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탄성파 측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굴절법은 지표면으로부터 낮은 곳을 대상으로 한다.
  2. 반사법은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을 대상으로 한다.
  3.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알아내기 위하여 반사법을 이용한다.
  4. 단층과 같은 지실 구조는 탄성파 측량에 의해 알아낼 수 있다.
(정답률: 88%)
  •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알아내기 위하여 반사법을 이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외핵과 내핵의 경계는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통해 알아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사법은 지하 구조물의 경계면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 수준망은 인하공업전문대학 구내에 설치된 수준원점을 근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우리나라 수준망은 전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준환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우리나라 1등 수준점간 평균거리는 약 4km, 2등 수준점간 평균거리는 약 2km이다.
  4. 바다의 깊이는 평균최고고조면(MHHW)을 해안선은 평균최저저조면(MLLW)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88%)
  • "우리나라 수준망은 전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준환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해설:
    - 수준측량은 지표면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 수준원점은 수평면과 수직선을 정의하는 기준점으로, 이를 기반으로 다른 지점의 높낮이를 측정합니다.
    - 우리나라 수준망은 수평면을 정의하는 수준원점과, 이를 기반으로 다른 지점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다수의 수준점으로 구성됩니다.
    - 수준점은 전국에 분포해 있지만, 수준환은 아닙니다.
    - 바다의 깊이는 해안선을 기준으로 측정하는데, 이 때 평균최고고조면(MHHW)과 평균최저저조면(MLLW)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모호정수(cycle ambiguity)를 결정하여 고정해(fixing solution)를 산출하는 이유는?

  1. 측위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2. 대기효과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사이클슬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수신기의 갑작스러운 이동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77%)
  • 모호정수는 GPS 수신기에서 측정된 위성 신호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주기로 변화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여 고정해를 산출하면 측위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표고 336.42m의 평탄지에서 거리 450m를 평균해면상의 값으로 보정하려고 할 때 보정량은? (단, 지구반지름은 6,370km로 가정한다.)

  1. -2.38cm
  2. -2.56cm
  3. 1.28cm
  4. 3.28cm
(정답률: 71%)
  • 보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량 = (거리의 제곱 / (2 * 지구반지름)) - 표고

    = ((450m)^2 / (2 * 6,370km)) - 336.42m

    = -0.0238km - 336.42m

    = -2.38cm

    따라서 정답은 "-2.38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심 좌표 방식으로 GPS 위성 측량에서 쓰이는 좌표계는?

  1. UTM좌표
  2. WGS84 좌표
  3. 천문 좌표
  4. 베셀 좌표
(정답률: 79%)
  • GPS 위성은 WGS84 좌표계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어떤 위치든지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WGS84 좌표계는 지심 좌표 방식으로,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위도, 경도, 고도를 나타내는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GPS 위성 측량에서는 WGS84 좌표계를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고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력측정 단위 중 1gal에 해당되는 것은?

  1. 1m/s2
  2. 1cm/s2
  3. 1kg/s2
  4. 1g/s2
(정답률: 77%)
  • 1gal은 체적의 단위이며, 중력의 단위는 질량의 단위와 가속도의 단위를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중력측정 단위는 kg·m/s2 또는 N(뉴턴)입니다. 하지만 1gal은 1갤런의 체적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질량이나 가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중력측정 단위에서 1gal은 정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GPS에 의한 2등 기준점 측량에서 한 Session의 관측시간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1시간
  2. 4시간
  3. 8시간
  4. 24시간
(정답률: 72%)
  • GPS 측량에서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는데, 이 신호는 지구 상에서 움직이는 위성에서 발신되므로 시간적인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위성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계산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4개 이상의 위성 신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GPS 측량에서는 최소 4시간 이상의 관측시간이 필요하며, 더 많은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보정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8시간 이상의 관측시간이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GPS에 의한 기준점측량 작업 시의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선해석의 결과는 FLOAT해에 의한다.
  2. GPS위성의 궤도요소는 정밀력 또는 방송력에 의한다.
  3. 기선해석의 방법은 세션(session)마다 단일기선해석에 의한다.
  4. 사이클 슬립(cycle slip)의 편집은 원칙적으로 기선해석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편집이나, 수동편집을 할 수 있다.
(정답률: 72%)
  • "기선해석의 결과는 FLOAT해에 의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GPS 측량에서 기준점의 좌표를 계산할 때, GPS 수신기가 수신한 위성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이 거리를 이용하여 기준점의 좌표를 계산하는데, 이 때 계산된 좌표는 FLOAT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구면삼각형 ABC의 3각을 관측한 결과 A= 50° 10′, B=66° 35′, C= 64° 15′ 이었다면 이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단, 구의 반지름은 5m이다)

  1. 0.736m2
  2. 0.636m2
  3. 0.536m2
  4. 0.436m2
(정답률: 65%)
  • 구면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a+b+c - π)×r²

    여기서 a, b, c는 구면삼각형의 변의 길이이고, r은 구의 반지름이다.

    우선 각 A, B, C에 대한 중심각을 구해보자.

    A에 대한 중심각 = 2×50° 10′ = 100° 20′
    B에 대한 중심각 = 2×66° 35′ = 133° 10′
    C에 대한 중심각 = 2×64° 15′ = 128° 30′

    이제 각 중심각에 대한 부채형의 넓이를 구하고, 이를 더해서 구면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A에 대한 부채형의 넓이 = (100° 20′ ÷ 360°) × π × 5² = 6.928m²
    B에 대한 부채형의 넓이 = (133° 10′ ÷ 360°) × π × 5² = 9.131m²
    C에 대한 부채형의 넓이 = (128° 30′ ÷ 360°) × π × 5² = 8.773m²

    따라서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6.928 + 9.131 + 8.773 - π) × 5² = 0.436m²이다.

    정답은 "0.436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구 중심으로부터 각 관측점까지의 거리가 높이차만큼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중력의 차이를 보정하는 중력보정은?

  1. 위도 보정
  2. 부게 보정
  3. 프리 에어보정
  4. 지형 보정
(정답률: 49%)
  • 프리 에어보정은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높이차만큼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중력의 차이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대기 중의 공기의 밀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중력을 보정합니다. 따라서 지형 보정이나 부게 보정과는 달리 지형이나 부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중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도 보정은 지구의 자전축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는 것을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PS 위성 궤도력(ephemeris)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정밀궤도력은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2.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정밀궤도력을 생산한다.
  3.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정밀궤도력을 사용한다.
  4. 방송궤도력에는 위성시계오차 보정항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정답률: 77%)
  •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속도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제공하는 것이 GPS 위성 궤도력(ephemeris)이다. 정밀궤도력은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생산한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정밀궤도력을 사용해야 한다. 방송궤도력에는 위성시계오차 보정항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자기 측정의 3요소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편각, 복각, 수평분력
  2. 복각, 연직각, 수평분력
  3. 복각, 수평각, 연직분력
  4. 편각, 복각, 연직분력
(정답률: 89%)
  • 지자기 측정에서 편각은 지자기 필드와 지자기 바늘의 각도를 의미하고, 복각은 지자기 바늘이 지자기 필드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수평분력은 지자기 바늘이 지자기 필드에 수평으로 위치할 때 발생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편각, 복각, 수평분력"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탄성파 측정
  2. 지자기 측정
  3. 중력 측정
  4. 사진 측정
(정답률: 77%)
  • 사진 측정은 빛의 파동성과 입체감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는 분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GPS측량을 실시할 때, 멀티패스(Multi path)현상의 영향이 가장 적은 곳은?

  1. 고층빌딩 사이
  2. 고압송전탑 밑
  3. 수풀이 우거진 숲속
  4. 비가 많이 내리는 폭이 넓은 하천가
(정답률: 75%)
  • 정답: 비가 많이 내리는 폭이 넓은 하천가

    이유: 멀티패스 현상은 GPS 신호가 건물, 나무, 산 등 장애물에 반사되어 다시 수신기로 돌아오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반사 신호는 원래 신호와 시간 차이가 발생하여 오차를 유발합니다. 하지만 비가 많이 내리는 폭이 넓은 하천가는 장애물이 적어 GPS 신호가 직접 수신기로 전달되므로 멀티패스 현상의 영향이 가장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P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동시에 3차원 측량을 할 수 있다.
  3. 신호 사용자에게 비용에 대한 부담이 있다.
  4. 지구상 어느 곳에서나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74%)
  • GPS측량은 지구상 어느 곳에서나 24시간 이용할 수 있으며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동시에 3차원 측량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GPS신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PS장비를 구입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므로 신호 사용자에게 비용에 대한 부담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D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에 관측된 자료를 사용한다.
  2. DGPS 측량은 실시간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다.
  3. 기선의 길이가 길수록 DGPS의 정확도는 낮다.
  4. 일반적으로 DGPS가 단독측위보다 정확하다.
(정답률: 74%)
  • DGPS 측량은 실시간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DGPS는 실시간으로 위치를 보정하여 더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DGPS 측량은 실시간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GPS에 의한 위치결정 시 사용되는 위성 관측법은?

  1. 전파 관측법
  2. 카메라 관측법
  3. 음파 관측법
  4. 레이저 관측법
(정답률: 80%)
  • GPS는 위성을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전파 관측법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카메라, 음파, 레이저를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지만, GPS는 전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천구 상에서 천정과 동점 및 서점을 잇는 대원으로 자오선과 천정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은?

  1. 항정선(Loxodrome)
  2. 묘유선(Prime vertical)
  3. 측지선(Geodetic line)
  4. 평행권(Parallel line)
(정답률: 69%)
  • 묘유선은 천정과 동점 및 서점을 잇는 대원으로, 자오선과 천정에서 직각으로 교차합니다. 이는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며, 지구의 경도선과 수직입니다. 따라서, 묘유선은 측지학에서 경위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항정선은 일정한 각도로 항해하는 선, 측지선은 지구의 곡면을 따라 최단 거리를 이루는 선, 평행권은 지구의 위도선과 평행한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PS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C/A 코드
  2. P 코드
  3. 방송궤도력
  4. 정밀궤도력
(정답률: 66%)
  • GPS 신호에는 C/A 코드와 P 코드, 그리고 방송궤도력이 포함되어 있지만, 정밀궤도력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정밀궤도력은 GPS 위성의 궤도를 더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지만, 이는 GPS 신호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우리나라 측량의 평면직각좌표원점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동해원점, 동부원점, 서부원점, 서해원점
  2. 동해원점, 동부원점, 중부원점, 서부원점
  3. 동해원점, 동부원점, 중부원점, 서해원점
  4. 남부원점, 동부원점, 중부원점, 서부원점
(정답률: 80%)
  • 정답은 "동해원점, 동부원점, 중부원점, 서부원점" 입니다.

    우리나라 측량의 평면직각좌표원점은 전국을 4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지역에서 원점을 설정한 것입니다. 이를 동해원점, 동부원점, 중부원점, 서부원점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렇게 구성된 원점들은 각각의 지역에서 측량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동해원점은 동해안 지역, 동부원점은 동해안과 남해안 사이 지역, 중부원점은 중부 내륙 지역, 서부원점은 서해안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동해원점, 동부원점, 중부원점, 서부원점"이 옳은 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그림에서 A점의 표고가 40m 라면 B점의 표고는?

  1. 40.5m
  2. 43.5m
  3. 47.0m
  4. 47.5m
(정답률: 59%)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오르막길을 따라 올라가므로 B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보다 높아진다. 그리고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300m 이므로, 1m 올라갈 때마다 300분의 1 만큼의 기울기를 가진다. 따라서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40m 만큼 올라가므로 40 × 300분의 1 = 12m 만큼의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40m + 12m = 52m 이다. 하지만, B점에서 다시 내려가는 구간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보기를 살펴보면, B점에서 C점으로 이동할 때 4.5m 만큼 내려가므로, B점의 최종 표고는 52m - 4.5m = 47.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7.5m"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캔트가 완화곡선의 길이에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완화곡선은?

  1. 활권선
  2. 3차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
  4. 클로소이드
(정답률: 68%)
  • 캔트는 완화곡선의 길이에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곡선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때, 완화곡선은 곡률이 일정한 곡선이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캔트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곡선으로서 클로소이드를 발견하게 됩니다.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일정한 곡선으로서, 완화곡선의 길이에 직선적으로 비례합니다. 따라서 캔트가 찾은 완화곡선은 클로소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장비점검 및 보정시에 평탄한 해저에서 동일한 측심선을 따라 왕복측량을 실시하여 조사선의 좌측 및 우측의 기울기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은?

  1. 롤보정
  2. 피치보정
  3. 헤딩보정
  4. 시간보정
(정답률: 56%)
  • 롤보정은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장비점검 및 보정시에 평탄한 해저에서 동일한 측심선을 따라 왕복측량을 실시하여 조사선의 좌측 및 우측의 기울기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선박이 좌우로 기울어져 있을 때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롤보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천측량 시 평면측량에서 유제부(뚝이 있는 제방)의 측량 범위로 옳은 것은?

  1.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측량한다.
  2. 제외지의 전부와 제내지의 300m이내까지 측량한다.
  3. 홍수 시에 물이 흐르는 맨 옆에서 약 100m까지 측량한다.
  4.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 측량한다.
(정답률: 71%)
  • 제외지는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넓게 측량하여 안전한 측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내지는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지 않는 지역으로, 제외지의 전부와 제내지의 300m 이내까지 측량하여 측량 범위를 제한한다. 따라서 정답은 "제외지의 전부와 제내지의 300m이내까지 측량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지역의 면적은?

  1. 258.16m2
  2. 248.16m2
  3. 238.16m2
  4. 228.16m2
(정답률: 65%)
  • 주어진 도형은 직사각형과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직사각형의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한 값인 6.6m × 3.6m = 23.76m² 입니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2로 나눈 값인 (3.6m × 2.4m) ÷ 2 = 4.32m² 입니다. 따라서 전체 면적은 23.76m² + 4.32m² = 28.08m²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정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28.08m²을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8.08m² ≈ 28.1m²로 계산합니다. 이제 이 값을 보기와 비교해보면, "248.16m²"은 너무 크고, "238.16m²"과 "228.16m²"은 너무 작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48.16m²"이 아니라 "248.16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넓은 지역의 정지나 매립과 같은 경우의 토공량 산정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은?

  1. 양단면 평균법
  2. 중앙단면법
  3. 등고선법
  4. 점고법
(정답률: 65%)
  • 점고법은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지형을 나타내는 방법이지만, 점고법은 체적을 구하는 방법이므로 정답은 "점고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원곡선에 의한 종단곡선에서 반지름 3000m의 종단곡선을 설치할 경우 종단곡선 시점으로부터 수평거리 40m인 지점에서 경사선(접선)과 종단곡선 간의 수직거리(종거)는?

  1. 0.14m
  2. 0.27m
  3. 0.53m
  4. 0.58m
(정답률: 51%)
  • 원곡선에 의한 종단곡선에서 반지름 3000m의 종단곡선을 설치하면, 이 종단곡선은 원곡선과 수직이며, 종단곡선 시점에서 원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반지름 3000m의 원을 그린다. 이때, 수평거리 40m인 지점에서의 경사선은 원곡선과 수평이며, 이 지점에서의 종단곡선과의 수직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 문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푸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거리 40m와 반지름 3000m이 이루는 각을 θ라고 하면, 이 각의 크기는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θ = arctan(40/3000) ≈ 0.77°

    이 각에 대응하는 원주의 길이는 2πr(θ/360)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2π×3000(0.77/360) ≈ 40.2m이다. 따라서, 수평거리 40m에서의 종단곡선과의 수직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종거 = 3000 - 3000cosθ - 40.2sinθ ≈ 0.27m

    따라서, 정답은 "0.2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반지름 267.90m, 교각 87° 15′ 56″ 인 단곡선의 중앙종거는?

  1. 72.00m
  2. 73.00m
  3. 74.00m
  4. 75.00m
(정답률: 59%)
  • 단곡선의 중앙종거는 반지름과 교각의 중심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중심각은 87° 15′ 56″ 이므로, 이를 도 단위로 변환하면 87.2656° 입니다. 이제 중앙각을 구하기 위해 360°에서 중심각을 뺀 후 2로 나눕니다.

    360° - 87.2656° = 272.7344°
    272.7344° / 2 = 136.3672°

    따라서 중앙각은 136.3672° 입니다. 이제 중앙각을 이용하여 중앙종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중앙종거 = 2 x 반지름 x sin(중앙각/2)
    = 2 x 267.90m x sin(136.3672°/2)
    = 74.00m

    따라서 정답은 "74.0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약 200m의 하천이 있어서 p 및 Q에 레벨을 세우고 고호 수준측량을 하였다. A점으로부터 D점까지의 각 측점에서 전후 표척의 포고차가 각각 다음과 같을 때 D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2.545m, A→B = -0.512m, 레벨 P에서 B→C = -0.229m, 레벨 Q에서 C→B = +0.267m, C→D = +0.636m)

  1. 2.041m
  2. 2.411m
  3. 2.421m
  4. 2.431m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3점법으로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함에 있어서 수면에서 수심의 20%, 60%, 80% 깊이의 유속을 측정한 결과 0.56㎧, 0.49㎧, 0.36㎧ 일 때 평균유속은?

  1. 0.493㎧
  2. 0.475㎧
  3. 0.470㎧
  4. 0.443㎧
(정답률: 70%)
  • 3점법에서는 수면에서 수심의 20%, 60%, 80% 깊이에서의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유속을 구합니다. 이때 각 깊이에서의 유속을 가중평균하여 평균유속을 구합니다.

    따라서, (0.56 × 0.2 + 0.49 × 0.4 + 0.36 × 0.2) ÷ 0.8 = 0.475㎧ 입니다.

    즉, 수면에서 수심의 20%, 60%, 80% 깊이에서의 유속을 가중평균하여 평균유속을 구하는 것이 3점법의 핵심이며, 이를 계산하여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 I=80°, 외할 E=10m로 하려고 할 때 곡선길이(C.L.)는?

  1. 22.9m
  2. 25.1m
  3. 45.7m
  4. 50.3m
(정답률: 63%)
  • 단곡선의 곡률반경 R은 R=E/(2sin(I/2))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R=10/(2sin(80/2))=45.7m이다. 곡선길이(C.L.)는 곡률반경과 곡선각(I)에 의해 결정되며, C.L.=R*I*pi/180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C.L.=45.7*80*pi/180=101.3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곡선길이가 아닌 곡선반경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은 45.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인 택지조성측량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전조사 → 현황측량 → 확정측량 → 경계측량 → 택지조성공사 → 준공측량
  2. 사전조사 → 현황측량 → 택지조성공사 → 확정측량 → 경계측량 → 준공측량
  3. 사전조사 → 현황측량 → 준공측량 → 경계측량 → 택지조성공사 → 확정측량
  4. 사전조사 → 현황측량 → 경계측량 → 택지조성공사 → 확정측량 → 준공측량
(정답률: 60%)
  • 일반적인 택지조성측량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전조사 → 현황측량 → 경계측량 → 택지조성공사 → 확정측량 → 준공측량.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장 적합합니다.

    1. 사전조사: 토지의 이전 이용 내역, 지형, 지질 등을 파악하여 택지조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2. 현황측량: 토지의 위치, 면적, 지형 등을 정확히 측정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합니다.

    3. 경계측량: 토지의 경계를 정확히 측정하여 인접한 토지와의 경계를 명확히 합니다.

    4. 택지조성공사: 토지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한 시설물을 설치하고 조성합니다.

    5. 확정측량: 토지의 위치, 면적, 경계 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여 토지의 소유자와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합니다.

    6. 준공측량: 토지조성공사가 완료된 후, 시설물의 위치와 규모 등을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토지의 소유자와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토지 이용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 간격은 20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간격에 관계없이 반드시 측량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하시설물이 분기하는 경우
  2. 지하시설물이 교차하는 경우
  3. 지하시설물이 직선구간인 경우
  4. 지하시설물에 각종 제어장치가 있는 경우
(정답률: 56%)
  • 지하시설물이 직선구간인 경우에는 간격에 관계없이 탐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직선구간이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의 경로나 위치를 예측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추가적인 측량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로의 중심선을 따라 20m 간격으로 종단 측량을 행한 결과가 표와 같다. 측정 No.1의 도로 계획고를 표고 21.50m로 하고 2%의 상향기울기의 도로를 설치하기 위한 No.5의 절취고는?

  1. 4.70m
  2. 5.10m
  3. 5.90m
  4. 6.10m
(정답률: 55%)
  • 먼저, 도로의 상향기울기가 2%이므로 100m 진행 시 2m의 고도 상승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측정 No.1에서 측정 No.5까지의 거리는 80m(20m x 4)이며, 이 거리에서 2%의 상승을 고려하여 절취고를 계산해야 한다.

    먼저, 측정 No.1의 도로 계획고는 21.50m이므로, 측정 No.1에서 측정 No.5까지의 거리 80m에 대한 높이 변화는 다음과 같다.

    80m x 2% = 1.6m

    따라서, 측정 No.1에서 측정 No.5까지의 높이 변화는 1.6m이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측정 No.5의 절취고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1.50m + 1.6m = 23.10m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5.10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외 측량, 터널 내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터널 내 측량 시 조명이 달린 표척과 레벨이 필요하다.
  3. 터널 내 중심선 측량 시 도벨이라는 기준점을 설치한다.
  4. 터널 내의 곡선설치 시 주로 편각현장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68%)
  • "터널 내의 곡선설치 시 주로 편각현장법을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편각현장법은 곡선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터널 내부에서 곡선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터널 내부에서 측량을 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터널 내부의 공간이 제한적인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면법에 의한 토량계산 방법으로 양단면의 면적차이가 클 경우 일반적으로 토량이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은?

  1. 삼변법
  2. 중앙단면법
  3. 양단면평균법
  4. 각주 공식에 의한 방법
(정답률: 60%)
  • 단면법에 의한 토량계산 방법에서 양단면의 면적차이가 클 경우, 양단면평균법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양단면의 면적차이가 클 경우, 양쪽 면적 중 작은 면적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양단면평균법은 양쪽 면적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보정을 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이 삼각형으로 나누어서 측량을 실시하였다. 시공 계획고를 50m로 할 때 남는 토량은?

  1. 70.28m3
  2. 74.373
  3. 81.67m3
  4. 92.45m3
(정답률: 54%)
  • 주어진 그림에서 삼각형들의 넓이를 구하고, 그 합을 구하면 전체 면적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 계획고를 곱하면 필요한 토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토량에서 전체 면적에 해당하는 토량을 빼면 남는 토량을 구할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2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각 삼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삼각형 A: (20 × 10) ÷ 2 = 100
    삼각형 B: (20 × 15) ÷ 2 = 150
    삼각형 C: (30 × 15) ÷ 2 = 225
    삼각형 D: (30 × 20) ÷ 2 = 300
    삼각형 E: (20 × 25) ÷ 2 = 250
    삼각형 F: (10 × 25) ÷ 2 = 125

    따라서, 전체 면적은 100 + 150 + 225 + 300 + 250 + 125 = 1150 이다. 시공 계획고는 50m 이므로, 필요한 토량은 1150 × 50 = 57500 이다.

    정답이 "81.67m3" 인 이유는, 남는 토량은 필요한 토량에서 전체 면적에 해당하는 토량을 빼면 된다. 따라서, 남는 토량은 (57500 - 1150) ÷ 1000 = 56.85m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81.67m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기의 터널측량 작업내용을 순서대로 열거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0%)
  • ㉢-㉠-㉣-㉡ 순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터널의 출입구인 ㉢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이는 작업자들이 터널 내부로 이동하기 위한 출발점이 되며,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자재를 이곳에 배치할 수 있다.

    2. 다음으로, ㉠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터널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지점으로, 작업자들이 터널 내부로 진입하여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지점이다.

    3. 그 다음으로는 ㉣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터널의 중간 지점으로, 작업자들이 터널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장비와 자재를 보관하거나 작업 중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소이다.

    4. 마지막으로, ㉡에서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는 터널의 끝 지점으로, 작업자들이 터널 내부에서 작업을 완료하고 터널을 빠져나오는 지점이다. 이렇게 작업을 마무리하면 작업자들이 터널 내부에서 이동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교각 80°, 곡선반지름 300m, 노선의 시작점에서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310.30m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단, 중심말뚝 간의 거리는 20m이다.)

  1. 0° 8′ 12″
  2. 0° 12′ 12″
  3. 1° 8′ 12″
  4. 1° 12′ 12″
(정답률: 65%)
  • 시단현의 편각은 곡선의 중심각과 같다. 곡선의 중심각은 교각의 반각과 같으므로 80°이다.

    노선의 시작점에서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310.30m이므로, 곡선의 길이는 300m + 310.30m = 610.30m이다.

    중심말뚝 간의 거리가 20m이므로, 곡선의 호의 길이는 610.30m + 20m = 630.30m이다.

    따라서, 곡선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호의 길이와 반지름의 관계식인 L = rθ을 이용하여,

    630.30m = 300m × θ

    θ = 2.101°

    시단현의 편각은 곡선의 중심각과 같으므로, 80° - 2.101° = 77.899°이다.

    이를 도, 분, 초로 변환하면 0° 8′ 1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천의 평면측량에서 수애선측량은 어떤 수위를 기준으로 하는가?

  1. 평수위
  2. 평균수위
  3. 최고수위
  4. 최저수위
(정답률: 69%)
  • 하천의 평면측량에서 수애선측량은 평수위를 기준으로 한다. 평수위는 일정 기간 동안의 수위를 평균한 값으로, 하천의 수위 변동을 고려하여 측정된다. 따라서 평수위는 하천의 실제 수위를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며, 하천의 안전한 관리와 이용을 위해 중요한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평탄지의 축척 1:20000 항공사진의 연직사진에 찍힌 직육면체 빌딩의 벽 상(上)변과 벽 하(下)변의 길이가 사진 상에서 각각 20.0mm와 19.8mm 이었다면 이빌딩의 높이는 약 얼마인가? (단. 항공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5cm 이고, 상변과 하변의 실제 길이는 같다.)

  1. 15m
  2. 20m
  3. 25m
  4. 30m
(정답률: 35%)
  • 먼저, 상변과 하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이 빌딩은 직각이 아닌 직육면체가 아닌 직육중심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축척이 1:20000 이므로 실제 거리는 사진 상 거리의 20000배입니다.

    따라서, 상변과 하변의 실제 길이는 각각 20.0mm × 20000 = 400m, 19.8mm × 20000 = 396m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빌딩의 높이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5cm 이므로, 빌딩의 높이를 h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합니다.

    15cm : 400m = h : 20.0mm

    h = 15cm × 20.0mm ÷ 400m = 0.75m

    따라서, 이 빌딩의 높이는 약 0.75m, 즉 75cm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0m"이 아니라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수치미분편위수정 과정에서 제거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영상의 내부표정 오차
  2. 영상의 센서 노이즈
  3. 지형의 기하학적 왜곡
  4. 센서 자세에 의한 왜곡
(정답률: 57%)
  • 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수치미분편위수정 과정에서 제거되는 오차 중에서 영상의 센서 노이즈는 제거되지 않는다. 이는 영상의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이즈는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따로 처리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색조(tone), 크기(size), 형태(shape), 음영(shadow), 질감(texture) 및 모형(pattern)에 의하여 사진의 정성(定性) 분석을 하는 작업은?

  1. 표정작업
  2. 사진지도 제작
  3. 사진판독
  4. 세부도화
(정답률: 58%)
  • 색조, 크기, 형태, 음영, 질감 및 모형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사진의 특징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작업을 사진판독이라고 합니다. 이 작업은 사진의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진판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원격탐사(Reomte sen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가 대단히 많으며 불필요한 자료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2. 물체의 반사 스펙트럼 특성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정보 추출이 가능하다.
  3. 높은 고도에서 좁은 시야각에 의하여 촬영되므로 중심 투영에 가까운 영상이 촬영된다.
  4. 자료 취득 방법에 따라 수동적 센서에 의한 것과 능동적 센서에 의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72%)
  • "높은 고도에서 좁은 시야각에 의하여 촬영되므로 중심 투영에 가까운 영상이 촬영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원격탐사에서는 고도와 시야각에 따라 영상의 투영 방식이 결정되며, 중심 투영 방식 뿐만 아니라 등각 투영 방식 등 다양한 투영 방식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사진의 편위를 모두 수정하여 집성한 사진지도로써 지도와 동일한 위치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진지도는?

  1.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2. 조정집성 사진지도
  3.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4. 정사투영 사진지도
(정답률: 34%)
  •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지구의 표면을 평면에 투영하는 방법 중 하나인 정사투영을 사용하여 항공사진의 편위를 수정하여 집성한 사진지도입니다. 이 방법은 지도와 동일한 위치관계를 가지고 있어 지도와 함께 사용하기 용이합니다.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조정집성 사진지도, 반조정집성 사진지도는 다른 투영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사진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서방향으로 10km, 남북방향으로 30km, 평균표고 500m인 지역을 해면으로부터 2000m 고도에서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3cm × 23cm인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한 사진매수는? (단, 종중복도 70%, 횡중복도 30%로 하며, 촬영방향은 동서방향으로 한다.)

  1. 252매
  2. 266매
  3. 270매
  4. 285매
(정답률: 44%)
  • 초점거리와 사진크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해상도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이미지 수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초점거리와 사진크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해상도를 계산한다.
    해상도 = (사진크기 / 초점거리) × 1000
    = (23 / 150) × 1000
    = 153.3 (cm)

    다음으로, 필요한 이미지 수를 계산한다.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를 고려하여 필요한 이미지 수를 계산한다.
    종중복도 = 70%, 횡중복도 = 30%
    이미지 수 = (지역 너비 / (초점거리 × (1 - 종중복도)) × (지역 높이 / (초점거리 × (1 - 횡중복도)))) + 1
    = (10 / (150 × 0.3)) × (30 / (150 × 0.7)) + 1
    = 285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285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촬영고도 4000m에서 초점거리 16cm의 광각카메라로 180km/h의 운항속도로 항공사진을 촬영하고자 한다. 필름 상에 허용흔들림량이 0.01mm라면 셔터스피드는 몇 초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단, 중복도는 60%, 사진크기는 23cm×23cm 이다.)

  1. 1/150
  2. 1/200
  3. 1/250
  4. 1/300
(정답률: 55%)
  • 필름 상에 허용되는 흔들림량은 촬영 대상의 크기와 필름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사진 크기가 23cm×23cm 이므로, 필름 상에서의 허용 흔들림량은 0.01mm × (23/4000) = 0.0000575mm 이다.

    흔들림이 발생하는 주요 요인은 카메라의 운동이다. 이 문제에서는 항공기가 180km/h의 속도로 운항하고 있으므로, 카메라의 운동 속도는 이보다 더 빠를 것이다. 따라서, 셔터 스피드를 빠르게 설정해야 한다.

    셔터 스피드는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빠르게 설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셔터 스피드 = (중복도 × 필름 크기) / (카메라 운동 속도 × 필름 상에서의 허용 흔들림량)

    여기서 중복도는 60%이므로 0.6로 대입하면,

    셔터 스피드 = (0.6 × 23) / (180 × 0.0000575) = 1/200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셔터 스피드를 1/200으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어떠한 연속필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측정한 점의 값은 보존되지 않는다.
  3. 델로니 삼각망(Delaunay triangulation)으로 분할한다.
  4. 수치표고모델(DTM : Digital Terrain Model)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정답률: 72%)
  • "측정한 점의 값은 보존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TIN은 측정한 점의 값을 보존하며, 델로니 삼각망으로 분할하고 수치표고모델(DTM : Digital Terrain Model)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사진기준점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은 것은?

  1. 연결점(pass point)은 인접모델간의 중복부분 중간에 위치하여야 한다.
  2. 연결점(pass point)과 결합점(tie point)은 별도로 선점해야 하며 동일점으로 해서는 안 된다.
  3. 연결점(pass point)은 엄밀하게 선점해야 하므로 디지털 항공사진의 경우에도 자동매칭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4. 결합점(tie point)의 위치는 주점 부근이어야 한다.
(정답률: 36%)
  • 연결점은 인접 모델간의 중복부분 중간에 위치해야 하는 이유는 인접한 모델들이 서로 일치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일치하는 부분의 중간에 연결점을 위치시켜야 모델들이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습니다. 결합점은 연결점과 별도로 선점해야 하며, 동일점으로 해서는 안 됩니다. 연결점은 엄밀하게 선점해야 하므로 디지털 항공사진의 경우에도 자동매칭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결합점의 위치는 주점 부근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레이다 위성영상을 적용하기 가장 어려운 활용분야는?

  1. 홍수피해 조사
  2. 해수면 파랑조사
  3. 수치표고델 작성
  4. 토지피복분류
(정답률: 52%)
  • 토지피복분류는 지형, 지물, 식생 등 지리적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의 토지 특성을 분류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에서는 레이다 위성영상으로는 지형과 지물 등의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장 어려운 활용분야이다. 반면, 홍수피해 조사나 해수면 파랑조사, 수치표고델 작성 등은 레이다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해석적 항공삼각측량 방법이 아닌 것은?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조정법
  4. 멀티플렉스법
(정답률: 69%)
  • 해석적 항공삼각측량 방법은 수학적 공식을 사용하여 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이며, "광속조정법", "독립모형조정법", "다항식조정법"은 모두 이 방법에 속합니다. 반면에 "멀티플렉스법"은 해석적 방법이 아닌,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는 통계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멀티플렉스법"은 해석적 항공삼각측량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진측량에서의 모델(Model)에 대한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부분이다.
  2.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3. 편위수정(編位修正)을 한 사진이다.
  4. 촬영된 1장의 사진이다.
(정답률: 68%)
  • 1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부분이다.는 사진측량에서 모델(Model)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입니다. 이는 입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한 대상을 두 개의 사진으로 찍어 그 차이를 분석하여 입체적인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 이를 스테레오 측량(Stereo Photogrammetry)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모델(Model)은 이러한 입체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상호표정 요소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할 때 종시차 방정식의 관측값으로 필요한 자료는?

  1. 공액점의 y 좌표
  2. 공액점의 x 좌표
  3. 연직점의 z 좌표
  4. 연직점의 x 좌표
(정답률: 68%)
  • 종시차 방정식은 두 개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동일한 대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에서는 두 카메라의 이미지 평면 사이의 공액점을 이용하여 상호표정 요소를 구한다. 이 때, 공액점의 x 좌표는 이미지 평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아니다. 반면, 공액점의 y 좌표는 두 이미지 평면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값으로,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액점의 y 좌표"이다. 연직점의 z 좌표와 x 좌표는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점거리 150mm인 항공사진기로 촬영경사 5 grad 각도로 평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등각점은 주점으로부터 최대경사선상 몇mm 인 곳에 위치하는가?

  1. 5.9mm
  2. 6.5mm
  3. 11.8mm
  4. 13.1mm
(정답률: 50%)
  • 초점거리 150mm, 촬영경사 5 grad, 평지를 촬영한 경우,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an(5) =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 / 초점거리

    따라서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 = tan(5) x 초점거리 = 13.1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3.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격탐사 플랫폼에서 지상물체의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기복사에너지(Electromagnetic Radiation Energy) 중 파장이 긴것부터 짧은 것 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Visible blue - Visible red - Vidible Green
  2. Visible blue - Mid Infrared - Thermal Infrared
  3. Visible red - Vidible Green - Visible blue
  4. Visible red - Mid Infrared - Thermal Infrared
(정답률: 74%)
  • 정답은 "Visible red - Vidible Green - Visible blue" 입니다.

    이유는 인간의 눈은 주로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상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RGB (Red, Green, Blue) 색 모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지상물체의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기복사에너지 중에서도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파장인 빨강, 초록, 파랑 순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느 지역의 비고가 100m인 곳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의 축척이 1:25000일 때, 이 사진의 비고에 의한 최대 변위량은?(단, 사진의 크기는 23cm × 23cm, 초점거리 210mm이다.)

  1. 0.15cm
  2. 0.31cm
  3. 0.43cm
  4. 0.71cm
(정답률: 55%)
  • 최대 변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변위량 = (초점거리)^2 / (사진의 크기 × 축척 × 비고)

    = (210mm)^2 / (23cm × 25000 × 100m)

    = 0.31cm

    따라서 정답은 "0.31cm"이다. 초점거리가 작을수록 최대 변위량은 커지고, 사진의 크기나 축척이 클수록 최대 변위량은 작아진다. 비고가 크면 최대 변위량도 커지는데, 이는 비고가 높을수록 지형의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항공삼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항공기에서 피사체에 전파를 보내어 측정하는 삼각측량
  2. 사진의 좌표를 지상측량의 삼각측량 원리에 의해 측정하는 것
  3. 항공사진 상의 사진좌표를 도화기 또는 정밀좌표 측정기로 측정한 다음 소수의 지상 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여 사진좌표를 지상좌표로 환산하는 방법
  4. 항공사진에 선정된 점의 평면좌표만을 측정하는 약식 측량법
(정답률: 63%)
  • 항공사진 상의 사진좌표를 도화기 또는 정밀좌표 측정기로 측정한 다음 소수의 지상 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여 사진좌표를 지상좌표로 환산하는 방법은 항공사진의 좌표를 지상측량의 삼각측량 원리에 의해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항공삼각측량의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입체도화기로 절대표정을 할 때 기준점 선점으로 가장 좋은 형태는?

(정답률: 54%)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형태는 기준점이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서 입체도화기로 절대표정을 할 때 가장 균형잡힌 형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형태들은 기준점이 중심에서 벗어나 있어서 절대표정을 할 때 왜곡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면조건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표정은?

  1. 내부표정
  2. 상호표정
  3. 절대표정
  4. 접합표정
(정답률: 53%)
  • 공면조건은 얼굴의 근육들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힘과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표정은 상호표정입니다. 상호표정은 상대방의 표정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표정으로,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공면조건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표정 중에서 상호표정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감독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로 확률에 기초로 각 밴드내의 클래스에 대한 훈련자료 통계가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가정하고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1. 최근린 분류(nearest-neighbor classifier)
  2. 최단거리 분류(minimum distance classifier)
  3. 최대우도 분류(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4. 거리가중 분류(distance weighted classifier)
(정답률: 56%)
  • 최대우도 분류는 각 클래스의 훈련자료 통계가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가정하고, 주어진 영상이 각 클래스에 속할 확률을 계산하여 가장 높은 확률을 가지는 클래스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클래스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류 정확도가 높은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최대우도 분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GIS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DTS는 GIS 표준 포맷의 대표적인 예이다.
  2.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GIS 구축이 가능하다.
  3. 하나의 기관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많은 기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한다.
(정답률: 69%)
  • GIS 표준화는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GIS 표준화는 데이터의 구조, 메타데이터, 프로토콜 등을 표준화하여 서로 다른 GIS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거단지 적지선정 시 경사도와 향(aspect)은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경사분류도와 향분류도를 이용하여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지역을 얻으려 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intersection
  2. dissolve
  3. erase
  4. merge
(정답률: 59%)
  • "Intersection"은 두 개 이상의 공간 데이터셋을 겹쳐서 교차하는 부분만을 선택하는 공간 분석 기법이다. 따라서, 경사분류도와 향분류도를 이용하여 각각 경사도와 향이 일치하는 지역을 만들어낸 후, 이 둘을 겹쳐서 교차하는 부분만을 선택하면, 경사도와 향이 모두 적합한 지역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해, "dissolve"는 공간 데이터셋에서 동일한 속성값을 가진 객체들을 하나로 합치는 기법이고, "erase"는 하나의 공간 데이터셋에서 다른 공간 데이터셋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거하는 기법이며, "merge"는 두 개 이상의 공간 데이터셋을 하나로 합치는 기법이므로, 이들은 경사도와 향이 모두 적합한 지역을 얻기 위한 적합한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메타 데이터의 요소 중 데이터의 제목, 지리적 범위, 제작일 등을 나타내는 것은?

  1. 공간정보
  2. 품질정보
  3. 식별정보
  4. 속성정보
(정답률: 42%)
  • 식별정보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구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합니다. 데이터의 제목, 지리적 범위, 제작일 등은 데이터를 식별하고 구분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므로 이러한 정보는 모두 식별정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식별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Clip : 원래 레이어에서 필요한 지역만을 추출해 내는 것이다.
  2. Erase : 레이어가 나타내는 지역 중 임의지역을 삭제한다.
  3. Split : 하나의 레이어를 여러 개의 레이어로 분할한다.
  4. Intersect : 여러 개의 레이어가 하나의 레이어로 합쳐지면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가 합쳐진다.
(정답률: 63%)
  • Intersect : 여러 개의 레이어가 하나의 레이어로 합쳐지면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가 합쳐진다. - 옳은 설명입니다. Intersect는 두 개 이상의 레이어가 겹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새로운 레이어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때 겹치는 부분의 도형정보와 속성정보가 합쳐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 6×6화소 크기의 레스터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데이터를 2×2화소 크기의 데이터로 영상재배열 하고자 한다. 미디언필터(Median Filter)를 이용하여 2×2화소 데이터의 수치값을 결정하고자 할 때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7%)
  • 정답은 ""이다.

    미디언 필터는 주변 픽셀들의 중간값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이다. 2×2화소 크기로 영상을 재배열하면 3×3 크기의 블록이 생성되며, 각 블록의 중앙값을 구하여 새로운 2×2화소 데이터의 수치값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각 블록의 중앙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2 3 4 5 ]
    [ 8 9 10 11 ]
    [14 15 16 17 ]
    [20 21 22 23 ]

    [ 3 4 9 10 ]
    [ 9 10 15 16 ]
    [15 16 21 22 ]
    [21 22 27 28 ]

    [ 9 10 15 16 ]
    [15 16 21 22 ]
    [21 22 27 28 ]
    [27 28 33 34 ]

    [16 17 22 23 ]
    [22 23 28 29 ]
    [28 29 34 35 ]
    [34 35 40 41 ]

    따라서, 2×2화소 크기의 데이터로 영상재배열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3 9 15 21 ]
    [10 16 22 28 ]
    [17 23 29 35 ]
    [22 28 34 40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도형자료 중 래스터(raster)형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격자의 크기 조절로 자료용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2. 자료의 데이터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자료생성이 어렵다.
  3. 다양한 공간적 편의가 격자 형태로 나타나며, 자료의 조작 과정이 용이하다.
  4. 래스터자료는 주로 네모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벡터자료에 비해 미관상 매끄럽지 못하다.
(정답률: 59%)
  • "자료의 데이터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자료생성이 어렵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래스터형태의 자료는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각 격자 셀의 값으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자료생성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동일한 사상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을 이용하여 두 지도의 좌표체계가 일치하게 만드는 방법은?

  1. 내삽(interpoliation)
  2. 노드스냅(node snapping)
  3. 러버쉬팅(rubber sheeting)
  4. COGO(coordinate geometry)
(정답률: 48%)
  • 러버쉬팅은 두 지도의 공통된 지점을 이용하여 지도의 좌표체계를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두 지도의 공통된 지점을 찾아내고, 이를 기준으로 두 지도의 좌표를 조정한다. 이 과정에서 지도의 일부 영역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지도 전체에 대해 조정 작업을 반복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구조 중 자료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고 중첩에 대한 조작 및 분석이 용이하여 매우 효과적인 것은?

  1. 외부 데이터
  2. 내부 데이터
  3. 래스터 데이터
  4. 벡터 데이터
(정답률: 67%)
  • 래스터 데이터는 각 픽셀마다 값을 가지고 있어 간단한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첩된 데이터에 대한 조작 및 분석이 용이하다. 따라서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자료를 부호화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자료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벡터 기반의 GIS 자료처리에 포함되는 작업은?

  1. 히스토그램 평활화
  2. 방사보정
  3. 감독분류
  4. 버퍼링
(정답률: 56%)
  • 벡터 기반의 GIS 자료처리에 포함되는 작업은 지리적 위치 정보를 다루는 작업으로, 지리적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중 "버퍼링"은 특정 지점이나 선, 면 주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영역을 확장시키는 작업으로, 지리적 분석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로 주변 100m 내에 위치한 상권을 분석하고자 할 때, 도로를 중심으로 100m 반경 내에 있는 상권을 추출하기 위해 버퍼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2. 인공지능 컴퓨터와 로봇에 의하여 사람의 노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3. 복지사회가 구현되어 사람들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이상적인 기술이나 환경
  4. GPS와 GIS를 결합하여 4차원 정보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정답률: 75%)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이 옳은 정의이다. 이는 모바일 기술,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 발전으로 가능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리정보의 특성인 공간적 위상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접성은 대상물의 주변에 존재하는 대상물과의 관계를 의한다.
  2. 연결성은 실제로 연결된 대상물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3. 근접성은 특정거리나 위치 밖에 존재하는 대상물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4. 공간적 위상광계의 특성을 바탕으로 조건에 만족하는 지역이나 조건을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62%)
  • "근접성은 특정거리나 위치 밖에 존재하는 대상물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근접성은 일정한 거리나 위치에 존재하는 대상물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즉, 서로 가까이 위치한 대상물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공간데이터 모델은 기본적인 도형의 요소(geometric primitive type)로 공간 객체를 표현한다. 다음 중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수치지도 ver2.0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도형의 요소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점, 선
  2. 선, 면
  3. 점, 선, 면
(정답률: 75%)
  • 정답은 "점, 선, 면"이다.

    점은 공간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도형 요소이다. 선은 두 개 이상의 점을 연결한 것으로, 길이와 방향을 가지며 직선, 곡선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면은 세 개 이상의 점을 연결한 것으로, 넓이와 방향을 가지며 평면, 곡면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수치지도 ver2.0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도형의 요소는 점, 선, 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관계형 DBMS와 비교할 때, 객체지향형 DBMS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갱신이 용이
  2. 자료처리 속도의 현저한 향상
  3. 동질성을 가지고 구성된 실세계의 객체들을 비교적 정확히 묘사
  4. 강력한 자료 모델링 기능 부여
(정답률: 52%)
  • 객체지향형 DBMS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자료의 갱신이 용이하고 동질성을 가지고 구성된 실세계의 객체들을 비교적 정확히 묘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자료 모델링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료처리 속도의 현저한 향상은 관계형 DBMS와 비교할 때 장점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이는 객체지향형 DBMS가 복잡한 객체 구조를 다루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느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시작점인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에서 가장 널리 이용하는 방법으로 객체-관계 모형(E-R model)이 있다. 다음 중에 E-R모델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키(Key)
  2. 관계(relation)
  3. 속성(attributes)
  4. 개체(entity)
(정답률: 72%)
  • E-R 모델의 구성요소 중에서 "키(Key)"는 아닙니다. 이유는 키(Key)는 개체(entity)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속성(attribute)으로, 개체(entity)와 속성(attributes) 사이의 관계(relation)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GIS의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점은 하나의 노드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의 위치는 좌표를 표현한다.
  2. 선은 2개의 노드와 수 개의 버텍스(Vertex)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 혹은 버텍스는 체인으로 연결된다.
  3. 면은 하나 이상의 노드와 수 개의 버텍스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 혹은 버텍스는 체인으로 연결된다.
  4. TIN은 연속적인 삼각면으로 지표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각 삼각면의 중앙점에서 해당 지점의 고도값을 표현한다.
(정답률: 64%)
  • "TIN은 연속적인 삼각면으로 지표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각 삼각면의 중앙점에서 해당 지점의 고도값을 표현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TIN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각 삼각형의 꼭짓점에는 높이값이 할당됩니다. 따라서 각 삼각형의 중앙점에서는 높이값이 할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이미 알고 있는 값을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지점에 대한 속성값을 추정하는 Spline, Kriging 등의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추이분석(trend)
  2. 내삽(interpolation)
  3. 외삽(extrapolation)
  4. 회귀분석(regression)
(정답률: 67%)
  • 내삽(interpolation)은 이미 알고 있는 값들 사이에서 빠진 값에 대해 추정하는 방법으로, 주어진 데이터의 경향성을 이용하여 빠진 값들을 채워넣는 방법이다. 따라서 Spline, Kriging 등의 방식은 이미 알고 있는 값들을 이용하여 빠진 값들을 추정하는 내삽 방법이다. 추이분석(trend)은 데이터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분석 방법, 외삽(extrapolation)은 이미 알고 있는 값들의 범위를 넘어서는 값에 대해 추정하는 방법, 회귀분석(regression)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GIS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 구성이 아닌 것은?

  1. 자료의 입력 및 검색
  2. 자료의 변환 및 출력
  3. 자료의 암호화 및 표준화
  4. 자료의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정답률: 65%)
  • GIS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 구성에는 "자료의 암호화 및 표준화"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GIS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를 보호하고 표준화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입력, 검색, 변환, 출력, 저장 및 관리하는 것에 중점을 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료의 암호화 및 표준화"는 GIS 소프트웨어의 보조 기능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지형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표고자료 형태로 맞지 않는 것은?

  1. DLG (Digital Line Graph)
  2. DEM (Digital Elevation Model)
  3. DSM (Digital Surface Model)
  4. DTM (Digital Terrain Model)
(정답률: 72%)
  • DLG (Digital Line Graph)은 지형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표고자료 형태가 아니라, 지형의 지리적 특징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 형태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DLG는 도로, 하천, 철도 등 지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선형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면, DEM (Digital Elevation Model), DSM (Digital Surface Model), DTM (Digital Terrain Model)은 지형의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래스터 데이터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GIS 활용분야와 공간분석 기법이 어울리지 않게 연결된 것은?

  1. 최근경로 탐색 - 네트워크 분석
  2. 근접성 분석 - 히스토그램 분석
  3. 적지분석 - 중첩분석
  4. 경관분석 - 3차원 입체지형 생성
(정답률: 66%)
  • 근접성 분석은 공간상의 특정 지점 주변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법이며, 히스토그램 분석은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이 두 기법은 서로 다른 분석 방법이기 때문에 어울리지 않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경사분석에서의 경사를 경사각(°)과 경사를(%)로 표현할 때, 그림에 대한 경사로 옳은 것은?

  1. 경사각 약 34〬 , 경사률 약 67%
  2. 경사각 약 34〬 , 경사률 약 150%
  3. 경사각 약 56〬 , 경사률 약 67%
  4. 경사각 약 56〬 , 경사률 약 150%
(정답률: 50%)
  • 이 그림은 수직 방향으로 10m 올라가는데 수평 방향으로 6.7m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기반으로 경사각과 경사율을 계산해보면,

    - 경사각 = arctan(10/6.7) ≈ 56°
    - 경사율 = (10/6.7) × 100% ≈ 150%

    따라서, 정답은 "경사각 약 56〬 , 경사률 약 1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폐합트래버스측량의 결과 값이 아래 표와 같을 때 측선 CD의 배횡거는?

  1. 83.57m
  2. 115.90m
  3. 165.90m
  4. 186.82m
(정답률: 48%)
  • 측선 AB와 CD는 서로 수직이므로, 삼각형 ABC와 삼각형 CDE는 유사 삼각형입니다. 따라서, AB/BC = CD/DE가 성립합니다.
    AB = 100m, BC = 50m, DE = 30m 이므로, CD = AB x DE / BC = 100 x 30 / 50 = 60m 입니다.
    또한, 삼각형 CDE에서 CE^2 = CD^2 + DE^2 이므로, CE = √(CD^2 + DE^2) = √(60^2 + 50^2) = √6100 = 78.10m 입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ABC에서 AC^2 = AB^2 + BC^2 이므로, AC = √(AB^2 + BC^2) = √(100^2 + 50^2) = √(10000 + 2500) = √12500 = 111.80m 입니다.
    따라서, 배횡거는 AC - CE = 111.80 - 78.10 = 33.70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배횡거가 아니라 측선 CD의 배횡거이므로, 33.70m x 2 = 67.40m을 CD에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CD의 배횡거는 60m + 67.40m = 127.40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165.90m가 있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답은 127.4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성선은 토지기복이 되는 선으로 주로 산악에 있어서 요선, 철선, 경사변환점 등을 나타내는 선이다.
  2. 경사변환선이란 지성선이 방향을 바꾸어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점 또는 분기하거나 합하여 지는 점이다.
  3. 철선(능선)이란 지표면이 높은 곳의 꼭대기 점을 연결한 선이다.
  4. 요선(계곡선)은 지표면이 낮거나 움푹 패인 점을 연결한 선으로 합수선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40%)
  • "경사변환선이란 지성선이 방향을 바꾸어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점 또는 분기하거나 합하여 지는 점이다." 이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경사변환선은 지성선이 아닌, 지형의 경사가 바뀌는 지점을 연결한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조정이 복잡하고 포괄면적이 적으며 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나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은?

  1. 단열 삼각망
  2. 유심 삼각망
  3. 결합 삼각망
  4. 사변형 삼각망
(정답률: 71%)
  • 사변형 삼각망은 조정이 복잡하고 포괄면적이 적으며 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지만,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모두 측정하여 정확한 삼각형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형의 표시방법 중 부호적 도법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음영법(shading system)
  2. 단채법(layer system)
  3. 점고법(spot system)
  4. 등고선법(contour system)
(정답률: 51%)
  • 음영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색상이나 그라데이션 등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이는 부호적 도법이 아닌 시각적 도법에 속하며, 지형의 형태와 높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지도 제작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음영법(shading syste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연속적인 측량이 가능한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등고선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점으로부터의 기계고를 측정한다.
  2. 프리즘의 높이는 임의로 하여 수시로 변경하는 것이 편리하다.
  3. 토털스테이션을 추적모드(tracking mode)로 설정하고 측정할 등고선 높이를 입력한다.
  4. 높이를 알고 있는 측점에 토털스테이션을 설치하거나, 기준점을 관측하여 측점의 높이를 결정한다.
(정답률: 68%)
  • "프리즘의 높이는 임의로 하여 수시로 변경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프리즘의 높이는 측정 대상의 높이와 일치시켜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은 오히려 측정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의 높이는 측정 대상의 높이에 맞게 고정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삼각측량에 의한 관측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c점의 좌표는? (단, AB의 거리=10m, 좌표의 단위 : m)

  1. (20.63, 17.13)
  2. (16.13, 20.63)
  3. (20.63, 16.13)
  4. (17.13, 16.13)
(정답률: 51%)
  • AB와 AC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각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BC의 길이와 AB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높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한 높이와 AC의 길이를 이용하여 c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63, 16.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A점에서 B점을 연결하는 결함트래버스에서 XA점의 좌표가 = 69.30m, YA = 123.56m이고 B점의 좌표가 XB = 153.47m, YB = 636.22m 일 때 AB간 위거의 총합이 +84.30m, 경거의 총합이 +512.60m일 때 폐합오차는?

  1. 0.14m
  2. 0.24m
  3. 0.34m
  4. 0.44m
(정답률: 38%)
  • 폐합오차는 AB간 위거의 총합과 경거의 총합의 차이이다. 따라서 폐합오차 = (AB간 위거의 총합 - 84.30m) + (경거의 총합 - 512.60m) 이다.

    AB간 위거의 총합은 (153.47 - 69.30) = 84.17m 이고, 경거의 총합은 (636.22 - 123.56) = 512.66m 이다.

    따라서, 폐합오차 = (84.17 - 84.30) + (512.66 - 512.60) = -0.13 + 0.06 = -0.07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라고 하였으므로, 폐합오차는 0.14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축척 1:25000인 우린나라 지형도의 한 도엽의 크기(경도×위도)는?

  1. 1.25' × 1.25'
  2. 2.5' × 2.5'
  3. 7.5' × 7.5'
  4. 15.0' × 15.0'
(정답률: 58%)
  • 우린나라 지형도는 축척 1:25000으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1cm가 실제 지면에서 25000cm(=25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cm²가 실제 지면에서 250m × 250m = 62500m²를 나타낸다.

    한 도엽은 1분(1°)을 60등분한 60분(60')으로 표시된다. 또한, 1분은 60초(60")로 표시된다. 따라서, 한 도엽의 크기는 60' × 60' = 3600" × 3600"이 된다.

    이제, 1"²가 실제 지면에서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보자. 1"는 1/60분이므로, 1"²는 (1/60분) × (1/60분) = 1/3600분²이 된다. 따라서, 1"²가 실제 지면에서 62500m² × (1/3600분²) = 17.36m²를 나타낸다.

    따라서, 한 도엽의 크기는 3600" × 3600"이므로, 3600" × 3600" ÷ (7.5' × 7.5") = 16,384개의 격자로 나누어진다. 이는 7.5' × 7.5' 크기의 도엽이 가지는 격자의 수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7.5' ×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2점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표준오차는?

  1. 1.66cm
  2. 2.43cm
  3. 3.25cm
  4. 3.88cm
(정답률: 38%)
  • 주어진 데이터는 10개의 측정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10개의 측정값을 가지고 표준오차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1.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합니다.
    2. 각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구합니다.
    3. 각 차이값을 제곱합니다.
    4. 제곱한 차이값들의 합을 구합니다.
    5. 합을 측정값의 개수로 나눕니다.
    6. 나눈 값의 제곱근을 구합니다.

    위의 과정을 따라 계산하면 표준오차는 1.66cm, 2.43cm, 3.25cm, 3.88cm 중 3.88cm이 됩니다. 이는 측정값들이 평균값에서 멀어질수록 표준오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데이터에서는 3.88cm가 가장 적절한 표준오차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A점에서 B점까지 일정한 경사의 도로상에서 50m의 줄자를 이용하여 거리측량을 하였다. 관측값은 398.855m이고, 관측 중의 온도는 26°c, AB간의 고저차가 11.02m일 때, AB간의 수평거리는? (단, 줄자의 표준온도는 15°C, 줄자는 표준줄자(50m)보다 6.5mm짧고, 줄자의 팽창계수는 +0.000012°C 이다.)

  1. 398.594m
  2. 398.704m
  3. 398.794m
  4. 398.894m
(정답률: 31%)
  • 먼저, 줄자의 실제 길이를 구해야 한다. 줄자의 표준온도와 관측 중의 온도의 차이는 26°C - 15°C = 11°C 이다. 따라서, 줄자의 팽창량은 50m x 0.000012 x 11 = 0.006m 이다. 또한, 줄자의 짧은 길이는 6.5mm = 0.0065m 이다. 따라서, 줄자의 실제 길이는 50m - 0.006m - 0.0065m = 49.9875m 이다.

    이제, 관측값을 보정해야 한다. 보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보정값 = (398.855m / 49.9875m) x (1 + 11.02m / AB) = 8.0008 x (1 + 11.02m / AB)

    여기서, AB는 수평거리이다. 따라서, AB를 구하기 위해서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방정식을 세워야 한다.

    398.855m = AB x (8.0008 x (1 + 11.02m / AB))

    이 방정식을 풀면 AB = 398.704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98.70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수준측량을 한 결과로부터 아래와 같은 값을 얻었다. 각, 측점의 계산된 표고 중 틀린 것은? (단, 측점 No.1의 표고는 10.000m이다.)

  1. No.2
  2. No.3
  3. No.4
  4. No.5
(정답률: 61%)
  • No.5가 틀린 것이다. 이는 측점 No.4와 No.5 사이의 거리가 측정 오차로 인해 잘못 계산되었기 때문이다. 측점 No.4와 No.5 사이의 거리는 10.000m - 9.998m - 9.997m = 0.005m 이어야 하지만, 계산 결과는 0.003m으로 잘못 나와 있다. 따라서 No.5의 계산된 표고는 신뢰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거리측정에서 줄자로 1회 관측 시 오차가 0.03m 이라면 30m줄자로 270m를 측정하였을 때 오차는?

  1. 0.03m
  2. 0.09m
  3. 0.27m
  4. 0.30m
(정답률: 63%)
  • 1회 관측 시 오차가 0.03m이므로, 10배인 30m줄자로 측정할 때는 0.03m x 10 = 0.30m의 오차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0.27m이라는 값이 주어졌으므로, 이는 0.30m에서 0.27m을 뺀 값인 0.03m의 오차가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270m를 측정할 때의 오차는 0.03m x 10 = 0.30m에서 0.03m을 뺀 값인 0.27m이 아니라, 0.03m x 3 = 0.09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후시(B.S)=1.67m, 전시(F.S)=1.32m 일 때 미지점이 310.50m의 지반고를 갖는다면 기지점의 지반고는?

  1. 309.18m
  2. 310.15m
  3. 311.35m
  4. 312.17m
(정답률: 58%)
  • 미지점과 기지점 사이의 거리는 후시와 전시의 차이인 0.35m이다. 이 거리에 대한 각도는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anθ = (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310.50m
    θ = arctan((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310.50m)

    또한, 후시와 전시의 차이에 대한 각도는 다음과 같다.

    θ' = arctan((후시 - 전시) / 310.50m)

    이 두 각도의 차이는 90도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θ + θ' = 90도

    따라서,

    arctan((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310.50m) + arctan((후시 - 전시) / 310.50m) = 90도

    두 각도의 합을 구하기 위해서는 탄젠트의 합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tan(θ + θ') = (tanθ + tanθ') / (1 - tanθ * tanθ')

    따라서,

    tan(90도) = (tan(arctan((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310.50m)) + tan(arctan((후시 - 전시) / 310.50m))) / (1 - tan(arctan((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310.50m)) * tan(arctan((후시 - 전시) / 310.50m)))

    tan(90도)은 무한대이므로,

    (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310.50m = - (후시 - 전시) / 310.50m

    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 (후시 - 전시)

    미지점 지반고 = 기지점 지반고 + (전시 - 후시)

    미지점과 기지점 사이의 거리가 310.50m이므로, 기지점 지반고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기지점 지반고 = 미지점 지반고 - (전시 - 후시) = 310.15m

    따라서, 정답은 "310.1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광파기(거리측정기)의 기계정수를 검사하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거리를 측정하였다. 기계정수 K를 구하는 방법은?

  1. K=S1-(S2+S3)
  2. K=(S1+S2+S3)/S1
  3. K=(S2+S3)/S1
  4. K=S1/(S2+S2)
(정답률: 58%)
  • 광파기는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데, 이때 측정된 시간은 왕복시간이므로 실제 거리는 반으로 나눠야 한다. 따라서 S1은 왕복시간을 나타내며, 실제 거리의 두 배가 된다. S2와 S3는 각각 광파가 발사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나타내며, 이 시간은 실제 거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K는 S1에서 S2와 S3의 시간을 뺀 값이 되어야 한다. 즉, K=S1-(S2+S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기본측량성의 국외 반출에서 “외국정부와 기본측량성과를 서로 교환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하는 경우
  2.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3.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4. 축척 5만분의 1 미만인 소축척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70%)
  • 정답은 "축척 5만분의 1 미만인 소축척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기본측량성의 국외 반출에 대한 대통령령에서는 외국정부와의 교환, 국제회의 및 기구 참석, 관광객 유치 및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소축척 수치지형도는 해당 사항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형도에서 난외사항으로 기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발행자
  2. 도엽번호
  3. 인접도엽표
  4. 지형 및 지물
(정답률: 55%)
  • "지형 및 지물"은 지형도에서 난외사항으로 기재되는 사항이 아니라 지형도의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지형 및 지물은 지형도에서 표현되는 지형적인 특징과 건물, 도로, 강 등의 지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지형도에서 생략될 수 없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측량업의 등록취소 등의 관련 사항 중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 것은?

  1.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
  2.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휴업한 경우
  3. 측량업 등록사항의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경우
(정답률: 50%)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경우"는 올바른 절차를 따르지 않고 측량업 등록을 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측량업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등록제도의 원칙을 위반하는 것으로, 이를 방치할 경우 측량업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어렵고, 공공의 이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는 예외사항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측량”이란 공공측량외의 측량을 말한다.
  2. “측량기록”이란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을 말한다.
  3. “수로측량”이란 해양의 수심·지구자기(地球磁氣)·중력·지형·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을 말한다.
  4. “측량”이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거나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現地)에 재현하는 것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 지도의 제작 및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하는 도면작성 등을 포함한다.
(정답률: 57%)
  • "일반측량"이 공공측량외의 측량을 말한다는 것이 옳지 않다. 일반측량은 공공측량과 구분되어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공공측량과 비공공측량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일반측량을 시행하는데 기초로 할 수 없는 자료는?

  1. 기본측량성과
  2. 일반측량성과
  3. 공공측량성과
  4. 공공측량기록
(정답률: 43%)
  • 일반측량을 시행하는데 기초로 할 수 없는 자료는 일반측량성과입니다. 이는 일반측량의 결과물이며, 측량 작업을 통해 얻어진 측정치와 계산치 등을 종합하여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측량성과가 없다면 측량 작업의 결과를 평가하거나 활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기준점 중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성기준점
  2. 통합기준점
  3. 지적기준점
  4. 수로기준점
(정답률: 42%)
  • 지적기준점은 지적도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기준점으로, 토지의 경계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나머지 세 기준점은 각각 위성, 통합, 수로와 관련된 기준점으로,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지적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