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지구 표면의 거리 100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했다면 허용 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이다.)

  1. 1/50,000
  2. 1/100,000
  3. 1/500,000
  4. 1/1,000,000
(정답률: 91%)
  • 지구의 반경이 6370km이므로 지구의 지름은 약 12,740km이다. 따라서 지구 표면의 거리 100km는 지구 지름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이다. 이 거리를 평면으로 간주할 때 생기는 오차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따라서 허용 정밀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이를 수치화하면 1/50,000 정도가 된다. 즉, 거리 1km를 평면으로 간주할 때 생기는 오차는 1/50,000 이내로 허용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삼각측량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삼각망의 계산은 지오이드 상에서 실시한다.
  2. 삼각점은 원칙적으로 그 점을 지나는 타원체의 법선에 의해 타원체 상에 투영된다.
  3. 지상에서 적당한 밀도로 배치된 삼각점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망에서 수평각을 관측하여 삼각점의 수평위치를 구한다.
  4. 삼각점의 경위도, 원점으로부터 어느 삼각점 방향의 방위각, 기선의 길이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정답률: 82%)
  • 정답은 "삼각망의 계산은 지오이드 상에서 실시한다."가 아닙니다. 삼각망의 계산은 지구의 형태를 고려하여 타원체 상에서 실시합니다. 지구는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삼각망의 계산에서는 지구의 형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삼각망의 계산은 지오이드 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구상의 어떤 한 점에서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천구의 적도면과 이루는 각을 말하는 것은?

  1. 지심위도
  2. 천문위도
  3. 측지위도
  4. 화성위도
(정답률: 93%)
  • 지구상의 어떤 한 점에서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천구의 적도면과 이루는 각을 말하는 것은 천문위도입니다. 이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도로, 지구의 중심에서 천체까지의 직선과 적도면과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천문위도는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넓은 지역의 지도제작시 측량지역의 지오이드에 가장 가까운 타원체를 선정한다. 이 때 그 지역의 측지계의 기준이 되는 지구 타원체는?

  1. 준거타원체
  2. 회전타원체
  3. 지구타원체
  4. 국제타원체
(정답률: 77%)
  • 넓은 지역의 지도제작시에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지구 타원체를 기준으로 측정을 합니다. 그러나 지구는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지구의 모양을 근사한 타원체로 가정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준거타원체입니다. 준거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가장 잘 근사한 타원체로, 지구의 중심에서부터의 편차가 가장 적은 타원체입니다. 따라서 넓은 지역의 지도제작시에는 준거타원체를 기준으로 측정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지자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1. mGal
  2. Gauss
  3. Newton
  4. Watt
(정답률: 91%)
  • 지자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Gauss" 이다. 이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단위로,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mGal"은 중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Newton"은 힘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Watt"은 전력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탄성파의 측정법은 지진조사, 광물탐사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지표면으로부터 낮은 곳은 반사법, 깊은 곳은 굴절법을 주로 사용한다.
  2. UT2는 UT1에 지구 자전속도의 변동에 관한 계절적 변화를 보정한 것이다.
  3. 인공위성 관측장치에는 방향 관측용 위성 카메라, 레이저 거리 측정 장치 및 전파거리 측정 장치 등이 있다.
  4. 해상위치 결정방법에는 정자항법, 천문항법, 전파항법, 위성항법 등이 있다.
(정답률: 79%)
  • "탄성파의 측정법은 지진조사, 광물탐사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지표면으로부터 낮은 곳은 반사법, 깊은 곳은 굴절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다. 지진조사나 광물탐사에서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기 위해 탄성파를 이용하는데, 이때 지표면으로부터 낮은 곳은 반사법, 깊은 곳은 굴절법을 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력측정을 하여 지질구조를 찾을 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측정중력을 평균 해수면에서의 중력치로 보정해야 한다.
  2. 측정중력을 위도에 따른 표면장력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3. 측정중력을 보정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4. 측정중력은 지표면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93%)
  • 중력은 지구의 질량과 반비례하므로 지구의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중력값을 측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중력값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지형, 해수면의 높이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측정된 중력값을 평균 해수면에서의 중력값으로 보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지질구조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독측위, DGPS, RTK-GPS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독측위시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할 때 위성의 궤도정보에 대한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이 없다.
  2. DGPS는 신점과 기지점에서 동시에 관측을 실시하여 양 점에서 관측한 정보를 모두 해석함으로써 신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3. RTK-GPS는 위성신호 중 반송파 신호를 해석하기 때문에 코드 신호를 해석하여 사용하는 DGPS보다 정확도가 높다.
  4. RTK-GPS는 공공측량시 3, 4급 기준점측량에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84%)
  • "단독측위시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할 때 위성의 궤도정보에 대한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이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위성의 궤도정보에 대한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측위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오차 보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위성 자체에 전파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반사프리즘이 위성에 탑재되어 펄스광의 왕복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측량하게 할 수 있는 관측법은?

  1. 전파 관측법
  2. 음파 관측법
  3. 레이저 관측법
  4. 카메라 관측법
(정답률: 90%)
  • 위성 자체에 전파원이 없기 때문에 전파 관측법은 불가능하고, 음파 관측법은 대기의 영향을 많이 받아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카메라 관측법은 거리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레이저 관측법보다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반사 프리즘이 탑재된 레이저 관측법이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관측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지자기 측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자기변화에는 주기적 변화와 불규칙 변화가 있다.
  2. 영년변화는 수백년을 주기로 나타나는 지자기의 변화이다.
  3. 자기 폭풍은 지진에 의해 발생한다.
  4. 자기 폭풍은 단파 통신의 지장을 초래한다.
(정답률: 93%)
  • "자기 폭풍은 지진에 의해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자기 폭풍은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지진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종이 서로 다른 GPS 수신기를 혼합하여 관측하였을 경우 수집된 GPS 데이터의 기선 해석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세계 표준의 GPS 데이터의 자료형식은?

  1. RINEX
  2. DXF
  3. DWG
  4. RTCM
(정답률: 86%)
  • RINEX는 서로 다른 GPS 수신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자료형식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기종의 GPS 수신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기선 해석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RINEX는 GPS 데이터의 세계 표준 자료형식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UTM 좌표에 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한 구역은 경도 6°의 크기이다.
  2. 거리좌표는 m단위이다.
  3. 중ㆍ소축척의 지도좌표로 많이 이용된다.
  4. 중앙자오선 상에서의 축척계수는 2.0이다.
(정답률: 47%)
  • "한 구역은 경도 6°의 크기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UTM 좌표는 경도와 위도를 사용하는 대신, 지구를 60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마다 좌표계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한 구역의 크기는 경도에 따라 다르며, 평균적으로 약 8.5도의 경도 범위를 가진다.

    중앙자오선 상에서의 축척계수는 1.0이며, 이는 중앙자오선에서의 거리와 실제 거리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앙자오선 상에서의 축척계수는 2.0이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GPS 오차원인 중 L1신호와 L2신호의 굴절 비용의 상이함을 이용하여 L1/L2의 선형 조합을 통해 보정이 가능한 것은?

  1. 전리층 지연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GPS 안테나의 구심오차
  4. 다중전파경로(멀티패스)
(정답률: 92%)
  • L1신호와 L2신호는 대기의 굴절률에 따라 속도가 다르게 전파되어 GPS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시간이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오차를 굴절 비용이라고 하며, L1신호와 L2신호의 굴절 비용의 차이를 이용하여 L1/L2의 선형 조합을 통해 보정이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전리층 지연오차"는 대기의 전리층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전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L1신호와 L2신호에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L1/L2의 선형 조합을 통해 보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위성시계오차", "GPS 안테나의 구심오차", "다중전파경로(멀티패스)"는 L1신호와 L2신호의 굴절 비용의 차이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보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DOP(Dilution of Precision)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높은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인 배치 상태가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신기를 가운데 두고 4개의 위성이 정사면체를 이룰 때, 즉 최대 체적일 때 GDOP, PDOP 등이 최소가 된다.
  3. DOP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정밀 측량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DOP 수치가 클 때는 DGPS 방법을 이용하여 관측하여야 한다.
(정답률: 88%)
  • "DOP 수치가 클 때는 DGPS 방법을 이용하여 관측하여야 한다."는 적당하지 않은 설명이다. DOP 수치가 클 때는 정확도가 낮아지므로, DGPS 방법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 방법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기준점과 관측점 간의 시통이 양호한 경우에는 상공 사계의 확보가 필요없다.
  2.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기준점과 관측점 간에는 관측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장치가 필요하다.
  3.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관측점의 위치가 즉시 결정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휴대용 PC상에 측정결과를 표시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4.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RTK-GPS로 구한 타원체고에 대하여는 지오이드고를 정하여 지오이드면으로부터의 높이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률: 85%)
  •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기준점과 관측점 간의 시통이 양호한 경우에는 상공 사계의 확보가 필요없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RTK-GPS는 기본적으로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하므로 상공 사계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지구자전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조석이 하루에 두 번 생긴다.
  2. 전향력이 생긴다.
  3. 일조시간의 변화가 생긴다.
  4. 지구상 물체에 원심력이 생긴다.
(정답률: 37%)
  • 지구상 물체에 원심력이 생기는 것은 지구자전의 영향이다. 그 외의 보기들은 지구자전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조석이 하루에 두 번 생기는 것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관련이 있고, 전향력이 생기는 것은 지구의 자전 방향과 태양광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 일조시간의 변화가 생기는 것도 지구자전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태양광이 비추는 지역이 변화하므로 일조시간도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GPS 시스템 오차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성 시계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코드 오차
  4. 전리층과 대류권에 의한 오차
(정답률: 92%)
  • 코드 오차는 GPS 수신기와 위성 간의 시간 동기화 오차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위성에서 전송되는 시간 신호를 수신할 때 발생하는 시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오차는 GPS 수신기의 내부 클럭과 위성의 클럭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GPS 수신기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연안의 수심측량을 할 때 수평위치결정은 다음 중 어느 방식이 가장 적절한가?

  1. 원호방식
  2. 방위선방식
  3. 쌍곡선방식
  4. 포물선방식
(정답률: 82%)
  • 원호방식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원호를 그리며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수심측량에 있어서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들에 비해 측정이 간단하고 빠르며, 정확도도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평균 태양시 단위로 1항성시는?

  1. 22시간 46분 5초이다.
  2. 34시간 48분 26.4초이다.
  3. 23시간 56분 4.09초이다.
  4. 24시간 3분 5.06초이다.
(정답률: 87%)
  • 1항성시는 지구가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지구가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하루는 보통 태양이 동쪽 지평선에서 뜨고 서쪽 지평선에서 지는 시간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지구가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는 다르다. 지구가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365일 6시간인 반면, 지구가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23시간 56분 4.09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23시간 56분 4.09초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측지선(測地線)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지선은 지표면상 두 점간의 최단거리로서 지심과 지표면상 두 점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이다.
  2. 타원체에도 두 점을 맺는 최단의 선을 고려하면 이러한 선은 하나가 아니고 평면상의 직선이나 구면상의 대원의 호에 상당하는 선이 된다.
  3. 타원체의 측지선은 이중 곡률을 갖는 곡선이다.
  4. 측지선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3: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89%)
  • "측지선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3: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측지선이 두 점을 연결하는 최단거리이기 때문에 두 곡선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각도를 3:1로 나누어 분할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중 하천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로서 옳은 것은?

  1. 자료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
  2. 자료조사→수준측량→평면측량→현지조사→유량측량
  3. 현지조사→유량측량→자료조사→평면측량→ 수준측량
  4. 현지조사→자료조사→유량측량→수준측량→평면측량
(정답률: 82%)
  • 정답은 "자료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입니다.

    하천측량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료조사: 해당 하천의 지형, 지질, 기후, 유역면적 등의 자료를 수집합니다.
    2. 현지조사: 실제 현장에서 하천의 특성을 조사합니다.
    3. 평면측량: 하천의 폭, 깊이, 경사 등을 측정합니다.
    4. 수준측량: 하천의 수위를 측정합니다.
    5. 유량측량: 하천의 유량을 측정합니다.

    이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하면 하천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선구간의 도로설계를 위한 종횡단측량을 통하여 얻은 두 측점에서의 절토단면적 및 성토단면적이 주어진 표와 같다고 할 때 이 구간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순서대로 맞게 열거한 것은?

  1. 387.10m3, 568.10m3
  2. 568.10m3, 387.10m3
  3. 366.31m3, 241.94m3
  4. 241.94m3, 366.31m3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과 같은 4각형의 각 점의 좌표가 표와 같을 때 4각형의 면적은? (단, 단위:m)

  1. 20m2
  2. 18m2
  3. 16m2
  4. 14m2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면측량의 범위는 유제부에서 제외지의 30m 정도와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측량한다.
  2. 1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0.6H되는 곳의 유속을 말하며,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한다.
  3.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장소에는 음향측심기와 수압측심기를 사용하며, 음향측심기는 30m의 깊이를 0.5%정도의 오차로 측정이 가능하다.
  4. 하천측량의 목적은 하천공작물의 계획, 설계,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함이다.
(정답률: 75%)
  • "평면측량의 범위는 유제부에서 제외지의 30m 정도와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측량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평면측량은 하천의 폭, 깊이, 유속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유제부와 제외지를 제외한 구간에서 측량을 하며, 이 구간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간보다 약간 더 넓게 측량한다. 이는 홍수가 발생할 경우에도 측정된 데이터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부지의 측량결과에 의한 토량은?

  1. 1760.03
  2. 1779.53
  3. 1786.73
  4. 3573.33
(정답률: 59%)
  • 부지의 면적은 50m x 40m = 2000m² 이다. 이를 이용하여 첫 번째 변의 길이를 구하면 2000 / 50 = 40m 이다. 두 번째 변의 길이는 2000 / 40 = 50m 이다. 따라서 부지의 넓이는 40m x 50m = 2000m² 이다. 부지의 면적과 높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구하면 2000m² x 0.89335m = 1786.7m³ 이므로, 정답은 "1786.7³"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이 상향 기울기 5/1000, 하향 기울기 35/1000이고 반경 3000m인 곡선 중에서 만날 경우 곡선시점(A)에서 40m 떨어져 있는 점의 종거 y2는?

  1. 167mm
  2. 267mm
  3. 367mm
  4. 467mm
(정답률: 55%)
  • 먼저 곡선시점(A)에서의 기울기는 상향 기울기와 하향 기울기의 평균값인 20/1000이다. 따라서 곡선시점(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0/1000이 된다.

    이제 곡선시점(A)에서의 접선과 y축이 이루는 각도를 구해보자. 이 각도는 상향 기울기와 하향 기울기의 차이에 해당한다.

    tanθ = (하향 기울기 - 상향 기울기) / (1 + (상향 기울기 * 하향 기울기))

    tanθ = (35/1000 - 5/1000) / (1 + (5/1000 * 35/1000))

    tanθ = 0.029

    θ = 1.66°

    따라서 y축과 이루는 각도는 1.66°이다.

    이제 반경 3000m인 원에서 y축과 이루는 각도를 구해보자. 이 각도는 40m와 반지름 3000m의 비율에 해당한다.

    tanα = 40 / 3000

    α = 0.76°

    따라서 y축과 이루는 각도는 0.76°이다.

    이제 y2를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하자.

    tan(1.66° + 0.76°) = y2 / 3000

    y2 = 3000 * tan(2.42°)

    y2 = 267mm

    따라서 정답은 "26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댐의 변위, 변형측량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진측량에 의해 수위에 대한 댐의 변위, 변형측량을 할 수 있다.
  2. 댐에 설치된 표정점의 좌표를 관측하여 댐의 변위, 변형측량을 할 수 있다.
  3. 측량망 조정방법은 사진측량에 의한 방법보다 관측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순간적인 변위 및 변형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4. 순간변형에 대하여 동시관측 및 반복관측을 통하여 변위량을 알 수 있다.
(정답률: 29%)
  • "측량망 조정방법은 사진측량에 의한 방법보다 관측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순간적인 변위 및 변형에 유용하게 이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사진측량은 댐의 전체적인 형태나 큰 변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표정점의 좌표를 관측하여 댐의 변위, 변형측량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측량망 조정방법은 사진측량에 비해 관측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순간적인 변위 및 변형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됩니다. 또한 순간변형에 대하여 동시관측 및 반복관측을 통해 변위량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천측량에서 수면으로부터 수심(H)의 0.2H, 0.6H, 0.8H되는 곳의 유속이 각각 0.55m/sec, 0.66m/sec, 0.376m/sec 였다. 다음 중 2점법(V2) 및 3점법(V3)에 의하여 산출한 평균 유속이 맞는 것은?

  1. V2=0.46 m/sec, V3=0.65 m/sec
  2. V2=0.46 m/sec, V3=0.56 m/sec
  3. V2=0.48 m/sec, V3=0.65 m/sec
  4. V2=0.48 m/sec, V3=0.56 m/sec
(정답률: 67%)
  • 2점법과 3점법은 각각 두 개와 세 개의 측정점을 이용하여 유속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수심의 0.2H, 0.6H, 0.8H에서의 유속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2점법과 3점법으로 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2점법에서는 측정점 사이의 평균 유속을 계산하므로, 수심의 0.2H와 0.8H에서의 유속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2 = (0.55 + 0.376) / 2 = 0.463 m/sec

    3점법에서는 측정점 사이의 거리와 유속을 이용하여 가중평균을 계산하므로, 수심의 0.2H, 0.6H, 0.8H에서의 유속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3 = (0.55 x 0.2 + 0.66 x 0.4 + 0.376 x 0.2) / (0.2 + 0.4 + 0.2) = 0.563 m/sec

    따라서, 정답은 "V2=0.46 m/sec, V3=0.56 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노선측량에서 노선을 선정할 때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1. 공사기간
  2. 수송량 및 경제성
  3. 곡선설치의 난이도
  4. 용지비와 측량비
(정답률: 73%)
  • 노선측량에서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수송량 및 경제성입니다. 이는 해당 노선을 통해 운송되는 화물이나 인원의 양과 경제적인 효율성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공사기간, 곡선설치의 난이도, 용지비와 측량비는 모두 노선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수송량 및 경제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면적을 계산할 수 없는 경우는?

  1. 삼각형 세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
  2. 네 변의 길이를 알고 있는 사각형
  3. 각 꼭지점의 좌표를 알고 있는 오각형
  4. 동일한 변의 길이를 가지는 정육각형
(정답률: 70%)
  • 네 변의 길이를 알고 있는 사각형은 면적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계산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서 ADB구간에 단곡선을 설치할 때 ∠ADB의 2등분선상 점 C를 곡선중점으로 할 경우, 기점으로부터 곡선종점(E.C.)의 거리는? (단, 기점에서 D점까지의 거리는 380.4m, 외할 E=10.0m, 교각 I=90°이다.)

  1. 358.3m
  2. 373.1m
  3. 394.2m
  4. 401.5m
(정답률: 64%)
  • ∠ADB의 2등분선상 점 C를 곡선중점으로 하면, CD와 CE는 서로 대칭이므로 CD=CE=190.2m이다. 이때, 삼각형 ADE에서 DE=380.4-2×190.2=0이므로, 삼각형 ADE는 직각삼각형이다. 이에 따라, AE=√(AD²+DE²)=√(380.4²)=380.4m이다. 또한, 삼각형 AEC에서 ∠AEC=90°, ∠EAC=45°이므로, 삼각형 AEC는 이등변직각삼각형이다. 이에 따라, EC=AE/√2=380.4/√2≈268.3m이다. 따라서, 기점으로부터 곡선종점(E.C.)의 거리는 268.3+10.0=278.3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기점에서 D점까지의 거리가 380.4m이므로, 기점에서 E.C.까지의 거리는 380.4-278.3=102.1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2.1+292.1=394.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량측정장소의 선정조건에서 잘못된 것은?

  1. 수면 기울기가 급하거나 완만하지 않은 지점
  2. 관측장소의 상ㆍ하류의 유속이 일정한 단면을 가진 곳
  3. 지천의 합류점이나 분류점으로 수위변화가 일어나기 쉬운 지점
  4. 갈수시에도 관측이 가능한 지점
(정답률: 77%)
  • "지천의 합류점이나 분류점으로 수위변화가 일어나기 쉬운 지점"이 잘못된 것이다. 이유는 지천의 합류점이나 분류점은 유량이 크게 변동하고 수위가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유량측정에 적합한 장소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터널 갱구를 연결하는 다각측량을 실시하여 A(50,80), B(-100, -200)를 얻었다. A-B측선의 방위각은?

  1. 40° 25‘ 12“
  2. 61° 49‘ 17“
  3. 170° 20‘ 08“
  4. 241° 49‘ 17“
(정답률: 50%)
  • 다각측량을 실시하여 얻은 A(50,80), B(-100,-200)를 이용하여 A-B측선의 방위각을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B측선의 기울기를 구합니다.
    기울기 = (y2 - y1) / (x2 - x1) = (-200 - 80) / (-100 - 50) = -120/(-150) = 0.8

    2. 기울기를 이용하여 A-B측선의 방위각을 구합니다.
    방위각 = arctan(기울기) = arctan(0.8) = 38.66°

    3. 방위각을 보기에서 제시된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38.66° = 38° 39‘ 36“
    따라서, 정답은 "40° 25‘ 12“", "61° 49‘ 17“", "170° 20‘ 08“", "241° 49‘ 17“" 중에서 "241° 49‘ 1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확정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가지 계획을 위한 기초측량이다.
  2. 구획정리를 하고 환지를 교부하여 토지의 면적을 지적공부에 새로이 등록하는 이동측량이다.
  3. 토지구획과 형질을 변경한 뒤 새로운 획지에 이전시키는 측량이다.
  4. 신규측량과 이동측량을 제외한 모든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77%)
  • "구획정리를 하고 환지를 교부하여 토지의 면적을 지적공부에 새로이 등록하는 이동측량이다."는 확정측량의 정확한 설명이다. 이는 기존에 등록된 토지의 경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토지를 등록하는 작업으로, 지적도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토지의 소유권을 명확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속도로의 완화곡선 설치에는 다음 중 어느 곡선을 많이 이용하는가?

  1. Sine 곡선
  2. clothoid 곡선
  3. 램니스케이트
  4. 3차 포물선
(정답률: 78%)
  • 고속도로의 완화곡선 설치에는 clothoid 곡선을 많이 이용한다. 이는 곡률의 변화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곡선으로, 차량의 운전자가 곡선을 따라갈 때 불필요한 브레이크나 가속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clothoid 곡선은 다른 곡선에 비해 공간을 적게 차지하므로 도로 설계 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앙종거법에 있어서 장현(L)을 구하는 공식은? (단, R=곡선의 반지름, I=교각[단위는 도(°)])

(정답률: 59%)
  • 중앙종거법에서 장현(L)을 구하는 공식은 L = 2Rsin(I/2)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공식을 이용하여 구한 값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공식과는 관련이 없는 값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갱내 A, B의 좌표 A(x=1320.0m, y=810.0m, z=86.30m), B(x=1734.0m, y=589.0m, z=112.40m)되는 두 점을 굴진 하는 경우 A, B점의 경사각은?

  1. 약 3°
  2. 약 5°
  3. 약 7°
  4. 약 9°
(정답률: 79%)
  • 두 점을 굴진하는 경우, 경사각은 두 점 사이의 거리 차이를 높이로 나눈 값의 아크탄젠트를 구하면 된다.

    즉, 높이 = |z2 - z1| = |112.40m - 86.30m| = 26.10m
    거리 = √[(x2 - x1)² + (y2 - y1)²] = √[(1734.0m - 1320.0m)² + (589.0m - 810.0m)²] = 504.4m

    따라서, 경사각 = atan(높이/거리) = atan(26.10m/504.4m) = 약 3°

    정답은 "약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터널 내외 연결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수작터널이 낮고 단면이 큰 경우에는 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충분한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2. 터널 내외의 측점 위치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다.
  3. 수직터널이 한 개인 경우 수직터널에 한 개의 수선을 내리고 이 수선의 길이와 방위를 관측한다.
  4. 지하의 터널과 지상의 광산구역경계 및 중요 제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한 측량이다.
(정답률: 31%)
  • 정답은 "수작터널이 낮고 단면이 큰 경우에는 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충분한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이다. 이유는 수작터널이 낮고 단면이 크다면 광학적인 방법으로는 충분한 정확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수직터널이 한 개인 경우에는 수선을 내리고 이를 관측하여 터널 내외의 위치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터널 측량의 목적 중 하나이다. 또한 지하의 터널과 지상의 광산구역경계 및 중요 제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측량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의 괄호 안에 들어갈 계획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정책계획-체계계획-사업계획-조성계획
  2. 정책계획-조성계획-체계계획-사업계획
  3. 체계계획-사업계획-정책계획-조성계획
  4. 사업계획-정책계획-체계계획-조성계획
(정답률: 70%)
  • 정책계획은 전체적인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계획은 이를 구체화하여 체계적인 구조를 만들며, 사업계획은 구체적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조성계획은 구체적인 시설물이나 제품 등을 조성하는 계획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계획들은 정책계획부터 시작하여 체계계획, 사업계획, 조성계획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책계획-체계계획-사업계획-조성계획"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축척 1/1000인 지형도를 축척 1/1200 지형도로 잘못 생각하여 삼사법으로 구한 면적이 11520m2일 때 축척 1/1000 지형도의 실제 면적은?

  1. 8000m2
  2. 9600m2
  3. 13824m2
  4. 16589m2
(정답률: 54%)
  • 축척이 1/1000인 지형도에서의 면적을 구해야 하므로, 삼사법으로 구한 면적에 축척의 제곱을 곱해줘야 한다.

    1/1000 지형도의 축척은 1/1200 지형도의 축척보다 크기 때문에, 면적은 더 작아진다.

    따라서, 11520 × (1000/1200)² = 8000 (m²) 이다.

    정답은 "8000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수치지형모형(DTM)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사분석도
  2. 가시권 분석도
  3. 사면방향도
  4. 토지이용현황도
(정답률: 72%)
  • 수치지형모형(DTM)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활용하여 경사분석도, 가시권 분석도, 사면방향도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 토지이용현황도는 지형 정보 외에도 토지의 용도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가장 거리가 먼 정보이다. 따라서 토지 이용 계획 수립이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사진의 축척을 일치시키고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여 제작한 사진지도 중 등고선이 삽입되지 않은 사진지도는?

  1. 약집성 사진지도
  2. 조정집성 사진지도
  3. 정상투영 사진지도
  4. 중심투영 사진지도
(정답률: 50%)
  • 조정집성 사진지도는 축척을 일치시키고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여 제작한 사진지도이며, 등고선이 삽입되지 않은 사진지도이다. 약집성 사진지도는 축척을 일치시키지만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지 않은 사진지도이다. 정상투영 사진지도는 지구의 곡면을 평면에 투영하여 제작한 사진지도이며, 중심투영 사진지도는 지구의 중심을 중심으로 투영하여 제작한 사진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상 사진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촬영위치를 알고 행하는 전방교회법이라 할 수 있다.
  2. 항공사진에 비해 촬영방향에 대한 정확도가 현저히 낮다.
  3. 항공사진에 비해 기상의 영향이 크게 좌우하지 않는다.
  4. 지상사진기는 렌즈의 수차가 작아야 하며 보통각사진기가 많이 쓰인다.
(정답률: 57%)
  • "항공사진에 비해 촬영방향에 대한 정확도가 현저히 낮다."라는 이유는 지상 사진 측량에서는 촬영 위치와 측량 대상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측량 대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촬영 방향에 대한 정확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사진에 나타난 건물 정상(頂上)의 시차(parallax)를 측정하니 6.00cm이고 건물의 밑부분의 시차는 5.97cm이었다면 이 건물의 높이는? (단, 이 건물의 밑부분을 기준면(基準面:reference plane)으로 한 촬영고도는 3000m이다.)

  1. 5.0m
  2. 7.5m
  3. 10.0m
  4. 15.0m
(정답률: 22%)
  • 시차(parallax)는 물체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므로, 시차의 차이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시차의 차이는 건물의 높이와 기준면까지의 거리의 비율과 같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다.

    건물의 높이 = (시차의 차이 / 촬영고도) x 기준면까지의 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높이 = (6.00cm - 5.97cm) / 3000m x 기준면까지의 거리

    건물의 높이 = 0.001m/m x 기준면까지의 거리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15.0m이 된다. 이는 시차의 차이가 매우 작은 값이므로, 건물의 높이가 촬영고도에 비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표정점의 선점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굴뚝과 같이 지표면보다 뚜렷하게 높은 곳에 있는 점이어야 한다.
  2. 상공에서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
  3. 가상점, 가상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4. 표정점은 X, Y, Z 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점이 이상적이다.
(정답률: 65%)
  • "굴뚝과 같이 지표면보다 뚜렷하게 높은 곳에 있는 점이어야 한다."가 틀린 내용이다. 표정점은 지표면과 높이가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좋지만, 반드시 그렇게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표정점은 측량 작업에서 기준이 되는 점으로, 측량 대상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표면과 높이가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면 그곳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 쌍의 사진을 좌우로 실제보다 더 떼어놓고 실체시 하는 경우 지면의 기복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1. 고저를 분별하기 힘들다.
  2. 과고감이 커진다.
  3. 과고감이 적어진다.
  4. 높은 곳이 더 낮게 보인다.
(정답률: 65%)
  • 한 쌍의 사진을 좌우로 실제보다 더 떼어놓으면, 지면의 기복은 과고감이 커진다. 이는 사진이 실제보다 더 넓게 보이기 때문이다. 즉, 사진이 실제보다 더 넓어지면서 높은 곳은 더 높게, 낮은 곳은 더 낮게 보이게 되어 과고감이 커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이용하여 해상도가 낮은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는 기법은?

  1. 해상도 병합
  2. 영상 모자이크
  3. 영상 피라미드
  4. 영상 기하 보정
(정답률: 77%)
  • 해상도 병합은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과 낮은 영상을 합쳐서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해상도가 낮은 영상의 세부 정보를 보완하여 더욱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영상 모자이크는 이미지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기법이며, 영상 피라미드는 이미지를 다양한 해상도로 분해하여 처리하는 기법입니다. 영상 기하 보정은 영상의 위치, 크기, 회전 등을 보정하는 기법입니다. 이들과는 달리 해상도 병합은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과 낮은 영상을 결합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기법으로, 가장 적합한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벡터구조로서 지형데이터의 표현을 위한 위상을 갖추고 있는 수치표고자료의 표현방식은?

  1. 불규칙삼각망(TIN)
  2. 수치고도모형(DEM)
  3. 수치표면모형(DSM)
  4. 수치선형그래프(DLG)
(정답률: 50%)
  • 불규칙삼각망(TIN)은 지형 데이터를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각 삼각형의 꼭짓점에 고도 값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치표고모형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지형의 복잡한 형태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아 저장 및 처리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영상자료의 저장방식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BBC(Band Block Code)
  2. BIL(Band Interleaved by Line)
  3. BSQ(Band Sequential)
  4. BIP(Band Interleaved by Pixel)
(정답률: 77%)
  • BBC(Band Block Code)는 영상자료의 저장방식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저장 방식으로,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의 지리정보체계의 자료취득 방법 중 자료성격이 다른 방법은?

  1. 항공사진
  2. 인공위성영상
  3. 디지타이징
  4. 스캐닝
(정답률: 59%)
  • 디지타이징은 이미지나 지도 등의 종이 형태의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은 모두 이미지나 지도 등의 디지털 형태의 자료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이지만, 디지타이징은 종이 형태의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이므로 자료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편위수정기로 항공사진을 해석적 편위수정할 때 최소 몇 점의 기준점이 필요한가?

  1. 2점
  2. 4점
  3. 8점
  4. 10점
(정답률: 67%)
  • 편위수정기는 최소 4개의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x, y, z 좌표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개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해석적 편위수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개의 점만 사용하면 평면상에서의 이동만을 나타낼 수 있고, 3개의 점을 사용하면 평면상에서의 회전까지 나타낼 수 있지만, 이동과 회전을 모두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 4개의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기의 자료 취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중 디지타이징에 의한 오차(오류)로만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2. ③, ④, ⑤
  3. ④, ⑤
  4. ②, ③, ④
(정답률: 63%)
  • 디지타이징에 의한 오차는 측정값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측정값을 정확하게 디지털화하지 못하거나 디지털화된 값이 원래 값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지타이징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자료 취득 과정은 ②, ③, ④입니다. ①은 측정 자체에서 발생하는 오차, ⑤는 데이터 전송이나 저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므로 디지타이징에 의한 오차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사진의 내부표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진기 렌즈의 왜곡에 의한 오차
  2. 대기굴절에 의한 오차
  3. 지구곡률에 의한 오차
  4. 지상기준점의 오차
(정답률: 22%)
  • 지상기준점의 오차는 항공사진의 내부표정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항공사진의 내부표정을 결정하는 요소는 사진기 렌즈의 왜곡, 대기굴절, 지구곡률 등이 있지만, 지상기준점의 오차는 지상에서 측정된 지점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이다. 따라서 항공사진의 내부표정을 고려할 때는 지상기준점의 오차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벡터방식과 비교할 때 래스터(격자)방식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쟈료의 구조가 단순하다.
  2. 레이어의 중첩이나 분석이 용이하다.
  3. 속성정보의 추출 및 갱신이 용이하다.
  4. 3차원 지형 시뮬레이션 등이 용이하다.
(정답률: 50%)
  • 속성정보의 추출 및 갱신이 용이하다는 것은 래스터 방식에서는 각 격자 셀마다 속성 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이를 추출하거나 갱신하는 것이 벡터 방식보다 더 쉽고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GIS의 분석방법 중 교통로와 도시팽창 지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면 사상 간의 중첩
  2. 면 사상과의 점 사상의 중첩
  3. 버퍼 분석
  4. 면 사상과 선 사상의 중첩
(정답률: 67%)
  • 면 사상과 선 사상의 중첩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는 교통로를 나타내는 선 사상과 도시팽창 지역을 나타내는 면 사상을 겹쳐서 분석하는 것으로, 교통로와 도시팽창 지역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면 사상 간의 중첩은 면 사상끼리 겹치는 경우로, 도시팽창 지역의 세부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다. 면 사상과의 점 사상의 중첩은 도시팽창 지역 내의 특정 지점들과 교통로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도시팽창 지역과 교통로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버퍼 분석은 교통로 주변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도시팽창 지역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면 사상과 선 사상의 중첩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축척이 서로 다른 주 장의 광각사진(A, B) 상에 지상 10m의 교량이 각각 1mm(A)와 2mm(B)로 나타났다면 이 두 사진 A, B의 축척비(A:B)는?

  1. 2:1
  2. 4:1
  3. 1:2
  4. 1:4
(정답률: 55%)
  • 축척비는 큰 축척에서 작은 축척으로 나눈 값이므로, A:B는 B의 축척을 A의 축척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B의 축척은 A의 축척보다 크므로, A:B는 1: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사진상의 주점이나 표정점 등 제점의 위치를 인접한 사진상에 옳기는 작업은?

  1. 점이사
  2. 점수정
  3. 점인접
  4. 점이동
(정답률: 70%)
  • "점이사"는 사진상에서 제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접한 사진상에 제점을 옳기는 작업에 가장 적합한 용어입니다. "점수정"은 제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미 제대로 위치한 제점을 수정하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점인접"은 제점의 인접한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제점을 이동시키는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점이동"은 제점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의미하지만, "점이사"와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용어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실점의 조건
  2. Newton의 조건
  3. 샤임플러그의 조건
  4. 공선조건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축척 1/24,000의 항공사진을 C 계수가 1,200인 도화기로 도화작업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최소 등고선간격은? (단, 사진의 초점거리는 200mm 임)

  1. 2m
  2. 3m
  3. 4m
  4. 5m
(정답률: 64%)
  • 도화기의 C 계수는 1,200이므로 1cm를 도화하면 실제 거리로 12,000cm(=120m)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24,000 축척의 항공사진에서 1cm를 도화하면 120m를 나타내므로, 등고선 간격이 120m 이상이어야 한다.

    초점거리가 200mm이므로, 실제 지면에서의 사진의 크기는 200mm × 24,000 = 4,800m이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이 4m 이하이면, 작은 지형적 변화도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은 4m 이상이어야 신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점거리가 160mm인 사진기로 비고 640m 지점의 대상물을 1/12000 사진축척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촬영고도는 얼마인가?

  1. 2360m
  2. 2460m
  3. 2560m
  4. 2660m
(정답률: 73%)
  • 주점거리가 160mm이므로, 대상물과 사진기 사이의 삼각비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tanθ = 높이 / 거리

    여기서 θ는 사진기의 시야각이다.

    시야각은 1/12000 사진축척이므로,

    시야각 = 2 arctan (0.5 / 12000)

    = 0.0083 라디안

    따라서, 높이 = 거리 x tanθ

    = 640 x tan(0.0083)

    = 4.7m

    이제, 대상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거리 = √(640² + 4.7²)

    = 640.1m

    따라서, 촬영고도는 대상물과 사진기 사이의 수직거리이므로,

    촬영고도 = 640.1 - 640

    = 0.1m

    따라서, 정답은 "256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등고선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최대 경사방향을 나타낸다.
  2.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대로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3. 등고선이 도면 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등고선의 내부에는 산꼭대기 또는 분지가 있다.
  4. 등고선은 분수선과 직각으로 만난다.
(정답률: 74%)
  •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대로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높이가 다른 등고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높이가 같은 점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높이가 100m인 등고선과 200m인 등고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높이가 100m인 지점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경거 및 위거의 직접적인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측도의 좌표계산
  2. 오차 및 정확도 계산
  3. 측점의 표고계산
  4. 오차의 합리적 배분
(정답률: 70%)
  • 측점의 표고계산은 경거 및 위거와 직접적인 용도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경거 및 위거는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며, 측점의 표고계산은 측정된 지형의 높낮이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측점의 표고계산"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평판측량에서 중심맞추기 오차(편심거리)를 30mm, 도상위치 오차를 0.2mm로 할 때 축척한계는?

  1. 1/100
  2. 1/150
  3. 1/300
  4. 1/600
(정답률: 47%)
  • 축척한계는 중심맞추기 오차와 도상위치 오차 중 더 큰 값에 5배를 한 값이다. 따라서, 30mm 중 0.2mm보다 크므로 중심맞추기 오차인 30mm에 5배를 하면 150mm가 된다. 이를 분모로 1을 나누면 1/150이 되므로, 정답은 "1/150"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300"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평판측량에 관한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판측량은 보통 방사법, 전진법, 교회법 등의 방법을 병용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2. 폐합오차의 허용 범위는 도면 위에서 이내이다.(nm=트래버스변의 수)
  3. 평판측량에서 결과에 가장 영향을 주는 오차ㅑ는 중심맞추기 오차(구심오차)이다.
  4. 오차는 거리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38%)
  • "평판측량에서 결과에 가장 영향을 주는 오차는 중심맞추기 오차(구심오차)이다."라는 문장은 옳지 않습니다. 평판측량에서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오차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중심맞추기 오차(구심오차) 또한 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평판측량에서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오차 중 하나는 중심맞추기 오차(구심오차)이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오차는 거리에 비례하여 배분한다."라는 문장도 옳지 않습니다. 오차는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측정 도구의 정확도와 측정자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판측량에서 결과에 가장 영향을 주는 오차는 중심맞추기 오차(구심오차)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두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하여 경사거리 30.0mm±20cm 경사각 15° 30‘의 값을 얻었다. 경사거리와 경사각이 고저차 결정의 독립변수로 작용할 때 고저차의 오차는?:

  1. ±5.3cm
  2. ±10.5cm
  3. ±15.8cm
  4. ±27.6cm
(정답률: 17%)
  • 고저차 = 경사거리 x tan(경사각)
    고저차의 오차 = (경사거리의 오차 x tan(경사각)) + (경사거리 x tan(경사각)의 오차)

    경사거리의 오차 = 20cm
    경사각의 오차 = 15분의 30도 = 0.2588도
    tan(경사각)의 오차 = 0.2588 x tan(15도30분) = 0.0707

    고저차의 오차 = (0.2 x tan(15도30분)) + (30 x tan(15도30분) x 0.0707) = 0.1414 + 2.6465 = 2.7879

    따라서, 고저차의 오차는 약 ±2.8cm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5.3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준기의 관형 기포관 눈금을 8눈금 이동하였더니 60m 떨어진 표척의 읽음값이 0.046m 변화하였다. 이 수준기의 감도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70%)
  • 수준기의 감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감도 = (눈금 이동량) / (읽음값 변화량)

    여기서 눈금 이동량은 8눈금이고, 읽음값 변화량은 0.046m이다. 따라서 감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감도 = 8 / 0.046 ≈ 173.91

    하지만 보기에서는 감도를 10, 20, 30, 40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계산 결과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0을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이 A점에서 D점에 이르는 도중 폭 약 300m의 하천이 있어서 P점 및 Q점에 레벨을 설치하여 교호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A점으로부터 D점에 이르는 각 측점에서 전후 표척의 독치차가 다음과 같을 때 D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30m이다.)

  1. 29.777m
  2. 30.481m
  3. 31.509m
  4. 32.519m
(정답률: 60%)
  • P점과 Q점의 레벨을 각각 $h_p$, $h_q$라고 하면, P점에서의 전후 표척의 독치차는 $h_p-30$, Q점에서의 전후 표척의 독치차는 $h_q-30$이다.

    또한, P점과 Q점은 같은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P점에서 Q점으로 이르는 수평거리는 300m이다.

    따라서, P점과 Q점 사이의 기울기는 $dfrac{h_q-30-h_p+30}{300}=dfrac{h_q-h_p}{300}$이다.

    D점에서의 표고를 $h_d$라고 하면, D점에서 P점과 Q점으로 이르는 수직거리는 각각 $h_d-h_p$, $h_d-h_q$이다.

    또한, P점과 Q점은 같은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D점에서 P점과 Q점으로 이르는 수평거리는 300m이다.

    따라서, D점에서 P점과 Q점 사이의 기울기는 $dfrac{h_d-h_q-(h_d-h_p)}{300}=dfrac{h_p-h_q}{300}$이다.

    이 두 기울기가 같으므로,

    $dfrac{h_q-h_p}{300}=dfrac{h_p-h_q}{300}$

    $h_q-h_p=-(h_p-h_q)$

    $h_q=2h_p-h_q$

    $h_p=dfrac{h_q}{2}$

    따라서,

    $h_p-30=dfrac{h_q}{2}-30$

    $h_q-60=2(h_p-30)$

    $h_q=2h_p-30$

    $h_q=2(dfrac{h_q}{2})-30$

    $h_q=30$

    따라서, D점의 표고는

    $h_d=h_q+(h_q-h_p)=30+(30-dfrac{h_q}{2})=30+30-dfrac{30}{2}=29.777m$

    따라서, 정답은 "29.77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우리나라의 1/25,000 지형도에서 간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는 파선이고 5m 간격이다.
  2. 가는 파선이고 10m 간격이다.
  3. 가는 실선이고 5m 간격이다.
  4. 가는 실선이고 10m 간격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가는 파선이고 5m 간격이다." 이다. 간곡선은 지형의 경사를 나타내는 선으로, 가파른 경사일수록 간격이 좁아지고 완만한 경사일수록 간격이 넓어진다. 따라서 5m 간격인 가는 파선은 경사가 상대적으로 가파른 지형을 나타내며, 10m 간격인 가는 파선은 경사가 상대적으로 완만한 지형을 나타낸다. 가는 실선은 지형의 등고선을 나타내는 선이므로 간격과 상관없이 등고선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관측하기 위하여 B점에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53.85m인 P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1.28m를 얻었다. 50.25m인 등고선 위의 점 A를 정하려면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1. 1.28m
  2. 2.32m
  3. 3.60m
  4. 4.88m
(정답률: 20%)
  • B점과 P점의 고도 차이는 53.85m - B점의 고도 = 1.28m 이므로 B점의 고도는 52.57m 이다. 따라서 A점의 고도는 50.25m 이므로 A점과 P점의 고도 차이는 2.32m 이다. 이를 통해 A점에서 시준한 표척의 높이는 4.88m 이다. 이유는 P점과 A점의 고도 차이가 B점과 P점의 고도 차이보다 2배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A, B 두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1), (2), (3) 코스로 수준측량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두 점간의 고저차에 대한 최확값은?

  1. 29.567m
  2. 29.581m
  3. 29.569m
  4. 27.578m
(정답률: 59%)
  • A에서 B까지의 고저차는 (1)~(3)까지의 고저차의 합과 같다. 따라서, (1)~(3)까지의 고저차를 계산해보면:

    (1)~(2) : 10.123m
    (2)~(3) : 19.458m
    (1)~(3) : 29.581m

    따라서, A에서 B까지의 고저차는 29.581m이다. 정답은 "29.58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특별기준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섬이나 하천에서 사용하기 위해 따로 만든 기준면
  2. 특별히 높은 정확도의 측량으로 만든 기준면
  3. 서울특별시 건설에 사용되는 기준면
  4. 우리나라 5개 수준면 중 대표가 되는 기준면
(정답률: 67%)
  • 섬이나 하천에서 사용하기 위해 따로 만든 기준면은 해당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기준면으로, 해당 지역에서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건설할 때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준면은 지형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지며, 해당 지역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정확한 측량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오차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과대오차는 관측자의 부주의나 측량방법을 잘못 적용함
  2.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는 오차를 정오차라 한다.
  3. 정오차는 상차라고도 한다.
  4. 우연오차는 발생빈도, 크기, 부로 등을 전혀 알 수 없으며 예측할 수도 없는 무작위성 오차이다.
(정답률: 65%)
  • 정오차는 상차가 아니라서, "정오차는 상차라고도 한다."라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정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의미하며,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는 오차입니다. 상차는 측정값이 실제값보다 큰 경우를 의미하며, 하차는 측정값이 실제값보다 작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형의 표시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음영법-등고선의 사이를 같은 색으로 칠하여 색으로 표고를 구분하는 방법
  2. 우모선법-짧고 거의 평행한 선을 이용하여 선의 간격, 굵기, 길이, 방향 등에 의하여 지형의 기복을 표시하는 방법
  3. 채색법-특정한 곳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평행광선을 비칠 때 생기는 그림자를 바로 위에서 본 상태로 기복의 모양을 표시하는 방법
  4. 등고선법-측점에 숫자를 기입하여 지형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방법
(정답률: 65%)
  • 우모선법은 짧고 거의 평행한 선을 이용하여 지형의 기복을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선의 간격, 굵기, 길이, 방향 등을 이용하여 지형의 기복을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삼각망에 대한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단열삼각망은 같은 거리에 대하여 측점수가 가장 적으므로 측량은 간단하여 경제적이나 조건식의 수가 적어서 정밀도가 낮다.
  2. 사변형삼각망은 조건식의 수가 많아서 다른 삼각망에 비해 정밀도가 가장 높다.
  3. 유심삼각망은 면적이 넓고 광대한 지역의 측량에 좋다.
  4. 사변형삼각망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도로, 하천, 철도 등의 측량을 시행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70%)
  • "사변형삼각망은 조건식의 수가 많아서 다른 삼각망에 비해 정밀도가 가장 높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사변형삼각망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도로, 하천, 철도 등의 측량을 시행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조건식의 수가 많다는 것은 정밀도가 높다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트래버스측량의 각 관측 기하학적 조건과 비교하여 허용오차 이내일 경우의 오차배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땐즌 오차를 각의 대소에 관계없이 등분하여 배분한다.
  2. 각 관측의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그 오차를 경중률에 따라 배분한다.
  3. 각 관측은 경중률이 같을 경우에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변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 관측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22%)
  • "변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 관측각에 배분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각 관측은 경중률이 같을 경우에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합니다. 이는 각의 크기가 클수록 오차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경중률에 따라 오차를 배분합니다. 이는 경중률이 클수록 오차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때에도 각의 대소에 따라 등분하여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전자파 거리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교차의 제한을 10mm+D×2mm (D : km 단위)로 할 경우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D는 4km임)

  1. 1회만 재측한다.
  2. 1회와 2회를 재측한다.
  3. 4회만 재측한다.
  4. 재측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54%)
  • 교차의 제한은 10mm+D×2mm 이므로, D가 4km일 때 교차의 제한은 10mm+4km×2mm=10mm+8mm=18mm이다. 따라서, 측정 결과에서 교차한 부분이 18mm 이하인 경우에는 재측할 필요가 없다. 측정 결과에서 교차한 부분이 모두 18mm 이하이므로, 재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재측할 필요가 없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평면측량(국지측량)에 대한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지측량을 제외한 모든 측량
  2. 측량법에 의하여 측량한 결과가 작성된 성과
  3. 측량할 구역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국지적 범위의 측량
  4. 대지측량에 비하여 비교적 좁은 구역의 측량
(정답률: 60%)
  • 평면측량(국지측량)은 측량할 구역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국지적 범위의 측량을 의미합니다. 즉, 대지측량과는 달리 비교적 좁은 구역에서 측량을 수행하며, 이를 평면으로 간주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측량할 구역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국지적 범위의 측량"이 가장 적합한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축척 1/500 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축척 1/3000의 지형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1/3000 지형도 1도엽은 1/500 지형도를 몇 매 포함한 것인가?

  1. 45매
  2. 40매
  3. 36매
  4. 25매
(정답률: 58%)
  • 1/3000 지형도 1도엽은 1/500 지형도 36매를 포함한다. 이는 1/3000 지형도의 축척이 1/500 지형도의 축척보다 작기 때문에, 1/500 지형도를 36매 조합하여 1/3000 지형도 1도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토탈스테이션(T.S)을 사용하여 길이 6500m인 측선을 측설할 때 거리에는 오차가 없고 방향에 5“의 오차가 있다면 이로 인한 위치 오차는?

  1. 15.2cm
  2. 15.8cm
  3. 16.4cm
  4. 16.9cm
(정답률: 40%)
  • T.S는 거리에 대한 오차가 없으므로 위치 오차는 방향 오차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방향 오차 5"에 대한 위치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6500m의 원둘레를 구합니다.
    원둘레 = 2 x π x 반지름 = 2 x 3.141592 x (6500m / 2π) = 6500m
    즉, 6500m의 측선은 원의 둘레와 같습니다.

    5"의 오차가 발생하면 원의 둘레에서 5/360만큼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오차 = 6500m x (5/360) = 90.28m

    하지만 이 오차는 원의 둘레 전체에 대한 오차이므로, 위치 오차는 오차를 원의 둘레로 나눈 값입니다.
    위치 오차 = 90.28m / 6500m = 0.0139
    위치 오차 = 0.0139 x 100cm/m = 1.39c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8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표준오차를 이용하여 표시한 최확값이 400.00±0.02m일 때 확률오차를 이용한 정확도는 약 얼마인가?

  1. 1/10,000
  2. 1/20,000
  3. 1/30,000
  4. 1/40,000
(정답률: 67%)
  • 표준오차는 표본평균의 편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표준오차가 0.02m라는 것은 해당 측정값이 상대적으로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률오차는 측정값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95% 신뢰수준에서 계산된다. 따라서 확률오차는 표준오차보다 크다.

    확률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확률오차 = 1.96 × 표준오차

    여기서 1.96은 95% 신뢰수준에서의 Z값이다.

    따라서 확률오차는 1.96 × 0.02m = 0.0392m 이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0.0392 ÷ 400 × 100% = 0.0098% 이다.

    따라서 정확도는 약 1/10,000 이며, 가장 가까운 보기는 "1/3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측량업의 등록사항 중 상호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 등록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20일 이내
  2.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7일 이내
  3.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60일 이내
  4.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30일 이내
(정답률: 67%)
  • 측량업의 등록사항 중 상호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 등록기간은 법령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호 변경 등록은 법인명의 변경 등록과 동일하게 취급되어,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해야 합니다. 이는 법인명의 변경 등록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변경 등록을 늦게 하면 법인 등록 취소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기본측량의 성과를 외국으로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 국외반출허가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보안각서
  2. 외국인인 경우 여권사본
  3. 반출할 내용물
  4. 내국인인 경우 호적등본
(정답률: 73%)
  • 기본측량의 성과를 외국으로 반출하는 경우, 국외반출허가신청서에 첨부해야 할 서류는 반출할 내용물과 외국인인 경우 여권사본입니다. 내국인인 경우 호적등본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내국인이므로 국내에서 출생증명서 등의 서류를 제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공공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
  2.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
  3.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만을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
  4. 일반측량,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67%)
  • 공공측량의 기준은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한다."입니다. 이는 기본측량이나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시설물 등의 위치나 경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만을 기반으로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 계획은 누가 수립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4. 시장, 군수
(정답률: 34%)
  •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 계획은 건설교통부장관이 수립하기 때문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은 국가의 건설 및 교통 분야를 총괄하는 대표적인 공직자로서, 기본측량과 같은 건설 분야의 중요한 계획을 수립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성과란?

  1. 당해 측량에서 얻은 지형측량의 최종성과만을 말한다.
  2.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한다.
  3. 당해 측량에서 얻은 삼각점의 최종결과치만을 말한다.
  4. 당해 측량에서 얻은 수준점의 최종결과치만을 말한다.
(정답률: 64%)
  •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성과는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합니다. 이는 측량 작업의 목적이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은 결과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500
  2. 1/1000
  3. 1/1500
  4. 1/2000
(정답률: 28%)
  •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는 대부분 1/1000의 축척을 사용한다. 이는 지도상의 1cm가 실제 지면상에서 1000cm(10m)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500의 축척은 지도상에서 더 큰 영역을 보여주지만, 상세한 정보를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고, 1/2000의 축척은 상세한 정보를 나타내기에는 적합하지만, 지도상에서 보여지는 영역이 작아져서 유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는 대부분 1/1000의 축척을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투영 중 1:50,000 국토기본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은?

  1. 원주(圓柱)
  2. 횡단머케이트(T.M)
  3. 만국횡단머케이트(U.T.M)
  4. 람벨트(Lambelt)
(정답률: 59%)
  • 1:50,000 국토기본도에서 적용하는 투영은 횡단머케이트(T.M)입니다. 이는 지구의 원주를 유지하면서 경도와 위도를 직각 좌표계로 변환하는 투영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리적 넓이와 거리를 보존하며, 지형 지물의 모양을 왜곡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규모 지도 제작에 적합한 투영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기본측량의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기본측량실시로 인하여 손실을 받은 자가 있을 때에는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
  2.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토지, 건물, 죽목을 수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3. 기본측량을 위하여 토지 등에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타인의 토지나 건물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관계인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기본측량을 위하여 토지 등에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가 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이는 대통령령이 아닌 법률로 정해져 있습니다. 기본측량을 위한 토지 출입 증표에 관한 사항은 '기본측량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2. 금치산 또는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3. 측량법을 위반하여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형의 집행유예 기간 중에 있는 자
  4. 국가보안법의 죄를 범하여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정답률: 50%)
  • "국가보안법의 죄를 범하여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국가보안법 위반은 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 필요한 첨부 서류가 아닌 것은?

  1.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2. 법인인 경우 등기부등본
  3. 측량기술자의 고용계약서
  4.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정답률: 70%)
  •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는 측량기술자의 고용계약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고용 상태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는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법인인 경우 등기부등본,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지 않는 측량은 어느 것인가?

  1.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2. 국지적 측량 또는 고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측량
  3. 측량노선의 길이가 10km 이상인 수준측량, 다각측량
  4.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정답률: 36%)
  •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지 않는 측량은 "측량노선의 길이가 10km 이상인 수준측량, 다각측량" 입니다. 이는 측량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측량노선이 길어질수록 오차가 누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로측량과 지적측량은 법적인 규정에 따라 공공측량으로 분류되지만, 측량노선의 길이가 10km 이상인 수준측량과 다각측량은 일반측량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우리나라 지도의 주기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모두 나타낸 것은?

  1. 한글, 아라비아 숫자
  2. 한글, 한자, 아라비아 숫자
  3. 한글, 영자, 아라비아 숫자
  4. 한글, 한자, 영자, 아라비아 숫자
(정답률: 59%)
  • 우리나라 지도의 주기에는 한글, 한자, 영자, 아라비아 숫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한자, 영자, 아라비아 숫자"가 정답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문자를 모두 활용하여 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세계측지계의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타원체의 편평률은 299.1528136분의 1
  2. 회전타원체의 장반경은 6,378,137미터
  3. 회전타원체의 단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
  4. 회전타원체의 중심은 지구의 질량중심과 일치할 것
(정답률: 55%)
  • "회전타원체의 편평률은 299.1528136분의 1"이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편평률이 약 1/298.257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구의 모양이 완전한 구가 아니라 약간 납작한 타원체 모양을 띤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회전타원체의 장반경, 단축, 중심이 지구의 자전축과 질량중심과 일치하는 것은 모두 세계측지계의 요건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측량협회 임원(회장, 부회장, 이사 및 감사)의 임기를 규정하는 것은?

  1. 측량법
  2. 측량법 시행령
  3. 측량법 시행규칙
  4. 협회의 정관으로 별도 정함
(정답률: 50%)
  • 측량협회의 임원의 임기는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규정은 각 협회의 정관에 따라 별도로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협회의 정관으로 별도 정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시킬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증을 대여한 때
  2.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할 때
  3. 정당한 사유 없이 등록을 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영업을 개시하지 아니한 때
  4.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수첩을 대여한 때
(정답률: 67%)
  • "정당한 사유 없이 등록을 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영업을 개시하지 아니한 때"는 측량업을 등록한 후 일정 기간 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측량업을 등록한 후에도 일정 기간 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않으면 등록을 취소할 수 있는 규정으로, 측량업을 등록한 후에는 적극적으로 영업을 준비하고 시작해야 한다는 책임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록을 부정하게 한 경우에 해당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등록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관할구역 안에 있는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를 감시하여야 하는 자는?

  1. 도지사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군수
  4. 경찰청장
(정답률: 19%)
  • 군수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을 총괄하는 최고 행정장관이며, 관할구역 안에 있는 모든 사항을 감시하고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관할구역 안에 있는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를 감시하여야 하는 자는 군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건설교통부장관 및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을 협회에 위탁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측량기기의 성능검사
  2. 기본측량의 실시에 관한 통지
  3. 공공측량 측량기록사본의 제출요구
  4. 공공측량의 심사
(정답률: 46%)
  • 정답은 "공공측량의 심사"입니다. 이는 건설교통부장관 및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공공측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협회에 위탁하여 심사를 수행하도록 한 것입니다. 따라서 협회는 공공측량의 결과물을 심사하여 정확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문제가 발견되면 수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법상의 벌칙 중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한 자
  2. 다른 사람의 견적의 제출 자
  3.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4.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
(정답률: 54%)
  • 측량업은 법적으로 등록된 업체만이 수행할 수 있는데,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자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벌칙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지도도식규칙의 적용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
  2.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직접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3.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간접으로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강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4.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군용지도를 조제하는 경우
(정답률: 70%)
  • 지도도식규칙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거나 발간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군용지도는 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적용 대상이 되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측지측량업
  2. 연안조사측량업
  3. 지도제작업
  4. 지적측량업
(정답률: 75%)
  • 지적측량업은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동산의 경계선을 측정하는 업무로, 부동산의 실제 위치와 경계를 파악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는 부동산 관련 업무에 해당하며, 측지측량업, 연안조사측량업, 지도제작업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