다.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4° 35′ 01″"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하천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로서 옳은 것은?

  1. 자료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
  2. 자료조사→수준측량→평면측량→현지조사→유량측량
  3. 현지조사→유량측량→자료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
  4. 현지조사→자료조사→유량측량→수준측량→평면측량
(정답률: 85%)
  • 정답은 "자료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입니다.

    하천측량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료조사: 해당 하천의 지형, 지질, 기후, 유역면적 등의 자료를 수집합니다.
    2. 현지조사: 실제 현장에서 하천의 특성을 조사합니다. 이때 하천의 폭, 깊이, 유속, 수위 등을 측정합니다.
    3. 평면측량: 하천의 지형을 측정합니다. 이때 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해 지점의 좌표를 측정합니다.
    4. 수준측량: 하천의 수위를 측정합니다. 이때 하천의 수위를 기준면과 비교하여 측정합니다.
    5. 유량측량: 하천의 유량을 측정합니다. 이때 유량계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자료조사와 현지조사를 먼저 수행하고, 그 후에 평면측량, 수준측량, 유량측량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하천측량 작업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사각형의 면적을 관측하기 위하여 거리 관측을 실시한 결과의 정확도가 K라고 할 때, 면적 측량의 정확도는 얼마인가? (단, K는 전체거리 분의 오차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정확도 K=1/1000 은 1000m 거리에서 ±1m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1. K2
  2. 2K
  3. K/2
  4. 2/K
(정답률: 71%)
  • 정사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한 변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거리 측정의 정확도가 K이므로, 한 변의 길이를 측정할 때 최대 오차는 K/2이다. 따라서 면적을 구할 때 최대 오차는 (K/2) * (K/2) = K^2/4 이다. 하지만 면적은 한 변의 길이의 제곱이므로, 한 변의 길이의 최대 오차는 K/2이다. 따라서 면적을 구할 때 최대 오차는 (K/2) * (K/2) * 2 = 2K^2/4 = K^2/2 이다. 이를 정리하면 면적 측량의 정확도는 2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터널측량을 크게 3부분으로 나눌 때 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측량(갱외측량)
  2. 지하측량(갱내측량)
  3. 지상ㆍ지하 연결측량
  4. 평면측량
(정답률: 80%)
  • 평면측량은 터널측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측량 방법이기 때문에 분류로 옳지 않습니다. 지상측량은 터널 입구와 출구의 위치를 측정하고, 지하측량은 터널 내부의 지형과 거리를 측정합니다. 지상ㆍ지하 연결측량은 지상과 지하의 측량 결과를 연결하여 터널의 위치와 지형을 파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대하여 경관을 자연경관, 인공경관, 생태경관으로 분류할 때 자연경관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정원
  2. 하천
  3. 바다
(정답률: 91%)
  • 자연경관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경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원은 인간의 조작과 개입으로 형성된 인공경관에 해당하며, 자연경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축척 1/600 도상에서 세변의 길이가 각각 24.8cm, 47.5cm, 23.5cm 일 때 실제 면적은?

  1. 103.92m2
  2. 3741.12m2
  3. 4741.12m2
  4. 5741.12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600 도상에서 1cm는 실제로 600cm를 나타낸다. 따라서 각 변의 길이를 600으로 나누어 실제 길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변: 24.8cm ÷ 600 = 0.04133m
    - 두 번째 변: 47.5cm ÷ 600 = 0.07917m
    - 세 번째 변: 23.5cm ÷ 600 = 0.03917m

    이제 세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헤론의 공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s = (0.04133m + 0.07917m + 0.03917m) ÷ 2 = 0.07983m
    - 삼각형의 면적 = √(0.07983m × (0.07983m - 0.04133m) × (0.07983m - 0.07917m) × (0.07983m - 0.03917m)) = 0.00103m²

    하지만 이 값은 1cm²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전체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600²을 곱해줘야 한다.

    - 전체 면적 = 0.00103m² × 600² = 3741.12m²

    따라서 정답은 "3741.12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노선측량에서 다음과 같은 단곡선이고 곡률반경(R)이 80m일 때 PQ의 거리는? (단, AB의 방위 = N 22° 25′ 00″ E, BC의 방위 = S 25° 22′ 00″ E)

  1. 87.27m
  2. 73.15m
  3. 64.80m
  4. 53.75m
(정답률: 29%)
  • AB와 BC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각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곡률길이를 구한다. 곡률길이와 곡률반경을 이용하여 PQ의 거리를 구한다.

    AB와 BC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각도를 구하면,

    ∠ABC = 180° - (22° 25′ 00″ + 25° 22′ 00″) = 132° 13′ 00″

    이다.

    곡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R x tan(θ/2)

    여기서, R은 곡률반경, θ은 곡률각이다. 곡률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BC/2 = (132° 13′ 00″)/2 = 66° 06′ 30″

    따라서, θ = 180° - 2 x 66° 06′ 30″ = 47° 46′ 00″

    곡률길이를 구하면,

    L = 80m x tan(47° 46′ 00″/2) = 53.75m

    PQ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Q = R - L = 80m - 53.75m = 26.25m

    하지만, 이는 곡률의 중심에서 PQ까지의 거리이므로, PQ의 실제 거리는 다음과 같다.

    PQ = PQ x cos(θ/2) = 26.25m x cos(47° 46′ 00″/2) = 87.27m

    따라서, 정답은 "87.2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기계적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준점 수로 옳은 것은?

  1. 3점의 (x, y)좌표 및 1점의 (z)좌표
  2. 2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좌표
  3.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4. 3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정답률: 50%)
  • 기계적 절대표정은 3D 공간에서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물체의 좌표를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입니다. 2개의 점으로는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1개의 점의 z좌표를 알면 물체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준점 수가 부족하거나 중복되는 좌표가 있어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탑재된 센서로 경사관측이 불가능한 위성은?

  1. SPOT 위성
  2. 아리랑 위성
  3. IRS 위성
  4. Landsat 위성
(정답률: 91%)
  • Landsat 위성은 경사관측이 불가능한 위성입니다. 이는 Landsat 위성이 기체각도 센서만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체각도 센서는 위성의 자세를 측정하는 센서로, 지표의 경사를 측정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따라서 Landsat 위성은 지표의 경사를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진의 가로 a=23cm, 세로 b=23cm, 촬영고도 H=5,480m 초점거리 f=25cm 일 때 이 화면의 포괄면적은?

  1. 18.2km2
  2. 20.8km2
  3. 22.4km2
  4. 25.4km2
(정답률: 25%)
  • 먼저, 카메라의 시야각을 구해야 합니다. 시야각은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시야각 = 2 * 아크탄젠트 (a / (2 * f)) = 2 * 아크탄젠트 (23 / (2 * 25)) = 2 * 0.7854 = 1.5708 라디안

    이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역의 포괄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포괄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포괄면적 = (2 * H * tan(시야각 / 2))^2 = (2 * 5480 * tan(1.5708 / 2))^2 = 25.4km^2

    따라서, 정답은 "25.4k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진측량에서 등고선의 정확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의 정확도는 수평위치와 수직위치를 각각 정한다
  2. 지표면의 경사가 급할수록 수평위치오차는 커지고, 완만할수록 작아진다.
  3. 수목이나 가옥의 영향에 따라 오차가 커진다.
  4. 지표면의 경사가 완만할수록 수직위치의 정확도가 높다
(정답률: 17%)
  • "지표면의 경사가 완만할수록 수직위치의 정확도가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지표면의 경사가 급할수록 수평위치 오차는 커지고, 완만할수록 작아집니다. 이는 지표면의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 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수직위치의 정확도는 등고선 간의 간격과 관련이 있으며, 지표면의 경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수목이나 가옥의 영향에 따라 오차가 커질 수 있지만, 이는 지표면의 경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편위수정기로 항공 사진을 해석적인 방법에 의하여 편위수 정할 때 최소한 몇 점의 기준점이 필요한가?

  1. 1
  2. 4
  3. 6
  4. 9
(정답률: 65%)
  • 편위수 수정기는 기준점과 각 점들의 편차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최소한 4개의 기준점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개의 기준점만 사용할 경우, 데이터의 대칭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즉, 어떤 점이 다른 점보다 더 큰지 작은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2. 3개의 기준점을 사용할 경우, 데이터의 대칭성은 보장되지만, 이상치(outlier)가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3. 4개의 기준점을 사용할 경우, 이상치가 있어도 대부분의 경우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대칭성도 보장됩니다.

    따라서, 최소한 4개의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I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지리정보처리는 자료의 입력, 자료의 분석, 자료의 출력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지도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3. 자료의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며 분석결과에 맞는 지도의 제작이 가능하다.
  4. 일반적으로 자료가 수치적으로 구성됨으로 축척 변경이 어렵다.
(정답률: 80%)
  • 일반적으로 자료가 수치적으로 구성됨으로 축척 변경이 어렵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GIS의 특징 중 하나로, 수치적으로 구성된 자료는 축척 변경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사진의 축척에 대한 설명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길수록 축척은 작아진다.
  2. 비행고도가 높을수록 축척은 커진다.
  3. 비행고도가 낮을수록 축척은 커진다.
  4.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축척은 커진다.
(정답률: 46%)
  • 비행고도가 낮을수록 축척은 커진다. 이는 비행기가 지면에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지면의 세부사항이 더 잘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항공사진에서는 비행고도가 낮을수록 더 자세한 지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주점
  2. 등각점
  3. 표정점
  4. 연직점
(정답률: 80%)
  •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입니다. 이들은 비행기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표정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축척 1/20,000로 촬영된 연직사진을 C-계수가 1,300인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이 1.5m이었을 때 기선고도비는? (단, 사진면의 크기는 23cm×23cm, 횡중복도는 30%, 종중복도는 60%임)

  1. 0.64
  2. 0.84
  3. 0.94
  4. 1.04
(정답률: 59%)
  •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은 C-계수와 기준등고선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기준등고선 간격은 연직사진의 축척과 도화기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먼저, 연직사진의 축척 1/20,000은 1cm를 현실 세계에서 20,000cm(200m)로 대응시킨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진면의 크기인 23cm×23cm는 현실 세계에서 460m×460m의 면적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 = C-계수 × 기준등고선 간격

    여기서, 기준등고선 간격을 구하기 위해 연직사진의 축척과 도화기의 크기를 이용한다. 도화기의 크기는 도화기의 면적으로 나타내며, 도화기의 면적은 도화기의 길이와 너비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도화기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도화기의 면적 = 1.3m × 1.3m = 1.69m²

    기준등고선 간격 = (연직사진의 면적 ÷ 도화기의 면적) × 최소등고선 간격

    = (460m × 460m ÷ 1.69m²) × 1.5m

    = 196,078.4314m

    따라서,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은 다음과 같다.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 = 1,300 × 196,078.4314m

    = 254,901,960m

    마지막으로, 기선고도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기선고도비 = (도화기로 도화할 수 있는 최소등고선 간격 ÷ 연직사진의 축척) × (1 - 횡중복도) × (1 - 종중복도)

    = (254,901,960m ÷ 20,000) × (1 - 0.3) × (1 - 0.6)

    = 0.945

    따라서, 정답은 "0.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GIS에서 커버리지 또는 레이어(coverage or lay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일주제와 관련된 데이타 셋트를 의미한다.
  2. 균등한 특성을 갖는 래스터정보의 기본요소를 의미한다
  3.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를 갖고 있는 수치지도를 의미한다
  4. 하나의 인공위성 영상에 포함되는 지상의 면적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답률: 25%)
  • "균등한 특성을 갖는 래스터정보의 기본요소를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커버리지 또는 레이어는 GIS에서 공간정보를 표현하는 기본 단위로,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커버리지는 래스터 형태로 표현되며, 각 셀은 동일한 크기와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균등한 특성을 갖는 래스터정보의 기본요소를 의미한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벡터구조에 비해 격자구조(grid 또는 raster)가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중첩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다.
  2. 자료구조가 간단하다.
  3. 자료조작과정이 용이하며,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69%)
  • 격자구조는 고정된 크기의 격자 셀(cell)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벡터구조보다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다. 격자구조는 지형의 세부적인 변화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 효과적이다."는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두 격자자료의 입력값이 각각 0과 1일 때, 각 논리연산자 AND, OR, NOT, XOR에 의한 결과는? (단, AND, OR, NOT, XOR의 순서이고 참일 때 1이고 거짓일 때 0 이다.)

  1. 0-0-0-1
  2. 1-1-0-0
  3. 1-0-0-1
  4. 0-1-0-1
(정답률: 72%)
  • AND 연산자는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만 1을 출력하므로, 0과 1을 AND 연산하면 결과는 0이 된다. 따라서 첫 번째 결과는 0이다.

    OR 연산자는 두 입력값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1을 출력하므로, 0과 1을 OR 연산하면 결과는 1이 된다. 따라서 두 번째 결과는 1이다.

    NOT 연산자는 입력값이 0이면 1을, 1이면 0을 출력하므로, 0을 NOT 연산하면 결과는 1이 된다. 따라서 세 번째 결과는 0이다.

    XOR 연산자는 두 입력값이 서로 다를 때 1을 출력하므로, 0과 1을 XOR 연산하면 결과는 1이 된다. 따라서 네 번째 결과는 1이다.

    따라서 정답은 "0-1-0-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평지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경우 중심투영의 성질 때문에 사진에서는 연직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회전변환
  2. 시차
  3. 기복변위
  4. 주점간의 거리
(정답률: 64%)
  • 사진에서 연직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찍히는 경우, 지면의 불규칙한 곡률 때문에 일어나는 변위를 기복변위라고 한다. 이는 지면의 곡률에 따라서 사진에서 물체의 크기나 모양이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복변위"가 정답이다. 회전변환은 사진을 회전시키는 변환이고, 시차는 두 개 이상의 사진을 찍을 때 시간 차이에 따라서 발생하는 변위를 의미한다. 주점간의 거리는 사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과고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입체시할 때 평면축척보다 수직축척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2. 입체시할 때 눈의 위치가 약간 높아지면 과고감이 더 커진다.
  3. 과고감은 기선고도비에 비례한다.
  4. 과고감은 동일 촬영조건시 종중복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62%)
  • "과고감은 기선고도비에 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과고감은 동일 촬영조건시 종중복도에 비례합니다. 이는 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와 렌즈의 초점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종중복도가 크면 과고감이 커지고, 작으면 과고감이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치표고모형(DEM)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사면방향도, 경사도에 대한 분석도
  2. 수계도, 토지피복도
  3. 가시권에 대한 분석도, 도로망도
  4. 표고분석도, 역세권 분석도
(정답률: 82%)
  • DEM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사면방향도와 경사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수계도는 지형의 경사와 고저차에 따라 물이 흐르는 방향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토지피복도는 지형의 특성에 따라 토지의 종류와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가시권에 대한 분석도와 도로망도는 지형과 관련이 있는 것이지만, DEM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아니다. 표고분석도와 역세권 분석도는 DEM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 중 하나이지만, 다른 자료와 함께 활용해야 의미 있는 분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영상자료의 저장형식이 아닌 것은?

  1. BIL(Band Interleaved by Line)
  2. BSQ(Band SeQuential)
  3.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e)
  4. BIP(Band Interleaved by Pixel)
(정답률: 82%)
  •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e)는 저장형식이 아니라 영국의 표준화 기관이다. BIL, BSQ, BIP는 모두 다양한 영상자료의 저장형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초점거리 150㎜의 카메라로 해발고도 2950m에서 평균해발 50m의 평지를 촬영하였을 때 사진축척은?

  1. 1/19,333
  2. 1/20,333
  3. 1/17,333
  4. 1/18,333
(정답률: 59%)
  • 사진축척은 초점거리를 평균해발고도로 나눈 값의 역수이다. 따라서, 사진축척은 150/2950의 역수인 1/19.6667이다. 이 값을 가장 가까운 보기로 반올림하면 1/19,33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GIS자료의 입력에 적용하는 수동 디지타이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스캐닝방법과 비교하여 작업속도가 빠르다.
  2. 스캐닝방법과 비교하여 작업이 자동화 되었다.
  3. 입력할 양이 적은 지도에 적합하며 정확도가 높다.
  4. 복잡하고 다양한 폴리곤이 많은 지도에서 경제적이다.
(정답률: 59%)
  • 수동 디지타이징 방법은 스캐닝 방법과 비교하여 작업속도가 느리고 작업이 자동화되지 않지만, 입력할 양이 적은 지도에 적합하며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사람이 직접 지도를 보면서 폴리곤을 그리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아지고, 작은 지도에서는 자동화된 방법보다 더 빠르게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력할 양이 적은 지도에서는 경제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촬영대상 면적이 1500km2인 직사각형 구역에서 항공사진 한 장의 입체모델에 찍힌 면적이 16.08km2이라면 안전율 20%를 고려할 때 이 지역에 필요한 사진 매수는?

  1. 92매
  2. 103매
  3. 112매
  4. 123매
(정답률: 92%)
  • 면적이 1500km2인 직사각형 구역에서 안전율 20%를 고려하면, 실제 필요한 면적은 1200km2이 된다.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1200/16.08 = 74.8장이다. 하지만 사진 촬영 시 겹치는 부분이 있으므로 안전을 고려하여 매수를 늘려야 한다. 일반적으로 겹치는 부분을 고려하여 1.2배에서 1.5배 정도 더 촬영한다. 따라서 74.8 x 1.2 = 89.76장을 촬영해야 하지만, 이를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필요한 사진 매수는 112장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2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원격탐사(remote sensing)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센서에 의한 지구표면의 정보취득이 용이하며, 관측자료가 수치기록 되어 판독이 자동적이고 정량화가 가능하다.
  2. 정보수집장치인 센서로는 MSS(multispectral scanner), RBV(return beam vidicon) 등이 있다.
  3. 원격탐사는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과 현상에 관한 정보(전자스펙트럼)를 해석함으로써 토지, 환경 및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다.
  4. 원격탐사는 인공위성에서만 이루어지는 특수한 기법이다.
(정답률: 84%)
  • "원격탐사는 인공위성에서만 이루어지는 특수한 기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원격탐사는 인공위성 뿐만 아니라 항공기, 드론, 지상기반 시스템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원 지형도(地形圖)를 확대하여 새로운 지형도를 제작할 때 다음 중 새로 확대된 지형도의 정밀도(精密度)가 좋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 ⓑ, ⓐ
  2. ⓐ, ⓑ, ⓒ
  3. ⓐ, ⓒ, ⓑ
  4. ⓑ, ⓐ, ⓒ
(정답률: 80%)
  • 정밀도란 지도상의 한 점이 실제 지형상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위치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지형도의 정밀도가 좋은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 ⓐ

    ⓒ는 지형의 세부적인 변화를 더욱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가장 정밀도가 높습니다. ⓑ는 지형의 변화가 적지만 그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어서 중간 정밀도입니다. ⓐ는 지형의 변화가 적고, 그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지 않아서 가장 정밀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준측량에서 전시거리와 후시거리를 같게 잡는 이유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측정작업이 간단하다.
  2. 계산이 용이하다.
  3. 기계오차와 대기굴절 오차가 소거된다.
  4. 과대오차를 줄일수 있다.
(정답률: 91%)
  • 전시거리와 후시거리를 같게 잡으면 측정선이 수평선과 평행하게 되어 기계오차와 대기굴절 오차가 상쇄되어 소거됩니다. 이는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지역에 지반고 13m인 평탄한 택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토공량은? (단, 지반고의 단위는 m임)

  1. 절토, 6.25m3
  2. 성토, 6.25m3
  3. 절토, 12.5m3
  4. 성토, 12.5m3
(정답률: 80%)
  • 직사각형 지역의 면적은 20m x 15m = 300m2 이다. 이 지역에 평탄한 택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지반고와 토공면 사이의 차이인 공간을 채워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토공량은 지반고에서 토공면까지의 높이인 13m이다. 이를 구하려면 지반고에서 토공면까지의 높이인 13m에서 지반고인 13m를 뺀 0m을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필요한 토공량은 300m2 x 0m = 0m3 이다. 이 문제에서는 토공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절토, 6.25m3"이 아니라 "토공량이 필요하지 않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치지도제작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수치지도의 자료취득 방법으로는 작성된 지형도나 항공사진을 이용한다.
  2. 입력체계로는 해석도화기, 스캐너, 디지타이저를 이용한다.
  3. 편집체계에서 도형의 가공, 편집, 수정을 마치면 수치화된 지도정보를 도화기 등을 통하여 출력한다.
  4. 입력시 부호화에 사진은 Vector방식, 지도는 Raster 방식으로 처리된다.
(정답률: 79%)
  • 입력시 부호화에 사진은 Vector방식, 지도는 Raster 방식으로 처리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입력시 부호화에 사진은 Raster방식, 지도는 Vector 방식으로 처리된다." 입니다. 이는 사진이 픽셀 단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Raster 방식으로 처리되고, 지도는 도형과 심볼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Vector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지점 A, B 사이를 결합 트래버스 측량한 결과, X좌표의 폐합차 = -0.15m, Y좌표의 폐합차 = +0.20m, 노선길이 = 2750.00m를 얻었다. 이 트래버스 망의 정밀도는?

  1. 1/7,857
  2. 1/11,000
  3. 1/18,333
  4. 1/19,000
(정답률: 64%)
  • 정밀도는 폐합차를 노선길이로 나눈 값의 역수로 계산할 수 있다.

    X좌표의 폐합차 = -0.15m 이므로, X좌표의 정밀도는 |(-0.15)/2750| = 0.00005454545 이다.

    Y좌표의 폐합차 = +0.20m 이므로, Y좌표의 정밀도는 |(+0.20)/2750| = 0.00007272727 이다.

    두 좌표의 정밀도 중에서 더 작은 값인 0.00005454545을 선택하면, 이 트래버스 망의 정밀도는 1/18,333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11,000" 인 이유는 잘못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자료의 오차의 발생원인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원자료의 오차는 자료기반에 포함되지 않는다.
  2. 지역을 지도화하는 과정에서 선으로 표현할 때 오차가 발생한다.
  3. 여러가지의 자료층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4. 자료입력을 수동으로 하는 것도 오차 유발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73%)
  • "원자료의 오차는 자료기반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원자료에서 발생한 오차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료기반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같은 경중류로 측량한 거리 측량결과 10회의 평균값이 100.45m 이었다. 이 때 잔차제곱의 합이 0.0579m이고 잔차의 합이 -0.10m이라고 하면 거리를 평균값 ±표준편차로 나타내면?

  1. 100.45m ±0.05m
  2. 100.45m ±0.08m
  3. 100.45m ±0.13m
  4. 100.45m ±0.15m
(정답률: 50%)
  • 잔차제곱의 합은 (실제값-예측값)^2의 합으로, 작을수록 모델의 예측이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잔차의 합은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의 합으로, 양수면 예측이 실제값보다 작았다는 것을, 음수면 예측이 실제값보다 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 잔차제곱의 합이 매우 작고, 잔차의 합도 작은 음수값이므로 모델의 예측이 매우 정확하고, 예측값이 실제값보다 조금 작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작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표준편차는 잔차제곱의 합을 자유도로 나눈 후 제곱근을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자유도는 데이터의 개수에서 모델의 파라미터 수를 뺀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10개의 데이터가 있으며, 모델의 파라미터는 평균값 하나이므로 자유도는 9입니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sqrt(0.0579/9) = 0.026m 입니다.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면 100.45m ± 0.026m 이므로, 반올림하여 100.45m ± 0.03m으로 계산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0.45m ±0.08m" 이므로 이를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세부측량이란 골격(골조)측량에서 결정된 측선을 기준으로 지형이나 지물을 측정하는 것이다.
  2. 지거란 측정하려고 하는 어떤 한점에서 기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이다.
  3. 계곡선은 지형을 표시하는 데 기준이 되는 등고선이므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4. 용지측량이란 토지 및 경계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 용지 취득 등에 필요한 자료 및 도면을 작성하는 것이다.
(정답률: 75%)
  • "계곡선은 지형을 표시하는 데 기준이 되는 등고선이므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계곡선은 지형의 골짜기와 계곡을 나타내는 등고선으로, 지형을 표시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여 지형을 명확하게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평판 측량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속품이 많아서 분실하기 쉽다.
  2.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
  3. 레벨보다 고저 측량을 쉽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4.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답률: 77%)
  • "레벨보다 고저 측량을 쉽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레벨 측량은 수평면에서의 측량이므로 고저 측량을 하기 어렵지만, 평판 측량은 수직면에서의 측량이므로 고저 측량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의 다각측량에서 C에서 D를 향한 측선의 방위각은?

  1. 173° 50′
  2. 161° 10′
  3. 159° 40′
  4. 157° 30′
(정답률: 17%)
  • C에서 D를 향한 측선의 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도이므로, 먼저 북쪽에서부터 C까지의 방위각을 구해보면 173° 50′이다. 그리고 C에서 D를 향한 측선은 시계방향으로 12° 40′만큼 돌아가면 된다. 따라서 173° 50′ - 12° 40′ = 161° 10′이므로, 정답은 "161°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3차 중첩 보간법(cubic convolution)을 최근린보간법(Nearest Neighbor Interpolation)과 비교할 때 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력 영상소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입력 영상소의 평균과 표준편차와 잘 맞는다.
  2. 자료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손실되지 않는다.
  3. 계산이 가장 쉽고 빠르다.
  4. 출력영상이 매끄럽지 못하다.
(정답률: 80%)
  • 정답은 "출력 영상소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입력 영상소의 평균과 표준편차와 잘 맞는다." 입니다.

    3차 중첩 보간법은 입력 영상의 주변 16개의 픽셀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 출력 영상의 각 픽셀 값은 입력 영상의 픽셀 값들의 가중 평균으로 계산됩니다. 이 때 가중치는 3차 함수로 계산됩니다.

    이 방법은 최근린보간법과 비교하여 출력 영상이 매끄럽고 자료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손실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계산이 빠르고 쉬운 편이지만, 출력 영상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입력 영상과 잘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느 지점 P1의 직각좌표가 X1=-2,000m, Y1=1,000m 이고, 다른 지점 P2까지의 거리가 1,500m이며 의 방향각이 60°이었다면 이 때 P2의 직각좌표는?

  1. X2 = -1,250m, Y2 = 2,299m
  2. X2 = -701m, Y2 = 1,750m
  3. X2 = -2,299m, Y2 = 1,250m
  4. X2 = -1,750, Y2 = 701m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준타원체면상에서 한변의 길이가 20km인 정삼각형의 내각은 정확히 180°가 되지 않는다. 평면삼각형의 내각으로 환산하고자 할 때의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측정오차가 발생하였으므로 재측한다.
  2. 구과량을 구하여 각 내각에 1/3씩 빼준다.
  3. 구과량을 구하여 각 내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빼준다.
  4. 무시한다.
(정답률: 73%)
  • 기준타원체면상에서 한변의 길이가 20km인 정삼각형의 내각은 정확히 180°가 되지 않는 이유는 지구의 곡률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평면삼각형의 내각으로 환산하고자 할 때에는 적절한 보정이 필요하다.

    구과량을 구하여 각 내각에 1/3씩 빼주는 것은 이를 보정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 중 하나이다. 구과량은 지구의 곡률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를 구하여 각 내각에 반비례하여 빼주면 보정된 평면삼각형의 내각을 구할 수 있다. 1/3씩 빼주는 이유는 정삼각형의 경우 각 내각이 60°이므로, 180°에서 60°씩 빼주면 60°씩 보정된 평면삼각형의 내각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직사각형의 토지를 종, 횡으로 측정하여 65.45m, 58.55m를 얻었다. 길이의 측정값을 각각 ±1cm의 표준오차로 유지할 때 면적의 표준오차는?

  1. ±0.77m2
  2. ±0.88m2
  3. ±1.50m2
  4. ±1.76m2
(정답률: 70%)
  • 면적은 길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면적의 측정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면적 = 65.45m × 58.55m = 3832.9975m²

    길이의 측정값이 각각 ±1cm의 표준오차를 가지므로, 길이의 최대 편차는 2cm이다. 따라서 길이의 최대 편차를 이용하여 면적의 최대 편차를 구할 수 있다.

    최대 편차 = (65.45m + 0.01m) × (58.55m + 0.01m) - 65.45m × 58.55m = 2 × 65.45m × 0.01m + 0.01m × 0.01m ≈ 0.88m²

    따라서 면적의 표준오차는 "±0.88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각측량을 통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위각 330°, 거리 100m에 대한 경거의 값은 -50m이다
  2. 위거, 경거의 오차가 각각 3cm, 4cm일 때 폐합오차는 5cm이다.
  3. 측선 총거리가 100m, 폐합오차 0.05m일 때 정확도는 1/3,000이다.
  4. 각 측정의 정확도가 같을 때에는 오차를 각의 크기에 관계 없이 동일하게 배분한다.
(정답률: 70%)
  • "측선 총거리가 100m, 폐합오차 0.05m일 때 정확도는 1/3,000이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정확도는 측정된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ppm (parts per million) 단위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확도는 측선 총거리와 폐합오차만으로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정확도는 측정기기의 성능과 측정 방법 등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통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성선은 토지기복이 되는 선으로 주로 산악에 있어서 요선, 철선, 경사변환점 등을 나타내는 선이다.
  2. 경사변환선이란 지성선이 방향을 바꾸어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점 또는 분기하거나 합하여 지는 점이다.
  3. 능선이란 지표면이 높은 곳의 꼭대기 점을 연결한 선이다.
  4. 계곡선은 지표면이 낮거나 움푹 패인 점을 연결한 선으로 합수선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28%)
  • "경사변환선이란 지성선이 방향을 바꾸어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점 또는 분기하거나 합하여 지는 점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지성선은 산악 지형에서 요선, 철선, 경사변환선 등을 나타내는 선이며, 경사변환선은 지성선이 방향을 바꾸어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점이나 분기점, 합류점 등을 의미한다. 능선은 지형에서 높은 곳의 꼭대기 점을 연결한 선이며, 계곡선은 지형에서 낮거나 움푹 패인 점을 연결한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축척 1/5,000도상에서의 면적이 40.52㎝2이었다. 실제 면적은?

  1. 0.01㎞2
  2. 0.1㎞2
  3. 1.0㎞2
  4. 10.0㎞2
(정답률: 84%)
  • 축척 1/5,000도상에서의 면적은 실제 면적의 5,000배이므로, 실제 면적은 40.52㎝2 × 5,000 = 202,600㎝2이다. 이를 제곱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2.026㎡이다. 이를 제곱킬로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002026㎞2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0.1㎞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 중에서 굴절오차는 낮게, 곡률 오차는 높게 조정한다.
  2. 방위각은 진북방향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며, 방향각은 기준선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을 말한다.
  3.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다각측량에 의하여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은 결합트래버스 방법이다.
(정답률: 10%)
  •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이는 배각법이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미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도상에서 측점을 결정하고자할 때 사용되는 측량방법은?

  1. 전방 교회법
  2. 방사법
  3. 후방 교회법
  4. 절측법
(정답률: 알수없음)
  • 미지점에서 평판을 세우고 도상에서 측점을 결정하려면, 먼저 미지점에서 측량선을 놓고 그 측량선의 양쪽에서 도상을 관측해야 합니다. 이때, 측량선의 한쪽에서는 전방을 바라보고 다른 한쪽에서는 후방을 바라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을 후방 교회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후방 교회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갱내에서 직접 수준 측량을 한 결과이다. 1번점의 지반고가 100.24m 일때 3번점의 표고는? (단, 단위는 m임)

  1. 105.925m
  2. 105.435m
  3. 105.345m
  4. 100.240m
(정답률: 50%)
  • 1번점과 3번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5m이고, 1번점의 지반고가 100.24m이므로 3번점의 지반고는 100.24m + 5m = 105.24m 이다. 하지만, 3번점의 표고는 0.895m 이므로 105.24m - 0.895m = 105.345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5.34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를 고시해야 하는데 측량성과의 고시 내용에 포함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2.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3. 임시로 설치하는 측량표지의 수
  4. 측량의 정확도
(정답률: 70%)
  •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고시하는 측량성과의 내용은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측량의 정확도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임시로 설치하는 측량표지의 수는 측량성과의 고시 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측량표지는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측량성과의 영구적인 보존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 필요한 첨부자료 중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신청인의 신원증명서
  2. 법인인 경우 등기부등본
  3.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4.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정답률: 70%)
  • "신청인의 신원증명서"는 필요하지 않은 첨부자료이다. 이는 이미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서 신청인의 개인정보와 신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별도의 신원증명서를 첨부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측량 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의 연구발전에 관한 사항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3. 측량도서의 발간
  4. 공공측량의 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정답률: 25%)
  • 공공측량의 계획 수립은 측량 심의회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은 측량 심의회의 심의사항이 될 수 있지만, "공공측량의 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은 이미 측량 심의회의 주요 업무 중 하나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심의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측량기기 성능검사의 항목에서 금속관로 탐지기의 구조·기능 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액정표시부 이상유무
  2. 송수신장치 이상유무
  3. 탐지기, 케이블 이상유무
  4. 광학구심장치 이상유무
(정답률: 80%)
  • 금속관로 탐지기는 광학구심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광학구심장치 이상유무는 검사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의 이전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1. 측량표의 이전은 전혀 불가능하다.
  2.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이전이 가능하며 비용은 신청자가 부담한다.
  3.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이전이 가능하며 비용은 국가가 부담한다.
  4. 임의로 이전하고 그결과를 건설교통부장관에게 통보하면 된다.
(정답률: 62%)
  • 측량표의 이전은 전혀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전이 가능하며, 이 경우 비용은 신청자가 부담합니다. 이전을 하기 위해서는 건설교통부장관에게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1/25,000지형도 도식규정에서 지류의 표시원칙으로 잘못된것은?

  1. 지류계와 지류기호로 표시한다.
  2. 기호는 도곽하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표시한다.
  3. 잡초지를 포함한 거치른 땅으로서 경지로 사용되지 않는 토지는 풀밭 지류기호로서 표시한다.
  4. 일반적으로 도상에서 5㎜2인 것에 대하여 표시한다.
(정답률: 64%)
  • 잡초지를 포함한 거치른 땅으로서 경지로 사용되지 않는 토지는 풀밭 지류기호로서 표시한다. - 이것은 올바른 원칙입니다. 지류기호는 지형도상에서 지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지류계와 함께 사용됩니다. 기호는 도곽하변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도상에서 5㎜2인 것에 대하여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세계측지계라 함은 지구를 편평한 회전타원체로 상정하여 실시하는 위치측정의 기준이다. 다음중 회전타원체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회전타원체의 장반경은 6,378,137미터 이다.
  2. 회전타원체의 중심이 지구의 질량중심과 일치할 것
  3. 회전타원체의 편평율은 298.257222101분의 1 이다.
  4. 회전타원체의 장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
(정답률: 70%)
  • "회전타원체의 장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이 잘못된 설명이다. 회전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근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모델이며,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타원체의 장축은 지구의 적도와 수직이며, 지구의 자전축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중심을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명의 고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2.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
  3.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
  4. 관련지역 표기지도
(정답률: 29%)
  • "관련지역 표기지도"는 지명의 고시 사항 중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지명의 고시 사항은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관련지역 표기지도는 지명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보조적인 자료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를 감시할 의무가 있는 자는?

  1. 도지사
  2. 대전광역시장
  3. 측지기사
  4. 용인시장
(정답률: 69%)
  •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는 토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해당 토지의 소유자인 용인시장이 감시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토지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1/50,000 지형도상의 직각좌표는 몇 km 단위로 분할하여 표시 하는가?

  1. 1 km
  2. 2 km
  3. 3 km
  4. 4 km
(정답률: 73%)
  • 1/50,000 지형도상에서 1cm는 실제 거리로 50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km 단위로 분할하여 표시하면 1cm 당 1km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 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성능검사 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할 수 없는 것은?

  1.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때
  2. 등록 기준에 미달하게 된 때
  3. 업무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영업을 한 때
  4. 정당한 사유없이 성능검사를 거부 또는 기피한 때
(정답률: 73%)
  • 정당한 사유없이 성능검사를 거부 또는 기피한 경우는 성능검사 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이는 성능검사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성능검사 대행자가 성능검사를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경우에도 대행자의 등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측량법상 측량기록이란?

  1. 측량실시를 위한 자료조사기록
  2.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 기록
  3. 측량계획에 관한 기록
  4. 측량성과를 얻을 때 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기록
(정답률: 80%)
  • 측량기록은 측량을 실시하기 전에 계획을 세우고, 측량을 실시하면서 수집한 자료와 결과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측량을 실시하기 위해 수행한 작업과 과정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측량성과를 얻을 때 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기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이외의 사유로 해산한 때에 신고의무자는?

  1. 청산인
  2. 측량업자이었던 개인
  3. 법인의 대표자
  4. 파산관재인
(정답률: 80%)
  •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이외의 사유로 해산되면, 법인의 자산을 처분하고 채무를 상환하는 과정인 청산이 진행됩니다. 이때, 청산을 담당하는 사람이 청산인입니다. 따라서, 신고의무자는 청산인에게 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측량법에 의한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 부터 최대 며칠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가?

  1. 7일 이내
  2. 15일 이내
  3. 20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법 제44조에 따르면, 측량법에 의한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법의 규정에 따라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2.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3. 국지적 측량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측량
  4. 도시계획 측량
(정답률: 50%)
  • 정답은 "도시계획 측량"입니다.

    도시계획 측량은 측량법에서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도시계획 측량은 도시계획에 필요한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부동산 거래나 건축물 건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시계획 측량은 도시계획 관련 기관에서 수행하며, 측량법에서는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면적이 1㎞2이상인 삼각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인공위성 등에서 취득한 영상정보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측량
  4. 측량노선의 길이가 1㎞이상인 수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측량을 말하며, 이에는 국토의 기초가 되는 측량면적이나 지도제작 등이 포함됩니다. 반면에 측량노선의 길이가 1㎞ 이상인 수준측량은 일반적인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측량에 해당하며, 공공측량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량노선의 길이가 1㎞이상인 수준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공측량에 관한 작업규정의 작성권자는?

  1. 공공측량 작업기관
  2. 공공측량 계획기관
  3. 측량업자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65%)
  • 공공측량에 관한 작업규정은 공공측량 계획기관이 작성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의 계획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측량업자들의 작업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에 관한 작업규정의 작성권자는 공공측량 계획기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의 기준이 되는 대한민국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의 지점과 그 수치는 무엇으로 정하는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건설교통부령
  4. 국토지리정보원 내규
(정답률: 91%)
  • 측량의 기준이 되는 대한민국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의 지점과 수치는 대한민국 정부가 정하는 것이며, 이를 규정하는 법령은 대통령령입니다. 다른 보기인 국무총리령, 건설교통부령, 국토지리정보원 내규는 이와 관련된 법령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측량표 중 영구표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측량표지막대
  2. 자기점표석
  3. 수준점표석
  4. 검조의
(정답률: 70%)
  • 영구표지는 지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측량표지막대는 영구표지에 속하지 않는다. 측량표지막대는 측량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임시적인 기둥으로, 측량 작업이 끝나면 제거되기 때문이다. 자기점표석, 수준점표석, 검조의는 지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영구표지이다. 자기점표석은 지적 경계나 건물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수준점표석은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검조의는 지형의 경사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기본측량에 관한 연간계획을 하는 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시.도지사
  4. 대한측량협회장
(정답률: 60%)
  • 기본측량은 국토의 토지나 건물 등의 위치와 면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연간계획을 수립하는 주체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