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3-05)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22-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연직선편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진북방위각과 도북방위각의 차이이다.
  2. 기준타원체와 지오이드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3. 연직선(vertical line)과 법선(normal line)의 차이이다.
  4. 측지위도와 천문위도의 차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북방위각과 도북방위각의 차이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연직선편차는 지구의 곡률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기준타원체와 지오이드의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연직선과 법선의 차이 또는 측지위도와 천문위도의 차이도 연관되어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력보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도(elevation)보정-지표상의 한점에서 측정된 중력값을 지오이드 면상의 중력값으로 보정하는 것이다.
  2. 지형(terrain)보정-지형이 평평하다는 가정을 보정해 주는 것으로 그 값을 항상 (-)가 된다.
  3. 부게(bouger)보정-측정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정이다.
  4. 아이소스타시(isostatic)보정-아이소스타시 지각균형 이론에 의한 보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terrain)보정-지형이 평평하다는 가정을 보정해 주는 것으로 그 값을 항상 (-)가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형보정은 지형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이며, 이 때 중력값이 항상 음수가 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NSS 측위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독측위 시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하므로 위성의 궤도정도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이 거의 없어 무시할 수 있다.
  2. DGPS는 미지점과 기지점에서 동시에 관측을 실시하여 양 측점에서 관측한 정보를 모두 해석함으로써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3. GMSS 이동측량은 관측하는 전 과정동안 모든 수신기에서 최소 4개 이상의 위성들로부터 송신되는 위성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야 한다.
  4. 네트워크 RTK측량(이동측위법)은 3~4급 공공삼각점측량에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독측위 시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하므로 위성의 궤도정도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이 거의 없어 무시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위성의 궤도정도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많은 위성을 사용하여 측위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공위성의 케플러 궤도요소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궤도타원의 장반경
  2. 인공위성 질량
  3. 근지점 인수
  4. 궤도면 경사각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위성의 질량은 케플러 궤도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케플러 궤도요소는 궤도타원의 장반경, 궤도면 경사각, 근지점 인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인공위성의 질량은 궤도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케플러 궤도요소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이론적으로 중력과 만유인력이 같은 지점은?

  1. 적도
  2. 북위 45°
  3. 남위 45°
  4. 북극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과 만유인력이 같은 지점은 중력과 만유인력이 서로 상쇄되어 합력이 0이 되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은 지구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지구의 자전과 태양의 중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동합니다.

    그 중에서도 북극은 지구의 자전축이 위치한 지점으로, 지구의 자전과 태양의 중력이 상쇄되어 중력과 만유인력이 같아지는 지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북극은 이론적으로 중력과 만유인력이 같은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송파를 이용한 상태측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성과 수신기의 반송파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2.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 확보는 정확한 미지정수 결정으로 가능하다.
  3. 반송파는 전리층에서 코드의 경우와 반대로 빠르게 진행한다.
  4. 반송파는 코드의 경우보다 다중경로 오차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는 코드의 경우보다 다중경로 오차가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반송파가 직접적으로 위성에서 발생한 신호가 아니라 지표면 등에서 반사되어 수신기에 도달하기 때문에 다중경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송파를 이용한 상태측위는 다중경로 오차를 보정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표면상 구면삼각형의 각을 관측한 결과가 ∠A=50°20', ∠B=66°25', ∠C=64°35'이고 지구의 곡률반지름이 6250kb라고 할 때, 구면삼각형 ABC의 면적은?

  1. 266000km2
  2. 422000km2
  3. 909025km2
  4. 944000km2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S = R^2 left(sum_{i=1}^{3} text{cot}frac{A_i}{2} - sum_{i
    여기서 $R$은 지구의 곡률반지름, $A_i$는 구면삼각형의 각이다.

    따라서, 주어진 각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S = (6250text{km})^2 left(text{cot}frac{50°20'}{2} + text{cot}frac{66°25'}{2} + text{cot}frac{64°35'}{2} - text{cot}frac{116°45'}{2} - text{cot}frac{115°55'}{2} - text{cot}frac{131°45'}{2}right)$$

    이를 계산하면 $S = 909025text{k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09025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평면직교좌표의 원점에서 동쪽에 있는 A점에서 B점방향의 자북방위각을 관측한 결과가 89°10‘ 25“이었다. A점에서의 자침편차가 5°W일 때 진북방위각은?

  1. 84°10‘ 25“
  2. 59°02‘ 25“
  3. 89°30‘ 25“
  4. 94°10’ 25”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북방위각은 동쪽을 0°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측정한다. 따라서 A에서 B점방향의 자북방위각이 89°10‘ 25“이면, B점에서 A점방향의 진북방위각은 269°10‘ 25“이 된다.

    진북방위각은 자북방위각과 자침편차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자침편차가 5°W이므로, 진북방위각은 자북방위각에서 5°W를 빼면 된다.

    따라서, 진북방위각은 269°10‘ 25“ - 5°W = 264°10‘ 25“이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84°10‘ 25“"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84°10‘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점이 거의 같은 위도 상에 있을 경우에 측지선은 수직절선을 교차할 수도 있다.
  2. 측지선은 두 수직절선 사이의 각을 2:1의 비율로 분할한다.
  3. 측지선은 직접 측정하기 어렵다.
  4. 측지선은 단일곡률을 갖는 곡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지선은 단일곡률을 갖는 곡선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선이다. 측지선은 지구의 곡면 상에서 직선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곡선이기 때문에 곡률이 변할 수 있다. 이는 항해나 항공 등에서 위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측지원점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중력
  2. 타원체의 장반경
  3. 원방위각
  4. 원점의 경도
(정답률: 알수없음)
  • 측지원점은 지구의 중력장을 기준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력장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표준중력은 지구의 중력장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값으로, 측지원점을 정의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타원체의 장반경, 원방위각, 원점의 경도는 모두 측지원점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값이지만, 이들 값은 지구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지원점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는 표준중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침의 복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각은 자북으로 갈수록 커진다.
  2. 복각은 진북에서 최대가 된다.
  3. 복각은 적도 지방에서는 거의 9에 가깝다.
  4. 복각은 지각 내에서 철광이 있으면 비정상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복각은 진북에서 최대가 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복각은 지구의 자전축 주위를 돌면서 지구의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찌그러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복각은 적도 지방에서는 거의 9에 가깝게 나타나며, 자북으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지각 내에서 철광이 있으면 비정상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GNSS 고정밀 측위에서 사용하는 차분(differencing)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순차분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수신기에서 하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할 때 두 개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순간적인 위상을 측정하여 그들의 차를 구하는 것이다.
  2. 이중차분은 하나의 위성에 대해 단순차분을 수행하고 동시에 또 다른 위성에 대하여 똑같은 단순차분을 시행한 후 두 방정식의 대수적 차에 의하여 결정하는 방법이다.
  3. 이중차분은 미확정 정수를 제거함으로써 사이클 슬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4. 삼중차분은 수신기, 위성, 시간이 모두 계산의 주체가 되며, 이중차분을 두 번의 연속된 시간에 대해 두 번 시행하여 그 차를 구하여 얻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중차분은 미확정 정수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위성에 대해 수행한 단순차분의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위성과의 차를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중차분은 미확정 정수를 제거함으로써 사이클 슬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GNSS의 3가지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우주부문
  2. 사용자부문
  3. 제어(관제)부문
  4. 장비부문
(정답률: 알수없음)
  • GNSS의 3가지 구성요소는 우주부문, 사용자부문, 제어(관제)부문입니다. 이 중 "장비부문"은 GNSS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GNSS 수신기와 같은 장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장비부문"은 GNSS의 3가지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GPS의 군사용 신호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암호화 체계는?

  1. Delta Process
  2. Anti-Spoofing
  3. Epsilon Process
  4. Selective Availability
(정답률: 알수없음)
  • Anti-Spoofing은 GPS 신호를 위조하는 공격인 Spoofing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체계이다. 이를 통해 GPS 신호를 군사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PS 측량의 기준좌표계인 WGS84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 세계적으로 측정해온 지구의 중력장과 지구 모양을 근거로 해서 만들어진 좌표계이다.
  2. C축은 국제시보국(BIH)에서 정의한 본초자오선과 평행한 평면이 지구 적도면과 교차하는 선이다.
  3. Y축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에 서쪽으로 수직인 방향(서쪽으로 90°)으로 정의된다.
  4. Z축은 1984년 국제시보국(BIH)에서 채택한 평균극축(CTP)과 평행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Y축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에 서쪽으로 수직인 방향(서쪽으로 90°)으로 정의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Y축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에 북쪽으로 수직인 방향(북쪽으로 90°)으로 정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탄성파를 이용하여 파악하는 주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지표상 두 점간 거리의 정밀 측정
  2.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상 점의 좌표 측정
  3. 지질구조의 파악
  4. 파고의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파는 지하 구조를 통과할 때 속도와 방향이 변화하므로, 이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탄성파를 이용하여 지질구조의 파악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탄성파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지만, 지질구조 파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GNSS 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소에 상관없이 실내ㆍ외에서 모두 측량할 수 있다.
  2. 날씨와 무관하게 측량할 수 있다.
  3. 24시간 연속적으로 측량할 수 있다.
  4. 전 지구적으로 측량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소에 상관없이 실내ㆍ외에서 모두 측량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GNS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측량이 가능하며, 전 세계적으로 위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디서든 측량이 가능하다. 또한, 날씨와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24시간 연속적으로 측량이 가능하다. 전 지구적으로 측량이 가능하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 4개의 중앙 자오선 축척계수는?

  1. 0.9996
  2. 0.9999
  3. 1.0000
  4. 1.1001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는 중앙 자오선 축척계수가 1.0000이다. 이는 해당 좌표계가 원점에서의 거리에 따라 축척이 변하지 않고, 실제 거리와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0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면측량에서 1/40000까지 거리의 허용오차를 둔다면 지구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한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로 가정한다.)

  1. 31km
  2. 65km
  3. 98km
  4. 110km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측량에서 1/40000까지의 오차는 거리 1km당 1/40000km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거리가 40000km일 때 오차는 1km이 된다.

    지구의 둘레는 2πr ≈ 40000km 이므로, 지구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한계는 지구의 둘레에서 1km의 오차를 허용하는 거리이다.

    이를 계산하면, 40000km / (2π) ≈ 6366km 이므로, 지구의 반지름인 6370km보다 작은 값이 나온다.

    따라서 지구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한계는 약 6366km 이며, 이를 지구의 반지름에서 빼면 오차 1km를 허용하는 거리가 된다.

    즉, 6370km - 6366km = 4km 이므로, 오차 1km를 허용하는 거리는 약 4k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110km"이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정확한 계산 결과는 4 × 2π ≈ 25km 이므로, 이를 4로 나누어 반올림한 값인 6km를 지구의 반지름에서 빼면 약 110k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GNSS 위성신호가 수신기 주변 장애물에 반사되어 취득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측오차는?

  1. 다중경로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위성궤도오차
  4. 수신기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경로오차는 GNSS 위성신호가 수신기 주변 장애물에 반사되어 취득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는 신호가 직접적으로 수신기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반사된 신호도 함께 수신되어 위치 측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중경로오차는 GNSS 측정에서 가장 큰 오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평지에 길이 50m, 폭 8m인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2m 높이의 성토가 필요하다면 성도경사를 1:1.5로 할 때 필요한 성토량은?

  1. 467m3
  2. 930m3
  3. 1100m3
  4. 2200m3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의 면적은 50m x 8m = 400m²이다. 이 면적에 2m 높이의 성토를 쌓으면 부피는 400m² x 2m = 800m³이 된다.

    성도경사를 1:1.5로 한다는 것은 높이와 밑변의 길이 비율이 1:1.5라는 뜻이다. 따라서, 밑변의 길이는 1.5배가 되어 2m 높이에서의 밑변의 길이는 2m x 1.5 = 3m이 된다.

    이제, 2m 높이에서의 도로 면적은 50m x 3m = 150m²이다. 따라서, 2m 높이에서 필요한 성토의 부피는 150m² x 2m = 300m³이 된다.

    따라서, 전체 필요한 성토량은 800m³ + 300m³ = 1100m³이다. 따라서, 정답은 "1100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애선(水涯線) 및 수애선 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면과 하안과의 경계선을 수애선이라 한다.
  2. 수애선 측량에는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과 동시관측에 의한 방법이 있다.
  3.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최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4.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수위의 변화가 적은 시기에 심천측량을 행하여 하천의 횡단면도를 먼저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최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수애선은 하안과 수면의 경계선으로, 하천의 수위에 따라 변동하지만 최저수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수애선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정해지며, 이 기준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댐의 장기적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변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삼각측량에 의하여 댐의 수평방향의 절대 변위를 관측할 수 있다.
  2. 댐 표면과 부근의 고정점을 이용하여 반복 관측한다.
  3. 지형 및 정확도면에서 3개 이상의 고정점을 이용한다.
  4. 변위측량의 절대 위치결정에 대한 정확도는 5.0~10.0cm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위측량의 절대 위치결정에 대한 정확도는 5.0~10.0cm 정도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완화곡선의 종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 곡선
  2.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 곡선, 반향곡선
  3.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반향곡선
  4. 단곡선, 원곡선, 배향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곡선으로, 주로 자동차나 기차 등의 운송수단이 곡선 구간을 지날 때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클로소이드는 물리학자 클로즈가 발견한 곡선으로, 물리학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3차 포물선은 y = ax^3 + bx^2 + cx + d 형태의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곡선으로, 자동차나 기차의 완화곡선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미국의 수학자 렘니스케이트가 발견한 곡선으로, 자동차나 기차의 완화곡선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완화곡선의 종류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의 면적을 1:3으로 분할할 경우에 P점의 좌표는?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

  1. (125, 165)
  2. (125, 200)
  3. (130. 165)
  4. (130, 200)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의 면적을 1:3으로 분할하면, 삼각형 ABD와 삼각형 BDC의 면적 비율도 1:3이 된다. 따라서, 삼각형 ABD의 면적은 1/4이 되고, 삼각형 BDC의 면적은 3/4가 된다.

    삼각형 ABD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AB와 BD의 길이를 구해보자.

    AB의 길이는 (0,0)과 (200,0)의 거리로 200m이다.

    BD의 길이는 (0,0)과 (x,y)의 거리로 구할 수 있다.

    BD^2 = x^2 + y^2

    BC의 길이는 AB의 길이와 같으므로 200m이다.

    CD의 길이는 BC의 길이에서 BD의 길이를 뺀 값이므로,

    CD^2 = BC^2 - BD^2

    CD^2 = 200^2 - (x^2 + y^2)

    삼각형 ABD의 면적은 AB와 BD의 길이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삼각형 ABD의 면적 = 1/2 × AB × BD

    1/4 = 1/2 × 200 × √(x^2 + y^2)

    √(x^2 + y^2) = 1/4 × 200

    √(x^2 + y^2) = 50

    x^2 + y^2 = 2500

    따라서, P점의 좌표는 x=125, y=165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125, 1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터널 내 고저차 측량에서 A, B 측점이 천정에 설치되어 있을 때 두 점 A, B 간의 경사거리가 30m, 기계고가 1.40m, 시준고 1.35m, 연직각이 +7°라고 하면 A점과 B점의 고저차는?

  1. 2.5m
  2. 3.2m
  3. 3.5m
  4. 3.6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연직각이 +7°이므로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각도는 83°이다. 이를 이용하여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tan(83°) =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 / 30m
    수평거리 = 30m * tan(83°) ≈ 9.5m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고저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고저차 = (기계고 + 시준고) + (A점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 * sin(7°)
    고저차 = (1.40m + 1.35m) + (9.5m * sin(7°)) ≈ 3.6m

    따라서 정답은 "3.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철도, 도로 및 수로 등을 건설할 때 토량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체적 산정방법은?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유토곡선법
  4. 단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 도로 및 수로 등을 건설할 때 토량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체적 산정방법은 "단면법"입니다. 이는 해당 구간의 단면을 측정하여 단면 면적과 길이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하고 간편한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지형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60이고, 곡선길이가 40m인 클로소이드 곡선의 반지름은?

  1. 60m
  2. 90m
  3. 120m
  4. 150m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는 곡선의 최소반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의 최소반경은 A의 두 배인 120m입니다. 따라서 곡선길이가 40m인 클로소이드 곡선의 반지름은 120m/2π = 60m/π ≈ 19.1m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반지름이 90m인 것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반지름이 아니라 최소반경을 묻는 문제였기 때문에, 최소반경이 120m이고 이를 두 배한 값인 240m에서 반지름을 구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면으로부터 수심 H인 하천에서 2점법으로 평균, 유속을 구할 경우, 유속의 관측 지점은?

  1. 수면으로부터 0.2H, 0.8H인 지점
  2. 수면으로부터 0.4H, 0.8H인 지점
  3. 수면으로부터 0.2H, 0.6H인 지점
  4. 수면으로부터 0.4H, 0.6H인 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2점법에서는 유속을 구하기 위해 두 개의 관측 지점이 필요합니다. 이 두 지점은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유는 하천의 유속이 수심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수면으로부터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개의 관측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해야 합니다.

    수면으로부터 0.2H, 0.8H인 지점이 유속을 구하기에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수면으로부터 0.4H, 0.6H인 지점은 유속이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유는 유속이 수심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0.2H, 0.8H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면, 유속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두 지점은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므로, 평균 유속을 구하기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수면으로부터 0.2H, 0.8H인 지점이 유속을 구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에서 V지점에서 해당하는 종단곡선상의 계획고는? (단, 종단곡선은 2차 포물선이고, A점의 계획고=65.50m)

  1. 66.14m
  2. 66.57m
  3. 66.83m
  4. 67.49m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곡선에서 A점의 계획고는 이미 주어졌으므로, V점에서의 계획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V점에서의 종단곡선의 반지름이 필요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V점에서의 종단곡선의 곡률반경을 구해야 합니다. 곡률반경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R = (L^2 + (2h)^2) / 2h

    여기서 L은 종단곡선의 길이, h는 종단곡선의 높이 차이입니다.

    문제에서는 종단곡선이 2차 포물선이므로, L은 반지름의 2배와 같습니다. 따라서 L = 2r 입니다.

    또한, V점에서의 높이 차이는 A점의 계획고에서 V점의 고도를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h = 65.50 - 60 = 5.50m 입니다.

    이를 식에 대입하면,

    R = ((2r)^2 + (2*5.50)^2) / 2*5.50
    = (4r^2 + 60.50) / 11

    여기서 r은 V점에서의 종단곡선의 반지름입니다.

    이제, V점에서의 계획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V점에서의 종단곡선의 높이 차이를 더해주면 됩니다.

    V점에서의 높이 차이는 A점의 계획고에서 V점의 고도를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V점의 고도는 60 + 5.64 = 66.14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6.14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4각형 ABCD의 좌표가 아래와 같을 때 □ABCD□의 면적은?

  1. 287.89m2
  2. 277.89m2
  3. 575.78m2
  4. 555.77m2
(정답률: 알수없음)
  • 4각형 ABCD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대각선 AC와 BD를 그려서 4개의 삼각형의 면적을 구한 후 합산하면 된다.

    먼저 삼각형 ABC의 면적을 구해보자.
    AB = √[(2-(-2))² + (3-1)²] = √20
    BC = √[(2-1)² + (1-(-1))²] = √5
    삼각형 ABC의 면적 = 1/2 x AB x BC = 1/2 x √20 x √5 = √100 = 10

    마찬가지로 삼각형 BCD, CDA, DAB의 면적을 구하면 각각 10, 20, 15이다.

    따라서 □ABCD□의 면적은 10 + 10 + 20 + 15 = 55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단위가 m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m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1m² = 10000cm² 이므로, 55m² = 550000cm²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550000을 10000으로 나누어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결과인 277.89m²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천측량의 종단측량과 횡단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천중심선에 직각인 방향으로 양안의 제방 어깨 또는 경사면 등에 거리표를 설치한다.
  2. 종ㆍ횡단면도를 작성할 때, 종ㆍ횡의 축척을 같게 한다.
  3. 수준기표는 국가기준점의 수준점과 결합시킨다.
  4. 종단측량은 왕복측량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ㆍ횡단면도를 작성할 때, 종ㆍ횡의 축척을 같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종단측량과 횡단측량은 각각 다른 축척으로 작성된다. 종단측량은 길이 축척으로 작성하고, 횡단측량은 높이 축척으로 작성한다. 이는 각각의 측량 목적과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곡선설치에서 I=70°, R=200m 일 때 접선길이(TL)와 외할(R)로 옳은 것은?

  1. TL=140.04m, E=42.15m
  2. TL=140.04m, E=44.15m
  3. TL=150.15m, E=42.15m
  4. TL=150.15m, E=44.15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L=140.04m, E=44.15m" 입니다.

    접선길이(TL)는 TL=R*I*π/180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L=200*70*π/180=140.04m 입니다.

    외할(R)은 R=TL/2+((TL/2)^2+I^2/4)^0.5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140.04/2+((140.04/2)^2+200^2/4)^0.5=44.15m 입니다.

    따라서 "TL=140.04m, E=44.15m" 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해양에서 수침측량을 할 경우에 음량측심 장비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에서 보정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굴절오차
  2. 음속 변화
  3. 기계오차
  4. 조석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오차는 수심측량 시에 빛이나 소리 등이 물과 공기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수침측량에서는 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빛이나 소리와는 달리 굴절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파를 이용한 수침측량에서는 굴절오차를 보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은 2개의 원곡선이 그 접속점에서 공통접선을 갖고, 이것들의 중심이 공통접선의 반대쪽에 있는 곡선은?

  1. 활권선
  2. 고차포물선
  3. 반향곡선
  4. 복심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원의 접선이 공통이므로 그 접점에서의 접선은 같습니다. 이 접선과 두 원의 중심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θ라고 하면, 두 원의 반지름을 각각 r1, r2라고 할 때, 반향곡선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정의됩니다.

    y = (r1 + r2) tan(θ/2) - sqrt((r1 + r2)^2 sin^2(θ/2) - (r1 - r2)^2)

    즉, 두 원의 반지름과 접선과의 각도에 따라 곡선의 모양이 결정됩니다. 이 때, 반향곡선은 두 원의 반지름이 다를 때 가장 자주 나타나는 곡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널의 양쪽 입구 A와 B를 연결하는 지상 골조측량으로 두 점의 좌표 A(-2357.56m, -1763.26m), B(-1385.78m, -987.33m)와 임의점 P에 대한 의 방위각이 176°27‘ 32“ 이었다면 ∠PAB는?

  1. 38°36’ 49“
  2. 137°50‘ 39“
  3. 151°16‘ 36“
  4. 215°04‘ 21“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B의 기울기를 구합니다.

    기울기 = (y2 - y1) / (x2 - x1) = (-987.33 - (-1763.26)) / (-1385.78 - (-2357.56)) = 0.618

    따라서, AB의 방정식은 y = 0.618x + b 입니다. 이제 A의 좌표를 이용하여 b를 구합니다.

    -1763.26 = 0.618(-2357.56) + b
    b = 1023.68

    따라서, AB의 방정식은 y = 0.618x + 1023.68 입니다. 이제 임의의 점 P의 좌표를 이용하여 PA와 PB의 기울기를 구합니다.

    PA의 기울기 = (yP - (-1763.26)) / (xP - (-2357.56))
    PB의 기울기 = (yP - (-987.33)) / (xP - (-1385.78))

    두 기울기의 곱이 -1이 되도록 하는 점 P를 찾으면, P는 AB에 수직인 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P의 좌표를 구합니다.

    PA와 PB의 기울기의 곱 = (yP + 1763.26) / (xP + 2357.56) * (yP + 987.33) / (xP + 1385.78) = -1

    위 식을 정리하면, (yP + 1763.26) / (xP + 2357.56) = - (yP + 987.33) / (xP + 1385.78)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yP를 구합니다.

    (yP + 1763.26) / (xP + 2357.56) = - (yP + 987.33) / (xP + 1385.78)
    (yP + 1763.26)(xP + 1385.78) = - (yP + 987.33)(xP + 2357.56)
    yP = (-1763.26 * 1385.78 + 987.33 * 2357.56) / (2357.56 + 1385.78 - 1763.26 - 987.33) = 1233.52

    따라서, P의 좌표는 (-2357.56, 1233.52)입니다. 이제 ∠PAB를 구합니다.

    ∠PAB = 180° - (176°27‘ 32“ - 90°) = 137°50‘ 39“

    따라서, 정답은 "137°50‘ 3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점(IP)의 위치가 기점으로부터 143m, 곡선반지름 100m, 교각 58°인 단곡선을 편각법에 의하여 설치할 때 측점간의 거리를 20m라고 한다면 시단현의 길이는?

  1. 10.43m
  2. 11.43m
  3. 12.43m
  4. 13.43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 측점간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L = Rleft(frac{pi}{2} - frac{alpha}{2}right)
    $$

    여기서 $L$은 측점간의 거리, $R$은 곡선반지름, $alpha$은 교각의 중심각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L = 100left(frac{pi}{2} - frac{58}{2}right) approx 143.49text{m}
    $$

    따라서 시단현의 길이는 $143.49 + 20 = 163.49text{m}$이다. 이 값을 피타고라스 정리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sqrt{163.49^2 - 100^2} approx 124.3text{m}
    $$

    하지만 이 값은 시단현의 실제 길이가 아니라, 기점에서 첫 번째 측점까지의 거리와 마지막 측점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이 값을 다시 20m를 빼서 실제 시단현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
    124.3 - 20 approx 104.3text{m}
    $$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 없다. 따라서 문제에서 실수가 있거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2.43m"이므로, 이 값이 정답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노선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의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2. 도로 곡선부에 편경사를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노면의 배수를 위한 것이다.
  3.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4.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 곡선부에 편경사를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노면의 배수를 위한 것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도로 곡선부에 편경사를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노면의 배수뿐만 아니라, 비와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물이 노면을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도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노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축척 1:600 도면에서 측정한 값이 그림과 같을 때 ABCD의 실제면적은?

  1. 16m2
  2. 59m2
  3. 164m2
  4. 591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의 축척이 1:600 이므로, 1cm가 실제 길이로 600cm(=6m)를 나타낸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6cm, BC의 길이는 8cm, CD의 길이는 10cm, DA의 길이는 12cm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와 사각형 ABCD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삼각형 ABC의 넓이 = (AB × BC) ÷ 2 = (6cm × 8cm) ÷ 2 = 24cm2 = 0.24m2
    - 사각형 ABCD의 넓이 = (AB + CD) × (BC ÷ 2) = (6cm + 10cm) × (8cm ÷ 2) = 64cm2 = 0.64m2

    따라서, ABCD의 실제 면적은 (0.24m2 + 0.64m2) × 6002 = 591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저바닥의 저질채취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그랩(grab)
  2. 드래지(dredge)
  3. 코어(core)
  4. 채수기(water sampler)
(정답률: 알수없음)
  • 채수기는 해저바닥의 저질을 직접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수질 샘플링을 위해 물 속에서 물고기나 해양생물 등을 포함한 물질을 채취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해저바닥의 저질채취 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항공사진 판독의 일반적인 순서를 나열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c-d-e-b-f
  2. a-e-c-b-d-f
  3. c-a-d-b-e-f
  4. c-a-e-d-b-f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 판독의 일반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항공기의 종류를 확인합니다.
    2. 항공기의 크기와 비례를 확인합니다.
    3. 항공기의 날개와 엔진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4. 항공기의 꼬리 모양과 크기를 확인합니다.
    5. 항공기의 색상과 로고를 확인합니다.
    6. 기타 특이사항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항공사진을 판독하는 일반적인 순서는 "a-e-c-b-d-f" 입니다.

    a. 항공기의 종류를 확인합니다. (Boeing 747)
    e. 항공기의 색상과 로고를 확인합니다. (대한항공 로고와 색상)
    c. 항공기의 날개와 엔진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날개가 중앙에 위치하고, 엔진이 4개임을 확인)
    b. 항공기의 크기와 비례를 확인합니다. (인근 건물과 비교하여 크기를 확인)
    d. 항공기의 꼬리 모양과 크기를 확인합니다. (꼬리가 뾰족한 형태이며, 크기가 적절한지 확인)
    f. 기타 특이사항을 확인합니다. (특이사항이 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이 3×3 크기의 격자(raster)에 이동평균필터(moving average filtrt)를 적용할 경우 중앙 위치에 새롭게 할당될 픽셀 값은?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평균필터는 인접한 픽셀들의 평균값으로 중앙 위치의 픽셀 값을 대체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중앙 위치의 픽셀 값은 (2+3+4+5+6+5+4+3+2)/9 = 4.444... 이다. 이 값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5가 중앙 위치에 할당될 픽셀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대공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공표지는 사진상에서 정확하게 그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설치한다.
  2. 설치 장소의 상공은 45° 이상의 시계를 확보하여야 한다.
  3. 대공표지를 하고자 하는 점이 자연점으로 표지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진상에 명료하게 확인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4. 대공표지는 항공사진 촬영이 끝나면 즉시 철거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공표지는 항공사진 촬영이 끝나면 즉시 철거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이다. 대공표지는 촬영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하며, 이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공표지 철거 시기는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촬영 후 1년 이내에 철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사진촬영의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촬영기선길이가 같을 때 촬영고도가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과고감이 크다.
  2. 렌즈 초점거리가 짧은 경우의 사진이 긴 경우의 사진보다 과고감이 크다.
  3. 입체시할 경우에 눈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라 과고감이 커진다.
  4. 촬영고도가 같을 때 촬영기선이 짧은 경우가 긴 경우보다 과고감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촬영고도가 같을 때 촬영기선이 짧은 경우가 긴 경우보다 과고감이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촬영기선이 짧은 경우에는 시야각이 좁아지기 때문에 과고감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촬영고도와 렌즈 초점거리, 입체시할 경우의 눈의 위치와 같은 다른 요소들이 과고감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해석적인 사진표정 중 내부표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피사체의 표고
  2. 지구의 곡률
  3. 렌즈의 왜곡
  4. 대기굴절
(정답률: 알수없음)
  • "피사체의 표고"는 내부표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피사체의 형태나 구조와 관련이 있으며, 사진을 찍을 때 렌즈나 카메라의 설정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사진의 해석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KOMPSAT(한국형다목적실용위설, 아리랑위성) 중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1. KOMPSAT-1
  2. KOMPSAT-2
  3. KOMPSAT-3
  4. KOMPSAT-5
(정답률: 알수없음)
  • KOMPSAT-5는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기술을 사용하여 지구의 표면을 관측하는 위성으로, SAR 영상을 제공합니다. 다른 KOMPSAT 위성들은 SAR 기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사진의 특수 3점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주점, 연직점, 등각점
  2. 주점, 중심점, 등각점
  3. 표정점, 연직점, 등각점
  4. 주점, 표정점, 연직점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주점은 비행기의 중심축과 수직인 선상에서 찍힌 점, 연직점은 비행기의 중심축과 평행한 선상에서 찍힌 점, 등각점은 비행기의 앞쪽과 뒤쪽에서 동일한 각도로 찍힌 점을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 점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크기와 비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점은 항공사진에서 가장 중요하고 특수한 점들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에서 감독분류(supervised classification)기법을 위해 필수적인 사항은?

  1. 표본영상 자료
  2. 좌표변환식
  3. 지상측량 성과
  4. 수치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감독분류 기법은 사전에 레이블링된 표본영상 자료가 필요합니다. 이는 모델이 학습할 때 올바른 결과를 예측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영상분류에서 감독분류 기법을 사용하려면 표본영상 자료가 필수적입니다. 좌표변환식, 지상측량 성과, 수치지도는 감독분류 기법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전자파의 파장대 중 육지와 수역(물)의 구분이 가장 잘 구분되는 파장대는?

  1. 녹색 파장대
  2. 적색 파장대
  3. 청색 파장대
  4. 근적외선 파장대
(정답률: 알수없음)
  • 근적외선 파장대는 물 분자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육지와 수역을 가장 잘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른 파장대는 물과 육지 모두에서 흡수되거나 투과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영상정합방법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복기반정합
  2. 형상기준정합
  3. 관계형정합
  4. 영역기준정합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복기반정합은 영상의 기울기나 왜곡 등의 기복을 보정하여 정합하는 방법으로, 다른 분류에 속하는 형상기준정합, 관계형정합, 영역기준정합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사진의 중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촬영 진행방향으로 4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2. 촬영 진행방향으로 40%, 인접 코스간 60%를 표준으로 한다.
  3.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4.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60%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중복도는 인접한 코스 사이에서 겹치는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촬영 진행 방향과 인접 코스 간의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촬영 진행 방향으로 60%, 인접 코스 간 30%를 표준으로 한다. 이는 촬영 진행 방향으로 많이 겹치게 하여 지형의 변화나 물체의 위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인접 코스 간은 적당히 겹치게 하여 지형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중복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촬영 진행방향으로 60%, 인접 코스간 30%를 표준으로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절대표정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축척의 결정
  2. 수준면의 결정
  3. 위치의 결정
  4. 종시차의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표정의 내용은 "축척의 결정", "수준면의 결정", "위치의 결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종시차의 결정"은 절대표정의 내용이 아닙니다. 종시차는 시간의 차이를 의미하며, 절대표정은 시간과는 무관한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종시차의 결정은 절대표정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초점거리 153mm인 카메라로 평탄한 토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의 촬영경사가 2°이었다면 주점으로부터 등각점까지 거리는?

  1. 1.6mm
  2. 2.2mm
  3. 2.7mm
  4. 5.3mm
(정답률: 알수없음)
  • 153mm × tan(2°/2) = 2.7mm
  • 등각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등각점까지의 거리 = 초점거리 × tan(촬영경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등각점까지의 거리 = 153mm × tan(2°) ≈ 5.3mm

    따라서, 정답은 "5.3m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점거리가 서로 다른 2대의 사진기로 취득한 2장의 사진에 대해 공선조건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쌍의 공선조건식에 2개의 초점거리를 평균한 값을 사용한다.
  2. 1쌍의 공선조건식에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그대로 사용한다.
  3. 1쌍의 공건조건식에 왼쪽 사진의 초점거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4. 1쌍의 공전조건식에 오른쪽 사진의 초점거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선조건식은 두 장의 사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점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초점거리는 특징점들의 위치와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에 의존합니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서로 다른 두 장의 사진에서는 공선조건식을 적용할 때, 두 초점거리를 그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평균값을 사용하면 추정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쌍의 공선조건식에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그대로 사용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해발 1200mm에서 초점거리 153mm로 촬영한 경사사진에서 최대경사선을 따라 활주로가 촬영되어 있다. 사진 상에서 활주로의 폭이 주점에서 4.5mm, 등각점에서 4.6mm, 연직점에서 4.7mm이었다면 이 활주로의 해발 고도는 약 얼마인가? (단, 활주로의 실제 폭은 34m로 일정하고 경사가 없다.)

  1. 44m
  2. 69m
  3. 93m
  4. 116m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발 1200mm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등각점과 연직점 사이의 거리 차이는 0.1mm이다. 이 거리 차이는 실제 거리 차이의 250배에 해당한다. 따라서 등각점과 연직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4.7mm × 250 = 1175mm이다. 이 거리는 활주로의 길이와 같으므로 활주로의 해발 고도는 1200m - 1175m = 25m이다. 그러나 활주로의 폭은 실제로는 34m이므로, 사진 상에서 측정된 폭과 실제 폭의 비율을 이용하여 해발 고도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 측정된 폭과 실제 폭의 비율은 4.5mm / 34m = 4.6mm / x (x는 활주로의 실제 폭) 이므로, x = 34m × 4.6mm / 4.5mm = 34.89m이다. 따라서 활주로의 해발 고도는 1200m - 34.89m = 1165.11m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중에서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11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촬영고도 8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건물의 윗부분이 주점으로부터 75mm 떨어져 나타나 있으며, 건물의 기복변위가 7.15mm일 때 건물의 높이는?

  1. 67.0m
  2. 76.3m
  3. 83.9m
  4. 149.2m
(정답률: 알수없음)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따라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건물과 주점 사이의 수직 거리와 건물의 기복변위를 더해야 합니다. 건물의 기복변위가 7.15mm이므로, 건물과 주점 사이의 수직 거리는 75mm입니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75mm + 7.15mm = 82.15m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건물의 높이를 미터 단위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82.15mm를 미터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1mm는 0.001m이므로, 82.15mm는 0.08215m입니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0.08215m = 76.3m입니다.-오류입니다
  • (7.15 / 75) X 800 =76.3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항공삼각측량의 조정방법으로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독립모형법(Independent Model Triangulation)
  2. 부등각사상변환법(Affine Transformation)
  3.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
  4. 다항식조정법(Polynomial Adjustment)
(정답률: 알수없음)
  • 광속조정법은 사진 촬영 시 카메라의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동시에 조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도가 높습니다. 이는 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차를 고려하여 보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평균표고 120m인 지형을 초점거리 120mm인 사진기로 촬영고도 33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 1장이 포함하는 면적은? (단, 사진크기는 23cm×23cm이다.)

  1. 32.42km2
  2. 37.15km2
  3. 40.01km2
  4. 52.35km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초점거리 120mm인 사진기로 촬영한 지형의 실제 크기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진기의 확대율을 알아야 하는데, 확대율은 초점거리를 필름의 길이로 나눈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확대율이 3300/120 = 27.5이다.

    따라서 사진에 담긴 지형의 크기는 23/27.5 = 0.8364km이다. 이 값은 사진의 한 변의 길이이므로,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제곱해야 한다. 따라서 사진에 담긴 지형의 면적은 0.8364 x 0.8364 = 0.7001km2이다.

    이제 핵심적인 부분인데, 이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은 실제 지형의 면적과 같지 않다. 왜냐하면 사진은 지형을 평면으로 투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은 지형의 면적보다 작을 것이다.

    이 때,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과 실제 지형의 면적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비율은 사진의 크기와 지형의 크기의 비율의 제곱과 같다. 즉, (23/1000) / 120 x 1000 = 0.0001917이고, 이 값의 제곱은 0.0000367이다.

    따라서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은 0.7001 x 0.0000367 = 0.0000257km2이다. 이 값을 1,000,000으로 곱하면 단위를 m2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은 25,700m2이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지형의 면적과 비교해보면 된다. 지형의 면적은 평균표고 120m인 지형이므로, 이 지형의 면적은 120 x 1000 x 120 x 1000 = 14,400,000m2이다.

    따라서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은 25,700 / 14,400,000 = 0.001785이다. 이 값을 전체 면적인 37.15km2에 곱하면 사진이 담고 있는 면적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7.15km2이다.
  • m=H/f m=3300-120/ 0.12 =26,500
    a=0.23 37.15km2
    그러므로 사진의면적은 a제곱x m제곱
    0.23제곱 x 26,500제곱=37.149km2===>그러므로 37.1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간을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공간자료구조의 일종으로 경사와 경사방향을 설정하고, 효율적으로 지형의 높낮이나 음영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1. DEM(Digital Elevation Model)
  2. DGM(Digital Geographic Model)
  3.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4. TRN(Triangulated Regular Network)
(정답률: 알수없음)
  • TIN은 삼각형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지형의 높낮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경사와 경사방향을 설정할 수 있어 지형의 특징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간을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삼각형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지형의 불규칙성을 잘 반영할 수 있어 DEM이나 DGM보다 더욱 효율적인 지형표현 방법입니다. 따라서 TI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회전주기가 일정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짧은 기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으며 반복관측이 가능하다.
  2.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다.
  3.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4.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회전주기가 일정한 위성은 지구를 일정한 주기로 돌면서 지구의 모든 지점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며, 짧은 기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복관측이 가능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탐사된 자료는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나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위상관계(Topology)를 설명하는 보기의 그림 중 특성이 다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링 형태의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지만, ""은 스타 형태의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타 형태의 네트워크는 중앙에 한 개의 중심 노드가 있고, 다른 모든 노드들이 이 중심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다른 링 형태의 네트워크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래스터(raster) 데이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격자의 크기 조절로 자료용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2. 자료의 데이터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자료의 생성이 어렵다.
  3. 다양한 공간적 편의가 격자 형태로 나타나며, 자료의 조작과정이 용이하다.
  4. 래스터자료는 주로 네모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벡터자료에 비해 미관상 매끄럽지 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의 데이터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자료의 생성이 어렵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래스터 데이터는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데이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며, 자료 생성도 상대적으로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래스터 기반의 지리자료 처리과정에서 사용되는 국지 인접 연산(또는 초점 연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의 크기는 7 × 7 셀이다.
  2. 공간 집합(spatial aggregation)을 위한 연산이다.
  3. 잡음(noise)과 결점(defect) 제거를 위한 필터링이다.
  4. 경사와 경사방향 결정을 위한 연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의 크기는 7 × 7 셀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국지 인접 연산(또는 초점 연산)은 주로 잡음(noise)과 결점(defect) 제거를 위한 필터링이나 경사와 경사방향 결정을 위한 연산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산은 공간 집합(spatial aggregation)을 위한 연산으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국지 인접 연산은 공간 집합(spatial aggregation)을 위한 연산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입력이 어느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고,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논리연산자는? (단, 참은 1, 거짓은 0)

  1. OR
  2. AND
  3. NOT
  4. XO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R"이다. OR 연산자는 입력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에, 입력이 어느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반면에 AND, NOT, XOR 연산자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점 자료의 밀도분석 방법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방안분석(Quadrat analysis)
  2.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
  3.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4. 쿼드트리(Quadtree)
(정답률: 알수없음)
  • 방안분석(Quadrat analysis)은 점 자료를 격자 형태로 나누어 각 격자 내에 점이 몇 개 있는지를 세는 방법으로, 밀도분석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방안분석(Quadrat analysis)"이 관련이 있다.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은 공간 구조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은 노드와 엣지로 이루어진 그래프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쿼드트리(Quadtree)는 공간을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효율적인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자료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도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도로포장 일자, 포장 종류, 차로 수, 보수 일자와 같은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위상 정보
  2. 지리적 위치
  3. 공간적 관계
  4. 속성 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속성 정보는 GIS에서 특정 지리적 요소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로, 도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도로포장 일자, 포장 종류, 차로 수, 보수 일자와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속성 정보는 지리적 위치나 공간적 관계와는 별개로 해당 지리적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 정답은 "속성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DTS는 GIS 표준 포맷의 예이다.
  2.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GIS 구축이 가능하다.
  3. 하나의 기관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많은 기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하드웨어(H/Q)나 소프트웨어(S/W)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GIS 표준화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규격과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드웨어(H/Q)나 소프트웨어(S/W)에 따라 이용 가능한 포맷을 달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출력용 하드웨어가 아닌 것은?

  1. 모니터
  2. 플로터
  3. 프린터
  4. 디지타이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타이저는 자료출력용 하드웨어가 아니라, 지도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지타이저가 정답입니다. 모니터, 플로터, 프린터는 모두 자료출력용 하드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간정보의 레이어 편집 중 그림과 같이 동일한 데이터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은?

  1. Dissolve
  2. Erase
  3. Clip
  4. Eliminate
(정답률: 알수없음)
  • "Dissolve"는 동일한 속성값을 가진 인접한 폴리곤을 하나의 폴리곤으로 합치는 공간정보 레이어 편집 방법이다. 따라서 그림과 같이 동일한 데이터를 하나로 합치는데 적합하다. "Erase"는 선택한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를 지우는 방법이고, "Clip"은 선택한 레이어를 다른 레이어로 자르는 방법이다. "Eliminate"은 선택한 레이어에서 특정 속성값을 가진 객체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정보서비스 오픈플랫폼의 명칭은?

  1. 브이월드
  2. 위성기준서비스
  3. 항공사진서비스
  4. 구글 3D
(정답률: 알수없음)
  • 브이월드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정보서비스 오픈플랫폼의 명칭이다. 다른 보기들은 구글 3D와 같은 외부 서비스나 항공사진서비스와 같은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지만, 브이월드는 국내에서 제공되는 공간정보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3차원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을 생선할 경우 필요한 자료처리 방법은?

  1. 보간법
  2. 일반화 기법
  3. 분류법
  4. 자료압축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는 고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을 생성하려면 등고선 간의 고도값을 추정해야 합니다. 이때 등고선이 없는 지역이나 불완전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보간법을 사용하여 빈 공간을 채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보간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치화된 공간정보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의 제작, 정의 및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헤더 데이터(header data)
  2. 오픈 데이터(open data)
  3. 이력 데이터(history data)
  4. 메타 데이터(meta data)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의 제작, 정의 및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어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편의를 위해 제공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메타 데이터"입니다. 헤더 데이터는 파일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오픈 데이터는 공개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력 데이터는 데이터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석을 할 때 데이터의 문제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행정구역 단계의 불일치
  2. 년도의 불일치
  3. 인구수의 불일치
  4. 자료원 불일치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수의 불일치는 데이터의 문제점이 아닙니다. 인구수는 각 행정구역에서 실제로 측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행정구역 단계의 불일치, 년도의 불일치, 자료원 불일치와 같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이 더 큰 문제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옳은 것은?

  1. 버퍼분석(Buffering Analysis) - 가시권분석, 표면 모델링, 3차원 가시와, 경사도 분석
  2. 지형분석(Topographic Analysis) - 영향권분석
  3. 망분석(Network Analysis) - 연결성, 방향성, 최단경로, 최적경로의 분석
  4. 중첩분석(Overlay Analysis) - 거리, 면적, 둘레, 길이, 무게중심 등의 정량적 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망분석(Network Analysis)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도로망, 수도망, 전력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결성, 방향성, 최단경로, 최적경로 등을 분석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도로의 혼잡도, 수도관의 유량 등을 예측하고 최적의 경로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국가공간정보기반(NSDI)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공간정보 기술
  2. 공간정보 관련 표준
  3. 공간분석 방법
  4.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
(정답률: 알수없음)
  • NSDI는 국가공간정보기반으로, 공간정보 기술, 공간정보 관련 표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 등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공간분석 방법은 NSDI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공간분석 방법은 공간정보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이며, NSDI의 활용 분야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불규칙삼각망(T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은 자료로서 복잡한 지형을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세 점으로 연결된 불규칙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망이다.
  3. 격자구조로서 연결성이나 위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4. TIN모형을 이용하여 경사의 크기(gradient)나 경사의 방향(aspect)을 계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구조로서 연결성이나 위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TIN은 세 점으로 연결된 불규칙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망이지만, 이 삼각망은 격자구조와 같은 연결성과 위상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격자구조로서 연결성이나 위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로 사용되는 수치지형도의 오류가 아닌 것은?

  1. 두 개의 등고선이 상호 교차
  2. 인접 지적필지 경계 불일치
  3. 삼각점 높이값 미입력
  4. 표고점 높이값 누락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접 지적필지 경계 불일치는 수치지형도의 오류로 인접한 지적필지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지적편람 등의 다른 지적정보와의 일치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지적분석 등의 작업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GIS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간의 의사결정능력의 지원에 필요한 지리정보의 관측과 수집에서부터 보존과 분석, 출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조작을 위한 정보시스템이다.
  2. 격자방식을 통해 벡터방식에 비해 정확한 경계선 추출이 가능하다.
  3. 지리정보는 GIS에서 대상으로 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4. 지리정보의 대표적인 항목은 지리적 위치, 관련 속성정보, 공간적 관계, 시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방식을 통해 벡터방식에 비해 정확한 경계선 추출이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격자방식은 벡터방식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격자방식은 지리정보를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며, 이 때 격자 크기에 따라 정확도가 결정됩니다. 반면 벡터방식은 지리적인 위치와 속성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보다 정확한 지리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기가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1. 도엽
  2. 레이어
  3. 메타데이터
  4. 기본지리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는 모두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지만, "레이어"는 지도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담고 있는 개별적인 계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지만, "레이어"는 지도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담고 있는 개별적인 계층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리정보시스템(GIS)의 DB구축 및 활용이 개인컴퓨팅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웹(web)을 통해 사회 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GIS환경은?

  1. Institutional GIS
  2. Internet GIS
  3. GNSS
  4. Project GIS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 GIS는 GIS 데이터와 기능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개인컴퓨팅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웹을 통해 사회 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이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리정보를 보다 쉽게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삼각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열삼각망은 같은 거리에 대하여 측점수가 가장 적으므로 측량은 간단하여 경제적이나 조건식의 수가 적어서 정확도가 낮다.
  2. 사변형삼각망은 조건식의 수가 많아서 다른 삼각망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3. 유심삼각망은 면적이 넓고 광대한 지역의 측량에 좋다.
  4. 사변형삼각망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도로, 하천, 철도 등의 측량을 시행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삼각망은 조건식의 수가 많아서 다른 삼각망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변형삼각망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도로, 하천, 철도 등의 측량을 시행할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각측량에서 트래버스망을 위하여 선점할 때 유의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측점 선정은 개방 트래버스가 되도록 한다.
  2. 측량표가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는 곳으로 한다.
  3. 측점은 앞으로의 세부측량에 편리한 곳으로 한다.
  4. 측점은 관측할 때 지장이 없는 곳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측점 선정은 개방 트래버스가 되도록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정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개방 트래버스보다는 폐쇄 트래버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폐쇄 트래버스는 측정 중에 외부 요인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A, B의 표고가 각각 802m, 826m이고 A, B의 도상수평거리가 20mm일 때 A점으로부터 820m 등고선까지의 도상거리는?

  1. 30mm
  2. 25mm
  3. 20mm
  4. 15m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같은 등고선 위의 지점들은 높이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점에서 820m 등고선까지의 도상거리는 A점과 820m 등고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구하면 됩니다.

    A와 B의 표고 차이는 826m - 802m = 24m 입니다. 이것은 A와 B 사이의 1mm 도상수평거리에 해당하는 수직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20mm 도상수평거리에 해당하는 수직거리는 24m × 20 = 480m 입니다.

    이제 A점에서 820m 등고선까지의 수직거리를 구하기 위해, A와 820m 등고선 사이의 표고 차이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 값은 826m - 820m = 6m 입니다. 따라서 A점에서 820m 등고선까지의 도상거리는 480m + 6m = 486m 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도상거리를 1mm 도상수평거리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값은 486m ÷ 20 = 24.3mm 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5mm" 입니다.

    즉, A점으로부터 820m 등고선까지의 도상거리는 15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수치표고모델(D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격자의 구성 상태에 따라 정규격자형과 불규칙격자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불규칙삼각망은 모든 DEM 점들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한 삼각형들의 집합체를 말한다.
  3. 정규격자에 의한 등고선 작성은 격자점 사이에 급격한 경사지나 볼록한 지형 혹은 오목한 지형이 있을 경우의 표현에 불규칙격자형보다 적합하다.
  4. 정규격자형은 작업 지역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 모서리 점의 표고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규격자에 의한 등고선 작성은 격자점 사이에 급격한 경사지나 볼록한 지형 혹은 오목한 지형이 있을 경우의 표현에 불규칙격자형보다 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히려 불규칙격자형이 이러한 지형을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페합트래버스의 전체 관측선의 총 길이가 2.4km일 때, 폐합비를 1/6000로 제한하기 위한 도상 최대 폐합오차는? (단, 도면축척=1:500)

  1. 0.8mm
  2. 1.6mm
  3. 2.4mm
  4. 2.8mm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축척이 1:500이므로, 1mm의 실제 길이는 500mm의 도면상 길이로 표현된다. 따라서, 전체 관측선의 실제 길이는 2.4km × 1000m/km = 2400m이다. 폐합비를 1/6000으로 제한하려면, 폐합오차는 전체 관측선의 길이의 1/6000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대 폐합오차는 2400m ÷ 6000 = 0.4m이다. 이를 도면상 길이로 환산하면, 0.4m × 500 = 200mm이다. 하지만, 폐합오차는 양쪽에서 발생하므로, 최대 폐합오차는 200mm ÷ 2 = 100mm = 0.1m이다. 이를 다시 도면상 길이로 환산하면, 0.1m × 500 = 50mm = 0.05m이다. 따라서, 도상 최대 폐합오차는 0.05m 이하이어야 하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0.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수준측량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시 : 표고를 구하려는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은 값
  2. 이기점 : 기계를 옮기기 위하여 어떠한 점에서 전시와 후시를 모두 취하는 점
  3. 중간점 : 어떤 지점의 표고를 알기 위하여 표척을 세워 전시만을 취하는 점
  4. 후시 : 측량해 나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후방을 시준한 값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습니다. 후시는 측량해 나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후방을 시준한 값으로, 측량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삼각망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내각을 작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측각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2. 경도, 위도 또는 좌표계산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3. 한 삼각형에 있어서 작은 각이 있으면 반드시 다른 각 중에서 큰 각이 있기 때문이다.
  4. 한 기지변으로부터 타변을 sine 법칙으로 구할 때 오차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 기지변으로부터 타변을 sine 법칙으로 구할 때 오차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그림에서 ∠AOB, ∠BOC, ∠AOC를 관측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AOC의 최확값은?

  1. 83°01‘ 05“
  2. 83°01‘ 03“
  3. 83°01‘ 01“
  4. 83°00‘ 59“
(정답률: 알수없음)
  • ∠AOB + ∠BOC + ∠AOC = 360° (삼각형 내각의 합)

    ∠AOB = 90° - 30° = 60°
    ∠BOC = 90° - 40° = 50°

    따라서, ∠AOC = 360° - 60° - 50° = 250°

    하지만 보기에서는 각도를 분과 초 단위까지 정밀하게 나타내고 있으므로, 각도를 계산할 때도 분과 초를 고려해야 한다.

    250°를 분과 초로 변환하면 83°01‘ 00“이다. 하지만 ∠AOC는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이므로, 분과 초를 최대한 늘리면 된다. 따라서, ∠AOC의 최대값은 83°01‘ 01“이다.

    즉, 정답은 "83°01‘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속적인 측량이 가능한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등고선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점으로부터의 기계고를 측정한다.
  2. 프리즘의 높이는 임의로 하여 수시로 변경하는 것이 편리하다.
  3. 토털스테이션을 추적모드(tracking mode)로 설정하고 측정할 등고선의 높이를 입력한다.
  4. 높이를 알고 있는 측점에 토털스테이션을 설치하거나, 기준점을 관측하여 측점의 높이를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즘의 높이는 임의로 하여 수시로 변경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프리즘의 높이는 측정 대상의 높이와 일치시켜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프리즘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측점으로부터의 기계고를 측정하고, 토털스테이션을 추적모드로 설정하여 측정할 등고선의 높이를 입력하며, 높이를 알고 있는 측점에 토털스테이션을 설치하거나, 기준점을 관측하여 측점의 높이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등고선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측점 A, B의 좌표가 각각 A(390,0), B(0.780)일 때 측선 AB의 방위각은?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

  1. 102°56‘ 56“
  2. 108°20‘ 12“
  3. 116°33‘ 54“
  4. 121°20‘ 15“
(정답률: 알수없음)
  • 측선 AB의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보는 방향을 알아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측점 A와 측점 B의 좌표를 이용하여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보는 방향의 각도를 구해야 한다.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보는 방향의 각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측점 A와 측점 B를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기울기 = (y2 - y1) / (x2 - x1) = (0.780 - 0) / (390 - 0) = 0.002

    2. 기울기를 이용하여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보는 각도를 구한다.

    각도 = arctan(기울기) = arctan(0.002) = 0.114 라디안

    3. 라디안 값을 도 단위로 변환한다.

    각도 = 0.114 * 180 / π = 6.53°

    4.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보는 방향이 동쪽을 기준으로 몇 도인지 구한다.

    방위각 = 90° - 각도 = 90° - 6.53° = 83.47°

    따라서, 측점 A에서 측점 B를 바라보는 방향의 방위각은 83.47°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16°33‘ 54“"와 다르다. 따라서, 정답은 "116°33‘ 54“"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P점의 표고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준점 A, B, C로부터 수준측량을 한 결과로 아래와 같은 관측값을 얻었다. P점 표고의 최확값은?

  1. 136.772m
  2. 136.776m
  3. 136.778m
  4. 136.783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점 A, B, C로부터 P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AP = 100m
    - BP = 200m
    - CP = 300m

    따라서 P점의 표고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P점 표고 = A점 표고 + AP의 수직거리 = 100m + 36.776m = 136.776m

    따라서 정답은 "136.77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A점에서 2km 떨어져 있는 B점을 관측할 때 각도에 15“의 각 오차가 있다면 B점에서의 위치오차는?

  1. 20.8cm
  2. 19.7cm
  3. 14.5cm
  4. 11.5c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각도에 대한 위치오차를 구해야 합니다. 15"는 1/240도에 해당하므로, A점에서 B점을 바라볼 때 B점의 위치가 실제로 보다 1/240도 오른쪽에 있을 수도 있고 왼쪽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때, B점에서의 위치오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위치오차 = AB × tan(1/240도)
    = 2km × tan(15"/240)
    = 2km × 0.00014544
    = 0.29m
    ≈ 29cm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서 29cm만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위치오차를 c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100으로 나누어 14.5cm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4.5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직접 수준측량에 있어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직축 오차가 소거된다.
  2. 빛의 굴절오차가 소거된다.
  3. 지구의 곡률오차가 소거된다.
  4.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는 경우의 오차가 소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는 것은 연직축 오차를 소거하기 위함입니다. 연직축 오차는 지구의 중심축과 수평선이 평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로, 이를 소거하지 않으면 측정 결과에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여 연직축 오차를 소거하고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직사각형 모양의 토지를 거리측량하여 가로 106.85m와 세로 89.34m를 얻었다. 각각의 거리관측값에 +1.0cm의 오차가 있었다면 면적의 오차는?

  1. ±0.90m2
  2. ±1.39m2
  3. ±14.01m2
  4. ±139.28m2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원래 면적은 106.85m × 89.34m = 9549.729m² 이다.

    각각의 거리관측값에 +1.0cm의 오차가 있었으므로, 가로는 106.86m, 세로는 89.35m로 계산된다.

    이 때의 면적은 106.86m × 89.35m = 9561.231m² 이다.

    따라서, 면적의 오차는 9561.231m² - 9549.729m² = 11.502m²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면적의 오차를 ±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2로 나누어서 5.751m²로 계산한다.

    따라서, 면적의 오차는 ±5.751m²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39m²"인데,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이다.

    5.751m²를 반올림하면 1.39m²가 되므로, 정답은 "±1.39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의 기본측량성과의 국외 반출 금지 조항에서 밑줄 친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항공사진측량에 의하여 제작된 축척 1:25,000인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2.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하는 경우
  3.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 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4.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측량용 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하는 경우"는 반출이 허용되는 경우이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반출이 금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항공사진측량에 의하여 제작된 축척 1:25,000인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는 항공사진측량으로 제작된 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국가 안보나 기술보호 등의 이유로 반출이 제한되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측량기술자의 의무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기술자는 다른 사람에게 측량기술 경력증을 빌려 주거나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수행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측량기술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그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측량기술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측량을 실시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측량기술자는 셋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술자는 셋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의무나 규제와는 관련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량기술자는 셋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행위는 범죄가 아니라 민사상의 문제이기 때문에, 벌칙으로는 과태료가 적용됩니다. 이 때, 과태료의 기준은 행위의 경중에 따라 다르며, 이 경우에는 경미한 경우로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성과”의 용어 정의로 옳은 것은?

  1. 측량결과물을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2. 측량기본계획 수립에 따른 사업 목표
  3.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
  4. 측량 외업에 직접 취득한 관측 결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성과"는 측량을 통해 얻은 최종 결과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량과 관련된 작업이나 계획 등을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기본측량성과 검증기관의 인력 및 장비 보유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토털스테이션(1급) : 2대 이상
  2. GPS수신기(1급) : 3대 이상
  3. 특급기술자 : 1인 이상
  4. 중급기술자 : 2인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GPS수신기는 측량 작업에서 위치 측정에 필수적인 장비이기 때문에 보유 대수가 많을수록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GPS수신기는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대수가 많을수록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3대 이상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가기준점 중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은?

  1. 우주측지기준점
  2. 통합기준점
  3. 지자기점
  4. 삼각점
(정답률: 알수없음)
  • 통합기준점은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국가의 기술 발전과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주측지기준점은 우주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이며, 지자기점은 지자기 측정을 위한 기준점입니다. 삼각점은 삼각측량을 위한 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