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07)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21-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국제 횡 메르카토르 좌표계(UTM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를 6°경도대로 나누어 이 경도대마다 각각 투영한 도법이다.
  2. 극 지역에는 따로 UPS 좌표계를 사용한다.
  3. 왜곡 없는 투영이 가능하다.
  4. 중앙경선 상의 축척계수를 0.9996으로 하면, 중앙경선에서 동서로 각각 약 180km 떨어진 곳에서 축척계수가 1.0000 이 된다.
(정답률: 78%)
  • "왜곡 없는 투영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어떤 투영 방법이든지 지구의 형태와 크기를 완벽하게 나타내는 것은 불가능하며, 어느 정도의 왜곡은 발생한다. UTM 좌표계도 마찬가지로 일부 왜곡이 발생한다.

    중앙경선 상의 축척계수를 0.9996으로 하면, 중앙경선에서 동서로 각각 약 180km 떨어진 곳에서 축척계수가 1.0000 이 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UTM 좌표계의 특징 중 하나로, 중앙경선에서는 축척계수가 1에 가깝게 유지되지만, 중앙경선에서 멀어질수록 왜곡이 커지게 된다.

    지구를 6°경도대로 나누어 이 경도대마다 각각 투영한 도법이 UTM 좌표계이며, 극 지역에는 따로 UPS 좌표계를 사용한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가 바뀌게 되는 현상으로 춘분점이 황도를 따라 매년 약 50″씩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은?

  1. 세차운동
  2. 장동
  3. 공전
  4. 연주운동
(정답률: 78%)
  • 세차운동은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가 바뀌는 현상으로, 춘분점이 황도를 따라 매년 약 50″씩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26,000년 주기로 서서히 움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NSS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위성의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2. 우천시에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3. 수신점의 높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 2점이상 관측시 수신점간 시통이 되지 않으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
(정답률: 79%)
  • 2점 이상 관측시 수신점간 시통이 되지 않으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GNSS는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므로, 2개 이상의 수신점 간 시통이 되지 않더라도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점 이상 관측시 수신점간 시통이 되지 않아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 신호의 주파수가 1575.42MHz 일 때 L1 신호 10000파장의 거리는? (단, 광속 c = 299792458 m/s)

  1. 1320.17m
  2. 1902.94m
  3. 3254.00m
  4. 20257.67m
(정답률: 66%)
  • L1 신호의 주파수가 1575.42MHz 이므로, 파장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λ = c / f
    = 299792458 / 1575.42 x 10^6
    = 0.190293672 m

    따라서, L1 신호 10000파장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거리 = 10000 x λ
    = 10000 x 0.190293672
    = 1902.94m

    따라서, 정답은 "1902.9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GPS 오차원인 중 L1신호와 L2신호의 굴절 비율이 상이함을 이용하여 L1/L2의 선형 조합을 통해 보정이 가능한 것은?

  1. 전리층 지연 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GPS 안테나의 구심오차
  4. 다중경로오차
(정답률: 75%)
  • 전리층은 지구 대기권 상층의 일부로, 전자기파를 반사하거나 굴절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GPS 신호는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전리층에서 굴절되어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 때, L1 신호와 L2 신호의 굴절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L1/L2의 선형 조합을 통해 보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리층 지연 오차"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GPS 오차의 다른 원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평면측량에서 허용 오차를 10-6로 한다면, 반지름 몇 km 까지의 범위를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가? (단, 지구 반지름은 6370km로 가정)

  1. 반지름 30km
  2. 반지름 11km
  3. 반지름 8km
  4. 반지름 6km
(정답률: 66%)
  • 평면측량에서 허용 오차 10-6는 1km 당 1mm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구 반지름 6370km에서 10-6의 오차를 허용하면, 최대 오차는 6370km x 10-6 = 6.37m 이다. 이는 지구의 곡률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이므로, 반지름이 11km 이하인 경우에는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반지름 11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리나라의 직각좌표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도 투영법은?

  1. TM(Trasverse Mercator) 투영
  2. 람베르트 정각원추 투영
  3. 카시니 투영
  4. 심사 투영
(정답률: 83%)
  • 우리나라의 직각좌표계에서 사용하는 지도 투영법은 TM(Transverse Mercator) 투영입니다. 이는 원통면 투영법의 일종으로, 지구를 원통에 둘러싸고 그것을 펼친 지도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TM 투영은 경도선과 위도선을 직각 좌표계로 변환하여 지도를 만들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지형과 지리적 특성에 적합하며, GPS와 같은 위치정보 기술과도 호환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GNSS 측량시 시계오차가 소거된 3차원 위치 결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 위성의 수?

  1. 4대
  2. 5대
  3. 6대
  4. 7대
(정답률: 84%)
  • GNSS 측량에서는 시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최소 4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해야 합니다. 이는 3차원 위치 결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대"입니다. 3개 이하의 위성을 사용하면 위치 결정이 불가능하거나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위성전파가 장해물로 인해 차폐되는 등의 이유로 위상측정이 중단되어 발생하는 오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사이클슬립
  2. 대류권지연
  3. 시계오차
  4. 전리층지연
(정답률: 80%)
  • 사이클슬립은 위성신호의 위상측정이 중단되어 발생하는 오차를 말한다. 이는 위성전파가 장해물로 인해 차폐되거나,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위성신호의 주기가 일정하지 않아서 위상측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측지학에서 다루는 분야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3차원 위치의 결정
  2. 지구의 형상과 크기
  3. 지구의 중력장
  4. 지구 내부의 물질규명
(정답률: 73%)
  • 측지학에서 다루는 분야 중 "지구 내부의 물질규명"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측지학은 지구의 외부적인 형태와 특성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 내부의 물질규명은 지구의 내부 구조와 관련된 지질학적인 분야에 해당하며, 측지학과는 거리가 먼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느 지점의 자침 편각이 W 6.5°이고 복각은 N 57° 일 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 지점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서쪽으로 6.5° 방향이다.
  2. 이 지점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다.
  3. 이 지점에서 자침의 N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4. 이 지점에서 자침의 S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정답률: 66%)
  • 이 지점에서 자침의 복각이 N 57°이므로, 진북은 복각의 수직선과 수평선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진북은 복각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구면삼각형 ABC의 3각을 관측한 결과 ∠A = 50° 10′, ∠B = 66° 35′, ∠C = 64° 15′ 이었다면 이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단, 구의 반지름은 5m 이다.)

  1. 0.736m2
  2. 0.636m2
  3. 0.536m2
  4. 0.436m2
(정답률: 54%)
  • 구면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반지름)^2 × (삼각형의 중심각 / 360°) × π

    여기서 삼각형의 중심각은 구면삼각형의 각을 이루는 호의 중심각을 말한다.

    먼저, 구면삼각형 ABC의 중심각을 구해보자.

    중심각 = 360° - ∠A - ∠B - ∠C
    = 360° - 50° 10′ - 66° 35′ - 64° 15′
    = 178°

    따라서, 구면삼각형 ABC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면적 = (5m)^2 × (178° / 360°) × π
    ≈ 0.436m^2

    따라서, 정답은 "0.43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교하는 세 개의 축 방향에 대한 길이로 공간상의 한 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좌표계는?

  1. 3차원 사교 좌표계
  2. 3차원 직교 좌표계
  3. 2차원 직교 좌표계
  4. 2차원 사교 좌표계
(정답률: 85%)
  • 3차원 직교 좌표계는 세 개의 축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좌표계이며, 이 세 축 방향에 대한 길이로 공간상의 한 점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차원 직교 좌표계가 정답입니다. 2차원 직교 좌표계는 두 개의 축 방향이 직교하는 좌표계이며, 2차원 사교 좌표계는 두 개의 축 방향이 서로 사교하는 좌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자기측량에서 필요한 보정이 아닌 것은?

  1. 지자기장의 일변화 및 기계오차 보정
  2. 태양 고도각 보정
  3. 기준점 보정
  4. 온도 보정
(정답률: 49%)
  • 태양 고도각은 지자기측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 지자기장의 일변화, 기계오차, 기준점, 온도 등은 지자기측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중력의 영년변화(secular variation)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대기 물질의 변화
  2. 만유인력상수의 변동
  3. 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4. 지구 전체적인 질량분포인 일반적인 변동
(정답률: 59%)
  • 중력의 영년변화는 지구 자체의 자전축의 이동, 지구 내부의 전류 변화, 지구 자기장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대기 물질의 변화"는 지구의 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대기 물질의 변화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 온실가스 등의 증가로 인해 일어납니다. 이는 지구의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지만, 중력의 영년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GPS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C/A 코드
  2. P 코드
  3. 방송궤도력
  4. 정밀궤도력
(정답률: 60%)
  • GPS 신호에는 C/A 코드와 P 코드, 그리고 방송궤도력이 포함되어 있지만, 정밀궤도력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정밀궤도력은 GPS 위성의 궤도를 더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지만, 이는 GPS 신호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DGPS 측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치를 알고 있는 기지점과 위치를 모르는 미지점에서 동시에 관측한다.
  2. 동시에 수신 가능한 위성이 최소한 4개 필요하다.
  3. 기지점과 미지점의 거리가 길수록 측위정확도가 높다.
  4. 기지점과 미지점에서의 오차가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을 이용한다.
(정답률: 84%)
  • "기지점과 미지점의 거리가 길수록 측위정확도가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기지점과 미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측위정확도가 높아집니다. 이는 DGPS 시스템에서 기지점과 미지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오차 보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측지학에서 사용되는 “1 Gal”과 같은 것은?

  1. 1 kg·m/s2
  2. 1 kg·cm/s2
  3. 1 cm/s2
  4. 1 m/s2
(정답률: 68%)
  • 측지학에서 사용되는 단위는 일반적으로 거리, 면적, 부피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위와는 다릅니다. "1 Gal"은 가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 초 동안 속도가 1 cm/s 증가하는 가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 cm/s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NSS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NSS는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를 수신하여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써 미지점의 위치를 구하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범지구 위치결정체계이다.
  2. GNSS의 구성은 우주부문, 제어부문, 사용자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3. GNSS에서 정밀도 저하율(DOP)의 수치가 클수록 정확하다.
  4. GNSS에 이용되는 좌표체계는 WGS 84를 이용하고 있으며 WGS 84의 원점은 지구질량중심이다.
(정답률: 81%)
  • "GNSS에서 정밀도 저하율(DOP)의 수치가 클수록 정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OP는 위성의 위치와 수신기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정밀도가 저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DOP가 낮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GNSS에서 정밀도 저하율(DOP)의 수치가 낮을수록 정확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위한 실시간 위치결정과 거리가 먼 것은?

  1. GPS
  2. GLONASS
  3. GALILEO
  4. LANDSAT
(정답률: 77%)
  • 정답은 "LANDSAT"입니다.

    GPS, GLONASS, GALILEO는 위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LANDSAT은 위성 기반의 지구 관측 위성으로, 지구의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위한 실시간 위치결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하천의 유속측정을 위하여 표면부지를 수면에 띄우고 A점을 출발하여 B점을 퉁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분 20초이고 두 점 사이의 거리가 20.5m 일 때 유속은? (단, 하천에 대한 보정계수는 0.9임)

  1. 0.11 m/s
  2. 0.13 m/s
  3. 0.23 m/s
  4. 0.26 m/s
(정답률: 42%)
  • 유속 = 거리 ÷ 시간 = 20.5m ÷ 80초 = 0.25625 m/s

    하지만, 보정계수를 곱해줘야 하므로 0.25625 m/s × 0.9 = 0.230625 m/s

    따라서, 유속은 약 0.23 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가 550m이고 중심말뚝 간격이 20m, 교각이 60°, 곡선반지름이 200m 일 때 종단현의 편각은?

  1. 2° 47′ 04″
  2. 2° 51′ 53″
  3. 2° 55′ 05″
  4. 2° 59′ 55″
(정답률: 28%)
  • 종단현의 편각은 곡선의 중심각과 교각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곡선의 중심각은 2πr/360으로 구할 수 있고, 여기서 r은 곡선반지름이다. 따라서 중심각은 2π×200/360 = 3.49 라디안이다.

    교각이 60°이므로, 교각의 반을 구하면 30°이다. 이제 중심각에서 교각의 반을 빼면 종단현의 편각을 구할 수 있다.

    3.49 - 30/180π = 2.78 라디안

    이 값을 도 단위로 변환하면 159.4°이다. 이 값을 분과 초 단위로 변환하면 2° 39′ 36″이다. 하지만 이 값은 교각이 60°일 때의 값이므로, 이 값을 보기에서 제시된 값과 비교해보면 2° 47′ 04″가 가장 근접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하시설물 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면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은 측량하지 않는다.
  2. 지하시설물의 위치, 깊이, 서로 떨어진 거리 등을 측량한다.
  3.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간격은 20m 이하로 한다.
  4. 지하시설물이란 상·하수도, 가스, 통신 등을 위해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을 의미한다.
(정답률: 65%)
  • "지표면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은 측량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하시설물 중에서도 지표면상에 노출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측량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하시설물의 위치와 깊이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위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위표의 영점은 갈수위 이하까지 표시하고 상단은 평수위보다 조금 높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2. 수위표의 영점 표고는 그 관측소의 수준기표로부터 측정하고 수준기표의 표고는 부근의 국가수준점에 결부시킨다.
  3. 수위표에는 원칙적으로 5cm 단위의 눈금을 붙인다.
  4. 하구 부근이나 이수, 치수의 중요한 점, 또는 관측하기 불편한 곳에는 자기수위표를 설치한다.
(정답률: 43%)
  • "수위표의 영점은 갈수위 이하까지 표시하고 상단은 평수위보다 조금 높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이다. 수위표의 영점은 갈수위 이상까지 표시하고 상단은 평수위와 같게 측정해야 한다. 이는 수위표에서 측정된 값이 실제 수위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실제의 면적 4km2인 토지가 지형도에서 면적 25cm2 로 표시되었다면 지형도의 축척은?

  1. 1 : 4000
  2. 1 : 16000
  3. 1 : 25000
  4. 1 : 40000
(정답률: 38%)
  • 지도의 축척은 실제 크기와 지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 4km2를 지형도상 면적 25cm2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1cm2가 4km2/25cm2 = 0.16km2를 나타내야 한다. 이를 축척으로 나타내면 1 : 0.16km2이 된다. 이를 더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km2를 m2로 변환하면 1 : 160000m2이 된다. 이를 다시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1 : 40000으로 나타내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 : 4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클로소이드의 공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R : 곡선반지름, L : 곡선길이, A : 매개변수, τ : 접선각)

(정답률: 50%)
  • 답은 "" 이다. 이유는 공식에서 τ는 접선각이 아니라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τ 대신에 dy/dx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깊이 100m, 지름 5m 인 수직터널에서 터널 내외를 연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계선법
  2. 삼각구분법
  3. pole과 지거에 의한 방법
  4. 트랜싯과 수선에 의한 방법
(정답률: 60%)
  • 깊이가 깊고 지름이 큰 수직터널에서는 터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데 정확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트랜싯과 수선에 의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터널 내부와 외부에 각각 수직선을 세우고, 이 두 수직선이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수평선을 그어 터널 내부와 외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터널 내부와 외부의 거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곡선 설치시 곡선반지름 R=350m, 교각 I=70° 일 때 접선길이(T.L.)는?

  1. 235.7m
  2. 245.1m
  3. 250.7m
  4. 265.1m
(정답률: 59%)
  • 접선길이(T.L.)는 곡선의 중심각과 곡선반지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곡선의 중심각은 교각 I와 같으므로 70°입니다. 따라서, 접선길이(T.L.)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접선길이(T.L.) = 2πR × (I/360°)
    = 2 × 3.14 × 350 × (70/360)
    = 245.1m

    따라서, 정답은 "245.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나의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계획, 설계, 시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다음 중 터널 외 기준점 설치 후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측량은?

  1. 터널 내 측량
  2. 터널 외 기준점 측량
  3. 세부측량
  4. 지형측량
(정답률: 49%)
  •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부의 거리, 높이, 폭 등을 측정하여 터널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는 터널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며, 터널 내부의 구조물 설치 및 유지보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터널 외 기준점 설치 후에도 터널 내 측량은 시공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단곡선 설치 시 그림과 같이 교각(I) 관측이 어려워 ∠AA′B′, ∠BB′A′을 측정한 값이 140° 40′ 과 98° 20′ 이었다면 교각(I)은?

  1. 60°
  2. 90°
  3. 120°
  4. 150°
(정답률: 55%)
  • ∠AA′B′ + ∠BB′A′ = 180° (두 각이 이루는 합은 180도이다)
    따라서 ∠AIB = 180° - (∠AA′B′ + ∠BB′A′) = 180° - (140° 40′ + 98° 20′) = 40°
    ∠AIB는 삼각형 AIB의 내각이므로 ∠ABI + ∠BIA = 140°
    ∠ABI + (40° + ∠ABI) = 140°
    2∠ABI = 100°
    ∠ABI = 50°
    ∠BIA = 90° - ∠ABI = 40°
    ∠AIB = 180° - ∠ABI - ∠BIA = 90°
    따라서 교각(I)의 각도는 90°의 절반인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이 터널 단면의 좌표(x, y)를 측정하였을 때 이 좌표에 의한 터널의 내공단면적은? (단, 단위 : m)

  1. 41.12 m2
  2. 45.25 m2
  3. 82.23 m2
  4. 90.50 m2
(정답률: 33%)
  • 내공단면적은 터널 단면의 면적에서 터널 내부에 있는 구조물의 면적을 뺀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터널 내부에 있는 구조물이 없으므로, 터널 단면의 면적을 구하면 된다.

    터널 단면은 직사각형과 반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사각형의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한 값이고, 반원의 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π)를 곱한 값의 절반(1/2)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면적은 8 × 4 = 32m² 이고, 반원의 면적은 (2² × π) ÷ 2 = 6.28m² 이다. 따라서, 터널 단면의 면적은 32 + 6.28 = 38.28m² 이다.

    따라서, 정답은 "41.12 m²" 이 아니라 "38.28 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종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향기울기 와 하향기울기 가 반지름 2000m 의 원곡선 중에서 만날 경우에 곡선시점에서 20m 떨어져 있는 지점의 종거 y 값은?

  1. 0.1m
  2. 0.4m
  3. 0.6m
  4. 1.0m
(정답률: 29%)
  • 먼저, 상향기울기와 하향기울기가 만나는 지점은 원의 중심과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의 곡률반경은 2000m 이 됩니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의 곡률은 1/2000 이 됩니다.

    이제 곡선시점에서 20m 떨어져 있는 지점의 종거 y 값을 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곡선시점에서의 종거 y 값을 구해야 합니다. 곡선시점에서의 곡률은 상향기울기와 하향기울기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곡선시점에서의 곡률은 1/2000 * (-1/2000) = -1/4000000 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곡선시점에서의 종거 y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곡선시점에서의 종거 y 값은 (1/(-1/4000000)) = -4000000m 이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현실적으로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적절한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도로 설계에서는 종단곡선의 종거 y 값을 1/1000 단위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위에서 구한 종단곡선의 종거 y 값을 1/1000 단위로 변환하면 -4000000m / 1000 = -4000m 이 됩니다. 이 값은 곡선시점에서의 종거 y 값이므로, 20m 떨어져 있는 지점의 종거 y 값은 -4000m + 20m = -3980m 이 됩니다. 이를 다시 1/1000 단위로 변환하면 -3980m / 1000 = -3.98m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m"이 아닌, "0.4m"입니다. 이유는 종단곡선의 종거 y 값을 일반적으로 1/1000 단위로 표시하기 때문에, 위에서 구한 값에 1/1000을 곱한 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 정답이 됩니다. 따라서 -3.98m을 1/1000로 나눈 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4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지역에서 절토량과 성토량이 균형을 이루는 표고는? (단, 각 격자의 크기는 동일하다.)

  1. 1468.8m
  2. 1468.0m
  3. 1.53m
  4. 1.50m
(정답률: 32%)
  • 절토량과 성토량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는 두 토양층의 압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두 토양층의 단위면적당 중량과 두 토양층의 두께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 격자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절토량과 성토량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표고를 구해야 합니다.

    표고는 각 격자의 높이를 더한 값이므로,

    표고 = (0.5m + 0.5m + 0.5m + 0.5m + 0.5m + 0.5m + 0.5m + 0.03m + 0.03m + 0.03m + 0.03m + 0.03m + 0.03m) / 12 = 1.53m

    따라서, 정답은 "1.53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노선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B → C → D → A
  2. C → B → D → A
  3. C → D → A → B
  4. D → A → B → C
(정답률: 73%)
  • 노선측량은 일반적으로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이동하면서 측량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작점인 C에서 출발하여 D, A, B 순서로 이동하는 것이 옳은 순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 → D → A → 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심이 H인 하천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4H, 0.6H, 0.8H의 지점의 유속이 각각 0.58m/s, 0.57m/s, 0.51m/s, 0.36m/s 였다면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1. 0.45m/s
  2. 0.49m/s
  3. 0.50m/s
  4. 0.52m/s
(정답률: 50%)
  •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 유속 = (유속1 + 4 x 유속2 + 유속3) / 6

    여기서 유속1, 유속2, 유속3은 각각 0.2H, 0.4H, 0.6H, 0.8H 지점의 유속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평균 유속 = (0.58 + 4 x 0.57 + 0.51) / 6
    = 0.49 m/s

    즉,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0.49m/s이다.

    이유는 3점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속 측정 방법 중 하나로, 측정 지점의 유속을 고르게 반영하여 평균 유속을 계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3점법을 사용하여 평균 유속을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천측량에 있어서 심천측량을 실시하는 단계는?

  1. 평면측량
  2. 종단측량
  3. 횡단측량
  4. 골조측량
(정답률: 44%)
  • 하천측량에서 심천측량은 하천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중에서 횡단측량은 하천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하천의 폭과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횡단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하시설물의 관측방법으로 원래는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PVC 또는 플라스틱 관 등과 같은 비금속 수도관로를 찾는데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1. 전자(electronic) 탐사법
  2. 자기(magnetic) 탐사법
  3. 음파(acoustic) 탐사법
  4. 탄성파(seismic) 탐사법
(정답률: 54%)
  • 음파 탐사법은 수도관 내부에 송수관이 흐르는 경우, 그 소리를 감지하여 누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하며,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누수 탐지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00m2 정사각형 토지의 면적을 0.2m2 까지 정확하기 구하기 위해서는 1변의 길이를 최대 몇 cm 까지 정확하게 관측하여야 하는가?

  1. 0.5cm
  2. 1.0cm
  3. 1.5cm
  4. 2.0cm
(정답률: 34%)
  • 정사각형의 면적은 변의 길이의 제곱이므로, 100m2 면적을 가진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0m 이다. 이를 cm 단위로 변환하면 1000cm 이 된다.

    면적의 정확도를 0.2m2 까지 유지하려면, 변의 길이의 정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변의 길이의 정확도) = √(면적의 정확도) = √0.2m2 = 0.447cm

    따라서, 변의 길이를 최대한 정확하게 관측하려면 0.5cm 보다 작은 0.447cm 보다 작은 1.0cm 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토량계산에 있어 양단면의 차가 심할 때 산출된 토량의 일반적인 대소 관계로 옳은 것은? (단, 양단면 평균법을 A, 중앙단면법을 B, 각주공식을 C로 한다.)

  1. A > B > C
  2. A > C = B
  3. A = C > B
  4. A > C > B
(정답률: 54%)
  • 양단면의 차가 심할 때, 양단면 평균법(A)은 양단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평균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토량이 과소추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중앙단면법(B)은 양단면의 차이를 고려하여 중앙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토량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산출됩니다. 각주공식(C)은 양단면의 차이를 고려하지만, 계산 방식이 복잡하고 오차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A > C > B의 대소 관계가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상 및 지하시설물 등에 대한 지도 및 도면 등 제반 정보를 수치 입력하여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AM(Automated Mapping)
  2. FM(Facilities Management)
  3. CAD(Computer Aided Design)
  4. SIS(Surveying Information System)
(정답률: 64%)
  • FM은 시설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체계로, 지도 및 도면 등 제반 정보를 수치 입력하여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FM이 정답이다. AM은 자동화된 지도 작성 기술, CAD는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기술, SIS는 측량 정보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에 최소 기준점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2. 2점의 (x, y)좌표 및 1점의 (z)좌표
  3. 2점의 (x, y, z)좌표
  4. 3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좌표
(정답률: 41%)
  • 절대표정은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로, 최소한 3개의 점의 좌표를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최소 기준점을 구성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2개의 점의 (x, y, z) 좌표와 1개의 점의 (z) 좌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유는 3차원 공간에서 2개의 점은 하나의 직선을 이루기 때문에, 이 두 점을 통해 얻은 직선과 1개의 점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삼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접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을 촬영하는 작업을 말한다.
  2. 항공사진에 포함되는 지역의 기준점을 지상에서 직접삼각측량하는 직업을 말한다.
  3. 도화키를 사용하여 요구하는 지역의 지형지물을 지정된 축척으로 묘사하는 실내작업을 말한다.
  4. 도화기 또는 좌표측정기에 의하여 항공사진상에서 측정된 구점의 모델좌표 또는 사진좌표를 지상기준점 및 GNSS/INS 외부표정요소를 기준으로 지상좌표를 전환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률: 58%)
  • 항공사진상에서 측정된 구점의 좌표를 지상좌표로 전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를 위해 도화기나 좌표측정기를 사용하며, 지상기준점과 GNSS/INS 외부표정요소를 기준으로 전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진기 검정자료(calibration cerificate)로부터 직접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초점거리
  2. 렌즈의 왜곡량
  3. 등각점
  4. 주점
(정답률: 39%)
  • 등각점은 사진기 검정자료(calibration certificate)로부터 직접 얻을 수 없는 정보입니다. 이는 개별적인 사진기의 특성으로, 사진기의 렌즈와 센서의 위치 및 정확한 조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등각점은 렌즈의 초점이 맞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렌즈의 왜곡이 최소화되고 선명한 이미지가 얻어집니다. 따라서 등각점은 개별적인 사진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60%의 종중복도로 촬영된 5장의 연속된 항공사진에서 가운데(3번째) 사진에 나타나는 종접합점의 최대 개수는?

  1. 3점
  2. 6점
  3. 9점
  4. 12점
(정답률: 43%)
  • 종접합점이란 항공사진에서 두 개 이상의 사진에서 겹치는 지점을 말한다. 따라서 5장의 연속된 항공사진에서 3번째 사진에서는 전체적으로 2번째와 4번째 사진과 겹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 중에서 종접합점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찾아야 한다.

    종중복도가 60%이므로, 2장의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은 40%가 된다. 따라서 2번째와 4번째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은 최대 40%가 될 것이다. 이 부분에서 종접합점이 가장 많은 경우는 겹치는 부분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종접합점의 개수는 겹치는 부분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최대 개수를 구하려면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5장의 사진에서 가운데(3번째)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길이는 2번째와 4번째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길이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최대 종접합점의 개수는 2번째와 4번째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에서 구할 수 있다.

    2번째와 4번째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길이가 100m라고 가정하면, 종접합점의 개수는 100m에 비례하므로 최대 9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9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액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정합을 수행할 때 검색범위를 줄여준다.
  2. 공액면은 2개의 투영중심과 하나의 지상점으로 정의된다.
  3. 공액션은 공액면과 각각의 영상면의 교선을 의미한다.
  4. 하나의 지상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에서 공액선은 항상 서로 평행하다.
(정답률: 49%)
  • "하나의 지상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에서 공액선은 항상 서로 평행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공액선은 공액면과 각각의 영상면의 교선으로 정의되며, 이 교선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수치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을 집성(mosaic)할 때 인접 부분을 이어붙인 자국이 없이 원래 한 장의 사진이었던 것처럼 부드럽고 미려하게 처리하는 작업은?

  1. 재배열(resampling)
  2. 영상 페더링(feathering)
  3. 정사보정(orthorectification)
  4. 경계정합(edge matchig)
(정답률: 57%)
  • 영상 페더링은 인접한 두 영상을 부드럽게 이어붙이는 기술로, 각 영상의 경계 부분에서 서서히 흐려지도록 처리하여 자국이 없이 자연스럽게 합쳐지게 만드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하나의 큰 영상으로 만들어낼 수 있으며, 수치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촬영시 사진기의 경사,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등고선이 삽입된 사진지도는?

  1. 중심투영 사진지도
  2. 정사투영 사진지도
  3. 조정집성 사진지도
  4. 약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50%)
  • 등고선이 삽입된 사진지도는 지형의 형태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지형의 모양을 왜곡하지 않는 정사투영 사진지도를 사용한다. 중심투영 사진지도는 지형의 중심을 중심으로 왜곡되기 때문에 등고선을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조정집성 사진지도와 약집성 사진지도는 지형의 형태를 왜곡하기 때문에 등고선을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상호표점 인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bx, by, bz, κ, ø
  2. by, bz, κ, ω, ø
  3. bx, by, bz, λ, ø
  4. bx, bz, κ, λ, ø
(정답률: 59%)
  • 상호표점 인자는 벡터의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값들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bx, by, bz이며, 이는 벡터의 방향을 x, y, z축으로 나타내는 값이다.

    κ는 벡터의 곡률을 나타내는 값으로, 벡터가 곡선을 따라 움직일 때 사용된다.

    ω는 벡터의 회전을 나타내는 값으로, 벡터가 회전할 때 사용된다.

    ø는 벡터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벡터가 기울어질 때 사용된다.

    따라서, "by, bz, κ, ω, ø"가 옳게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격탐사를 위한 정지궤도위성의 고도는?

  1. 약 500km
  2. 약 1000km
  3. 약 20000km
  4. 약 36000km
(정답률: 33%)
  • 원격탐사를 위한 정지궤도위성은 지구의 자전과 동기화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머무르기 위해 고도 약 36000km에 위치합니다. 이는 지구의 중력과 위성의 운동력이 균형을 이루는 고도로, 이 고도에서는 위성이 지구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지구의 일정한 지역을 계속 관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격탐사를 위한 정지궤도위성은 이 고도에 위치하여 지구의 특정 지역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직사진의 경우 사진좌표계(x, y)와 지상좌표계(X, Y)가 그림과 같이 구성되었다. 지상좌표를 사진자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3차원 회전행렬로 옳은 것은?

(정답률: 25%)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회전행렬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R = [cosθ -sinθ 0; sinθ cosθ 0; 0 0 1]

    여기서 θ는 회전각도이다. 따라서 x축으로 30도 회전하는 경우, 회전행렬은 다음과 같다.

    R = [cos30 -sin30 0; sin30 cos30 0; 0 0 1]

    = [√3/2 -1/2 0; 1/2 √3/2 0; 0 0 1]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주점거리가 160mm인 사진기로 비고 640m 지점의 대상물을 1:12000의 사진축척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면 촬영고도는?

  1. 2360m
  2. 2460m
  3. 2560m
  4. 2660m
(정답률: 49%)
  • 주점거리 160mm와 사진축척 1:12000을 이용하여 대상물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 = (주점거리 x 대상물의 실제 크기) / 사진축척

    여기서 대상물의 실제 크기는 알 수 없으므로 계산할 수 없다. 하지만 대상물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와 지면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의 합은 640m이다.

    따라서 지면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 = 640m -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

    = 640m - (주점거리 x 대상물의 실제 크기) / 사진축척

    여기서 대상물의 실제 크기를 모르므로 대상물의 크기가 작을수록 거리는 커지고, 대상물의 크기가 클수록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대상물의 크기가 작을수록 지면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커지므로 촬영고도는 작아진다.

    반대로 대상물의 크기가 클수록 지면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작아지므로 촬영고도는 커진다.

    정답은 "2560m"이다. 이유는 대상물의 크기가 작아서 지면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영상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통계값을 얻을 수 있는 수계의 트레이닝 필드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54%)
  • 수계의 트레이닝 필드로 적합한 것은 ""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트레이닝 필드는 수심이 일정한 구간이어야 한다. 이 영상에서는 "" 구간에서 수심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2. 트레이닝 필드는 물의 흐름이 미약한 곳이어야 한다. 이 영상에서는 "" 구간에서 물의 흐름이 미약하게 유지되고 있다.

    3. 트레이닝 필드는 물고기가 서식하는 곳이어야 한다. 이 영상에서는 "" 구간에서 물고기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 구간이 수계의 트레이닝 필드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상에서 대상물체에 전파를 발생시켜 그 반사파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측량방법이다.
  2. 센서를 이용하여 지표의 대상물에서 반사 또는 방사되는 전자 스펙트럼을 관측하고 이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물이나 현상에 관한 정보를 얻는 기법이다.
  3. 우주에 산재하여 있는 물체들의 고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성분을 지상의 레이더망으로 수집 처리하는 기법이다.
  4. 우주에서 찍은 중복된 사진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항공사진의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판독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63%)
  • 센서를 이용하여 지표의 대상물에서 반사 또는 방사되는 전자 스펙트럼을 관측하고 이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물이나 현상에 관한 정보를 얻는 기법이다. 이는 대상물체에 전파를 발생시켜 그 반사파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측량방법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진측량에서 Z좌표(놀이)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축척이 큰 사진을 사용한다.
  2. 사진좌표의 정확도를 높인다.
  3. 촬영고도가 높은 사진을 사용한다.
  4. 기선고도비가 큰 모델을 사용한다.
(정답률: 60%)
  • 촬영고도가 높은 사진을 사용하면 높이에 대한 정보가 더욱 정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높이가 높아질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촬영각도가 낮은 사진보다는 높은 사진에서 더욱 정확한 높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동서 20km, 남북 10km의 장방형 지역을 촬영한 1개 모형의 피복면적이 20km2 라면 필요한 사진의 수는? (단, 안전율은 30% 이다.)

  1. 7장
  2. 10장
  3. 13장
  4. 20장
(정답률: 49%)
  • 장방형 지역의 면적은 동서 20km x 남북 10km = 200km2 이다. 이 지역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적어도 1.3배(100% + 30%)의 면적을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촬영 면적은 200km2 x 1.3 = 260km2 이다.

    한 장의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는 면적은 모형의 피복면적인 20km2 이다. 따라서 필요한 사진의 수는 260km2 / 20km2 = 13장이다.

    따라서 정답은 "13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2차원 쿼드트리(quadtre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 자기유사상의 원리(spatial autocorrelation principle)를 이용하고 있다.
  2. 같은 레벨에 있는 사각형 노드는 같은 면적을 가진다.
  3. 인접한 자료가 멀리 저장되어 비효율적이다.
  4. 자료는 노드와 포인터로 저장된다.
(정답률: 55%)
  • "인접한 자료가 멀리 저장되어 비효율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쿼드트리의 특징인 공간 자기유사성 원리를 이용하여 인접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쿼드트리는 공간을 4개의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저장하므로, 인접한 자료는 같은 노드에 저장되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디지털사진측량 또는 원격탐사 자료의 처리 중 이용 가능한 영상자료의 재배열(resampling) 방법이 아닌 것은?

  1. 변위 내삽법(displacement interpolation)
  2. 최근린(nearest ineigbor) 내삽법
  3. 공일차 내삽법(bilinear interpolation)
  4. 3차 회선(cubic convolutio) 내삽법
(정답률: 46%)
  • 변위 내삽법은 영상의 픽셀 값이 이동한 만큼을 고려하여 재배열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사진측량이나 원격탐사 자료 처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위 내삽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파장의 특정 방향성분만을 통과시키는 광학원리를 이용하여 입체시를 하는 방법은?

  1. 편광입체시
  2. 여색입체시
  3. 육안입체시
  4. 렌즈식입체시
(정답률: 70%)
  • 편광입체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원에서 나온 빛을 특정한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이를 다시 광섬유를 이용하여 수신기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방향성분만을 통과시키는 광학원리를 이용하여 입체시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편광입체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원격탐사에 사용되는 센서 중 수동형 센서(passive sensor)에 해당되는 것은?

  1. 레이저 스캐너(laser scanner)
  2. 다중분광스캐너(multispectral scanner)
  3. 레이더 고도계(rader altimeter)
  4. 영상 레이더(SLAR)
(정답률: 55%)
  • 수동형 센서는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고, 주변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다중분광스캐너가 수동형 센서에 해당된다. 다중분광스캐너는 지구 표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여 다양한 파장대의 스펙트럼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로, 지형지물, 식생, 수질 등 지구 표면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평탄한 지면을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3cm×23cm 로 촬영한 연직항공사진이 있다. 촬영고도 1800m, 종중복도 60%로 촬영한 경우, 연속된 10매의 사진에서 입체시 가능한 부분의 실제면적(모델면적)은?

  1. 27.5 km2
  2. 28.9 km2
  3. 30.5 km2
  4. 45.7 km2
(정답률: 24%)
  • 촬영한 지역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촬영한 지역의 너비 = (23cm × 10) × 150mm / 1800m = 1.9125km
    촬영한 지역의 높이 = (23cm × 10) × 150mm × 0.6 / 1800m = 1.1475km
    촬영한 지역의 면적 = 1.9125km × 1.1475km = 2.193km²

    따라서, 연속된 10매의 사진에서 입체시 가능한 부분의 실제면적(모델면적)은 2.193km² × 13.2 = 28.9 km² 이다. (13.2은 10매의 사진에서 입체시 가능한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수치지도에서 단일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gication)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체적인 지형·지물의 변경에 관한 최선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
  2. 지형·지물에 대한 최신 정보를 다른 축척의 데이터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지형·지물에 바로 연계시켜 전달해 줄 수 있다.
  3. 사용자가 일부 처리 작업한 공간데이터를 완전히 대체시키는 것이 아니라 최신 내용만을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4.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이 높이지고 모든 변경사항의 역추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30%)
  •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이 높이지고 모든 변경사항의 역추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UFID는 지형·지물의 고유한 특징을 식별하는 식별자로, 수치지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UFID를 활용하면 구체적인 지형·지물의 변경에 관한 최선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들로부터 얻을 수 있고, 지형·지물에 대한 최신 정보를 다른 축척의 데이터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지형·지물에 바로 연계시켜 전달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부 처리 작업한 공간데이터를 완전히 대체시키는 것이 아니라 최신 내용만을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이 높아지고 모든 변경사항의 역추적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다른 지도의 기반이 되는 지도이다.
  2. 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다.
  3. 특정한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이다.
  4. 지형과 지물을 포함하여 법률로 지정된 도식과 축척에 맞추어 그린 지도이다.
(정답률: 58%)
  • 이 주제도는 특정한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이다. 이는 다른 지도와는 달리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지도로, 해당 지리정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간정보의 표현기법 중 래스터데이터(Raster data)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3차원과 같은 입체적인 지도 디스플레이 표현은 불가능하다.
  2. 격자형의 영역에서 x, y축을 따라 일련의 셀들이 존재한다.
  3. 각 셀들이 속상 값을 가지므로 이들 값에 따라 셀들을 분류하거나 다양하게 표현한다.
  4. 인공위성에 의한 이미지, 항공영상에 의한 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들이다.
(정답률: 66%)
  • 3차원과 같은 입체적인 지도 디스플레이 표현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래스터 데이터가 2차원적인 데이터 형태이기 때문이다. 래스터 데이터는 격자형의 영역에서 x, y축을 따라 일련의 셀들이 존재하며, 각 셀들이 속한 값을 가지므로 이들 값에 따라 셀들을 분류하거나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인공위성에 의한 이미지, 항공영상에 의한 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들이 래스터 데이터의 예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래스터 자료와 비교할 때, 벡터 자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 구조의 효율적 축약이 가능하다.
  2. 위상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3. 선형자료의 연결이 매끄럽지 못하다.
  4. 자료구조가 복잡하다.
(정답률: 59%)
  • 선형자료의 연결이 매끄럽지 못한 것은 벡터 자료의 특징이 아니라, 리스트나 연결리스트와 같은 자료구조의 특징이다. 벡터 자료는 선형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료분석을 위해 지도요소를 중첩할 때 각각의 중첩되는 요소 하나하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테마
  2. 스키마
  3. 레이어
  4. 지오코드
(정답률: 71%)
  •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료분석을 위해 지도요소를 중첩할 때 각각의 중첩되는 요소 하나하나를 "레이어"라고 한다. 이는 각각의 요소가 서로 겹쳐져서 하나의 지도를 형성하는데, 이때 각각의 요소를 분리하여 관리하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시 지도에서 도로, 건물, 공원 등 각각의 요소를 레이어로 분리하여 관리하면, 각각의 요소를 독립적으로 편집하거나 분석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를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통합하여 구축할 경우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표준화
  2. 자료의 신뢰성
  3. 자료의 중복성 증대
  4. 자료관리의 효율성 향상
(정답률: 67%)
  • "자료의 중복성 증대"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중복된 자료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자료 관리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다. 중복된 자료는 저장 공간을 낭비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해치며, 데이터 수정 시 모든 중복 자료를 일일이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중복된 자료를 최소화하고 표준화된 자료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리정보자료의 내용이나 품질, 상태, 제작시점, 제작자, 소유권자, 좌표체계 등 특성에 관한 제반사항을 나타내는 부가자료는?

  1. 메타데이터
  2. 속성데이터
  3. 공간데이터
  4. 이력데이터
(정답률: 64%)
  • 메타데이터는 지리정보자료의 특성에 관한 제반사항을 나타내는 부가자료로, 내용이나 품질, 상태, 제작시점, 제작자, 소유권자, 좌표체계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메타데이터가 정답이 됩니다. 속성데이터는 지리정보자료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공간데이터는 지리정보자료의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력데이터는 지리정보자료의 변화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자료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주민등록 데이터베이스
  2. 원격탐사 잘
  3. 현장 조사자료
  4. 수치지도
(정답률: 73%)
  • 주민등록 데이터베이스는 GIS에서 사용되는 공간정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거리가 먼 자료원이다. 원격탐사 자료와 수치지도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장 조사자료는 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주요 자료원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료의 보간법 중 최근린(nearest neighbor) 보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료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이 손실되지 않는다.
  2. 다른 보간법에 비해 계산속도가 빠르다.
  3. 원래의 자료값을 평균하거나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한다.
  4. 가장 가까운 4개의 기지값의 거리에 따라 경중률을 계산한다.
(정답률: 42%)
  • 가장 가까운 4개의 기지값의 거리에 따라 경중률을 계산하는 것은 최근린 이웃 보간법이 아니라 가중치를 부여한 최근접 이웃 보간법입니다. 최근린 이웃 보간법은 가장 가까운 하나의 기지값을 선택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 가장 가까운 기지값의 자료값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래의 자료값을 평균하거나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합니다. 또한 계산속도가 빠르고 자료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이 손실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최근 발전하고 있는 기술 및 서비스 분야 중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2. NFC(near field communicaton)
  3. LBS(lacation based service)
  4. Telematics
(정답률: 38%)
  • NFC는 지리정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기술이다. NFC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폰이나 카드 등에 내장된 칩을 이용해 간편하게 정보를 교환하거나 결제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지리정보와는 관련이 없으며, 주로 결제나 출입관리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응용기법 하나로써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복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1. DXF
  2. FM
  3. DEM
  4. AM
(정답률: 69%)
  • DEM은 Digital Elevation Model의 약자로, 지형의 고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복의 변화를 수치화하여 지도상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EM은 GIS에서 지형 분석, 지형 모델링, 수문학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응용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할 때 공간자료에 해당되는 것은?

  1. 관거 재질
  2. 관거 매설 년도
  3. 관거 관리 이력
  4. 관거 위치
(정답률: 77%)
  • GIS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으로, 공간자료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자료를 말합니다. 따라서 "관거 위치"가 공간자료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속성자료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규칙적인 셀(cell)의 격자에 의하여 형상을 묘사하는 자료구조는?

  1. 래스터자료구조
  2. 벡터자료구조
  3. 속성자료구조
  4. 필지자료구조
(정답률: 72%)
  • 래스터자료구조는 규칙적인 격자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자료구조이다. 이러한 격자는 이미지나 지도 등에서 사용되며, 각 셀은 일정한 크기와 값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래스터자료구조는 공간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며,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수계망을 Strahler방법으로 계산하면 O으로 표시되는 부분의 합류 후 하천은 몇 차수인가? (단, 물의 흐름은 화살표방향으로 흐른다.)

  1. 1차수
  2. 2차수
  3. 3차수
  4. 4차수
(정답률: 53%)
  • Strahler 방법은 하천망에서 가장 작은 순서의 지류부터 시작하여 합류할 때마다 순서를 1씩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위 수계망에서 O 지점은 1차수와 2차수가 합류하여 3차수가 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O 지점의 합류 후 하천은 3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치표고모형(DEM) 자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산출물이 아닌 것은?

  1. 음영기복도
  2. 토지피복도
  3. 3차원 지세도
  4. 지형 경사도
(정답률: 66%)
  • DEM 자료는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3차원 지세도, 지형 경사도, 음영기복도 등의 산출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토지피복도는 지형의 특성뿐만 아니라 토양, 식생, 인간 활동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작되는 지도로, DEM 자료만으로는 제작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피복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구축한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샘플링 하여야 한다. 모집단을 보다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러한 각층으로부터 단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하는 방법은?

  1. 단순 무작위 샘플링(simple random sampling)
  2. 계통 샘플링(systematic sampling)
  3. 층화 계통 비정렬 샘플링(stratified systematic unalgned sampling)
  4. 층화 무작위 샘플링(stratified random sampling)
(정답률: 62%)
  • 층화 무작위 샘플링은 모집단을 보다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단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 층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의 전체적인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GIS 데이터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층화 무작위 샘플링이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위성영상의 전반에 걸쳐 불규칙한 잡음(speckle noise)이 발생하여 이를 보정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밴드간 비연산처리
  2. 공간 필터링
  3. 히스토그램 확장
  4. 주성분 분석 변환
(정답률: 59%)
  • 가장 적합한 방법은 "공간 필터링"입니다. 이는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로, 이미지의 공간적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해당 영역의 픽셀 값을 조정함으로써 잡음을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위성영상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잡음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위성영상의 해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광해상도는 스펙트럼 내에서 센스가 반응하는 특정 전자가 파장대의 수와 이 파장대의 크기를 말한다.
  2. 방사해상도는 동일 영상 내의 축척을 얼마나 고르게 나타낼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3. 주기해상도는 동일 지역에 대한 영상을 얼마나 자주 얻을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4. 공간해상도는 하나의 화소가 나타내는 최소 지상 면적을 말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분광해상도는 스펙트럼 내에서 센스가 반응하는 특정 전자가 파장대의 수와 이 파장대의 크기를 말한다."이다.

    방사해상도는 영상 내에서 인접한 두 화소 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공간해상도는 하나의 화소가 나타내는 최소 지상 면적을 말한다. 주기해상도는 영상을 얻는 주기를 나타내며, 이는 위성의 타당성과 관련이 있다. 분광해상도는 영상에서 관측 가능한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최소 파장대를 말한다. 따라서, 방사해상도는 영상 내의 축척과 관련이 있지만, "동일" 영상 내의 축척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은 하나의 노드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의 위치는 좌표를 표현한다.
  2. 선은 2개의 노드와 수 개의 버텍스(vertex)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 혹은 버텍스는 체인으로 연결된다.
  3. 면은 하나 이상의 노드와 수 개의 버텍스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 혹은 버텍스는 체인으로 연결된다.
  4. TIN은 연속적인 삼각면으로 지표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각 삼각면의 중앙점에서 해당 지점의 고도값을 표현한다.
(정답률: 55%)
  • "TIN은 연속적인 삼각면으로 지표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각 삼각면의 중앙점에서 해당 지점의 고도값을 표현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TIN은 삼각형으로 지형을 분할하여 고도값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화재나 응급 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 또는 항공기의 운항경로 등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공간분석방법은?

  1. 관망분석
  2. 중첩분석
  3. 버퍼링분석
  4. 근접성분석
(정답률: 59%)
  • 관망분석은 특정 지점에서 시야가 닿는 범위를 분석하여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공간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화재나 응급 상황에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나 항공기의 운항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다른 분석 방법들은 거리나 근접성 등을 고려하지만, 관망분석은 시야가 닿는 범위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최적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그림과 같이 사력댐을 건설하고자 한다. 사력댐 상단(진한 선)의 높이가 100m 이고, 기울기는 상·하류방향 모두 1:1 이라고 할 때, 대략적인 성토범위로 가장 적절히 표시된 것은?

(정답률: 31%)
  • 정답은 "" 이다.

    사력댐은 물을 가두어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댐의 상단부는 물의 높이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댐의 상단부는 가능한 높이를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지형을 선택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댐의 상단부에는 대개 큰 규모의 성토가 필요하다.

    그림에서 보듯이, 사력댐의 상단부는 높이가 100m이며, 기울기는 상·하류방향 모두 1:1이다. 이러한 경우, 대략적인 성토범위는 댐의 상단부에서 100m 정도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지점까지이다. 이는 댐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성토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방위각이 166° 29′ 45″ 이라면 의 역방위각은?

  1. 13° 30′ 15″
  2. 103° 30′ 15″
  3. 283° 30′ 15″
  4. 346° 29′ 45″
(정답률: 49%)
  • 역방위각은 방위각에 180°를 더하거나 빼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166° 29′ 45″ 에 180°를 더해보면 346° 29′ 45″ 가 되므로, 정답은 "346° 29′ 4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동일 조건으로 기선측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최확값은?

  1. 98.468m
  2. 98.474m
  3. 98.478m
  4. 98.484m
(정답률: 43%)
  • 주어진 데이터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값인 최빈값을 구하면 됩니다. 주어진 데이터에서 98.474m가 2번 등장하고, 다른 값들은 1번씩 등장하므로, 최빈값은 98.474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8.474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축척 1:25000 지형도 상에서 두 점간의 도상거리가 10cm이었다. 이 두 점의 거리가 도상 25cm로 표현되는 지형도의 축척은?

  1. 1:50000
  2. 1:25000
  3. 1:10000
  4. 1:5000
(정답률: 49%)
  • 도상거리 10cm가 실제 거리로 환산되면 25000cm(=250m)이 된다. 따라서, 실제 거리 250m를 도상 25cm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1:10000의 축척이 필요하다. 이는 1cm가 실제로 10000cm(=100m)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대오차는 관측자의 부주의나 측량방법을 잘못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과실 또는 착오의 결과이다.
  2.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는 오차를 정오차라 한다.
  3. 정오차는 항상 발생하는 오차로 상차라고도 한다.
  4. 우연오차는 발생빈도, 크기, 부호 등을 알 수 없는 무작위성 오차이다.
(정답률: 47%)
  • 정오차는 항상 발생하는 오차로 상차라고도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정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의미하며, 크기와 방향을 알 수 있는 오차를 말합니다. 상차는 측정값이 실제값보다 큰 경우를 의미하는 과대오차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정오차는 항상 발생하는 오차로 상차라고도 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조정이 복잡하고 포괄면적이 적으며 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나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은?

  1. 단열삼각망
  2. 유심삼각망
  3. 결합삼각망
  4. 사변형삼각망
(정답률: 63%)
  • 사변형삼각망은 조정이 복잡하고 포괄면적이 적으며 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지만, 삼각형의 모든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삼각형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입니다. 따라서 사변형삼각망은 정밀한 지형도 작업이나 건축물 위치 측정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에서 P점의 표고는?

  1. 17.4m
  2. 18.0m
  3. 18.4m
  4. 19.0m
(정답률: 60%)
  • P점의 표고는 P점에서 가장 가까운 등고선까지의 수직 거리이다. 그림에서 P점에서 가장 가까운 등고선은 19.0m 높이의 등고선이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19.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분기하지 않고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에서는 교차할 수 있다.
  2. 동일 등고선 상의 모든 점은 같은 높이에 있다.
  3. 등고선은 하천, 호수, 계곡 등에서는 단절되고 도상에서 폐합되지 않는다.
  4. 등고선은 능선 또는 계곡선과 직각으로 만난다.
(정답률: 55%)
  • "등고선은 하천, 호수, 계곡 등에서는 단절되고 도상에서 폐합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고선은 하천, 호수, 계곡 등에서도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천을 따라 등고선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그림과 같이 “사과길”로부터 은행건물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자 다음과 같은 측량결과를 얻었다. CD의 거리는? (단, ∠EAB = 62°, AB = 6m, BC = 10m, ∠ABC = ∠ADC = 90°)

  1. 9.99m
  2. 10.23m
  3. 10.88m
  4. 11.76m
(정답률: 40%)
  • 삼각형 ABC에서 ∠ABC = 90° 이므로, ∠BAC = 180° - ∠ABC = 90° 이다. 따라서 삼각형 ABD는 직각삼각형이다.

    또한, 삼각형 ACD에서 ∠ADC = 90° 이므로, 삼각형 ACD도 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삼각형 ABD와 삼각형 ACD는 유사한 직각삼각형이다.

    AB/AD = BC/CD 이므로, CD = BC × AD/AB = 10 × tan(62°) ≈ 9.99m 이다.

    따라서 정답은 "9.99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직접수준측량으로 편도 8km를 측량하여 ±20mm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편도 2km를 관측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1. ±20mm
  2. ±10mm
  3. ±5mm
  4. ±2.5mm
(정답률: 29%)
  • 직접수준측량에서 오차는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8km에서 발생한 ±20mm의 오차는 2km에서는 8km의 1/4인 2km에서는 ±5mm의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직접수준측량에서는 오차가 누적되므로, 2km에서의 오차는 ±5mm가 아니라 ±10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그림과 같이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때 P점의 좌표는?

  1. Px = -354.577m, Py = -442.205m
  2. Px = -466.884m, Py = -329.898m
  3. Px = -466.884m, Py = -442.205m
  4. Px = -354.577m, Py = -329.898m
(정답률: 33%)
  • 삼각측량에서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AB, AC, BC의 길이와 각 ABC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코사인 법칙과 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각 BAC의 크기와 AC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C의 길이와 각 BAC의 크기를 이용하여 AP의 길이와 각 PAC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PAC의 크기와 AC의 길이를 이용하여 Px와 Py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계산하면 "Px = -354.577m, Py = -442.205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트래버스 측량의 결과가 표와 같을 때, 폐합오차는?

  1. 1.05m
  2. 1.15m
  3. 1.75m
  4. 1.95m
(정답률: 38%)
  • 폐합오차는 측량한 모든 변의 길이의 합에서 실제 다각형의 둘레 길이를 뺀 값이다. 따라서, 측정한 변의 길이의 합은 20.00m + 20.00m + 20.00m + 20.00m + 20.00m + 20.00m = 120.00m 이다. 그리고, 다각형의 둘레 길이는 121.05m 이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121.05m - 120.00m = 1.0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전자파거리측량기(EDM)에서 발생되는 오차 중 거리에 비례하여 나타나는 것은?

  1. 위상차 측정오차
  2. 반사프리즘의 구심오차
  3. 반사프리즘 정수의 오차
  4. 변조주파수의 오차
(정답률: 45%)
  • 전자파거리측량기에서 거리 측정 오차 중 거리에 비례하여 나타나는 것은 변조주파수의 오차입니다. 이는 전송된 전자파의 주파수가 변조되어 수신되는 경우 발생하는 오차로, 이 오차는 거리가 먼 경우에 더욱 커집니다. 따라서 EDM에서 거리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변조주파수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30m에 대하여 6mm 늘어나 있는 줄자로 정사각형의 지역을 측량한 결과 면적이 62500m2 이었다면 실제면적은?

  1. 62525 m2
  2. 62513 m2
  3. 62488 m2
  4. 62475 m2
(정답률: 43%)
  • 30m의 변을 가지는 정사각형의 면적은 900m2 이다. 줄자가 6mm 늘어났으므로, 줄자의 길이는 30m + 0.006m = 30.006m 이다. 이를 이용하여 실제 면적을 구해보자.

    실제 면적 = (30.006m)2 = 900.540036m2

    따라서, 실제 면적은 62525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기기와 성능검사 주기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토덜 스테이션 – 1년
  2. GPS 수신기 - 2년
  3. 거리측정기 - 3년
  4. 레벨 – 5년
(정답률: 55%)
  • 거리측정기는 측정 정확도가 중요한데, 사용 빈도가 높아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도 유지를 위해 3년 주기로 성능검사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기본측량성과 중 지도등 또는 측량용 사진을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 없이 국외로 반출할 수 있는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 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출하는 경우
  2.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정부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의하여 상호 교환하는 경우
  3.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시설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4. 5만분의 1 이상의 축척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63%)
  • 5만분의 1 이상의 축척으로 제작된 지도는 국내의 중요한 지리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국외로 반출할 경우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경우가 아니면 반출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57%)
  •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는 측량법에 위배되는 행위를 한 것이므로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이는 범죄에 해당하지 않으며, 경범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벌칙 기준은 경범죄의 벌칙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범죄의 벌칙 기준 중에서도 가장 높은 벌칙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그러나 이는 과도한 처벌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립하여야 하는 측량기본계획의 수립 주기로 옳은 것은?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률: 59%)
  • 측량기본계획은 국토의 측량 및 지적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계획으로, 측량기술의 발전과 국토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측량기본계획의 수립 주기는 측량기술의 발전과 국토의 변화를 고려하여 5년으로 결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지번이란 작성된 지적도의 등록번호를 말한다.
  2. 측량성과는 측량에서 얻은 각종 기록과 최정성과를 말한다.
  3. 지적측량이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4. 측량이라 함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량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거나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을 말하며, 각종 건설 사업에서 요구되는 도면작성 등은 제외된다.
(정답률: 36%)
  • 지적측량이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 토지거래 등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으로, 지적도 등록번호인 지번과는 구분된다. 측량성과는 측량에서 얻은 기록과 최정성과를 말하며, 측량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량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거나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공공측량시행자는 작업은 시행하기 며칠전까지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3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55%)
  • 공공측량시행자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작업을 준비하고 계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시행자는 작업을 며칠전까지 제출하여야 하는데, 이 기간은 일반적으로 3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