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국제노동기구(ILO) 협약에 제시된 산업보건관리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업보건교육, 훈련과 정보에 관한 협력
  2. 작업능률 향상과 생산성 제고에 관한 기획
  3. 작업방법의 개선과 새로운 설비에 대한 건겅상 계획의 참여
  4. 직장에 있어서의 건강 유해요인에 대한 위험성의 확인과 평가
(정답률: 72%)
  • 작업능률 향상과 생산성 제고에 관한 기획은 산업보건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업무이다. 산업보건관리는 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한 업무이며, 작업능률 향상과 생산성 제고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업무이다. 따라서 이 두 업무는 서로 다른 목적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어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피로의 종류 중, 관로 상태가 축적되어 단기간의 휴식으로는 회복할 수 없는 병적인 상태로,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것은?

  1. 곤비
  2. 피로
  3. 과로
  4. 실신
(정답률: 84%)
  • 곤비는 관로 상태가 심각하여 단기간의 휴식으로는 회복할 수 없는 병적인 상태로,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산업피로의 종류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피로, 과로, 실신은 모두 산업피로의 종류이지만, 이들은 일시적인 상태이며 적절한 휴식과 치료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VDT 작업자세로 틀린 것은?

  1. 팔꿈치의 내각은 90도 이상이어야 함
  2. 발의 위치는 앞꿈치만 닿을 수 있도록 함
  3. 화면과 근로자의 눈과의 거리는 40cm 이상이 되게 함
  4. 의자에 앉을 때는 의자 깊숙이 앉아 의자등받이에 등이 충분히 지지되어야 함
(정답률: 85%)
  • "발의 위치는 앞꿈치만 닿을 수 있도록 함"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올바른 VDT 작업자세 중 하나입니다. 발을 평평하게 놓으면 발목이 뒤틀리고 허리에 부담이 가므로 앞꿈치만 닿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미국산업위생학회(AIHA)의 산업위생에 대한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근로자나 일반대중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고도로 유지 증진시키는 과학과 기술
  2. 작업조건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 학문과 기술
  3. 근로자나 일반대중에거 육체적, 생리적, 심리적으로 치적의 환경을 제공하여 최고의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한 과학과 기술
  4. 근로자나 일반대중에게 질병, 건강장애와 안녕방해, 심각한 불쾌감 및 능률저하 등을 초래하는 작업환경 요인과 스트레스를 예측, 측정, 평가하고 관리하는 과학과 기술
(정답률: 85%)
  • AIHA의 산업위생에 대한 정의는 "근로자나 일반대중에게 질병, 건강장애와 안녕방해, 심각한 불쾌감 및 능률저하 등을 초래하는 작업환경 요인과 스트레스를 예측, 측정, 평가하고 관리하는 과학과 기술"입니다. 이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측정하여 근로자나 일반대중의 건강을 보호하고 최적의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학문과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NIOSH에서는 권장무게한계(RWL)와 최대허용한계(MPL)에 따라 중량물 취급 작업을 분류하고, 각각의 대책을 권고하고 있는데 MPL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문제있는 근로자를 적절한 근로자로 교대시킨다.
  2. 반드시 공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중량물 취급작업을 다시 설계한다.
  3. 대부분의 정상근로자들에게 적절한 작업조건으로 현 수준을 유지한다.
  4. 적절한 근로자의 선택과 적정배치 및 훈련, 그리고 작업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정답률: 79%)
  • MP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환경을 개선하거나 근로자의 작업 방법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중량물 취급작업을 다시 설계하여 MPL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책이다. 이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기관석면조사 대상으로서 건축물이나 설비의 소유주 등이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등록한 자로 하여금 그 석면을 해체·제거하도록 하여야 하는 함유량과 면적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섬유된 분무제 또는 내화피복재를 사용한 경우
  2. 파이프에 사용된 보온재에서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되어 있고, 그 보온재 길이의 합이 25미터 이상인 경우
  3.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된 관련 규정에 해당하는 자재의 면적의 합이 15제곱미터 이상 또는 그 부피의 합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4. 철거·해체하려는 벽체재료, 바닥재, 천장재 및 지붕재 등의 자재에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되어 있고 그 자재의 면적의 합이 5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정답률: 64%)
  • 정답은 "철거·해체하려는 벽체재료, 바닥재, 천장재 및 지붕재 등의 자재에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되어 있고 그 자재의 면적의 합이 5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입니다.

    석면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이나 설비에서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석면을 해체·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관석면조사 대상으로 등록된 건축물이나 설비에서는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석면의 함유량과 면적에 따라 해체·제거 여부가 결정됩니다.

    보기 중 "파이프에 사용된 보온재에서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되어 있고, 그 보온재 길이의 합이 25미터 이상인 경우"는 파이프에 사용된 보온재에서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해당 보온재의 길이가 25미터 이상인 경우에만 해체·제거가 필요합니다. 이는 석면이 함유된 보온재가 파이프에 사용되는 경우에만 해당되는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상 발암성 물지 구분에 있어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의 분류는?

  1. Ca
  2. A1
  3. C1
  4. 1A
(정답률: 66%)
  • 정답은 "1A"입니다. 이유는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표한 발암성 평가 결과가 Group 1인 경우여야 합니다. Group 1은 인간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1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설명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Raynaud's syndrome
  2. Carpal tunnel syndrome
  3. Thoracic outlet syndrome
  4.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정답률: 89%)
  • 이 그림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차가운 온도나 감정적인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혈관이 수축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Raynaud's syndrome로 알려져 있습니다. Carpal tunnel syndrome, Thoracic outlet syndrome,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재해발생 이론 중,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서 재해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1. 사고 제거
  2. 인간결함 제거
  3. 불안전한 상태 및 행동 제거
  4. 유전적 요인과 사회환경 제거
(정답률: 84%)
  •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서는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다양한 요인들이 연쇄적으로 작용하는 도미노 효과로 설명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첫 번째 도미노인 "불안전한 상태 및 행동"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불안전한 상태나 행동을 사전에 예방하고 제거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불안전한 상태나 행동을 파악하고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대상물질과 대사산물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카드뮴 : 카드뮴(혈중)
  2. 수은 : 총 무기수은(혈중)
  3. 크실렌 : 메틸마뇨산(소변중)
  4. 이황화탄소 : 카르복시헤모글로빈(혈중)
(정답률: 63%)
  • 이황화탄소는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가스이며, 혈액 내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이황화탄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호흡기 질환 등의 위험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피로의 예방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환경은 항상 정리, 정돈한다.
  2. 작업시간 중 적당한 때에 체조를 한다.
  3. 동적작업은 피하고 되도록 정적작업을 수행한다.
  4. 불필요한 동작을 피하고 에너지 소모를 적게 한다.
(정답률: 91%)
  • 정답: "동적작업은 피하고 되도록 정적작업을 수행한다."

    이유: 동적작업은 근육을 지치게 하고 에너지를 많이 소모시키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정적작업은 근육을 힘들게 하지 않으면서도 몸을 움직이는 것보다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예방대책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WC가 16.5kcal/min 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를 운반하고 있다. 이때의 작업대사량은 10kcal/min 이고, 휴식 시의 대사량은 1.2kcal/min 이다. Hertig 의 식을 이용했을 때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은 약 몇 % 인가?

  1. 41
  2. 46
  3. 51
  4. 56
(정답률: 57%)
  • 작업 중인 근로자의 하루 총 에너지 소비량은 다음과 같다.

    16.5kcal/min × 60min × 8시간 = 7,920kcal

    하지만 이 중에서 작업대사량으로 인한 소비는 다음과 같다.

    10kcal/min × 60min × 8시간 = 4,800kcal

    따라서 실제 작업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는 7,920kcal - 4,800kcal = 3,120kcal 이다.

    휴식 시간 동안의 대사량은 1.2kcal/min 이므로, 적절한 휴식 시간 비율을 x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3,120kcal = (10kcal/min × 60min × (8시간 × (1 - x)))) + (1.2kcal/min × 60min × (8시간 × x))

    이를 정리하면,

    3,120kcal = 4,800kcal × (1 - x) + 576kcal × x

    3,120kcal = 4,800kcal - 1,000.8kcalx

    x = 1 - 0.65 = 0.35

    따라서 적절한 휴식 시간 비율은 35%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휴식 시간 비율이 아니라 적절한 작업 시간 비율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작업 시간 비율은 1 - 0.35 = 0.65 이다.

    Hertig 의 식에서 적절한 작업 시간 비율은 0.5 이상이어야 하므로, 0.65는 적절한 작업 시간 비율이다.

    따라서 정답은 "5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세계 최초의 직업성 암으로 보고된 음낭암의 원인물질로 규명된 것은?

  1. 납(lead)
  2. 황(sulfur)
  3. 구리(copper)
  4. 검댕(soot)
(정답률: 86%)
  • 음낭암은 검댕에 노출된 직업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검댕은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입자로, 이를 마시거나 흡입하면 폐에 침착되어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댕은 음낭암의 원인물질로 규명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근육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혐기성 대사와 호기성 대사를 통해 생성된다. 혐기성과 호기성 대사에 모두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1. 지방(fat)
  2. 단백질(protein)
  3. 포도당(glucose)
  4. 아데노신삼인산(ATP)
(정답률: 76%)
  • 포도당은 혐기성 대사와 호기성 대사 모두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이기 때문에 근육운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합니다. 지방과 단백질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만, 포도당보다는 대사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근육운동에서는 주로 포도당이 사용됩니다. ATP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에너지원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무실 실내환경의 복사기, 전기기구, 전기집진기형 공기정화기에서 주로 발생되는 유해 공기오염물질은?

  1. O3
  2. CO2
  3. VOCs
  4. HCHO
(정답률: 71%)
  • 복사기, 전기기구, 전기집진기형 공기정화기에서 발생되는 유해 공기오염물질은 대부분 VOCs와 HCHO입니다. 이들 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O3은 이들과 달리 이들 기기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O3은 이들 기기에서 발생하는 유해 공기오염물질이 아니며,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메틸에틸케톤(MEK) 50 ppm(TLV 200 ppm), 트리클로로에틸렌(TCE) 25 ppm(TLV 50 ppm), 크실렌(Xylene) 30 ppm(TLV 100 ppm)이 공기 중 혼합물로 존재할 경우 노출지수와 노출기준 초과여부로 맞는 것은? (단, 혼합물질은 상가작용을 한다.)

  1. 노출지수 0.5, 노출기준 미만
  2. 노출지수 0.5, 노출기준 초과
  3. 노출지수 1.05, 노출기준 미만
  4. 노출지수 1.05, 노출기준 초과
(정답률: 84%)
  • 각 물질의 TLV를 고려하여 노출지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MEK: 50 ppm / 200 ppm = 0.25
    - TCE: 25 ppm / 50 ppm = 0.5
    - Xylene: 30 ppm / 100 ppm = 0.3

    이들 값을 더한 후, 상가작용을 고려하여 1.05를 곱해 노출지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노출지수 = (0.25 + 0.5 + 0.3) x 1.05 = 1.05

    노출지수가 1을 초과하므로 노출기준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노출지수 1.05, 노출기준 초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무게 10kg의 물건을 근로자가 들어 올리려고 한다. 해당 작업조건의 권고기준(RWL)이 5kg이고 이동거리가 20cm 일 때, 중량물 취급지수(LI)는 얼마인가? (단, 1분 2회씩 1일 8시간을 작업한다.)

  1. 1
  2. 2
  3. 3
  4. 4
(정답률: 72%)
  • 답은 "2"이다.

    근로자가 들어올리는 물건의 중량은 10kg이고, 권고기준(RWL)은 5kg이므로 작업강도는 10kg/5kg = 2가 된다.

    이동거리가 20cm이므로, 작업시간은 20cm/40cm = 0.5가 된다.

    1분에 2회씩 1일 8시간을 작업하므로, 작업시간은 8시간 x 60분 x 2회 = 960분이 된다.

    따라서, 중량물 취급지수(LI)는 작업강도(2) x 작업시간(0.5) x 작업시간당 에너지소비량(1) = 1이 된다.

    즉, 보기에서 정답이 "2"인 이유는 작업강도와 작업시간이 권고기준을 벗어나지 않아서 중량물 취급지수(LI)가 1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작업대사율이 4인 경우 실동율은 약 몇 % 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식을 적용한다.)

  1. 25
  2. 40
  3. 65
  4. 85
(정답률: 79%)
  • 작업대사율이 4인 경우, 사이또와 오시마식을 적용하면 실동율은 0.85 * 0.65 * 4 = 2.21이 된다. 따라서, 실동율은 2.21 / 4 * 100 = 55.25% 이다. 하지만, 실제 작업에서는 일부 작업이 중복되거나, 작업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값을 약간 높여줘야 한다. 일반적으로 작업대사율에 20% 정도를 더해준 값을 실동율로 사용한다. 따라서, 55.25% + 20% = 65%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피로의 발생요인 중 작업부하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적응 조건
  2. 작업 강도
  3. 작업 자세
  4. 조작 방법
(정답률: 71%)
  • 산업피로의 발생요인 중 작업부하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적응 조건"입니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조건을 말하며, 작업 부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작업 강도, 작업 자세, 조작 방법은 모두 작업 부하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산업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용 근로자 건강진단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근로자가 가진 질병의 조기 발견
  2. 질병이완 근로자의 질병 치료 및 취업 제한
  3. 근로자가 일에 부적합한 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여부 확인
  4. 일이 근로자 자신과 직장동료의 건강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의 발견
(정답률: 77%)
  • 상용 근로자 건강진단의 목적은 근로자가 가진 질병의 조기 발견과 근로자가 일에 부적합한 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여부 확인, 그리고 일이 근로자 자신과 직장동료의 건강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의 발견입니다. 따라서, "질병이완 근로자의 질병 치료 및 취업 제한"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이미 질병이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다음 중 작업장 내 소음을 측정 시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A특성
  2. W특성
  3. E특성
  4. S특성
(정답률: 83%)
  • 작업장 내 소음을 측정 시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이다. 이는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라 작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인간의 청각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것이다. A특성은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어, 낮은 주파수의 소음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작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저주파수 소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 및 증기시료 채취 시 사용되는 고체흡착식 방식 중 활성탄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압이 낮고 반응성이 있는 물질의 분리에 사용된다.
  2. 제조과정 중 탄하과정은 약 600℃의 무산소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3. 포집한 시료는 이황화탄소로 탈착시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미량 분석이 가능하다.
  4. 사업장에 작업 시 발생되는 유기용제를 포집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40%)
  • "제조과정 중 탄하과정은 약 600℃의 무산소 상태에서 이루어진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활성탄은 고체흡착제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증기압이 낮고 반응성이 있는 물질의 분리에 사용된다. 이는 활성탄의 미세한 구조 안에 있는 다양한 화학적인 기능성 그룹들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포집한 시료는 이황화탄소로 탈착시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미량 분석이 가능하며, 사업장에 작업 시 발생되는 유기용제를 포집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작업장의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대습도는 ppm 으로 나타낸다.
  2. 온도변화에 따라 상대습도는 변한다.
  3. 온도변화에 따라 포화수증기량은 변한다.
  4. 공기 중 상대습도가 높으면 불쾌감을 느낀다.
(정답률: 71%)
  • 정답: "상대습도는 ppm 으로 나타낸다."

    이유: 상대습도는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며, ppm은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상대습도는 ppm으로 나타낼 수 없다. 상대습도는 대기 중 포화수증기량과 현재 수증기량의 비율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먼지 입경에 따른 여과 메커니즘 및 채취효율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약 0.3μm 인 입자가 가장 낮은 채취효율을 가진다.
  2. 0.1μm 미만인 입자는 주로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
  3. 0.1μm ~ 0.5μm 입자는 주로 확산 및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
  4. 입자크기는 먼지채취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정답률: 60%)
  • 먼지 입경이 작아질수록 여과 메커니즘이 바뀌게 되며, 입자 크기가 더 작아질수록 간섭이라는 메커니즘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0.1μm 미만인 입자는 주로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 이유는 이 작은 입자들은 여과매질의 섬유 사이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매질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간섭에 의해 채취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약 0.3μm 인 입자가 가장 낮은 채취효율을 가진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동차 도장공정에서 노출되는 톨루엔의 측정 결과 85ppm 이고, 1일 10시간 작업한다고 가정할 때, 고용노동부에서 규정한 보정노출기준(ppm)과 노출평가결과는? (단, 톨루엔의 8시간 노출기준은 100ppm 이라고 가정한다.)

  1. 보정 노출기준 : 30, 노출평가결과 : 미만
  2. 보정 노출기준 : 50, 노출평가결과 : 미만
  3. 보정 노출기준 : 80, 노출평가결과 : 초과
  4. 보정 노출기준 : 125, 노출평가결과 : 초과
(정답률: 52%)
  • 톨루엔의 8시간 노출기준은 100ppm 이므로, 10시간 노출 시에는 125ppm이 되어야 초과로 판정된다. 따라서 보정 노출기준이 80ppm이고, 노출평가결과가 초과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스상 물질의 시료 포집 시 사용하는 액체포집방법의 흡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채취속도를 높여 채취유량을 줄이는 방법
  2. 채취효율이 좋은 프리티드 버블러 등의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
  3. 흡수용액의 온도를 낮추어 오염물질의 휘발성을 제한하는 방법
  4. 두 개 이상의 버블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채취효율을 높이는 방법
(정답률: 70%)
  • 시료채취속도를 높여 채취유량을 줄이는 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시료를 빠르게 채취하면서 흡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시료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료채취속도를 높이는 대신, 채취효율이 좋은 기구를 사용하거나 흡수용액의 온도를 낮추어 오염물질의 휘발성을 제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직경분립충돌기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자의 질량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다.
  2. 시료채취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3. 흡입성, 흉곽성, 호흡성 입자의 크기별로 분포를 얻을 수 있다.
  4. 호흡기에 부분별로 침착된 입자크기의 자료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정답은 "흡입성, 흉곽성, 호흡성 입자의 크기별로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입니다.

    직경분립충돌기는 입자의 크기별로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 중 하나입니다. 이 기기는 입자가 충돌하여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별 분포를 측정합니다.

    하지만 시료채취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은 다른 입자 크기 분포 측정 기기와 비교하여의 장점입니다. 직경분립충돌기는 샘플의 양이 적어도 되고, 측정 시간이 짧아 비용이 저렴합니다. 따라서 대량의 시료를 측정할 때는 다른 기기보다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옥외 작업장(태양광선이 내리쬐는 장소)의 WBGT 지수 값은 얼마인가? (단, 자연습구온도 : 29℃, 건구온도 : 33℃, 흑구온도 : 36℃, 기류속도 : 1m/s 이고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29.7℃
  2. 30.8℃
  3. 31.6℃
  4. 32.3℃
(정답률: 79%)
  • WBGT 지수는 자연습구온도, 건구온도, 흑구온도, 기류속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으로, 작업장 내 열환경을 평가하는 지수이다.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르면, 옥외 작업장에서의 WBGT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BGT 지수 = 0.7 × 건구온도 + 0.2 × 흑구온도 + 0.1 × 자연습구온도

    + 0.1 × 기류속도 × (온도차)

    여기서 온도차는 건구온도와 자연습구온도의 차이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WBGT 지수 = 0.7 × 33℃ + 0.2 × 36℃ + 0.1 × 29℃ + 0.1 × 1m/s × (33℃ - 29℃)

    = 23.1 + 7.2 + 2.9 + 0.4

    = 33.6℃

    따라서, 옥외 작업장에서의 WBGT 지수는 33.6℃이다.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30.8℃"이므로,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1,1-Trichloroethane 1750 mg/m3을 ppm 단위로 환산한 것은? (단, 25℃, 1기압, 1,1,1-Trichloroethane의 분자량은 133 이다.)

  1. 약 227 ppm
  2. 약 322 ppm
  3. 약 452 ppm
  4. 약 527 ppm
(정답률: 62%)
  • 먼저, ppm은 천만분율을 의미하므로, mg/m3을 ppm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분자량과 천만을 곱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1750 mg/m3을 ppm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750 mg/m3 × (1 mol/133 g) × (106 cm3/m3) = 약 322 ppm

    따라서, 정답은 "약 322 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분석시료의 휘발성을 이용한다.
  2.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분석시료의 용해성을 이용한다.
  3.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기전은 이온배제, 이온교환, 이온분배이다.
  4.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이동상은 기체이고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이동상은 액체이다.
(정답률: 63%)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기전은 이온배제, 이온교환, 이온분배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기전은 주로 흡착, 크기배제, 화학적 상호작용 등이 사용된다. 이온배제, 이온교환, 이온분배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납흄에 노출되고 있는 근로자의 납 노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0.056 mg/m3 이었다. 미국 OSHA의 평가방법에 따라 이 근로자의 노출을 평가하면? (단, 시료채취 및 분석오차(SAE) = 0.082 이고 납에 대한 허용기준은 0.05 mg/m3 이다.)

  1. 판정할 수 없음
  2. 허용기준을 초과함
  3.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음
  4. 허용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음
(정답률: 64%)
  • 평가방법에 따라 계산한 결과, 근로자의 노출농도는 0.056 mg/m3 이고, 이 값은 허용기준인 0.05 mg/m3 보다 높다. 따라서 이 근로자의 노출은 "허용기준을 초과함" 이다. 이유는 납에 대한 허용기준인 0.05 mg/m3을 초과하는 노출은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사노출그룹을 가장 세분하게 분류할 때, 다음 중 분류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정
  2. 조직
  3. 업무
  4. 작업범주
(정답률: 57%)
  • 유사노출그룹을 가장 세분하게 분류할 때, "업무"가 가장 적합한 기준이다. 이는 유사한 작업 내용이나 업무 범주를 가진 광고 그룹을 함께 묶어서 관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행사 광고 그룹과 호텔 예약 광고 그룹은 서로 다른 업무 범주를 가지고 있으므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일반적인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약 2 ~ 2000 Hz
  2. 약 20 ~ 20000 Hz
  3. 약 200 ~ 200000 Hz
  4. 약 2000 ~ 2000000 Hz
(정답률: 76%)
  • 정답은 "약 20 ~ 20000 Hz" 이다. 이는 인간의 청각 범위가 대략 20 ~ 20000 Hz 이기 때문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는 인간이 듣지 못한다. 예를 들어, "약 2 ~ 2000 Hz"는 낮은 주파수 범위로, 대부분의 인간은 들을 수 있지만, 높은 주파수 범위인 "약 200 ~ 200000 Hz"는 대부분의 인간이 들을 수 없다. "약 2000 ~ 2000000 Hz"는 고주파 범위로, 대부분의 인간은 들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입자상물질의 크기 표시 중 입자의 면적을 2등분하는 선의 길이로 과소평가의 위험이 있는 것은?

  1. 페렛 직경
  2. 마틴 직경
  3. 등면적 직경
  4. 공기역학적 직경
(정답률: 73%)
  • 마틴 직경은 입자의 질량과 부피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된 값으로, 입자의 면적을 2등분하는 선의 길이를 기준으로 크기를 표시한다. 따라서 입자의 형태와 모양에 따라 과소평가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입자의 형태와 모양에 따라 과소평가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여과지에 금속농도 100mg을 첨가한 후 분석하여 검출된 양이 80mg이었다면 회수율 몇 % 인가?

  1. 40
  2. 80
  3. 125
  4. 150
(정답률: 77%)
  • 회수율은 첨가한 양과 검출된 양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회수율은 (검출된 양 ÷ 첨가한 양)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첨가한 양이 100mg이고 검출된 양이 80mg이므로, (80 ÷ 100) × 100 = 80%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기 중 석면시료분석에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석면의 감별 분석이 가능하며 위상차 현미경으로 볼 수 없는 매우 가는 섬유도 관찰이 가능하지만, 값이 비싸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방법은?

  1. X선 회절법
  2. 편광현미경법
  3. 전자현미경법
  4. 직독식현미경법
(정답률: 76%)
  • 전자현미경법은 고에너지 전자를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고해상도로 관찰하는 방법으로, 석면의 섬유 구조를 더욱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자현미경법은 석면의 화학 조성도 분석할 수 있어서, 석면의 감별 분석에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값이 비싸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현미경법은 석면시료분석에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비용과 시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탈착효율 실험은 고체흡착관을 이용하여 채취한 유기용제의 분석에 관련된 실험이다. 이 실험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탈착효율의 보정
  2. 시약의 오염 보정
  3. 흡착관의 오염 보정
  4. 여과지의 오염 보정
(정답률: 53%)
  • 탈착효율 실험의 목적은 채취한 유기용제의 정량 분석이다. 따라서 "여과지의 오염 보정"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여과지의 오염 보정은 여과지 자체의 오염을 보정하는 것으로, 유기용제의 분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활성탄관으로 포집한 시료를 열탈착할 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작업이 번잡하다.
  2. 탈착효율이 나쁘다.
  3. 300℃ 이상 고온에서 사용 가능하다.
  4. 한 번에 모든 시료가 주입되어 여분의 분석물질이 남지 않는다.
(정답률: 57%)
  • 활성탄관은 작은 용량의 시료를 처리할 때 유용하며, 한 번에 모든 시료가 주입되어 여분의 분석물질이 남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시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표준기구에 관한 섬령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활량계는 1차 용량표준으로 자주 사용된다.
  2. 펌프의 유량을 보정하는데 1차 표준으로 비누거품 미터가 널리 사용된다.
  3. 1차 표준기구는 물리적 차원인 공간의 부피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한다.
  4. Wet-test meter(용량측정용)는 용량측정을 위한 1차 표준으로 2차 표준용량 보정에 사용된다.
(정답률: 65%)
  • "폐활량계는 1차 용량표준으로 자주 사용된다."와 "펌프의 유량을 보정하는데 1차 표준으로 비누거품 미터가 널리 사용된다."는 용량 측정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분야의 표준기구이다. "1차 표준기구는 물리적 차원인 공간의 부피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한다."는 표준기구의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Wet-test meter가 1차 표준으로 사용되는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Wet-test meter(용량측정용)는 용량측정을 위한 1차 표준으로 2차 표준용량 보정에 사용된다."이다. Wet-test meter는 용량 측정을 위한 표준기구로, 2차 표준용량 보정에 사용된다는 것은 더 높은 정확도를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흡습성이 적고 가벼워 먼지의 중량분석, 유리규산채취, 6가 크롬 채취에 적용되는 여과지는?

  1. PVC 여과지
  2. 은막 여과지
  3. 유리섬유 여과지
  4. 셀루로오스에스테르 여과지
(정답률: 73%)
  • PVC 여과지는 흡습성이 적고 가벼워 먼지의 중량분석, 유리규산채취, 6가 크롬 채취에 적합합니다. 이는 PVC 여과지가 물에 잘 녹지 않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VC 여과지는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여과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을 검정할 때 사용하는 먼지의 크기는 몇 μm 인가?

  1. 0.1
  2. 0.3
  3. 0.5
  4. 1.0
(정답률: 72%)
  •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을 검정할 때 사용하는 먼지의 크기는 0.3μm 이다. 이는 인체 호흡기에서 가장 깊숙히 침투하는 미세먼지의 크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이 크기의 먼지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입자상 물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분진
  2. 증기
  3. 미스트
(정답률: 57%)
  • 증기는 기체 상태이기 때문에 입자가 없으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입자가 존재하는 고체나 액체 상태의 물질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적외선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으로 가시광선에 가까운 쪽을 근적외선, 먼 쪽을 원적외선이라고 부른다.
  2.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화학작용을 수반하지 않는다.
  3. 적외선에 강하게 노출되면 각막염, 백내장과 같은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4. 적외선은 지속적 적외선, 맥동적 적외선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45%)
  •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화학작용을 수반하지 않는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적외선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을 가지고 있다. 이 파장에 따라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으로 구분되며, 근적외선은 가시광선에 가까운 파장을 가지고 있고, 원적외선은 가시광선에서 멀리 떨어진 파장을 가지고 있다. 적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열을 감지하거나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 등에 활용된다. 따라서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화학작용을 수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음압레벨이 80dB로 동일한 두 소음이 합쳐질 경우 총 음압레벨은 약 몇 dB 인가?

  1. 81
  2. 83
  3. 85
  4. 87
(정답률: 73%)
  • 음압레벨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두 소음이 합쳐질 경우에는 각각의 음압레벨을 제곱한 값의 합의 제곱근을 구해야 한다.

    80dB의 소음의 음압은 10^8/20 = 10^4Pa 이다.

    따라서, 두 개의 80dB 소음이 합쳐질 경우,

    Lp = 10log10[(10^4+10^4)/10^-12]

    = 10log10[2x10^4/10^-12]

    = 10log10[2x10^16]

    = 10(16.3)

    ≈ 83dB

    따라서, 정답은 "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감압병 예방을 위한 환경 관리 및 보건관리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가스 대신 헬륨가스를 흡입시켜 작업하게 한다.
  2. 감압을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시행한다.
  3. 비만자의 작업을 금지시킨다.
  4. 감압이 완료되면 산소를 흡입시킨다.
(정답률: 67%)
  • 정답: "비만자의 작업을 금지시킨다."

    감압병은 고도의 압력환경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만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비만자의 작업을 금지시키는 것은 감압병 예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감압을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시행하는 것은 감압병 예방을 위한 중요한 대책 중 하나입니다. 감압을 빠르게 시행하면 체내의 질소가 빠르게 방출되어 감압병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한랭작업장에서 위생상 준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조한 양말의 착용
  2. 적절한 온열장치 이용
  3. 팔다리 운동으로 혈액순환 촉진
  4. 약간 작은 장갑과 방한화의 착용
(정답률: 84%)
  • 정답은 "적절한 온열장치 이용"입니다.

    한랭작업장에서는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체온 유지를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해야 합니다. 따라서 건조한 양말의 착용과 팔다리 운동으로 혈액순환 촉진은 체온 유지에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또한 약간 작은 장갑과 방한화의 착용은 손과 발을 보호하여 체온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적절한 온열장치 이용은 체온 유지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온열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장 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작업자들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온열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위생상 준수해야 할 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밀폐공간에서 작업할 때 관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 시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확인 후 작업을 시작한다.
  2. 작업장에 들어가기 전에 산소농도와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3. 환기량은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약 10% 많게 한다.
  4. 산소결핍 및 황화수소의 노출이 과도하게 우려되는 작업장에서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80%)
  • 산소결핍 및 황화수소의 노출이 과도하게 우려되는 작업장에서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는 것은 관리 방법으로 옳은 것이다. 이유는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 노출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비타민 D의 형성과 같이 생물학적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하는 Dorno 선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UV-A
  2. UV-B
  3. UV-C
  4. UV-S
(정답률: 66%)
  • 정답: "UV-B"

    설명: Dorno 선은 피부 내부에 위치한 선으로, 비타민 D의 형성과 같이 생물학적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합니다. 이러한 Dorno 선은 주로 자외선 중에서도 UV-B 파장에 의해 자극을 받아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UV-B 파장이 Dorno 선과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UV-A, UV-C, UV-S는 Dorno 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1/1 옥타브밴드의 중심주파수가 500Hz일 때, 하한과 상한 주파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정비형 필터 기준으로 한다.)

  1. 354 Hz, 707 Hz
  2. 362 Hz, 724 Hz
  3. 373 Hz, 746 Hz
  4. 382 Hz, 764 Hz
(정답률: 47%)
  • 정비형 필터는 중심주파수에서 -3dB 감쇠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한과 상한 주파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중심주파수에서 -3dB 감쇠되는 주파수를 구하면 된다.

    -3dB 감쇠는 원래 신호의 약 70.7% 정도의 크기가 남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여 하한과 상한 주파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하한 주파수 = 500Hz / √2 ≈ 354 Hz
    상한 주파수 = 500Hz x √2 ≈ 707 Hz

    따라서, 정답은 "354 Hz, 707 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분진흡입에 따른 진폐증 분류 중 유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은?

  1. 규폐증
  2. 주석폐증
  3. 농부폐증
  4. 탄소폐증
(정답률: 57%)
  • 유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은 농부폐증입니다. 농부폐증은 작물 재배나 가축 사육 등 농업 작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분진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진폐증입니다. 이러한 분진은 호흡기에 침투하여 폐에 염증을 일으키고, 만성적으로 노출될 경우 폐 기능 저하와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입자상 물질이 호흡기 내로 침착하는 작용기전이 아닌 것은?

  1. 침강
  2. 확산
  3. 회피
  4. 충돌
(정답률: 79%)
  • 입자상 물질이 호흡기 내로 침착하는 작용기전은 입자가 호흡기 내 벽면에 부딪혀서 침착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회피"는 입자가 호흡기 내 벽면을 피해 다른 경로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자가 벽면에 부딪히지 않고 회피하는 것은 호흡기 내로 침착하는 작용기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업장에서 훈련된 착용자들이 적절히 밀착이 이루어진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최소 보호정도치는?

  1. 정도보호계수
  2. 밀착보호계수
  3. 할당보호계수
  4. 기밀보호계수
(정답률: 68%)
  • 기대되는 최소 보호정도치는 "할당보호계수"이다.

    할당보호계수는 호흡기 보호구가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작업장에서 훈련된 착용자들이 적절히 밀착이 이루어진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하였을 때, 이 보호구가 얼굴에 밀착되어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보호구의 할당보호계수가 최소한 10이 되어야 한다고 권장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공조명의 조명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접조명은 강한 음영으로 분위기를 온화하게 만든다.
  2. 간접조명은 설비비가 많이 소요된다.
  3. 직접조명은 조명효율이 크다.
  4. 일반적으로 분류하는 인공적인 조명방법은 직접조명, 간접조명, 반간접조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65%)
  • "간접조명은 강한 음영으로 분위기를 온화하게 만든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간접조명은 직접적으로 물체를 비추지 않고 벽이나 천장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하는 방법으로, 강한 음영이 아닌 부드러운 조명 효과를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음압레벨(Lp)을 구하는 식은? (단, P : 측정되는 음압, P0 : 기준음압)

(정답률: 67%)
  • 음압레벨(Lp)을 구하는 식은 Lp = 20log(P/P0)이다. 이 식은 로그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음압(P)과 기준음압(P0)의 비율을 20배한 값에 로그를 취한 것이다. 이 때, 로그함수는 입력값의 차이가 크면 크게 변화하고, 작으면 작게 변화하기 때문에 음압의 차이를 크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Lp는 음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음압이 작을수록 Lp는 작아지고, 음압이 클수록 Lp는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Lp는 음압의 크기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에서 음원의 방향성(directivity)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64%)
  • 음원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진행하고 있으므로, 방향성은 "4"번인 "우측 하단 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방진마스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0급
  2. 1급
  3. 2급
  4. 특급
(정답률: 83%)
  • "0급"은 방진마스크의 종류가 아니라, 방수성능을 나타내는 등급이다. 방진마스크의 등급은 "1급", "2급", "특급"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작업과 관련 위생 보호구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전기 용접 작업 - 차광안경
  2. 분무 도장작업 – 방진 마스크
  3. 갱내의 토석 굴착 작업 – 방독 마스크
  4. 철판 절단을 위한 프레스 작업 – 고무제 보호의
(정답률: 74%)
  • 전기 용접 작업에서는 강한 빛과 자외선 방출로 인해 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차광안경이 필요하다. 분무 도장작업에서는 먼지와 화학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방진 마스크가 필요하다. 갱내의 토석 굴착 작업에서는 먼지와 유해 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방독 마스크가 필요하다. 철판 절단을 위한 프레스 작업에서는 고무제 보호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먼지 시료를 채취하는 여과지 선정의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여과지 무게
  2. 흡습성
  3. 기계적인 강도
  4. 채취효율
(정답률: 55%)
  • 여과지 무게는 먼지 시료를 채취하는 여과지의 고려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먼지 시료의 양과 여과지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여과지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고려사항인 흡습성, 기계적인 강도, 채취효율은 모두 여과지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이상기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면 하에서의 압력은 수심이 10m가 깊어질 때마다 약 1기압씩 높아진다.
  2. 공기 중의 질소 가스는 2기압 이상에서 마취 증세가 나타난다.
  3. 고공성 폐수종은 어른보다 어린이에게 많이 일어난다.
  4. 급격한 감압 조건에서는 혈액과 조직에 용해되어 있던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정답률: 73%)
  • "공기 중의 질소 가스는 2기압 이상에서 마취 증세가 나타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공기 중의 질소 가스는 고기압 환경에서 용해되어 혈액과 조직에 흡수된 후, 갑작스러운 감압 조건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마취 증세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잠수사나 고산에서의 등반 등 고기압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저온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는?

  1. 감압증
  2. 산식증
  3. 고산병
  4. 참호족
(정답률: 77%)
  • 저온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 중 참호족이 정답인 이유는, 참호족은 고산지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겪는 고도변화에 대한 적응부족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도 2500m 이상에서 발생하는 고산병과는 다른 질환입니다. 감압증은 고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산식증은 고산지대에서 공기가 희박해져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저온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 중 참호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자유공간에 떠 있는 직경 20cm 인 원형개구후드의 개구면으로부터 20cm 떨어진 곳의 입자를 흡인하려고 한다. 제어풍속을 0.8 m/s로 할 때 필요환기량은 약 몇 m3/min 인가?

  1. 5.8
  2. 10.5
  3. 20.7
  4. 30.4
(정답률: 4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산업환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형덕트를 우선시 한다.
  2. 합류점에서 정압이 큰 쪽이 공기흐름을 지배하므로 지배정압(SP governing)이라 한다.
  3. 댐퍼를 이용한 균형방법은 주로 시설 설치 전에 댐퍼를 가지덕트에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4. 후드 정압은 정지상태의 공기를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속도압)와 난류손실의 합으로 표현된다.
(정답률: 49%)
  • "댐퍼를 이용한 균형방법은 주로 시설 설치 전에 댐퍼를 가지덕트에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가 틀린 것이다. 댐퍼를 이용한 균형방법은 시설 설치 후에 댐퍼를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설 운영 중에 유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원심력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백필터(bag filter)
  2. 스크러버(scrubber)
  3. 사이클론(cyclone)
  4. 충진탑(packed tower)
(정답률: 82%)
  • 사이클론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입자를 분리하는 공기정화장치입니다. 공기와 먼지가 회전하는 원통형 용기 안에서 원심력에 의해 먼지가 중심으로 모이고, 중심부로 이동한 먼지는 분리되어 밑부분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렇게 분리된 먼지는 밑부분에서 배출되어 처리됩니다. 따라서 사이클론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공기정화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체환기시설의 설치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물질이 증기나 가스인 경우
  2. 오염물질의 발생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3. 오염물질의 노출기준 값이 매우 작은 경우
  4. 동일한 작업장에 오염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정답률: 51%)
  • 정답은 "오염물질의 노출기준 값이 매우 작은 경우"입니다. 이유는 오염물질의 노출기준 값이 매우 작은 경우, 오염물질이 작은 양이라도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전체환기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최대한 제거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염물질의 발생량이나 형태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설치조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의 내용에서 ㉠, ㉡에 해당하는 숫자로 맞는 것은?

  1. ㉠ : 1/3, ㉡ : 1/8
  2. ㉠ : 1/12, ㉡ : 1/6
  3. ㉠ : 1/6, ㉡ : 1/12
  4. ㉠ : 1/9, ㉡ : 1/16
(정답률: 54%)
  • 이 문제는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입니다.

    먼저 ㉠를 보면, 분모가 9인 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은 1/9입니다. 따라서 ㉠는 1/9보다 작을 수 없습니다.

    다음으로 ㉡를 보면, 분모가 16인 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은 1/16입니다. 따라서 ㉡는 1/16보다 작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 : 1/9, ㉡ : 1/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후드에서의 유입손실이 전혀 없는 이상적인 후드의 유입계수는 얼마인가?

  1. 0
  2. 0.5
  3. 0.8
  4. 1.0
(정답률: 63%)
  • 이상적인 후드에서는 유입손실이 전혀 없기 때문에 유입계수는 1.0이어야 합니다. 유입계수는 후드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량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상적인 후드에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과 후드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량이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유입계수는 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작업장 내의 열부하량이 200000 kcal/h 이며, 외부의 기온은 25℃ 이고, 작업장 내의 기온은 35℃ 이다. 이러한 작업장의 전체환기에 필요환기량(m3/min)은 약 얼마인가?

  1. 1100
  2. 1600
  3. 2100
  4. 2600
(정답률: 35%)
  • 작업장 내의 열부하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작업장 내부의 공기는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체환기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전체환기에 필요한 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환기량 = 열부하량 ÷ (1.2 × (내부온도 - 외부온도))

    여기서 1.2는 공기의 비열, 내부온도와 외부온도는 각각 절대온도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필요환기량 = 200000 ÷ (1.2 × (308 - 298)) ≈ 1100 (m3/min)

    따라서 정답은 "1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해가스의 처리방법 중, 연소를 통한 처리방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처리경비가 저렴하다.
  2. 제거효율이 매우 높다.
  3. 저농도 유해물질에도 적합하다.
  4.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여야 한다.
(정답률: 55%)
  • "제거효율이 매우 높다.", "저농도 유해물질에도 적합하다.", "처리경비가 저렴하다."는 모두 연소를 통한 처리방법의 장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연소를 통해 유해가스를 처리할 때,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어야만 유해물질이 분해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보통 연소로 처리하는 시설에서는 연소로 들어가는 공기를 가열시켜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급기구와 배기구의 직경을 d라고 할 때, 급기구와 배기구로부터 각각 일정거리에서의 유속이 최초 속도의 10%가 되는 거리는 얼마인가?

  1. 급기구 : 1d, 배기구 : 30d
  2. 급기구 : 2d, 배기구 : 10d
  3. 급기구 : 10d, 배기구 : 2d
  4. 급기구 : 30d, 배기구 : 1d
(정답률: 48%)
  • 유속은 유체의 흐름 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 시간당 유체가 흐르는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속이 최초 속도의 10%가 되는 거리는 일정한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급기구와 배기구의 직경이 d일 때, 급기구와 배기구로부터 일정거리에서의 유속이 최초 속도의 10%가 되는 거리를 구해보겠습니다.

    급기구의 경우, 유속은 직경이 작을수록 빠릅니다. 따라서 최초 속도의 10%가 되는 거리는 직경이 1d일 때 가장 짧습니다.

    배기구의 경우, 유속은 직경이 클수록 빠릅니다. 따라서 최초 속도의 10%가 되는 거리는 직경이 30d일 때 가장 짧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급기구 : 1d, 배기구 : 30d"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국소배기장치의 설계순서를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3%)
  • 일반적인 국소배기장치의 설계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배기가스의 특성 파악 (㉡)
    2. 배기가스의 처리 방법 결정 (㉥)
    3.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구성 (㉠)
    4.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의 세부 설계 (㉤)
    5.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의 제작 및 설치 (㉣)
    6.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이 중에서도 먼저 배기가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처리 방법을 결정하고 시스템을 구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후에는 시스템의 세부 설계, 제작 및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국소배기장치의 투자비용과 전력소모비를 적게 하기 위하여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1. 제어속도를 최대한 증가시킨다.
  2. 덕트의 직경을 최대한 크게 한다.
  3. 후드의 필요 송풍량을 최소화 한다.
  4. 배기량을 많게 하기 위해 발생원과 후드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멀게 한다.
(정답률: 70%)
  • 국소배기장치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부분은 송풍기이다. 따라서 후드의 필요 송풍량을 최소화하여 송풍기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후드의 크기와 위치, 발생원과 후드 사이의 거리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작업장의 크기가 세로 20m, 가로 30m, 높이 6m이고, 필요환기량이 120m3/min 일 때, 1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몇 회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3%)
  • 공기교환 횟수는 1시간에 몇 번이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필요환기량을 1시간으로 나눈 후 작업장의 부피로 나누어주면 된다.

    1분당 필요환기량 = 120m3/min
    1시간당 필요환기량 = 120m3/min x 60min = 7200m3/h

    작업장의 부피 = 20m x 30m x 6m = 3600m3

    공기교환 횟수 = 7200m3/h ÷ 3600m3 = 2회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자연환기방식에 의한 전체환기의 효율은 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1. 풍압과 실내·외 온도차이
  2. 대기압과 오염물질의 농도
  3. 오염물질의 농도와 실내·외 습도 차이
  4. 작업자 수와 작업장 내부 시설의 위치
(정답률: 64%)
  • 자연환기방식은 실내와 외부의 공기를 자연적인 방법으로 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의 전체환기 효율은 주로 풍압과 실내·외 온도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데, 이때 외부의 공기와 실내의 공기의 온도차이가 클수록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외부의 공기와 실내의 공기의 압력차이가 클수록 공기의 유입이 더욱 원활해지기 때문에 풍압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연환기방식에서는 풍압과 실내·외 온도차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전체환기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압, 속도압, 정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속도압은 항상 양압이다.
  2. 정압은 속도압에 의존하여 발생한다.
  3. 전압은 속도압과 정압을 합한 값이다.
  4. 송풍기의 전·후 위치에 따라 덕트 내의 정압이 음(-)이나 양(+)으로 된다.
(정답률: 63%)
  • 정압은 속도압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속도압은 유체가 흐르는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압력이며, 유체의 운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가 높을수록 속도압도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구간에서 속도가 빠른 부분은 속도압이 높아지고, 느린 부분은 속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때, 속도압의 차이가 발생하면서 정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압은 속도압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것입니다. 전압은 속도압과 정압을 합한 값이며, 송풍기의 전·후 위치에 따라 덕트 내의 정압이 음(-)이나 양(+)으로 된다는 것은 정압의 변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속도압은 항상 양압이라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유체의 속도가 느려지는 부분에서는 속도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양압이 아닌 음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어느 공기정화장치의 압력손실이 300 mmH2O, 처리가스량이 1000m3/min, 송풍기의 효율이 80% 이다. 이 장치의 소요 동력은 약 몇 kW 인가?

  1. 56.9
  2. 61.3
  3. 72.5
  4. 80.6
(정답률: 51%)
  • 공기정화장치의 압력손실과 처리가스량으로부터 송풍기의 토출가스량을 구할 수 있다.

    송풍기의 토출가스량 = 처리가스량 + 압력손실 = 1000m3/min + 300 mmH2O

    송풍기의 효율이 80% 이므로, 소요 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소요 동력 = (송풍기의 토출가스량 × 압력) ÷ (효율 × 102 × 밀도)

    여기서, 압력은 Pa 단위로 변환해야 하므로 300 mmH2O를 Pa로 변환하면 2942.7 Pa 이다. 밀도는 공기의 밀도인 1.2 kg/m3을 사용한다.

    따라서, 소요 동력은 다음과 같다.

    소요 동력 = (1000m3/min + 2942.7 Pa) × 2942.7 Pa ÷ (0.8 × 102 × 1.2 kg/m3) ≈ 61.3 kW

    따라서, 정답은 "61.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80℃에서 공기의 부피가 5m3 일 때, 21℃에서 이 공기의 부피는 약 몇 m3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1.2 kg/m3 이고, 기압의 변동은 없다.)

  1. 4.2
  2. 4.8
  3. 5.2
  4. 5.6
(정답률: 40%)
  • 가열법칙에 의해, 온도가 변하더라도 기압이 일정하다면, 공기의 부피와 온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V1/T1 = V2/T2

    여기서, V1 = 5m3, T1 = 80℃ + 273.15 = 353.15K, T2 = 21℃ + 273.15 = 294.15K 이므로,

    5/353.15 = V2/294.15

    V2 = 4.2m3

    따라서, 이 공기의 부피는 약 4.2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송풍기의 바로 앞부분(up stream)까지의 정압이 –200 mmH2O, 뒷부분(down stream)에서의 정압이 10 mmH2O 이다. 송풍기의 바로 앞부분과 뒷부분에서의 속도압이 모두 8mmH2O 일 때 송풍기 정압(mmH2O)은 얼마인가?

  1. 182
  2. 190
  3. 202
  4. 218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제어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어속도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
  2. 제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송풍기 용량의 증가는 불가피하다.
  3. 외부식 후드에서 후드와 작업지점과의 거리를 줄이면 제어속도가 증가한다.
  4. 유해물질을 실내의 공기 중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후드 내로 흡인하는데 필요한 최대기류 속도를 의미한다.
(정답률: 41%)
  • 외부식 후드에서 후드와 작업지점과의 거리를 줄이면 제어속도가 증가한다. 이는 후드와 작업지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해물질이 빠르게 흡입되어 후드 내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후드와 작업지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후드의 형태 중, 포위식이 외부식에 비하여 효과적인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제어풍량이 적기 때문이다.
  2. 유해물질이 포위되기 때문이다.
  3. 플랜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4. 영향을 미치는 외부기류를 사방면에서 차단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60%)
  • 플랜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후드의 입구가 일방향으로 제한되어 제어풍량이 적어지므로, 포위식이 외부식에 비하여 효과적인 이유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염화에틸렌 10000 ppm 이 공기 중에 존재한다면 공기와 사염화에틸렌 혼합물의 유효비중은 얼마인가? (단, 사염화에틸렌의 증기비중은 5.7로 한다.)

  1. 1.0047
  2. 1.047
  3. 1.47
  4. 10.47
(정답률: 61%)
  • 유효비중은 혼합물의 밀도를 공기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사염화에틸렌과 공기의 혼합물의 밀도를 구하고, 이를 공기의 밀도로 나누면 된다.

    사염화에틸렌의 증기비중은 5.7이므로, 1 L의 사염화에틸렌 증기는 5.7 L의 공기와 같은 부피를 차지한다. 따라서, 10000 ppm의 사염화에틸렌이 존재한다면, 1 L의 혼합물은 1 + (10000/1,000,000) x 5.7 = 1.057 L의 부피를 차지한다.

    이제, 혼합물의 밀도를 구해보자. 사염화에틸렌의 밀도는 1.18 g/cm³이고, 공기의 밀도는 1.29 g/L이다. 따라서, 1 L의 혼합물의 밀도는 (1.18 g/cm³ x 1 cm³/mL + 1.29 g/L x 1 L) / 1.057 L = 1.39 g/L이다.

    마지막으로, 유효비중을 구해보자. 유효비중은 혼합물의 밀도를 공기의 밀도로 나눈 값이므로, 1.39 g/L / 1.29 g/L = 1.047이다. 따라서, 정답은 "1.0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