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구면삼각형과 구과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과량은 구면삼각형의 면적(A)에 비례하고 구 반지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 - 구과량”으로 180°보다 작다.
  3. 일반측량에서 구과량은 미소하므로 구면삼각형 면적 대신에 평면삼각형 면적을 사용해도 크게 지장이 없다.
  4. 구면삼각형의 계산에 비교적 소규모 지역에서는 르장드르 정리를 이용한다.
(정답률: 68%)
  •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 - 구과량”으로 180°보다 작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항상 180°보다 크다. 이는 평면삼각형과는 다른 특징이다.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구과량 + 180°"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UTM 좌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 세계를 60×20의 격자망으로 형성한다.
  2. 우리나라는 51S와 52S의 지역대에 속한다.
  3. 경도는 8°, 위도는 6°로 분할하여 나타낸다.
  4. 위도 80° S부터 84° N까지의 지역을 나타낸다.
(정답률: 71%)
  • UTM 좌표는 전 세계를 60개의 경도대와 20개의 위도대로 나누어서 좌표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우리나라는 51S와 52S의 지역대에 속하며, 경도는 3도씩, 위도는 2도씩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경도는 8°, 위도는 6°로 분할하여 나타낸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IS에서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2. 수신기 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3. 시계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4. 다중 반사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정답률: 74%)
  •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입니다. 전리층은 지구 대기 상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무선 신호를 왜곡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면 전리층에서 발생하는 신호 왜곡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구상 한 점과 지구중심을 잇는 방향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표시되는 위도는?

  1. 측지위도
  2. 지심위도
  3. 천문위도
  4. 화성위도
(정답률: 50%)
  • 정답은 "지심위도"이다. 이유는 시구상 한 점과 지구중심을 잇는 방향선은 지구의 축과 수직이므로, 이 방향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은 90도이다. 따라서 이 점의 위도는 지심위도가 된다. 측지위도는 측량학적인 개념으로, 지구의 형태와 회전에 따라 계산되는 위도이다. 천문위도는 천체의 위치에 따라 계산되는 위도이며, 화성위도는 화성의 자전축에 대한 각도로 계산되는 위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GPS의 측위오차 중 위성의 배치상황에 따라 측위 정확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은?

  1. S/A
  2. 전리층영향
  3. DOP
  4. Cycle slip
(정답률: 61%)
  • DOP는 GPS 수신기가 수신한 위성의 배치 상황에 따라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DOP는 수신기가 수신한 위성의 위치와 수신기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계산되며, 수신기가 수신한 위성의 배치가 좋지 않을수록 DOP 값이 커지고, 이는 측위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DOP 값이 낮을수록 측위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구상의 어느 한 점에서 타원체의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 두 법선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중력 편차
  2. 지오이드 편차
  3. 중력 이상
  4. 연직선 편차
(정답률: 60%)
  • 타원체의 지표면은 지구의 회전과 중력에 의해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이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이 두 법선의 차이를 연직선 편차(vertical deflection)라고 합니다. 이는 지구의 중력장이 지표면에 영향을 미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구의 중심에서 벗어난 지점에서는 중력이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연직선 편차는 지구의 지형과 중력장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줄 사이클 슬립(cycle slip)의 발생과 관련이 없는 경우는?

  1. 높은 지대로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측량을 하는 경우
  2. 태양폭풍에 의해 전리층이 교란된 경우
  3. 수신기를 갑자기 이동한 경우
  4. 신호가 단절된 경우
(정답률: 78%)
  • 높은 지대로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측량을 하는 경우에는 위성 신호가 잘 전달되어 오차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사이클 슬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사이클 슬립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측지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체의 고도, 방위각 및 시각을 관측하여 미지점의 경위도 및 방위각을 결정하는 것을 천문측량이라 한다.
  2. 측지학적 3차원 위치결정이란 경도, 위도 및 높이를 산정하여 측지학적 좌표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3.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된 전자파를 인공위성으로 탐지하여 해석함으로써 지구자원 및 환경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지상측량이라 한다.
  4. 지구곡률을 고려한 반경 11km 이상인 지역의 측량에는 측지학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68%)
  • 옳지 않은 설명은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된 전자파를 인공위성으로 탐지하여 해석함으로써 지구자원 및 환경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지상측량이라 한다." 이다. 이는 위성측량의 설명이다.

    지상측량은 지구의 표면을 직접 측정하여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다. 이는 지형지물의 높이, 거리, 위치 등을 측정하여 지도 작성, 건설, 자연재해 예방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이상이 나타나는 지역은 구성물질의 밀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
  2. 중력 가속도(중력)의 단위는 gal 이다.
  3. 중력이상이 (+)이면 그 지역에 가벼운 물질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중력측정의 결과에 대해 지형보정, 고도보정, 아이소스타시 보정을 한다.
(정답률: 77%)
  • 중력이상이 (+)이면 그 지역에 가벼운 물질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중력이상은 지구 중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하에 있는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거나 지형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력이상이 (+)이더라도 그 지역에 가벼운 물질이 있다는 것을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항정선(rhumb l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
  2. 양극을 지나는 대원의 북극과 남극 사이의 절반으로 중심각이 180°의 대원호
  3. 지표상 두 점간의 최단거리로 지심과 지표상 두 점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
  4. 지구타원체상 한 점의 법선을 포함하며 그 점을 지나는 자오면과 직교하는 평면과 타원체면과의 교선
(정답률: 60%)
  • 항정선은 지표상 두 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입니다. 이는 항해나 항공 등에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원호, 지심과 지표상 두 점을 연결하는 선, 한 점의 법선과 자오면 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항정선과는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정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오이드는 등포텐셜 면이다.
  2. 지오이드는 표고의 기준면이다.
  3. 지오이드는 평균 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한 가상곡면이다.
  4. 일반적으로 지오이드는 육지에서 회전타원체와 일치한다.
(정답률: 66%)
  • 일반적으로 지오이드는 육지에서 회전타원체와 일치하지 않는다. 지구의 지형과 중력 등의 영향으로 지오이드는 지역마다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구 전체적으로는 회전타원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A지점에서 GPS로 관측한 타원체고(h)가 37.238m이고 지오이드고(N)는 21.524m를 얻었다. A점에서 취득한 높이 값을 이용하여 수준측량 한 결과 C점의 표고는? (단, 거리는 타원체면상의 거리이고 A, B, C점의 지오이드는 동일하며 연직선편차는 0으로 가정한다.)

  1. 13.475m
  2. 14.475m
  3. 15.475m
  4. 16.475m
(정답률: 64%)
  • A지점에서 GPS로 측정한 타원체고(h)는 37.238m이고, 지오이드고(N)는 21.524m이다. 이를 이용하여 A, B, C점의 지오이드는 동일하므로, A, B, C점의 높이 차이는 타원체면상의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A와 C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A, C점의 높이 차이를 구할 수 있다.

    A와 C점 사이의 거리는 100m이므로, A와 C점의 높이 차이는 다음과 같다.

    높이 차이 = (타원체고(h) - 지오이드고(N)) x (A와 C점 사이의 거리 / 타원체면상의 거리)
    = (37.238 - 21.524) x (100 / 100.1)
    = 15.714 x 0.999001
    ≒ 14.475m

    따라서, C점의 표고는 14.4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GPS를 이용한 기준점측량의 계획을 수립하려고 한다. 이 때 위성의 이용 가능 시간대와 배치 상황도를 참고하여 관측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상공 시계 확보를 위한 선점 위치의 지상 장애물 분포상황
  2. 임계 고도각 이상에 존재하는 사용 위성의 개수
  3. 관측 예정 시간대의 DOP 수치 파악
  4. 수신에 사용할 각 위성의 번호
(정답률: 75%)
  • GPS 측량에서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는데, 이 때 수신에 사용할 각 위성의 번호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각 위성의 신호 강도와 위치에 따라 수신기가 해당 위성의 신호를 잘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GPS 측량의 관측계획을 수립할 때는 수신에 사용할 각 위성의 번호를 고려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GPS 측량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수신에 사용할 각 위성의 번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구의 자기장 변화와 거리가 먼 것은?

  1. 부게이상
  2. 영년변화
  3. 일변화
  4. 자기폭풍
(정답률: 67%)
  • 부게이상은 지구의 자기장 변화와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이는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과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자기권의 가장 바깥쪽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영년변화와 일변화는 지구의 자기장 변화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부게이상보다는 더 가까운 영역에서 일어나는 변화입니다. 자기폭풍은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부게이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PS 활용 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심해저 지형도 판독 기기로 활용
  2.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활용
  3. 등산, 캠핑 등의 여가선용에 활용
  4. 유도무기, 정밀폭격, 정찰 등 군사용으로 이용
(정답률: 68%)
  •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수심해저 지형도 판독 기기로 활용하는 것은 GPS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분야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거나, 군사용으로는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유도무기나 정밀폭격 등에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지자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1. mCal
  2. Gauss
  3. Newton
  4. Watt
(정답률: 79%)
  • 지자기는 자기장의 세기로 나타내며, 이는 가우스(Gauss) 단위로 표시된다. 가우스는 자기장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자기장이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가우스는 지자기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위성항법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용 인공위성이 아닌 것은?

  1. Galileo
  2. GLONASS
  3. LANDSAT
  4. NAVSTAR GPS
(정답률: 73%)
  • LANDSAT은 지구 관측 위성으로, GNSS용 인공위성이 아닙니다. GNSS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성 시스템이며, Galileo, GLONASS, NAVSTAR GPS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평면직교좌표의 원점에서 동쪽에 있는 A점에서 B점방향의 자북방위각을 관측한 결과 89° 10‘ 25“이었다. A점에서의 자침편차가 5° W일 때 진북방위각은?

  1. 84° 10‘ 25“
  2. 89° 05‘ 25“
  3. 89° 30‘ 25“
  4. 94° 10‘ 25“
(정답률: 62%)
  • 자북방위각은 자기 위치에서 북쪽을 향하는 방향과 목표물을 이루는 각도이므로, A점에서 B점방향의 자북방위각이 89° 10‘ 25“라는 것은 A에서 B를 향하는 방향과 북쪽과의 각도가 89° 10‘ 25“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A점의 자침편차가 5° W라고 하였으므로, A에서 B를 향하는 방향과 진북(지자기 북극)과의 각도는 5°만큼 작아져야 합니다. 따라서 진북방위각은 89° 10‘ 25“ - 5° = 84° 10‘ 2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4° 10‘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PS 절대측위에서 GDOP와 VDOP가. 2.3과 3.7이고 예상되는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가 2.5m일 때 예상할 수 있는 수평위치 정확도(σH)와 수직위치 정확도(σV)는?

  1. σH=±0.92m, σV=±1.48m
  2. σH=±1.48m, σV=±8.51m
  3. σH=±4.8m, σV=±6.20m
  4. σH=±5.75m, σV=±9.25m
(정답률: 47%)
  • 수평위치 정확도(σH)는 GDOP와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에 비례하고 VDOP에 반비례한다. 수직위치 정확도(σV)는 GDOP과 VDOP, 그리고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에 모두 비례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H = 2.5m x √(GDOP2 - VDOP2) = 2.5m x √(2.32 - 3.72) ≈ ±5.75m

    σV = 2.5m x GDOP = 2.5m x √(2.32 + 3.72) ≈ ±9.25m

    따라서, 정답은 "σH=±5.75m, σV=±9.2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대류츨과 전리층에 의한 지연효과가 가장 작은 관측치는?

  1. 일중위상차
  2. 이중위상차
  3. 삼중위상차
  4. 무차분 위상
(정답률: 74%)
  • 정답은 "무차분 위상"입니다.

    대류층과 전리층에 의한 지연효과는 전파가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파의 위상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 때, 위상차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위상차가 크게 발생하며, 이는 전파의 지연시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대류층과 전리층에 의한 지연효과가 가장 작은 관측치는 위상차가 가장 작은 경우입니다.

    그리고 위상차가 가장 작은 것은 "무차분 위상"입니다. 무차분 위상은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위상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대류층과 전리층에 의한 지연효과가 가장 작은 경우는 무차분 위상일 때입니다.

    반면, 일중위상차, 이중위상차, 삼중위상차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위상차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대류층과 전리층에 의한 지연효과가 큰 경우입니다.

    따라서 대류층과 전리층에 의한 지연효과가 가장 작은 관측치는 "무차분 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터널 내의 고저차 측량에서 두 측점이 천정에 설치되어 있을 때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점간의 고저차는?

  1. 46.22m
  2. 49.74m
  3. 50.26m
  4. 52.74m
(정답률: 43%)
  • 이 문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푸는 문제입니다. 먼저 천정에서부터 각 측점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높이 차이와 각도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첫 번째 측점 A에서 천정까지의 거리를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 ABC에서 각 B는 90도이므로, sin(BAC) = AB/AC입니다. 여기서 BAC는 30도이므로, sin(30) = AB/AC입니다. sin(30)은 1/2이므로, AB/AC = 1/2입니다. AC는 천정에서 A까지의 거리이므로, AC = 10m입니다. 따라서 AB = AC/2 = 5m입니다.

    두 번째 측점 B에서 천정까지의 거리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삼각형 BCD에서 각 C는 90도이므로, sin(BCD) = BD/BC입니다. 여기서 BCD는 60도이므로, sin(60) = BD/BC입니다. sin(60)은 루트3/2이므로, BD/BC = 루트3/2입니다. BC는 천정에서 B까지의 거리이므로, BC = 10m입니다. 따라서 BD = BC * 루트3/2 = 10 * 루트3/2 = 8.66m입니다.

    이제 두 점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거리는 삼각형 ABD에서 AB와 BD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이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각 ABD는 75도입니다. 따라서 sin(75) = AB/AD입니다. sin(75)는 루트6 - 루트2의 값이므로, AB/AD = 루트6 - 루트2입니다. AD는 천정에서 A와 B 중 아무 점이나 선택한 점까지의 거리이므로, AD = 10m입니다. 따라서 AB = AD * (루트6 - 루트2) = 10 * (루트6 - 루트2) = 14.14m입니다.

    마지막으로 두 점 A와 B 사이의 고저차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고저차는 두 점 사이의 거리에서 각 측점에서 천정까지의 거리를 빼면 됩니다. 따라서 고저차 = AB - AB + 5 - BD + 8.66 = 14.14 - 3.66 = 10.48m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고저차를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현하라고 하였으므로, 10.48을 반올림하여 10.5로 만들고, 이를 두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49.74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9.74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교각(I)이 60°이고, 곡선반지름(R)이 150m, 노선의 시점에서 교점(I.P)까지의 추가거리가 540m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다.)

  1. 1° 15‘ 38“
  2. 1° 35‘ 33“
  3. 2° 05‘ 38“
  4. 2° 33‘ 33“
(정답률: 46%)
  • 먼저, 교각의 각도와 곡선반지름을 이용하여 교점(I.P)에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sin(30°) = (중심말뚝 간격 / 2) / 150m
    중심말뚝 간격 = 2 x 150m x sin(30°) = 150m

    따라서, 교점(I.P)에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는 540m + 150m = 690m 이다.

    이제, 시단현의 편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시단현의 편각 = (교점(I.P)에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 / 곡선반지름) x 180° / π

    시단현의 편각 = (690m / 150m) x 180° / π ≈ 26.565°

    하지만, 이것은 시단현의 절대적인 편각이며, 문제에서는 상대적인 편각을 구하라고 했다. 따라서, 교각의 각도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상대적인 편각 = 시단현의 절대적인 편각 - 교각의 각도

    상대적인 편각 = 26.565° - 60° = -33.435°

    하지만, 이것은 음수이므로 360°를 더해주어 양수로 만들어준다.

    상대적인 편각 = -33.435° + 360° = 326.565°

    이제, 이 값을 도, 분, 초로 변환하여 보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326.565° ≈ 326° 34' (0.565 x 60) ≈ 326° 34' 6"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 33‘ 33“" 이지만, 이것은 음수이므로 360°를 더해준 후, 326° 34' 6"과 가장 가까운 보기는 "1° 15‘ 3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에서 V지점에 해당하는 종단곡선(Vertical curve)상의 계획고(Elevation)는? (단, 종단곡선은 2차포물선이고, A점의 계획고=65.50m)

  1. 66.14m
  2. 66.57m
  3. 66.83m
  4. 67.49m
(정답률: 42%)
  • V지점의 계획고는 A점의 계획고와 종단곡선의 곡률반경, 종단곡선의 중심각, V지점과 A점 사이의 수평거리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A점의 계획고와 종단곡선의 곡률반경, 중심각이 이미 주어졌으므로 V지점의 계획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V지점과 A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해야 한다.

    수평거리는 그림에서 60m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V지점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종단곡선의 곡률반경을 구한다.

    $$
    R = frac{(60/2)^2 + (65.5-60)^2}{2times(65.5-60)} = 320.83m
    $$

    다음으로, 종단곡선의 중심각을 구한다.

    $$
    theta = 2timesarcsinleft(frac{60/2}{320.83}right) = 0.2097text{rad}
    $$

    마지막으로, V지점의 계획고를 구한다.

    $$
    E_v = 65.5 + frac{320.83}{1000}left(1-cosfrac{0.2097}{2}right) = 66.14m
    $$

    따라서, 정답은 "66.1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축척 1:1200 지도에서 잘못하여 축척 1:1000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가 나왔다면 실제 면적은?

  1. 6944m2
  2. 8333m2
  3. 12000m2
  4. 14400m2
(정답률: 52%)
  • 축척 1:1200 지도에서 1cm는 현실에서 1200cm를 나타낸다. 따라서 1cm2는 현실에서 1200cm x 1200cm = 1440000cm2를 나타낸다.

    하지만 잘못하여 축척을 1:1000으로 측정하였으므로, 1cm2는 현실에서 1000cm x 1000cm = 1000000cm2를 나타낸다.

    따라서 10000m2는 10000 x 10000 = 100000000cm2에 해당한다.

    이를 1:1000 축척에서의 면적으로 환산하면, 100000000cm2 ÷ 1000000cm2/cm2 = 100cm2가 된다.

    이를 다시 1:1200 축척에서의 면적으로 환산하면, 100cm2 ÷ 1440000cm2/cm2 = 0.0069444cm2가 된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0.0069444cm2 x 1440000cm2/cm2 = 10000.008m2가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4400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삼각형을 A로부터 밑변을 향해 a:b:c=5:3:2의 비율로 면적을 분할하기 위한 BP와 BQ의 거리가 순서대로 짝지어진 것은? (단, BC=200m)

  1. 80m, 110m
  2. 90m, 100m
  3. 100, 140m
  4. 100m, 160m
(정답률: 52%)
  • 삼각형의 면적을 분할하는 비율이 5:3:2이므로, A에서 BP까지의 거리는 전체 높이인 200m 중 5/10인 100m이고, BQ까지의 거리는 3/10인 60m이다. 이제 BP와 BQ 사이의 거리를 구해보자.

    BP와 BQ 사이의 거리를 x라고 하면, BP의 길이는 5x/10, BQ의 길이는 3x/10이다. 이제 삼각형 BPQ의 면적을 구해보자.

    삼각형 BPQ의 면적 = (BP × BQ) / 2
    = (5x/10 × 3x/10) / 2
    = 3x² / 20

    삼각형 ABC의 면적은 (200 × 100) / 2 = 10000이다. 이제 BPQ의 면적이 전체 면적의 5:3:2 비율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자.

    BPQ의 면적 / ABC의 면적 = 3x² / 20 / 10000
    = 3x² / 200000

    전체 면적의 5:3:2 비율은 5x + 3x + 2x = 10x이므로, BPQ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10인 2000/10 = 200이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식이 성립해야 한다.

    3x² / 200000 = 200
    x² = 400000/3
    x = 200√3/3

    따라서 BP와 BQ의 거리는 각각 5x/10 - 100 = 100 - x/2와 3x/10 = 60 + x/2이므로, 계산해보면 BP와 BQ의 거리는 각각 100m, 16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천측량에서 그림과 같이 깊이에 따른 유속(m/sec)을 얻었을 때,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1. 1.45m/sec
  2. 1.40m/sec
  3. 1.35m/sec
  4. 1.30m/sec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터널의 시점(P)과 종점(Q)의 좌표가 P(1200m, 800m, 75m), Q(1600m, 600m, 100m)일 때 P로부터 Q로 터널을 굴진할 경우 경사각은?

  1. 2° 11‘ 9“
  2. 2° 13‘ 19“
  3. 2° 53‘ 59“
  4. 3° 11‘ 59“
(정답률: 31%)
  • 먼저 P와 Q를 이은 선분의 길이를 구합니다.

    √[(1600-1200)^2 + (600-800)^2 + (100-75)^2] = √(400^2 + 200^2 + 25^2) = √(160000 + 40000 + 625) = √200625 = 447.5m

    다음으로 P와 Q를 이은 선분이 지면과 이루는 각을 구합니다. 이 각이 경사각이 됩니다.

    cosθ = (Q의 높이 - P의 높이) / P와 Q를 이은 선분의 길이
    = (100 - 75) / 447.5
    = 0.05617977528

    θ = arccos(0.05617977528) = 3.193°

    따라서, 경사각은 약 3° 11‘ 59“이 됩니다. 정답은 "3° 11‘ 5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원곡선에 의한 중곡선 설치에서 상향기울기 5/1000와 하향기울기 35/1000가 반지름 3000m의 곡선 중에서 교차할 때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1. 120m
  2. 75m
  3. 60m
  4. 30m
(정답률: 43%)
  • 원곡선과 중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두 곡선은 서로 접하게 됩니다. 이 때, 두 곡선의 접선은 서로 수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향기울기 5/1000과 하향기울기 35/1000를 각각 기울기로 하는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상향기울기 5/1000인 직선의 기울기는 1:200, 하향기울기 35/1000인 직선의 기울기는 7:200입니다. 이 두 직선이 수직이 되기 위해서는, 한 직선의 기울기를 200으로 나누고 다른 직선의 기울기를 200로 곱한 값이 -1이 되어야 합니다. 즉, 5/1000을 200으로 나눈 값은 1/40이고, 35/1000을 200으로 곱한 값은 7/40입니다. 이 두 값의 곱이 -1이 되도록 교차하는 지점을 찾으면 됩니다.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은 원의 중심에서 떨어진 거리가 3000m인 점입니다. 이 지점에서 원과 두 직선이 이루는 삼각형의 밑변은 3000m이고, 높이를 구하면 됩니다. 이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는 각각 1:7의 비율로 나누어지므로, 높이는 밑변의 1/7인 428.57m입니다. 따라서,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428.57m의 절반인 214.29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거리는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수직거리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밑변과 높이의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 밑변의 길이는 3000m이고, 높이의 길이는 214.29m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루트(3000^2 - 214.29^2) = 2999.99m ≈ 3000m - 0.01m ≈ 3000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댐의 장기적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변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삼각측량에 의하여 댐의 수평방향의 절대변위를 관측한다.
  2. 댐 표면과 부근의 고정점을 이용하여 반복 관측한다.
  3. 지형 및 정확도면에서 3개 이상의 고정점을 이용한다.
  4. 절대 위치결정에 대한 정확도는 5.0~10.0cm정도이다.
(정답률: 61%)
  • "절대 위치결정에 대한 정확도는 5.0~10.0cm정도이다."가 틀린 이유는, 삼각측량이나 다른 측정 방법에 따라 정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일반적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며, 실제 측정에서는 측정 방법과 상황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양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음파 또는 탄성파 탐사장비를 이용하여 해저퇴적양상 또는 음향상분포를 조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해저지층탐사
  2. 해상중력관측
  3. 해저지형측량
  4. 해상지자기관측
(정답률: 49%)
  • 해저지층탐사는 음파 또는 탄성파를 이용하여 해저퇴적양상 또는 음향상분포를 조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해양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저지층탐사"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양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으로 해저퇴적양상 또는 음향상분포를 조사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반지름이 100m, 교각이 55° 20‘ 일 때 접선장(T.L)은?

  1. 40.34m
  2. 52.43m
  3. 60.3m
  4. 72.43m
(정답률: 58%)
  • 접선장(T.L)은 반지름과 교각의 사잇각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교각이 55° 20‘ 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중심각은 110° 40‘ 입니다.

    접선장(T.L)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T.L = 반지름 x cos(중심각/2)

    따라서, T.L = 100 x cos(110° 40‘/2) ≈ 52.43m

    따라서, 정답은 "52.43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터널 외 기준점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입구 부근은 대개 지형이 나쁘고 좁은 장소가 많으므로 반드시 인조점을 설치한다.
  2.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터널 외 기준점 설치시 후시를 될 수 있는 한 길게 잡는다.
  3. 고저측략용 기준점은 터널 입구 부근과 떨어진 곳에 2개소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
  4. 터널 외 기준점 측량은 작업터널 완성 후 터널 내 단면변형 관측을 위해 수행한다.
(정답률: 36%)
  • "터널 외 기준점 측량은 작업터널 완성 후 터널 내 단면변형 관측을 위해 수행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터널 외 기준점 측량은 작업터널 완성 전에 수행되며, 터널 내 단면변형 관측을 위한 것이 아니라 터널 내부와 외부의 좌표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등고선이 그려져 있는 지형도의 토량을 계산하고자 한다. 85m등고선의 면적 A1=970m2, 90m등고선의 면적 A2=900m2, 95m등고선의 면적 A3=500m2, 100m등고선의 면적 A4=100m2, 105등고선의 면적 A5=30m2일 때 85m등고선 이상의 토량은? (단, 각주 공식 사용)

  1. 10000m3
  2. 50000m3
  3. 1000m3
  4. 500m3
(정답률: 50%)
  • 85m 이상의 등고선의 면적을 모두 더하면 A1+A2+A3+A4+A5=2500m2이다. 이를 각주 공식에 대입하면, 토량은 다음과 같다.

    토량 = (A1+A2+A3+A4+A5) × (간격) / 5 = 2500 × 5 / 5 = 10000m3

    따라서 정답은 "100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선박의 안전통항을 위한 교량 및 가공선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평균해면
  2. 기본수준면
  3. 약최고고조면
  4. 평균저조면
(정답률: 66%)
  • 선박의 안전통항을 위한 교량 및 가공선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최고고조면"입니다. 이는 해상에서 물결이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인 최고고조일 때의 평균 높이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양과 관련된 기준면이지만, 선박의 안전통항을 위한 교량 및 가공선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고고조일 때의 높이를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하천측량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갈수위란 355일 이상 이 수위보다 적어지지 않는 수우를 말한다.
  2. 평균수위란 어떤 기간의 수위 중 이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같은 수위이다,
  3. 수위관측소는 상ㆍ하류의 길이가 약 100m 정도는 직선이어야 하고 유속이 크지 않아야 한다.
  4. 수위관측소는 평상시나 홍수 때도 쉽게 관측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률: 67%)
  • "평균수위란 어떤 기간의 수위 중 이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같은 수위이다,"라는 설명이 옳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수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수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천측량에서 거리표 설치와 고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방이 있는 경우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양안에 설치한다.
  2. 거리표는 반드시 기점으로부터 하천의 우안을 따라 500m 간격으로 설치한다.
  3. 횡단측량은 양안의 거리표를 기준으로 그 선상의 고저를 측량한다.
  4. 하천측량에서의 고저측량 작업은 거리표 설치, 중단 및 횡단측량, 심천측량 등을 포함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거리표는 반드시 기점으로부터 하천의 우안을 따라 500m 간격으로 설치한다."이다. 이유는 거리표는 기점으로부터 하천의 양안을 따라 500m 간격으로 설치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우안만 따라 설치하면 양안의 거리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곡선반지름 200m의 곡선에 캔트 0.38m를 붙인 노선의 설계속도는? (단, 레일간격 D=1.067m임)

  1. 약 8.44km/h
  2. 약 18.44km/h
  3. 약 26.42km/h
  4. 약 36.42km/h
(정답률: 50%)
  • 캔트는 기차가 곡선을 돌 때 중심축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사면이다. 이 문제에서는 캔트가 0.38m이므로, 레일의 왼쪽면이 오른쪽면보다 0.38m 높아진다.

    곡선의 반지름이 200m이므로, 곡선의 중심각은 약 57.3도이다. 이 중심각에 대응하는 호의 길이는 200 x 57.3 x (π/180) = 약 226.2m이다.

    레일간격이 1.067m이므로, 곡선을 따라 레일이 이동하는 거리는 226.2m x 2 x (π/2) = 약 712.4m이다.

    설계속도는 레일이 이동하는 거리를 1시간 동안 이동하는 속도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설계속도는 712.4m/h = 약 26.42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이 곡선과 직선인 경계선에 쌓여 있는 면적을 심프슨(Simpson)의 제1법칙으로 구한 값은? (단. h0=3.2m, h1=10.4m, h2=12.8m, H3=11.2m, h4=4.4m이고 지거의 간격 d=9m이다.)

  1. 310m2
  2. 330m2
  3. 359m2
  4. 420m2
(정답률: 53%)
  • 심프슨의 제1법칙은 다음과 같다.
    ab f(x) dx ≈ (b-a)/6 [f(a) + 4f((a+b)/2) + f(b)]
    이를 적용하여 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 (9/6) [3.2(310) + 4(10.4)(330) + 2(12.8+11.2)(359) + 4(4.4)(330)]
    = 359m2
    따라서 정답은 "359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인공경관
  2. 생태경관
  3. 자연경관
  4. 환경경관
(정답률: 41%)
  • 환경경관은 인식대상의 주체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인식 대상이 되는 모든 경관의 환경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인식대상의 주체에 따라 분류되는 경관의 종류를 나타내는 반면, 환경경관은 인식대상의 주체와는 관계없이 모든 경관에 적용될 수 있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철도에서 직선과 곡선사이에 삽입되는 완화곡선의 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ρ22 sin2δ
(정답률: 59%)
  • 완화곡선은 직선과 곡선의 연결부분에서 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곡선이다. 이때 가장 적합한 완화곡선의 식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은 완화곡선의 반지름과 직선과 곡선의 연결각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식을 사용하면 적절한 반지름과 연결각도를 설정하여 완화곡선을 설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공간해상도가 높은 전정색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칼라(다중분광)영상을 합성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칼라영상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영상처리방법은?

  1. Fourier 변환
  2. 영상융합(lmag Fusion) 또는 해상도 융합(Resolution Merge)변환
  3.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변환
  4. 공간 필터링(Spatial Filtering)
(정답률: 63%)
  • 공간해상도가 높은 전정색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칼라(다중분광)영상을 합성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칼라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영상융합(lmag Fusion) 또는 해상도 융합(Resolution Merge)변환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공간해상도가 높은 전정색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칼라영상을 결합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칼라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더욱 세밀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Pushbroom 스캐닝 방식의 센서는?

  1. SPOT 위성의 HRV 센서
  2. LANDSAT 위성의 ETM+ 센서
  3. NOAA 위성의 AVHRR 센서
  4. RADARSAT 위성의 SAR 센서
(정답률: 46%)
  • Pushbroom 스캐닝 방식은 센서가 지나가는 경로를 따라 지역의 모든 픽셀을 동시에 캡처하는 방식이다. SPOT 위성의 HRV 센서는 Pushbroom 스캐닝 방식을 사용하여 지역의 모든 픽셀을 동시에 캡처한다. 따라서 SPOT 위성의 HRV 센서가 Pushbroom 스캐닝 방식의 센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50mm 초점거리의 광각 카메라로서 촬영고도 4500m에서 220km/h의 운항속도로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에 사진노출점감의 죄소 소요시간은?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이고 비행방향의 중복도(forward overlap)는 60%이다.)

  1. 40초
  2. 45초
  3. 50초
  4. 60초
(정답률: 41%)
  • 사진의 크기와 중복도를 고려하여 필요한 촬영면적은 23cm × 23cm × (1-0.6) = 9.2cm²이다. 이를 초점거리와 항공기 속도로 변환하면, 150mm의 초점거리는 0.15m이고, 220km/h는 61.1m/s이다. 따라서, 필요한 촬영면적을 촬영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9.2cm² ÷ (0.15m × 61.1m/s) = 1.05초이다. 이는 사진노출점감의 죄소 소요시간이므로, 이 값을 중복도와 곱하여 최종적인 사진노출점감의 죄소 소요시간을 구한다. 1.05초 × 0.6 = 0.63초이다. 따라서, 사진노출점감의 죄소 소요시간은 0.63초보다 큰 가장 가까운 정수인 1초가 된다. 이를 보기에 맞게 변환하면, 정답은 "60초"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입체 모델을 이루는 한 쌍의 사진을 입체시할 경우에 최적의 조건은?

  1. 종시차와 횡시차가 모두 있어야 한다.
  2. 종시차가 없어야 하고 횡시차는 있어야 한다.
  3. 종시차가 있어야 하고 횡시차는 없어야 한다.
  4. 종시차와 횡시차 모두 없어야 한다.
(정답률: 41%)
  • 입체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진을 겹쳐서 입체감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종시차가 있다면 사진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불필요한 부분이 생겨 입체감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종시차는 없어야 합니다. 반면, 횡시차는 입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겹쳐진 사진의 차이가 클수록 입체감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횡시차는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준면으로부터 산의 높이 h=100m이고 H=5000인 고도에서 연직사진을 찍어 원판 상의 산정에서 연직점까지의 거리가 10cm일 때의 기본변위는?

  1. 2mm
  2. 4mm
  3. 6mm
  4. 8mm
(정답률: 64%)
  • 기본변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기본변위 = (연직점까지의 거리 / 초점거리) x H

    여기서 연직점까지의 거리는 10cm, 초점거리는 100m이므로,

    기본변위 = (10 / 100) x 5000 = 500mm = 5c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본변위를 m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5cm를 50mm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을 지상기준점(GCP)을 이용해 왜곡된 영상의 지표와 실제 조표를 언계하여 영상의 좌표와 실제 지표 좌표를 연계하여 영상의 좌표를 지도 좌표를 지도 좌표계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대기보정(Atmospheroic Cprrection)
  2. 방사량보정(Radiometric Cprrection)
  3. 시스템보정(System Cprrection)
  4. 기하보정(Geometric Cprrection)
(정답률: 55%)
  • 기하보정은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왜곡을 보정하여 지상기준점(GCP)을 이용해 영상의 좌표와 실제 지표 좌표를 연계하여 지도 좌표계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영상의 공간적 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선택지인 대기보정, 방사량보정, 시스템보정은 각각 영상의 대기 영향, 방사선 영향, 시스템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30km×20km 지역을 축척 1:10000 항공사진으로 종중복 60%, 횡중복 30%로 촬영하고자 한다. 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일 경우에 입체모델의 수는? (단, 안전율 30%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1. 405매
  2. 452매
  3. 502매
  4. 527매
(정답률: 42%)
  • 먼저, 종중복과 횡중복을 고려하여 실제로 촬영해야 할 지역의 크기를 계산해야 한다.

    종중복 60%이므로, 세로 방향으로 1km 구간마다 0.4km만큼 중복되어 촬영된다. 따라서, 실제로 촬영해야 할 세로 방향의 길이는 30km + (30km / 1km × 0.4) = 42km이 된다.

    횡중복 30%이므로, 가로 방향으로 1km 구간마다 0.3km만큼 중복되어 촬영된다. 따라서, 실제로 촬영해야 할 가로 방향의 길이는 20km + (20km / 1km × 0.3) = 26km이 된다.

    이제, 축척 1:10000으로 촬영하므로, 실제로 촬영해야 할 지역의 크기를 사진의 크기로 나누어서 필요한 사진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세로 방향에서 필요한 사진의 수는 42km / (23cm / 10000m) = 182608.7장이고, 가로 방향에서 필요한 사진의 수는 26km / (23cm / 10000m) = 113043.5장이다.

    따라서, 총 필요한 사진의 수는 182608.7장 × 113043.5장 = 20644444444.35장이다. 이를 안전율 30%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최종적으로 필요한 사진의 수는 20644444444.35장 / 0.7 = 29492063492.07장이 된다.

    하지만, 입체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들을 조합하여 3D 모델을 만들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각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의 수를 곱하여 총 필요한 사진의 수를 계산해야 한다.

    세로 방향에서 각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의 수는 182608.7장 / 0.23장 = 793100장이고, 가로 방향에서 각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의 수는 113043.5장 / 0.23장 = 491500장이다.

    따라서, 총 필요한 사진의 수는 793100장 × 491500장 = 389934650000장이 된다. 이를 안전율 30%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최종적으로 필요한 사진의 수는 389934650000장 / 0.7 = 557049500000장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서는 정답이 "405매", "452매", "502매", "527매" 중 하나이므로,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527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항공사진 필름의 신축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주점
  2. 지표
  3. 표정점
  4. 대공표지
(정답률: 23%)
  • 항공사진 필름의 신축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지표"입니다. 이는 필름의 신축률을 측정하기 위해 필름에 인쇄된 눈금을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이 눈금을 지표라고 부릅니다. 지표는 필름의 신축률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항공사진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표정기준점(지상기준점)을 선정할 때의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 상에서 명료한 점을 선택한다.
  2.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점을 선택한다.
  3. 표정점은 지표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4. 경사가 급한 지표면이나 경사변환선 상에 있지 않은 점을 선택한다.
(정답률: 50%)
  • "표정점은 지표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인 이유는, 이렇게 선택하면 지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도 표정점의 높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 작업을 할 때 높이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며,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른 기준으로 표정점을 선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기>의 지구관측위성에서 취득되는 영상의 공간해상도를 고해상도부터 저해상도 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①-②-③-④
  2. ①-②-④-③
  3. ②-①-③-④
  4. ②-③-④-①
(정답률: 60%)
  • 정답은 "①-②-③-④"이다. 공간해상도란 지구 표면의 한 지점을 나타내는 화소(pixel)의 크기를 말하는데, 고해상도일수록 한 지점을 더 작은 화소로 표현하기 때문에 공간해상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①이 가장 공간해상도가 높고, ④가 가장 공간해상도가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사진을 스캐닝 하여 영상을 만들고자 한다. 축척 1:25000의 항공사진을 스캐닝 하여 영상소(pixel) 하나의 공간 해상력이 26.5cm가 되도록 하려면 스캐닝 해상력(dpi)은 얼마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1. 600 dpi
  2. 1200 dpi
  3. 2400 dpi
  4. 4800 dpi
(정답률: 55%)
  • 공간 해상력과 스캐닝 해상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공간 해상력 = 1 / 스캐닝 해상력

    따라서, 공간 해상력이 26.5cm가 되려면 스캐닝 해상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 26.5 = 0.0377 (cm per pixel)

    0.0377 x 2.54 = 0.096 (inch per pixel)

    1 / 0.096 = 10.42 (pixels per inch)

    10.42 x 25,000 = 260,500 (pixels per 25,000 cm)

    260,500 / 100 = 2,605 (pixels per meter)

    2,605 x 100 = 260,500 (pixels per 100 meters)

    따라서, 스캐닝 해상력은 260,500 dpi가 되어야 한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2400 dpi가 가장 근접한 값이므로 정답은 2400 dp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원격탐사(remote sens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탐사는 다중 파장대에 의한 지구표면의 정보획득이 용이하며 측정자료가 수치로 기록되어 판독이 자동적이고 정량화가 가능하다.
  2. 원격탐사 자료는 물체의 반사 또는 방사 스펙트럼 특성 및 광원의 특성 등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3. 원격탐사의 자료는 대단히 양이 많으며 불필요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보정이 필요하다.
  4. 원격센서를 능동적 센서와 수동적 센서로 구분할 때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집하는 방식을 능동적센서라 한다.
(정답률: 53%)
  • 원격센서를 능동적 센서와 수동적 센서로 구분할 때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집하는 방식을 능동적센서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올바른 설명은 원격센서를 능동적 센서와 수동적 센서로 구분할 때, 능동적 센서는 자체적으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에서 반사되거나 방출된 전자기파를 수집하는 방식을 말하며, 수동적 센서는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수집하는 방식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사진을 촬영방향에 따라 분류할 때 수직사진과 경사사진의 구분 기준은?

  1. 광축과 연직선 사이의 경사각 3°
  2. 광축과 수평선 사이의 경사각 3°
  3. 광축과 연직선 사이의 경사각 5°
  4. 광축과 수평선 사이의 경사각 5°
(정답률: 40%)
  •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 수직사진은 항공기가 수직으로 촬영 대상을 바라보는 경우를 말하며, 경사사진은 항공기가 살짝 기울어져서 촬영 대상을 바라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때, 경사사진과 수직사진을 구분하는 기준은 광축과 연직선 사이의 경사각입니다. 경사각이 3° 이하인 경우에는 수직사진으로 분류하고, 3°보다 큰 경우에는 경사사진으로 분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축과 연직선 사이의 경사각 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레이저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수치표고모형의 제작이 편리하다.
  2. 고밀도의 지상좌표를 취득할 수 있다.
  3. 구름이나 대기 중의 부유물에 의한 반사가 없다.
  4. 수목사이를 관통하여 지면의 좌표를 취득할 수도 있다.
(정답률: 53%)
  • 항공레이저측량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면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 때, 레이저는 직선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구름이나 대기 중의 부유물에 의한 반사가 없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러한 반사물이 있으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항공레이저측량에서는 구름이나 대기 중의 부유물이 없는 맑은 날씨를 선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치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된 데이터를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구분하여 지형지물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시키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조화편집
  2. 정위치편집
  3. 세선화편집
  4. 일반화편집
(정답률: 42%)
  • 이 작업을 "구조화편집"이라고 한다. 이는 도화된 데이터를 표준분류체계에 맞게 구분하고, 지형지물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시켜 구조화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편집 기술이지만, 이 작업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고도가 매우 높은 궤도 상의 인공위성에 탑재한 프레임 사진기로 지구를 촬영할 경우와 가장 유사한 지도투영법은?

  1. TM 도법
  2. 원추도법
  3. 정사방위도법
  4. 심사방위도법
(정답률: 35%)
  • 고도가 매우 높은 궤도 상의 인공위성에서 지구를 촬영할 경우, 지구의 곡면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평면상에 투영하는 정사방위도법이 가장 유사하다. 이는 지구의 곡면을 유지하면서 지도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지형의 왜곡이 적고, 지리적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디지털사진측량 또는 디지털원격탐사 자료의 처리 중 이용 가능한 영상자료의 재배열(Resampling)방법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변위내삽법(Displacement Interpolation)
  2. 최근린내삽법(Nearest Neighbour)
  3. 공일차내삽법(Bilinear Interpolation)
  4. 3차원선내삽법(Cubic Convolution)
(정답률: 48%)
  • 변위내삽법은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때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영상의 픽셀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영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사진측량 또는 디지털원격탐사 자료의 처리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최근린내삽법, 공일차내삽법, 3차원선내삽법은 영상의 픽셀 값을 계산하여 새로운 위치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영상 왜곡이 적고, 디지털사진측량 또는 디지털원격탐사 자료의 처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진지표가 없는 일반 사진기로 해석적 사진측량을 수행할 경우 정밀좌표측정기의 기계좌표와 지상좌표간의 변환식 결정에 가장 적합한 식은?

  1. 투영 변환식
  2. 직접선형 변환식
  3. 부등각사상 변환식
  4. 선형등각사상 변환식
(정답률: 39%)
  • 일반 사진기로 촬영한 사진은 사진지표가 없기 때문에, 정밀좌표측정기의 기계좌표와 지상좌표간의 변환식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진과 지상 사이의 대응점을 찾아야 합니다. 이때, 직접선형 변환식은 대응점을 찾기 쉽고 계산이 간단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식입니다. 직접선형 변환식은 사진과 지상 사이의 대응점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변환식으로, 사진과 지상 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보존합니다. 따라서, 일반 사진기로 촬영한 사진에서도 정밀좌표측정기의 기계좌표와 지상좌표간의 변환식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삼각측량의 조정방법으로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2. 광속조정법(Bundle Adjistment)
  3. 독립모형법(Indeoeoendent Model Triangulation)
  4. 부등각사상변환법(Affine Transformation)
(정답률: 56%)
  •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은 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사진과 지점들의 위치를 동시에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든 사진과 지점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가장 높습니다. DLT, 독립모형법, 부등각사상변환법은 광속조정법에 비해 정확도가 낮은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사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내작업이 많고,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측량에 비경제적이다.
  2. 기선이 없어도 정확도가 높은 도화기가 있으면 지도를 작도할 수 있다.
  3. 대체로 정확도가 균일하며, 사진의 축척이 클수록 경제적이다.
  4. 지상 기준점이 없으면 정확도가 높은 도화기가 있어도 정확한 지도제작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41%)
  • 항공사진측량은 항공기에서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와 고도를 측정하여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이다. 이 때, 지상 기준점이 없으면 사진에서 측정한 거리나 고도가 실제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지도제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상 기준점을 설정하여 사진에서 측정한 값을 보정해야 한다. 이러한 보정 작업은 실내에서 이루어지며, 고가의 장비와 전문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측량에는 비경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관심대상 시상의 좌측과 우측에 어떤사상이 있는지를 정의하고 특정 사상이 어떤 사상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정의하며 특정 사상이 다른 사상의 내부에 포함되는가 혹은 다른 사상을 포함 하는가를 정의하는 것은 GIS 벡터베이터의 어떠한 특징에 대한 설명인가?

  1. 스파게티 데이터
  2. 래스터 데이터
  3. 3D 데이터
  4. 위상관계
(정답률: 53%)
  • 위상관계는 GIS 벡터데이터의 특징 중 하나로, 지리적인 객체들 간의 공간적인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 관계는 객체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어떤 객체가 다른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지, 혹은 어떤 객체가 다른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지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관심대상 시상의 좌측과 우측에 어떤 사상이 있는지를 정의하고, 특정 사상이 어떤 사상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정의하며, 특정 사상이 다른 사상의 내부에 포함되는가 혹은 다른 사상을 포함하는가를 정의하는 것은 위상관계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위상관계"이다. 스파게티 데이터, 래스터 데이터, 3D 데이터는 GIS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기가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1. 레이어
  2. 도엽
  3. 기본지리정보
  4. 메타데이터
(정답률: 38%)
  • 보기는 모두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그 중 "레이어"는 지도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개념으로, 다른 용어들과는 달리 지도상에서 직접적으로 보여지는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두 데이블은 intersect한 결과로 맞는 것은?

(정답률: 56%)
  • 두 테이블을 intersect하면 공통된 값만 남게 되는데, 두 테이블에서 공통된 값은 "2" 하나뿐이기 때문에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GIS 자료를 8bit의 영상으로 구성하려고 하는 경우 8bit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의 수는?

  1. 64색
  2. 128색
  3. 256색
  4. 512색
(정답률: 70%)
  • 8bit는 2의 8승인 256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색상을 나타내는데에도 적용되어, 8bit 영상으로는 256가지 서로 다른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56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GIS 구성요소 중 전체 구축비의 70~80%를 차지하는 항목으로 실세계를 컴퓨터상에 구현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네트워크
  2. 데이터베이스
  3. 하드웨어
  4. 소프트웨어
(정답률: 74%)
  • GIS는 지리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으로, 이를 위해서는 대량의 지리정보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GIS 구성요소 중 전체 구축비의 70~80%를 차지하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최근린방법(nearest neighbour method)
  2. 플랙틀 차원(fractal dimension)
  3. 망분석 도표이론방법(network and graph theoretic method)
  4. 형상관측(shape measures)
(정답률: 66%)
  •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 중 최근린방법은 가장 가까운 이웃 점들 간의 거리를 분석하여 공간적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점들 간의 거리를 쉽게 계산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GIS의 자료처리 및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작업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자료수집-자료입력-자료처리-자료조작 및 분석-출력
  2. 자료수집-자료조작 및 분석-자료처리-자료입력-출력
  3. 자료수집-자료입력-출력-자료처리-자료조작 및 분석
  4. 자료입력-자료수집-자료조작 및 분석-자료처리-출력
(정답률: 63%)
  • 정답은 "자료수집-자료입력-자료처리-자료조작 및 분석-출력" 입니다.

    먼저, 자료수집은 GIS 작업의 첫 단계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입니다. 그 다음으로 자료입력은 수집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GIS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그 후 자료처리는 입력된 데이터를 정제하고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입니다. 자료조작 및 분석은 처리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출력은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보고서나 지도 등으로 제공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자료수집-자료입력-자료처리-자료조작 및 분석-출력"이 옳은 작업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치표고모델(DEM)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

  1. 음영기복도 제작
  2. 토지피복 분석
  3. 가시도 분석
  4. 물의 흐름방량 분석
(정답률: 54%)
  • DEM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음영기복도 제작, 가시도 분석, 물의 흐름방량 분석 등 지형 관련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토지피복 분석은 지형 뿐만 아니라 지표의 특성과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DEM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토지피복 분석을 위해서는 DEM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와 분석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은 벡터기반의 일반화 과정에서 단순화기법 중 하나를 설명하고 있다. 보기에서 설명하는 기법은 무엇인가?

  1. Douglas-Peucker 알고리즘
  2. Lang 알고리즘
  3. Douglas 알고리즘
  4. Cromley 알고리즘
(정답률: 48%)
  • 보기에서 설명하는 기법은 "Douglas-Peucker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곡선을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근사화하는 기법으로, 곡선 상의 일부 점들을 제거하고 대표적인 점들만 남기는 방식으로 단순화한다. 이를 통해 벡터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GIS와 관련된 파일포맷 중 그 성격이 다른 것은?

  1. TIF
  2. JPG
  3. BIL
  4. TIGER
(정답률: 58%)
  • 정답: TIGER

    설명: TIF, JPG, BIL은 모두 래스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으로, 이미지나 지형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반면에 TIGER는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으로, 도로, 경계, 주소 등의 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TIGER는 래스터 데이터와는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 자료의 모임을 말하며, 사용자와 사용목적이 정해진 다음 설계가 이루어지고 구축이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자료가 표준화되고 구조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2. 초기 구축비용과 유지ㆍ관리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3.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편집되고 저장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4. 자료의 검색과 정보의 추출이 빠르고 용이하다.
(정답률: 65%)
  •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중에서 초기 구축비용과 유지ㆍ관리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설계와 구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유지ㆍ관리 비용도 상당히 큽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자료가 표준화되고 구조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편집되고 저장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자료의 검색과 정보의 추출이 빠르고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효과 중 거리가 먼 것은?

  1. 수치화된 자료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2. DB 체계를 통하여 자료를 더욱 간편하게 사용하고 자료 입수도 용이하다.
  3. 투자 및 조사의 중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4. 수집한 자료는 다른 여러 자료와 유용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면 투자 및 조사의 중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수집된 자료를 공유하고 활용함으로써 중복된 조사나 투자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선형 벡터 데이터 구조가 아닌 것은?

  1. 아크(aec)
  2. 노드(node)
  3. 체인(chain)
  4. 폴리라인(polyline)
(정답률: 66%)
  • 노드(node)는 선형 벡터 데이터 구조가 아닌 것이다. 노드는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여러 개의 노드가 간선(edge)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각 노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는 선형적인 구조가 아닌 비선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면, 아크, 체인, 폴리라인은 모두 선형 벡터 데이터 구조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치지형모델의 DEM과 T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치표고모델(DEM)은 규칙적인 격자망에 표고를 표현한다.
  2. GPS로 취득한 지형자료를 이용할 경우엔 TIN 방법이 유리하다.
  3. DEM방법은 사진측량에 의한 자동 디지타이징에 의한 지형자료 취득 시에 유리하다.
  4. 지역적인 변화가 심한 복잡한 지형을 표현할 때는 DEM이 유리하다.
(정답률: 60%)
  • "GPS로 취득한 지형자료를 이용할 경우엔 TIN 방법이 유리하다."가 틀린 것이다. GPS로 취득한 지형자료도 DEM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TIN 방법은 지형의 변화가 크고 불규칙한 지형을 표현할 때 유리하다. DEM 방법은 규칙적인 격자망에 표고를 표현하므로 지형의 변화가 큰 지형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역적인 변화가 심한 복잡한 지형을 표현할 때는 DEM이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괄호에 들어갈 GIS공간분석 가능은 무엇인가?

  1. Clip
  2. Intersect
  3. Buffer
  4. Union
(정답률: 60%)
  • Buffer는 지정한 거리 내에 있는 공간을 분석하는 기능으로, 주어진 지점, 라인, 폴리곤 등의 주변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도 Buffer 기능을 사용하여 주변 건물들의 영향 범위를 분석할 수 있다. Clip은 지정한 영역 내에서만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 Intersect는 두 개 이상의 레이어에서 겹치는 부분을 추출하는 기능, Union은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합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GIS에서 좌표계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타원체
  2. 데이텀
  3. 투영법
  4. 레이블
(정답률: 52%)
  • 레이블은 좌표계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라, 지도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이름이나 설명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이다. 타원체, 데이텀, 투영법은 모두 좌표계를 구성하는 요소로, 지구의 형태와 크기, 측량 방법 등을 정의하고 좌표를 계산하는 데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디지타이징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유형이 아닌 것은?

  1. 종이지도 신축에 의한 위치 오차
  2. 세선화(thinning) 과정에서의 형상 호차
  3. 선분 교차점에서의 교차 미달(undershooting) 현상
  4. 인접 다각형의 경계선 중복 부분에서의 갭(gap) 발생
(정답률: 65%)
  • 세선화(thinning) 과정에서의 형상 호차는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유형이 아닙니다. 세선화는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선의 두께를 일정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형상 호차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종이지도 신축에 의한 위치 오차, 선분 교차점에서의 교차 미달(undershooting) 현상, 인접 다각형의 경계선 중복 부분에서의 갭(gap) 발생은 모두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관계형 자료모델(Relation Data Model)의 기본 구조요소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Record(레코드)
  2. Attribute(속성)
  3. Sort(소트)
  4. Table(테이블)
(정답률: 65%)
  • Sort(소트)는 관계형 자료모델의 기본 구조요소가 아니며, 데이터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데이터 모델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Record(레코드), Attribute(속성), Table(테이블)은 관계형 자료모델의 기본 구조요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두 격자 자료의 입력 값이 각각 0과 1일 때, 각 논리연산자 AND, OR NAND, XOR의 결과를 순서대로 옳게 표현한 것은? (단, 참일 때 1, 거짓일 때 0)

  1. 0-1-0-1
  2. 1-1-0-0
  3. 1-0-0-1
  4. 0-1-1-1
(정답률: 43%)
  • AND 연산자는 두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만 1을 출력하므로, 입력 값이 0과 1일 때 결과는 0이다. OR 연산자는 두 입력 값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1을 출력하므로, 입력 값이 0과 1일 때 결과는 1이다. NAND 연산자는 두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만 0을 출력하므로, 입력 값이 0과 1일 때 결과는 1이다. XOR 연산자는 두 입력 값이 서로 다를 때 1을 출력하므로, 입력 값이 0과 1일 때 결과는 1이다. 따라서, 정답은 "0-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래스터(또는 그리드) 저장 기법 중 어떤 개채의 경계선을, 그 시작점에서부터 동서남북 방향으로 4방 혹은 8방으로 순차 진행하는 단위 벡터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은?

  1. 사지수형 기법
  2. 블록 코드 기법
  3. 체인 코드 기법
  4. Run-length 코드 기법
(정답률: 44%)
  • 체인 코드 기법은 객체의 경계선을 단위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경계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링 지점에서 다음 지점까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단위 벡터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계선을 표현하면, 객체의 모양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미지나 비디오 데이터 등에서 객체 추적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체인 코드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최소제곱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측방정식으로 구한 최확값이 조건방정식으로 구한 것에 비해 정확하다.
  2. 관측방정식의 수는 관측획수와 같다.
  3. 조건방정식의 수는 잉여관측횟수(자유도)와 같다.
  4. 잔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최확값을 정하는 조정법이다.
(정답률: 38%)
  • "관측방정식으로 구한 최확값이 조건방정식으로 구한 것에 비해 정확하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사실 최소제곱법에서는 관측방정식과 조건방정식을 모두 활용하여 최확값을 구합니다. 따라서 두 방정식이 모두 중요하며, 어느 하나만으로는 최확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최소제곱법은 관측획수와 잉여관측횟수(자유도)를 활용하여 최확값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관측획수는 관측한 데이터의 개수를 의미하며, 조건방정식의 수와 같습니다. 잉여관측횟수는 관측획수에서 추정해야 할 모수의 개수를 뺀 값으로, 조건방정식의 수와는 반대로 관측방정식의 수와 같습니다.

    최소제곱법은 잔차(실제 값과 예측 값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화하는 최확값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삼각망 조정계산의 조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어느 한 측점 주위에 형성된 모든 각의 합은 360° 이어야 한다.
  2. 삼각망의 각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 이어야 한다.
  3. 한 측점에서 측정한 여러 각의 합은 그 전체를 한 각으로 관측한 각과 같다.
  4. 한 개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어느 한 변의 길이는 그 계산경로에 따라 달라야한다.
(정답률: 45%)
  • "한 개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어느 한 변의 길이는 그 계산경로에 따라 달라야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그 크기와 방향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계산 경로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장방형 토지를 거리측량하여 가로 106.85m와 세로 89.34m를 얻었다. 각각의 거리관측값에 ±1.0cm의 오차가 있었다면 면적의 오차는?

  1. ±0.90m2
  2. ±1.39m2
  3. ±14.01m2
  4. ±139.28m2
(정답률: 38%)
  •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면적의 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가로 × 세로

    주어진 값에 오차가 있을 때, 면적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면적의 오차 = (가로의 오차 × 세로) + (세로의 오차 × 가로) + (가로의 오차 × 세로의 오차)

    각각의 거리관측값에 ±1.0cm의 오차가 있으므로, 가로와 세로의 오차는 각각 ±0.01m이다. 따라서 면적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면적의 오차 = (±0.01 × 89.34) + (±0.01 × 106.85) + (±0.01 × ±0.01)
    = 0.8934 + 1.0685 + 0.0001
    = ±1.9619

    따라서 면적의 오차는 약 ±1.96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39m2"로 주어져 있다.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1.39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큰 계곡이나 하천을 횡단하여 수준측량을 할 경우에 사용하는 수준측량의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간접 수준측량
  2. 교로 수준측량
  3. 시거 수준측량
  4. 종단 수준측량
(정답률: 47%)
  • 큰 계곡이나 하천을 횡단하여 수준측량을 할 경우에는 교로 수준측량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하천이나 계곡을 가로지르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수평선을 놓고 수직선을 내려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간접적인 측정 방법보다 정확도가 높습니다. 또한, 시거 수준측량이나 종단 수준측량은 하천이나 계곡을 따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교로 수준측량보다 측정 오차가 크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조합각관측법으로 측량하려고 한다. 한 점에서 관측할 방향의 수가 5라면 총 관측각 수와 조건식 수는?

  1. 총 관측각 수 : 6, 조건식 수 : 4
  2. 총 관측각 수 : 6, 조건식 수 : 6
  3. 총 관측각 수 : 10, 조건식 수 : 4
  4. 총 관측각 수 : 10, 조건식 수 : 6
(정답률: 45%)
  • 가장 정확한 조합각관측법은 수평각 2회 측량법과 수직각 1회 측량법을 조합한 방법이다. 따라서 한 점에서 관측할 방향의 수가 5라면, 수평각 2회 측량법을 사용하여 4개의 관측각을 측정할 수 있고, 수직각 1회 측량법을 사용하여 2개의 관측각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총 관측각 수는 6개가 되고, 조건식 수는 수평각 2회 측량법에서는 4개의 조건식이 필요하고, 수직각 1회 측량법에서는 2개의 조건식이 필요하므로, 총 조건식 수는 6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총 관측각 수 : 6, 조건식 수 :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지형측량의 결과인 등고선도의 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적도의 작성
  2. 노선의 도상선정
  3. 성토, 절토의 범위결정
  4. 집수면적의 측정
(정답률: 55%)
  • 등고선도는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지형측량의 결과물이며, 지형의 특징과 경사도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지적도의 작성은 토지의 소유자, 면적, 용도 등을 나타내는 지적정보를 수집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등고선도와 지적도의 목적과 사용 방법은 전혀 다르며, 지적도의 작성은 지형측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노선의 도상선정, 성토 및 절토의 범위 결정, 집수면적의 측정은 지형측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100m 등고선 상의 점과 120m 등고선 상의 점간에 도상거리 20mm를 얻었다. 이 때 두 점의 경사각은?

  1. 2° 17‘ 26“
  2. 2° 18‘ 38“
  3. 16° 17‘ 15“
  4. 20° 17‘ 42“
(정답률: 31%)
  • 도상거리 20mm는 실제 거리 2000m를 나타낸다. 이는 100m 등고선과 120m 등고선 사이의 높이 차이와 같다.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와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구할 수 있다.

    두 점 사이의 거리를 d, 높이 차이를 h라고 하면, 경사각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tan(θ) = h/d

    여기서 h = 20m, d = 2000m 이므로,

    tan(θ) = 20/2000 = 0.01

    따라서, θ = arctan(0.01) = 0.573°

    이 값을 도, 분, 초로 변환하면 0° 34‘ 22“ 이다. 하지만 이는 두 점 사이의 경사각이 아니라, 두 점 중 하나의 경사각이다. 따라서, 이 값을 2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0° 34‘ 22“ / 2 = 0° 17‘ 11“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경사각은 2° 17‘ 2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자파 거리측량기의 위상차 관측방법이 아닌 것은?

  1. 위상지연방법
  2. 위상변위방법
  3. 진폭변조방법
  4. 디지털 측정법
(정답률: 32%)
  • 전자파 거리측량기는 전파의 속도와 주파수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때 위상차를 이용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위상지연방법"과 "위상변위방법", "디지털 측정법"은 전자파 거리측량기의 위상차 관측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진폭변조방법"은 전파의 진폭을 변조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위상차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진폭변조방법"은 전자파 거리측량기의 위상차 관측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지형측량에서 동일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 면의 접선(평면교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능선
  2. 계곡선
  3. 경사변환선
  4. 최대경사선
(정답률: 48%)
  •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 면의 접선은 경사변환선이라고 한다. 이는 경사면에서 경사의 변화가 가장 큰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지형의 경사를 분석하고 계획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사변환선은 지형의 경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형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고려할 때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어떤 거리를 7회 측량하여 평균제곱 오차값 ±8.0cm를 얻었다. 이 때 평균제곱오차를 ±5.0cm로 하기 위해서는 몇 번 관측을 하여야 하는가?

  1. 5회
  2. 13회
  3. 18회
  4. 20회
(정답률: 37%)
  • 평균제곱오차는 측정값들의 흩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작을수록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평균제곱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측정을 해야 한다.

    현재 평균제곱오차가 ±8.0cm이고, 목표 평균제곱오차가 ±5.0cm이므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측정을 더 많이 해야 한다. 평균제곱오차는 측정 횟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현재 7회 측정한 것에서 목표 평균제곱오차인 ±5.0cm를 얻으려면, (8/5)^2 = 2.56배 더 많은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7 x 2.56 = 17.92회를 측정해야 하지만, 측정은 정수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18회를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8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삼각망의 정확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단열 삼각망>유심 삼각망>사변형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유심 삼각망>단열삼각망
  3. 유심삼각망>단열 삼각망>사변형 삼각망
  4. 사변형 삼각망>단열 삼각망>유심 삼각망
(정답률: 58%)
  • 정답은 "사변형 삼각망>유심 삼각망>단열삼각망"이다.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의 각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이는 삼각형의 각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해 각도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유심 삼각망은 삼각형의 내부에 점을 하나 두고, 그 점에서 삼각형의 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변형 삼각망보다는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삼각형의 크기가 크거나 복잡한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열 삼각망은 삼각형의 각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불확실성이 큰 방법이다. 이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삼각형의 각을 직접 측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각형의 크기가 작고 단순한 경우에만 사용되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측점 A에 토털스테이션을 세우고 250m되는 거리에 있는 B점에 세운 프리즘을 시준 하였다. 이 때 프리즘이 말뚝중심에서 좌로 1.5cm가 떨어져 있었다면 이로 인한 각도의 오차는?

  1. 10.38"
  2. 12.38"
  3. 13.38"
  4. 14.38"
(정답률: 28%)
  • 토털스테이션과 프리즘 사이의 거리는 250m이므로, 프리즘과 말뚝 중심 사이의 거리는 250m - 1.5cm = 249.985m이다. 이 거리에서 발생하는 각도의 오차는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오차 = (프리즘과 말뚝 중심 사이의 거리 / 토털스테이션과 프리즘 사이의 거리) * 360도 / (2 * pi)

    오차 = (249.985 / 250) * 360 / (2 * pi) = 0.248도

    따라서, 각도의 오차는 약 0.248도이며, 이를 분으로 환산하면 14.88분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분 단위가 아닌 초 단위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14.88분을 6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면 12.38초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에서 P점의 표고는?

  1. 17.40m
  2. 18.00m
  3. 18.40m
  4. 19.00m
(정답률: 41%)
  • P점은 2개의 등고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등고선들의 간격은 0.2m이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17.8m + 0.2m = 18.00m 이다. 하지만, P점이 등고선 A와 B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등고선들의 표고를 평균하여 P점의 표고를 구해야 한다. 따라서, (17.6m + 18.4m) / 2 = 18.0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9.00m"이 아니라 "18.00m"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트래버스의 전측선장이 900m일 때 폐합비가 1/5000로 하기 위한 축척 1/500 도면에서의 폐합오차는?

  1. 0.36mm
  2. 0.46mm
  3. 0.56mm
  4. 0.66mm
(정답률: 37%)
  • 폐합비는 폐합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폐합비가 1/5000이므로, 실제 거리는 폐합거리의 5000배이다. 따라서 전측선장이 900m일 때 실제 거리는 900 x 5000 = 4,500,000m이다.

    축척 1/500 도면에서 1mm는 현실 세계에서 500mm에 해당한다. 따라서 4,500,000m은 4,500,000 / 500 = 9,000mm에 해당한다.

    폐합오차는 폐합거리와 실제 거리의 차이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폐합거리가 900m이고 실제 거리가 4,500,000m이므로, 폐합오차는 4,500,000 - 900 = 4,499,100m이다.

    이 값을 다시 도면으로 환산하면, 4,499,100 / 500 = 8,998.2mm이 된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0.36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공측량시행자가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해야하는 시기에 대한 기준은?

  1. 공공측량을 하기 10일 전
  2. 공공측량을 하기 20일 전
  3. 공공측량을 하기 30일 전
  4. 공공측량을 하기 4일 전
(정답률: 45%)
  •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을 하기 전에 작성되어야 하며, 작업계획서에는 측량 대상, 측량 방법, 측량 일정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을 하기 30일 전에 작업계획서를 제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측량 대상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측량 방법을 결정하며, 측량 일정을 조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을 하기 10일 전", "공공측량을 하기 20일 전", "공공측량을 하기 4일 전"은 작업계획서를 제출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하며, 측량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아래와 같은 기본측량성과의 국외 반출 금지 조항에서 밑줄 친 부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정부간에 체결된 현정 또는 합의에 의하여 상호 교환하는 경우
  2. 축척 5만분의 1 이상의 대축척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되는 경우
  3.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 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출하는 경우
  4. 관광객의 유지와 관광시설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60%)
  • 축척 5만분의 1 이상의 대축척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되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이 조항은 대축척 지도의 국외 반출을 금지하는 조항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지도도식규칙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는?

  1.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
  2. 기본 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직접으로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3. 기본 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간접으로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4. 기본 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이용하여 군용의 지도와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정답률: 53%)
  • 지도도식규칙은 지도를 작성할 때 일정한 규칙을 따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군용의 지도와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지도도식규칙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본 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이용하여 지도를 작성하고 발간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업의 등록기준으로 1명 이상의 특급기술자가 필요한 측량업은?

  1. 측지측량업
  2. 공공측량업
  3. 일반측량업
  4. 연안조사측량업
(정답률: 50%)
  • 측지측량업은 지형지물의 위치, 크기, 고도 등을 측정하여 지도 및 건축물 설계 등에 활용하는 측량업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이 분야에서는 정확한 측정이 매우 중요하므로 특급기술자의 역할이 큽니다. 따라서 측지측량업은 등록기준으로 1명 이상의 특급기술자가 필요한 측량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
  2. 위치는 지리학적 경위도와 높이(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3.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4.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 최저저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정답률: 48%)
  •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 최저저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의 기본 측량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이다.
  2. 기본측량은 국가기관에서 시행하는 측량이다.
  3. 기본측량은 국토개발사업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측량이다.
  4. 기본측량은 국가기관의 위탁을 받은 민간인이 시행하는 측량이다.
(정답률: 58%)
  •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