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천문측량에 의한 경·위도 측정은 관측점마다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2. 지구상의 위치는 지리학적 경·위도 및 준거타원체상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된다.
  3. 목적하는 측량의 정확도에 따라서 지구를 평면으로 가정할 수 있다.
  4. 지구상의 위치는 직각좌표나 극좌표 등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정답률: 51%)
  • "목적하는 측량의 정확도에 따라서 지구를 평면으로 가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구는 구체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면으로 가정하는 것은 근사적인 방법일 뿐 정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측량의 정확도에 따라서도 지구를 평면으로 가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력이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실측중력값과 계산식에 의한 이론적 중력값은 일치한다.
  2. 중력이상이 (+)이면 그 지점 부근에 무거운 물질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3. 중력이상값은 실측중력값에서 이론중력값을 뺀 값으로 계산된다.
  4. 중력이상으로 지표면 밑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중력이상으로 지표면 밑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중력이상은 지하 구조물이나 지층의 밀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력의 차이를 의미하며, 지표면 밑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추정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실측중력값과 계산식에 의한 이론적 중력값은 일치한다."는 이론적으로는 맞는 설명입니다. 중력이상은 실측중력값에서 이론중력값을 뺀 값으로 계산되는데, 이론적으로는 중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계산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론적 중력값과 실측중력값이 일치합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측정 오차 등으로 인해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탄성파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성파 측량은 굴절법과 반사법이 있다.
  2. 탄성파의 전파속도 관측으로 지반탐사가 가능하다.
  3. 탄성파에는 전자기파와 내면파 2종류가 있다.
  4. 탄성파는 탄성체에 충격으로 급격한 변형을 주었을 때 생기는 파이다.
(정답률: 64%)
  • "탄성파에는 전자기파와 내면파 2종류가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탄성파는 전자기파와는 다른 물리적 현상으로, 탄성체 내부에서 발생한 충격이나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파입니다. 내면파는 지진파 중 하나로, 지하에서 발생한 지진이 지표면까지 전달될 때 생기는 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나의 관측방정식에서 다른 관측방정식을 빼는 차분법 중 사이클 슬립(cycle slip)의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1. 단순 차분
  2. 2중 차분
  3. 3중 차분
  4. 4중 차분
(정답률: 76%)
  • 사이클 슬립은 GPS 수신기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 신호의 위상이 갑자기 불규칙하게 변경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GPS 수신기의 오차를 크게 만들어 위치 측정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차분법은 이러한 사이클 슬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차분법은 하나의 관측방정식에서 다른 관측방정식을 빼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단순 차분은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의 관측값만을 이용하여 차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사이클 슬립이 발생하면 오차를 보정할 수 없다.

    2중 차분은 이전 시점, 현재 시점, 그리고 다음 시점의 관측값을 이용하여 차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순 차분보다는 더 정확하게 오차를 보정할 수 있지만, 여전히 사이클 슬립이 발생하면 오차를 보정할 수 없다.

    3중 차분은 이전 시점, 현재 시점, 다음 시점, 그리고 그 다음 시점의 관측값을 이용하여 차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2중 차분보다 더 많은 관측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이클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3중 차분이 사이클 슬립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느 구면 삼각형이 구과량 30“이고, 면적이 0.355m2이라면 구의 반지름은?

  1. 39.8m
  2. 42.3m
  3. 49.4m
  4. 60.0m
(정답률: 60%)
  • 구면 삼각형의 구과량과 면적을 이용하여 구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다.

    구과량 = 30“ = (4/3)πr³
    면적 = 0.355m² = 4πr²

    위 두 식을 이용하여 r을 구해보자.

    (4/3)πr³ = 30“
    r³ = 22.619“
    r = 3.000m

    4πr² = 0.355m²
    r² = 0.0282m²
    r = 0.168m

    위 두 결과를 비교해보면, 단위가 다르므로 일치시켜야 한다. 1m = 3437.75“ 이므로,

    r = 3.000m = 10313.25“
    r = 0.168m = 577.75“

    따라서, 구의 반지름은 10313.25“이며,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단위를 m으로 바꾸면 49.4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측지학에서 사용하는 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서보다 남북이 긴 지역에는 원뿔투영을 주로 사용한다.
  2. 대축척 지형도 제작에는 주로 등각투영을 사용한다.
  3. 투영은 왜곡 없이 구면을 평면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4. 투영면 상의 거리는 실제 거리와 일치한다.
(정답률: 65%)
  • 측지학에서 사용하는 투영은 구면의 모양을 평면에 나타내는 것으로, 이 때 왜곡이 발생한다. 이러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의 형태와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투영 방법이 사용된다. 대축척 지형도 제작에는 등각투영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지형의 높이와 경사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등각투영은 지형의 경사를 일정한 각도로 나타내기 때문에, 지형의 높이와 경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반면, 동서보다 남북이 긴 지역에는 원뿔투영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지역의 형태와 크기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자기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자기는 그 방향과 크기를 구함으로써 결정된다.
  2. 지자기의 3요소란 수평분력, 편각 및 복각을 말한다.
  3. 북반구에서 복각은 음(-)의 값으로 나타난다.
  4. 편각이란 진북과 수평분력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정답률: 75%)
  • "북반구에서 복각은 음(-)의 값으로 나타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지구 자전축의 방향과 지자기장의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자기 측정 시에는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반송파(carrier)에 대한 미지의 수로서, 위성과 수신기 안테나 간 온전한 파장의 개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모호정수
  2. AS(anti-spoofing)
  3. 다중경로
  4. 삼중차
(정답률: 80%)
  • 위성과 수신기 안테나 간 온전한 파장의 개수를 모호정수라고 한다. 이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라 불확실한 값이기 때문에 모호정수라고 부른다. 이는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 지형, 날씨 등의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AS(anti-spoofing), 다중경로, 삼중차는 이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GNSS 단독측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위성 궤도정보의 정확성
  2. 관측 위성의 배치
  3.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
  4. 위성의 의사 잡음 부호
(정답률: 64%)
  • 위성의 의사 잡음 부호는 GNSS 단독측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이는 위성 신호가 전파 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신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이 요소는 GNSS 측위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반면, 위성 궤도정보의 정확성, 관측 위성의 배치,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은 모두 GNSS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GNSS를 이용한 단독측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NSS 수신기 한 대로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2.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3. 코드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의사거리를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4. 우주공간부터 항공, 해상, 해저, 지상, 지하등 어느 곳을 막론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73%)
  • 정답은 "GNSS 수신기 한 대로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이다. GNSS는 하나의 수신기로는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며, 최소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GNSS 수신기 한 대로 위치결정을 할 수 없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GNSS는 우주공간부터 지하까지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며, 코드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거리를 산출하여 위치를 결정하며,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도 38°, 경도 127°인 지점의 묘유선의 곡률반지름(N)이 2300km, 타원체고(H)가 130m이었다면 이 지점의 3차원 직각좌표증×좌표 값은?

  1. -1090806m
  2. -2090806m
  3. +1090806m
  4. +2090806m
(정답률: 48%)
  • 먼저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이 지점의 지심각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지심각 = a / √(1 - e²sin²위도)

    여기서 a는 타원체의 장반경, e는 타원체의 이심률이다. 지구의 경우 a = 6378.137km, e² = 0.00669437999014이다. 따라서 위도 38°인 지점의 지심각은 다음과 같다.

    지심각 = 6378.137km / √(1 - 0.00669437999014sin²38°) = 6335.439km

    이제 묘유선의 곡률반지름(N)과 타원체고(H)를 이용하여 이 지점의 지심각과 수직선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지심각² = N² + (N + H)²

    여기서 N은 묘유선의 곡률반지름, H는 타원체고이다. 따라서 이 지점의 수직선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지심각² - N²) - H = √((6335.439km)² - (2300km)²) - 130m = 6334.406km

    마지막으로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이 지점의 3차원 직각좌표증×좌표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x = (지심각 + H)cos위도cos경도
    y = (지심각 + H)cos위도sin경도
    z = (지심각(1 - e²) + H)sin위도

    따라서 이 지점의 3차원 직각좌표증×좌표는 다음과 같다.

    x = (6335.439km + 130m)cos38°cos127° = -1090806m
    y = (6335.439km + 130m)cos38°sin127° = 4859365m
    z = (6335.439km(1 - 0.00669437999014) + 130m)sin38° = 3729815m

    따라서 정답은 "-1090806m"이다. 이 값은 x좌표이며, 음수인 이유는 이 지점이 0도 경도보다 서쪽에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D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GPS 측량은 실시간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다.
  2. 일반적으로 DGPS가 단독측위보다 정확하다.
  3.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에 관측된 자료를 사용한다.
  4. 기선의 길이가 길수록 DGPS의 정확도는 낮다.
(정답률: 73%)
  • "DGPS 측량은 실시간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DGPS는 실시간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DGPS는 GPS 신호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로, 일반적으로 단독측위보다 정확합니다.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에 관측된 자료를 사용하며, 기선의 길이가 길수록 DGPS의 정확도는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GPS 궤도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GPS 위성의 궤도는 타원 형태이다.
  2. GPS 위성의 회전주기는 약 12시간이다.
  3. GPS 위성의 고도는 약 2000km 이다.
  4. GPS 위성들은 모두 상이한 코드정보를 전송한다.
(정답률: 64%)
  • "GPS 위성의 고도는 약 2000km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GPS 위성의 고도는 약 20200km입니다. 이는 위성이 지구 중심을 중심으로 한 타원 궤도를 따르기 때문에 지구와의 거리가 변합니다. GPS 위성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12시간이 걸리며, 이를 회전주기라고 합니다. 또한 GPS 위성들은 모두 독자적인 코드정보를 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A), (B)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A) 비고, (B) 타원체고
  2. (A) 정표고, (B) 타원체고
  3. (A) 타원체고, (B) 비고
  4. (A) 타원체고, (B) 정표고
(정답률: 67%)
  • (A)는 지구의 모양이 타원체이기 때문에 타원체고이고, (B)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인 축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경위선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지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정표고이다. 따라서 정답은 "(A) 타원체고, (B) 정표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NSS의 주표구성 중 궤도와 시각 결정을 위한 위성 추적을 담당하는 부분은?

  1. 우주 부분
  2. 제어 부분
  3. 사용자 부분
  4. 위성 부분
(정답률: 67%)
  • 제어 부분은 GNSS 위성의 궤도와 시각을 결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제어 작업을 담당합니다. 이 부분은 위성의 운영을 관리하며,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GNSS 시스템의 정확도와 신뢰성은 제어 부분의 성능에 크게 의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관측한 타원체의 장반경(a)이 6400km, 단반경(b)이 6300km라면 타원체의 편평률은?

(정답률: 74%)
  • 타원체의 편평률(e)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1 - (b/a)^2)

    여기서 a는 장반경, b는 단반경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e = √(1 - (6300/6400)^2) = √(1 - 0.015625) = 0.124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편평률이 0에 가까울수록 타원체는 구에 가까워지며, 1에 가까울수록 타원체는 매우 길쭉한 모양을 가집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서 편평률이 0.124로 중간 정도의 값을 가지므로, 타원체는 약간 길쭉한 모양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력이상을 보정할 때 관측값으로부터 기준면사이의 질량을 무시하고 기준면으로부터 높이(또는 깊이)의 영향을 고려하여 실시하는 보정은?

  1. 부게보정(Bouguer correction)
  2. 에토베스보정(Eotvos correction)
  3. 지각균형보정(lsostatic correction)
  4. 후리-에어보정(Free-air correction)
(정답률: 47%)
  • 후리-에어보정은 중력이 지표면에서부터 높이가 있는 지점에서 측정될 때, 높이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지표면과 측정 지점 사이의 중력 차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중력값을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후리-에어보정은 기준면과 측정 지점 사이의 질량을 무시하고 높이(또는 깊이)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RINEX 형식이 포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GPS 위성의 C/A 코드 의사거리
  2. GLONASS 위성의 항법 메시지
  3. GEO(Geostationary) 위성의 항법 메시지
  4. IKONOS 위성의 항법 메시지
(정답률: 65%)
  • RINEX 형식은 GPS 및 GLONASS 위성의 항법 메시지와 C/A 코드 의사거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GEO 위성의 항법 메시지는 포함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IKONOS 위성의 항법 메시지는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성측지
  2. 중력측정
  3. 3차원 위치결정
  4. 시의 결정
(정답률: 62%)
  • 중력측정은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습니다. 중력측정은 지구의 중력을 측정하여 지구의 구조와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지구과학이나 물리학과 관련된 분야이지만, 기하학적 측지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정선(rhumb l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
  2. 양극을 지나는 대원의 북극과 남극 사이의 절반으로 중심각이 180°의 대원호
  3. 지표상 두 점간의 최단거리로 지심과 지표상 두 점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
  4. 지구타원체상 한 점의 법선을 포함하며 그 점을 지나는 자오면과 직교하는 평면과 타원체면과의 교선
(정답률: 66%)
  • 항정선은 지표상 두 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지표의 선입니다. 이는 항해나 항공 등에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원호, 지심과 지표상 두 점을 연결하는 선, 한 점의 법선과 자오면 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항정선과는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정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수심이 H인 하천의 유속 측정에서 수면부터 0.2H, 0.4H, 0.6H, 0.8H인 곳의 유속이 각각 0.565m/s, 0.514m/s, 0.450m/s, 0.385m/s 이었다면, 2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1. 0.450m/s
  2. 0.475m/s
  3. 0.482m/s
  4. 0.508m/s
(정답률: 60%)
  • 2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유속 = (유속1 + 유속2) / 2

    여기서 유속1과 유속2는 측정한 두 지점의 유속이다. 이 문제에서는 수면부터 0.2H와 0.4H, 0.4H와 0.6H, 0.6H와 0.8H의 유속을 측정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평균유속1 = (0.565 + 0.514) / 2 = 0.5395 m/s
    평균유속2 = (0.514 + 0.450) / 2 = 0.4820 m/s
    평균유속3 = (0.450 + 0.385) / 2 = 0.4175 m/s

    이렇게 계산한 평균유속1, 평균유속2, 평균유속3의 평균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유속 = (평균유속1 + 평균유속2 + 평균유속3) / 3
    = (0.5395 + 0.4820 + 0.4175) / 3
    = 0.4797 m/s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475m/s"인 이유는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노선측량 작업에서 중심선 설치를 하는 단계의 측량은?

  1. 공사측량
  2. 예비측량
  3. 조사측량
  4. 실시설계측량
(정답률: 47%)
  • 중심선 설치는 실제 건설 작업에 앞서 도로나 철도 등의 노선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작업이므로, 이를 위해 실제 건설 현장에서 측량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시설계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구 심천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구 심천측량은 하구 부근 하저 및 해저의 지형을 조사한다.
  2. 하구의 항만시설, 해안보전시설의 설계 자료로 사용된다.
  3. 조위를 관측하고 실측한 수심을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심으로 보정하여 심천측량의 정확도를 높인다.
  4. 해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 10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한다.
(정답률: 57%)
  • 해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 100m 되는 앞바다까지를 측량구역으로 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량측정 장소 선정 시의 만족시킬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개소 전후의 유로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있는 곳이 좋다.
  2. 합류에 의하여 불규칙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 좋다.
  3. 지질이 연약하여 세굴, 퇴적이 활발한 곳이 좋다.
  4. 와류와 역류가 생기지 않는 곳이 좋다.
(정답률: 74%)
  • "지질이 연약하여 세굴, 퇴적이 활발한 곳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질이 연약하고 세굴, 퇴적이 활발한 곳은 유량이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측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량측정에 적합한 장소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있고, 합류에 의한 영향이 적은, 와류와 역류가 없는 안정적인 곳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 내 A, B점의 좌표가 (1328m, 810m), (1734m, 589m)이고 높이가 각각 86.3m, 112.4m인 A, B점을 연결하는 터널을 굴진할 때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1. 341.5m
  2. 363.1m
  3. 463.0m
  4. 470.2m
(정답률: 54%)
  • 경사거리는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와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1734-1328) = 406m 이다.

    A점과 B점의 높이 차이는 (112.4-86.3) = 26.1m 이다.

    따라서 경사거리는 √(406² + 26.1²) ≈ 463.0m 이다.

    정답은 "463.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하시설물 측량방법의 하나로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전자기파의 반사와 회절 현상 등을 측정하고 이를 해석하여 지하구조 및 시설물 등을 관측하는 방법은?

  1. 탄성파 굴절법 탐사
  2. 전자유도 탐사
  3. 음파 탐사
  4. GPR 탐사
(정답률: 44%)
  •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지하구조와 시설물을 관측하는 방법은 GPR 탐사입니다. GPR은 지하에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반사파와 회절파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로도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해도
  2. 영해기점도
  3. 해저지형도
  4. 경계점좌표등록부
(정답률: 71%)
  • 해도, 영해기점도, 해저지형도는 모두 수로도지에 속하는 지도이지만, 경계점좌표등록부는 지리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직접적으로 수로도지에 속하지는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신설도로의 구간 No.10과 No.10+10m 사이에 도로폭 20m, 성토고 1m, 양단의 성토기울기 1:1.5인 단편으로 도로를 건설하고자 할 때 이 구간의 성토량은? (단, 단면의 크기는 일정하다.)

  1. 207
  2. 215
  3. 414
  4. 430
(정답률: 49%)
  • 도로폭 20m, 성토고 1m, 양단의 성토기울기 1:1.5이므로, 단면의 크기는 아래와 같다.

    [그림]

    따라서, 단면적은 (20+2×1)×(1+1.5+1)=63(m²)이다.

    구간 No.10과 No.10+10m 사이의 길이는 10m이므로, 이 구간의 철거체적은 63×10=630(m³)이다.

    하지만, 이 구간은 단편으로 건설할 것이므로, 철거체적에 20%의 여유분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 성토량은 630×1.2=<<630*1.2=756>>756(m³)이다.

    따라서, 정답은 756을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한 2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면적을 계산할 수 없는 경우는?

  1. 삼각형에서 세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
  2. 사각형에서 네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
  3. 오각형에서 각 꼭지점의 좌표를 아는 경우
  4. 정육각형에서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
(정답률: 57%)
  • "사각형에서 네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는 면적을 계산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는 사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알면 다른 세 변의 길이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각형에서 네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가 아닌 다른 경우들은 면적을 계산할 수 없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삼각형에서 세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는 삼각형의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높이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오각형에서 각 꼭지점의 좌표를 아는 경우"는 오각형의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오각형을 삼각형으로 나누어 각 삼각형의 면적을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육각형에서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는 정육각형의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변의 길이와 높이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고속도로의 완화곡선으로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단곡선
  2. 3차원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클로소이드 곡선
(정답률: 68%)
  • 고속도로의 완화곡선으로 주로 사용하는 것은 클로소이드 곡선입니다. 이는 고속도로에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곡률이 부드럽게 변화하는 곡선으로,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설계가 가능하며, 차량의 안정성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60°, 반지름이 100m이고 곡선시점까지의 거리가 120.85m 일 때 곡선종점까지의 추가거리는?

  1. 275.87m
  2. 225.57m
  3. 215.87m
  4. 105.57m
(정답률: 55%)
  •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60°이므로, 중앙각은 120°이다. 이에 따라 호의 길이는 100m * (120°/360°) = 33.33m 이다.

    또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가 120.85m 이므로, 이 거리에서 호의 길이를 뺀 나머지 길이는 120.85m - 33.33m = 87.52m 이다.

    이제, 이 나머지 길이를 이용하여 곡선종점까지의 추가거리를 구할 수 있다.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종점까지의 거리 = (2 * 100m * sin(60°/2)) + 나머지 길이
    = (2 * 100m * sin(30°)) + 87.52m
    = 225.57m

    따라서, 정답은 "225.5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터널 양쪽 입구의 중심선상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이 두 점의 좌표를 구하여 터널을 굴진하기 위한 방향을 맞춤과 동시에 정확한 거리를 찾아내는 것이 목적인 터널측량은?

  1. 수심측량
  2. 수준측량
  3. 중심선측량
  4. 지형측량
(정답률: 73%)
  • 터널측량은 터널의 중심선상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를 중심선측량이라고 부릅니다. 수심측량은 물 속에서 깊이를 측정하는 작업, 수준측량은 지면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작업, 지형측량은 지형의 형태와 특징을 측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계산된 완화곡선의 캔트(cant)가 C일 때, 계산시 사용한 속도와 반지름을 모두 2배로 증가시킬 때, 캔트는?

  1. 2C
  2. 4C
  3. 6C
  4. 8C
(정답률: 66%)
  • 캔트는 속도와 반지름에 비례하기 때문에, 속도와 반지름을 모두 2배로 증가시키면 캔트도 2배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계산된 완화곡선의 캔트가 C일 때, 속도와 반지름을 모두 2배로 증가시키면 캔트는 2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장비점검 및 보정시에 평탄한 해저에서 동일한 측심선을 따라 왕복측량을 실시하여 조사선의 좌측 및 우측의 기울기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은?

  1. 롤보정
  2. 피치보정
  3. 헤딩보정
  4. 시간보정
(정답률: 48%)
  • 롤보정은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장비점검 및 보정시에 평탄한 해저에서 동일한 측심선을 따라 왕복측량을 실시하여 조사선의 좌측 및 우측의 기울기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선박이 좌우로 기울어져 있을 때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롤보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원곡선 설치를 위한 측점위치를 좌표가 표와 같을 경우 원곡선의 시점으로부터 원곡선상 처음 중심선(P1)까지의 편각은?

  1. 3°26‘20“
  2. 6°26’20”
  3. 45°00’00“
  4. 51°26’20“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널공사를 위하여 그림과 같이 천정에 측점을 설치하고 a=1.75, b=1.58m, 경사거리 S=35m, α=17°45’을 관측하였을 때 A, B 두 점 간의 고저차는?

  1. 10.50m
  2. 10.67m
  3. 10.84m
  4. 13.83m
(정답률: 54%)
  •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해 고저차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삼각함수에서 각도는 라디안으로 표현되므로, 각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한다.

    α = 17°45’ = (17 + 45/60)° = 17.75° = 0.31 라디안

    그리고, 삼각함수에서 사용되는 높이와 밑변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높이 = a - b
    밑변 = S

    따라서, 삼각함수에서 사용되는 각도와 높이, 밑변을 이용하여 고저차를 구할 수 있다.

    고저차 = (높이) × tan(각도) = (a - b) × tan(α) = (1.75 - 1.58) × tan(0.31) ≈ 0.17 × 0.31 ≈ 0.05

    따라서, A, B 두 점 간의 고저차는 약 0.05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미터(m)이므로,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10.5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거의 간격이 3m로 등간격이고 각 지거가 y1=3.8m, y2=8.5m, y3=10.4m, y4=11.8m, y5=5.9m이라면 심프슨 제1법칙을 이용하여 구한 면적은?

  1. 58.4m2
  2. 78.6m2
  3. 111.7m2
  4. 150.3m2
(정답률: 53%)
  • 심프슨 제1법칙은 등간격으로 나누어진 구간에서 부분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5개의 지거가 등간격으로 있으므로, 4개의 구간이 만들어진다. 이 구간에서의 부분 면적을 구하고 모두 더하면 전체 면적을 구할 수 있다.

    구간 1에서의 부분 면적은 (3/3)*(3.8+8.5)/2 = 16.725m^2 이다.
    구간 2에서의 부분 면적은 (3/3)*(8.5+10.4)/2 = 13.95m^2 이다.
    구간 3에서의 부분 면적은 (3/3)*(10.4+11.8)/2 = 11.1m^2 이다.
    구간 4에서의 부분 면적은 (3/3)*(11.8+5.9)/2 = 20.925m^2 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은 16.725 + 13.95 + 11.1 + 20.925 = 62.7m^2 이다. 하지만, 이는 실제 면적의 2배이므로, 최종적으로 62.7/2 = 31.35m^2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전체 면적은 62.7 + 31.35 = 94.05m^2 이다. 하지만, 이는 소수점 이하가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111.7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면적을 m:n으로 분할하고자 할 때 의 길이를 구하기 위한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삼각형 ABC와 삼각형 ADE가 서로 비슷하다는 것이다.

    두 삼각형은 각 A가 공통이고, 각 B와 각 D가 서로 대응되는 각이므로 비례한다.

    따라서 AB/AD = BC/DE 이고, AB = (BC/DE) x AD 이다.

    여기서 BC/DE는 m:n이므로, AB = (m/n) x AD 이다.

    따라서 의 길이는 (m/n) x 12 = 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노선측량에서 종단면도를 작성할 때, 표기사항이 아닌 것은?

  1. 측점의 계획고
  2. 측점의 계획단면적
  3. 측점 간 수평거리
  4. 측점의 지반고
(정답률: 56%)
  • 종단면도를 작성할 때 표기해야 할 사항은 측점의 계획고, 측점 간 수평거리, 측점의 지반고입니다. 그러나 측점의 계획단면적은 종단면도에서 표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측점의 계획단면적은 단면도를 작성할 때 필요한 정보이며, 종단면도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조측량을 위해 트래버스 측량을 실시할 경우에는 결합 트래버스가 되도록 한다.
  2. 수애선은 평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3. 수위표 설치 시 유속변동이 심한 곳에 설치한다.
  4. 종단측량은 하천의 양안에 설치한 거리표, 수위표, 수문 등의 높이를 관측한다.
(정답률: 66%)
  • "수위표 설치 시 유속변동이 심한 곳에 설치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오히려 수위표는 유속이 안정적인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유속이 심한 곳에 설치하면 수위표가 불안정하게 되어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해석적 내부표정에 사용되는 부등각사상변환(affine transformation)은? (단, X, Y는 사진좌표, x,y는 관측자료, x0,y0는 원점미소변위, a,b는 미지계수를 나타낸다.)

  1. X= a1x2+a2y2+x0’
    Y=b1x2+b2y2+y0
  2. X= a1x+a2y+x0’
    Y= b1x+b2y+y0
  3. X= a1x+a2y+a3xy+x0’
    Y= b1x+b2y+b3xy+y0
  4. X= a1x+a2y+a3xy+a4x2+a5y2+x0’
    Y= b1x+b2y+b3xy+b4x2+b5y2+y0
(정답률: 45%)
  • 부등각사상변환은 선형변환과 이동변환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X와 Y는 각각 x와 y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x0와 y0은 이동변환에 해당한다. 따라서 X와 Y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 a1x + a2y + x0
    Y = b1x + b2y + y0

    여기서 x0와 y0은 원점미소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x0'와 y0는 이동변환 후의 값이다. 따라서 X와 Y는 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차(paralla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시차는 주점기선의 차를 반영한다.
  2. 종시차는 물체의 수평위치 차를 반영한다.
  3.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
  4. 횡시차가 없어야 입체시가 된다.
(정답률: 36%)
  • 시차(parallax)란 물체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관찰할 때, 물체의 위치가 바뀌어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하는 것이 횡시차입니다. 따라서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점(principal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메라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지표면에 내린 연직선이 렌즈 중심을 통과하여 사진면과 만나는 점
  2. 사진의 중심전으로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면에 내린 수선이 만나는 점
  3.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광선이 사진면에 마주치는 점
  4.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지표면에 내린 수선의 발
(정답률: 50%)
  • 주점(principal point)은 사진의 중심전으로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면에 내린 수선이 만나는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 라이다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레이저스캐너와 GPS/INS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 지표면에 대한 3차원 좌표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이다.
  3. 항공사진측량보다 기상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4.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다.
(정답률: 68%)
  • 항공 라이다시스템은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 아니라, 레이저를 사용하는 능동적 센서 시스템이다. 따라서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역 1, 2, 3에 대해서 LANDSAT-7의 3번과 4번 밴드의 화소값을 구한 결과가 표와 같다. 각 지역의 정규화식생지수(NDVI)로 옳은 것은?

  1. 지역 1=0, 지역2=0.43, 지역3=-0.14
  2. 지역 1=0, 지역2=-0.43, 지역3=0.14
  3. 지역 1=1, 지역2=2.5, 지역3=0.75
  4. 지역 1=1, 지역2=0.44, 지역3=1.33
(정답률: 44%)
  • NDVI = (NIR - Red) / (NIR + Red)

    지역 1: NDVI = (0.28 - 0.22) / (0.28 + 0.22) = 0 / 0.5 = 0
    지역 2: NDVI = (0.34 - 0.22) / (0.34 + 0.22) = 0.12 / 0.56 = 0.43
    지역 3: NDVI = (0.24 - 0.28) / (0.24 + 0.28) = -0.04 / 0.52 = -0.14

    따라서, 정답은 "지역 1=0, 지역2=0.43, 지역3=-0.14" 이다.

    이유: NDVI는 식생지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식생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빨간색과 근적외선(NIR)의 반사율을 비교해야 한다. 빨간색은 식물의 엽록소 흡수율이 높아 반사율이 낮고, NIR은 엽록소 흡수율이 낮아 반사율이 높다. 따라서, NIR과 빨간색의 반사율 차이가 클수록 NDVI 값이 높아지게 된다. 지역 1은 빨간색과 NIR의 반사율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NDVI 값이 0이 되고, 지역 2는 차이가 크기 때문에 NDVI 값이 0.43이 되고, 지역 3은 빨간색의 반사율이 NIR보다 높기 때문에 NDVI 값이 음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림지역의 트레이닝 필드를 선정하였다. 영상에 대응하는 7×7의 지역에 대해 사변형 분류법(parallelepiped classification)을 적용하여 산림지역으로 분류된 결과로 옳은 것은? (단, 검게 칠해진 지역이 산림지역이다.)

(정답률: 29%)
  • 산림지역은 검게 칠해진 지역으로, 이 지역은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을 분류하기 위해 사변형 분류법을 적용하여 분류한 결과 중에서 산림지역으로 분류된 ""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영상을 모자이크할 경우에 모자이크된 영상내에서 경계선이 보이게 된다. 이 경계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폭을 설정하여 영상을 부드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1. 영상 와핑(image warping)
  2. 영상 페더링(image feathering)
  3. 영상 스트레칭(image stretching)
  4.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정답률: 57%)
  • 영상 페더링은 모자이크된 영상의 경계선 주변에 일정한 폭을 두고 부드럽게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경계선이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영상 와핑은 영상을 변형시키는 기술, 영상 스트레칭은 영상의 밝기 대비를 조절하는 기술,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영상의 밝기 분포를 균등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이들은 모자이크된 영상의 경계선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Pushbroom 스캐닝 방식의 센서는?

  1. SPOT 위성의 HRV 센서
  2. LANDSAT 위성의 ETM+센서
  3. NOAA 위성의 AVHRR 센서
  4. RADARSAT 위성의 SAR센서
(정답률: 47%)
  • Pushbroom 스캐닝 방식은 센서가 지나가는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이미지 품질이 높고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어 SPOT 위성의 HRV 센서에서 사용됩니다. LANDSAT 위성의 ETM+센서는 Whiskbroom 스캐닝 방식을 사용하고, NOAA 위성의 AVHRR 센서는 Line-scanning 스캐닝 방식을 사용합니다. RADARSAT 위성의 SAR센서는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격탐사 영상의 해상도 중 영상의 개개화소가 표현 가능한 지상의 면적을 의미하는 것은?

  1.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2.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3.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률: 56%)
  • 공간해상도는 영상의 개개화소가 표현 가능한 지상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즉, 영상에서 한 화소가 나타내는 지상의 크기를 말합니다. 따라서 원격탐사 영상에서 공간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지형적 특징이나 물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과고감(vertical exagge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사진을 입체시 하면 산지는 실제보다 높게 돌출되어 보인다.
  2. 과고감으로 인하여 산악지형보다는 평탄한 지형의 지형판독이 어렵게 된다.
  3. 항공사진을 입체시 하면 사면의 경사는 실제 경사보다 급한 느낌을 준다.
  4. 항공사진을 입체시할 때 과고감은 촬영에 사용한 렌즈의 초점거리, 사진의 중복도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65%)
  • "과고감으로 인하여 산악지형보다는 평탄한 지형의 지형판독이 어렵게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과고감은 지형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크게 보이게 하는 기술로, 지형의 형태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과고감이 적용된 항공사진에서는 오히려 산악지형의 지형판독이 더욱 용이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사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소요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2. 행정경계, 지명, 도로명, 지번 등의 정보는 현장측량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3. 시간의 변화에 따른 대상물의 변화와 같은 4차원 정보 취득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4. 구름, 바람, 조도, 적설 등의 영향이 있다.
(정답률: 62%)
  • "시간의 변화에 따른 대상물의 변화와 같은 4차원 정보 취득에는 적용이 곤란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항공사진측량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취득하므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대상물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4차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초점거리 210mm의 항공사진이 15°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을 때 사진에서 연직점(nadir point)과 주점(principal point)의 거리는?

  1. 56.3mm
  2. 76.3mm
  3. 96.3mm
  4. 121.3mm
(정답률: 44%)
  • 주어진 문제에서 연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우선, 연직점과 주점을 이은 직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를 구해야 한다. 이 각도는 90° - 15° = 75°이다.

    그리고, 이 각도와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삼각비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할 삼각비는 탄젠트(tan)이다.

    tan(75°) = 연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 / 초점거리

    따라서, 연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 = tan(75°) x 210mm = 56.3mm

    따라서, 정답은 "56.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표고 300인 지역을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표고 3000m에서 항공사진측량한 경우에 이 지역의 사진축척은?

  1. 1:20000
  2. 1:30000
  3. 1:15000
  4. 1:18000
(정답률: 53%)
  • 사진축척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실제 크기를 사진상 크기로 나눈 것으로 계산된다.

    표고 300인 지역을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촬영한 경우, 사진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진축척 =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실제 크기는 표고 300의 지점에서 지면까지의 거리인 3000m이다. 이를 사진상 크기로 변환하려면,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필름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거리 = (카메라의 초점거리) x (지면의 크기) / (필름의 크기)

    필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24mm x 36mm이다. 따라서 지면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지면의 크기 = (필름의 크기) x (거리) / (카메라의 초점거리)

    지면의 크기 = (24mm x 36mm) x (3000m) / (150mm) = 480mm x 720mm

    따라서, 사진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진축척 =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 3000m / 720mm = 1:4167

    하지만, 이 값은 지면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모두 고려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지면의 가로 또는 세로 크기 중 하나만을 기준으로 사진축척을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은 지면의 가로 크기를 기준으로 사진축척을 계산하는데,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진축척 = (실제 가로 크기) / (사진상 가로 크기) = 3000m / 480mm = 1:6250

    하지만, 이 값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과 다르다. 따라서, 세로 크기를 기준으로 사진축척을 계산해보자.

    사진축척 = (실제 세로 크기) / (사진상 세로 크기) = 3000m / 720mm = 1:4167

    이 값은 문제에서 제시한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18000이 아니므로, 정답은 1:18000이 아니다. 따라서, 사진축척을 다시 계산해보자.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15000이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진축척 = (실제 세로 크기) / (사진상 세로 크기) = 3000m / (720mm / 1.5) = 1:15000

    따라서, 정답은 1:15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간해상도가 높은 전정색 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칼라(다중분광)영상을 합성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칼라영상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영상처리방법은?

  1. Fourier 변환
  2. 영상융합(resolution merge)변환
  3.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변환
  4. 공간 필터링(spatial filtering)
(정답률: 62%)
  • 공간해상도가 높은 전정색 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칼라(다중분광)영상을 합성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칼라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영상융합(resolution merge)변환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영상을 결합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칼라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해상도가 높은 영상과 공간해상도가 낮은 영상을 정확하게 매칭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촬영한 한 장의 사진에서 대상물의 지상좌표로부터 사진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알맞은 것은?

  1. 편위수정 요소와 상호표정 요소
  2. 편위수정 요소와 절대표정 요소
  3. 내부표정 요소와 편위수정 요소
  4. 내부표정 요소와 외부표정 요소
(정답률: 42%)
  • 항공사진측량에서는 대상물의 지상좌표와 사진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내부표정 요소와 외부표정 요소가 필요합니다. 내부표정 요소는 카메라의 내부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외부표정 요소는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사진좌표를 결정해야 합니다. 편위수정 요소와 상호표정 요소, 편위수정 요소와 절대표정 요소는 항공사진측량에서 사용되는 다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정작업중 렌즈 왜곡, 대기굴절, 지구곡률 등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1. 내부표정
  2. 절대표정
  3. 상호표정
  4. 접합표정
(정답률: 50%)
  • 내부표정은 얼굴의 근육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표정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렌즈 왜곡, 대기굴절, 지구곡률 등의 보정은 카메라나 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외부적인 요인들을 보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 작업은 내부표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평면(x, z)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2. 높이(z)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3. 횡(x)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4. 종(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정답률: 56%)
  • 상호표정은 종(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입니다. 이는 양쪽 눈이 볼 때 물체의 위치가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시차를 보정하여 더욱 정확한 3차원 시각 정보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방향의 시차는 다른 방법으로 보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절대표정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축척, 수준면, 위치
  2. 촬영점의 위치, 회전각, 주점
  3. 초점거리, 렌즈왜곡, 대기보정
  4. 입체사진의 기선길이, 회전각, 중복도
(정답률: 49%)
  • 절대표정은 사진에서 표현되는 대상의 크기, 위치, 거리 등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축척, 수준면, 위치"는 대상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축척은 대상의 크기를 결정하며, 수준면은 대상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위치는 대상이 사진에서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사진의 느낌과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사진의 목적과 의도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사진의 판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독의 기초가 되는 것은 사진 상의 형상, 음영 및 색조 등이다.
  2. 지표면의 기복에 대한 판독은 입체시로 하여야 한다.
  3. 사진판독에 있어서 표정점의 배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4. 판독하려고 하는 지방의 지방적 특색에 대하여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30%)
  • "지표면의 기복에 대한 판독은 입체시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표면의 기복은 고도와 경사도를 포함한 지형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고도와 경사도를 고려하여 2차원적으로 판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체적인 판독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사진판독에 있어서 표정점의 배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표정점은 사진상에서 고정된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지형적 특성들을 판독하기 때문입니다. 표정점의 위치가 잘못되면, 전체적인 판독 결과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정점의 배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초점거리가 15cm, 사진크기 23cm×23cm인 광각사진기로 종중복도 70%, 노출점간 최소 소요시간 30초, 촬영고도 2000m로 촬영하고자 한다면 항공기 운항속도는?

  1. 110.4km/h
  2. 158.6km/h
  3. 186.5km/h
  4. 200.8km/h
(정답률: 30%)
  • 항공사진촬영에서 초점거리와 사진크기를 이용하여 종중복도를 계산할 수 있다. 종중복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종중복도 = (사진크기 / 초점거리)² × 100%

    여기서는 종중복도가 70%로 주어졌으므로, 위 식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구할 수 있다.

    초점거리 = √(사진크기 / 종중복도 × 100%) = √(23 / 70 × 100%) = 4.08cm

    노출점간 최소 소요시간과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항공기 운항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항공기 운항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항공기 운항속도 = (2 × 촬영고도 × 초점거리) / (노출점간 최소 소요시간 × 1000)

    여기서는 촬영고도가 2000m, 초점거리가 4.08cm, 노출점간 최소 소요시간이 30초로 주어졌으므로, 위 식을 이용하여 항공기 운항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항공기 운항속도 = (2 × 2000 × 4.08) / (30 × 1000) = 0.27552 km/s = 110.4 km/h

    따라서, 정답은 "110.4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는 보간법은?

  1. 지표 분석(surface analysis)
  2. 인접성 분석(proximity analysis)
  3.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4. 티센폴리곤 분석(Thiessen polygon analysis)
(정답률: 56%)
  • 티센폴리곤 분석은 주어진 점들을 기준으로 각 점에 가장 가까운 영역을 나누어 폴리곤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지역별로 어떤 점이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지역이 어떤 점에 가까운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성 분석과 지표 분석에 활용되며,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많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분석과는 다르게, 점들 간의 연결성을 고려하지 않고 각 점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NGIS(National GIS)의 추진배경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중복투자 방지 및 공동구축에 대한 필요성 제기
  2. 국가차원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도적 추진 필요성 제기
  3. 통신망의 보안관리 필요성 증대
  4. 지도와 도면을 사용하는 행정업무의 자동화 필요성 증대
(정답률: 64%)
  • NGIS는 국가차원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주도적 추진 필요성을 제기하여 중복투자 방지 및 공동구축을 위한 것이지만, 통신망의 보안관리 필요성 증대는 NGIS의 추진배경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문제이다. 따라서, "통신망의 보안관리 필요성 증대"가 NGIS의 추진배경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벡터(Vector)방식의 데이터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으로 나타나는 객체의 경우 둘 또는 그이상의 좌표와 선분으로 구성된다.
  2. 벡터 모양의 모든 객체는 수학적 위치값을 갖는다.
  3. 대상물들은 점, 선, 면 요소로 형성된다.
  4. 대상 지역 모든 곳의 정보를 담고 있다.
(정답률: 66%)
  • 벡터 방식의 데이터 모형은 대상 지역 모든 곳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이 보기는 틀린 것이 아니다. 벡터 모양의 모든 객체는 수학적 위치값을 갖고, 대상물들은 점, 선, 면 요소로 형성된다. 선으로 나타나는 객체의 경우 둘 또는 그 이상의 좌표와 선분으로 구성된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크리깅(kriging)보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이나 지질, 수문과 관련된 현살의 공간적 변이의 크기를 정량화하는데 활용된다.
  2. 지역화된 변수(regionalized variables) 이론에 토대를 두고 있다.
  3. 표본지점들간의 Z값의 변이가 거리에 따라 어느 정도 방향성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4. Simple 크리깅, Ordinary 크리깅, Spatial 크리깅으로 분류된다.
(정답률: 45%)
  • "Simple 크리깅, Ordinary 크리깅, Spatial 크리깅으로 분류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크리깅은 Simple Kriging, Ordinary Kriging, Universal Kriging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코드 지정
  2. 자료 포맷의 표준화
  3. ISO/TC211 활동
  4. 자료 출처의 다양화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지도는 한국 지도이며, 이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제공하는 자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자료 출처가 유일하다면, 다른 나라의 지도나 다른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료 출처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ISO/TC211 활동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의 빗금친 부분의 결과가 나타나기 위한 공간연산은?

  1. (A-B) ∩ (B-A)
  2. (A∪B) - A
  3. (A-B) ∪ (B-A)
  4. (A∪B) - B
(정답률: 59%)
  • 빗금친 부분은 A와 B의 차집합인 (A-B)와 (B-A)의 합집합이다. 따라서 정답은 "(A-B) ∪ (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논리연산(AND) 처리 후 ㉠~㉣의 결과값이 순서대로 (㉠-㉡-㉢-㉣)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1-1-0-1
  2. 1-0-1-0
  3. 1-0-0-1
  4. 0-1-0-0
(정답률: 57%)
  • AND 연산은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만 결과값이 1이 되므로, ㉠과 ㉢에서는 두 입력값이 모두 1이므로 결과값이 1이 되고, ㉡과 ㉣에서는 두 입력값 중 하나라도 0이므로 결과값이 0이 된다. 따라서, ㉠-㉡-㉢-㉣ 순서로 결과값이 1-0-0-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공간분석 기능과 모델링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2. 자료입력 방식 중 래스터방식이 벡터방식에 비해 정확하게 경계선을 추출할 수 있다.
  3. 공간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 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통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4. 지형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는 위치에 관련된 정성적인 자료 및 정량적인 자료를 포함한다.
(정답률: 66%)
  • "자료입력 방식 중 래스터방식이 벡터방식에 비해 정확하게 경계선을 추출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벡터 방식이 래스터 방식보다 정확하게 경계선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벡터 방식이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래스터 방식은 픽셀 단위로 데이터를 표현하므로 경계선이 픽셀 단위로 구분되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료입력 방식 중 래스터방식이 벡터방식에 비해 정확하게 경계선을 추출할 수 있다."입니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은 공간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통합하여 다양한 분석과 모델링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지형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속성정보는 위치에 관련된 정성적인 자료 및 정량적인 자료를 포함하며,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통합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대표적인 언어는?

  1. SQL
  2. DLL
  3. DLG
  4. COGO
(정답률: 72%)
  • 정답: SQL

    이유: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검색하기 위한 표준 언어이다.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거나 검색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지원된다. 따라서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데 가장 대표적인 언어이다. DLL, DLG, COGO는 데이터베이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 입력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드럼 스캐너
  2. 잉크젯 플로터
  3. 디지타이저
  4. 터치스크린
(정답률: 72%)
  • 잉크젯 플로터는 출력 장치이기 때문에 GIS 데이터 입력에 사용할 수 없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GIS 데이터 입력에 사용 가능한 장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실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지형·지물(feature)을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활용 가능한 객체(object)로 변환하는 것은?

  1. 추상화(abstraction)
  2. 일반화(generalization)
  3. 세분화(segmentation)
  4. 통합화(integration)
(정답률: 44%)
  • 실세계의 지형·지물을 GIS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것들을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다룰 수 있는 객체로 변환해야 한다. 이때, 객체화(objectification) 과정에서는 추상화(abstraction)가 이루어진다. 추상화란, 대상을 단순화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실세계의 지형·지물을 GIS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할 때,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단순화하는 과정이 추상화이다. 이렇게 추상화된 객체는 GIS에서 다양한 분석과 시각화 등의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리정보자료의 내용, 품질, 조건, 기타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자료에 관한 배경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메타데이터
  2. 데이터생산사양
  3. 데이터모델
  4. 위상구조
(정답률: 73%)
  • 메타데이터는 지리정보자료의 내용, 품질, 조건, 기타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한다. 데이터생산사양은 데이터를 생성할 때 필요한 규격과 기준을 정의한 것이며, 데이터모델은 데이터의 구조와 속성을 정의한 것이다. 위상구조는 지리정보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이들은 모두 지리정보를 다루는데 필요한 요소들이지만, 지리정보자료의 배경정보를 설명하는 것은 메타데이터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수치표고모형(DEM)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

  1. 음영기복도 제작
  2. 토지피복 분석
  3. 가시도 분석
  4. 물의 흐름방향 분석
(정답률: 58%)
  • DEM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로, 이를 이용하여 음영기복도 제작, 가시도 분석, 물의 흐름방향 분석 등 다양한 지형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토지피복 분석은 지형 뿐만 아니라 지표의 특성과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지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작업으로, DEM만으로는 부족한 정보가 많아 다른 데이터와 함께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토지피복 분석은 DEM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과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계층구조
  2. 자료구조
  3. 위상구조
  4. 벡터구조
(정답률: 66%)
  • 위상구조는 그래프에서 각 정점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를 말한다. 그래프에서 각 정점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래프의 형태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각 정점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지리정보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별 연평균 강우량 정보
  2. 행정구역별 인구밀도 정보
  3. 대상지역의 경사도분포 정보
  4. 직업군별 평균소득 정보
(정답률: 75%)
  • "직업군별 평균소득 정보"는 지리적 위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지리정보자료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세 가지 정보는 지리적 위치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다 적으 자료량으로 지형지물의 특성을 간편하게 표현하기 위해 선형의 특징점을 남기고 불필요한 버텍스(vertex)를 삭제하는 일반화 기법은?

  1. 단순화
  2. 완만화
  3. 축약처리
  4. 정리처리
(정답률: 68%)
  • 단순화는 선형의 특징점을 남기고 불필요한 버텍스를 삭제하여 보다 적은 자료량으로 지형지물의 특성을 간편하게 표현하는 일반화 기법이다. 따라서 이 기법은 지형지물의 형태를 간결하게 표현하면서도 필요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서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SQL의 표준 구문으로 적합한 것은?

  1. SELECT “item명” FROM “table명” WHERE “조건절”
  2. SELECT “table명” FROM “item명” WHERE “조건절”
  3. SELECT “조건절” FROM “table명” WHERE “item”
  4. SELECT “item명” FROM “조건절” WHERE “table명”
(정답률: 49%)
  • 정답은 "SELECT “item명” FROM “table명” WHERE “조건절”"입니다.

    이유는 SQL의 기본적인 구문이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tem명"은 컬럼명에 해당하고, "table명"은 테이블명에 해당합니다. "조건절"은 WHERE 절에 해당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의 ( )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스캐닝(scanning)
  2. 디지타이징(digitizing)
  3. 원격탐사(remote sensing)
  4.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답률: 76%)
  • 이미지나 문서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디지타이징이 가장 적절한 용어이다. 스캐닝은 이미지나 문서를 디지털화하는 과정 중 하나이며, 원격탐사는 지구의 표면을 위성 등에서 촬영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을 말한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표고 정보
  2. 도로 선형
  3. 수계 정보
  4. 필지 정보
(정답률: 56%)
  • 축척 1:5000 수치지형도는 지형의 고도, 지형의 형태, 도로의 위치와 너비, 수계의 위치와 크기 등을 나타내지만, 필지 정보는 나타내지 않습니다. 필지 정보는 각각의 부동산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면적은 얼마인지 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지형도에서는 필지 정보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표면에서 표본추출된 표고점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겹치지 않는 부정형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모자이크 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1. TIN
  2. DEM
  3. GRID
  4. MESH
(정답률: 75%)
  • TIN은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의 약자로, 표면에서 추출된 점들을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부정형의 지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지형 분석 및 시각화에 많이 사용된다. DEM은 Digital Elevation Model의 약자로, 지형의 고도를 그리드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GRID는 그리드 형태로 지형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MESH는 3차원 모델링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하천이나 항만, 해안 등을 심천측량하고 측점에 숫자를 기입하여 그 높이를 표시하는 방법은?

  1. 점고법
  2. 음영법
  3. 영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72%)
  • 점고법은 하천이나 항만, 해안 등을 측량할 때, 측점에 숫자를 기입하여 그 높이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한 점들을 연결하여 고도를 나타내는 등고선을 그리는 등고선법과는 달리, 각 점의 높이를 직접 표시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점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A의 좌표가 (145.32m, 256.22), B의 좌표가(-251.11m, -140.21m)일 때 AB의 방위 각은?

  1. 45
  2. 135
  3. 225
  4. 315
(정답률: 40%)
  • AB의 방위각은 A에서 B를 향하는 방향의 각도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AB의 기울기를 구해야 한다.

    AB의 기울기 = (B의 y좌표 - A의 y좌표) / (B의 x좌표 - A의 x좌표)
    = (-140.21 - 256.22) / (-251.11 - 145.32)
    = -396.43 / -396.43
    = 1

    따라서 AB는 y=x 그래프와 평행하다. 이제 A에서 B를 향하는 방향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아크탄젠트 함수를 사용한다.

    AB의 방위각 = 아크탄젠트(AB의 기울기)
    = 아크탄젠트(1)
    = 45도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방위각이 동, 서, 남, 북 중 하나로 나와야 하므로, 방위각을 180도 더한 후 360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AB의 방위각 = (45 + 180) % 360
    = 225

    따라서 정답은 "2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도심지에서 20개의 측점을 트래버스 측량한 결과로 각오차가 50“발생했다. 이 오차의 처리가 옳은 것은? (단, 도심지의 각 측량 허용오차는 ±30”√N이며, 각 측량의 정확도는 일정하다.)

  1. 관측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분배한다.
  2.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3. 등분배한다.
  4. 재측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등분배한다."입니다.

    도심지에서 20개의 측점을 트래버스 측량한 결과로 각오차가 50" 발생했다는 것은 각 측량의 오차가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오차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각 측량의 오차를 고르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때, 각 측량의 오차를 관측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분배하거나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분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법은 각 측량의 오차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작은 각이나 짧은 측선에서는 오차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측량의 오차를 고르게 분배하기 위해서는 등분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 방법은 각 측량의 오차를 모두 더한 후, 이를 측량한 총 갯수로 나누어서 각 측량의 오차를 고르게 분배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각 측량의 오차가 일정하지 않아도, 모든 측량에서 오차가 고르게 분배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평균 표고 1000m인 지표면에서 AB의 경사거리가 1500m이고, 두 점의 고저차가 150m일 때, 평균해면상에서 AB의 수평거리는? (단, 지구반지름은 6370km이다.)

  1. 1493.89m
  2. 1493.25m
  3. 1492.89m
  4. 1492.25m
(정답률: 22%)
  • 먼저, 고저차가 150m이므로 AB의 기울기는 150/1500 = 0.1이다. 이는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평균 표고가 1000m이므로 A와 B의 고도는 각각 1000m + 75m = 1075m와 1000m - 75m = 925m이다.

    이제, 두 점의 위도와 경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AB의 길이와 방향각을 구해야 한다.

    AB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AB의 길이 = √(1500² + 150²) = 1506.65m

    AB의 방향각은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AB의 방향각 = 아크탄젠트(150/1500) = 5.7106°

    이제, A와 B의 위도와 경도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한다.

    위도 = asin(sin(위도1) × cos(거리/지구반지름) + cos(위도1) × sin(거리/지구반지름) × cos(방향각))

    경도 = 경도1 + atan2(sin(방향각) × sin(거리/지구반지름) × cos(위도1), cos(거리/지구반지름) − sin(위도1) × sin(위도))

    여기서, 위도1과 경도1은 A의 위도와 경도이다.

    A의 위도 = asin(sin(37.5°) × cos(1506.65/6370) + cos(37.5°) × sin(1506.65/6370) × cos(5.7106°)) = 37.5009°

    A의 경도 = 127.0000° + atan2(sin(5.7106°) × sin(1506.65/6370) × cos(37.5°), cos(1506.65/6370) − sin(37.5°) × sin(37.5009°)) = 127.0004°

    B의 위도와 경도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B의 위도 = asin(sin(37.5°) × cos(1506.65/6370) + cos(37.5°) × sin(1506.65/6370) × cos(185.7106°)) = 37.4966°

    B의 경도 = 127.0000° + atan2(sin(185.7106°) × sin(1506.65/6370) × cos(37.5°), cos(1506.65/6370) − sin(37.5°) × sin(37.4966°)) = 127.0056°

    이제, A와 B의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한다.

    거리 = 지구반지름 × acos(sin(위도1) × sin(위도2) + cos(위도1) × cos(위도2) × cos(경도2 − 경도1))

    여기서, 위도1, 경도1, 위도2, 경도2는 각각 A와 B의 위도와 경도이다.

    AB의 거리 = 6370 × acos(sin(37.5009°) × sin(37.4966°) + cos(37.5009°) × cos(37.4966°) × cos(0.0052°)) = 1492.25m

    따라서, 평균해면상에서 AB의 수평거리는 1492.2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삼각측량에서 삼각점의 위치 선정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점이 서로 잘 보여야 한다.
  2. 측점 수는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3. 계속해서 연결되는 작업에 편리하여야 한다.
  4. 삼각형은 될 수 있는 대로 직각삼각형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62%)
  • "삼각형은 될 수 있는 대로 직각삼각형으로 구성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삼각형의 구성은 측량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며, 직각삼각형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각 점이 서로 잘 보여야 한다는 것은 측량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위치에 삼각점을 설정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측점 수는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연결되는 작업에 편리하여야 한다는 것은 작업 과정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주로 지역 내의 지성선상의 위치와 표고를 실측 도시하여 이것을 기초로 현지에서 지형을 관찰하면서 등고선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소축척 산지에 이용되는 방법은?

  1. 좌표점법(사각형 분할법)
  2. 종단점법(기준점법)
  3. 횡단점법
  4. 직접법
(정답률: 51%)
  • 종단점법은 지성선상의 위치와 표고를 실측하여 기준점으로 삼고, 이를 기반으로 현지에서 지형을 관찰하면서 등고선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소축척 산지에서 이용되며, 지형을 관찰하면서 등고선을 삽입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50m 줄자로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175m이었다. 이 50m 줄자가 표준척보다 3cm 짧다고 할 때 두 점간의 실제의 거리는?

  1. 173.950m
  2. 174.895m
  3. 175.105m
  4. 176.256m
(정답률: 57%)
  • 50m 줄자가 표준척보보다 3cm 짧다는 것은 50m 줄자의 실제 길이는 50m - 0.03m = 49.97m 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175m를 49.97m로 나누면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175m ÷ 49.97m ≈ 3.504

    즉,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약 3.504 × 50m = 175.2m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50m 줄자의 오차 때문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오차를 보정해줘야 합니다.

    50m 줄자의 오차는 3cm 이므로, 175m에 대한 오차는 175m × 0.03 ÷ 50m = 0.105m 입니다. 이 값을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에서 빼면 보정된 값이 나옵니다.

    175.2m - 0.105m = 174.895m

    따라서, 정답은 "174.89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자파 거리 측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1변 관측의 조작시간이 짧다.
  2.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장거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3.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안개나 비 등의 기후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전파 거리 측량기의 최소 조작 인원은 2명이며 광파 거리 측량기는 1명으로도 가능하다.
(정답률: 42%)
  • "전파 거리 측량기는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1변 관측의 조작시간이 짧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전파 거리 측량기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광파 거리 측량기보다 빠른 속도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그림과 같이 수준측량을 실시한 결과 A의 표척눈금이 3.560m, A의 표고 HA=100.00m이고, B의 표고 HB=101.110m이었다. B점의 표척 눈금은?

  1. 1.245m
  2. 2.450m
  3. 3.000m
  4. 3.004m
(정답률: 61%)
  • A와 B 사이의 수직거리는 HB - HA = 1.110m 이다. 이 거리에 해당하는 수평거리는 수준선에 수직인 선분의 길이이므로, 수준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준선의 기울기는 (B의 표척눈금 - A의 표척눈금) / 수평거리 이므로, (B의 표척눈금 - 3.560) / 수평거리 = 0.0001 이다. 따라서 수평거리는 (B의 표척눈금 - 3.560) / 0.0001 = B의 표고 - 100.00 이다. 이를 대입하여 B의 표척눈금을 구하면, B의 표척눈금 = 2.45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등고선의 종류와 지형도의 축척에 따른 등고선의 간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계곡선은 50m 간격이다.
  2. 주곡선은 지형표시의 기본이 되는 곡선으로 가는 실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3. 등고선의 간격은 측량의 목적 및 지역의 넓이, 작업에 관련한 경제성, 토지의 현황, 도면의 축척, 도면의 읽기 쉬운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4. 간곡선은 주곡선의 간격으로 삽입한 곡선으로 가는 파선으로 나타내며 축척 1:25000지형도에서는 5m 간격이다.
(정답률: 50%)
  •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계곡선은 50m 간격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오차론에 의해 처리되며 확률변수에 대한 수치적 값을 의미하는 오차는?

  1. 착오
  2. 누차
  3. 정오차
  4. 우연오차
(정답률: 51%)
  • 우연오차는 통계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로, 측정이나 실험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로, 처리나 조작 등의 인위적인 요인이 아닌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경중률(weigh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측값의 신뢰도를 나타낸다.
  2. 관측회수에 반비례한다.
  3. 관측거리에 반비례한다.
  4. 평균제곱근오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4%)
  • "관측회수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경중률은 관측값의 신뢰도를 나타내며, 관측거리에 반비례하고 평균제곱근오차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경중률이 높을수록 관측값이 더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측회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왕복관측 값의 교차 한계를 ±5.0√Smm로 하는 수준측량에서 편도 8km를 왕복 관측하였다면 교차의 허용 한계는? (단, S:관측거리(편도)km 단위)

  1. ±5.6mm
  2. ±7.0mm
  3. ±14.1mm
  4. ±20.0mm
(정답률: 47%)
  • 주어진 공식에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교차 한계 = ±5.0√Smm
    관측거리 S = 8km (편도)

    교차 한계 = ±5.0√8mm
    교차 한계 = ±5.0 x 2.828mm
    교차 한계 = ±14.1mm

    따라서, 정답은 "±14.1mm"이다. 이는 수준측량에서 편도 8km를 왕복 관측할 때, 교차 한계가 ±14.1mm 이하일 때 측정 결과를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삼각망 조정계산이 조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어느 한 측점 주위에 형성된 모든 각의 합은 360°이어야 한다.
  2. 삼각망에서 각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어야 한다.
  3. 한 측점에서 측정한 여러 각의 합은 그 전체를 한 각으로 관측한 각과 같다.
  4. 한 개의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경로에 따라 고유의 값을 갖는다.
(정답률: 49%)
  • "한 개의 이상의 독립된 다른 경로에 따라 계산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경로에 따라 고유의 값을 갖는다."가 틀린 이유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지면 그 삼각형은 유일하게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떤 경로를 통해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더라도 그 값은 항상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기본측량성과 및 공공측량성과의 고시에 필수적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2.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3.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4. 측량실시의 기관 및 측량자
(정답률: 44%)
  • "측량실시의 기관 및 측량자"는 측량성과 및 공공측량성과의 고시에 필수적인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실시의 기관 및 측량자가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지만, 이는 보다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한 사항이며,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 되는 것은?

  1.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2.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3. 공간정보체계
  4. 공간객체
(정답률: 49%)
  •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서 "공간정보체계"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생산, 관리, 이용하는 모든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합하는 시스템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답은 "공간정보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자기점
  2. 지적삼각점
  3. 통합기준점
  4. 영해기준점
(정답률: 39%)
  • 지적삼각점은 지적도 작성을 위해 설치된 삼각점으로, 지형지물이나 건물 등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지자기점은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합기준점은 국내 지리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기준점, 영해기준점은 해양 지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모두 국가기준점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측량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
  2. 지점의 소재지가 변경된 경우
  3. 측량업등록증을 분실하여 재발급하는 경우
  4.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
(정답률: 54%)
  • 측량업등록증을 분실하여 재발급하는 경우는 이미 등록된 측량업자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신고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재발급된 측량업등록증을 소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상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번이란 작성된 지적도의 등록번호를 말한다.
  2. 측량성과란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를 말한다.
  3. 측량이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를 표현하거나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을 말한다.
  4. 지적측량이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55%)
  • "지번이란 작성된 지적도의 등록번호를 말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로, 지적도상에서 각 토지마다 고유한 번호가 부여된다. 이 번호는 토지의 위치, 면적, 소유자 등의 정보와 함께 지적도에 등록되어 관리된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설명이다. 측량성과는 측량 작업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을 말하며, 측량은 공간상의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여 도면이나 수치로 표현하는 작업을 말한다. 지적측량은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측정하여 지적도에 등록하는 작업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토교통부장관은 특정 목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다음 중 그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의 중복 배제
  2. 측량성과 심사의 편의
  3. 측량의 정확도 확보
  4.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분석
(정답률: 60%)
  •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제출을 요구하는 목적은 측량성과 심사의 편의를 위함입니다. 이는 측량성과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를 쉽게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측량의 중복 배제", "측량의 정확도 확보",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분석"은 모두 측량성과 심사의 편의를 위한 목적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