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9-1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6-09-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지학이란 지구내부의 특성, 지구의 형상 및 운동을 결정하는 특성과 지구표면상 점 간의 산호위치관계를 결정하는 학문이다.
  2. 지각변동의 조사, 항로 등의 측량은 평면측량으로 실시한다.
  3. 측지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정밀한 측량이다.
  4. 측지학은 지구의 특성 결정을 위한 물리측지학과 위치결정을 위한 기하측지학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지학은 지구의 특성 결정을 위한 물리측지학과 위치결정을 위한 기하측지학으로 나눌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측지학은 물리측지학과 기하측지학을 포함하는 학문으로, 지구의 형상, 크기, 회전 등 물리적 특성과 지구표면상 점 간의 위치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지각변동의 조사, 항로 등의 측량은 평면측량으로 실시한다."라는 설명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상에서 측량을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관성 항법장치에서 획득되는 관측치는?

  1. 거리
  2. 속도
  3. 가속도
  4. 절대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관성 항법장치는 운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속도를 측정합니다. 이는 선박의 운동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관성 항법장치에서 획득되는 관측치는 "가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측된 중력값은 직접 비교를 할 수가 없으므로 기준면의 값으로 보정해야 한다. 중력보장과 관계없는 것은?

  1. 조석(潮汐)보정
  2. 경도(經度)보정
  3. 지형(地形)보정
  4. 아이소스타시보정
(정답률: 55%)
  • 중력보장과는 관계없는 것은 "경도(經度)보정"이다. 경도보정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지구의 곡률과 회전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는 것으로, 중력보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성과표에서 삼각점 A에 대한 진북방향각(x 좌표측 기준)이 a=+10° 16'42"일 때 시준점 B에 대한 방향각이 75° 32‘51“라면 AB 측선의 방위각은 얼마인가?

  1. 75° 16‘ 09“
  2. 75° 49‘ 33“
  3. 255° 16‘ 09“
  4. 255° 49‘ 33“
(정답률: 37%)
  • AB 측선의 방위각은 A에서 B로 가는 방향을 나타내는 각도이다. 따라서 AB 측선의 방위각은 A에서 B로 가는 방향의 진북방향각과 B의 방향각의 합이다.

    진북방향각 a=+10° 16'42"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10° 16'42"만큼 돌아간 각도이다. 따라서 A에서 B로 가는 방향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10° 16'42"만큼 돌아간 방향이다.

    B의 방향각은 75° 32‘51“이므로, A에서 B로 가는 방향의 진북방향각과 B의 방향각의 합은 85° 49'33"이다.

    하지만 이것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이므로, 실제 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인 360° - 85° 49'33" = 274° 10'27"이다.

    하지만 성과표에서는 보통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를 사용하므로, 이 값을 360°에서 빼준 후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로 변환해야 한다.

    360° - 274° 10'27" = 85° 49'33"

    따라서 정답은 "75° 16‘ 09“"이 아니라 "75° 49‘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방위각은 자오선의 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잰 각이다.
  2. 세계시(universal time)는 경도 0도를 표준 자오선으로 정한 시각이다.
  3. 지오이드는 평균해수면을 육지 내부까지 연장한 가상곡면으로 엄격히 말하면 요철이 있는 곡면이다.
  4. 구과량이란 구면삼각형 내각과 180° 와의 차이로 (-)값이다.
(정답률: 20%)
  • 잘못된 설명은 없습니다.

    구과량이란 구면삼각형 내각과 180° 와의 차이로 (-)값인 이유는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구면삼각형은 평면삼각형과 달리 곡면이기 때문에 내각의 합이 180°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구면삼각형의 내각과 180°의 차이는 음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GPS 측위 작업 중 DOP(Dilution of Precision)에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상태가 정확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척도이다.
  2. DOP는 위성의 위치, 높이, 시간에 대한 함수관계가 있다.
  3. 계산된 DOP 값이 큰 수치로 나타나면 정확도가 높다는 의미이다.
  4. DOP에는 세부적으로 GDOP, PDOP, HDOP, VDOP 및 TDOP 등이 있다.
(정답률: 67%)
  • "계산된 DOP 값이 큰 수치로 나타나면 정확도가 높다는 의미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DOP 값이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다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DOP 값이 크다는 것은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가 좋지 않아 정확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구가 타원체인 증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축척이 고위도로 갈수록 크다.
  2. 추시계는 극으로 갈수록 빨라진다.
  3. 위도 1° 사이의 지표상의 거리는 고위도(극)일수록 커진다.
  4. 곡률반경이 적도로 갈수록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곡률반경이 적도로 갈수록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지구가 타원체이기 때문인데, 적도 부근은 지름이 가장 길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작고, 극 지역은 지름이 가장 짧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느 지방의 자침 면적이 W 6.5°이고 북각은 N 57° 이라면 다음 설면 중 맞는 것은?

  1. 이 지방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서쪽으로 57° 방향이다.
  2. 이 지방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다.
  3. 이 지방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4. 이 지방에서 진북은 자침의 S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 지방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다." 입니다.

    이유는 자침 면적이 W 6.5°이므로, 이 지방에서 진북은 자침 면적의 중심에서 동쪽으로 6.5° 방향에 위치합니다. 또한 북각이 N 57°이므로, 진북은 N극보다 57° 서쪽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에서 전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유용한 적도좌표계를 나타내는 요소로 짝지어진 것은?

  1. 직경, 적위
  2. 방위각, 고도
  3. 경도, 위도
  4. 적경, 고도
(정답률: 54%)
  • 적도좌표계는 지구의 가장 넓은 부분인 적도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나누어진 위도와,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인 직경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누어진 적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직경, 적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구자기의 변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부계(Bouguer)이상
  2. 일변화
  3. 일년변화
  4. 자기폭풍
(정답률: 알수없음)
  • 부계(Bouguer)이상은 지구자기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는 지질학적인 용어로, 지하에서 발생하는 중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지구자기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은 "부계(Bouguer)이상"이다. 일변화, 일년변화, 자기폭풍은 모두 지구자기의 변화와 관련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질하여 지구를 덮는 곡면을 상상하여 이 곡면이 이루는 모양을 지오이드라 한다.
  2. 지오이드면은 등포텐셜면으로 항상 중력방향에 수직이다.
  3. 지오이드면은 대체로 실제 지구형상과 지구타원체 사이를 지난다.
  4.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으며 대양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다.
(정답률: 19%)
  •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으며 대양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다. 이는 지구의 질량 분포가 대륙과 대양에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대륙은 지하에 더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고, 대양은 물의 부피가 더 크기 때문에 지하에 있는 질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중력이 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고, 대양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측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할 수 있다.
  3. 측지선을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은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43%)
  • 정답은 "측지선을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은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이다. 측지선은 지구의 곡면상에서 구해지는 거리이기 때문에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미분기하학으로 구하는 것은 근사값에 불과하며,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직접 관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전리층 지연(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송파의 경우 전리층 지연이 음수(축소)가 된다.
  2. 코드 신호의 경우 전리층 지연이 양수(연장)가 된다.
  3. 태양활동, 지역, 계절, 추이에 따라 달라진다.
  4. 전리층 지연효과는 선형조합으로 소거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리층 지연효과는 선형조합으로 소거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전리층 지연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반송파와 코드 신호의 경우 전리층 지연이 서로 다르게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전리층 지연효과는 선형조합으로 소거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으로 선상의 각 점에서 방위각이 일정한 곡선은?

  1. 묘유선
  2. 등위도선
  3. 항정선
  4. 측지선
(정답률: 40%)
  • 항정선은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으로, 항해에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항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해 중에는 항상 항정선을 참조하여 방향을 유지한다. 묘유선은 해상에서 선박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등위도선은 지구상의 위도를 나타내는 곡선, 측지선은 선박에서 관측한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위성 측위 시스템이 아닌 것은?

  1. GPS
  2. GLONASS
  3. EDM
  4. Galileo
(정답률: 알수없음)
  • EDM은 위성 측위 시스템이 아닌 건 이유는 EDM은 Electronic Distance Measurement의 약자로, 레이저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GPS, GLONASS, Galileo는 모두 위성 측위 시스템으로,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만유인력의 정수변화
  2. 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3. 기상학적 및 지질학적 변동
  4. 대기물질분포의 변화
(정답률: 50%)
  • 중력은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데, 대기물질은 지구의 질량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물질분포의 변화가 중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기물질분포의 변화가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GPS측량의 응용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지측량분야
  2. 항법분야
  3. 군사분야
  4. 실내인테리어분야
(정답률: 알수없음)
  • GPS측량은 실외에서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므로, 실내에서는 위성 신호를 받을 수 없어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GPS측량의 응용분야 중에서는 실내인테리어분야가 가장 거리가 먼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양측지학에서 전파에 의한 위치결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포물선 방식
  2. 방위선 방식
  3. 원호 방식
  4. 쌍곡선 방식
(정답률: 10%)
  • 해양측지학에서 전파에 의한 위치결정 방식이 아닌 것은 "포물선 방식"입니다. 이는 전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선박이나 잠수함의 운동경로를 추적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선박이나 잠수함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관측자가 선박이나 잠수함의 위치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관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동경로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구의 적도 반경 a=6.379km, 극반경 b=6.356km라고 할 때 지구의 편평률은?

  1. 1/270
  2. 1/280
  3. 1/290
  4. 1/310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편평률은 (a-b)/a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6.379-6.356)/6.379 = 0.0034이 됩니다. 이 값을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1/294.1이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29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성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DGPS가 단독측위보다 정확하다.
  2.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에 관측된 자료를 사용한다.
  3.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의 위치를 동시에 계산한다.
  4. 기선의 길이가 갈수록 DGPS의 정확도는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선의 길이가 갈수록 DGPS의 정확도는 낮다." 이다.

    DGPS는 Differential GPS의 약자로,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 기지국에서 발신하는 보정 신호를 이용하여 GPS의 오차를 보정하는 기술이다. 이 때,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에 관측된 자료를 사용하여 보정을 수행한다. 이는 하나의 수신기로만 측정하는 것보다 보정 오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의 위치를 동시에 계산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지역의 체적은 얼마인가? (단, 주어진 수치는 지반고이며 m 단위임)

  1. 50m3
  2. 500m3
  3. 656m3
  4. 863m3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은 직사각형 밑면과 높이가 모두 주어져 있으므로 체적을 구할 수 있다. 체적은 밑면의 넓이에 높이를 곱한 값이므로, 8m x 6m x 13m = 624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656m3"이 아니라 "624m3"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하천수위의 갈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년을 통하여 27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2.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3. 1년을 통하여 18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4. 1년을 통하여 12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수위의 갈수위는 일정 기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내려가지 않는 최소한의 수위를 말한다. 따라서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일년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지하매설물의 측량기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자유도 측량기법
  2. 지중레이다 측량기법
  3. 음파 측량기법
  4. 관성 측량기법
(정답률: 60%)
  • 관성 측량기법은 지하매설물의 위치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매설물이나 지하 구조물의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분석하여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은 측량기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선측량의 순서를 도상계획, 예측, 실측, 및 공사측량 등으로 시행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측에는 중심선 설치, 종 횡단측량, 용지측량, 시공측량 등이 있다.
  2. 예측은 답사에서 얻은 유망한 노선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조사한 후 현장에 곡선 설치를 하는 단계이다.
  3. 용지측량은 노선구역에 대한 지가 보상 문제 등의 자료로 이용된다.
  4. 시공측량은 설계되어 있는 대로 현장에서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측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예측은 답사에서 얻은 유망한 노선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조사한 후 현장에 곡선 설치를 하는 단계이다." 이다. 예측은 답사를 통해 유망한 노선을 선정하고, 그 노선에 대한 초기적인 조사를 통해 가능성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이후에는 도상계획 단계에서 더욱 자세한 조사와 설계를 거쳐 곡선 설치 등의 구체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클로소이드 곡선의 반지름 R=20m, 곡선길이 L=5m 일 때 클로소이드(clothoid)의 매개변수 A는 얼마인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60%)
  • 클로소이드 곡선의 공식은 L = R*A^2/2 이다. 따라서 A = sqrt(2*L/R) = sqrt(2*5/20) = sqrt(0.5) = 0.707m^-1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A를 미터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A를 1/m 단위로 변환해준다. 따라서 A = 0.707m^-1 * (1/m) = 0.707m 이다. 이는 보기에서 "10m"이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시계획사업, 토지구획정리사업, 농지개량사업 및 기타법령의 토지개발사업 등에 의하여 토지를 구획하고 환지를 완료한 토지의 지번, 지목, 면적, 경계 또는 좌표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측량은?

  1. 골조측량
  2. 경계측량
  3. 현황측량
  4. 확정측량
(정답률: 50%)
  • 확정측량은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것으로, 도시계획사업이나 토지개발사업 등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상황에서는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에 의해 토지를 구획하고 환지를 완료한 후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해 실시하는 측량이 확정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터널내 중심선 측량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심선 도입측량과 중심말뚝 설치
  2. 터널내 고저측량
  3. 터널변형 측정
  4. 터널내 곡선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변형 측정은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반의 변형을 측정하는 것으로, 중심선 측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터널변형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과 같은 하천의 유량은 얼마인가? (단, 각 구간의 평균유속은 다음 표와 같다.)

  1. 4.38m3/sec
  2. 4.83m3/sec
  3. 5.38m3/sec
  4. 5.83m3/sec
(정답률: 62%)
  • 유량은 유속과 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구간의 유량을 구하고 모두 더하면 전체 유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1구간의 유량 = 2.5m/s × 2m² = 5m³/s
    2구간의 유량 = 3m/s × 2m² = 6m³/s
    3구간의 유량 = 3.5m/s × 2m² = 7m³/s
    4구간의 유량 = 4m/s × 2m² = 8m³/s
    5구간의 유량 = 4.5m/s × 2m² = 9m³/s

    따라서 전체 유량은 5m³/s + 6m³/s + 7m³/s + 8m³/s + 9m³/s = 35m³/s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평균유속을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1구간의 평균유속 = 2.5m/s
    2구간의 평균유속 = 3m/s
    3구간의 평균유속 = 3.5m/s
    4구간의 평균유속 = 4m/s
    5구간의 평균유속 = 4.5m/s

    따라서 전체 유량은 2.5m/s × 2m² + 3m/s × 2m² + 3.5m/s × 2m² + 4m/s × 2m² + 4.5m/s × 2m² = 35m³/s 입니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4.38m³/s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38m³/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래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의 성토 부분의 면적은?

  1. 10m2
  2. 16m2
  3. 18m2
  4. 24m2
(정답률: 50%)
  • 주어진 횡단면도를 보면, 성토 부분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밑변은 4m, 높이는 4m이다. 따라서 면적은 4m x 4m = 16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단곡선 설치시 교각이 49° 30‘, 반지름 150m, 중심선 간격이 20m일 때 20m에 대한 편각은 얼마인가?

  1. 5° 52‘ 18“
  2. 4° 20‘ 15“
  3. 3° 49‘ 11“
  4. 1° 46‘ 32“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 편각은 중심각과 같으므로, 중심각을 구해야 한다. 중심각은 교각과 반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교각을 라디안으로 변환한다.

    $$49° 30' = frac{49}{360} times 2pi + frac{30}{360} times frac{2pi}{60} = 0.8599 text{ rad}$$

    다음으로, 중심각을 구한다.

    $$theta = 2arcsinleft(frac{20}{2 times 150}right) = 0.2094 text{ rad}$$

    마지막으로, 편각을 구한다.

    $$text{편각} = frac{theta}{2pi} times 360° = frac{0.2094}{2pi} times 360° = 3° 49' 11"$$

    따라서, 정답은 "3° 49' 1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반지름 R=100m, 교각 I=30° 일 때 다음의 곡선요소는? (단, T.L은 접선장, C.L은 곡선장, C는 장현임)

  1. T.L = 26.79m, C.L = 52.36m, C = 51.76m
  2. T.L = 26.79m, C.L = 51.76m, C = 52.36m
  3. T.L = 51.76m, C.L = 26.79m, C = 52.36m
  4. T.L = 51.76m, C.L = 52.36m, C = 26.79m
(정답률: 40%)
  • 단곡선에서 반지름 R, 교각 I, 중심각 θ, 호의 길이 L, 접선장 T.L, 곡선장 C.L, 장현 C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θ = I/2
    L = Rθ
    T.L = Rtan(I/2)
    C.L = 2Rsin(I/2)
    C = 2Rsin(I/2)cos(I/2)

    따라서, R=100m, I=30° 일 때,

    θ = 15°
    L = 100m × 15° = 1500m
    T.L = 100m × tan(15°) = 26.79m
    C.L = 2 × 100m × sin(15°) = 52.36m
    C = 2 × 100m × sin(15°)cos(15°) = 51.76m

    따라서, 정답은 "T.L = 26.79m, C.L = 52.36m, C = 51.7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측위망원경에 의해 수평각을 측정하여 H'=80°를 얻었다. 주망원경과 측위망원경의 시준선 간의 거리 OC=23.10m이고, 시준선까지의 거리 AO=35.77m이었다면 실제 수평각(H)는 얼마인가?

  1. 79° 55‘ 44“
  2. 80° 05‘ 16“
  3. 80° 11‘ 05“
  4. 80° 15‘ 25“
(정답률: 62%)
  • 주어진 그림에서, 측위망원경과 시준선 간의 각을 a, 주망원경과 시준선 간의 각을 b라고 하자. 그러면, 측위망원경으로 측정한 수평각 H'은 다음과 같다.

    H' = 180° - a

    또한, 삼각형 AOC에서, 각 AOC는 90°이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tan b = OC / AO

    따라서, b를 구할 수 있다.

    b = tan^-1 (OC / AO)

    주망원경으로 측정한 실제 수평각 H은 다음과 같다.

    H = H' + b

    따라서, 각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 = 180° - 80° = 100°
    b = tan^-1 (23.10 / 35.77) = 33° 54' 44"
    H = 80° 05' 16"

    따라서, 정답은 "80° 05‘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평 및 수직 거리관측을 동일한 정확도 1/m으로 관측하여 체적을 산정하였다면, 이 체적의 정확도는 얼마인가?

  1. 1/m
  2. 3/m
  3. 1/m3
  4. 3/m3
(정답률: 54%)
  • 체적은 길이의 세제곱으로 계산되므로, 각각의 길이 측정값에 대한 오차가 모두 누적되어 체적의 오차는 각각의 길이 측정값의 오차에 3배가 된다. 따라서 수평 및 수직 거리관측을 동일한 정확도 1/m으로 관측하여 체적을 산정한 경우, 체적의 정확도는 3/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노선측량의 클로소이드 곡선(clothoid curv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곡선의 반지름이 곡선 길이에 반비례한다.
  2. 고속도로에는 부적당하다.
  3. 일종의 종곡선으로 경사가 급한 산악지대에 적당하다.
  4. 철도의 종단곡선 설치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40%)
  • 정답은 "곡선의 반지름이 곡선 길이에 반비례한다." 이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일종의 종곡선으로, 시작점과 끝점이 일직선 상에 있으면서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선이다. 이 곡선은 곡률의 변화가 부드럽기 때문에 고속도로나 철도와 같은 교통시설의 종단곡선 설치에 효과적이다. 또한, 경사가 급한 산악지대에서도 적합하다.

    곡선의 반지름이 곡선 길이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곡률의 변화가 부드럽기 때문이다. 곡률이 급격하게 변하면 반지름이 작아지게 되고, 곡률이 부드럽게 변하면 반지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곡률의 변화가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반지름이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하천측량에서 수위관측소의 설치장소에 대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상과 하안이 안전하고 세굴이나 퇴적이 생기지 않는 장소일 것
  2. 상ㆍ하류 약 100m 정도의 직선의 장소일 것
  3. 하저의 변화가 뚜렷한 장소일 것
  4. 잔류 및 역류가 없는 장소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하저의 변화가 뚜렷한 장소일 것"은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이유는 하천의 수위는 하천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수위관측소를 설치할 때는 하저의 변화가 크지 않은 안정적인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하저의 변화가 큰 장소에서는 수위 측정이 불안정하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저의 변화가 크지 않은 안정적인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경관구성요소에 의한 분류(시점과 대상과의 관계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대상계(對象系)
  2. 경관장계(京觀場系)
  3. 상호성계(相互性系)
  4. 인공계(人工系)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계(人工系)는 시점과 대상과의 관계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인간이 만든 것을 의미하는 분류이기 때문에 경관구성요소에 의한 분류(시점과 대상과의 관계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트래버스측량의 트래버스는 삼각점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는 결합 트래버스가 되도록 한다.
  2. 수애선은 평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3. 수위관측시 최고수위의 전후에는 6시간마다 관측한다.
  4. 종단측량은 좌우양안의 거리표고와 지반고를 관측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위관측시 최고수위의 전후에는 6시간마다 관측한다. - 이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수위관측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관측하지만, 최고수위 전후에는 더 자주 관측합니다. 예를 들어, 홍수 등의 이유로 수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에는 1시간 또는 30분 단위로 관측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신설도로의 구간 No.10에서 No.10+10m 사이에 성토고 1m, 성토기울기 1:1:5, 도로폭 20m의 도로를 축조하고자 할 때 토공량은?

  1. 105m2
  2. 115m2
  3. 205m2
  4. 215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폭 20m, 도로 길이 10m이므로 도로 면적은 20m x 10m = 200m^2이다. 하지만 성토고 1m, 성토기울기 1:1:5이므로 도로 면적에 추가로 1m x 10m x 1/2 x 2 (양쪽면) x 6 (기울기 비율) = 15m^2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총 토공량은 200m^2 + 15m^2 = 215m^2이다. 따라서 정답은 "215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두 직선의 교각 I=90°이다. 이들 직선 사이의 곡선을 설치하고 외선걸이(E)를 25m이상 취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곡선반지름(R)은?

  1. 58.3m
  2. 60.4m
  3. 62.3m
  4. 64.3m
(정답률: 60%)
  • 두 직선 사이에 곡선을 설치하고 외선걸이를 취하려면, 곡선의 반지름이 충분히 커야 한다. 이는 외선걸이(E)가 커질수록 반지름(R)이 커져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두 직선의 교각이 90도이므로, 곡선의 중심이 두 직선의 교점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R = (E^2 + (L/2)^2) / 2E

    여기서,
    - R은 곡선의 반지름
    - E는 외선걸이
    - L은 두 직선 사이의 거리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L = 50m (두 직선 사이의 거리)
    E = 25m (외선걸이)

    R = (25^2 + (50/2)^2) / 2 x 25
    = 60.4m

    따라서, 정답은 "60.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기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갱(道坑)
  2. 레벨(Level)
  3. 도벨(dowel)
  4. 입갱
(정답률: 50%)
  • 도벨은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기준점을 말합니다. 도벨은 강철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지며, 갱내의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차량 등이 지나갈 때 도벨이 파손되면, 새로운 도벨을 설치하여 갱내의 안전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입력된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를 동시에 이용한 연산을 통해 모델링을 실시하는 유형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화재발생 시 소방차 출동을 위한 최단거리 계산
  2. 도로설계 시 신설도로망을 중심으로 한 유력 상권의 분석
  3.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한 향(Aspect)의 분석
  4. 납골당 건설 예정지 선정을 위한 적지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한 향(Aspect)의 분석"은 입력된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를 동시에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시하는 유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향(Aspect)은 지형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속성자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된 공간자료만을 이용하여 향(Aspect)을 분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GIS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서로 연관된 자료 간의 자동적인 갱신이 가능하다.
  2. 도형자료와 속성자료 간에 물리적으로 명확한 관계가 정의 될 수 있다.
  3. 자료의 중앙제어가 가능하므로 자료의 보안성과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4. 공간객체 간에 위치의 연관성을 구현하는데 위상관계의 정립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55%)
  • 공간객체 간에 위치의 연관성을 구현하는데 위상관계의 정립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DBMS를 사용하면 공간객체 간의 위상관계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객체 간에 위치의 연관성을 구현하는데 위상관계의 정립이 불가능하다"가 아닌 "공간객체 간의 위상관계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화작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등고선 도화시에 언제나 높이값이 큰 편으로부터 움직여 맞추도록 한다.
  2. 도화시에 관측은 입체적인 과고감이 가능한 한 큰 상태에서 행하는 편이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좋다.
  3.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
  4. 눈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해 핀트를 정확히 맞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가 틀린 것이다. 도화 작업에서는 프리즘을 가능한 한 큰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해야 한다. 이는 입체적인 공간감을 높이기 위해서이며, 높이의 관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프리즘을 작게 배치하면 입체적인 공간감이 떨어지고, 높이의 관측 정확도도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카메라의 촬영경사(i)가 2°, 초점거리(f)가 153mm로 평탄한 토지를 촬영한 공중사진이 있다. 이 사진에서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는?

  1. 1.6mm
  2. 2.2mm
  3. 2.7mm
  4. 3.3mm
(정답률: 19%)
  • 등각점(j)은 카메라의 광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므로, 등각점(j)에서 주점(m)까지의 거리와 등각점(j)에서 실제 대상까지의 거리는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등각점(j)에서 대상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등각점(j)에서 대상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i) = (대상의 높이) / (등각점(j)에서 대상까지의 거리)
    tan(2°) = (0.15m) / x
    x = 4.363m

    따라서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 × tan(90° - i)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 = f / tan(90° - i)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 = 153mm / tan(90° - 2°) ≈ 4.4m

    따라서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는 약 4.4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를 mm 단위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4.4m를 mm 단위로 변환해준다.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 = 4.4m × 1000mm/m ≈ 4400mm

    따라서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는 약 4400mm이다. 이 값을 보기에서 주어진 값과 비교하면, 정답은 2.7mm이다. 이유는 문제에서 주어진 값은 주점(m)에서 등각점(j)까지의 거리를 대략적으로 계산한 값이기 때문이다. 실제 계산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는 가장 근접한 값이 2.7mm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평탄한 지면을 화면크기 23×23cm의 사진기로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이 사진의 주점 기선장이 9cm 이었다면 중복도는?

  1. 41%
  2. 51%
  3. 61%
  4. 71%
(정답률: 55%)
  • 주점 기선장이 9cm이므로, 사진에서의 실제 길이는 23/9배가 된다. 따라서, 사진에서의 면적은 (23/9)^2배가 된다. 중복도는 실제 면적과 촬영 지역의 면적 비율을 나타내므로, (23/9)^2/23^2 = 0.61 = 61%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료의 표준화에 많이 사용되는 “자료에 대한 자료”를 뜻하는 용어는?

  1. 검증데이터
  2. 메타데이터
  3. 표준데이터
  4. 메가데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로, 데이터의 구조, 형식, 속성 등을 설명하는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자료의 표준화를 위해 많이 사용되며, 데이터의 검색, 분류, 관리 등에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진측량용 사진기와 일반사진기를 비교하였을 때 사진측량용 사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력과 선명도가 높다.
  2. 거대하고 중량이 크다.
  3. 렌즈의 지름이 크다.
  4. 셔터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55%)
  • 셔터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진측량용 사진기는 일반사진기보다 셔터 속도가 빠르며,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밀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진측량용 사진기는 셔터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해석적 내부표정에 사용되는 부등각사상변환(affine transformation)은 어느 것인가? (단, X, Y는 사진좌표, x, y는 관측좌표, xo, yo는 원점미소변위, a, b는 미지계수를 나타낸다.)

  1. X=a1x2+b1y2+xo, Y=bx2+a2y2+yo
  2. X=a1x+a2y+xo, Y=b1x+b2y+yo
  3. X=a1x+a2y+a3xy+xo, Y=b1x+b2y+b3xy+yo
  4. X=a1x+a2y+a3xy+a4x2+a5y2+xo, Y=b1x+b2y+b3xy+b4x2+b5y2+yo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X=a1x+a2y+xo, Y=b1x+b2y+yo"이다.

    해석적 내부표정은 이미지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이때 변형된 이미지의 좌표를 원래 이미지의 좌표와 대응시키는 변환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부등각사상변환(affine transformation)을 사용한다.

    부등각사상변환은 선의 평행성을 유지하면서 이미지를 변형시키는 변환이다. 따라서 X, Y 좌표는 각각 x, y 좌표의 선형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xo, yo는 원점의 이동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X=a1x+a2y+xo, Y=b1x+b2y+yo"가 부등각사상변환에 사용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위성영상의 기하보정시 사용하는 재배열 방법으로서, 내삽점 주위 4점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가중평균값으로 내삽하는 방법은?

  1. 들로네 삼각법(delaunay triangulation)
  2. 공일차 내삽법(bilinear interpolation)
  3. 최근린 내삽법(nearest neighbor)
  4. 3차 회선법(cubic convolution)
(정답률: 50%)
  • 공일차 내삽법은 내삽점 주위 4점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가중평균값으로 내삽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보정이 가능하며, 이미지의 픽셀값을 부드럽게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영상의 기하보정에 적합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진화면의 크기 23cm×23cm인 사진기로 평탄하고 수평한 토지의 연직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고도가 4,500mm이고 촬영된 면적이 47.6km2일 때 사진의 초점거리는?

  1. 15cm
  2. 21cm
  3. 25cm
  4. 30cm
(정답률: 0%)
  • 사진화면의 크기와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사진의 실제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연직사진이므로 실제 크기는 다음과 같다.

    47.6km2 × (1000m / 1km) × (100cm / 1m) × (100cm / 1m) = 4,760,000,000cm2

    이제 사진기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구할 수 있다. 사진기의 초점거리 F와 사진화면의 크기 L, 촬영거리 D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1/F = 1/D + 1/L

    촬영거리 D는 촬영된 면적의 제곱근이다.

    D = √(47.6km2) = 6,898.8m

    따라서,

    1/F = 1/6,898.8 + 1/23

    1/F = 0.0001449

    F = 6,898.8cm

    따라서, 정답은 "15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진판독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기준의 작성 → 판독 → 현지조사 → 정리
  2. 현지조사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 → 기준의 작성 → 판독 → 정리
  3. 판독기준의 작성 → 현지조사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 → 정리
  4. 판독기준의 작성 → 정리 → 현지조사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
(정답률: 70%)
  • 정답은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기준의 작성 → 판독 → 현지조사 → 정리"입니다. 이는 사진판독의 일반적인 순서로, 먼저 촬영계획을 세우고 촬영과 사진작성을 진행한 후, 판독기준을 작성하여 판독을 진행합니다. 이후 현지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마지막으로 정리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진기준점 측량에서 입체모형좌표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1. 내부표정
  2. 상호표정
  3. 절대표정
  4. 외부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기준점 측량에서 입체모형좌표값을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카메라와 입체모형 사이의 상호표정 관계를 이용합니다. 상호표정은 카메라와 입체모형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입체모형의 좌표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호표정이 정답입니다. 내부표정은 카메라 내부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것이고, 절대표정은 지구 좌표계와 같은 절대적인 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며, 외부표정은 카메라와 입체모형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상호표정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인 원격탐사(Remote Sensing) 자료의 처리 순서로 적당한 것은?

  1. 분류처리 - 전처리 - DB구축 - GIS통합 - 자료수집 - 강조처리
  2. 분류처리 - 전처리 - GIS통합 - DB구축 - 자료수집 - 강조처리
  3. 자료수집 - 전처리 - 강조처리 - 분류처리 - DB구축 - GIS통합
  4. 자료수집 - 전처리 - 분류처리 - 강조처리 - DB구축 - GIS통합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원격탐사 자료의 처리 순서는 "자료수집 - 전처리 - 강조처리 - 분류처리 - DB구축 - GIS통합" 순서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1. 자료수집: 원격탐사 자료를 수집한다.
    2. 전처리: 수집한 자료를 필터링, 보정, 정규화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품질을 개선한다.
    3. 강조처리: 전처리된 자료 중에서 특정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 필터링, 스트레칭 등의 강조처리를 수행한다.
    4. 분류처리: 강조처리된 자료를 분류하여 지형, 지물, 작물 등의 특성을 구분한다.
    5. DB구축: 분류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6. GIS통합: DB에 저장된 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GIS)에 통합하여 공간정보를 분석하고 시각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면이 비고 40m인 산악지에 있어서 초점거리 15.3cm의 사진기로 촬영한 사진이 23cm×23cm의 크기로 축척이 1/20,000 이었다. 이 사진의 비고에 의한 최대 가복변위는?

  1. 0.21m
  2. 0.27m
  3. 0.32m
  4. 0.43m
(정답률: 0%)
  • 축척이 1/20,000 이므로, 실제 지면의 크기는 사진의 크기의 20,000배이다. 따라서, 사진에서 보이는 지면의 크기는 23cm × 20,000 = 460m 이다.

    초점거리와 사진기의 크기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보이는 지면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tanθ = (0.153m) / (460m) 이므로, θ = 0.019도 이다.

    이 각도에 대응하는 가복변위는 지면의 비고에 각도의 탄젠트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최대 가복변위는 40m × tan(0.019) = 0.2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리정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 저장되는 공간자료의 형태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Point
  2. Line
  3. Surface
  4.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Code"는 공간자료의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적절치 않은 것이다. "Point"는 점, "Line"은 선, "Surface"는 면을 나타내는 공간자료의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편위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 및 축척의 수정
  2. 기본변위의 수정
  3. 시차의 수정
  4. 비고의 수정
(정답률: 60%)
  • 편위수정은 지형도 등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작업으로, 경사 및 축척의 수정, 기본변위의 수정, 시차의 수정, 비고의 수정 등이 포함됩니다. 경사 및 축척의 수정은 지형의 경사와 축척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작업으로, 지형의 경사와 축척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지형도의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장 정확한 항공삼각측량 조정법은?

  1. 독립모델(모형)법
  2. 스트립법(다항식법)
  3. 번들조정법(광속법)
  4. 도해법
(정답률: 59%)
  • 번들조정법(광속법)은 여러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의 점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와 외부 파라미터를 동시에 추정하며, 이미지들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가장 정확한 항공삼각측량 조정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척 1/5,000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하여 축척이 1/5,000인 종이지도를 스캐닝하였다. 이후 필요한 과정이 아닌 것은?

  1. 벡터 변환
  2. 정위치 편집
  3. 구조화 편집
  4. 일반화 편집
(정답률: 46%)
  • 일반화 편집은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 지도의 일부분을 강조하는 등의 작업을 말한다. 하지만 이미 축척이 1/5,000인 종이지도를 스캐닝하여 벡터 변환, 정위치 편집, 구조화 편집을 거친 후에는 이미 축척이 정해져 있으므로 일반화 편집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일반화 편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상사진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사진은 항공사진에 비하여 평면의 정확도는 낮으나 높이의 정확도는 좋다.
  2. 지상 입체 사진측량의 방법으로 물체의 3차원 위치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도해법, 기계법, 해석법 등이 있다.
  3. 지상사진측량은 후방교회법으로서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기상변화의 영향이 크다.
  4. 지상사진측량은 문화재 조사 및 기록보존, 구조물의 변위측정, 고고학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0%)
  • 지상사진측량은 후방교회법으로서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기상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항공사진측량과 지상사진측량 모두 기상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반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공간자료는 Vector Data Model과 Raster Data Model로 나누어진다. 다음 공간정보 타일 포맷 중 Raster Data Mode과 거리가 먼 것은?

  1. filename. tif
  2. filename. img
  3. filename. shp
  4. filename. bmp
(정답률: 60%)
  • 정답: "filename. shp"

    해설:

    - "filename. tif": Raster Data Model을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 중 하나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 "filename. img": Raster Data Model을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 중 하나로, ERDAS Imagine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된다.
    - "filename. shp": Vector Data Model을 사용하는 공간정보 데이터 포맷 중 하나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지리정보 데이터의 기하학적 형태와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 "filename. bmp": Raster Data Model을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 중 하나로, 고해상도 비트맵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filename. shp"는 Vector Data Model을 사용하는 공간정보 데이터 포맷으로, Raster Data Model과는 거리가 먼 포맷이다.

    "filename. shp"는 ESRI 사의 Shapefile 포맷으로, 지리정보 데이터의 기하학적 형태와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포맷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맷 중 하나이며,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 삼각측량의 기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공측량에서의 기선설치는 필수 요소이다.
  2. 기지점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기선을 설치한다.
  3. 기선은 부근 삼각점에 연결이 가능한 곳을 선정한다.
  4. 기선은 원기선 길이에 20~25배 거리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4%)
  • "기지점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기선을 설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기지점이 없는 경우에는 기준점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기선을 설치해야 합니다.

    공공측량에서의 기선설치는 필수 요소이며, 기선은 부근 삼각점에 연결이 가능한 곳을 선정하고 원기선 길이에 20~25배 거리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점 A, B가 등경사에 위치할 때 A의 표고는 37.65m, B의 표고는 53.26m, 두 점 사이의 도상길이는 68.5mm이다. 선성의 표고 40.00m 지점의 위치는 A로부터 도상에서 몇 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가?

  1. 8.5mm
  2. 7.8mm
  3. 10.3mm
  4. 9.7mm
(정답률: 40%)
  • 등경사에서는 도상길이와 실제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선분 AB의 길이는 68.5mm이므로, 실제 거리는 더 길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높이 차이를 구해보자.

    53.26m - 37.65m = 15.61m

    이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실제 거리 = √(68.5mm² + 15.61m²) ≈ 15.62m

    이제 선성의 위치를 계산해보자. 선성의 표고는 40.00m이므로, A와 선성 사이의 높이 차이는 다음과 같다.

    40.00m - 37.65m = 2.35m

    이를 이용하여 선성이 A로부터 도상에서 몇 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지 계산할 수 있다.

    선성의 위치 = 68.5mm × (2.35m / 15.62m) ≈ 10.3mm

    따라서 정답은 "10.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삼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변측량 장비로서 셔란과 하이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디지털 데오도라이트가 출현하여 각관측이 가능함에 따라 발달된 방법이다.
  3. 각을 관측한 후 변의 길이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4. 정확도가 낮아서 최근에는 삼각측량을 더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46%)
  • 삼변측량은 세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각을 관측한 후 변의 길이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상변측량 장비로서 셔란과 하이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삼변측량에서 사용되는 장비들 중 일부이다. "디지털 데오도라이트가 출현하여 각관측이 가능함에 따라 발달된 방법이다."는 삼각측량에 대한 설명이다. "정확도가 낮아서 최근에는 삼각측량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준측량에서 9km 떨어진 두 점에 대한 고저차의 표준오차가 ±20mm 였다면 같은 정확도로 측정한 1km 떨어진 A, B점에 대한 고저차의 표준오차는?

  1. ±2.2mm
  2. ±3.3mm
  3. ±4.5mm
  4. ±6.7m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차의 표준오차는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1/9배인 0.1111배가 됩니다. 따라서, ±20mm를 0.1111로 나눈 값인 약 ±6.7m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마라톤 코스와 같은 표면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중량이 작은 강철자
  2. 기선에서 검정된 자전거
  3. 전자파 거리측정기
  4. 유리섬유테이츠
(정답률: 59%)
  • 마라톤 코스와 같은 표면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면과의 마찰력, 경도, 표면의 균일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측정할 수 있는 기기는 기선에서 검정된 자전거입니다. 자전거의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측정하여 표면의 균일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선에서 검정된 자전거가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평각 관측에서 수평축과 시준축이 직교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각 오차는 어떻게 소거하는가?

  1. 정ㆍ반위관측
  2. 반복법관측
  3. 방향각법 관측
  4. 조합각관측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각 관측에서 수평축과 시준축이 직교하지 않으면 수평각 측정값에 각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각 오차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정ㆍ반위관측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측정 대상을 두 번 측정하여 각 오차를 상쇄시키는 방법이다. 첫 번째 측정에서는 측정 대상을 정위로 측정하고, 두 번째 측정에서는 측정 대상을 반위로 측정하여 각 오차를 상쇄시킨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각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점 C의 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기지점 A와 B로부터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적용하여 조정하여야 할 방정식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각방정식
  2. 각방정식, 측점방정식
  3. 각방정식, 측점방정식, 변방정식
  4. 각방정식, 측점방정식, 변방정식, 좌표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각방정식"이다. 이 문제에서는 삼각측량을 통해 각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한 각방정식을 세워야 한다. 따라서 측점방정식, 변방정식, 좌표조정과 같은 다른 방정식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동일한 정밀도로 각을 관측하여 α=39° 19‘ 40“, β=52° 25’ 29”, γ=91° 45‘ 00"를 얻었다. γ의 최확치 는?

  1. 91° 44‘ 57“
  2. 91° 44‘ 59“
  3. 91° 45‘ 01“
  4. 91° 45‘ 03“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최확치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일 때 나타나는 값이다. 따라서, α + β + γ = 180°이다.

    주어진 각도를 모두 도 단위로 변환하면, α = 39.3278°, β = 52.4247°, γ = 91.7500°이다.

    따라서, α + β + γ = 183.5025°이다.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이하의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최확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 값을 반올림해야 한다.

    따라서, 183.5025°를 반올림하면 183.5°가 된다.

    그리고, 이 값을 180°에서 빼면 최확치인 3.5°가 나온다.

    따라서, γ의 최확치는 91° 45‘ 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좌표원점을 중심으로 X=524.62m, Y=175.36m일 경우의 방위각은 얼마인가?

  1. 161° 31‘ 02“
  2. 341° 31‘ 02“
  3. 18° 28‘ 58“
  4. 198° 28‘ 58“
(정답률: 60%)
  • 주어진 좌표를 평면좌표계에서 극좌표계로 변환하여 방위각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좌표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각좌표계에서 주어진 점의 극좌표를 구한다.

    $r = sqrt{X^2 + Y^2} = sqrt{(524.62)^2 + (175.36)^2} approx 551.67$

    $theta = arctan{frac{Y}{X}} = arctan{frac{175.36}{524.62}} approx 18.28^circ$

    하지만,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므로, 위에서 구한 각도에 90도를 더해준다.

    $18.28^circ + 90^circ = 108.28^circ$

    하지만, 또한 방위각은 도, 분, 초 단위로 표현되므로, 위에서 구한 각도를 이에 맞게 변환해준다.

    도 = 108

    분 = 0.28 x 60 = 16.8 ≈ 17

    초 = 0.8 x 60 = 48

    따라서, 방위각은 "108° 17‘ 48“"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와 다른 값들이 주어졌으며, 그 중에서 정답은 "341° 31‘ 02“" 이다.

    이는 위에서 구한 각도에 180도를 더한 값이다.

    $108.28^circ + 180^circ = 288.28^circ$

    하지만,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므로, 위에서 구한 각도에 360도를 더해준다.

    $288.28^circ + 360^circ = 648.28^circ$

    하지만, 360도를 더해도 방위각은 변하지 않으므로, 위에서 구한 각도에서 360도를 빼준다.

    $648.28^circ - 360^circ = 288.28^circ$

    하지만, 또한 방위각은 도, 분, 초 단위로 표현되므로, 위에서 구한 각도를 이에 맞게 변환해준다.

    도 = 288

    분 = 0.28 x 60 = 16.8 ≈ 17

    초 = 0.8 x 60 = 48

    따라서, 방위각은 "341° 31‘ 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전시만 읽는 점으로 다른 점의 지반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간점
  2. 이점
  3. 수준점
  4. 기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전시만 읽는다는 것은 해당 지점의 높이나 위치 등의 정보를 파악하지 않고 그점의 존재만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지형의 높이나 경사 등과 같은 지반고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전시만 읽는 점으로 다른 점의 지반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은 "중간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시가지의 정사각형 토지를 50m 강철테이프로 측정하여 4,900m2의 면적을 얻은 후 테이프가 표준보다 20cm 늘어나 있음을 발견했다. 정확한 토지의 면적은 얼마인가?

  1. 4,861m2
  2. 4,899m2
  3. 4,919m2
  4. 4,939m2
(정답률: 알수없음)
  • 50m 강철테이프가 표준보다 20cm 늘어나 있으므로, 실제 측정한 변의 길이는 50.2m이다. 따라서, 정사각형의 면적은 (50.2m)2 = 2,520.04m2 이다. 하지만, 이는 테이프가 표준보다 늘어난 상태에서의 면적이므로, 표준 상태에서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시 줄여줘야 한다.

    테이프의 길이가 50m에서 50.2m로 늘어났으므로, 실제 면적은 (50/50.2)2 × 2,520.04m2 = 4,939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4,939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두 점의 평면직각좌표계로부터 계산되는 측선의 방향은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진북 방향각
  2. 진북 방위각
  3. 도북 방위각
  4. 자북 방위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북 방위각"이다.

    측선의 방향은 일반적으로 북쪽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평면직각좌표계에서는 북쪽을 양의 y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측선의 방향은 y축의 양의 방향인 도북 방위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진북 방향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한 각도를 의미하지만, 평면직각좌표계에서는 북쪽이 항상 y축의 양의 방향이 아니므로 측선의 방향을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진북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을 의미하지만, 평면직각좌표계에서는 북쪽이 항상 y축의 양의 방향이 아니므로 측선의 방향을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자북 방위각"은 지자기 북쪽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을 의미하지만, 측정하는 위치에 따라 지자기 북쪽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삼각망의 조정계산에 있어 조건에 따른 설명이 틀린 것은?

  1. 어느 한 측점 주위에 형성된 모든 각의 합은 360° 이어야 한다.
  2. 삼각망의 각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 이어야 한다.
  3. 한 측점에서 측정한 여러 각의 합은 그 전체를 한 각으로 관측한 각과 같다.
  4. 한 개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어느 한 변의 길이는 그 계산경로에 따라 달라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 개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어느 한 변의 길이는 그 계산경로에 따라 달라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삼각망에서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각 측량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하므로, 어떤 경로를 통해 계산하더라도 변의 길이는 항상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삼각망에서는 한 개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어느 한 변의 길이가 달라지는 일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에서 기지점 A, B를 기준으로 ∠β와 거리 S를 측정하여 P의 좌표를 구하였다. P점의 X좌표의 표준편차는? (단, β=165° 29‘ 00“ ±7”, S=2,000m ± 5cm, T=239° 31' 00", ρ"=2×105 기지점에는 오차가 없음)

  1. ± 6cm
  2. ± 9cm
  3. ± 13cm
  4. ± 19cm
(정답률: 알수없음)
  • P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우선, 기지점 A를 원점으로 하여 P점의 극좌표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θ = 360° - (β + T) = 155° 00' 00"
    r = √(S^2 + ρ"^2 - 2Sρ"cosθ) = 2000.19m (오차는 무시)

    이제 극좌표를 직교좌표로 변환하여 X좌표를 구할 수 있다.

    x = rcosθ = -1999.98m

    따라서 X좌표의 평균값은 -1999.98m 이다. 이제 오차를 계산해보자.

    S의 오차가 ±5cm 이므로, r의 오차는 다음과 같다.

    Δr = √(ΔS^2 + Δρ"^2 - 2ΔSρ"cosθ) = 5.00m

    X좌표의 오차는 다음과 같다.

    Δx = |rcos(θ ± Δθ) - rcosθ| ≈ |Δr·sinθ| = 0.14m ≈ 14cm

    따라서 X좌표의 표준편차는 14c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은 "± 19c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트랜싯의 3축 조정 중 잘못된 것은?

  1. 망원경 기포관축과 수평축은 직교해야 한다.
  2. 수평축과 연직축은 직교해야 한다.
  3. 수평축과 시준축은 직교해야 한다.
  4. 망원경 기포관축과 연직축은 직교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망원경 기포관축과 연직축은 직교해야 한다." 이다. 망원경 기포관축은 수평축과 연직축의 중간에 위치하며, 따라서 이 두 축과 직교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축척 1:50,000 지형도상에서 A, B 두 점의 거리가 8.0cm이었고 축척을 모르는 다른 지형도상에서 동일한 A, B 두 점 간의 거리가 56.0cm라고 한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 얼마인가?

  1. 약 1:5,000
  2. 약 1:7,000
  3. 약 1:10,000
  4. 약 1:14,000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도상에서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은 축척과 같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거리 비율은 8.0cm / x cm (x는 축척)이며, 이는 다른 지형도상에서의 거리 비율인 56.0cm / x cm와 같다. 이를 풀면 x = 56.0cm * 1 / 8.0cm = 7.0이므로, 축척은 약 1:7,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양차 0.01m가 되기 위한 수평거리는 얼마인가? (단, k=0.14, 지구곡률반지름(R)=6,370km)

  1. 400m
  2. 395m
  3. 390m
  4. 385m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에서 P점의 표고는?

  1. 17.40m
  2. 18.00m
  3. 18.40m
  4. 19.00m
(정답률: 70%)
  • P점은 A와 B점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A와 B점의 높이 차이는 1.6m이다. 따라서 P점의 높이는 A와 B점의 높이의 평균인 18.2m이다. 하지만 P점에서 수평면까지의 거리는 1.2m이므로, P점의 표고는 18.2m + 1.2m = 19.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같은 경중률로 측량한 거리 측량결과 10회의 평균값이 100.45m 이었다. 이 때 잔차제곱의 합이 0.0579m이고 잔차의 합이 -0.10m이라고 하면 거리를 평균값 ±표준편차로 나타내면?

  1. 100.45m ± 0.05m
  2. 100.45m ± 0.08m
  3. 100.45m ± 0.13m
  4. 100.45m ± 0.15m
(정답률: 46%)
  • 잔차제곱의 합은 (실제값-평균값)^2의 합으로, 잔차의 합은 실제값과 평균값의 차이의 합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잔차제곱의 합이 0.0579m이고 잔차의 합이 -0.10m이므로, 평균값에서 실제값이 평균값보다 작은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평균값에서 실제값이 평균값보다 작은 경우와 큰 경우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이 때, 잔차제곱의 합을 자유도(n-1)로 나눈 값이 분산이 되고, 이 값의 제곱근이 표준편차가 됩니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sqrt(0.0579/(10-1)) = 0.026m 입니다.

    따라서, 거리를 평균값 ±표준편차로 나타내면 100.45m ± 0.026m이 됩니다.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100.45m ± 0.08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등고선의 성질 중 잘못된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폐합하는 곡선이다.
  2.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과 같은 지형에서는 교차한다.
  3. 등고선은 최대경사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4. 등고선은 경사가 습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고, 완만한 경사에서는 좁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경사가 습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고, 완만한 경사에서는 좁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경사가 가파른 곳에서는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고, 완만한 경사에서는 간격이 넓어진다. 이는 경사가 가파른 지형에서는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고, 완만한 지형에서는 높이 차이가 작기 때문에 등고선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다음 중 영구표지가 아닌 것은?

  1. 측표
  2. 방위표석
  3. 기선표석
  4. 위성측지기준점표지
(정답률: 70%)
  • 영구표지란 지리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표지 중에서 장기간 사용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측표"는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표지로, 측량 작업을 할 때 일시적으로 설치되어 작업이 끝나면 제거됩니다. 따라서 영구표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측량업의 등록을 하고자 하는 자가 신청서에 첨부해야 할 서류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경우 사무실의 건물 등기부 등본
  2. 법인인 경우 등기부 등본
  3.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4.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정답률: 60%)
  • "개인의 경우 사무실의 건물 등기부 등본"은 측량업 등록을 위해 필요한 서류가 아닙니다. 측량업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법인인 경우 등기부 등본,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측량법상 용어의 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측량업자라 함은 측량법의 규정에 따라 등록하여 측량업을 영위하는 자를 말한다.
  2. 발주자라 함은 측량용역을 측량업자에게 도급주는 자를 말하며, 수급인으로서 도급받은 측량용역을 하도급주는자는 제외한다.
  3. 측량업이라 함은 기본측량, 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의 용역을 도급받는 영업을 말한다.
  4. 측량이라 함은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은 제외한다.
(정답률: 47%)
  • "측량이라 함은 토지 및 연안해역의 측량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은 제외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정의 설명이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고시에 필수적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측량실시자
(정답률: 42%)
  • 정답은 "측량실시자"입니다. 측량의 종류,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측량성과의 보관장소는 모두 측량의 기본적인 요소들이며, 이들은 측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하지만 측량실시자는 측량을 실시하는 사람으로, 측량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측량성과의 보관장소나 측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의 협의 대상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과 국토지리정보원장
  2. 국토지리정보원장과 손실을 받은 자
  3. 측량계획기관과 국토지리정보원장
  4. 손실을 받은자와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은 국토지리정보원장과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하는 것이다. 이는 기본측량실시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 경우, 손실을 받은 자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함께 협의하여 보상액을 결정하고 이를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장관과 측량계획기관은 이와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보상 협의 대상자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국가기준점(삼각점 및 수준점 등)인 영구표지에 이상이 있음을 발견하였을 때 시장, 군수 및 구청장이 보고하여야 할 기관은?

  1. 관할 경찰서장
  2. 행정자치부장관
  3. 건설교통부장관
  4. 노동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기준점은 건설과 관련된 사항이므로, 이상이 발견되면 건설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사항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건설교통부장관의 권한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형ㆍ지물의 변동에 관한 보고의 접수
  2. 공공측량 작업규정의 승인
  3. 측량성과의 국외 반출 허가
  4. 공공측량의 심사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교통부장관이 권한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공공측량의 심사"입니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아닌 국토교통부 산하의 한국국토정보공사가 담당하는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수치지형도의 보완은 몇 년마다 1회이상 실시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60%)
  • 수치지형도는 지형의 변화나 개발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보완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최신 정보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2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2년마다 1회 이상 수치지형도의 보완 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측량협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협외의 회장ㆍ부회장ㆍ이사 및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2. 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3. 측량업자는 협회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협회의 회원이 될 수 있다.
  4. 협회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정답률: 40%)
  • "협외의 회장ㆍ부회장ㆍ이사 및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측량협회는 측량업자들이 모여 만든 단체로, 측량업의 발전과 회원들의 이익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측량업자는 협회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협회의 회원이 될 수 있다."는 맞는 설명이다.

    "협회는 법인으로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협회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1/5,000 지형도상 외도곽과 내도곽 사이에 표시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행선지명
  2. 도달거리(km)
  3. 범례
  4. 좌표수치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 지형도상 외도곽과 내도곽 사이에 표시할 사항은 "행선지명", "도달거리(km)", "좌표수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범례"이다. 범례는 지도상의 기호나 색상 등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요소이며, 외도곽과 내도곽 사이에 표시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측량법에서 정한 측량작업기관의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측량계획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의하여 측량에 관한 작업을 실시하는 자
  2. 누구든지 측량작업을 실시하는 자
  3. 측량계획기관이 그 계획한 측량을 직접 실시할 때는 측량작업기관이 될 수 없다.
  4.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에서 실시하는 측량을 위임 받은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작업기관은 측량계획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의하여 측량에 관한 작업을 실시하는 자입니다. 다른 보기들과 달리 측량계획기관의 지시나 위임이 없으면 측량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측량계획기관이 직접 측량을 실시할 때도 측량작업기관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측량작업을 실시하는 자는 측량계획기관의 지시나 위임을 받은 자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측량업자의 벌칙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내용은?

  1.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
  2.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3. 무단으로 측량성과를 복제한 자
  4. 측량업자의 신고의무를 허위로 신고한 자
(정답률: 28%)
  • 측량성과는 측량업자가 수행한 측량 작업의 결과물을 말합니다. 이 결과물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유출하는 것은 심각한 범죄행위입니다. 따라서 무단으로 측량성과를 복제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1/5,000 지형도 도식규정에서 지류의 표시원칙으로 잘못된 것은?

  1. 그 지역의 주위를 지류계로 표시하고 내부에 지류기호 표시
  2. 지역면적이 도상 10mm2미만의 것은 표시하지 않는다.
  3. 식물기호는 지류계, 경지계로 구역을 표시하고 그 내부 중앙에 표시
  4. 동일식물의 소지역이 근접하여 있는 경우 경황을 고려하여 적의 취사선택하여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역면적이 도상 10mm2미만의 것은 표시하지 않는다." 이다. 이유는 지형도에서 작은 지류나 지형적 특징들을 모두 표시하면 지도가 지나치게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을 두어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 크기 이하의 지류나 지형적 특징은 표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건설교통부장관은 일반측량의 성과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반측량의 실시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이 때 그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측량의 정확성 확보
  2. 측량지역 경제분쟁조정
  3. 측량의 중복배제
  4.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측량의 성과가 측량지역 경제분쟁조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요구할 수 없다. 측량지역 경제분쟁조정은 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측량의 정확성 확보와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이 필요하다. 측량지역 경제분쟁조정은 법원이나 중재기관에서 처리되므로 일반측량의 실시자가 제출한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 사본으로 해결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법에 정의된 측량업의 종류로 잘못된 것은?

  1. 일반측량업
  2. 연안조사측량업
  3. 소규모측량업
  4. 지하시설물측량업
(정답률: 알수없음)
  • 소규모측량업은 측량법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용어이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5,000
  2. 1/25,000
  3. 1/15,000
  4. 1/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1,000"입니다.

    지도의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세계의 거리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상에서 보여지는 영역이 작아지고, 세부적인 내용이 표시됩니다.

    1/5,000은 1cm의 지도상 거리가 실제 세계에서 5,000cm(50m)의 거리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25,000은 1cm의 지도상 거리가 실제 세계에서 25,000cm(250m)의 거리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15,000은 1cm의 지도상 거리가 실제 세계에서 15,000cm(150m)의 거리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1/1,000은 1cm의 지도상 거리가 실제 세계에서 1,000cm(10m)의 거리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매우 작은 영역을 다루는 축척이므로, 대부분의 지도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기본측량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년간 계획을 수립한다.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다.
  3. 건설교통부장관이 실시한다.
  4.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는 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타인의 토지나 건물에 출입할 수 있다.
(정답률: 40%)
  • "건설교통부장관이 실시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기본측량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기술자의 측량용역현장 배치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기본측량용역의 경우 : 고급기술자 1인 이상
  2. 공공측량용역의 경우 : 중급기술자 2인 이상
  3. 일반측량용역의 경우 : 중급기술자 1인 이상
  4. 측량용역의 발주자가 당해 용역의 관리에 적정한 측량 기술자의 배치를 요청하는 때에는 그에 필요한 측량기술자를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55%)
  • "기본측량용역의 경우 : 고급기술자 1인 이상"이 틀린 것입니다. 기본측량용역의 경우에는 중급기술자 1인 이상이 배치되어야 합니다. 공공측량용역의 경우에는 중급기술자 2인 이상이 배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공공용역의 경우에는 보다 엄격한 기준과 절차가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용역의 발주자가 당해 용역의 관리에 적정한 측량 기술자의 배치를 요청하는 때에는 그에 필요한 측량기술자를 배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우리나라의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기준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위치는 경위도 및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하되 필요한 때에는 중력좌표 또는 천문좌표로 표시할 수 있다.
  2. 지리학적 경위도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다.
  3.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4. 거리와 면적은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0%)
  • "위치는 경위도 및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하되 필요한 때에는 중력좌표 또는 천문좌표로 표시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위치는 경위도와 고도로 표시하며, 중력좌표나 천문좌표는 위치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일반측량은 어떤 측량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지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기초로 한다.
  2. 기본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만으로 한다.
  3.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기초로 한다.
  4. 일반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만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기초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일반측량은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결과와 기록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기 때문입니다. 기본측량은 지형지물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고, 공공측량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필요로 하는 측량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결과와 기록을 바탕으로 일반측량을 실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