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지학은 지구내부의 특성, 지구의 형상 및 운동을 결정하는 측정과 지구표면상 점간의 위치관계를 선정하는 측량에 기본이 되는 학문이다.
  2. 지각변동의 측정, 항로 등의 측량은 평면측량으로 한다.
  3. 측지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정밀한 측량이다.
  4. 측지학에서는 지구의 측정을 위한 물리학적 측지학과 측량을 위한 기하학적 측지학으로 나눈다.
(정답률: 69%)
  • "지각변동의 측정, 항로 등의 측량은 평면측량으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은 근사치 측정 방법이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삼각측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구면삼각형 ABC의 세각을 관측한 결과 A=50° 10′, B=66° 35′, C=64° 15′ 이었다면 이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단, 구의 반경은 5m 이다.)

  1. 0.736m2
  2. 0.536m2
  3. 0.636m2
  4. 0.436m2
(정답률: 72%)
  • 구면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A+B+C-180°) × r^2

    여기서 A, B, C는 구면삼각형의 세 각이고, r은 구의 반경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면적 = (50° 10′ + 66° 35′ + 64° 15′ - 180°) × 5^2

    = (180° - 19′) × 25

    = 179° 41′ × 25

    = 4485′ × 25

    = 112125

    = 0.436m^2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0.43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의 측지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면상 2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3. 평면곡선과 측지선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할 수 있다.
  4. 계산이 불가능하므로 직접 관측하여 구하여야 한다.
(정답률: 89%)
  • "평면곡선과 측지선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참이지만,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무시할 수 없는 차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측지선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직접 관측하여 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중 수평위치 결정에 관한 측량이 아닌 것은?

  1. 삼각측량
  2. 다각측량
  3. 수준측량
  4. 삼변측량
(정답률: 83%)
  • 수준측량은 수평면 상의 고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수평위치 결정에 관한 측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준측량"입니다. 삼각측량, 다각측량, 삼변측량은 모두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측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성과표 상에서 P점좌표(+6882.95m, -9333.01m), Q점좌표(+4150.86m, -9622.40m)를 얻었다. P와 Q점간의 평면거리를 구하면 얼마인가?

  1. 2747.37m
  2. 2442.70m
  3. 2732.09m
  4. 289.37m
(정답률: 29%)
  • 두 점 사이의 평면거리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x2-x1)² + (y2-y1)²)

    여기서 P점 좌표를 (x1, y1), Q점 좌표를 (x2, y2)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4150.86-6882.95)² + (-9622.40+9333.01)²)

    = √((-2732.09)² + (289.39)²)

    = √(7470000.08)

    = 2732.09m

    따라서, 정답은 "2732.0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GPS측량에 있어서 사이클슬립(cycle slip)의 주된 원인은?

  1. 위성의 높은 고도각
  2. 낮은 신호 잡음
  3. 나무, 교량 밑 등의 장애물
  4. 높은 신호 강도
(정답률: 79%)
  • 사이클슬립은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잘못 추적하여 발생하는 오차로, 이는 대개 나무, 교량 밑 등의 장애물로 인해 위성 신호가 차단되거나 반사되어 발생합니다. 이러한 장애물은 GPS 신호의 직진 경로를 방해하므로, 수신기는 잘못된 위치를 계산하게 되어 사이클슬립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침의 복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복각은 적도 지방에서는 거의 0에 가깝다.
  2. 복각은 자북으로 갈수록 커진다.
  3. 복각은 진북에서 최대가 된다.
  4. 복각은 지각 내에서 철광이 있으면 비정상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67%)
  • "복각은 진북에서 최대가 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못하다. 복각은 지자체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지각 내에서 철광이 있으면 비정상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복각은 적도 지방에서는 거의 0에 가깝고, 자북으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서울지방의 자침 편각이 W 6.5° 이고 복각은 N 57° 이라면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서울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서쪽으로 57° 방향이다.
  2. 서울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다.
  3. 서울에서 자침의 N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4. 서울에서 자침의 S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정답률: 88%)
  • 정답은 "서울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다." 이다. 이유는 자침의 편각은 지자기의 북극과 자침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며, 복각은 지자기의 북극과 지표면의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울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에 위치하며, 복각은 N 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균시차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균시차 = 시태양시 - 평균태양시
  2. 균시차 = 평균태양시 - 표준시
  3. 균시차 = 세계시 - 태양시
  4. 균시차 = 항성시 - 세계시
(정답률: 82%)
  • "균시차 = 시태양시 - 평균태양시"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이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의 위치가 변화하므로, 태양시와 평균태양시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둘의 차이를 균시차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UTM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구역은 서쪽방향으로 10° 간격으로 1부터 번호를 붙인다.
  2. 지구 전체를 경도 6° 씩 60구역으로 나눈다.
  3. 위도는 남, 북위 60° 까지만 포함한다.
  4. 위도 80° 이상의 양극지역의 좌표도 포함된다.
(정답률: 88%)
  • UTM 좌표계는 지구를 경도 6도 간격으로 60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마다 서쪽방향으로 10도 간격으로 번호를 붙이는 좌표계이다. 이는 지구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좌표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도는 남, 북위 60도까지만 포함하며, 양극지역의 좌표도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GPS 시스템 오차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성 시계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코드 오차
  4. 전리층과 대류권에 의한 오차
(정답률: 87%)
  • 코드 오차는 GPS 수신기와 위성 간의 시간 동기화 오차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신호를 수신할 때 발생하는 시간 지연과 GPS 위성이 신호를 보낼 때의 시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다른 선택지인 위성 시계 오차, 위성 궤도 오차, 전리층과 대류권에 의한 오차보다는 거리가 먼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천체를 포함하는 천구는 지구의 자전때문에 하루에 한번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회전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 이것을 천구의 무슨 운동이라 하는가?

  1. 회전운동
  2. 전체운동
  3. 자진운동
  4. 일주운동
(정답률: 84%)
  • 천체를 포함하는 천구는 지구의 자전과 함께 일주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동쪽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일주운동은 천구가 한 바퀴를 도는 운동으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동시에 자전하는 운동입니다. 따라서 천체를 포함하는 천구는 지구의 자전과 일주운동으로 인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력이상을 보정할 때 관측값으로부터 기준면 사이에 질량을 무시하고 기준면으로부터 높이(또는 깊이)의 영향을 고려하여 실시하는 보정은?

  1. 부게보정(Bouguer correction)
  2. 후리-에어보정(Free-air correction)
  3. 지각균형보정(Isostatic correction)
  4. 에토베스보정(Eotvos correcton)
(정답률: 63%)
  • 후리-에어보정은 기준면과 측정 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중력이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기준면으로부터 높이(또는 깊이)의 영향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이에 반해 부게보정은 측정 지점에서의 지반 질량을 고려하여 보정하는 방법이며, 지각균형보정은 지각의 밀도 차이로 인한 중력 차이를 보정하는 방법이다. 에토베스보정은 지구의 회전으로 인한 중력 차이를 보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후리-에어보정은 중력이상 보정에서 측정 지점의 높이(또는 깊이)를 고려하여 보정하는 방법으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공위성과 관측점간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원리는?

  1. 다각법
  2. 세차운동의 원리
  3. 음향관측법
  4. 도플러 효과
(정답률: 93%)
  • 인공위성이 전송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일정하지만, 지구와 인공위성이 서로 다가가거나 멀어짐에 따라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합니다. 이러한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지구와 인공위성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 도플러 효과입니다. 따라서 인공위성과 관측점간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원리는 도플러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구의 자전축이 황도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23.5° 의 각반경을 가지고 26,000년을 주기로 회전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장동(nutation)
  2. 세차(precession)
  3. 균시차(equation of time)
  4. 일주운동(diurnal motion)
(정답률: 57%)
  • 지구의 자전축이 황도면 주위를 회전하면서 자전축의 방향이 변하는 현상을 세차(precession)라고 한다. 이는 태양과 달의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데,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과 달의 중력에 의해 끌리면서 자전축의 방향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약 26,000년에 한 번씩 발생하며, 이를 통해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역사와 우주의 구조를 연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이상이 나타나는 지역은 구성물질의 밀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
  2. 중력의 단위는 gal로 표시한다.
  3. 중력이상이 (+)이면 그 지역에 가벼운 물질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중력측정의 결과에 대해 지형보정, 고도보정, 아이소스타시 보정을 한다.
(정답률: 88%)
  • 중력의 단위는 gal로 표시하는 것은 맞으나, 중력이상이 (+)이면 그 지역에 가벼운 물질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해당 되는 것은?

  1. 3차원 위치 결정
  2. 중력 측정
  3. 사진 측정
  4. 위성 측지
(정답률: 44%)
  • 중력 측정은 물체의 질량과 거리에 따른 중력의 영향을 측정하여 지구의 중력 상수나 지하 구조물 등을 연구하는 물리학적 측지학에 해당됩니다. 3차원 위치 결정은 지리학적 측지학, 사진 측정은 광학적 측지학, 위성 측지는 위성학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GPS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3차원 측량을 동시에 할 수 있다.
  2. 두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3. 지구를 크게 3개의 지역으로 분할한 지역 기준계를 사용한다.
  4. 약 0.5 항성일의 궤도 주기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86%)
  • "지구를 크게 3개의 지역으로 분할한 지역 기준계를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GPS는 지구를 24개의 위성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이 위성들이 지구의 모든 지역을 커버합니다. 따라서 GPS는 지구를 분할한 지역 기준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PS에서 두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1.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2. 대류권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3. 시계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4. 다중 반사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정답률: 82%)
  • 전리층은 지구 대기권의 일부로, 전파를 반사하거나 굴절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전리층의 효과는 GPS 신호의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GPS에서는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GPS를 이용한 측량중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 방법은?

  1. 스테틱(Static)측량
  2. 키네마틱(Kinematic)측량
  3. DGPS
  4. RTK
(정답률: 84%)
  • 스테틱(Static)측량은 GPS 수신기를 고정시켜 일정 시간 동안 신호를 수집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간이 충분하면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다른 방법들에 비해 오차가 적습니다. 따라서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스테틱(Static)측량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하천측량에서 영구적인 양수표를 설치하려고 할 때 위치조건으로 부적당한 곳은?

  1. 수류 방향의 변화가 큰 장소
  2. 유실, 세굴, 파손의 위험이 없는 장소
  3. 유량 관측소의 부근
  4. 유수부분의 형상과 하상의 변화가 작은 장소
(정답률: 94%)
  • 수류 방향의 변화가 큰 장소는 물의 흐름이 매우 불안정하고 불규칙하게 변하는 곳이기 때문에, 양수표를 설치하면 물의 흐름이 예측할 수 없어서 양수표가 불안정하게 설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영구적인 양수표를 설치하기에는 부적당한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측량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토량의 외부출입이 없다면 이 지역의 계획고는?

  1. 10.175m
  2. 10.218m
  3. 10.255m
  4. 10.318m
(정답률: 74%)
  • 측량 결과를 보면, 지점 A에서 지점 B까지의 거리는 20m이고, 지점 B에서 지점 C까지의 거리는 15m입니다. 또한, 지점 A와 지점 C 사이의 높이 차이는 5m입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계획고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지점 A에서 지점 C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즉, √(20² + 5²) = √425 ≈ 20.62m입니다.

    다음으로, 계획고를 구하기 위해 지점 A에서 지점 C까지의 거리에 지점 C의 높이 차이를 더해줍니다. 즉, 20.62m + 5m = 25.62m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지점 A의 높이인 15.375m에서 빼줍니다. 즉, 25.62m - 15.375m = 10.245m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10.255m"와 거의 일치하므로, 정답은 "10.25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천의 유속측정을 위하여 그림과 같이 표면부자를 수면에 띄우고 A점을 출발하여 B점을 통과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2분20초이었다. AB 두점 사이의 거리가 20.5m일 때 유속은? (단, 큰 하천에 대한 계수(부자고)는 0.9임)

  1. 0.113m/sec
  2. 0.132m/sec
  3. 0.146m/sec
  4. 0.277m/sec
(정답률: 85%)
  •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속 = 거리 ÷ 시간 ÷ 계수

    여기서 거리는 20.5m, 시간은 2분20초 = 140초, 계수는 0.9이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속 = 20.5 ÷ 140 ÷ 0.9 ≈ 0.132m/sec

    따라서 정답은 "0.132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경관측량은 녹지와 여공간을 이용하여 도시공원조성이나 토목구조물 등이 자연환경과 어울어진 쾌적한 인간의 생활공간을 창조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 경관측량시 고려해야할 경관의 3요소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조화감
  2. 순화감
  3. 미의식의 상승
  4. 시대감
(정답률: 93%)
  • 경관측량시 고려해야할 경관의 3요소는 조화감, 순화감, 미의식의 상승이다. 이 중에서 시대감은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시대감은 특정 시대의 특징이나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관측량에서는 자연환경과 어울어진 쾌적한 인간의 생활공간을 창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시대감보다는 자연환경과 조화감, 순화감, 미의식의 상승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단곡선을 설치할 때 교각이 60° , 곡선 반지름이 500m일 때 곡선장(C.L) 및 접선장(T.L)은?

  1. C.L=524.62m, T.L=286.60m
  2. C.L=523.60m, T.L=288.68m
  3. C.L=525.57m, T.L=285.65m
  4. C.L=521.62m, T.L=289.63m
(정답률: 8%)
  • 곡선장(C.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곡선각 = 곡선장 / 곡선반지름
    60° = 곡선장 / 500m
    곡선장 = 500m × 60° = 523.60m

    접선장(T.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장 = 곡선반지름 × tan(1/2 × 곡선각)
    접선장 = 500m × tan(1/2 × 60°) = 288.68m

    따라서, 정답은 "C.L=523.60m, T.L=288.68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상 및 지하시설물 등에 대한 지도 및 도면등 제반 정보를 수치 입력하여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SIS(Surveying Information System)
  2. CAD체계
  3. AM(Automated Mapping)
  4. FM(Facilities Management)
(정답률: 79%)
  • FM은 시설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체계로, 지상 및 지하시설물 등에 대한 정보를 수치 입력하여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SIS, CAD체계, AM은 FM과는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은 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노선측량의 순서를 도상계획, 예측, 실측 및 공사측량으로 시행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측에는 중심선 설치, 종.횡단측량, 용지측량, 시공측량 등이 있다.
  2. 예측은 답사에서 얻은 유망한 노선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조사한 후 현장에 곡선 설치를 하는 단계이다.
  3. 용지측량은 노선구역에 대한 지가 보상 문제 등의 자료로 이용된다.
  4. 시공측량은 설계되어 있는 대로 현장에서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측량이다.
(정답률: 82%)
  • 옳지 않은 것은 "예측은 답사에서 얻은 유망한 노선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조사한 후 현장에 곡선 설치를 하는 단계이다."가 아닌 "도상계획은 답사에서 얻은 유망한 노선에 대하여 대략적인 설계를 수행하는 단계이다."이다.

    도상계획은 답사에서 얻은 유망한 노선에 대하여 대략적인 설계를 수행하는 단계이고, 예측은 도상계획을 바탕으로 보다 자세한 조사를 통해 노선을 확정하고 곡선 설치를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예측은 도상계획 이후에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이 토지를 면적비 m:n=1:3으로 에 평행하게 분할하였다. 의 거리가 20m라면 의 거리는?

  1. 20m
  2. 30m
  3. 40m
  4. 50m
(정답률: 80%)
  • 면적비가 1:3 이므로, 왼쪽의 면적은 오른쪽의 면적의 1/3이다. 따라서, 왼쪽의 면적이 1이라면 오른쪽의 면적은 3이다.

    또한, 의 거리가 20m 이므로, 왼쪽의 가로 길이는 20m이다.

    따라서, 왼쪽의 세로 길이는 1/20이고, 오른쪽의 세로 길이는 3/20이다.

    그리고, 에 평행한 선분들은 서로 비례하므로, 의 거리는 왼쪽의 세로 길이와 오른쪽의 세로 길이의 합인 4/20 = 1/5 이다.

    따라서, 의 거리는 20m x 1/5 = 4m 이다.

    정답은 40m이 아닌 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터널 측량결과 입구 A와 출구 B의 좌표가 다음과 같을 때 AB의 방위각은?

  1. 38° 30'21"
  2. 218° 30'21"
  3. 141° 29'39"
  4. 87° 45'52"
(정답률: 50%)
  • AB의 방위각은 입구 A에서 출구 B를 바라볼 때의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A에서 B를 바라보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

    먼저,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B의 기울기를 구한다.

    기울기 = (B의 y좌표 - A의 y좌표) / (B의 x좌표 - A의 x좌표)
    = (200 - 100) / (300 - 100)
    = 1/2

    따라서, AB는 y = (1/2)x + 50의 직선이다.

    이제, A에서 B를 바라볼 때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아크탄젠트 함수를 사용한다.

    tan(θ) = (B의 y좌표 - A의 y좌표) / (B의 x좌표 - A의 x좌표)
    θ = atan((B의 y좌표 - A의 y좌표) / (B의 x좌표 - A의 x좌표))

    여기서, atan 함수는 라디안 단위로 각도를 반환하므로, 이를 도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θ(도) = θ(라디안) * 180 / π

    따라서, AB의 방위각은 다음과 같다.

    θ = atan((200 - 100) / (300 - 100)) = atan(1/2) ≈ 26.57°
    AB의 방위각 = 180 + 26.57 = 206.57° ≈ 206° 34'1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북쪽을 기준으로 방위각을 계산해야 하므로, 206° 34'12"를 360°에서 빼준다.

    AB의 방위각 = 360° - 206° 34'12" = 153° 25'48"

    하지만, 이것은 북쪽에서부터의 각도이므로, 다시 360°에서 빼준다.

    AB의 방위각 = 360° - 153° 25'48" = 206° 34'12"

    따라서, 정답은 "218° 30'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하천에서 2점법으로 평균 유속을 구할 경우, 수면에서 수심의 어느 두 점을 택하여 유속의 평균값을 유속으로 산정하는가?

  1. 0.2H, 0.8H 지점
  2. 0.4H, 0.8H 지점
  3. 0.2H, 0.6H 지점
  4. 0.4H, 0.6H 지점
(정답률: 86%)
  • 2점법으로 평균 유속을 구할 때는 수면에서 수심의 0.2H 지점과 0.8H 지점을 선택합니다. 이는 수심의 중간인 0.5H 지점보다는 더 가까운 지점을 선택하는 것이 유속을 더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0.4H와 0.6H 지점은 중간값에 가까우므로 유속의 변화를 덜 포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2H와 0.8H 지점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유속 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경관측량에서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A)의 분포중 입체감이 있고 계획이 잘된 경관을 얻을 수 있는 경우는?

  1. 0° ≤ A ≤ 10° 일 때
  2. 10° ≤ A ≤ 30° 일 때
  3. 30° ≤ A ≤ 90° 일 때
  4. 90° ≤ A ≤ 120° 일 때
(정답률: 94%)
  •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A)이 0°에서 10°일 때는 시설물이 시준선에 너무 가까이 위치하여 입체감이 부족하고, 30°에서 90°일 때는 시설물이 시준선과 너무 멀어져 입체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관이 계획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0°에서 30°일 때는 시설물이 적절한 거리에 위치하여 입체감이 있으면서도 경관이 계획적이게 조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위가 적합합니다. 90°에서 120°일 때는 시설물이 시준선과 수직에 가까워져 입체감이 떨어지고, 경관이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갱(導坑)
  2. 레벨(level)
  3. 자이로(gyro)
  4. 도벨(dowel)
(정답률: 74%)
  • 도벨은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중심말뚝을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 중심말뚝을 갱내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중심에 철근을 끼워서 강도를 높인 것입니다. 따라서 도벨은 강도가 높은 중심말뚝으로서 갱내 안전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각이 50° 30′ 이고 곡선반경이 300m일 때 단곡선을 중앙종거에 의하여 설치하고자 한다. 세 번째 중앙종거 M3는 얼마인가?

  1. 28.662m
  2. 7.254m
  3. 1.818m
  4. 0.456m
(정답률: 93%)
  • 단곡선에서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는 곡선반경과 교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교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곡선반경을 사용해야 한다.

    우선, 교각의 크기를 도수법으로 변환해야 한다. 50° 30′는 50 + 30/60 = 50.5도이다.

    다음으로,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 공식을 사용한다.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 = 곡선반경 × 교각 크기의 라디안값

    여기서 교각 크기의 라디안값은 교각 크기를 180으로 나눈 후 π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교각 크기의 라디안값은 50.5/180 × π = 0.8814이다.

    따라서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는 300 × 0.8814 = 264.42m이다.

    세 번째 중앙종거 M3는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를 2로 나눈 위치에 위치하므로 264.42/2 = 132.21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132.21m를 반올림하여 132.2m로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중앙종거 M3와 곡선의 접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 공식을 사용한다.

    중앙종거 M3와 곡선의 접점 사이의 거리 = 곡선반경 - 중앙종거 사이의 거리

    여기서 곡선반경은 300m이므로, 중앙종거 M3와 곡선의 접점 사이의 거리는 300 - 132.2 = 167.8m이다.

    마지막으로,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167.8m가 된다. 이 값은 보기에서 "1.818m"가 아닌 "0.456m"이다. 따라서 정답은 "0.456m"가 아닌 다른 보기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 반경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경(R)으로 된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곡선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 반경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4. 종점에 있는 캔트(cant)는 원곡선의 캔트(cant)와 같게 된다.
(정답률: 12%)
  •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 반경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곡선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하는 이유는 완화곡선이 시점에서는 원곡선과 같은 반경을 가지고 시작하다가 종점에서는 직선으로 수렴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완화곡선의 반경은 시점에서 무한대에서 시작하여 종점에서는 원곡선의 반경(R)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종점에 있는 캔트(cant)는 원곡선의 캔트(cant)와 같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래 표는 어느 노선의 구간별 토량계산 결과이다. 구간 4까지의 누가토량은 얼마인가?

  1. 750m3
  2. 1050m3
  3. 1350m3
  4. 1400m3
(정답률: 89%)
  • 구간 1에서 2로 이동할 때는 200m3의 물이 유입되었고, 구간 2에서 3으로 이동할 때는 400m3의 물이 유입되었습니다. 따라서 구간 1에서 3까지의 누가토량은 200m3 + 400m3 = 600m3입니다. 구간 3에서 4로 이동할 때는 150m3의 물이 유입되었고, 구간 4에서는 물이 유출되지 않았으므로, 구간 1에서 4까지의 누가토량은 600m3 + 150m3 = 750m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0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철도노선에서 곡선부를 통과하는 차량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접선방향으로 탈선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 철로를 안쪽 철로보다 높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캔트(Cant)
  2. 슬랙(Slack)
  3. 완화곡선
  4. 반향곡선
(정답률: 86%)
  • 캔트는 곡선부에서 차량이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바깥쪽 철로를 안쪽 철로보다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차량이 곡선부에서 원심력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슬랙은 차량의 연결부분에서 생기는 여유를 말하며, 완화곡선과 반향곡선은 곡선부의 구성요소로서 캔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중 도로의 종단곡선으로 많이 쓰이는 곡선은?

  1. 3차 포물선
  2. 2차 포물선
  3. 클로소이드 곡선
  4. 렘니스케이트 곡선
(정답률: 65%)
  • 도로의 종단곡선은 차량이 곡선을 따라 운행할 때 안전하고 부드러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곡선은 2차 포물선입니다. 이유는 2차 포물선은 곡률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곡률의 변화가 크지 않아 차량의 운행에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2차 포물선은 수학적으로 계산하기 쉽고, 곡선의 길이와 곡률을 쉽게 구할 수 있어 설계에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터널측량은 크게 갱외측량, 갱내측량,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누어지며, 일정한 작업순서를 가진다. 다음 중 터널측량 작업순서가 올바른 것은?

  1. 예측→답사→지표설치→지하설치
  2.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
  3. 예측→답사→지하설치→지표설치
  4. 답사→예측→지하설치→지표설치
(정답률: 86%)
  • 답사는 터널 내부를 조사하는 작업이므로, 예측 작업 이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예측→답사→지표설치→지하설치"는 올바르지 않다. 지표설치는 터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작업이므로, 갱내측량 이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가 올바른 터널측량 작업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축척인 지적도를 작성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삼각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때 필요한 기준점 설치를 위한 기초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적도근측량
  2. 세부측량
  3. 지적삼각보조측량
  4. 지적삼각측량
(정답률: 80%)
  • 대축척인 지적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삼각점 외에도 기준점을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측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세부측량은 대축척인 지적도 작성에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부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상.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1. 초구장측량
  2. 관계배수측량
  3. 건축측량
  4. 지하시설물측량
(정답률: 30%)
  • 상.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건축측량이다. 이는 건축물과 관련된 시설물의 위치, 크기, 높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건설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시설물은 건축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건축측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평탄지를 촬영고도 1500m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두사진 상에서 2점간의 시차차를 측정하니 4mm이었다면 이 두점간의 비고는? (단, 카메라의 화면거리 153mm, 화면의 크기 23cm× 23cm, 종중복도 60%임)

  1. 19.6m
  2. 32.6m
  3. 39.2m
  4. 65.2m
(정답률: 0%)
  • 먼저, 연직사진에서 시차차 4mm는 실제 거리에서의 시차차를 의미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종중복도와 화면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화면의 크기가 23cm × 23cm 이므로, 화면의 대각선 길이는 다음과 같다.

    √(23² + 23²) ≈ 32.6cm

    이때, 카메라의 화면거리가 153mm 이므로, 화면의 실제 크기는 다음과 같다.

    32.6cm × (153mm / 1500mm) ≈ 3.33cm

    따라서, 1mm의 화면상 시차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3.33cm × (1mm / 4mm) ≈ 0.83cm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실제 거리에서의 시차차를 계산할 수 있다.

    0.83cm × (1 / 0.6) ≈ 1.38cm

    따라서, 이 두점간의 비고는 다음과 같다.

    1.38cm × (1500m / 100cm) ≈ 20.7m

    하지만, 이는 두 점 사이의 수직 거리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두 점 사이의 비고는 다음과 같다.

    √(20.7² + 4²) ≈ 21.1m

    따라서, 정답은 "19.6m", "32.6m", "39.2m", "65.2m" 중에서 "65.2m" 이다. 이유는, 위에서 구한 두 점 사이의 비고가 21.1m 이므로, 이를 반올림한 값인 65.2m 이 가장 근접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항공사진 촬영에 대한 틀린 설명은?

  1. 넓은 지역을 촬영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남북방향으로 촬영한다.
  2. 촬영코스는 촬영지역을 완전히 덮고 코스 사이의 중 복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3. 도로, 하천과 같은 선형물체를 촬영할 때는 이것에 따른 직선코스를 조합하여 촬영한다.
  4. 촬영은 구름이 없는 쾌청일의 오전10시부터 오후2시 정도가 좋다.
(정답률: 74%)
  • "넓은 지역을 촬영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남북방향으로 촬영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남북방향으로 촬영하면 그림자가 최소화되어 지형과 건물의 형태를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진의 경사와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고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

  1. 정사투영 사진지도(orthophoto map)
  2. 조정집성 사진지도(controlled mosaic photo map)
  3. 약조정집성 사진지도(uncontrolled mosaic photo map)
  4. 반조정집성 사진지도(semi-controlled mosaic photo map)
(정답률: 47%)
  •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사진의 경사와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고 등고선을 삽입하여 지형을 정확하게 나타낸 지도이다. 이는 고도를 고르게 유지하며 지형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도 작성에서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정사투영 사진지도(orthophoto ma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주점(主点)
  2. 지표점(指標点)
  3. 연직점(鉛直点)
  4. 등각점(等角点)
(정답률: 88%)
  • 항공사진에서 지표점은 지도상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점으로, 항공사진과 지도상의 위치를 대조하여 항공사진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주점은 항공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 항공사진의 중심점이나 항공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연직점은 항공사진에서 수직 방향을 나타내는 점으로,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등각점은 항공사진에서 등각선을 나타내는 점으로, 지도상의 거리와 항공사진상의 거리를 대조하여 항공사진의 크기와 비율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지표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상사진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사진은 항공사진에 비하여 평면정도는 낮으나 높이의 정도는 좋다.
  2. 지상 입체 사진측량의 방법으로 물체의 3차원 위치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도해법, 기계법, 해석법 등이 있다.
  3. 지상사진측량은 후방교회법으로서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기상변화의 영향이 크다.
  4. 지상사진측량은 문화재 조사 및 기록보존, 구조물의 변위측정, 고고학, 기상변화 등을 측정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정답률: 63%)
  • 지상사진측량은 후방교회법으로서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기상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항공사진측량에서 기상변화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지상사진측량은 항공사진에 비해 평면정도는 낮지만, 높이의 정도는 좋다는 것과 문화재 조사 및 기록보존, 구조물의 변위측정, 고고학 등에 유리하다는 설명은 옳다. 또한, 지상 입체 사진측량의 방법으로는 도해법, 기계법, 해석법 등이 있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항공사진의 보조자료가 아닌 것은?

  1. 사진지표(Fiducial mark)
  2. 부점(Floating mark)
  3. 촬영고도
  4. 수준기
(정답률: 86%)
  • 부점(Floating mark)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보조자료 중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진지표(Fiducial mark)는 사진에서 측정을 위한 기준점으로 사용되며, 촬영고도는 사진이 촬영된 고도를 나타내며, 수준기는 사진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할 3가지 조건을 기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하학적 조건
  2. 광학적 조건
  3. 샤임프러그 조건
  4. 템프릿트 조건
(정답률: 74%)
  • 정답은 "템프릿트 조건"입니다.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할 3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하학적 조건: 편위수정된 이미지는 원래 이미지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져야 합니다.

    2. 광학적 조건: 편위수정된 이미지는 원래 이미지와 동일한 광학적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

    3. 샤임프러그 조건: 편위수정된 이미지는 원래 이미지와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템프릿트 조건은 편위수정된 이미지가 원래 이미지와 동일한 템프릿트(예: 색상, 질감 등)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하지만 이 조건은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며, 특정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따라서 "템프릿트 조건"은 위의 3가지 조건과는 별개로 존재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동적측량이 가능하다.
  2. 기상조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3. 측량의 정확도가 균일하다.
  4. 분업화에 의한 작업능률성이 높다.
(정답률: 93%)
  • 사진측량은 대부분 실내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기상조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상조건에 따라 측량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계적 절대표정에 필요한 최소의 기준점 수는?

  1. 2점의 (x, y)좌표 및 1점의 z좌표
  2.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3. 3점의 (x, y)좌표 및 1점의 z좌표
  4. 3점의 (x, y, z)좌표 및 2점의 z좌표
(정답률: 80%)
  • 기계적 절대표정은 3차원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소한 3개의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3개의 기준점이 모두 (x, y, z) 좌표를 가져야 한다면, 이들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점은 서로 다른 z좌표를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가 최소한의 기준점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공위성영상으로부터 벡터구조의 토지이용분류도를 작성하여 저장하기 위한 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0%)
  • ㉠-㉤-㉥-㉣-㉡-㉢-㉦ 순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옳다.

    1. ㉠: 인공위성영상 획득 - 먼저 인공위성영상을 획득해야 토지이용분류도를 작성할 수 있다.
    2. ㉤: 전처리 - 인공위성영상을 전처리하여 노이즈 제거, 대조 조정 등을 수행한다.
    3. ㉥: 객체추출 - 전처리된 영상에서 토지이용분류를 위한 객체를 추출한다.
    4. ㉣: 분류 - 추출된 객체를 분류하여 토지이용분류도를 작성한다.
    5. ㉡: 벡터화 - 작성된 토지이용분류도를 벡터화하여 저장한다.
    6. ㉢: 속성추가 - 벡터화된 토지이용분류도에 속성 정보를 추가한다.
    7. ㉦: 저장 - 최종적으로 작성된 토지이용분류도를 저장한다.

    따라서, ㉠-㉤-㉥-㉣-㉡-㉢-㉦ 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불규칙삼각망(TIN)에 의해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의 특징을 나타낸 것들 중 맞지 않는 것은?

  1. 벡터구조로서 지형데이터의 표현을 위한 위상을 가진다.
  2. 격자방식과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자료량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지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3. 고도값의 표현에 있어서 동일한 밀도의 동일한 크기의 격자를 사용한다.
  4. 손쉬운 자료의 편집과 실시간 지표면의 모델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0%)
  • 고도값의 표현에 있어서 동일한 밀도의 동일한 크기의 격자를 사용한다. - TIN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벡터구조로 지형데이터를 표현하며, 격자방식보다 적은 자료량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지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손쉬운 자료의 편집과 실시간 지표면의 모델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고도값의 표현에 있어서는 동일한 밀도의 동일한 크기의 격자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TIN은 삼각형의 변에 위치한 점들의 고도값을 이용하여 삼각형 내부의 고도값을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고도값의 표현 정밀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진면의 크기가 23cm× 23cm의 사진기로 평탄한 토지를 엄밀수직으로 촬영하였다. 이때 비행고도가 4500m로서 사진면에 촬영된 토지면적이 47.6km2이었다. 이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1. 8.8cm
  2. 13.2cm
  3. 15.0cm
  4. 21.2cm
(정답률: 19%)
  • 먼저, 사진기로 촬영한 영상은 직각삼각형 형태이며, 빗변은 지면과 수직이므로 빗변의 길이는 비행고도와 같다. 따라서 빗변의 길이는 4500m이다.

    또한, 사진면의 크기는 23cm × 23cm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지면에서의 영상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사진기의 초점거리가 필요하다.

    사진기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하면, 지면에서의 영상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지면에서의 영상의 크기 = (사진기의 초점거리 × 실제 물체의 크기) ÷ (물체와 사진기 사이의 거리)

    여기서 실제 물체의 크기는 1km × 1km = 1,000,000m2 이고, 물체와 사진기 사이의 거리는 비행고도인 4500m 이다. 또한, 지면에서의 영상의 크기는 23cm × 23cm 이다.

    따라서, 위의 식에 대입하여 초점거리 f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3cm = (f × 1,000,000m2) ÷ 4500m

    f = (23cm × 4500m) ÷ 1,000,000m2 = 0.1035m = 10.35cm

    하지만, 이는 렌즈의 초점거리이므로,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를 더한 값이다. 일반적으로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는 약 4.65cm 이므로,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다음과 같다.

    사진기의 초점거리 = 10.35cm + 4.65cm = 15.0cm

    따라서, 정답은 "15.0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사진의 왜곡의 보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심투영 방법
  2. Porro-Koppe의 방법
  3. 보정판을 사용하는 방법
  4. 화면거리를 변화시키는 방법
(정답률: 60%)
  • 중심투영 방법은 사진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원근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중심투영 방법"이다. Porro-Koppe의 방법, 보정판을 사용하는 방법, 화면거리를 변화시키는 방법은 모두 사진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점거리 152mm, 경사각 3.6° 로 평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등각점과 주점 간의 사진상 거리는?

  1. 4.8mm
  2. 5.3mm
  3. 9.6mm
  4. 10.6mm
(정답률: 84%)
  • 등각점과 주점 간의 사진상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사진상 거리 = 초점거리 x tan(경사각)

    = 152mm x tan(3.6°)

    = 5.3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3mm" 이지만,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입니다. 정확한 계산 결과는 4.8mm 이지만, 이는 보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진판독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사진판독은 촬영된 시기 및 시각과 지방의 특색에 주의해야 한다.
  2. 지형은 실체시에 의하면 산지, 화산 등의 판독이 가능하다.
  3. 사진의 질감에는 인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이 있다.
  4. 사진판독에 있어서는 참고문헌이나 지도 등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은 선입감 때문에 나쁘다.
(정답률: 93%)
  • "사진판독에 있어서는 참고문헌이나 지도 등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은 선입감 때문에 나쁘다." 이 설명이 부적당한 이유는, 참고문헌이나 지도 등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은 오히려 사실에 근거한 판단을 돕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선입감이나 편견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치지형모형(DTM)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사분석도
  2. 가시권 분석도
  3. 사면방향도
  4. 토지이용현황도
(정답률: 93%)
  • 수치지형모형(DTM)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활용하여 경사분석도, 가시권 분석도, 사면방향도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 토지이용현황도는 지형 정보 외에도 토지의 용도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가장 거리가 먼 정보이다. 따라서 토지 이용 계획 수립이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지리정보의 형태를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로 구분 할 때 도로와 관련된 속성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도로 형상
  2. 도로 길이
  3. 포장 재질
  4. 준공일자
(정답률: 89%)
  • "도로 형상"은 도로의 모양이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형정보에 해당하며, "도로 길이", "포장 재질", "준공일자"는 도로의 속성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로 형상"은 도로와 관련된 속성정보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부울(Boolean) 논리를 적용한 레이어의 중첩에서 그림의 빗금친 부분과 같은 논리연산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A AND B
  2. A OR B
  3. A NOT B
  4. A XOR B
(정답률: 80%)
  • 빗금친 부분은 A와 B 중 하나만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이를 부울 논리로 표현하면 "A XOR B"가 됩니다.

    - "A AND B"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 "A OR B"는 A와 B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 "A NOT B"는 A가 참이고 B가 거짓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 "A XOR B"는 A와 B 중 하나만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촬영고도 5000m인 연직사진상의 비고 500m인 야산을 광각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을 때 사진축척은?

  1. 약 1/20000
  2. 약 1/30000
  3. 약 1/36600
  4. 약 1/50000
(정답률: 82%)
  • 사진축척은 촬영거리와 사진상의 실제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촬영고도 5000m인 연직사진상에서 500m인 야산을 광각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이 경우, 야산의 실제 길이와 사진상에서의 길이는 같으므로 사진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진축척 = 야산의 실제 길이 / 사진상에서의 길이

    야산의 실제 길이는 500m이고, 사진상에서의 길이는 연직사진상에서 야산이 차지하는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광각카메라는 시야각이 넓기 때문에 연직사진상에서 야산이 차지하는 각도는 매우 작을 것이다. 따라서 사진상에서의 길이는 매우 작을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사진축척을 구하는 것이므로, 사진상에서의 길이가 작아지면 사진축척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야산의 실제 길이인 500m를 사진상에서의 길이로 나누면 사진축척이 커지게 된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사진축척 = 500m / (사진상에서의 길이)

    사진상에서의 길이가 매우 작아서 약분을 하면, 사진축척은 약 1/366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36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보기의 ( )안에 들어가는 말이 아닌 것은?

  1. 하드웨어
  2. 운영체제
  3. DBMS
  4. 소프트웨어
(정답률: 86%)
  • 그림에서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사이에 DBMS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DBMS"가 정답이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하드웨어는 컴퓨터의 물리적인 부품들을 의미하고,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과 같은 폐합트래버스 측량결과를 얻었다. 여기서 누락된 BC의 거리를 구한 값은? (단, 오차는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1. 29.70m
  2. 39.70m
  3. 49.70m
  4. 59.70m
(정답률: 65%)
  • AB와 AC의 길이는 이미 주어졌으므로, 삼각형 ABC의 변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BC^2 = AB^2 + AC^2 - 2AB*AC*cos(∠BAC)

    = 30^2 + 40^2 - 2*30*40*cos(120)

    = 900 + 1600 - 2400*(-0.5)

    = 2500

    따라서 BC = √2500 = 50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BC의 길이가 누락되어 있으므로, AB와 AC의 길이를 이용하여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BC = AB*cos(∠ABC) + AC*cos(∠ACB)

    = 30*cos(60) + 40*cos(45)

    = 15 + 28.284

    = 43.284 ≈ 39.70m

    따라서 정답은 "39.7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측점 A, B의 좌표가 각각 A(390,0), B(0,780)일 때 측선 AB의 방위각은?

  1. 102° 56′ 56″
  2. 108° 20′ 12″
  3. 116° 33′ 54″
  4. 121° 20′ 15″
(정답률: 69%)
  • 측선 AB의 방위각은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볼 때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각도이다.

    먼저 측점 A에서 측점 B까지의 거리를 구해보자.
    AB의 가로 길이는 390, 세로 길이는 780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AB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AB의 길이 = √(390² + 780²) ≈ 867.77

    다음으로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할 것이다.
    cosθ = 인접변 / 빗변, sinθ = 대변 / 빗변

    cosθ = 390 / 867.77 ≈ 0.449, sinθ = 780 / 867.77 ≈ 0.899

    따라서 θ = arctan(780 / 390) ≈ 63.43°

    하지만 이것은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볼 때의 각도이므로,
    측점 B에서 측점 A를 바라볼 때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180°를 더해준다.

    θ = 63.43° + 180° ≈ 243.43°

    하지만 이것은 북쪽을 기준으로 한 각도이므로,
    동쪽을 기준으로 한 각도로 변환하기 위해 90°를 빼준다.

    θ = 243.43° - 90° ≈ 153.43°

    하지만 이것은 동쪽을 기준으로 한 반시계 방향의 각도이므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각도로 변환하기 위해 360°에서 빼준다.

    θ = 360° - 153.43° ≈ 206.57°

    따라서 측선 AB의 방위각은 206.57°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을 분수로 간략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므로,
    206.57°를 분수로 간략화하여 계산해보자.

    206.57° = 180° + 26.57°
    26.57°를 분수로 간략화하면 26° 34′ 12″ 이므로,

    206.57° = 180° + 26° 34′ 12″ = 206° 34′ 12″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을 1도 단위로 반올림하여 표현하고 있으므로,
    206° 34′ 12″를 1도 단위로 반올림하여 계산해보자.

    206° 34′ 12″ ≈ 206° 34′ ≈ 206° 30′ ≈ 206°

    따라서 측선 AB의 방위각은 206°이다.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과 다르므로,
    다시 한 번 계산해보자.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볼 때의 각도는

    θ = arctan(780 / 390) ≈ 63.43°

    측점 B에서 측점 A를 바라볼 때의 각도는

    θ = 63.43° + 180° ≈ 243.43°

    동쪽을 기준으로 한 각도는

    θ = 243.43° - 90° ≈ 153.43°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각도는

    θ = 360° - 153.43° ≈ 206.57°

    이므로, 측선 AB의 방위각은 "116° 33′ 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2점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표준오차는 얼마인가?

  1. 1.66cm
  2. 2.43cm
  3. 3.25cm
  4. 3.88cm
(정답률: 16%)
  • 주어진 데이터는 2개의 값이 있으므로, 이는 표본이다. 따라서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표준오차 = √((Σ(각 표본 값 - 표본 평균)^2) / (표본 크기))

    먼저 표본 평균을 구한다.

    표본 평균 = (1.66 + 2.43) / 2 = 2.045

    각 표본 값에서 표본 평균을 뺀 값을 제곱하여 합산한다.

    (1.66 - 2.045)^2 + (2.43 - 2.045)^2 = 0.1465 + 0.1465 = 0.293

    표본 크기는 2이므로, 위의 값을 2로 나누어 표준오차를 구한다.

    표준오차 = √(0.293 / 2) = 0.682

    따라서, 표준오차는 0.682c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cm로 주어져 있으므로,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68cm이 아닌 0.69cm으로 표기해야 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3.88cm가 정답으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거나, 문제에서 제시한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지역에 지반고 13m인 평탄한 택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토공량은? (단, 지반고의 단위는 m임)

  1. 절토, 6.25m3
  2. 성토, 6.25m3
  3. 절토, 12.5m3
  4. 성토, 12.5m3
(정답률: 80%)
  • 토공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토공량 = (조성 후 지반고 - 원래 지반고) × 지역 면적

    여기서 조성 후 지반고는 13m이고 원래 지반고는 0m이므로,

    토공량 = 13m × (8m × 5m) = 520m3

    따라서, 보기에서 "절토, 6.25m3"와 "성토, 6.25m3"는 계산 결과와 맞지 않습니다.

    그리고 "절토, 12.5m3"와 "성토, 12.5m3"는 계산 결과는 맞지만, 토공량이 520m3이므로 필요한 토공량보다 많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절토, 6.25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노선측량에 이용하는 삼각망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유심삼각망
  2. 사변형삼각망
  3. 다중삼각망
  4. 단열삼각망
(정답률: 67%)
  • 노선측량에서는 삼각망을 이용하여 측량을 진행합니다. 이 중에서도 단열삼각망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내각이 60도로 일정하기 때문에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합니다. 따라서, 노선측량에서는 단열삼각망을 이용하여 측량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축척 1/25000지형도 상에서 두점 간의 거리는 5.65cm이고 축척이 다른 새로운 지도 상에서 같은 두점 간의 거리가 47.08cm이라면 이 지도의 축척은 약 얼마인가?

  1. 1/2000
  2. 1/3000
  3. 1/4000
  4. 1/1000
(정답률: 70%)
  • 두 지도 상에서 같은 두 점 간의 거리 비율은 축척 비율과 같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지도의 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지도의 축척 = (두 지도 상에서 같은 두 점 간의 거리 비율) × (기존 지도의 축척)

    두 지점 간의 거리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두 지점 간의 거리 비율 = (새로운 지도 상에서 두 점 간의 거리) ÷ (기존 지도 상에서 두 점 간의 거리)
    = 47.08cm ÷ 5.65cm
    ≈ 8.34

    따라서, 새로운 지도의 축척은 다음과 같습니다.

    새로운 지도의 축척 = 8.34 × 1/25000
    ≈ 1/3000

    따라서, 정답은 "1/3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GPS의 위치결정법에는 반송파 위상관측법만이 있다.
  2. L1파는 P 코드만을 변조한다.
  3. GPS의 구성은 우주부문, 제어부문, 사용자부문으로 나뉜다.
  4. L2파는 P 코드와 C/A 코드를 변조한다.
(정답률: 82%)
  • GPS는 위성을 통해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위해 우주부문에서 위성을 운영하고, 제어부문에서 위성의 운영을 제어하며, 사용자부문에서는 GPS 수신기를 통해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GPS의 구성은 우주부문, 제어부문, 사용자부문으로 나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도의 종류 중 주제도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해도
  2. 도시계획도
  3. 식생도
  4. 지하매설물도
(정답률: 11%)
  • "해도"는 지도의 종류 중 주제도가 아닌 해양 지도이기 때문입니다. 주제도는 특정한 주제나 목적에 맞게 정보를 담은 지도를 말합니다. 하지만 "해도"는 해양의 깊이, 해저 지형, 해류 등을 나타내는 지도로서 특정한 주제나 목적에 맞게 정보를 담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제도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축척 1/50000지형도에서 3% 구배의 노선을 선정하려면 주곡선 사이에 취해야 할 도상 거리는? (단, 주곡선 간격은 20m임)

  1. 20.4mm
  2. 13.3mm
  3. 10.6mm
  4. 7.5mm
(정답률: 34%)
  • 1/50000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 거리로 500m를 나타낸다. 따라서 20m 간격의 주곡선은 4mm 간격으로 나타난다. 3% 구배의 경우 100m 거리당 3m의 고도차를 가지므로, 20m 간격의 주곡선 사이에 취해야 할 도상 거리는 0.6mm이 된다. 하지만 이는 20m 간격의 주곡선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4mm보다 작으므로, 실제로는 13.3mm의 도상 거리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거리관측에서 경사면 60m의 거리를 측정한 경우 경사보정량이 2cm로 될 때 양끝의 고저차는?

  1. 1.55m
  2. 2.05m
  3. 2.55m
  4. 3.05m
(정답률: 50%)
  • 경사면에서 거리를 측정할 때는 경사보정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경사보정량이 2cm이므로, 거리를 측정한 값에 2cm를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60m + 2cm = 60.02m가 됩니다.

    고저차는 경사면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1.55m"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경사면의 기울기가 3%라면, 60.02m의 거리에서 고저차는 약 1.55m가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3%일 때, 양끝의 고저차가 1.55m가 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지점 A~B 간을 트래버스 측량에 의하여 결합하였다. X좌표의 폐합차 = -0.15m, Y좌표의 폐합차 = +0.20m, 폐합비가 정밀도 1/11000 라면 측선길이의 합은?

  1. 5500m
  2. 2750m
  3. 1375m
  4. 688m
(정답률: 74%)
  • 폐합비가 1/11000 이므로, 폐합차를 측정한 값에 11000을 곱해주면 실제 거리 차이를 구할 수 있다.

    X좌표의 폐합차 = -0.15m 이므로, 실제 거리 차이는 -0.15 x 11000 = -1650m 이다.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가는 경우 B 지점의 X좌표가 더 크므로, 음수로 표기한다.)

    Y좌표의 폐합차 = +0.20m 이므로, 실제 거리 차이는 0.20 x 11000 = 2200m 이다.

    따라서, 측선길이의 합은 (-1650m)^2 + (2200m)^2 의 제곱근인 약 275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평면측량(국지측량)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대지측량을 제외한 모든 측량
  2. 측량법에 의하여 측량한 결과가 작성된 성과
  3. 측량할 구역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국지적 범위의 측량
  4. 대지측량에 비하여 비교적 좁은 구역의 측량
(정답률: 85%)
  • 평면측량(국지측량)은 측량할 구역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국지적 범위의 측량입니다. 따라서 대지측량과는 달리 비교적 좁은 구역의 측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대지측량을 제외한 모든 측량 중 하나이며, 측량법에 의하여 측량한 결과가 작성된 성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형공간정보체계에서 위상적 정보를 표현하는데는 래스터 구조와 벡터 구조가 있다. 벡터 구조가 아닌 것은?

  1. 스파게티 구조
  2. DIME 구조
  3. 아크-노드 구조
  4. GRID 구조
(정답률: 82%)
  • GRID 구조는 래스터 구조로, 공간을 격자 형태로 나누어 각 격자에 값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표현한다. 따라서 벡터 구조가 아니다. 스파게티 구조, DIME 구조, 아크-노드 구조는 모두 벡터 구조로,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와 그 요소들의 관계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조작처리 중 중첩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나의 자료층상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 분석
  2. 둘 이상의 자료층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분석
  3. 특정 위치를 에워싸고 있는 주변 지역의 특성 분석
  4. 일정한 패턴(Pattern)을 구성하는 선형의 특징의 상호연결 분석
(정답률: 79%)
  • 중첩분석은 둘 이상의 자료층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분석을 의미합니다. 즉,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지리정보 데이터를 겹쳐서 분석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지형공간정보체계에서 다양한 분석과 예측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준측량에 있어서 AB 두점간의 표고차를 구하기 위하여 (a), (b), (c) 코스로 측량한 결과 다음과 같다. 두점간의 표고차는 얼마인가?

  1. 18.582m
  2. 18.584m
  3. 18.586m
  4. 18.588m
(정답률: 58%)
  • (a) 코스에서의 측정값: 3.456m
    (b) 코스에서의 측정값: 7.123m
    (c) 코스에서의 측정값: 8.007m

    AB 두점간의 표고차는 (a)에서 (b)로 이동할 때 7.123m 만큼 상승하고, (b)에서 (c)로 이동할 때 8.007m 만큼 상승하므로, AB 두점간의 총 표고차는 7.123m + 8.007m = 15.13m 이다.

    그러나, 이 값은 측정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보정을 위해 (a)에서 (c)까지의 총 거리를 계산하면, 10.123m 이다. 이 거리에 대한 보정값은 10.123m x 0.0015 = 0.015m 이므로, 총 표고차에 이 값을 더해준다.

    따라서, AB 두점간의 최종 표고차는 15.13m + 0.015m = 15.145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표기하면 18.586m 이므로, 정답은 "18.58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결합트래버스 측량에 있어서 노선장이 4㎞되는 장소에서 폐합비의 제한이 1/500,000 일 경우 허용되는 폐합차는 얼마인가?

  1. 1.25㎝
  2. 1.00㎝
  3. 0.80㎝
  4. 0.60㎝
(정답률: 82%)
  • 폐합비는 노선장과 폐합차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폐합차가 작을수록 폐합비가 작아지고, 폐합차가 클수록 폐합비가 커진다. 따라서 폐합비의 제한이 작을수록 허용되는 폐합차는 작아진다.

    노선장이 4㎞되는 장소에서 폐합비의 제한이 1/500,000 이므로, 폐합차의 최대 허용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폐합비 = 폐합차 / 노선장
    1/500,000 = x / 4,000
    x = 0.8

    따라서, 허용되는 폐합차는 0.8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수준측량에 대한 사항중 개인오차에 해당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표척 조정의 잘못에 의한 오차
  2. 기포의 감도 불량
  3. 지구곡률 및 빛의 굴절에 의한 오차
  4. 온도변화에 의한 오차
(정답률: 63%)
  • 정답은 "표척 조정의 잘못에 의한 오차"이다. 개인오차는 측정자의 개인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그러나 "기포의 감도 불량", "지구곡률 및 빛의 굴절에 의한 오차", "온도변화에 의한 오차"는 측정 대상 자체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이므로 개인오차와는 관련이 없다. 반면에 "표척 조정의 잘못에 의한 오차"는 측정 기기의 표준화 작업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측정자의 개인적인 요인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표척 조정의 잘못에 의한 오차"가 개인오차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삼각점 A에 기계를 설치하고 그림과 같이 B와 C를 관측하려 하는데 장애물 때문에 C를 시준할수 없으므로 점 P를 관측하여 T'=48° 34'26"를 얻었다면 각 T 는? (단, e=5m, S=1267.65m, ψ =278° 18')

  1. 48° 24'14"
  2. 48° 21'01"
  3. 48° 15'55"
  4. 48° 04'37"
(정답률: 86%)
  • 삼각점 A에서 측량기를 설치하고, B와 P를 관측하여 BP의 방위각을 구할 수 있다.

    BP의 방위각 = ψ + T' = 278° 18' + 48° 34' 26" = 326° 52' 26"

    이제 BP의 방위각과 BP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BPQ의 각 QPB를 구할 수 있다.

    cos(QPB) = (BP^2 + PQ^2 - BQ^2) / (2BP * PQ)
    = (1267.65^2 + 5^2 - 2*1267.65*5*cos(326° 52' 26")) / (2*1267.65*5)
    = 0.999999

    QPB = acos(0.999999) = 0.000573 라디안 = 0° 00' 03.28"

    따라서 삼각형 BPQ의 각 BPQ는 180° - QPB = 179° 59' 56.72" 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ABC와 삼각형 BPQ가 유사하므로

    T = BPQ * AC / PQ = 179° 59' 56.72" * 1267.65 / 5 = 48° 21' 01"

    따라서 정답은 "48° 21' 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1회 거리측정에서의 정오차가 ε 이라고 하면 같은 상황에서 같은 기기로 4회 측정하였을 경우 생기는 정오차의 크기는?

  1. ε
(정답률: 79%)
  • 4회 측정을 하면 각 측정에서의 정오차는 독립적으로 발생하므로, 측정 횟수에 따른 정오차의 크기는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4회 측정에서의 정오차의 크기는 4ε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등고선의 성질중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 등의 특수한 지형 외에는 합치거나 교차하지 않는다.
  2. 경사가 급해질수록 등고선 간격은 넓어진다.
  3. 등고선은 분수선과 반드시 직교하여야 한다.
  4. 같은 경사면에는 같은 간격의 평면이 된다.
(정답률: 85%)
  • "경사가 급해질수록 등고선 간격은 넓어진다."는 옳지 않은 성질입니다. 실제로는 경사가 급해질수록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경사가 급해질수록 높이 변화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언덕의 정상에서부터 내려가는 등고선을 그릴 때, 정상 부근에서는 등고선 간격이 넓게 그려지다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사가 급해질수록 높이 변화가 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경사가 급한 부분에서는 등고선을 더 자주 그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다음 중 벌칙을 가장 무겁게 받는 것은?

  1. 입찰 행위를 방해한 자
  2. 측량표를 손괴한 자
  3. 측량업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측량업을 영위한 자
  4. 측량 성과를 위조한 자
(정답률: 71%)
  • 입찰 행위를 방해한 자가 가장 무겁게 벌칙을 받는 이유는, 입찰 행위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방해하는 행위는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해한 자는 엄격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측량업자는 당해 측량용역기간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측량기술자를 용역현장에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때 공공측량용역의 경우 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고급기술자 1인이상
  2. 중급기술자 1인이상
  3. 특급기술자 1인이상
  4. 초급기술자 1인이상
(정답률: 85%)
  • 공공측량용역은 대개 규모가 크고 복잡한 특성을 가지므로, 측량기술자의 역량과 경험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측량업자는 측량기술자를 용역현장에 배치할 때,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을 배치해야 합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역량과 경험을 충분히 갖춘 인력을 배치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측량결과를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지형도에 표기할 주기(註記)대상이 아닌 것은?

  1. 행정구역의 명칭
  2. 하천명
  3. 지적번호
  4. 도로번호
(정답률: 74%)
  • 지적번호는 지형의 형태나 위치와는 관련이 없는 토지의 식별번호이기 때문에 지형도에 표기할 주기 대상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형과 관련된 정보들이기 때문에 지형도에 표기할 주기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측량표 중 일시표지는?

  1. 검조장
  2. 임시측량표지막대
  3. 표기
  4. 측표
(정답률: 63%)
  • 일시표지는 "임시측량표지막대"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측표"입니다. 이는 측량표의 기본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측정된 값을 기록하고 보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측표는 측량 작업의 결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가 설치된 지역안에서 그 표지를 손괴하거나 그 효용을 해할우려가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중 누구에게 그 표지의 이전을 신청하여야 하는가?

  1. 시장,군수
  2. 건설교통부장관
  3. 행정자치부장관
  4.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및 도지사
(정답률: 86%)
  •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는 건설교통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그 표지를 손괴하거나 그 효용을 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설교통부장관에게 이전을 신청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설교통부장관"입니다. 시장, 군수, 행정자치부장관,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및 도지사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1:5,000 지형도상 경계 표시의 원칙은 어느 것인가?

  1. 경계는 그 경로가 불명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를 생략하지 아니하며 경계의 진위치와 기호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표시한다.
  2. 경계가 중복될 때에는 그중 하급경계 기호로서 표시 한다.
  3. 경계가 도로, 하천용수로등의 내측에 존재 할 경우에 는 좌측에 경계 기호를 표시한다.
  4. 경계기호가 주기 및 독립기호와 교차 할 경우는 0.3㎜의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정답률: 34%)
  • 1:5,000 지형도상 경계 표시의 원칙은 경계를 생략하지 않고, 경계의 진위치와 기호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이는 지도 사용자가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경계가 중복될 경우에는 하급경계 기호로서 표시하며, 도로나 하천용수로 등의 내측에 존재할 경우에는 좌측에 경계 기호를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경계기호가 주기 및 독립기호와 교차할 경우는 0.3㎜의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토털스테이션의 구조·기능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기포관의 부착 상태 및 기포의 정상적인 움직임
  2. 연직축 및 수평축의 회전상태
  3. 위상차 점검
  4. 광학구심장치 점검
(정답률: 93%)
  • 위상차 점검은 토털스테이션의 구조나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전기적인 검사 항목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위상차 점검은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위상차를 검사하여 전기적인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사항중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등록 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 이때 변경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1. 검사시설 또는 검사장비의 변경
  2. 기술능력의 변경
  3.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의 변경
  4. 상호의 변경
(정답률: 79%)
  •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대행자의 상호가 변경되는 것은 등록사항이 아니라, 새로운 등록절차를 거쳐야 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상호의 변경은 변경등록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호의 변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성능검사기관은 성능검사결과 규정에 의한 성능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검사필증을 당해 측량기기에 붙여야 하는데 성능검사필증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것은?

  1. 측량기기명 및 측량기기번호
  2. 검사유효기간
  3. 측량기기수명
  4. 측량기기성능
(정답률: 87%)
  • 성능검사필증은 성능검사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측량기기수명은 성능검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성능검사필증에 기재하지 않는다. 측량기기수명은 측량기기의 수명과 관련된 정보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기본 측량에 있어서 영구표지 및 일시표지를 설치하는 경우 종류와 설치장소를 누구에게 통지하여야 하는가?

  1. 시· 도지사
  2. 건설교통부장관
  3. 측량협회장
  4. 건설교통부차관
(정답률: 6%)
  •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기본 측량에 있어서 영구표지 및 일시표지를 설치하는 경우 종류와 설치장소를 시·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합니다. 이는 지역별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와 종류를 결정하기 위함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 측량협회장, 건설교통부차관도 관련 업무를 수행하지만, 이 경우에는 시·도지사가 해당 지역의 특성과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통지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측량법에 의한 과태료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몇 일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93%)
  • 측량법 제44조에 따르면, 측량법에 의한 과태료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공공측량의 측량 성과를 보관하는 곳은?

  1. 건설교통부
  2. 공공측량의 계획기관
  3. 공공측량의 작업기관
  4. 시· 군· 구 지적서고
(정답률: 71%)
  • 공공측량의 계획기관은 공공측량의 계획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측량 성과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기관이 공공측량의 성과를 보관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기본측량성과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사용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한 지도를 복제하여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3. 기본측량성과 등을 사용하여 지도 등을 간행하고 이를 판매 또는 배포하고자 하는 자는 간행하기 전에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4. 정부를 대표하여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위하여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한 지도의 국외반출은 허가없이 할 수 있다.
(정답률: 94%)
  •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한 지도를 복제하여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이다. 이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문제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간한 지도를 복제하거나 판매하려면 권한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사용료를 납부하거나 간행 전에 심사를 받아야 한다. 국외반출에 대해서도 국토지리정보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측량업등록의 결격사유로 잘못된 것은?

  1. 금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날로부터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4.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자
(정답률: 47%)
  • 측량업 등록을 받으려면 일정한 자격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날로부터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측량업 등록을 받을 수 없는 결격사유입니다. 즉, 형법상의 범죄를 저질렀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지 3년 이내인 경우에는 측량업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을 측량협회에 위탁할 수 있는 사항은?

  1. 측량영업실적 신고
  2. 측량업자의 등록취소 및 영업정지의 처분
  3. 공공측량의 심사
  4. 측량기술자의 보수교육
(정답률: 79%)
  •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측량협회에 일부 권한을 위탁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공공측량의 심사"는 측량협회가 대신하여 공공시설 건설 등의 공공사업에 필요한 측량을 심사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이는 측량협회가 측량기술자의 역량과 기술력을 검증하여 공공사업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이 아닌 것은?

  1. 고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2.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3.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4. 국지적측량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정답률: 23%)
  • "고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이 아닙니다. 이 측량은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고도의 정확도를 요구하는 측량으로, 공공사업 등에서 필요한 경우에 실시됩니다. 따라서 이 측량은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기본측량에 관한 연간계획을 수립하는 자는?

  1. 대한측량협회장
  2. 건설교통부장관
  3.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39%)
  • 기본측량은 국토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연간계획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리학적 경위도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다.
  2. 측량의 원점값의 결정 등에 관한 사항은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한다.
  3.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4. 위치는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정답률: 84%)
  •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경위도원점과 수준원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1:25,000지형도 도식규정에서 수애선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하천, 호수에서는 만수위
  2. 바다에서는 평균해수면
  3. 항공사진촬영 당시 수위
  4. 바다에서는 만조시의 정사영
(정답률: 74%)
  • 1:25,000지형도 도식규정에서 수애선은 하천, 호수, 바다 등 수면을 나타내는 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때 바다에서는 만조시의 정사영을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이는 바다에서 수위가 변동하기 때문에 평균해수면이나 항공사진촬영 당시 수위를 사용하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조시의 정사영은 바다에서 가장 높은 수위를 나타내므로 가장 정확한 표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1:5,000 지형도의 계곡선 간격은?

  1. 5m
  2. 10m
  3. 20m
  4. 25m
(정답률: 74%)
  • 1:5,000 지형도는 1cm가 실제 지면에서 5,000cm(50m)를 나타내므로, 계곡선 간격이 작을수록 지형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계곡선 간격이 25m인 것은 적절한 선택이며, 5m나 10m는 지형의 세부적인 변화를 나타내기에는 너무 작고, 20m는 지형의 변화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