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GNSS 측량시 측위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기선 길이
  2. 수신기의 안테나 높이
  3. 가시위성(visible satellite)
  4.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
(정답률: 76%)
  • 수신기의 안테나 높이는 GNSS 측량시 측위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는 수신기의 안테나 높이가 측정되는 위성과의 거리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테나 높이를 변경하더라도 측위정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에 기선 길이, 가시위성,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는 GNSS 측량시 측위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측지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구상 한 점에서 타원체에 대한 법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2. 지구상 한 점과 지구 중심점을 잇는 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3. 지구상 한 점에서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4. 본초자오면과 지표상 한 점을 지나는 자오면이 만드는 적도면상 각거리
(정답률: 55%)
  • "지구상 한 점에서 타원체에 대한 법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해당 지점에서의 지형과 타원체의 모양에 따라 달라지며, 이 각도를 이용하여 측지위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각도가 작을수록 측지위도는 적도에 가깝고, 클수록 극에 가까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UPS 좌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구의 양극지역, 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2. UPS 좌표는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한 것이다.
  3. 지심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좌표계를 사용한다.
  4. 지구의 양극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이다.
(정답률: 62%)
  • "지구의 양극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UPS 좌표는 지심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좌표계를 사용합니다. 이는 지구의 양극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양극을 원점으로 하는 것은 다른 좌표계인 극좌표계(polar coordinate sys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PS에서 전송되는 L2대의 신호주파수가 1,227.60MHz일 때 L2 신호 300,000파장의 거리는? (단, 광속(c)=299,792,458m/s이다.)

  1. 36,803m
  2. 36,828m
  3. 73,263m
  4. 122,8450m
(정답률: 61%)
  • 먼저, 신호의 속도는 광속(c)이므로, L2 신호가 1초에 이동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다.

    1초에 이동하는 거리 = c = 299,792,458m/s

    L2 신호가 300,000파장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300,000파장 ÷ 1초에 이동하는 거리 = 300,000 ÷ 1,227,600,000 = 0.0002442초

    따라서, L2 신호가 300,000파장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0.0002442초이다.

    이제,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거리 = 속도 × 시간

    거리 = c × 시간 = 299,792,458m/s × 0.0002442초 = 73,263m

    따라서, L2 신호 300,000파장의 거리는 73,26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력 및 중력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은 만유인력에 의한 힘과 지구자전에 의한 원심력의 합력으로 나타난다.
  2. 중력의 크기는 적도지방이 극지방보다 크다.
  3. 중력은 단위질량에 작용하는 힘이다.
  4. 중력장 내에서 같은 점에 위치하는 모든 질량체는 같은 중력값(중력가속도)을 갖게 된다.
(정답률: 71%)
  • "중력의 크기는 적도지방이 극지방보다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지구의 모양이 타원체이기 때문이다. 적도지방은 지구의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표고
  2. 정표고
  3. 타원체고
  4. 지오이드고
(정답률: 68%)
  • 지오이드는 지구의 등반면과 같은 물리적인 표면을 나타내는 반면, 타원체면은 지구의 중력장에 의해 형성된 등중력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은 지구의 실제 형태와 중력장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를 지오이드고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측량 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허용오차가 1 : 105이면 반지름을 최대 몇 km까지 평면으로 볼 수 있는가? (단, 지구반지름은 6,400km로 가정한다.)

  1. 약 11km
  2. 약 22km
  3. 약 35km
  4. 약 45km
(정답률: 58%)
  •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지구는 완전한 구체로 가정된다. 따라서 반지름이 6,400km인 구체를 평면으로 볼 때, 가장 큰 오차는 구의 곡률에 의한 것이다.

    이 때, 허용오차가 1 : 105이므로, 오차는 반지름의 1/105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대 오차가 6,400km / 105 = 0.064km = 64m 이내여야 한다.

    이는 약 35km에 해당하는데, 이는 반지름의 1/183 정도이므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최대 1/183까지는 평면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약 35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오이드의 형상은 수학적 타원체로 정의될 수 있다.
  2. 지오이드에서는 중력의 크기가 동일하다.
  3. 지오이드 접선에 직각은 중력 방향이다.
  4. 지오이드는 정표고를 나타내는 기준면이다.
(정답률: 65%)
  • "지오이드의 형상은 수학적 타원체로 정의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오이드의 형상은 지구의 회전과 중력에 의해 왜곡된 구체 모양을 가지며, 수학적으로는 타원체가 아닌 지구의 형상을 가리킵니다. 지구의 지반과 바다면의 불규칙한 높이와 깊이, 지구 내부의 밀도 분포 등이 지오이드의 형상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RINEX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INEX는 GNSS 수신기 기종에 따라 기록방식이 달라 이를 통일하기 위해 만든 표준파일형식이다.
  2. 헤더부분에는 관측점명, 안테나 높이, 관측날짜, 수신기명 등 파일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다.
  3. RINEX 파일로 변환하였을 경우 자료처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 못하도록 해 놓았다.
  4. 반송파, 코드신호를 모두 기록한다.
(정답률: 81%)
  • "RINEX 파일로 변환하였을 경우 자료처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 못하도록 해 놓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RINEX 파일은 사용자가 편집 가능합니다. 다만, 편집 시에는 자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RINEX 파일은 GNSS 수신기에서 기록한 측정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저장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이 파일 형식은 GNSS 수신기의 기종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어 있으며, 헤더 부분에는 관측점명, 안테나 높이, 관측날짜, 수신기명 등 파일에 대한 정보가 들어갑니다. 또한, 반송파와 코드 신호를 모두 기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석유탐사의 주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의 탐사에 적합한 탄성파 측정방법은?

  1. 굴절법
  2. 반사법
  3. 굴착법
  4. 충격법
(정답률: 79%)
  • 석유탐사에서는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의 지하층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탄성파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반사법은 지표면에서 발생한 탄성파가 지하층에서 반사되어 다시 지표면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하층의 깊이와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표면에서 측정이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지하층의 깊이와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석유탐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성측량에서 위성의 궤도와 임의 시각의 궤도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성궤도요소가 아닌 것은?

  1. 승교점(ascending)의 적위
  2. 궤도 이심률(eccentricity)
  3. 궤도 장반경의 제곱근
  4. 궤도 경사각
(정답률: 54%)
  • 승교점(ascending)의 적위는 위성의 궤도와는 관련이 없는 값으로, 위성의 궤도와 임의 시각의 궤도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승교점의 적위는 위성의 궤도가 적도면과 교차하는 지점에서의 적위를 의미하며, 위성의 궤도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승교점의 적위는 위성궤도요소가 아닙니다. 반면, 궤도 이심률, 궤도 장반경의 제곱근, 궤도 경사각은 모두 위성의 궤도와 관련된 값으로, 위성의 궤도와 임의 시각의 궤도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구면 삼각형 면적을 5,210km2, 지구의 곡률반지름을 6,370km라고 할 때 구과량은?

  1. 7″
  2. 16″
  3. 23″
  4. 26″
(정답률: 69%)
  • 구면 삼각형 면적과 지구의 곡률반지름을 이용하여 구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습니다.

    구면 삼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면적 = (삼각형의 둘레) x (구의 반지름)

    여기서 삼각형의 둘레는 지구의 둘레와 같으므로, 지구의 둘레를 구해야 합니다.

    지구의 둘레는 지름에 π(원주율)를 곱한 값이므로, 지구의 지름을 구해야 합니다.

    지구의 지름은 곡률반지름의 2배이므로, 지구의 지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지름 = 2 x 곡률반지름 = 2 x 6,370km = 12,740km

    지구의 둘레 = 지구의 지름 x π = 12,740km x π

    면적 = (지구의 둘레) x (구의 반지름) = 12,740km x 구의 반지름

    따라서, 구의 반지름은 면적을 지구의 둘레로 나눈 값이 됩니다.

    구의 반지름 = 면적 / 지구의 둘레 = 5,210km / (12,740km x π)

    이제 구의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구의 부피 = (4/3) x π x (구의 반지름)3

    구의 반지름을 위에서 구했으므로, 이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의 부피 = (4/3) x π x (5,210km / (12,740km x π))3 = 1,086,832km3

    이 값은 소수점 이하가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합니다.

    1,086,832km3 ≈ 1,086,000km3 = 1.086 x 106km3

    따라서, 정답은 "2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위성고도계에서 관측하는 관측치는?

  1. 위성에서 송신한 신호가 해수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
  2. 위성과 해상의 목표물과의 거리
  3. 위성과 해상의 목표물과의 각도
  4. 위성에서 촬영하는 영상
(정답률: 75%)
  •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해수면과 위성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에서 송신한 신호가 해수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이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에서 송신한 신호가 해수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GNSS 측량에서 수평측위정밀도와 관련되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PDOP
  2. TDOP
  3. HDOP
  4. VDOP
(정답률: 81%)
  •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는 HDOP와 관련이 있습니다. HDOP는 수평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수평 정밀도가 높을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H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와 관련이 있으며, 수평 정밀도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위성의 수평 위치 분산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HDOP가 낮을수록 수평 정밀도가 높아지며,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NSS 위성측위에서 3차원 위치결정에 필요한 최소 위성수는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71%)
  • GNSS 위성측위에서 3차원 위치결정에는 최소 4개의 위성이 필요하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3개의 방정식이 필요하며, 각 위성은 하나의 방정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4개의 위성을 이용하면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GNSS 간섭측위방법 중 위성 시계오차와 수신기 시계오차를 상쇄시킬 수 있고 관측시간이 길지만 모호정수(cycle ambiguity)가 소거될 수 있는 반송파 위상조합방법은?

  1. 위성간일중위상
  2. 수신기간일중위상차
  3. 이중위상차
  4. 삼중위상차
(정답률: 81%)
  • 반송파 위상조합방법 중 삼중위상차는 세 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위성 시계오차와 수신기 시계오차를 상쇄시킬 수 있으며, 관측시간이 길어질수록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모호정수(cycle ambiguity)가 소거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위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삼중위상차가 가장 정확한 반송파 위상조합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력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이상이란 보정된 기준면의 중력값과 표준중력의 차를 말한다.
  2. 밀도가 큰 물질이 지하에 있을 때는 음(-) 값을 갖는다.
  3.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은 지하의 밀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4. 중력이상을 해석함으로써 지하 구조나 지하 광물체의 탐사에 이용된다.
(정답률: 82%)
  • 밀도가 큰 물질이 지하에 있을 때는 음(-) 값을 갖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밀도가 큰 물질이 지하에 있을 때는 중력이상 값이 양(+) 값을 갖습니다. 이는 밀도가 큰 물질이 지하에 있을수록 지하의 중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송하는 물체에 전향력이 생긴다.
  2. 북반구에서는 자유낙체가 동편한다.
  3. 조석이 하루에 두 번씩 일어난다.
  4. 인공위성의 궤도가 동편한다.
(정답률: 65%)
  • 인공위성의 궤도가 동편하는 것은 지구의 자전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인공위성의 궤도는 그 위성이 던진 속도와 중력에 의해 결정되며, 지구의 자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의 궤도가 동편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NSS 측량은 관측 가능한 기상 및 시간의 제약이 매우 적다.
  2. 도심지 내 GNSS 측량에서는 멀티패스에 주의해야 한다.
  3. GNSS 측량에서는 3차원 좌표값을 직접 얻기 때문에 안테나 높이를 관측할 필요가 없다.
  4. GNSS 측량에서는 수신점 간의 시통이 없어도 기선 벡터(거리와 방향)를 구할 수 있으므로 시통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73%)
  • "GNSS 측량에서는 3차원 좌표값을 직접 얻기 때문에 안테나 높이를 관측할 필요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GNSS 측량에서는 안테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3차원 좌표값을 계산해야 한다. 안테나 높이는 측량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자기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편각
  2. 수직각
  3. 복각
  4. 수평분력
(정답률: 82%)
  • 지자기의 3요소는 방향, 세기, 극성이다. 그 중 "수직각"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자기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직각은 두 직선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경관의 구성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인식 대상이 되는 사물(대상계)
  2. 그들을 둘러싼 환경(경관장계)
  3. 인식 주체인 시점(시점계)
  4. 사물 인식의 정도(감각계)
(정답률: 61%)
  • 사물 인식의 정도(감각계)는 경관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경관의 구성 요소는 인식 대상이 되는 사물(대상계), 그들을 둘러싼 환경(경관장계), 인식 주체인 시점(시점계)입니다. 사물 인식의 정도는 인식 주체의 감각 체계와 관련된 것으로, 경관의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설물 측량의 교량측량에서 말뚝설치측량, 우물설치측량, 형틀설치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준점 측량
  2. 상부구조물측량
  3. 하부구조물측량
  4. 유지관리측량
(정답률: 59%)
  • 하부구조물측량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인 말뚝, 우물, 형틀 등을 측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교량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작업으로, 기초공사와 함께 교량 건설 초기에 진행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하부구조물측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면으로부터 수심 H인 하천에서 2점법으로 평균 유속을 구할 경우, 유속의 관측지점은?

  1. 수면으로부터 0.2H, 0.8H인 지점
  2. 수면으로부터 0.4H, 0.8H인 지점
  3. 수면으로부터 0.2H, 0.6H인 지점
  4. 수면으로부터 0.4H, 0.6H인 지점
(정답률: 66%)
  • 2점법에서는 유속을 측정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그 사이를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유속을 구합니다. 이때, 유속의 관측지점은 거리의 중간 지점이 아니라 수심의 중간 지점입니다. 따라서 수면으로부터 0.2H와 0.8H인 지점이 유속의 관측지점이 됩니다. 이유는 수심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유속이 더 빠른 지점과 더 느린 지점을 골라서 측정하는 것이 평균 유속을 더 정확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면으로부터 0.4H와 0.6H인 지점은 거리의 중간 지점이지만, 유속의 관측지점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향기울기 4/1000와 하향기울기 3/1000의 두 직선에 반지름 500m인 종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시점에서 20m 떨어져 있는 지점의 종거 y의 값은?

  1. 0.2m
  2. 0.4m
  3. 0.6m
  4. 0.8m
(정답률: 38%)
  • 종단곡선은 두 직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곡률이 변하는 곡선이다. 따라서 종단곡선의 중심점에서는 두 직선의 기울기가 다르기 때문에 수직선을 그리면 y축과 만나는 지점이 생긴다. 이 지점에서의 y값이 종거이다.

    종단곡선의 중심점에서 수직선을 그리면, 두 직선과 만나는 지점에서의 기울기는 각각 4/1000과 3/1000이므로, 수직선의 기울기는 -1000/4과 -1000/3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수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y = (-1000/4)x + b와 y = (-1000/3)x + c의 두 식이 나온다.

    종단곡선의 반지름이 500m이므로, 중심점에서 500m 떨어진 지점이 곡선시점이다. 이 지점에서의 x값은 500m이고, y값은 수직선과의 교점이므로, 두 식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을 풀면 y = 0.4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 내의 곡선설치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외접다각형법
  2. 중앙종거법
  3. 내접다각형법
  4. 현편거법
(정답률: 50%)
  • 중앙종거법은 터널 내에서 곡선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실제로는 부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중앙종거법으로 설치된 곡선이 터널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곡선의 반경이 작아져서 차량의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앙종거법은 터널 내의 곡선설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이 등고선 간격이 5m이고, 각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표와 같을 때 195m 등고선 위의 토량을 평균단면법으로 구한 값은? (단, 정상은 평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1. 20,000.8m3
  2. 25,134.0m3
  3. 33,295.8m3
  4. 50,268.0m3
(정답률: 31%)
  • 195m 등고선 위의 면적을 구하면 1,200m2이다. 이 면적은 190m, 185m, 180m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합과 같다. 따라서 이 세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구하면 1,200m2이 된다. 이 면적을 각 등고선 간격인 5m로 나누면 240이 된다. 즉, 195m 등고선과 190m 등고선 사이의 평균 고도는 192.5m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평균단면법으로 토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195m 등고선 위의 면적: 1,200m2
    (2) 195m 등고선과 190m 등고선 사이의 평균 고도: 192.5m
    (3) 1m 간격당 면적: 1,200m2 / 5m = 240m2
    (4) 195m 등고선 위의 평균단면적: 240m2 * 192.5m = 46,200m3
    (5) 190m 등고선 위의 평균단면적: 240m2 * 187.5m = 45,000m3
    (6) 185m 등고선 위의 평균단면적: 240m2 * 182.5m = 43,800m3
    (7) 180m 등고선 위의 평균단면적: 240m2 * 177.5m = 42,600m3
    (8) 총 토량: 46,200m3 + 45,000m3 + 43,800m3 + 42,600m3 = 177,600m3
    (9) 따라서, 정답은 177,600m3 / 4 = 44,400m3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평균단면법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평균단면적을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8)에서 구한 총 토량을 (1)에서 구한 면적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10) 평균단면적: 177,600m3 / 1,200m2 = 148m
    (11) 195m 등고선 위의 평균단면적: 148m * 1,200m2 = 177,600m3
    (12) 따라서, 정답은 50,268.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로가 비교적 직선이고 단면적도 규칙적이며 하상이 평평한 상태에서의 평균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상의 표면에 상관없이 평균유속의 위치는 같다.
  2. 일반적으로 평균유속의 위치는 수심(H)의 0.2H~ 0.3H 사이에 존재한다.
  3. 하상의 표면이 조잡할수록 평균유속의 위치는 낮아지고 평활할수록 높아진다.
  4. 수면으로부터 평균유속까지의 깊이는 수심과 하천폭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커진다.
(정답률: 62%)
  • 정답은 "수면으로부터 평균유속까지의 깊이는 수심과 하천폭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커진다."입니다.

    이유는 수심과 하천폭의 비가 증가하면 하상의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분산되어 평균유속까지 도달하는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심과 하천폭의 비가 작을수록 평균유속까지의 깊이는 얕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의 면적을 심프슨 제2법칙을 이용하여 구한 값은? (단, 지거의 간격은 5m로 일정하다.)

  1. 90.25m2
  2. 92.25m2
  3. 94.25m2
  4. 96.25m2
(정답률: 53%)
  • 심프슨 제2법칙은 면적을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면적을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지거의 간격이 5m로 일정하므로, 각 지점에서의 높이를 측정하여 면적을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다.

    먼저, 그림에서 주어진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구해보자. 삼각형의 밑변은 20m이고, 높이는 15m이다.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삼각형의 면적 = (밑변 × 높이) ÷ 2 = (20 × 15) ÷ 2 = 150m²

    이제 지거의 간격이 5m이므로, 각 지점에서의 높이를 측정하여 면적을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다. 측정한 값들은 다음과 같다.

    지점 1: 15m
    지점 2: 18m
    지점 3: 20m
    지점 4: 20m
    지점 5: 18m
    지점 6: 15m

    이제 심프슨 제2법칙을 이용하여 면적을 근사적으로 구해보자. 이 방법은 다음과 같다.

    면적 ≈ (간격 ÷ 3) × [첫 번째 값 + 4 × (홀수 번째 값의 합) + 2 × (짝수 번째 값의 합) + 마지막 값]

    여기서 간격은 5m이고, 첫 번째 값은 15m, 마지막 값은 15m이다. 홀수 번째 값의 합은 15m + 20m + 18m = 53m이고, 짝수 번째 값의 합은 18m + 20m = 38m이다. 따라서 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 ≈ (5 ÷ 3) × [15 + 4 × 53 + 2 × 38 + 15] ≈ 92.25m²

    따라서, 정답은 "92.25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배수로의 배수단면적 계산공식은?

  1. (B+mH+nH)H
(정답률: 54%)
  • 배수단면적은 그림에서 보듯이 직육면체의 한 면을 H만큼 확대한 것이다. 따라서, 배수단면적은 (B+mH) × (D+nH) 이다. 이를 전개하면 BD + (Bn+Dm)H + mnH^2 이다. mnH^2은 H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BD + (Bn+Dm)H 이고, 이는 (B+mH+nH)H 이므로 정답은 (B+mH+nH)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각 60°, 곡선반지름 100m의 원곡선에서 이 원곡선의 시점을 움직이지 않고 교점에서 교각을 100°로 증가시켜 새로운 원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길이의 변화가 없다면 새로운 원곡선의 반지름은?

  1. 48.45m
  2. 57.74m
  3. 145.34m
  4. 173.21m
(정답률: 43%)
  • 원곡선에서 교각이 60°일 때, 접선길이는 곡선반지름의 절반인 50m이다. 이때 교각을 100°로 증가시키면, 새로운 원곡선에서의 접선길이는 변화가 없다고 했으므로, 새로운 원곡선에서도 접선길이는 50m이어야 한다.

    새로운 원곡선에서 교각이 100°일 때, 이 교각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100/360 * 2π * 100 = 약 17.45m이다. 이때, 이 호의 중심각은 100°이므로, 이 중심각의 반각을 θ라고 하면, sin(θ) = (17.45/2) / 100 이다. 이를 풀면, θ = 약 14.55°이다.

    따라서, 새로운 원곡선의 반지름은 접선길이와 새로운 교각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r = (50 + 17.45/2) / sin(60+14.55) = 약 48.45m이다. 따라서, 정답은 "48.4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노선 단면에서 여유폭을 포함하는 용지의 폭은? (단, 여유폭=0.5m로 한다.)

  1. 18.05m
  2. 19.05m
  3. 23.53m
  4. 24.53m
(정답률: 50%)
  • 주어진 노선 단면에서 용지의 폭은 가장 넓은 부분인 기차와 마주보는 벽면까지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23.53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여유폭을 0.5m로 주었으므로, 이 값을 더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23.53m + 0.5m = 24.03m 이지만, 보기에서는 0.5m를 더한 값이 아니라 여유폭을 포함하는 용지의 폭을 묻고 있으므로, 다시 0.5m를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24.03m - 0.5m = 19.05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0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매개변수(A)=60m의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클로소이드 시점에서 곡선의 길이 40m인 점의 곡선반지름은?

  1. 30m
  2. 60m
  3. 90m
  4. 180m
(정답률: 63%)
  • 클로소이드 곡선은 두 원이 서로 접하는 곡선으로, 한 원의 반지름이 다른 원의 반지름의 두 배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매개변수(A)=60m인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곡선의 길이 40m인 점은 전체 곡선 길이의 2/3 지점에 해당합니다. 이 때, 반지름은 전체 곡선 길이의 1/3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반지름은 90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꼭지점 A로부터 밑변을 향해서 직선으로 a : b : c=5 : 3 : 2의 비율로 면적을 분할하기 위한 BP, PQ의 거리는? (단, BC=150m)

  1. BP=67.5m, PQ=80m
  2. BP=75m, PQ=45m
  3. BP=88.9m, PQ=80m
  4. BP=88.9m, PQ=67.5m
(정답률: 53%)
  • 삼각형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BP와 PQ가 만드는 삼각형 BPQ의 면적은 S의 5/10, 3/10, 2/10에 해당한다. 즉, 삼각형 BPQ의 면적은 S의 1/2, 3/20, 1/5에 해당한다.

    또한, 삼각형 BPQ의 밑변 PQ의 길이는 BC의 3/10에 해당하므로, PQ=45m이다.

    이제 BP의 길이를 구해보자. BP와 PQ가 만드는 삼각형 BPQ의 면적은 S의 1/2에 해당하므로, BP와 PQ의 높이는 같다. 따라서, BP와 PQ의 높이는 S/PQ = 2S/BC에 해당한다.

    BP와 PQ의 높이를 h라고 하면, h = 2S/BC = 2*1/2*150*100/2 = 15000이다.

    BP와 PQ가 만드는 삼각형 BPQ의 면적은 S의 1/2에 해당하므로, BP와 PQ의 면적 비율은 5:5:2이다. 따라서, BP의 면적은 S의 5/12에 해당하므로, BP = (5/12)*h = 6250/3 = 2083.3...m이다.

    따라서, 정답은 "BP=75m, PQ=4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00m2의 정사각형 토지의 면적을 1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한 필요 충분한 1변의 길이 측정의 단위는?

  1. 5mm
  2. 1cm
  3. 5cm
  4. 10cm
(정답률: 45%)
  • 면적 = 한 변의 길이 x 한 변의 길이
    100 = x x x
    x = 10

    따라서, 한 변의 길이를 10m로 측정해야 하지만, 문제에서는 1m2까지 정확하게 구해야 하므로, 한 변의 길이를 더 작게 측정해야 한다. 1cm = 0.01m 이므로, 10m을 1000cm으로 나누면 1000cm이 된다. 이 중에서도 5cm가 가장 적합한 단위이다. 왜냐하면 5cm로 측정하면, 100m2의 면적을 1m2까지 정확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5cm로 측정하면, 한 변의 길이는 500cm가 되고, 이를 다시 100으로 나누면 5m가 된다. 따라서, 5cm가 필요 충분한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하나의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계획, 설계, 시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다음 중 터널 외 기준점 설치 후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측량은?

  1. 터널 내 측량
  2. 터널 외 기준점측량
  3. 세부측량
  4. 지형측량
(정답률: 50%)
  •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부의 거리, 높이, 폭 등을 측정하여 터널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는 터널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며, 터널 내부의 구조물 설치 및 유지보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터널 외 기준점 설치 후에도 터널 내 측량은 시공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답사 → 예측 → 실측 → 공사측량 → 도상계획
  2. 도상계획 → 실측 → 예측 → 답사 → 공사측량
  3. 도상계획 → 답사 → 예측 → 실측 → 공사측량
  4. 답사 → 도상계획 → 실측 → 예측 → 공사측량
(정답률: 63%)
  • 노선측량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도상계획 → 답사 → 예측 → 실측 → 공사측량"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먼저 도로의 계획을 수립하고, 현장을 답사하여 예측을 하고, 이후에 실제로 측량을 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상계획 → 답사 → 예측 → 실측 → 공사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터널측량에서 측점의 위치가 표와 같을 경우 터널 내 곡선의 교각은?

  1. 18°10′50″
  2. 28°15′45″
  3. 48°10′50″
  4. 71°50′10″
(정답률: 37%)
  • 측점의 위치가 표와 같으므로, AB와 CD 사이의 거리는 100m이고, AC와 BD 사이의 거리는 50m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적용하면, AC와 AB의 각도는 18°10′5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10′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캔트가 C인 원곡선에서 설계속도 및 곡선반지름을 모두 2배로 증가시킬 때, 새로운 캔트 C'는?

  1. C/2
  2. C
  3. 2C
  4. 4C
(정답률: 68%)
  • 원곡선에서 설계속도와 곡선반지름을 모두 2배로 증가시키면, 캔트 C'는 원래 캔트 C의 2배가 됩니다. 이는 캔트의 길이와 각도가 모두 2배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구 심천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구 심천측량은 하구 부근 하저 및 해저의 지형을 조사한다.
  2. 하구의 항만시설, 해안보전시설의 설계 자료로 사용된다.
  3. 조위를 관측하고 실측한 수심을 기본수준면으로부터의 수심으로 보정하여 심천측량의 정확도를 높인다.
  4. 해안에서는 수심 10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
(정답률: 45%)
  • 해안에서는 수심 10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수심 20m 이하의 해역을 측량구역으로 합니다. 이유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측량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천의 심천측량을 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AB선에 직각으로 기선 AD=60m를 관측하였다. 현재 P의 위치에서 관측장비를 사용하여 ∠APD=40°를 측정하였다면 AP의 거리는?

  1. 71.5m
  2. 80.5m
  3. 90.2m
  4. 95.5m
(정답률: 50%)
  • ∠APD=40°이므로, ∠DAP=90°-40°=50°이다. 이제 삼각형 ADP에서 AP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sin50°=AP/60

    AP=sin50°×60≈71.5m

    따라서 정답은 "71.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사람이 두 눈으로 물체를 볼 때 멀리 볼 수 있는 수렴각의 최소한계를 20″이라 하고, 안기선장(eye base)을 65mm라 하면 원근감을 느낄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는?

  1. 670m
  2. 560m
  3. 450m
  4. 185m
(정답률: 50%)
  • 수렴각의 최소한계와 안기선장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최대한의 거리 = 안기선장 / tan(수렴각의 최소한계)

    = 65mm / tan(20″)

    = 65mm / tan(20/3600 * π/180)

    = 670m (약간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67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편위수정기로 항공사진을 해석적인 방법에 의하여 편위수정할 때 필요한 최소 기준점의 개수는?

  1. 1
  2. 4
  3. 6
  4. 9
(정답률: 41%)
  • 편위수정기는 항공사진에서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4개의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3개의 점으로는 평면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4개의 점으로는 평면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점들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편위수정기로 항공사진을 해석적인 방법에 의하여 편위수정할 때 필요한 최소 기준점의 개수는 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대표정과는 독립적인 표정으로 상호 영향이 없다.
  2. 일반적으로 내부표정 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3. 인자는 by, bz, k, ø, ω이다.
  4. 종시차를 소거시키는 작업이다.
(정답률: 52%)
  • "절대표정과는 독립적인 표정으로 상호 영향이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호표정은 절대표정과 함께 작용하여 상대방의 감정을 파악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호표정은 절대표정과 상호 영향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치사진측량기법으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자동으로 생성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영상은?

  1. 정사영상
  2. 에피폴라 영상
  3. 경사영상
  4. 모자이크 영상
(정답률: 45%)
  • 에피폴라 영상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스테레오 카메라 쌍에서 각각의 카메라에서 찍은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때 에피폴라 영상은 두 카메라의 에피폴라(Epipole)를 중심으로 한 영상입니다. 이 영상은 스테레오 카메라 쌍에서의 매칭을 통해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DEM 생성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의 항공삼각측량(aerial triangulation)의 오차조정 방법 중 가장 능률적이고 정밀한 것은?

  1. 최소 제곱법
  2. 스트립 조정(strip adjustment)
  3. 기계적 블록 조정 (analogue block adjustment)
  4. 해석적 블록 조정(analytical block adjustment)
(정답률: 40%)
  • 해석적 블록 조정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최소 제곱법과 유사한 방법이지만 보다 정교하고 정확하다. 이 방법은 이미지의 모든 관측치를 동시에 고려하며, 이미지의 모든 요소를 조정하여 최종 결과를 얻는다. 이에 비해 스트립 조정은 이미지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이며, 기계적 블록 조정은 수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해석적 블록 조정은 가장 능률적이고 정밀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촬영고도 2,000m에서 촬영한 사진 I의 주점기선길이는 59mm, 사진 II의 주점기선길이는 61mm일 때 시차차 3.0mm인 건물의 높이는?

  1. 95m
  2. 85m
  3. 100m
  4. 65m
(정답률: 56%)
  • 시차차는 두 사진에서 같은 지점을 찍을 때 두 점 사이의 거리 차이를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시차차가 3.0mm이므로, 두 사진에서 찍은 건물의 꼭대기와 바닥 사이의 거리 차이는 3.0mm이다.

    또한, 두 사진에서의 주점기선길이 차이는 61mm - 59mm = 2mm이다. 이는 두 사진에서 찍은 건물의 실제 길이와 같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건물의 높이) / (2,000m) = (2mm) / (2mm - 3.0mm)

    이를 계산하면 건물의 높이는 약 10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전자파의 파장대 중 육지와 수역(물)의 구분이 가장 잘 구분되는 파장대는?

  1. 녹색 파장대
  2. 적색 파장대
  3. 청색 파장대
  4. 근적외선 파장대
(정답률: 49%)
  • 근적외선 파장대는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파장대이다. 물 분자는 이 파장대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육지와 수역의 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육지와 수역을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적외선 파장대가 육지와 수역의 구분에 가장 적합한 파장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상조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2. 분업화에 의한 작업 능률성이 높다.
  3. 측량의 정확도가 균일하다.
  4. 동적 측량이 가능하다.
(정답률: 62%)
  • "기상조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가 틀린 것은 사진측량은 기상조건에 따라 촬영한 사진의 밝기나 선명도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흐린 날씨에는 사진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선명도가 떨어지는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진측량을 할 때는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상기준점의 설치를 최소화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려고 할 경우, 항공기에 탑재해야 할 장비는?

  1. SAR와 LIDAR
  2. GPS와 LIDAR
  3. GPS와 INS
  4. MSS와 INS
(정답률: 56%)
  • GPS와 INS는 항공기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비이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INS는 항공기의 가속도와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자세를 파악한다. 이 두 장비를 함께 사용하면 지상기준점 없이도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해야 할 기기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GPS와 IN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사진 촬영 시에 항공기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영상 변위를 보정하기 위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항공기의 속도
  2. 촬영고도
  3. 지구 곡률
  4. 노출시간
(정답률: 65%)
  • 지구 곡률은 항공기의 흔들림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항공기의 속도, 촬영고도, 노출시간은 모두 항공기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보정하여 영상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곡률은 지구의 곡면이 원형이 아니라는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항공기의 움직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진축척 1 : 10,000, 사진의 크기 23cm× 23cm인 항공사진의 사진 1장에 포괄되는 실제 면적은?

  1. 5.29km2
  2. 10.58km2
  3. 21.16km2
  4. 52.9km2
(정답률: 54%)
  • 사진축척 1 : 10,000은 실제 크기의 1/10,000만큼을 나타내므로, 사진 1장에 포괄되는 면적은 (23cm × 23cm) × (1/10,000) = 0.0529km2이다. 따라서, 정답은 "5.29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원격탐사에 이용되고 있는 센서의 측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동, 비주사, 비화상 방식으로 분류되는 것은 2차원 영상을 만들지 않는다.
  2. 수동 방식은 태양광의 반사 및 대상물에서 복사되는 전자파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3. 주사 방식에는 MSS와 같은 영상면 주사방식과 TV, 카메라와 같은 대상물면 주사방식이 있다.
  4. 능동 방식은 대상물에 전자파를 쏘아 그 대상물에서 반사되어 오는 전자파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32%)
  • "주사 방식에는 MSS와 같은 영상면 주사방식과 TV, 카메라와 같은 대상물면 주사방식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영상면 주사방식과 대상물면 주사방식은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을 촬영하는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서 구분되는 것입니다. 영상면 주사방식은 위성이나 항공기 등에서 지표면을 촬영하는 방식이고, 대상물면 주사방식은 카메라나 TV 등에서 대상물을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녹색식생의 상대적 분포량과 활동성을 나타내는 방사 측정값인 식생지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식생지수는 유효성 및 품질관리를 위해 구체적인 생물학적 변수와 연관되어야 한다.
  2. 식생지수는 지형효과 및 토양변이 등에 의해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부 효과를 정규화하여야 한다.
  3. 식생지수의 일관된 비교를 위해 태양각, 촬영각, 대기상태와 같은 외부효과를 정규화하거나 모델링할 수 있어야 한다.
  4. 식생지수는 식물의 생물리적 변수에 대한 민감도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소규모지역의 식생상태와 비선형적으로 비례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정답: "식생지수는 소규모지역의 식생상태와 비선형적으로 비례하여야 한다."

    식생지수는 지형효과, 토양변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내부 효과를 정규화하고, 태양각, 촬영각, 대기상태와 같은 외부효과를 정규화하거나 모델링하여 일관된 비교를 위해 구체적인 생물학적 변수와 연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식생지수는 식물의 생물리적 변수에 대한 민감도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소규모지역의 식생상태와 비선형적으로 비례하여야 한다."는 식생지수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점거리 15.3cm의 카메라로 지표면의 비고 90m인 구릉지를 촬영한 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축척은 1 : 20,000이었다. 이 사진의 비고에 의한 최대변위는?

  1. 0.15cm
  2. 0.25cm
  3. 0.45cm
  4. 0.48cm
(정답률: 34%)
  • 최대변위는 지면에서 가장 먼 거리와 가장 가까운 거리의 차이이다. 이 경우, 지면에서 가장 먼 거리는 구릉지의 정상이므로 90m이다.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는 카메라 위치에서 지면까지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초점거리와 지표면의 비고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 = 초점거리 + 지표면의 비고 = 15.3cm + 90m = 9030.3cm

    따라서, 축척이 1 : 20,000이므로 사진상의 거리는 실제 거리의 1/20,000이다. 사진상에서 구릉지의 크기는 23cm이므로, 실제 구릉지의 크기는 23cm × 20,000 = 460,000cm = 4,600m이다.

    이제, 최대변위를 계산할 수 있다.

    최대변위 = (실제 구릉지의 크기 - 지면에서 가장 먼 거리) / 축척
    = (4,600m - 90m) / 20,000
    = 0.23m

    하지만, 이 값은 높이이므로, 사진상에서의 길이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진상에서의 길이와 실제 길이의 비율을 계산한다.

    사진상에서의 길이 / 실제 길이 = 축척 = 1 : 20,000
    사진상에서의 길이 = 실제 길이 / 20,000

    따라서, 최대변위를 사진상에서의 길이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변위 = 0.23m / 20,000
    = 0.0000115m

    이 값을 센티미터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변위 = 0.00115cm

    하지만, 이 값은 구릉지의 크기가 23cm × 23cm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변위는 다음과 같다.

    최대변위 = 0.00115cm × (23cm / 2)
    = 0.02645cm

    이 값은 너무 작으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0.25cm"도 아니고, "0.15cm"도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0.48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화작업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을 그릴 때 핸들의 회전이 너무 급변하지 않도록 한다.
  2. 도화 시에 관측은 입체적인 과고감이 가능한 한 큰 상태에서 행하는 편이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좋다.
  3.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
  4. 눈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하여 핀트를 정확히 맞춘다.
(정답률: 49%)
  •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프리즘의 위치가 과고감이 작을수록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프리즘의 위치가 과고감이 크면 높이의 변화에 따른 각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므로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동일 사진축척의 조건에서 도심지에 대한 항공사진 촬영 시 고층빌딩으로 인한 사각부 발생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촬영방법은?

  1. 광각 카메라 대신 초광각 카메라를 사용하고 중복도를 10~20% 감소시킨다.
  2. 광각 카메라 대신 초광각 카메라를 사용하고 중복도를 10~20% 증가시킨다.
  3. 광각 카메라 대신 보통각 카메라를 사용하고 중복도를 10~20% 감소시킨다.
  4. 광각 카메라 대신 보통각 카메라를 사용하고 중복도를 10~20% 증가시킨다.
(정답률: 50%)
  • 고층빌딩으로 인한 사각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광각 카메라 대신 보통각 카메라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광각 카메라는 넓은 시야각으로 인해 건물의 외형이 왜곡되어 사각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복도를 10~20% 증가시키는 이유는 사진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많을수록 3D 모델링 작업 시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물, 농작물, 산림 습지 및 아스팔트 포장 등과 같이 지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의 종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토지이용(land use)
  2. 토지피복(land cover)
  3. 토지정보(land information)
  4. 토지분류(land classification)
(정답률: 52%)
  • 지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의 종류를 토지피복(land cover)이라고 한다. 이는 지표면을 덮고 있는 식물, 물, 도시화된 지역 등의 다양한 지형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토지이용과는 다른 개념이다. 토지이용은 인간이 토지를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고, 토지피복은 지표면의 실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토지피복은 지리학적, 생태학적, 환경학적인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도화장비 중 하나로 이미 수치화된 입체쌍영상을 직접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입체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양쪽 눈의 시현주파수가 다르게 설계된 입체경을 착용함으로써 입체시 상태에서 도화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최근 사용추세가 늘어난 도화장비는?

  1. 기계식 도화기(Analog Stereoplotter)
  2. 디지털도화기(Digital Stereoplotter)
  3. 간이도화기(Hand Stereoplotter)
  4. 해석식 도화기(Analytical Stereoplotter)
(정답률: 57%)
  • 디지털도화기는 이미 수치화된 입체쌍영상을 직접 저장하고 입체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입체경을 착용하여 입체시 상태에서 도화작업을 실시하는 도화장비이다. 따라서 최근 사용추세가 늘어나고 있으며, 기계식 도화기나 해석식 도화기보다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도화작업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간 해상력이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영상을 합성하여 상대적으로 고해상도인 종합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영상강조(image enhancement)
  2.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
  3. 영상 전처리(image preprocessing)
  4. 영상융합(image fusion)
(정답률: 64%)
  • 영상융합은 공간 해상력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영상을 합성하여 상대적으로 고해상도인 종합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영상융합"입니다. 영상강조는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여 더 선명하게 만드는 기술이고, 영상분류는 이미지를 분류하여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지 판별하는 기술이며, 영상 전처리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선명도를 높이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델좌표계를 지상좌표계로 변환하는 표정은 무엇이며, 이때 필요한 좌표는?

  1. 상호표정 - 지상기준점 좌표
  2. 상호표정 - 공액점 좌표
  3. 절대표정 - 지상기준점 좌표
  4. 절대표정 – 공액점 좌표
(정답률: 50%)
  • 모델좌표계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좌표계이고, 지상좌표계는 실제 지구 표면에서의 좌표계이다. 따라서 모델좌표계를 지상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 좌표가 필요하다. 이는 모델좌표계와 지상좌표계의 원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좌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절대표정 - 지상기준점 좌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파일헤더에 위치참조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GIS 데이터로 주로 사용하는 래스터 파일 형식은?

  1. BMP
  2. GeoTIFF
  3. GIF
  4. JPG
(정답률: 62%)
  • GeoTIFF 파일 형식은 파일헤더에 위치참조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GIS 데이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래스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BMP, GIF, JPG 파일 형식은 래스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지만, 위치참조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GIS 데이터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도면 자동화를 통해 구축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지상 및 지하의 각종 시설물을 시스템상에 구축하여 지원하는 시스템은?

  1. AM(Automated Mapping)
  2. TIS(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3. FM(Facility Management)
  4. KML(Keyhole Markup Language)
(정답률: 62%)
  • FM(Facility Management)은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도면 자동화를 통해 구축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지상 및 지하의 각종 시설물을 시스템상에 구축하여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AM(Automated Mapping)은 지도 자동화 시스템, TIS(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는 교통 정보 시스템, KML(Keyhole Markup Language)은 지리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므로 정답은 FM(Facility Managemen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GIS 공간분석기법 중 근접성 계산에 사용되는 기법은?

  1. 중첩분석
  2. 교차분석
  3. 표면분석
  4. 티센폴리곤법
(정답률: 60%)
  • 근접성 계산은 특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공간적으로 가까운 지점들을 그룹화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이때, 티센폴리곤법은 주어진 지점들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지점들을 연결하여 다각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각 다각형 내부의 모든 지점들은 해당 다각형의 중심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티센폴리곤법은 근접성 계산에 적합한 기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래스터 기반의 지리자료 처리과정에서 사용되는 국지인접연산(또는 초점연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의 크기는 77 셀이다.
  2. 공간집합(spatial aggregation)을 위한 연산이다.
  3. 잡음(noise)과 결점(defect) 제거를 위한 필터링이다.
  4. 경사와 경사방향 결정을 위한 연산이다.
(정답률: 57%)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의 크기는 77 셀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국지인접연산(또는 초점연산)은 공간집합(spatial aggregation)을 위한 연산이며, 잡음(noise)과 결점(defect) 제거를 위한 필터링, 경사와 경사방향 결정을 위한 연산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의 크기는 77 셀이다."라는 설명은 일반적으로 참이지만, 사용되는 데이터의 해상도나 분석 목적에 따라 다른 크기의 윈도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주어진 Sido 테이블에 대해 다음과 같은 SQL문에 의해 얻어지는 결과는?

(정답률: 43%)
  • SELECT COUNT(*) FROM Sido WHERE population > 10000000;

    결과는 "" 이다. 이유는 WHERE 절에서 인구가 10000000 이상인 지역들을 필터링하고,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그 개수를 세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GIS에서 사용되는 벡터모델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Grid
  2. Line
  3. Point
  4. Polygon
(정답률: 60%)
  • Grid는 래스터 모델의 기본 요소이며, 벡터 모델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벡터 모델의 기본 요소는 Line, Point, Polyg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행정구역도와 버스노선도를 합성하여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버스노선을 관리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은?

  1. 표면분석
  2. 중첩분석
  3. 경계분석
  4. 근린분석
(정답률: 58%)
  • 중첩분석은 두 개 이상의 지리적 데이터를 겹쳐서 분석하는 방법으로, 행정구역과 버스노선도를 겹쳐서 분석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행정구역과 버스노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스노선의 운행 경로나 노선 개선 등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중첩분석이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자료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수치지도
  2. 주민등록 데이터베이스
  3. GPS 데이터
  4. 현장 조사자료
(정답률: 70%)
  • 주민등록 데이터베이스는 GIS에서 사용되는 공간정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다른 자료원들에 비해 거리가 먼 것입니다. 수치지도는 지형지물, 도로, 건물 등의 공간정보를 담고 있으며, GPS 데이터는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현장 조사자료는 지형지물의 위치, 크기, 높이 등을 직접 조사하여 GIS에 반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GIS의 주요기능이 아닌 것은?

  1. 자료 처리
  2. 자료 출력
  3. 자료 복원
  4. 자료 관리
(정답률: 63%)
  • GIS의 주요 기능은 자료 처리, 자료 출력, 자료 관리입니다. 자료 복원은 GIS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이유는 GIS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리적 정보를 생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삭제된 경우, 복원하는 것은 GIS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이러한 문제는 데이터 복원 전문가나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기반구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료 구축을 위해 각종 도면이나 대장 보고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2. 위성영상 및 스캐닝한 도면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3. 수치지도는 자료량이 많은 래스터 방식보다 벡터방식이 적합하다.
  4. 자료 구축의 해상력 측면에서는 벡터방식보다 래스터방식이 적합하다.
(정답률: 48%)
  • "자료 구축의 해상력 측면에서는 벡터방식보다 래스터방식이 적합하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벡터 방식은 해상도가 높은 지리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데 적합하며, 래스터 방식은 해상도가 낮은 대규모 지리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자료 구축의 해상력 측면에서는 벡터 방식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리정보시스템의 일반적인 자료처리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 자료조작 및 관리
  2.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3. 자료조작 및 관리 -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4.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 자료의 수치화
(정답률: 65%)
  • 지리정보시스템에서는 먼저 수집된 자료를 수치화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자료를 조작하고 관리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합니다. 이후에는 응용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따라서,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래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공간자료처리언어(SDML)
  2. 공간자료교환표준(SDTS)
  3. 의사결정지원체계
  4. 데이터베이스관리체계(DBMS)
(정답률: 73%)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데이터베이스관리체계(DBMS)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DBMS는 이러한 테이블들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DBMS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사용자가 자료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자료의 내용, 품질, 조건, 특징 등을 수록한 것으로, 정보의 이력서라 할 수 있는 것은?

  1. 표준코드
  2. 데이터 모형
  3. 메타데이터
  4. 커버리지
(정답률: 70%)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특징 등을 수록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정보의 이력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간법(interpolat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어진 점의 표고값을 이용하여 표고값이 요구되는 점의 표고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2. 거리에 반비례해서 표고값에 가중값을 주는 보간법을 역거리가중법(IDW)이라 한다.
  3. 역거리가중법(IDW)은 전역적(global) 보간법이다.
  4. GPS로 취득한 지형자료를 이용해서 DEM을 생성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50%)
  • 역거리가중법(IDW)은 전역적(global) 보간법이 아니라 지역적(local) 보간법이다. 이유는 역거리가중법은 주어진 점 주변의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지역적 보간법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구축한 데이터의 위치와 실제 검측한 위치가 아래 표와 같을 때 GIS 데이터의 거리 오차는?

  1. 약 2.2m
  2. 약 2.8m
  3. 약 3.2m
  4. 약 3.6m
(정답률: 67%)
  • GIS 데이터와 실제 검측한 위치 사이의 거리 오차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GIS 데이터와 실제 검측한 위치의 x좌표 차이)^2 + (GIS 데이터와 실제 검측한 위치의 y좌표 차이)^2 의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따라서, (5-3)^2 + (7-9)^2 의 제곱근을 구하면 약 2.8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형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가 아닌 것은?

  1. 음영기복도(Shaded Relief Map)
  2. 불규칙 삼각망(TIN)
  3. 수치고도모델(DEM)
  4. 복셀(Voxel)
(정답률: 44%)
  • 음영기복도는 데이터 구조가 아니라 지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나머지 세 가지는 지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수치지도의 속성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오차행렬을 작성하였다. 오차행렬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전체 정확도는 275/400=68.8%이다.
  2. 수계는 사용자 정확도와 제작자 정확도가 같다.
  3. 수계의 정확도가 초지의 정확도에 비해 높다.
  4. 농경지의 사용자 정확도는 80.0%이다.
(정답률: 63%)
  • 오차행렬로부터 알 수 없는 것은 "수계는 사용자 정확도와 제작자 정확도가 같다." 이다.

    수계의 정확도가 초지의 정확도에 비해 높은 이유는, 수계는 작은 면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면적에 대한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수계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토목 현장의 공사를 위한 토공량 계산, 사면안정성 분석, 경관 분석 등과 관련된 분석 기법이 아닌 것은?

  1. 지형 분석
  2. 경사 분석
  3. 가시선 분석
  4. 도시성장 패턴 분석
(정답률: 61%)
  • 도시성장 패턴 분석은 토목 현장의 공사를 위한 분석 기법이 아니라 도시 계획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법이기 때문입니다. 토목 현장에서는 지형 분석, 경사 분석, 가시선 분석 등의 기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측정 척도 중 전화번호나 주소와 같이 구별을 위한 고유번호로서 순서나 크기를 나타내지 않는 측정 척도는?

  1. 비율 척도
  2. 간격 척도
  3. 서열 척도
  4. 명목 척도
(정답률: 61%)
  • 명목 척도는 구별을 위한 고유번호로서 순서나 크기를 나타내지 않는 측정 척도이다. 따라서 전화번호나 주소와 같이 구별을 위한 고유번호는 명목 척도에 해당한다. 비율 척도는 절대적인 0점이 존재하며 크기와 비율이 의미가 있는 측정 척도이다. 간격 척도는 크기와 간격이 의미가 있는 측정 척도이며, 서열 척도는 순서가 의미가 있는 측정 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치지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치지형도란 지표면상의 각종 공간정보를 일정한 축척에 따라 기호나 문자, 속성으로 표시하여 정보시스템에서 분석, 편집 및 입ㆍ출력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말한다.
  2. 수치지형도 작성이란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취득하여 전산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거나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3. 정위치 편집이란 지리조사 및 현지측량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도화 데이터 또는 지도입력 데이터를 수정 및 보완하는 작업을 말한다.
  4. 구조화 편집이란 지형도상에 기본도 도곽, 도엽명, 사진도곽 및 번호를 표기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률: 53%)
  • 수치지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어느 지점의 각을 8회 관측하여 평균제곱근오차 ±0.7″를 얻었다. 같은 조건으로 관측하여 ±0.3″의 평균제곱근오차를 얻기 위해서는 몇 회 측정하여야 하는가?

  1. 18회
  2. 24회
  3. 32회
  4. 44회
(정답률: 44%)
  • 평균제곱근오차는 측정값의 흩어짐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평균제곱근오차가 작을수록 측정값들이 더욱 가까이 모여있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평균제곱근오차를 줄이기 위해 측정 횟수를 늘리는 것이 목적이다. 평균제곱근오차가 0.7″에서 0.3″로 줄이려면, 측정값들이 더욱 가까이 모여야 하므로 더 많은 측정이 필요하다.

    평균제곱근오차가 0.7″일 때, 측정값들이 모여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표준편차는 0.7/1.253 ≈ 0.56″이다.

    새로운 평균제곱근오차 0.3″을 얻기 위해서는, 표준편차가 0.3/1.253 ≈ 0.24″가 되도록 측정값들이 모여야 한다.

    표준편차가 0.56″에서 0.24″로 줄이려면, (0.24/0.56)² ≈ 0.25배 만큼 더 많은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8회에서 약 5배 더 많은 측정이 필요하며, 8 × 5 = 40회의 측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40회에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야 한다. 40회와 가장 가까운 보기는 44회이므로, 정답은 "44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거리를 측정할 때에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정오차가 아닌 것은?

  1. 눈금을 잘못 읽었을 때 발생하는 오차
  2. 표준온도와 관측 시 온도 차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3. 표준줄자와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차
  4. 줄자의 처짐(sag)으로 발생하는 오차
(정답률: 58%)
  • "눈금을 잘못 읽었을 때 발생하는 오차"는 거리 측정 시 사용하는 도구의 정확도와는 무관하게, 측정자의 실수로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정오차가 아닙니다. 즉, 도구 자체의 오차가 아니라 측정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트래버스 측량에서 위거오차 +0.035m, 경거오차 -0.124m이고, 전 측선의 길이는 2680m이다. 폐합비의 허용범위를 1/20,000로 할 때 오차의 처리방법은?

  1. 각만 재측량하여야 한다.
  2. 거리만 재측량하여야 한다.
  3. 각과 거리를 재측량하여야 한다.
  4. 폐합오차의 조정으로 처리한다.
(정답률: 59%)
  • 폐합비의 허용범위가 1/20,000이므로 전 측선의 길이 2680m에 대한 폐합오차의 허용범위는 2680m/20,000 = 0.134m 이다. 따라서 위거오차와 경거오차의 합인 0.035m - 0.124m = -0.089m은 허용범위를 벗어나므로 오차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때, 폐합오차의 조정으로 처리하는 이유는 각과 거리를 재측량하여 오차를 수정하는 것보다 폐합오차를 조정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합오차의 조정으로 처리한다는 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단열삼각망의 조정계산과정에 속하지 않는 조정은 무엇인가?

  1. 각조건 조정
  2. 측점조건 조정
  3. 변조건 조정
  4. 방향각 조정
(정답률: 32%)
  • 단열삼각망의 조정계산과정에 속하지 않는 조정은 "측점조건 조정"입니다. 이는 측량선이나 측량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측정된 측점의 높이나 거리 등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단열삼각망의 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왕복관측값의 교차한계를 ±5.0mm√S로 하는 수준측량에서 8km를 왕복 관측하였다면 교차의 허용 한계는? (단, S : 관측거리(편도) km 단위)

  1. ±5.6mm
  2. ±7.0mm
  3. ±14.1mm
  4. ±20.0mm
(정답률: 42%)
  • 주어진 공식에 따라 교차한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교차한계 = ±5.0mm√S
    = ±5.0mm√(8km)
    = ±5.0mm×2.83
    = ±14.1mm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교차의 허용 한계는 ±14.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 결과에 따른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30m이다.)

  1. 28.90m
  2. 29.60m
  3. 33.74m
  4. 37.14m
(정답률: 54%)
  • 수준측량 결과에 따르면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100m이고, A점의 지반고는 30m이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에 수평거리 100m에 해당하는 수직거리를 더한 값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삼각형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삼각형의 밑변은 100m이고, 각도는 1도이므로, 삼각형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높이 = 밑변 x tan(각도) = 100 x tan(1) ≈ 1.75m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에 높이를 더한 값인 30 + 1.75 ≈ 29.6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9.6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3인(A, B, C)이 각을 관측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최확값은?

  1. 66°36′30″
  2. 66°36′28″
  3. 66°36′20″
  4. 66°36′22″
(정답률: 35%)
  • 세 각의 합이 180도이므로, 누락된 각의 크기는 180 - (60 + 53 + 20) = 47도이다. 이 누락된 각이 B와 C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B와 C의 각도 차이는 47/2 = 23.5도이다. 따라서 B와 C의 각도는 각각 66°36′28″와 66°36′28″ + 23.5° = 90°06′28″이다. 이 중에서 최확값은 66°36′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수준측량에서 전시거리와 후시거리를 같게 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개인 습관에 대한 오차가 소거된다.
  2. 표척의 기울기에 대한 오차가 소거된다.
  3. 표척의 침하에 의한 오차가 소거된다.
  4. 기계오차와 지구곡률 오차가 소거된다.
(정답률: 58%)
  • 기계오차와 지구곡률 오차는 수준선을 기준으로 측정된 전시거리와 후시거리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입니다. 따라서 전시거리와 후시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이러한 오차를 상쇄시키고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개인 습관, 표척의 기울기, 침하 등은 다른 오차 요인이며, 이들은 전시거리와 후시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해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1 : 50,000 지형도에서 4% 경사의 노선을 선정하려면 등고선(주곡선) 간의 도상거리는?

  1. 4.0mm
  2. 10.0mm
  3. 12.5mm
  4. 25.0mm
(정답률: 36%)
  • 등고선 간의 도상거리는 경사율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사율은 상승(또는 하강)한 거리를 기준 거리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4% 경사는 100m 기준으로 4m 상승(또는 하강)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mm 지도상 거리는 현실 세계에서 50,000mm(=50m) 거리에 해당합니다. 4% 경사에서 100m 기준으로 4m 상승(또는 하강)하므로, 50m 기준으로는 2m 상승(또는 하강)합니다.

    등고선 간의 도상거리는 경사율과 상승(또는 하강)한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4% 경사에서 2m 상승(또는 하강)하는 경우, 등고선 간의 도상거리는 50m 기준으로 1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30m의 줄자로 잰 거리가 218.10m이었다. 그런데 이 줄자가 표준보다 5cm 늘어나 있는 것이었다면 실제거리는?

  1. 215.74m
  2. 217.74m
  3. 218.46m
  4. 219.46m
(정답률: 48%)
  • 줄자가 표준보다 5cm 늘어나 있다는 것은 30m의 줄자가 실제로는 30.05m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1m당 30/218.10 = 0.1375m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 오차를 218.10m에 곱해주면, 218.10 x 0.1375 = 30.01m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218.10m + 0.01m = 218.46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18.4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평균거리 2km에 대한 삼각측량에서 시준점의 편심에 대한 영향이 11″일 경우에 이에 의한 편심거리는?

  1. 약 0.11m
  2. 약 0.22m
  3. 약 0.42m
  4. 약 0.81m
(정답률: 44%)
  • 삼각측량에서 시준점의 편심에 대한 영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편심거리 = 평균거리 x (편심각 / 206265)

    여기서 평균거리는 2km이고, 편심각은 11″입니다. 따라서,

    편심거리 = 2 x 10^3 x (11 / 206265) ≈ 0.106m

    따라서 정답은 "약 0.1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축척 1 : 25,000 지형도상에서 2지점 간의 도상거리가 10cm이었다. 이 거리를 도상 25cm로 표현하려면 지형도의 축척은?

  1. 1 : 50,000
  2. 1 : 25,000
  3. 1 : 10,000
  4. 1 : 5,000
(정답률: 57%)
  • 도상거리가 10cm에서 25cm로 증가하였으므로, 실제 거리는 2.5배가 증가한 것이다. 따라서 지형도의 축척도 2.5배가 줄어들어야 한다. 1 : 25,000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로 25,000cm(250m)를 나타내므로, 축척이 2.5배 줄어들면 1cm가 나타내는 실제 거리는 625m가 된다. 이때, 625m를 25cm로 나누면 25,000이 나오므로, 지형도의 축척은 1 : 1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하천이나 항만, 해안 등을 심천측량하고 측점에 숫자를 기입하여 그 높이를 표시하는 방법은?

  1. 점고법
  2. 음영법
  3. 영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58%)
  • 점고법은 하천이나 항만, 해안 등을 측량할 때, 측점에 숫자를 기입하여 그 높이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한 점들을 연결하여 고도를 나타내는 등고선을 그리는 등고선법과는 달리, 각 측점의 높이를 직접 표시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높이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점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전파거리측량기보다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정확도가 높다.
  2. 1인 측량이 가능하다.
  3.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전파거리측량기에 비해 조작시간이 짧다.
(정답률: 51%)
  •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광파거리측량기가 빛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안개가 낀 날씨에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전파거리측량기는 기상조건에 따라 전파의 속도나 방향이 변화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자기점
  2. 통합기준점
  3. 지적삼각점
  4. 영해기준점
(정답률: 44%)
  • 국가기준점은 지자기점, 통합기준점, 영해기준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적삼각점은 지적제도에서 사용되는 측량 지점으로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대상과 주기로 옳은 것은?

  1. 레벨 및 거리측정기 : 1년
  2. GPS 수신기 : 2년
  3. 토털 스테이션 : 3년
  4. 금속관로탐지기 : 4년
(정답률: 62%)
  • 측량기기의 성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떨어지게 되므로, 주기적인 성능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때, 성능검사 대상과 주기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토털 스테이션은 건축물, 도로 등 대형 건설물의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로,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성능검사 주기가 다른 기기들보다 더 길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본측량사업
  2. 공공측량업
  3. 연안조사측량업
  4. 지적측량업
(정답률: 42%)
  • 기본측량사업은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라 측량사업의 범주 중 하나입니다. 기본측량사업은 토지의 경계선, 면적, 위치 등을 측정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업무를 말합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사업은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측량의 정확도 확보
  2. 측량의 중복 배제
  3.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
  4. 공공측량성과의 보안 유지
(정답률: 50%)
  • 공공측량성과의 보안 유지는 일반측량을 한 자가 제출한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3자에게 공개하지 않고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측량을 한 자가 제출한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성능검사대행자에 대하여 1년 이내의 업무정지 처분을 내릴 수 있는 경우는?

  1.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2.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성능검사를 한 경우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경우
  4. 업무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성능검사 대행업무를 한 경우
(정답률: 37%)
  • 성능검사대행자는 법령에서 정한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하지 않으면 업무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업무정지 처분을 내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측량”이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2.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이다.
  3. “수로측량”이란 해상교통안전, 해양의 보전ㆍ이용ㆍ개발, 해양관할권의 확보 및 해양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항로조사 및 해양지형조사를 말한다.
  4. “일반측량”이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및 수로측량 외의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35%)
  •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수로측량”이란 해상교통안전, 해양의 보전ㆍ이용ㆍ개발, 해양관할권의 확보 및 해양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항로조사 및 해양지형조사를 말한다. 이는 정확한 해양 지도 작성과 해양 활동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측량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