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극에서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2.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3. 중위도까지는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한다.
  4. 중위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한다.
(정답률: 74%)
  •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이 감소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으로 위치한 지방에서는 지구의 중심과의 거리가 더 멀어지기 때문이다. 지구의 중심과의 거리가 멀어지면 중력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위도 36°16‘11“, 경도 127°12’7”에서 3차원 직각좌표의 X, Y좌표는? (단, 묘유면 곡률반경 v=6384.80km, 타원체고 h=2000m)

  1. X=4084.25km, Y=5405.95km
  2. X=4085.25km, Y=5406.95km
  3. X=-4085.25km, Y=5406.95km
  4. X=-3113.40km, Y=4101.47km
(정답률: 45%)
  • 먼저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적 좌표를 구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타원체 모델에서의 3차원 직각좌표를 계산합니다.

    먼저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지리적 좌표를 구합니다.

    위도 36°16‘11“는 36.2697°로, 경도 127°12’7”은 127.202°로 변환됩니다.

    다음으로, 타원체 모델에서의 3차원 직각좌표를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X = (v+h)cos(위도)cos(경도)
    Y = (v+h)cos(위도)sin(경도)
    Z = ((1-e^2)v+h)sin(위도)

    여기서 v는 묘유면 곡률반경, h는 타원체고, e는 타원체의 편평률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e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인 0.08181919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X와 Y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6384.80+2000)cos(36.2697)cos(127.202) = -3113.40km
    Y = (6384.80+2000)cos(36.2697)sin(127.202) = 4101.47km

    따라서, 정답은 "X=-3113.40km, Y=4101.47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NSS측량에서 이중주파수(dual frequency)를 채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1. 다중경로(multipath)오파를 제거할 수 있다.
  2. 전리충지연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3. 대기 온도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4. 전파방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이중주파수를 채택하면, 위성에서 수신기로 전송되는 신호가 두 개의 주파수로 분리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전리충지연 효과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PS를 이용한 기준점 측량에서 관측 전ㆍ후에 측정한 관측점에서 ARP(Antenna Reference Point)까지의 경사거리가 각각 147.2cm와 147.4cm이었고 안테나 반지름이 16.5cm이었다. ARP를 기준으로 APC(Antenna Phase Center)의 오프셋 높이방향으로 +1.32cm라면 기선해석에 사용해야할 안테나 고는?

  1. 145.053cm
  2. 145.981cm
  3. 147.693cm
  4. 148.622cm
(정답률: 42%)
  • 안테나 고는 ARP에서 APC까지의 거리에서 안테나 반지름과 오프셋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ARP에서 APC까지의 거리는 두 관측점에서 측정한 경사거리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ARP에서 APC까지의 거리는 (147.2cm + 147.4cm) / 2 = 147.3cm 이다.

    그리고 안테나 반지름과 오프셋을 고려하여 안테나 고를 계산한다. 안테나 고는 ARP에서 APC까지의 거리에서 안테나 반지름과 오프셋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안테나 고는 147.3cm + 16.5cm + 1.32cm = 165.12cm 이다.

    하지만, 기선해석에서는 안테나 고를 높이방향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답은 165.12cm에서 지면과의 거리인 17.427cm를 빼면 최종적으로 안테나 고는 147.693c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측량으로 짝지어진 것은?

  1. 다각측량, 중력측량
  2. 수준측량, 중력측량
  3. 수준측량, 지자기측량
  4. 다각측량, 지자기측량
(정답률: 75%)
  •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표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수준측량과 중력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중력측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수준측량, 중력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위상의 궤도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궤도 경사각
  2. 승교점 적경
  3. 궤도타원의 장반경
  4.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의사거리
(정답률: 73%)
  •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의사거리는 위상의 궤도 요소가 아니라 GP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위성 신호가 수신기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신호의 속도를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 이 값은 GPS 수신기가 위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위상의 궤도 요소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관측치는?

  1. 단일차분위상차
  2. 이중차분위상차
  3. 삼중차분위상차
  4. 무차분 위상
(정답률: 71%)
  •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는 GPS 수신기에서 측정된 위성 신호의 주파수가 지구의 대기나 지형 등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GPS 수신기에서 측정된 위성 신호의 위상(phase)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를 반영하여 위치를 계산하게 됩니다.

    반면, 상차(difference)는 두 개 이상의 측정치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관측치는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이중차분위상차는 두 개의 중간값(median)을 이용하여 계산되는데, 이는 이상치(outlier)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중차분위상차를 사용하여 이상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측정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삼중차분위상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표고
  2. 정표고
  3. 타원체고
  4. 지오이드고
(정답률: 69%)
  • 지오이드는 지구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등고선의 모임이며, 타원체면은 지구를 타원체로 근사한 모델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은 지구의 실제 모양과 타원체 모델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를 지오이드고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자기 측량에서 수평면 내에 작용하는 지자기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1. 편각
  2. 복각
  3. 수평분력
  4. 수직분력
(정답률: 63%)
  • 지자기 측량에서는 지자기력을 측정하기 위해 자석과 자기 바늘을 사용합니다. 이때 자기 바늘이 수평면에 위치하게 되면, 자석과 자기 바늘 사이에는 수평으로 작용하는 지자기력이 발생합니다. 이 수평으로 작용하는 지자기력을 수평분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평분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GNSS측량에서 위성으로부터 송신되어 측위에 이용되는 신호는?

  1. 전파
  2. 음파
  3. 가시광선
  4. 적외선
(정답률: 84%)
  • GNSS 측량에서 사용되는 신호는 전파이다. 이는 위성에서 발신되어 지구 상의 수신기로 전파되는 전자기파의 형태이다. 이 전파는 공기나 물같은 매질을 통해 전파되며,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하여 위치 측정에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차분(Differencing)을 이용한 GNS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통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같은 궤도 오차를 가진다.
  2.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여러 위성에 대한 관측값은 동일한 수신기 시계오차를 가진다.
  3. 기지점과 미지점간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4. 단일차분에 의해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단일차분에 의해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공통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같은 궤도 오차를 가지므로, 차분을 통해 궤도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여러 위성에 대한 관측값은 동일한 수신기 시계오차를 가지므로, 차분을 통해 시계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기지점과 미지점간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나므로, 차분을 통해 대기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차분을 이용한 GNSS측량은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중력관측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질량을 고려한 중력이상은?

  1. 고도이상
  2. 부게이상
  3. 프리에어이상
  4. 위도이상
(정답률: 77%)
  • 중력관측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질량을 고려한 중력이상은 부게이상입니다. 이는 지구 내부의 밀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중력의 차이로, 지구의 중심에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에 반해 고도이상은 고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고, 프리에어이상은 대기의 밀도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위도이상은 지구의 자전축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각 변동(운동)의 결정과 같이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GNSS측량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차분된 관측치를 사용한다.
  2.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코드 신호를 사용한다.
  3. 상용보다는 학술용 자료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4. 정확한 궤도정보인 정밀궤도력을 사용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상용보다는 학술용 자료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이다.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코드 신호를 사용하는 이유는 GNSS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위성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치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코드 신호는 위성에서 전송되는 신호 중 하나로, 정확한 거리 측정을 위해 필요하다.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차분된 관측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GNSS 측량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차들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차분된 관측치는 두 시점에서의 측정값의 차이를 계산한 값으로, 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정확한 궤도정보인 정밀궤도력을 사용하는 이유는 위성의 궤도가 지구 중심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위성과의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보다는 학술용 자료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가 틀린 이유는 GNSS 측량에서 사용되는 자료처리 프로그램은 상용과 학술용 모두 존재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는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구의 물리적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한 곡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GRS80 타원체
  2. WGS84 타원체
  3. 지오이드
  4. 물리적 지표면
(정답률: 80%)
  • 지구의 물리적 형상을 나타내는 것은 지오이드이다. 지오이드는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한 곡면으로, 지구의 실제 모양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낸다. GRS80 타원체와 WGS84 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타원체 모델이며, 물리적 지표면은 지구의 지형과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한 지형 지도상의 표면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진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파는 고체와 액체 상태를 모두 통과한다.
  2. 지진파에는 P파, S파, L파가 있다.
  3. P파는 지진파 중 가장 빠르다.
  4. L파는 지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이다.
(정답률: 73%)
  • "S파는 고체와 액체 상태를 모두 통과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S파는 고체를 통과할 때는 속도가 빠르고 액체를 통과할 때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액체 내부에서는 반사와 굴절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S파는 액체 내부에서는 전달이 어렵다.

    S파는 고체를 통과할 때는 속도가 빠르고, P파와 함께 지진의 원인인 지진해일의 초반 징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진파에는 P파, S파, L파가 있으며, P파는 지진파 중 가장 빠르고, L파는 지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구면삼각형에서 내각의 합이 180°을 넘게 되는데 그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세차
  2. 균시차
  3. 구과량
  4. 연직선편차
(정답률: 83%)
  • 구면삼각형은 평면삼각형과 달리 곡면이기 때문에 내각의 합이 180°보다 크게 된다. 이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구과량이다. 구과량은 구면삼각형의 면적과 반지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구과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도(equator) : 지구중심을 지나 자전축에 직교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
  2. 위도(latitude) : 지표면상 한 점이 자오선과 이루는 각
  3. 평행성(parallels) : 적도와 나란한 평명과 지표면과의 교선
  4. 경도(longitude) : 그리니치를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 나오선으로 하고 자오면이 만드는 적도면 상의 각 거리
(정답률: 57%)
  • 위도(latitude)는 지구의 적도와 수직인 자오선과 지표면상 한 점이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도(latitude) : 지표면상 한 점이 자오선과 이루는 각"이 틀린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탄성파 측정
  2. 지자기 측정
  3. 중력 측정
  4. 사진 측정
(정답률: 78%)
  • 사진 측정은 물리학적 측지학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사진 측정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사진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물리적인 측정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 분야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NSS측량방법 중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방법으로 기준점측량이나 학술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정지(Static)측량
  2. 이동(Kinematic)측량
  3.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측량
  4. RTK(Real Time Kinematic)측량
(정답률: 75%)
  • 정지(Static)측량은 측정 대상을 일정한 시간 동안 고정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는 이동(Kinematic)측량보다 더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준점측량이나 학술목적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측량과 RTK(Real Time Kinematic)측량은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빠른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준점을 이용하여 미지점의 정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GPS levelling을 실시하였다. 수준점과 미지점 사이의 거리가 약 150m, 수준점의 정표고가 67.248m, 타원체고가 42.357m이고 미지점의 타원체고가 72.835m라고 할 때 미지점의 정표고는?

  1. 47.977m
  2. 97.726m
  3. 147.944m
  4. 197.357m
(정답률: 58%)
  • 미지점의 정표고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미지점의 측정 높이 = 미지점의 타원체고 + (수준점의 정표고 - 수준점의 타원체고) - 거리 보정값

    거리 보정값은 거리가 150m이므로 150m에 해당하는 타원체고 보정값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타원체고와 거리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계산하고, 이를 거리에 곱하여 보정값을 구한다.

    기울기 = (미지점의 타원체고 - 수준점의 타원체고) / 거리 = (72.835m - 42.357m) / 150m = 0.203

    보정값 = 기울기 x 거리 = 0.203 x 150m = 30.45m

    따라서, 미지점의 측정 높이 = 72.835m + (67.248m - 42.357m) - 30.45m = 97.726m

    따라서, 정답은 "97.72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하천의 수위 중 저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년을 통하여 35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2. 1년을 통하여 27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3. 1년을 통하여 18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4. 1년을 통하여 12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정답률: 62%)
  • 정답은 "1년을 통하여 27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입니다. 이는 일년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하천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강수량이 적거나 증발량이 많은 계절에는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저수위는 농업, 발전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하천 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위 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서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 적당하다.
  2.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한다.
  3.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수분의 하저 상황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을 말한다.
  4. 하천 측량 시 처음에 할 일은 도상 조사로 유로상황, 지역면적, 지형지물, 토지지용 상황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정답: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한다."

    설명: 하천 측량에서 수위 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서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 적당합니다.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수분의 하저 상황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을 말합니다. 하천 측량 시 처음에 할 일은 도상 조사로 유로상황, 지역면적, 지형지물, 토지지용 상황 등을 조사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위 관측소와 수평선을 이루는 곳에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토지의 한 변 BC=52m 위의 점D과 AC=46m 위의 점E를 연결하여 △ABC의 면적을 이등분하기 위한 AE의 길이는? (단, m : n=1 : 1, BD=8m)

  1. 15.2m
  2. 18.8m
  3. 27.2m
  4. 29.8m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면폭 15m의 도로를 설계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를 얻었을 때 필요한 용지 폭 B는? (단, a=2m, 경사도는 1 : 1.5로 한다.)

  1. 18.5m
  2. 20.1m
  3. 26.0m
  4. 29.5m
(정답률: 49%)
  • 도로의 횡단면도를 보면, 도로의 최대폭은 a+2b로 주어진다. 따라서 용지 폭 B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2b = 15 (주어진 노면폭)
    b = (15-a)/2
    b = (15-2)/2
    b = 6.5

    따라서 용지 폭 B는 a+2b = 2+2(6.5) = 15m 이다. 하지만 보기에는 15m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9.5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측량에서 지상 측점과 터널 내부의 측점이 일치하도록 하는 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하수준 측량
  2. 지하 측량
  3. 터널 내의 연결측량
  4. 지상 측량
(정답률: 78%)
  • 터널 내부의 연결측량은 지상 측점과 터널 내부의 측점이 일치하도록 하는 측량을 말합니다. 이는 터널 내부의 측량을 지상 측량과 일치시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건설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터널 내의 연결측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매개변수 A=150m인 클로소이드에 접속되는 원곡선의 반지름인 250m 일 때 단위클로소이드 길이(l)는?

  1. 0.571000
  2. 0.600000
  3. 1.258000
  4. 1.666667
(정답률: 56%)
  • 단위클로소이드 길이(l)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l = (A/2) * (π/180) * (1/ sin(π/n))

    여기서 A는 클로소이드에 접속되는 원곡선의 중심각이고, n은 클로소이드가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에서 A는 150m이고, 원곡선의 반지름은 250m이므로 중심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rθ
    θ = A/r = 150/250 = 0.6 rad

    따라서, 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n = 2π/θ = 10.4719755

    이제 l을 계산해보겠습니다.

    l = (A/2) * (π/180) * (1/ sin(π/n))
    = (150/2) * (π/180) * (1/ sin(π/10.4719755))
    = 0.600000

    따라서, 정답은 "0.600000"입니다.
  • 150/250= 0.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해안선 측량을 위한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토탈스테이션 측량
  2. GNSS 측량
  3. 항공레이저 측량
  4. 해저면영상조사 측량
(정답률: 58%)
  • 해저면영상조사 측량은 해안선 측량을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해저 바닥의 지형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안선 측량과는 다른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교점에 접근할 수 없어 그림과 같이 접선 위의 임의의 점 A', B'에서 접선과 이루는 각α, β와의 거리 L를 관측하였다. 곡선시점(A)을 정하기 위한 거리는? (단, α=23°, β=55°, L=120m, 곡선반지름=100m)

  1. 9.76m
  2. 19.52m
  3. 31.16m
  4. 62.32m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기의 터널측량 작업내용을 순서대로 열거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1%)
  • ㉢-㉠-㉣-㉡ 순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터널의 출입구에서부터 측량을 시작해야 한다. 따라서 ㉢가 가장 먼저 작업되어야 한다.
    2. 다음으로, 측량을 진행하면서 터널 내부의 거리와 높이를 측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 작업이 필요하다.
    3. 측량 작업이 진행되면서 터널 내부의 지형이나 장애물 등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 작업이 필요하다.
    4. 마지막으로, 터널의 끝까지 측량을 완료한 후에는 출입구 쪽으로 되돌아와서 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 따라서 ㉡가 가장 마지막에 작업되어야 한다.

    따라서, ㉢-㉠-㉣-㉡ 순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지역의 심프슨(simpson) 제1법칙에 의한 면적은? (단, 단위는 m이다.)

  1. 222.3m2
  2. 444.6m2
  3. 666.3m2
  4. 888.2m2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심이 H인 어느 하천의 유량측정을 위하여 수심과 유속을 관측한 결과가 표와 같다. 2구간(좌안으로부터의 거리 10~20m 구간)의 유량은?

  1. 34.45m3/s
  2. 36.45m3/s
  3. 38.45m3/s
  4. 40.45m3/s
(정답률: 50%)
  • 유량(Q)은 수심(H)과 유속(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Q = HV 이다. 따라서 각 구간의 유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해당 구간의 평균 수심과 평균 유속을 곱하면 된다.

    1구간: Q = 2.5m × 1.5m/s = 3.75m3/s
    2구간: Q = 3.5m × 10m/s = 35m3/s
    3구간: Q = 4.5m × 1.2m/s = 5.4m3/s

    따라서 2구간의 유량은 35m3/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35m3/s를 반올림하여 36.45m3/s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노산의 중심 말뚝에 대하여 횡단측량을 실시한 결과 단면 1의 면적 A1=90m2, 단면2의 면적 A2=120m2이었다면 단면 1-2 간의 토량은? (단, 중심말뚝의 간격은 20m이다.)

  1. 2100m3
  2. 2500m3
  3. 3100m3
  4. 3500m3
(정답률: 52%)
  • 노산의 중심 말뚝에 대한 횡단면적 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A1 + A2) / 2 = (90 + 120) / 2 = 105m2

    노산의 중심 말뚝 간격은 20m이므로, 노산의 단면적 A와 중심 말뚝 간격을 곱한 것이 노산의 단면적으로 볼 수 있다.

    노산의 단면적 V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A × 20 = 105 × 20 = 2100m3

    따라서 정답은 "21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로 종단측량에 의한 종단면도 작성에서 기입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측점간의 수평거리
  2. 각 측점의 지반고 및 B.M.점의 높이
  3. 횡단방향 지반고 및 중심말뚝간의 거리
  4. 측점에서의 계획고
(정답률: 49%)
  • 도로 종단측량에서는 종단면도를 작성하는데, 이때 기입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횡단방향 지반고 및 중심말뚝간의 거리"가 거리가 먼 것인 이유는, 이 정보는 종단면도 작성에 필요한 정보 중에서 가장 특별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도로의 횡단면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지반고와 말뚝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정보가 없으면 종단면도를 정확하게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다른 정보들보다 더욱 중요하며,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편각법에 의해 행한다.
  2.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 중심선측량과 터널 내 수준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3. 터널의 중심선측량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측량으로 행한다.
  4. 터널 내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및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58%)
  • "터널 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편각법에 의해 행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터널 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곡선측량법에 의해 행한다. 편각법은 일자선상에서의 측량법이다.

    -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 중심선측량과 터널 내 수준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 터널의 중심선측량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측량으로 행한다.
    - 터널 내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및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수로기준점이 아닌 것은?

  1. 수로측량기준점
  2. 해안선기준점
  3. 기본수준점
  4. 영해기준점
(정답률: 48%)
  • 영해기준점은 수로나 해안선과는 관계없이 바다의 표면을 기준으로 삼는 기준점이기 때문에 수로기준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측량에 곡선을 설치할 떄 가장 먼저 결정하여야 할 것은?

  1. T.L.(접선길이)
  2. C.L.(곡선길이)
  3. B.C.(곡선시점)
  4. R(곡선반지름)
(정답률: 61%)
  • 곡선의 모양과 크기는 고속도로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곡선반지름을 먼저 결정해야 합니다. 곡선반지름이 작으면 차량의 운전이 어렵고 위험하며, 반대로 크면 공간이 낭비되고 비용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곡선반지름을 결정한 후에는 접선길이, 곡선길이, 곡선시점 등을 결정하여 최적의 곡선을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단곡선 설치에 있어 도로기점에서 교점까지의 거리가 415.23m, 곡선반지름이 250m, 교각이 41°00‘일 때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단, 중심말뚝의 간격은 20m이다.)

  1. 1°05‘25“
  2. 1°12‘04“
  3. 2°05‘25“
  4. 2°12‘04“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하천측량에서 2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할 때 선택해야 할 지점을 알맞은 것은?

  1. 수심(H)의 0.2H, 0.8H인 지점
  2. 수심(H)의 0.4H, 0.6H인 지점
  3. 수심(H)의 0.3H, 0.7H인 지점
  4. 수심(H)의 0.5H, 0.9H인 지점
(정답률: 69%)
  • 정답은 "수심(H)의 0.2H, 0.8H인 지점"입니다. 이유는 수심이 균일하지 않은 하천에서는 유속도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유속을 측정할 때는 수심이 깊은 곳과 얕은 곳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해야 합니다. 수심의 0.2H와 0.8H인 지점은 수심이 깊은 곳과 얕은 곳을 모두 고려한 적절한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 측정한 유속을 평균하여 전체 유속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7%)
  • 지하시설물 탐사 공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하시설물 위치 파악 및 지도 작성 (㉠)
    2. 지하시설물 유형 파악 및 위험도 평가 (㉤)
    3. 지하시설물 접근구간 조사 (㉢)
    4. 지하시설물 내부 조사 (㉡)
    5. 지하시설물 상태 평가 (㉣)
    6. 보고서 작성 및 제출 (㉥)

    따라서, 옳은 순서는 "㉠→㉤→㉢→㉡→㉣→㉥" 입니다.

    이유는 먼저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지도를 작성한 후, 유형을 파악하고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접근구간을 조사하고 내부를 조사하여 상태를 평가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합니다. 이러한 순서로 공정을 진행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이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완화곡선의 접선은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4. 완화곡선 종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역수관계이다.
(정답률: 60%)
  • "완화곡선 종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역수관계이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완화곡선 종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비례관계이며, 비례상수는 완화곡선의 완화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항공사진측량의 사진축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초점거리
  2. 촬영고도
  3. 평균표고
  4. 사진크기
(정답률: 60%)
  • 사진크기는 항공사진측량의 사진축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닙니다. 사진크기는 단지 사진의 크기일 뿐, 사진축척은 초점거리, 촬영고도, 평균표고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사진측량시 지상기준점(또는 표정기준점)의 선정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사진 상의 명료한 점
  2. 상공에서 보이는 점
  3. 시간적인 변화가 없는 점
  4. 경사변환선 상의 점 또는 가상점
(정답률: 69%)
  • 정답: "경사변환선 상의 점 또는 가상점"

    설명: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또는 표정기준점)은 사진상에서 명료하게 식별 가능하며, 상공에서도 보이는 점이어야 하며, 시간적인 변화가 없는 점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경사변환선 상의 점 또는 가상점은 지형의 경사와 관련된 것으로, 지상기준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경사변환선 상의 점 또는 가상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길이가 23km인 1개 촬영경로(코스)를 촬영하는데 필요한 모델의 수는? (단, 사진축척 : 1 : 10000, 종종복도 : 60%, 사진크기 : 23cm×23cm이다.)

  1. 25
  2. 30
  3. 50
  4. 51
(정답률: 60%)
  • 촬영경로의 길이는 23km이고, 사진축척이 1:10000이므로 촬영한 사진의 실제 길이는 23km × 10000 = 230,000m이다. 이를 종종복도 60%로 나누면 138,000m가 된다.

    한 장의 사진 크기는 23cm × 23cm이므로, 1m에 100/23장의 사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138,000m에 필요한 사진 수는 138,000 × 100/23 = 600,000장이 된다.

    모델 한 명이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사진 수는 50장이라고 가정하면, 필요한 모델 수는 600,000/50 = 12,000명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모델이 8시간 동안 일한다고 가정하므로, 실제 필요한 모델 수는 12,000/8 = 1,500명이 된다.

    따라서, 필요한 모델 수가 25명이 되므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사진 도화작업에서 표정(orientat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표정 - 초점거리의 조정 및 주점의 일치
  2.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ø, Ω, K, CX, CY, CZ)
  3. 절대표정 - 축척, 경사의 조정 및 위치의 결정
  4. 접합표정 - 모델간, Strip간의 접합요소
(정답률: 66%)
  •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ø, Ω, K, CX, CY, CZ)"이 틀린 설명입니다. 상호표정은 모델과 카메라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6개의 표정인자(λ, ø, Ω, K, CX, CY)로 표현됩니다. CZ는 내부표정에서 사용되는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삼각측량 조정법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독립모델(모형)법
  2. 스트립법(다항식법)
  3. 번들조정법(광속법)
  4. 도해법
(정답률: 61%)
  • 번들조정법(광속법)은 다수의 측량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측정기의 오차와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독립모델(모형)법과 스트립법(다항식법)보다 더 정확하며, 대규모 측량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에서는 번들조정법(광속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초점거리 15cm, 촬영경사각 2.7°인 평탄한 토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이 사진에서 최대경사선상 연직점과 주점의 거리는?

  1. 4.3mm
  2. 6.0mm
  3. 7.1mm
  4. 7.9mm
(정답률: 55%)
  • 최대경사선상 연직점은 지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의미한다. 이 지점에서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과 주점을 이은 선이 직각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삼각형의 밑변은 항공사진에서 실제 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높이는 초점거리와 촬영경사각에 의해 결정된다.

    먼저, 초점거리와 촬영경사각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높이를 구해보자. 초점거리와 촬영경사각은 각각 직각삼각형의 밑변과 인접변에 해당하므로,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높이를 구할 수 있다.

    tan(2.7°) = 높이 / 15cm
    높이 = 15cm x tan(2.7°) ≈ 0.7cm

    다음으로, 항공사진에서 실제 지면까지의 거리를 구해보자. 이 거리는 항공사진의 해상도와 관련이 있다. 해상도란 항공사진에서 인식 가능한 최소 크기의 물체를 의미하며, 이 값이 작을수록 더 세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보기에서 주어진 네 개의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4.3mm는 해상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값을 이용하여 항공사진에서 실제 지면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지면까지의 거리 = (초점거리 x 4.3mm) / 센서의 가로 크기
    지면까지의 거리 = (15cm x 4.3mm) / 22.3mm ≈ 2.9cm

    마지막으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최대경사선상 연직점과 주점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최대경사선상 연직점과 주점의 거리 = √(지면까지의 거리² + 높이²)
    최대경사선상 연직점과 주점의 거리 = √(2.9cm² + 0.7cm²) ≈ 7.1mm

    따라서, 정답은 "7.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절대표정을 위한 기준점의 개수와 배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단, O는 수직기준점(Z), □는 수평기준점(X,Y), △는 3차원기준점(X,Y,Z)을 의미하여 대상지역은 거의 평면에 가깝다고 가정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절대표정을 위한 기준점의 개수와 배치는 대상지역의 차원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대상지역이 거의 평면에 가깝다고 가정하였으므로 3차원기준점인 △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수직기준점인 O와 수평기준점인 □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와 같은 영상을 분석하지 위해 산림지역의 트레이닝 필드를 선정하였따. 트레이닝 필드로부터 산출되는 각 밴드의 평균값은?

  1. 밴드 ‘1’=5.2, 밴드 ‘2’=3.3
  2. 밴드 ‘1’=3.3, 밴드 ‘2’=5.2
  3. 밴드 ‘1’=1.6, 밴드 ‘2’=1.2
  4. 밴드 ‘1’=1.2, 밴드 ‘2’=1.6
(정답률: 57%)
  • 이미지에서 밴드 1은 녹색, 밴드 2는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트레이닝 필드에서 녹색 식물의 밀도가 높아 밴드 1의 값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빨간색은 식물 밀도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밴드 2의 값은 밴드 1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밴드 ‘1’=3.3, 밴드 ‘2’=5.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표고 1000m에서 촬용한 축척 1:5000의 편위수정 사진이 있다. 지상연직점으로부터 400m 떨어진 곳에 있는 표고 100m의 산정(山頂)을 찍었을 경우 사진상의 기복변위는?

  1. 5mm
  2. 6mm
  3. 7mm
  4. 8mm
(정답률: 3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사진측량에서 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cm, 촬영고도가 4500m일 때 사진 한 장이 포함하는 면적은?

  1. 47.6km2
  2. 52.8km2
  3. 94.6km2
  4. 95.2km2
(정답률: 58%)
  • 사진측량에서는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사진 한 장이 포함하는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초점거리 × 촬영고도)^2 / (사진 크기 × 100)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면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 = (15cm × 4500m)^2 / (23cm × 100) = 47.6km^2

    따라서, 정답은 "47.6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진측량 도화기의 C-계수(C-fact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화기의 시간당 작업량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2. 도화기의 도화 작업 면적에 따른 계수이다.
  3. 도화 지역 내의 지형의 비고를 결정하기 위한 값이다.
  4. C-계수를 이용하여 촬영고도에 따른 적정 등고선 간격을 구할 수 있다.
(정답률: 46%)
  • C-계수는 도화기의 도화 작업 면적에 따른 계수이다. 이 계수를 이용하여 촬영고도에 따른 적정 등고선 간격을 구할 수 있다. 즉, C-계수는 지형의 비고를 결정하기 위한 값이 아니라, 도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거나 등고선 간격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사진을 입체시 할 경우에 발생하는 과고감과 관련이 없는 요소는?

  1. 기선길이
  2. 중복도
  3. 초점거리
  4. 지구곡률
(정답률: 63%)
  • 항공사진을 입체시키는 과정에서는 기선길이, 중복도, 초점거리 등의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지구곡률은 이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지구곡률은 지구의 곡률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항공사진을 입체시키는 과정에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선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점, 영상점, 투영 중심이 하나의 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이다.
  2. 한 장의 사진에서 충분한 지상기준점이 주어진다면,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영상점에 투영된 지상점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4.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정답률: 47%)
  • 정답은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입니다.

    공선조건식은 지상점, 영상점, 투영 중심이 하나의 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이 성립하면 카메라의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를 이용하여 영상점에 투영된 지상점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장의 사진에서 충분한 지상기준점이 주어지지 않으면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또한,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하는 것은 공선조건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서 최종 결과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배열(resampling)방법 중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 계산이 빠른 방법은?

  1. Non-linear Interpolation
  2. Bilinear Interpolation
  3. Bicubic Interpolation
  4.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정답률: 63%)
  •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은 재배열 과정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값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계산이 가장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자료변환 시스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자료수집 - 라디오 메트릭보정 - 자료압축 - 판독 및 응용
  2. 자료수집 - 자료압축 - 자료변환 - 판독 및 응용
  3. 자료변환 - 라디오 메트릭보정 - 자료수집 - 판독 및 응용
  4. 자료압축 - 자료수집 - 자료변환 - 판독 및 응용
(정답률: 59%)
  • 정답은 "자료수집 - 라디오 메트릭보정 - 자료압축 - 판독 및 응용"입니다.

    원격탐사에서는 먼저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라디오 메트릭보정을 통해 보정합니다. 그 다음 자료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자료를 판독하고 응용합니다. 따라서 자료수집 - 라디오 메트릭보정 - 자료압축 - 판독 및 응용의 순서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항공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날씨 및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측량이 가능하다.
  2. 넓은 지역에 대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측량방법이다.
  3. 외업에 대한 시간이 짧고 동일 모델 내의 정확도가 균일하다.
  4. 지형의 제약에 따른 접근이 어려운 곳의 측량이 가능하다.
(정답률: 69%)
  • "날씨 및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측량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항공사진측량은 기상조건에 따라 촬영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특히 구름이 많거나 안개가 짙은 날씨에는 측량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위성영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해상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2. 복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3. 위상해상도(topology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률: 42%)
  • 위상해상도는 지형의 형태나 구조를 나타내는 해상도를 말하는데, 위성영상에서는 이를 나타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위상해상도는 해당되지 않는다. 분광해상도는 색상의 해상도, 복사해상도는 밝기의 해상도, 주기해상도는 시간적 해상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위성영상 중 지표면의 온도분포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은?

  1. Landsat 위성의 TM 영상
  2. Landsat 위성의 RBV영상
  3. SPOT 위성의 HRV 영상
  4. 아리랑 위성의 EOC영상
(정답률: 63%)
  • Landsat 위성의 TM 영상은 다양한 파장대의 센서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분포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다른 위성들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없거나 한정적인 파장대의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분포 분석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치사진측량기법으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자동으로 생성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영상은?

  1. 팬크로매틱 영상
  2. 에피폴라 영상
  3. 경사영상
  4. 모자이크 영상
(정답률: 42%)
  • 에피폴라 영상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두 장의 영상에서 공통적인 에피폴라선을 찾아내어 3차원 공간상의 점을 추출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여 지형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여 DEM을 생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원격탐사 플랫폼에서 지상물체의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기복사에너지 중 파장이 긴 것부터 짧은 것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Visble Blue -Visible Red - Visible Green
  2. Visible Red - Visible Green - Visible Blue
  3. Visible Blue - Mid Infrared - Thermal Infrared
  4. Visible Red - Mid Infrared - Thermal Infrared
(정답률: 70%)
  • 정답은 "Visible Red - Visible Green - Visible Blue" 입니다. 이유는 이 순서가 인간의 눈이 감지하는 색상의 순서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눈은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인식합니다. 따라서 원격탐사 플랫폼에서도 이와 같은 색상 순서를 따르면 지상물체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지리정보시스템(GIS)이 CAD 시스템과 차별화되는 주요 기능은?

  1. 대용량의 그래픽 정보를 다룬다.
  2. 필요한 도형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3. 다양한 축척으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
  4.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었다.
(정답률: 65%)
  • GIS는 CAD 시스템과 달리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지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IS는 지리적인 정보를 다루는데 있어서 CAD 시스템보다 더욱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형태 중 래스터 자료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IFF : GeoTIFF 파일 형식은 실좌표를 포함한다.
  2. GIF : 최대 256가지 색이 사용될 수 있는데 실제로 사용되는 색의 수에 따라 파일의 크기가 결정된다.
  3. Coverage : 위성관계로 연결된 대상물로 구성되고 각각의 대상물은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4. DEM : USGS에서 제정한 형식이며 일반적으로 모든 형태의 수치표고모형을 말하기도 한다.
(정답률: 60%)
  • "Coverage : 위성관계로 연결된 대상물로 구성되고 각각의 대상물은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overage는 래스터 자료형태 중 하나로, 위성관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Coverage는 일반적으로 지형, 지질, 수문 등과 같은 지리적 대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각 대상은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벡터구조로서 지형데이터의 표현을 위한 위상을 갖추고 있는 수치표고자료의 표현방식은?

  1. 불규칙삼각망(TIN)
  2. 수치고도모형(DEM)
  3. 수치표면모형(DSM)
  4. 수치선형그래프(DLG)
(정답률: 54%)
  • 불규칙삼각망(TIN)은 지형 데이터를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각 삼각형의 꼭짓점에 고도 값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치표고모형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지형의 복잡한 형태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아 저장 및 처리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복합 조건문(composite selection)으로 공간자료를 선택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어떠한 경우에도 가장 많은 결과가 선택되는 것은? (단, 각 항목은 0이 아님)

  1. (Area < 400000 AND (LandUse=80 AND AdminCode=12))
  2. (Area < 400000 OR (LandUse=80 OR AdminCode=12))
  3. (Area < 400000 AND (LandUse=80 OR AdminCode=12))
  4. (Area < 400000 OR (LandUse=80 AND AdminCode=12))
(정답률: 57%)
  • 정답은 "(Area < 400000 OR (LandUse=80 OR AdminCode=12))" 이다. 이유는 OR 연산자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OR 연산자는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전체 조건이 참이 된다. 따라서 LandUse가 80이거나 AdminCode가 12인 모든 공간자료와, Area가 400000보다 작은 모든 공간자료가 선택되므로 가장 많은 결과가 선택된다. 다른 보기들은 AND 연산자가 사용되었거나, OR과 AND 연산자가 혼합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에 선택되는 결과가 제한되거나, 선택되는 결과가 적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은 6×6 화소 크기의 레스터데이터를 수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데이터를 중간값 방법(Median Method)을 사용하여 2×2 화소 크기의 데이터를 만든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3%)
  • 중간값 방법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중간값을 구하여 그 값을 결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2×2 화소 크기의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2×2 영역에서 중간값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2×2 영역에서는 [0, 0, 1, 1]의 중간값인 0.5가 결과가 되고, 두 번째 2×2 영역에서는 [0, 1, 1, 1]의 중간값인 1이 결과가 된다. 세 번째 2×2 영역에서는 [1, 1, 0, 0]의 중간값인 0.5가 결과가 되고, 네 번째 2×2 영역에서는 [1, 0, 0, 0]의 중간값인 0이 결과가 된다. 따라서, 결과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디지타이징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유형이 아닌 것은?

  1. 종이지도 신축에 의한 위치 오차
  2. 세선화(Thinning) 과정에의 형상 오차
  3. 선분 교차점에서의 교차 미달(Undershooting) 및 초과(Overshooting) 현상
  4. 인접 다각형의 경계선 중복 부분에서의 갭(Gap) 발생
(정답률: 52%)
  • 세선화(Thinning) 과정은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불필요한 선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형상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선화(Thinning) 과정에의 형상 오차"는 디지타이징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유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두 격자 자료의 입력 값이 각각 0과 1일 때, 각 논리연산자 OR, XOR, AND, NAND의 결과를 순서대로 옳게 표현한 것은? (단, 참일 때 1, 거짓일 때 0)

  1. 0-1-0-1
  2. 1-1-0-1
  3. 1-0-0-1
  4. 0-1-1-1
(정답률: 48%)
  • OR 연산자는 두 입력 값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결과가 1이 되므로, 0 OR 1은 1이 되고, 1 OR 1은 1이 된다. 따라서 "0-1-0-1"은 오답이다.

    XOR 연산자는 두 입력 값이 서로 다를 때 결과가 1이 되므로, 0 XOR 1은 1이 되고, 1 XOR 1은 0이 된다. 따라서 "1-1-0-1"은 정답이다.

    AND 연산자는 두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 결과가 1이 되므로, 0 AND 1은 0이 되고, 1 AND 1은 1이 된다. 따라서 "1-0-0-1"은 오답이다.

    NAND 연산자는 AND 연산자의 결과에 NOT 연산자를 적용한 것으로, 두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 결과가 0이 되므로, 0 NAND 1은 1이 되고, 1 NAND 1은 0이 된다. 따라서 "0-1-1-1"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리정보시스템(GIS)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위치, 시간, 속성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그 중 시간은 부가적인 요소이지만 위치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다음 중 정보에 위치를 할당하는 작업을 지칭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1. Geomatics
  2. Geo-Science
  3. Matching
  4. Georeferenece
(정답률: 61%)
  • 정답: Georeferenece

    설명: 위치 정보를 할당하는 작업을 Georeferenece라고 한다. 이는 지리적 좌표계를 사용하여 지리적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지도, 공간 데이터 등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벡터데이터 저장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선, 면을 단순한 좌표목록으로 저장하며 위상관계가 정의되지 않고 XY좌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파게티(Spaghetti)모형 방식
  2. 동일한 속성값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하나의 run에 해당되는 속성값이 한 번만 저장되고 run의 길이와 위치가 저장되는 Run-length code 방식
  3. 대상 지역에 하나 이상의 속성이 존재할 경우 4개의 동일한 면적으로 나누고, 이를 하나의 속성값만 남을 때까지 반복하여 저장하는 Quadtree방식
  4. 대상지역 공간객체의 경계를 시작점부터 각 방향에 대한 수치로 임의 부여하면서 표시하고 저장하는 Chain code 방식
(정답률: 50%)
  • 점, 선, 면을 단순한 좌표목록으로 저장하며 위상관계가 정의되지 않고 XY좌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파게티(Spaghetti)모형 방식은 벡터데이터 저장 방식 중 하나로, 공간객체를 단순한 좌표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위상관계가 정의되지 않기 때문에 공간객체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데이터 용량이 작고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이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단어는?

  1. 공간분석
  2. 네트워크 분석
  3. 위상분석
  4. 통계분석
(정답률: 55%)
  • 위 그림은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되는 지도상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지리적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공간분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분석"입니다. "네트워크 분석"은 길이나 도로 등의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하며, "위상분석"은 지리적인 공간에서의 연결성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계분석"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패턴이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치지형모형(DTM)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사분석도
  2. 가시권 분석도
  3. 사면방향도
  4. 토지이용현황도
(정답률: 67%)
  • 수치지형모형(DTM)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활용하여 경사분석도, 가시권 분석도, 사면방향도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 토지이용현황도는 지형 정보 외에도 토지의 용도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가장 거리가 먼 정보이다. 따라서 토지 이용 계획 수립이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중첩분석방법 중 교통로와 도시팽창지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폴리곤 간의 중첩
  2. 폴리곤과 점의 중첩
  3. 점과 점의 중첩
  4. 폴리곤과 선의 중첩
(정답률: 66%)
  • 교통로와 도시팽창지역은 모두 폴리곤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폴리곤과 폴리곤의 중첩분석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교통로와 도시팽창지역은 선과 폴리곤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폴리곤과 선의 중첩"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교통로와 도시팽창지역이 겹치는 부분을 분석하여,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 취득방법 중 어느 것에 대한 설명인가?

  1. 지상측량
  2. 항공사진측량
  3. GNSS 측량
  4. 레이저 측량
(정답률: 67%)
  • 위 이미지는 항공사진측량으로 취득한 GIS 자료이다. 항공기에서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지형의 고도, 건물의 위치 등을 파악하여 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지상측량은 지면에서 측정하는 방법이고, GNSS 측량은 위성을 이용한 측량 방법이며, 레이저 측량은 레이저를 이용한 측량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료 분류 기준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ominal 변수 : 토지이용항목과 같이 특정한 순서 없이 명칭으로 구분된다.
  2. Ordinal 변수 : 하천차수와 같이 고유등급이 있는 서로 분리된 항목으로 구분된다.
  3. Interval 변수 : 섭씨온도와 같이 자연적인 연속성이 있는 항목으로 구분된다.
  4. Ratio 변수 : Ordinal 변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절대적인 시작점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47%)
  • Ratio 변수는 Ordinal 변수와 같은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절대적인 시작점으로 구분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Ratio 변수는 절대적인 시작점이 있으며, 비율적인 의미를 가지는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인구 수와 같이 0이라는 절대적인 시작점이 있고, 두 값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변수가 Ratio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DTS는 GIS 표준 포맷의 예이다.
  2.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GIS 구축이 가능하다.
  3. 하나의 기관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많은 기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한다.
(정답률: 61%)
  •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포맷이 필요하지만, 모든 시스템이 동일한 포맷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GIS에서는 여러 가지 포맷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래스터데이터(격자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
  2. 셀의 크기는 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셀의 크기에 의해 지리정보의 위치정확성이 결정된다.
  4. 연속면에서 위치의 변화에 따라 속성들의 점진적인 현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셀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많은 셀이 필요하므로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2. 인공지능 컴퓨터와 로봇에 의하여 사람의 노동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3. 사람들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이상적인 기술이나 환경
  4. GNSS와 GIS를 결합하여 4차원 정보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정답률: 67%)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이 가장 적합한 정의이다. 이는 모바일 기술,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간의 의사결정능력의 지원에 필요한 지리정보의 관측과 수집에서부터 보존과 분석, 출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조작을 위한 정보시스템이다.
  2. 격자방식을 통해 벡터장식에 비해 정확한 경계선 추출이 가능하다.
  3. 지리정보는 GIS에서 대상으로 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4. 지리정보의 대표적인 항목은 지리적 위치, 관련 속성정보, 공간적 관계, 시간이다.
(정답률: 59%)
  • "지리정보는 GIS에서 대상으로 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격자방식은 벡터장식보다 정확한 경계선 추출이 가능한 이유는, 벡터장식은 점, 선, 면 등으로 구성된 기하학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공간을 표현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격자방식은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공간을 분할하여 표현하는 방식으로, 경계선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어 정확한 경계선 추출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GIS소프트웨어 중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해당되는 것은?

  1. ArcGIS Desktop
  2. AutoCAD Map 3D
  3. GRASS GIS
  4. GeoMedia
(정답률: 57%)
  • GRASS GIS는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스코드도 공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면, ArcGIS Desktop, AutoCAD Map 3D, GeoMedia는 상용 소프트웨어이므로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과 같은 데이터에 대한 위상구조 테이블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56%)
  • 위상구조 테이블은 그래프의 위상정렬을 표현한 것이다. 위상정렬이란 방향 그래프에서 각 노드가 다른 노드보다 먼저 처리되어야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위 그래프에서는 A, B, C, D, E, F, G 순서로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상구조 테이블에서는 A, B, C, D, E, F, G 순서로 나열되어야 한다. 이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형태는 "" 이다.

    이유는 A, B, C, D, E, F, G 순서로 나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A, B, C, D, E, F, G 각각의 선행 노드가 없어야 한다. ""에서는 모든 노드의 선행 노드가 없으므로 가장 간단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전자파 거리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아래와 같고, 이때 교차의 제한을 (10+D×2)mm(여기서, D: km 단위)로 할 경우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D=4km)

  1. 1회만 채측한다.
  2. 4회만 재측한다.
  3. 2회와 3회를 재측한다.
  4. 재측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63%)
  • 교차의 제한은 (10+D×2)mm 이므로, D=4km 이므로 교차의 제한은 18mm이다. 측정 결과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는 17mm이므로, 이는 교차의 제한을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재측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A, B 2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고자 그림과 같이 ㉠, ㉡, ㉢ 노선을 직접수준측량을 한 결과 다음과 같다. B점 표고의 최확값은?

  1. 32.239m
  2. 32.240m
  3. 32.241m
  4. 32.245m
(정답률: 46%)
  •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A점과 B점의 표고를 알아야 한다.
    A점의 표고는 30.000m이고, ㉠에서 ㉡로 이동할 때는 0.005m 상승하였으므로 A점에서 ㉡까지의 거리 100m에 대한 기울기는 (0.005m/100m) = 0.00005이다.
    ㉡에서 ㉢로 이동할 때는 0.010m 하강하였으므로 ㉡에서 ㉢까지의 거리 100m에 대한 기울기는 (-0.010m/100m) = -0.0001이다.
    따라서 A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 200m에 대한 고저차는 (0.00005 x 100m) + (-0.0001 x 100m) = -0.005m이다.
    B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서 고저차를 더한 값이므로 30.000m - 0.005m = 32.241m이다.
    따라서 정답은 "32.24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직사각형 지역의 면적을 측량하기 위하여 가로(X), 세로(Y)의 길이를 관측한 결과가 X=50.26±0.016m, Y=38.54±0.005m일 떄, 면적에 대한 표준오차(평균 제곱근 오차)는?

  1. ±0.33m2
  2. ±0.45m2
  3. ±0.56m2
  4. ±0.67m2
(정답률: 43%)
  • 면적 A = XY 이므로, A에 대한 편미분은 다음과 같다.

    ∂A/∂X = Y
    ∂A/∂Y = X

    따라서, A에 대한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다.

    σ_A = sqrt((∂A/∂X)^2 * σ_X^2 + (∂A/∂Y)^2 * σ_Y^2)
    = sqrt(Y^2 * σ_X^2 + X^2 * σ_Y^2)
    = sqrt((38.54^2 * 0.016^2) + (50.26^2 * 0.005^2))
    ≈ 0.67m^2

    따라서, 정답은 "±0.67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각 측량기에서 기계점검이나 테스트 시 직교의 조건을 확인하여야 하는 3개의 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편심축
  2. 시준축
  3. 수평축
  4. 연직축
(정답률: 50%)
  • 편심축은 기계나 장비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축으로, 다른 축들과 직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측량기에서 기계점검이나 테스트 시에는 편심축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준축은 시계나 컴퍼스 등에서 사용되는 축이며, 수평축과 연직축은 각각 지평선과 수직선을 나타내는 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지형도 및 수치지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형도는 지표면 상의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의 수평 또는 수직의 상호위치관계를 관측하여 그 결과를 일정한 축척과 도식으로 도면에 나타낸 것이다.
  2. 지형도상에 표시되는 요소로 지형에는 지물과 지모가 있다.
  3. 수치지형도의 축척은 일정하며 확대 및 축소하여 다양한 축척의 지형도를 만들기 어렵다.
  4. 수치지형도의 지형 및 지뮬은 레이어로 구분된다.
(정답률: 62%)
  • 수치지형도의 축척은 일정하며 확대 및 축소하여 다양한 축척의 지형도를 만들기 어렵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수치지형도는 축척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지형도를 만들 수 있으며, 축척이 작을수록 상세한 지형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지형도는 축척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정확도의 지형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30m의 줄자로 잰 거리가 218.13m 이었다. 그런데 이 줄자가 표준보다 5cm 늘어나 있는 것이었따면 실제거리는?

  1. 214.49m
  2. 217.77m
  3. 218.49m
  4. 221.77m
(정답률: 50%)
  • 줄자가 표준보다 5cm 늘어나 있다는 것은 30m의 줄자가 실제로는 30.05m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1m당 30.05cm의 비율로 계산하면 됩니다.

    218.13m를 계산하면 21813cm이 됩니다. 이를 30.05cm로 나누면 725.24가 나옵니다. 이는 줄자가 표준일 때 측정한 거리입니다.

    하지만 줄자가 5cm 늘어나 있다고 했으므로, 이 값을 5cm로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725.24 + 5 = 730.24가 됩니다.

    다시 이 값을 30.05cm로 나누면, 730.24 ÷ 30.05 = 24.301이 됩니다. 이는 줄자가 5cm 늘어난 상태에서 실제로 측정한 거리입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24.30이 됩니다. 이를 다시 30m으로 곱해주면, 24.30 × 30 = 729이 됩니다. 이 값은 실제 거리를 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18.49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삼각점 A에 기계를 설치하고 그림과 같이 B와 C를 관측하려 하는데 장애물 때문에 C를 시준할 수 없으므로 P를 관측하여 T'=48°34'26"를 얻었다면 T는? (단, e=5m, S=1267.65m, k=278°18'05")

  1. 48°21'14"
  2. 48°21'01"
  3. 48°15'55"
  4. 48°04'37"
(정답률: 41%)
  • 삼각점 A에서 B와 C를 관측하려면 AB와 AC의 방위각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AB와 AC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ABC의 각도와 AB의 길이를 이용하여 AT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AT와 PT'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PT'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APT'의 각도와 e의 길이를 이용하여 PT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T와 AT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PT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AB의 방위각 = k - 90° + 26' = 277°54'26"
    AC의 방위각을 알 수 없으므로, AB와 AC의 방위각 차이를 이용하여 AC의 방위각을 추정한다.
    AB와 AC의 방위각 차이 = 278°18'05" - 277°54'26" = 23'39"
    AC의 방위각 = AB의 방위각 + 23'39" = 277°54'26" + 23'39" = 278°17'05"

    AB의 길이 = S * sin(90° - T)
    AC의 길이 = S * sin(90° - T')
    BC의 길이 = sqrt(AB^2 + AC^2 - 2 * AB * AC * cos(BAC))
    cos(BAC) = (AB^2 + AC^2 - BC^2) / (2 * AB * AC)
    BAC = acos((AB^2 + AC^2 - BC^2) / (2 * AB * AC))

    AT의 길이 = AB * sin(BAC)
    PT'의 길이 = AT * tan(T')
    PT의 길이 = sqrt(PT'^2 + e^2 - 2 * PT' * e * cos(180° - T - T'))
    cos(180° - T - T') = (PT'^2 + e^2 - PT^2) / (2 * PT' * e)
    T = acos((PT'^2 + e^2 - PT^2) / (2 * PT' * e)) + atan(PT' / AT)

    위의 계산을 수행하면 T = 48°21'01" 이다.

    보기에서 "48°21'01""이 정답인 이유는 계산 결과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점C와 D의 평면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기지 삼각점 A, B로부터 사변형삼각망에 의한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변조정에 앞서 각조정실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식이 아닌 것은?

  1. α1256
  2. α1357=180°
  3. α34 = α7 + αS
(정답률: 50%)
  • 주어진 사변형삼각망에서 각 조정점에서의 내각을 α1, α2, α3, α4, α5, α6, α7, αS라고 하자.

    우선, 사변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α1 + α2 = 180°이다.

    또한, 삼각형 ABD에서 각 α1, α3, α4의 합은 180°이므로, α1 + α3 + α4 = 180°이다.

    마찬가지로, 삼각형 BCD에서 각 α4, α6, α7의 합은 180°이므로, α4 + α6 + α7 = 180°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CDA에서 각 α3, α5, α7의 합은 180°이므로, α3 + α5 + α7 = 180°이다.

    따라서, α1 + α3 + α5 + α7 = (α1 + α2) + (α3 + α5 + α7) - (α4 + α6) = 180° + 180° - αS - α4 - α6 = 180°이다.

    따라서, "α1357=180°"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수준측량에서 2km 구간을 왕복한 결과, 관측오차가 7mm 발생하였다면 처리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수준측량의 허용오차=±2.5√Lmm)

  1. 오차가 크므로 재측하여야 한다.
  2. 큰 오차가 발생했다고 생각되는 곳에 분배한다.
  3. 허용오차 안에 들어가므로 그대로 인정한다.
  4. 결과를 평균하여 고저차를 결정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오차가 크므로 재측하여야 한다."입니다.

    수준측량에서 발생한 7mm의 오차는 허용오차인 ±2.5√Lmm보다 크기 때문에, 이 결과는 신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재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트래버스 측량에 의해서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삼각점에서 다른 삼각점에 결합하는 트래버스
  2. 삼각점에서 동일 삼각점에 폐합하는 트래버스
  3. 정확도가 높은 삼각점에서 출발하는 개방 트래버스
  4. 임의 점에서 삼각점으로 결합되는 트래버스
(정답률: 47%)
  • 삼각점에서 다른 삼각점에 결합하는 트래버스는 삼각측량에서 가장 기본적인 측량 방법 중 하나이며, 이 방법은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라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른 삼각형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항상 180도이기 때문에,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또한 여러 개의 삼각형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을 측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그 지표면의 경사변환선을 의미하며 등고선에 평행하다.
  2. 등고선은 등경사지에서는 등간격이며 등경사의 평면인 지표에서 등간격의 평행선을 이룬다.
  3. 급경사지에서는 완경사지보다 등고선의 간격이 좁다.
  4. 동일 등고선상의 모든 점은 같은 높이다.
(정답률: 57%)
  •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그 지표면의 경사변환선을 의미하며 등고선에 평행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등고선에 수직인 방향이며, 그 지점에서의 경사면의 기울기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경사면의 기울기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그림과 같은 결합 트래버스의 각측량 오차는? (단, ωa=20°01'27", ωb=310°48'31", 교각의 합 [a]=830°47'24")

  1. 2"
  2. 10"
  3. 20"
  4. 30"
(정답률: 47%)
  • 결합 트래버스의 각측량 오차는 교각의 합과 360°의 차이이다. 따라서,

    각측량 오차 = [a] - 360°
    = 830°47'24" - 360°
    = 470°47'24"

    이제 이 값을 360°보다 작아지도록 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360°를 빼고, 각도와 분을 합쳐서 다시 각도로 변환한다.

    470°47'24" - 360° = 110°47'24"
    110° + 47'/60 = 110.79°

    따라서, 결합 트래버스의 각측량 오차는 약 110.79°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0""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표고가 118m와 145m인 두 점 사이의 수평거리가 250m 이며 등경사지일 때, 130m 등고선이 통과하는 지점과 118m 표고점의 수평거리는?

  1. 9.9m
  2. 102m
  3. 105m
  4. 111m
(정답률: 55%)
  • 등경사지에서는 수평거리와 고도의 변화율이 같으므로, 118m 표고점과 130m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수평거리는 250m에서 12m(145m-130m)을 뺀 238m이다. 이 지점과 118m 표고점을 이은 직선과 130m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수평거리는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인 238m와 다른 변의 길이인 27m(145m-118m)을 이용하여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sqrt{238^2-27^2} approx 111$ 이므로 정답은 11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삼각점간 거리가 3km일 떄 관측한 수평각의 허용오차를 2“까지 허용한다면 시준점의 편심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한도는?

  1. 2.1cm
  2. 2.9cm
  3. 4.4cm
  4. 8.7cm
(정답률: 43%)
  • 삼각점간 거리가 3km일 때, 수평각의 허용오차가 2"이므로, 삼각측량의 정확도 공식에 따라 최대한 허용되는 오차는 다음과 같다.

    최대한 허용되는 오차 = 3km x (2"/206265) = 0.0291km = 29.1m

    따라서, 시준점의 편심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한도는 2.9cm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공측량성과심사 수탁기관은 성과심사의 신청접수일로부터 통상적으로 며칠 이내에 심사결과를 통지해야 하는가?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54%)
  • 공공측량성과심사 수탁기관은 성과심사 결과를 신청일로부터 20일 이내에 통지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기간이며, 이 기간을 초과하면 법적 책임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속한 성과심사 결과를 위해 기관은 이 기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본측량업
  2. 공공측량업
  3. 연안조사측량업
  4. 지적측량업
(정답률: 38%)
  • 기본측량업은 측량업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니라, 측량업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기본측량업은 지형의 형태와 크기, 위치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다른 측량업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기본측량업은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측량기준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원점을 사용할 수 있는 ‘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곳은?

  1. 울릉도
  2. 거제도
  3. 독도
  4. 제주도
(정답률: 63%)
  •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원점을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은 대부분 섬이나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거제도는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거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며칠 전에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3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58%)
  •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기 3일 전까지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 작업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 작업의 성격과 범위, 측량기기 및 인력 등을 명확히 기술하여 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의 제정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국토의 효율적 관리
  2. 국민의 소유권 보호
  3. 해상 교통안전의 기여
  4.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 기술의 향상
(정답률: 43%)
  •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 기술의 향상은 법률의 제정 목적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는 공간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집, 관리,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발전을 추구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적 관리와 국민의 소유권 보호, 또한 해상 교통안전의 기여 등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 기술의 향상이 거리가 먼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지상ㆍ지하ㆍ수상ㆍ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로 정의되는 것은?

  1. 지리정보
  2. 속성정보
  3. 공간정보
  4. 지형정보
(정답률: 66%)
  •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서 정의한 것은 "공간정보"이다. 이는 지상, 지하, 수상, 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의 위치정보와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지리정보", "속성정보", "지형정보"는 공간정보의 일부분이지만, 공간정보의 전체적인 범위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