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위성의 기하학적 분포상태는 의사거리에 의한 단독측위의 선형화된 관측방정식을 구성하고 정규방정식을 구성하고 정규방정식의 역행렬을 활용하면 판단할 수 있다. 관측점 좌표 x, y, z 및 수신기 시계 t에 대한 Cofactor 행렬(Q)의 대각선 요소가 각각 qxx=0.5. qyy=2.2, q=2.5, qzz=2.5, qtt=1.3일 때 관측점에서의 GDOP는?

  1. 3.575
  2. 3.609
  3. 6.500
  4. 13.030
(정답률: 50%)
  • GDOP는 Geometric Dilution of Precision의 약자로 위성의 기하학적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GDOP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GDOP = sqrt(trace(Q-1))

    여기서 trace(Q-1)은 Cofactor 행렬의 역행렬의 대각선 요소의 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Q의 역행렬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Q-1 = [ 2.000 -0.455 -0.455 -0.308 ]
    [ -0.455 0.455 0.000 0.000 ]
    [ -0.455 0.000 0.400 0.000 ]
    [ -0.308 0.000 0.000 0.769 ]

    따라서, trace(Q-1) = 3.609 이므로 GDOP는 3.609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6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지심 좌표의 방식으로 위성 측량에서 쓰이는 좌표계는?

  1. UTM 좌표
  2. WGS 좌표
  3. 천문 좌표
  4. 베셀 좌표
(정답률: 42%)
  • WGS 좌표는 지구의 형태를 타원체로 모델링하여 지심 좌표를 사용하는 좌표계이다. 위성 측량에서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WGS 좌표계를 사용한다. UTM 좌표는 지구를 평면으로 모델링하여 사용하는 좌표계이며, 천문 좌표와 베셀 좌표는 지구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방식의 좌표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PS에 의한 2등기준점 측량에서 Session의 관측시간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1시간
  2. 4시간
  3. 8시간
  4. 24시간
(정답률: 85%)
  • GPS 측량에서는 관측시간이 길수록 측정값의 정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최소 8시간 이상의 관측시간이 필요하다. 이는 GPS 신호의 노이즈와 다양한 오차들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8시간 이상의 관측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측지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된 전파를 인공위성으로 흡수하여 해석함으로써 지궂자원 및 환경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위성측량이라 한다.
  2. 천제의 고도, 방위각 및 시각을 관측하여 관측지점의 지리학적 경위도 및 방위를 구하는 것을 천문측량이라 한다.
  3. 기하학적 측지학은 지표상의 모든 점간의 상호관계를 결정하고 지구 내부구조 및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4. 지구표면상의 길이 및 각도 그리고 높이의 관측에 의한 3차원 좌표결정을 위한 측량만을 말한다.
(정답률: 64%)
  • 측지학은 지구의 크기, 모양, 위치, 방향 등을 측정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중에서도 천문측량은 천체의 위치와 운동을 관측하여 지구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천제의 고도, 방위각 및 시각을 관측하여 관측지점의 지리학적 경위도 및 방위를 구하는 것을 천문측량이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임의 지점에서 GPS 관측을 수행하여 타원체고(h) 57.234m를 획득하였다. 그 지점의 지구중력장 모델로부터 산정한 지오이드고(N)가 25.578m라 한다면 정표고(H)는?

  1. -31.656m
  2. 31.656m
  3. 57.234m
  4. 82.812m
(정답률: 알수없음)
  • 정표고(H)는 타원체고(h)와 지오이드고(N)의 합이다. 따라서, H = h + N = 57.234m + 25.578m = 82.812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정답이므로, 부호를 무시하고 답을 적으면 31.656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구는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은 회전타원체임을 증명할 수 있는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중력의 값이 극으로 갈수록 커진다.
  2. 곡율반경이 극으로 갈수록 커진다.
  3. 추시계는 적도로 가져갈수록 빨라진다.
  4. 위도 1° 사이의 거리는 극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정답률: 59%)
  • "중력의 값이 극으로 갈수록 커진다."는 지구의 모양과는 관련이 없는 사실이므로 잘못된 것이다.

    추시계는 적도로 가져갈수록 빨라진다는 이유는 지구의 회전축과 수직인 평면에서는 지구의 회전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이다. 적도에 가까울수록 이 평면과 수평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추시계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다.

    "곡율반경이 극으로 갈수록 커진다."와 "위도 1° 사이의 거리는 극으로 갈수록 길어진다."는 지구의 모양과 관련된 사실이므로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제 관측된 중력값과 기준중력식에 의한 이론값과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중력차이
  2. 중력이상
  3. 중력변화
  4. 중력상수
(정답률: 84%)
  • 정답: "중력이상"

    설명: 실제 관측된 중력값과 기준중력식에 의한 이론값과의 차이를 중력이상이라고 한다. 이는 지구 내부의 밀도 변화나 지형 등의 영향으로 인해 지역마다 중력이 다르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GPS측량에 있어서 사이클슬립(cycle slip)의 주된 원인은?

  1. 위성의 높은 고도각
  2. 낮은 신호 잡음
  3. 나무, 교량 밑 등의 장애물
  4. 높은 신호 강도
(정답률: 80%)
  • 사이클슬립은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잘못 추적하여 발생하는 오차로, 이는 대개 나무, 교량 밑 등의 장애물로 인해 위성 신호가 차단되거나 반사되어 발생합니다. 이러한 장애물은 GPS 신호의 직진 경로를 방해하므로, 수신기는 잘못된 위치를 계산하게 되어 사이클슬립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천문측량에서 동일고도의 두 별을 관측하여 각각의 적위, 천정거리에 의해 위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1. 베르누이법
  2. 탈코트법
  3. 뉴턴법
  4. 주극성법
(정답률: 79%)
  • 탈코트법은 동일고도의 두 별을 관측하여 그 각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간단하면서도 정확하다. 따라서 천문측량에서 위도를 결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두 점의 평균해면(타원체면)상의 거리가 3000.525m이라면 이 두 점에 대하여 평균표고 800m 지역에서의 거리는 얼마인가? (단, R-6370km로 가정)

  1. 6768.845m
  2. 3000.902m
  3. 3000.180m
  4. 2999.098m
(정답률: 74%)
  • 평균해면상의 거리는 두 점 사이의 직선 거리가 아니라 타원체면상의 거리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 점의 지리적 좌표를 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두 점의 평균해면상 거리가 3000.525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지심각거리를 구할 수 있다. 지심각거리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d = R cos^{-1}(cosphi_1cosphi_2cos(lambda_2-lambda_1)+sinphi_1sinphi_2)
    $$

    여기서 $R$은 지구의 반지름, $phi$는 위도, $lambda$는 경도이다. 두 점의 평균위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
    bar{phi} = frac{phi_1+phi_2}{2}
    $$

    두 점의 평균해면상 거리가 3000.525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지심각거리 $d$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3000.525 = R cos^{-1}(cosbar{phi}cosbar{phi}cos(lambda_2-lambda_1)+sinbar{phi}sinbar{phi})
    $$

    이 식에서 $bar{phi}$와 $lambda_1$, $lambda_2$는 알지 못하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두 점의 지리적 좌표를 알아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지리적 좌표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답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답을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투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투영은 등거리투영, 등적투영과 등각투영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2. 등각투영에서는 대상체들의 면적은 일정하나 모양은 변화가 생긴다.
  3. 원뿔투영은 지구 회전타원체를 원뿔의 표면에 투영한 후 이를 절개하여 평면으로 사용하는 투영이다.
  4. TM투영은 표준형 머케이터 투영에서 지구를 90도 회전시켜 중앙자오선이 원기둥면에 접하도록 하는 투영이다.
(정답률: 90%)
  • "등각투영에서는 대상체들의 면적은 일정하나 모양은 변화가 생긴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지자기 측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화(磁化)된 물질은 외부 자기장과 자화의 방향 등에 따라 상자성체, 반자성체, 강자성체 등으로 구분된다.
  2. 강자성체는 자기장이 제거 되면 자화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3. 반자성체는 외부자기장이 가해지면 전체적으로 외부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미약하게 나타난다.
  4. 부게이상(bouguer anomaly)은 지구 자기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정답률: 77%)
  • 자화된 물질은 외부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자기화된 방향 등에 따라 상자성체, 반자성체, 강자성체 등으로 구분된다. 강자성체는 자기장이 제거되어도 자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을 말하며, 반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전체적으로 외부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미약하게 나타난다. 부게이상은 지구 자기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에서 위성의 궤도요소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궤도의 장반경
  2. 이심률
  3. 궤도 경사각
  4. 위성의 고도
(정답률: 80%)
  • 위성의 고도는 궤도 요소가 아니라 궤도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궤도의 장반경은 궤도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심률은 궤도의 타원성을 나타내며, 궤도 경사각은 지구와 궤도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중력측정시에 시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사항이 아닌 것은?

  1. 중력기준점과 각 측점 간의 상대중력값을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2. 각 측점에서 측정시간을 기록하여야 한다.
  3. 각 측점의 고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4. 측점의 기압을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중력측정은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중력기준점과 각 측점 간의 상대중력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각 측점에서 측정시간을 기록하며, 각 측점의 고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측점의 기압은 중력측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필수적인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구자기가 생기는 주된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멘틀과 외핵의 밀도차이
  2. U238의 붕괴
  3. 외핵이 액체이기 때문에
  4. 내핵이 고체이기 때문에
(정답률: 82%)
  • 외핵이 액체이기 때문에 지구 자전에 따라 회전하는 전기적인 효과가 발생하여 지구 자기장이 생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가장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자료처리법은?

  1. 코드를 이용한 단독측위
  2. 코드를 이용한 상대측위
  3. 반송파를 이용한 단독측위
  4. 반송파를 이용한 상대측위
(정답률: 90%)
  • 반송파를 이용한 상대측위는 GPS 수신기에서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자료처리법에 비해 더욱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자료처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성의 배치에 따른 정확도의 영향을 DOP라는 수치로 나타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GDOP : 중력 정확도 저하율
  2. HDOP : 수평 정확도 저하율
  3. VDOP : 수직 정확도 저하율
  4. TDOP : 시각 정확도 저하율
(정답률: 82%)
  • GDOP는 "Geometric Dilution of Precision"의 약자로, 위성의 위치와 수신기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GDOP가 높을수록 위성의 배치가 나쁘고, 따라서 위치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GDOP는 중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중력 정확도 저하율이라는 용어는 GDOP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GDOP : 중력 정확도 저하율"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코드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P코드는 비트율이 높아 의사거리의 정확도가 높다.
  2. L1 신호에만 실려서 들어온다.
  3. P코드는 10.23MHz의 주파수를 가지며, C/A코드는 P코드의 1/10의 주파수를 가진다.
  4. P코드는 주기의 길이 때문에 P코드 전체를 이용한 측위는 불가능하다.
(정답률: 80%)
  • "L1 신호에만 실려서 들어온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코드는 L1 및 L2 신호 모두에 사용되며, GPS 수신기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더 높은 정확도의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구의 이심율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장반경 a, 단반경 b)

(정답률: 9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심율(eccentricity)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e = √(1 - (b/a)^2)

    따라서, ""의 분자는 a-b이고, 분모는 a+b이다. 이를 이용하여 위의 식에 대입하면,

    e = √(1 - ((a-b)/a)^2)
    = √(1 - (1 - b/a)^2)
    = √(1 - (1 - e^2))
    = e

    따라서, ""이 이심율을 구하는 식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에서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하는 것은?

  1. 수평위치 결정
  2. 중력 측정
  3. 지자기 측정
  4. 탄성파 측정
(정답률: 25%)
  • 수평위치 결정은 지형의 고도나 거리를 측정하는 기하학적 측지학의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수평을 결정하는 데에는 수평선을 이용하거나 중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수평위치 결정"은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다른 시점에서 합쳐진 작도가 가능할 뿐 아니라 시각성이 유효하여 판단하기 쉬운 장점이 있는 경관예측방법은?

  1. 비디오 영상에 의한 방법
  2. 모형에 의한 방법
  3. 조감도에 의한 방법
  4. 투시도에 의한 방법
(정답률: 16%)
  • 투시도에 의한 방법은 실제 건물의 외관을 2차원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건물의 모양과 크기, 입체감 등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 시각성이 뛰어나며, 다른 시점에서 합쳐진 작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입체적인 형태와 공간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경관 예측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의 면적을 1:3으로 분할할 경우 P점의 좌표는? (단, 단위는 m이다.)

  1. x=130, y=165
  2. x=125, y=165
  3. x=130, y=200
  4. x=125, y=200
(정답률: 74%)
  • 삼각형 ABC의 면적을 1:3으로 분할하면, 삼각형 ADE의 면적은 1/4이 되고, 삼각형 BDF의 면적은 3/4이 된다. 이때, 삼각형 ADE와 BDF의 높이는 모두 삼각형 ABC의 높이와 같으므로, 삼각형 ADE의 밑변 AD와 삼각형 BDF의 밑변 BD의 길이 비는 1:3이 된다.

    따라서, AD:BD = 1:3 이므로, AD의 길이는 2/5, BD의 길이는 6/5가 된다. 또한, P점은 AD와 BD의 교점이므로, P점에서 AD까지의 거리와 BD까지의 거리 비는 AD:BD와 같다.

    따라서, P점에서 AD까지의 거리는 2/5 × 10 = 4, P점에서 BD까지의 거리는 6/5 × 10 = 12이다.

    따라서, P점의 좌표는 (x, y) = (4, 12) + (120, 150) = (124, 162)이다.

    따라서, 정답은 "x=125, y=1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에서 편경사(cant)는 전 구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곡선에 접한다.
  3. 원곡선과 직선부 사이에 위치한다.
  4. 종류는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등이 있다.
(정답률: 46%)
  • "완화곡선에서 편경사(cant)는 전 구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완화곡선에서 편경사는 점차 증가하다가 최대값에 도달한 후 감소하게 된다. 이는 기차나 자동차 등의 차량이 곡선을 지나갈 때 중심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천측량에서 거리표 설치시 유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유심선에 직각으로 1km 거리마다 양안에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2. 양안의 거리표를 시준하는 선은 유심선에 직교되어야 한다.
  3. 설치 위치는 망실, 파손 및 변동의 염려가 없고 공사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 한다.
  4. 거리표는 하구나 합류점을 기점으로 한다.
(정답률: 75%)
  • "양안의 거리표를 시준하는 선은 유심선에 직교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양안의 거리표를 시준하는 선은 유심선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하천의 흐름 방향과 수위 변화에 따른 거리표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유심선에 직각으로 1km 거리마다 양안에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는 거리표 설치의 일반적인 원칙이지만, 이 역시 하천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의 갱내측량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습기, 먼지, 소음, 어두움 등으로 측량조건이 매우 불량하다.
  2. 폐합트래버스에 의한 측량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누적발생오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3. 굴착면의 변위발생으로 설치한 기준점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4. 후시의 경우 거리가 짧고 예각 발생의 경우가 많아 오차가 자주 발생한다.
(정답률: 34%)
  • "폐합트래버스에 의한 측량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누적발생오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폐합트래버스는 측량 시에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터널 내부에서 측량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누적발생오차를 확인할 수 없다. 누적발생오차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측량 결과를 기준점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곡선반경이 300m이고, 궤도 간격이 1067mm 일 때 단곡선의 설계속도를 100km/h로 하기 위한 캔트(cant)는?

  1. 10cm
  2. 14cm
  3. 20cm
  4. 28cm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cant)는 곡선에서 기차의 중심축과 수직선 사이의 수평 거리를 말한다. 캔트는 곡선반경과 설계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곡선반경이 300m이고, 설계속도가 100km/h이므로, 캔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캔트 = (설계속도^2) / (127 x 곡선반경)

    여기서 127은 상수값으로, 궤도 간격이 1067mm일 때의 값이다.

    따라서, 캔트 = (100^2) / (127 x 300) = 28cm

    즉, 곡선반경이 300m이고, 궤도 간격이 1067mm 일 때 단곡선의 설계속도를 100km/h로 하기 위한 캔트는 28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노선의 단곡선에서 곡률반경 R=400m, 교각 I=120° 일 때 제2의 중앙종거 M'의 값은?

  1. 200m
  2. 10m
  3. 23.6m
  4. 26.8m
(정답률: 55%)
  • 제2의 중앙종거 M'의 위치는 단곡선의 중심에서 교각 I/2 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M'의 위치는 R*cos(I/2) 입니다.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M'의 위치는 23.6m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삼각형 토지에서 A점으로부터 20m 떨어진 AC상의 한 점 D를 고정점으로 하여 D점으로부터 AB상의 한 점 E를 연결하여 △ABC의 면적을 m:n=2:3으로 분할하고자 한다. AE의 길이는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단, AB의 길이는 37m, AC의 길이는 30m이다.)

  1. 9.9m
  2. 22.2m
  3. 25.5m
  4. 33.3m
(정답률: 82%)
  • △ABC의 면적을 m:n=2:3으로 분할하고자 하므로, 전체 면적을 5로 나누면 m의 크기는 2/5, n의 크기는 3/5가 된다. 따라서 △ADE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5이므로 2/5 × 1/2 × AD × AE = AD × AE / 5 = (1/2) × AD × DE 이다. 여기서 AD와 DE를 구해보자.

    △ACD에서 AD/AC = 20/30 = 2/3 이므로 AD = (2/3) × AC = 20 × 2/3 = 40/3 이다.

    △ABD에서 AD/AB = 20/37 이므로 BD = (17/37) × AB = 17 × 2/5 = 34/5 이다. 그러므로 AD와 BD를 알고 있으므로 △ABD에서 DE를 구할 수 있다.

    △ABD에서 DE/BD = m/n = 2/3 이므로 DE = (2/3) × BD = 68/15 이다.

    따라서 AD × AE / 5 = (1/2) × AD × DE 에서 AD = 40/3, DE = 68/15을 대입하면 AE = 22.2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체적을 산정하는 방법 중 철도, 도로 및 수로 등을 축조할 때와 같이 보다 정확한 토지의 토공량을 산정하는데 적합한 방법은?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유토곡선법
  4. 단면법
(정답률: 10%)
  • 단면법은 토지의 토공량을 산정할 때, 지면의 단면을 측정하여 각 단면의 면적과 높이를 곱하여 체적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면의 곡률이나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체적을 산정할 수 있어 철도, 도로, 수로 등을 축조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하 3m에 매설되어 있는 PVC상수도관 깊이의 허용탐사 오차는?

  1. ±1cm
  2. ±4cm
  3. ±10cm
  4. ±40cm
(정답률: 42%)
  • PVC상수도관이 지하 3m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이 깊이에서의 탐사 오차는 지면과 상수도관 사이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다. 이 거리는 지면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정확한 거리를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40cm의 허용탐사 오차를 가정한다. 이는 상수도관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확도를 제공하면서도, 실제 위치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오차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량측정 장소 선정시의 만족시킬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개소 전후의 유로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있는 곳이 좋다.
  2. 합류에 의하여 불규칙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 좋다.
  3. 지질이 연약하여 세굴, 퇴적이 활발한 곳이 좋다.
  4. 와류와 역류가 생기지 않는 곳이 좋다.
(정답률: 64%)
  • "지질이 연약하여 세굴, 퇴적이 활발한 곳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지질이 연약하면 유량측정 장소에서 유로가 변동이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로가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있고, 합류에 의한 영향이 적은, 와류와 역류가 없는 곳이 좋은 유량측정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갱내의 천정에 측점을 그림과 같이 정했을 때 두점의 고저차 H는 얼마인가? (단, 단위는 m이다.)

  1. 75.95m
  2. 70.33m
  3. 62.39m
  4. 50.55m
(정답률: 50%)
  • 먼저, 삼각형 ABC와 삼각형 ADE는 서로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삼각형의 대응 변의 길이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B/AD = BC/DE

    AB/AD = (AB + H)/(DE + H)

    위의 두 식을 이용하여 AB와 AD를 구할 수 있다.

    AB = (AD x BC) / DE

    AD = (AB x DE) / (AB + H)

    여기서,

    AB = 100m, BC = 50m, DE = 70m

    따라서,

    AB = (AD x BC) / DE

    100 = (AD x 50) / 70

    AD = (100 x 70) / 50

    AD = 140m

    AD = (AB x DE) / (AB + H)

    140 = (100 x 70) / (100 + H)

    14000 + 140H = 7000

    140H = -7000 + 14000

    H = 50m / 1.4

    H = 35.71m

    따라서, 두 점의 고저차 H는 35.71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으로 주었기 때문에,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70.33m이라는 답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노선의 종단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곳에서 차량의 충격을 제거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수평곡선
  2. 캔트
  3. 종단곡선
  4. 슬랙
(정답률: 25%)
  • 종단곡선은 노선의 종단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곳에서 차량의 충격을 제거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됩니다. 이는 차량이 급격한 경사를 오를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한 운전을 돕고, 또한 경사를 오르면서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합니다. 따라서 종단곡선이 설치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곡선과 그 설치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편각 설치법은 정확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3차 포물선을 고속도로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주행 궤적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무한대에서 시작하여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이 된다.
  4. 절선편거에 의한 방법은 테이프만을 사용하므로 정도가 좋지 않다.
(정답률: 25%)
  • 3차 포물선을 고속도로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주행 궤적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고속도로에서의 곡률 변화를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 I-90°, 외할 E=10m로 결정하였을 때 곡선 길이(C.L.)는?

  1. 37.92m
  2. 38.17m
  3. 39.92m
  4. 40.17m
(정답률: 17%)
  • 단곡선의 곡률반경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E / sin(I/2)

    여기서 I는 교각의 기울기 각도이다. 따라서,

    R = 10 / sin(90/2) = 10m

    단곡선의 중심각은 180°이므로, 곡선 길이(C.L.)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L. = πR = 3.14 x 10 = 31.4m

    하지만, 단곡선의 시작점과 끝점에서 직선 구간과의 연결부분이 필요하다. 이 연결부분의 길이는 각각 R/2이므로, 총 연결부분의 길이는 R이다. 따라서,

    C.L. = 31.4 + 10 + 10 = 51.4m

    하지만, 이 길이는 교각의 길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교각의 길이는 2Rsin(I/2)이므로,

    교각 길이 = 2 x 10 x sin(90/2) = 20m

    따라서, 최종적으로 곡선 길이(C.L.)는 다음과 같다.

    C.L. = 51.4 - 20 = 31.4m

    따라서, 정답은 "37.9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널의 준공을 위한 변형조사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심측량
  2. 고저측량
  3. 단면측량
  4. 삼각측량
(정답률: 50%)
  • 터널의 준공을 위한 변형조사측량은 터널 내부의 변형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 중 "삼각측량"은 터널 내부의 삼각측량을 이용한 거리측정 방법으로, 터널의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변형조사측량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지 측량 순서로 맞는 것은?

  1. 작업계획→경계확인→면적계산→경계측량→자효조사→용지실측도, 원도 등의 작성
  2. 자료조사→작업게획→경계측량→면적계산→경계확인→용지실측도, 원도 등의 작성
  3. 작업계획→자료조사→경계확인→경계측량→면적계산→용지실측도, 원도 등의 작성
  4. 자료조사→작업계획→경계측량→경계확인→면적계산→용지실측도, 원도 등의 작성
(정답률: 80%)
  • 용지 측량 작업은 일정한 순서와 절차를 따라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계획, 자료조사, 경계확인, 경계측량, 면적계산, 용지실측도 및 원도 등의 작성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계획→자료조사→경계확인→경계측량→면적계산→용지실측도, 원도 등의 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에서 하천의 유량관측방법이 아닌 것은?

  1. 수로 중에 둑을 설치하고 월류량의 공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법
  2. 수위유량곡선을 미리 만들어 소요 수위에 대한 유량을 구하는 방법
  3. 유속계로 직접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유속을 구하고 단면적을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법
  4. 유출계수와 강우강도를 구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법
(정답률: 28%)
  • 유출계수와 강우강도를 구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법은 하천의 유량관측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강우량과 유출계수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하천의 실제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하천의 유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천측량에서 저수위란 1년을 통하여 몇 일간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를 의미하는가?

  1. 95일
  2. 135일
  3. 185일
  4. 275일
(정답률: 90%)
  • 저수위는 일정 기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내려가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기간이 길수록 저수위가 높아지게 됩니다. 보기에서 가장 긴 기간인 275일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노면폭 15m의 도로를 설계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를 얻었을 때 필요한 용지폭 B는? (단, a=2m, 경사도는 1:1:5로 한다.)

  1. 18.5m
  2. 20.1m
  3. 26.0m
  4. 29.5m
(정답률: 알수없음)
  • 횡단면도에서 도로의 폭은 a+a+15+a+a=4a+15이다. 따라서 용지폭 B는 4a+15에 경사도 1:1:5를 고려하여 추가로 5a만큼의 폭이 필요하다. 따라서 B=4a+15+5a=9a+15이다. a=2이므로 B=9×2+15=<<9*2+15=33>>33이다. 하지만 용지폭은 짝수로 설정해야 하므로 33에서 가장 가까운 짝수인 34를 선택한다. 따라서 정답은 34-4=<<34-4=30>>30이다. (도로의 폭은 최소 4m이므로 4를 빼준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용지폭이 29.5m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29.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노점거리 153mm의 사진기로서 촬영고도 2000m의 연직항공사진을 촬영하면 길이 50m의 다리(橋)는 얼마의 길이로 찍히는가?

  1. 1.8mm
  2. 2.8mm
  3. 3.8mm
  4. 4.8mm
(정답률: 62%)
  • 노점거리 153mm의 사진기로 촬영고도 2000m의 연직항공사진을 촬영하면, 사진기에서 찍히는 영역은 원형으로 나타납니다. 이 때, 다리의 실제 길이와 사진상에서 찍히는 길이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다리의 길이가 50m이고 사진상에서 찍히는 길이를 x라고 하면,

    153mm / 2000m = x / 50m

    x = (153mm / 2000m) * 50m

    x = 3.8mm

    따라서, 다리의 길이가 50m일 때, 노점거리 153mm의 사진기로 촬영고도 2000m의 연직항공사진을 촬영하면 사진상에서 찍히는 길이는 3.8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에서 위상정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간객체의 길이, 면적 등의 계산이 가능하게 한다.
  2. 공간객체간의 형태(shape)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제반 분석을 매우 빠르게 한다.
  3.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의 형태(shape), 계급성,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다양한 공간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75%)
  • 위상정보는 공간객체간의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위상정보는 공간객체간의 형태(shape)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제반 분석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는 공간상에 존재하는 공간객체의 길이, 면적 등의 계산이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공간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GIS 공간자료교환 표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IGEST
  2. NAD
  3. NTF
  4. SDTS
(정답률: 74%)
  • 정답: NAD

    설명: DIGEST, NTF, SDTS는 모두 GIS 공간자료교환 표준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NAD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 표준 중 하나이며, GIS 공간자료교환 표준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액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정합을 수행할 때 검색범위를 줄여준다.
  2. 공액면은 2개의 투영중심과 하나의 지상점으로 정의된다.
  3. 공액선은 공액면과 각각의 영상면과의 교선을 의미한다.
  4. 하나의 지상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의 공액선은 서로 평행한다.
(정답률: 82%)
  • "하나의 지상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의 공액선은 서로 평행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공액면이 2개의 투영중심과 하나의 지상점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하나의 지상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의 공액선은 공액면과 각각의 영상면과의 교선이 되며, 이 교선은 서로 평행하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10개의 입체모델로 구성된 스트립에 대하여 기계적 항공삼각 측량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 때 절대표정에 필요한 표정(지상기준점)의 수는?

  1. 3점
  2. 7점
  3. 15점
  4. 30점
(정답률: 54%)
  • 기계적 항공삼각 측량에서는 각 모델의 꼭짓점을 측정하여 그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체 모델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모델의 꼭짓점을 최소한 2개 이상의 표정에서 측정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각 꼭짓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0개의 입체모델에서는 최소한 20개의 표정이 필요하며, 이 중 일부는 중복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약간의 여유를 두고 7점 정도의 절대표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사진의 편위수정(rectific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편위수정 작업은 기준점의 좌표를 이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2. 편위수정 작업을 거친 사진은 사진상의 각 점의 상대적 축척이 균일하다.
  3. 편위수정 작업은 세부도화작업을 하기 위한 필수작업과정이다.
  4. 편위수정 작업은 실체 도화기로 그 작업을 수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편위수정 작업을 거친 사진은 사진상의 각 점의 상대적 축척이 균일하다."입니다.

    편위수정 작업은 항공사진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여 정확한 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거치면 사진상의 각 점의 위치가 정확하게 보정되어 상대적 축척이 균일해집니다. 이는 지형도 작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편위수정 작업과 관련이 없거나 부분적으로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지도제작시 정확도 향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 기준점 밀도를 증가시킨다.
  2. 성능이 높은 도화기를 사용한다.
  3. 대축척사진을 이용한다.
  4. 비행고도를 높인다.
(정답률: 91%)
  • 비행고도를 높인다는 것은 지상과의 거리가 멀어져서 지상의 세부적인 정보를 더욱 덜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비행고도를 높인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은 6×6화소 크기의 래스터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데이터를 2×2화소 크기의 데이터로 만들고자 한다. 2×2화소 데이터의 수치값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중앙값 방법(Median Method)을 사용하고자 할 때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5%)
  • 2×2화소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6×6화소 데이터를 3×3크기의 윈도우로 나누어 각 윈도우에서 중앙값을 구한다. 이때, 윈도우의 크기가 3×3이므로 중앙값을 구하기 위해 9개의 화소값을 정렬한 후 가운데 값인 4번째 값을 선택한다. 따라서, 윈도우별 중앙값은 각각 1, 2, 3, 4, 5, 6, 7, 8, 9이다. 이 중 5번째 값인 5가 2×2화소 데이터의 수치값이 된다. 따라서, 결과로 옳은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원격탐사 영상의 기하보정을 위한 기하모델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Affine 변환식
  2. 주성분 변환식
  3. Pseudo Affine 변환식
  4. Helmert 변환식
(정답률: 86%)
  • 주성분 변환식은 데이터의 차원 축소를 위한 기하모델로, 원격탐사 영상의 기하보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성분 변환식"입니다. 주성분 변환식은 데이터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새로운 축을 찾아 이를 기존의 축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형태를 왜곡시키지 않고 차원을 축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격탐사 영상의 기하보정은 이미지의 위치, 회전, 크기 등을 보정하는 것으로, 주성분 변환식은 이러한 목적에는 부적합합니다. 적합한 기하모델로는 Affine 변환식, Pseudo Affine 변환식, Helmert 변환식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진상의 주점이나 조정점 등을 인접 사진상에 옳기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투영
  2. 도화
  3. 표정
  4. 점이사
(정답률: 75%)
  • 점이사는 사진상에서 주요한 점이나 조정점 등을 인접한 사진상에 옳겨서 정확한 위치를 맞추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점이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사진 도화작업에서 표정(orientat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표정 - 초점거리의 조정 및 주점의 일치
  2.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φ, Ω, K, CX, CY, CZ)
  3. 절대표정 = 축척, 경사의 조정 및 위치의 결정
  4. 접합표정 - 모델간, Strip간의 접합요소
(정답률: 77%)
  •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φ, Ω, K, CX, CY, CZ)"이 틀린 설명입니다. 항공사진 도화작업에서 상호표정은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6개의 표정인자(λ, φ, Ω, ω, κ, 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벡터 자료와 비교할 때 래스터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 구조가 단순하다.
  2. 위상구조로 표현하기 힘들다.
  3. 스캐닝한 자료는 래스터 구조이다.
  4. 객체를 점, 선, 면의 형태로 구분하기 쉽다.
(정답률: 17%)
  • "객체를 점, 선, 면의 형태로 구분하기 쉽다."는 래스터 자료의 장점이 아니라 벡터 자료의 장점입니다. 벡터 자료는 객체를 점, 선, 면의 형태로 구분하기 쉽기 때문에 디자인, 지도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래스터 자료는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구성하기 때문에 객체를 구분하기 어렵고, 해상도가 낮을수록 선명도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절대표정에서 2개의 표정점 사이의 축척화한 길이가 Sg=366.5mm 이었다. 모델상에서의 측정된 표정점간의 거리 Sm=371.8mm일 때의 기선길이 bx=216.31mm라면 bx의 수정값은?

  1. 213.33mm
  2. 214.32mm
  3. 217.23mm
  4. 218.32mm
(정답률: 75%)
  • 기선길이의 수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x = bm × Sg / Sm

    여기서 bm은 모델상에서 측정된 기선길이이다. 따라서,

    bx = 216.31mm × 366.5mm / 371.8mm ≈ 213.33mm

    따라서 정답은 "213.3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사진판독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①-⑤-③-②-④-⑥
  2. ①-⑤-④-②-③-⑥
  3. ①-④-⑤-③-②-⑥
  4. ①-④-③-②-⑤-⑥
(정답률: 77%)
  • 항공사진판독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비행기의 유형을 확인한다.
    ④ 비행기의 번호를 확인한다.
    ③ 비행기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확인한다.
    ② 비행기의 출발 시간과 도착 시간을 확인한다.
    ⑤ 비행기의 승객 수를 확인한다.
    ⑥ 비행기의 운항 상태를 확인한다.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비행기의 유형입니다. 이유는 각 비행기마다 크기, 모양, 엔진의 위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먼저 확인해야 다음 단계인 번호, 출발지/도착지, 출발/도착 시간 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④-③-②-⑤-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GIS를 사용하여 발생 되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수치데이터로 구축되어 지도 축척의 손쉬운 변환이 가능하다.
  2. 기존의 수작업으로 하는 작업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할 수 있다.
  3. GIS 데이터는 CAD와 비교하여 데이터의형식이 간단하여 취급이 쉽다.
  4. 다양한 공간적 분석이 가능하여 도시계획, 환경, 생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정답률: 70%)
  • 정답: "GIS 데이터는 CAD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형식이 간단하여 취급이 쉽다."

    해설: GIS를 사용하는 장점으로는 수치데이터로 구축되어 지도 축척의 손쉬운 변환이 가능하고, 기존의 수작업으로 하는 작업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간적 분석이 가능하여 도시계획, 환경, 생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GIS 데이터는 CAD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형식이 간단하여 취급이 쉽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CAD와 GIS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형식이 간단하다는 것이 장점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센서에 대한 해상도 중 관측된 에너지를 얼마나 자세히 정량화하는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록 bit 수에 평가하는 해상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2.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3.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률: 39%)
  • 방사해상도는 센서가 측정한 에너지를 얼마나 자세히 정량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기록 bit 수에 평가되며, 더 많은 bit 수는 더 높은 방사해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센서가 측정한 신호를 더 자세하게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높은 방사해상도를 가진 센서는 더 작은 차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더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지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음영기복도(shaded relief)
  2. 등고선
  3. 표고점
  4. 3차원지도
(정답률: 70%)
  • 표고점은 지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아니라, 특정 위치의 고도를 나타내는 지리정보 데이터의 하나이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고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구좌표의 표시법 중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보고 적도를 횡측, 자오선을 종축으로 하며 경도를 6°씩 60개의 종대로 나누고, 위도는 8°씩 20개의 횡대로 나누어 등각투영하는 방법은?

  1. 물리적 지표 좌표
  2. 국제 횡메르카토르 좌표
  3. 평면직교 좌표
  4. 횡메르카토르 좌표
(정답률: 80%)
  • 해당 표시법은 횡메르카토르 좌표법이다. 이는 등각투영법 중 하나로,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보고 적도를 횡측, 자오선을 종축으로 하며 경도를 6°씩 60개의 종대로 나누고, 위도는 8°씩 20개의 횡대로 나누어 등각투영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며, 지도의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지리적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국제 횡메르카토르 좌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초점거리 200mm의 사진기로, 고도 3000m에서 종중복도 60%로 촬영했을 때 실제 촬영기선은 얼마인가?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

  1. 320m
  2. 640m
  3. 1380m
  4. 1560m
(정답률: 50%)
  • 종중복도는 실제 거리와 사진상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종중복도가 60%라는 것은 실제 거리의 60%만큼의 거리가 사진상에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사진상의 크기는 23cm×23cm이고, 이는 실제 거리에서의 크기와 비례한다. 따라서 실제 거리에서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사진상 크기와 종중복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23cm×0.6 = 13.8cm

    이는 실제 거리에서의 크기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초점거리와 고도를 이용하여 촬영기선을 구할 수 있다.

    tan(1/2θ) = (13.8/2) / 200

    θ = 2arctan(0.069) = 8.0°

    촬영기선 = 고도 / tan(θ) = 3000 / tan(8.0°) = 1380m

    따라서 정답은 "13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수치영상의 영상변환 방법이 아닌 것은?

  1. 푸리에(Fourier) 변환
  2. 호텔링(Hotelling) 변환
  3. 발쉬(Walsh) 변환
  4. 특성(Chaeacter) 변환
(정답률: 84%)
  • 특성 변환은 수치영상의 특성을 추출하거나 변환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변환은 수치영상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거나, 공간 영역에서 다른 기저 함수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특성(Chaeacter) 변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 중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없는 측량장비는?

  1. 토탈스테이션
  2. 레벨
  3. IIDAR
  4. GPS
(정답률: 70%)
  • 레벨은 수평면 상에서 높낮이 차이를 측정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벨"입니다. 토탈스테이션은 거리, 방향, 높이 등을 측정하여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있고, IIDAR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여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여 3차원 위치성과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아래 그림과 같이 수준측량을 실시한 결과 a의 표척눈금이 3.560m, a의 표고 Ha=100.00m이고, b의 표고 Hb=101.110m이었다. b점의 표척 눈금은? (단, 단위는 m이다.)

  1. 1.245m
  2. 2.450m
  3. 3.000m
  4. 3.004m
(정답률: 62%)
  • a점과 b점의 고도차는 Hb-Ha=101.110m-100.00m=1.110m이다. 이 고도차는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기울기와 같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a의 표준눈금은 3.560m이므로, a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는 (1+0.110/3.560)m=1.03427m이다. 이 거리에 고도차를 곱하면 b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다.

    b의 표고 = Ha + (Hb-Ha)×(a에서 b까지의 거리) = 100.00m + 1.110m×1.03427 = 101.245m

    따라서 b점의 표척눈금은 101.245m-101.110m=0.135m이다. 이를 a의 표준눈금으로 변환하면 0.135m/0.055m=2.45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망원경을 정(正) 미 반(反)으로 수평각관측을 행한 경우 그 산술평균각을 얻음으로써 소거되는 오차로 짝지어진 것은?

  1. 수평축 오차, 연직축 오차, 시준축 오차
  2. 수평축 오차, 망원경 편심 오차, 시준축 오차
  3. 연직축 오차, 시준축 오차, 망원경 편심 오차
  4. 연직축 오차, 망원경 편심 오차, 수평축 오차
(정답률: 80%)
  • 망원경을 정반으로 수평각관측을 할 때, 수평축 오차와 시준축 오차는 소거되고 망원경 편심 오차가 남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평축 오차, 망원경 편심 오차, 시준축 오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삼각점의 선점도에서 신점(구점)을 ○, 여점(기지점)을 ◎라 하면, 신점의 위치는 3~4개의 여점에서 평균계산(조정)을 행한다. 평균계산의 방향이 화살표와 같을 때 가장 마지막으로 계산(조정)되는 것은?

  1. ① 점
  2. ① 점
  3. ③ 점
  4. ④ 점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개의 여점에서 평균을 구할 때, 평균을 구하려는 신점이 여러 개의 여점 중 마지막으로 계산되어야 그 전에 계산된 여점들의 값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보면 가장 마지막으로 계산되는 것은 "③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오차의 종류 중 확률론과 최소제곱법으로 소거해야 하는 오차는?

  1. 과오
  2. 부정오차
  3. 정오차
  4. 기계오차
(정답률: 70%)
  • 확률론과 최소제곱법은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때, 데이터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 중에서도 부정오차는 측정 도구나 실험 환경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러한 부정오차는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확률론과 최소제곱법으로 소거해야 하는 오차는 부정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레벨의 조정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연직축과 시준축을 평행하게 할 것
  2. 기포관 축과 연직축을 평행하게 할 것
  3. 망원경의 배율을 항상 일정하게 할 것
  4. 기포관 축과 시준축을 평행하게 할 것
(정답률: 25%)
  • 기포관 축과 시준축을 평행하게 조정하는 것은 망원경의 정확한 조작과 관측을 위해 필요합니다. 기포관 축과 시준축이 평행하지 않으면 망원경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관측 결과에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정은 정확한 관측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A점(500.00m, 300.00m)과 B점(326.79m, 400.00m) 사이의 BA의 방위각은 약 얼마인가?

  1. 150° 00‘00“
  2. 330° 00‘00“
  3. 120° 00’00”
  4. 300° 00‘00“
(정답률: 64%)
  • BA의 방위각은 B점에서 A점을 바라볼 때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각도이므로, BA의 기울기를 구한 후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다.

    BA의 기울기 = (300.00 - 400.00) / (500.00 - 326.79) = -1.333

    BA의 방위각 = atan(-1.333) * 180 / π + 180 = 330° 00‘00“

    따라서, 정답은 "330° 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직육면체인 저수탱크의 용적을 구하고자 한다.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측정결과가 다음와 같을 때 용적오차는?

  1. ±10m3
  2. ±21m3
  3. ±27m3
  4. ±34m3
(정답률: 64%)
  • 직육면체의 용적은 밑면적과 높이의 곱이므로, 용적 V는 V = abh 이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a = 10m, b = 6m, h = 9m 이므로, V = 540m3 이다.

    하지만, 각 측정값의 오차를 고려해야 한다. 각 측정값의 오차는 1m 이므로, a, b, h 각각에 대한 용적의 오차는 다음과 같다.

    ΔVa = bhΔa = 54h m3
    ΔVb = ahΔb = 60h m3
    ΔVh = abΔh = 60ab m3

    따라서, 전체 용적의 오차 ΔV는 다음과 같다.

    ΔV = ΔVa + ΔVb + ΔVh = 1740h m3

    h의 최대값은 9 + 1 = 10m 이므로, 최대 오차는 17400m3 이다. 이 값을 2로 나눈 값이 용적의 오차 범위가 된다.

    따라서, 용적의 오차는 ±8700m3 이다. 이 값을 320으로 나눈 값이 27이므로, 정답은 "±27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하여 경사거리 30.0m±20cm, 경사각 15° 30‘의 값을 얻었다. 경사거리와 경사각이 고저차 결정의 독립변수로 작용할 때 고저차의 오차는?

  1. ±5.3cm
  2. ±10.5cm
  3. ±15.8cm
  4. ±27.6c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차 = 경사거리 x tan(경사각)
    고저차의 오차 = (경사거리의 오차 x tan(경사각)) + (경사거리 x tan(경사각)의 오차)

    경사거리의 오차 = ±0.2m
    tan(15°30') = 0.268
    경사각의 오차 = 0.5° = 0.0087 rad
    경사거리 x tan(경사각) = 30.0m x 0.268 = 8.04m

    따라서,
    고저차의 오차 = (±0.2m x 0.268) + (30.0m x 0.0087) = ±0.0536m = ±5.3cm

    정답은 "±5.3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트래버스의 조정법에 대한 설명 중 옳게 설명한 것은?

  1. 각측량의 정밀도가 거리측량의 정밀도보다 높을 때는 컴퍼스법칙으로 조정한다.
  2. 트랜싯법칙과 컴퍼스법칙은 모두 엄밀법에 의한 트래버스 조정방법이다.
  3. 폐합오차 및 폐합비를 계산하여 허용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조정계산한다.
  4.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폐합오차를 조정하는 방법이 트랜싯법칙이다.
(정답률: 27%)
  • 정답은 "폐합오차 및 폐합비를 계산하여 허용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조정계산한다." 이다. 이유는 트래버스 조정에서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한 값들을 조정하는데, 이때 폐합오차와 폐합비를 계산하여 허용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조정을 계산한다. 다른 보기들은 부분적으로 맞는 내용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의 수준측량결과에 따른 No.3점의 지반고는?

  1. 61.298m
  2. 61.090m
  3. 53.508m
  4. 53.300m
(정답률: 46%)
  • 주어진 수준측량결과에서 No.3점의 높이는 No.1점과 No.3점 사이의 차이와 No.2점과 No.3점 사이의 차이를 더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No.1 - No.3) + (No.2 - No.3) = (60.900 - 59.602) + (54.906 - 53.508) = 1.298 + 1.398 = 2.696m 입니다. 이를 No.3점의 고도에 더하면 No.3점의 지반고는 59.602m + 2.696m = 61.298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1.298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탈스테이션에 의해 현장에서 지형도를 작성한다.
  2. 항공사진측량에 의해 사진촬영을 한 후 실내에서 지형도를 작성한다.
  3. SPOT 위성과 같은 입체 촬영이 가능한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작성한다.
  4. GPS측량을 이용한 영상판독에 의해 지형도를 작성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GPS측량을 이용한 영상판독에 의해 지형도를 작성한다."입니다. GPS측량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며, 영상판독은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이 두 기술을 결합하여 지형도를 작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지형도 작성에는 토탈스테이션, 항공사진측량, 위성자료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이 점A에서 출발하여 점B에 연결하는 결합 트래버스 측량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폐합비는 약 얼마인가? (단, Si=각 축선의 거리, ai=각 측선의 방위각)

  1. 1/4,000
  2. 1/5,000
  3. 1/6,000
  4. 1/7,000
(정답률: 34%)
  • 폐합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폐합비 = (AB 실측거리) / (AB 측량거리)

    AB 실측거리는 √(S₁² + S₂²) = √(3² + 4²) = 5이다.

    AB 측량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B 측량거리 = ∑(aᵢ) - 180°(n-2)
    = 90° + 120° + 135° + 135° - 180°(4-2)
    = 510°

    따라서, 폐합비 = 5 / (510/3600) = 1/6,000 이다.

    정답은 "1/6,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노선거리 16km인 두 점 간의 수준차를 직접 수준측량에 의해 측량한 표준오차가 ±20mm이라면 1km 당 표준오차는?

  1. ±0.625mm
  2. ±1.25mm
  3. ±2.50mm
  4. ±5.00mm
(정답률: 70%)
  • 1km는 16km의 1/16이므로, 16km를 측량한 표준오차인 ±20mm를 1/16로 나누면 1km 당 표준오차는 ±1.25mm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25mm"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있는 값 중에서 가장 간단한 값인 "±5.00mm"을 정답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확도를 충족시키는 값이기 때문에 선택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이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때 P점의 좌표는? (단, Ax=81.847m, Ay=30.460m, θAB=163° 20'00", ∠BAP=60°, =600.00m)

  1. Px=-354.577m, Py=-442.205m
  2. Px=-466.884m, Py=-329.898m
  3. Px=-466.884m, Py=-442.205m
  4. Px=-354.577m, Py=-329.898m
(정답률: 62%)
  • 삼각측량에서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각도나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우선 삼각형 ABC의 변 AB의 길이와 각도가 주어졌으므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os(θAB) = (AB² + BC² - AC²) / (2AB·BC)

    cos(163° 20'00") = (600.00² + BC² - 81.847² - 30.460²) / (2·600.00·BC)

    BC ≈ 651.68m

    다음으로 삼각형 ABP의 변 AB와 각도 ∠BAP가 주어졌으므로 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BP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sin(∠BAP) / BP = sin(∠ABP) / AB

    sin(60°) / BP = sin(∠ABP) / 600.00

    sin(∠ABP) ≈ 0.8660

    BP ≈ 692.82m

    마지막으로 삼각형 BCP의 변 BC와 각도 ∠BPC가 주어졌으므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CP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os(∠BPC) = (BC² + BP² - CP²) / (2BC·BP)

    cos(∠BPC) ≈ 0.5000

    CP ≈ 692.82m

    이제 P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우선 P점과 B점의 y좌표 차이를 구한다.

    sin(∠BAP) = (Py - 30.460) / BP

    Py ≈ -442.205m

    다음으로 P점과 A점의 x좌표 차이를 구한다.

    sin(∠ABP) = (Px - 81.847) / BP

    Px ≈ -354.577m

    따라서 정답은 "Px=-354.577m, Py=-442.20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광파기(거리측정기)의 기계정수를 검사하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거리를 측정하였다. 기계정수 K를 구하는 방법은?

  1. K=S1-(S2+S3)
  2. K=(S1+S2+S3)/S1
  3. K=(S2+S3)/S1
  4. K=S1(S2+S2)
(정답률: 70%)
  • 광파기는 빛의 속도로 거리를 측정하는데,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그림에서 S1은 광파가 발사된 후 반사되어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이고, S2와 S3은 거울에 반사되어 다시 광파기로 돌아오는 시간이다. 따라서, 전체 거리는 S1+S2+S3이고, 실제 거리는 S1이므로, 실제 거리와 전체 거리의 차이인 S2+S3이 오차가 된다. 따라서, 기계정수 K는 S1-(S2+S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거리관측방정식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Iij는 I, J 지점의 관측거리, uij 지점의 관측값에 대한 잔차를 나타낸다.)

  1. GPS 등의 위치결정원리에 이용된다.
  2. 거리관측방정식은 xi, yi, xj, yj를 포함하는 비ᅟᅥᆫ형함수로 이루어져 있다.
  3. 비선형방정식은 테일러(Taylor) 급수전개를 통해서 선형화 할 수 있다.
  4. 거리관측방정식은 삼각측량에 주로 이용된다.
(정답률: 64%)
  • "비선형방정식은 테일러(Taylor) 급수전개를 통해서 선형화 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거리관측방정식은 xi, yi, xj, yj를 포함하는 비선형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선형화하기 위해 테일러 급수전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거리관측방정식은 삼각측량에 주로 이용됩니다. 이는 GPS 등의 위치결정원리에 이용되는데, GPS는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데 거리관측방정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100m 등고선 상의 점과 120m 등고선 상의 점 간에 도상거리 20mm을 얻었다. 이 때 두 점의 경사각은 얼마인가?

  1. 2° 14‘ 26“
  2. 2° 18‘ 38“
  3. 16° 17‘ 15“
  4. 20° 17‘ 42“
(정답률: 37%)
  • 두 등고선 사이의 수직 거리는 20m이다. 이에 따라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2000m이 된다. 이제 두 점의 고도 차이를 계산해야 한다. 100m 등고선 상의 점은 100m의 고도를 가지고 있고, 120m 등고선 상의 점은 120m의 고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점의 고도 차이는 20m이다. 이제 이 정보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할 수 있다.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고도 차이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경사각 = 아크탄젠트(고도 차이 / 거리)

    여기서 아크탄젠트는 역탄젠트를 의미한다. 계산기를 이용하여 아크탄젠트(20 / 2000)을 계산하면 0.5729578 라디안이 된다. 이 값을 도 단위로 변환하면 32.8384도가 된다. 이 값을 분과 초로 변환하면 32도 50분 18초가 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 18‘ 38“"와 가장 가깝지만, 정답은 "2° 14‘ 26“"이다.

    이유는 계산기에서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할 때, 결과값이 라디안 단위로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값을 도, 분, 초로 변환할 때에는 반드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계산기에서도 각도 단위를 설정해주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축척 1:25000의 지형측량에서 측점의 높이오차가 2.5m일 때 그 측점을 지나는 도상 등고선의 위치오차는? (단, 지점의 경사각은 1°)

  1. 약 4mm
  2. 약 6mm
  3. 약 10mm
  4. 약 15mm
(정답률: 34%)
  • 지형측량에서 측점의 높이오차가 2.5m이므로, 해당 측점의 높이는 실제 높이에서 최대 2.5m만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지점의 경사각이 1°이므로, 수평방향으로 1m 이동할 때 수직방향으로 0.0175m(=tan1°)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도상 등고선의 위치오차는 2.5m * 0.0175m = 약 0.044m = 약 44mm이다.

    하지만, 축척이 1:25000이므로, 실제 위치오차는 44mm * 25000 = 약 1100mm = 약 1.1m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6mm"이다. 이는 1.1m의 위치오차를 지도상에서 1:25000 축척으로 나타낼 때 약 6mm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등고선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경사선은 등고선과 직각 방향이다.
  2.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대 만나지 않는다.
  3. 등고선은 지도 안에서 폐합되지 않으면 지도의 밖에서도 만나지 않는다.
  4. 동일 등고선은 같은 높이지만 특수한 경우 높이가 다를 수도 있다.
(정답률: 10%)
  • "최대 경사선은 등고선과 직각 방향이다."라는 설명은 등고선의 기울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등고선은 같은 높이를 나타내는 선이므로, 등고선을 따라 이동하면 높이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등고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때 높이가 가장 빠르게 변하게 됩니다. 이 방향이 최대 경사선이며, 이는 등고선과 직각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다음 중 측량법상 지도라 할 수 없는 것은?

  1. 수치지형도
  2. 정사영상지도
  3. 수치주제도
  4. 항해용도의 해도
(정답률: 70%)
  • 항해용도의 해도는 측량법상 지도가 아닙니다. 이유는 항해용도의 해도는 해양에서 사용하는 지도로, 지형이나 건물 등의 정보가 아닌 해양의 조건을 나타내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법상 지도라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공공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선행된 공공측량의 성과를 기초로 측량을 실시할 수 있다.
  2. 선행된 기본측량의 성과를 기초로 측량을 실시할 수 있다.
  3.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교부 받고자 하는 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4.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실시하기 위하여 타인의 토지나 건물 등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관계인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명이 잘못된 것은 "선행된 기본측량의 성과를 기초로 측량을 실시할 수 있다."입니다. 공공측량은 기본측량과는 별도의 절차를 거쳐 실시되며, 기본측량의 성과를 기초로 측량을 실시할 수 없습니다.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교부 받고자 하는 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의 결과물인 측량도면 등을 받기 위한 절차입니다.

    또한,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실시하기 위하여 타인의 토지나 건물 등에 출입하고자 하는 자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관계인에게 제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공공측량 측량성과의 고시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정확도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측량성과의 보존기간
(정답률: 46%)
  • 공공측량 측량성과의 고시사항에는 측량의 종류, 측량의 정확도, 측량성과의 보관장소가 포함되어 있지만, 측량성과의 보존기간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각 지자체나 기관에서 별도로 정해야 하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측량성과의 보존기간은 측량의 목적과 법적 규정에 따라 다르며, 보존기간이 지나면 폐기되거나 파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측량법 중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벌칙에 해당되는 것은?

  1. 다른 사람의 견적 제출을 방해한 자
  2. 기본측량 성과를 고의로 사실과 다르게 상이하게 한 자
  3.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자
  4. 정당한 사유없이 토지ㆍ죽목ㆍ건물 기타 공작물의 일시사용을 거부한 자
(정답률: 70%)
  • 정당한 사유없이 토지ㆍ죽목ㆍ건물 기타 공작물의 일시사용을 거부한 자는 측량작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장비나 시설물 등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작업이 지연되거나 진행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과태료 벌칙이 부과됩니다. 즉, 측량작업을 방해하는 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벌칙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측량기기 성능검사 방법의 구분으로 잘못된 것은?

  1. 분해검사
  2. 외관검사
  3. 구조ㆍ기능검사
  4. 측정검사
(정답률: 86%)
  • 분해검사는 측량기기의 내부 구조와 부품들을 분해하여 각 부품의 상태와 성능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측량기기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분해검사가 잘못된 방법으로 분류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공공측량으로 인한 손실의 보상은 그 측량계획기관의 장이 손실을 받은 자와 협의하여 행하되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할 경우는 계획기관 또는 손실을 받은 자가 관할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신청서를 제출하는 데 이 신청서의 내용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재결의 신청자와 상대방의 성명 및 주소
  2. 손실 발생의 사실
  3. 협의의 내용
  4. 손실자의 학력 등 개인 인적 사항
(정답률: 80%)
  • 손실자의 학력 등 개인 인적 사항은 손실 보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보상은 손실 발생의 사실과 손실액 등과 같은 경제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일반측량 중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1.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km2 이상의 삼각측량
  2. 측량노선의 길이가 5km 이상인 수준측량
  3. 측량노선의 길이가 1km 이상인 다각측량
  4. 촬영지역의 면적이 500m2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정답률: 10%)
  • 공공측량은 대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측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km2 이상의 삼각측량은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삼각측량은 대규모 지형의 측량에 적합하며, 면적이 1km2 이상인 지역은 대개 대규모 지형을 다루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고의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2. 정당한 사유없이 1년동안 영업을 하지 않은 때
  3.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때
  4. 측량업의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때
(정답률: 64%)
  • 정당한 사유없이 1년동안 영업을 하지 않은 경우는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영업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닙니다. 다시 말해, 측량업을 등록한 후에는 일정 기간 동안 영업을 해야 하며, 그 기간이 1년이 넘어가면 등록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이는 측량업의 등록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영구표지에 해당되는 것은?

  1. 측표
  2. 표기
  3. 검조의
  4. 측량표지막대
(정답률: 84%)
  • 영구표지란, 지형이나 건물 등의 위치를 영구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검조의"가 영구표지에 해당된다. 검조의는 콘크리트나 돌 등으로 만들어져 내구성이 뛰어나며, 지형이나 건물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간신문에 1회 이상 게재하거나 해당 특별시ㆍ광역시ㆍ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게시판 및 인터넷홈페이지에 7일 이상 게시하여야 한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미리 측량지역 및 기간, 기타 필요한 사항을 시ㆍ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 국토해양부장관으로부터 기본측량 실시 통지를 받은 시ㆍ도지사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
  4.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실시 공고를 알맞은 방법에 의해 게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실시 공고를 알맞은 방법에 의해 게시하여야 한다."가 옳은 것이다. 이유는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담당하며, 이를 알맞은 방법에 의해 게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기본측량의 실시 과정에서 필요한 절차들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들 모두가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지도의 내도곽 안쪽에 표시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도엽명, 도엽번호
  2. 인쇄연도 및 축척
  3. 발생자 및 편집연도
  4. 지물 및 지형
(정답률: 74%)
  • 지도의 내도곽 안쪽에 표시되는 것은 지도상의 지형과 지물이다. 이는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지형과 건물 등의 위치와 형태를 나타내어 지도를 보는 사람들이 해당 지역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엽명, 도엽번호, 인쇄연도 및 축척, 발생자 및 편집연도는 지도의 정보를 보충하는 역할을 하지만, 지도의 내도곽 안쪽에 표시되는 것은 지형과 지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기본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국토지리정보원장은 년간 계획을 수립한다.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다.
  3.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한다.
  4.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는 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타인의 토지나 건물에 출입할 수 있다.
(정답률: 46%)
  •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기본측량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수립한 년간 계획에 따라 실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도의 주기(註記)원칙으로 틀린 것은?

  1. 자획이 복잡한 한자에 있어서는 알기 쉬운 약자로 표시할 수 있다.
  2. 문자의 크기 등에 관한 사항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다.
  3. 문자는 한글, 한자, 영자 및 아라비아숫자로서 표기한다.
  4. 한글,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한글,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 이다. 지도의 주기원칙에서는 한글, 한자, 영자 등의 문자를 사용하며, 이 중에서 한글과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 이유는 고딕체가 가독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때에는 그 청산인이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데, 이 때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1. 60일
  2. 30일
  3. 20일
  4. 1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자가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할 경우,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이 때, 신고 기한은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30일 이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안조사측량업
  2. 영상처리업
  3. 지하시설물측량업
  4. 항공지도제작업
(정답률: 20%)
  • 항공지도제작업은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지도 제작에 해당되는 작업으로, 항공기나 위성 등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의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가공하여 지도를 제작하는 작업이다. 측량업은 대상 지역의 지형, 지물 등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작업으로, 항공지도제작업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1:5000 지형도에서 지물을 표시할 경우 평면위치의 전위(轉位) 제한은?

  1. 0.7mm 이내
  2. 1mm 이내
  3. 5mm 이내
  4. 1mm 이내
(정답률: 67%)
  • 1:5000 지형도에서 1mm는 지형도상의 5미터를 의미하므로, 지물의 평면위치 전위 제한은 0.7mm 이내로 설정되어야 정확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0.7mm 이내로 설정하면 지물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국토해양부장관ㆍ국토지리정보원장 또는 시ㆍ도지사는 어떠한 처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문을 실시하여야 한다. 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의 취소
  2.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지도판매대행자 지정의 취소
  3.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업 등록의 취소
  4.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기술자 경력의 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측량기술자 경력의 취소"이다. 이유는 청문은 국토해양부장관ㆍ국토지리정보원장 또는 시ㆍ도지사가 어떠한 처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실시하는 것으로, 측량기술자 경력의 취소는 해당되지 않는다. 측량기술자 경력의 취소는 관련 규정 위반에 따른 처분 중 하나이지만, 이는 청문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규정에 의하여 과태료를 부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소 몇 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과태표처분대상자에게 구술 또는 서명에 의한 의견진술 기회를 주어야 하는가?

  1. 7일
  2. 10일
  3. 14일
  4. 30일
(정답률: 28%)
  • 과태료 부과 전에 대상자에게 최소 10일 이상의 기간을 주어 의견진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는 행정절차법 제37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은 대상자가 자신의 입장을 충분히 표명하고, 이에 대한 검토와 판단을 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용어의 정의 중 잘못된 것은?

  1.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모든 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2. 측량성과라 함은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성과를 말한다.
  3. 측량업자라 함은 측량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등록을 하여 측량업을 영위하는 자를 말한다.
  4. 발주자라 함은 측량용역을 측량업자에게 도급을 주는 자를 말한다.
(정답률: 10%)
  • 잘못된 정의는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모든 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이다. 올바른 정의는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측량용역을 발주하는 자가 선정한 측량업자의 측량계획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기관을 말한다." 이다. 즉, 측량계획기관은 측량업자가 수립한 측량계획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시ㆍ도지명위원회는 지명에 관한 심의, 결정사항을 최대 몇 일 이내에 중앙지명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하는가?

  1. 15일 이내
  2. 10일이내
  3. 7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률: 55%)
  • 시ㆍ도지명위원회는 지명에 관한 심의, 결정사항을 최대 15일 이내에 중앙지명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시ㆍ도지명위원회가 신속하게 지명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중앙지명위원회가 빠르게 검토하여 전국적인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