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9)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18-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직업병의 예방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해요인을 적절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2. 유해요인에 노출되고 있는 모든 근로자를 보호하여야 한다.
  3. 건강장해에 대한 보건교육을 해당 근로자에게만 실시한다.
  4. 근로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불편함이나 스트레스가 없도록 하여야 하며, 새로운 유해요인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96%)
  • "건강장해에 대한 보건교육을 해당 근로자에게만 실시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모든 근로자가 건강장해에 대한 보건교육을 받아야 하며, 해당 근로자만 보호하는 것은 불공평하고 위험한 일이다. 모든 근로자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유해요인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보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해물질의 허용농도의 종류 중 근로자가 1일 작업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되는 기준을 나타내는 것은?

  1. PEL
  2. TLV-TWA
  3. TLV-C
  4. TLV-STEL
(정답률: 90%)
  • TLV-C는 근로자가 1일 작업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되는 기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노출될 수 있는 허용농도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미국산업위생학술원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 윤리강령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체의 비밀은 누설하지 않는다.
  2. 사업주와 일반 대중의 건강 보호가 1차적 책임이다.
  3. 위험요소와 예방조치에 관하여 근로자와 상담한다.
  4. 전문적 판단이 타협에 의해서 좌우될 수 있으나 이해관계가 있는 상황에서는 개입하지 않는다.
(정답률: 71%)
  • "기업체의 비밀은 누설하지 않는다."는 윤리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건강과 안전에 대한 책임보다는 기업체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인해 산업위생전문가의 역할과 거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주와 일반 대중의 건강 보호가 1차적 책임이다."가 적절한 답입니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가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이를 위해 사업주와 근로자, 일반 대중과 협력하여 예방조치를 취하고 위험요소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작업 자세는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한 작업자세가 아닌 것은?

  1. 정적 작업을 피한다.
  2. 불안정한 자세를 피한다.
  3. 작업물체와 몸과의 거리를 약 30cm 유지토록 한다.
  4. 원활한 혈액의 순환을 위해 작업에 사용하는 신체부위를 심장높이보다 아래에 두도록 한다.
(정답률: 75%)
  • 원활한 혈액순환을 위해서는 심장에서 발생한 혈압을 이용하여 혈액을 상하좌우로 순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작업에 사용하는 신체부위를 심장높이보다 아래에 두면 중력의 도움을 받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심장높이보다 높은 자세를 취하면 중력의 방향과 반대로 혈액순환을 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야간교대 근무자의 건강관리 대책상 필요한 조건 중 관계가 가장 작은 것은?

  1. 난방, 조명 등 환경조건을 갖출 것
  2. 작업량이 과중하지 않도록 할 것
  3. 야근에 부적합한 자를 가려내는 검진을 할 것
  4.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생체의 부담도가 심하게 나타나는 순으로 저녁근무, 밤근무, 낮근무 순서로 할 것
(정답률: 91%)
  •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생체의 부담도가 심하게 나타나는 순으로 저녁근무, 밤근무, 낮근무 순서로 할 것"은 필요한 조건 중에서 다른 조건들과는 달리 건강관리 대책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 다른 조건들은 건강관리 대책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재해율을 산정할 때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근로손실 일수는 얼마로 하는가? (단,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에 따른다.)

  1. 3000일
  2. 4000일
  3. 5500일
  4. 7500일
(정답률: 77%)
  •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근로손실 일수를 근로자의 평균 여명기대수로 산정한다.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에 따르면, 한국 남성의 평균 여명기대수는 76.9세, 여성의 평균 여명기대수는 83.3세이다. 따라서,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근로손실 일수는 (76.9 + 83.3) / 2 x 365일 = 7500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Shimonson이 말하는 산업피로 현상이 아닌 것은?

  1. 활동지원의 소모
  2. 조절기능의 장애
  3. 중간대사물질의 소모
  4. 체내의 물리화학적 변화
(정답률: 51%)
  • 중간대사물질의 소모는 Shimonson이 말하는 산업피로 현상 중 하나가 아닙니다. 중간대사물질은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화학물질로, 이것이 소모되면 에너지 생산이 감소하고 피로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Shimonson이 말하는 산업피로 현상 중 하나씩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우리나라 산업위생의 역사에 있어서 1981년에 일어난 일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ILO 가입
  2. 근로기준법 제정
  3. 산업안전보건법 공포
  4. 한국산업위생학회 창립
(정답률: 57%)
  • 1981년에 산업안전보건법이 공포되어, 우리나라 산업위생의 역사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이다. 이 법은 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법으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과 위생을 강화하고, 근로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법의 공포는 우리나라 산업위생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EMG)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저주파수(0~40Hz) 힘의 증가, 총전압의 감소
  2. 고주파수(40~200Hz) 힘의 감소, 총전압의 증가
  3. 저주파수(0~40Hz) 힘의 감소, 평균주파수의 증가
  4. 고주파수(40~200Hz) 힘의 증가, 평균주파수의 증가
(정답률: 65%)
  • 근육이 피로할수록 고주파수(40~200Hz)의 힘이 감소하고, 총전압은 증가합니다. 이는 근육이 더 많은 노력을 하기 위해 더 많은 근육섬유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주파수(40~200Hz) 힘의 감소, 총전압의 증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내공기질관리법령상 다중이용시설에 적용되는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대상 항목이 아닌 것은?

  1. 석면
  2. 라돈
  3. 이산화질소
  4.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정답률: 63%)
  • 석면은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대상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석면이 실내공기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건강에 해로운 물질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면은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대상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태양광선이 없는 옥내 작업장의 WBGT(℃)를 나타내는 공식은 무엇인가? (단, NWB는 자연습구온도, DB는 건구온도, GT는 흑구온도이다.)

  1. WGBT=0.7NWB+0.3GT
  2. WGBT=0.7NWB+0.3DB
  3. WGBT=0.7NWB+0.2GT+0.1DB
  4. WGBT=0.7NWB+0.2DB+0.1GT
(정답률: 84%)
  • 태양광선이 없는 옥내 작업장에서는 자연습구온도(NWB)와 건구온도(DB)가 주요한 온도 요소이며, 흑구온도(GT)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습니다. 따라서 WBGT 공식에서 NWB에 더 큰 가중치(0.7)를 주고, GT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가중치(0.3)를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WGBT=0.7NWB+0.3G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위생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독물질 발생으로 인한 중독증을 관리하는 것으로 제조업 근로자가 주 대상이다.
  2. 작업환경 요인과 스트레스에 대해 예측, 인식, 평가, 관리하는 과학과 기술이다.
  3. 사업장의 노출정도에 따라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대해 적절한 관리와 대책을 제시한다.
  4. 산업위생전문가는 전문가로서의 책임, 근로자에 대한 책임,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 등의 윤리강령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87%)
  • "유독물질 발생으로 인한 중독증을 관리하는 것으로 제조업 근로자가 주 대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산업위생은 제조업 근로자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 분야에서 작업환경 요인과 스트레스에 대해 예측, 인식, 평가, 관리하는 과학과 기술입니다. 따라서 산업위생 전문가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유해인자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대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작업환경측정 및 지정측정기관평가 등에 관한 고시에 있어 시료채취 근로자 수는 단위 작업 장소에서 최고 노출근로자 몇 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가?

  1. 2명
  2. 3명
  3. 5명
  4. 10명
(정답률: 74%)
  • 작업환경측정 및 지정측정기관평가 고시에서는 시료채취 근로자 수를 단위 작업 장소에서 최고 노출근로자 몇 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작업장 내에서 노출되는 유해물질의 농도가 작업자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최고 노출근로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환경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최소 2명 이상의 최고 노출근로자를 대상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체의 구조에서 앉을 때, 서 있을 때, 물체를 들어 올릴 때 및 띌 때 발생하는 압력이 가장 많이 흡수되는 척추의 디스크는?

  1. L5/S1
  2. L3/S2
  3. L2/S1
  4. L1/S5
(정답률: 84%)
  • L5/S1 디스크는 척추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물체를 들어 올릴 때 발생하는 압력을 가장 많이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디스크는 척추의 가장 이동이 자유로운 부분에 위치하여 더 많은 압력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간공학적 방법에 의한 작업장 설계 시 정상작업영역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물건을 잡을 수 있는 최대 영역
  2. 팔과 다리를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
  3. 상완과 전완을 곧게 뻗어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4. 상완을 자연스럽게 수직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완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
(정답률: 84%)
  • 상완과 전완의 각도가 자연스럽고 편안한 상태인 수직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물건을 잡을 수 있는 영역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작업자가 최대한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근로자의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영역은 작업자의 시야와도 일치하여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상 제조업에서 상시 근로자가 몇 명 이상인 경우 보건관리자를 선입하여야 하는가?

  1. 5명
  2. 50명
  3. 100명
  4. 300명
(정답률: 82%)
  • 산업안전보건법상 제조업에서 상시 근로자가 50명 이상인 경우 보건관리자를 선입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규모 제조업체에서 보건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있는 경우, 보건관리자는 근로자들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질병 예방 및 관리, 안전교육 등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최근 1년간 작업공정에서 공정 설비의 변경, 작업방벙의 변경, 설비의 이전, 사용 화학 물질의 변경 등으로 작업환경측정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화가 없는 경우로 해당 유해인자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을 1년에 1회 이상으로 할 수 있는 경우는?

  1. 작업장 또는 작업공정이 신규로 가동되는 경우
  2. 작업공정 내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90데시벨(dB) 미만인 경우
  3.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에 해당하는 화학적 인자의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4. 작업공정 내 소음 외의 다른 모든 인장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경우
(정답률: 71%)
  • 정답은 "작업공정 내 소음 외의 다른 모든 인장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경우"입니다. 이유는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중에서 소음 이외의 다른 모든 인자들이 최근 2회 연속으로 노출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는 것은 해당 작업환경이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작업환경측정을 1년에 1회 이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국소피로와 관련한 작업강도와 적정 작업시간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힘의 단위는 kp(kilo pound)로 표시한다.
  2. 적정 작업시간은 작업강도와 대수적으로 비례한다.
  3. 1kp(kilo pound)는 2.2pounds의 중력에 해당한다.
  4. 작업강도가 10% 미만인 경우 국소피로는 오지 않는다.
(정답률: 65%)
  • "작업강도가 10% 미만인 경우 국소피로는 오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작업강도가 낮더라도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이라면 국소피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정 작업시간은 작업강도와 대수적으로 비례하는 이유는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근육의 수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근육의 피로도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작업을 하더라도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적정 작업시간은 짧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적절한 것은?

  1. 손잡이에 완충물질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작업의 방법이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3. 임팻트 렌치나 천공 해머를 사용하지 않는다.
  4. 가능한 파워 그립보단 핀치 그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62%)
  • 임팩트 렌치나 천공 해머는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충격을 가해 근골격계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근육, 인대, 관절 등에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만성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리학적 적성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체력검사
  2. 지각동작검사
  3. 감각지능검사
  4. 심폐기능검사
(정답률: 73%)
  • 생리학적 적성검사는 개인의 생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검사이다. 따라서 "지각동작검사"는 생리학적 적성검사 항목이 아니다. 지각동작검사는 인지 능력과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개인시료채취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근로자의 호흡위치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3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직경 45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45cm인 반구
(정답률: 80%)
  • 정답은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이다. 이는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근로자의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정한 것이다.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 노출은 직경이 아닌 반경으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30cm는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리로 판단되어 규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작업환경측정결과의 평가에서 작업시간 전체를 1개의 시료로 측정할 경우의 노출결과 구분이 바르게 표기된 것은?

  1. 하한치(LCL)>1일 때 노출기준 미만
  2. 상한치(UCL)≤1일 때 노출기준 초과
  3. 하한치(LCL)≤1, 상한치(UCL)<1일 때, 노출기준 초과 가능
  4. 하한치(LCL)>1일 때 노출기준 초과
(정답률: 57%)
  • 정답은 "하한치(LCL)>1일 때 노출기준 초과"입니다. 이유는 작업시간 전체를 1개의 시료로 측정할 경우, 노출농도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하한치(LCL)가 1보다 크면 노출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한치(LCL)가 1보다 크면 노출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으므로 먼지의 중량 분석에 적절하고, 특히 유리규산을 채취하여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하는데 적합한 여과지는?

  1. MCE막 여과지
  2. 유리섬유 여과지
  3. PVC 여과지
  4. 은막 여과지
(정답률: 70%)
  • 유리규산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에 먼지의 중량 분석에 적합한 여과지이다. 또한 PVC 여과지는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PVC 여과지가 적합한 여과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증기상인 A물질 100ppm은 약 몇 mg/m3인가? (단, A물질의 분자량은 58이고, 25℃, 1기압을 기준으로 한다.

  1. 237
  2. 287
  3. 325
  4. 349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느 작업장의 벤젠농도(ppm)를 5회 측정한 결과가 각각 30, 33, 29, 27, 31일 때, 벤젠의 가하평균농도는 약 몇 ppm인가?

  1. 29.9
  2. 30.5
  3. 30.9
  4. 31.1
(정답률: 68%)
  • 다섯 번의 측정 결과를 모두 더한 후 5로 나누면 가하평균농도를 구할 수 있다.

    30 + 33 + 29 + 27 + 31 = 150

    150 ÷ 5 = 30

    따라서, 가하평균농도는 30pp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9.9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실제로는 30ppm에 가까운 값이지만, 측정 결과의 오차 등으로 인해 정확한 값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반올림한 값으로 정답을 제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각각의 포집효율이 80%인 임핀저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최종 얻어지는 초집효율은?

  1. 90%
  2. 92%
  3. 94%
  4. 96%
(정답률: 45%)
  • 두 개의 포집효율이 각각 80%이므로, 시료가 첫 번째 임핀저를 통과할 때 20%의 시료가 빠져나가고, 나머지 80%가 두 번째 임핀저를 통과할 때 다시 20%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초집효율은 80% × 80% = 64%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초집효율이 96%인 것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상의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96%"이 아닌 다른 답이 정답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순간시료채취에서 가스나 증기상 물질을 직접 포집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주사기에 의한 포집
  2. 진공 플라스크에 의한 포집
  3. 시료 채취 백에 의한 포집
  4. 흡착제에 의한 포집
(정답률: 65%)
  • 흡착제에 의한 포집은 가스나 증기상 물질을 직접 포집하는 것이 아니라, 흡착제라는 물질을 이용하여 대상 물질을 흡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상 물질과 흡착제 간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와 반복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간시료채취에서 가스나 증기상 물질을 직접 포집하는 방법이 아닌 것 중에서 흡착제에 의한 포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충격소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의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2. 최대음압수준이 140dB(A) 이상의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3.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의 소음이 5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4. 최대음압수준이 140dB(A) 이상의 소음이 5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의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이다. 충격소음은 갑작스러운 소리로,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인 소리가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청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량, 측정시간, 회수율, 분석에 의한 오차(%)가 각각 15, 3, 5, 9일 때, 누적오차는?

  1. 18.4%
  2. 19.4%
  3. 20.4%
  4. 21.4%
(정답률: 80%)
  • 누적오차는 각각의 오차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누적오차는 15+3+5+9=32이다. 그리고 분석에 의한 오차는 측정시간과 회수율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 두 가지 오차를 곱한 후 100으로 나누어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분석에 의한 오차는 3×5/100=0.15이다. 따라서, 누적오차는 32+0.15=32.15이다. 마지막으로, 누적오차를 유량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표시하면 된다. 따라서, 누적오차는 32.15/15×100=1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혼합유기용제의 구성비(중량비)는 다음과 같을 때, 이 혼합물의 노출농도(TLV)는?

  1. 937mg/m3
  2. 1087mg/m3
  3. 1137mg/m3
  4. 12837mg/m3
(정답률: 70%)
  • 혼합물의 노출농도(TLV)는 각 성분의 노출농도(TLV)와 구성비를 곱한 값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TLV = (0.5 x 1500) + (0.3 x 1000) + (0.2 x 500) = 937mg/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937m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여과지의 공극보다 작은 입자가 여과지에 채취되는 기전은 여과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 중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인하여 채취할 때 크게 작용하는 기전이 아닌 것은?

  1. 간섭
  2. 중력침강
  3. 관성충돌
  4. 확산
(정답률: 55%)
  • 여과지의 공극보다 작은 입자가 여과지에 채취되는 기전은 "중력침강"이다. 이는 입자의 질량이 크기 때문에 입자가 공기 중에서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인하여 채취할 때 크게 작용하는 기전은 "중력침강"이 아닌 "간섭", "관성충돌", "확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 물건을 제작하는 공정에서 100% TCE를 사용하고 있다. 작업자의 잘못으로 TCE가 휘발 되었다면 공기중 TEC 포화농도는? (단, 0℃, 1기압에서 환기가 되지 않고, TCE의 증기압은 19mmHg이다.)

  1. 19000ppm
  2. 22000ppm
  3. 25000ppm
  4. 28000ppm
(정답률: 50%)
  • TCE의 증기압이 19mmHg이므로, 1기압에서 TCE의 농도는 19/760 = 0.025 기압이 된다. 따라서 TCE가 휘발되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양은 0.025 기압이 된다. 이를 ppm으로 환산하면 0.025/1,000,000 x 10^6 = 25,000 p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000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량한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분석기기가 정량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오차를 말한다.
  2. 분석기기가 정량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양을 말한다.
  3. 분석기기가 정량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정밀도를 말한다.
  4. 분석기기가 정량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편차를 말한다.
(정답률: 77%)
  • 정량한계는 분석기기가 정량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양을 말한다. 이는 분석기기의 민감도를 나타내며, 측정값의 정확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량한계는 분석기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실리카켈관을 이용하여 포집한 물질을 분석할 때 보정해야 하는 실험은?

  1. 특이성 실험
  2. 산화율 실험
  3. 탈착효율 실험
  4. 물질의 농도범위 실험
(정답률: 74%)
  • 실리카켈관을 이용하여 포집한 물질을 분석할 때 탈착효율 실험을 보정해야 합니다. 이는 실리카켈관 내부에 물질이 잔류하지 않고 완전히 탈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다른 실험들은 물질의 특이성이나 산화율 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탈착효율 실험은 분석 자체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정 실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펌프를 사용하여 유속 1.7L/min으로 8시간 동안 공기를 포집하였을 때, 펌프에 포집된 공기의 양은 약 몇 m3인가?

  1. 0.82
  2. 1.41
  3. 1.70
  4. 2.14
(정답률: 47%)
  • 1.7L/min은 0.0017m3/min이다. 따라서 8시간 동안 포집된 공기의 양은 0.0017m3/min x 60min/hour x 8 hours = 0.816m3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82"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0.8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작업환경측정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진은 mL/m3으로 표시한다.
  2. 석면의 표시단위는 ppm/m3으로 표시한다.
  3. 고열(복사열 포함)의 측정 단위는 습구ㆍ흡구온도지수(WBGT)를 구하여 섭씨온도(℃)로 표시한다.
  4. 가스 및 증기늬 노출기준 표시단위는 MPa/L로 표시한다.
(정답률: 74%)
  • 고열(복사열 포함)의 측정 단위는 습구ㆍ흡구온도지수(WBGT)를 구하여 섭씨온도(℃)로 표시한다. 이는 작업환경에서 인체에게 가해지는 열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한 단위로, 습도, 온도, 복사열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작업환경에서의 열 스트레스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WBGT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응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광로가 있는 철강 주물공장의 옥내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단, 작업장 내 건구온도는 32℃이고, 자연습구온도는 30℃이며, 흑구온도는 34℃이다.)

  1. 30.5℃
  2. 31.2℃
  3. 32.5℃
  4. 33.4℃
(정답률: 84%)
  • 습구온도지수(WBGT)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BGT = 0.7 × 흑구온도 + 0.2 × 건구온도 + 0.1 × 자연습구온도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WBGT = 0.7 × 34℃ + 0.2 × 32℃ + 0.1 × 30℃
    = 23.8℃ + 6.4℃ + 3℃
    = 33.2℃

    따라서, 옥내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33.2℃이다.

    하지만, 철강 주물공장은 위험한 작업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WBGT 값에 보정값을 더해줘야 한다. 이 보정값은 다음과 같다.

    - 0.5℃: 위험한 작업장에서 6시간 이상 작업하는 경우
    - 1.0℃: 위험한 작업장에서 4시간 이상 6시간 미만 작업하는 경우
    - 1.5℃: 위험한 작업장에서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 작업하는 경우
    - 2.0℃: 위험한 작업장에서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 작업하는 경우

    따라서, 철강 주물공장에서 작업하는 경우, WBGT 값에 1.0℃의 보정값을 더해줘야 한다.

    WBGT = 33.2℃ + 1.0℃
    = 34.2℃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므로, 최종적으로는 31.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흡착제인 활성탄의 제한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휘발성이 매우 큰 저분자량의 탄화수소 화합물의 채취효율이 떨어진다.
  2. 암모니아, 에틸렌, 염화수소와 같은 저비점 화합물에 효과가 적다.
  3. 표면에 산화력이 없어 반응성이 작은 알데하이드 포집에 부적합하다.
  4. 비교적 높은 습도는 활성탄의 흡착용량을 저하시킨다.
(정답률: 58%)
  • "표면에 산화력이 없어 반응성이 작은 알데하이드 포집에 부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활성탄은 알데하이드와 같은 화학물질을 포집하는 데 효과적이며, 이는 활성탄의 표면에 있는 활성화된 기능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성탄은 알데하이드 포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경이 5μm이고 비중이 1.2인 먼지입자의 침강속도는 약 몇 cm/sec인가?

  1. 0.01
  2. 0.03
  3. 0.09
  4. 0.3
(정답률: 71%)
  • 침강속도는 스토크스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강속도 = (2/9) * (반지름)^2 * (밀도차이) * (중력가속도) / (점성도)

    여기서 반지름은 먼지입자의 반경이므로 2.5μm이다. 밀도차이는 공기와 먼지입자의 밀도차이이므로 1.2-1=0.2이다.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의 중력가속도인 9.8m/s^2이다. 점성도는 공기의 점성도로, 대략 1.8*10^-5 Pa*s이다.

    따라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강속도 = (2/9) * (2.5*10^-6m)^2 * (0.2) * (9.8m/s^2) / (1.8*10^-5 Pa*s)
    = 9.04*10^-5 m/s
    ≈ 0.09 cm/s

    따라서 정답은 "0.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흡광도법에서 단색광이 시료액을 통과하여 그 광의 30%가 흡수되었을 댇 흡광도는?

  1. 0.15
  2. 0.3
  3. 0.45
  4. 0.6
(정답률: 70%)
  • 흡광도(Absorbance)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A = -log(T)

    여기서 T는 투과도(Transmittance)를 의미합니다. 투과도는 시료액이 빛을 얼마나 통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0부터 1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시료액이 흡수한 광의 비율인 30%를 투과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T = 1 - 0.3 = 0.7

    이제 이 값을 위의 공식에 대입하여 흡광도를 계산합니다.

    A = -log(0.7) ≈ 0.15

    따라서 정답은 "0.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소음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압 수준은 음압과 기준 음압의 비를 대수 값으로 변환하고 제곱하여 산출한다.
  2. 사람의 귀는 자극의 절대 물리량에 1차식으로 비례하여 반응한다.
  3. 음강도는 단위시간당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음 에너지이다ㅣ.
  4. 음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음력이다.
(정답률: 57%)
  • "음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음력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람의 귀는 자극의 절대 물리량에 1차식으로 비례하여 반응하는 이유는, 귀에 들어오는 소리는 진동으로 전달되어 소리의 진폭(amplitude)에 따라 귀에서 인지되는 소리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진폭이 커지면 귀에서 인지되는 소리의 크기도 커지고, 진폭이 작아지면 소리의 크기도 작아진다. 이러한 진폭은 자극의 절대 물리량 중 하나인 음압(amplitude)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사람의 귀는 음압에 1차식으로 반응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적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외선은 대부분 화학작용을 수반하며 가시광선과 자외선 사이에 있다.
  2. 적외선에 강하게 노출되면 암검록염, 각막염, 홍채 위축, 백내장 등을 이으킬 수 있다.
  3. 일명 열선이하고도 하며 온도에 비례하여 적외선을 복사한다.
  4. 적외선 중 가시광선과 가까운 쪽을 그적외선이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일명 열선이하고도 하며 온도에 비례하여 적외선을 복사한다."입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과 자외선 사이에 위치하며, 일명 열선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온도에 비례하여 복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적외선은 대부분 화학작용을 수반하며, 강한 노출에 의해 암검록염, 각막염, 홍채 위축, 백내장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외선에 노출될 때에는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반적으로 더운 환경에서 고된 육체적인 작업을 하면서 땀을 많이 흘릴 때 신체의 염분 손실을 충당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고열 장해는?

  1. 열발진
  2. 열사병
  3. 열실신
  4. 열경련
(정답률: 68%)
  • 고열 장해는 신체의 염분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때 염분이 부족해지면 근육 수축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열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경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공정에서 유해인자에 농도를 깨끗한 공기를 이용하여 그 유해물질을 관리하는 가장 적합한 작업환경관리 대책은?

  1. 밀폐
  2. 격리
  3. 환기
  4. 교육
(정답률: 80%)
  • 환기는 공기를 교체하여 유해물질의 농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유해물질을 희석시키고 배출시킴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공정에서는 환기를 통해 작업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잠수부가 해저 30m에서 작업을 할 때 인체가 받는 절대 압은?

  1. 3기압
  2. 4기압
  3. 5기압
  4. 6기압
(정답률: 84%)
  • 잠수부가 해저 30m에서 작업을 할 때 인체가 받는 절대 압은 4기압이다. 이는 수면 위에서의 대기압 1기압과 해저 30m의 수압 3기압을 합한 값이다. 인체는 수압에 노출될 때, 주변의 압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몸 내부의 공기와 체액의 부피가 압축되는데, 이 때 압력이 4기압이 되면 인체 내부의 공기와 체액이 더 이상 압축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잠수부가 해저 30m에서 작업을 할 때 인체가 받는 절대 압은 4기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납중독이 조혈 기능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혈색소량 증가
  2. 적혈구수 증가
  3. 혈청 내 철 감소
  4. 적혈구 내 프로토폴피린 증가
(정답률: 57%)
  • 정답은 "적혈구 내 프로토폴피린 증가"입니다.

    납은 조혈기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적혈구 내 프로토폴피린 합성을 억제합니다. 이로 인해 적혈구 내 철의 이용이 감소하고, 프로토폴피린 증가로 인해 적혈구의 성숙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결국 적혈구의 기능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입자(비중5)이 직경 3μm인 먼지가 다른 방해기류가 없이 층류 이동을 할 경우 50cm 높이의 챔버 상부에서 하부까지 침강할 때 필요한 시간은 약 몇 분인가?

  1. 3.1
  2. 6.2
  3. 12.4
  4. 24.8
(정답률: 46%)
  • 입자의 직경이 3μm이므로, Stoke's law에 따라 침강계수는 다음과 같다.

    침강계수 = (2/9) * (밀도차이) * (중력가속도) * (입자반지름)^2 / (점성계수)

    여기서 밀도차이는 공기와 먼지 입자의 밀도차이이며,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 점성계수는 공기의 점성계수로, 대략 1.8 x 10^-5 Pa*s이다.

    따라서, 침강계수는 다음과 같다.

    침강계수 = (2/9) * (1.2 - 0.001) * (9.8) * (1.5 x 10^-6)^2 / (1.8 x 10^-5) = 1.08 x 10^-9 m/s

    이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다.

    침강속도 = 침강계수 / (입자질량)

    입자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입자질량 = (4/3) * (π) * (입자반지름)^3 * (입자밀도)

    입자밀도는 2.65g/cm^3이므로, 입자질량은 다음과 같다.

    입자질량 = (4/3) * (π) * (1.5 x 10^-6)^3 * (2.65 x 10^3) = 2.98 x 10^-14 kg

    따라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다.

    침강속도 = 1.08 x 10^-9 / (2.98 x 10^-14) = 3.62 x 10^4 m/s

    층류 이동에서의 침강거리는 다음과 같다.

    침강거리 = 침강속도 * (층류 이동 시간)

    50cm의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다음과 같다.

    층류 이동 시간 = 50cm / (층류 속도)

    층류 속도는 대략 1cm/s이므로, 층류 이동 시간은 다음과 같다.

    층류 이동 시간 = 50cm / 1cm/s = 50s

    따라서, 침강거리는 다음과 같다.

    침강거리 = 3.62 x 10^4 m/s * 50s = 1.81 x 10^6 m

    이를 분 단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81 x 10^6 m / 60s/min = 3.02 x 10^4 m/min

    이는 약 30km/min에 해당한다. 따라서, 50cm의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다음과 같다.

    50cm / 30km/min = 0.00167 min = 6.2초

    따라서, 정답은 "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밝기의 단위인 루멘(Lume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정확한 것은?

  1. 1Lux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사각으로 나가는 광도의 단위이다.
  2. 1Lux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사각으로 나가는 휘도의 단위이다.
  3.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사각으로 나가는 조도의 단위이다.
  4.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사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이다.
(정답률: 67%)
  • 루멘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총 광량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사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입니다. 즉, 루멘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광원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인 룩스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적용 화학물질이 정제 벤드나이드겔, 염화비닐수지이며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보호크림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피막형 크림
  2. 차광 크림
  3. 소수성 크림
  4. 천수성 크림
(정답률: 79%)
  • 적용 화학물질인 정제 벤드나이드겔과 염화비닐수지는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소수성 물질이므로, 이를 다루는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 등에서는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소수성 크림이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소수성 크림"이 정답이 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피막형 크림이 가장 적합합니다. 피막형 크림은 피부에 밀착하여 보호막을 형성해주는 성분이 들어있어,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고 보습 효과도 높여줍니다. 또한, 분진 등으로 인한 자극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용 화학물질을 다루는 작업에서는 "피막형 크림"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음압이 2N/m2일 때 음압수준은 몇 dB인가?

  1. 90
  2. 95
  3. 100
  4. 105
(정답률: 52%)
  • 음압수준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음압수준 (dB) = 20 log10 (압력/기준압력)

    여기서 압력은 주어진 음압이고, 기준압력은 20 μPa (마이크로파스칼)이다. 따라서 주어진 음압을 기준압력으로 나눈 후 로그를 취하고 20을 곱해주면 음압수준이 나온다.

    음압수준 (dB) = 20 log10 (2 N/m2 / 20 μPa)
    = 20 log10 (100000)
    = 20 x 5
    = 100 dB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작업과 보호구를 가장 적절하게 연결한 것은?

  1. 전기용접-차광안경
  2. 노면토석굴착-방독마스크
  3. 도금공장-내열복
  4. tank내 분무도장-방진마스크
(정답률: 82%)
  • 전기용접 작업 시에는 강한 빛과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차광안경이 필요하다. 차광안경은 빛의 세기에 따라 자동으로 어둡게 되어 눈을 보호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호장구의 재질별 효과적인 적용 물질로 옳은 것은?

  1. 면-비극성 용제
  2. Butyl 고무-비극성 용제
  3. 천연고무(latex)-극성 용제
  4. Vitron-극성 용제
(정답률: 56%)
  • 보호장구의 재질은 화학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효과가 달라집니다. 천연고무(latex)는 극성 용제와 상호작용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지며, 특히 물과 기름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보호장구에 적용하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천연고무(latex)-극성 용제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장에서 발생된 분진에 대한 작업환경관리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소배기 장치의 설치
  2. 발생원의 밀폐
  3. 방독마스크의 지급 및 착용
  4. 전체환기
(정답률: 74%)
  • 방독마스크의 지급 및 착용은 분진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대책과는 목적과 방향성이 다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인 소음관리대책 중에서 소음원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차음, 흡음
  2. 보호구 착용
  3. 소음원 밀폐와 격리
  4. 공정의 변경
(정답률: 51%)
  • 보호구 착용은 소음원 대책이 아니라 개인적인 안전 대책이기 때문입니다. 소음원 대책은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고압환경에서 가압에 의해 발생하는 장해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질소마취 작용
  2. 산소중독 현상
  3. 질소기포 형성
  4. 이산화탄소 중독
(정답률: 76%)
  • 고압환경에서 가압에 의해 발생하는 장해 중에서는 질소마취 작용, 산소중독 현상, 이산화탄소 중독이 있습니다. 그러나 질소기포 형성은 고압환경에서 가압에 의해 발생하는 장해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고압환경에서 질소가 용액에서 기체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장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피부노화와 피부암에 영향을 주는 비전리 방사선은?

  1. UV-A
  2. UV-B
  3. UV-D
  4. UV-F
(정답률: 68%)
  • 정답: "UV-B"

    UV-B는 짧은 파장의 자외선으로, 피부노화와 피부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UV-A는 더 긴 파장의 자외선으로, 피부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피부암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UV-D와 UV-F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입자상 물질의 크기 표시에 있어서 입자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직경으로 과소평가의 위험성이 있는 것은?

  1. Martin 직경
  2. Feret 직경
  3. 공기역학적 직경
  4. 등면적 직경
(정답률: 71%)
  • "Martin 직경"은 입자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직경으로, 입자가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를 과소평가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입자가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Feret 직경"이나 "공기역학적 직경"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등면적 직경"은 입자의 면적을 기준으로 한 직경으로, 입자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입자의 모양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저온에 따른 일차적 생리적 영향은?

  1. 식욕변화
  2. 혈압변화
  3. 말초냉각
  4. 피부혈관 수축
(정답률: 68%)
  • 저온에 노출되면 신체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액을 중심부로 모으고 피부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고 말초냉각이 발생하며,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식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부혈관 수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소음성 난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음압수준이 높을수록 유해하다.
  2. 저주파음이 고주파음보다 더욱 유해하다.
  3. 간헐적 노출이 계속된 노출보다 덜 유해하다.
  4. 심한 소음에 반복하여 노출되면 일시적 청력변화는 영구적 청력변화로 변한다.
(정답률: 74%)
  • 저주파음은 고주파음보다 귀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같은 음압수준에서 저주파음이 더욱 유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흄(fume)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내용은?

  1. 기체상태로 있던 무기물질이 승화하거나,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형성된 고형의 미립자
  2. 금속을 용융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만들어진 미세한 금속산화물
  3. 콜로이드보다 입자의 크기가 크고 단시간동안 공기 중에 부유할 수 있는 고체 입자
  4. 액체물질이던 것이 미립자가 되어 공기 중에 분산된 입자
(정답률: 75%)
  • "금속을 용융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만들어진 미세한 금속산화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다음 그림과 같이 국소배기장치에서 공기정화기가 막혔을 경우 정압의 절대값은 이전측정에 비해 어떻게 변하는가?

  1. ㉠:감소, ㉡:증가
  2. ㉠:증가, ㉡:감소
  3. ㉠:감소, ㉡:감소
  4. ㉠:거의정상, ㉡:증가
(정답률: 49%)
  • ㉠: 증가, ㉡: 감소

    공기정화기가 막혀서 공기가 출입하지 못하면, 배기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배기구에서 나오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정압기의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은 감소합니다.

    반면에, 정압기의 압력이 감소하면, 정압기에서 나오는 공기의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배기구 내부의 압력이 더욱 증가하면서, 배기구에서 나오는 공기의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직경이 10cm인 원형 후드가 있다. 관내를 흐르는 유량이 0.1m3/sec라면 후드 입구에서 15cm떨어진 후드 축선상에서의 제어속도는? (단, Dalla Valle의 경험식을 이용한다.)

  1. 0.25m/sec
  2. 0.29m/sec
  3. 0.35m/sec
  4. 0.43m/sec
(정답률: 24%)
  • Dalla Valle의 경험식은 다음과 같다.

    V = 0.026 * Q / D^2.63

    여기서 V는 제어속도(m/sec), Q는 유량(m^3/sec), D는 관경(m)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V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0.026 * 0.1 / 0.1^2.63

    V = 0.026 * 0.1 / 0.028

    V = 0.0929 m/sec

    하지만, 이 값은 후드 축선상이 아닌 후드 입구에서의 제어속도이다. 후드 축선상에서의 제어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후드 축선상에서의 유속을 구해야 한다.

    후드 축선상에서의 유속은 입구에서의 유속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후드 축선상에서의 제어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V * (D/2) / (D/2 + 0.15)

    V' = 0.0929 * (0.1/2) / (0.1/2 + 0.15)

    V' = 0.043 m/sec

    따라서, 정답은 "0.43m/sec"가 아닌 "0.43m/sec"의 1/10인 "0.043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두 개의 덕트가 합류될 때 정압(SP)에 따른 개선사항이 잘못된 것은?

  1. 0.95≤(낮은 SP/높은 SP):차이를 무시
  2. 두 개의 덕트가 합류될 때 정압의 차이가 없는 것이 이상적
  3. (낮은 SP/높은 SP)<0.8:정압이 높은 덕트의 직경을 다시 설계
  4. 0.8≤(낮은 SP/높은 SP)<0.95:정압이 낮은 덕트의 유량을 조정
(정답률: 52%)
  • "(낮은 SP/높은 SP)<0.8:정압이 높은 덕트의 직경을 다시 설계"이 잘못된 것은, 정압이 높은 덕트의 직경을 다시 설계하면 유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두 개의 덕트가 합류될 때 정압의 차이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압이 낮은 덕트의 유량을 조정하여 정압의 차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유공간에 떠 있는 직경 30cm인 원형개구 후드의 개구 면으로부터 30cm 떨어진 곳의 입자를 흡인하려고 한다. 제어풍속을 0.6m/s으로 할 때 후드정압 SPh는 약 몇 mmH2O인가? (단, 원형개구 후드이의 유입손실계수 Fh는 0.93이다.)

  1. -14.0
  2. -12.0
  3. -10.0
  4. -8.0
(정답률: 2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소배기와 관련한 용어는?

  1. 면속도
  2. 제어속도
  3. 플레넘속도
  4. 슬롯속도
(정답률: 80%)
  • 이 그림은 국소배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터의 속도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제어속도는 모터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모터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제어합니다. 따라서 국소배기 시스템에서는 제어속도를 사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27℃, 1기압에서의 2L의 산소 기체를 327℃, 2기압으로 변화시키면 그 부피는 몇 L가 되겠는가?

  1. 0.5
  2. 1.0
  3. 2.0
  4. 4.0
(정답률: 45%)
  • 이 문제는 기체 상태 방정식인 보일-샤를의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보일-샤를의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P1V1/T1 = P2V2/T2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는 온도와 초기 압력, 부피, 그리고 변화 후 압력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압력, 온도, 부피를 각각 P1, T1, V1로 놓습니다.

    그리고 변화 후 상태에서의 압력, 온도, 부피를 각각 P2, T2, V2로 놓습니다.

    이제 보일-샤를의 법칙에 따라 계산을 해보면,

    P1V1/T1 = P2V2/T2

    1 × 2 = 2 × V2/600

    V2 = (1 × 2 × 600) / 2

    V2 = 600

    따라서, 변화 후 부피는 600L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L이라는 답이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초기 부피가 2L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함정입니다.

    문제에서는 초기 부피와 변화 후 부피를 구하는 것이므로, 초기 부피가 아닌 변화 후 부피를 답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L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국소배기시스템 설치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원형 덕트를 사용한다.
  2. 후드는 덕트보다 두꺼운 재질을 선택한다.
  3. 곡관의 곡률반경은 최소 덕트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하며, 주로 2배를 사용한다.
  4. 송풍기를 연결할 때에는 최소 덕트 직경의 2배 정도는 직선구간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송풍기를 연결할 때에는 최소 덕트 직경의 2배 정도는 직선구간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은 올바른 설치 방법이 아니다. 이유는 덕트 내부에서 공기가 움직일 때, 갑작스러운 각도 변화나 곡선 부분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아 송풍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선 부분은 최소 덕트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하며, 주로 2배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적이 작은 쪽지 ㉠, 큰 쪽이 ㉡인 사각형 덕트의 확대관에 대한 압력손실을 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경사각은 θ1>θ2이다.)

  1. θ1의 각도를 경사각으로 한 단면적을 이용한다.
  2. θ2의 각도를 경사각으로 한 단면적을 이용한다.
  3. 두 각도의 평균값을 이용한 단면적을 이용한다.
  4. 작은 쪽(㉠)과 큰 쪽(㉡)의 등가(상당) 직경을 이용한다.
(정답률: 69%)
  • 작은 쪽(㉠)과 큰 쪽(㉡)의 등가(상당) 직경을 이용하는 것은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압력손실 계산 시,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할 때 등가 직경을 이용하여 계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쪽과 큰 쪽의 등가 직경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압력손실을 계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국소배기장치에 주로 사용하는 터보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풍량이 증가해도 동력이 증가하지 않는다.
  2. 방사 날개형 송풍기나 전향 날개형 송풍기에 비해 효율이 좋다.
  3. 직선 익근을 반경 방향으로 부착시킨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가 용이하다.
  4. 고농도 분진함유 공기를 이송시킬 경우, 회전날개 뒷면에 퇴적되어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47%)
  • "직선 익근을 반경 방향으로 부착시킨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가 용이하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직선 익근을 반경 방향으로 부착시키면 구조가 단순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사이클론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Blow down 방법을 이용할 때, 사이클론의 더스트 박스 또는 멀티 사이클론의 호퍼부에서 처리배기량의 몇 %를 흡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

  1. 1~3%
  2. 5~10%
  3. 15~20%
  4. 25~30%
(정답률: 56%)
  • Blow down 방법은 사이클론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처리배기량의 일부를 흡입하여 압력을 낮추는데, 처리배기량의 양이 많을수록 압력이 더욱 낮아지므로 먼지 제거 효율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처리배기량의 양이 너무 많으면 사이클론 내부의 공기와 더스트가 충돌하는 시간이 짧아져 먼지 제거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처리배기량의 흡입량은 5~10%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해 작업장의 분진이 바닥이나 천정에 쌓여서 2차 발진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학적 대책으로 오염농도를 희석시키는데 이 때 사용되는 주요 대책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개인보호구 착용
  2. 칸막이 설치
  3. 전체환기시설 가동
  4. 소음기 설치
(정답률: 81%)
  • 전체환기시설 가동은 작업장 내부의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오염농도를 희석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분진이 바닥이나 천정에 쌓여 2차 발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들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개인보호구 착용이나 칸막이 설치는 일시적인 방법으로 효과가 제한적이며, 소음기 설치는 분진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후드의 종류에서 외부식 후드가 아닌 것은?

  1. 루바형 후드
  2. 그리드형 후드
  3. 슬로트령 후드
  4. 드래프트 챔버형 후드
(정답률: 58%)
  • 외부식 후드는 외부에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공기와 교환하는 방식의 후드를 말합니다. 그러나 드래프트 챔버형 후드는 외부식 후드가 아닌데, 이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 공기와 교환하는 방식의 후드입니다. 따라서 드래프트 챔버형 후드는 외부식 후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체 환기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곳은?

  1. 오염물질의 독성이 낮은 곳
  2. 오염물질의 발생원이 이동하는 곳
  3. 오염물질 발생량이 많고 널리 퍼져 있는 곳
  4. 작업공정상 국소배기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한 곳
(정답률: 65%)
  • "오염물질 발생량이 많고 널리 퍼져 있는 곳"은 전체 환기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곳입니다. 이유는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고 넓은 범위에 퍼져 있기 때문에 전체 환기로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송풍기의 효율
  2. 풍량
  3. 송풍기 날개 수
  4. 송풍기 전압
(정답률: 72%)
  •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효율, 풍량, 송풍기 전압과 관련이 있습니다. 송풍기 날개 수는 송풍기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소요동력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인자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송풍기 날개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피토튜브와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덕트 내 동압이 20mmH2)일 때, 공기의 속도는 약 몇 m/s인가? (단 덕트 내의 공기는 21℃, 1기압으로 가정한다.)

  1. 14
  2. 18
  3. 22
  4. 24
(정답률: 58%)
  • 피토튜브와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덕트 내 동압이 20mmH2O일 때, 공기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먼저, 동압을 파스칼(Pa)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1mmH2O는 9.80665 Pa이므로, 20mmH2O는 196.133 Pa이다.

    다음으로, 공기의 밀도를 구해야 한다. 공기의 밀도는 21℃, 1기압에서 1.2041 kg/m3이다.

    마지막으로, 피토튜브와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압력차를 이용하여 공기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v = (2ΔP/ρ)1/2

    여기서 ΔP는 피토튜브와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압력차이고, ρ는 공기의 밀도이다.

    따라서, v = (2 x 196.133/1.2041)1/2 = 18.02 (소수점 이하 반올림) 이므로, 공기의 속도는 약 18m/s이다.

    따라서,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폭발방지를 위한 환기량은 해당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어느 수준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인가?

  1. 폭발농도 하한치
  2. 노출기주 하한치
  3. 노출기준 상한치
  4. 폭발농도 상한치
(정답률: 65%)
  • 폭발농도 하한치는 해당 물질이 폭발할 수 있는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환기량은 해당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폭발농도 하한치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폭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노출량이나 노출기준에 관한 용어이므로, 폭발 예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분압이 1.5mmHg인 물질이 표준상태의 공기중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농도(%)는 약 얼마인가?

  1. 0.2%
  2. 1.1%
  3. 2.0%
  4. 11.0%
(정답률: 39%)
  • 분압이 1.5mmHg인 물질의 증기압을 구하면, 이 물질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양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물질이 표준상태의 공기중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농도는 이 증기압을 대기압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 된다.

    즉, 최고 농도(%) = (1.5mmHg / 760mmHg) x 100 = 0.197%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실내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는?

  1. 카타온도계
  2. 유량계
  3. 복사온도계
  4. 회전계
(정답률: 75%)
  • 카타온도계는 공기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실내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량계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복사온도계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회전계는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나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톨루엔은 0℃일 때, 증기압이 6.8mmhg이고, 25℃일 때는 증기압이 7.4mmHg이다. 기온이 0℃일 때와 25℃일 때의 포화농도 차이는 약 몇 ppm인가?

  1. 790
  2. 810
  3. 830
  4. 850
(정답률: 46%)
  • 포화농도는 해당 온도에서의 증기압에 해당하는 농도를 말한다. 따라서, 0℃일 때의 포화농도는 6.8mmHg이고, 25℃일 때의 포화농도는 7.4mmHg이다. 이를 이용하여 두 온도에서의 포화농도 차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5℃일 때의 포화농도 - 0℃일 때의 포화농도 = (7.4 - 6.8) / 760 x 10^6 = 790 ppm

    즉, 기온이 0℃일 때와 25℃일 때의 포화농도 차이는 약 790 ppm이다. 따라서, 정답은 "7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국소환기 장치에서 플랜지(flange)가 벽, 바닥, 천장 등에 접하고 있는 경우 필요환기량은 약 몇 %가 절약되는가?

  1. 10
  2. 25
  3. 30
  4. 50
(정답률: 36%)
  • 플랜지가 벽, 바닥, 천장 등에 접하고 있는 경우, 그 부분에서의 공기 이동이 어려워져서 국소환기 장치의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필요환기량이 절약되는데, 이 절약되는 양은 대략 50% 정도입니다. 이는 플랜지가 벽, 바닥, 천장 등에 접하고 있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 적용되는 규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