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법

1. 표면처리 방법 중 부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관을 주기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방법은?

  1. 산화피막
  2. 도장
  3. 피복
  4. 코팅
(정답률: 81%)
  • 도장은 부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관을 주기 위해 표면에 색을 입히는 방법입니다. 색을 입히는 과정에서 동시에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탐촉자의 표시방법에서 수정 진동자의 재료의 기호는?

  1. C
  2. M
  3. Q
  4. Z
(정답률: 80%)
  •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탐촉자의 표시방법에서 "Q"는 수정(quartz)으로 만들어진 진동자를 나타냅니다. 이는 수정이 안정적인 기계적 특성과 높은 물성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분탐상시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분탐상시험은 강자성체에 적용된다.
  2. 비철재료의 내부 및 표면 직하 균열에 검출 감도가 높다.
  3. 제한적이지만 표면이 열리지 않은 불연속도 검출할 수 있다.
  4. 시험체가 매우 큰 경우 여러 번으로 나누어 검사할 수 있다.
(정답률: 84%)
  • 정답: "비철재료의 내부 및 표면 직하 균열에 검출 감도가 높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자분탐상시험은 자석을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강자성체에 적용되며, 비철재료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특히, 비철재료의 내부 및 표면 직하 균열에 검출 감도가 높다는 것은 자석이 균열 주변의 자기장을 변화시켜서 결함을 검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철재료의 내부 및 표면 직하 균열에 검출 감도가 높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그리고, 제한적이지만 표면이 열리지 않은 불연속도 검출할 수 있고, 시험체가 매우 큰 경우 여러 번으로 나누어 검사할 수 있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포누설시험 중 가압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 유지 시간은 최소한 15분간을 유지한다.
  2. 눈과 시험체 표면과의 거리는 300mm 이내가 되어야 한다.
  3. 관찰 각도는 제품 평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30° 이내를 유지하여 관찰한다.
  4. 관찰 속도는 75cm/min을 초과하지 않는다.
(정답률: 72%)
  • 눈과 시험체 표면과의 거리가 300mm 이내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기포누설시험에서 사용하는 검사액이 UV 빛을 이용하여 기포를 검출하기 때문입니다. 검사액이 빛을 투과하지 못하면 기포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눈과 시험체 표면과의 거리를 300mm 이내로 유지하여 검사액이 표면에 밀착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파괴검사법 중 분해능과 관련이 있는 검사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초음파탐상검사(UT), 방사선투과검사(RT)
  2. 초음파탐상검사(UT), 자기탐상검사(MT)
  3. 초음파탐상검사(UT), 침투탐상검사(PT)
  4. 초음파탐상검사(UT), 와전류탐상검사(ECT)
(정답률: 54%)
  • 분해능은 검사 대상 내부의 작은 결함이나 불순물을 검출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분해능과 관련이 있는 검사법은 초음파탐상검사(UT)와 와전류탐상검사(ECT)입니다. 초음파탐상검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데, 이 때 초음파의 파장과 주파수를 조절하여 미세한 결함까지 탐지할 수 있습니다. 와전류탐상검사는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데, 이 때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를 조절하여 미세한 결함까지 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검사법은 분해능이 높은 비파괴검사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세성 형광 침투탐사검사가 후유화성 형광 침투탐상검사보다 좋은 점은?

  1. 과세척의 위험성이 적다.
  2. 형상이 복잡한 시험체도 탐상이 가능하다.
  3. 얕은 결함이나 폭이 넓은 결함을 검출한다.
  4. 수분의 혼입으로 인한 침투액의 성능 저하가 적다.
(정답률: 51%)
  • 수세성 형광 침투탐사검사는 침투액이 물방울 형태로 형성되어 시험체의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침투되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한 시험체도 탐상이 가능합니다. 이는 후유화성 형광 침투탐상검사에서는 어려울 수 있는 부분들도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방사선투과검사 필름 현상 및 건조 후 확인결과 기준보다 높은 필름 농도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준의 2배 노출 시간
  2. 30℃ 현상액의 온도
  3. 기준의 2배 현상시간
  4. 기준의 2배 정착시간
(정답률: 59%)
  • 방사선투과검사 필름 현상 및 건조 후 필름 농도가 기준보다 높은 경우, 이는 현상액이나 현상시간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기준의 2배 정착시간"입니다. 이는 필름을 현상액에서 건조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필름이 현상액에서 오래 노출되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기준의 2배 정착시간을 초과하면 필름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요인을 제어하여 필름 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알루미늄 용접부의 표면에 크레이터 균열의 발생유무를 알아보고자 할 때 적합한 검사 방법은?

  1. 누설가속검사
  2. 헬륨누설검사
  3. 침투탐상검사
  4. 자분탐상검사
(정답률: 79%)
  • 알루미늄 용접부의 표면에 크레이터 균열이 발생했을 경우, 침투탐상검사가 적합한 검사 방법이다. 이는 용접부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염료를 침투시켜 균열 부위에 침투된 염료를 제거한 후, 개방된 균열 부위에서 염료가 흡입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균열을 발견하는 검사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균열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용접부의 결함 검사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규정된 누설검출기에 의해서 감지할 수 있는 누설부위를 통과하는 가스는?

  1. 추적가스
  2. 불활성가스
  3. 지연성가스
  4. 가연성가스
(정답률: 71%)
  • 규정된 누설검출기는 가스 누설을 감지하기 위해 추적가스를 사용합니다. 추적가스는 가스 누설이 발생한 부위에서 배출되어 누설부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누설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적가스는 누설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누설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전자파가 아닌 것은?

  1. 가시선
  2. 자외선
  3. 감마선
  4. 전자선
(정답률: 63%)
  • 전자선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전자파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파가 아닌 것은 없으며, 모든 보기가 전자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적외선 열화상 검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시험체의 열에너지를 측정한다.
  2. 적외선 환경에서는 -100℃를 초과한 온도의 모든 사물이 열을 방출한다,
  3. 적외선 에너지는 원자의 진동과 회전으로 발생한다.
  4. 적외선 에너지는 파장이 너무 길어 육안으로 탐지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65%)
  • "적외선 환경에서는 -100℃를 초과한 온도의 모든 사물이 열을 방출한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모든 사물이 열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만 열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즉, 모든 사물이 열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만 열을 방출하며, 이를 적외선 열화상 검사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른 비파괴 검사와 비교했을 때 와전류탐상검사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고속으로 자동화된 전수 검사에 적합하다.
  2. 고온 하에서 가는 선의 검사가 불가능하다.
  3. 비접촉법으로 검사 속도가 빠르고 자동화에 적합하다.
  4. 결함크기 변화, 재질변화 등의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74%)
  • 고온 하에서 가는 선의 검사가 불가능한 것은 와전류탐상검사가 전기적인 접촉을 통해 결함을 탐지하기 때문입니다. 고온 하에서는 전기적인 접촉이 어렵기 때문에 검사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와전류탐상시험으로 시험체를 탐상한 경우 검사 결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는?

  1. 치수 검사
  2. 피막두께 측정
  3. 표면직하의 결함 위치
  4. 내부결함의 깊이와 형태
(정답률: 78%)
  • 와전류탐상시험은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기 위해 전기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내부결함의 깊이와 형태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사 결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결함의 깊이와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분탐상 시 지시모양의 기록방법 중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는 방법은?

  1. 전사에 의한 방법
  2. 스케치에 의한 방법
  3. 사진 촬영에 의한 방법
  4. 래커(Lacquer)를 이용하여 고착시키는 방법
(정답률: 87%)
  • 스케치에 의한 방법은 정확한 측정이나 기록이 어렵기 때문에 다소 불확실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스케치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의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갈 수 있고, 그림을 그리는 능력이 부족하거나 실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과 같은 정밀한 작업에서는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초음파는 음향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제1매질에서 제2매질로 진행할 때 경계면에서 파형변환과 굴절이 발생한다. 이 때 제1임계각 이하의 각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굴절된 종파가 정확히 90°가 되었을 때
  2. 굴절된 횡파가 정확히 90°가 되었을 때
  3. 제2매질 내에 종파와 횡파가 같이 존재하게 된 때
  4. 제2매질 내에 종파와 횡파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정답률: 46%)
  • 초음파는 고주파 파동이기 때문에 파장이 짧고 진행하는 매질에서의 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제1매질에서 제2매질로 진행할 때 경계면에서 파형변환과 굴절이 발생합니다. 이 때 제1임계각 이하의 각도는 굴절된 파가 제2매질에서 진행할 때 제2매질 내에 종파와 횡파가 같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는 제1매질에서 진행하는 파가 제2매질로 진행할 때 파동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도 파동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1임계각 이하의 각도에서는 종파와 횡파가 같이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2매질 내에 종파와 횡파가 같이 존재하게 된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초음파탐상시험에 대해 기술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부식량 계측에는 반사형 두께계는 적합하지 않다.
  2. 평면 결함의 면에 수직하게 초음파가 입사한 경우는 검출이 곤란하다.
  3. 두꺼운 강판의 탐상에는 수직 탐상보다 경사각 탐상이 더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다.
  4. 다른 결함에 비해 기공과 같은 미세한 구형의 결함은 초음파탐상검사로 검출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정답률: 55%)
  • 초음파탐상시험은 소리의 파동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기공과 같은 미세한 구형의 결함은 파동이 통과하기 쉬우므로 검출하기가 어렵다. 이는 결함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검출능력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음파탐상시험을 수행할 때는 결함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검사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펄스반사식 탐상장비에서 일정높이 이하의 에코 또는 전기 잡음 신호등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스위치는?

  1. 리젝션
  2. 감쇠기
  3. 펄스위치조정
  4. 소인지연
(정답률: 64%)
  • 정답은 "리젝션"입니다. 리젝션은 특정 주파수 범위의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일정 높이 이하의 에코 또는 전기 잡음 신호를 차단하여 탐지 신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리젝션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감쇠기는 신호의 강도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펄스위치조정은 펄스 신호의 파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인지연은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직접접촉법을 비교하여 수침법의 의한 탐상의 장점은?

  1.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2. 저주파수가 사용되어 탐상에 유리하다.
  3. 초음파의 산란현상이 커서 탐상이 좋다.
  4. 표면상태의 영향을 덜 받아 안정된 탐상이 가능하다.
(정답률: 74%)
  • 수침법은 초음파를 직접적으로 산란시키기 때문에 표면상태의 영향을 덜 받아 안정된 탐상이 가능합니다. 즉, 표면의 거칠거나 부드러운 상태에 따라 초음파의 반사가 달라지는 접촉법과는 달리, 수침법은 직접적으로 초음파를 전달하기 때문에 표면상태의 영향을 덜 받아 정확한 탐상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진동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서 초음파의 강도가 최대, 최소 가되는 매우 불규칙한 영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근거리음장
  2. 원거리음장
  3. 빔의분산
  4. 빔의감쇠
(정답률: 65%)
  • 근거리음장은 진동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서 초음파의 강도가 최대, 최소가 되는 불규칙한 영역을 말합니다. 이는 초음파가 진동자의 표면에 도달하면서 반사되고 굴절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진동자와 초음파의 파장과 진행 방향, 그리고 주변 매질의 속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근거리음장은 초음파 검사에서 중요한 현상 중 하나이며, 이를 고려하여 검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록성이 좋고 결함의 평면도를 볼 수 있는 주사 방법은?

  1. A스캔
  2. B스캔
  3. C스캔
  4. F스캔
(정답률: 63%)
  • C스캔은 디스크 헤드가 디스크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이동하면서 요청된 블록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디스크의 모든 블록을 스캔하므로 결함의 평면도를 볼 수 있습니다. A스캔과 B스캔은 디스크의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므로 결함의 평면도를 볼 수 없습니다. F스캔은 새로운 방법이 아니며, C스캔과 유사하지만 디스크의 끝에서 시작하지 않으므로 결함의 평면도를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C스캔이 기록성이 좋고 결함의 평면도를 볼 수 있는 주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

21. 다음 중 티탄산바륨계 자기진동자의 가장 큰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송신효율이 높다.
  2. 사용 수명이 길다.
  3. 음향임피던스가 낮다.
  4. 전기적 임피던스가 높다.
(정답률: 70%)
  • 티탄산바륨계 자기진동자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부품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송출합니다. 이 때, 티탄산바륨계 자기진동자는 전기적 임피던스가 높아서 송출 신호의 손실이 적고, 음향임피던스가 낮아서 출력 신호의 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송신효율이 높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서로 다른 두 매질이 접촉하고 있는 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계면
  2. 굴절면
  3. 반사면
  4. 입사면
(정답률: 70%)
  • 서로 다른 두 매질이 만나는 경계면을 계면이라고 합니다. 이는 두 매질의 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계면으로, 이곳에서 광선이 굴절, 반사, 투과 등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굴절면", "반사면", "입사면"은 모두 계면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계면 자체를 나타내는 용어는 "계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표면에서 1파장 정도의 매우 얇은 층에 에너지의 대부분이 집중해 있어서 시험체의 표면 결함검출에 이용되는 파는?

  1. 종파
  2. 횡파
  3. 판파
  4. 표면파
(정답률: 74%)
  • 표면파는 매우 얇은 층에서 발생하며, 이 층에서 에너지의 대부분이 집중되기 때문에 시험체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질의 음향 임피던스(Z)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Z = 밀도 x 음속
  2. Z = 비중 x 부피
  3. Z = 질량 ÷ 밀도
  4. Z = 무게 ÷ 음속
(정답률: 84%)
  • 음향 임피던스는 음파가 특정한 매질에서 진행될 때 그 매질의 저항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때, 음파의 속도는 해당 매질에서의 음속이며, 매질의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음향 임피던스는 밀도와 음속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Z = 밀도 x 음속"이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은 경계면에서 초음파의 입사파, 반사파 및 굴절파 관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림에서 반사파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84%)
  • 정답인 반사파는 경계면에서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파이다.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파가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파이므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접부 초음파 탐상 시험의 경우 탐촉자의 주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탐촉자의 주사방법은 결함의 크기 측정에만 적용된다.
  2. 주사방법이 적절하면 결함치수 및 결함의 종류, 모양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3. 결함을 찾기 위해 탐촉자의 위치를 움직여 가며 초음파의 입사위치를 변화시킬수 있는 것을 주사라 한다.
  4. 경사각 탐상에서는 탐촉자를 이동시켜 주사하여 최대의 결함에코가 얻어졌을 때 탐촉자의 바로아래에 결함이 있는 것이다.
(정답률: 71%)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옳은 것은 "결함을 찾기 위해 탐촉자의 위치를 움직여 가며 초음파의 입사위치를 변화시킬수 있는 것을 주사라 한다."입니다. 이유는 탐촉자의 주사는 초음파를 결함 부위로 보내기 위해 탐촉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결함을 찾기 위해서는 탐촉자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음파의 입사위치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초음파 탐상 시험과 관련이 없거나 부분적으로 옳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초음파탐상 공진법으로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서 CRT상의 표시방법은?

  1. 시간과 거리의 함수에 대한 불연속 반사와 같은 지시로 표시된다.
  2. 고정주파수에서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3. 연속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4. 간헐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변조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정답률: 69%)
  • 초음파탐상 공진법으로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서 CRT상의 표시방법은 연속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이는 초음파가 물체 내부에서 전파될 때, 물체 내부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 공진이 일어나는 주파수에서 반사파가 최대로 증폭되어 감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주파수에서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초음파 탐상시험용 표준시험편 (KS B 0831)에 의거 G형 STB 의 합격여부 판정시 시험편 내의 인공홈 이외의 에코는 인공홈 에코 근처보다 몇 dB 이상 낮아야 하는가?

  1. 5dB
  2. 10dB
  3. 15dB
  4. 20dB
(정답률: 55%)
  • 인공홈은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과 강도를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공홈 근처에서는 에코가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에 반해 인공홈 이외의 지점에서는 초음파가 반사되는 표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에코의 강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SNR (Signal to Noise Ratio) 입니다. KS B 0831에서는 G형 STB의 합격기준으로 SNR이 10dB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인공홈 이외의 에코는 인공홈 근처보다 10dB 이상 낮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초음파탐상 시험용 표준시험편 (KS B 0831)에 의거 수직 및 경사각 탐상 방법에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표준 시험편은?

  1. STB - A1
  2. STB - A2
  3. STB - A3
  4. STB - N1
(정답률: 68%)
  • STB - A1은 수직 및 경사각 탐상 방법에 모두 사용 가능한 표준 시험편으로, KS B 0831에서 명시되어 있는 모든 조건에 부합하기 때문입니다. STB - A2와 STB - A3는 경사각 탐상 방법에만 사용 가능하며, STB - N1은 수직 탐상 방법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금속재료의 펄스반사법에 따른 초음파 탐상시험 방법 통칙(KS B 0817)에 따른 초음파탐상장치의 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일상점검
  2. 정기점검
  3. 주기점검
  4. 특별점검
(정답률: 58%)
  • 주기점검은 일정한 주기로 예정된 점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KS B 0817에 따른 초음파탐상장치의 점검 종류 중 하나입니다. 일상점검은 일상적으로 수행되는 간단한 점검, 정기점검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는 점검, 특별점검은 특별한 상황에서 수행되는 점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기점검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용접부의 초음파 탐삼 시험방법(KS B 0896)에 따른 음향 이방성의 측정에 사용되는 시험편은?

  1. STB-A1 시험편
  2. STB-A2 시험편
  3. RB-A8 시험편
  4. 시험체와 동일한 강판의 평판 모양 시험편
(정답률: 62%)
  • 강용접부의 초음파 탐삼 시험은 용접부의 결함을 탐지하기 위한 시험으로, 음파가 시험체 내부를 통과할 때 음파의 속도와 방향이 변화되는 음향 이방성을 측정하여 결함을 탐지합니다. 이 때, 시험편은 실제 용접부와 동일한 강판의 평판 모양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는 시험편의 형상과 재질이 실제 용접부와 유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체와 동일한 강판의 평판 모양 시험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따라 경사각 탐상으로 탐촉자를 점촉시키는 부분의 판 두께가 75mm 이상, 주파수는 2MHz, 진동자 치수 20×20mm의 탐촉자를 사용하는 경우, 흠의 지시 길이 측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에코높이의 1/2을 넘는 탐촉자의 이동거리
  2. 최대 에코높이의 1/3을 넘는 탐촉자의 이동거리
  3. 최대 에코높이의 1/4을 넘는 탐촉자의 이동거리
  4. 최대 에코높이의 1/8을 넘는 탐촉자의 이동거리
(정답률: 60%)
  • 정답은 "최대 에코높이의 1/2을 넘는 탐촉자의 이동거리"입니다.

    초음파탐상 시험에서는 탐촉자를 이용해 흠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합니다. 이때 탐촉자가 흠의 표면에 접촉하면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반사된 초음파의 에코높이를 측정합니다. 에코높이는 흠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최대 에코높이는 흠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최대 에코높이의 1/2을 넘는 탐촉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면, 흠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동거리가 최대 에코높이의 1/2보다 작다면, 흠의 크기를 과대평가하게 되어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금속재료의 펄스반사법에 따른 초음파탐상 시험방법 통칙(KS B 0817)에서 초음파 탐상기의 조정은 실제로 사용하는 탐상기와 탐촉자를 조합해서 전원 스위치를 켜고 나서 몇 분 이상 경과한 후 실시하는가?

  1. 1
  2. 5
  3. 30
  4. 60
(정답률: 80%)
  • 정답은 "5"입니다. 이는 KS B 0817에서 초음파 탐상기의 조정을 실제 사용하는 탐상기와 탐촉자를 조합하여 전원 스위치를 켠 후 5분 이상 경과한 후에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초음파 탐상기와 탐촉자가 온전히 가열되어 안정화된 후에 조정을 실시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의거 공칭굴절각 70°인 탐촉자를 사용하고 판두께가 40mm이하 일 때 탐사면과 방향은?

  1. 한면 양쪽
  2. 한면 한쪽
  3. 양면 양쪽
  4. 양면 한쪽
(정답률: 55%)
  •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는 공칭굴절각 70°인 탐촉자를 사용하고, 판두께가 40mm 이하일 때 탐사면과 방향은 "한면 양쪽"입니다. 이는 탐촉자의 광둥각이 넓어서 탐사면의 양쪽을 동시에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탐사면의 양쪽을 동시에 탐지하여 높은 정확도로 강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 (KS B 0896)에서 탠덤 탐상법으로 시험 후 반드시 기록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탐상 지그의 시방
  2. 탐상 불능 영역
  3. 탠덤 기준선의 위치
  4. DAC의 경사값
(정답률: 58%)
  • 탠덤 탐상법으로 시험 후 반드시 기록할 사항은 탐상 지그의 시방, 탐상 불능 영역, 탠덤 기준선의 위치입니다. DAC의 경사값은 시험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이지만, 직접적으로 시험 후 기록해야 할 사항은 아닙니다. DAC의 경사값은 시험 결과를 해석하여 결함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초음파탐상장치의 성능측정 방법(KS B 0534)에서 STB-G V15-5.6을 반사원으로 사용하여 검정할 수 있는 탐상 장치의 성능 항목은?

  1. 시간축 직선성
  2. 수직 탐상의 추입 범위
  3. 수직 탐상의 감도 여유값
  4. 수직 탐상의 원거리 분해능
(정답률: 36%)
  • STB-G V15-5.6은 초음파탐상장치에서 반사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검정용품이며, 이를 이용하여 성능측정을 할 때 수직 탐상의 감도 여유값을 측정하는 이유는 수직 탐상에서의 감도 여유값은 검출 가능한 최소 신호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값이 높을수록 미세한 결함이나 손상도 검출할 수 있어 높은 성능을 가진 초음파탐상장치임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의거 에코높이 구분식의 작성에 사용되는 표준 시험편은?

  1. STB-A1, RB4
  2. STB-A2, RB4
  3. STB-A1, STB-N1
  4. STB-A2, STB-N1
(정답률: 36%)
  •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는 에코높이 구분식의 작성을 위해 표준 시험편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STB-A2, RB4를 사용하는 이유는 STB-A2는 두께가 25mm 이상인 강판용으로, 대부분의 강용접부에서 사용되는 두께 범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RB4는 반경이 4mm인 원형 표준시험편으로, 강용접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결함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TB-A2, RB4를 사용하여 에코높이 구분식을 작성하면 대부분의 강용접부에서 적용 가능한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의한 시험결과의 분류 시 판두께가 18㎜, M 검출레벨로 영역 Ⅲ 인 경우 흠 지시 길이가 8㎜ 이었다면 어떻게 분류되는가?

  1. 1류
  2. 2류
  3. 3류
  4. 4류
(정답률: 53%)
  •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는 흠 지시 길이와 판두께, 검출레벨에 따라 분류를 결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판두께가 18㎜, M 검출레벨로 영역 Ⅲ 인 경우이며, 흠 지시 길이가 8㎜ 이므로 2류로 분류된다. 이는 KS B 0896에서 정한 분류 기준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2류는 흠의 크기가 중간 수준인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음파탐상 시험용 표준시험편 (KS B 0831)에 따른 G형 STB 중 V15-1.4의 의미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탐상면 중앙에 1.4㎜의 지름이 저면 150㎜ 까지 구멍이 있다는 것이다.
  2. 탐상면에서 150㎝ 의 위치에 지름이 1.4㎜ 되는 구멍이 뚫려 있다는 것이다.
  3. 탐상면에서 150㎝ 의 위치에 지름이 1.4㎜ 되는 구멍이 저면까지 뚫려 있다는 것이다.
  4. 탐상면에서 150㎜ 의 위치에 지름이 1.4㎜ 되는 구멍이 저면까지 뚫려 있다는 것이다.
(정답률: 54%)
  • 정답은 "탐상면에서 150㎜ 의 위치에 지름이 1.4㎜ 되는 구멍이 저면까지 뚫려 있다는 것이다."입니다. 이는 KS B 0831에서 V15-1.4이라는 기호가 해당하는 구멍의 위치와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탐상면에서 150mm 위치에 지름이 1.4mm인 구멍이 저면까지 뚫려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진동자의 유효지름이 10mm인 수직탐촉자를 사용할 경우 거리진폭특성 곡선에 의한 에코높이 구분선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빔 노정은?

  1. 50 mm 초과
  2. 50 mm 이하
  3. 20 mm 초과
  4. 20 mm 이하
(정답률: 55%)
  • 진동자의 유효지름이 10mm인 수직탐촉자를 사용할 경우, 빔의 진폭이 작아지므로 에코높이 구분선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거리는 진폭이 충분히 크게 유지되는 거리로 제한됩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진동자의 유효지름의 2배 이하인 20mm 이하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 mm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

41. 압력용기용 강판의 초음파탐상 검사방법(KS D 0223)규격에서 수직 탐촉자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강판의 두께는?

  1. 6 mm 이상
  2. 13 mm 이상
  3. 20 mm 이상
  4. 60 mm 초과
(정답률: 51%)
  • 압력용기용 강판은 안전상의 이유로 두께가 일정 이상 이상이어야 합니다. KS D 0223 규격에서는 수직 탐촉자만을 사용하여 초음파탐상 검사를 진행하며, 이때 강판의 두께가 일정 이상 이상이어야 검사가 가능합니다. 이 규격에서는 강판의 두께가 60 mm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강판의 두께가 일정 이상 이상이어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 mm 초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음파탐상 시험용 표준시험편(KS B 0831)에서 탐상시험에 사용되는 N1형 STB 표준시험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3번 4번 보기 내용이 같습니다. 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1. 사용되는 탐촉자의 종류는 수침탐촉자이다.
  2. 사용되는 탐촉자의 주파수는 2MHz를 쓴다.
  3. 사용되는 탐촉자의 진동자재료는 수정을 사용한다.
  4. 사용되는 탐촉자의 진동자 치수는 지름이 20mm이다.
(정답률: 70%)
  • 2MHz 주파수는 초음파 파장과 탐촉자 크기에 적합한 주파수이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은 초음파는 작은 결함을 탐지할 수 있지만, 파장이 긴 초음파는 큰 결함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탐촉자 크기가 파장과 비슷하면 반사파가 발생하여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주파수를 선택해야 합니다. 2MHz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음파 탐상 시스템에서 적합한 주파수 범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리를 용해할 때 흡수한 산소를 인으로 탈산시켜 산소를 0.01%이하로 남기고 인을 0.02%로 조절한 구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전기 구리
  2. 탈산 구리
  3. 무산소 구리
  4. 전해 인성 구리
(정답률: 60%)
  • 구리를 용해할 때 흡수한 산소를 인으로 탈산시켜 산소를 0.01% 이하로 남기고 인을 0.02%로 조절한 것이 탈산 구리입니다. 탈산 구리는 산소 함량이 매우 낮아서 부식에 강하고 전기 전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전기 전달이 중요한 전기, 전자 제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표적인 합금에 18%Cr-8%Ni 강이 있다.
  2. Ti, V, Nb 등을 첨가하면 입계부식이 방지된다.
  3. 1100℃에서 급냉하여 용체화처리를 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된다.
  4. 1000℃로 가열한 후 서냉하면 Cr23C6 등의 탄화물이 결정입계에 석출하여 입계부식을 방지한다.
(정답률: 50%)
  • 1000℃로 가열한 후 서냉하면 Cr23C6 등의 탄화물이 결정입계에 석출하여 입계부식을 방지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것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 방지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림드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Fe-Mn 으로 가볍게 탈산시킨 상태로 주형에 주입한다.
  2. 주형에 접하는 부분은 빨리 냉각되므로 순도가 높다.
  3. 표면에 헤어 크랙과 응고된 상부에 수축공이 생기기 쉽다.
  4. 응고가 진행되면서 용강 중에 남은 탄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하여 일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43%)
  • "표면에 헤어 크랙과 응고된 상부에 수축공이 생기기 쉽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림드강은 빠른 냉각로 인해 응고가 빠르게 일어나며, 이로 인해 수축공이 생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림드강은 고강도 및 고내식성을 가지는 재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구상흑연 주철의 조직상 분류가 틀린 것은?

  1. 페라이트형
  2. 마텐자이트형
  3. 펄라이트형
  4. 시멘타이트형
(정답률: 58%)
  • 마텐자이트형은 구조적으로 매우 단단하고 끈기가 없는 조직으로, 경도와 인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상흑연 주철의 조직상 분류에서 "마텐자이트형"이 틀린 것은, 구상흑연 주철은 페라이트형, 펄라이트형, 시멘타이트형으로 분류되지만, 마텐자이트형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l-Si계 합금으로 공정형을 나타내며, 이 합금에 금속나트륨 등을 첨가하여 개량처리한 합금은?

  1. 실루민
  2. Y합금
  3. 로엑스
  4. 두랄루민
(정답률: 78%)
  • 알루미늄과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합금인 Al-Si계 합금은 경량화와 내식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합금에 금속나트륨 등을 첨가하여 개량처리하면 더욱 높은 강도와 경도, 내식성 등을 가지는 합금인데, 이를 실루민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루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은 면심입방격자이다. 단위 격자에 속해 있는 원자의 수는 몇 개 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82%)
  • 면심입방격자는 각 면에 4개의 원자가 있고, 총 6면이 있으므로 총 원자의 수는 4 x 6 = 24개이다. 따라서, 단위 격자에 속해 있는 원자의 수는 24/6 = 4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탄소 함유량이 가장 낮은 순철에 해당하는 것은?

  1. 연철
  2. 전해철
  3. 해면철
  4. 카보닐철
(정답률: 62%)
  • 전해철이 탄소 함유량이 가장 낮은 순철입니다. 이는 전해철이 전기로 제련되어 탄소가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해철은 순수한 철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순철에 비해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알루미늄 비중은 약 5.2이다.
  2. 알루미늄은 면심입방격자를 갖는다.
  3. 알루미늄 열간가공온도는 약 670℃이다.
  4. 알루미늄은 대기 중에서는 내식성이 나쁘다.
(정답률: 62%)
  • 알루미늄은 원자가 13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3개의 전자는 외부껍질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알루미늄은 면심입방격자를 갖게 되는데, 이는 결정 구조의 한 종류로서, 입방격자 위에 면심격자가 위치하는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구조는 알루미늄의 물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격자의 변화이다.
  2. A3, A4 변태가 있다.
  3. 자기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변태이다.
  4. 일정한 온도에서 급격히 비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정답률: 59%)
  • "결정격자의 변화"는 동소변태의 한 종류이지만, 동소변태의 모든 경우가 결정격자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A3, A4 변태는 각각 알루미늄과 탄소의 변태를 의미하며, 이 또한 동소변태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결정격자의 변화이다."입니다. 동소변태는 일정한 온도에서 급격히 비연속적으로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자기적 성질이 변화됩니다. 이는 동소체 내부의 원자나 이온의 배치가 바뀌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담금질(quenching)하여 경하된 강에 적당한 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처리는?

  1. 뜨임
  2. 풀림
  3. 노멀라이징
  4. 심랭처리
(정답률: 72%)
  • 정답은 "뜨임"입니다.

    담금질은 경화된 강을 빠르게 냉각하여 강의 인성을 높이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때 강을 뜨겁게 담그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뜨겁게 담그면 강의 구조가 세공화되어 인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뜨임"이 답이 됩니다.

    풀림은 강을 녹여서 성형하는 과정이며, 노멀라이징은 강을 공기 중에서 천천히 냉각하여 강의 구조를 균일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심랭처리는 강을 매우 빠르게 냉각하여 강의 경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이들은 모두 담금질과는 다른 열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전기 저항이 0(Zero)에 가까워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자기부상열차, 핵자기공명 단층 영상 장치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것은?

  1. 제진 합금
  2. 초전도 재료
  3. 비정질 합금
  4. 형상 기억 합금
(정답률: 75%)
  • 초전도 재료는 전기 저항이 0에 가까워 전류가 흐를 때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자기부상열차, 핵자기공명 단층 영상 장치 등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재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분말상의 구리에 약 10%의 주석 분말과 2%의 흑연 분말을 혼합하고 윤활제 또는 휘발성 물질을 가한 다음 가압 성형 하고 제조하여 자동차, 시계, 방적기계 등의 급유가 어려운 부분에 사용하는 합금은?

  1. 자마크
  2. 하스텔로이
  3. 화이트메탈
  4. 오일리스 베어링
(정답률: 71%)
  • 주석과 흑연은 윤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분말상 구리와 혼합하여 가압 성형하여 만든 합금은 자체적으로 윤활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급유가 어려운 부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합금으로 만든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금속재료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리(Cu)보다 은(Ag)의 전기전도율이 크다.
  2. 합금이 순수한 금속보다 열전도율이 좋다.
  3. 순수한 금속일수록 전기 전도율이 좋다.
  4. 열전도율의 단위는 J/mㆍsㆍK이다.
(정답률: 56%)
  • 정답: 합금이 순수한 금속보다 열전도율이 좋다.

    이유: 합금은 여러 종류의 금속이 혼합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각 금속의 특성을 조합하여 더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금은 순수한 금속보다 열전도율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험편에 압입 자국을 남기지 않거나 시험편이 큰 경우 재료를 파괴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기는?

  1. 쇼어 경도기
  2. 로크웰 경도기
  3. 브리넬 경도기
  4. 비커즈 경도기
(정답률: 67%)
  • 쇼어 경도기는 시험편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작은 크기의 시험편에서도 경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를 파괴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경도기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쇼어 경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비철합금 중 비중이 가장 가벼운 것은?

  1. 아연(Zn)합금
  2. 니켈(Ni)합금
  3. 알루미늄(Al)합금
  4. 마그네슘(Mg)합금
(정답률: 79%)
  • 마그네슘(Mg)합금은 비중이 가장 가벼운 합금입니다. 이는 마그네슘이 원소 중에서도 가장 가벼운 원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은 고강도와 경량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어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등의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저항 용접법 중 모재에 돌기를 만들어 겹치기 용접으로 시공하는 것은?

  1. 업셋 용접
  2. 플래시 용접
  3. 퍼커션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률: 46%)
  • 모재에 돌기를 만들어 겹치기 용접으로 시공하는 것은 프로젝션 용접입니다. 이는 모재의 특정 부위에 돌기를 만들어 그 부위를 다른 모재와 겹쳐 용접하는 방식으로, 용접 부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강도가 높은 용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나 대형 구조물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저수소계 용접봉의 건조온도 및 시간으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70~100[℃]로 30분 정도
  2. 70~100[℃]로 1시간 정도
  3. 200~300[℃]로 30분 정도
  4. 300~350[℃]로 2시간 정도
(정답률: 44%)
  • 저수소계 용접봉은 고온 및 고습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너무 낮은 온도나 짧은 시간으로 건조하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용접봉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너무 높은 온도나 긴 시간으로 건조하면 용접봉의 물성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건조온도와 시간을 선택해야 합니다. 저수소계 용접봉의 경우, 300~350℃로 2시간 정도 건조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이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면서도 용접봉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온도와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AW 300인 교류 아크 용접기의 규격상의 전류조정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0~110[A]
  2. 40~220[A]
  3. 60~330[A]
  4. 80~440[A]
(정답률: 66%)
  • AW 300인 교류 아크 용접기는 300A의 용접 전류를 가집니다. 따라서 전류조정범위가 60~330[A]인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범위는 용접 전류가 300A 이하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용접 전류가 300A를 초과하는 범위를 포함하고 있어, 이 용접기의 규격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