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중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천문측량에서 항성의 위치오차의 원인이 아닌 것은?
3. 다음 중 모호정수(ambiguity)를 포함하지 않는 관측치는?
4. 거리의 허용정밀도가 1/106일 때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야 하는 측량구역은?
5. 위성측량에서 위성의 궤도와 임의 시각의 궤도 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성의 궤도요소가 아닌 것은?
6. 지구를 반경 6500km인 구로 가정했을 때 위도 60도에서 평행권의 둘레는 약 얼마인가?
7. 지구상의 어느 한 점에서 타원체의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 두 법선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8. 다음 중 RINECX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 GPS 측량의 오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0. 관측점 사이의 고도차에 존재하는 물질의 인력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보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1. 구과량(A)와 구면삼각형 면적(B)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a는 비례상수)
12. 지구의 편평률이 1/297에서 1/400로 됬을 때 지구의 적도 반지름이 일정하다면 극반지름은?
13. GPS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4. 자자기 측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5. 다음 GPS 관련 오차 중에서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6. 유니버설 횡 메르카토르 좌표계(UTM좌표계)에 대해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다음 중 항공측량부분의 GPS 응용에서 GPS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촬영비행기의 위피를 구하는 데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18. GPS에 의한 단독측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9. 지자기측량에서 필요한 보정과 관계없는 것은?
20. UTM좌표계에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UTM도엽 중 52S 구역의 원점은?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중 곡선의 용도가 다른 것은?
22. 하천의 ㉠ 이수 목적(利水目的)과 ㉡ 치수 목적(治水目的)에 이용되는 각각의 수위는?
23. 터널의 변형조사 측량과 거리가 먼 것은?
24. 그림과 같이 간격을 d로 일정하게 나누어 그 면적을 구할 때 사다리꼴 공식을 이용하여 구한 면적(m2)은?
25. 노선의 횡단측량작업에서 측량이 잘목된 경우 공사량(토공량)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그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26. 그림과 같은 토지의 한 변 BC=50m 상의 D와 AC=46m 상의 점 E를 연결하여 △ABC의 면적을 2등분(m:n-1:1)하려면 AE의 길이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27. 다음 그림은 도로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횡단면의 면적은? (단, 단위는 m임)
28. 지하시설물의 관측방법 중 조사구역을 적당한 격자 간격으로 분할하여 그 격자점에 대한 자력 값을 관측함으로써 지하의 자성체의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은?
29. 다음과 같이 면적을 m:n으로 분할 하고자 할 때 의 길이를 구하기 위한 식으로 적절한 것은?
30.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간격은 20m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다음 중 간격에 관계없이 반드시 측량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31. 원곡선에 의한 종단곡선에서 반경 3000m의 종단곡선을 설치할 경우 종단곡선 시점으로부터 수평거리 40m인 지점에서 경사선과 종단곡선간 수직거리(종거)는 얼마인가?
32. 클로소이드곡선의 매개 변수 A를 100m, 곡선의 반지름 R을 200m라 하면 완화곡선의 길이는 얼마인가?
33. 경관평가요인 중 시설물의 전체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경관의 주제로서 가장 적당한 수평시각(θH)의 크기는?
34. 하천 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5. 직선과 반지름(R)=500m의 원곡선 사이에 3차 포물선에 의한 150m 길이의 완화곡선을 설치할 경우 완화곡선 시점 A(B.T.C)로부터 주접선상 100m인 지점에서 완화곡선상 C점까지의 수직거리 Y는 얼마인가?
36. 두 직선의 교각이 80°, 외할(E)이 25m인 두 직선 사이에 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이 때 반경 R을 얼마인가?
37. 터널 갱구를 연결하는 다각측량을 실시하여 A(50m, 80m), B(-100m, -200m)를 얻었다. AB측선의 방위각은?
38. 하천의 어느 지점에서 유량측정을 위하여 필요한 직접적인 관측사항이 아닌 것은?
39.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 깊이의 유속(m/sec)이 각각 0.562, 0.497, 0.364 이었다. 이 때 평균유속이 0.463m/sec이었다면 어느 방법으로 계산한 것인가? (단, h : 하천의 수심)
40. 터널내 A, B의 좌표가 A(x=1328.0m, y=810.0m, z=86.30m), B(x=1734.0m, y=589.0m, z=112.40m)일 때 두 점을 굴진하는 경우 A, B점의 경사각은?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다음 중 일반적인 자리정보데이터 유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42. 다음 벡터구조 방식의 수치표고자료 모형은?
43. 고해상도 전정색(흑백) 공간영상자료와 저해상도 다중분광(컬러) 공간영상자료를 배합하여 고해상도 컬러영상을 제작하는 해상도병합(Resolution Fusion) 기법이 아닌 것은?
44. 적외선에 감광하는 필름의 층을 붉게 발색시키는 것으로 식물의 잎이 적색으로 찍히게 되어 식물의 연구나 조사 등에 이용되는 사진은?
45. 일반적 원격탐사 영상의 해상도 중에 센서가 기록 가능한 전자기 스펙트럼의 파장범위를 일컫는 것은?
46. 수치사진측량(digital photogrammetry)에서 상호표정의 자동화를 위해 요구되는 기법은?
47. 항공사진촬영에서 시속 220km/h로 촬영할 경우 허용흔들림이 사진상에서 0.05mm이면 최장노출시간은 약 몇 초인가? (단, 축척은 1/25000)
48. 다음 메타 데이터의 요소 중 데이터의 제목, 지리적 범위, 제작일 등을 나타내는 것은?
49. 표정점 및 지상기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다음 표는 영상 분류 오차 행렬(Classification Error Matrix)이다. PCC(Percent Correctly Classified) 지수는 얼마인가?
51. 상호표정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52. 격자형식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53. 1/20000 축척의 연직사진에서 초점거리 150mm 사진기에 의해 50m 구릉이 사진주점으로부터 방사방향 10cm 지점에 찍혔다면 편위량은?
54. 다음의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55. 주변의 알려진 값을 이용하여 값이 알려지지 않은 지점의 값을 추정하는 것을 공간추정 혹은 보간(interpolation)이라 한다. 다음 중 보간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56. 사진의 경사와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고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
57. 한 쌍의 입체모델에서 왼쪽 사진에 찍힌 도로상의 어느 차량이 오른쪽 사진에서는 주점기선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촬영되었다. 이 모델을 입체시하면 차량은 어떻게 보이는가?
58. 초점거리(f) 150mm인 사진기로 지표면으로부터 촬영고도 2700mm에서 촬영한 경우에 사진축척은 얼마인가?
59. 다음 중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일반적인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
60. 사진 상의 (10, 10) mm 위치에 도로선의 교차점이 관측되었다. 이 지점의 X좌표값을 지상좌표계로 160m로 가정할 때, 이 지점의 Y좌표값은? (단, 주점의 위치는 (-1,1)mm이고, 투영중심은 (50, 50, 1530)mm이며, 사진좌표계오 지상좌표계의 모든 좌표축의 방향은 일치한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거리측량의 정확도가 1/n일 때 이에 따라 구해진 면적에 예상되는 정확도는?
62. 일반적인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3. 동일각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회수를 다르게 적용하여 얻은 결과이다. 최확치는? (단, 42° 28‘40“(2회 측정), 42° 28’46”(4회 측정), 42° 28‘48“(6회 측정))
64. 1:25000의 지형측량에서 등고선을 그리기 위하여 결정한 측점의 도상 위치오차가 1.0mm, 높이의 오차가 2.5m, 그 지점의 경사각을 10°라 할 때 표고의 최대이동량은 약 얼마인가?
65. 국가 수준기준면과 수준원점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6. A 및 B점의 좌표가 XA=+70.50m, YA=+120.60m, XB=+150.40m, YB=+630.10m이다. A에서 B까지 결합트래버스 측량을 하여 계산해 본 결과 합위거가 +82.30m, 합경거가 +513.00m이었다면 이 측량의 폐합차는?
67. 후시(B.S)=1.670m, 전시(F,.S)=1.320m일 때 미지점이 310.500m의 지반고를 갖는다면 기지점의 지반고는?
68. 다음 등고선의 성질 중 옳은 것은?
69. A와 B 두 지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 (1), (2) 및 (3)의 각각의 노선을 따라 직접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저차의 최확값은?
70. 삼각형의 내각을 같은 정밀도로 측량하여 변의 길이를 계산할 경우 각도의 오차가 변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인 것은 어느 것인가?
71. 다음 단열삼각망에 대해 각 조정을 하였다. 각 조정 후 변조건에 의한 조정을 하려고 한다. 기선길이에 대한 거리 d1=152.132m이고, 검기선길이 d2=119.666m, a각에 대한 대수합(∑log sin)이 29.8040945, b각에 대한 대수합 (∑log sin)이 29.9083307, 표차의 총합은 61.84 이라면 변조건에 대한 a, b의 조정각은?
72. 삼각점 A에서 P, Q점을 시준할 수 없어 트랜싯(Transit)을 B점에 세워 편심 관측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PAQ의 값은?
73. 트래버스측량에서 수평각 관측 방법에 의한 구분이 아닌 것은?
74. 축척 1/300 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축척 1/000 지형도를 만들 때 축척 1/5000 의 1도엽은 축척 1/300 지형도 약 몇매를 포함하는가?
75. 어ᄄᅠᆫ 거리를 30m 테이프로 관측한 결과 180m의 최확값을 얻었다. 이 때 중등오차가 ±3.8cm 이었다면 테이츠 1회 관측에 대한 증등오차는?
76. 직사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거리를 측량하였다. 가로=50.00±0.01m, 세로=100.00±0.02m일 때 면적에 대한 오차는?
77. 그림과 같이 기준점 A와 B간의 경사거리 L와 연직각 θ를 측량한 결과가 아래와 같다. 수평거리 Lo를 구할 때 발생될 오차의 크기는?
78. 삼각측량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79. 트래버스 계산에서 합경거와 합위거를 구하는 주 목적은?
80. 다음 오차의 종류 중, 수치연산과정에서 무한급수를 유한급수로 처리할 때 발생하는 오차는?
5과목: 측량학
81. 측량심의회의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임기는?
82. 1:5000 지형도의 도엽의 1구획으로 옳은 것은?
83. 지형ㆍ지물의 변동 통보는 매년 언제까지 하여야 하는가?
84. 기본측량이라 함은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 누가 실시하는 측량을 의미하는가?
85.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등록 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 이때 변경등록사항이 아닌 것은?
86.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의 감시 의무자는?
87. 공공측량계획기관이 시행하는 공공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88. 토털스테이션의 구조ㆍ기능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89. 다음 중에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90. 1:25000 지형도의 난외주기(欄外註記)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91. 벌칙 기준 중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92. 일반측량은 무엇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93. 기본측량을 위해 장애물의 제거 및 토지의 일시사용에 의한 행위에 따른 손실을 보상할 의무를 가진 사람은?
94. 다음 중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95. 측량업에서 정한 용어의 정의 중 옳은 것은?
96. 기본측량 용역의 경우 측량기술자의 측량용역현장 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97.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가 등록사항 중 보유한 측량기술자의 변경이 있을 때에는 그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몇 일 이내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98.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99. 다음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00. 1:25000 지형도 도식 적용규정에서 규정한 지형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