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료 및 배합
1. 일반 콘크리트에서 물-결합재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잔골재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시멘트 클링커 화합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 고강도콘크리트의 배합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5. 좋은 입도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6. 조립률이 1.65인 잔골재 A와 조립률이 3.65인 잔골재 B를 혼합하여 조립률이 2.85인 잔골재를 만들려고 할 때, 잔골재 A와 B의 혼합비는?
7. 시멘트의 강도시험(KS L ISO 679)을 실시하고자 모르타르를 제작하려고 한다. 시멘트 450g을 사용할 경우 필요한 표준사의 질량은?
8. KS L 5110 시멘트 비중 시험에 의하여 플라이애시의 비중시험을 실시한 결과, 광유를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넣고 안정된 후 측정한 눈금이 0.7mL였다. 이 비중병에 플라이애시 40g을 넣고 광유가 올라온 눈금을 측정한 결과 18.5mL를 얻었다. 플라이애시의 비중은?
9. 철근콘크리트에 이용되는 길이가 300mm이고 직경이 20mm인 강봉에 인장력을 가한 결과 2.34×10-1mm가 신장되었다면 이 때 강봉에 가해진 인장력은 얼마인가? (단, 강봉의 탄성계수 = 2.0×105N/mm2)
10. 시멘트의 제조 방법 중 습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콘크리트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보정하려고 한다.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2. 프리캐스트 교량 부재를 만드는 회사에서 거더와 바닥판에 사용될 콘크리트를 각각 설계기준강도 50MPa과 30MPa로 결정하였을 때 거더와 바닥판에 사용될 각각의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단, 거더와 바닥판에 사용할 콘크리트에 대하여 30회 이상의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한 결과 표준편자는 5MPa로 동일하다.)
13. 콘크리트 시방배합 설계에서 단위골재의 절대용적이 698ℓ이고, 잔골재율이 42%, 굵은골재의 표건밀도가 0.00265g/㎣이라면 단위 굵은골재량은?
14.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 골재의 물리적 품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16.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품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KS F 2564에 따른다.)
17. 시멘트의 비중시험(KS L 5110)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 다음 표는 굵은골재의 체가름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굵은골재의 최대치수(Gmax)와 조립률(F.M.)을 나타낸 값으로 옳은 것은?
19. 마이크로필러(micro filler)효과 및 포졸란 반응이 동시에 작용하여 강도 증진 효과가 뛰어나서 고강도콘크리트용으로 사용되는 혼화재료는?
20. 흡수율이 2.6%인 습윤상태의 잔골재 550g을 건조로에 건조시켰더니 527g이 되었다. 이 골재의 표면수율은?
2과목: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의 블리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22.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3. ø100×200mm 원주형 공시체로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재하하중 85kN에서 파괴되었다면 쪼갬인장강도는 얼마인가?
24. 아래 표는 콘크리트 시료의 산-가용성 염소이온 함유량 시험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염소이온량을 구하면?
25.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데이터를 어떤 특징에 따라서 몇 개의 부분집단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측정치에 산포를 포함하는 품질관리의 수법은?
26. 콘크리트의 배합설계결과 단위시멘트량이 350kg/m3인 경우 1 배치가 3m3인 믹서에서 시멘트의 1회 계량값이 1031kg일 때, 계량오차에 대한 판정결과로 옳은 것은?
27.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합하지 않는 것은?
28. 콘크리트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 콘크리트 품질관리 중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 방법(KS F 2421)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KS F 2424) 방법의 종류 중 공시체의 중심축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33. 콘크리트 중의 염화물 함유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AE(air entrained) 콘크리트의 특성이 아닌 것은?
35. 일반콘크리트에서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시멘트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슬럼프, 공기량 등의 특성을 관리하는데 적합한 관리도는?
38.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방지를 위한 원칙적인 주의사항으로서 틀린 것은?
39. 다음 중 소성수축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40. 다음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 허용오차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잘못된 것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포장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2. 고유동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연직시공이음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4. 다음은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주의사항이다. 옳지 않은 것은?
45. 고강도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6. 콘크리트용 내부 진동기의 사용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8.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해수 중에 사용되는 해양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최대값은?
49. 팽창콘크리트의 팽창률 및 압축강도의 품질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균열유발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1. 콘크리트의 유동화 방법과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2. 고강도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3. 수밀콘크리트의 배합 및 시공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4.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55. 서중콘크리트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6. 공장제품용 콘크리트의 품질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57. 다음은 구조물별 시공이음의 위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58. 고압증기양생한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숏크리트의 뿜어붙이기 성능을 설정할 때 관계없는 항목은?
60. 숏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과목: 구조 및 유지관리
61. 동결융해에 의한 콘크리트 열화 요인이 아닌 것은?
62.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전체 단면적이 2,000,000mm2이고 0.0035의 항복변형률에서 측정한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가 500MPa인 경우 수축 및 온도 철근량의 최소값은?
63. 아래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설계휨강도 계산을 위한 강도감소계수(ø) 값으로 옳은 것은? (단, fck=28MPa, fy=400MPa, As=3,200mm2)
64. 부재의 길이(경간)이 16m인 단순지지 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최소 두께(h)로 옳은 것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하 였으며,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fy)는 350MPa이다.)
65. 4면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에서 1방향 슬래브로 보고 설계할 수 있는 경우는? (단, L : 2방향 슬래브의 장경간, S : 2방향 슬래브의 단경간)
66. 보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67. 콘크리트보강공법의 일종인 상면 두께증설공법은 상판 콘크리트 상면을 절삭·연마한 후 강섬유 보강콘크리트 등으로 상면의 두께를 증설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68. 단면 증설 공법에 의한 구조물 보강 후 평가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69.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 휨 부재에서 fck=28MPa, fy=320MPa이고 인장철근으로 D32철근을 사용할 때 기본정착길이는? (단, D32철근의 공칭직경은 31.8mm, 단면적은 794mm2)
71. 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서 균열 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2. 단면이 500mm×500mm인 사각형이고, 종방향철근의 전체단면적(Ast)이 4,500mm2인 중심축하중을 받는 띠철근 단주의 설계축하중강도는? (단, fck=27MPa, fy=400MPa이고, 압축지배단면이다.)
73.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의 강도설계에서 fck=60MPa, fy=400MPa인 경우 등가 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를 구할 때 필요한 계수 β1은 얼마인가?
74. 슬래브와 보를 일체로 친 T형보의 유효폭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75. 매스콘크리트로 벽체구조물을 형성할 경우 계획된 위치에서 균열발생을 확실히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축이음의 단면 감소율은 몇 %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76.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나타나는 열화 등을 조사하는 방법 중에서 눈으로 직접하는 외관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77. 단면 폭 300mm, 유효깊이가 600mm이고, 수직스트럽이 간격 200mm로 설치되어 있는 단철근직사각형 보가 규정에 의한 최소 전단철근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 최소 전단 철근의 단면적은? (단, fck=21MPa, fy=300MPa)
78. 중성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79. 보의 폭이 300mm, 유효깊이가 500mm, 경간이 6m인 단순보에 자중을 포함한 고정하중 20kN/m와 활하중 30kN/m가 등분포로 작용하고 있다. 이 보의 위험단면에 작용하는 계수전단력은?
80. 그림과 같이 보의 단면은 전단철근 없이 휨모멘트에 대한 철근만 배근되어 있다. 설계기준에 따른 단면에 허용되는 최대 계수 전단력은? (단, fck=21MPa, fy=400MPa이다.)