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착암기 또는 해머(Hammer) 같은 공구를 장기간 사용한 근로자에게 가장 유발되기 쉬운 국소진동에 의한 신체 증상은?
2. 산업위생전문가의 윤리강령 중 전문가로서의 책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 산업위생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 산업위생 전문가의 활동은?
4. 고온다습한 작업환경에서 격심한 육체적 노동을 하거나 옥외에서 태양의 복사열을 두부에 직접적으로 받는 경우 체온조절 기능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증상은?
5. 상온에서 음속은 약 344m/s이다. 주파수가 2kHz인 음의 파장은 얼마인가?
6. 노출기준 선정의 근거자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 작업대사율(RMR)=7로 격심한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율(%)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식을 이용한다.)
8. 작업 자세는 피로 또는 작업능률과 관계가 깊다.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자세는?
9. 한랭 작업을 피해야 하는 대상자로 가장 거리가 먼 사람은?
10.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의 발암물질 구분 중 발암성 확인물질을 표시한 것은?
11.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정하고 있는 중량물 취급 작업기준이 아닌 것은?
12. 근육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혐기성 대사와 호기성 대사가 있다. 혐기성 대사의 에너지원이 아닌 것은?
13. 산업안전보건법상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조사에서 제외되는 화학물질이 아닌것은?
14.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EMG)의 특성만을 맞게 나열한 것은?
15. 산업심리학(industrial psychology)의 주된 접근방법은 무엇인가?
16. 한국의 산업위생역사에 대한 역사의 연혁으로 틀린 것은?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관하여야 할 서류와 그 보존기간이 잘못 연결된 것은?
18. 노출기준(TLV)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9.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A공장에서 250명의 근로자가 1년 동안 작업하는 가운데 21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이 공장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단 1년에 300일, 1일에 8시간 근무하였다)
20. NOISH에서 권장하는 중량물 취급 작업시 감시기준(AL)이 20kg일 때, 최대허용기준(MPL)은 몇 kg인가?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입자상물질의 크기를 표시하는 방법 중 어떤 입자가 동일한 종단침강속도를 가지며 밀도가 1g/cm3인 가상적인 구형 직경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2. 태양이 내리쬐지 않는 옥외 작업장에서 자연습구온도가 24℃이고 흑구온도가 26℃일 때, 작업환경의 습구흑구온도지수는?
23. 다음 중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주입한 시료를 분리관을 거쳐 검출기까지 운반하는 가스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4. 주물공장에서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호흡성 먼지를 측정한 결과(mg/m3)가 다음과 같았다면 기하평균농도(mg/m3)는?
25. 다음 중 불꽃방식의 원자흡광 분석장치의 일반적인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6. 원자흡광 분석장치에서 단색광이 미지 시료를 통과할 때, 최초광의 80%가 흡수되었다면 흡광도는 약 얼마인가?
27. 500ml 용량의 뷰렛을 이용한 비누거품미터의 거룸 통과시간을 3번 측정한 결과, 각각 10.5초, 10초, 9.5초 일 때, 이 개인시료포집기의 포집유량은 약 몇 L/분인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28. 탈착용매로 사용되는 이황화탄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다음 중 극성이 가장 큰 물질은?
30. 다음 중 2차 표준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1. 다음 흡착제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32. 다음 중 흡착제인 활성탄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3. 작업환경 중 A가 30ppm, B가 20ppm, C가 25ppm 존재할 때, 작업환경 공기의 복합노출지수는? (단 A, B, C의 TLV는 각각 50, 25, 50 ppm이고, A, B, C는 상가작용을 일으킨다.)
34. 유량, 측정시간, 회수율 및 분석 등에 의한 오차가 각각 15, 3, 9, 5% 일 때, 누적오차는 약 몇 %인가?
35. 측정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단, 고용노동부의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36. 시료채취방법에서 지역시료(area sample) 포집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37. 100ppm을 %로 환산하면 몇 %인가?
38.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할 때, 우리나라 기준에 맞는 Criteria 및 Exchange Rate는?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39. PVC 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포집시 필터무게는 채취 후 18.115mg이며 채취 전 무게는 14.316mg이었다. 이 때 공기채취량이 400L이라면, 포집된 먼지의 농도는 약 몇 mg/m3인가? (단, 공시료의 무게 차이는 없었던 것으로 가정한다)
40. 소음 수준 측정 시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어떻게 조정하여야 하는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저온에 의한 생리반응 중 이차적인 생리적 반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입자상 물질의 종류 중 연마, 분쇄, 절삭 등의 작업공정에서 고형물질이 파쇄되어 발생되는 미세한 고체입자를 무엇이라 하는가?
43. 다음 중 방사선에 감수성이 가장 낮은 인체조직은?
44. 작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음압수준이 90dB(A)이고 근로자는 귀덮개(NRR=27)를 착용하고 있다면, 근로자에게 실제 노출되는 음압수준은 약 몇 dB(A)인가? (단, OSHA를 기준으로 한다.)
45. 다음 중 깊은 물에서 올라오거나 감압실 내에서 감압을 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기포형성으로 인해 건강상 문제를 유발하는 가스의 종류는??
46. 소음방지를 위한 흡음재료의 선택 및 사용상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47. 다음 중 실내 오염원인 라돈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8. 다음 중 인체가 느낄 수 있는 최저한계 기류의 속도는 약 몇 m/sec인가?
49. 방진마스크의 밀착성 시험 중 정량적인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0. 다음 중 작업환경 개선대책 중 격리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산소농도 단게별 증상 중 산소농도가 6~10%인 산소결핍 작업장에서의 증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52. 할당보호계수가 25인 반면형 호흡기보호구를 구리흄이 존재하는 작업장에서 사용한다면 최대사용농도는 몇 mg/m3인가? (단, 허용농도는 0.3mg/m3 이다.)
53. 다음 전리방사선의 종류 중 투과력이 가장 강한 것은?
54. 작업환경 중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대한 방진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다음 중 분진발생방지 대책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55. 기계 A의 소음이 85dB(A), 기계 B의 소음이 84dB(A)일 때, 총 음압수준은 약 몇 dB(A)인가?
56. 작업환경개선 대책 중 대체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 음원에서 10m 떨러진 곳에서 음압수준이 89dB(A)일 때, 음원에서 2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수준은 약 몇 dB(A)인가? (단, 점음원이고 장해물이 없는 자유공간에서 구면상으로 전파한다고 가정한다.)
58. 체내로 흡입하게 되면 부식성이 강하여 점막 등에 침착되어 궤양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취급하면 비중격 천공을 일으키는 물질은?
59. 비교원성 진폐증의 종류로 가장 알맞은 것은?
60. 다음 중 고압환경에서 인체작용인 2차적인 가압현상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과목: 산업환기
61.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공정에 외부식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려고 한다. 후드의 규격은 400mm × 400mm, 제어거리(X)를 20cm, 제어속도(VC)를 0.5m/sec로 하고자 할 때의 소요풍량(m3/min)보다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여 공간에 설치하면 소요풍량(m3/min)은 얼마나 감소하는가?
62. 전기집진기(ESP, electrostatic precipitator)의 장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63. 블로우다운(Blow down) 효과와 관련이 있는 공기정화장치는?
64. 용융로 상부의 공기 용량은 200m3/min, 온도는 400℃, 1기압이다. 이것을 21℃, 1기압의 상태로 환산하면 공기의 용량은 약 몇 m3/min가 되겠는가?
65. 작업공정에서는 이상이 없다고 가정할 때, 보기의 후드를 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부터 나쁜 순으로 나열한 것은? (단, 제어속도는 1m/sec, 제어거리는 0.5m, 개구면적은 2m2으로 동일하다.)
66. 국소배기장치의 기본 설계 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67. 정압, 속도압, 전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8. 사무실 직원이 모두 퇴근한 직후인 오후 6시에 측정한 공기 중 CO2 농도는 1200ppm, 사무실이 빈 상태로 3시간이 경과한 오후 9시에 측정한 CO2 농도는 400ppm이었다면, 이 사무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단, 외부공기 중 CO2 농도는 330ppm으로 가정한다.)
69. 국소배기장치의 압력손실이 증가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70.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실내 공기를 재순환시켜 외부 공기와 혼합하여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재순환 공기 중 CO2의 농도가 700ppm, 급기 중 CO2의 농도가 600ppm 이었다면, 급기 중 외부공기의 함량은 몇 %인가 ? (단 외부공기 중 CO2의 농도는 300ppm이다.)
71. 전체환기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2. 제어속도의 범위를 선택할 때 고려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3.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공정에 외부식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후드의 규격은 400mm × 400mm, 반송속도를 1200m/min으로 하고자 할 때 덕트 내에서 속도압은 약 몇 mmH2O인가? (단, 덕트 내의 온도는 21℃이며, 이 때 가스의 밀도는 1.2kg/m3이다.)
74. 송풍기 상사법칙과 관련이 없는 것은?
75. 국소배기시스템에 설치된 충만실(plenum chamber)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높여야 하는 효율의 종류는?
76. 그림과 같이 Q1과 Q2에서 유입된 기류가 합류관린 Q3로 흘러갈 때, Q3의 유량(m3/mim)은 약 얼마인가? (단, 합류와 확대에 의한 압력손실은 무시한다.)
77. 유입계수(Ce)가 0.6인 플랜지 부착 원형후드가 있다. 이 때 후드의 유입손실계수(Fh)는 얼마인가?
78. 국소배기장치의 설계 시 송풍기의 동력을 결정할 때 가장 필요한 정보는?
79. 건조 공기가 원형식 관내를 흐르고 있다. 속도압이 6mmH2O이면 풍속은 얼마인가? (단, 건조공기의 비중량 1.2kgf/m3이며, 표준상태이다.)
80. 사염화에틸렌 2000ppm이 공기 중에 존재한다면 공기와 사염화에틸렌 혼합물의 유효비 중(effective specific gravity)은 얼마인가? (단, 사염화에틸렌의 증기비중은 5.7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