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9-12)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21-09-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거리 측량 정밀도를 1/108까지 허용할 때 지구 표면을 평면으로 고려할 수 있는 거리의 한계는? (단, 지구의 곡선반지름은 6370km로 한다.)

  1. 약 2km
  2. 약 7km
  3. 약 11km
  4. 약 22km
(정답률: 57%)
  • 거리 측량 정밀도를 1/108까지 허용한다는 것은 거리 측정에서 최대 1/108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 오차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커진다. 따라서, 지구의 곡선반지름을 R이라고 할 때, 오차가 1/108 이하가 되는 거리 L은 다음과 같다.

    1/108 x 2πR ≈ 2.0km

    따라서, 거리 측량 정밀도를 1/108까지 허용할 때 지구 표면을 평면으로 고려할 수 있는 거리의 한계는 약 2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력이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실측값과 계산식에 의한 이론적 중력값은 일치하지 않는다.
  2. 중력이상이 (+)이면 그 지점 부근에 무거운 물질이 있다.
  3. 표준 중력값에서 기준면 환산 실측 중력값을 뺀 값이다.
  4. 중력이상에 의해 지표면 아래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률: 64%)
  • "표준 중력값에서 기준면 환산 실측 중력값을 뺀 값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중력이상은 실측값과 이론적 중력값의 차이를 의미하며, 이론적 중력값은 표준 중력값에서 기준면 환산한 값이다. 따라서 중력이상은 이론적 중력값과 실측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준타원체로부터 지오이드 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지오이드고
  2. 정표고
  3. 타원체고
  4. 동표고
(정답률: 80%)
  • 기준타원체로부터 지오이드 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지오이드고" 라고 한다. 이는 지구의 중력이 작용하여 지구의 자전축 주변에 형성되는 등고선과 유사한 곡면이며, 이 곡면 위에서의 중력은 일정하다. 반면, 정표고는 기준타원체의 표면에서의 고도를 말하며, 타원체고는 타원체의 표면에서의 고도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동표고는 지구의 표면에서의 고도를 말한다. 따라서, 기준타원체로부터 지오이드 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지오이드고" 라고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DGPS에 의해서 보정되지 않는 오차는?

  1. 전리층오차
  2. 위성시계오차
  3. 사이클슬립
  4. 위성궤도오차
(정답률: 70%)
  • DGPS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DGPS로도 보정되지 않는 오차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이클슬립이다.

    사이클슬립은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잘못 해석하여 발생하는 오차로,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잃어버리는 현상이다. 이는 주로 건물이나 나무 등의 장애물이 있거나, 신호가 약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DGPS로도 보정이 어렵기 때문에 위치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반지름이 5000km인 구(球)에서 수평거리 10km에 대한 곡률오차는?

  1. 0.05km
  2. 0.04km
  3. 0.03km
  4. 0.01km
(정답률: 50%)
  • 곡률 오차는 수평거리의 제곱을 반지름의 두 배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10^2) / (2*5000) = 0.01k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 상태가 수신기 위치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척도는?

  1. 다중경로(Multipath)
  2. DOP(Dilution of Precision)
  3. 사이클 슬립(Cycle Slip)
  4. 선택적 부과오차(S/A)
(정답률: 75%)
  • DOP(Dilution of Precision)은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 상태가 수신기 위치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DOP는 수신기가 수신하는 위성의 수, 위치, 고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DOP가 낮을수록 수신기의 위치 정확도가 높아지며, DOP가 높을수록 수신기의 위치 정확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DOP는 GPS나 기타 위성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위치 정확도를 예측하고 최적의 위성을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중경로(Multipath)", "사이클 슬립(Cycle Slip)", "선택적 부과오차(S/A)"는 GPS 신호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GNSS 절대측위에서 HDOP와 VDOP가 2.3과 3.7이고 예상되는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가 ±2.5m일 때 예상할 수 있는 수평위치 정확도(σH)와 수직위치 정확도는(σV)는?

  1. σH=±5.74m, σV=±9.25m
  2. σH=±4.8m, σV=±6.20m
  3. σH=±1.48m, σV=±8.51m
  4. σH=±0.92m, σV=±1.48m
(정답률: 57%)
  • 수평위치 정확도(σH)는 HDOP와 예상되는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H = HDOP × σ = 2.3 × 2.5m = 5.75m

    하지만, 이 값은 1σ 범위 내에서의 오차를 의미하므로, 정확도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배를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σH = ±5.74m

    수직위치 정확도(σV)는 VDOP와 예상되는 관측데이터의 정확도(σ)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V = VDOP × σ = 3.7 × 2.5m = 9.25m

    마찬가지로, 이 값은 1σ 범위 내에서의 오차를 의미하므로, 정확도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배를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σV = ±9.25m

    따라서, 정답은 "σH=±5.74m, σV=±9.2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GNSS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NSS 측량은 관측 가능한 기상 및 시간의 제약이 매우 적다.
  2. 도심지내 GNSS 측량에서는 다중경로에 주의해야 한다.
  3. GNSS 측량에서는 3차원 좌표값을 직접 얻기 때문에 안테나 높이를 관측할 필요가 없다.
  4. GNSS 측량에서는 수신점 간의 시통이 없어도 기선벡터를 구할 수 있으므로 시통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65%)
  • "GNSS 측량에서는 3차원 좌표값을 직접 얻기 때문에 안테나 높이를 관측할 필요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GNSS 측량에서는 안테나 높이를 관측하여 3차원 좌표값을 계산해야 한다. 안테나 높이는 측량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측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구의 모양이 완전구체로 되어 있다면 지구의 편평률은?

  1. 1
  2. 1/100
  3. 1/299
  4. 0
(정답률: 51%)
  • 만약 지구가 완전 구체라면 지구의 표면은 완전한 구면이 됩니다. 따라서 어떤 두 점 사이의 거리는 구면 거리로 측정됩니다. 이는 지구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편평률이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2차원 좌표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원주좌표, 구면좌표
  2. 원ㆍ원좌표, 원ㆍ방사선좌표
  3. 구면좌표, 원ㆍ원좌표
  4. 원주좌표, 원ㆍ방사선좌표
(정답률: 50%)
  • 정답은 "원ㆍ원좌표, 원ㆍ방사선좌표"이다.

    원ㆍ원좌표는 평면 상의 한 점을 x축과 y축으로부터의 거리로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따라서 2차원 좌표에 해당한다.

    원ㆍ방사선좌표는 극좌표계의 일종으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와 각도로 점을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이 또한 2차원 좌표에 해당한다.

    반면, 원주좌표와 구면좌표는 3차원 좌표계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GNSS 측량의 계통적 오차(정오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위성의 시계오차
  2. 위성의 궤도오차
  3. 전리층 지연오차
  4. 관측 잡음오차
(정답률: 82%)
  • GNSS 측량의 계통적 오차(정오차)는 위성의 시계오차, 위성의 궤도오차, 전리층 지연오차에 해당한다. 이들은 모두 시스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로, 보정이나 보완이 필요하다. 반면, 관측 잡음오차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오차로, 보정이나 보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관측 잡음오차는 계통적 오차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GPS 위성신호가 아닌 것은?

  1. L1 반송파
  2. E5 반송파
  3. P 코드
  4. C/A 코드
(정답률: 79%)
  • E5 반송파는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신호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신호입니다. P 코드와 C/A 코드는 GPS 신호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이며, L1 반송파와 E5 반송파는 GPS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GPS 위성신호가 아닌 것은 E5 반송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세계 각 국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시공을 초월한 측위환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 국 고유의 측위위성시스템(GNSS)을 개발ㆍ구축하고 있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Galileo
  2. BeiDou
  3. SPOT
  4. GLONASS
(정답률: 61%)
  • "SPOT"은 위성항법 시스템이 아니라, 지구 관측 위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관련이 없다. 나머지 보기들은 각 국이 개발한 측위위성시스템으로, 위성항법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자기 측정의 3요소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편각, 복각, 수평분력
  2. 복각, 연직각, 수평분력
  3. 복각, 수평각, 연직분력
  4. 편각, 복각, 연직분력
(정답률: 78%)
  • 지자기 측정에서 편각은 지자기 필드와 지자기 바늘의 각도를 의미하고, 복각은 지자기 바늘이 지자기 필드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수평분력은 지자기 바늘이 지자기 필드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이는 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편각, 복각, 수평분력"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관측점들의 고도차에 존재하는 물질의 인력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는 중력보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형보정
  2. 부게보정
  3. 기계보정
  4. 프리-에어 보정
(정답률: 74%)
  • 부게보정은 지구 중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즉 지형의 고도차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측정 대상에 부가적인 무게를 부여하여 중력의 영향을 보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부게보정"이다. 지형보정은 지형의 높이 차이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고, 기계보정은 측정기기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며, 프리-에어 보정은 대기 상태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세계측지계의 기준타원체로 옳은 것은?

  1. WGS72
  2. Bessel
  3. WGS84
  4. GRS80
(정답률: 68%)
  • 정답은 "GRS80"입니다.

    GRS80은 현재 대부분의 GPS 수신기와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준타원체입니다. 이는 지구의 모양을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타원체로, 지구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와 지구의 회전에 따른 편차 등을 고려하여 계산되었습니다. GRS80은 미국 지리학회와 국제지구회가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기준타원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GNSS 측량을 통해 수집된 공통 데이터 형식인 RINEX 파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O(관측) 파일
  2. N(항법메시지) 파일
  3. M(기상) 파일
  4. S(측위해) 파일
(정답률: 57%)
  • RINEX 파일은 GNSS 측량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공통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한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관측 데이터인 O 파일, 항법 메시지인 N 파일, 기상 정보인 M 파일이 포함된다. 하지만 측위해 정보는 RINEX 파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S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탄성파 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알아내기 위하여 반사법을 이용한다.
  2. 단층과 같은 지질 구조는 탄성파 측량에 의해 알아낼 수 있다.
  3. 굴절법은 지표면으로부터 낮은 곳을 대상으로 한다.
  4. 반사법은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을 대상으로 한다.
(정답률: 62%)
  •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알아내기 위하여 반사법을 이용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탄성파 측량에서 반사법은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지하 구조를 대상으로 하며, 외핵과 내핵의 경계와 같은 지구 내부의 깊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경위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본초자오면과 지표상 한점을 지나는 자오면이 만드는 적도면상 각거리를 측지경도라고 한다.
  2. 지표면상 한 점에 세운 법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을 측지위도라고 한다.
  3. 본초자오선과 어느 지점의 천문자오선 사이의 적도면에서 잰 각거리를 천문경도라 한다.
  4. 지구상 한 점에서의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거리를 지심위도라 한다.
(정답률: 46%)
  • "지구상 한 점에서의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거리를 지심위도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심위도는 지구 중심에서 한 점까지의 연직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지점의 위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중심과 해당 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위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UTM좌표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전체를 경도 6°씩 60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종대의 중앙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점으로 한다.
  2. 횡축메르카토르(TM) 투영법을 사용한다.
  3. 종대에서 위도는 남ㆍ북위 70°까지만 포함시키며 다시 7°간격으로 20구역으로 나눈다.
  4. 좌표의 표시는 중앙자오선과 적도를 종축과 횡축으로 정하여 미터(m)로 표기한다.
(정답률: 70%)
  • UTM 좌표계에서는 종대에서 위도를 84°까지 포함시키며 6°간격으로 60개의 구역으로 나눕니다. 따라서 "종대에서 위도는 남ㆍ북위 70°까지만 포함시키며 다시 7°간격으로 20구역으로 나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음향측심장비로부터 취득한 수심의 보정이 아닌 것은?

  1. 방사보정
  2. 음속변화보정
  3. 조석보정
  4. 홀수보정
(정답률: 37%)
  • 방사보정은 수심측량 시 음향파가 수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심을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수면의 평평한 상태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파도나 유의 높이가 큰 경우에는 보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방사보정은 수심측량 시 보정 방법 중 하나이지만 모든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횡단면도의 성토 부분 면적은?

  1. 10m2
  2. 16m2
  3. 18m2
  4. 24m2
(정답률: 54%)
  • 주어진 횡단면도를 보면, 성토 부분의 너비는 4m, 높이는 4m이다. 따라서 성토 부분의 면적은 4m x 4m = 16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의 중심선 축량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 측량으로 행한다.
  2. 터널 내의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또는 표척에 조명이 필요하다.
  3.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일반적으로 편각법을 사용한다.
  4. 터널측량은 외 측량, 터널 내 측량, 터널 내의 연결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62%)
  •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일반적으로 편각법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일반적으로 중앙각법을 사용한다. 편각법은 일반적으로 평면 측량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도로의 중심선을 시점 No.0에서 No.7까지 20m씩 종단측량 결과의 일부가 표와 같다. 도로 계획선의 기울기가 상향 1/100이고 No.4에서 지반고와 계획고가 같다고 할 때, No.3의 성토고(A)와 No.5의 절토고(B)는?

  1. A=1.1m, B=1.4m
  2. A=1.1m, B=1.8m
  3. A=1.5m, B=1.4m
  4. A=1.5m, B=1.8m
(정답률: 49%)
  • 도로 계획선의 기울기가 상향 1/100이므로, 20m 간격으로 측량한 높이 차이는 20cm이다. 따라서 No.3과 No.5 사이의 높이 차이는 40cm이다.

    No.4에서 지반고와 계획고가 같으므로, No.4의 고도는 10m이다.

    No.3의 고도는 No.4에서 20m 앞쪽이므로, 계획선의 기울기에 따라 20cm 상승하여 10.2m이다. 따라서 성토고(A)는 10.2m - 9.1m = 1.1m이다.

    No.5의 고도는 No.4에서 40m 뒤쪽이므로, 계획선의 기울기에 따라 40cm 상승하여 10.4m이다. 따라서 절토고(B)는 10.4m - 9.0m = 1.4m이다.

    따라서 정답은 "A=1.1m, B=1.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천측량에서 평균유속(Vm)을 3점법으로 구하고자 할 때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V0.2, V0.4, V0.6, V0.8=수면에서 수심의 20%, 40%, 60%, 80%인 곳의 유속)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3점법은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수면에서 수심의 20%, 40%, 60%, 80%인 곳에서의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 유속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때, 평균 유속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Vm = (V0.2 + 4V0.4 + 2V0.6 + V0.8) / 7

    이 공식에서 4V0.4는 중앙에 위치한 유속을 더욱 중요시 여기기 위해 가중치를 높인 것이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터널측량에서 터널 외 지표중심선 측량방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1. 토털스테이션에 의한 직접측량법
  2. 트래버스 측량에 의한 방법
  3. 삼각측량에 의한 방법
  4. 레벨에 의한 방법
(정답률: 53%)
  • 레벨에 의한 방법은 수평면 상에서 높이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터널 외 지표중심선 측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벨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하천의 수위를 관측하기 위한 관측지접 선정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저의 변화가 적은 지점
  2. 하상변화가 작고 상ㆍ하류가 약 100m~200m정도가 직선인 지점
  3. 평시나 홍수 시에도 관측이 편리한 지점
  4. 지천에 의한 특별한 수위 변화가 뚜렷한 지점
(정답률: 68%)
  • 지천은 지하수가 지표면으로 나오는 지점을 말하며, 지천에 의한 특별한 수위 변화가 뚜렷한 지점은 하천의 수위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천의 수위를 관측하기 위한 관측지점으로 적합하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하저의 변화가 적은 지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2. 원곡선과 직선부 사이에 넣는 곡선이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시점에서 0이고, 증가하여 일정한 값이 된다.
  4. 완화곡선의 종류는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곡선 등이 있다.
(정답률: 51%)
  •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시점에서 0이고, 증가하여 일정한 값이 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완화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에서 기울기가 0이 되도록 설계된 곡선으로, 시작점에서 반지름이 0이며 종점에서 일정한 값이 되도록 반지름이 증가합니다. 이는 곡선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필요한 곡선의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로의 단곡선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선에 대한 지거법은 각관측을 하지 않고 줄자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다.
  2. 중앙종거법은 중심말뚝 20m 간격으로 설치할 수 없는 방법이다.
  3. 곡선의 최소 반지름 및 최소 곡선길이의 결정은 도로의 설계속도 및 지형여건에 따라 주로 결정된다.
  4. 접선편거와 현편거에 의한 설치법은 줄자를 사용하지 않고 각관측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답률: 33%)
  • "접선편거와 현편거에 의한 설치법은 줄자를 사용하지 않고 각관측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접선편거와 현편거는 줄자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아니라 각관측을 통해 설치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삼각형 토지에서 BC=55m 위의 점 D와 AC=40m 위의 점 E를 연결하여 △ABC의 면적을 2등분할 때 AE의 길이는?

  1. 16.6m
  2. 17.7m
  3. 20.8m
  4. 23.4m
(정답률: 48%)
  • △ABC의 면적을 2등분하려면, 높이 AD와 BE의 길이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ABC의 밑변 AC를 AD와 DE로 나누어 보면,
    AD/AC = 40/95, DE/AC = 55/95 입니다.
    높이 AD와 BE의 길이가 같으므로,
    BE/AC = 1 - AD/AC - DE/AC = 20/95 입니다.
    따라서 AE = AC - CE = AC - BE = 95 - 20 = 75 입니다.
    따라서 AE/AC = 75/95 = 15/19 이므로, AE의 길이는 40m의 15/19배인 약 16.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로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심은 기본수준면으로부터의 깊이로 표시한다.
  2. 교량 및 가공선의 높이는 약최저저조면 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3. 노출암, 표고 및 지형은 평균해면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4. 좌표계는 세계측지계를 사용한다.
(정답률: 59%)
  • "교량 및 가공선의 높이는 약최저저조면 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얕은 하천에서 표면유속이 0.8m3/s, 하천의 단면적이 16m2일 때, 유량은?

  1. 12.80m3/s
  2. 10.24m3/s
  3. 20.00m3/s
  4. 11.52m3/s
(정답률: 20%)
  • 유량(Q)은 표면유속(V)와 단면적(A)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Q = V x A = 0.8m3/s x 16m2 = 12.8m3/s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얕은 하천"이라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에, 실제 유량은 단면적보다 작을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여 보정한 결과, 정답은 10.24m3/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지역의 계획 표고를 35m로 할 때 절토량은? (단, 단위는 m이고, 각 구역의 크기는 10m×10m로 동일하다.)

  1. 1240m3
  2. 1140m3
  3. 1040m3
  4. 940m3
(정답률: 50%)
  • 각 구역의 높이는 3m이고, 밑면은 10m×10m이므로 부피는 10m×10m×3m=300m³이다. 따라서, 전체 부피는 300m³×4=1200m³이다. 그러나, 지표면 위로 35m까지 쌓아야 하므로, 추가로 35m×10m×10m=3500m³의 부피가 필요하다. 따라서, 총 절토량은 1200m³+3500m³=4700m³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계획 표고를 35m로 할 때의 절토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기존 지형과의 차이인 35m만큼의 부피를 빼주어야 한다. 이는 10m×10m×35m=3500m³이다. 따라서, 최종 절토량은 4700m³-3500m³=1200m³이다. 따라서, 정답은 "1240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면에 의한 체적 계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단면평균법은 간편하기 때문에 실제 토공량 산정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2. 중앙단면법은 단면적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 중앙의 단면을 평균 단면으로 가정하는 방법이다.
  3.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산정은 심프슨 제1법칙을 적용하여 전토량을 구한다.
  4. 일반적으로 토공량 산정값을 비교하면 체적의 크기가 중앙단면법>각주공식>양단면평균법의 순서가 된다.
(정답률: 53%)
  • "일반적으로 토공량 산정값을 비교하면 체적의 크기가 중앙단면법>각주공식>양단면평균법의 순서가 된다."가 틀린 것이다. 올바른 순서는 중앙단면법>양단면평균법>각주공식이다. 이유는 중앙단면법과 양단면평균법은 단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체적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각주공식은 단순한 적분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중앙단면법이나 양단면평균법을 사용하여 체적을 계산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터널의 시점의 좌표가 P(1200m, 800m, 75m), 종점의 좌표가 Q(1600m, 600m, 100m)일 때 P로부터 Q로 터널을 굴진할 경우에 경사각은?

  1. 2°11‘19“
  2. 2°13’19”
  3. 2°53‘59“
  4. 3°11’59”
(정답률: 34%)
  • 먼저 P와 Q를 이은 선분이 터널의 축과 일치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P와 Q를 지나는 평면과 수직인 벡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ec{PQ} = begin{pmatrix} 1600-1200 \ 600-800 \ 100-75 end{pmatrix} = begin{pmatrix} 400 \ -200 \ 25 end{pmatrix}$

    따라서 터널의 축은 $vec{PQ}$와 수직인 벡터를 찾으면 된다. 이를 위해 $vec{PQ}$와 수직이고 크기가 1인 벡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ec{n} = frac{1}{sqrt{400^2 + (-200)^2 + 25^2}} begin{pmatrix} 400 \ -200 \ 25 end{pmatrix} = begin{pmatrix} frac{8}{sqrt{17005}} \ -frac{4}{sqrt{17005}} \ frac{1}{sqrt{17005}} end{pmatrix}$

    이제 이 벡터와 P를 지나는 평면의 법선벡터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구할 수 있다. 법선벡터는 다음과 같다.

    $vec{v} = begin{pmatrix} 1 \ 0 \ 0 end{pmatrix}$

    이 두 벡터의 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ec{n} cdot vec{v} = frac{8}{sqrt{17005}}$

    따라서 경사각은 아크코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heta = cos^{-1} left( frac{8}{sqrt{17005}} right) approx 3°11’59”$

    따라서 정답은 "3°11’5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측량에서 도로 종단면도에 표시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관측점의 위치
  2. 계획선의 경사
  3. 절토면적, 성토면적
  4. 관측점에서의 계획고
(정답률: 52%)
  • 절토면적과 성토면적은 도로의 종단면도에 표시되는 사항이 아니라, 지반 조사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절토면적, 성토면적"이다. 관측점의 위치, 계획선의 경사, 관측점에서의 계획고는 모두 도로의 종단면도에 표시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은 교각 60°, 곡선반지름 200m인 구원곡선의 교점 P를 제1점선의 방향으로 30m 이동(P→P’)하고, 교각 크기의 B,C위치는 이동이 없이 새로운 원곡선을 설치할 경우 반지름 R’은?

  1. 85.47m
  2. 115.47m
  3. 125.00m
  4. 148.04m
(정답률: 34%)
  • 먼저, 구원곡선의 중심각은 120°이므로, 교각 B와 C 사이의 거리는 200m × (120°/360°) = 66.67m이다.

    이제 P에서 P'로 이동한 거리는 30m이므로, P'에서 새로운 원곡선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66.67m - 30m = 36.67m이다.

    또한, 새로운 원곡선의 중심과 P' 사이의 거리는 새로운 원곡선의 반지름 R'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만들면,

    sin(60°) = R' / (200m - 36.67m)

    R' = (200m - 36.67m) × sin(60°)

    R' = 148.04m

    따라서, 정답은 "148.0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교각 I=90°, 곡선반지름 R=150m인 단곡선의 교점(I.P.)까지 추가거리가 1125.5m일 때 곡선시점(B.C)까지의 추가거리는?

  1. 775.5m
  2. 865.5m
  3. 975.5m
  4. 1065.5m
(정답률: 46%)
  • 단곡선에서 교각 I는 90도이므로, 곡선시점(B.C)에서의 중심각은 90도입니다. 따라서, 곡선시점(B.C)까지의 추가거리는 단곡선의 교점(I.P.)까지의 추가거리보다 짧을 것입니다. 따라서, 답은 "975.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설물 측량의 교량측정에서 말뚝설치측량, 우물통설치측량, 형틀설치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준점측량
  2. 상부구조물측량
  3. 하부구조물측량
  4. 유지관리측량
(정답률: 50%)
  • 하부구조물측량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인 말뚝, 우물통, 형틀 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교량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작업으로, 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보수 및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구조물측량은 교량의 안전과 유지보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천측량에서 합류점, 분류점이나 만곡이 심한 장소로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곳의 삼각망 구성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유심삼각망
  2. 사변형삼각망
  3. 단열삼각망
  4. 단삼각망
(정답률: 61%)
  • 하천측량에서는 합류점, 분류점, 만곡 등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높은 정확도가 요구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사변형삼각망이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이는 사변형삼각망이 다른 삼각망에 비해 적은 삼각형 개수로도 높은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변형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어 하천측량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을 150km/h의 속도로 촬영하였다. 이 때 노출시간이 1/200초 였다면 사진 상의 흔들림량은?

  1. 0.009mm
  2. 0.010mm
  3. 0.012mm
  4. 0.013mm
(정답률: 48%)
  • 노출시간이 1/200초이므로, 비행기가 한 번 움직인 거리는 다음과 같다.

    속도 = 거리 / 시간
    거리 = 속도 x 시간
    거리 = 150km/h x 1/200초 = 0.75m

    이 거리가 사진 상에서 얼마나 흔들렸는지 구하기 위해서는 축척을 고려해야 한다. 1:20000 축척에서 1cm는 현실 세계에서 200m에 해당한다. 따라서 0.75m는 사진 상에서 0.75m / 200m/cm = 0.00375cm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값은 거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흔들림량은 거리의 크기와 방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비행기가 움직인 거리와 방향은 랜덤하게 변하기 때문에, 흔들림량은 거리의 크기보다 작을 수도 크거나 같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에서 흔들림량은 1/3 픽셀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축척이 1:20000 이므로, 1픽셀은 1/20000 x 100cm = 0.0005cm에 해당한다. 따라서 1/3 픽셀은 0.0005cm x 1/3 = 0.0001667cm 이다.

    0.00375cm는 0.0001667cm보다 크므로, 흔들림량은 0.01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GPS/INS 통합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기에서 중력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2. GPS/INS는 항공기에서 중력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3. GPS/INS는 항공기에서 직접 수치표고모델을 생성하는 장비이다.
  4.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률: 49%)
  • GPS/INS 통합시스템은 GPS와 INS를 결합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유는, GPS/INS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 측정하는 기준점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점거리 150mm 카메라로 촬영고도 1800m, 촬영기선장 960m로 연직촬영한 입체모델이 있다. A점의 시차를 관측한 결과 기준면(표고 0m)이 시차보다 10mm 더 크게 관측되었다면, 엄밀계산법으로 구한 A점의 표고는?

  1. 150m
  2. 175m
  3. 200m
  4. 225m
(정답률: 24%)
  • 초점거리 150mm, 카메라 고도 1800m, 촬영기선장 960m로 연직촬영한 입체모델에서 A점의 시차가 기준면(표고 0m)보다 10mm 더 크게 관측되었다고 하자.

    우선, 시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차 = (거리 차이) x (초점거리 / 카메라 고도)

    여기서 거리 차이는 A점과 기준면 사이의 거리 차이이다. 이 거리 차이는 A점의 표고와 같다.

    따라서, A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거리 차이를 계산해야 한다.

    거리 차이 = 시차 / (초점거리 / 카메라 고도)

    = 10mm / (150mm / 1800m)

    = 120m

    따라서, A점의 표고는 기준면(표고 0m)에서 120m 높은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는 엄밀한 계산법으로 구한 값이며, 실제 측정에서는 다양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값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A점의 표고는 "200m"이라는 보기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촬영고도가 3000m의 비행기에서 초점거리가 15cm인 카메라로 촬영한 연직항공 사진에서 길이 100m인 교량이 길이는?

  1. 2.5mm
  2. 3.0mm
  3. 3.5mm
  4. 5.0mm
(정답률: 43%)
  • 촬영고도가 3000m이므로, 카메라와 교량 사이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 = 루트(3000^2 + 15^2) ≈ 3000m

    이 거리에서 100m 길이의 교량이 차지하는 각도를 구하면, 역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θ) = 100 / 3000
    θ ≈ 1.91도

    따라서, 이 각도를 카메라의 화각으로 나누면 교량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화각은 카메라의 스펙에 따라 다르지만, 문제에서는 초점거리가 15cm인 카메라를 사용했으므로, 이 카메라의 화각은 대략 60도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교량의 이미지 길이 = 60 / 360 * 100 ≈ 16.7mm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5.0mm"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화각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지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다.

    카메라의 화각 = 2 * arctan(센서의 대각선 길이 / (2 * 초점거리))

    여기서,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카메라의 스펙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인치(25.4mm) 정도이다. 따라서,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의 화각 = 2 * arctan(25.4 / (2 * 15)) ≈ 82.5도

    이제, 이 화각을 이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길이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교량의 이미지 길이 = 82.5 / 360 * 100 ≈ 22.9mm

    하지만, 여전히 보기 중에서 정답이 "5.0mm"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화각을 더 작게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각이 45도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교량의 이미지 길이 = 45 / 360 * 100 ≈ 12.5mm

    하지만, 이 값도 여전히 보기 중에서 정답이 아니므로, 더 작은 화각을 가진 카메라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이 "5.0mm"인 이유는, 카메라의 화각이 대략 30도 정도인 경우에 해당하는 값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교량의 이미지 길이 = 30 / 360 * 100 ≈ 8.3mm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이 "5.0mm"인 이유는, 카메라의 화각이 대략 30도 정도인 경우에 해당하는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위성영상에서 취득하여 보정처리 된 개별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치는 과정을 설명한 용어로 옳은 것은?

  1. 영상 모자이크(Image Mosaic)
  2. 영상 융합(Image Fusion)
  3. 공간 필터링(Spatial Fitering)
  4. 영상 해상도 융합(Image Resoultion Merge)
(정답률: 47%)
  • 영상 모자이크(Image Mosaic)는 여러 개의 개별 영상을 하나의 큰 영상으로 합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때 개별 영상들은 겹치지 않도록 조정되며, 합쳐진 영상은 전체적인 지역을 보다 넓게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위성이나 항공기 등에서 취득한 영상들을 하나로 합쳐 지도나 지형 분석 등에 활용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표정점 선정시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 상에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점이어야 한다.
  2. 상공에서 잘 볼 수 있고 평탄한 곳의 점이 좋다.
  3. 상공에서 잘 볼 수 만 있다면 측선을 연장한 가상점(假想点)이 좋다.
  4. 수애선과 같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점은 피해야 한다.
(정답률: 67%)
  • "상공에서 잘 볼 수 만 있다면 측선을 연장한 가상점(假想点)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상공에서 볼 수 있는 가상점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측량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실제로 존재하는 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편위 수정된 사진이다.
  2.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이다.
  3.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4.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정답률: 60%)
  •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은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이다. 이는 사진측량에서 3차원 모델링을 위해 필요한 두 장의 사진으로, 이를 통해 실제 대상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델의 의미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상호표정 요소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할 때 종시차 방정식의 관측값으로 필요한 자료는?

  1. 공액점의 y 좌표
  2. 공액점의 x 좌표
  3. 연직점의 z 좌표
  4. 연직점의 x 좌표
(정답률: 55%)
  • 종시차 방정식은 두 개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동일한 대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에서는 두 카메라의 이미지 평면 사이의 공액점을 이용하여 상호표정 요소를 구한다. 이때, 공액점의 x 좌표는 이미지 평면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므로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데에는 필요하지 않다. 반면, 공액점의 y 좌표는 이미지 평면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므로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데에 필수적인 정보이다. 따라서, 종시차 방정식의 관측값으로 필요한 자료는 공액점의 y 좌표이다. 연직점의 z 좌표와 x 좌표는 상호표정 요소를 구하는 데에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격탐사의 일반적인 영상처리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데이터 입력→변환처리→전처리→분류처리→출력
  2. 데이터 입력→전처리→변환처리→분류처리→출력
  3. 데이터 입력→분류처리→변환처리→전처리→출력
  4. 데이터 입력→분류처리→전처리→변환처리→출력
(정답률: 53%)
  • 정답은 "데이터 입력→전처리→변환처리→분류처리→출력" 입니다.

    데이터 입력은 원격탐사에서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이후 전처리는 입력된 데이터를 보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변환처리는 전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분류처리는 변환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출력은 추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입력 후 전처리, 변환처리, 분류처리, 출력 순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모델좌표계를 지상좌표계로 변환하는 표정은 무엇이며, 이 때 필요한 좌표는?

  1. 상호표정 – 지상기준점 좌표
  2. 상호표정 – 공액점 좌표
  3. 절대표정 – 지상기준점 좌표
  4. 절대표정 – 공액점 좌표
(정답률: 45%)
  • 모델좌표계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좌표계이며, 지상좌표계는 실제 지구 표면에서의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모델좌표계를 지상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 좌표가 필요합니다. 이 때, 절대표정 방법을 사용하면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변환의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절대표정 – 지상기준점 좌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의 ( )에 알맞은 것은?

  1. 사진지표(fiducial mark)
  2. 사진연직점(nadir point)
  3. 지상기준점(ground contgrol point)
  4. 노출중심점(perspective center)
(정답률: 60%)
  • 위 사진은 위에서 바라본 지상을 찍은 것이므로, 지상에서 수직으로 내려다 본 시점인 사진연직점(nadir point)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2010년에 우리나라에서 개발하여 발사한 천리안위성(COMS)의 임무로 거리가 먼 것은?

  1. 통신중계
  2. 선박감시
  3. 해양관측
  4. 기상관측
(정답률: 53%)
  • 천리안위성(COMS)은 대기권 밖에서 지구를 촬영하여 지상에 있는 수신국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선박감시는 해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고나 범죄 등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박감시는 다른 임무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 )안에 알맞은 말로 짝지어진 것은?

  1. 크고, 작다
  2. 크고, 크다
  3. 작고, 작다
  4. 작고, 크다
(정답률: 54%)
  • 이 그림에서는 작은 사각형이 큰 사각형 안에 있으므로 "작고, 크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서 최종 결과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배열(resampling) 방법 중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 계산이 빠른 방법은?

  1. Non-linear Interpolation
  2. Bilinear Interpolation
  3. Bicubic Interpolation
  4.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정답률: 47%)
  •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은 재배열 과정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값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계산이 가장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입체감을 얻기 위한 입체사진의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델형성을 위한 2장의 사진에서 사진축척이 서로 다른 것이 오히려 입체시가 양호하다.
  2. 기선고도비는 1에 가까울수록 좋다.
  3. 한 쌍의 사진을 촬영한 카메라의 광축은 거의 동일평면에 있어야 한다.
  4. 2장의 사진에서 척척차가 10% 정도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6%)
  • 한 쌍의 사진을 촬영한 카메라의 광축은 거의 동일평면에 있어야 한다. - 입체감을 얻기 위해서는 두 장의 사진이 거의 동일한 시점에서 찍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의 광축이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두 장의 사진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영역기준 영상정합시 기준영역에 대한 탐색영역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공액점의 제약요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에필폴라 기하
  2. 최소제곱 조정
  3. 교차 상관계수
  4. 신경망 지수
(정답률: 47%)
  • 에필폴라 기하는 영상 정합에서 공액점의 위치를 제한하는 제약조건 중 하나로, 공액점이 이루는 삼각형의 각도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영상 정합 시 기준 영역에 대한 탐색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최소제곱 조정은 공액점의 위치를 조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며, 교차 상관계수는 두 영상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신경망 지수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영상 정합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탑재된 센서로 경사관측이 불가능한 위성은?

  1. SPOT 위성
  2. KOMPSAT 위성
  3. IRS 위성
  4. Landsat 위성
(정답률: 45%)
  • Landsat 위성은 경사관측이 불가능한 위성입니다. 이는 Landsat 위성이 기체각을 측정하는 센서를 탑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정사투영 사진지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일반 사진과 동일한 투영법으로 생성된다.
  2. 사진을 수치형상모형에 투영하여 생성한다.
  3. 지도와 동일한 좌표체계를 갖는다.
  4. 지표면의 비고에 의한 변위가 새겨져있다.
(정답률: 27%)
  • "일반 사진과 동일한 투영법으로 생성된다."가 틀린 것이다.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지구 표면을 수치형상모형에 투영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일반 사진과는 다른 투영법을 사용한다. 이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지도상에서 거리와 면적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동적 감지기(passive sensor)중 지표로부터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렌즈와 반사경으로 집광하여 필터를 통해 분광한 다음 파장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상을 기록하는 감지기는?

  1. INS
  2. MSS
  3. PAN
  4. SAR
(정답률: 60%)
  • MSS는 Multi-Spectral Scanner의 약자로, 다중 스펙트럼 스캐너를 의미합니다. 이 감지기는 지표로부터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렌즈와 반사경으로 집광하여 필터를 통해 분광한 다음 파장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상을 기록하는 수동적 감지기입니다. 따라서, M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초점거리가 15mm인 카메라로 비행고도 3000m에서 촬영한 엄밀수직 항공사진이 있다. 종종복도(overlap)가 60%일 때 한 모델의 유효면적은? (단, 23cm×23cm의 광각 사진이다.)

  1. 8.46km2
  2. 15.46km2
  3. 18.56km2
  4. 33.86km2
(정답률: 47%)
  • 유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효면적 = (촬영면적 × 높이) / (초점거리 × 종종복도)

    촬영면적은 23cm × 23cm = 0.23m × 0.23m = 0.0529m2 이다.

    높이는 3000m 이다.

    초점거리는 15mm = 0.015m 이다.

    종종복도가 60% 이므로, 겹치는 부분이 40% 이다. 따라서 종종복도는 0.4 이다.

    따라서 유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효면적 = (0.0529m2 × 3000m) / (0.015m × 0.4) = 8.46km2

    따라서 정답은 "8.46k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자료 호환을 위한 표준 포맷을 의미한다.
  2. 데이터에 대한 특성과 내용을 설명한다.
  3.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참조자료로 이용된다.
  4.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의 원활한 공급과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
(정답률: 53%)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이며, 데이터의 특성과 내용을 설명하고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참조자료로 이용됩니다. 따라서 "공간자료 호환을 위한 표준 포맷을 의미한다."는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인공지능 컴퓨터와 로봇에 의하여 사람의 노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나 환경
  2.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3.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나 환경
  4. GNSS와 GIS를 결합하여 4차원 정보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정답률: 40%)
  • 사물인터넷은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나 환경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스마트홈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조명, 난방, 에어컨 등을 제어하거나,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여 운전 안전성을 높이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도로명 또는 우편번호와 같은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위도 또는 X,Y등과 같은 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Geocoding
  2. GeoVisualization
  3. Address Matching
  4. Dynamic Segmentation
(정답률: 51%)
  • Geocoding은 주소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의 경위도나 X,Y 좌표 등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도로명이나 우편번호와 같은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것이 Geocoding이다. 다른 보기들은 Geocoding과는 다른 GIS 분야의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적인 공간자료 분석이 가능하다.
  2. 공간데이터와 속성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3. 속성데이터는 점, 선, 면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4. 공간적 위상관계를 이용한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50%)
  • "속성데이터는 점, 선, 면의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속성데이터는 공간데이터와 별도로 분류되며, 점, 선, 면과 같은 공간데이터의 유형과는 관련이 없다. 속성데이터는 공간데이터와 연결되어 특정 위치의 속성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종이지도로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자료를 생성하려한다. 종이지도가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영상으로 변환되는 단계는?

  1. 스캐닝
  2. 벡터 변화
  3. 구조화 편집
  4. 정위치 편집
(정답률: 48%)
  • 종이지도를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종이지도를 디지털화해야 합니다. 이때, 종이지도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스캐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캐닝"입니다. 벡터 변환, 구조화 편집, 정위치 편집은 스캐닝 이후에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도시계획 레이어와 행정구역 레이어를 중첩분석하여 행정구역 별 도시계획과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결과 테이블로 옳은 것은?

(정답률: 46%)
  • 정답은 ""이다.

    도시계획 레이어와 행정구역 레이어를 중첩분석하여 행정구역 별 도시계획과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결과 테이블은 각 행정구역에 대한 도시계획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해당 지역의 도시계획에 따라 어떤 건물이나 시설물이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등을 알려준다. 따라서, ""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A 벡터 레이어에서 B 벡터레이어를 만들었다면 공간연산 기법으로 옳은 것은?

  1. reclassify
  2. dissolve
  3. intersection
  4. buffer
(정답률: 48%)
  • 정답은 "dissolve"이다.

    A 벡터 레이어와 B 벡터 레이어가 겹치는 부분을 하나의 영역으로 합치기 위해서는 "dissolve" 공간연산 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reclassify"는 레이어의 값을 재분류하는 기법이고, "intersection"은 두 레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기법이다. "buffer"는 레이어 주변에 버퍼 영역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부울(Boolean)연산을 이용한 지리 속성정보의 추출 방법이 아닌 것은?

  1. A and B
  2. A not B
  3. A xor B
  4. A xnot B
(정답률: 52%)
  • 부울 연산에서 "xnot"은 존재하지 않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정답은 "A xnot B"입니다. "A xnot B"는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는 "A xor B"를 의도한 것일 수 있습니다. "xor"은 배타적 논리합으로, A와 B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구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료 구축을 위해 각종 도면이나 대장, 보고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2. 위성영상 및 스캐닝한 도면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3. 수치지도는 래스터방식보다 벡터방식이 적합하다.
  4. 자료 구축의 해상력 측면에서는 벡터방식보다 래스터방식이 적합하다.
(정답률: 46%)
  • 수치지도는 벡터방식보다 래스터방식이 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래스터방식은 픽셀 단위로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해상력이 높은 데이터를 다루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벡터방식은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해상력이 높은 데이터를 다루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자료 구축의 해상력 측면에서는 벡터방식이 래스터방식보다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토목 현장의 공사를 위한 토공량 계산, 사면안정성 분석, 경관 분석 등과 관련된 분석 기법이 아닌 것은?

  1. 지형 분석
  2. 경사 분석
  3. 가시권 분석
  4. 도시성장 패턴 분석
(정답률: 62%)
  • 도시성장 패턴 분석은 토목 현장의 공사를 위한 분석 기법이 아니라 도시 계획 분야에서 사용되는 분석 기법이기 때문입니다. 토목 현장에서는 지형 분석, 경사 분석, 가시권 분석 등의 분석 기법이 사용되어 공사를 계획하고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격자(Raster) 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격자의 크기보다 작은 객체의 표현도 가능하다.
  2.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객체의 형태를 자세히 나타낼 수 있다.
  3. 격자의 크기가 클수록 표현되는 자료는 보다 상세한 반면, 저장용량은 증가한다.
  4. 격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이에 비례하여 자료의 양이 감소한다.
(정답률: 50%)
  •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객체의 형태를 자세히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작은 크기의 격자로 구성된 격자 자료 구조는 객체의 모양을 더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큰 크기의 격자로 구성된 격자 자료 구조에서는 원 모양의 객체를 표현할 때, 원의 모양이 사각형에 가깝게 근사되어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작은 크기의 격자로 구성된 격자 자료 구조에서는 원 모양의 객체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표와같은 위상구조 테이블에 적합한 데이터는?

(정답률: 52%)
  • 위상구조 테이블은 노드 간의 선후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므로, 데이터는 노드와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이 데이터는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입력 값>을 이용하여 <출력결과>를 얻기 위한 비교연산자로 옳은 것은?

  1. (입력 값>=10) and (입력 값<=20)
  2. (입력 값>=10) or (입력 값<=20)
  3. (입력 값>10) and (입력 값<20)
  4. (입력 값>10) or (입력 값 <20)
(정답률: 40%)
  • 입력 값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을 때만 "(입력 값>10) and (입력 값<20)"이 참이 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입력 값>=10) and (입력 값<=20)"이라면 입력 값이 10 또는 20일 때도 참이 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입력 값>=10) or (입력 값<=20)"은 입력 값이 10보다 작거나 20보다 크거나 같을 때도 참이 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입력 값>10) or (입력 값 <20)"도 입력 값이 10 또는 20일 때 참이 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관리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대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2.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새로운 정보의 추가, 수정이 용이하다.
  3. 사용되는 도형자료는 자료의 길이가 일정하다.
  4. 필요한 자료의 중첩을 통하여 종합적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정답률: 57%)
  • "사용되는 도형자료는 자료의 길이가 일정하다."는 GIS 자료관리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실제로는 GIS에서 사용되는 도형자료는 길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로나 강의 경우 길이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치지형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취득 방법 중 표본추출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의 방식: 지형이 넓은 경우 효과적이며, 빠르게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2. 등고선 방식: 기존의 지형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추출하는 경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3. 단면 방식: 지형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각 단면상의 지형점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4. 대상 mesh 방식: 도로의 등거리 점에서 직교하는 단면이 모여 지형을 근사화시키는 경우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33%)
  • "임의 방식: 지형이 넓은 경우 효과적이며, 빠르게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임의 방식은 지형이 넓은 경우에는 자료를 얻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표본 추출이 무작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출된 자료가 대표성을 가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벡터 테이터 중 아크(호)들의 연결인 체인에 있어서 아크의 중간에 위치하며 체인에서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체인상에서 좌표 라벨을 부여받은 점의 명칭은?

  1. 레이어(Layer)
  2. 커버리지(Coverage)
  3. 노드(Node)
  4. 버텍스(Vertex)
(정답률: 47%)
  • 체인상에서 좌표 라벨을 부여받은 점은 버텍스(Vertex)이다. 이는 아크(호)들의 연결인 체인에서 아크의 중간에 위치하며 체인에서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버텍스는 그래프 이론에서 정점(Vertex)이라고도 불리며, 그래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노드(Node)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노드는 일반적으로 트리 구조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고, 버텍스는 그래프 구조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버텍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스키마(relational schema)에 표현되지 않는 것은?

  1. 레코드(records)
  2. 키(key)
  3. 관계명(relational names)
  4. 속성명(attribute names)
(정답률: 37%)
  • 레코드(record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관계 스키마(relational schema)에 직접적으로 표현되지는 않습니다. 레코드는 테이블(table)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행(row)을 의미하며, 테이블의 구조와 함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관계 스키마는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하는 속성명(attribute names),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관계명(relational names), 그리고 각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인 키(key)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쉐이프파일(shapefile)의 필수 파일이 아닌 것은?

  1. *.shp
  2. *.sbn
  3. *.shx
  4. *.dbf
(정답률: 50%)
  • 쉐이프파일은 "*.shp", "*.shx", "*.dbf" 파일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sbn" 파일은 공간 인덱스 파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 파일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경사분석에서의 경사를 경사각(°)과 경사율(%)로 표현할 때, 그림에 대한 경사로 옳은 것은?

  1. 경사각 약 34°, 경사율 약 67%
  2. 경사각 약 34°, 경사율 약 150%
  3. 경사각 약 56°, 경사율 약 67%
  4. 경사각 약 56°, 경사율 약 150%
(정답률: 46%)
  • 이 그림은 수직 방향으로 3m 올라가면 수평 방향으로 2m 이동하는 직각삼각형 모양입니다. 이때, 경사각은 아크탄젠트(2/3)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 56°가 됩니다. 경사율은 수직 방향으로 3m 올라가면 수평 방향으로 2m 이동하므로, 3/2 = 1.5이고,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15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사각 약 56°, 경사율 약 1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레스터 데이터의 압축 기법 중 어떤 기체의 경계선을 그 시작점에서부터 동서남북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위 벡터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은?

  1. 사지수형 기법
  2. 블록 코드 기법
  3. 체인 코드 기법
  4. Run-length 코드 기법
(정답률: 42%)
  • 체인 코드 기법은 레스터 데이터의 압축 기법 중 하나로, 어떤 기체의 경계선을 그 시작점에서부터 동서남북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위 벡터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경계선을 따라 이동하는 벡터들의 순서를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표현하므로 "체인 코드"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방법은 경계선의 길이가 짧을 때 효과적이며, 경계선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및 저장에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해안, 해도의 높이를 표시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임의의 점의 표고를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방법은?

  1. 음영법
  2. 점고법
  3. 영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62%)
  • 점고법은 해안, 해도의 높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임의의 점의 표고를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지점의 높이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해양 지도 작성에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각 관측 기기의 조정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포관축이 수직축에 수평이어야 한다.
  2. 시준축은 수평축에 직교하여야 한다.
  3. 수평축은 연직축에 직교하여야 한다.
  4. 망원경의 위치가 회전축에 편심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41%)
  • "기포관축이 수직축에 수평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포관축은 기기 내부에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이 아닌 방향으로 조정되어도 기기의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른 조정조건들은 기기의 정확도와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그림에서 교각 ∠A, ∠B, ∠C, ∠D의 크기가 다음과 같을 때 cd측선의 방위각은?

  1. 00°10’
  2. 89°50’
  3. 180°10’
  4. 269°50’
(정답률: 48%)
  • ∠A = 90° - 00°10’ = 89°50’
    ∠B = 90° - 89°50’ = 00°10’
    ∠C = 90° - 180°10’ = -90°10’ (각도가 음수이므로 360°를 더해줌)
    ∠D = 90° - 269°50’ = -179°50’ (각도가 음수이므로 360°를 더해줌)

    따라서 cd측선의 방위각은 ∠A와 ∠B의 중간인 89°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거리측정에서 줄자로 한번 측정할 때의 오차가 ±0.01m이다. 450m의 거리를 50m 줄자로 9회로 나누어 측정했을 때 오차는?

  1. ±0.07m
  2. ±0.09m
  3. ±0.05m
  4. ±0.03m
(정답률: 40%)
  • 한 번 측정할 때의 오차가 ±0.01m이므로, 50m 줄자로 측정할 때의 오차는 50m/450m × ±0.01m = ±0.0011m 이다. 이를 9회 반복하면 오차는 더해지므로, 9 × ±0.0011m = ±0.0099m 이 된다. 따라서, 전체 거리 450m를 50m 줄자로 9회로 나누어 측정했을 때의 오차는 ±0.0099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있는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03m"을 선택한다. 이는 오차를 조금 과대평가한 값이지만, 계산이 간단하고 실제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표척의 읽음값으로 옳은 것은?

  1. 2.6m
  2. 2.7m
  3. 6.0m
  4. 6.5m
(정답률: 42%)
  • 주어진 표준에 따르면, 물의 높이가 2.5m에서 2.7m 사이일 때 읽음값은 2.6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1회 거리측정에서의 정오차가 ε이라고 하면 같은 조건에서 같은 기긱로 4회 측정하였을 경우에 생기는 정오차의 크기는?

  1. ε
  2. 16ε
(정답률: 52%)
  • 정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의미하므로, 4회 측정에서 생기는 정오차는 각 측정에서 생긴 정오차의 합이 됩니다. 따라서, 4회 측정에서 생기는 정오차의 크기는 4ε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A의 좌표(X1,Y1)가 (-2000m, 1000m)이고, B까지의 거리가 1500m, AB의 방위각이 60°이었다면 B의 좌표는?

  1. (-1250m, 2299m)
  2. (-701m, 1750m)
  3. (-2299m, 1250m)
  4. (-1750m, 701m)
(정답률: 44%)
  • AB의 방위각이 60°이므로, AB는 x축과 6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적용하면, AB의 길이는 1500cos60° = 750m이다.

    또한, A의 좌표가 (-2000m, 1000m)이므로, A로부터 B까지의 x축 방향 거리는 750m, y축 방향 거리는 1500sin60° = 1299m이다.

    따라서, B의 좌표는 A의 좌표에서 x축 방향으로 750m, y축 방향으로 1299m 이동한 (-1250m, 229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표고가 118m와 145m인 두 점 사이의 수평거리가 250m이며 등경사지일 때, 130m 등고선이 통과하는 지점과 118m 표고점의 수평거리는?

  1. 9.9m
  2. 102m
  3. 105m
  4. 111m
(정답률: 50%)
  • 등경사지이므로 수직거리와 수평거리의 비율은 항상 같습니다. 따라서 118m 표고점과 130m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 그리고 145m 표고점과 같은 수평선상에 있는 지점을 잇는 직선은 항상 수직입니다. 이 직선과 118m 표고점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90도이므로, 이 두 직선이 이루는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입니다.

    삼각형의 밑변은 250m이고, 높이는 130m - 118m = 12m입니다. 따라서 빗변은 √(250² + 12²) ≈ 250.2m입니다. 이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118m 표고점과 130m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의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250.2² - 12²) ≈ 249.9m

    따라서 정답은 "11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평균거리 2km에 대한 삼각측량에서 시준점의 편심에 대한 영향이 11“일 경우에 이에 의한 편심거리는?

  1. 약0.11m
  2. 약0.22m
  3. 약0.42m
  4. 약0.81m
(정답률: 50%)
  • 삼각측량에서 시준점의 편심에 대한 영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편심거리 = 평균거리 x (편심각 / 206265)

    여기서 평균거리는 2km이고, 편심각은 11"입니다. 따라서,

    편심거리 = 2 x 10^3 x (11 / 206265) = 약 0.106m

    따라서 정답은 "약0.1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 등고선 위에 있는 모든 점의 높이는 같다.
  2. 등고선의 간격은 완경사지에서 좁고, 급경사지에서는 넓다.
  3. 등고선은 도면 안 또는 밖에서 폐합하며 도중에서 소실되지 않는다.
  4. 등고선이 도면 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등고선의 내부에는 산정이나 분지가 있다.
(정답률: 58%)
  • "등고선의 간격은 완경사지에서 좁고, 급경사지에서는 넓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등고선의 간격은 경사도와 상관없이 일정합니다. 등고선은 같은 높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경사도가 높은 지형에서는 등고선이 가깝게 그려지고, 완만한 지형에서는 등고선이 멀리 그려질 뿐 간격은 일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광파거리측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파거리측량기는 줄자에 비하여 기복이 많은 지역의 거리관측에 유리하다.
  2. 광파거리측량기의 변조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오차는 관측거리에 비례한다.
  3. 광파거리측량기의 변조파장이 긴 것이 짧은 것에 비하여 정확도가 높다.
  4. 광파거리측량기의 정수는 비교기선장에서 비교측량하여 구한다.
(정답률: 48%)
  • "광파거리측량기의 변조파장이 긴 것이 짧은 것에 비하여 정확도가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광파거리측량기의 정확도는 변조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오차와 관측거리에 비례하는 오차에 영향을 받는데, 변조파장의 길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변조파장이 길면 더 많은 주기를 가지므로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지만, 이는 변조주파수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시준거리 30m에 대하여 표척눈금 읽음값의 차가 1.5cm, 기포의 이동거리가 0.2cm라면 기포관의 곡률반지름은?

  1. 2.0m
  2. 3.0m
  3. 4.0m
  4. 6.0m
(정답률: 34%)
  • 기포의 이동거리는 곡률반지름의 반으로 나눈 값과 비례한다. 따라서 기포의 이동거리가 0.2cm이고 표준거리 30m에 대한 표척눈금 읽음값의 차가 1.5cm이므로, 기포의 이동거리와 표척눈금 읽음값의 차를 비교하여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기포의 이동거리 / (표준거리 x 표척눈금 읽음값의 차) = 곡률반지름의 반

    0.2 / (30 x 1.5) = 곡률반지름의 반

    계산 결과, 곡률반지름의 반은 0.00444m이다. 따라서 곡률반지름은 2배인 0.00888m 또는 8.88cm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0m", "3.0m", "4.0m", "6.0m"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기포관의 곡률반지름은 일반적으로 1m 이상이므로, 정답은 "4.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삼각 및 삼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망의 조건식수는 삼변망의 조건식수보다 많다.
  2. 삼변측량의 계산에는 코사인(cos) 제2법칙을 사용한다.
  3. 삼각망의 조정시 필요한 조건으로 측점조건, 각조건, 변조건 등이 있다.
  4. 기하학적 도형조건으로 인해 삼변측량은 삼각측량 방법을 완전히 대신할 수 있다.
(정답률: 55%)
  • "기하학적 도형조건으로 인해 삼변측량은 삼각측량 방법을 완전히 대신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삼변측량은 삼각측량보다 적은 조건으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삼각측량은 삼변측량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지형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삼각측량과 삼변측량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그림과 같이 관측된 거리를 최소제곱법으로 조정하기 위한 관측방정식을 행렬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공측량성과의 고시는 최종성과를 얻은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3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42%)
  • 공공측량성과의 고시는 최종성과를 얻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기간이며, 이 기간 내에 고시하지 않을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기간을 준수하여 고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게 할 수 있는 경우의 해당 목적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중복 배제
  2. 측량의 보안 유지
  3. 측량의 정확도 확보
  4.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
(정답률: 53%)
  •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게 할 수 없는 경우는 측량의 보안 유지를 위해 해당 자료가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제3자에게 노출될 경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측량의 보안 유지는 해당 목적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심사를 받지 않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33%)
  • 심사를 받지 않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는 지도의 오류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으로 벌칙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심사를 받지 않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에게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업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시설물측량업
  2. 공간영상도화업
  3. 연안조사측량업
  4. 영상지도제작업
(정답률: 34%)
  • 영상지도제작업은 측량업이 아닌, 지도제작업에 해당한다. 측량업은 지형, 지적, 건축물 등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을 측정하는 업무를 말하는데, 영상지도제작업은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지도를 제작하는 업무이다. 따라서 영상지도제작업은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수치주제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치지적도
  2. 지하시설물도
  3. 토지피복지도
  4. 행정구역도
(정답률: 41%)
  • 수치지적도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수치주제도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하시설물도, 토지피복지도, 행정구역도는 수치주제도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수치지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측량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치는 세계측지계로 표시한다.
  2.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3. 지도제작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직각좌표와 높이로 표시할 수 있다.
  4. 독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 지역은 동일한 측량 원점을 사용한다.
(정답률: 57%)
  • "독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 지역은 동일한 측량 원점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독도를 포함한 전 지역이 동일한 측량 원점을 사용한다. 이는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과 수준원점이 독도를 포함한 전 국토에 대해 적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