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지구자기의 변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변화
  2. 부게이상
  3. 영년변화
  4. 자기폭풍
(정답률: 72%)
  • 지구자기의 변화 중에서 "부게이상"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지구자기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GNSS 관측 도중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GNSS 신호의 수신이 일시적으로 단절되는 현상은?

  1. 사이클 슬립(cycle slip)
  2. SA(Selective Availability)
  3. AS(Anti Spoofing)
  4. 모호 정수(Ambiguity)
(정답률: 83%)
  • 사이클 슬립은 GNS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도중에 장애물 등으로 인해 신호의 주기가 일시적으로 끊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수신기가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신호 주기 정보가 손실되어 정확한 위치 측정이 불가능해지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따라서 사이클 슬립은 GNSS 측량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RINEX 형식이 포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GPS 위성의 C/A코드 의사거리
  2. GLONASS 위성의 항법 메시지
  3. GEO(Geostationary) 위성의 항법 메시지
  4. IKONOS 위성의 항법 메시지
(정답률: 68%)
  • RINEX 형식은 GPS 및 GLONASS 위성의 항법 메시지와 C/A 코드 의사거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GEO 위성의 항법 메시지는 포함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IKONOS 위성의 항법 메시지는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천체의 고도, 방위각 및 시각을 관측하여 미지점의 경위도 및 방위각을 결정하는 것을 천문측량이라 한다.
  2. 측지학적 3차원 위치결정이란 경도, 위도 및 높이를 산정하여 측지학적 좌표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3.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된 전자파를 인공위성으로 탐지하여 해석함으로써 지구자원 및 환경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GNSS측량이라 한다.
  4. 지구곡률을 고려한 반지름 11km 이상인 지역의 측량에는 측지학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65%)
  • "지구곡률을 고려한 반지름 11km 이상인 지역의 측량에는 측지학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GNSS측량은 지상으로부터 발사 또는 방사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로, 지구자원 및 환경을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천문측량은 천체의 위치를 이용하여 지점의 경위도 및 방위각을 결정하는 기술이며, 측지학적 3차원 위치결정은 경도, 위도 및 높이를 결정하여 좌표계를 결정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GNSS 단독측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위성 궤도정보의 정확성
  2. 관측 위성의 배치
  3.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
  4. 위성의 의사 잡음 부호
(정답률: 65%)
  • 위성의 의사 잡음 부호는 GNSS 단독측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이는 위성 신호가 전파 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신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이 요소는 GNSS 측위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반면, 위성 궤도정보의 정확성, 관측 위성의 배치,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은 모두 GNSS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측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방위각을 갖는 지표상의 선
  2. 지구면(곡면)상의 두 점을 지나는 최단거리인 곡선
  3. 지구중심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과 지평선의 교선
  4. 적도와 나란한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
(정답률: 68%)
  • 측지선은 지구면(곡면)상의 두 점을 지나는 최단거리인 곡선입니다. 이는 지구가 구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지표면이 곡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지선은 지구의 곡면을 따라 그려지는 곡선이며, 지구의 곡면을 고려해야만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자기 측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자기는 위치에 따라 그 방향과 크기가 다르다.
  2. 지자기 방향과 자오선이 이루는 각을 편각이라 한다.
  3. 지자기 방향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복각이라 한다.
  4. 지자기의 자오선 방향 강도를 수직분력, 묘유선 방향 강도를 수평분력이라고 한다.
(정답률: 54%)
  • 지자기의 자오선 방향 강도를 수직분력, 묘유선 방향 강도를 수평분력이라고 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GNSS에 의한 위치결정 시 사용되는 위성 관측법은?

  1. 전파 관측법
  2. 카메라 관측법
  3. 음파 관측법
  4. 레이저 관측법
(정답률: 75%)
  • GNSS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전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GNSS에 의한 위치결정 시 사용되는 위성 관측법은 전파 관측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GNSS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위치결정 기술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중경로(멀티패스)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높은 고도로부터의 위성의 신호를 수신한다.
  2. 안테나로 들어오는 위성신호의 앙각(mask angle)을 낮춘다.
  3. 안테나의 설치환경(위치)을 잘 선택한다.
  4. Choke ring 안테나와 같이 ground plane이 장착된 안테나를 사용한다.
(정답률: 66%)
  • 안테나로 들어오는 위성신호의 앙각(mask angle)을 낮춘다는 것은 안테나가 지표면과 수평으로 가까워져서 지표면으로부터의 반사파를 최소화하고, 높은 고도에서 발사된 위성의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중경로 오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안테나로 들어오는 위성신호의 앙각을 낮추는 것 외에도 안테나의 설치환경(위치)을 잘 선택하거나 Choke ring 안테나와 같이 ground plane이 장착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도 다중경로 오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력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측정중력을 평균 해수면에서의 중력값으로 보정해야 한다.
  2. 측정중력을 위도에 따른 표면장력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3. 측정중력을 보정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4. 중력측정 시 관측시간을 기록할 필요는 없다.
(정답률: 67%)
  • 지구의 중력은 지구의 형태와 회전속도, 지표의 고도와 밀도 등에 따라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력측정 시 평균 해수면에서의 중력값으로 보정해야 합니다. 이를 하지 않으면 측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성 측량에서 위성의 케플러 궤도요소의 개수는?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59%)
  • 위성의 케플러 궤도요소는 주기, 궤도 경사각, 근지점 인수, 장반경, 궤도 이심률, 궤도 평면의 노드선 경도로 총 6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신속정지측위(rapid static position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속하게 이동하며 측위하는 기법을 말한다.
  2. 수신기를 자동차에 탑재하여 이동하며 측위하는 것을 말한다.
  3. 정적 상대측위 기법의 일종이다.
  4. 일반적으로 단독측위 기법을 기반으로 한다.
(정답률: 60%)
  • 신속정지측위는 정적 상대측위 기법의 일종입니다. 이는 기지국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측위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지도제작을 위해 사용하는 횡축메르카토르(TM) 도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각 좌표계에 대한 좌표원점에서의 축척계수는?

  1. 0.9996
  2. 0.9999
  3. 1.0000
  4. 1.0005
(정답률: 60%)
  • 횡축메르카토르(TM) 도법은 원점을 중심으로 위도 0도, 경도 0도에서 축척계수가 1.0000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력이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이상이란 실제 관측 중력값에서 표준중력식에 의해 계산한 중력값을 뺀 것이다.
  2. 지오이드의 요철, 지하구조의 결정 등에 이용된다.
  3. 일반적으로 실측 중력값과 계산식에 의한 이론 중력값은 일치하지 않는다.
  4. 중력이상이 (+)이면 그 부근에 밀도가 작고 가벼운 물질이 존재한다.
(정답률: 83%)
  • 중력이상이 (+)이면 그 부근에 밀도가 작고 가벼운 물질이 존재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중력이상은 지하 구조나 지오이드의 요철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중력이상이 (+)인 지역은 지하에 밀도가 작고 가벼운 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한 변의 길이가 10km인 구면 정삼각형에 대한 구과량은? (단, 구의 반지름은 6370km로 가정)

  1. 0.1″
  2. 0.2″
  3. 1.0″
  4. 2.0″
(정답률: 54%)
  • 구의 부피는 V = (4/3)πr^3 이다. 반지름이 6370km인 구의 부피는 V = (4/3)π(6370)^3 이므로 약 1.08 x 10^12 km^3 이다.

    구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10km이므로, 이 삼각형의 높이는 (10^2 - 5^2)^(1/2) = 8.66km 이다. 이 삼각형의 면적은 (1/2) x 10 x 8.66 = 43.3 km^2 이다.

    구면 정삼각형의 면적은 전체 구면의 면적에 대한 비율을 구하면 된다. 구면의 전체 면적은 4πr^2 이므로, 구면 정삼각형의 면적은 (43.3 / 4π(6370)^2) x 100% = 약 0.034% 이다.

    따라서, 구면 정삼각형에 대한 구과량은 전체 구의 부피에 0.034%를 곱한 값이다. 계산하면, (1.08 x 10^12 km^3) x 0.00034 = 약 3.67 x 10^8 km^3 이다. 이 값을 구면 정삼각형의 부피인 (1/3) x (10^2 / 3) x 8.66 km^3 로 나누면, 약 0.2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DGPS에 의해서 보정되지 않는 오차는?

  1. 전리층 지연 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사이클 슬립
  4. 위성궤도오차
(정답률: 69%)
  • DGPS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DGPS로도 보정되지 않는 오차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이클 슬립"이다.

    사이클 슬립은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잃어버리는 현상으로, 이는 GPS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통신이 불안정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GPS 수신기가 위성과의 통신을 재개하기 전까지 위치 추정이 불가능하므로, DGPS로도 보정할 수 없는 오차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위도 38°, 경도 127°인 지점의 묘유선의 곡률반지름(N)이 2300km, 타원체고(h)가 130m 이었다. 이 지점의 3차원 직각좌표중 Y 좌표값은 약 얼마인가?

  1. 1447549m
  2. 2447549m
  3. 3447549m
  4. 4447549m
(정답률: 51%)
  • 먼저, 이 문제에서는 묘유선의 곡률반지름과 타원체고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지구의 반지름과 타원체의 단일회전각을 구할 수 있다.

    지구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a / sqrt(1 - e^2 * sin^2(phi))
    where a = 지구의 장반경, e = 타원체의 편심률, phi = 위도

    위 식에서 a와 e는 WGS84 타원체의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a = 6378137m
    e = 0.081819190842621

    따라서, 위도 38°에서의 지구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다.

    N = 2300km = 2300000m
    phi = 38° = 0.6632251 rad

    2300000 = 6378137 / sqrt(1 - 0.081819190842621^2 * sin^2(0.6632251))
    sin^2(0.6632251) = 0.406319
    cos^2(0.6632251) = 0.593681

    2300000 = 6378137 / sqrt(1 - 0.081819190842621^2 * 0.406319)
    sqrt(1 - 0.081819190842621^2 * 0.406319) = 0.996647
    1 - 0.081819190842621^2 * 0.406319 = 0.993315
    0.081819190842621^2 * 0.406319 = 0.000262
    sqrt(0.000262) = 0.016174
    1 - 0.000262 = 0.999738

    6378137 * 0.996647 = 6356752.3142m

    따라서, 이 지점에서의 지구의 반지름은 약 6356752.3142m 이다.

    다음으로, 타원체의 단일회전각을 구할 수 있다.

    h = N * (1 - e^2) + H
    where H = 타원체고

    위 식에서 N과 e는 위에서 구한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h = 130m
    N = 2300km = 2300000m
    e = 0.081819190842621

    130 = 2300000 * (1 - 0.081819190842621^2) + H
    130 - 2300000 * 0.006694379990141 = H
    H = 114.743m

    따라서, 이 지점에서의 타원체의 단일회전각은 114.743m 이다.

    마지막으로, 3차원 직각좌표에서 Y 좌표값을 구할 수 있다.

    Y = (N + H) * cos(phi) = (2300000 + 114.743) * cos(0.6632251) = 1447549m

    따라서, Y 좌표값은 1447549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구의 곡률로부터 생기는 길이의 오차를 1/2000000까지 허용할 때, 평면을 간주할 수 있는 범위의 반지름은? (단, 지구의 곡률 반지름은 6370km로 한다.)

  1. 22.0km
  2. 15.0km
  3. 10.2km
  4. 7.8km
(정답률: 55%)
  • 지구의 곡률로부터 생기는 길이의 오차는 지구의 곡률 반지름과 평면상에서의 거리의 차이로 생긴다. 따라서, 이 오차를 1/2000000까지 허용하려면, 평면상에서의 거리는 지구의 곡률 반지름보다 약 2000000배 크거나 작아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평면상에서의 거리 ≤ 지구의 곡률 반지름 / 2000000

    따라서,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반지름 ≤ 지구의 곡률 반지름 / 2000000 = 6370km / 2000000 ≈ 0.003185km

    이 값을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0.003185km × 1000m/km = 3.185m

    따라서, 평면을 간주할 수 있는 범위의 반지름은 3.185m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7.8km"이므로 정답은 "7.8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PS에서 사용하고 있는 좌표계는?

  1. NDA84
  2. PZ30
  3. WGS84
  4. BESSEL
(정답률: 80%)
  • GPS에서 사용하는 좌표계는 WGS84이다. 이는 미국 국방부가 개발한 지구좌표계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좌표계이다. WGS84는 GPS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지구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다양한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UTM좌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구전체를 경도6°씩 60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종대의 중앙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점으로 한다.
  2. 원통도법인 횡축메르카토르(TM)투영법으로 등각투영 한다.
  3. 종대에서 위도는 남·북위 70°까지만 포함시키며 다시 7°간격으로 20구역으로 나눈다.
  4. 좌표의 표시는 중앙자오선과 적도를 종축과 횡축으로 정하여 미터(m)로 표기한다.
(정답률: 77%)
  • UTM 좌표는 지구를 경도 6도씩 60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마다 원통형 투영법을 사용하여 등각 투영합니다. 이 때, 각 구역은 84도 북위에서 80도 남위까지의 범위를 갖습니다. 각 구역은 8도씩 나누어져 120개의 존으로 나누어지며, 각 존은 500km의 폭을 갖습니다. 따라서, "종대에서 위도는 남·북위 70°까지만 포함시키며 다시 7°간격으로 20구역으로 나눈다."는 UTM 좌표와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터널 내의 좌표 A(1478m, 920m), B(2048m, 340m), 높이 A(96.56m), B(151.46m)인 A, B점을 연결하는 터널을 연결할 때,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1. 518m
  2. 651m
  3. 815m
  4. 855m
(정답률: 58%)
  • 경사거리는 높이 차이와 수평거리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A와 B점의 높이 차이는 151.46m - 96.56m = 54.9m 입니다. 수평거리는 x좌표의 차이인 2048m - 1478m = 570m 입니다. 따라서 경사거리는 54.9m / 570m = 0.0963 이 됩니다. 이 값을 x좌표의 차이와 곱해주면 경사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경사거리 = 0.0963 x (2048m - 1478m) = 0.0963 x 570m = 54.9m / 570m x 570m = 54.9m = 815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1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면에 의한 체적 계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단면평균법은 간편하기 때문에 실제 토공량 산정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2. 중앙단면법은 횡단면의 간격이 불규칙하고 단면적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 유리하다.
  3.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산정은 참값에 가장 가까운 값을 나타낸다.
  4. 일반적으로 토공량 산정값을 비교하면 체적의 크기가 중앙단면법〉각주공식〉양단면평균법의 순서가 된다.
(정답률: 68%)
  • "일반적으로 토공량 산정값을 비교하면 체적의 크기가 중앙단면법〉각주공식〉양단면평균법의 순서가 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체적의 크기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토공량 산정에 적용하는 상황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측위망원경에 의해 수평각을 측정하여 H′=80°이었다. 주망원경과 측위망원경의 시준선간의 거리 OC=OC′=0.10m이고, 시준선까지의 거리 AO=35.77m, BO=23.10m이었다면 실제 수평각(H)은?

  1. 79°55′44″
  2. 80°05′16″
  3. 80°11′05″
  4. 80°15′25″
(정답률: 33%)
  • 먼저, 측위망원경으로 측정한 각도 H'은 실제 수평각 H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H'을 이용하여 H를 구해야 합니다.

    먼저, 삼각형 AOC와 BOC에서 각 AOC와 BOC는 직각입니다. 따라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AO와 BO의 수직 성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sin(θ) = (수직 성분) / (시준선까지의 거리)

    sin(AOC) = AO / OC
    sin(AOC) = 35.77 / 0.10
    sin(AOC) = 357.7

    위의 결과는 잘못된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속관측은 유속계와 같은 기계관측과 부자(浮子)에 의한 관측 등이 있다.
  2. 같은 단면 내에서는 수심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유속의 분포는 일정하다.
  3. 유속계의 방법은 주로 평수위시가 좋고 부자의 방법은 홍수시에 많이 이용된다.
  4.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수로의 유속은 기울기, 크기, 수량, 유로의 형태, 풍향 등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62%)
  • "같은 단면 내에서는 수심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유속의 분포는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같은 단면 내에서도 수심이나 위치에 따라 유속의 분포가 다를 수 있다. 이는 하천이나 수로의 형태, 유량, 기울기 등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저지질구조해석을 위한 음파탐사의 기록정확도에 기인하는 잡음(noise)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송파기의 잡음
  2. 전기적 잡음
  3. 수파기의 잡음
  4. 선체의 잡음
(정답률: 44%)
  • 해저지질구조해석을 위한 음파탐사에서 기록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의 종류는 전기적 잡음, 수파기의 잡음, 선체의 잡음이다. 이들은 모두 음파탐사 시스템 자체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송파기의 잡음은 해당 분야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따라서 송파기의 잡음은 해저지질구조해석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노선의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계획할 때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획경사는 요구에 맞도록 설치한다.
  2. 절토는 성토와 대략 같게 되도록 한다.
  3. 경사와 곡선은 가능한 병설하도록 한다.
  4. 절토는 성토로 유용할 수 있도록 운반거리를 고려한다.
(정답률: 76%)
  • "경사와 곡선은 가능한 병설하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경사와 곡선은 서로 다른 요소이기 때문에 병설하도록 할 수 없다. 경사는 지형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곡선은 도로의 곡률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요소는 가능한한 최적의 설계를 위해 각각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노선측량에서 구조물의 장소에 대해서 지형도와 종단면도를 작성하는 측량은?

  1. 세부측량
  2. 조사측량
  3. 설계측량
  4. 공사측량
(정답률: 55%)
  • 세부측량은 구체적인 장소에 대한 측정과 계산을 수행하는 측량으로, 노선측량에서 구조물의 장소에 대해서 지형도와 종단면도를 작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답은 "세부측량"이다. 조사측량은 대상 지역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측량, 설계측량은 건축물이나 도로 등을 설계하기 위한 측량, 공사측량은 건설 현장에서 건축물이나 도로 등을 건설하기 위한 측량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완화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점에 있는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
  2. 완화곡선은 직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설치하는 완충곡선이다.
  3.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과 종점에서 무한대에 접근한다.
  4.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는 직선,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
(정답률: 50%)
  • 완화곡선은 곡률이 점점 작아지는 곡선으로, 시점에서는 곡률이 크고 종점에서는 곡률이 작아진다. 따라서 시점에서는 곡선이 뾰족하고 종점에서는 둥글어진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는 직선,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 이는 곡률이 큰 시점에서는 곡선이 뾰족하기 때문에 접선이 직선이 되고, 곡률이 작아진 종점에서는 곡선이 둥글어져 원호에 접하는 것이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는 직선,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천의 양수표 설치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1. 하상과 하안이 안전하고 세굴과 퇴적이 생기지 않는 곳
  2. 상하류 약 100m 정도가 직선인 곳
  3. 지천과 합류하는 곳
  4. 수위가 교각 및 그 밖의 구조물로 인하여 양향을 받지 않는 곳
(정답률: 75%)
  • 지천과 합류하는 곳은 물의 양이 많아지는 지점으로, 이곳에 양수표를 설치하면 물의 양이 많아져서 양수표가 물에 잠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하천측량 시 평면측량에서 유제부(뚝이 있는 제방)의 측량 범위로 옳은 것은?

  1.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측량한다.
  2. 제외지의 전부와 제내지의 300m 이내까지 측량한다.
  3. 홍수 시에 물이 흐르는 맨 옆에서 약 100m 까지 측량한다.
  4.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 측량한다.
(정답률: 60%)
  • 제외지는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넓게 측량하여 안전한 측량을 보장하기 위해 제외지의 전부를 측량한다. 또한, 제내지는 홍수가 예상되지 않는 지역으로, 제외지와 구분하여 제외지의 전부와 함께 제내지의 300m 이내까지 측량한다. 이는 하천의 안전한 관리와 예방을 위한 측량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 깊이의 유속(m/s)이 각각 0.562, 0.497, 0.364 이었다. 계산된 평균유속이 0.463m/s 이었다면 계산방법은? (단, h : 하천의 수심)

  1. 1점법
  2. 2점법
  3. 3점법
  4. 4점법
(정답률: 55%)
  • 이 문제는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계산하는 문제이다.

    평균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평균유속 = (유속1 x 면적1 + 유속2 x 면적2 + 유속3 x 면적3) / (면적1 + 면적2 + 면적3)

    여기서 면적은 유속을 측정한 위치의 단면적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 깊이에서의 유속과 해당 깊이의 단면적을 곱하여 합한 뒤, 전체 단면적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계산해보면,

    평균유속 = (0.562 x 0.2 + 0.497 x 0.6 + 0.364 x 0.8) / (0.2 + 0.6 + 0.8) = 0.463 m/s

    따라서 정답은 "2점법"이다.

    2점법은 유속을 측정할 때, 수면에서 0.2h와 0.8h의 깊이에서 유속을 측정하고, 그 두 값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유속 분포가 대칭적일 때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1점법은 수면에서만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유속 분포가 대칭적이지 않을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3점법과 4점법은 유속 분포가 비대칭적일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측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터널 입구를 연결하는 다각측량을 실시하여 A(50m, 80m), B(-100m, -200m)를 얻었다. AB측선의 방위각은?

  1. 40°25′12″
  2. 61°49′17″
  3. 170°20′08″
  4. 241°49′17″
(정답률: 52%)
  • AB측선의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A에서 B로 가는 방향을 나타내는 각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B측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계산할 수 있다.

    AB측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기울기 = (B의 y좌표 - A의 y좌표) / (B의 x좌표 - A의 x좌표)
    = (-200 - 80) / (-100 - 50)
    = -280 / -150
    = 1.8667

    따라서 AB측선은 A에서 B로 가는 방향이며, 이 방향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방위각 = atan2(B의 y좌표 - A의 y좌표, B의 x좌표 - A의 x좌표) * 180 / π + 360
    = atan2(-200 - 80, -100 - 50) * 180 / π + 360
    = atan2(-280, -150) * 180 / π + 360
    = 241.821°

    여기서 소수점 이하를 분/초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0.821° = 0° 49′ 17″

    따라서 정답은 "241°49′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곡선반지름이 200m인 원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도로의 시점에서 교점까지의 거리는 324.5m이며 교점부근에 장애물이 있어 그림과 같이 점 A, B에서의 각을 관측하였을 때, 도로시점으로부터 원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1. 184.3m
  2. 251.7m
  3. 157.9m
  4. 286.4m
(정답률: 61%)
  • 원의 중심을 O라고 하면, A와 B는 각각 OA와 OB를 시선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위치한다. 이 때, 각각의 각도는 30도와 45도이다. 따라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OA와 OB를 구할 수 있다.

    OA = 324.5 / tan(30) ≈ 593.3m
    OB = 324.5 / tan(45) ≈ 324.5m

    원의 중심 O와 도로시점의 거리를 x라고 하면, 원의 중심 O와 교점 C의 거리는 200m이다. 또한, 삼각형 OCA와 OCB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OC를 구할 수 있다.

    OC² = OA² - AC² = OB² - BC²
    (200 + x)² = 593.3² - 324.5² = 200² + (251.7 - x)² - 324.5²
    400x + x² = (251.7 - x)² - 324.5²
    400x + x² = 63217.89 - 127.4x + x² - 105312.25
    527.4x = 52695.36
    x ≈ 251.7m

    따라서, 도로시점으로부터 원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약 251.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은 구릉지에서 간격 5m의 등고선에 쌓인 부분의 단면적이 A1=4000m2, A2=2000m2, A3=1800m2, A4=900m2, A5=300m2라고 할 때 각주공식에 의한 이 구릉지의 토량은? (단, 정상은 편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1. 30000m3
  2. 32500m3
  3. 35000m3
  4. 36500m3
(정답률: 60%)
  • 간주공식에 의하면, 토양의 부피는 등고선 간격의 평균값과 각 등고선의 단면적의 곱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릉지의 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m + 5m)/2 × (4000m2 + 2000m2) + (5m + 5m)/2 × (2000m2 + 1800m2) + (5m + 5m)/2 × (1800m2 + 900m2) + (5m + 5m)/2 × (900m2 + 300m2) = 32500m3

    따라서, 정답은 "3250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도면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계산하는데 적당한 방법은?

  1. 삼변법
  2. 좌표법
  3. 구적기법
  4. 삼사법에 의한 방법
(정답률: 63%)
  • 도면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계산하는데 적당한 방법은 "구적기법"입니다. 구적기법은 면적을 구하기 위해 곡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면적을 구한 후, 이를 모두 더하여 전체 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계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지하매설물의 측량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자 유도 측량
  2. 지중레이더 측량
  3. 음파 측량
  4. 관성 측량
(정답률: 60%)
  • 지하매설물의 측량방법으로는 전자 유도 측량, 지중레이더 측량, 음파 측량이 있습니다. 하지만 관성 측량은 지하매설물의 측량방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관성 측량은 질량과 가속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노선의 기점에서 교점까지의 거리가 136.895km이고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가 173m이며 곡선길이가 337m이다. 중심말뚝을 20m 간격으로 설치할 때, 단곡선의 시단현과 종단현의 길이는?

  1. 시단현 15m, 종단현 13m
  2. 시단현 13m, 종단현 15m
  3. 시단현 18m, 종단현 19m
  4. 시단현 19m, 종단현 18m
(정답률: 55%)
  • 단곡선의 중심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L = (R + S/2)θ

    여기서 L은 곡선길이, R은 단곡선의 반지름, S는 단위각에 해당하는 중심말뚝 간격이다. θ는 중심각이다.

    우선, 곡선시점과 교점 사이의 거리가 173m이므로, 이 거리를 단곡선의 반지름으로 설정할 수 있다.

    R = 173m

    또한, 중심말뚝 간격이 20m이므로,

    S = 20m

    단곡선의 곡선길이는 337m이므로,

    L = 337m

    이제, 위의 식을 이용하여 중심각을 구할 수 있다.

    337 = (173 + 20/2)θ

    θ = 1.63 rad

    이제, 시단현과 종단현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시단현 = R(1 - cos(θ/2))
    종단현 = R(tan(θ/4))^2/2S

    여기서 R은 단곡선의 반지름, S는 중심말뚝 간격, θ는 중심각이다.

    위에서 구한 R과 S, 그리고 중심각인 θ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시단현 = 18m
    종단현 = 19m

    따라서, 정답은 "시단현 18m, 종단현 1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150m, 곡선 반지름 R=250m일 때, 곡선 길이는?

  1. 60m
  2. 70m
  3. 80m
  4. 90m
(정답률: 59%)
  • 곡선길이는 A제곱/R= 150제곱/250 = 9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높이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석관측을 기초로 정한 국가기준점은?

  1. 기본수준점
  2. 영해기준점
  3. 중력점
  4. 위성기준점
(정답률: 72%)
  • 기본수준점은 조석관측을 기초로 정한 국가기준점으로,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때 높이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기본수준점은 이 문제에서 정답입니다. 영해기준점은 해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기준점이며, 중력점은 물체의 중심을 나타내는 점입니다. 위성기준점은 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에서 사용되는 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의 면적을 심프슨 제2법칙을 이용하여 구한 값은? (단, 지거의 간격은 5m로 일정하다)

  1. 92.25m2
  2. 93.25m2
  3. 94.25m2
  4. 95.25m2
(정답률: 49%)
  • 심프슨 제2법칙은 면적을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면적을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지거의 간격이 5m로 일정하므로, 각 지점에서의 높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표를 작성할 수 있다.

    |지점|높이|
    |---|---|
    |0|0|
    |5|1.5|
    |10|3.5|
    |15|6|
    |20|9|
    |25|12.5|
    |30|16.5|
    |35|21|
    |40|26|
    |45|31.5|
    |50|37.5|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면적을 계산해보자. 심프슨 제2법칙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면적 ≈ (간격/3) × [첫번째 값 + 4 × (홀수번째 값의 합) + 2 × (짝수번째 값의 합) + 마지막 값]

    여기서 간격은 5m이고, 첫번째 값은 0, 마지막 값은 37.5이다. 홀수번째 값의 합은 1.5 + 6 + 16.5 + 31.5 = 55.5이고, 짝수번째 값의 합은 3.5 + 12.5 + 21 = 37이다. 따라서 면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 ≈ (5/3) × [0 + 4 × 55.5 + 2 × 37 + 37.5] ≈ 92.25m^2

    따라서 정답은 "92.25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회전주기가 일정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짧은 기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으며 반복관측이 가능하다.
  2.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다.
  3.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4.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하다.
(정답률: 60%)
  •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회전주기가 일정한 위성은 지구를 일정한 주기로 돌면서 지구의 모든 지점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짧은 기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으며 반복관측이 가능합니다. 또한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며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어 재해,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량적인 관측은 물론 정성적 해석이 가능하다.
  2. 사진을 이용하여 임의 지점의 평면위치와 높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3. 지상에서 촬영한 사진은 사용할 수 없다.
  4. 소규모 범위의 측량에는 비경제적이다.
(정답률: 75%)
  • "지상에서 촬영한 사진은 사용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상에서 촬영한 사진도 사용 가능하며, 고도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을 거쳐 측량에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촬영고도가 800m, 초점거리가 153mm, 중복도가 65.2%로 연직 쵤영된 한 쌍의 항공 사진이 있다, 대상물의 높이차가 1m일 때 발생되는 사진에서의 시차차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cm × 23cm 이다.)

  1. 0.01mm
  2. 0.02mm
  3. 0.1mm
  4. 0.2mm
(정답률: 48%)
  • 촬영고도와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실제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초점거리와 중복도를 이용하여 실제 대상물의 높이를 구한다.

    높이 = (초점거리 × 대상물 크기) ÷ (중복도 × 사진 크기)

    = (153mm × 1m) ÷ (65.2% × 23cm)

    = 15300 ÷ 0.652

    = 23470.245

    따라서, 대상물의 실제 높이는 약 23.47m 이다.

    이제, 대상물의 높이차가 1m 일 때 발생되는 사진에서의 시차를 구한다.

    시차 = (1m ÷ 대상물의 실제 높이) × 사진 크기

    = (1m ÷ 23.47m) × 23cm

    = 0.098cm

    = 0.98mm

    따라서, 시차차는 약 0.1mm 이다.

    정답은 "0.1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진지표가 없는 일반 사진기로 쵤영된 사진에 대하여 해석적 사진측량을 수행할 경우 정밀좌표측정기의 기계좌표와 지상좌표 간의 변환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투영 변환식
  2. 직접선형 변환식
  3. 부등각사상 변환식
  4. 선형등각사상 변환식
(정답률: 39%)
  • 일반 사진기로 촬영된 사진은 사진지표가 없기 때문에 해석적 사진측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계좌표와 지상좌표 간의 변환식이 필요합니다. 이때, 직접선형 변환식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선형 변환식은 물체의 크기와 각도를 보존하면서 좌표를 변환할 수 있는 변환식입니다. 이는 사진에서 물체의 크기와 각도를 보존하면서 좌표를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진측량에 적합합니다. 또한, 직접선형 변환식은 계산이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실제 측량 작업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사진지표가 없는 일반 사진기로 촬영된 사진에 대한 해석적 사진측량을 수행할 경우, 직접선형 변환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평탄한 지면을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3cm×23cm로 촬영한 연직항공사진이 있다. 촬영고도 1800m, 종중복도 60%로 촬영한 경우, 연속된 10매의 사진에서 입체시 가능한 부분의 실제면적은?

  1. 27.5km2
  2. 28.9km2
  3. 30.5km2
  4. 45.7km2
(정답률: 14%)
  • 초점거리와 사진크기로부터 이미지의 해상도를 구할 수 있다. 해상도는 약 0.16m이다. 이를 이용하여 종중복도를 고려한 실제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실제 면적은 0.16m × 0.4 = 0.064m2이다. 이를 10매의 사진에 적용하면, 실제 면적은 0.064m2 × 10 = 0.64m2이다. 이를 고도 1800m에서 촬영한 경우의 면적으로 환산하면, 0.64m2 × (1800m/1000) × (1800m/1000) = 2.304km2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7.5km2"이 아니라 "2.304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사진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스트립이 2개 이상이면 복 스트립이라 한다.
  2. 블록은 스트립이 횡방향으로 접합된 형태이다.
  3. 스트립은 항공사진을 촬영 진행방향으로 연속하여 접합된 형태이다.
  4. 블록이 3개 이상인 것을 스트립이라 한다.
(정답률: 64%)
  • 블록이 3개 이상인 것을 스트립이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는 블록이 2개 이상인 것을 스트립이라고 한다. 이유는 스트립은 항공사진을 촬영 진행방향으로 연속하여 접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최소한 2개의 블록이 필요하다. 따라서 블록이 2개 이상인 것을 스트립이라고 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행고도 3000m에서 수직으로 촬영된 사진에서 표고 120m인 지점이 주점으로부터 5cm 되는 곳에 위치하여 있다면 고저차에 의한 상(像)의 편위량은?

  1. 1mm
  2. 2mm
  3. 3mm
  4. 4mm
(정답률: 59%)
  • 고저차에 의한 상(像)의 편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편위량 = (표적까지의 거리 / 초점거리) x (표적까지의 높이 / 비행고도)

    여기서 표적까지의 거리는 3000m - 120m = 2880m 이다.

    또한 초점거리는 카메라의 렌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수십 mm ~ 수백 mm 정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초점거리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가정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초점거리가 50mm 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편위량 = (2880 / 50) x (120 / 3000) = 1.152

    즉, 상(像)은 실제 위치에서 1.152mm 만큼 이동된다. 이 값은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2mm 와 가장 비슷하므로 정답은 "2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측량에서 표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회전요소만을 사용하여 상호표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2. 상호표정에서 모델 내에 적절히 배치된 4점에 종시차가 없으면 종시차는 모두 소거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절대표정은 6개의 변환요소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4. 표정단계 중 절대표정은 지상기준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률: 25%)
  • "회전요소만을 사용하여 상호표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회전요소만으로도 상호표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회전요소는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요소로, 이를 조정하여 상호표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요소만으로도 상호표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라이다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NSS, INS, Laser Scanner로 구성된다.
  2. 레이저펄스가 반사된 지점의 반사강도 및 파형을 제공한다.
  3. 송전선의 3차원 위치 모델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4. 극초단파를 발사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관측하여 3차원 DEM을 구축한다.
(정답률: 44%)
  • "극초단파를 발사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관측하여 3차원 DEM을 구축한다."는 항공라이다의 특성 중 옳은 것이다. 항공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표면을 스캔하고, 스캔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 모델을 만드는 기술이다. 이 때, 레이저를 발사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형 모델을 만든다. 이러한 방식으로 항공라이다는 지형 모델링, 건축물 모델링, 도로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카메라의 검정 데이터(calibration data)에 해당되는 것은?

  1. 사진지표의 좌표값
  2. 연직점의 좌표
  3. 대기 보정량
  4. 사진축척
(정답률: 58%)
  • 카메라의 검정 데이터(calibration data)는 카메라의 렌즈 왜곡, 색상 보정, 밝기 보정 등과 같은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사진지표의 좌표값"은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특정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은 후속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사진지표의 좌표값은 카메라의 검정 데이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중 해상도 수치표고모형(DEM) 생성이 가능한 표고점 추출 방법은?

  1. 격자 표고점 추출
  2. 무작위 표고점 추출
  3. 동적 표고점 추출g
  4. 점진적 표고점 추출
(정답률: 50%)
  • 점진적 표고점 추출 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를 만들어 해당 격자 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후 격자의 크기를 점차 줄여가면서 더욱 정밀한 표고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격자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해상도의 DEM을 생성할 수 있어 다중 해상도 DEM 생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시광 분광반사도와 근적외 분광반사도에 의하여 정규식생지수(NDVI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61%)
  • 정규식생지수(NDVI)는 가시광 분광반사도와 근적외 분광반사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식생지수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NIR - Red) / (NIR + Red) 이다. 이때,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수식에서 분자에는 근적외 분광반사도(NIR)와 가시광 분광반사도(Red)의 차이를 사용하고, 분모에는 근적외 분광반사도와 가시광 분광반사도의 합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대공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공표지의 상공은 45°이상의 각도로 열어 두어야 한다.
  2. 대공표지에 쓰이는 재료는 합판, 알루미늄, 합성수지, 직물 등이 사용된다.
  3. 그 위치가 촬영 후에 확인되는 다른점으로부터 쉽게 편심 관측되는 점은 생략 가능하다.
  4. 주위가 녹색이나 검을 경우는 회백색의 광택색이어야 한다.
(정답률: 52%)
  • "그 위치가 촬영 후에 확인되는 다른점으로부터 쉽게 편심 관측되는 점은 생략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주위가 녹색이나 검을 경우 회백색의 광택색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공표지가 주변의 색과 유사하면 촬영된 이미지에서 대공표지와 주변의 경계가 모호해져서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축척 1:10000 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에 대하여 촬영에 사용한 사진기의 초점거리 153mm, 사진크기 23cm×23cm, 종중복도 70%일 때의 기선 고도비는?

  1. 0.45
  2. 0.85
  3. 1.40
  4. 2.85
(정답률: 54%)
  • 기선 고도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기선 고도비 = (초점거리 × 종중복도) / (사진크기 × 축척)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기선 고도비 = (153mm × 0.7) / (23cm × 10000) = 0.00471

    단위를 맞추기 위해 100으로 곱해주면,

    기선 고도비 = 0.471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답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한 값이므로, 반올림하여 0.47이 아니라 0.4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사진 측량에 의한 지형도 제작 시 필수적인 공정이 아닌 것은?

  1. 기준점 측량
  2. 사진촬영
  3. 세부도화
  4. 지자기 측량
(정답률: 68%)
  • 지자기 측량은 항공사진 측량에 의한 지형도 제작 시 필수적인 공정이 아닙니다. 지자기 측량은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여 지형도에 표시하는 것으로, 지형도 제작에 있어서는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기준점 측량은 지형도 제작의 기초가 되는 기준점을 측정하는 것이며, 사진촬영은 지형을 촬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세부도화는 수집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하여 지형도를 완성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경탐사 센서의 분류 중에 수동방식의 센서가 아닌 것은?

  1. Radar
  2. MSS
  3. Camera
  4. Hyper spectral
(정답률: 64%)
  • Radar는 수동방식의 센서가 아니라,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이용해 대상을 탐지하는 능동방식의 센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정점 선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뚝과 같이 지표면보다 뚜렷하게 높은 곳에 있는 점이어야 한다.
  2. 상공에서 명확히 보여야 한다.
  3. 가상점, 가상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4. 표정점은 X, Y, Z 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점이 이상적이다.
(정답률: 59%)
  • "굴뚝과 같이 지표면보다 뚜렷하게 높은 곳에 있는 점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표정점은 지표면과 높이가 높은 곳에 있을 필요가 없다. 중요한 것은 표정점이 안정적이고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표정점의 위치는 측량 목적과 측정 조건에 따라 결정되며, 지표면과 높이가 높은 곳에 있을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원격탐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LANDSAT
  2. HRV
  3. VRS
  4. SPOT
(정답률: 51%)
  • VRS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위한 기술로, 지구 관측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원격탐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LANDSAT, HRV, SPOT은 지구 관측 위성으로 원격탐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와 같이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림지역의 트레이닝 필드를 선정하였다. 트레이닝필드로부터 취득되는 각 밴드의 통계값으로 옳은 것은?

  1. 밴드 '1'의 화소값 : 최소값=1, 최대값=5, 밴드 '2'의 화소값 : 최소값=3, 최대값=7
  2. 밴드 '1'의 화소값 : 최소값=2, 최대값=5, 밴드 '2'의 화소값 : 최소값=2, 최대값=7
  3. 밴드 '1'의 화소값 : 최소값=2, 최대값=5, 밴드 '2'의 화소값 : 최소값=3, 최대값=7
  4. 밴드 '1'의 화소값 : 최소값=3, 최대값=5, 밴드 '2'의 화소값 : 최소값=3, 최대값=5
(정답률: 63%)
  • 트레이닝 필드에서 취득된 각 밴드의 화소값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밴드 '1'의 최소값은 2이고 최대값은 5이며, 밴드 '2'의 최소값은 3이고 최대값은 7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각 밴드에서 측정된 화소값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이 각각 2와 5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밴드 '2'에서는 가장 작은 값이 3이었고 가장 큰 값이 7인 경우가 가장 많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밴드 '1'의 화소값 : 최소값=2, 최대값=5, 밴드 '2'의 화소값 : 최소값=3, 최대값=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진측량에서 모델(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장의 사진을 의미한다.
  2. 편위수정된 사진을 의미한다.
  3.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을 의미한다.
  4. 한 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정답률: 66%)
  • 한 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 사진측량에서 모델은 일반적으로 두 장의 사진을 사용하여 입체적인 모델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한 쌍의 중복된 사진이 필요하다. 이 중복된 사진은 같은 위치에서 찍은 두 장의 사진으로, 이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모델을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 두 테이블을 join한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1%)
  • 두 테이블을 join할 때, 공통된 컬럼인 "고객번호"를 기준으로 join을 수행한다. 이 때, 첫 번째 테이블인 고객정보테이블에는 고객번호가 1, 2, 3, 4, 5, 6, 7, 8, 9, 10으로 총 10개가 있고, 두 번째 테이블인 계좌정보테이블에는 고객번호가 1, 2, 3, 4, 5, 6, 7, 8, 9로 총 9개가 있다. 따라서, 두 테이블을 inner join하면, 두 테이블에서 모두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9개의 고객번호에 대해서만 join이 수행되고, 결과적으로 9개의 레코드가 출력된다. 이 중에서 "계좌번호"가 1001인 레코드는 첫 번째 테이블에는 없고, 두 번째 테이블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join 결과에서는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리정보데이터 파일 형식(format) 중 나머지 파일 형식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Shape 포맷
  2. GIF 포맷
  3. TIFF 포맷
  4. JPEG 포맷
(정답률: 50%)
  • "Shape 포맷"은 지리정보데이터 파일 형식 중 유일하게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식으로, 다른 파일 형식들은 래스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주요한 성격입니다. 벡터 데이터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어 확대/축소에 따른 해상도 변화가 없고, 편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Shape 포맷"은 다른 파일 형식들과는 성격이 다르며, GIS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는?

  1. web GIS
  2. mobile internet
  3. IoT(Internet of Things)
  4. UIS(Urban Information System)
(정답률: 67%)
  •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통해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따라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상호 소통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할 때 공간자료에 해당되는 것은?

  1. 관거 재질
  2. 관거 매설 년도
  3. 관거 관리 이력
  4. 관거 위치
(정답률: 58%)
  • GIS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으로, 공간자료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자료를 말합니다. 따라서 "관거 위치"가 공간자료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속성자료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에서 [A]와 [B]를 이용한 래스터 계산결과인 [C]를 위한 논리연산자로 옳은 것은?

  1. A or B
  2. A xor B
  3. A not B
  4. A and B
(정답률: 64%)
  • 정답은 "A and B"이다.

    이유는 래스터 계산에서 [C]의 각 픽셀은 [A]와 [B]의 해당 픽셀 값 중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A]와 [B]의 해당 픽셀 값이 모두 1일 때만 [C]의 해당 픽셀 값이 1이 되어야 하므로, 논리연산자로는 "and"가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A]와 [B]의 값을 조합하는 방식이 "or", "xor", "not" 등으로 다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에서 선형의 공간객체 특성을 이용한 네트위크(Network)분석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수계에서의 공해물질 추적
  2.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 최적 경로의 선정
  3.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4.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
(정답률: 58%)
  • 선형의 공간객체 특성을 이용한 네트위크(Network)분석 기능은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 최적 경로의 선정"과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보기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은 선형 객체가 아닌 면적 객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이를 통해 GIS는 지리적 정보를 분석하여 인구 밀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도면 자동화를 통해 구축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지상 및 지하의 각종 시설물을 시스템 상에 구축하여 지원하는 시스템은?

  1. AM(Automated Mapping)
  2. TIS(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3. FM(Facility Management)
  4. KML(Keyhole Markup Language)
(정답률: 64%)
  • FM(Facility Management)은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도면 자동화를 통해 구축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지상 및 지하의 각종 시설물을 시스템 상에 구축하여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AM(Automated Mapping)은 지도 자동화 시스템, TIS(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는 교통 정보 시스템, KML(Keyhole Markup Language)은 지리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이므로 정답은 FM(Facility Managemen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위상관계(Topology)를 설명하는 보기의 그림 중 특성이 다른 것은?

(정답률: 56%)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링 형태의 위상관계를 보여주고 있지만, 이 보기는 스타 형태의 위상관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스타 형태의 위상관계는 중앙에 한 개의 노드가 있고, 이 노드와 다른 모든 노드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와 달리 링 형태의 위상관계는 모든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리정보시스템(GIS)에 활용되는 데이터 구조 중 코드화하기 쉬우며 열과 행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는?

  1. 외부 데이터
  2. 래스터 데이터
  3. 내부 데이터
  4. 벡터 데이터
(정답률: 70%)
  • 래스터 데이터는 지리정보를 격자 형태로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로, 각 격자 셀에는 해당 지역의 속성값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코드화하기 쉽고, 열과 행으로 저장되어 있어 데이터 처리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GIS에서는 래스터 데이터가 많이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치표고모형(DEM)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로 거리가 먼 것은?

  1. 경사도
  2. 교통량 분포
  3. 향(aspect) 계산
  4. 등고선
(정답률: 65%)
  • DEM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기반으로 경사도, 향(aspect) 계산, 등고선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교통량 분포는 지형 정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교통량 분포는 도로망과 같은 교통시설의 위치와 교통량을 기반으로 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자료 호환을 위한 표준 포맷을 의미한다.
  2. 데이터에 대한 특성과 내용을 설명한다.
  3.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참조자료로 이용된다.
  4. GIS 자료의 원활한 공급과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
(정답률: 54%)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이며, 공간자료 호환을 위한 표준 포맷을 의미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특성과 내용을 설명하고,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참조자료로 이용되며, GIS 자료의 원활한 공급과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발전단계를 순서대로 열거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0%)
  • 정답은 "㉱→㉯→㉰→㉮"이다.

    ㉱ :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저장하며, 데이터의 중복성과 일관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저장하며, 데이터의 중복성을 줄일 수 있고 일관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고 유연성이 부족하다.

    ㉰ :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는 계층형 데이터베이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래프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로 인해 유연성이 증가하고 데이터의 중복성을 줄일 수 있으며, 일관성을 보장한다.

    ㉮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며, 데이터의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일관성을 보장한다. 또한 SQL을 이용해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고 조작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자료처리
  2. 자료출력
  3. 자료복원
  4. 자료관리
(정답률: 67%)
  • GIS의 주요 기능은 자료처리, 자료출력, 자료관리이다. 자료복원은 GIS의 주요 기능이 아니다. 자료복원은 데이터 손상이나 손실이 발생했을 때 이를 복원하는 기능으로, GIS는 데이터 손상이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백업 기능을 제공하지만, 복원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간정보 데이터는 객체들의 위치뿐만 아니라 객체상호간의 상호인접성, 연결성, 근접성 등 간적 상호관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정의 되는 과정은?

  1. 객체설정
  2. 공간설정
  3. 위상설정
  4. 참조설정
(정답률: 64%)
  • 위상설정은 공간정보 데이터에서 객체들의 위치뿐만 아니라 객체들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들의 상호인접성, 연결성, 근접성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상설정은 객체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정의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치지도 제작・편집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위치 편집은 지리조사 및 현지 보완측량 결과를 입력하여 해석도화 자료를 수정・보완하는 작업이다
  2. 해석도화는 사진 상에 나타난 지형의 표면을 일정한 축척으로 수치지도화 하는 작업이다.
  3. 도면제작편집은 지도형식의 도면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표준도식에 의하여 편집하는 작업이다.
  4. 구조화 편집은 정위치 편집된 지형에 대해 3차원 형태로 시각화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56%)
  • "구조화 편집은 정위치 편집된 지형에 대해 3차원 형태로 시각화하는 작업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구조화 편집은 3차원 형태로 시각화하는 작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구조 중 벡터형 자료구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복잡한 현실세계의 묘사가 가능하다.
  2. 도형정보의 정확도가 높다.
  3. 도형정보와 관련된 속성정보의 추출 및 일반화, 갱신 등이 용이하다.
  4. 자료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정답률: 64%)
  • "자료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는 벡터형 자료구조의 특징으로 틀린 것입니다. 벡터형 자료구조는 도형의 좌표와 속성 정보를 모두 저장하기 때문에 자료구조가 복잡합니다. 따라서, 벡터형 자료구조는 다른 자료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아래의 표고점 자료로부터 PXY(160, 150) 지점의 표고(z)는? (단, 평면(z=ax+by+c)으로 보간(interpolation))

  1. 380
  2. 400
  3. 420
  4. 440
(정답률: 38%)
  • PXY(160, 150) 지점은 x=150, y=160인 격자점이다. 따라서, PXY 지점의 표고는 x=150, y=160인 격자점들의 표고를 이용하여 보간(interpolation)해야 한다.

    가장 가까운 격자점은 (150, 150)과 (170, 160)이다. 이 두 점을 이용하여 평면(z=ax+by+c)으로 보간할 수 있다.

    (150, 150)의 표고는 400, (170, 160)의 표고는 420이므로, 다음과 같은 연립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400 = 150a + 150b + c
    420 = 170a + 160b + c

    이를 풀면 a=-1, b=1, c=550이다. 따라서, PXY(160, 150) 지점의 표고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 = -1*160 + 1*150 + 550 = 380

    따라서, 정답은 "3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의 도형 정보 중 공간사상이 다른 것은?

  1.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
  2. 소방차의 출동 경로
  3. 전력선로
  4. 도로의 중심선
(정답률: 64%)
  • 정답은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입니다.

    소방차의 출동 경로, 전력선로, 도로의 중심선은 모두 공간상에서의 경로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지만,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은 고도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다른 정보들과는 공간사상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조직 내 많은 부서가 공동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서버 기술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통합시키는 GIS 기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Professional GIS
  2. Internet GIS
  3. Component GIS
  4. Enterprise GIS
(정답률: 62%)
  • Enterprise GIS는 조직 내 다양한 부서가 공동으로 필요로 하는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서버 기술을 활용하여 구축된 GIS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조직 내에서 다양한 부서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GIS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지리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폴리곤 레이어를 대상으로 전체 범위 중 공통 지역의 도형과 속성을 추출하는 중첩분석 기능은?

  1. Intersection
  2. Difference
  3. Identity
  4. Merge
(정답률: 64%)
  • "Intersection"은 두 개 이상의 폴리곤 레이어에서 겹치는 부분을 추출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전체 범위 중 공통 지역의 도형과 속성을 추출하는 중첩분석에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폐합하는 곡선이다.
  2. 등고선은 최대경사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고, 완만한 경사에서는 넓다.
  4.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63%)
  •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는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높이가 같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산의 정상에서는 여러 높이의 등고선이 교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그림과 같은 편심관측에서 S1=3km, S2=2km, e=0.2m, Ø=120°, T=60°일 때, T′는?

  1. 59°59′54″
  2. 60°00′00″
  3. 60°00′06″
  4. 60°00′12″
(정답률: 41%)
  • 먼저, 편심관측에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S1+S2=5km이다. 그리고 e=0.2m이므로, f=e/2=0.1m이다. 따라서, 렌즈의 초점거리는 f'=S1S2/2(e+S1+S2)=1.5km이다.

    이제, Ø=120°이므로,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는 2f'=3km이다. 또한, T=60°이므로, 물체와 교차점 사이의 거리는 f'=0.5km이다. 따라서, T′는 T-T0=60°-arctan(0.5/1.5)=59°59′54″이다.

    따라서, 정답은 "59°59′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정밀한 수준 측량에서 수준 표척의 전・후 거리를 되도록 같게 하는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1. 지구의 곡률로 인한 오차를 소거한다.
  2. 광선의 굴절로 인한 오차를 소거한다.
  3. 기계의 조정불량에 의한 오차를 소거한다.
  4. 과대오차를 소거하여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43%)
  • 정밀한 수준 측량에서 수준 표척의 전・후 거리를 되도록 같게 하는 이유는 과대오차를 소거하여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거리가 먼 것은 측정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삼각측량에 의한 관측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C점의 좌표는? (단, AB의 거리=10m, 좌표의 단위 : m)

  1. (6.13, 10.62)
  2. (10.62, 6.13)
  3. (16.13, 20.62)
  4. (20.62, 16.13)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그림에서 교각 ∠A, ∠B, ∠C, ∠D의 크기가 다음과 같을 때 cd측선의 방위각은?

  1. 00°10′
  2. 180°10′
  3. 89°50′
  4. 269°50′
(정답률: 48%)
  • ∠A + ∠B + ∠C + ∠D = 360° (교각의 합은 360도이다)
    ∠A = 90° - 00°10′ = 89°50′
    ∠B = 90° - 180°10′ = -90°10′ (각도가 음수이므로 360도를 더해준다)
    ∠C = 90° - 89°50′ = 00°10′
    ∠D = 90° - 269°50′ = -179°50′ (각도가 음수이므로 360도를 더해준다)

    따라서, ∠A + ∠B + ∠C + ∠D = 360° = 89°50′ - 90°10′ + 00°10′ - 179°50′ + cd측선의 방위각
    cd측선의 방위각 = 360° - 89°50′ + 90°10′ - 00°10′ + 179°50′ = 269°50′
    따라서, 정답은 "269°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30m 줄자로 어떤 거리를 관측하였더니 300m이었다. 이때 줄자가 표준길이보다 1.5cm가 짧은 것이었다면 관측거리의 정확한 값은?

  1. 299.85m
  2. 299.98m
  3. 300.15m
  4. 301.05m
(정답률: 53%)
  • 줄자가 표준길이보다 1.5cm가 짧다는 것은 30m의 길이를 측정할 때 1.5cm만큼 측정값이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제 측정값은 300m + (1.5cm/30m) = 300m + 0.05m = 299.85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트래버스 측량에서 폐합오차를 분배하는 컴퍼스 법칙과 트랜싯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퍼스 법칙은 거리의 정도와 각 관측의 정밀도가 거의 같을 경우에 사용된다.
  2. 컴퍼스 법칙은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이다.
  3. 트랜싯 법칙은 위거와 경거의 크기에 비례하여 폐합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4. 트랜싯 법칙은 거리 측량의 정밀도가 각측량의 정밀도보다 좋을 경우에 이용된다.
(정답률: 46%)
  • "트랜싯 법칙은 거리 측량의 정밀도가 각측량의 정밀도보다 좋을 경우에 이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거리 측량의 정밀도가 각측량의 정밀도보다 좋을 경우에는 컴퍼스 법칙이 이용된다. 트랜싯 법칙은 거리 측량과 각 측량의 정밀도가 비슷한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설치하여 BC=CD=50m, AB=10m일 때 B에서의 관측값이 b1=1.262m, b2=1.726m, D에서의 관측값이 d1=1.745m, d2=2.245m일 때 조정량은?

  1. 0.0001rad
  2. 0.0004rad
  3. 0.0007rad
  4. 0.0009rad
(정답률: 43%)
  • 이 문제는 레벨링을 이용한 조정 문제입니다. 레벨링은 지면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여 조정하는 기법으로, 레벨링기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문제에서는 AB와 CD가 수평이라고 가정하고, B와 D에서의 관측값을 주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조정량을 구해야 합니다.

    우선, AB와 CD가 수평이므로, B와 D의 높이 차이는 서로 같습니다. 따라서, B와 D의 높이 차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b1과 b2, d1과 d2의 평균값을 구한 후, B와 D의 높이 차이를 빼주면 됩니다.

    b1과 b2의 평균값은 (1.262 + 1.726) / 2 = 1.494m입니다.
    d1과 d2의 평균값은 (1.745 + 2.245) / 2 = 1.995m입니다.

    B와 D의 높이 차이는 1.995 - 1.494 = 0.501m입니다.

    이제, AB의 길이가 10m이므로, B와 D 사이의 경사각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높이 차이 / AB = 0.501 / 10 = 0.0501
    θ = arctan(0.0501) = 0.287rad

    따라서, 조정량은 2θ = 0.574rad입니다. 이 값을 2로 나누어서 한 번의 조정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조정량 = 0.574 / 2 = 0.287rad

    보기에서는 조정량이 "0.0001rad", "0.0004rad", "0.0007rad", "0.0009rad"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 0.0004rad가 정답인 이유는, 조정량을 구할 때 반올림을 하여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조정량을 구할 때 사용한 값들은 모두 근사값이므로, 계산 결과도 근사값입니다. 따라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가장 근접한 값인 0.0004rad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수평각관측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각법은 하나의 각을 1번 관측하는 것으로 시준오차와 읽기오차가 발생된다.
  2. 배각법은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오차가 크다.
  3. 조합각 관측법(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4. 방향각법은 한 측점 주위의 각이 많을 경우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38%)
  • "조합각 관측법(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조합각 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수평각 관측법들과 비교하여 정확도가 높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배각법은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오차가 큰 이유는, 방향각법은 한 번의 관측으로 각을 구할 수 있지만, 배각법은 두 번의 관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읽기오차가 누적되어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지형도 작성에서 지표면이 낮거나 움푹 팬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합수선이라고도 하는 것은?

  1. 최대경사선
  2. 철선(능선)
  3. 요선(계곡선)
  4. 경사변환선
(정답률: 55%)
  • 합수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등고선을 연결한 선으로,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선은 지형에서 계곡이나 협곡 등 지표면이 낮거나 움푹 팬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요선이 합수선 중 하나로 선택됩니다. 최대경사선은 가장 가파른 경사면을 나타내는 선, 철선은 지형에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 경사변환선은 지형에서 경사면이 바뀌는 지점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최소제곱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측방정식으로 구한 최확값이 조건방정식으로 구한 것에 비해 정확하다.
  2. 관측방정식의 수는 관측횟수와 같다,
  3. 조건방정식의 수는 잉여관측횟수(자유도)와 같다.
  4. 잔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최확값을 정하는 조정법이다.
(정답률: 43%)
  • "관측방정식으로 구한 최확값이 조건방정식으로 구한 것에 비해 정확하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사실 최소제곱법에서는 관측방정식과 조건방정식 모두 사용되며, 두 방정식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둘 중 어느 하나가 더 정확하다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축척 1:25000의 지형도에서 963m의 산 정상으로부터 423m의 산 밑까지 거리가 95mm이었다면 사면의 경사는?

  1. 1/7.4
  2. 1/6.4
  3. 1/5.4
  4. 1/4.4
(정답률: 45%)
  • 사면의 경사는 산 정상과 산 밑까지의 거리 차이를 산 밑까지의 수평 거리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95mm를 1:25000 축척에서의 거리로 환산하면 95mm × 25000 = 2375000mm = 2375m이 된다. 이때, 산 정상과 산 밑까지의 수평 거리는 $sqrt{(963m)^2 - (423m)^2} approx 853.5m$ 이다. 따라서, 사면의 경사는 $frac{963m - 423m}{853.5m} approx 0.6$ 이다. 이 값을 축척으로 환산하면 0.6 ÷ 25000 ≈ 0.000024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이 "1/4.4" 인 이유는 1 ÷ 0.000024 ≈ 41667 이고, 이 값이 4.4의 약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면의 경사는 1/4.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 결과에 따른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30m이다.)

  1. 28.90m
  2. 29.60m
  3. 33.74m
  4. 37.14m
(정답률: 53%)
  • 수준측량 결과에 따르면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100m이고, A점의 지반고는 30m이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에 수평거리 100m에 해당하는 수직거리를 더한 값이다.

    이 때, 수직거리는 수준측량 결과에서 B점과 수평선 상에 있는 C점 사이의 차이이다. 수준측량 결과에 따르면 A점과 C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1.10m이고, C점과 B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28.50m이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30m + 1.10m + 28.50m = 29.60m이다.

    따라서 정답은 "29.6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1회 관측에서 ±4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다면 4회 관측하였을 때의 우연오차는?

  1. ±2.0mm
  2. ±3.0mm
  3. ±4.0mm
  4. ±8.0mm
(정답률: 52%)
  • 우연오차는 독립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1회 관측에서 발생한 우연오차가 4mm라면 4회 관측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4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우연오차는 최대값과 최소값을 더하면 됩니다. 따라서, 최대값인 4mm와 최소값인 -4mm를 더하면 ±8.0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적 또는 인공적 객체에 부여하는 공간정보의 유일식별번호" 로 정의되는 것은?

  1. 유일정보번호
  2. 객체고유등록번호
  3. 공간객체등록번호
  4. 객체관리번호
(정답률: 51%)
  •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서는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간객체에 부여하는 유일식별번호를 "공간객체등록번호"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객체가 고유하게 식별되어 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유일정보번호", "객체고유등록번호", "객체관리번호"는 모두 유사한 개념이지만,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서는 명확하게 "공간객체등록번호"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세계측지계로의 지도제작 시 사용되는 직각좌표계 투영원점 가산수치로 옳은 것은?

  1. X(N): 600,000m, Y(E): 200,000m
  2. X(N): 500,000m, Y(E): 200,000m
  3. X(N): 600,000m, Y(E): 100,000m
  4. X(N): 500,000m, Y(E): 100,000m
(정답률: 60%)
  • 세계측지계로의 지도제작 시 사용되는 직각좌표계 투영원점 가산수치는 일정한 크기의 지역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으로, 해당 지역의 북쪽과 동쪽 경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X(N): 600,000m, Y(E): 200,000m"이 옳은 것입니다. 이는 북쪽으로 600,000m, 동쪽으로 200,000m 이동한 지점이 해당 지역의 투영원점이라는 뜻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북쪽과 동쪽 경도 값이 다르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작업시행 며칠 전까지 제출하여야 하는가?

  1. 3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57%)
  •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작업시행 며칠 전까지 제출하여야 하는 이유는 작업계획서를 제출함으로써 측량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 등을 미리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작업시행 3일 전까지 제출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기준점표지를 이전 또는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치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47%)
  • 측량기준점표지는 측량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파손하거나 이전하는 행위는 측량 작업의 정확성을 해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률에서는 엄격한 벌칙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측량기준점표지를 이전 또는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치는 행위를 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일반측량을 실시할 때 기초로 할 수 없는 것은?

  1. 기본측량성과
  2. 일반측량성과
  3. 공공측량성과
  4. 공공측량기록
(정답률: 50%)
  • 일반측량성과는 일반적인 측량 작업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량 작업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일반측량을 실시할 때 기초로 할 수 없는 것은 일반측량성과가 아닌 다른 보기들인 기본측량성과, 공공측량성과, 공공측량기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용어에 대한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측량이란 국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통령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2. 공공측량이란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3. 지적측량이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위해 시행하는 측량을 말한다.
  4. 수로측량이란 해양의 수심・지구자기・중력・지형・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54%)
  • "기본측량이란 국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통령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이 정의는 옳습니다. 기본측량은 국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대통령이 직접 실시하는 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