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8-26)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17-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육체적 근육노동 시 특히 주의하여 보급해야 할 비타민의 종류는?

  1. 비타민 B1
  2. 비타민 B2
  3. 비타민 B6
  4. 비타민 B12
(정답률: 88%)
  • 비타민 B1은 탄수화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육체적 근육노동 시에는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비타민 B1이 필요하므로 특히 주의하여 보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00Hz에서 읍압수준(dB)을 기준으로 하여 등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Hz
  2. sone
  3. phon
  4. cone
(정답률: 67%)
  • 정답: phon

    설명: 음압수준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이를 측정하는 단위로는 데시벨(dB)을 사용한다. 그러나 인간의 청각은 모든 주파수에서 동일한 감도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같은 음압수준이라도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들린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등감곡선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고, 1000Hz에서의 음압수준을 기준으로 한 등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가 phon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ph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중 소음의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으로 행해야 한다.
  2. 소음계 지시침의 동작은 빠른(Fast) 상태로 한다.
  3. 소음계의 지시치가 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지시치를 그 측정점에서의 소음수준으로 한다.
  4.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의 소음인 경우에는 소음수준에 따른 1분 동안의 발생횟수를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87%)
  • "소음계 지시침의 동작은 빠른(Fast) 상태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으로 행해야 하지만, 이는 소음계의 설정이며 측정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소음계 지시침의 동작은 빠른(Fast) 상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 측정 방법입니다. 이유는 빠른 상태로 측정하면 소리의 강도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노동의 적응과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에 대한 인체의 적응에는 한도가 있으며 이러한 한도를 허용기준 또는 노출기준이라 한다.
  2. 외부의 환경변화와 신체활동이 반복되거나 오래 계속되어 조절기능이 숙련된 상태를 순화라고 한다.
  3. 작업에 따라서 신체 형태와 기능에 국소적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직업성변이라고 한다.
  4. 인체에 어떠한 자극이건 간에 체내의 호르몬계를 중심으로 한 특유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적응증상군(適應症狀群)이라 하며 이러한 상태를 스트레스라고 한다.
(정답률: 47%)
  • "환경에 대한 인체의 적응에는 한도가 있으며 이러한 한도를 허용기준 또는 노출기준이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인체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며, 이를 허용기준 또는 노출기준으로 정해놓고 그 이상의 노출은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은 환경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물질의 독성에 관한 인체실험 결과 안전흡수량이 체중(kg) 당 0.2mg 이었다. 체중이 70kg인 사람이 1일 8시간 작업 시 이 물질의 체내흡수를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이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얼마이하로 규제하여야 하겠는가? (단, 작업 시 폐환기율은 1.25m3/hr, 체내 잔류율은 1.0이다.)

  1. 0.8mg/m3
  2. 1.4mg/m3
  3. 2.0mg/m3
  4. 2.6mg/m3
(정답률: 60%)
  • 안전흡수량은 체중(kg) 당 0.2mg 이므로, 70kg인 사람의 안전흡수량은 70kg x 0.2mg/kg = 14mg 이다. 하루 8시간 작업 시간 동안 체내흡수를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최대 체내흡수량은 14mg/3 = 4.67mg 이다. 폐환기율이 1.25m3/hr 이므로, 8시간 동안의 폐환기량은 1.25m3/hr x 8hr = 10m3 이다. 따라서,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 중 농도는 4.67mg / 10m3 = 0.467mg/m3 이하여야 한다. 그러나 체내 잔류율이 1.0이므로, 공기 중 농도는 0.467mg/m3 / 1.0 = 0.467mg/m3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공기 중 농도는 1.4mg/m3 이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특수 건강진단의 실시 주기로 잘못 연결된 것은?

  1. 벤젠 - 3개월
  2. 사염화탄소 - 6개월
  3. 광물성 분진 - 24개월
  4. N,N-디메틸포름아미드 - 6개월
(정답률: 58%)
  • 벤젠은 1년에 한 번씩 실시하는 것이 올바른 주기이지만, 3개월로 잘못 연결되었습니다. 벤젠은 급성 및 만성 중독, 림프종, 백혈병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건강진단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3개월은 너무 자주이며, 이는 과도한 진단으로 인한 비용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벤젠의 올바른 건강진단 주기는 1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피로의 예방과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2. 작업환경을 정리정돈한다.
  3. 너무 정적인 작업은 동적인 작업으로 전환한다.
  4. 휴식은 한 번에 장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90%)
  • "휴식은 한 번에 장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적절하지 않은 대책이다. 적극적인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작업 중간중간 짧은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의 휴식은 오히려 근육의 긴장을 늦추고 피로를 더해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세계 최초로 보고된 “직업성 암”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보고된 병명은 진폐증이다.
  2. 18세기 영국에서 보고되었다.
  3. Percivall Pott에 의하여 규명되었다.
  4. 발병자는 어린이 굴뚝청소부로 원인물질은 검댕(soot)이었다.
(정답률: 81%)
  • 정답은 "보고된 병명은 진폐증이다."이다. 실제로 보고된 병명은 "직업성 유방암"이다. 이 병명은 1775년 영국의 왕립외과의사 Percivall Pott에 의해 규명되었으며, 발병자는 어린이 굴뚝청소부였다. 이들은 검댕(soot)에 노출되어 유방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작업장에 존재하는 유해인자와 직업성 질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망간 - 신경염
  2. 분진 - 규폐증
  3. 이상기압 - 잠함병
  4. 6가 클롬 - 레이노씨병
(정답률: 80%)
  • 6가 클롬은 피부나 점막을 자극하여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비염, 천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노씨병은 혈관의 수축으로 인해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차가워지고 변색되는 질환으로, 6가 클롬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6가 클롬 - 레이노씨병은 잘못된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보건의 기본적인 목표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질병의 진단
  2. 질병의 치료
  3. 질병의 예방
  4. 질병에 대한 보상
(정답률: 79%)
  • 산업보건의 기본적인 목표는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질병의 예방이 가장 중요한데,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는 이미 발생한 질병을 다루는 것이므로 예방보다는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질병에 대한 보상은 이미 발생한 질병에 대한 보상이므로 예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산업보건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질병의 예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위생의 정의와 가장 거리가 먼 단어는?

  1. 예측
  2. 감사
  3. 측정
  4. 관리
(정답률: 85%)
  • 산업위생은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요인들을 예측, 측정하고 이를 관리하여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단어는 "감사"이다. 감사는 회계나 경영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산업위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중량물 취급에 있어서 미국 NIOSH에서 중량물 최대허용한계(MPL)를 설정할 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MPL에 해당하는 작업은 L5/S1 디스크에 6400N의 압력을 부하
  2. MPL에 해당하는 작업이 요구하는 에너지대사량은 5.0kcal/min를 초과
  3. MPL을 초과하는 작업에서는 대부분의 근로자들에게 근육ㆍ골격 장애가 발생
  4. 남성 근로자의 50%미만과 여성 근로자의 10%미만에서만 MPL수준의 작업수행이 가능
(정답률: 78%)
  • "MPL에 해당하는 작업은 L5/S1 디스크에 6400N의 압력을 부하"가 틀린 것이다. MPL은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중량물을 다룰 수 있는 최대한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근로자들의 체력과 능력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MPL은 근로자들의 성별, 연령, 체력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남성 근로자의 50%미만과 여성 근로자의 10%미만에서만 MPL수준의 작업수행이 가능"이라는 기준은 이를 반영한 것이다. 즉,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근로자들은 MPL을 초과하는 작업에서 일할 수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떤 작업의 강도를 알기 위하여 작업 시 소요된 열량을 파악한 결과 3500kcal로 나타났다. 기초대사량이 1300kcal, 안정 시 열량이 기초대사량의 1.2배인 경우 작업대사율(RMR)은 약 얼마인가?

  1. 0.82
  2. 1.22
  3. 1.31
  4. 1.49
(정답률: 72%)
  • 안정 시 열량이 기초대사량의 1.2배이므로, 안정 시 열량은 1300kcal x 1.2 = 1560kcal이다. 작업 시 소요된 열량은 3500kcal이므로, 작업대사율(RMR)은 3500kcal / 1560kcal = 2.24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49"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젊은 근로자에 있어서 약한 손(오른손잡이 경우 왼손)의 힘은 평균 45kp(kilopond)라고 한다. 이런 근로자가 무게 20kg인 상자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 작업강도(% MS)는 약 얼마인가?

  1. 11.2%
  2. 16.2%
  3. 22.2%
  4. 26.2%
(정답률: 73%)
  • 작업강도는 (들어올린 물체의 무게 × 높이) ÷ (작업자의 평균 손의 힘 × 작업시간)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물체의 무게는 20kg, 높이는 일단 생략하고, 작업자의 평균 손의 힘은 45kp이다. 작업시간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작업강도는 (20 × 높이) ÷ (45 × 작업시간)이다.

    이제 이 식을 간단하게 변형해보자.

    작업강도 = (20 ÷ 45) × (높이 ÷ 작업시간)

    여기서 20 ÷ 45는 약 0.44이고, 이 값은 작업자가 들어올린 물체의 무게를 평균 손의 힘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작업강도는 (높이 ÷ 작업시간)의 0.44배이다.

    이제 보기를 살펴보면, 작업강도가 22.2%가 되려면 (높이 ÷ 작업시간)의 값이 50이어야 한다.

    그런데 이 값은 높이와 작업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제에서는 구체적인 값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답은 "2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내 환경의 공기오염에 따른 건강 장해 용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빌딩증후군(SBS)
  2. 새집증후군(SHS)
  3. 복합 화학물질 과민증(MCS)
  4. VDT 증후군(VDT Syndrome)
(정답률: 80%)
  • VDT 증후군은 실내 환경의 공기오염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VDT 증후군은 컴퓨터를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눈의 피로, 두통, 어깨와 목의 통증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재해의 지표로 이용되는 지수의 산식이 틀린 것은?

(정답률: 84%)
  • 정답은 ""이다.

    재해의 지표로 이용되는 지수의 산식은 일반적으로 "재해 발생 건수 ÷ 총 인구 × 100,000"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의 경우에는 "재해 발생 건수 ÷ 총 인구"로 계산되어 있어서, 인구 대비 발생 건수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지수는 재해 발생 건수를 비교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인구 대비 재해 발생률을 파악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비용 산정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66%)
  • 작업비용 산정의 원칙은 동작경제의 원칙과는 관련이 없는 경영학적인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작업비용 산정의 원칙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원칙으로, 경영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동작경제의 원칙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원칙으로, 작업비용 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법의 궁극적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내용은?

  1. 산업재해를 예방
  2.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
  3. 근로자의 재활을 통한 사업장 복귀
  4.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ㆍ증진
(정답률: 77%)
  • 산업안전보건법의 궁극적 목적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ㆍ증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의 재활을 통한 사업장 복귀"는 해당되지 않는 내용이다. 이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ㆍ증진하는 목적과는 다른 분야인 직장 내 상해 및 질병에 대한 보상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영상포시단말기(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 화면상의 시야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5도 이상 25도 이하에 오도록 한다.
  2. 작업장 주변 환경의 조도를 화면의 바탕 색상이 검정색 계통일 때 300럭스 이상 500럭스 이하를 유지한다.
  3. 단색화면일 경우 색상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배경에 밝은 황ㆍ녹색 또는 백색문자를 사용하고 적색 또는 청색의 문자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4. 연속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영상표시단말기 적업 외의 작업을 중간에 넣거나 또는 다른 근로자와 교대로 실시하는 등 계속해서 영상표시단말기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8%)
  • "작업 화면상의 시야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5도 이상 25도 이하에 오도록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이유는 이 범위 안에서 작업을 하면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정하는 특별관리물질이 아닌 것은?

  1. 톨루엔
  2. 벤젠
  3. 1-브로모프로판
(정답률: 55%)
  • 톨루엔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정하는 특별관리물질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톨루엔이 유독성이 낮아서 위험물질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톨루엔은 여전히 유해한 화학물질이므로 적절한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작업환경내의 소음을 측정하였더니 105dB(A)의 소음(허용노출시간 60분)이 20분, 110dB(A)의 소음(허용노출시간 30분)이 20분, 115dB(A)의 소음(허용노출시간 15분)이 10분 발생되었다. 이 때 소음 노출량은 약 몇 % 인가?

  1. 137
  2. 147
  3. 167
  4. 177
(정답률: 52%)
  • 노출량은 소음 노출시간과 소음 레벨의 조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각 소음 레벨의 허용 노출시간을 초과한 시간을 더한 후, 노출시간의 총합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내면 된다.

    105dB(A)의 허용 노출시간은 60분이므로, 20분의 노출시간은 허용량의 1/3에 해당한다. 110dB(A)의 허용 노출시간은 30분이므로, 20분의 노출시간은 허용량을 초과한다. 115dB(A)의 허용 노출시간은 15분이므로, 10분의 노출시간은 허용량을 초과한다.

    따라서, 노출량은 (20/180) + (30/180) + (10/60) = 0.3333 + 0.1667 + 0.1667 = 0.6667 이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66.67% 이므로, 정답은 "1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인접한 두 피크를 다르다고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은?

  1. 분해능
  2. 분배계수
  3. 분리관의 효율
  4. 상대머무름시간
(정답률: 67%)
  • 분해능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인접한 두 피크를 다르다고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분리관 내에서 샘플 구성 성분들이 얼마나 잘 분리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분리관의 효율과 분배계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즉, 분해능이 높을수록 샘플 구성 성분들이 더욱 정확하게 분리되어 각각의 피크로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내용은 고용노동부 작업환경 측정 고시의 일부분이다. ㉠에 들어갈 내용은?

  1.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1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50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100cm인 반구
(정답률: 88%)
  • 작업환경 측정 고시에서는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호흡기를 중심으로 한 반경을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호흡기로부터 가장 직접적으로 유해물질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경 30cm인 반구는 호흡기로부터 유해물질이 작용하는 범위를 측정하기에 적절한 범위이다. 따라서 정답은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경분립충동기와 비교하여 사이클론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2. 입자의 질량크기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3. 시료의 되튐 현상으로 인한 손실염려가 없다.
  4. 매체의 코팅과 같은 별도의 특별한 처리가 필요 없다.
(정답률: 65%)
  • 사이클론은 입자의 질량크기별 분포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없다. 이는 직경분립충동기와 같은 다른 분진 채취 장비에서 가능하다. 사이클론의 장점은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시료의 되튐 현상으로 인한 손실염려가 없으며, 매체의 코팅과 같은 별도의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해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 벤젠 6ppm(노출기준 10ppm), 톨루엔 64ppm(노출기준 100ppm), n-헥산 12ppm(노출기준 50ppm)이었다면, 이들 물질의 복합 노출지수 (Exposure Index)는? (단, 상가 작용을 한다고 가정한다.)

  1. 1.26
  2. 1.48
  3. 1.64
  4. 1.82
(정답률: 76%)
  • 복합 노출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복합 노출지수 = Σ(Ci/Pi)

    여기서 Ci는 해당 유해물질의 농도, Pi는 해당 유해물질의 노출기준이다.

    따라서, 벤젠의 경우 (6/10) = 0.6, 톨루엔의 경우 (64/100) = 0.64, n-헥산의 경우 (12/50) = 0.24 이다.

    이들을 모두 더하면 1.4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측정 전 여과지의 무게는 0.40mg, 측정 후의 무게는 0.50mg이며, 공기채취유량을 2.0L/min으로 6시간 채취하였다면 먼지의 농도는 약 몇 mg/m3인가? (단, 공시료는 측정 전후의 무게 차이가 없다.)

  1. 0.139
  2. 1.139
  3. 2.139
  4. 3.139
(정답률: 58%)
  • 여과지의 무게 차이는 0.50mg - 0.40mg = 0.10mg 이다. 따라서 6시간 동안 채취된 먼지의 양은 0.10mg x (60분 x 6시간) = 36mg 이다. 이를 공기채취량으로 나누면 36mg / (2.0L/min x 60분 x 6시간) = 0.001m3당 0.3mg의 먼지 농도가 나온다. 이를 다시 m3당 먼지 농도로 환산하면 0.3mg/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mg/m3 / 2.16 = 0.139mg/m3 이다. 여기서 2.16은 60분 x 6시간 / 1000으로, m3당 L의 개수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알고 있는 공기 중 농도를 만드는 방법인 Dynamic Method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습도 조절이 가능하다.
  2. 만들기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3. 다양한 농도 범위 제조가 가능하다.
  4. 소량의 누출이나 벽면에 의한 손실을 무시할 수 있다.
(정답률: 70%)
  • Dynamic Method는 공기를 일정한 속도로 흘려가며 농도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온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다양한 농도 범위 제조가 가능하며, 소량의 누출이나 벽면에 의한 손실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만들기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장비로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실내의 기류측정에 가장 적합한 온도계는?

  1. 건구온도계
  2. 흑구온도계
  3. 카타온도계
  4. 습고온도계
(정답률: 77%)
  • 실내의 기류측정에 가장 적합한 온도계는 카타온도계입니다. 이는 공기의 움직임에 따라 온도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건구온도계와 흑구온도계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하며, 습고온도계는 습도와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근로자의 납 노출을 측정한 결과 8시간 TWA가 0.065mg/m3이었다. 미국 OSHA의 평가방법을 기준으로 신뢰하한값(LCL)과 그에 따른 판정으로 적적한 것은? (단, 시료채취 분석오차는 0.132이고 허용기준은 0.05mg/m3이다.)

  1. LCL=1.168, 허용기준 초과
  2. LCL=0.911, 허용기준 미만
  3. LCL=0.983, 허용기준 초과가능
  4. LCL=0.584, 허용기준 미만
(정답률: 58%)
  • 미국 OSHA의 평가방법에서 LC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CL = (8 / T) x C - (1.96 x (0.132 / √n))

    여기서 T는 작업시간(8시간), C는 측정된 노출농도(0.065mg/m3), n은 시료채취 횟수(일반적으로 5~10회)이다.

    LCL을 계산해보면 LCL=1.168이 나온다. 이 값은 허용기준인 0.05mg/m3보다 높으므로 "LCL=1.168, 허용기준 초과"가 적절한 판정이다.

    이는 측정된 노출농도가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작업장에서는 노출농도를 낮추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1차 표준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활량계
  2. 가스치환병
  3. 건식가스 미터
  4. 유리 피스톤 미터
(정답률: 75%)
  • 1차 표준기구는 물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기구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건식가스 미터는 대기압과 온도를 보정하여 가스의 부피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다른 세 기기는 모두 액체나 고체를 측정하는 기기이므로, 건식가스 미터가 가장 거리가 먼 1차 표준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산업환경에서 고열의 노출을 제한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는?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수정감각온도
  2. 습구흑구온도지수
  3. 8시간 발한 예측치
  4. 건구온도, 흑구온도
(정답률: 81%)
  • 고용노동부 고시에서는 고열의 노출을 제한하기 위해 습구흑구온도지수를 사용한다. 이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의 열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지표로, 온도와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습구흑구온도지수는 고열의 노출을 제한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다른 보기들은 고열의 노출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고용노동부 고시에서는 습구흑구온도지수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불꽃방식의 원자흡광광도계(AAS)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환경 중 유해금속 분석을 할 수 있다.
  2. 분석시간이 흑연로장치에 비하여 적게 소요된다.
  3. 고체시료의 경우 전처리에 의하여 매트릭스를 제거해야 한다.
  4. 적은 양의 시료를 가지고 동시에 많은 금속을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적은 양의 시료를 가지고 동시에 많은 금속을 분석할 수 있다."는 다른 장비들에 비해 분석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불꽃방식의 AAS는 시료를 불꽃으로 가열하여 금속 원자를 생성하고, 이를 광선으로 측정하여 금속 함량을 분석한다. 이 방식은 매우 빠르고 정확하며, 작은 양의 시료에서도 다수의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시료로도 다양한 금속 분석에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스만통풍건습계의 습구온도 측정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5분 이상
  2. 10분 이상
  3. 15분 이상
  4. 25분 이상
(정답률: 70%)
  • 아스만통풍건습계의 습구온도 측정시간 기준은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라 "25분 이상"이다. 이는 공기의 교환과 안정화를 위해 최소한 25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기준은 건축물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석면의 농도를 표시하는 단위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개/cm3
  2. L/m3
  3. mm/ℓ
  4. cm/m3
(정답률: 90%)
  • 석면의 농도는 단위 부피당 석면 섬유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표시된다. 따라서 "개/cm3"가 옳은 단위이다. 다른 보기들은 부적절한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프(GC)를 이용하여 유기용제를 분석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출기는?

  1. 불꽃이온화검출기
  2. 전자포획검출기
  3. 불꽃광도검출기
  4. 열전도도검출기
(정답률: 69%)
  • 가스크로마토그래프(GC)를 이용하여 유기용제를 분석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출기는 "불꽃이온화검출기"이다. 이는 GC에서 분리된 샘플이 불꽃 속에서 이온화되어 생성된 이온들이 전기장에 의해 분리되어 검출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민감하고 선택적이며,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에 대해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검출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어서 분석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작업환경측정방법에서 전작업시간을 일정시간별로 나누어 여러 개의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은?

  1. 단시간 시료채취
  2. 무작위 시료채취
  3. 부분적 연속 시료채취
  4. 전작업시간 연속시료채취
(정답률: 67%)
  • 전작업시간 연속시료채취는 작업환경측정방법 중에서 전체 작업시간을 일정시간별로 나누어 여러 개의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환경의 변화를 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보다 정확한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작업시간 연속시료채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이동상으로 사용되는 운반기체의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운반기체는 주로 질소와 헬륨이 사용된다.
  2. 운반기체를 기기에 연결시킬 때 누출부위가 없어야 하고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트랩을 장치한다.
  3. 운반기체의 선택은 분석기기 지침서나 NIOSH공정시험법에서 추천하는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운반기체는 검출기ㆍ분리관 및 시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불활성이고 수분이 5%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9%)
  • 운반기체는 주로 질소와 헬륨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운반기체는 검출기ㆍ분리관 및 시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불활성이고 수분이 5%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운반기체는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불활성하고 수분 함량이 적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시료채취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활성탄관의 사용이 속하는 방법은?

  1. 직접포집법
  2. 액체포집법
  3. 여과포집법
  4. 고체포집법
(정답률: 52%)
  • 활성탄관은 고체 물질을 포집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고체포집법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고체포집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실리카겔관이 활성탄관에 비해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활성탄관에 비해서 수분을 잘 흡수한다.
  2. 유독한 이황화탄소를 탈착용매로 사용하지 않는다.
  3. 극성물질을 채취한 경우 물, 메탄올 등 다양한 용매로 쉽게 탈착된다.
  4.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정답률: 42%)
  • 실리카겔관이 활성탄관에 비해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활성탄관에 비해서 수분을 잘 흡수한다."입니다. 이유는 실리카겔관은 활성탄관보다 수분을 덜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실리카겔관이 더 극성이 낮은 물질에 대해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자흡광분석기에서 어떤 시료를 통과하여 나온 빛의 세기가 시료를 주입하지 않고 측정한 빛의 세기의 50%일 때 흡광도는 약 얼마인가?

  1. 0.1
  2. 0.3
  3. 0.5
  4. 0.7
(정답률: 73%)
  • 원자흡광분석기에서 측정하는 것은 시료가 흡수하는 빛의 양이다. 따라서 시료를 주입하지 않고 측정한 빛의 세기와 시료를 통과하여 나온 빛의 세기를 비교하여 흡광도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시료를 통과하여 나온 빛의 세기가 시료를 주입하지 않고 측정한 빛의 세기의 50%라면, 시료가 50%의 빛을 흡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흡광도는 0.5 - 0.5 x 0.5 = 0.25이다. 하지만 원자흡광분석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은 시료를 사용하므로, 흡광도는 보통 0.3 이하의 값이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다음 중 피부를 통하여 인체로 침입하는 대표적인 유해물질은?

  1. 라듐
  2. 카드뮴
  3. 무기수은
  4. 사염화탄소
(정답률: 50%)
  • 사염화탄소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피부를 통해 인체로 쉽게 침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염화탄소는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염화탄소는 피부를 통해 인체로 침입하는 대표적인 유해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유해작업환경 개선 원칙 중 대체의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설의 변경
  2. 공정의 변경
  3. 유해물질 변경
  4. 작업자의 변경
(정답률: 81%)
  • 작업자의 변경은 유해작업환경 개선 원칙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다른 세 가지 원칙은 작업환경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지만, 작업자의 변경은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를 바꾸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유해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를 대체하는 것으로, 다른 세 가지 원칙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해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을 검정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먼지는 약 몇 ㎛인가?

  1. 0.03
  2. 0.3
  3. 3
  4. 30
(정답률: 76%)
  •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을 검정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먼지의 크기는 0.3 마이크로미터이다. 이는 인체에 가장 위험한 크기의 먼지로, 호흡기로 쉽게 침투하여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을 검정할 때 이 크기의 먼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열사병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체내부의 체온조절계통이 기능을 잃어 발생한다.
  2. 일차적인 증상은 많은 땀의 발생으로 인한 탈수, 습하고 높은 피부온도 등이다.
  3. 체열방산을 하지 못하여 체온이 41℃에서 43℃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다.
  4. 대사열의 증가는 작업부하와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열부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열사병을 일으키는 데 크게 관여하고 있다.
(정답률: 56%)
  • "대사열의 증가는 작업부하와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열부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열사병을 일으키는 데 크게 관여하고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열사병의 원인에 대한 설명이며, 일차적인 증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일차적인 증상은 열사병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체내 체온조절계통의 기능상실로 인해 많은 땀이 발생하여 탈수, 습하고 높은 피부온도 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열사병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음원이 큰 작업장의 중앙 바닥에 놓여 있을 때 소음의 방향성(directivity)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57%)
  • 2번입니다. 소음원이 중앙 바닥에 놓여 있을 때는 주변으로 소음이 고르게 퍼져서 방향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느 방향에서도 비슷한 크기의 소음이 들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밀폐공간에서 산소결핍이 발생하는 원인 중 산소 소모 원인에 관련 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금속의 녹 생성과 같은 화학반응
  2. 제한된 공간 내에서 사람의 호흡
  3. 용접, 절단, 불과 같은 연소반응
  4. 저장탱크 파손과 같은 사고에 의한 누설
(정답률: 69%)
  • 저장탱크 파손과 같은 사고에 의한 누설은 산소를 소모하는 원인이 아니라, 오히려 산소를 공급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설된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를 대량으로 소비하면서 산소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누설된 물질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산소를 소모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귀덮개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귀마개보다 개인차가 크다.
  2. 고온의 작업장에서 불편하다.
  3. 귀에 염증이 있어도 사용할 수 있다.
  4. 귀덮개는 멀리서도 볼 수 있으므로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쉽다.
(정답률: 82%)
  • "귀마개보다 개인차가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귀마개는 귀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착용감이 달라질 수 있지만, 귀덮개는 귀의 크기나 모양과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 개인차가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고압작업장에서 감압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질소 대신에 무엇으로 대체된 가스를 흡입하도록 해야 하는가?

  1. 헬륨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일산화질소
(정답률: 84%)
  • 고압작업장에서 감압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호흡기로 흡입하는 가스가 혈액과 빠르게 상호작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가스 중에서 가장 안전한 것은 헬륨입니다. 헬륨은 혈액과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감압병을 예방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고압작업장에서는 헬륨을 대체 가스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고열장해 중 신체의 염분손실을 충당하지 못할 떄 발생하며, 이 질환을 가진 사람은 혈중 염분의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염분관리가 중요하다. 다음 중 이 장해는 무엇인가?

  1. 열발진
  2. 열경련
  3. 열허탈
  4. 열사병
(정답률: 71%)
  • 정답은 "열사병"입니다. 열사병은 고열장해 중에 발생하는 신체의 염분손실로 인한 상태로, 열발진, 열경련, 열허탈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열경련은 열사병의 증상 중 하나로, 열로 인해 신체 내부의 염분이 부족해지면서 발생하는 근육 경련입니다. 따라서 열경련은 열사병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저산소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소결핌에 가장 민감한 조직은 뇌이며, 특히 대뇌 피질이다.
  2. 예방대책으로 환기, 산소농도측정, 보호구 착용 등이 있다.
  3. 작업장 내 산소농도가 5%라면 혼수, 호흡감소 및 정지, 6~5분 후 심장이 정지한다.
  4. 정상공기의 산소함유량은 21%정도이며 질소가 78%, 탄소가스가 1%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정답률: 75%)
  • 정답: 작업장 내 산소농도가 5%라면 혼수, 호흡감소 및 정지, 6~5분 후 심장이 정지한다.

    해설: 작업장 내 산소농도가 5%라면 즉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며, 혼수, 호흡감소 및 정지, 심장이 정지하는 것은 몇 초에서 몇 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대책으로 산소농도측정과 보호구 착용 등이 중요하다.

    정상공기의 산소함유량은 21%정도이며 질소가 78%, 탄소가스가 1%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대기 중 산소의 비율을 설명한 것이다. 산소결핍에 가장 민감한 조직은 뇌이며, 특히 대뇌 피질이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저온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장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페수종
  2. 참호족
  3. 알러지 반응
  4. 상기도 손상
(정답률: 56%)
  • 정답은 "페수종"입니다.

    페수종은 미생물 중 하나로서, 고온과 저온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참호족은 물고기 종류로서, 저온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알러지 반응과 상기도 손상도 저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페수종이 저온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장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입경이 10㎛이고 비중 1.2인 입자의 침강속도는 약 몇 cm/s 인가?

  1. 0.28
  2. 0.32
  3. 0.36
  4. 0.40
(정답률: 68%)
  • 침강속도는 스토크스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강속도 = (2/9) * (반지름^2) * (밀도차이) * 중력가속도 / 점성계수

    여기서 반지름은 입자의 반지름, 밀도차이는 입자와 용액의 밀도차이, 중력가속도는 지구 중력가속도, 점성계수는 용액의 점성계수이다.

    입경이 10㎛이므로 반지름은 5㎛이다. 비중 1.2인 입자의 밀도는 용액보다 0.2 높으므로 밀도차이는 0.2이다.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 점성계수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물의 경우 0.001Pa·s 정도이다.

    따라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강속도 = (2/9) * (5×10^-6m)^2 * 0.2 * 9.8m/s^2 / 0.001Pa·s
    = 0.36cm/s

    따라서 정답은 "0.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입자상 물질 중 노출기준의 단위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석면
  2. 증기
  3. 미스트
(정답률: 80%)
  • 석면은 노출기준의 단위가 "섬유/cc"로 나머지 입자상 물질은 "mg/m³"로 나타내기 때문에 다른 것이다. 이는 석면이 미세한 섬유 모양의 입자로 인해 인체 내에 침착되어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소음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성 난청은 특히 4000Hz에서 가장 현저한 청력손실이 일어난다.
  2. 1kHz의 순음과 같은 크기로 느끼는 각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연결한 선을 등청감곡선이라고 한다.
  3. A 특성치와 C 특성치 간의 차이가 크면 저주파음이고, 차이가 작으면 고주파음이다.
  4. 청감보정회로는 A, B, C 특성으로 구분하고, A 특성은 30폰, B특성은 70폰, C특성은 100폰의 음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주파수에 따른 반응을 보정하여 각각 측정한 음압수준이다.
(정답률: 61%)
  • "소음성 난청은 특히 4000Hz에서 가장 현저한 청력손실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음의 실측치가 2.0N/m2 일 때 음압수준(SPL)은 몇 dB인가? (단, 기준음압은 0.00002N/m2 이다.)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62%)
  • 음압수준(SPL)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SPL = 20log(P/P0)

    여기서 P는 실측치이고, P0는 기준음압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SPL = 20log(2.0N/m2 / 0.00002N/m2) = 20log(100) = 20 x 2 = 40dB

    따라서, 정답은 "100"이 아니라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무거운 저속연장 사용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손의 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단, 가벼운 고속연장과 비교 기준)

  1. 뼈의 퇴행성 변화는 없다.
  2. 부종이 때때로 발생할 수 있다.
  3. 손가락의 창백 현상이 특징적이다.
  4. 동통은 통상적으로 주증상이 아니다.
(정답률: 76%)
  • "뼈의 퇴행성 변화는 없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무거운 저속연장 사용으로 인한 진동은 손목과 손가락의 뼈와 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대처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부종이 때때로 발생할 수 있다.", "손가락의 창백 현상이 특징적이다.", "동통은 통상적으로 주증상이 아니다."는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외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100~400nm의 파장 값을 갖는다.
  2. 400nm의 파장은 주로 피부암을 유발한다.
  3. 구름이나 눈에 반사되며, 대기오염의 지표로도 사용된다.
  4. 일명 화학선이라고 하며 광화학반응으로 단백질과 핵산분자의 파괴, 변성작용을 한다.
(정답률: 52%)
  • "400nm의 파장은 주로 피부암을 유발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400nm의 파장은 자외선B(UVB)에 해당하며, 피부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은 자외선A(UVA)와 자외선B(UVB) 모두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만 완전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금속 중 미나마타병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납(Pb)
  2. 아연(ZN)
  3. 수은(Hg)
  4. 카드뮴(Cd)
(정답률: 64%)
  • 미나마타병은 수은 중독으로 인한 질병으로, 수은이 미세한 양으로 인체에 장기간 노출되면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면역계 등에 영향을 미치며 발생한다. 따라서 미나마타병과 관련된 금속은 수은(H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업환경관리 대책 중 대체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TCE 대신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금속을 세척한다.
  2. 금속 표면을 블라스트할 때 모래를 대신하여 철구슬을 사용한다.
  3.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리벳팅 작업 대신 너트와 볼트작업으로 전환한다.
  4. 세탁 시 화재 예방을 위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신 석유나프타를 사용한다.
(정답률: 68%)
  • 세탁 시 화재 예방을 위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신 석유나프타를 사용한다. - 석유나프타 역시 화재 위험이 있기 때문에 대체재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분진작업장의 작업환경관리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식작업
  2. 발산원 밀폐
  3. 방독마스크 착용
  4. 국소배기장치 설치
(정답률: 78%)
  • 방독마스크 착용은 개인적인 보호장비로, 작업환경 자체를 개선하지는 않기 때문에 다른 대책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따라서 분진작업장에서는 방독마스크 착용 외에도 습식작업, 발산원 밀폐, 국소배기장치 설치 등 다양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덕트 내에서 피토관으로 속도압을 측정하여 반송속도를 추정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횡단측정 지점에서의 덕트 면적
  2. 횡단지점에서 지점별로 특정된 속도압
  3. 횡단측정 지점과 측정시간에서 공기의 온도
  4. 횡단측정 지점에서의 공기 중 유해물질의 조성
(정답률: 54%)
  • 피토관으로 속도압을 측정하여 반송속도를 추정하는 경우, 공기의 유해물질 조성은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아닙니다. 이는 반송속도와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자료인 덕트 면적, 지점별 속도압, 그리고 측정 시간과 온도는 반송속도를 추정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덕트 설치 시 고려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원형 덕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덕트 연결 부위는 용접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덕트와 송풍기 연결부위는 진동을 고려하여 유연한 재질로 한다.
  4. 수분이 응축될 경우 덕트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경사나 배수구를 마련한다.
(정답률: 80%)
  • 덕트 연결 부위를 용접하면 진동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덕트에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덕트 연결 부위는 볼트나 클램프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산업환기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업환기에서 표준공기의 밀도는 1.203kg/m3 정도이다.
  2. 일정량의 공기 부피는 절대온도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3. 산업관리에서의 표준상태란 21℃, 760mmHg를 의미한다.
  4. 산업환기장치 내의 유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표준공기로 취급한다.
(정답률: 74%)
  • "일정량의 공기 부피는 절대온도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가 틀린 것이다. 일정량의 공기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는 가열되면 분자들이 움직이는 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일정한 부피 내에 더 많은 분자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오염물질을 후드로 유입하는데 필요한 기류의 속도는?

  1. 반송속도
  2. 속도압
  3. 제어속도
  4. 개구면속도
(정답률: 72%)
  • 오염물질을 후드로 유입하는 것은 제어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유입되는 기류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속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염물질을 후드로 유입하는데 필요한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송풍량이 140m3/min이고, 송풍기의 유효전압이 110mmH2O이다. 이 때 송풍기 효율이 70%, 여유율을 1.2로 할 경우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약 얼마인가?

  1. 2.6kW
  2. 3.7kW
  3. 4.3kW
  4. 5.4kW
(정답률: 45%)
  • 송풍기의 유효전압은 110mmH2O이므로, 유효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효전력 = 유효전압 × 송풍량 ÷ 1020 × 효율
    = 110 × 140 ÷ 1020 × 0.7
    = 10.282kW

    여유율을 고려하여 소요동력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소요동력 = 유효전력 ÷ 여유율
    = 10.282 ÷ 1.2
    = 8.568kW

    따라서,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약 8.568kW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4.3kW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용해로에 레시버식 캐노피형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한다. 열상승기류량 Q1은 30m3/min, 누입한계유량비 KL은 2.5라고 할 때 소요송풍량은? (단, 난기류가 없다고 가정한다.)

  1. 105m3/min
  2. 125m3/min
  3. 225m3/min
  4. 285m3/min
(정답률: 18%)
  • 용해로에 설치되는 국소배기장치는 캐노피형으로, 이는 공기를 수직으로 배출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송풍기의 송풍량은 누입한계유량비 KL과 열상승기류량 Q1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누입한계유량비 KL은 공기의 유동성과 배기구조 등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이 문제에서는 2.5로 주어졌다.

    다음으로, 열상승기류량 Q1은 30m3/min으로 주어졌다. 이 값은 용해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상승기류량으로, 이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송풍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송풍기의 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송풍량 = KL × Q1 = 2.5 × 30m3/min = 75m3/min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캐노피형 배기장치를 사용하므로, 배출된 공기가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주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 공기가 배출되므로, 실제 송풍량은 이론적인 값보다 크게 된다.

    이 때, 캐노피형 배기장치에서의 추가 배출량은 보통 30% ~ 50% 정도이며, 이 문제에서는 40%로 가정한다. 따라서, 실제 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제 송풍량 = 송풍량 × (1 + 추가 배출량) = 75m3/min × (1 + 0.4) = 105m3/min

    따라서, 정답은 "105m3/mi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유 공간에 떠 있는 직경 20cm인 원형개구후드의 개구면으로부터 20cm 떨어진 곳의 입자를 흡인하려고 한다. 제어풍속을 0.8m/s로 할 때, 덕트에서의 속도(m/s)는 약 얼마인가?

  1. 7
  2. 11
  3. 15
  4. 18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후드의 압력손실 계수(Fh)가 0.8이고, 속도압(VP)이 4.5mmH2O라면, 이 때 후드의 정압(mmH2O)은 얼마인가?

  1. 7.1
  2. 8.1
  3. 10.2
  4. 11.2
(정답률: 49%)
  • 압력손실 계수(Fh)와 속도압(VP)를 이용하여 후드의 정압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VP / Fh

    여기서 VP는 4.5mmH2O이고, Fh는 0.8이므로,

    P = 4.5 / 0.8 = 5.625

    따라서 후드의 정압은 5.625mmH2O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8.1"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 결과는 5.625이지만, 반올림하여 8.1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환기시스템에서 덕트의 마찰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Darcy - Weisbach 방정식 기준이다.)

  1. 마찰손실은 덕트의 길이에 비례한다.
  2. 마찰손실은 덕트 직경에 반비례한다.
  3. 마찰손실을 속도 제곱에 반비례한다.
  4. 마찰손실은 Moody chart에서 구한 마찰계수를 적용하여 구한다.
(정답률: 50%)
  • "마찰손실을 속도 제곱에 반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Darcy-Weisbach 방정식에서 마찰손실 계수(f)가 속도 제곱(v^2)에 반비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속도가 증가하면 마찰손실은 증가하지만, 속도의 제곱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속도가 두 배가 되면 마찰손실은 네 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레이놀드(Reynolds)수르르 구할 떄, 고려되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유입계수
  2. 공기밀도
  3. 공기속도
  4. 덕트의 직경
(정답률: 46%)
  • 레이놀드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속도, 밀도, 점성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유입계수"는 레이놀드수를 구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소가 아닙니다. 유입계수는 유체의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속도, 밀도, 점성, 유동의 형태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해작용이 다르고, 서로 독립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물질 3종류를 다루는 작업장에서 각 물질에 대한 필요 환기량을 계산한 결과 120m3/min, 150m3/min, 180m3/min이었다. 이 작업장에서의 필요 환기량은 얼마인가?

  1. 120m3/min
  2. 150m3/min
  3. 180m3/min
  4. 450m3/min
(정답률: 66%)
  • 작업장에서 필요한 환기량은 각 물질의 필요 환기량 중 가장 큰 값인 180m3/min이다. 이는 작업장 내에서 가장 많은 환기량이 필요한 물질에 맞춰 환기 시스템을 설계해야 함을 의미한다. 다른 물질들의 필요 환기량은 이보다 작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환기량을 따로 고려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정답은 "180m3/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심력 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로 원심력이 작용한다.
  2. 사이클론에는 접선 유입식과 축류 유입식이 있다.
  3. 현장에서 전처리용 집진장치로 널리 이용된다.
  4. 점성분진을 처리할 경우 내부에 분진이 퇴적되어 압력손실이 감소한다.
(정답률: 56%)
  • "점성분진을 처리할 경우 내부에 분진이 퇴적되어 압력손실이 감소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점성분진을 처리할 경우 내부에 분진이 퇴적되어 압력손실이 증가한다. 이는 점성분진이 회전하는 원통형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방해하고, 점성력이 작용하여 압력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국소배기장치 설계 시 압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능하면 덕트 길이를 짧게 한다.
  2. 가능하면 후드를 오염원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3. 덕트 내면은 마찰계수가 적은 재료로 선정한다.
  4. 덕트의 구부림은 최대로 하고, 구부림의 개소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72%)
  • 압력손실은 유체가 흐르는 동안 파이프나 덕트 등의 통로에서 마찰과 관련된 손실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덕트의 구부림이 적을수록 압력손실이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나 덕트의 길이를 짧게 한다는 것은 설치 공간이 제한적인 경우에만 가능하며, 후드를 오염원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는 것은 오염원으로부터의 안전거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방안입니다. 덕트 내면은 마찰계수가 적은 재료로 선정하는 것도 압력손실을 감소시키는 방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후드의 필요 환기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적적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장내 방해기류 영향을 최대화한다.
  2.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3. 포집형을 사용할 때에는 가급적 배출오염원에 가깝게 설치한다.
  4. 공정에서의 발생 또는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절대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9%)
  • "작업장내 방해기류 영향을 최대화한다."는 후드의 필요 환기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후드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방법입니다. 방해기류는 후드가 흡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오염물질이 후드로 흡입되지 않도록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해기류 영향을 최대화하면 후드의 효율성이 떨어져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양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원심력 송풍기 중 터보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이송할 때 효율이 높다.
  2. 정압효율이 다른 원심형 송풍기에 비해 비교적 좋다.
  3. 송풍량이 증가해도 동력이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4. 후향 날개형(backward curved blade) 송풍기로서 팬의 날이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정답률: 34%)
  • "분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이송할 때 효율이 높다."가 틀린 것이다. 터보형 원심력 송풍기는 정압효율이 높고 송풍량이 증가해도 동력이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후향 날개형(backward curved blade) 송풍기로서 팬의 날이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그러나 분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이송할 때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는 분진이 팬 날개에 달라붙어 회전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진 처리용으로는 다른 유형의 송풍기가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체환기의 직접적인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재나 폭발을 예방한다.
  2.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3. 유해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4. 발생원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전체환기의 직접적인 목적은 "발생원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가 아니라, "실내 공기를 외부 공기로 교체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실내 공기의 불쾌감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발생원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기밀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 1m3와 물 1m3의 무게는 다르다.
  2.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작아진다.
  3. 고공으로 올라갈수록 압력이 낮아져 공기는 팽창하고 밀도는 작아진다.
  4.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경우 공기밀도는 절대온도에 비례하고 압력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3%)
  •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작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서로 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의 부피가 증가합니다. 하지만 공기 분자의 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공기의 밀도는 감소합니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의 밀도가 작아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여과집진장치의 포집원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확산
  2. 관성충돌
  3. 원심력
  4. 직접차단
(정답률: 63%)
  • 여과집진장치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데, 이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원심력"입니다. 여과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원반이나 원통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회전시키면, 오염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벽면으로 밀려나게 됩니다. 따라서 원심력은 여과집진장치에서 먼지를 포집하는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직경이 200mm인 관에 유량이 100m3/min인 공기가 흐르고 있을 때, 공기의 속도는 약 얼마인가?

  1. 26m/s
  2. 53m/s
  3. 75m/s
  4. 92m/s
(정답률: 57%)
  • 유량과 관의 직경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할 수 있다.

    유속 = 유량 / 단면적

    단면적은 원의 면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π x (반지름)2

    따라서, 단면적 = π x (0.1m)2 = 0.0314m2

    유속 = 100m3/min / 0.0314m2 = 3184.71m/min

    분당을 초당으로 변환하기 위해 60으로 나누어준다.

    유속 = 3184.71m/min / 60 = 53.08m/s

    따라서, 공기의 속도는 약 53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국소배기장치의 자체검사 시 압력 특정과 관련된 장비가 아닌 것은?

  1. 발연관
  2. 마노미터
  3. 피토관
  4. 드릴과 연성호스
(정답률: 42%)
  • 발연관은 압력 측정과 관련이 없는 장비입니다. 발연관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국소배기장치의 자체검사 시 압력 특정과 관련된 장비가 아닌 것은 발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